KR101810912B1 - 배수 블록을 이용하여 축조되는 시설물 - Google Patents

배수 블록을 이용하여 축조되는 시설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10912B1
KR101810912B1 KR1020160114005A KR20160114005A KR101810912B1 KR 101810912 B1 KR101810912 B1 KR 101810912B1 KR 1020160114005 A KR1020160114005 A KR 1020160114005A KR 20160114005 A KR20160114005 A KR 20160114005A KR 101810912 B1 KR101810912 B1 KR 1018109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lete delete
drain
drainage
present
facili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140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근효
Original Assignee
이창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창호 filed Critical 이창호
Priority to KR10201601140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1091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109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109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5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made up of similar modular elements stacked without mortar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1/00Details of pavings
    • E01C11/22Gutters; Kerbs ; Surface drainage of streets, roads or like traffic areas
    • E01C11/221Kerbs or like edging members, e.g. flush kerbs, shoulder retaining means ; Joint members, connecting or load-transfer means specially for kerbs
    • E01C11/223Kerb-and-gutter structures; Kerbs with drainage openings channel or conduits, e.g. with out- or inlets, with integral gutter or with channel formed into the kerb ; Kerbs adapted to house cables or pipes, or to form condui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20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 E02D17/205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with modular blocks, e.g. pre-fabricated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58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02D29/0266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made up of preformed elemen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20/00Supporting structures for PV modules
    • H02S20/30Supporting structures being movable or adjustable, e.g. for angle adjustment
    • H02S20/32Supporting structures being movable or adjustable, e.g. for angle adjustment specially adapted for solar track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Abstract

본 발명은 시설물을 설치시 배수 기능을 강화하고 주변 환경을 보호함과 아울러 구조적 안정성 및 환경 미관을 강화하고 시설물을 구성하는 블록에 식재 공간을 구비하여 식물이 배변에 뿌리를 내릴 수 있도록 함으로써 시설물 전면이 녹화되어 친환경 시설이 가능한 배수 블록 및 배수 패널과 이들을 이용한 시설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배수 블록은, 식재 가능한 배수 블록으로서, 식생 및 배수가 가능하도록 상부 및 하부를 관통하는 복수의 제 1 관통홀과, 배수가 가능하도록 후방벽에 복수의 제 2 관통홀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배수 블록을 이용하여 축조되는 시설물{Structure for Buinding using Drain Block}
본 발명은 배수 블록을 이용하여 축조되는 시설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블록의 후면에 배수구를 포함하고 블록 내의 중간벽과 후면 사이에 배수부를 구비한 배수 블록을 이용하여 축조되는 시설물에 관한 것이다.
시설물이란 어떤 목적을 위해 설비해 놓은 기계나 장치, 도구, 구조물 등을 통틀어 이르는 말이다.
즉, 옹벽(擁壁: Retaining Wall) 시설물은 토압력에 저항하여 흙이 무너지지 않게 세워지는 벽체를 말하며, 일반적으로 지표지반의 안정된 경사보다 가파른 흙을 쌓거나 또는 산을 깎을 때에 발생하는 지반 붕괴를 막기 위해 만든 구조물이다.
이러한 종래의 옹벽 종류로는 블록쌓기 옹벽과, 중력(重力)식 콘크리트 옹벽 및 특수 철근 콘크리트 옹벽 등을 들 수 있다. 예를 들어, 블록쌓기 옹벽은 예로부터 널리 쓰이는 축벽(築壁)이 이에 속하며 현재는 콘크리트 블록을 이용하여 시공을 한다. 또한, 예를 들어, 중력식 콘크리트 옹벽은 콘크리트 자체의 중량으로 지반의 붕괴를 막아내는 구조로서 비교적 높이가 낮은 경우에 주로 채택된다. 또한, 예를 들어, 특수 철근 콘크리트 옹벽은 옹벽의 높이가 커져서 중력식 콘크리트 옹벽으로는 경제적이지 않거나 벽면을 수직으로 하여 용지(用地)의 이용을 유리하게 할 필요가 있을 경우에 이용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옹벽들은 모두 콘크리트 외관 구조를 가지게 되므로 자연 친화적이지 못하며, 주변 보행자 또는 거주자들에게도 친숙하지 못하다. 게다가, 기존에는 옹벽 시설물을 시설시 따로 배수부를 설치하지 않음으로써 옹벽 시설물의 구조적 안정성이 미흡하고, 우천시 옹벽 시설물로 토압력이 발생하여 흙이 무너짐으로써, 환경이 훼손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이러한 옹벽 시설물의 구조적 안정을 도모함과 아울러 토압력에 대응하기 위한 배수 시설을 구비하는 옹벽 시설물이 요구되고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요구를 해소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시설물을 설치시 배수 기능을 강화하고 주변 환경을 보호함과 아울러 구조적 안정성 및 환경 미관을 강화하고 시설물을 구성하는 블록에 식재 공간을 구비하여 식물이 배변에 뿌리를 내릴 수 있도록 함으로써 시설물 전면이 녹화되어 친환경 시설이 가능한 배수 블록을 이용하여 축조되는 시설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배수 블록은, 식재 가능한 배수 블록으로서, 식생 및 배수가 가능하도록 상부 및 하부를 관통하는 복수의 제 1 관통홀과, 배수가 가능하도록 후방벽에 복수의 제 2 관통홀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배수 블록은, 상기 배수 블록의 양쪽 측벽 상면에는 소정 위치에 돌출부를 가진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배수 블록은, 상기 배수 블록의 양쪽 측벽 하면에는 소정 위치에 오목부를 가진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배수 블록은, 복수의 상기 제 1 관통홀은 상부 방향에서 보았을 때 복수의 행에 맞추어 형성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배수 블록은, 상기 후방벽은 탈부착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배수 블록은, 상기 복수의 행(行)에 맞추어 형성된 복수의 상기 제 1 관통홀 중 하나의 관통홀과 다른 행에 형성된 다른 하나의 관통홀 사이에는 중앙벽이 형성되되, 상기 중앙벽의 상부는 오목부를 가진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배수 블록은, 상기 배수 블록의 후방벽 상부 및 하부는 각각 오목부를 가진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블록식 시설물은, 배수구가 형성된 베이스판과, 상기 베이스판 상에 좌우 방향 또는 상부 방향으로 복수 개의 배수 블록이 축조된 시설물과, 상기 배수 블록의 후방벽과 마주하는 행의 제 1 관통홀에 채워지는 자갈과, 상기 시설물 사이에 일단이 삽입되며 타단은 배면의 토사물에 고정되는 메시 형상의 그리드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블록식 시설물은, 배수구가 형성된 베이스판과, 상기 베이스판 상에 좌우 방향 또는 상부 방향으로 복수 개의 배수 블록이 축조된 시설물과, 상기 배수 블록의 후방벽과 마주하는 행의 제 1 관통홀에 채워지는 자갈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블록식 시설물은, 일단에는 고리 형상의 연결부를 갖고, 타단에는 사각기둥 형상의 지지부를 갖는 복수의 연결 부재를 더 포함하며, 하나의 상기 연결 부재의 연결부가 다른 하나의 상기 연결 부재의 연결부와 연결되되, 하나의 상기 연결 부재의 지지부는 상기 배수 블록의 오목부에 걸리도록 위치하고, 다른 하나의 상기 연결 부재의 지지부는 배면의 토사물에 고정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배수 패널은 전방벽, 후방벽 및 중간벽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전방벽의 소정 영역이 관통되고, 전면에서 보았을 때 상기 전방벽의 관통된 영역으로 보이는 중간벽의 영역에 소정 크기의 제 3 관통홀이 형성되는 배수 패널로서, 식생 및 배수가 가능하도록 상부 및 하부를 관통하는 제 4 관통홀과, 상기 제 3 관통홀과 대응하는 위치에 소정 크기의 제 5 관통홀과, 배수가 가능하도록 후방벽에 복수의 제 6 관통홀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배수 패널은, 상기 전방벽의 소정 영역이 관통된 영역의 상부에 식물이 성장하도록 소정 크기의 제 7 관통홀을 더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배수 패널은, 상기 전방벽에는 태양광을 집광하는 복수의 태양광 셀을 갖는 복수의 태양광 패널을 더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배수 패널은, 상기 전방벽은 상기 중간벽과 힌지 결합됨으로써 태양의 위치에 따라 펼치거나 닫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배수 패널은, 상기 전방벽은, 복수의 태양광 사이에 복수의 센서와, 상기 힌지를 구동시키는 구동부를 더 포함하되, 복수의 상기 센서는 태양의 위치를 센싱하여 상기 구동부를 구동시킴으로써 태양의 위치에 따라 상기 전방벽이 펼치거나 닫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패널식 시설물은, 배수구가 형성된 베이스판과, 상기 베이스판 상에 좌우 방향 또는 상부 방향으로 복수 개의 배수 패널이 축조된 시설물과, 상기 제 4 관통홀 내에 채워지는 자갈과, 일단에는 고리 형상의 연결부 및 상기 연결부에 연결된 지지부를 갖고, 타단에는 나사산을 갖는 복수의 연결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연결 부재의 타단은 상기 후방벽의 제 5 관통홀 및 상기 중간벽의 제 3 관통홀을 관통하여 나사와 결합되고, 상기 연결 부재의 일단은 배면의 토사물에 고정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배수 블록은, ㄷ자 형상의 배수 블록으로서, 상기 배수 블록은 상면을 지지하는 일 측면 및 타 측면에 복수의 관통홀을 가진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배수 블록은, 상기 상면을 지지하는 양 측면의 일 측에 각각 볼록부를 가진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배수 블록은, 상기 상면이 탈부착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블록식 시설물은 차도 및 보도 사이에 좌우 방향으로 복수 개의 배수 블록이 축조된 시설물로서, 상기 시설물의 일 측면에 형성된 복수의 관통홀은 차도에서 흐르는 물을 배수시키고, 상기 시설물의 타 측면에 형성된 복수의 관통홀은 보도에서 흐르는 물을 배수시킨다.
본 발명에 의하면, 시설물을 설치시 배수 기능을 강화하고 주변 환경을 보호함과 아울러 구조적 안정성 및 환경 미관을 강화하고 시설물을 구성하는 블록에 식재 공간을 구비하여 식물이 배변에 뿌리를 내릴 수 있도록 함으로써 시설물 전면이 녹화되어 친환경 시설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제 1 배수 블록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2의 (a)는 본 발명에 따른 제 1 배수 블록의 후방벽 상부에 오목부를 갖는 형상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의 (b)는 본 발명에 따른 제 1 배수 블록의 배수부에 자갈이 채워진 것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제 1 배수 블록의 후방벽이 결합된 결합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제 1 배수 블록의 후방벽이 탈착된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제 1 배수 블록이 축조된 시설물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제 1 배수 블록이 축조된 시설물에서 후방에 그리드 및 연결 부재가 포함된 시설물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제 1 배수 블록이 축조된 시설물에 H빔이 삽입된 시설물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8의 (a)는 본 발명에 따른 배수 패널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전방 사시도이고, 도 8의 (b)는 본 발명에 따른 배수 패널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후방 사시도이며, 도 8의 (c)는 본 발명에 따른 배수 패널에서 제 7 관통홀이 형성된 구성을 나타내는 전방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배수 패널이 축조된 시설물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10의 (a)는 본 발명에 따른 배수 패널에서 태양광을 집광하는 복수의 태양광 셀을 갖는 복수의 태양광 패널이 설치된 전방벽이 중간벽과 힌지 결합하고 이를 구동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배수 패널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0의 (b)는 본 발명에 따른 배수 패널에서 태양광을 집광하는 복수의 태양광 셀을 갖는 복수의 태양광 패널이 설치된 전방벽이 중간벽과 힌지 결합된 배수 패널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11의 (a)는 본 발명에 따른 배수 패널에서 구동부에 의해 전방벽이 펼쳐진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1의 (b)는 본 발명에 따른 배수 패널에서 전방벽이 수동으로 펼쳐진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태양광을 집광하는 복수의 태양광 셀을 갖는 복수의 태양광 패널이 설치된 배수 패널로 축조된 시설물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13의 (a)는 본 발명에 따른 제 2 배수 블록의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3의 (b)는 본 발명에 따른 제 2 배수 블록의 상면이 탈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제 2 배수 블록이 축조된 시설물을 나타내는 사시도.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관련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제 1 배수 블록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의 (a)는 본 발명에 따른 제 1 배수 블록의 후방벽 상부에 오목부를 갖는 형상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2의 (b)는 본 발명에 따른 제 1 배수 블록의 배수부에 자갈이 채워진 것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 도 2의 (a) 및 도 2의 (b)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제 1 배수 블록(100)은, 식재 가능한 배수 블록(100)으로서, 식생 및 배수가 가능하도록 상부 및 하부를 관통하는 복수의 제 1 관통홀(110, 111, 112, 113, …)과, 배수가 가능하도록 후방벽(120)에 복수의 제 2 관통홀(121)을 포함한다.
여기서, 제 1 배수 블록(100)의 양쪽 측벽 상면에는 소정 위치에 돌출부(130)를 갖고, 제 1 배수 블록(100)의 양쪽 측벽 하면에는 소정 위치에 오목부(131)를 가진다.
이와 같이 제 1 배수 블록(100)이 돌출부(130) 및 오목부(131)를 갖는 이유는 추후 설명하겠지만 제 1 배수 블록(100)을 상방으로 쌓기 위함이다.
즉, 제 1 배수 블록(100)의 돌출부(130)는 다른 제 1 배수 블록(100')의 오목부(131)에 삽입된다. 따라서, 제 1 배수 블록(100)을 상방으로 축조하더라도 축조된 시설물은 구조적으로 안정된 구성을 가질 수 있다.
한편, 복수의 제 1 관통홀(110, 111, 112, 113, …)은 상부 방향에서 보았을 때 복수의 행에 맞추어 형성된다.
예컨데, 본 실시예에서는 복수의 제 1 관통홀(110, 111, 112, 113, …)을 2행으로 형성하였다. 여기서, 복수의 행(行)에 맞추어 형성된 복수의 제 1 관통홀(113, 114) 중 하나의 관통홀과 다른 행에 형성된 다른 하나의 관통홀(140) 사이에는 중앙벽이 형성되되, 중앙벽의 상부는 오목부(140)를 가진다
또한, 배수 블록(100)의 후방벽 상부 및 하부는 각각 오목부를 가진다.
이와 같이 형성된 배수 블록(100)의 관통홀(113, 114)에는 자갈(G)이 채워질 수 있다.
이에 의해, 우천시 배수 블록(100)으로 토압력이 발생해도 추후 설명하는 배수 블록(100)으로 축조한 시설물이 토압력을 지지함과 아울러 배수 블록(100)의 후방벽(120)에 형성된 복수의 관통홀(121)을 통해 빗물 등이 배수부 역할을 수행하는 관통홀(113, 114)로 들어오게 되어 천천히 배수된다.
게다가, 관통홀(113, 114) 내에 자갈(G)이 채워져 있기 때문에 배수 블록(100)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뿐만 아니라 배수부로부터 배수구로 빗물 등이 배수시 한꺼번에 배수되지 않고 시간차를 두고 배수시킴으로써 배수구가 막히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다음,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제 1 배수 블록의 후방벽이 결합된 결합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제 1 배수 블록의 후방벽이 탈착된 분해 사시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제 1 배수 블록(200)은 후방벽(220)이 탈부착 가능하다.
이와 같이 후방벽(220)을 탈부착 가능하게 형성하는 이유는 후방벽(220)의 복수의 관통홀(221)을 통해 빗물 등이 통과하면 시간이 흐름에 따라 이끼 등이 낄 수 있기 때문이다. 이때, 후방벽(220)을 제 1 배수 블록(200)으로부터 탈착하여 관통홀(221) 내에 낀 이끼 등을 제거하고 세척 후, 다시 제 1 배수 블록(200)에 부착함으로써, 제 1 배수 블록(200)의 유지보수가 가능하다.
다음,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제 1 배수 블록이 축조된 시설물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제 1 배수 블록이 축조된 시설물에서 후방에 그리드 및 연결 부재가 포함된 시설물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제 1 배수 블록이 축조된 시설물에 H빔이 삽입된 시설물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배수 시설물(1000)은, 배수구가 형성된 베이스판(800)과, 베이스판(800) 상에 좌우 방향 또는 상부 방향으로 배수 블록(100)이 축조된 시설물과, 배수 블록(100)의 후방벽(120)과 마주하는 행의 제 1 관통홀(113, 114)에 채워지는 자갈(G)과, 시설물 사이에 일단이 삽입되며 타단은 배면의 토사물에 고정되는 메시 형상의 그리드(700)를 포함한다.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배수 시설물(1000)은 일단에는 고리 형상의 연결부(640)를 갖고, 타단에는 사각기둥 형상의 지지부(630)를 갖는 복수의 연결 부재(600)를 더 포함한다.
이러한, 하나의 연결 부재(600)의 연결부(640)가 다른 하나의 연결 부재(600')의 연결부(640')와 연결되되, 하나의 연결 부재(600)의 지지부(630)는 배수 블록(100)의 오목부(140)에 걸리도록 위치하고, 다른 하나의 연결 부재(600')의 지지부(630')는 배면의 토사물에 고정된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해, 배수 시설물(1000)은 배면의 토사물에 의해 발생하는 토압력에 대항하여 구조적으로 안정적인 구조를 갖게 된다.
즉, 제 1 관통홀(113, 114)에 채워지는 자갈(G)에 의해 배수 시설물(1000)의 지지력이 강화되고, 복수의 연결 부재(600) 및 복수의 그리드(700)가 배수 시설물(1000)을 지지함과 아울러 배면의 토사물에 고정됨으로써 배수 시설물(1000)의 안정성을 더욱 높일 수 있다.
게다가 비어있는 제 1 관통홀(110, 111, 112) 등에는 H빔 등을 삽입할 수 있다. 물론, 배수 시설물(1000)이 더욱 강하고 안정적인 구성을 갖도록 하기 위함이다.
한편, 베이스판(800)은 배수부 역할을 수행하는 제 1 관통홀(113, 114)과 베이스판(800)의 배수구가 연결되는 유로(도시 생략)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배수 시설물(1000)의 배면의 토사물에서 흘러들어오는 빗물 등은 제 1 관통홀(113, 114)을 타고 흘러내려가 유로를 통해 베이스판(800)의 배수구로 배출된다.
본 발명에 실시예에 따르면, 시설물(1000)을 더욱 강하고 안정적인 구성을 갖도록 하기 위해, 그리드(700)를 설치하거나, 연결 부재(600)를 설치하거나, H빔 등을 제 1 관통홀(110, 111, 112)에 삽입할 수 있다. 즉, H빔이나, 연결 부재(600)나, 그리드(700)를 각각 개별적으로 설치할 수 있다. 예컨데, 시설물(1000)을 안정적인 구조로 설치하기 위해, H빔을 제 1 관통홀(110, 111, 112)에 삽입하여 설치할 수 있다. 또한, 시설물(1000)을 안정적인 구조로 설치하기 위해, 연결 부재(600)를 설치할 수 있다. 한편, 시설물(1000)을 안정적인 구조로 설치하기 위해, 그리드(700)를 설치할 수 있다. 물론, 때에 따라 H빔, 연결 부재(600) 또는 그리드(700) 중 하나 이상을 동시에 설치할 수도 있다. 하지만, 공사 비용 등을 고려하여 개별적으로 설치할 수도 있다.
삭제
다음, 도 8의 (a)는 본 발명에 따른 배수 패널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전방 사시도이고, 도 8의 (b)는 본 발명에 따른 배수 패널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후방 사시도이며, 도 8의 (c)는 본 발명에 따른 배수 패널에서 제 7 관통홀이 형성된 구성을 나타내는 전방 사시도이다.
도 8의 (a) 내지 도 8의 (c)를 참조하면, 전방벽(330), 후방벽(310) 및 중간벽(320)으로 이루어지되, 전방벽(330)의 소정 영역(340)이 관통되고, 전면에서 보았을 때 전방벽(330)의 관통된 소정 영역(340)으로 보이는 중간벽(320)의 영역에 소정 크기의 제 3 관통홀(341)이 형성되는 배수 패널(300)로서, 식생 및 배수가 가능하도록 상부 및 하부를 관통하는 제 4 관통홀(350)과, 제 3 관통홀(341)과 대응하는 위치에 소정 크기의 제 5 관통홀(312)과, 배수가 가능하도록 후방벽(310)에 복수의 제 6 관통홀(311)을 포함한다.
또한, 전방벽의 소정 영역이 관통된 영역의 상부에 식물이 성장하도록 소정 크기의 제 7 관통홀(360)을 더 포함한다.
이와 같이 형성된 배수 패널(300)의 제 4 관통홀(350)에는 자갈(G)이 채워질 수 있다.
이에 의해, 우천시 배수 패널(300)로 토압력이 발생해도 추후 설명하는 배수 패널(300)로 축조한 시설물이 토압력을 지지함과 아울러 배수 패널(300)의 후방벽(310)에 형성된 복수의 제 6 관통홀(311)을 통해 빗물 등이 배수부 역할을 수행하는 제 4 관통홀(350)로 들어오게 되어 천천히 배수된다.
게다가, 제 4 관통홀(350) 내에 자갈(G)이 채워져 있기 때문에 배수 블록(300)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뿐만 아니라 배수부로부터 배수구로 빗물 등이 배수시 한꺼번에 배수되지 않고 시간차를 두고 배수시킴으로써 배수구가 막히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다음,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배수 패널이 축조된 시설물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배수 패널(300)이 설치된 배수 시설물(2000)은 배수구가 형성된 베이스판(800)과, 베이스판(800) 상에 좌우 방향으로 복수 개의 배수 패널(300)이 축조된 시설물과, 제 4 관통홀(350) 내에 채워지는 자갈(G)과, 일단에는 고리 형상의 연결부(710) 및 연결부(710)에 연결된 지지부(720)를 갖고, 타단에는 나사산을 갖는 연결 부재(700)를 포함한다.
여기서, 연결 부재(700)의 타단은 후방벽(310)의 제 5 관통홀(312) 및 중간벽(320)의 제 3 관통홀(341)을 관통하여 나사와 결합되고, 연결 부재(700)의 일단은 배면의 토사물에 고정된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해, 배수 시설물(2000)은 배면의 토사물에 의해 발생하는 토압력에 대항하여 구조적으로 안정적인 구조를 갖게 된다.
즉, 제 4 관통홀(350)에 채워지는 자갈(G)에 의해 배수 시설물(2000)의 지지력이 강화되고, 복수의 연결 부재(700)가 배수 시설물(2000)을 지지함과 아울러 배면의 토사물에 고정됨으로써 배수 시설물(2000)의 안정성을 더욱 높일 수 있다.
한편, 베이스판(800)은 배수부 역할을 수행하는 제 4 관통홀(350)과 베이스판(800)의 배수구가 연결되는 유로(도시 생략)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배수 시설물(2000)의 배면의 토사물에서 흘러들어오는 빗물 등은 제 4 관통홀(350)을 타고 흘러내려가 유로를 통해 베이스판(800)의 배수구로 배출된다.
다음, 도 10의 (a)는 본 발명에 따른 배수 패널에서 태양광을 집광하는 복수의 태양광 셀을 갖는 복수의 태양광 패널이 설치된 전방벽이 중간벽과 힌지 결합하고 이를 구동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배수 패널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0의 (b)는 본 발명에 따른 배수 패널에서 태양광을 집광하는 복수의 태양광 셀을 갖는 복수의 태양광 패널이 설치된 전방벽이 중간벽과 힌지 결합된 배수 패널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11의 (a)는 본 발명에 따른 배수 패널에서 구동부에 의해 전방벽이 펼쳐진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1의 (b)는 본 발명에 따른 배수 패널에서 전방벽이 수동으로 펼쳐진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0의 (a) 및 (b)와, 도 11의 (a) 및 (b)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배수 패널(300)은, 전방벽(330)에 태양광을 집광하는 복수의 태양광 셀(440)을 갖는 복수의 태양광 패널(450)을 더 포함한다.
여기서, 전방벽(330)은 중간벽(320)과 힌지(410) 결합됨으로써 태양의 위치에 따라 펼치거나 닫을 수 있다.
한편으로, 전방벽(330)은, 복수의 태양광 사이에 복수의 센서(430)와, 힌지(410)를 구동시키는 구동부(420)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복수의 센서(430)는 태양의 위치를 센싱하여 구동부(420)를 구동시킴으로써 태양의 위치에 따라 전방벽(330)이 펼치거나 닫히도록 할 수 있다.
우리나라 시설물 중에는 옹벽용으로 이용되는 시설물이 무수히 많다. 이런 시설물들에 태양광을 집광시키는 복수의 태양광 셀(440)을 갖는 복수의 태양광 패널(450)을 설치할 경우, 친환경적 요소를 갖는 태양광에 의한 전기를 생산할 수 있다.
게다가, 태양광을 더욱 잘 집속시키기 위해서는 태양의 위치에 따라 태양광 패널(450)의 방향을 조절할 필요가 있다. 즉, 태양은 남중 고도(태양의 위치와 지평면이 수직인 고도)에 위치할 때, 많은 양의 태양광을 가장 잘 집속시킬 수 있다.
따라서, 태양광 패널(450)의 방향을 조절하기 위해, 전방벽(330)은 중간벽(320)과 힌지(410) 결합되어 있다. 이와 같이 전방벽(330)과 중간벽(320)이 힌지(410) 결합되어 있지만, 수동으로 전방벽(330)의 방향을 조절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복수의 태양광 사이에 복수의 센서(430)와, 힌지(410)를 구동시키는 구동부(420)를 더 포함하고 있으며, 이러한 복수의 센서(430)는 태양의 위치를 센싱하여 태양의 남중 고도 위치에 따라 구동부(420)를 적절하게 구동시키도록 한다.
이에 의해 태양의 위치에 따라 전방벽(330)이 펼쳐지거나 닫히게 된다.
즉, 많은 양의 태양광을 가장 잘 집속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다음,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태양광을 집광하는 복수의 태양광 셀을 갖는 복수의 태양광 패널이 설치된 배수 패널로 축조된 시설물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배수 시설물(3000)은, 배수구가 형성된 베이스판(800)과, 베이스판(800) 상에 좌우 방향으로 복수 개의 배수 패널(300)이 축조된 시설물과, 제 4 관통홀 내에 채워지는 자갈(G)과, 일단에는 고리 형상의 연결부(710) 및 연결부(710)에 연결된 지지부(720)를 갖고, 타단에는 나사산을 갖는 연결 부재(700)를 포함한다.
여기서, 연결 부재(700)의 타단은 후방벽(310)의 제 5 관통홀(312) 및 중간벽(320)의 제 3 관통홀(341)을 관통하여 나사와 결합되고, 연결 부재(700)의 일단은 배면의 토사물에 고정된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해, 배수 시설물(2000)은 배면의 토사물에 의해 발생하는 토압력에 대항하여 구조적으로 안정적인 구조를 갖게 된다.
즉, 제 4 관통홀(350)에 채워지는 자갈(G)에 의해 배수 시설물(2000)의 지지력이 강화되고, 복수의 연결 부재(700)가 배수 시설물(2000)을 지지함과 아울러 배면의 토사물에 고정됨으로써 배수 시설물(2000)의 안정성을 더욱 높일 수 있다.
한편, 베이스판(800)은 배수부 역할을 수행하는 제 4 관통홀(350)과 베이스판(800)의 배수구가 연결되는 유로(도시 생략)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배수 시설물(2000)의 배면의 토사물에서 흘러들어오는 빗물 등은 제 4 관통홀(350)을 타고 흘러내려가 유로를 통해 베이스판(800)의 배수구로 배출된다.
또한, 태양광 패널(450)의 방향을 조절하기 위해, 전방벽(330)은 중간벽(320)과 힌지(410) 결합되어 있다. 이와 같이 전방벽(330)과 중간벽(320)이 힌지(410) 결합되어 있지만, 수동으로 전방벽(330)의 방향을 조절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복수의 태양광 사이에 복수의 센서(430)와, 힌지(410)를 구동시키는 구동부(420)를 더 포함하고 있으며, 이러한 복수의 센서(430)는 태양의 위치를 센싱하여 태양의 남중 고도 위치에 따라 구동부(420)를 적절하게 구동시키도록 한다.
이에 의해 태양의 위치에 따라 전방벽(330)이 펼쳐지거나 닫히게 된다.
즉, 많은 양의 태양광을 가장 잘 집속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삭제
다음, 도 13의 (a)는 본 발명에 따른 제 2 배수 블록의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3의 (b)는 본 발명에 따른 제 2 배수 블록의 상면이 탈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제 2 배수 블록이 축조된 시설물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제 2 배수 블록(900)은, ㄷ자 형상의 배수 블록(900)으로서, 상면(920)을 지지하는 일 측면(910) 및 타 측면(930)에 복수의 관통홀(911, 912)을 가진다.
여기서, 제 2 배수 블록(900)은, 상면(920)을 지지하는 양 측면(910, 930)의 양 단에 각각 볼록부(950)를 더 포함한다. 이러한 볼록부(950)는 배수 블록의 내부를 콘크리트로 채우면 콘크리트가 외부로 나오지 못하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도 있다.
게다가, 제 2 배수 블록(900)은, 상면(920)이 탈부착 가능하다.
이와 같이 상면(920)을 탈부착 가능하게 형성하는 이유는 차도에서 흐르는 물을 배수시키는 복수의 관통홀(912)과, 보도에서 흐르는 물을 배수시키는 복수의 관통홀(911)은 빗물 등이 통과하면 시간이 흐름에 따라 이끼 등이 낄 수 있기 때문이다. 이때, 상면(920)을 제 2 배수 블록(900)으로부터 탈착하여 관통홀(911, 912) 내에 낀 이끼 등을 제거하고 세척 후, 다시 제 2 배수 블록(200)에 부착함으로써, 제 2 배수 블록(200)의 유지보수가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배수 시설물(4000)은, 차도 및 보도(R) 사이에 좌우 방향으로 복수 개의 배수 블록(900)이 축조된 시설물로서, 시설물의 일 측면에 형성된 복수의 관통홀(912)은 차도에서 흐르는 물을 배수시키고, 시설물의 타 측면에 형성된 복수의 관통홀(911)은 보도에서 흐르는 물을 배수시키게 된다.
이러한 구조에 의해, 차도나 보도(R)에 빗물 등이 고이지 않고 배수 블록(900)의 관통홀(911, 912)을 통해 하수구로 배수된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 배수 블록
110, 111, 112, 113, … : 제 1 관통홀
120 : 후방벽
121 : 제 2 관통홀
130 : 돌출부
131 : 오목부
300 : 배수 블록
310 : 후방벽
320 : 중간벽
330 : 전방벽
410 : 힌지
420 : 구동부
430 : 센서
440 : 태양광 셀
450 : 태양광 패널
600 : 연결 부재
620 : 지지부
640 : 연결부
700 : 그리드
800 : 베이스 부재

Claims (20)

  1. 배수블록의 몸체에 식생 및 배수가 가능하도록 상부 및 하부를 관통하는 복수의 제 1 관통홀과, 배수가 가능하도록 후방벽에 복수의 제 2 관통홀을 형성하고, 상기 배수 블록의 양쪽 측벽 상면에는 소정 위치에 돌출부가 구비되고, 상기 배수 블록의 양쪽 측벽 하면에는 소정 위치에 오목부가 구비되며, 상기 제 1 관통홀의 각각에는 상부 방향에서 보았을 때 복수의 행에 맞추어 형성되고, 상기 후방벽은 탈부착구조로 형성되며,
    상기 복수의 제 1 관통홀 중 하나의 관통홀과 다른 행에 형성된 다른 하나의 관통홀 사이에는 중앙벽이 형성하되, 상기 중앙벽의 상부는 오목부를 갖도록 형성하고, 상기 배수 블록의 후방벽 상부 및 하부는 각각 오목부를 갖도록 형성하고, 상기 배수 블록의 양쪽 하면에 형성된 오목부에 또다른 배수 블록의 양쪽 측벽 상면에 형성된 돌출부를 결합시켜 측조하는 식재 가능한 배수 블록을 구비하고;
    상기와 같은 배수 블록의 다수개를 사용하여 좌우 방향 또는 상부 방향으로 결합시켜 시설물을 축조하되: 상기 시설물에 배수구가 형성된 베이스판과, 상기 배수 블록의 후방벽과 마주하는 행의 제 1 관통홀에 채워지는 자갈과, 상기 시설물 사이에 일단이 삽입되며 타단은 배면의 토사물에 고정되는 메시 형상의 그리드를 형성하며;
    상기 배수 블록의 오목부에 일측 지지부가 걸리도록 위치시키고, 다른측의 지지부가 배면의 토사물에 고정되는 연결 부재의 연결부가 또 다른 하나의 연결 부재의 연결부와 연결하도록 형성하되, 상기 연결부재는 고리 형상의 연결부가 일단부에 형성되고, 그 타단에는 사각기둥 형상의 지지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 블록을 이용하여 축조되는 시설물.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KR1020160114005A 2016-09-05 2016-09-05 배수 블록을 이용하여 축조되는 시설물 KR1018109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4005A KR101810912B1 (ko) 2016-09-05 2016-09-05 배수 블록을 이용하여 축조되는 시설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4005A KR101810912B1 (ko) 2016-09-05 2016-09-05 배수 블록을 이용하여 축조되는 시설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10912B1 true KR101810912B1 (ko) 2018-01-08

Family

ID=610034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14005A KR101810912B1 (ko) 2016-09-05 2016-09-05 배수 블록을 이용하여 축조되는 시설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1091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22294A (ko) * 2018-04-20 2019-10-30 주식회사동림이엔지 식생 및 조경용 프리캐스트 패널 옹벽 구조물
KR102139025B1 (ko) * 2020-03-11 2020-07-28 공학봉 유도 크랙 보강토 블럭을 축조하여 형성된 유도 크랙 보강토 옹벽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45212A (ja) * 1998-07-28 2000-02-15 Ibigawa Concrete Kogyo Kk 境界ブロック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45212A (ja) * 1998-07-28 2000-02-15 Ibigawa Concrete Kogyo Kk 境界ブロック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22294A (ko) * 2018-04-20 2019-10-30 주식회사동림이엔지 식생 및 조경용 프리캐스트 패널 옹벽 구조물
KR102155824B1 (ko) * 2018-04-20 2020-09-14 주식회사동림이엔지 식생 및 조경용 프리캐스트 패널 옹벽 구조물
KR102139025B1 (ko) * 2020-03-11 2020-07-28 공학봉 유도 크랙 보강토 블럭을 축조하여 형성된 유도 크랙 보강토 옹벽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25329B1 (ko) 조경 방음 터널
KR101810912B1 (ko) 배수 블록을 이용하여 축조되는 시설물
KR101024071B1 (ko) 방풍벽
CN209162849U (zh) 一种具备稳固坡底功能的复合型高填方边坡排水装置
CN210482778U (zh) 一种用于建筑物顶面绿化的建筑结构
CN209099372U (zh) 一种坡面防护及绿化装置
KR100663091B1 (ko) 도로의 친환경적인 옹벽
CN216339997U (zh) 一种自动调节排水的雨水篦子
KR100523965B1 (ko) 건축용 조경블럭
KR102190616B1 (ko) 인조잔디용 배수판
CN212956887U (zh) 土木工程道路排水装置
KR101788623B1 (ko) 리모델링으로 홍수 및 토석류 조절기능을 강화한 사방댐
KR101582865B1 (ko) 지반 토사 유실방지를 위한 다기능 식생프레임 구조체
CN210887525U (zh) 一种山坡道路两侧的预制型排水沟
JP3165310U (ja) 防風雪等の孔開きフェンス
KR100865518B1 (ko) 차량 충격 흡수를 위한 도로 옹벽의 친환경 조경물
KR101200845B1 (ko) 실외 이동로가 부설된 고층건물 구조
KR100593186B1 (ko) 친환경적 옹벽
KR200408191Y1 (ko) 사면안정용 방틀형 조립블록
CN215715875U (zh) 一种地下车库顶板定向排水盲沟构造
KR102238975B1 (ko) 자연사면 복원 및 보강을 위한 테라스형 식생블록
KR100562225B1 (ko) 비탈면 토사유실 방지 구조물
CN213709368U (zh) 一种可更换的组合式生态挡土墙
WO2023065647A1 (zh) 光电型透水铺面地下储水自动化系统
CN216238906U (zh) 一种高边坡太阳能板雨水收集过滤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