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79347B1 - 기판 턴오버 머신 조립체 및 기판 턴오버 머신 - Google Patents

기판 턴오버 머신 조립체 및 기판 턴오버 머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79347B1
KR102679347B1 KR1020207026164A KR20207026164A KR102679347B1 KR 102679347 B1 KR102679347 B1 KR 102679347B1 KR 1020207026164 A KR1020207026164 A KR 1020207026164A KR 20207026164 A KR20207026164 A KR 20207026164A KR 102679347 B1 KR102679347 B1 KR 1026793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veyor belt
upper conveyor
pair
substrate
circuit boar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261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18484A (ko
Inventor
주오후아 리우
Original Assignee
일리노이즈 툴 워크스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CN201810152268.5A external-priority patent/CN110143423B/zh
Application filed by 일리노이즈 툴 워크스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일리노이즈 툴 워크스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2001184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184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793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79347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5/00Conveyors having endless load-conveying surfaces, i.e. belts and like continuous members, to which tractive effort is transmitted by means other than endless driving elements of similar configuration
    • B65G15/10Conveyors having endless load-conveying surfaces, i.e. belts and like continuous members, to which tractive effort is transmitted by means other than endless driving elements of similar configuration comprising two or more co-operating endless surfaces with parallel longitudinal axes, or a multiplicity of parallel elements, e.g. ropes defining an endless surface
    • B65G15/12Conveyors having endless load-conveying surfaces, i.e. belts and like continuous members, to which tractive effort is transmitted by means other than endless driving elements of similar configuration comprising two or more co-operating endless surfaces with parallel longitudinal axes, or a multiplicity of parallel elements, e.g. ropes defining an endless surface with two or more endless belts
    • B65G15/14Conveyors having endless load-conveying surfaces, i.e. belts and like continuous members, to which tractive effort is transmitted by means other than endless driving elements of similar configuration comprising two or more co-operating endless surfaces with parallel longitudinal axes, or a multiplicity of parallel elements, e.g. ropes defining an endless surface with two or more endless belts the load being conveyed between the bel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22Devices influencing the relative position or the attitude of articles during transit by conveyors
    • B65G47/24Devices influencing the relative position or the attitude of articles during transit by conveyors orientating the articles
    • B65G47/248Devices influencing the relative position or the attitude of articles during transit by conveyors orientating the articles by turning over or inverting them
    • B65G47/252Devices influencing the relative position or the attitude of articles during transit by conveyors orientating the articles by turning over or inverting them about an axis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the conveying dir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74Feeding, transfer, or discharging devices of particular kinds or types
    • B65G47/88Separating or stopping elements, e.g. fingers
    • B65G47/8807Separating or stopping elements, e.g. fingers with one stop
    • B65G47/8815Reciprocating stop, moving up or down in the path of the art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65G2201/0214Articles of special size, shape or weigh
    • B65G2201/022Fla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5/00Stopping elements used in conveyors to stop articles or arrays of articles
    • B65G2205/04Stopping elements used in conveyors to stop articles or arrays of articles where the stop device is not adapt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812/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kind or type of conveyors
    • B65G2812/01Conveyors composed of several types of conveyors
    • B65G2812/016Conveyors composed of several types of conveyors for conveying material by co-operating units in tandem
    • B65G2812/018Conveyors composed of several types of conveyors for conveying material by co-operating units in tandem between conveyor se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812/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kind or type of conveyors
    • B65G2812/02Belt or chain conveyors
    • B65G2812/02128Belt conveyors
    • B65G2812/02217Belt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configuration

Abstract

본 출원은 환형 상부 컨베이어 벨트 쌍 및 환형 하부 컨베이어 벨트 쌍을 포함하는 기판 턴오버 머신 조립체( board turnover machine assembly)를 제공한다. 환형 상부 컨베이어 벨트 쌍은 서로 대향 배치된 제1 측부 상부 컨베이어 벨트 및 제2 측부 상부 컨베이어 벨트를 포함하고, 환형 하부 컨베이어 벨트 쌍은 서로 대향 배치된 제1 측부 하부 컨베이어 벨트 및 제2 측부 하부 컨베이어 벨트를 포함하며, 제1 측부 상부 컨베이어 벨트와 제1 측부 하부 컨베이어 벨트 사이에 제1 측부 이송 채널이 형성되고, 제2 측부 상부 컨베이어 벨트와 제2 측부 하부 컨베이어 벨트 사이에 제2 측부 이송 채널이 형성되고, 제1 측부 상부 컨베이어 벨트의 외측부에 제1 측부 이송 채널의 폭 방향으로 오목한 구조가 마련되며, 제2 측부 상부 컨베이어 벨트의 외측부에 제2 측부 이송 채널의 폭 방향으로 오목한 구조가 마련되는 것인 기판 턴오버 머신 조립체가 제공된다. 오목한 구조는 안내 스트립의 측부 에지를 배치하는 데 사용되고, 이에 의해 회로 기판의 클램핑 프로세스에서 회로 기판이 안내 스트립과 안내 스트립 장착 슬롯 사이의 갭 내에 재밍(jamming)되지 않아, 회로 기판의 재밍을 피할 것이다.

Description

기판 턴오버 머신 조립체 및 기판 턴오버 머신
본 출원은 기판 턴오버 머신 및 그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회로 기판 가공에서 사용되는 회로 기판을 턴오버(turn over)하는 기판 턴오버 머신 및 그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회로 기판 가공을 위한 프로세스에 있어서, 일반적으로 회로 기판을 이중 표면 가공을 받게 하는 것, 즉 정면측(front side) 및 배면측(reverse side)을 가공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회로 기판 가공을 위한 자동화 생산 라인에서는, 가공되는 위치에 회로 기판을 전달하기 전에 가공 대상 회로 기판면을 확인하고 가공 대상 회로 기판면을 적절한 자세로 조정한 다음, 회로 기판을 가공되는 위치로 보낸다. 회로 기판이 가공되는 위치로 진입하기 전에, 기판 턴오버 머신이 회로 기판을 가공 대상면이 위로 오도록 뒤집는다. 이송 장치에 의해 기판 턴오버 머신으로 이송된 후, 회로 기판은 클램핑된 다음, 턴오버되고, 그 후 기판 턴오버 머신에 의해 가공되는 위치로 보내진다.
회로 기판을 이송하는 프로세스에서, 안내 스트립이 종래의 채널의 2개 측부 상에 마련되고, 회로 기판을 이송 방향으로 안내하는 데 사용된다. 회로 기판이 턴오버되어야만 하는 경우, 우선 기판 클램핑 조립체 모두가 회로 기판을 컨베이어 벨트와 기판 클램핑 조립체 사이에서 클램핑한 다음, 턴오버가 수행된다. 클램핑 프로세스에서, 회로 기판의 에지가 안내 스트립과 안내 스트립 장착 슬롯 사이의 갭에 쉽게 진입하고 이것은 회로 기판의 이송에 영향을 준다. 본 출원의 해결책은 이러한 문제를 개선하는 것이다.
회로 기판의 재밍(jamming)을 줄이기 위해, 본 출원은 기판 턴오버 머신 조립체로서,
서로 대향 배치된 제1 측부 상부 컨베이어 벨트 및 제2 측부 상부 컨베이어 벨트를 포함하는 환형 상부 컨베이어 벨트 쌍; 및
서로 대향 배치된 제1 측부 하부 컨베이어 벨트 및 제2 측부 하부 컨베이어 벨트를 포함하는 환형 하부 컨베이어 벨트 쌍
을 포함하고, 제1 측부 이송 채널이 제1 측부 상부 컨베이어 벨트와 제1 측부 하부 컨베이어 벨트 사이에 형성되고, 제2 측부 이송 채널이 제2 측부 상부 컨베이어 벨트와 제2 측부 하부 컨베이어 벨트 사이에 형성되며, 제1 측부 이송 채널과 제2 측부 이송 채널은 회로 기판을 이송하기 위해 사용 가능하고,
제1 측부 상부 컨베이어 벨트의 외측부에서 제1 측부 이송 채널의 폭 방향으로 오목한 구조가 마련되며,
제2 측부 상부 컨베이어 벨트의 외측부에서 제2 측부 이송 채널의 폭 방향으로 오목한 구조가 마련되는 것인 기판 턴오버 머신 조립체가 제공된다.
전술한 기판 턴오버 머신 조립체는
안내 스트립으로서, 상기 오목한 구조가 이 안내 스트립의 측부 에지를 배치하는 데 사용되는 것인 안내 스트립;
환형 상부 컨베이어 벨트 쌍과 환형 하부 컨베이어 벨트 쌍의 링 형상 외측에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의 클램핑 플레이트; 및
환형 상부 컨베이어 벨트 쌍, 환형 하부 컨베이어 벨트 쌍 및 클램핑 플레이트가 배치되는 턴오버 기구
를 더 포함하고, 적어도 하나의 클램핑 플레이트 각각은 회로 기판을 대응하는 클램핑 플레이트와, 제1 측부 상부 컨베이어 벨트 및 제2 측부 상부 컨베이어 벨트 중 대응하는 어느 하나 사이에 클램핑하기 위해, 제1 측부 이송 채널 또는 제2 측부 이송 채널에 거의 수직한 방향으로 제1 측부 이송 채널 또는 제2 측부 이송 채널을 향해 또는 이로부터 멀어지게 앞뒤로 이동 가능하며,
턴오버 기구는 환형 상부 컨베이어 벨트 쌍, 환형 하부 컨베이어 벨트 쌍 및 클램핑 플레이트를 턴오버시키도록 구동할 수 있고, 클램핑 플레이트는 기판 턴오버 머신 조립체에 의한 턴오버 프로세스 시에 회로 기판을, 한편의 환형 상부 컨베이어 벨트 쌍과 다른 한편의 클램핑 플레이트 사이에서 클램핑된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전술한 기판 턴오버 머신 조립체에서는, 안내 스트립의 외면에 내마모성 코팅이 마련되거나, 안내 스트립이 내마모성 재료로 형성된다.
전술한 기판 턴오버 머신 조립체에서는, 환형 상부 컨베이어 벨트 쌍 또는 환형 하부 컨베이어 벨트 쌍이 회로 기판을 이송하고 있을 때에 클램핑 플레이트가 환형 상부 컨베이어 벨트 쌍이나 환형 하부 컨베이어 벨트 쌍과 접촉하지 않는다.
전술한 기판 턴오버 머신 조립체에서는, 제1 측부 상부 컨베이어 벨트와 제1 측부 하부 컨베이어 벨트의 내측 에지들은 제1 측부 이송 채널의 폭 방향으로 엇갈리게 배치되고, 제2 측부 상부 컨베이어 벨트와 제2 측부 하부 컨베이어 벨트의 내측 에지들은 제2 측부 이송 채널의 폭 방향으로 엇갈리게 배치되며, 이에 의해 회로 기판이 한편의 제1 측부 상부 컨베이어 벨트 및 제2 측부 상부 컨베이어 벨트와, 다른 한편의 클램핑 플레이트 사이에서 클램핑될 수 있다.
전술한 기판 턴오버 머신 조립체에서는, 제1 측부 상부 컨베이어 벨트와 제1 측부 하부 컨베이어 벨트의 내측 에지들은 0.5 mm 내지 5 mm 범위의 거리를 두고 엇갈리게 배치되고; 제2 측부 상부 컨베이어 벨트와 제2 측부 하부 컨베이어 벨트의 내측 에지들은 0.5 mm 내지 5 mm 범위의 거리를 두고 엇갈리게 배치된다.
전술한 기판 턴오버 머신 조립체는 기판 정지 배리어 플레이트 쌍과 기판 정지 구동 구성요소 쌍을 구비하는 기판 정지 조립체 쌍을 더 포함하고, 기판 정지 배리어 플레이트 쌍의 각각의 기판 정지 배리어 플레이트는 제1 측부 이송 채널 또는 제2 측부 이송 채널에 수직한 방향으로 상하 이동 가능하고, 이에 따라 물체가 제1 측부 이송 채널 및 제2 측부 이송 채널에서 이송되는 것을 차단 및 해제할 수 있으며, 기판 정지 구동 구성요소 쌍의 각각의 기판 정지 구동 구성요소는 대응하는 기판 정지 배리어 플레이트를 구동하는 데 사용되고, 기판 정지 구동 구성요소 쌍은 제1 측부 상부 컨베이어 벨트와 제2 측부 상부 컨베이어 벨트 아래에 위치한다.
전술한 기판 턴오버 머신 조립체에서는, 각각의 기판 정지 구동 구성요소와 각각의 대응하는 기판 정지 배리어 플레이트의 접촉 부분들이 환형 상부 컨베이어 벨트 쌍과 환형 하부 컨베이어 벨트 쌍 아래에 위치한다.
전술한 기판 턴오버 머신 조립체에서는, 기판 턴오버 머신 조립체가, 클램핑 플레이트가 장착되고, 클램핑 플레이트를 제1 측부 이송 채널 또는 제2 측부 이송 채널에 거의 수직한 방향으로 앞뒤로 이동하도록 구동하는 클램핑 플레이트 구동 조립체를 더 포함한다.
본 출원은 또한 전술한 기판 턴오버 머신 조립체를 포함하는 기판 턴오버 머신을 제공한다.
본 출원의 안내 스트립 장착 슬롯은 오목한 구조를 갖고, 안내 스트립의 측부 에지가 이 슬롯 내부에 배치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안내 스트립은 회로 기판의 클램핑 프로세스에서 회로 기판이 안내 스트립과 안내 스트립 장착 슬롯 사이의 갭 내에 재밍되지 않도록 하여, 회로 기판의 재밍 - 회로 기판의 이송에 영향을 줌 - 을 피할 것이다.
첨부도면을 참고하여 아래의 상세한 설명을 읽어봄으로써, 본 출원의 이들 피쳐(feature) 및 장점과 다른 피쳐 및 장점이 보다 양호하게 이해될 것이다 모든 첨부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기판 턴오버 머신의 3차원 구조의 개략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기판 턴오버 머신의 트랙 조립체 쌍의 3차원 구조의 개략도이다.
도 3a는 도 2에 도시한 트랙 조립체 쌍의 일측부 상에 있는 트랙 조립체의 3차원 구조의 개략도이다.
도 3b는 도 3a에 도시한 트랙 조립체의 분해도이다.
도 4a는 회로 기판이 클램핑되지 않은 상태인, 도 2의 A-A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4b는 회로 기판이 클램핑된 상태인, 도 2의 A-A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4c는 도 4a의 부분 B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4d는 도 4b의 부분 C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5a는 일측부 상의 트랙 조립체와, 안내 스트립의 분해도이다.
도 5b는 도 5a에 도시한 일측부 상의 안내 스트립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6a는 기판 정지 조립체의 3차원 구조의 개략도이다.
도 6b는 도 6a의 기판 정지 조립체의 분해도이다.
도 7은 기판 정지 조립체의 장착 위치를 보여주는, 도 3a에 도시한 일측부 상의 트랙 조립체의 다른 측의 개략도이다.
아래에서는, 본 출원의 다양한 특정 실시예가 첨부도면 - 본 설명의 일부를 형성함 - 을 참고하여 설명된다. 본 출원에서는, “전방”, “후방”, “상”, “하”, “좌”, “우” 등과 같은 방향을 나타내는 용어가 본 출원의 다양한 예시적인 구조 부품 및 요소를 기술하는 데 사용되지만, 이들 용어는 여기에서는 단지 설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이고, 도면에 도시한 예시적인 방향에 기초하여 결정된다는 점을 이해해야만 한다. 본 출원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상이한 방향을 따라 구성될 수 있기 때문에, 방향을 나타내는 이들 용어는 단지 예시적인 것일 뿐, 제한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서는 안 된다. 아래의 도면에서는 가능하다면,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유사한 구성요소는 유사한 참조부호를 사용한다.
도 1은 본 출원의 기판 턴오버 머신(100)의 3차원 구조의 개략도이다. 기판 턴오버 머신(100)은 회로 기판 가공 디바이스(예컨대, 접착제 분배기)와 협동하여 작동하는 구성요소로서 기능할 수 있고, 이송 장치(도면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음)에 의해 이송되는 회로 기판(109)을 수용하고, 회로 기판(109)의 가공 대상 면을 적절한 자세로 조정하며, 그 후 회로 기판을 회로 기판 가공 디바이스 내로 보내는 데 사용된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판 턴오버 머신(100)은 트랙 조립체(101), 지지 기구(103) 및 턴오버 기구(105)를 포함한다. 기판 턴오버 머신(100)은 제어 시스템(도면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음)에 접속되고, 제어 시스템에 의해 생성되는 제어 명령을 수신하며, 대응하는 공정을 수행한다. 트랙 조립체(101)는 지지 기구(103)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고, 이에 의해 트랙 조립체(101)는 턴오버 기구(105)에 의해 구동될 수 있고, 이에 따라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축(X)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트랙 조립체(101)는 이송 장치에 의해 이동되는 회로 기판(109)을 수용하고, 회로 기판(109)을 회로 기판 가공 디바이스로 이송하는 데 사용된다. 트랙 조립체(101)는 또한, 회로 기판(109)을 턴오버시켜야 하는 경우에 회로 기판(109)을 내부에 클램핑하는 데 사용되고, 이에 따라 회로 기판(109)의 가공 대상 면을 적절한 자세로 조정하기 위해 회로 기판(109)이 트랙 조립체(101)와 함께 회전하게 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트랙 조립체(101)의 3차원 구조의 개략도이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트랙 조립체(101)는 구조적으로 유사한 제1 측부 트랙 조립체(210.1)와 제2 측부 트랙 조립체(210.2)를 포함한다. 제1 측부 트랙 조립체(210.1)와 제2 측부 트랙 조립체(210.2)는 트랙 지지 구조(205)를 통해 연결되고 트랙 지지 구조체(205)는 또한, 상이한 폭의 기판 회로(109)들을 조절하기 위해 제1 측부 트랙 조립체(210.1)와 제2 측부 트랙 조립체(210.2) 사이의 거리를 조정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제1 측부 트랙 조립체(210.1)는 지지 구조(270.1)와, 이 지지 구조(270.1)의 내측부 상에 배치되는 환형 제1 측부 상부 컨베이어 벨트(201.1) 및 환형 제1 측부 하부 컨베이어 벨트(202.1)를 포함하고 회로 기판(109)을 이송하기 위한 제1 측부 이송 채널(211)이 제1 측부 상부 컨베이어 벨트(201.1)와 제1 측부 하부 컨베이어 벨트(202.1) 사이에 형성된다. 제1 측부 트랙 조립체(210.2)는 환형 제1 측부 상부 컨베이어 벨트(201.2) 및 환형 제1 측부 하부 컨베이어 벨트(202.2)를 포함하고 회로 기판(109)을 이송하기 위한 제1 측부 이송 채널(212)이 제1 측부 상부 컨베이어 벨트(201.2)와 제1 측부 하부 컨베이어 벨트(202.2) 사이에 형성된다. 회로 기판(109)은 제1 측부 이송 채널(211)과 제2 측부 이송 채널(212) 사이에 배치되고, 이에 의해 회로 기판(109)의 2개의 대향 측부 상의 에지가 제1 측부 이송 채널(211)과 제2 측부 이송 채널(212)에 각각 진입한다. 더욱이, 트랙 조립체(101)가 턴오버할 수 있기 때문에, 회로 기판(109)은 제1 측부 상부 컨베이어 벨트(201.1)와 제2 측부 상부 컨베이어 벨트(201.2)에 의해 형성되는 상부 컨베이어 벨트 쌍 또는 제1 측부 하부 컨베이어 벨트(202.1)와 제2 측부 하부 컨베이어 벨트(202.2)에 의해 형성되는 하부 컨베이어 벨트 쌍에 의해 이송될 수 있다. 회로 기판(109)이 이송되는 이송 방향은 상부 컨베이어 벨트 쌍 또는 하부 컨베이어 벨트 쌍의 회전 방향을 제어하는 것에 의해 제어될 수 있고 이송 방향은 제1 측부 이송 채널(211) 및 제2 측부 이송 채널(212)의 전방 제1 이송 방향(D1) 또는 후퇴 제2 이송 방향(D2)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이송 방향이 결정되면, 제1 측부 이송 채널(211)과 제2 측부 이송 채널(212) 각각은 유입구와 유출구를 갖고, 이송 방향이 제1 이송 방향(D1)과 제2 이송 방향(D2) 사이에서 교체되면 대응하는 유입구 및 유출구도 또한 교체될 것이다. 회로 기판(109)은 상부 컨베이어 벨트 쌍 또는 하부 컨베이어 벨트 쌍의 회전에 의해 구동되고 상부 컨베이어 벨트 쌍 또는 하부 컨베이어 벨트 쌍이 회전하기 시작하면, 회로 기판(109)과, 이 회로 기판과 접촉하는 상부 컨베이어 벨트 쌍 또는 하부 컨베이어 벨트 쌍 사이에 마찰이 발생하고, 이에 따라 회로 기판(109)이 제1 이송 방향(D1)이나 제2 이송 방향(D2)으로 이동하도록 구동된다.
도 2에 또한 도시한 바와 같이, 트랙 조립체(101)는 트랙 조립체(101)가 턴오버되기 전에 회로 기판(109)을 클램핑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기판 클램핑 조립체(230)를 포함한다. 도 2에 도시한 실시예에서, 트랙 조립체(101)는, 제1 측부 하부 컨베이어 벨트(202.1)와 제2 측부 하부 컨베이어 벨트(202.2) 아래에 각각 배치되는 기판 클램핑 조립체 쌍(230)을 포함하고, 이 트랙 조립체(101)의 기판 클램핑 조립체 쌍(230)은 이 기판 클램핑 조립체 쌍(230)의 동작을 통해 회로 기판(109)을 클램핑하는 데 사용된다. 하나의 기판 클램핑 조립체(230)나 보다 많은 개수의 기판 클램핑 조립체가 마련될 수 있다는 점을 명확히 밝혀야만 한다.
도 2에 또한 도시한 바와 같이, 트랙 조립체(101)는 적어도 한 쌍의 기판 정지 조립체(303.1 및 303.2)를 더 포함하고(도 3a 및 도 3b도 또한 참고할 수 있음); 기판 정지 조립체 쌍(303.1 및 303.2)은 이송 채널의 유입구와 유출구 각각에 근접하게 배치된다. 예컨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판 정지 조립체 쌍(303.1 및 303.2)은, 제1 이송 방향(D1) 또는 제2 이송 방향(D2)으로의 회로 기판의 이동을 정지시키기 위해 제1 측부 이송 채널의 유입구와 유출구에 각각 근접하게 위치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기판 정지 조립체(303.1 및 303.2)는 제2 측부 이송 채널(212)의 유입구 및 유출구에도 또한 각각 근접하게 위치할 수 있거나, 하나의 기판 정지 조립체는 제1 측부 이송 채널(211)의 유입구/유출구에 근접하게 위치할 수 있고, 다른 하나의 기판 정지 조립체는 제2 측부 이송 채널(212)의 유출구/유입구에 근접하게 위치할 수 있다. 상기 구성 모두는, 2개의 반대되는 이송 방향 모두에서 기판(109)이 기판 정지 조립체(303.1) 또는 기판 정지 조립체(303.2)에 의해 정지될 수 있고, 이에 따라 회로 기판(109)이 계속해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보장할 수 있다.
도 3a는 도 2의 제1 측부 트랙 조립체의 3차원 개략도이고 도 3b는 도 3a의 제1 측부 트랙 조립체(210.1)의 분해 개략도이다. 제1 측부 트랙 조립체(210.1)와 제2 측부 트랙 조립체(210.2)의 메인 구조가 유사하기 때문에, 제1 측부 트랙 조립체(210.1)가 예로서 취해질 수 있고, 그 메인 구조가 아래에서 도 3a 및 도 3b를 참고하여 설명된다.
도 3a 및 도 3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측부 트랙 조립체(210.1)는 컨베이어 벨트 조립체(301), 기판 클램핑 조립체(230), 기판 정지 조립체 쌍(303.1 및 303.2) 및 지지 구조(270.1)를 포함한다. 컨베이어 벨트 조립체(301)는 지지 구조(270.1)의 내측부 상에 배치되고, 회로 기판(109)을 이송하는 데 사용된다. 기판 클램핑 조립체(230)는 컨베이어 벨트 조립체(301) 아래에 장착되고, 컨베이어 벨트 조립체(301) 상에서 회로 기판(109)을 클램핑할 수 있다. 기판 정지 조립체(303.1 및 303.2)는 컨베이어 벨트 조립체(301)의 2개 단부에 각각 장착되고, 컨베이어 벨트 조립체(301)의 이송 방향으로의 회로 기판(109)의 계속된 이동을 정지시키는 데 사용된다.
컨베이어 벨트 조립체(301)는 환형 제1 측부 상부 컨베이어 벨트(201.1) 및 제1 측부 하부 컨베이어 벨트(202.1)를 포함한다. 2개의 롤러 휠(378, 379) 및 지지 블럭(315)이 환형 제1 측부 상부 컨베이어 벨트(201.1) 내부에 배치되고; 2개의 롤러 휠(378, 379)은 지지 블럭(315)의 2개 단부에 각각 위치한다. 2개의 롤러 휠(378, 379)과 지지 블럭(315)은 모두 지지 구조(270.1)에 연결된다. 제1 측부 상부 컨베이어 벨트(201.1)는 2개의 롤러 휠(378, 379)과 지지 블럭(315) 외측 주위에 끼워지고 롤러 휠(378, 379)이 회전하면, 제1 측부 상부 컨베이어 벨트(201.1)가 2개의 롤러 휠(378, 379)에 의해 회전할 수 있고, 이에 따라 2개의 롤러 휠(378, 379) 사이의 컨베이어 벨트가 상부 이송부(313)와 하부 이송부(314)를 형성한다. 지지 블럭(315)은 상부 이송부(313)와 하부 이송부(314)를 지지하는 효과를 갖기 때문에, 이송부들이 외력을 받는 경우에 불필요한 컨베이어 벨트의 연신을 방지한다. 제1 측부 하부 컨베이어 벨트(202.1)는 상부 컨베이어 벨트(201.1)와 유사한 구조를 갖고, 또한 2개의 롤러 휠(328, 329)과 지지 블럭(316)의 외측부 주위에 끼워지며, 또한 상부 이송부(318)와 하부 이송부(319)를 갖는다. 제1 측부 이송 채널(211)은 제1 측부 상부 컨베이어 벨트(201.1)의 하부 이송부(314)와 제1 측부 하부 컨베이어 벨트(202.1)의 상부 이송부(318) 사이에 형성되고 회로 기판(109)은 제1 측부 이송 채널(211)에서 이송될 수 있다.
기판 클램핑 조립체(230)는 클램핑 플레이트(321)와 클램핑 플레이트 구동 조립체(322)를 갖는다. 클램핑 플레이트 구동 조립체(322)는 클램핑 플레이트(321)를 제1 측부 이송 채널(211)에 수직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구동시킬 수 있고, 이에 의해 회로 기판(109)을 클램핑 및 해제할 수 있으며 이것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기판 정지 조립체 쌍(303.1, 303.2)은 동일한 구조를 갖고; 그 특별한 구조는 기판 정지 조립체들 중 어느 하나, 즉 기판 정지 조립체(303.1)를 예로 들어 아래에서 간략히 설명된다. 기판 정지 조립체(303.1)는 기판 정지 배리어 플레이트(331.1)와 기판 정지 구동 구성요소(332.1)를 갖고; 기판 정지 구동 구성요소(332.1)는 기판 정지 배리어 플레이트(331.1)를 제1 측부 이송 채널(211)에 수직한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구동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이송 방향으로의 회로 기판(109)의 이동을 차단 및 해제할 수 있고; 이 섹션의 내용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된다.
도 4a 및 도 4b는, 각각 기판 클램핑 조립체(230)가 회로 기판(109)을 클램핑하고 있지 않은 상태 그리고 회로 기판(109)을 클램핑하고 있는 상태인, 도 2의 A-A선을 통과하는 수직 단면도이다. 도 4a에서, 회로 기판(109)의 양 측부에 있는 에지가 제1 측부 이송 채널(211)과 제2 측부 이송 채널(212)에 각각 진입하고, 제1 측부 하부 컨베이어 벨트(202.1)의 상부 이송부(318)와 제2 측부 하부 컨베이어 벨트(202.2)의 상부 이송부와 접촉하며, 이에 의해 제1 측부 하부 컨베이어 벨트(202.1)와 제2 측부 하부 컨베이어 벨트(202.2)는 회전 시에 회전 기판(109)을 이동하도록 구동할 수 있고, 이에 따라 회로 기판(109)을 운송할 수 있다. 회로 기판(109)이 클램핑되어야만 하는 경우, 클램핑 플레이트 구동 조립체(322)는 클램핑 플레이트(321)를 상향 이동시켜, 먼저 회로 기판(109)의 하부면과 접촉하게 한 다음, 회로 기판(109)을 들어올려, 회로 기판(109)의 상부면이 제1 측부 상부 컨베이어 벨트(201.1)의 하부 이송부(314) 및 제2 측부 상부 컨베이어 벨트(201.2)의 하부 이송부와 접촉할 때까지 계속해서 상향 이동하도록 구동하고, 이에 따라 회로 기판(109)이 한편의 클램핑 플레이트(321)와, 다른 한편의 제1 측부 상부 컨베이어 벨트(201.1)의 하부 이송부(314) 및 제2 측부 상부 컨베이어 벨트(201.2)의 하부 이송부 사이에 클램핑된다. 이에 따라, 회로 기판(109)은 트랙 조립체 쌍에 의해 턴오버되었을 때에 쉽게 떨어지지 않을 것이다. 회로 기판(109)이 클램핑되는 프로세서는 아래에서 도 4c 및 4d를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된다.
도 4c는 도 4a의 부분 B의 확대도이고; 도 4d는 도 4b의 부분 C의 확대도로, 회로 기판의 클램핑 프로세스에서 제1 측부 이송 채널(211)에 근접한 구성요소와 회로 기판(109)의 결합을 보여준다. 회로 기판(109)의 제1 측부(401)에 대향하는 제2 측부(402)에 근접한 구성요소들이 거의 대칭 구조로 제1 측부(401)에 근접한 구성요소와 유사하기 때문에, 회로 기판(109)을 클램핑하는 프로세스는 도 4c 및 도 4d의 회로 기판(109)의 제1 측부(401)에 근접한 구성요소들 간의 결합을 예로서 취하는 것에 의해 설명된다. 도 4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측부 상부 컨베이어 벨트(201.1)에 있는 하부 이송부(314)의 내측 에지(405)와 제1 측부 하부 이송 컨베이어 벨트(202.1)에 있는 상부 이송부의 내측 에지(407)는 서로에 대해 엇갈리게 배치된다. 즉, 도 4c에 도시한 수평 방향에서, 제1 측부 상부 컨베이어 벨트(201.1)의 내측 에지(405)는 제1 측부 하부 컨베이어 벨트(202.1)의 내측 에지(407)보다 내측에 근접하고, 즉 제2 측부 트랙 조립체에 근접하고, 이에 따라 2개의 내측 에지, 즉 제1 측부 상부 컨베이어 벨트(201.1)의 내측 에지(405)와 제1 측부 하부 컨베이어 벨트(202.1)의 내측 에지(407) 사이에는 0.5 mm 내지 5 mm의 거리(D)가 존재한다. 본 출원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D의 범위는 0.5 mm 내지 5 mm이다. 본 출원의 몇몇 실시예에서, 거리(D)는 약 2 mm이다. 클램핑 플레이트(321)는 제1 측부 상부 컨베이어 벨트(201.1) 아래에 위치하고, 이에 의해 클램핑 플레이트(321)는 상하로 이동할 때에 제1 측부 하부 컨베이어 벨트(202.1)에 있는 상부 이송부(318)의 내측 에지(407)를 지나갈 수 있고, 제1 측부 상부 컨베이어 벨트(201.1)의 하부 이송부(314)를 넘지 않을 수 있다. 회로 기판(109)이 클램핑되기 전에, 즉 클램핑 플레이트(321)가 도 4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초기 위치의 휴지 상태인 경우, 회로 기판(109)의 제1 측부(401)에 있는 에지는 제1 측부 하부 컨베이어 벨트(202.1)의 상부 이송부(318)와 접촉하고, 제1 측부 상부 컨베이어 벨트(201.1)의 하부 이송부(314)로부터 특정 거리만큼 이격된다. 이때, 회로 기판(109)은 제1 측부 하부 컨베이어 벨트(202.1)에 의해 운송될 수 있다. 이와 동시에, 클램핑 플레이트(321)는 제1 측부 하부 컨베이어 벨트(202.1) 아래에 위치하고, 제1 측부 하부 컨베이어 벨트(202.1)와 접촉하지 않는다. 회로 기판(109)을 클램핑해야만 하는 경우, 기판 턴오버 머신 제어 시스템은 회전을 정지하도록 제1 측부 하부 컨베이어 벨트(202.1)를 제어하고, 회로 기판(109)은 제1 측부 하부 컨베이어 벨트(202.1)의 상부 이송부(318) 상에서 지지된다. 다음에, 클램핑 플레이트(321)는 클램핑 플레이트 구동 조립체(322)에 의해 구동되고, 회로 기판(109)을 향해 상향 이동하며 클램핑 플레이트(321)의 정상이 회로 기판(109)과 접촉한 후, 클램핑 플레이트는 계속해서 상향 이동하여, 회로 기판(109)이 제1 상부 컨베이어 벨트(201.1)의 하부 이송면(314)과 접촉할 때 - 이때 클램핑 플레이트가 정지함 - 까지 회로 기판(109)을 클램핑 플레이트와 함께 상향 이동하도록 압박한다. 이때, 회로 기판(109)은 클램핑 플레이트(321)에 의해 클램핑되고, 클램핑 플레이트(321)는 도 4d에 도시한 바와 같이 클램핑 위치에 도달 완료된다. 제1 측부 상부 컨베이어 벨트(201.1)의 내측 에지(405)가 제1 측부 하부 컨베이어 벨트(202.1)의 내측 에지(407)에 대하여 엇갈리게 배치되기 때문에, 클램핑 플레이트(321)의 정상과 회로 기판(109)이 접촉하는 지점은 수직 방향으로 제1 측부 상부 컨베이어 벨트(201.1)의 내측 에지(405) 외측에[즉, 도 4d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측 에지(405)의 좌측부에] 위치하며, 이에 따라 클램핑 플레이트(321)에 의해 회로 기판(109)에 가해지는 클램핑 힘이 회로 기판(109)을 통해 제1 측부 상부 컨베이어 벨트(201.1)의 지지 블럭(316)에 전달되고, 즉 수직 방향으로 클램핑 플레이트(321)에 의해 가해지는 클램핑 힘은 제1 측부 상부 컨베이어 벨트(201.1)의 내측 에지 외측에 위치하므로, 회로 기판(109)은 클램핑될 때에 제1 측부 상부 컨베이어 벨트(201.1)와 클램핑 플레이트(321)의 전단력을 받지 않을 것이다.
회로 기판(109)을 해제해야만 하는 경우, 클램핑 플레이트(321)는, 클램핑 플레이트(321)의 초기 위치에 도달할 때까지 제1 측부 상부 컨베이어 벨트(201.1)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클램핑 플레이트 구동 조립체(322)에 의해 구동되며, 이에 따라 회로 기판(109)은 하부 컨베이어 벨트 쌍에 의해 계속해서 이송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클램핑 플레이트(321)는 클램핑 프로세스와 해제 프로세스 모두에서 제1 측부 하부 컨베이어 벨트(202.1)의 내측부에 그리고 제1 측부 상부 컨베이어 벨트(201.1) 아래에 위치하는데; 즉, 클램핑 플레이트(321)는 통상 제1 측부 하부 컨베이어 벨트(202.1)와 제1 측부 상부 컨베이어 벨트(201.1)의 링 형상 외측에 위치한다.
도 4a 내지 도 4d는, 제1 측부 하부 컨베이어 벨트(202.1), 제2 측부 하부 컨베이어 벨트(202.2) 및 클램핑 플레이트(321)가 기판 턴오버 머신의 제1 측부 상부 컨베이어 벨트(201.1)와 제2 측부 상부 컨베이어 벨트(201.2) 아래에 위치할 때의 트랙 조립체의 회로 기판 클램핑 프로세스를 보여준다는 점을 명확히 밝혀둔다. 실제 사용 과정에서는, 트랙 조립체가 턴오버될 수 있기 때문에, 제1 측부 하부 컨베이어 벨트(202.1), 제2 측부 하부 컨베이어 벨트(202.2) 및 클램핑 플레이트(321)가 기판 턴오버 머신의 제1 측부 상부 컨베이어 벨트(201.1)와 제2 측부 상부 컨베이어 벨트(201.2) 위에 위치하는 것도 또한 가능하다. 이 경우, 회로 기판(109)은 제1 측부 상부 컨베이어 벨트(201.1)와 제2 측부 상부 컨베이어 벨트(201.2)에 의해 이송되고; 클램핑되지 않은 상태에서, 회로 기판(109)은 제1 측부 상부 컨베이어 벨트(201.1)의 하부 이송부(314)와 제2 측부 상부 컨베이어 벨트(201.2)의 하부 이송부와 접촉하며; 클램핑 프로세스에서, 클램핑 플레이트(321)는, 회로 기판(109)의 표면과 접촉할 때까지 회로 기판(109)을 향해 이동하고, 회로 기판(109)을 클램핑한다. 이 경우, 기판 클램핑 조립체(230)가 회로 기판(109) 위에 위치하도록 턴오버되었기 때문에, 도 4a 및 도 4d에 도시한 프로세스와 비교하여, 클램핑 플레이트(321)는 회로 기판(109)과 접촉할 시에 클램핑 위치에 도달하고, 먼저 회로 기판(109)과 접촉할 필요가 없으며, 그 후 회로 기판(109)이 제1 측부 상부 컨베이어 벨트(201.1)의 하부 이송면(314) 및 제2 측부 상부 컨베이어 벨트(201.2)의 하부 이송면과 접촉할 시에 클램핑 위치에 도달할 때까지 계속해서 이동하도록 구동한다.
도 5a는 제1 측부 트랙 조립체(210.1)와 그 내부에 삽입 가능한 안내 스트립(420)을 보여주고; 도 5b는 일측부 상의 안내 스트립(420)들 중 하나를 보여준다. 안내 스트립(420)은 이송 방향으로의 회로 기판(109)의 이동을 안내하는 데 사용된다. 본 출원에서는, 2개의 안내 스트립이 마련되며, 이들 안내 스트립은 제1 측부 트랙 조립체(210.1)의 2개 측부 각각으로부터 이송 방향으로 지지 구조(270.1)에 삽입되어, 제1 측부 트랙 조립체(210.1)의 지지 구조(270.1)에 고정된다. 제1 측부 트랙 조립체(210.1)의 지지 구조(270.1) 내로의 삽입이 편리하기만 하다면, 하나의 안내 스트립(420) 또는 더 많은 개수의 안내 스트립도 또한 마련될 수 있다는 점을 명확히 밝혀둔다. 도 5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안내 스트립(420)은 실질적으로 긴 스트립 형태이고, 그 길이 방향 일단부에 대형 헤드(505)를 가지며 일단 안내 스트립(420)이 지지 구조(270.1)의 내부 내로 삽입되고 대응하는 위치에 도달하고 나면, 헤드(505)는 안내 스트립(420)이 내측으로 더욱 삽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데 사용되고, 이에 따라 제한 작용을 갖는다. 도 5a, 도 4c 및 도 4d를 참고하면, 안내 스트립 장착 슬롯(422)이 지지 구조(270.1)에 마련되고 이 안내 스트립 장착 슬롯(422)은 제1 측부 이송 채널(211) 외측에 위치한다. 안내 스트립(420)은 안내 스트립 장착 슬롯(422) 내로 삽입되고, 이에 따라 안내 스트립(420)은 제1 측부 이송 채널(211) 외측에 위치하고, 이송 방향으로의 회로 기판(109)의 이동을 안내하기 위해 회로 기판(109) 에지와 접촉할 수 있다. 안내 스트립(420)은 일반적으로 내마모성 재료, 예컨대 공구강으로 형성되거나, 적어도 제1 측부 이송 채널(211)에 근접한 측부에서 내마모성 코팅으로 피복되며; 예컨대, 회로 기판(109)이 이동 중에 2개 측부 상에서 안내 스트립(420)을 문지르는 것에 의해 유발되는 손상을 줄여 서비스 수명을 연장하기 위해 전술한 측부 상의 표면은 경화 처리되고, 표면 크롬 도금이 실행된다. 도 4c 및 도 4d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측부 상부 컨베이어 벨트(201.1) 외측에 제1 측부 이송 채널(211)의 폭 방향으로 오목한 구조(430)가 마련되고; 오목한 구조(430)는 안내 스트립 장착 슬롯(422)의 상부 부분을 형성한다. 즉, 오목한 구조(430)의 위치는 제1 측부 이송 채널(211)의 위치보다 높고, 즉 오목한 구조(430)는 제1 측부 상부 컨베이어 벨트(201.1)의 하부 이송부(314)에 의해 획정되는 수평면으로부터의 상향 오목부에 의해 형성되는 구조이고, 오목한 구조(430)의 정상은 제1 측부 상부 컨베이어 벨트(201.1)의 하부 이송부(314)보다 높다. 즉, 안내 스트립 장착 슬롯(422)의 내부 높이는 제1 측부 이송 채널(211)의 높이보다 높고, 안내 스트립(420)의 높이도 또한 제1 측부 이송 채널(211)의 높이보다 높다. 안내 스트립(420)이 제위치에 삽입될 때, 안내 스트립(420)의 상부 부분의 측부 에지가 오목한 구조(430) 내로 삽입되고, 이에 따라 안내 스트립(420)의 상부면은 제1 측부 상부 컨베이어 벨트(201.1)의 하부 이송부(314)보다 높다. 회로 기판(109)이 제1 측부 상부 컨베이어 벨트(201.1)의 하부 이송부(314)에서 이송되고 있거나, 제1 측부 상부 컨베이어 벨트(201.1)의 하부 이송부(314) 상에 클램핑될 때, 회로 기판(109)의 에지는 제1 측부 이송 채널(211)에 근접한 쪽에 있는 안내 스트립(420)의 내측 페이스에 의해 차폐되고, 안내 스트립(420)의 상부면과 안내 스트립 장착 슬롯(422)의 상부면 사이의 갭에 진입할 수 없으며, 이에 따라 회로 기판(109)이 갭에 재밍되는 상황 - 이송에 영향을 줌 - 을 방지한다.
도 6a는 기판 정지 조립체(303.1)를 보여주고; 도 6b는 도 6a의 기판 정지 조립체의 분해도로, 기판 정지 조립체(303.1)의 메인 구성요소를 보여준다. 도 6a 및 도 6b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판 정지 조립체(303.1)는 기판 정지 배리어 플레이트(331.1), 기판 정지 구동 구성요소(332.1) 및 고정 구성요소(601)를 포함한다. 기판 정지 배리어 플레이트(331.1)는 연결 부재(605)에 의해 구동 구성요소(332.1)에 고정되고, 기판 정지 구동 구성요소(332.1)는 연결 부재(603)에 의해 고정 구성요소(601)에 고정되며, 고정 구성요소(601)는 제1 측부 트랙 조립체(210.1)에 고정될 수 있다. 기판 정지 배리어 플레이트(331.1)는, 제1 단부(631) 및 제2 단부(632)를 갖는 거의 L자형 플레이트이고, 제1 단부(631)와 제2 단부(632)는 수직하거나 대략 수직하다. 제2 단부는 기판 정지 구동 구성요소(332.1) 위에 고정되고, 이에 따라 기판 정지 배리어 플레이트(331.1)는 수직방향 상하로 왕복 이동하도록 기판 정지 구동 구성요소에 의해 구동될 수 있으므로, 기판 정지 배리어 플레이트(331.1)의 제1 단부(631)는 제1 측부 이송 채널(211)의 유입구 또는 유출구를 개방 또는 폐쇄할 수 있다. 도 3a, 도 6a 및 도 6b를 참고하면, 기판 정지 구동 구성요소(332.1)는 기판 턴오버 머신의 제어 시스템(도면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음)에 접속되고, 회로 기판(109)이 기판 턴오버 머신에 의해 운송되는 프로세스에서, 회로 기판(109)이 턴오버 공정을 받기 위해 기판 턴오버 머신에서 정지되어야만 하면, 회로 기판(109)이 제1 측부 이송 채널(211)에 진입한 후에 기판 정지 구동 구성요소(332.1)가 제어 시스템의 제어 신호를 수신하고, 기판 정지 배리어 플레이트(331.1)를 상향 이동하도록 구동하여, 제1 측부 이송 채널(211)의 유출구를 폐쇄한다. 회로 기판(109)이 기판 정지 배리어 플레이트(331.1)와 접촉하면, 제어 시스템이 정지 신호를 수신하고, 회전을 중단하도록 제1 측부 상부 컨베이어 벨트(201.1)와 제1 측부 하부 컨베이어 벨트(202.1)를 제어하며, 이에 의해 회로 기판(109)이 제1 측부 이송 채널(211)에서 정지한다. 회로 기판(109)을 계속해서 이송해야만 하면, 기판 정지 구동 구성요소(332.1)가 대응하는 제어 신호를 수신하고, 하향 이동하도록 기판 정지 배리어 플레이트(331.1)를 구동하여, 제1 측부 이송 채널(211)의 유출구를 개방하고, 이에 의해 회로 기판(109)이 대응하는 이송 방향으로 계속해서 이동할 수 있다.
도 7은 제1 측부 트랙 조립체(210.1) 상의 기판 정지 조립체 쌍(303.1, 303.2)의 장착 위치를 보여준다. 기판 정지 조립체 쌍(303.1, 303.2)은 제1 측부 트랙 조립체(210.1)의 2개 단부에 대해 대칭으로 배치된다. 기판 정지 조립체 중 어느 하나(303.1)의 장착 위치가 아래에서 설명되고;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판 정지 조립체(303.1)는 고정 구성요소(601)에 의해 제1 측부 트랙 조립체(210.1)의 외측부 상에 장착되며, 이 경우에 기판 정지 구동 구성요소(332.1)와 기판 정지 배리어 플레이트(331.1)의 접촉 부분이 제1 측부 상부 컨베이어 벨트(201.1)와 제1 측부 하부 컨베이어 벨트(202.2) 아래에 위치한다. 기판 정지 구동 구성요소(332.1)와 기판 정지 배리어 플레이트(331.1) 모두가 제1 측부 트랙 조립체(210.1)의 다른 영역에 직접 연결되지 않거나 끼워지지 않는다. 특히, 기판 정지 구동 구성요소(332.1)와 기판 정지 배리어 플레이트(331.1)는 컨베이어 벨트 기어 부분에 직접 연결되지 않거나 끼워지지 않는다. 기판 정지 조립체(303.1, 303.2)를 제거하고 교체해야만 하는 경우, 단지 고정 구성요소(601)를 제1 측부 트랙 조립체(210.1)의 메인 본체에 연결하는 부재를 제거해야만 하고, 그 후 제거가 편리하게 수행될 수 있다.
회로 기판(109)을 클램핑하고 턴오버 머신의 트랙 조립체와 함께 턴오버시키는 프로세스에서는, 회로 기판(109)이 주로 회로 기판(109)에 대한 클램핑 플레이트(321)의 클램핑 작용에 의존하여, 회로 기판(109)이 턴오버 프로세스에서 쉽게 떨어지는 것을 방지한다. 그러나, 턴오버 프로세스에서는 기판 정지 배리어 플레이트를 대응하는 이송 채널을 폐쇄하는 상태로 두는 것에 의해 회로 기판(109)이 떨어지는 것을 더욱 방지할 수 있다.
여기에서는 본 출원의 단지 일부 피쳐만을 도시하고 설명했지만, 많은 개선 및 변경이 당업자에 의해 실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첨부된 청구범위는 본 출원의 기본적인 사상의 범위 내에 속하는 전술한 개선 및 변형 모두를 포괄하는 것으로 의도된다는 점을 이해해야만 한다.

Claims (10)

  1. 기판 턴오버 머신 조립체(board turnover machine assembly)로서,
    서로 대향 배치된 제1 측부 상부 컨베이어 벨트(201.1) 및 제2 측부 상부 컨베이어 벨트(201.2)를 포함하는 환형 상부 컨베이어 벨트 쌍;
    서로 대향 배치된 제1 측부 하부 컨베이어 벨트(202.1) 및 제2 측부 하부 컨베이어 벨트(202.2)를 포함하는 환형 하부 컨베이어 벨트 쌍; 및
    환형 상부 컨베이어 벨트 쌍과 환형 하부 컨베이어 벨트 쌍의 링 형상 외측에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의 클램핑 플레이트(321)
    를 포함하고,
    제1 측부 이송 채널(211)이 제1 측부 상부 컨베이어 벨트(201.1)와 제1 측부 하부 컨베이어 벨트(202.1) 사이에 형성되고, 제2 측부 이송 채널(212)이 제2 측부 상부 컨베이어 벨트(201.2)와 제2 측부 하부 컨베이어 벨트(202.2) 사이에 형성되며, 제1 측부 이송 채널(211)과 제2 측부 이송 채널(212)은 회로 기판을 이송하기 위해 사용 가능하고,
    제1 측부 상부 컨베이어 벨트(201.1)의 외측부에서 제1 측부 이송 채널(211)의 폭 방향으로 오목한 구조가 마련되며,
    제2 측부 상부 컨베이어 벨트(201.2)의 외측부에서 제2 측부 이송 채널(212)의 폭 방향으로 오목한 구조가 마련되며,
    제1 측부 상부 컨베이어 벨트(201.1)와 제1 측부 하부 컨베이어 벨트(202.1)의 내측 에지들은 제1 측부 이송 채널(211)의 폭 방향으로 엇갈리게 배치되고, 제2 측부 상부 컨베이어 벨트(201.2)와 제2 측부 하부 컨베이어 벨트(202.2)의 내측 에지들은 제2 측부 이송 채널(212)의 폭 방향으로 엇갈리게 배치되며, 이에 의해 회로 기판이 한편의 제1 측부 상부 컨베이어 벨트(201.1) 및 제2 측부 상부 컨베이어 벨트(201.2)와, 다른 한편의 클램핑 플레이트(321) 사이에 클램핑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판 턴오버 머신 조립체.
  2. 제1항에 있어서, 기판 턴오버 머신 조립체는
    안내 스트립(420)으로서, 상기 오목한 구조가 이 안내 스트립(420)의 측부 에지를 배치하는 데 사용되는 것인 안내 스트립; 및
    환형 상부 컨베이어 벨트 쌍, 환형 하부 컨베이어 벨트 쌍 및 클램핑 플레이트(321)가 배치되는 턴오버 기구(105)
    를 더 포함하고,
    적어도 하나의 클램핑 플레이트(321) 각각은, 회로 기판을 대응하는 클램핑 플레이트(321)와, 제1 측부 상부 컨베이어 벨트(201.1) 및 제2 측부 상부 컨베이어 벨트(201.2) 중 대응하는 어느 하나 사이에 클램핑하기 위해, 제1 측부 이송 채널(211) 또는 제2 측부 이송 채널(212)에 수직한 방향으로 제1 측부 이송 채널(211) 또는 제2 측부 이송 채널(212)을 향해 또는 이로부터 멀어지게 앞뒤로 이동 가능하며,
    턴오버 기구(105)는 환형 상부 컨베이어 벨트 쌍, 환형 하부 컨베이어 벨트 쌍 및 클램핑 플레이트(321)를 턴오버시키도록 구동할 수 있고, 클램핑 플레이트(321)는 기판 턴오버 머신 조립체에 의한 턴오버 프로세스 시에 회로 기판을, 한편의 환형 상부 컨베이어 벨트 쌍과 다른 한편의 클램핑 플레이트 사이에서 클램핑된 상태로 유지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판 턴오버 머신 조립체.
  3. 제2항에 있어서,
    안내 스트립(420)의 외면에 내마모성 코팅이 마련되거나, 안내 스트립(420)이 내마모성 재료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판 턴오버 머신 조립체.
  4. 제2항에 있어서,
    환형 상부 컨베이어 벨트 쌍 또는 환형 하부 컨베이어 벨트 쌍이 회로 기판을 이송하고 있을 때에 클램핑 플레이트(321)가 환형 상부 컨베이어 벨트 쌍 또는 환형 하부 컨베이어 벨트 쌍과 접촉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판 턴오버 머신 조립체.
  5. 삭제
  6. 기판 턴오버 머신 조립체(board turnover machine assembly)로서,
    서로 대향 배치된 제1 측부 상부 컨베이어 벨트(201.1) 및 제2 측부 상부 컨베이어 벨트(201.2)를 포함하는 환형 상부 컨베이어 벨트 쌍; 및
    서로 대향 배치된 제1 측부 하부 컨베이어 벨트(202.1) 및 제2 측부 하부 컨베이어 벨트(202.2)를 포함하는 환형 하부 컨베이어 벨트 쌍
    을 포함하고,
    제1 측부 이송 채널(211)이 제1 측부 상부 컨베이어 벨트(201.1)와 제1 측부 하부 컨베이어 벨트(202.1) 사이에 형성되고, 제2 측부 이송 채널(212)이 제2 측부 상부 컨베이어 벨트(201.2)와 제2 측부 하부 컨베이어 벨트(202.2) 사이에 형성되며, 제1 측부 이송 채널(211)과 제2 측부 이송 채널(212)은 회로 기판을 이송하기 위해 사용 가능하고,
    제1 측부 상부 컨베이어 벨트(201.1)의 외측부에서 제1 측부 이송 채널(211)의 폭 방향으로 오목한 구조가 마련되며,
    제2 측부 상부 컨베이어 벨트(201.2)의 외측부에서 제2 측부 이송 채널(212)의 폭 방향으로 오목한 구조가 마련되며,
    제1 측부 상부 컨베이어 벨트(201.1)와 제1 측부 하부 컨베이어 벨트(202.1)의 내측 에지들은 0.5 mm 내지 5 mm 범위의 거리를 두고 엇갈리게 배치되고,
    제2 측부 상부 컨베이어 벨트(201.2)와 제2 측부 하부 컨베이어 벨트(202.2)의 내측 에지들은 0.5 mm 내지 5 mm 범위의 거리를 두고 엇갈리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판 턴오버 머신 조립체.
  7. 제1항에 있어서,
    기판 턴오버 머신 조립체는 기판 정지 배리어 플레이트 쌍(331.1, 331.3)과 기판 정지 구동 구성요소 쌍(332.1, 332.2)을 구비하는 기판 정지 조립체 쌍(303.1, 303.2)을 더 포함하고, 기판 정지 배리어 플레이트 쌍(331.1, 331.3)의 각각의 기판 정지 배리어 플레이트는 제1 측부 이송 채널(211) 또는 제2 측부 이송 채널(212)에 수직한 방향으로 상하 이동 가능하고, 이에 따라 물체가 제1 측부 이송 채널(211) 및 제2 측부 이송 채널(212)에서 이송되는 것을 차단 및 해제할 수 있으며, 기판 정지 구동 구성요소 쌍(332.1, 332.2)의 각각의 기판 정지 구동 구성요소는 대응하는 기판 정지 배리어 플레이트를 구동하는 데 사용되고, 기판 정지 구동 구성요소 쌍(332.1, 332.2)은 제1 측부 상부 컨베이어 벨트(201.1)와 제2 측부 상부 컨베이어 벨트(201.2) 아래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판 턴오버 머신 조립체.
  8. 제7항에 있어서,
    각각의 기판 정지 구동 구성요소와 각각의 대응하는 기판 정지 배리어 플레이트의 접촉 부분들이 환형 상부 컨베이어 벨트 쌍과 환형 하부 컨베이어 벨트 쌍 아래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판 턴오버 머신 조립체.
  9. 제2항에 있어서,
    기판 턴오버 머신 조립체는, 클램핑 플레이트(321)가 장착되고, 클램핑 플레이트를 제1 측부 이송 채널(211) 또는 제2 측부 이송 채널(212)에 수직한 방향으로 앞뒤로 이동하도록 구동하는 클램핑 플레이트 구동 조립체(322)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판 턴오버 머신 조립체.
  10. 기판 턴오버 머신에 있어서,
    기판 턴오버 머신이 제1항 내지 제4항 및 제6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기판 턴오버 머신 조립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판 턴오버 머신.
KR1020207026164A 2018-02-14 2019-02-12 기판 턴오버 머신 조립체 및 기판 턴오버 머신 KR10267934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810152268.5A CN110143423B (zh) 2018-02-14 2018-02-14 一种翻板机组件和翻板机
CN201810152268.5 2018-02-14
PCT/US2019/017632 WO2019160853A1 (en) 2018-02-14 2019-02-12 Board turnover machine assembly and board turnover machin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18484A KR20200118484A (ko) 2020-10-15
KR102679347B1 true KR102679347B1 (ko) 2024-06-27

Family

ID=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74075A1 (ko) * 2015-10-30 2017-05-04 주식회사 고영테크놀러지 물품 이송 장치, 물품 검사 장치, 물품 이송 방법 및 물품 검사 방법
CN206494493U (zh) * 2016-12-29 2017-09-15 佛山科学技术学院 一种扁平状工件翻面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74075A1 (ko) * 2015-10-30 2017-05-04 주식회사 고영테크놀러지 물품 이송 장치, 물품 검사 장치, 물품 이송 방법 및 물품 검사 방법
CN206494493U (zh) * 2016-12-29 2017-09-15 佛山科学技术学院 一种扁平状工件翻面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481324B (zh) 用於運送平坦的待處理材料之運送方法、裝置及系統
TWI797240B (zh) 一種翻板機元件和翻板機
TWI815852B (zh) 一種翻板機元件和翻板機
KR102679347B1 (ko) 기판 턴오버 머신 조립체 및 기판 턴오버 머신
US4843764A (en) Glass plate grinding apparatus
KR102679346B1 (ko) 기판 턴오버 머신 조립체 및 기판 턴오버 머신
KR102679348B1 (ko) 기판 턴오버 머신 조립체 및 기판 턴오버 머신
TWI815853B (zh) 一種翻板機組件和翻板機
KR20190063399A (ko) 기판 반송 장치 및 기판 가공 장치
JP2009200440A (ja) 基板搬送補助装置および基板搬送補助方法
JP2793775B2 (ja) 面取り用研削装置
KR101894476B1 (ko) 기판 정렬 투입장치
KR100580379B1 (ko) 판유리 이송장치
JPH08157045A (ja) トップローラチェーン式搬送装置
JPH11188600A (ja) ワイヤソー及びワーク搬入出方法
KR100320510B1 (ko) 용접 라인의 소재 이송 장치
KR102213979B1 (ko) 벨트컨베이어 손상방지장치
JP2000025942A (ja) ワーク位置決めコンベヤ装置
JPH0544080Y2 (ko)
JPH012966A (ja) 板材搬送装置
JPH049229A (ja) 板材加工機
JP2021118282A (ja) 搬送機構
KR200157140Y1 (ko) 콘베이어장치
KR20110077339A (ko) 기판 반송 방법
JPH06227635A (ja) 搬送装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