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71196B1 - 차수판 구조물 - Google Patents

차수판 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71196B1
KR102671196B1 KR1020240045110A KR20240045110A KR102671196B1 KR 102671196 B1 KR102671196 B1 KR 102671196B1 KR 1020240045110 A KR1020240045110 A KR 1020240045110A KR 20240045110 A KR20240045110 A KR 20240045110A KR 102671196 B1 KR102671196 B1 KR 1026711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rail
height
unit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400451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숙희
Original Assignee
홍숙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홍숙희 filed Critical 홍숙희
Priority to KR10202400451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7119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711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71196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9/00Buildings, groups of buildings or shelters adapted to withstand or provide protection against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e.g. war-like action, earthquake or extreme climate
    • E04H9/14Buildings, groups of buildings or shelters adapted to withstand or provide protection against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e.g. war-like action, earthquake or extreme climate against other dangerous influences, e.g. tornadoes, floods
    • E04H9/145Flood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7/00Special devices for shifting a plurality of wings operated simultaneously
    • E05F17/002Special devices for shifting a plurality of wings operated simultaneously for wings which lie one behind the other when closed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11/00Means for allowing passage through fences, barriers or the like, e.g. stiles
    • E06B11/02Gates; Doors
    • E06B11/022Gates; Door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 E06B11/023Gates; Door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where the gate opens within the plane of the gate
    • E06B11/025Gates; Door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where the gate opens within the plane of the gate vertically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02Shutters, movable grilles, or other safety closing devices, e.g. against burglary
    • E06B9/06Shutters, movable grilles, or other safety closing devices, e.g. against burglary collapsible or foldable, e.g. of the bellows or lazy-tongs typ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21/00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21/02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by means not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10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responsive to calamitous events, e.g. tornados or earthquak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7/00Special devices for shifting a plurality of wings operated simultaneously
    • E05F2017/005Special devices for shifting a plurality of wings operated simultaneously for sliding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2009/007Flood pan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Buildings Adapted To Withstand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차수판 구조물은 지하철 및 건물 등의 외부 출입구 바닥면에 매립 설치하여 집중호우 발생 시 빗물의 유입을 차단할 수 있도록 하므로서 각종 내부 시설물 및 인명 피해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차수판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자세하게는, 직육면체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상부는 개구된 형태이고, 지하철 역사 외부 출입구측에 바닥면과 수평을 이루도록 매립 설치되는 베이스부, 직육면체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베이스부의 개구된 부분을 통해 삽입설치되는 차수부, 상기 베이스부에 삽입된 상기 차수부를 바닥면으로부터 소정의 높이를 갖도록 조절시키기 위한 높이조절부 및 상기 높이조절부에 의해 상기 차수부가 승하강하도록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차수판 구조물{A Water-stop apparatus For Subway station entrance}
본 발명은 차수판 구조물에 관한 것으로써, 자세하게는 지하철 및 건물 등의 외부 출입구 바닥면에 매립 설치하여 집중호우 발생 시 빗물의 유입을 차단할 수 있도록 하므로서 각종 내부 시설물 및 인명 피해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차수판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급격한 기후의 변화로 인하여 집중호우에 의한 지하철 역사나 소정 건물 등의 침수피해가 늘어나고 있다. 이에 지하 측으로 유입되는 빗물을 효율적으로 차단하여 대비할 수 있도록 하는 차수판의 중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종래에는 지하철 출입구 인근에 별도 장치로써의 차수판이 보관되어 있고, 소정의 작업인원들이 기상 상황 등의 조건을 고려하여 상부의 지시를 받고 출동함으로써 차수판을 설치하는 등의 인력 투입 과정들이 요구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차수판은 인력이 직접 차수판이 보관된 시건장치를 해제하고 출입구 측으로 차수판을 이동시킨 후설치작업을 실행해야 하였다.
자세하게는, 평상시 지하철 출입구 외부나 역사 내, 또는 해당 건물의 일정 지점에 판형태로 이루어진 차수판을 보관하고, 침수피해 우려시에는 차수판을 옮겨 자물쇠, 볼트 등과 같은 잠금수단 또는 고정수단을 매개로 지하시설의 외부출입구에 설치할 수 있도록 구성된 종래의 차수장치로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361551호와 같은 기술이 개시된 바 있다.되어있다.
그러나 종래의 기술들은 차수판을 설치하기 위해 보관장소에서 설치장소까지 옮겨야 할 뿐만 아니라 차수판을 설치하여 고정하기까지 시간이 오래 걸리도록 구성되어 있으므로 집중호우시 적은 인력으로 신속하게 설치하기가 어렵다.
즉, 지하철 역사가 복수개 위치된 지역의 경우에는 위와 같은 방식으로 설치하는 것에는 큰 어려움이 있으며, 더욱이 지하철 역사가 많은 곳은 대개 유동인구가 많은 지역이므로 수해 피해에 따른 인명피해는 더욱 심각해질 우려가 있다.
앞으로 더욱 급변하는 기후 상황에 대응하는 것에는 더 큰 어려움이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종래의 차수판은 설치 후 밀폐력이 부족하여, 강우량이 많을 시에는 차수판의 설치와 더불어 별도의 모래주머니 등을 추가로 쌓아야 하는 문제점도 발생하게 되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361551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487672호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254924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325480호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써, 지하철 및 건물 등의 외부 출입구 바닥면에 차수판을 매립 설치한 상태에서 집중호우 발생 시 간편하에 수직으로 세워 설치함에 따라 빗물의 유입을 효율적으로 차단할 수 있도록 한 지하철 및 건물 외부 출입구용 차수판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차수판 구조물은 직육면체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상부는 개구된 형태이고, 지하철 역사 외부 출입구측에 바닥면과 수평을 이루도록 매립 설치되는 베이스부, 직육면체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베이스부의 개구된 부분을 통해 삽입설치되는 차수부, 상기 베이스부에 삽입된 상기 차수부를 바닥면으로부터 소정의 높이를 갖도록 조절시키기 위한 높이조절부 및 상기 높이조절부에 의해 상기 차수부가 승하강하도록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를 포함하는, 특징으로 한다.
다음으로, 상기 차수판 구조물에는 상기 차수부가 상기 높이조절부에 의해 높이가 조절되되, 일정한 경로에서 왕복 이동되도록 하기 위한 가이드부, 상기 제어부가 상기 차수부를 승하강시키도록 제어하기 위한 신호를 제공하는 센서부 및 상기 차수부의 작동 여부에 대한 알림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알림경보부가 더 포함되고, 상기 베이스부에는 직육면체 형상의 개구된 형태를 커버하기 위한 커버부재, 상기 커버부재를 회동시키기 위한 것으로써, 상기 직육면체 형상 및 상기 커버부재가 공유하는 하나의 축에 설치되는 커버힌지 및 상기 커버부재의 하부면에 마련되는 자성체로써, 상기 차수부의 상부면과 소정의 자력으로 결합관계를 형성시키는 커버마그네틱이 더 포함되고, 상기 차수부에는 하부판, 중간판 및 상부판으로 분절된 판이 하나로 연결된 형태로써, 상기 상부판이 상기 높이조절부에 의해 끌어올려지면 상기 상부판에 차례로 연결된 중간판 및 하부판도 함께 끌어올려지도록 이루어진 차수부재, 상기 하부판과 상기 중간판의 사이 및 상기 중간판과 상기 상부판 사이에 각각 마련된 자성체로써, 상호간 소정의 자력으로 결합관계를 형성시키는 판마그네틱 및 상기 차수부재 사이와 상기 차수부재외 외부와 발생되는 공간에 마련되는 것으로써, 상기 차수부재 사이를 통해 외부로부터 역사 안으로 이물질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기밀부재가 포함되고, 상기 직육면체 형상의 측벽의 높이는 상기 차수부재의 하부판, 중간판 및 상부판이 모두 중첩된 상태의 높이 및 상기 커버부재의 높이의 합과 동일한 높이로 형성되도록 하여, 바닥면과 상기 커버부재가 동일 높이에 위치되도록 하고, 상기 높이조절부에는 일측이 상기 상부판의 최상단에 위치한 고정점에 연결된 체인모듈 및 상기 체인모듈을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모듈이 포함되고,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차수부재의 양측에 소정 길이로 돌출된 형태로 이루어진 가이드핀 및 지하철 역사 외부 출입구 기둥에 내측으로 소정 깊이 함몰된 형태로 이루어진 가이드레일을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핀은 상기 가이드레일을 따라서 상기 높이조절부에 의해서 상하 왕복이동되고, 상기 센서부에는 수면의 높이를 측정하기 위한 수위감지센서, 상기 차수부의 상승 높이를 측정하기 위한 판감지센서 및 지하철 역사 출입구 근처의 유동 인구를 측정하기 위한 모션감지센서로 이루어지는 외부센서모듈이 포함되고, 상기 알림경보부는 상시에는 광고가 재생되고, 상기 외부센서모듈에 의해 수면의 높이가 소정 높이로 감지되고 상기 판감지센서에 의해 상기 차수부의 높이 변화가 발생되면 소정의 위험 신호를 알리기 위한 색상으로 변환되는 LED전광판 및 상기 LED전광판과 함께 소정의 볼륨으로 주위로 위험 신호를 전파하기 위한 스피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음으로, 상기 판마그네틱은 상기 하부판 및 상기 중간판 사이에 마련되는 제1마그네틱, 및 상기 중간판 및 상기 상부판 사이에 마련되는 제2마그네틱으로 구분되고, 상기 제2마그네틱은 상기 제1마그네틱보다 소정 크기 강력한 자력을 갖는 자성체로 이루어짐으로써, 상기 높이조절부에 의해 상기 차수부가 상승될 때 상기 하부판과 상기 중간판이 중첩된 부분이 먼저 분리되고, 상기 중간판과 상기 상부판이 중첩된 부분이 나중에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음으로, 상기 가이드레일은 상기 하부판이 왕복이동 하기 위한 제1레일, 상기 중간판이 왕복이동 하기 위한 제2레일 및 상기 하부판이 왕복이동 하기 위한 제3레일으로 구분되고, 상기 제1레일, 상기 제2레일 및 상기 제3레일은 바닥면으로부터 동일한 위치에서 출발되는 형태로 이루어지되, 상기 제2레일은 상기 제1레일보다 길고 상기 제3레일보다 짧은 길이로 이루어져, 상기 하부판, 상기 중간판 및 상기 상부판이 동시에 상승하다가, 상기 하부판은 상기 제1레일의 상단에 걸려 가장 먼저 고정되고, 상기 중간판은 상기 제2레일의 상단에 걸려 다음으로 고정되며, 상기 상단판은 상기 제3레일의 상단에 마지막으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음으로, 상기 차수판 구조물에는 상기 차수부가 완전히 상승했을 때, 상기 차수부의 내측에 임의 물체를 감지하기 위한 내부센서 및 상기 내부센서에 의해 임의 물체가 감지되었을때, 상기 차수부 바깥쪽으로 구조하기 위해 발동되는 비상탈출부재가 더 포함되고, 상기 비상탈출부재에는 상기 중간판의 일측에 결합되는 사다리회전힌지, 상기 사다리회전힌지를 중심으로 회전가능하도록 연결되되, 상기 중간판으로부터 상기 상부판이 돌출된 길이만큼의 두께를 갖는 소정의 사다리로 이루어지는 플랩사다리, 상기 플랩사다리가 상기 차수부에 고정된 상태를 유지시키기 위한 제1고정모듈 및 상기 플랩사다리가 펼쳐진 상태를 유지시키기 위한 제2고정모듈이 포함되고, 상기 제1고정모듈에는 상기 플랩사다리의 내측에 마련되는 소정의 자성체로 이루어져, 상기 플랩사다리가 상기 차수부와 소정의 자력에 의한 결합관계를 유지시키는 사다리마그네틱, 상기 플랩사다리와 상기 차수부 사이에 마련된 소정의 탄성체로써, 상기 플랩사다리가 상기 차수부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작용시키는 탄성부재, 바닥면에서 상기 플랩사다리와 접하는 위치에 소정 깊이로 함몰된 형태로 마련된 고정쇠홈, 상기 고정쇠홈에 돌기 형태로 마련되어, 상기 플랩사다리의 일측이 걸리는 고정력을 제공하고, 상기 제어부의 작동 신호에 의해 상기 고정쇠홈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걸리는 고정력이 제거되는 사다리고정쇠,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음으로, 상기 가이드레일은 지하철 역사 외부 출입구 기둥에 내측으로 소정 깊이 함몰된 형태와, 상기 차수부재의 내측으로 소정 길이 돌출된 형태로 구분되며, 상기 기밀부재는 상기 가이드레일 중에서 상기 차수부재 내측으로 소정 길이 돌출된 형태를 감싸는 형태로 이루어진 갈고리실링, 상기 갈고리실링의 일측으로 연장하여 형성되되, 90도 각도로 꺾이는 형태로 연장하여 형성되는 플랜지실링 및 상기 갈고리실링의 타측으로 연장하여 형성되되, 90도 각도로 꺾이는 형태로 연장하여 형성되는 외부실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차수판 구조물은 최근 지구온난화로 인한 기상변화로 빈번히 발생하는 집중호우에 대비하기 위한 것으로써, 현재 수동차수시설이 홍수 발생 시 시간적 어려움으로 인해 대피에 제약이 생기는 것을 극복하여, 자동차수시설을 설치하여 빠르고 안전한 대피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역사로 유입되는 물길을 신속하게 차단하여 침수 방지를 돕고, 빠른 대피를 통해 승객의 안전을 강화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일 실시예에 따른 차수판 구조물을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차수부재가 각각의 가이드레일과 결합된 상태를 확대하여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기밀부재가 가이드레일과 결합된 상태를 확대하여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수판 구조물을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베이스부를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비상탈출부재를 나타낸 것이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실시예들에는 다양한 변경이 가해질 수 있어서 특허출원의 권리 범위가 이러한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들에 대한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이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실시예들에 대한 특정한 구조적 또는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예시를 위한 목적으로 개시된 것으로서, 다양한 형태로 변경되어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실시예들은 특정한 개시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명세서의 범위는 기술적 사상에 포함되는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한다.
제1 또는 제2 등의 용어를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이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해석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실시예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설명을 목적으로 사용된 것으로, 한정하려는 의도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실시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별도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에 개시된 형상, 크기, 비율, 각도, 개수 등은 예시적인 것이므로 본 발명이 도시된 사항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명세서 상에서 언급된 '포함한다', '갖는다', '이루어진다' 등이 사용되는 경우 '~만'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다른 부분이 추가될 수 있다. 구성 요소를 단수로 표현한 경우에 특별히 명시적인 기재 사항이 없는 한 복수를 포함하는 경우를 포함한다.
구성 요소를 해석함에 있어서, 별도의 명시적 기재가 없더라도 오차 범위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한다.
위치 관계에 대한 설명일 경우, 예를 들어, '~상에', '~상부에', '~하부에', '~옆에' 등으로 두 부분의 위치 관계가 설명되는 경우, '바로' 또는 '직접'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두 부분 사이에 하나 이상의 다른 부분이 위치할 수도 있다.
소자(elements) 또는 층이 다른 소자 또는 층"위(on)"로 지칭되는 것은 다른 소자 바로 위에 또는 중간에 다른 층 또는 다른 소자를 개재한 경우를 모두 포함한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시된 것이며, 본 발명이 도시된 구성의 크기 및 두께에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들의 각각 특징들이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서로 결합 또는 조합 가능하며, 당업자가 충분히 이해할 수 있듯이 기술적으로 다양한 연동 및 구동이 가능하며, 각 실시예들이 서로에 대하여 독립적으로 실시 가능할 수도 있고 연관 관계로 함께 실시 가능할 수도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일 실시예에 따른 차수판 구조물을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차수부재가 각각의 가이드레일과 결합된 상태를 확대하여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기밀부재가 가이드레일과 결합된 상태를 확대하여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수판 구조물을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베이스부를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비상탈출부재를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차수판 구조물은 직육면체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상부는 개구된 형태이고, 지하철 역사 외부 출입구측에 바닥면과 수평을 이루도록 매립 설치되는 베이스부(100), 직육면체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베이스부(100)의 개구된 부분을 통해 삽입설치되는 차수부(200), 상기 베이스부(100)에 삽입된 상기 차수부(200)를 바닥면으로부터 소정의 높이를 갖도록 조절시키기 위한 높이조절부(300) 및 상기 높이조절부(300)에 의해 상기 차수부(200)가 승하강하도록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4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음으로, 상기 차수판 구조물에는 상기 차수부(200)가 상기 높이조절부(300)에 의해 높이가 조절되되, 일정한 경로에서 왕복 이동되도록 하기 위한 가이드부(500), 상기 제어부(400)가 상기 차수부(200)를 승하강시키도록 제어하기 위한 신호를 제공하는 센서부(600) 및 상기 차수부(200)의 작동 여부에 대한 알림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알림경보부(741)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부(100)에는 직육면체 형상의 개구된 형태를 커버하기 위한 커버부재(111), 상기 커버부재(111)를 회동시키기 위한 것으로써, 상기 직육면체 형상 및 상기 커버부재(111)가 공유하는 하나의 축에 설치되는 커버힌지(112) 및 상기 커버부재(111)의 하부면에 마련되는 자성체로써, 상기 차수부(200)의 상부면과 소정의 자력으로 결합관계를 형성시키는 커버마그네틱(113)이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차수부(200)에는 하부판(211), 중간판(212) 및 상부판(213)으로 분절된 판이 하나로 연결된 형태로써, 상기 상부판(213)이 상기 높이조절부(300)에 의해 끌어올려지면 상기 상부판(213)에 차례로 연결된 중간판(212) 및 하부판(211)도 함께 끌어올려지도록 이루어진 차수부재(210), 상기 하부판(211)과 상기 중간판(212)의 사이 및 상기 중간판(212)과 상기 상부판(213) 사이에 각각 마련된 자성체로써,
상호간 소정의 자력으로 결합관계를 형성시키는 판마그네틱(220) 및 상기 차수부재(210) 사이와 상기 차수부재(210)외 외부와 발생되는 공간에 마련되는 것으로써,
상기 차수부재(210) 사이를 통해 외부로부터 역사 안으로 이물질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기밀부재(230)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직육면체 형상의 측벽(120)의 높이는 상기 차수부재(210)의 하부판(211), 중간판(212) 및 상부판(213)이 모두 중첩된 상태의 높이 및 상기 커버부재(111)의 높이의 합과 동일한 높이로 형성되도록 하여, 바닥면과 상기 커버부재(111)가 동일 높이에 위치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높이조절부(300)에는 일측이 상기 상부판(213)의 최상단에 위치한 고정점(330)에 연결된 체인모듈(320) 및 상기 체인모듈(320)을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모듈(310)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부(500)는 상기 차수부재(210)의 양측에 소정 길이로 돌출된 형태로 이루어진 가이드핀(510) 및 지하철 역사 외부 출입구 기둥에 내측으로 소정 깊이 함몰된 형태로 이루어진 가이드레일(520)을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핀(510)은 상기 가이드레일(520)을 따라서 상기 높이조절부(300)에 의해서 상하 왕복이동되고, 상기 센서부(600)에는 수면의 높이를 측정하기 위한 수위감지센서, 상기 차수부(200)의 상승 높이를 측정하기 위한 판감지센서 및 지하철 역사 출입구 근처의 유동 인구를 측정하기 위한 모션감지센서로 이루어지는 외부센서모듈(610)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알림경보부(741)는 상시에는 광고가 재생되고, 상기 외부센서모듈(610)에 의해 수면의 높이가 소정 높이로 감지되고 상기 판감지센서에 의해 상기 차수부(200)의 높이 변화가 발생되면 소정의 위험 신호를 알리기 위한 색상으로 변환되는 LED전광판(742) 및 상기 LED전광판(742)과 함께 소정의 볼륨으로 주위로 위험 신호를 전파하기 위한 스피커(74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음으로, 상기 판마그네틱(220)은 상기 하부판(211) 및 상기 중간판(212) 사이에 마련되는 제1마그네틱(221), 및 상기 중간판(212) 및 상기 상부판(213) 사이에 마련되는 제2마그네틱(222)으로 구분되고, 상기 제2마그네틱(222)은 상기 제1마그네틱(221)보다 소정 크기 강력한 자력을 갖는 자성체로 이루어짐으로써,
상기 높이조절부(300)에 의해 상기 차수부(200)가 상승될 때 상기 하부판(211)과 상기 중간판(212)이 중첩된 부분이 먼저 분리되고, 상기 중간판(212)과 상기 상부판(213)이 중첩된 부분이 나중에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음으로, 상기 가이드레일(520)은 상기 하부판(211)이 왕복이동 하기 위한 제1레일(521), 상기 중간판(212)이 왕복이동 하기 위한 제2레일(522) 및 상기 하부판(211)이 왕복이동 하기 위한 제3레일(523)으로 구분되고, 상기 제1레일(521), 상기 제2레일(522) 및 상기 제3레일(523)은 바닥면으로부터 동일한 위치에서 출발되는 형태로 이루어지되, 상기 제2레일(522)은 상기 제1레일(521)보다 길고 상기 제3레일(523)보다 짧은 길이로 이루어져, 상기 하부판(211), 상기 중간판(212) 및 상기 상부판(213)이 동시에 상승하다가, 상기 하부판(211)은 상기 제1레일(521)의 상단에 걸려 가장 먼저 고정되고, 상기 중간판(212)은 상기 제2레일(522)의 상단에 걸려 다음으로 고정되며, 상기 상단판은 상기 제3레일(523)의 상단에 마지막으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음으로, 상기 차수판 구조물에는 상기 차수부(200)가 완전히 상승했을 때, 상기 차수부(200)의 내측에 임의 물체를 감지하기 위한 내부센서 및 상기 내부센서에 의해 임의 물체가 감지되었을때, 상기 차수부(200) 바깥쪽으로 구조하기 위해 발동되는 비상탈출부재(700)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비상탈출부재(700)에는 상기 중간판(212)의 일측에 결합되는 사다리회전힌지(720), 상기 사다리회전힌지(720)를 중심으로 회전가능하도록 연결되되, 상기 중간판(212)으로부터 상기 상부판(213)이 돌출된 길이만큼의 두께를 갖는 소정의 사다리로 이루어지는 플랩사다리(710), 상기 플랩사다리(710)가 상기 차수부(200)에 고정된 상태를 유지시키기 위한 제1고정모듈(730) 및 상기 플랩사다리(710)가 펼쳐진 상태를 유지시키기 위한 제2고정모듈(740)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제1고정모듈(730)에는 상기 플랩사다리(710)의 내측에 마련되는 소정의 자성체로 이루어져, 상기 플랩사다리(710)가 상기 차수부(200)와 소정의 자력에 의한 결합관계를 유지시키는 사다리마그네틱(731), 상기 플랩사다리(710)와 상기 차수부(200) 사이에 마련된 소정의 탄성체로써, 상기 플랩사다리(710)가 상기 차수부(20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작용시키는 탄성부재(732), 바닥면에서 상기 플랩사다리(710)와 접하는 위치에 소정 깊이로 함몰된 형태로 마련된 고정쇠홈(734), 상기 고정쇠홈(734)에 돌기 형태로 마련되어, 상기 플랩사다리(710)의 일측이 걸리는 고정력을 제공하고, 상기 제어부(400)의 작동 신호에 의해 상기 고정쇠홈(734)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걸리는 고정력이 제거되는 사다리고정쇠(733),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음으로, 상기 가이드레일(520)은 지하철 역사 외부 출입구 기둥에 내측으로 소정 깊이 함몰된 형태와, 상기 차수부재(210)의 내측으로 소정 길이 돌출된 형태로 구분되며, 상기 기밀부재(230)는 상기 가이드레일(520) 중에서 상기 차수부재(210) 내측으로 소정 길이 돌출된 형태를 감싸는 형태로 이루어진 갈고리실링(232), 상기 갈고리실링(232)의 일측으로 연장하여 형성되되, 90도 각도로 꺾이는 형태로 연장하여 형성되는 플랜지실링(231) 및 상기 갈고리실링(232)의 타측으로 연장하여 형성되되, 90도 각도로 꺾이는 형태로 연장하여 형성되는 외부실링(23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제어부(400)에는 본 발명에 따른 차수판 구조물을 작동시키기 위한 물리버튼 및 전기통신을 이용한 제어 신호 수신기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물리버튼은 지하철 역사 외부 출입구 기둥의 일측 또는 양측에 마련될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물리버튼을 조작함으로써, 상기 차수부재(210)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자세하게는, 상기 물리버튼을 조작함으로써, 상기 하부판(211), 상기 중간판(212) 및 상기 상부판(213)을 동시에 움직이도록 하거나, 각각 움직이도록 하여 상황에 따라 다양한 높이에서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한 특징이 있다.
또한, 상기 제어 신호 수신기는 관제실에서 사용자의 모바일기기로 작동시키거나, CCTV를 통해서 현장 상황을 판단한 후에 원격으로 제어하기 위한 것으로써, 위급한 상황에서도 현장에 출동하여 대처하는 것이 아니라, 실시간으로 빠른 대처가 가능하도록 한 특징이 있다. 위와 같이 원격으로 제어하는 경우에도 상기 하부판(211), 상기 중간판(212) 및 상기 상부판(213)을 동시에 움직이도록 하거나, 각각 움직이도록 하여 상황에 따라 다양한 높이에서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다.
여기서, 위와 같은 높이 조절은 1단(30cm), 2단(60cm) 및 3단(100cm)으로 구간을 나누어 정의될 수 있다. 특히, 1단(30cm)이하로 설정되는 경우는 통행가능한 수준의 높이로 설정한 것으로써, 이동 및 대피가 필요한 경우에 용이하게 이동가능하도록 하기 위하여 설정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로 국한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100 : 베이스부
111 : 커버부재
112 : 커버힌지
113 : 커버마그네틱
120 : 측벽
200 : 차수부
210 : 차수부재
211 : 하부판
212 : 중간판
213 : 상부판
220 : 판마그네틱
221 : 제1마그네틱
222 : 제2마그네틱
230 : 기밀부재
231 : 플랜지실링
232 : 갈고리실링
233 : 외부실링
300 : 높이조절부
310 : 구동모듈
320 : 체인모듈
330 : 고정점
400 : 제어부
500 : 가이드부
510 : 가이드핀
520 : 가이드레일
521 : 제1레일
522 : 제2레일
523 : 제3레일
600 : 센서부
610 : 외부센서모듈
620 : 내부센서모듈
700 : 비상탈출부재
710 : 플랩사다리
720 : 사다리회전힌지
730 : 제1고정모듈
731 : 사다리마그네틱
732 : 탄성부재
733 : 사다리고정쇠
734 : 고정쇠홈
740 : 제2고정모듈
741 : 알림경보부
742 : LED전광판
743 : 스피커

Claims (3)

  1. 직육면체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상부는 개구된 형태이고, 지하철 역사 외부 출입구측에 바닥면과 수평을 이루도록 매립 설치되는 베이스부;
    직육면체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베이스부의 개구된 부분을 통해 삽입설치되는 차수부;
    상기 베이스부에 삽입된 상기 차수부를 바닥면으로부터 소정의 높이를 갖도록 조절시키기 위한 높이조절부;
    상기 높이조절부에 의해 상기 차수부가 승하강하도록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
    상기 차수부가 상기 높이조절부에 의해 높이가 조절되되, 일정한 경로에서 왕복 이동되도록 하기 위한 가이드부;
    상기 제어부가 상기 차수부를 승하강시키도록 제어하기 위한 신호를 제공하는 센서부; 및
    상기 차수부의 작동 여부에 대한 알림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알림경보부;를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부에는,
    직육면체 형상의 개구된 형태를 커버하기 위한 커버부재;
    상기 커버부재를 회동시키기 위한 것으로써, 상기 직육면체 형상 및 상기 커버부재가 공유하는 하나의 축에 설치되는 커버힌지; 및
    상기 커버부재의 하부면에 마련되는 자성체로써, 상기 차수부의 상부면과 소정의 자력으로 결합관계를 형성시키는 커버마그네틱;이 더 포함되고,
    상기 차수부에는,
    하부판, 중간판 및 상부판으로 분절된 판이 하나로 연결된 형태로써, 상기 상부판이 상기 높이조절부에 의해 끌어올려지면 상기 상부판에 차례로 연결된 중간판 및 하부판도 함께 끌어올려지도록 이루어진 차수부재;
    상기 하부판과 상기 중간판의 사이 및 상기 중간판과 상기 상부판 사이에 각각 마련된 자성체로써, 상호간 소정의 자력으로 결합관계를 형성시키는 판마그네틱; 및
    상기 차수부재의 사이 및 상기 차수부재의 외부와 발생되는 공간에 마련되는 것으로써, 상기 차수부재 사이를 통해 외부로부터 역사 안으로 이물질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기밀부재;가 포함되고,
    상기 직육면체 형상의 측벽의 높이는 상기 차수부재의 하부판, 중간판 및 상부판이 모두 중첩된 상태의 높이 및 상기 커버부재의 높이의 합과 동일한 높이로 형성되도록 하여, 바닥면과 상기 커버부재가 동일 높이에 위치되도록 하고,
    상기 높이조절부에는,
    일측이 상기 상부판의 최상단에 위치한 고정점에 연결된 체인모듈; 및
    상기 체인모듈을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모듈;이 포함되고,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차수부재의 양측에 소정 길이로 돌출된 형태로 이루어진 가이드핀; 및
    지하철 역사 외부 출입구 기둥에 내측으로 소정 깊이 함몰된 형태로 이루어진 가이드레일;을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핀은 상기 가이드레일을 따라서 상기 높이조절부에 의해서 상하 왕복이동되고,
    상기 센서부에는,
    수면의 높이를 측정하기 위한 수위감지센서, 상기 차수부의 상승 높이를 측정하기 위한 판감지센서 및 지하철 역사 출입구 근처의 유동 인구를 측정하기 위한 모션감지센서로 이루어지는 외부센서모듈;이 포함되고,
    상기 알림경보부는,
    상시에는 광고가 재생되고, 상기 외부센서모듈에 의해 수면의 높이가 소정 높이로 감지되고 상기 판감지센서에 의해 상기 차수부의 높이 변화가 발생되면 소정의 위험 신호를 알리기 위한 색상으로 변환되는 LED전광판; 및
    상기 LED전광판과 함께 소정의 볼륨으로 주위로 위험 신호를 전파하기 위한 스피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수판 구조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판마그네틱은,
    상기 하부판 및 상기 중간판 사이에 마련되는 제1마그네틱; 및
    상기 중간판 및 상기 상부판 사이에 마련되는 제2마그네틱;으로 구분되고,
    상기 제2마그네틱은 상기 제1마그네틱보다 소정 크기 강력한 자력을 갖는 자성체로 이루어짐으로써, 상기 높이조절부에 의해 상기 차수부가 상승될 때 상기 하부판과 상기 중간판이 중첩된 부분이 먼저 분리되고, 상기 중간판과 상기 상부판이 중첩된 부분이 나중에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수판 구조물.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레일은,
    상기 하부판이 왕복이동 하기 위한 제1레일;
    상기 중간판이 왕복이동 하기 위한 제2레일; 및
    상기 하부판이 왕복이동 하기 위한 제3레일;으로 구분되고,
    상기 제1레일, 상기 제2레일 및 상기 제3레일은 바닥면으로부터 동일한 위치에서 출발되는 형태로 이루어지되, 상기 제2레일은 상기 제1레일보다 길고 상기 제3레일보다 짧은 길이로 이루어져,
    상기 하부판, 상기 중간판 및 상기 상부판이 동시에 상승하다가, 상기 하부판은 상기 제1레일의 상단에 걸려 가장 먼저 고정되고, 상기 중간판은 상기 제2레일의 상단에 걸려 다음으로 고정되며, 상기 상부판은 상기 제3레일의 상단에 마지막으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수판 구조물.
KR1020240045110A 2024-04-03 2024-04-03 차수판 구조물 KR1026711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40045110A KR102671196B1 (ko) 2024-04-03 2024-04-03 차수판 구조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40045110A KR102671196B1 (ko) 2024-04-03 2024-04-03 차수판 구조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71196B1 true KR102671196B1 (ko) 2024-05-30

Family

ID=912754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40045110A KR102671196B1 (ko) 2024-04-03 2024-04-03 차수판 구조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71196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54924Y1 (ko) 2001-08-21 2001-11-27 임당산업 주식회사 지하도 출입구의 물막이장치
KR200361551Y1 (ko) 2003-10-15 2004-09-14 홍 대 박 연결식침수방지장치
KR100487672B1 (ko) 2002-09-24 2005-05-03 (주)신성엔지니어링 지하철 외부 출입구 차수판
KR101325480B1 (ko) 2012-01-27 2013-11-07 서울메트로 지하철 및 건물 외부 출입구용 차수판
KR102512735B1 (ko) * 2022-10-21 2023-03-23 주식회사 종합건축사사무소 림 공동주택 건축물의 지하주차장 우수유입 방지 장치의 시공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54924Y1 (ko) 2001-08-21 2001-11-27 임당산업 주식회사 지하도 출입구의 물막이장치
KR100487672B1 (ko) 2002-09-24 2005-05-03 (주)신성엔지니어링 지하철 외부 출입구 차수판
KR200361551Y1 (ko) 2003-10-15 2004-09-14 홍 대 박 연결식침수방지장치
KR101325480B1 (ko) 2012-01-27 2013-11-07 서울메트로 지하철 및 건물 외부 출입구용 차수판
KR102512735B1 (ko) * 2022-10-21 2023-03-23 주식회사 종합건축사사무소 림 공동주택 건축물의 지하주차장 우수유입 방지 장치의 시공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554664B (zh) 防洪閘門
US9752342B2 (en) Flood protection for underground air vents
KR20210011862A (ko) 자동제어식 터널진입 차단장치
JP4609955B1 (ja) 津波シェルター
US20140230328A1 (en) Flap gate-type waterproof panel for wall installation
CN104989148B (zh) 室内外地下底坑设备的积水避让系统及方法
JP2008019008A (ja) 乗客コンベアの表示装置
CN110924358B (zh) 一种基于物联网控制的建筑地库自动防洪警戒系统
JP5416292B1 (ja) フロート式止水扉
KR102671196B1 (ko) 차수판 구조물
KR101246249B1 (ko) 충격을 흡수하는 가변형 안전 볼라드
JP2013076271A (ja) 避難用建物
JP2013142237A (ja) 避難シェルター
KR100629620B1 (ko) 과속방지 및 정보제공용 차량차단기
JP5637414B1 (ja) 津波等災害シェルター
JP2014141877A (ja) 建物のバルコニー構造
GB2477365A (en) Flood barrier
JP5823893B2 (ja) エレベーターの乗場止水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エレベーターシステム
JP4397846B2 (ja) Lrt・バス複合交通システム用停留所
KR101718635B1 (ko) 복수개의 볼라드를 선택적으로 구동할 수 있는 상하 이동식 스마트 볼라드 시스템
ES2920356T3 (es) Persiana enrollable estanca y procedimiento de protección contra inundaciones
EP3318712B1 (en) Improved, vertically-slidable window
WO2009064216A1 (fr) Systeme de levage pour entretien de structures elevees
KR102355534B1 (ko) 진출입로 차단장치
ES1253691U (es) Estructura de proteccion de puertas de acceso a locales en planta baja o sotano ante inundacion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