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68364B1 - 복수개의 선별링이 적층된 스크린을 포함하는 해태원초의 이물질 선별장치 - Google Patents

복수개의 선별링이 적층된 스크린을 포함하는 해태원초의 이물질 선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68364B1
KR102668364B1 KR1020230076302A KR20230076302A KR102668364B1 KR 102668364 B1 KR102668364 B1 KR 102668364B1 KR 1020230076302 A KR1020230076302 A KR 1020230076302A KR 20230076302 A KR20230076302 A KR 20230076302A KR 102668364 B1 KR102668364 B1 KR 1026683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ng
frame
sorting
screen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763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126677A (ko
Inventor
임준
Original Assignee
(주)늘푸른나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늘푸른나무 filed Critical (주)늘푸른나무
Priority to KR10202300763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68364B1/ko
Publication of KR202301266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266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683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683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NMACHINES OR APPARATUS FOR TREATING HARVESTED FRUIT, VEGETABLES OR FLOWER BULBS IN BULK, NOT OTHERWISE PROVIDED FOR; PEELING VEGETABLES OR FRUIT IN BULK; APPARATUS FOR PREPARING ANIMAL FEEDING- STUFFS
    • A23N12/00Machines for cleaning, blanching, drying or roasting fruits or vegetables, e.g. coffee, cocoa, nuts
    • A23N12/02Machines for cleaning, blanching, drying or roasting fruits or vegetables, e.g. coffee, cocoa, nuts for washing or blanching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44/00Harvesting of underwater plants, e.g. harvesting of seaweed
    • A01D44/02Harvesting of underwater plants, e.g. harvesting of seaweed of laver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7/00Food-from-the-sea products; Fish products; Fish meal; Fish-egg substitut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7/60Edible seaweed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5/00Preparation or treatment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Food or foodstuffs obtained thereby; Materials therefor
    • A23L5/20Removal of unwanted matter, e.g. deodorisation or detoxificatio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NMACHINES OR APPARATUS FOR TREATING HARVESTED FRUIT, VEGETABLES OR FLOWER BULBS IN BULK, NOT OTHERWISE PROVIDED FOR; PEELING VEGETABLES OR FRUIT IN BULK; APPARATUS FOR PREPARING ANIMAL FEEDING- STUFFS
    • A23N15/00Machines or apparatus for other treatment of fruits or vegetables for human purposes; Machines or apparatus for topping or skinning flower bulb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00Sieving, screening, sift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using networks, gratings, grid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00Sieving, screening, sift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using networks, gratings, grids, or the like
    • B07B1/18Drum scree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31Mechanical treatment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Combined Means For Separation Of Solids (AREA)

Abstract

복수개의 선별링이 적층된 스크린의 표면이 매끄럽고, 이물질이 선별 및 제거된 해태원초를 충분하게 획득하며, 해태원초의 통로를 효율적으로 확보할 수 있는 복수개의 선별링을 포함하는 해태원초의 이물질 선별장치를 제시한다. 그 장치는 해태원초가 통과하고 이물질을 선별 및 제거하기 위한 다수의 틈새를 이루며 적층된 복수개의 선별링을 포함하는 스크린을 포함하고, 선별링은 틈새를 형성하기 위한 스페이서가 삽입되는 링고정부를 포함하고, 틈새는 링고정부 사이에 위치하며, 링고정부는 간격(D)만큼 이격되어서 서로 엇갈리게 배치된 체결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복수개의 선별링이 적층된 스크린을 포함하는 해태원초의 이물질 선별장치{Apparatus of removing foreign substance of laver having screen layered multiple sorting ring}
본 발명의 해태원초의 이물질 선별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복수개의 선별링이 적층된 스크린을 이용하여 해태원초에 포함된 이물질을 선별 및 제거하여, 이물질이 제거된 해태원초를 얻기 위한 이물질 선별장치에 관한 것이다.
김은 해조류의 한 종류이며, 단백질, 미네랄, 비타민 등의 함량이 높고 맛이 좋아서, 세계적으로 널리 소비되고 있다. 김은 주로 사각 형태로 성형되고 건조되어 유통되며, 건조 김 또는 구은 김 상태로 판매되고 있다. 건조 김은 세척공정을 통해 이물질이 선별 및 제거되고 작은 크기로 세절된 후 원초를 발장 위에 펼쳐놓고 성형하여 제조된다. 건조 김을 제조하는 과정에서, 해태를 양식할 때 사용되었던 로프, 갑각류의 껍질, 새우충, 규조류 등과 같은 각종 이물질을 해태원초로부터 선별 및 제거하는 작업이 필수적이다. 이러한 이물질이 건조 김에 그대로 방치되면, 불량률이 증가하고 소비자의 건강을 위협한다. 이물질을 선별 및 제거하기 위하여, 해태원초는 통과하고 이물질이 차단되는 틈새를 가진 이물질 선별장치가 사용된다.
국내등록특허 제10-2188048호, 국내공개특허 제2021-0017967호 등에서, 틈새를 제공하는 선별링이 적층된 스크린을 활용하는 방식이 제시되고 있다. 한편, 틈새에는 해태원초의 끈적거림에 의하여 해태원초가 응집되어, 상기 틈새로 해태원초가 원활하게 통과하지 못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칼날이 장착된 원초처리기를 배치되어, 스크린 또는 원초처리기의 회전을 이용하여 해태원초의 응집을 해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런데, 종래의 방식은 스크린의 표면이 돌출되어, 회전을 이용하여 해태원초의 응집을 해체할 수 없다. 이에 따라, 복수개의 선별링이 적층된 스크린의 표면이 매끄러워야 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복수개의 선별링이 적층된 스크린의 표면이 매끄럽고, 이물질이 선별 및 제거된 해태원초를 충분하게 획득하며, 해태원초의 통로를 효율적으로 확보할 수 있는 복수개의 선별링을 포함하는 해태원초의 이물질 선별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복수개의 선별링이 적층된 스크린을 포함하는 해태원초의 이물질 선별장치의 하나의 사례는 해태원초가 통과하고 이물질을 선별 및 제거하기 위한 다수의 틈새를 이루며 적층된 복수개의 선별링을 포함하는 스크린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선별링은 상기 틈새를 형성하기 위한 스페이서가 삽입되는 링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틈새는 상기 링고정부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링고정부는 간격(D)만큼 이격되어서 서로 엇갈리게 배치된 체결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장치에 있어서, 상기 선별링은 상부링, 중간링 및 하부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상부링과 상기 중간링은 제1 체결부에 의해 결합되고, 상기 중간링과 상기 중간링 및 상기 중간링과 하부링은 제2 체결부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체결부는 상기 중간링의 일부가 함몰된 제1 및 제2 체결홈에 체결될 수 있다. 상기 선별링은 표면이 구면 또는 비구면의 곡면을 이룰 수 있다. 상기 스크린의 표면에는 상기 스크린의 폭방향에 대하여 상하로 수직하게 연장된 단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장치에 있어서, 상기 선별링은 마감부에 의해 마감되고, 상기 마감부의 단부는 가이드부에 향하여 돌출되며, 상기 마감부의 단부는 상기 가이드부의 가이드홈을 따라 회전할 수 있다. 상기 마감부의 외측에는 상기 가이드부 사이에 오링이 장착되고, 상기 오링은 상기 마감부와 함께 회전할 수 있다. 상기 오링은 불소고무 재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가이드부는 테프론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장치에 있어서, 상기 마감부의 외측에는 상기 마감부에 근접하거나 밀착되는 디스크링 형태의 차단링이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차단링은 제3 프레임과 가이드 본체 사이에 삽입되고, 고정볼트는 상기 제3 프레임과 상기 차단링을 관통하여 상기 가이드 본체에 고정되며, 상기 고정볼트와 상기 제3 프레임 및 상기 차단링과의 제1 사이 및 상기 제3 프레임과의 제2 사이에는 제1 유동갭이 존재할 수 있다. 상기 차단링은 제3 프레임과 가이드 본체 사이에 삽입되고, 고정볼트는 상기 제3 프레임, 상기 차단링 및 상기 가이드 본체를 관통하여 제2 프레임에 고정되며, 상기 고정볼트와 상기 제3 프레임, 상기 차단링 및 상기 가이드 본체와의 제3 사이 및 상기 제3 프레임과의 제2 사이에는 제2 유동갭이 존재할 수 있다. 상기 차단링은 제3 프레임과 가이드 본체 사이에 삽입되고, 고정볼트는 상기 제3 프레임과 상기 차단링을 관통하여 제2 프레임에 고정되며, 상기 고정볼트와 상기 제3 프레임 및 상기 차단링과의 제1 사이 및 상기 제3 프레임과의 제2 사이에는 제3 유동갭이 존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복수개의 선별링이 적층된 스크린을 포함하는 해태원초의 이물질 선별장치에 의하면, 선별링을 엇갈리게 결합하는 링고정부를 적용함으로써, 복수개의 선별링이 적층된 스크린의 표면이 매끄럽고, 이물질이 선별 및 제거된 해태원초를 충분하게 획득하며, 해태원초의 통로를 효율적으로 확보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이물질 선별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제1 스크린을 설명하기 위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링고정부를 나타내는 부분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가이드부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가이드부의 변형예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칼날에 부착된 해태원초를 분리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제2 스크린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의 링고정부를 나타내는 부분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제3 스크린을 설명하기 위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9의 선별링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음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술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도면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과장되게 표현하였다. 한편, 상부, 하부, 정면 등과 같이 위치를 지적하는 용어들은 도면에 나타낸 것과 관련될 뿐이다. 실제로, 선별장치는 임의의 선택적인 방향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실제 사용할 때 공간적인 방향은 선별장치의 방향 및 회전에 따라 변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선별링을 엇갈리게 결합하는 링고정부를 적용함으로써, 복수개의 선별링이 적층된 스크린의 표면이 매끄럽고, 이물질이 선별 및 제거된 해태원초를 충분하게 획득하며, 해태원초의 통로를 효율적으로 확보할 수 있는 해태원초의 이물질 선별장치를 제시한다. 이를 위해, 링고정부에 대하여 자세하게 알아보고, 상기 링고정부에 의해 제작된 스크린의 특징을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해태원초에 포함된 이물질은 해태를 양식할 때 사용되었던 로프, 갑각류의 껍질, 새우충, 규조류, 선별기에서 파생된 실오라기 등과 같은 것으로, 발생하는 원인은 매우 다양하다. 이물질의 선별은 해태원초에 존재하는 이물질이 제거하기 위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이물질 선별장치(100)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다만, 엄밀한 의미의 도면을 표현한 것이 아니며,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면에 나타나지 않은 구성요소가 있을 수 있다.
도 1에 의하면, 이물질 선별장치(100)는 제1 스크린(10) 및 원초처리기(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제1 스크린(10)이 회전하면 원초처리기(50)가 장착된 제2 프레임(44)은 고정되고, 제1 스크린(10)이 고정되면 원초처리기(50)가 장착된 제2 프레임(44)은 회전한다. 도면에서는 제1 스크린(10)이 회전하는 사례를 들었다. 제1 스크린(10)은 원통 형태가 바람직하며, 제1 스크린(10)은 덮개(40)에 고정되며, 덮개(40)의 상부에는 교반기(41)가 장착된다. 제1 스크린(10)과 덮개(40) 사이에 제1 스크린(10) 내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투명창(20)이 존재할 수 있다. 제1 스크린(10), 덮개(40) 및 교반기(41)는 일체가 되어, 회전축(42)에 의해 회전된다.
제1 스크린(10), 덮개(40) 및 교반기(41)는 일체가 되어, 회전축(42)에 의해 회전된다. 회전축(42)의 회전력은 밑판(60)의 하부에 배치된 구동모터(63)에 의해 제공된다. 구동모터(63)는 모터지지대(64)에 장착되고, 모터지지대(64)는 결합부(61)에 의해 밑판(60)에 연결된다. 일체화된 제1 스크린(10), 덮개(40) 및 교반기(41)는 구동모터(63)에 의해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제1 스크린(10)의 단부는 가이드부(30)에 삽입되어 회전한다.
교반기(41)는 해태원초와 함께 유입된 유입수를 휘젓기 위하여, 제1 스크린(10)의 외측에 배치된다. 바람직하게는, 교반기(41)는 회전축(42)과 함께 회전하여 상기 유입수를 휘젓는다. 상기 유입수를 휘저으면, 유입수의 해태원초가 아래로 가라앉거나 서로 뭉치지 않도록 하여 이물질을 선별하는 효율을 높인다. 이때, 교반기(41)의 날개의 형상은 휘젓는 본 발명의 목적에 적합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도면에서는 바람직한 교반기(41)의 사례 중의 하나를 제시하였다. 여기서는 판 형태의 날개를 제시하였으나, 보다 효과적으로 교반하도록 형상, 예컨대 굽어진 형상, 원형의 막대기 등을 가질 수 있다. 경우에 따라, 상황에 따라 교반기(41)을 적용하지 않을 수 있다.
원초처리기(50)는 처리기 본체(51), 거치대(52), 고정레버(53), 칼날고정부(54) 및 칼날(55)을 포함한다. 처리기 본체(51)는 내부의 홀에 삽입되는 거치대(52)에 거치되며, 고정레버(53)에 고정이 되기 이전에는 처리기 본체(51)는 회전이 가능하다. 고정레버(53)는 처리기 본체(51)를 거치대(52)에 고정시킨다. 고정레버(53)를 이용하여 고정을 해제하면, 처리기 본체(51)는 거치대(52)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칼날(55)은 칼날고정부(54)에 장착되며, 탄성체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해태원초는 자체의 끈적거림에 의하여 틈새(G)를 통과하지 못하고 틈새(G) 및 그 근처에 붙어있다. 붙어있는 해태원초에 주변의 해태원초가 계속 붙어서 응집이 일어난다. 칼날(55)은 제1 스크린(10) 표면에 밀착되어, 틈새(G)에 붙어있는 해태원초를 절단하여, 절단된 해태원초를 틈새(G)에 쉽게 통과시키고 이물질을 걸러낸다.
칼날(55)에 가해지는 압력은 원초처리기(50)의 회전에 따른 칼날(55)의 회전에 의해 조절된다. 예컨대, 원초처리기(50)를 제1 스크린(10)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칼날(55)에 가해지는 압력이 증가한다. 칼날(55)에 가해지는 압력은 해태원초 및 이물질에 대한 전단력과 연관된다. 즉, 상기 압력이 커지면 상기 전단력이 커지고, 상기 압력이 작아지면 상기 전단력이 작아진다. 원초처리기(50)의 회전은 수동으로 수행할 수도 있지만, 전기적 방식을 활용하여 자동으로 수행할 수 있다. 전기적 방식으로 자동으로 수행하는 방식은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스테핑 모터 등이 활용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원초처리기(50)를 회전시키는 방식은 본 발명의 범주 내에서 다양하게 수행될 수 있다.
칼날(55)의 전단력은 틈새(G) 및 그 주변에 부착된 해태원초가 분리되도록 한다. 칼날(55)의 전단력은 상기 해태원초는 절단하지만, 이물질은 절단하지 않는 정도로 조절된다. 실질적으로, 상기 해태원초의 절단은 끈적거림에 의해 뭉쳐있는 상기 해태원초 응집을 해체하는 것도 포함한다. 칼날(55)은 제1 스크린(10) 표면에 항상 밀착되어 있을 수도 있고, 필요한 경우에만 밀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틈새(G) 및 그 주변에 부착된 해태원초가 많아질 때에만, 칼날(55)을 제1 스크린(10) 표면에 밀착시킬 수 있다. 즉, 칼날(55)의 제1 스크린(10) 표면에 밀착은 연속적 또는 간헐적으로 이루어진다. 이물질이 선별 및 제거되면, 해태원초를 포함하는 배출수가 배출관(62)을 통하여 배출된다.
칼날(55) 모서리는 가이드부(30)에 대하여 수직하게 배치되는 것이 좋다. 제1 스크린(10)이 회전하면, 칼날(55) 모서리는 모든 틈새(G)를 접촉하면서 지나간다. 도면에서는, 칼날(55) 모서리는 굴곡이 존재하지 않는 평탄한 상태를 표현하였으나, 이물질을 선별 및 제거하는 효율을 높이기 위하여 별도의 굴곡이 존재할 수 있다. 한편, 이물질을 선별 및 제거하는 효율을 높이기 위해서, 제1 스크린(10) 표면은 돌출되지 않고 매끄러운 것이 바람직하다. 제1 스크린(10) 표면이 매끄러우면, 칼날(55)은 제1 스크린(10) 표면에 계속 밀착된다. 표면이 매끄러운 제1 스크린(10)에 대해서는 추후에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제1 스크린(10)의 표면에는 적어도 하나의 단턱(18)이 존재한다. 여기서는 하나의 단턱(18)을 사례로 들었다. 단턱(18)은 제2 프레임(44)에 대하여 수직하게 배열되는 것이 좋다. 즉, 제1 스크린(10)의 폭방향에서 상하로 연장된다. 칼날(55)은 탄성체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칼날(55)이 단턱(18)에 부딪히면 칼날(55)에 탄성진동을 유발한다. 단턱(18)은 칼날(55)과 제1 스크린(10) 사이에 뭉쳐서 부착된 이물질을 칼날(55)과 제1 스크린(10)으로부터 이탈 및 분리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에 대해서는, 추후에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제1 프레임(43)의 내측에는 제1 스크린(10)이 위치하며, 이물질 선별장치(100)에서 가이드부(30)의 구조적인 안정성을 높인다. 제1 프레임(43)은 일종의 와셔와 같은 역할을 한다. 경우에 따라, 구조적인 안정성을 해치지 않는다면, 제1 프레임(43)을 구비하지 않을 수 있다. 원초처리기(50)는 제2 프레임(44)에 고정되며, 제2 프레임(44)은 밑판(60)에 지지된다. 제2 프레임(44)은 가이드부(30)와 일체로 이루어진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원초처리기(50)가 밑판(60)에 지지되지 않고 제2 프레임(44)에 지지되면, 이물질을 선별 및 제거하는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원초처리기(50)의 흔들림을 방지하고, 원초처리기(50)와 제1 스크린(10)의 밀착에 대한 정밀도를 확보할 수 있다. 밑판(60)은 해태원초를 포함하는 유입수의 저장, 장치의 세정 등과 같은 동작을 수행하도록 설계되어 있다. 이에 따라, 밑판(60)은 상대적으로 얇아서 진동, 충격에 의한 흔들림에 취약하다. 그런데, 원초처리기(50)를 밑판(60)과 분리된 제2 프레임(44)에 탑재되면, 밑판(60)에 의한 흔들림을 차단할 수 있다. 밑판(60)에 의한 흔들림이 차단되면, 칼날(55)의 밀착도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이에 반해, 국내출원번호 제2021-0051706과 같이 밑판(101)에 원초처리기(50)가 장착되면, 밑판(101)의 흔들림으로 인하여 칼날(55)의 밀착도가 떨어진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제1 스크린(10)을 설명하기 위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링고정부(A)를 나타내는 부분단면도이며, 도 4는 가이드부(30)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고, 도 5는 가이드부(30)의 변형예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이때, 이물질 선별장치(100)는 도 1을 참조하기로 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선별링(11)의 개수는 도 1에 비하여 줄여서 표현하였고, 제1 및 제2 체결부(14, 17)는 도 3에서 나타내었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제1 스크린(10)은 복수개의 선별링(11)을 포함한다. 선별링(11)은 원형의 링(ring) 형태로써, 제1 프레임(43)을 기준으로 상부에 위치하는 상부링(11T), 하부에 위치하는 하부링(11B) 및 상부링(11T)과 하부링(11B) 사이에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의 중간링(11C)으로 구분된다. 하부링(11B), 중간링(11C) 및 상부링(11C)을 적층되고 고정되어 제1 스크린(10)이 만들어진다. 상부링(11T)과 중간링(11C), 중간링(11C)과 중간링(11C) 및 중간링(11C)과 하부링(11B) 사이의 링고정부(A)에는 틈새(G)를 형성하기 위한 스페이서(13)가 삽입된다.
스페이서(13)는 링고정부(A)에 고정되며, 선별링(11)에 틈새(G)을 제공한다. 스페이서(13)의 두께는 틈새(G)의 크기를 결정한다. 스페이서(13)의 형상은 다양하나, 측면은 해태원초의 유입을 효과적으로 이루는 형상이 바람직하다. 틈새(G)는 상기 해태원초만 통과되어야 하지만 이물질도 통과될 수 있으므로, 가능하면 크기가 작은 것이 좋다. 다만, 틈새(G)의 크기가 지나치게 작으면, 상기 해태원초가 원활하게 통과되지 않고, 제작이 어려우므로, 크기를 줄이는 데에는 한계가 있다. 상기 해태원초가 원활하게 통과되지 않으면, 상기 해태원초의 응집이 늘어난다. 틈새(G)로 침투할 수 있는 이물질은 다양한 원인에 의해 생성된다. 특히, 실오라기와 같은 섬유는 직경은 작아서 틈새(G)로 침투될 수 있다. 스페이서(13)는 직경이 작은 이물질의 제거 및 해태원초의 통과 등을 고려하여 틈새(G)를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다.
선별링(11)은 전체 폭이 틈새(G)를 형성하지 않고, 선별링(11)의 일부가 틈새(G)를 형성한다. 틈새(G)의 주변에는 선별링(11)이 패여서 만들어진 유입통로(12)를 이룬다. 틈새(G)는 제1 스크린(10) 표면에 노출되나, 유입통로(12)는 노출되지 않는다. 틈새(G)의 폭(W)이 지나치게 크면 상기 해태원초가 원활하게 통과하지 못하고, 지나치게 작으면 제작의 난이도가 높고 기계적인 안정성이 취약하다. 유입통로(12)는 틈새(G)의 폭(W)을 확장시킨다. 유입통로(12)의 크기는 선별링(11)의 크기, 직경, 틈새(G)의 크기 등을 고려하여 설정된다. 공지된 바와 같이, 유입통로(12)는 제1 스크린(10) 내부로부터 분사되는 물을 일시적으로 수용하는 역할도 수행할 수 있다.
링고정부(A)는 선별링(11)이 적층되어 결합된다. 이때, 선별링(11)은 제1 스크린(10)의 표면이 돌출되지 않고 매끄럽게 되도록 결합된다. 상부링(11T)과 중간링(11C)은 제1 체결부(14)에 의해 결합되고, 중간링(11C)과 중간링(11C) 및 중간링(11C)과 하부링(11B)은 제2 체결부(17)에 의해 결합된다. 제1 체결부(14)는 상부링(11T)을 관통하여, 인접하는 중간링(11C)에 고정되어, 상부링(11T)과 중간링(11C)을 체결한다. 틈새(G)는 링고정부(A) 사이에 위치하고, 링고정부(A)에는 틈새(G)가 존재하지 않는다.
중간링(11C)과 중간링(11C)의 결합의 경우, 제2 체결부(17)는 중간링(11C)에 존재하는 제1 체결홈(15) 및 인접하는 중간링(11C)에 존재하는 제2 체결홈(16)이 활용된다. 제1 체결홈(15) 및 제2 체결홈(16)은 링고정부(A)에서 중간링(11C)의 일부가 함몰되어 이루어진다. 제1 구체적으로, 제2 체결부(17)는 제1 체결홈(15)에 투입되어 중간링(11C) 및 스페이서(13)를 관통하여, 인접하는 중간링(11C)에 존재하는 제2 체결홈(16)에 체결된다. 중간링(11C)과 하부링(11B)의 결합의 경우, 제2 체결부(17)는 중간링(11C)에 존재하는 제1 체결홈(15) 및 인접하는 하부링(11B)에 존재하는 제2 체결홈(16)이 이용된다. 구체적으로, 제2 체결부(17)는 제1 체결홈(15)에 투입되어 중간링(11C) 및 스페이서(13)를 관통하여, 인접하는 하부링(11B)에 존재하는 제2 체결홈(16)에 체결된다.
제1 체결홈(15)이 함몰되어 존재하면, 제2 체결부(17)는 상부의 스페이서(13)와의 접촉을 회피할 수 있다. 제1 체결홈(15)이 없으면, 제2 체결부(17)와 상부의 스페이서(13)와의 접촉을 피할 수 없다. 이렇게 되면, 선별링(11)에서의 안정적인 틈새(G)를 제공하지 못한다. 제1 체결홈(15)은 안정적인 틈새(G)를 제공하는 하는데 기여한다. 제1 및 제2 체결홈(15, 16)의 깊이, 폭은 제2 체결부(17)의 크기, 선별링(11)의 폭 등을 고려하여 적절하게 조절될 수 있다. 이때, 제1 및 제2 체결부(14, 17)는 굳이 제한하지 않으나, 나사 방식이 바람직하다.
링고정부(A)에서 제1 및 제2 체결부(14, 17)는 서로 엇갈리도록 배치된다. 구체적으로, 이웃하는 제1 및 제2 체결부(14, 17)는 간격(D)만큼 이격되어 배치되어,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및 제2 체결부(14, 17)는 동일선상에 놓이지 않는다. 여기서, 동일선상에 배치된다는 것은 임의의 선별링(11)에서의 제1 및 제2 체결부(14, 17)은 이웃하는 선별링(11)에 제2 체결부(17)가 존재하는 것을 의미한다. 엇갈리도록 배치되면, 임의의 제2 체결부(17)에 대하여, 이웃하는 제2 체결부(17)는 간격(D)만큼 이격되어 선별링(11)에 체결된다. 제1 및 제2 체결부(14, 17)는 서로 엇갈리도록 배치함으로써, 제1 및 제2 체결부(14, 17)는 서로 접촉하지 않는다. 제1 및 제2 체결부(14, 17)는 서로 엇갈리도록 배치하면, 선별링(11)은 외부의 표면으로 돌출되지 않고, 상기 표면을 매끄럽게 구현할 수 있다.
도 4에 의하면, 하부링(11B)은 마감부(19)에 의해 마감된다. 여기서, 마감부(19)는 실질적으로 하부링(11B)와 동일하다. 즉, 하부링(11B)는 마감부(19)의 역할도 함께 수행한다. 마감부의 단부(19a)는 가이드부(30)를 향하여 돌출되어 있다. 가이드부(30)는 가이드 본체(31) 및 마감부 단부(19a)가 삽입되어 회전을 원활하게 하는 가이드홈(32)을 포함한다. 즉, 마감부 단부(19a) 및 가이드홈(32)에 의해, 제1 스크린(10)의 회전은 가이드홈(32)에 의해 제한된다.
마감부(19)의 외측에는 가이드부(30)와의 사이에 오링(33)이 장착되어, 외부의 이물질이 제1 스크린(10) 내부로 침투하지 않도록 한다. 이때, 오링(33)은 제1 프레임(43)에 의해 이탈이 제한될 수 있다. 제1 스크린(10)이 회전하면, 오링(33)도 함께 회전한다. 그런데, 오링(33)이 회전하면, 가이드 본체(31)와의 불필요한 마찰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오링(33)은 바이톤(DUPONT)과 같은 불소고무로써 윤활성이 높은 재질, 가이드 본체(31)는 테프론 재질을 사용할 수 있다. 오링(33) 및 가이드 본체(31)의 재질은 윤활성을 확보하고자 하는 본 발명의 범주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될 수도 있다.
도 5에 의하면, 가이드부(30)의 변형예는 오링(33) 대신에 차단링(46)이 적용된다. 차단링(46)은 디스크링 형태로써 마감부(19)에 근접하거나 밀착되도록 배치되고, 밀착되는 것이 보다 좋다. 실제, 제1 스크린(10)이 회전할 때에는 다양한 원인으로 마감부의 단부(19a) 및 가이드홈(32) 사이로 해태원초 및 이물질이 침투한다. 차단링(46)을 마감부(19)에 근접하거나 밀착되도록 배치시킴으로써, 마감부의 단부(19a) 및 가이드홈(32) 사이로의 상기 해태원초 및 이물질이 침투하지 않도록 한다.
또한, 제1 스크린(10)은 미세하게 흔들리면서 회전한다. 제1 스크린(10)이 흔들리면 회전하면, 마감부 단부(19a)가 가이드홈(32)과 충돌하면서 가이드홈(32)의 손상이 일어난다. 가이드홈(32)의 손상이 일어나면, 가이드홈(32)이 확장되어, 상기 해태원초 및 이물질의 침투가 가속된다. 차단링(46)은 제1 스크린(10)의 회전하면서 접촉하여도 실질적으로 회전을 방해하지 않도록 마찰계수가 작고 파손되지 않도록 강성이 유지되면 재질이면 모두 가능하며, 예컨대 폴리카보네이트 재질이 사용될 수 있다. 제3 프레임(45)은 차단링(46)을 손상을 방지하는 스테인레스 재질이 좋다.
차단링(46)이 배치되는 과정은 다음과 같이 3가지의 사례를 들 수 있다. 첫 번째(a)는 차단링(46)은 제3 프레임(45)과 가이드 본체(31) 사이에 삽입되며, 고정볼트(47)는 제3 프레임(45) 및 차단링(46)을 관통하여 가이드 본체(31)에 고정된다. 고정볼트(47)은 예컨대 스트리퍼 볼트가 채택될 수 있다. 고정볼트(47)와 [제3 프레임(45) 및 차단링(46)]과의 제1 사이 및 고정볼트(47)와 제3 프레임(45)과의 제2 사이에는 제1 유동갭(SP1)이 존재하여, 제1 스크린(10)의 회전에 따른 유동을 해소할 수 있다. 제1 스크린(10)이 흔들리면서 회전할 때, 제3 프레임(45) 및 차단링(46)은 제1 유동갭(SP1) 범위 내에서 같이 흔들린다.
두 번째(b)는 차단링(46)은 제3 프레임(45)과 가이드 본체(31) 사이에 삽입되며, 고정볼트(47)은 제3 프레임(45), 차단링(46) 및 가이드 본체(31)를 관통하여 제2 프레임(44)에 고정된다. 고정볼트(47)은 예컨대 스트리퍼 볼트가 채택될 수 있다. 고정볼트(47)와 [제3 프레임(45), 차단링(46) 및 가이드 본체(31)]과의 제3 사이 및 고정볼트(47)와 제3 프레임(45)과의 제2 사이에는 제2 유동갭(SP2)이 존재하여, 제1 스크린(10)의 회전에 따른 유동을 해소할 수 있다. 제1 스크린(10)이 흔들리면서 회전할 때, 제3 프레임(45), 차단링(46) 및 가이드 본체(31)는 제2 유동갭(SP2) 범위 내에서 같이 흔들린다.
세 번째(c)는 차단링(46)은 제3 프레임(45)과 제2 프레임(44) 사이에 삽입되며, 고정볼트(47)은 제3 프레임(45) 및 차단링(46)을 관통하여 제2 프레임(44)에 고정된다. 고정볼트(47)은 예컨대 스트리퍼 볼트가 채택될 수 있다. 고정볼트(47)와 [제3 프레임(45) 및 차단링(46)]과의 제1 사이 및 고정볼트(47)와 제3 프레임(45)과의 제2 사이에는 제3 유동갭(SP3)이 존재하여, 제1 스크린(10)의 회전에 따른 유동을 해소할 수 있다. 제1 스크린(10)이 흔들리면서 회전할 때, 제3 프레임(45) 및 차단링(46)은 제3 유동갭(SP3) 범위 내에서 같이 흔들린다. 세 번째(c)에는 앞에서 설명한 가이드홈(32)과 동일한 역할을 하는 가이드홈(32a)은 제2 프레임(44)에 존재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단턱(18)을 설명하기 위한 덮개 방향에서 바라본 도면들이다. 이때, 이물질 선별장치(100)는 도 1을 참조하기로 한다.
도 6에 의하면, 제1 스크린(10)은 적어도 하나의 단턱(18)을 가지며, 단턱(18)은 칼날(55) 및 제1 스크린(10) 사이에 뭉쳐서 부착된 이물질을 이탈 및 분리한다. 단턱(18)은 제1 스크린(10)의 표면에 제1 스크린(10)의 폭방향에 대하여 수직하게 연장된다. 단턱(18)은 칼날(55) 및 제1 스크린(10) 사이에 뭉쳐서 부착된 이물질을 칼날(55) 및 제1 스크린(10)로부터 이탈 및 분리시켜 제거한다. 상기 이물질은 응집된 해태원초(LV), 실오라기(NF) 등을 포함한다. 경우에 따라, 상기 이물질에는 조개껍질 파편 등도 포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해태원초로부터 상기 이물질을 선별 및 제거하는 과정에서는 제1 스크린(10)을 한쪽 방향(예컨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고(a), 상기 이물질을 선별 및 제거하는 과정이 완료되면 제1 스크린(10)을 반대 방향(예컨대,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킨다(b).
상기 이물질을 선별 및 제거하기 위한 제1 스크린(10)의 회전은 정회전이라 하고, 칼날(55) 및 제1 스크린(10) 사이에 뭉쳐서 부착된 이물질을 이탈 및 분리시키기 위한 제1 스크린(10)의 회전은 역회전이라고 한다. 상기 정회전을 하는 동안에는, 해태원초에 포함된 이물질이 선별 및 제거되어, 상기 해태원초는 제1 스크린(10)을 통과하고 상기 이물질은 제1 스크린(10) 내부로의 진입이 차단된다. 상기 역회전을 하는 동안에는, 단턱(18)이 칼날(55)과 제1 스크린(10) 사이에 뭉쳐서 부착된 이물질을 밀어낸다. 단턱(18)이 상기 이물질은 밀어내면, 칼날(55)과 제1 스크린(10) 사이에 뭉쳐서 부착된 이물질은 칼날(55) 및 제1 스크린(10)으로부터 이탈하여 분리된다. 상기 역회전으로 칼날(55) 및 제1 스크린(10)으로부터 이물질이 제거되면, 다시 정회전으로 해태원초의 응집을 해체하고 이물질의 선별 및 제거하는 효율이 높아진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제2 스크린(10a)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7의 링고정부(B)를 나타내는 부분단면도이다. 이때, 이물질 선별장치(100)는 도 1을 참조하기로 한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링고정부(B)는 선별링(11)이 적층되어 결합된다. 이때, 선별링(11)은 제2 스크린(10a)의 표면이 돌출되지 않고 매끄럽게 되도록 결합된다. 상부링(11T), 중간링(11C) 및 하부링(11B)을 관통하여 제3 체결부(71)에 의해 결합된다. 제3 체결부(71)는 하부링(11B)에 존재하는 체결홈(73)에 체결된다. 틈새(G)는 링고정부(B) 사이에 위치하고, 링고정부(B)에는 틈새(G)가 존재하지 않는다. 바람직하게는, 제3 체결부(71)는 고정부(70)에 의해 고정된다. 제2 스크린(10a)는 제3 체결부(71)를 체결홈(73)에 고정한 후, 하부링(11B), 중간링(11C) 및 상부링(11T)을 스페이서(72)와 함께 도면과 같이 적층한 다음, 고정부(70)에 의해 고정하여 제작한다.
스페이서(72)는 링고정부(B)에 고정되며, 선별링(11)에 틈새(G)을 제공한다. 스페이서(72)의 두께는 틈새(G)의 크기를 결정한다. 스페이서(72)는 다양한 형상이 가능하며, 링 형태가 바람직하다. 틈새(G)는 상기 해태원초만 통과되어야 하지만 이물질도 통과될 수 있으므로, 가능하면 크기가 작은 것이 좋다. 다만, 틈새(G)의 크기가 지나치게 작으면, 상기 해태원초가 원활하게 통과되지 않고, 제작이 어려우므로, 크기를 줄이는 데에는 한계가 있다. 상기 해태원초가 원활하게 통과되지 않으면, 상기 해태원초의 응집이 늘어난다. 틈새(G)로 침투할 수 있는 이물질은 다양한 원인에 의해 생성된다. 특히, 실오라기와 같은 섬유는 직경은 작아서 틈새(G)로 침투될 수 있다. 스페이서(72)는 직경이 작은 이물질의 제거 및 해태원초의 통과 등을 고려하여 틈새(G)를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제3 스크린(10b)을 설명하기 위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10은 선별링(80)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이때, 이물질 선별장치(100)는 도 1을 참조하기로 한다. 도면에서는, 제3 스크린(10b)에 링고정부(A)가 채택되는 것을 나타내었으나, 경우에 따라 링고정부(B)가 채택될 수 있다.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제3 스크린(10b)은 복수개의 선별링(80)을 포함한다. 선별링(80)은 원형의 링(ring) 형태로써, 제1 프레임(43)을 기준으로 상부에 위치하는 상부링(80T), 하부에 위치하는 하부링(80B) 및 상부링(80T)과 하부링(80B) 사이에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의 중간링(80C)으로 구분된다. 하부링(80B), 중간링(80C) 및 상부링(80T)을 적층되고 고정되어 제3 스크린(10b)이 만들어진다. 상부링(80T)과 중간링(80C), 중간링(80C)과 중간링(80C) 및 중간링(80C)과 하부링(80B) 사이의 링고정부(A)에는 틈새(G)를 형성하기 위한 스페이서(13)가 삽입된다. 한편, 해태원초(LV)는 틈새(G)를 거쳐 제3 스크린(10b)의 내부로 유입되어, 흡입방향(ID)을 향하여 낙하된다. 흡입방향(ID)은 제3 스크린(10b)의 하부에 연결된 흡입모터(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형성된다.
본 발명의 선별링(80) 표면은 구면 또는 비구면의 곡면(a)을 이룬다. 이에 반해, 종래의 선별링(P80)은 곡면이 아닌 평면(b)을 이룬다. 여기서, 구면은 표면의 전체에 걸쳐서 곡률이 동일하고, 비구면은 표면의 부위에 따라 곡률이 달라진다. 도면에서는 반원 형태의 선별링(80)을 표현하였으나, 구면 또는 비구면을 다양하게 조합하여 적용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종래의 선별링(P80)은 코너 부분은 모따기가 존재한다. 선별링(80)이 곡면(a)을 이루면 종래의 꺾임부분(BD)이 존재하지 않으므로, 유입되는 해태원초(LV)는 흐름에 방해를 받지 않고 원활하게 흡입방향(ID)으로 유입된다. 하지만, 선별링(P80)이 평면(b)을 이루면 꺾임부분(BD)이 존재하므로, 상대적으로, 해태원초(LV)는 꺾임부분(BD)에 의해 흐름에 방해를 받아서 원활하게 흡입되지 않는다.
이상, 본 발명은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10, 10a, 10b; 제1 내지 제3 스크린
11, 80; 선별링
12; 유입통로
13, 72; 스페이서
14, 17, 71; 제1 내지 제3 체결부
15, 16; 제1 내지 제3 체결홈
18; 단턱
19; 마감부 19a; 마감부 단부
20; 투명창 30; 가이드부
31; 가이드 본체 32; 가이드홈
33; 오링 40; 덮개
41; 교반부 42; 회전축
43, 44, 45; 제1 내지 제3 프레임
46; 차단링 47; 고정볼트
50; 원초처리기 51; 처리기 본체
52; 지지대 53; 고정레버
54; 칼날고정부 55; 칼날
60; 밑판 61; 결합부
62; 배출관 63; 구동모터
64; 모터지지대 73; 체결홀
SP1, SP2, SP3; 제1 내지 제3 유동갭

Claims (10)

  1. 해태원초가 통과하고 이물질을 선별 및 제거하기 위한 다수의 틈새를 이루며 적층된 복수개의 선별링을 포함하는 스크린을 포함하고,
    상기 선별링은 상기 틈새를 형성하기 위한 스페이서가 삽입되는 링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틈새는 상기 링고정부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링고정부는 간격(D)만큼 이격되어서 서로 엇갈리게 배치된 체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선별링은 마감부에 의해 마감되고, 상기 마감부의 단부는 가이드부에 향하여 돌출되며, 상기 마감부의 단부는 상기 가이드부의 가이드홈을 따라 회전하고, 상기 마감부의 외측에는 상기 마감부에 근접하거나 밀착되는 디스크링 형태의 차단링이 장착되며, 상기 차단링은 제3 프레임과 가이드 본체 사이에 삽입되고, 고정볼트는 상기 제3 프레임과 상기 차단링을 관통하여 상기 가이드 본체에 고정되며, 상기 고정볼트와 상기 제3 프레임 및 상기 차단링과의 제1 사이 및 상기 제3 프레임과의 제2 사이에는 제1 유동갭이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개의 선별링이 적층된 스크린을 포함하는 해태원초의 이물질 선별장치.
  2. 해태원초가 통과하고 이물질을 선별 및 제거하기 위한 다수의 틈새를 이루며 적층된 복수개의 선별링을 포함하는 스크린을 포함하고,
    상기 선별링은 상기 틈새를 형성하기 위한 스페이서가 삽입되는 링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틈새는 상기 링고정부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링고정부는 간격(D)만큼 이격되어서 서로 엇갈리게 배치된 체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선별링은 마감부에 의해 마감되고, 상기 마감부의 단부는 가이드부에 향하여 돌출되며, 상기 마감부의 단부는 상기 가이드부의 가이드홈을 따라 회전하고, 상기 마감부의 외측에는 상기 마감부에 근접하거나 밀착되는 디스크링 형태의 차단링이 장착되며, 상기 차단링은 제3 프레임과 가이드 본체 사이에 삽입되고, 고정볼트는 상기 제3 프레임, 상기 차단링 및 상기 가이드 본체를 관통하여 제2 프레임에 고정되며, 상기 고정볼트와 상기 제3 프레임, 상기 차단링 및 상기 가이드 본체와의 제3 사이 및 상기 제3 프레임과의 제2 사이에는 제2 유동갭이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개의 선별링이 적층된 스크린을 포함하는 해태원초의 이물질 선별장치.
  3. 해태원초가 통과하고 이물질을 선별 및 제거하기 위한 다수의 틈새를 이루며 적층된 복수개의 선별링을 포함하는 스크린을 포함하고,
    상기 선별링은 상기 틈새를 형성하기 위한 스페이서가 삽입되는 링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틈새는 상기 링고정부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링고정부는 간격(D)만큼 이격되어서 서로 엇갈리게 배치된 체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선별링은 마감부에 의해 마감되고, 상기 마감부의 단부는 가이드부에 향하여 돌출되며, 상기 마감부의 단부는 상기 가이드부의 가이드홈을 따라 회전하고, 상기 마감부의 외측에는 상기 마감부에 근접하거나 밀착되는 디스크링 형태의 차단링이 장착되며, 상기 차단링은 제3 프레임과 가이드 본체 사이에 삽입되고, 고정볼트는 상기 제3 프레임과 상기 차단링을 관통하여 제2 프레임에 고정되며, 상기 고정볼트와 상기 제3 프레임 및 상기 차단링과의 제1 사이 및 상기 제3 프레임과의 제2 사이에는 제3 유동갭이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개의 선별링이 적층된 스크린을 포함하는 해태원초의 이물질 선별장치.
  4. 해태원초가 통과하고 이물질을 선별 및 제거하기 위한 다수의 틈새를 이루며 적층된 복수개의 선별링을 포함하는 스크린을 포함하고,
    상기 선별링은 상기 틈새를 형성하기 위한 스페이서가 삽입되는 링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틈새는 상기 링고정부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링고정부는 상기 선별링을 관통하여 체결되는 체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선별링은 마감부에 의해 마감되고, 상기 마감부의 단부는 가이드부에 향하여 돌출되며, 상기 마감부의 단부는 상기 가이드부의 가이드홈을 따라 회전하고, 상기 마감부의 외측에는 상기 마감부에 근접하거나 밀착되는 디스크링 형태의 차단링이 장착되며, 상기 차단링은 제3 프레임과 가이드 본체 사이에 삽입되고, 고정볼트는 상기 제3 프레임과 상기 차단링을 관통하여 상기 가이드 본체에 고정되며, 상기 고정볼트와 상기 제3 프레임 및 상기 차단링과의 제1 사이 및 상기 제3 프레임과의 제2 사이에는 제1 유동갭이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개의 선별링이 적층된 스크린을 포함하는 해태원초의 이물질 선별장치.
  5. 해태원초가 통과하고 이물질을 선별 및 제거하기 위한 다수의 틈새를 이루며 적층된 복수개의 선별링을 포함하는 스크린을 포함하고,
    상기 선별링은 상기 틈새를 형성하기 위한 스페이서가 삽입되는 링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틈새는 상기 링고정부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링고정부는 상기 선별링을 관통하여 체결되는 체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선별링은 마감부에 의해 마감되고, 상기 마감부의 단부는 가이드부에 향하여 돌출되며, 상기 마감부의 단부는 상기 가이드부의 가이드홈을 따라 회전하고, 상기 마감부의 외측에는 상기 마감부에 근접하거나 밀착되는 디스크링 형태의 차단링이 장착되며, 상기 차단링은 제3 프레임과 가이드 본체 사이에 삽입되고, 고정볼트는 상기 제3 프레임, 상기 차단링 및 상기 가이드 본체를 관통하여 제2 프레임에 고정되며, 상기 고정볼트와 상기 제3 프레임, 상기 차단링 및 상기 가이드 본체와의 제3 사이 및 상기 제3 프레임과의 제2 사이에는 제2 유동갭이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개의 선별링이 적층된 스크린을 포함하는 해태원초의 이물질 선별장치.
  6. 해태원초가 통과하고 이물질을 선별 및 제거하기 위한 다수의 틈새를 이루며 적층된 복수개의 선별링을 포함하는 스크린을 포함하고,
    상기 선별링은 상기 틈새를 형성하기 위한 스페이서가 삽입되는 링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틈새는 상기 링고정부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링고정부는 상기 선별링을 관통하여 체결되는 체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선별링은 마감부에 의해 마감되고, 상기 마감부의 단부는 가이드부에 향하여 돌출되며, 상기 마감부의 단부는 상기 가이드부의 가이드홈을 따라 회전하고, 상기 마감부의 외측에는 상기 마감부에 근접하거나 밀착되는 디스크링 형태의 차단링이 장착되며, 상기 차단링은 제3 프레임과 가이드 본체 사이에 삽입되고, 고정볼트는 상기 제3 프레임과 상기 차단링을 관통하여 제2 프레임에 고정되며, 상기 고정볼트와 상기 제3 프레임 및 상기 차단링과의 제1 사이 및 상기 제3 프레임과의 제2 사이에는 제3 유동갭이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개의 선별링이 적층된 스크린을 포함하는 해태원초의 이물질 선별장치.
  7. 제1항 내지 제6항에서 선택된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선별링은 표면이 구면 또는 비구면의 곡면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개의 선별링이 적층된 스크린을 포함하는 해태원초의 이물질 선별장치.
  8. 제1항 내지 제6항에서 선택된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린의 표면에는 상기 스크린의 폭방향에 대하여 상하로 수직하게 연장된 단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개의 선별링이 적층된 스크린을 포함하는 해태원초의 이물질 선별장치.
  9. 제1항 내지 제6항에서 선택된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마감부의 외측에는 상기 가이드부 사이에 오링이 장착되고, 상기 오링은 상기 마감부와 함께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개의 선별링이 적층된 스크린을 포함하는 해태원초의 이물질 선별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오링은 불소고무 재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가이드부는 테프론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개의 선별링이 적층된 스크린을 포함하는 해태원초의 이물질 선별장치.
KR1020230076302A 2022-02-22 2023-06-14 복수개의 선별링이 적층된 스크린을 포함하는 해태원초의 이물질 선별장치 KR1026683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76302A KR102668364B1 (ko) 2022-02-22 2023-06-14 복수개의 선별링이 적층된 스크린을 포함하는 해태원초의 이물질 선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22717 2022-02-22
KR1020230076302A KR102668364B1 (ko) 2022-02-22 2023-06-14 복수개의 선별링이 적층된 스크린을 포함하는 해태원초의 이물질 선별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22717 Division 2022-02-22 2022-02-2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26677A KR20230126677A (ko) 2023-08-30
KR102668364B1 true KR102668364B1 (ko) 2024-05-23

Family

ID=87846394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02050A KR20230126641A (ko) 2022-02-22 2023-01-06 복수개의 선별링이 적층된 스크린을 포함하는 해태원초의 이물질 선별장치
KR1020230076302A KR102668364B1 (ko) 2022-02-22 2023-06-14 복수개의 선별링이 적층된 스크린을 포함하는 해태원초의 이물질 선별장치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02050A KR20230126641A (ko) 2022-02-22 2023-01-06 복수개의 선별링이 적층된 스크린을 포함하는 해태원초의 이물질 선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20230126641A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7730B1 (ko) 2006-11-01 2007-08-08 박진원 해태 원초의 이물질 제거장치
KR102188048B1 (ko) 2020-03-03 2020-12-07 유한회사 진성 해태원초의 이물질 분리장치
KR102346579B1 (ko) 2021-04-21 2022-01-03 임준 측벽 관통슬릿을 포함하는 해태원초의 이물질 제거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21268B1 (ko) * 2019-04-15 2021-03-02 (주)늘푸른나무 방수구조물을 가진 김 생산을 위한 탈수장치
KR20210143391A (ko) * 2020-05-20 2021-11-29 정재희 회전부를 포함하는 해태원초의 이물질 제거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7730B1 (ko) 2006-11-01 2007-08-08 박진원 해태 원초의 이물질 제거장치
KR102188048B1 (ko) 2020-03-03 2020-12-07 유한회사 진성 해태원초의 이물질 분리장치
KR102346579B1 (ko) 2021-04-21 2022-01-03 임준 측벽 관통슬릿을 포함하는 해태원초의 이물질 제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26677A (ko) 2023-08-30
KR20230126641A (ko) 2023-08-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843273B1 (ja) 生海苔の異物分離装置
EP3298936A1 (en) Group of stirring cutters
JP2007306832A (ja) 生海苔の異物分離装置
KR102668364B1 (ko) 복수개의 선별링이 적층된 스크린을 포함하는 해태원초의 이물질 선별장치
KR20150026520A (ko) 수하식 양식굴 껍질 절삭세척기
WO2015029373A1 (ja) 混合器ユニットとハンドブレンダ
JP2914902B2 (ja) 水中ポンプ
US6901849B1 (en) Juice extractor appliance and cutter disc therefor
KR20230095192A (ko) 겹침 스크린을 포함하는 해태원초의 이물질 선별장치
JP5158853B2 (ja) 厨芥処理装置
JP2006246723A (ja) 生海苔の異物分離装置
KR102364787B1 (ko) 원통 형태의 스크린을 포함하는 해태원초의 이물질 제거장치
KR200238091Y1 (ko) 해태원초의 이물질 선별장치
KR102631690B1 (ko) 복수개의 분사노즐부를 포함하는 해태원초의 이물질 선별장치
JPS597513B2 (ja) 粒体選別機
KR100827360B1 (ko) 원통 양방향 회전 연삭 도정 장치
KR200212157Y1 (ko) 참깨 탈피기
CN211276713U (zh) 一种具有超声波除尘功能的极片分切装置
JP5207487B2 (ja) 攪拌用回転体および攪拌装置
JP6842833B2 (ja) 遠心分離機
JP6842834B2 (ja) 遠心分離機
KR200254529Y1 (ko) 마늘 세절기
JPS6140410B2 (ko)
KR101098577B1 (ko) 구근 탈피기
JPH11206582A (ja) 調理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