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21268B1 - 방수구조물을 가진 김 생산을 위한 탈수장치 - Google Patents

방수구조물을 가진 김 생산을 위한 탈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21268B1
KR102221268B1 KR1020190071238A KR20190071238A KR102221268B1 KR 102221268 B1 KR102221268 B1 KR 102221268B1 KR 1020190071238 A KR1020190071238 A KR 1020190071238A KR 20190071238 A KR20190071238 A KR 20190071238A KR 102221268 B1 KR102221268 B1 KR 1022212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tor
waterproof structure
coupling
waterproof
mois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712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21217A (ko
Inventor
임준
Original Assignee
(주)늘푸른나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늘푸른나무 filed Critical (주)늘푸른나무
Publication of KR202001212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212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212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212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7/00Food-from-the-sea products; Fish products; Fish meal; Fish-egg substitut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7/60Edible seaweed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00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 A23L3/40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by drying or kilning; Subsequent reconstitu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5/00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not covered by group F26B21/00 or F26B23/00
    • F26B25/008Seals, locks, e.g. gas barriers or air curtains, for drying enclosur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5/00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not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 F26B5/08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not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centrifugal treatment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10Drying, dehydra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200/00Drying processes and machines for solid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specific requirements of the drying good
    • F26B2200/16Sea weed; Marine produc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Zoology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Edible Seaweed (AREA)
  • Connection Of Motors, Electrical Generators, Mechanical Devices, And The Like (AREA)

Abstract

김을 생산하는 과정에서 모터에 수분이 침투되지 않도록 하여 모터의 고장을 방지하고, 모터의 상태를 수시로 확인하여 적절하게 대처할 수 있는 탈수장치를 제시한다. 그 장치는 김과 수분을 분리하는 탈수를 진행하는 제1 부분 및 제1 부분의 하부에 위치하고 탈수를 위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모터가 배치되며 수분이 모터로 침투하지 않도록 하는 방수구조물이 설치된 제2 부분을 포함하고, 방수구조물의 일측은 모터의 모터 축에 연결되고, 타측은 제1 부분과 결합하는 스핀들에 연결되며, 모터 축은 단차부를 포함하고 단차부에는 제1 와셔가 고정되고, 스핀들은 커플링과 연결되고 커플링은 제2 와셔 상에 부착되며, 제1 와셔와 제2 와셔 사이에는 오링이 삽입된다.

Description

방수구조물을 가진 김 생산을 위한 탈수장치{Dehydrating apparatus for laver production having waterproof structure for}
본 발명은 김 생산을 위한 탈수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김을 생산하는 과정에서 김과 물을 분리하는 탈수공정을 위하여 회전력을 부여하는 모터를 방수하기 위한 방수구조물이 구비된 탈수장치에 관한 것이다.
김은 해조류의 한 종류이며, 단백질, 미네랄, 비타민 등의 함량이 높고 맛이 좋아서, 한국, 일본, 중국 등에서 널리 소비되고 있다. 김은 주로 사각 형태로 성형되고 건조되어 유통되며, 건조 김 또는 구은 김 상태로 판매되고 있다. 건조 김은 세척공정을 통해 이물질이 제거되고 작은 크기로 세절된 후 원초를 발장 위에 펼쳐놓는 성형하여 제조된다. 김을 생산하는 과정에서, 김에 혼합된 물을 제거하는 탈수과정을 거친다. 이러한 탈수과정은 예컨대 이물질 제거, 세절, 숙성, 세척수의 정화 등에 적용된다. 이와 같이, 탈수장치는 김을 생산하는 과정에서 반드시 거쳐야 하는 필수적인 요소이다.
국내등록실용신안 제1999-0033010호는 해태엽체의 탈수작업과 동시에 공급 및 배출이 연속적으로 진행되는 해태엽체의 탈수장치에 대해 개시하고 있다. 상기 장치는 구동부인 모터를 포함하는 회전축(150)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체(200) 및 스크러버(220)에 의해 김 분말을 제거한다. 그런데, 종래의 탈수장치는 모터가 외부로 노출되어 있거나, 하부가 개방된 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된다. 종래의 탈수장치는 모터에 수분이 침투하여, 모터의 고장을 일으킬 수 있다. 모터를 하부가 개방된 케이스 안에 설치한다고 해도, 탈수장치는 물을 다루기 때문에 수분의 침투를 막을 수 없다. 또한, 케이스 안에 모터를 설치하면, 모터의 상태를 수시로 확인할 수가 없어서, 모터의 고장에 적절하게 대처할 수 없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김을 생산하는 과정에서 모터에 수분이 침투되지 않도록 하여 모터의 고장을 방지하고, 모터의 상태를 수시로 확인하여 적절하게 대처할 수 있는 탈수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수구조물을 가진 김 생산을 위한 탈수장치의 하나의 사례는 김과 수분을 분리하는 탈수를 진행하는 제1 부분 및 상기 제1 부분의 하부에 위치하고, 상기 탈수를 위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모터가 배치되며, 상기 수분이 상기 모터로 침투하지 않도록 하는 방수구조물이 설치된 제2 부분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방수구조물의 일측은 상기 모터의 모터 축에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제1 부분과 결합하는 스핀들에 연결되며, 상기 모터 축은 단차부를 포함하고 상기 단차부에는 제1 와셔가 고정되고, 상기 스핀들은 커플링과 연결되고 상기 커플링은 제2 와셔 상에 부착되며, 상기 제1 와셔와 제2 와셔 사이에는 오링이 삽입된다.
본 발명의 하나의 사례에 있어서, 상기 모터는 모터 케이스에 내장되고, 상기 모터 케이스의 상부에 위치하는 기어 프레임에는 방수커버가 부착된다. 상기 방수커버 상에는 펜스가 설치된다. 상기 펜스의 상단은 상기 제1 와셔보다 높은 곳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커플링은 상기 커넥터 연결홈에 삽입된 커넥터에 의해 스핀들과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커플링과 상기 제2 와셔가 접하는 부분에는 상기 커플링과 상기 모터 축 사이로 침투하는 수분이 방출되는 배출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사례에 있어서, 상기 모터 케이스의 일측에는 상기 케이스의 내부를 확인할 수 있는 감시창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케이스의 일측에는 상기 케이스의 내부를 밝힐 수 있는 조명부가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수구조물을 가진 김 생산을 위한 탈수장치의 다른 사례는 김과 수분을 분리하는 탈수를 진행하는 제1 부분 및 상기 제1 부분의 하부에 위치하고, 상기 탈수를 위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모터가 배치되며, 상기 수분이 상기 모터로 침투하지 않도록 하는 방수구조물이 설치된 제2 부분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방수구조물의 일측은 상기 모터의 모터 축에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제1 부분과 결합하는 스핀들에 연결되며, 상기 모터 축은 단차부를 포함하고 상기 단차부에는 제1 와셔가 고정되고, 상기 스핀들은 커플링과 연결되고 상기 커플링은 방수디스크 상에 부착되며, 상기 제1 와셔와 상기 방수디스크 사이에는 오링이 삽입된다.
본 발명의 다른 사례에 있어서, 상기 방수디스크는 고정돌기에 의해 커플링에 고정된다. 상기 방수디스크의 외곽은 기어 프레임의 프레임 돌출부를 벗어날 수 있다.
본 발명의 방수구조물을 가진 김 생산을 위한 탈수장치에 의하면, 모터에 방수구조물을 설치하고 감시수단을 부가함으로써, 모터에 수분이 침투되지 않도록 하여 모터의 고장을 방지하고, 모터의 상태를 수시로 확인하여 적절하게 대처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탈수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Ⅱ-Ⅱ선을 따라 절단한 제1 탈수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제1 탈수장치에 적용되는 방수구조물을 설명하기 위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Ⅳ-Ⅳ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1의 Ⅴ-Ⅴ선을 따라 절단한 제2 탈수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제2 탈수장치에 적용되는 방수구조물을 설명하기 위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의 Ⅶ-Ⅶ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음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술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한편, 상부, 하부, 정면 등과 같이 위치를 지적하는 용어들은 도면에 나타낸 것과 관련될 뿐이다. 실제로, 탈수장치는 임의의 선택적인 방향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실제 사용할 때 공간적인 방향은 탈수장치의 방향 및 회전에 따라 변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모터에 방수구조물을 설치하고 감시수단을 부가함으로써, 모터에 수분이 침투되지 않도록 하여 모터의 고장을 방지하고, 모터의 상태를 수시로 확인하여 적절하게 대처할 수 있는 탈수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모터에 설치된 방수구조물에 대하여 자세하게 알아보고, 상기 방수구조물에 의해 모터에 수분이 침투되지 않는 과정을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모터의 상태 및 누수 상태를 감시수단을 통하여 수시로 확인할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해서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김을 생산하는 과정에서는 김에 혼합된 수분을 제거하는 탈수과정을 거친다. 이러한 탈수과정은 예컨대 이물질 제거, 세절, 숙성, 세척수의 정화 등에 적용된다. 이와 같이, 김 생산에서의 탈수장치는 반드시 거쳐야 하는 필수적인 요소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탈수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Ⅱ-Ⅱ선을 따라 절단한 제1 탈수장치(100)의 단면도이다. 다만, 엄밀한 의미의 도면을 표현한 것이 아니며,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면에 나타나지 않은 구성요소가 있을 수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탈수장치(100)는 탈수가 핵심 기능인 제1 부분(10)을 포함한다. 여기서, 탈수는 김과 수분을 분리하는 것을 말하고, 공정이 진행됨에 따라 김의 형태는 달라질 수 있다. 제1 부분(10)의 하부에는 상기 탈수를 위한 구동력을 제공하고, 방수구조물, 감시수단 등을 포함하는 제2 부분(20)이 위치한다. 제1 부분(10)에서는 상기 탈수를 위하여 공지된 모든 방식이 적용될 수 있으며, 통상적으로 스크류, 브러시, 스크린망 등을 활용하여 탈수를 진행한다. 이에 따라, 제1 부분(10)에서 탈수하는 과정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제2 부분(20)은 케이스(21)를 포함하고, 케이스(21)의 일측에는 조명부(22) 및 감시창(23)이 설치되어 있다. 조명부(22)는 케이스(21)의 내부를 밝혀서 모터(30)의 상태 및 누수 여부를 감시창(23)을 통하여 확인할 수 있다. 감시창(23)은 투명한 창으로, 작업자가 수시로 케이스(21)의 내부를 확인하여 문제가 발생하면 적절한 조치를 취할 수 있다. 종래에는 조명부(22) 및 감시창(23)이 존재하지 않으므로, 모터(30)가 고장이 나고 누수가 일어나더라도 적절하게 조치를 취할 수 없다. 조명부(22)는 다양한 광원을 사용할 수 있으며, 필라멘트 전구, 복수개의 LED 등이 바람직하다.
케이스(21)의 내부에는 모터(30)에 관련된 부분, 제1 방수구조물(40) 및 유입구(50)를 포함한다. 모터(30)에 관련된 부분은 모터 축(31), 기어 프레임(32), 스핀들(33), 커넥터(34) 및 모터 지지대(35)를 포함한다. 스핀들(33)은 제1 부분(10)과 접속되어 모터 축(31)의 회전력을 제1 부분(10)에 직접 전달한다. 스핀들(3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커플링(도 3의 46)과 커넥터(34)에 의해 연결된다. 제1 방수구조물(40)에 대해서는 추후에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기어 프레임(32)은 모터(30)를 감속하는 감속기어를 구비한다. 모터 지지대(35)는 기어 프레임(32)와 결합하여 모터(30)를 지지한다.
유입구(50)는 김 생산에서의 탈수장치에 사용되는 공정수가 유입되는 통로이다.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케이스(21)의 내부에는 탈수과정에서 배출수가 배출되는 배출관을 포함할 수 있다. 도면에서는 표현되지 않았지만, 케이스(21)의 일측에는 여닫는 기능하는 도어가 설치될 수 있다. 만일, 도어가 없다면, 상기 일측을 쉽게 탈착할 수 있도록 하는 별도의 수단이 마련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제1 탈수장치(100)에 적용되는 제1 방수구조물(40)을 설명하기 위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Ⅳ-Ⅳ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이때, 제1 방수구조물(40)의 주변에 위치하는 모터(30)에 관련된 부분은 도 2를 참조하기로 한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제1 방수구조물(40)은 일측은 모터 축(31)과 연결되고 타측은 스핀들(33)과 연결된다. 모터 축(31)은 직경이 서로 다른 제1 부분(31a)과 제2 부분(31b)로 구분된다. 이러한 직경의 차이에 의해서, 모터 축(31)의 제1 및 제2 부분(31a, 31b) 사이에는 단차부(31c)가 존재한다. 모터(30)는 다양한 형태가 가능하지만, 모터 축(31)의 제1 부분(31a)과 기어 프레임(32) 사이에는 베어링(36)이 배치되어, 모터 축(31)의 회전을 원활하게 한다. 또한, 기어 프레임(32)와 모터 축(31) 사이에는 리테이너 링(retainer ring, 37)이 삽입되어, 모터 축(31)과 기어 프레임(32) 사이를 실링한다. 리테이너 링(37)은 외부의 수분이 모터(30)로 침투하지 않도록 하는 방수기능을 수행한다.
그런데, 리테이너 링(37)의 방수기능은 실질적으로 완벽하지 않아서 외부의 수분이 모터(30)로 침투할 수 있다. 또한, 시간이 경과됨에 따라, 리테이너 링(37)의 기능이 저하되어 방수가 제대로 이루어질 수 있다. 외부의 수분이 모터(30)에 침투되면, 모터(30)의 고장은 필연적으로 일어날 수밖에 없다. 모터(30)의 고장은 감시창(23)을 통하여 수시로 확인하여 적절한 조치를 취할 수 있고, 보다 확실하게 하기 위하여 조명부(22)는 케이스(21)의 내부를 밝힐 수 있다. 하지만, 감시창(23)은 모터(30)의 고장을 확인할 수 있지만, 모터(30)로의 수분 침투를 차단할 수는 없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예는 모터(30)에 수분이 리테이너 링(37)을 통하여 침투하지 않도록 하는 제1 방수구조물(40)을 제시한다.
제1 방수구조물(40)은 방수커버(41), 제1 와셔(43) 및 제2 와셔(45)를 포함하고, 제2 와셔(45) 상에는 커플링(46)이 배치된다. 방수커버(41)는 기어 프레임(32)에 안착되며, 기어 프레임(32) 상에 위치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프레임 돌출부(32a) 상에 위치하는 것이 좋다. 필요한 경우, 방수커버(41)는 기어 프레임(32)에 결합되어 고정될 수도 있다. 앞에서, 방수커버(41)는 기어 프레임(32)에 안착되거나 결합되는 것을 제시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주 내에서 방수커버(41)는 기어 프레임(32)에 부착된다고 통칭하여 표현할 수 있다.
방수커버(41)와 제1 와셔(43) 사이에는 펜스(42)가 설치되어, 외부의 수분이 리테이너 링(37) 방향으로 유입되지 않도록 한다. 펜스(42)는 최대한으로 제1 및 제2 와셔(43, 45)와 근접하도록 설치하여, 외부의 수분이 유입되지 않도록 보다 확실하게 차단할 수 있다. 방수커버(41)는 보다 확실한 방수를 위하여, 리테이너 링(37)의 일부를 덮는다. 또한, 외부의 수분을 보다 효과적으로 차단하기 위하여, 펜스(42)의 상단은 제1 와셔(43)보다 높은 곳에 위치하는 것이 좋다. 방수커버(41)가 존재하면, 외부의 수분은 방수커버(41)에서 리테이너 링(37)의 반대 방향으로 배출된다. 경우에 따라, 방수커버(41)의 둘레를 기어 프레임(32) 방향으로 굽어지게 하여, 수분의 배출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제1 와셔(43)는 모터 축(31)의 단차부(31c)에 고정된다. 제1 와셔(43)가 단차부(31c)에 고정되는 방식은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지만, 접착제로 고정할 수 있다. 제1 및 제2 와셔(43, 45) 사이에는 오링(44)이 삽입되어, 오링(44)의 상부로부터 유입되는 수분을 확실하게 차단할 수 있다. 오링(44)의 상부로부터 유입되는 수분은 커플링(46)과 제2 부분(31b)의 틈으로 스며들어오는 수분일 수 있다. 한편, 오링(44)을 삽입한 후, 커플링(46)을 가압하여 누르면 오링(44)은 변형되어 치밀한 방수를 구현할 수 있다.
제2 와셔(45) 상에는 커플링(46)이 안착되어 고정된다. 커플링(46)은 커넥터 연결홈(48)에 삽입되는 커넥터(34)에 의해 스핀들(33)에 연결된다. 또한, 커플링(46)은 연결키(49)에 의해 모터 축(31)과 연결된다. 이렇게 되면, 모터 축(31)의 회전력은 모터 축(31), 연결키(49), 커플링(46), 커넥터(34) 및 스핀들(33)을 거쳐 제1 부분(10)에 전달된다. 커플링(46)과 제2 와셔(45)와 접하는 부분에서는 모터 축(31)과 커플링(46) 사이로 침투하는 수분을 외부로 방출하는 배출로(47)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제1 방수구조물(40)은 부식에 강한 재질, 예컨대 스테인레스강, 고강도 플라스틱 등이 사용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제1 방수구조물(40)에 의한 차단되는 수분은 2가지 경우로 구분된다. 제1 경우는 커플링(46)의 바깥부분으로 낙하하여 기어 프레임(32)으로 떨어지는 수분이다. 제2 경우는 커플링(46)의 내부로 침투하여 모터 축(31)을 따라 침투하는 수분이다. 제1 경우, 기어 프레임(32)으로 낙하되는 수분은 방수커버(41) 및 펜스(42)에 의해 차단된다. 구체적으로, 기어 프레임(32)으로 낙하하는 수분은 방수커버(41)에 의해 1차적으로 차단되고, 펜스(42)에 의해 2차적으로 차단된다. 또한, 방수커버(41)를 경사지게 하거나 방수커버(41)의 단부를 아래 방향으로 굽어지게 함으로써, 상기 수분을 모터(30)의 외부로 보다 쉽게 방출된다.
제2 경우, 커플링(46)과 모터 축(31) 사이로 침투하는 수분은 오링(44)에 의해 차단되고, 쌓여진 수분은 배출로(47)를 통하여 외부로 방출된다. 즉, 오링(44)에 의해 차단된 수분은 배출로(47)로 빠져나감으로써, 상기 수분은 리테이너 링(37)으로 침투되지 않는다. 이렇게 되면, 커플링(46)의 외부로부터 침투하는 제1 경우의 수분 및 커플링(46) 내부를 통하여 침투하는 제2 경우의 수분은 모두 차단된다.
김 생산하는 데 필요한 탈수장치는 항상 수분이 존재하는 환경에서 동작하기 때문에, 모터(30)의 고장을 방지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제1 방수구조물(40)은 모터(30)로 수분이 침투할 수 있는 모든 가능성을 차단함으로써, 수분으로 인한 모터(30)의 고장을 확실하게 방지한다. 또한, 감시창(23)을 마련하여 모터(30)의 고장을 수시로 확인할 수 있으며, 조명부(22)를 설치하여 감시기능을 더욱 높일 수 있다.
도 5는 도 1의 Ⅴ-Ⅴ선을 따라 절단한 제2 탈수장치(200)의 단면도이다. 다만, 엄밀한 의미의 도면을 표현한 것이 아니며,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면에 나타나지 않은 구성요소가 있을 수 있다.
도 1 및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탈수장치(200)는 탈수가 핵심 기능인 제1 부분(10)을 포함한다. 여기서, 탈수는 김과 수분을 분리하는 것을 말하고, 공정이 진행됨에 따라 김의 형태는 달라질 수 있다. 제1 부분(10)의 하부에는 상기 탈수를 위한 구동력을 제공하고, 방수구조물, 감시수단 등을 포함하는 제2 부분(20)이 위치한다. 제1 부분(10)에서는 상기 탈수를 위하여 공지된 모든 방식이 적용될 수 있으며, 통상적으로 스크류, 브러시, 스크린망 등을 활용하여 탈수를 진행한다. 이에 따라, 제1 부분(10)에서 탈수하는 과정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제2 부분(20)은 케이스(21)를 포함하고, 케이스(21)의 일측에는 조명부(22) 및 감시창(23)이 설치되어 있다. 조명부(22)는 케이스(21)의 내부를 밝혀서 모터(30)의 상태 및 누수 여부를 감시창(23)을 통하여 확인할 수 있다. 감시창(23)은 투명한 창으로, 작업자가 수시로 케이스(21)의 내부를 확인하여 문제가 발생하면 적절한 조치를 취할 수 있다. 종래에는 조명부(22) 및 감시창(23)이 존재하지 않으므로, 모터(30)가 고장이 나고 누수가 일어나더라도 적절하게 조치를 취할 수 없다. 조명부(22)는 다양한 광원을 사용할 수 있으며, 필라멘트 전구, 복수개의 LED 등이 바람직하다.
케이스(21)의 내부에는 모터(30)에 관련된 부분, 제1 방수구조물(40) 및 유입구(50)를 포함한다. 모터(30)에 관련된 부분은 모터 축(31), 기어 프레임(32), 스핀들(33), 커넥터(34) 및 모터 지지대(35)를 포함한다. 스핀들(33)은 제1 부분(10)과 접속되어 모터 축(31)의 회전력을 제1 부분(10)에 직접 전달한다. 스핀들(3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커플링(도 3의 46)과 커넥터(34)에 의해 연결된다. 제1 방수구조물(40)에 대해서는 추후에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기어 프레임(32)은 모터(30)를 감속하는 감속기어를 구비한다. 모터 지지대(35)는 기어 프레임(32)와 결합하여 모터(30)를 지지한다.
유입구(50)는 김 생산에서의 탈수장치에 사용되는 공정수가 유입되는 통로이다.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케이스(21)의 내부에는 탈수과정에서 배출수가 배출되는 배출관을 포함할 수 있다. 도면에서는 표현되지 않았지만, 케이스(21)의 일측에는 여닫는 기능하는 도어가 설치될 수 있다. 만일, 도어가 없다면, 상기 일측을 쉽게 탈착할 수 있도록 하는 별도의 수단이 마련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제2 탈수장치(200)에 적용되는 제2 방수구조물(60)을 설명하기 위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의 Ⅶ-Ⅶ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이때, 제2 방수구조물(60)의 주변에 위치하는 모터(30)에 관련된 부분은 도 5를 참조하기로 한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제2 방수구조물(60)은 일측은 모터 축(31)과 연결되고 타측은 스핀들(33)과 연결된다. 모터 축(31)은 직경이 서로 다른 제1 부분(31a)과 제2 부분(31b)로 구분된다. 이러한 직경의 차이에 의해서, 모터 축(31)의 제1 및 제2 부분(31a, 31b) 사이에는 단차부(31c)가 존재한다. 모터(30)는 다양한 형태가 가능하지만, 모터 축(31)의 제1 부분(31a)과 기어 프레임(32) 사이에는 베어링(36)이 배치되어, 모터 축(31)의 회전을 원활하게 한다. 또한, 기어 프레임(32)와 모터 축(31) 사이에는 리테이너 링(retainer ring, 37)이 삽입되어, 모터 축(31)과 기어 프레임(32) 사이를 실링한다. 리테이너 링(37)은 외부의 수분이 모터(30)로 침투하지 않도록 하는 방수기능을 수행한다.
그런데, 리테이너 링(37)의 방수기능은 실질적으로 완벽하지 않아서 외부의 수분이 모터(30)로 침투할 수 있다. 또한, 시간이 경과됨에 따라, 리테이너 링(37)의 기능이 저하되어 방수가 제대로 이루어질 수 있다. 외부의 수분이 모터(30)에 침투되면, 모터(30)의 고장은 필연적으로 일어날 수밖에 없다. 모터(30)의 고장은 감시창(23)을 통하여 수시로 확인하여 적절한 조치를 취할 수 있고, 보다 확실하게 하기 위하여 조명부(22)는 케이스(21)의 내부를 밝힐 수 있다. 하지만, 감시창(23)은 모터(30)의 고장을 확인할 수 있지만, 모터(30)로의 수분 침투를 차단할 수는 없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예는 모터(30)에 수분이 리테이너 링(37)을 통하여 침투하지 않도록 하는 제2 방수구조물(60)을 제시한다.
제2 방수구조물(60)은 방수디스크(61), 고정돌기(62), 제1 와셔(63), 오링(64), 커플링(65), 배출로(66), 연결홈(67) 및 연결키(68)를 포함한다. 이때, 제1 와셔(63), 오링(64), 커플링(46), 배출로(66), 연결홈(67) 및 연결키(68)은 각각 제1 방수구조물(40)의 제1 와셔(43), 오링(44), 커플링(46), 배출로(47), 연결홈(48) 및 연결키(49)와 동일한 기능 및 역할을 한다. 이에 따라, 서로 연관된 부분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방수디스크(61)는 디스크 형태로써, 방수디스크(61)의 외측은 바람직하게는 프레임 돌출부(32a)을 벗어나도록 위치한다. 방수디스크(61)는 고정돌기(62)에 의해 커플링(65) 및 연결키(68) 사이의 공간에 고정된다. 실질적으로, 방수디스크(61)는 고정돌기(62)에 의해 커플링(65)에 고정된다고 할 수 있다. 왜냐하면, 고정돌기(62)는 커플링(65)을 벗어나지 않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제2 방수구조물(60)에 의한 차단되는 수분은 2가지 경우로 구분된다. 제1 경우는 커플링(65)의 바깥부분으로 낙하하여 기어 프레임(32)으로 떨어지는 수분이다. 제2 경우는 커플링(65)의 내부로 침투하여 모터 축(31)을 따라 침투하는 수분이다. 제1 경우, 기어 프레임(32)으로 낙하되는 수분은 방수디스크(61)에 의해 차단된다. 제2 경우, 커플링(65)과 모터 축(31) 사이로 침투하는 수분은 오링(64)에 의해 차단되고, 쌓여진 수분은 배출로(66)를 통하여 외부로 방출된다. 즉, 오링(64)에 의해 차단된 수분은 배출로(66)로 빠져나감으로써, 상기 수분은 리테이너 링(37)으로 침투되지 않는다. 이렇게 되면, 커플링(65)의 외부로부터 침투하는 제1 경우의 수분 및 커플링(65) 내부를 통하여 침투하는 제2 경우의 수분은 모두 차단된다.
이상, 본 발명은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10; 제1 부분 20; 제2 부분
21; 케이스 22; 조명부
23; 감시창 30; 모터
31; 모터 축 32; 기어 프레임
33; 스핀들 34; 커넥터
40, 60; 제1 및 제2 방수구조물
43, 63; 제1 와셔
44, 64; 오링
61; 방수디스크 62; 고정돌기
46, 65; 스핀들
47, 66; 배출로
48, 67; 커넥터 연결홈
49, 68; 연결키
50; 유입구

Claims (14)

  1. 김과 수분을 분리하는 탈수를 진행하는 제1 부분; 및
    상기 제1 부분의 하부에 위치하고, 상기 탈수를 위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모터가 배치되며, 상기 수분이 상기 모터로 침투하지 않도록 하는 방수구조물이 설치된 제2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방수구조물의 일측은 상기 모터의 모터 축에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제1 부분과 결합하는 스핀들에 연결되며, 상기 모터 축은 단차부를 포함하고 상기 단차부에는 제1 와셔가 고정되고, 상기 스핀들은 커플링과 연결되고 상기 커플링은 제2 와셔 상에 부착되며, 상기 제1 와셔와 제2 와셔 사이에는 오링이 삽입되고,
    상기 커플링과 상기 제2 와셔가 접하는 부분에는 상기 커플링과 상기 모터 축 사이로 침투하는 수분이 방출되는 배출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구조물을 가진 김 생산을 위한 탈수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는 모터 케이스에 내장되고, 상기 모터 케이스의 상부에 위치하는 기어 프레임에는 방수커버가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구조물을 가진 김 생산을 위한 탈수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방수커버 상에는 펜스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구조물을 가진 김 생산을 위한 탈수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펜스의 상단은 상기 제1 와셔보다 높은 곳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구조물을 가진 김 생산을 위한 탈수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플링은 커넥터 연결홈에 삽입된 커넥터에 의해 스핀들과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구조물을 가진 김 생산을 위한 탈수장치.
  6. 삭제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 케이스의 일측에는 상기 케이스의 내부를 확인할 수 있는 감시창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구조물을 가진 김 생산을 위한 탈수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일측에는 상기 케이스의 내부를 밝힐 수 있는 조명부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구조물을 가진 김 생산을 위한 탈수장치.
  9. 김과 수분을 분리하는 탈수를 진행하는 제1 부분; 및
    상기 제1 부분의 하부에 위치하고, 상기 탈수를 위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모터가 배치되며, 상기 수분이 상기 모터로 침투하지 않도록 하는 방수구조물이 설치된 제2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방수구조물의 일측은 상기 모터의 모터 축에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제1 부분과 결합하는 스핀들에 연결되며, 상기 모터 축은 단차부를 포함하고 상기 단차부에는 제1 와셔가 고정되고, 상기 스핀들은 커플링과 연결되고 상기 커플링은 방수디스크 상에 부착되며, 상기 제1 와셔와 상기 방수디스크 사이에는 오링이 삽입되고,
    상기 커플링과 상기 방수디스크가 접하는 부분에는 상기 커플링과 상기 모터 축 사이로 침투하는 수분이 방출되는 배출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구조물을 가진 김 생산을 위한 탈수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방수디스크는 고정돌기에 의해 커플링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구조물을 가진 김 생산을 위한 탈수장치.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방수디스크의 외곽은 기어 프레임의 프레임 돌출부를 벗어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구조물을 가진 김 생산을 위한 탈수장치.
  12. 삭제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의 케이스의 일측에는 상기 케이스의 내부를 확인할 수 있는 감시창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구조물을 가진 김 생산을 위한 탈수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일측에는 상기 케이스의 내부를 밝힐 수 있는 조명부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구조물을 가진 김 생산을 위한 탈수장치.
KR1020190071238A 2019-04-15 2019-06-17 방수구조물을 가진 김 생산을 위한 탈수장치 KR10222126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3852 2019-04-15
KR20190043852 2019-04-1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21217A KR20200121217A (ko) 2020-10-23
KR102221268B1 true KR102221268B1 (ko) 2021-03-02

Family

ID=730393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71238A KR102221268B1 (ko) 2019-04-15 2019-06-17 방수구조물을 가진 김 생산을 위한 탈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2126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739135B (zh) * 2022-04-29 2023-04-28 重庆佳仙九七食品有限公司 一种用于食品加工的脱水烘干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136241A (ja) * 2007-11-13 2009-06-25 Uchikawa Tekkosho:Kk 脱水装置
JP2009291112A (ja) * 2008-06-04 2009-12-17 Shinwa Seisakusho:Kk 生海苔の分離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136241A (ja) * 2007-11-13 2009-06-25 Uchikawa Tekkosho:Kk 脱水装置
JP2009291112A (ja) * 2008-06-04 2009-12-17 Shinwa Seisakusho:Kk 生海苔の分離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21217A (ko) 2020-10-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21268B1 (ko) 방수구조물을 가진 김 생산을 위한 탈수장치
DE102004016643A1 (de) Waschmaschine
CN207938939U (zh) 一种用于连接泳池水下清洁机器人的防缠绕电源线
US20030066982A1 (en) Valve having an inner washing structure
CN201470215U (zh) 自净式反冲洗过滤器
KR101560751B1 (ko) 정수기용 필터 조립체
CN1746394A (zh) 洗衣机
DE10316377B3 (de) Beleuchtungseinrichtung
CN209499667U (zh) 投放装置和洗碗机
CN209055460U (zh) 盐水浓度检测报警装置及洗碗机
CN212561754U (zh) 一种浴缸进水溢水密封装置和三合一下水器
DE102013100978A1 (de) Wäschetrockner mit einer Beleuchtungsvorrichtung für die Wäschetrommel
CN206588037U (zh) 一种色选机的背景装置
CN204266879U (zh) 设有金属夹板金属环及弹性支撑的密封型木门
DE10126104A1 (de) Vorrichtung zum Einfüllen von Flüssigkeit in ein Haushaltsgerät, insbesondere eine Waschmaschine
CN206449499U (zh) 一种led显示灯环和发光水龙头
CN215527164U (zh) 一种采用炫彩灯的数位屏
KR100955907B1 (ko) 양면조사가 가능한 드럼세탁기의 조명장치
KR100620397B1 (ko) 업소용 세탁기의 세탁용재 배출장치
KR200385187Y1 (ko) 업소용 세탁기의 세탁용재 배출장치
CN208418408U (zh) 一种用于防护舱内的照明发声一体装置
CN111560755A (zh) 一种洗衣机机门
CN201565369U (zh) 反冲洗螺旋式喷头
JP5285351B2 (ja) 排水ユニット
CN213926741U (zh) 一种新型保温复合板外墙固定锚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