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88048B1 - 해태원초의 이물질 분리장치 - Google Patents

해태원초의 이물질 분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88048B1
KR102188048B1 KR1020200026625A KR20200026625A KR102188048B1 KR 102188048 B1 KR102188048 B1 KR 102188048B1 KR 1020200026625 A KR1020200026625 A KR 1020200026625A KR 20200026625 A KR20200026625 A KR 20200026625A KR 102188048 B1 KR102188048 B1 KR 1021880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rting
slit
unit
foreign matter
raw la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266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우석수
Original Assignee
유한회사 진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73791308&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2188048(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유한회사 진성 filed Critical 유한회사 진성
Priority to KR10202000266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8804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880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880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7/00Food-from-the-sea products; Fish products; Fish meal; Fish-egg substitut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7/60Edible seaweed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5/00Preparation or treatment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Food or foodstuffs obtained thereby; Materials therefor
    • A23L5/20Removal of unwanted matter, e.g. deodorisation or detoxification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Zoology (AREA)
  • Separation Of Solids By Using Liquids Or Pneumatic Pow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해태원초의 이물질 분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처리대상 해태원초가 수용될 수 있는 수용공간을 갖는 처리조가 마련된 본체와, 처리조의 바닥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된 회전축에 방사상으로 관통슬릿을 갖게 수직상으로 적층되게 결합된 선별원판과, 선별원판 하부에 장착되어 선별 원판들의 관통슬릿을 통해 유입된 해태원초를 배출관을 통해 배출할 수 있게 선별된 해태 원초의 이동로를 제공하는 수거 하우징을 갖는 단위 선별유니트와, 회전축을 회전구동하는 회전 구동부와, 흡입력에 의해 선별원판들 사이의 관통 슬릿을 막고 있는 해태원초 및 기타 이물질을 제거하여 관통슬릿을 열어주는 이물질 제거부를 구비한다. 이러한 해태 원초의 이물질 분리장치에 의하면, 해태 원초의 선별과정에서 관통 슬릿에 끼인 이물질을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고, 특히 고압수를 적용하는 방식의 경우 틈새 마찰 마모가 일어나지 않고 항상 좁은 틈새를 유지함으로써 틈새가 넓어짐으로 인하여 인입되는 이물질을 방지할 수 있어 생산 제품의 하자를 줄이는 장점을 제공한다.

Description

해태원초의 이물질 분리장치{apparatus for removing foreign substances of laver}
본 발명은 해태원초의 이물질 분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해태원초의 선별과정에서 관통 슬릿에 끼인 이물질을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도록 된 해태원초의 이물질 분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조 김은 양식장에서 채취한 해태 원초를 세절하여 물에 혼합한 다음 발장에 얇게 펼쳐지게 성형하고, 건조하여 발장으로부터 마른 해태를 분리하여 제조한다.
최근에는 김 건조에 따른 노동력을 절감하고, 생산성을 높이기 위해 건조 김의 생산과정을 자동화한 해태 건조기가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해태 건조기는 국내 등록실용신안 제20-0295361호, 국내 등록실용신안 제20-0255590호, 국내 공개특허 제2003-0023222호, 국내 등록실용신안 제20-0277920호, 국내 등록실용신안 제20-292229호 등에 다양하게 개시되어 있다.
이와 같이 건조 김으로 가공되는 해태 원초에는 해태를 양식할 때 사용되었던 로프, 각종 일반 해초류 및 운반 과정 중에 원치 않게 유입되는 갑각류의 껍질, 새우충, 생 해태 표면의 규조 등 각종 이물질 등이 포함되어 있으므로 건조 김으로 제조하기에 앞서 해태 원초로부터 각종 이물질을 제거하는 작업은 필수적인 과정으로 선행되어 왔다.
또한, 해태 원초의 이물질을 분리하기 위한 장치는 본 발명자에 의해 제안된 국내 공개특허 제2002-0066896호 등 다양하게 제안되어 있다.
이러한 해태 원초의 이물질 분리장치는 좁은 틈새인 통과홈(이하 관통 슬릿이라 한다)을 이용한 이물질의 선별과정에서 관통슬릿을 통과하지 못하고 펌프의 흡입과정에서 관통슬릿을 막고 있는 이물질의 제거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구조가 꾸준히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요구사항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해태원초의 선별과정에서 좁은 관통슬릿을 통과하지 못하고 펌프의 흡입력에 의해 관통슬릿을 막고 있는 이물질을 효율적으로 제거하여 관통슬릿으로 해태원초를 원할하게 통과하게 하는 해태원초의 이물질 분리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해태원초의 이물질 분리장치는 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처리대상 해태원초가 수용될 수 있는 수용공간을 갖는 처리조가 마련된 본체와; 상기 처리조에 관통슬릿을 갖게 장착된 선별원판과, 상기 관통슬릿을 통해 흡입력에 의해 유입된 해태원초를 배출관을 통해 배출할 수 있게 선별된 해태 원초의 이동로를 제공하는 수거 하우징을 갖는 단위 선별유니트와; 상기 선별원판들 사이의 관통 슬릿에 흡입력에 의해 통과하지 못하고 막고 있는 이물질을 제거하는 이물질 제거부;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단위 선별유니트는 상기 처리조의 바닥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된 회전축에 방사상으로 관통슬릿을 갖게 수직상으로 적층되게 결합된 상기 선별원판과, 상기 선별원판 하부에 장착되어 상기 선별 원판들의 상기 관통슬릿을 통해 유입된 해태원초를 배출관을 통해 배출할 수 있게 선별된 해태 원초의 이동로를 제공하는 수거 하우징을 갖게 형성되어 있고, 상기 회전축을 회전구동하는 회전 구동부;를 구비하고, 상기 이물질 제거부는 상기 처리조의 바닥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된 지지봉에 수직상으로 고정되게 적층되며 상기 선별원판 사이의 관통 슬릿 내로 진입될 수 있는 제거날이 방사상으로 원주방향을 따라 이격되게 형성된 제거원판들;을 구비하고, 상기 본체에는 상기 제거원판의 제거날이 진입될 수 있도록 복수 개의 단위선별 유니트가 상기 지지봉을 중심으로 등각도로 이격되게 설치된다.
한편, 관통슬릿의 틈새가 좁을수록 이물질이 통과하는 것을 막아주는데, 관통슬릿의 틈새가 좁아지게 하고 그에 대응되게 제거날의 두께를 얇게 하여도 이물질과 선별 원판 사이가 좁아 이물질과 선별원판 사이의 간섭으로 제거날이 마모 또는 망가져 관통슬릿을 열어주지못해 해태원초의 통과가 원할하게 이루어지기 어려울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이물질 제거부는 상기 관통슬릿을 향해 고압수를 분사하여 이물질을 밀어내고 관통슬릿을 열어 해태원초가 원할하게 하도록 구축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이물질 제거부는 상기 처리조 내에서 상방으로 연장된 분사관과; 상기 분사관상에서 상기 관통슬릿을 향해 고압수를 분사할 수 있게 상기 분사관에 수직상으로 이격되게 형성된 분사노즐과; 상기 분사관에 고압수를 공급하는 고압수 공급부;를 구비한다.
또한, 상기 단위 선별유니트는 상기 처리조의 바닥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된 회전축에 방사상으로 관통슬릿을 갖게 수직상으로 적층되게 결합된 상기 선별원판과, 상기 선별원판 하부에 장착되어 상기 선별 원판들의 상기 관통슬릿을 통해 유입된 해태원초를 배출관을 통해 배출할 수 있게 선별된 해태 원초의 이동로를 제공하는 수거 하우징을 갖게 형성되어 있고, 상기 회전축을 회전구동하는 회전 구동부;를 구비하고, 상기 단위 선별 유니트의 상기 선별원판은 중앙에 상하로 관통된 원형유로공이 형성된 원형링부분과, 상기 원형링부분의 외주면에 원주방향을 따라 이격 되게 형성되며 외경이 확장되는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고 상하로 관통된 결합공이 형성된 결합플랜지부분을 갖게 형성되어 있고, 상기 선별원판의 최상단에서 상기 선별원판의 상부를 폐쇄하며 상기 회전축과 결합되는 상부 마감판과; 상기 상부 마감판으로부터 상기 선별원판의 결합공을 통해 삽입된 결합볼트와; 상기 결합볼트의 타단에 나사결합되어 상기 선별원판들을 상기 상부 마감판을 통해 지지되게 고정하는 고정너트;를 구비하고, 상기 분사관은 상기 선별원판의 원형 유로공 내에서 상기 선별원판의 회전에 간섭되지 않는 위치에 근접되게 장착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해태 원초의 이물질 분리장치에 의하면, 해태 원초의 선별과정에서 관통 슬릿에 끼인 이물질을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해태원초의 이물질 분리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처리조의 측벽을 제거한 상태를 나타내 보인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일부를 절단하여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해태원초의 이물질 분리장치를 처리조의 측벽을 제거한 상태에서 나타내 보인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단위 선별유니트들에 각각 설치된 분사관들의 고압수 공급경로를 보여주기 위한 평면도이고,
도 6은 도 4의 단위 선별유니트를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분사노즐 배치 구조를 보여주기 위한 평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분사노즐 회전 구조를 보여주기 위한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해태원초의 이물질 분리장치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해태원초의 이물질 분리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처리조의 측벽을 제거한 상태를 나타내 보인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일부를 절단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해태원초의 이물질 분리장치(100)는 본체(110), 단위 선별유니트(130), 회전 구동부(150) 및 이물질 제거부(170)를 구비한다.
본체(110)는 지면에 지지될 수 있게 상방으로 연장된 다리(112)와, 다리(112) 상부에 결합된 바디프레임(114) 및 바디 프레임(114) 상부에 형성된 처리조(116)를 갖는 구조로 되어 있다.
처리조(116)는 유입구(117)를 통해 유입된 처리대상 해태 원초가 수용될 수 있는 수용공간(118)을 갖는 사각 함체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참조부호 120은 해태 원초를 공급하는 유입관(10)과 접속되어 유입관(10)을 통해 유입된 해태 원초를 내장된 커터(122)의 회전에 의해 절단하여 처리조(116)의 유입구(117)로부터 연장된 인입관(124)으로 공급하는 커팅 하우징이고, 참조부호 126은 커터를 회전시키는 모터이다.
단위 선별 유니트(130)는 해태원초를 선별하여 유입할 수 있도록 처리조(116)의 바닥(116a)을 통해 상방으로 연장되게 설치되어 있다. 도시된 예에서는 3개의 단위 선별 유니트(130)가 이물질 제거부(170)의 지지봉(172)을 중심으로 등각도로 이격되게 설치되어 있다. 단위 선별 유니트(130)의 적용 개수는 도시된 예와 다르게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단위 선별 유니트(130)는 처리조(116)의 바닥(116a)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된 회전축(141)에 방사상으로 관통슬릿(134)을 갖게 수직상으로 적층되게 결합된 선별원판(132)과, 최상단의 선별원판(132)의 상부를 폐쇄하고 회전축(141)과 결합되는 상부 마감판(138)과, 최하단의 선별원판(132) 하부에 장착되어 선별 원판(132)들의 관통슬릿(134)을 통해 유입된 해태원초를 배출관(119)을 통해 배출할 수 있게 선별된 해태 원초의 이동로를 제공하는 수거 하우징(136)을 갖는 구조로 되어 있다.
배출관(119)에는 관통슬릿(134)을 통해 유입된 해태원초가 배출관(119)을 통해 배출할 수 있게 흡입력을 발생시키는 흡입펌프(미도시)가 결합된다.
선별원판(132)은 원판 형상으로 형성되되 중앙에 회전축(141)이 관통되게 삽입될 수 있는 축관통공이 형성된 중앙바디와, 중앙바디로부터 가장자리로 상호 이격되어 연장되어 가장자리와 축관통공 사이에 관통슬릿(134)을 통해 유입된 해태원초가 수용되며 하방으로 이동할 수 있는 이동로를 제공할 수 있는 이동가이드공을 제공하는 복수개의 지지살을 갖는 구조로 되어 있다.
또한, 선별원판(132)은 수직상으로 상호 적층시 가장자리와 이동 가이드공 사이가 해태원초가 유입될 수 있는 관통슬릿(134)을 갖도록 형성되어 있다.
상부 마감판(138)은 최상단에 적층되는 선별원판(132)의 상부를 폐쇄하도록 상부가 폐쇄되되 중앙에 회전축(141)이 관통되게 형성되어 있고 회전축(141)의 상단에 형성된 나사선과 나사결합되는 조임너트(139)에 의해 회전축(141)에 고정된다.
따라서, 상부 마감판(138) 및 선별원판(132)들은 회전축(141)의 회전에 연동되어 회전된다.
또한, 선별원판(132)의 회전시 선회류가 효율적으로 발생되도록 최하단의 선별원판(132)의 외주면에는 원주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어 회전시 선회류를 발생시킬 수 있게 수직상으로 경사지게 돌출된 선회유도편(146)이 장착되어 있다.
도시된 예와 다르게, 선회유도편(146)은 최하단 뿐만아니라 수직상으로 적층된 나머지 선별원판(132) 중 일부 또는 모두에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수거하우징(136)은 처리조(116)의 바닥(116a)을 중심으로 바닥(116a) 상부 및 하부로 연장되게 설치되어 있다.
수거 하우징(136)은 최하단의 선별원판(132) 하부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게 원통형으로 형성되되 하부는 폐쇄되고 측면에 선별 원판(132)들의 관통슬릿(134)을 통해 유입된 해태원초를 배출관(119)으로 이송할 수 있게 배출관(119)과 연통되게 접속되는 단위 배출구(137)가 형성된 구조로 되어 있다.
수거 하우징(136) 내에는 회전축(141)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베어링이 장착되어 있다.
회전 구동부(150)는 회전축(141)을 회전구동한다.
회전 구동부(150)는 본체(110)의 바디프레임(114)에 장착된 구동모터(152)와, 구동모터(152)의 구동축에 장착된 구동풀리(154)와, 회전축(141)에 장착된 종동풀리(156)와, 구동풀리(154)의 회전력을 종동풀리(156)에 전단하도록 결합된 벨트(158)로 되어 있다.
회전축(141)을 회전구동하는 방식은 도시된 예와 다른 회전구동방식 예를 들면 각 회전축(141)에 각각 구동모터가 독립적으로 결합되는 방식 등 다양한 방식이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물질 제거부(170)는 선별원판(132)들 사이의 관통 슬릿(134)에 선별과정에서 걸린 이물질을 제거한다. 즉, 이물질 제거부(170)는 관통슬릿(134)의 틈새에 흡입력에 의하여 관통슬릿(134)을 통과하지 못하고 틈새를 막고 있는 물질을 제거하여 해태원초가 통과하도록 관통슬릿(134)의 틈새를 열어준다.
이물질 제거부(170)는 지지봉(172)과, 제거원판(174)으로 구축되어 있다.
지지봉(172)은 본체(110) 처리조(116)의 바닥(116a)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어 있다. 지지봉(172)은 3개의 단위 선별유니트(130)의 중심에 해당하는 위치에 장착되어 있다.
제거원판(174)은 지지봉(172)에 수직상으로 고정되게 적층되며 선별원판(132)들 사이의 관통 슬릿(134) 내로 진입될 수 있게 형성되어 해태 원초의 통과 및 틈새를 열어주는 역할을 하는 제거날(175)이 방사상으로 3개가 원주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다. 제거날(175)의 적용개수는 도시된 예와 다르게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참조부호 176은 제거원판(174) 최상단에 수직상으로 적층된 고정 가이드판이고, 참조부호 178은 고정 가이드판(178) 상부에서 지지봉(172)과 나사결합되는 조임너트이다. 이러한 제거원판(174)은 사용경과에 따라 교체가 요구될 때 조임너트(178)를 푸는 과정을 통해 교체를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서 본체(110)에는 제거원판(174)의 제거날(175)이 복수 개의 단위선별 유니트(130)에 모두 진입될 수 있도록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지지봉(172)을 중심으로 등각도로 이격되게 설치된다.
이 경우 단위 선별유니트(130)들의 선별원판(132)이 회전축(141)에 연동되어 회전될 때 관통슬릿(134)이 제거날(175)을 경유하는 회전궤도로 회전하면서 관통슬릿(134)을 열어주는 역할을 함으로써 흡입력에 의해 관통슬릿(134)에 낀 이물질이 원할하게 제거하고 해태원초가 원할하게 유입되게 한다.
참조부호 180은 처리조(116)의 바닥(116a)에 하방으로 개방되게 형성된 청소구를 개폐하는 마개와 결합된 로드(182)를 수직상으로 승하강 할 수 있게 설치된 청소구 개폐용 실린더이고, 참조부호 185는 청소시 청소수를 처리조(116) 내로 공급할 수 있게 형성된 청소수 공급구이다.
한편, 제거날(175)을 통해 선별 원판(132)의 틈새를 열어 해태원초가 통과하게 하는 방식은 사용 시간에 따라 선별 원판(132)과 제거날(175) 사이에 해태원초나 기타 이물질의 끼임 현상에 의한 마찰 마모가 발생하여 제거날(175)을 수시로 교체해야하고, 관통슬릿(134)의 틈새도 넓어져 이물질의 유입량이 많아지는 현상이 발생하여 선별원판(132)도 주기적으로 교체를 하여야 한다.
따라서, 고압수로 제거하는 이물질 제거부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이물질 제거부(270)는 관통슬릿(234)을 향해 고압수를 분사하여 이물질을 제거하도록 되어 있다.
이물질 제거부(270)는 분사관(272), 분사노즐(274) 및 고압수 공급관(276)을 구비한다.
분사관(272)은 본체(110)의 처리조(116)의 바닥(116a)에 지지되게 설치되어 상방으로 연장되게 설치되어 있다. 분사관(272)은 선별원판(232)의 내측에서 상방으로 연장되게 설치되어 있다.
분사노즐(274)은 분사관(272)상에서 관통슬릿(234)을 향해 고압수를 분사할 수 있게 분사관(272)에 수직상으로 이격되게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분사노즐(274)은 수직상으로 이격되게 형성된 관통슬릿(234) 각각에 대응되게 고압수를 분사할 수 있게 관통슬릿(234)에 근접되게 설치된다.
한편, 각 단위 선별 유니트(130)의 각 선별원판(232)의 내측에 배치되는 분사노즐(274)의 토출방향은 도시된 예에서는 상호 대향되게 배치되어 있으나, 도시된 예와 다르게 상호 출사 방향이 대향되지 않고 어긋나게 배치될 수 있다.
고압수 공급관(276)은 공급조에 저수된 물을 펌핑하는 펌프(미도시)의 구동에 의해 분사관(272)에 고압수를 공급하도록 분사관(272)과 연통되게 접속되어 있다. 여기서, 펌프 및 고압수 공급관(276)은 고압수 공급부에 해당한다.
도시된 예에서는 하나의 고압수 공급관(276)으로부터 다수 개의 단위 선별 유니트(230) 각각에 장착된 분사관(272)으로 가지 공급관을 통해 공급하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구조에서 단위 선별 유니트(230)의 선별원판(232)은 내부에 배치되는 분사관(272)이 회전시에도 간섭되지 않도록 앞서 도 3을 통해 설명된 선별원판(232)위 지지살이 생략되면서 상호 수직상으로 결합이 가능한 구조로 되어 있다.
즉, 선별원판(232)은 중앙에 상하로 관통된 원형유로공(233a)이 형성된 원형링부분(232a)과, 원형링부분(232a)의 외주면에 원주방향을 따라 이격 되게 형성되며 외경이 확장되는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고 상하로 관통된 결합공(233b)이 형성된 결합플랜지부분(232b)을 갖게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결합플랜지부분(232b)는 앞서 설명된 선회유도편(146)과 마찬가지로 원주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어 회전시 선회류를 발생시킨다.
또한, 상부 마감판(238)은 선별원판(232)의 최상단에서 선별원판(232)의 상부를 폐쇄하며 회전축(141) 및 선별원판(232)과 결합될 수 있게 되어 있다.
상부 마감판(238)의 중앙에는 축결합공(238a)이 형성되어 있고, 가장자리에는 원주방향을 따라 결합공(233b)에 대응되는 위치에 마감 결합공(238b)이 형성되어 있다.
결합볼트(243)는 상부 마감판(238)의 마감 결합공(238b)으로부터 선별원판(232)의 결합공(233b)을 통해 삽입되며, 고정너트(245)는 결합볼트(243)의 타단에 나사결합되어 선별원판(232)들을 상부 마감판(238)을 통해 지지되게 고정한다.
또한, 상부 마감판(238)은 축결합공(238a)을 통해 삽입되는 고정볼트(239)의 회전축(141)과의 결합에 의해 회전축(141)에 고정된다. 여기서, 회전축(141)의 상면에는 하방으로 인입되어 고정볼트(239)와 나사결합되는 나사홈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선별원판(232) 상호 간은 수직상으로 적층될 때 결합플랜지부분(232b)을 통해 수직상으로 상호 밀착지지되며 원형링부분(232a)들 사이에는 관통슬릿(234)을 갖게 형성하면 된다. 일 예로서, 선별원판(232)의 결합공(233b) 위치에 틈새를 형성할 수 있는 와셔(260)를 삽입하여 관통슬릿(234)을 갖게 형성한다.
또한, 분사관(272)은 선별원판(232)의 원형 유로공(233a) 내에서 선별원판(232)의 회전에 간섭되지 않는 위치에 근접하여 장착되면 된다.
한편, 도시된 예와 다르게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사노즐(274)이 선별원판(232)의 외측에 배치되어 관통슬릿을 향해 고압수를 분사하도록 구축될 수 있다.
또 다르게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별원판(232)은 처리조에 대해 고정되게 적층되게 설치되고, 분사관(272)으로부터 연장된 분사노즐(274)이 선별원판(232)의 내부에서 관통슬릿을 향해 고압수를 회전하면서 분사하도록 구축될 수 있다. 도 8에서 참조부호 352는 분사노즐을 회전구동하는 모터이다.
또한, 국내 등록실용신안 제20-0198814호, 국내 공개특허 제10-2013-0079955호, 국내 등록특허 제20-0476937호 및 국내 공개특허 제10-2008-0087239호에 개시된 제거날개에 분사관을 통해 접속되어 고압수를 분사하는 분사노즐을 장착시켜 해태원초를 선별하기 위한 틈새에 고압수를 분사하는 구조로 구축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에서 설명된 해태 원초의 이물질 분리장치에 의하면, 좁은 틈새를 이용한 해태 원초의 선별과정에서 흡입펌프의 흡입력에 의하여 관통 슬릿 사이의 이물질을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특히 고압수로 관통슬릿에 끼인 이물질을 제거하는 방식의 경우 제거과정에서 이물질의 선별 원판 내부로의 유입이 억제되고, 사용경과에 따른 마모에 의해 교체가 요구되는 제거날을 적용하는 것과 비교하여 주기적 교체가 요구되지 않는 장점을 제공한다. 또한, 제거날을 적용하는 경우 제거날의 최소 두께에 의해 적용할 수 있는 관통슬릿의 수직상의 이격거리를 줄이는데 한계가 있는 반면 고압수를 적용하는 경우 관통슬릿의 수직상의 이격거리에 대한 제약이 더욱 완화되는 장점이 있다.
즉, 이물질과 해태원초의 분리 원리는 좁은틈새에 해당하는 관통슬릿을 만들어 흡입펌프의 흡입력으로 부드럽고 얇은 해태 원초는 물과 함께 관통슬릿을 통과하여 선별되고, 거칠고 굵은 기타 이물질 등은 처리조 내부를 선회하다가 주기적으로 청소할 때 밖으로 배출된다. 이 과정에서 흡입력에 의하여 좁은 관통슬릿으로 통과하려는 해태원초나 기타 이물질들이 막히는 현상이 발생한다. 또한, 관통슬릿이 막히는 현상을 열어주는 장치가 틈새망과 틈새를 열어주는 제거날을 적용하는 경우 제거날과 흡입되려는 해태원초 및 기타 이물질들의 마찰 간섭으로 인하여 해태원초도 상처를 입고, 틈새망과 제거날도 마찰간섭으로 인하여 마모되고 파손되는 관계로 일정기간 사용후에는 틈새가 넓어져 이물질의 유입이 많아지는 관계로 마른김 생산제품에 이물질이 들어가는 제품하자가 발생하게 되고, 이로 인한 손해를 입게 됨으로써 부품을 주기적으로 교체하여야 한다. 그러나, 수압에 의해 틈새를 열어주는 방식은 관통슬릿의 내부에서 처리조로 고압수를 토출하여 막히는 틈새를 열어줌으로써 틈새와 제거날의 간섭이 발생하지 않는다.
따라서, 고압수 적용방식의 경우 제거날 적용의 구조보다 첫째, 더 좁은 틈새를 형성할 수 있고, 둘째 해태 원초와 틈새 제거날과의 끼임 간섭이 없으므로 해태원초의 손상이 발생되지 않으며, 셋째, 제거날의 틈새간섭으로 인해 틈새가 넓어지는 현상이 없으므로 그로 인한 이물질 유입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넷째, 파소 마모 등에 의한 부품의 교체비용을 줄일 수 있고, 그로인한 기계의 정지시간이 발생하지 않으며, 다섯째, 생산제품의 이물질 하자를 최소화할 수 있고, 여섯째, 수압으로 인한 물공급으로 부드러운 해태원초의 틈새통과를 원할하게 해주므로 별도의 추가적인 물공급장치가 필요없는 장점을 제공한다.
110: 본체 116: 처리조
130: 단위 선별유니트 150: 회전 구동부
170: 이물질 제거부

Claims (5)

  1. 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처리대상 해태원초가 수용될 수 있는 수용공간을 갖는 처리조가 마련된 본체와;
    상기 처리조에 관통슬릿을 갖게 장착된 선별원판과, 상기 관통슬릿을 통해 유입된 해태원초를 배출관을 통해 배출할 수 있게 선별된 해태 원초의 이동로를 제공하는 수거 하우징을 갖는 단위 선별유니트와;
    상기 선별원판들 사이의 관통 슬릿에 걸린 이물질을 제거하는 이물질 제거부;를 구비하고,
    상기 이물질 제거부는
    상기 관통슬릿을 향해 고압수를 분사하여 이물질을 제거하도록 되어 있고,
    상기 이물질 제거부는
    상기 처리조 내에서 상방으로 연장된 분사관과;
    상기 분사관상에서 상기 관통슬릿을 향해 고압수를 분사할 수 있게 상기 분사관에 수직상으로 이격되게 형성된 분사노즐과;
    상기 분사관에 고압수를 공급하는 고압수 공급부;를 구비하고,
    상기 단위 선별유니트는
    상기 처리조의 바닥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된 회전축에 방사상으로 관통슬릿을 갖게 수직상으로 적층되게 결합된 상기 선별원판과, 상기 선별원판 하부에 장착되어 상기 선별 원판들의 상기 관통슬릿을 통해 유입된 해태원초를 배출관을 통해 배출할 수 있게 선별된 해태 원초의 이동로를 제공하는 수거 하우징을 갖게 형성되어 있고,
    상기 회전축을 회전구동하는 회전 구동부;를 구비하고,
    상기 단위 선별 유니트의 상기 선별원판은
    중앙에 상하로 관통된 원형유로공이 형성된 원형링부분과, 상기 원형링부분의 외주면에 원주방향을 따라 이격 되게 형성되며 외경이 확장되는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고 상하로 관통된 결합공이 형성된 결합플랜지부분을 갖게 형성되어 있고,
    상기 선별원판의 최상단에서 상기 선별원판의 상부를 폐쇄하며 상기 회전축과 결합되는 상부 마감판과;
    상기 상부 마감판으로부터 상기 선별원판의 결합공을 통해 삽입된 결합볼트와;
    상기 결합볼트의 타단에 나사결합되어 상기 선별원판들을 상기 상부 마감판을 통해 지지되게 고정하는 고정너트;를 구비하고,
    상기 분사관은 상기 선별원판의 원형 유로공 내에서 상기 선별원판의 회전에 간섭되지 않는 위치에 장착되어 있으며, 상기 분사노즐은 수직상으로 이격되게 형성된 관통슬릿 각각에 대응되게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선별원판의 결합공 위치에 삽입된 와셔에 의해 상기 관통슬릿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태원초의 이물질 분리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200026625A 2020-03-03 2020-03-03 해태원초의 이물질 분리장치 KR1021880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6625A KR102188048B1 (ko) 2020-03-03 2020-03-03 해태원초의 이물질 분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6625A KR102188048B1 (ko) 2020-03-03 2020-03-03 해태원초의 이물질 분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88048B1 true KR102188048B1 (ko) 2020-12-07

Family

ID=737913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26625A KR102188048B1 (ko) 2020-03-03 2020-03-03 해태원초의 이물질 분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8804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26677A (ko) * 2022-02-22 2023-08-30 (주)늘푸른나무 복수개의 선별링이 적층된 스크린을 포함하는 해태원초의 이물질 선별장치
KR20240048733A (ko) 2022-10-07 2024-04-16 유한회사 진성 해태원초 이물질 분리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317778A (ja) * 1995-05-23 1996-12-03 Tsukasa Takebe 海苔異物分離器
JPH10276731A (ja) * 1997-04-07 1998-10-20 Tsukasa Takebe 海苔異物除去方法及び装置
KR19980077571A (ko) * 1997-04-21 1998-11-16 우석수 해태원초의 이물질 선별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317778A (ja) * 1995-05-23 1996-12-03 Tsukasa Takebe 海苔異物分離器
JPH10276731A (ja) * 1997-04-07 1998-10-20 Tsukasa Takebe 海苔異物除去方法及び装置
KR19980077571A (ko) * 1997-04-21 1998-11-16 우석수 해태원초의 이물질 선별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26677A (ko) * 2022-02-22 2023-08-30 (주)늘푸른나무 복수개의 선별링이 적층된 스크린을 포함하는 해태원초의 이물질 선별장치
KR102668364B1 (ko) 2022-02-22 2024-05-23 (주)늘푸른나무 복수개의 선별링이 적층된 스크린을 포함하는 해태원초의 이물질 선별장치
KR20240048733A (ko) 2022-10-07 2024-04-16 유한회사 진성 해태원초 이물질 분리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88048B1 (ko) 해태원초의 이물질 분리장치
US5770058A (en) Centrifugal separator
JP4789041B2 (ja) 生海苔の異物分離装置
KR20160073960A (ko) 바이오매스 분류 및 추출 방법 및 장치
JP5843273B1 (ja) 生海苔の異物分離装置
KR101252271B1 (ko) 고압세척노즐을 통해 음식폐기물 고형성분의 여과효율을 높인 드럼선별기 및 이를 장착한 음식폐기물 자원화장치
CN202606488U (zh) 餐厨垃圾除杂系统
KR102419384B1 (ko) 대용량 해태원초 이물질 선별장치
RU2688885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одготовки массы
KR100828314B1 (ko) 이물질 여과장치
KR102373892B1 (ko) 해태원초 이물질 선별장치
US2343327A (en) Fruit and vegetable juice extractor
FI79360B (fi) Anordning foer avskiljning i en fibermassa foerekommande icke oenskvaerda partiklar.
CN102688882A (zh) 餐厨垃圾除杂系统和方法
AU660961B2 (en) Device for opening flocculent fibrous material
KR19980077571A (ko) 해태원초의 이물질 선별장치
DE3125309C2 (de) Zerkleinerungsvorrichtung für Abfälle
KR20170079404A (ko)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CN108030118A (zh) 大豆清洗分选出料装置
KR102635784B1 (ko) 씨앗 분리장치
SE453653B (sv) Forfarande och anordning for styckning av stubbar
CN210226851U (zh) 一种双孢菇快速除水装置
RU2301612C1 (ru) Комбайн для выделения семян из плодов бахчевых культур
KR20020066896A (ko) 해태원초의 이물질 선별장치
KR20240048733A (ko) 해태원초 이물질 분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J206 Request for trial to confirm the scope of a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