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65173B1 - 전도성 잉크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전도성 잉크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65173B1
KR102665173B1 KR1020210140172A KR20210140172A KR102665173B1 KR 102665173 B1 KR102665173 B1 KR 102665173B1 KR 1020210140172 A KR1020210140172 A KR 1020210140172A KR 20210140172 A KR20210140172 A KR 20210140172A KR 102665173 B1 KR102665173 B1 KR 1026651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irring
mixing
mixed solution
conductive ink
graphe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401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56302A (ko
Inventor
문효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지브이엘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지브이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지브이엘
Priority to KR10202101401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65173B1/ko
Publication of KR202300563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563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651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65173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1/00Inks
    • C09D11/52Electrically conductive ink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2Elements
    • C08K3/04Carbon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1/00Inks
    • C09D11/02Printing inks
    • C09D11/03Printing inks characterised by features other than the chemical nature of the binder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1/00Inks
    • C09D11/02Printing inks
    • C09D11/03Printing inks characterised by features other than the chemical nature of the binder
    • C09D11/037Printing inks characterised by features other than the chemical nature of the binder characterised by the pigm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1/00Inks
    • C09D11/02Printing inks
    • C09D11/10Printing inks based on artificial resins
    • C09D11/102Printing inks based on artificial resins containing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ther than those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9D11/104Polyes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1/00Inks
    • C09D11/30Inkjet printing ink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71/00Manufacture or treatment specially adapted for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71/10Deposition of organic active material
    • H10K71/12Deposition of organic active material using liquid deposition, e.g. spin coating
    • H10K71/13Deposition of organic active material using liquid deposition, e.g. spin coating using printing techniques, e.g. ink-jet printing or screen printing
    • H10K71/135Deposition of organic active material using liquid deposition, e.g. spin coating using printing techniques, e.g. ink-jet printing or screen printing using ink-jet printing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도성 잉크의 제조방법은, 가열한 용매 30~50 wt%에, 바인더 5~10wt%를 혼합하는 제1 혼합 단계, 제1 혼합 단계에 제1 가소제 0.1~1.0 wt%, 보존제 0.01 ~0.1 wt%를 혼합하는 제2 혼합 단계, 제2 혼합 단계의 혼합액을 가열하는 단계, 그래핀 1~3 wt%, 폴리에스테르 수지 1~5 wt%, 제2 가소제 5~20 wt%, 커플링제 0.01~0.1 wt%를 혼합하여 그래핀 혼합액을 제조하는 단계, 가열된 제2 혼합 단계의 혼합액에 제조한 그래핀 혼합액을 투입하는 제3 혼합 단계, 제3 혼합 단계의 혼합액을 교반 하는 제1 교반 단계, 제1 교반 단계의 혼합액에 20~40 wt% 용매를 투입하고 교반 하는 제2교반 단계를 포함하는 전도성 잉크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구성에 의해 제조된 본 전도성 잉크의 제조방법은 금속과 접촉 시 접촉저항을 최소화한 그래핀을 포함하는 전도성 잉크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전도성 잉크 및 이의 제조방법{Conductive ink and method of manufacture}
본 발명은 전도성 잉크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전도성 잉크는 말 그대로 잉크 자체에 전기가 통하는 것을 말한다. 은이나 구리처럼 전기 전도도가 높은 물질을 혼합하여 제조하며, 그림처럼 자유롭게 그려서 원하는 형태의 전기회로를 만들 수 있다.
전도성잉크는 크게 페이스트 잉크, 금속염 잉크, 나노 잉크 세 가지로 구분할 수 있다. 그 중 페이스트 잉크는 금속분말을 분말 사이를 접촉하고 유동성을 주기 위한 바인더 수지와 기타 첨가제를 혼합한 형태로 점도가 높은 것이 특징이다.
하지만 금속 분말 사이를 전기 전도도가 낮은 고분자로 채운 형태이기 때문에 전체적인 전기 전도도는 떨어진다는 단점이 있다.
최근 화학적 안정성이 뛰어나고 전기 및 열 전도성이 우수한 그래핀을 활용한 전도성 잉크의 개발이 증가되고 있다. 그래핀은 탄소원자가 6각형 벌집구조로 결합한 2차원 전도성 물질로 원자 한 개 두께로 극히 얇지만 전기적 · 물리적 성질이 우수해 차세대 전자소자 물질로 주목받고 있다.
그러나, 그래핀으로 제조된 전도성 잉크의 경우에는 금속과 접촉할 경우 높은 저항이 발생하여 그래핀 응용소자의 성능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배경을 바탕으로 안출된 것으로, 금속과 접촉할 경우 높은 접촉저항을 최소화하는 전도성잉크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그래핀 전도성 잉크는,
가열한 용매 30~50 wt%에, 바인더 5~10wt%를 혼합하는 제1 혼합 단계, 제1 혼합 단계에 제1 가소제 0.1~1.0 wt%, 보존제 0.01 ~0.1 wt%를 혼합하는 제2 혼합 단계, 제2 혼합 단계의 혼합액을 가열하는 단계, 그래핀 1~3 wt%, 폴리에스테르 수지 1~5 wt%, 제2 가소제 5~20 wt%, 커플링제 0.01~0.1 wt%를 혼합하여 그래핀 혼합액을 제조하는 단계, 가열된 제2 혼합 단계의 혼합액에 제조한 그래핀 혼합액을 투입하는 제3 혼합 단계, 제3 혼합 단계의 혼합액을 교반 하는 제1 교반 단계, 제1 교반 단계의 혼합액에 20~40 wt% 용매를 투입하고 교반 하는 제2교반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혼합단계는, 혼합 후, 상온에서 30~60 분 동안의 결합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그래핀 혼합액을 제조하는 단계는, 와류 혼합하고 초음파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제1 교반 단계는, 제3 혼합 단계의 혼합액을 500~700 rpm으로 1~10 분 동안 교반 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교반 단계는, 제1 교반 단계의 혼합액을 500~700 rpm으로 30~ 60분 동안 교반 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바인더는 알긴산, 아라비아검, 젤라틴, 구아검, 잔탄검, 하이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하이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폴리아크릴아미드, 폴리비닐알콜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으며,
제1 가소제는, 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폴리에틸렌글리콜, 글리세린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고, 제2 가소제도 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폴리에틸렌글리콜, 글리세린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도성 잉크 및 이의 제조방법은, 접촉저항을 최소화한 그래핀을 포함하는 전도성 잉크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고부호를 붙였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위에" 있다고 할 경우, 이는 다른 부분 "바로 위에"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부분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반대로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아래에" 있다고 할 경우, 이는 다른 부분 "바로 아래에"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부분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전도성 잉크는 전자기기의 배선이나 회로, 전극의 핵심 재료이다. 현재 사용되고 있는 고가의 은 잉크 소재를 구리, 니켈, 철 등으로 대체하고자 하는 연구가 계속되어 왔지만 금속 산화의 문제로 전기적 안정성이 저하되었다.
산화되는 금속 표면에 은을 코팅하여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하였으나 높은 비용을 감안해야 하는 점이 용이하지 않았다.
또한 그래핀으로 제조된 전도성 잉크의 경우에는 금속과 접촉할 경우 높은 저항이 발생하여 그래핀 응용소자의 성능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화학적 안정성이 뛰어나고 전기 · 열 전도성이 우수한 그래핀을 커플링제와 함께 사용하여 용액상으로 쉽게 제조할 수 있는 전도성 잉크 제조방법을 완성하게 되었다.
본 발명에 따른 그래핀을 포함한 전도성 잉크 및 이의 제조방법을 통해 형성된 전도성 잉크는, 용매에 바인더, 가소제, 그래핀 혼합액을 넣고 혼합하여 제조된다.
이러한 전도성 잉크의 제조방법으로는 먼저 용매를 가열하고 바인더를 서서히 첨가해주며 교반 해준다.
가열한 용매에 교반 하지 않고 수용성 고분자인 바인더를 첨가하게 되면 고분자끼리 뭉치거나 분산되는 시간이 오래 걸릴 수 있다. 또한 고분자가 엉겨 있는 상태로 분산을 위해 교반을 세게 해주게 되면 고분자 자체의 연결 구조들이 끊기면서 전도성 잉크의 점도에 영향을 줄 수 있다.
이때, 교반은 반응용기에 마그네틱 바를 넣거나, 교반 믹서를 통해 회전시키거나, 소량일 경우 손으로 저어줄 수 있다.
여기서 사용하는 용매는 유기용매 만이거나 물을 함유하여도 상관없다. 물 만을 용매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이온 교환수, 증류수 등의 순도를 갖는 것을 의미하며, 수도물과 같은 순도의 물은 용이하지 않다. 물과 유기용매를 혼합하여 사용하는 경우에는 적어도 들어가는 물질들과 상용성이 있는 것으로, 잉크 점도 등으로 조제할 수 있는 것이면 특별히 한정할 필요는 없다.
용매와 바인더가 혼합이 되면 더 이상 교반을 해주지 않고 그대로 방치하여 용매와 바인더 사이에 결합이 형성되도록 한다. 첨가된 바인더의 종류에 따라 상이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30분 내지 60분의 결합 시간을 주도록 한다. 시간이 경과하면 액상이었던 혼합액이 점도가 형성이 되며 점액상으로 바뀌게 된다. 결합 시간이 30분 이하면 점도가 완전하게 형성되지 않으며, 60분 이상의 시간을 주면 더 이상의 점도 형성은 일어나지 않으므로 시간 낭비에 불과하다.
여기서 바인더는 알긴산, 아라비아검, 젤라틴, 구아검, 잔탄검, 하이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하이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폴리아크릴아미드, 폴리비닐알콜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점액상으로 바뀐 혼합액에 제1 가소제와 보존제를 넣고 혼합 후 가열한다. 가소제를 넣으면 수지와 잘 섞이며 고분자에 유연성을 주어 전도성 잉크에 탄성이나 점착성을 부여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가소제는 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폴리에틸렌글리콜, 글리세린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사용하고, 보존제는 라임오일, 레몬오일, 시나몬오일, 클로브오일, 유칼립톨, 티콜, 살리실산메틸, 레보멘톨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른 용기에 그래핀과 폴리에스테르 수지, 제2 가소제, 커플링제를 혼합하고 그래핀 혼합액을 제조한다.
여기서 커플링제는 실란 계열의 구조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나, 커플링제의 구조가 특별히 제한된 것은 아니다.
이때, 와류 혼합을 하고 초음파 처리를 진행하는 것이 그래핀의 분산에 바람직하다. 혼합액을 와류 혼합하고 초음파처리를 하면 초음파처리로 벌어진 층간 간격을 더욱 확장하여 박리된 그래핀 혼합물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초음파처리만 하게 되면 그래핀이 박리되기는 하지만 여전히 큰 덩어리의 그래핀의 형상이 남아있을 수 있다. 하지만 그래핀 처리 과정은 기재된 방법 이외에도 다양한 방법을 적용 가능하며 특별히 방법이 제한된 것은 아니다.
가열한 점액상이 끓기 시작할 때, 그래핀 혼합액을 투입하고 교반 해준다. 이때 바람직하게는 교반 속도를 500 내지 700 rpm으로 하고 1분 내지 10분 동안 교반 한다. 교반 속도가 500이하이면 점액상에 그래핀 혼합액이 고르게 분산되지 않고, 교반 시간이 1분 이하면 역시 그래핀 혼합액이 분산되는 시간이 부족하게 된다.
점액상과 그래핀 혼합액의 분산이 끝나면, 용매를 추가 투입하고 바람직하게는 30분 내지 60분 동안, 500 내지 700 rpm의 교반 속도로 혼합해주게 되면 그래핀이 포함된 전도성 잉크의 제조가 마무리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비교예 및 실시예를 통해 더 상세히 기술한다.
비교예
가열한 용매 58 wt%에 바인더 5 wt%를 혼합하고 500 rpm의 회전속도로 1~5 분 동안 교반 믹서를 통해 교반하고 혼합이 끝나면 60분동안 방치한다. 시간이 지나 점성을 띄는 혼합액에 가소제 0.15 wt%와 보존제 0.05 wt%를 넣고 교반 하면서 가열해준다. 가열한 혼합액이 끓기 시작하면, 그래핀 1.5 wt%를 넣고 700 rpm의 교반 속도로 10분동안 교반 한다. 교반이 끝나면 용매 35.3 wt%를 넣고 60분동안 회전속도 700 rpm로 교반 하여 전도성 잉크를 제조한다.
실시예 1
가열한 용매 51 wt%에 바인더 5 wt%를 혼합하고 500 rpm의 회전속도로 1~5 분 동안 교반 믹서를 통해 교반하고 혼합이 끝나면 60분동안 방치한다. 시간이 지나 점성을 띄는 혼합액에 제1 가소제 0.15 wt%와 보존제 0.05 wt%를 넣고 교반 하면서 가열해준다. 다른 용기에 그래핀 1.5 wt%, 폴리에스테르 수지 3 wt%, 제2 가소제 10 wt%, 비닐 트리클로르실란 0.05 wt%를 넣고 와류 혼합 후 초음파 분산을 진행하여 그래핀 혼합액을 제조한다. 가열한 혼합액이 끓기 시작하면, 그래핀 혼합액을 투입한 뒤 700 rpm의 교반 속도로 10분동안 교반 한다. 교반이 끝나면 용매 29.25 wt%를 넣고 60분동안 회전속도 700 rpm로 교반 하여 전도성 잉크를 제조한다.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되, 커플링제의 유무 및 종류를 달리하여 실시예 2 내지 12를 제조하였다. 제조된 전도성 잉크를 종이에 바른 뒤 멀티테스터기로 측정하여 아래 표 1과 같이 비교예와 상대적인 전기저항을 관찰하였다.
구분 커플링제
명칭
전기저항 구분 커플링제
명칭
전기저항
비교예 - 실시예 7 알루미늄
이소프로필레이트
실시예 1 비닐
트리클로르실란
실시예 8 알루미늄
에틸레이트
실시예 2 비닐
트리메톡시실란
실시예 9 에틸아세토아세테이트
알루미늄
디이소프로필레이트
중하
실시예 3 헥사메틸디실라잔 중하 실시예 10 지르코늄
노말프로필레이트
실시예 4 테트라이소프로필
타이타네이트
실시예 11 지르코늄 비스아세틸
아세토네이트
실시예 5 타이타늄에틸
아세토아세테이트
중상 실시예 12 지르코늄아세테이트
실시예 6 타이타늄 락테이트 중상
표 1과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전도성 잉크 제조방법에 의하면 커플링제가 첨가되었을 때가 커플링제가 첨가되지 않았을 때보다 상대적으로 전기저항이 작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전도성 잉크 안에 들어있는 그래핀에 커플링제가 첨가되면서 종이에 쓰여진 잉크의 밀착성이 향상되었기 때문이라고 볼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실란 계열의 커플링제가 첨가되어 제조된 전도성 잉크의 경우가 다른 커플링제가 첨가되어 제조된 전도성 잉크들에 비하여 대체적으로 더 낮은 전기저항 값을 가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와 같이 전기저항 값이 낮으면서, 높은 전기전도도의 특성을 또한 가질 수 있는 전도성 잉크의 제조방법을 위해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통해 전도성 잉크의 전기전도도를 상대적으로 확인하고자 하였다.
실시예 1의 제1 교반 단계와 제2 교반 단계 이전까지는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되, 그래핀 혼합액을 투입 후 교반 하는 제1 교반 단계와 그 이후 용매를 더 첨가하고 교반 하는 제2 교반 단계의 교반 속도와 시간에 변화를 주어 실시예 13을 제조하였다.
또한 실시예 13은 표1에서 가장 낮은 저항 값을 가지는 실시예 1에 해당하는 동일한 실란계의 커플링제인 비닐 트리클로르실란을 사용해 전도성 잉크를 제조하여 비교하였기 때문에 동일한 중량비를 가지는 화합물들을 통해 얼마나 효능이 뛰어난 전도성 잉크를 제조할 수 있는지 상대적으로 비교가 가능하였다.
이에 표2에 실시예 13를 조건을 달리하여 측정한 전기전도도의 값을 기재하였다.
구분 제1교반 단계
속도
(rpm)
제2교반 단계
속도
(rpm)
제1교반 단계
교반 시간
(분)
제2교반 단계
교반 시간
(분)
전기
전도도
실시예
13
500 500 1 30
1 60
5 30 중하
5 60
10 30 중하
10 60
600 600 1 30 중하
1 60 중상
5 30 중하
5 60 중상
10 30 중하
10 60 중상
700 700 1 30 중상
1 60
5 30 중상
5 60
10 30 중상
10 60
500 700 1 30
1 60 중상
5 30
5 60
10 30
10 60
700 500 1 30
1 60 중상
5 30
5 60 중상
10 30
10 60 중상
표 2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전도성 잉크 제조방법에 의하면 제1 교반 단계 속도 및 제2 교반 단계 속도를 500 내지 700 rpm으로 실험해보았을 때 회전수가 많을수록 상대적으로 높은 전기전도도가 측정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혼합된 그래핀이 회전수를 늘릴수록 분산이 더 고르게 잘 되어 그만큼 전기전도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이라 생각할 수 있다.
또한 주어진 시간 범위 내에서 제1 교반 단계 및 제2 교반 단계의 시간이 늘어날수록 높은 전기전도도가 측정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교반 속도와 같은 이유로 시간이 늘어날수록 그래핀의 분산이 고르게 되어 전기전도도가 높게 측정되는 것이라 볼 수 있다.
제1 교반 단계의 시간은 1분 미만일 경우 제2 교반 단계를 거쳐도 혼합액의 분산이 덜 되는 경우가 있으며, 후공정에서 용매가 다시 한번 첨가되기 때문에 10분 이상의 시간도 의미가 없다고 볼 수 있다.
제2 교반 단계의 시간은 용매를 넣고 나서 최종적으로 혼합해주는 과정이기 때문에 30분 미만으로 교반 시에, 혼합물들이 가라앉아 전기전도도가 떨어지며, 한 시간을 경과하게 되면 전기전도도가 특별히 더 증가하지 않기 때문에 공정 효율을 생각하면 60분 이내로 제2 교반 단계의 시간을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판단된다.
이와 같이 낮은 전기 저항을 가지며 높은 전기전도도 또한 포함하는 전도성 잉크의 제조방법에 대한 공정 효율을 비교해보기 위해 표3의 조건들을 추가하여 제조한 뒤 전기전도도를 측정하였다.
실시예 13의 제1 교반 단계와 제2 교반 단계 조건과 동일하게 제조하되, 두 단계의 온도를 상이하게 설정하여 실시예 14를 제조하였다.
표2에서 가장 높은 전기전도도가 측정되었던 조건으로 제1 교반 단계 및 제2 교반 단계 회전 수 700 rpm로 하고, 각 교반 시간은 제1 교반 단계 10분, 제2 교반 단계 60분으로 온도만 달리하여 제조하였다.
구분 제1 교반 단계
온도
(℃)
제2 교반 단계
온도
(℃)
전기전도도
실시예 14 실온 실온
실온 40
실온 60
40 40 중하
40 실온 중상
40 60
60 60
60 40
60 실온 중상
표 3과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전도성 잉크 제조방법에 의하면 제1 교반 단계 및 제2 교반 단계의 온도 모두 실온일 때 가장 높은 전기전도도를 나타내는 것을 볼 수 있었다.
또한 제1 교반 단계에서 상대적으로 제2 교반 단계의 온도보다 낮았더라도 다음 공정에서 온도가 높아지게 되면 전기전도도가 떨어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온도가 올라가면서 앞서 첨가된 수용성 고분자인 바인더의 유연성이 더해져 점도가 떨어지면서 그래핀의 분산력도 함께 떨어지며 일어난 것이라 예상해볼 수 있다.
반대로 제1 교반 단계에서 상대적으로 제2 교반 단계의 온도보다 높았더라도 다음 공정에서 온도가 낮아지게 되면 전기전도도가 상대적으로 상승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온도가 떨어지면서 앞서 첨가된 수용성 고분자인 바인더의 유연성이 줄어들고 분산된 그래핀이 고정되어 상대적으로 전기전도도가 상승하는 것이라 예상해볼 수 있다.
본 발명의 전도성 잉크 제조방법에 의하면, 낮은 전기저항과 높은 전기전도도를 가지는 전도성 잉크를 실온에서 높은 공정 효율로 제조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본 명세서에 제시되는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추가 등에 의해서 다른 실시 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사상범위 내에 든다고 할 것이다.

Claims (8)

  1. 가열한 용매 30~50 wt%에, 바인더 5~10wt%를 혼합하는 제1 혼합 단계;
    상기 제1 혼합 단계에 제1 가소제 0.1~1.0 wt%, 보존제 0.01 ~0.1 wt%를 혼합하는 제2 혼합 단계;
    상기 제2 혼합 단계의 혼합액을 가열하는 단계;
    그래핀 1~3 wt%, 폴리에스테르 수지 1~5 wt%, 제2 가소제 5~20 wt%, 전기 저항값을 보다 낮추는 비닐 트리클로로실란 및 비닐 트리메톡시실란 중 하나로 이루어진 커플링제 0.01~0.1 wt%를 혼합하여 그래핀 혼합액을 제조하는 단계;
    가열된 상기 제2 혼합 단계의 혼합액에 제조한 그래핀 혼합액을 투입하는 제3 혼합 단계;
    상기 제3 혼합 단계의 혼합액을 교반 하는 제1 교반 단계;
    상기 제1 교반 단계의 혼합액에 20~40 wt% 용매를 투입하고 교반 하는 제2교반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교반 단계는,
    실온에서 혼합액의 분산을 고르게 하고 후공정에 용매가 추가되기에 과도한 공정을 예방하기 위해 상기 제3 혼합 단계의 혼합액을 500~700 rpm으로 1~10 분 동안 교반 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2 교반 단계는,
    실온에서 혼합물들이 가라앉지 않고 공정효율을 위해 상기 제1 교반 단계의 혼합액을 500~700 rpm으로 30~60분 동안 교반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도성 잉크 제조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혼합단계는,
    혼합 후, 상온에서 30~60 분 동안의 결합 단계를 포함하는 전도성 잉크 제조방법.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그래핀 혼합액을 제조하는 단계는,
    와류 혼합하고 초음파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도성 잉크 제조방법.
  4. 삭제
  5. 삭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바인더는 알긴산, 아라비아검, 젤라틴, 구아검, 잔탄검, 하이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하이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폴리아크릴아미드, 폴리비닐알콜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도성 잉크 제조방법.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가소제는,
    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폴리에틸렌글리콜, 글리세린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도성 잉크 제조방법.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 가소제는,
    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폴리에틸렌글리콜, 글리세린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도성 잉크 제조방법.
KR1020210140172A 2021-10-20 전도성 잉크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6651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40172A KR102665173B1 (ko) 2021-10-20 전도성 잉크 및 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40172A KR102665173B1 (ko) 2021-10-20 전도성 잉크 및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56302A KR20230056302A (ko) 2023-04-27
KR102665173B1 true KR102665173B1 (ko) 2024-05-21

Family

ID=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303748A (ja) * 2003-03-28 2004-10-2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グラビア印刷用導電性水性インキ及びそれを用いた積層セラミック電子部品の製造方法
JP2007141521A (ja) 2005-11-15 2007-06-07 Daicel Value Coating Ltd 導電性組成物およびそれを用いた導電性フィルム
CN104212242B (zh) * 2014-09-02 2016-08-24 江苏格美高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喷墨用石墨烯与碳纳米管导电油墨的制备方法
KR101837316B1 (ko) 2013-07-08 2018-03-09 도요보 가부시키가이샤 도전성 페이스트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303748A (ja) * 2003-03-28 2004-10-2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グラビア印刷用導電性水性インキ及びそれを用いた積層セラミック電子部品の製造方法
JP2007141521A (ja) 2005-11-15 2007-06-07 Daicel Value Coating Ltd 導電性組成物およびそれを用いた導電性フィルム
KR101837316B1 (ko) 2013-07-08 2018-03-09 도요보 가부시키가이샤 도전성 페이스트
CN104212242B (zh) * 2014-09-02 2016-08-24 江苏格美高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喷墨用石墨烯与碳纳米管导电油墨的制备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942825B2 (en) Silver compound paste
TW200917284A (en) Conductive paste for high speed sintering
CN105280265A (zh) 太阳能电池电极浆料、制备方法、电池电极及太阳能电池
TWI484017B (zh) 導電碳膠製作方法
CN103224705A (zh) 纳米改性聚酰亚胺复合薄膜及其制备方法
CN107746272B (zh) 微波介质陶瓷、聚四氟乙烯-陶瓷复合基板及制备方法
CN110684222B (zh) 聚合物基复合介电材料及其制备方法
CN106009530A (zh) 氮化硼-银杂化粒子/环氧树脂复合材料及其制备方法
CN106497064A (zh) 一种高介电常数无机/聚二甲基硅氧烷复合柔性材料及制备方法和应用
KR102665173B1 (ko) 전도성 잉크 및 이의 제조방법
Tang et al. High-temperature-resistant barium strontium titanate@ Ag/poly (arylene ether nitrile) composites with enhanced dielectric performance and high mechanical strength
TW201038466A (en) Method of forming nanometer-scale point materials
CN113068280A (zh) 一种石墨烯发热膜及其制备方法与应用
JP5342603B2 (ja) 焼成ペースト用銅微粒子および銅焼成膜の形成方法
CN113772661A (zh) 一种还原氧化石墨烯/纳米银复合膜的制备方法
CN103214795A (zh) 一种高绝缘导热覆铜板的组方及其制备工艺
KR20230056302A (ko) 전도성 잉크 및 이의 제조방법
CN109913080A (zh) 一种新型无溶剂导静电防腐涂料
CN108587053A (zh) 一种高稳定性的耐候导电橡胶
CN108299579A (zh) 一种石墨烯/纳米二氧化硅/聚苯乙烯杂化材料及其制备方法和应用
KR101348950B1 (ko) 무소결 세라믹 하이브리드 기판의 층간 접속을 위한 도전성 비아 페이스트 및 그 제조방법
CN109575482B (zh) 一种用于高频覆铜板的基板材料及其制备方法
CN115188598B (zh) 一种纳米介电粉包覆的铝电解电容器烧结箔及其制备方法
CN1667380A (zh) 有机ptc热敏电阻及其制造方法
CN102746489B (zh) 一种端羟基液体丁苯橡胶改性环氧树脂组方及制备工艺