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64117B1 - 공명기를 가진 차량용 휠 - Google Patents

공명기를 가진 차량용 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64117B1
KR102664117B1 KR1020190066916A KR20190066916A KR102664117B1 KR 102664117 B1 KR102664117 B1 KR 102664117B1 KR 1020190066916 A KR1020190066916 A KR 1020190066916A KR 20190066916 A KR20190066916 A KR 20190066916A KR 102664117 B1 KR102664117 B1 KR 1026641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m
resonator
slot
vehicle wheel
fix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669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40112A (ko
Inventor
정재성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669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64117B1/ko
Publication of KR202001401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401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641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641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BVEHICLE WHEELS; CASTORS; AXLES FOR WHEELS OR CASTORS; INCREASING WHEEL ADHESION
    • B60B21/00Rims
    • B60B21/02Rims characterised by transverse section
    • B60B21/026Rims characterised by transverse section the shape of rim wel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BVEHICLE WHEELS; CASTORS; AXLES FOR WHEELS OR CASTORS; INCREASING WHEEL ADHESION
    • B60B21/00Rims
    • B60B21/02Rims characterised by transverse section
    • B60B21/025Rims characterised by transverse section the transverse section being hollow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BVEHICLE WHEELS; CASTORS; AXLES FOR WHEELS OR CASTORS; INCREASING WHEEL ADHESION
    • B60B2900/00Purpose of invention
    • B60B2900/10Reduction of
    • B60B2900/133Noi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utt Welding And Welding Of Specific Articl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명기를 가진 차량용 휠은, 타이어가 장착되는 림; 상기 림의 내주벽에 용접을 통해 결합되는 디스크; 및 고정부재에 의해 상기 림의 외주면에 부착된 하나 이상의 공명기;를 포함한다. 상기 디스크의 외주 가장자리는 상기 림의 내주벽에 용접부에 의해 결합되는 외주단면을 가지고, 상기 고정부재가 상기 공명기의 바닥벽 및 상기 림의 내주벽을 통과하고, 상기 고정부재가 용접부에 의해 상기 디스크의 외주단면 및 상기 림의 내주벽에 함께 결합될 수 있다.

Description

공명기를 가진 차량용 휠{VEHICLE WHEEL WITH RESONATOR}
본 발명은 차량용 휠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스틸재질로 제조되는 차량용 휠에 공명기를 단순한 공정을 통해 용이하게 장착할 수 공명기를 가진 차량용 휠에 관한 것이다.
차량용 휠(vehicle wheel)은 타이어가 장착되는 림(rim)과, 림에 용접을 통해 결합되는 디스크(disc)를 포함한다.
차량의 주행도중 노면과 지속적인 마찰이 이루어지므로, 차량 주행시 노면에 의한 타이어의 가진으로 의해 타이어의 사이드 월(SIDE WALL)이 진동을 하게 되고, 이러한 사이드 월의 진동에 의해 타이어의 내부공간에서 공진이 발생한다. 또한, 상기와 같은 공진은 타이어의 내면과 림 사이에서 반사되는 것에 의해, 주파수 200Hz ~ 300Hz 대역에서의 공명음이 발생시키므로, 차실 내부로 날카로운 피크를 가지는 음이 전달되어 운전자가 소음에 의한 불쾌감을 느끼는 원인이 되었을 뿐만 아니라, 지속적인 소음에 따라 승차감이 떨어지는 원인이 된다.
상술한 공명음을 저감하기 위한 공명기(resonator)가 장착된 차량용 휠이 출시되고 있으며, 공명기는 차량용 휠의 림의 외주면에 부착된다.
차량용 휠은 그 소재에 따라 알로이 휠(alloy wheel), 스틸 휠(steel wheel) 등으로 구분될 수 있다.
알로이 휠(alloy wheel)은 알루미늄 합금 또는 마그네슘 합금 등으로 제조된 것을 지칭하는 것으로 가볍고 강성이 우수한 장점이 있다. 알로이 휠은 주조공정 및 기타 후가공 등을 통해 제조된다.
스틸 휠은 스틸(steel) 소재로 제조된 휠을 지칭하는 것으로 제료비용이 상대적으로 낮지만, 알로이 휠에 비해 무겁고 강성이 낮은 단점이 있다. 스틸 휠은 프레스 공정을 통해 개별적으로 제조된 림과 디스크이 용접을 통해 결합됨으로써 제조된다. 특히, 스틸 휠은 휠 강성이 상대적으로 낮으므로 공명음이 더욱 두드러지게 발생할 수 있다.
종래기술에 따르면, 공명기는 알로이 휠에만 적용가능하다. 즉, 공명기가 알로이 휠의 림 외주면에 용접을 통해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주조공정, 후가공공정 등을 거쳐 알로이 휠의 제조가 완료된 이후에, 공명기가 알로이 휠의 림 외주면에 용접을 통해 부착되는 방식으로 제조된다. 이와 같이, 알로이 휠의 제조가 완료된 이후에, 공명기를 부착하기 위한 별도의 추가적인 용접 공정이 요구됨에 따라 작업공수의 추가, 제조비용의 증가 등을 초래하는 단점이 있었다.
그리고, 종래기술에 따르면, 스틸휠의 경우에는 림과 디스크가 용접을 통해 결합되기 때문에, 스틸 휠의 제조가 완료된 이후에 공명기를 림의 외주면에 용접을 통해 결합하는 것이 불가능하다.
한편, 알로이 휠은 그 제조과정에서 CO2의 발생량이 상대적으로 많으며, 스틸 휠은 상대적으로 CO2의 발생량이 상대적으로 적으므로 친환경차에 적합하다. 이에 향후 CO2 발생량을 규제하는 법규가 엄격해질 경우에 스틸휠의 사용량이 더 증가할 수 있다. 따라서, 스틸 휠의 림 외주면에 공명기를 부착할 수 있는 기술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이 배경기술 부분에 기재된 사항은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를 증진하기 위하여 작성된 것으로서, 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 기술이 아닌 사항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고려하여 안출한 것으로, 하나의 용접 공정을 통해 림과 디스크의 용접, 공명기의 용접을 동시에 구현할 수 있는 공명기를 가진 차량용 휠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명기를 가진 차량용 휠은,
타이어가 장착되는 림;
상기 림의 내주벽에 용접을 통해 결합되는 디스크; 및
고정부재에 의해 상기 림의 외주면에 부착된 하나 이상의 공명기;를 포함하고,
상기 디스크의 외주 가장자리는 상기 림의 내주벽에 용접부에 의해 결합되는 외주단면을 가지고,
상기 고정부재가 상기 공명기의 바닥벽 및 상기 림의 내주벽을 통과하고, 상기 고정부재가 용접부에 의해 상기 디스크의 외주단면 및 상기 림의 내주벽에 함께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림은 상기 림의 내주 중심을 향해 함몰된 웰을 가지고, 상기 공명기는 상기 림의 웰에 부착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제1슬롯이 상기 림의 웰 상에서 상기 림의 원주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제2슬롯이 상기 공명기의 바닥벽 상에서 상기 림의 원주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제1슬롯 및 상기 제2슬롯은 림의 반경방향을 따라 서로 일치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1슬롯 및 상기 제2슬롯은 동일한 원호길이를 가질 수 있다.
상기 고정부재는 헤드부 및 상기 헤드부로부터 연장된 삽입부를 포함하고, 상기 헤드부는 상기 공명기의 바닥벽의 상면에 밀착되며, 상기 삽입부는 상기 제1슬롯 및 상기 제2슬롯을 통과하고, 상기 삽입부는 용접부에 의해 상기 디스크의 외주단면 및 상기 림의 웰의 내주면에 함께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헤드부 및 상기 삽입부가 "T"자형 구조로 구성됨으로써 상기 고정부재는 "T"자형 단면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삽입부는 그 내주측 단부에 마련된 결합단을 가지고, 상기 삽입부의 결합단이 용접부에 의해 상기 디스크의 외주단면 및 상기 림의 웰의 내주면에 함께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공명기는 상기 림의 외주면에 부착되는 바닥벽과, 상기 바닥벽으로부터 상향으로 이격된 상부벽과, 상기 바닥벽 및 상기 상부벽의 양측을 연결하는 2개의 측벽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공명기는 상기 바닥벽, 상기 상부벽, 상기 2개의 측벽에 의해 한정된 에어 챔버와, 상기 에어 챔버 및 상기 공명기의 외부공간을 소통시키는 하나 이상의 소통공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용접부는 상기 제1슬롯의 내주측 단부를 밀폐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공명기를 고정하는 고정부재가 림의 외주면을 통과하여 림의 내주면 및 디스크의 외주단면에 용접부를 통해 동시에 결합되는 구조를 적용함으로써 림과 디스크를 용접함과 동시에 공명기가 림에 부착될 수 있다. 이를 통해 하나의 용접 공정을 통해 림과 디스크의 용접, 공명기의 용접을 동시에 구현할 수 있으므로 공명기의 조립 공정을 매우 단순화할 수 있고, 그 조립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특히, 공명기가 스틸재질로 제조된 스틸 휠에 적용가능하므로 스틸 휠의 공명음을 대폭 개선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명기를 가진 차량용 휠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A-A선을 따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화살표 B 부분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공명기가 고정부재를 통해 차량용 휠의 웰에 가조립되는 과정을 도시한 부분 절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공명기가 고정부재를 통해 차량용 휠의 웰에 가조립된 상태를 도시한 부분 절개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차량용 휠의 웰에 형성된 제1슬롯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명기를 예시한 부분 절개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정부재를 예시한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1의 화살표 C 부분을 확대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휠(10)은 타이어(미도시)가 장착되는 림(11, rim) 및 림(11)의 내주벽에 용접을 통해 결합되는 디스크(12, disc)를 포함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림(11)은 림(11)의 내주 중심을 향해 함몰된 웰(21, well or drop center)과, 차량의 실외측 공간을 향해 면하는 실외측 플랜지(22, outboard flange)와, 웰(21)과 실외측 플랜지(22) 사이에 위치한 실외측 비드시트(23, outboard bead seat)와, 웰(21)과 실외측 비드시트(23) 사이에 위치한 실외측 세이프티 험프(24, outboard safety hump)와, 차량의 실내측 공간을 향해 면하는 실내측 플랜지(25, inboard flange)와, 웰(21)과 실내측 플랜지(25) 사이에 위치한 실내측 비드시트(26, inboard bead seat)와, 웰(21)과 실내측 비드시트(26) 사이에 위치한 실내측 세이프티 험프(27, inboard safety hump)를 포함할 수 잇다.
타이어의 실외측 비드(outboard bead)가 림(11)의 실외측 비드시트(23)에 끼워질 수 있고, 타이어의 실내측 비드(inboard bead)가 림(11)의 실내측 비드시트(26)에 끼워짐으로써 타이어는 림(11)의 외주면에 장착될 수 있다.
디스크(12)는 림(11)의 내주면에 용접부(60)를 통해 결합될 수 있고, 디스크(12)의 전면은 림(11)의 실외측을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디스크(12)의 외주 가장자리(12a)가 림(11)의 웰(21)의 내주면에 필릿 용접(fillet weld) 등을 통해 랩 조인트(lap joint)타입으로 결합될 수 있다. 디스크(12)의 외주 가장자리(12a)의 외주단면(12b)은 수직방향으로 평탄하게 형성될 수 있고, 용접부(60)는 디스크(12)의 외주단면(12b)과 림(11)의 웰(21)의 내주면 사이에 형성될 수 있고, 용접부(60)는 대략적인 삼각형, 사각형, 볼록한 구조, 오목한 구조 등과 같이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용접부(60)는 필릿(fillet)으로 지칭될 수 있다.
용접부(60)의 높이(H)는 디스크(12)의 외주 가장자리(12a)의 두께와 동일하거나 미세하게 크거나 작을 수 있다. 용접부(60)의 폭(w)은 후술하는 고정부재(50)의 삽입부(52)의 결합단(52a), 제1슬롯(41)의 내주측 단부 및 림(11)의 웰(21)의 내주면 일부를 커버할 수 있는 길이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휠(10)은 림(11)의 외주면 상에 부착된 하나 이상의 공명기(3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5 및 도 7을 참조하면, 공명기(30)는 공명관 구조로 구성될 수 있으며, 공명기(30)는 림(11)의 외주면에 부합하도록 일정 반경으로 곡률지게 형성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복수의 공명기(30)가 림(11)의 외주면에 부착될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공명기(30)는 림(11)의 웰(21)의 외주면에 부착되도록 림(11)의 웰(21)의 외주면에 부합되는 원호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특히, 공명기(30)의 내주면이 림(11)의 웰(21)의 외주면에 기밀하게 밀착되도록 커브진 원호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에 의해, 공명기(30)가 림(11)의 외주면에 장착되는 타이어와 간섭됨을 최소화할 수 있다.
도 4 및 도 6을 참조하면, 하나 이상의 제1슬롯(41)이 림(11)의 웰(21) 상에서 림(11)의 원주방향을 따라 연장됨으로써 제1슬롯(41)은 일정한 원호 길이(C1)를가질 수 있고, 제1슬롯(41)의 원호 길이(C1)는 공명기(30)의 갯수, 공명기(30)의 배치구조 등에 따라 다양하게 설계될 수 있다.
제1슬롯(41)은 차량의 실외공간을 향하는 실외측면(41a) 및 차량의 실내공간을 향하는 실내측면(41b)을 가질 수 있다. 제1슬롯(41)의 폭(w1)은 실외측면(41a)과 실내측면(41b) 사이의 간격이다.
도 3 및 도 7을 참조하면, 공명기(30)는 림(11)의 외주면에 부착되는 바닥벽(31)과, 바닥벽(31)으로부터 상향으로 이격된 상부벽(32)과, 바닥벽(31) 및 상부벽(32)의 양측을 연결하는 2개의 측벽(33, 34)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공명기(30)는 바닥벽(31), 상부벽(32), 2개의 측벽(33, 34)에 의해 한정된 에어 챔버(35)를 가질 수 있다.
공명기(30)는 에어 챔버(35) 및 공명기(30)의 외부공간을 소통시키는 하나 이상의 소통공(36)을 가질 수 있고, 이에 에어 챔버(35)는 소통공(36)을 통해 공명기(30)의 외부공간과 소통할 수 있다. 소통공(36)은 공명기(30)의 종류 및 타겟 주파수 등에 따라 상부벽(32), 측벽(33, 34) 등에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소통공(36)이 공명기(30)의 상부벽(32)에 형성될 수 있다.
제2슬롯(42)이 공명기(30)의 바닥벽(31) 상에서 림(11)의 원주방향을 따라 연장됨으로써 제2슬롯(42)은 일정한 원호길이를 가질 수 있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제2슬롯(42)은 림(11)의 반경방향을 따라 림(11)의 제1슬롯(41)과 일치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제2슬롯(42)의 원호 길이는 제1슬롯(41)의 원호길이(C1)와 동일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제2슬롯(42)은 차량의 실외공간을 향하는 실외측면(42a) 및 차량의 실내공간을 향하는 실내측면(42b)을 가질 수 있다. 제2슬롯(42)의 폭(w2)은 실외측면(42a) 및 실내측면(42b) 사이의 간격이다. 제2슬롯(42)의 폭(w2)은 제1슬롯(41)의 폭(w1)과 동일할 수 있다. 제2슬롯(42)의 실외측면(42a)은 제1슬롯(41)의 실외측면(41a)과 동일면 상에 위치할 수 있고, 제2슬롯(42)의 실내측면(42b)은 제1슬롯(41)의 실내측면(41b)과 동일면 상에 위치할 수 있다.
공명기(30)는 고정부재(50)에 의해 림(11)의 웰(21)에 결합될 수 있고, 고정부재(50)가 공명기(30)의 제2슬롯(42) 및 림(11)의 웰(21)의 제1슬롯(41)을 통과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고정부재(50)는 림(11)의 원주방향을 따라 연장됨으로써 일정한 원호 길이(C3)를 가질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헤드부(51) 및 삽입부(52)는 동일한 원호길이(C3)를 가질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고정부재(50)의 원호 길이(C3)는 제1슬롯(41)의 원호길이(C1) 및 제2슬롯(42)의 원호 길이와 동일할 수 있다.
도 3 및 도 8을 참조하면, 고정부재(50)는 헤드부(51) 및 헤드부(51)로부터 수직으로 연장된 삽입부(52)를 포함할 수 있다. 헤드부(51)가 삽입부(52)에서 대칭적으로 형성됨으로써 헤드부(51) 및 삽입부(52)는 "T"자형 구조로 구성될 수 있고, 이에 고정부재(50)는 "T"자형 단면을 가질 수 있다. 헤드부(51)는 제1슬롯(41)의 폭(w1) 및 제2슬롯(42)의 폭(w2) 보다 큰 폭(w3)을 가질 수 있고, 헤드부(51)가 공명기(30)의 바닥벽(31)의 상면과 밀착되도록 헤드부(51)는 공명기(30)의 바닥벽(31)의 상면과 부합하는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삽입부(52)는 제1슬롯(41)의 폭(w1) 및 제2슬롯(42)의 폭(w2)과 동일하거나 미세하게 작거나 큰 폭을 가질 수 있고, 이를 통해 삽입부(52)가 제1슬롯(41) 및 제2슬롯(42)을 통과하거나 억지끼움결합될 수 있다. 삽입부(52)의 두께(t3)는 제1슬롯(41)의 두께(t1)와 제2슬롯(42)의 두께(t2)의 합과 동일하거나 약간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디스크(12)의 외주단면(12b)은 제1슬롯(41)의 실외측면(41a)과 동일면 상에 위치할 수 있고, 이에 의해 고정부재(50)의 삽입부(52)는 제2슬롯(42) 및 제1슬롯(41)을 통과하여 림(11)의 웰(21)의 내주면까지 연장될 수 있다. 삽입부(52)는 그 내주측 단부에 마련된 결합단(52a)을 가질 수 있고, 결합단(52a)은 용접부(60)에 의해 디스크(12)의 외주단면(12b) 및 림(11)의 웰(21)의 내주면에 함께 결합될 수 있다. 용접부(60)의 폭(w)은 고정부재(50)의 삽입부(52)의 결합단(52a), 제1슬롯(41)의 내주측 단부, 및 림(11)의 웰(21)의 내주면 일부를 커버할 수 있는 길이로 이루어질 수 있다. 특히, 용접부(60)의 폭(w)은 제1슬롯(41)의 폭(w1) 보다 길게 형성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고정부재(50)의 삽입부(52)가 제2슬롯(42) 및 제1슬롯(41)을 통과하고 삽입부(52)의 결합단(52a)은 필릿 용접 등을 통해 형성된 용접부(60)에 의해 디스크(12)의 외주단면(12b) 및 림(11)의 웰(21)의 내주면에 함께 결합될 수 있다. 즉, 고정부재(50)의 삽입부(52)의 결합단(52a)이 용접부(60)에 의해 디스크(12)의 외주단면(12b) 및 림(11)의 웰(21)의 내주면에 함께 결합됨으로써 고정부재(50)의 헤드부(51)가 공명기(30)의 바닥벽(31)을 가압할 수 있다. 이에 고정부재(50)가 공명기(30)를 림(11)의 외주면에 부착시킬 수 있고, 고정부재(50)는 공명기(30)를 림(11)의 외주면에 고정시킬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용접부(60)의 원호길이(C4)는 제1슬롯(41)의 원호길이(C1) 보다 길게 형성될 수 있고, 이에 제1슬롯(41)의 내주측 단부를 전체적으로 완전히 덮음으로써 제1슬롯(41)의 내주측 단부가 완전히 밀폐될 수 있다. 이에 에어가 공명기(30)의 에어챔버(35)로부터 제1슬롯(41)을 통해 누설됨이 방지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차량용 휠 11: 림
12: 디스크 21: 웰
22: 실외측 플랜지 23: 실외측 비드시트
24: 실외측 세이프티 험프 25: 실내측 플랜지
26: 실내측 비드시트 27: 실내측 세이프티 험프
30: 공명기 35: 에어 챔버
36: 소통공 41: 제1슬롯
42: 제2슬롯 50: 고정부재
51: 헤드부 52: 삽입부

Claims (10)

  1. 타이어가 장착되는 림;
    상기 림의 내주벽에 용접을 통해 결합되는 디스크; 및
    고정부재에 의해 상기 림의 외주면에 부착된 하나 이상의 공명기;를 포함하고,
    상기 디스크의 외주 가장자리는 상기 림의 내주벽에 용접부에 의해 결합되는 외주단면을 가지고,
    상기 고정부재가 상기 공명기의 바닥벽 및 상기 림의 내주벽을 통과하고, 상기 고정부재가 용접부에 의해 상기 디스크의 외주단면 및 상기 림의 내주벽에 함께 결합되는 공명기를 가진 차량용 휠.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림은 상기 림의 내주 중심을 향해 함몰된 웰을 가지고, 상기 공명기는 상기 림의 웰에 부착되는 공명기를 가진 차량용 휠.
  3. 청구항 2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제1슬롯이 상기 림의 웰 상에서 상기 림의 원주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공명기를 가진 차량용 휠.
  4. 청구항 3에 있어서,
    제2슬롯이 상기 공명기의 바닥벽 상에서 상기 림의 원주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공명기를 가진 차량용 휠.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1슬롯 및 상기 제2슬롯은 림의 반경방향을 따라 서로 일치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1슬롯 및 상기 제2슬롯은 동일한 원호길이를 가지는 공명기를 가진 차량용 휠.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는 헤드부 및 상기 헤드부로부터 연장된 삽입부를 포함하고, 상기 헤드부는 상기 공명기의 바닥벽의 상면에 밀착되며, 상기 삽입부는 상기 제1슬롯 및 상기 제2슬롯을 통과하고, 상기 삽입부는 용접부에 의해 상기 디스크의 외주단면 및 상기 림의 웰의 내주면에 함께 결합되는 공명기를 가진 차량용 휠.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헤드부 및 상기 삽입부가 "T"자형 구조로 구성됨으로써 상기 고정부재는 "T"자형 단면을 가지는 공명기를 가진 차량용 휠.
  8.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삽입부는 그 내주측 단부에 마련된 결합단을 가지고, 상기 삽입부의 결합단이 용접부에 의해 상기 디스크의 외주단면 및 상기 림의 웰의 내주면에 함께 결합되는 공명기를 가진 차량용 휠.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공명기는 상기 림의 외주면에 부착되는 바닥벽과, 상기 바닥벽으로부터 상향으로 이격된 상부벽과, 상기 바닥벽 및 상기 상부벽의 양측을 연결하는 2개의 측벽을 포함하고,
    상기 공명기는 상기 바닥벽, 상기 상부벽, 상기 2개의 측벽에 의해 한정된 에어 챔버와, 상기 에어 챔버 및 상기 공명기의 외부공간을 소통시키는 하나 이상의 소통공을 가지는 공명기를 가진 차량용 휠.
  10.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용접부는 상기 제1슬롯의 내주측 단부를 밀폐하도록 구성되는 공명기를 가진 차량용 휠.
KR1020190066916A 2019-06-05 2019-06-05 공명기를 가진 차량용 휠 KR1026641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6916A KR102664117B1 (ko) 2019-06-05 2019-06-05 공명기를 가진 차량용 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6916A KR102664117B1 (ko) 2019-06-05 2019-06-05 공명기를 가진 차량용 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40112A KR20200140112A (ko) 2020-12-15
KR102664117B1 true KR102664117B1 (ko) 2024-05-10

Family

ID=737801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66916A KR102664117B1 (ko) 2019-06-05 2019-06-05 공명기를 가진 차량용 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64117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095103A (ja) 2008-10-15 2010-04-30 Honda Motor Co Ltd 車両用ホイール
US20100116397A1 (en) 2008-05-01 2010-05-13 Gardetto William W Run-flat Support System for a Pneumatic Tired Wheel and Method for Installing Same
JP6154064B2 (ja) 2014-03-13 2017-06-28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両用ホイール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9624A (en) * 1978-07-07 1980-01-23 Toyo Ink Mfg Co Ltd Photosetting composition for coating
KR20120054221A (ko) * 2010-11-19 2012-05-30 한국타이어 주식회사 타이어 공명소음 저감용 휠
KR101801932B1 (ko) * 2016-02-22 2017-12-28 한국타이어 주식회사 흡음 부재를 가진 타이어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1828315B1 (ko) * 2016-04-29 2018-02-12 주식회사 팔 차량용 휠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116397A1 (en) 2008-05-01 2010-05-13 Gardetto William W Run-flat Support System for a Pneumatic Tired Wheel and Method for Installing Same
JP2010095103A (ja) 2008-10-15 2010-04-30 Honda Motor Co Ltd 車両用ホイール
JP6154064B2 (ja) 2014-03-13 2017-06-28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両用ホイール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40112A (ko) 2020-1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551422B2 (ja) 車両用ホイール
US7059685B2 (en) Fabricated vehicle wheel
JP4546948B2 (ja) 車両用ホイール
KR101378228B1 (ko) 조립식 차량용 휘일
JP4523959B2 (ja) 車両用ホイール
CN114161875A (zh) 车辆车轮
JP4665011B2 (ja) 車両用ホイール
US9333552B2 (en) Method for manufacturing vehicle wheel, and vehicle wheel
KR20160123484A (ko) 차량용 휠 및 그 제조 방법
WO2011105135A1 (ja) 車両用ホイールの製造方法
US20190077189A1 (en) Vehicle wheel
US6293630B1 (en) Wheel for a vehicle, particularly a spare wheel for a motor vehicle
JP2010095147A (ja) 車両用ホイール
JP2014054894A (ja) 車両用ホイール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5755495B2 (ja) 自動車用ホイール
JP2002172901A (ja) バランスが調整されたホイール及びその製造方法、ホイールのバランスの調整方法
JP4610492B2 (ja) 車両用ホイール
KR102664117B1 (ko) 공명기를 가진 차량용 휠
JP2008030505A (ja) 車両用ホイール
JP2008143285A (ja) Macホイールとその製造方法
KR20150104918A (ko) 차량용 알루미늄 휠과 제조방법
JP2010095104A (ja) 車両用ホイール
JP2008201158A (ja) 車両用ホイール
JP2011173479A (ja) 車両用ホイール
KR102659233B1 (ko) 차량용 휠의 헬름홀츠 공명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