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63856B1 - (z)-4-(5-((3-벤질-4-옥소-2-티옥소티아졸리딘-5-일리덴)메틸)푸란-2-일)벤조산의 고체형 - Google Patents

(z)-4-(5-((3-벤질-4-옥소-2-티옥소티아졸리딘-5-일리덴)메틸)푸란-2-일)벤조산의 고체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63856B1
KR102663856B1 KR1020177037752A KR20177037752A KR102663856B1 KR 102663856 B1 KR102663856 B1 KR 102663856B1 KR 1020177037752 A KR1020177037752 A KR 1020177037752A KR 20177037752 A KR20177037752 A KR 20177037752A KR 102663856 B1 KR102663856 B1 KR 1026638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alt
crystalline form
xrpd
diffractometer
radi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377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16443A (ko
Inventor
안토니오 제이. 바르보사
Original Assignee
지비006,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지비006,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지비006,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1800164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164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638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638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17/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at least one ring having nitrogen and sulfur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not provided for by group C07D415/00
    • C07D417/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at least one ring having nitrogen and sulfur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not provided for by group C07D415/00 containing two hetero rings
    • C07D417/06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at least one ring having nitrogen and sulfur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not provided for by group C07D415/00 containing two hetero rings linked by a carbon chain containing only aliphatic carbon ato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1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five-membered rings with two or more ring hetero atoms, at least one of which being nitrogen, e.g. tetrazole
    • A61K31/425Thiazoles
    • A61K31/427Thiazoles not condensed and containing further heterocyclic rin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9/00Non-central analgesic, antipyretic or antiinflammatory agents, e.g. antirheumatic agents; Non-steroidal antiinflammatory drugs [NSAI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5/00Antineoplastic ag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215/00Compounds containing amino and hydroxy groups bound to the same carbon skeleton
    • C07C215/02Compounds containing amino and hydroxy groups bound to the same carbon skeleton having hydroxy groups and amino groups bound to acyclic carbon atoms of the same carbon skeleton
    • C07C215/04Compounds containing amino and hydroxy groups bound to the same carbon skeleton having hydroxy groups and amino groups bound to acyclic carbon atoms of the same carbon skeleton the carbon skeleton being saturated
    • C07C215/06Compounds containing amino and hydroxy groups bound to the same carbon skeleton having hydroxy groups and amino groups bound to acyclic carbon atoms of the same carbon skeleton the carbon skeleton being saturated and acyclic
    • C07C215/08Compounds containing amino and hydroxy groups bound to the same carbon skeleton having hydroxy groups and amino groups bound to acyclic carbon atoms of the same carbon skeleton the carbon skeleton being saturated and acyclic with only one hydroxy group and one amino group bound to the carbon skeleton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BGENERAL METHODS OF ORGANIC CHEMISTRY; APPARATUS THEREFOR
    • C07B220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pecific properties of organic compounds
    • C07B2200/13Crystalline forms, e.g. polymorph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ublic Health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Rheumatology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Plural Heterocycl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학식 I에 따른 류카드헤린 LA1 [(Z)-4-(5-((3-벤질-4-옥소-2-티옥소티아졸리딘-5-일리덴)메틸)푸란-2-일)벤조산]의 신규한 염 및 결정형을 제공한다. 염 및 결정형의 제조 방법뿐만 아니라 염 및 결정형을 사용하여 β2 인테그린-매개된 질환 및 병태를 치료하기 위한 방법이 또한 기재된다.

Description

(Z)-4-(5-((3-벤질-4-옥소-2-티옥소티아졸리딘-5-일리덴)메틸)푸란-2-일)벤조산의 고체형
관련 출원에 대한 상호-참조
본 출원은 2015년 6월 12일자 출원된 미국 가특허 출원 제62/175,066호, 및 2016년 1월 6일자 출원된 미국 가특허 출원 제62/275,655호의 우선권을 주장하고, 상기 출원들은 전체가 본원에 참조로 포함된다.
연방 정부 후원 연구 및 개발하에 만들어진 발명의 권리에 대한 진술
본 발명은 NIAID Advanced Technology SBIR (NIAID-AT-SBIR [R43/R44]) Grant # 1 R43 AI100499-01A1에 의해 제공되는 자금으로 이루어졌다. 미국 정부는 본 발명에 특정 권리를 갖는다.
백혈구(즉, 백색 혈액 세포) 활성화, 이동 및 점증(recruitment)은 부상 및 감염에 대한 면역 반응뿐만 아니라, 다양한 염증 및 자가면역 장애에서 필수적이다. 고도로 발현된 인테그린 CD11b/CD18을 포함하는 α/β 헤테로다이머 인테그린 수용체의 서브-패밀리인 β2 인테그린은 세포 접착, 이동, 점증 및 활성화를 포함한 백혈구 기능을 조정하는 백혈구-특이적 수용체이다. CD11b/CD18은, 다양한 다른 것들 중에서, 리간드로서 보체 단편 iC3b, 피브리노겐, 및 ICAM-1을 인식한다. CD11b/CD18은 다수의 염증 및 자가면역 질환, 예컨대, 허혈-재관류 손상(급성 신부전증(acute renal failure) 및 죽상경화증(atherosclerosis) 포함), 낭창(lupus), 염증성 장 질환(inflammatory bowel disease), 크론병(Crohn's disease), 류마티스성 관절염(rheumatoid arthritis), 다발성 경화증(multiple sclerosis), 낭창 신염(lupus nephritis), 국소 분절 사구체 경화증(focal segmental glomerulosclerosis), 신장 손상(renal injury), 조직 손상(tissue damage), 녹내장(glaucoma), 안과 병태(ophthalmic condition), 동종이식거부(allograft rejection)(예컨대, 신병증(nephropathy)), 이식(transplantation), 이식편 대 숙주 질환(graft versus host disease), 뇌졸중(stroke), 혈관 손상에 대응되는 신생 내막 비후(neointimal thickening), 및 염증 과정의 소산에 연루된다.
백혈구 β2 인테그린은 또한 종양 성장, 종양 재-성장, 종양 전이, 종양 침윤, 염증 및 자가면역 질환의 증강, 반응성 산소 종의 생성, 및 염증 세포에서 다수의 염증전 및 항염증 유전자의 조절을 포함하는 과정들에 기여한다. CD11b/CD18를 포함하는 β2 인테그린, 및 이들의 리간드의 차단은 특정 실험 모델에서 생체내 염증 반응의 중증도를 감소시키는 것으로 밝혀졌다. 그러나, 그러한 차단제는 인간의 염증/자가면역 질환을 치료하는데 거의 성공하지 못했다.
더 최근에는, 신규한 항염증 조성물 및 방법이, 고정된 리간드에 대한 인테그린 CD11b/CD18-의존성 세포 접착을 증가시킴으로써 인테그린을 활성화시키고, 염증 면역 세포의 조직으로의 점증을 감소시키는 화합물을 사용하여 개발되었다. 류카드헤린(leukadherin)은 인테그린 CD11b/CD18을 표적화하는 그러한 소분자 효능제의 그룹이다[Maiguel, et al. 2011. Sci . Signal. 4:1-14; Park, et al. 2007. J. Biomol . Screen. 12:406-417; Faridi, et al. 2009. Bioorg . Med . Chem . Lett. 19:6902-6906]. 류카드헤린은 또한 백혈구 활성화 및 염증전 신호 경로를 감소시킨다. 이들 중에서, 류카드헤린 1("LA1"; (Z)-4-(5-((3-벤질-4-옥소-2-티옥소티아졸리딘-5-일리덴)메틸)푸란-2-일)벤조산; 하기 화학식 I)에서 특정 항염증 효능이 입증되었다. LA1은 마우스의 급성 복막염 동안 백혈구의 점증을 감소시키고, 래트의 혈관 손상 시에 신생 내막 비후를 감소시키며, 마우스의 신장 허혈/재관류 손상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밝혀졌다. LA1 및 이의 용도는 미국 특허 제9,023,876호뿐만 아니라 국제 특허 출원 PCT/US2011/034753호 및 PCT/US2013/037548호에 기재되어 있으며, 상기 출원들은 전체가 본원에 참조로 포함된다.
Figure 112017130639903-pct00001
화학식 I
LA1의 개선된 제형에는 LA1이 상기 개략된 연구에서 나타낸 유용성을 추가로 증대시키는 것이 필요하다. 신규한 제형에 의해 제공되는 개선된 용해 프로파일, 약동학적 프로파일, 및/또는 안정성 프로파일은 효능을 향상시키고, 유리한 투여형을 가능하게 할 것으로 예상된다. 본 발명은 개선된 LA1 제형에 대한 요건을 충족시키는 신규한 염 및 결정형을 제공한다.
한 가지 양태에서, 본 발명은 LA1 [(Z)-4-(5-((3-벤질-4-옥소-2-티옥소티아졸리딘-5-일리덴)메틸)푸란-2-일)벤조산]의 염 및 이의 결정형을 제공한다. LA1 염의 결정형은 본원에 기재된 바와 같은 화학식 I의 화합물의 콜린 염의 결정형 G; 본원에 기재된 바와 같은 화학식 I의 화합물의 콜린 염의 결정형 O; 본원에 기재된 바와 같은 화학식 I의 화합물의 콜린 염의 결정형 Q; 본원에 기재된 바와 같은 화학식 I의 화합물의 메글루민 염의 결정형 H; 및 본원에 기재된 바와 같은 화학식 I의 화합물의 메글루민 염의 결정형 T를 포함한다. 관련된 양태에서, 본 발명은 본원에 기재된 바와 같은 염 및 결정형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뿐만 아니라, 본원에 기재된 바와 같은 적어도 하나의 염 또는 결정형 및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부형제를 함유하는 약제학적 제형을 제공한다.
또 다른 양태에서, 본 발명은 β2 인테그린에 의해 매개되는 병태를 치료하기 위한 방법을 제공한다. 이러한 방법은 본원에 기재된 바와 같은 치료적 유효량의 염 또는 결정형을 이를 필요로 하는 환자에게 투여함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염 및 결정형뿐만 아니라, 이와 관련된 다른 양태, 목적, 및 이점은 후술되는 상세한 설명 및 도면과 함께 읽을 때 보다 명백해질 것이다.
도 1은 LA1 DMSO 용매화물 B형에 대한 X-선 결정 구조를 보여주는 것이다.
도 2는 LA1 유리 산 B형에 대하여 얻어진 X-선 분말 회절(X-ray powder diffraction: XRPD) 패턴을 보여주는 것이다.
도 3은 LA1 유리 산에 대한 열무게-열 시차 분석(thermogravimetric-thermal differential analysis: TG-DTA) 데이터를 보여주는 것이다.
도 4는 LA1 유리 산에 대하여 기록된 시차 주사 열량계(differential scanning calorimetry: DSC) 서모그램을 보여주는 것이다.
도 5는 무질서한 결정질 LA1 A형(도 5a) 및 LA1 콜린 염 G형(도 5b)에 대하여 얻어진 XRPD 패턴을 보여주는 것이다.
도 6은 LA1 바이카보네이트 염(도 6a); LA1 메글루민 염 H형(도 6b); LA1 트로메타민 염(도 6c 및 도 6d); 및 LA1 콜린 염 O형(도 6e)에 대한 XRPD 패턴을 보여주는 것이다.
도 7은 LA1 콜린 염 R형에 대하여 얻어진 XRPD 패턴을 보여주는 것이다.
도 8은 LA1 콜린 염 S형에 대하여 얻어진 XRPD 패턴을 보여주는 것이다.
도 9는 무질서한 고체, 즉, LA1 염(도 9A); LA1 칼슘 염(도 9B); LA1 마그네슘 염(도 9c); LA1 나트륨 염(도 9d); LA1 칼륨 염(도 9e); LA1 암모늄 염(도 9f); LA1 칼슘 염(도 9g); LA1 피페라진 염(도 9h)에 대하여 얻어진 XRPD 패턴을 보여주는 것이다.
도 10은 소규모로 제조된 콜린 및 메글루민 염, 즉, 무질서한 LA1인 A형(도 10a); 에탄올:메틸 3차-부틸 에테르로부터의 LA1 콜린 염(도 10b); 아세톤으로부터의 LA1 콜린 염(도 10c); 에틸 아세테이트로부터의 LA1 콜린 염 Q형(도 10d); 에탄올로부터의 LA1 메글루민 염 T형(도 10e)에 대하여 얻어진 XRPD 패턴을 보여주는 것이다.
도 11은 LA1 메글루민 염 L형에 대하여 얻어진 XRPD 패턴을 보여주는 것이다.
도 12는 LA1 메글루민 염 M형에 대하여 얻어진 XRPD 패턴을 보여주는 것이다.
도 13은 LA1 메글루민 염 N형에 대하여 얻어진 XRPD 패턴을 보여주는 것이다.
도 14는 더 큰 규모로 제조된 콜린 및 메글루민 염, 즉, 에탄올로부터의 LA1 콜린 염(도 14a); 에탄올로부터의 LA1 콜린 염(도 14b); 아세톤으로부터의 LA1 콜린 염(도 14c); 에탄올로부터의 LA1 메글루민 염(도 14d); 에탄올로부터의 LA1 메글루민 염(도 14e)에 대하여 얻어진 XRPD 패턴을 보여주는 것이다.
도 15는 다양한 용매 중의 LA1 메글루민 염에 대하여 얻어진 XRPD 패턴을 보여주는 것이다.
도 16은 다양한 용매 중의 LA1 콜린 염에 대하여 얻어진 XRPD 패턴을 보여주는 것이다.
도 17은 스프래그-돌리(Sprague Dawley) 래트에 대한 마이크로화된(micronized) LA1(2 mg/kg)의 경구 투여 후 LA1의 농도 대 시간 프로파일을 보여주는 것이다.
도 18은 스프래그 돌리 래트에 대한 LA1(2 mg/kg)의 IP 투여 후 LA1, 및 LA1 콜린(2 mg/kg) 및 LA1 메글루민(2 mg/kg)의 IP 투여 후 방출된 LA1의 농도 대 시간 프로파일을 보여주는 것이다.
도 19는 스프래그 돌리 래트에 대한 LA1(1 mg/kg)의 IV 투여 후 LA1, 및 LA1 콜린(1 mg/kg) 및 LA1 메글루민(1 mg/kg)의 IV 투여 후 방출된 LA1의 농도 대 시간 프로파일을 보여주는 것이다.
도 20은 비글 견에 정맥내 투여된 마이크로화된 LA1(1 mg/kg)의 농도 대 시간 프로파일을 보여주는 것이다.
도 21은 비글 견에 경구 투여된 마이크로화된 LA1(1 mg/kg)의 농도 대 시간 프로파일을 보여주는 것이다.
도 22는 비글 견에 경구(5 mg/kg) 및 정맥내(0.5 mg/kg) 투여된 LA1 콜린 염의 농도 대 시간 프로파일을 보여주는 것이다.
도 23은 비히클(vehicle), LA1 메글루민 염, α-PD1 항체, 또는 LA1 메글루민 염 + α-PD1 항체로 처리된 마우스의 흑색종(melanoma) 진행을 보여주는 것이다.
도 24는 가변량의 LA1 콜린 염으로 처리된 마우스의 흑색종 진행을 보여주는 것이다.
도 25는 비히클, LA1 콜린 염(3 mg/kg, p.o., b.i.d.), α-PD1 항체(100 μg/마우스, i.p., 4일째 마다), 또는 LA1 콜린 염 + α-PD1 항체로 처리된 마우스의 흑색종 진행을 보여주는 것이다.
도 26은 비히클, LA1 콜린 염(3 mg/kg, p.o., b.i.d.), α-CTLA-4 항체(100 μg/마우스, i.p., 4일째 마다), 또는 LA1 콜린 염 + α-CTLA-4 항체로 처리된 마우스의 흑색종 진행을 보여주는 것이다.
I. 총론
본 발명은 류카드헤린 1(LA1; (Z)-4-(5-((3-벤질-4-옥소-2-티옥소티아졸리딘-5-일리덴)메틸)푸란-2-일)벤조산)의 신규한 염 및 결정형을 제공한다. LA1의 이러한 신규한 형태는 경구 투여되는 약제학적 제형에 대하여 생체이용률(bioavailability) 증가를 포함한 다수의 이점들을 제공한다. 이에 따라서, 본 발명은 β2 인테그린-매개된 병태를 치료하기 위한 개선된 방법을 가능하게 한다.
II. 정의
"LA1"은 화학식 I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은 화합물 (Z)-4-(5-((3-벤질-4-옥소-2-티옥소티아졸리딘-5-일리덴)메틸)푸란-2-일)벤조산을 지칭한다.
"염"은 LA1 유리 산을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기와 합함으로써 제조된 염기 부가 염을 지칭한다.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은 당업계에 알려져 있으며, 본원에서는 조성물, 부형제, 아쥬반트(adjuvant), 또는 다른 물질 및/또는 투여형을 지칭하고, 건전한 의학적 판단의 범위 내에서 적정한 이점/위험 비율에 맞게 지나친 독성, 자극, 알러지 반응, 또는 다른 문제 또는 합병증 없이 인류 및 동물의 조직과 접촉되어 사용하기에 적합한 물질을 지칭하기 위해 사용된다.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기의 예는 암모니아, L-아르기닌, 칼슘 하이드록사이드, 콜린, 메글루민, 리신, 마그네슘 하이드록사이드, 포타슘 하이드록사이드, 소듐 하이드록사이드를 포함하지만, 이로 제한되지 않는다.
"콜린"은 2-하이드록시-N,N,N-트리메틸에탄암모늄을 지칭한다. "콜린 염"은 적어도 하나의 2-하이드록시-N,N,N-트리메틸에탄암모늄 양이온을 함유하는 염이다.
"메글루민"은 (2R,3R,4R,5S)-6-(메틸아미노)헥산-1,2,3,4,5-펜톨을 지칭한다. "메글루민 염"은 적어도 하나의 (2S,3R,4R,5R)-2,3,4,5,6-펜타하이드록시-N-메틸헥산-1-알루미늄 양이온을 함유하는 염이다.
"결정형"은 구성성분 분자가 규칙적으로 정돈된 반복 패턴으로 패킹되는 화합물의 고체형을 지칭한다. 결정형은 삼사정계, 단사정계, 사방정계, 정방정계, 삼방정계, 육방정계 또는 입방정계일 수 있다. 결정형은 뚜렷한 결정 경계를 지니는 하나 이상의 영역, 즉, 과립(grain)을 함유할 수 있다. 결정질 고체는 둘 이상의 결정 기하학적 구조를 함유할 수 있다.
"인테그린"은 세포 접착, 이동 및 신호를 매개하는 비-공유적으로 링킹된 α/β-헤테로다이머 세포 표면 수용체를 지칭한다. 인테그린은 광범위한 유기체, 예컨대, C. elegans, Drosophila sp., 양서류, 파충류, 조류, 및 포유류, 예컨대, 인간에게서 발현된다. 예를 들어, αV, 및 α5 등으로 명명되는 다수의 α 서브유닛, 및, 예를 들어, β1, β2, β3, 및 β5 등으로 명명되는 다수의 β 서브유닛이 확인되었고, 이러한 서브유닛의 다양한 조합이 α5β1, αVβ3 및 αVβ5를 포함하는 인테그린 상과로 표현된다. 인테그린의 상과는, 예를 들어, αVβ3 및 αVβ5를 포함하는 αV-함유 인테그린, 또는 α5β1 및 αVβ1를 포함하는 β1-함유 인테그린과 같은 과로 세분될 수 있다.
"β2 인테그린"은 β2-서브유닛(CD18로도 지칭됨)을 지니는 백혈구-특이적 인테그린을 지칭한다. β2 인테그린은 CD11a, CD11b, CD11c 및 CD11d로부터 선택된 별개의 α-서브유닛을 지닌다. 고도 발현된 인테그린 CD11b/CD18(Mac-1, CR3 및 αMβ2로도 알려짐)을 포함하는 β2 인테그린은 세포 접착, 이동, 점증 및 활성화를 포함하는 백혈구 기능들을 조정한다.
환자의 질환 및/또는 병태를 지칭하기 위해 본원에서 사용되는 "β2-매개된"은 β2 인테그린이 연루된 화학적 또는 물리적 과정으로부터 야기되는(전부 또는 일부) 질환 또는 병태를 의미한다. β2-매개된 질환 및 병태는 염증 및 자가면역 질환을 포함한다. β2-매개된 질환 및 병태의 예는 허혈-재관류 손상(급성 신부전증 및 죽상경화증 포함), 낭창, 염증성 장 질환, 크론병, 류마티스성 관절염, 다발성 경화증, 낭창 신염, 국소 분절 사구체 경화증, 신장 손상, 녹내장, 안과 병태, 동종이식거부(예컨대, 신병), 이식, 이식편 대 숙주 질환, 신경성 장애, 알츠하이머병(Alzheimer's disease), 파킨슨병(Parkinson's disease), 피부염, 조직 손상, 뇌졸중, 혈관 손상에 대응되는 신생 내막 비후, 항-GBM 신염, 통증(만성 통증 포함), 및 암, 예컨대, 원발성 종양 및 전이성 종양, 예컨대, 유방암, 흑색종, 전립선암, 폐암, 및 췌장암 등을 포함하지만, 이로 제한되지 않는다.
"암"은 종양 성장을 빠르게 증식시킴으로써 특징화되는 비정상 상태 또는 병태를 지칭한다. 과증식성 및 신생물 질환 상태는 병적인, 즉, 질환 상태를 특징화하거나 구성하는 병적인 것으로 분류될 수 있거나, 비-병적인, 즉, 정상에서는 벗어나지만 질환 상태와 관련이 없는 비-병적인 것으로 분류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암은 하나 이상의 종양, 즉, 비정상적 세포괴의 존재와 관련될 것이다. 용어 "종양"은 조직병리학적 유형 또는 침윤 단계에 상관없이 모든 유형의 암 성장 또는 종양형성 과정, 전이성 조직 또는 악성 형질 전환 세포, 조직, 또는 기관을 포함하는 것으로 의미된다.
암의 예는 폐암, 유방암, 갑상선암, 림프구암, 위장암, 및 유전성 요로암과 같은 다양한 기관계의 선암을 포함한다. 암은 또한 결장암, 신장-세포 암종, 전립선 암 및/또는 고환 종양, 폐의 비-소 세포 암종, 소장의 암, 및 식도의 암과 같은 악성종양을 포함하는 선암을 지칭할 수 있다. 암종은 호흡계 암종, 위장계 암종, 비뇨생식계 암종, 고환 암종, 유방 암종, 전립선 암종, 내분비계 암종 및 흑색종을 포함하는 상피 또는 내분비 조직의 악성종양이다. "선암"은 선상 조직으로부터 유래된 암종, 또는 종양 세포가 알아볼 수 있는 선 구조(glandular structure)를 형성시키는 암종을 지칭한다. "육종"은 중간엽 유래의 악성 종양을 지칭한다.
"흑색종"은 흑색소포(melanocyte)로부터 초래되는 종양을 지칭한다. 흑색종은 피부에서 가장 흔히 발생되며, 광범위하게 전이되는 것으로 종종 관찰된다.
"면역 관문(immune checkpoint)"은 유기체에서 T-세포 활성의 공동-자극 또는 억제 제어에 기여하는 조절 경로를 지칭한다. 항원-표출 세포 및 T-세포의 표면 상에 단백질을 포함하는 "면역 관문 단백질"의 상호작용은 유기체에서 자가-내성의 조절 및 유지 및 생리학적 면역 반응의 기간 및 진폭에 기여한다. 예를 들어, 문헌[D.M. Pardol. Nature Reviews Cancer 12, 252-264 (2012)]를 참조하라. 면역 관문 단백질의 예는 A2aR(아데노신 A2a 수용체); BTLA, B, 및 T(림프구 감쇠자); ICOS(유발성 T 세포 공동자극자); KIR(살생 세포 면역글로불린형 수용체); LAG3(림프구 활성 유전자 3); PD1(예정 세포 사멸 단백질 1); CTLA-4(세포독성 T-림프구-관련 항원 4); 및 TIM3(T 세포막 단백질 3)를 포함하지만, 이로 제한되지 않는다.
"면역 관문 억제제"는 하나 이상의 관문 단백질의 활성을 완전히 또는 부분적으로 감소시키거나, 억제하거나, 방해하거나, 달리 조정하는 분자를 지칭한다. 면역 관문 억제제는, 예를 들어, 항체, 또는 항체로부터 유래된 펩티드-유사 화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PD1"은 T-세포, B-세포, 및 단핵세포로 발현되는, CD279로도 알려진, 예정 세포 사멸 단백질 1을 지칭한다. PD-1은 두 개의 티로신-기반 신호 모티프를 함유하는 막관통 도메인 및 세포질 도메인에 부착된 V-세트 면역글루불린 상과(immunoglobulin superfamily : IgSF)에 의해 특징화되는 I형 표면 당단백질이다. PD1은 적어도 두 개의 리간드, 즉, PD-L1(T-세포, B-세포, 수상 세포, 대식 세포, 및 간엽 줄기 세포를 포함한 세포에 의해 발현됨) 및 PD-L2(수상 세포, 대식 세포, 및 비만 세포를 포함하는 세포에 의해 발현됨)를 결합한다.
"CTLA-4"는 오로지 T-세포 상에서만 발현되는, CD152로도 알려진, 세포독성 T-림프구-관련 항원 4를 지칭한다. CTLA-4는 CDR-형 루프를 지니는 단일 Ig-폴드 세포외 도메인을 포함하고, 항원 표출 세포에서 차별 발현되는, 다른 것들 중에서, 리간드 CD80(B7.1) 및 CD86(B7.2)에 결합한다.
"백혈구 표지자"는 백혈구의 세포 표면 상에서 발견되는 생체분자(예를 들어, 폴리펩티드)를 지칭한다. 백혈구 표지자는 T-세포 항원 수용체; CD1; NK 세포 수용체; IDO1/2; TDO; CSF1R; VEGFR; SIRPa; 세포 접착 분자(예를 들어, CD2, CD58 (LFA-3), CD3, CD4, CD5, CD7, CD8); β2 인테그린(예를 들어, LeuCAM, CD11a (LFA-1), CD11b (MAC-1 (CR3)), CD11c (CR4), CD18, CD16 (FcR111), CD21 (CR2), CD23, CD25, CD30, CD35 (CR1)); β3 인테그린(예를 들어, CD41, CDS1); 귀소 수용체(예를 들어, CD44, Mel-14); β1 인테그린(예를 들어, CD49a-f (VLA-1), VLA-2, VLA-3, VLA-4); CD14; CD56; CD68; CD71; 및 CD163를 포함하지만, 이로 제한되지 않는다.
"인테그린"은 세포 접착, 이동 및 신호를 매개하는 비-공유 링킹된 α/β-헤테로다이머 세포 표면 수용체를 지칭한다. 인테그린은 광범위한 유기체, 예컨대, C. elegans, Drosophila sp., 양서류, 파충류, 조류, 및 포유류, 예컨대, 인간에게서 발현된다. 예를 들어, αV, 및 α5 등으로 명명되는 다수의 α 서브유닛, 및, 예를 들어, β1, β2, β3, 및 β5 등으로 명명되는 다수의 β 서브유닛이 확인되었고, 이러한 서브유닛의 다양한 조합이 α5β1, αVβ3 및 αVβ5를 포함하는 인테그린 상과로 표현된다. 인테그린의 상과는, 예를 들어, αVβ3 및 αVβ5를 포함하는 αV-함유 인테그린, 또는 α5β1 및 αVβ1를 포함하는 β1-함유 인테그린과 같은 과로 세분될 수 있다.
"β2 인테그린"은 β2-서브유닛(CD18로도 지칭됨)을 지니는 백혈구-특이적 인테그린을 지칭한다. β2 인테그린은 CD11a, CD11b, CD11c 및 CD11d로부터 선택된 별개의 α-서브유닛을 지닌다. 고도 발현된 인테그린 CD11b/CD18(Mac-1, CR3 및 αMβ2로도 알려짐)을 포함하는 β2 인테그린은 세포 접착, 이동, 및 점증 및 활성화를 포함하는 백혈구 기능들을 조정한다.
"골수 세포"는 일반적으로 림프구가 아닌(예를 들어, 천연 살생 세포, T 세포, 또는 B 세포가 아닌) 어떠한 백색 혈액 세포(즉, 백혈구)를 지칭한다. 골수 세포는 대식 세포, 수상 세포, 및 과립구 세포를 포함한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용어 "~을 치료하는"은, 달리 지시되지 않는 한, 그러한 용어가 적용되는 장애 또는 병태, 또는 그러한 장애 또는 병태의 하나 이상의 증상을 저지하거나, 경감시키거나, 이의 진행을 억제하거나, 이를 예방하는 것을 의미한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용어 "치료"는, "치료하는"이 바로 위에서 정의된 바와 같이, 치료하는 행위를 지칭한다.
"치료적 유효량"은 환자의 조직, 혈류, 또는 다른 물리적 구획에 요망되는 수준의 약물을 제공하는데 필요한 LA1 염 또는 결정형의 양이고, 여기서 요망되는 수준은 LA1 염 또는 결정형이 선택된 투여 경로에 의해 투여될 때 예상되는 생리학적 반응 또는 생물학적 효과를 야기한다. 정확한 양은, 예를 들어, 특정 LA1 염 또는 결정형; 사용되는 특이적인 약제학적 제형 또는 전달 장치; 질환 상태의 중증도; 및 치료 요법에 대한 환자 순응도를 포함하는 다수의 인자들에 좌우될 것이다. LA1 염 및 결정형의 치료적 유효량은 본원에 제공되는 정보를 기초로 하여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결정될 수 있다.
수치를 변형하기 위해 본원에서 사용되는 "약" 및 "대략"은 그러한 값 주위의 규정된 범위를 나타낸다. "X"가 값인 경우, "약 X" 또는 "대략 X"는 일반적으로, 예를 들어, 0.98X 내지 1.02X 또는 0.99X 내지 1.01X를 포함하여 0.95X 내지 1.05X의 값을 나타낼 것이다. "약 X" 또는 "대략 X"에 대한 어떠한 언급은 구체적으로 적어도 값 X, 0.95X, 0.96X, 0.97X, 0.98X, 0.99X, 1.01X, 1.02X, 1.03X, 1.04X, 및 1.05X를 나타낸다. 따라서, "약 X" 및 "대략 X"는, 예를 들어, "0.98X"의 청구범위 제한에 대하여 기재된 설명의 지지를 교시하고 제공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양 "X"가 단지 전체 정수 값을 포함하는 경우(예를 들어, "X개의 탄소"), "약 X" 또는 "대략 X"는 (X-1) 내지 (X+1)를 나타낸다. 그러한 경우에, "약 X" 또는 "대략 X"는 구체적으로 적어도 값 X, X-1, 및 X+1를 나타낸다.
III. LA1 염
당업자는 다수의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기가 LA1 염을 제조하는데 사용될 수 있음을 인지할 것이다.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기는 암모니아, L-아르기닌, 칼슘 하이드록사이드, 콜린, 메글루민, 마그네슘 하이드록사이드, 벤타민, 벤즈아틴, 베타인, 디아놀, 디에틸아민, 2-디에틸아미노에탄올, 하이드라바민, 1-(2-하이드록시에틸)-피롤리딘, t-부틸아민, 트로메타민, 피페라진, 이미다졸, 에틸렌디아민, 에탄올아민, 디에탄올아민, 및 트리에탄올아민을 포함하지만, 이로 제한되지 않는다. 특정 구체예에서, LA1 염은 암모니아, L-아르기닌, 칼슘 하이드록사이드, 콜린, 메글루민, 및 마그네슘 하이드록사이드로부터 선택된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기로부터 유래된 양이온을 포함한다.
한 가지 양태에서,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I의 화합물이 콜린 염을 제공한다:
Figure 112017130639903-pct00002
상술된 바와 같이, 화학식 I은 LA1에 상응한다. (2-하이드록시에틸)트리메틸암모늄 및 2-하이드록시-N,N,N-트리메틸에탄암모늄을 포함하는 콜린이 또한 동의어로 지칭된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콜린 염"은 적어도 하나의 2-하이드록시-N,N,N-트리메틸에탄암모늄 양이온을 함유하는 염을 지칭한다. 특정 구체예에서, LA1의 콜린 염은 하기 화학식 II에 따른 염이다:
Figure 112017130639903-pct00003
한 가지 양태에서,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I의 화합물의 콜린 염의 결정형 G를 제공한다:
Figure 112017130639903-pct00004
일부 구체예에서, 결정형 G는, Cu-Kα 방사선을 사용하는 회절계로 측정하는 경우, 5.6, 7.9, 11.2, 13.3, 15.0, 15.7, 16.1, 16.2, 16.5, 16.6, 17.8, 18.1, 18.5, 19.1, 19.8, 20.0, 21.1, 23.0, 24.6, 25.0, 25.6, 26.6, 26.8, 26.9, 29.3, 29.7, 30.6, 30.7, 및 34.4 °2θ, ± 0.2 °2θ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3개의 피크를 포함하는 X-선 분말 회절(XRPD) 패턴에 의해 특징화된다. 예를 들어, 결정형 G는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또는 29개의 그러한 피크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구체예에서, 결정형 G는, Cu-Kα 방사선을 사용하는 회절계로 측정하는 경우, 5.6, 11.2, 13.3, 15.0, 15.7, 16.1, 16.6, 19.1, 24.6, 25.0, 25.6, 및 26.8 °2θ, ± 0.2 °2θ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6개의 피크를 포함하는 X-선 분말 회절(XRPD) 패턴에 의해 특징화된다.
일부 구체예에서, 결정형 G는, Cu-Kα 방사선을 사용하는 회절계로 측정하는 경우, 5.6, 11.2, 13.3, 15.0, 15.7, 16.1, 16.6, 19.1, 24.6, 25.0, 25.6, 및 26.8 °2θ, ± 0.2 °2θ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0개의 피크를 포함하는 X-선 분말 회절(XRPD) 패턴에 의해 특징화된다.
일부 구체예에서, 결정형 G는, Cu-Kα 방사선을 사용하는 회절계로 측정하는 경우, 실질적으로 도 5b에 따른 X-선 분말 회절(XRPD) 패턴에 의해 특징화된다.
또 다른 양태에서, 본 발명은 화학식 I의 화합물의 콜린 염의 결정형 O를 제공한다:
Figure 112017130639903-pct00005
일부 구체예에서, 결정형 O는, Cu-Kα 방사선을 사용하는 회절계로 측정하는 경우, 8.4, 8.8, 9.3, 13.3, 14.3, 16.7, 17.0, 18.1, 19.4, 19.6, 19.9, 20.7, 20.9, 21.4, 21.7, 22.5, 23.4, 24.1, 및 25.5 °2θ, ± 0.2 °2θ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3개의 피크를 포함하는 X-선 분말 회절(XRPD) 패턴에 의해 특징화된다. 예를 들어, 결정형 O는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또는 19개의 그러한 피크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구체예에서, 결정형 O는, Cu-Kα 방사선을 사용하는 회절계로 측정하는 경우, 8.4, 8.8, 9.3, 16.7, 19.9, 20.7, 21.7, 22.5, 23.4, 및 25.5 °2θ, ± 0.2 °2θ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6개의 피크를 포함하는 X-선 분말 회절(XRPD) 패턴에 의해 특징화된다.
일부 구체예에서, 결정형 O는, Cu-Kα 방사선을 사용하는 회절계로 측정하는 경우, 실질적으로 도 6e에 따른 X-선 분말 회절(XRPD) 패턴에 의해 특징화된다.
또 다른 양태에서,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I의 화합물의 콜린 염의 결정형 Q를 제공한다:
Figure 112017130639903-pct00006
일부 구체예에서, 결정형 Q는, Cu-Kα 방사선을 사용하는 회절계로 측정하는 경우, 5.0, 5.2, 8.4, 9.6, 9.9, 11.5, 12.6, 12.8, 13.3, 14.4, 15.8, 16.1, 16.6, 17.5, 18.0, 19.3, 20.6, 20.7, 21.5, 21.7, 22.9, 23.7, 24.8, 25.1, 25.3, 25.3, 25.5, 26.3, 26.9, 27.0, 28.1, 28.8, 30.4, 31.2, 32.0, 35.7, 및 37.4 °2θ ± 0.2 °2θ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3개의 피크를 포함하는 X-선 분말 회절(XRPD) 패턴에 의해 특징화된다. 예를 들어, 결정형 Q는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또는 37개의 그러한 피크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구체예에서, 결정형 Q는, Cu-Kα 방사선을 사용하는 회절계로 측정하는 경우, 5.0, 8.4, 9.6, 9.9, 11.5, 12.8, 13.3, 14.4, 18.0, 19.3, 23.7, 및 25.5 °2θ ± 0.2 °2θ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6개의 피크를 포함하는 X-선 분말 회절(XRPD) 패턴에 의해 특징화된다.
일부 구체예에서, 결정형 Q는, Cu-Kα 방사선을 사용하는 회절계로 측정하는 경우, 5.0, 8.4, 9.6, 9.9, 11.5, 12.8, 13.3, 14.4, 18.0, 19.3, 23.7, 및 25.5 °2θ ± 0.2 °2θ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0개의 피크를 포함하는 X-선 분말 회절(XRPD) 패턴에 의해 특징화된다.
일부 구체예에서, 결정형 Q는, Cu-Kα 방사선을 사용하는 회절계로 측정하는 경우, 실질적으로 D에 따른 X-선 분말 회절(XRPD) 패턴에 의해 특징화된다.
또 다른 양태에서,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I의 화합물의 콜린 염의 결정형 R 을 제공한다:
Figure 112017130639903-pct00007
일부 구체예에서, 결정형 R은, Cu-Kα 방사선을 사용하는 회절계로 측정하는 경우, 5.1, 5.6, 8.0, 8.2, 8.4, 9.8, 11.2, 12.7, 13.4, 14.6, 15.1, 15.7, 16.1, 16.3, 16.7, 17.1, 17.8, 18.2, 18.5, 19.1, 19.9, 20.1, 21.1, 22.6, 23.0, 23.4, 24.0, 24.5, 24.7, 25.0, 25.6, 26.0, 26.6, 26.8, 27.1, 27.4, 27.7, 28.1, 29.3, 29.7, 30.6, 31.1, 31.7, 32.2, 32.8, 33.2, 33.5, 34.5, 34.8, 35.1, 35.4, 36.5, 37.6, 38.5, 39.5, 40.4, 41.3, 42.7, 및 44.4 °2θ, ± 0.2 °2θ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3개의 피크를 포함하는 X-선 분말 회절(XRPD) 패턴에 의해 특징화된다. 예를 들어, 결정형 R은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46,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 57, 58, 또는 59개의 그러한 피크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구체예에서, 결정형 R은, Cu-Kα 방사선을 사용하는 회절계로 측정하는 경우, 5.6, 11.2, 15.1, 16.3, 16.7, 19.1, 20.1, 21.1, 23.0, 24.5, 25.0, 25.6, 26.0, 31.1, 32.8, 및 33.5 ± 0.2 °2θ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6개의 피크를 포함하는 X-선 분말 회절(XRPD) 패턴에 의해 특징화된다.
일부 구체예에서, 결정형 R은, Cu-Kα 방사선을 사용하는 회절계로 측정하는 경우, 5.6, 11.2, 15.1, 16.3, 16.7, 19.1, 20.1, 21.1, 23.0, 24.5, 25.0, 25.6, 26.0, 31.1, 32.8, 및 33.5 ± 0.2 °2θ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9개의 피크를 포함하는 X-선 분말 회절(XRPD) 패턴에 의해 특징화된다.
일부 구체예에서, 결정형 R은, Cu-Kα 방사선을 사용하는 회절계로 측정하는 경우, 실질적으로 도 7에 따른 X-선 분말 회절(XRPD) 패턴에 의해 특징화된다. 일부 구체예에서, 결정형 R은 대략 224.5℃에서 흡열성 피크를 포함하는 시차 주사 열량계 서모그램에 의해 특징화된다.
또 다른 양태에서,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I의 화합물의 콜린 염의 결정형 S를 제공한다:
Figure 112017130639903-pct00008
일부 구체예에서, 결정형 S는, Cu-Kα 방사선을 사용하는 회절계로 측정하는 경우, 5.1, 8.4, 9.6, 10.0, 11.6, 12.9, 13.3, 14.4, 14.9, 15.8, 16.6, 17.4, 18.0, 19.2, 19.3, 20.6, 21.4, 21.7, 22.7, 23.7, 24.8, 25.4, 26.3, 26.8, 28.1, 28.7, 29.6, 30.3, 31.0, 31.9, 33.0, 34.0, 35.7, 37.4, 39.2, 40.5, 및 41.7 °2θ, ± 0.2 °2θ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3개의 피크를 포함하는 X-선 분말 회절(XRPD) 패턴에 의해 특징화된다. 예를 들어, 결정형 S는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또는 37개의 그러한 피크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구체예에서, 결정형 S는, Cu-Kα 방사선을 사용하는 회절계로 측정하는 경우, 5.1, 8.4, 9.6, 10.0, 12.9, 13.3, 16.6, 17.4, 18.0, 19.2, 20.6, 21.4, 21.7, 23.7, 25.4, 및 28.1 °2θ ± 0.2 °2θ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6개의 피크를 포함하는 X-선 분말 회절(XRPD) 패턴에 의해 특징화된다.
일부 구체예에서, 결정형 S는, Cu-Kα 방사선을 사용하는 회절계로 측정하는 경우, 5.1, 8.4, 9.6, 10.0, 12.9, 13.3, 16.6, 17.4, 18.0, 19.2, 20.6, 21.4, 21.7, 23.7, 25.4, 및 28.1 °2θ ± 0.2 °2θ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0개의 피크를 포함하는 X-선 분말 회절(XRPD) 패턴에 의해 특징화된다.
일부 구체예에서, 결정형 S는, Cu-Kα 방사선을 사용하는 회절계로 측정하는 경우, 실질적으로 도 8에 따른 X-선 분말 회절(XRPD) 패턴에 의해 특징화된다.
또 다른 양태에서,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I의 화합물의 메글루민 염을 제공한다:
Figure 112017130639903-pct00009
N-메틸-D-글루카민 및 (2R,3R,4R,5S)-6-(메틸아미노)헥산-1,2,3,4,5-펜톨을 포함하는 메글루민이 또한 동의어로 지칭된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메글루민 염"은 적어도 하나의 (2S,3R,4R,5R)-2,3,4,5,6-펜타하이드록시-N-메틸헥산-1-알루미늄 양이온을 함유하는 염을 지칭한다. 특정 구체예에서, LA1의 메글루민 염은 하기 화학식 III에 따른 염이다:
Figure 112017130639903-pct00010
또 다른 양태에서,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I의 화합물의 메글루민 염의 결정형 H를 제공한다:
Figure 112017130639903-pct00011
일부 구체예에서, 결정형 H는, Cu-Kα 방사선을 사용하는 회절계로 측정하는 경우, 5.3, 7.1, 10.7, 10.9, 16.1, 16.5, 17.7, 18.5, 20.3, 23.6, 24.9, 및 27.2 °2θ ± 0.2 °2θ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3개의 피크를 포함하는 X-선 분말 회절(XRPD) 패턴에 의해 특징화된다. 예를 들어, 결정형 H는 3, 4, 5, 6, 7, 8, 9, 10, 11, 또는 12개의 그러한 피크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구체예에서, 결정형 H는, Cu-Kα 방사선을 사용하는 회절계로 측정하는 경우, 5.3, 7.1, 10.7, 10.9, 16.1, 16.5, 17.7, 18.5, 20.3, 23.6, 24.9, 및 27.2 °2θ ± 0.2 °2θ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6개의 피크를 포함하는 X-선 분말 회절(XRPD) 패턴에 의해 특징화된다.
일부 구체예에서, 결정형 H는, Cu-Kα 방사선을 사용하는 회절계로 측정하는 경우, 5.3, 7.1, 10.7, 10.9, 16.1, 16.5, 17.7, 18.5, 20.3, 23.6, 24.9, 및 27.2°2θ ± 0.2 °2θ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0개의 피크를 포함하는 X-선 분말 회절(XRPD) 패턴에 의해 특징화된다.
일부 구체예에서, 결정형 H는, Cu-Kα 방사선을 사용하는 회절계로 측정하는 경우, 실질적으로 도 6b에 따른 X-선 분말 회절(XRPD) 패턴에 의해 특징화된다.
또 다른 양태에서,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I의 화합물의 메글루민 염의 결정형 L을 제공한다:
Figure 112017130639903-pct00012
일부 구체예에서, 결정형 L은, Cu-Kα 방사선을 사용하는 회절계로 측정하는 경우, 5.3, 7.9, 8.5, 9.0, 9.9, 10.6, 10.9, 11.6, 12.0, 12.6, 13.1, 14.5, 14.8, 15.0, 15.3, 15.9, 16.2, 16.9, 17.4, 17.8, 18.0, 18.4, 18.8, 19.2, 20.2, 20.8, 21.3, 21.7, 22.1, 23.2, 23.8, 24.5, 25.2, 25.5, 26.3, 26.9, 27.3, 27.9, 28.4, 28.9, 29.2, 29.8, 30.3, 30.6, 31.1, 32.1, 32.8, 34.1, 34.5, 34.9, 35.1, 36.0, 36.5, 37.5, 38.0, 38.9, 39.6, 40.7, 41.7, 42.5, 및 42.9 °2θ, ± 0.2 °2θ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3개의 피크를 포함하는 X-선 분말 회절(XRPD) 패턴에 의해 특징화된다. 예를 들어, 결정형 L은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46,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또는 61개의 그러한 피크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구체예에서, 결정형 L은, Cu-Kα 방사선을 사용하는 회절계로 측정하는 경우, 8.5, 9.0, 10.9, 15.0, 16.9, 20.2, 21.7, 23.8, 24.5, 25.2, 26.3, 29.2, 및 29.8 °2θ ± 0.2 °2θ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6개의 피크를 포함하는 X-선 분말 회절(XRPD) 패턴에 의해 특징화된다.
일부 구체예에서, 결정형 L은, Cu-Kα 방사선을 사용하는 회절계로 측정하는 경우, 8.5, 9.0, 10.9, 15.0, 16.9, 20.2, 21.7, 23.8, 24.5, 25.2, 26.3, 29.2, 및 29.8 °2θ ± 0.2 °2θ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0개의 피크를 포함하는 X-선 분말 회절(XRPD) 패턴에 의해 특징화된다.
일부 구체예에서, 결정형 L은, Cu-Kα 방사선을 사용하는 회절계로 측정하는 경우, 실질적으로 도 11에 따른 X-선 분말 회절(XRPD) 패턴에 의해 특징화된다. 일부 구체예에서, 결정형 L은 대략 136.3℃에서 흡열성 피크를 포함하는 시차 주사 열량계 서모그램에 의해 특징화된다.
또 다른 양태에서,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I의 화합물의 메글루민 염의 결정형 M을 제공한다:
Figure 112017130639903-pct00013
일부 구체예에서, 결정형 M은, Cu-Kα 방사선을 사용하는 회절계로 측정하는 경우, 6.5, 8.5, 9.0, 9.9, 10.6, 11.6, 14.4, 14.8, 15.0, 15.3, 15.9, 16.1, 16.9, 17.8, 18.0, 19.0, 20.4, 20.8, 21.3, 21.7, 23.6, 24.5, 25.2, 26.3, 26.9, 27.5, 27.9, 28.5, 28.9, 29.8, 30.6, 32.1, 32.8, 33.8, 34.5, 36.0, 36.4, 37.1, 38.0, 39.7, 40.7, 41.7, 43.0, 및 44.0 °2θ, ± 0.2 °2θ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3개의 피크를 포함하는 X-선 분말 회절(XRPD) 패턴에 의해 특징화된다. 예를 들어, 결정형 M은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또는 44개의 그러한 피크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구체예에서, 결정형 M은, Cu-Kα 방사선을 사용하는 회절계로 측정하는 경우, 8.5, 9.0, 14.8, 15.0, 16.9, 18.0, 21.7, 24.5, 25.2, 26.3, 및 29.8 °2θ ± 0.2 °2θ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6개의 피크를 포함하는 X-선 분말 회절(XRPD) 패턴에 의해 특징화된다.
일부 구체예에서, 결정형 M은, Cu-Kα 방사선을 사용하는 회절계로 측정하는 경우, 8.5, 9.0, 14.8, 15.0, 16.9, 18.0, 21.7, 24.5, 25.2, 26.3, 및 29.8 ± 0.2 °2θ, Cu-Kα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9개의 피크를 포함하는 X-선 분말 회절(XRPD) 패턴에 의해 특징화된다.
일부 구체예에서, 결정형 M은, Cu-Kα 방사선을 사용하는 회절계로 측정하는 경우, 실질적으로 도 12에 따른 X-선 분말 회절(XRPD) 패턴에 의해 특징화된다. 일부 구체예에서, 결정형 M은 대략 294.5℃에서 흡열성 피크를 포함하는 시차 주사 열량계 서모그램에 의해 특징화된다.
또 다른 양태에서,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I의 화합물의 메글루민 염의 결정형 N을 제공한다:
Figure 112017130639903-pct00014
일부 구체예에서, 결정형 N은, Cu-Kα 방사선을 사용하는 회절계로 측정하는 경우, 4.3, 5.0, 5.4, 6.1, 7.5, 7.9, 8.9, 9.5, 10.0, 10.8, 11.4, 12.1, 12.5, 13.8, 14.3, 14.8, 15.6, 16.1, 16.7, 17.4, 18.1, 19.2, 19.5, 20.1, 20.9, 21.4, 21.5, 22.1, 22.5, 23.9, 24.6, 25.3, 26.3, 26.7, 27.1, 27.6, 28.2, 29.0, 30.4, 30.9, 32.0, 32.9, 33.9, 34.7, 36.9, 38.3, 39.1, 39.6, 40.2, 및 41.4 °2θ, ± 0.2 °2θ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3개의 피크를 포함하는 X-선 분말 회절(XRPD) 패턴에 의해 특징화된다. 예를 들어, 결정형 N은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46, 47, 48, 49, 또는 50개의 그러한 피크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구체예에서, 결정형 N은, Cu-Kα 방사선을 사용하는 회절계로 측정하는 경우, 6.1, 7.9, 8.9, 9.5, 10.0, 12.5, 14.3, 14.8, 15.6, 16.1, 17.4, 18.1, 19.5, 20.9, 21.4, 21.5, 23.9, 24.6, 25.3, 및 29.0 °2θ ± 0.2 °2θ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6개의 피크를 포함하는 X-선 분말 회절(XRPD) 패턴에 의해 특징화된다.
일부 구체예에서, 결정형 N은, Cu-Kα 방사선을 사용하는 회절계로 측정하는 경우, 6.1, 7.9, 8.9, 9.5, 10.0, 12.5, 14.3, 14.8, 15.6, 16.1, 17.4, 18.1, 19.5, 20.9, 21.4, 21.5, 23.9, 24.6, 25.3, 및 29.0 °2θ ± 0.2 °2θ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0개의 피크를 포함하는 X-선 분말 회절(XRPD) 패턴에 의해 특징화된다.
일부 구체예에서, 결정형 N은, Cu-Kα 방사선을 사용하는 회절계로 측정하는 경우, 실질적으로 도 13에 따른 X-선 분말 회절(XRPD) 패턴에 의해 특징화된다. 일부 구체예에서, 결정형 N은 대략 139.9℃에서 흡열성 피크를 포함하는 시차 주사 열량계 서모그램에 의해 특징화된다.
또 다른 양태에서,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I의 화합물의 메글루민 염의 결정형 T를 제공한다:
Figure 112017130639903-pct00015
일부 구체예에서, 결정형 T는, Cu-Kα 방사선을 사용하는 회절계로 측정하는 경우, 6.9, 8.2, 8.4, 9.4, 11.6, 15.0, 15.1, 15.5, 17.2, 17.8, 18.1, 20.5, 21.3, 21.9, 22.3, 23.5, 25.0, 및 26.7 °2θ ± 0.2 °2θ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3개의 피크를 포함하는 X-선 분말 회절(XRPD) 패턴에 의해 특징화된다. 예를 들어, 결정형 T는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또는 18개의 그러한 피크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구체예에서, 결정형 T는, Cu-Kα 방사선을 사용하는 회절계로 측정하는 경우, 6.9, 8.4, 9.4, 11.6, 15.5, 17.2, 21.3, 21.9, 22.3, 23.5, 25.0, 및 26.7 °2θ ± 0.2 °2θ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6개의 피크를 포함하는 X-선 분말 회절(XRPD) 패턴에 의해 특징화된다.
일부 구체예에서, 결정형 T는, Cu-Kα 방사선을 사용하는 회절계로 측정하는 경우, 5.3, 7.1, 10.7, 10.9, 16.1, 16.5, 17.7, 18.5, 20.3, 23.6, 24.9, 및 27.2 °2θ ± 0.2 °2θ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0개의 피크를 포함하는 X-선 분말 회절(XRPD) 패턴에 의해 특징화된다.
일부 구체예에서, 결정형 T는, Cu-Kα 방사선을 사용하는 회절계로 측정하는 경우, 실질적으로 도 10e에 따른 X-선 분말 회절(XRPD) 패턴에 의해 특징화된다.
또 다른 양태에서,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I의 화합물의 고체형 A를 제공한다:
Figure 112017130639903-pct00016
일부 구체예에서, 고체형 A는, Cu-Kα 방사선을 사용하는 회절계로 측정하는 경우, 5.3, 7.8, 15.2, 18.7, 19.8, 20.3, 20.8, 25.7, 26.3, 26.5, 및 26.9 °2θ ± 0.2 °2θ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3개의 피크를 포함하는 X-선 분말 회절(XRPD) 패턴에 의해 특징화된다. 예를 들어, 결정형 A는 3, 4, 5, 6, 7, 8, 9, 10, 또는 11개의 그러한 피크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구체예에서, 고체형 A는, Cu-Kα 방사선을 사용하는 회절계로 측정하는 경우, 5.3, 7.8, 15.2, 18.7, 19.8, 20.3, 20.8, 25.7, 26.3, 26.5, 및 26.9 °2θ ± 0.2 °2θ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6개의 피크를 포함하는 X-선 분말 회절(XRPD) 패턴에 의해 특징화된다.
일부 구체예에서, 고체형 A는, Cu-Kα 방사선을 사용하는 회절계로 측정하는 경우, 5.3, 7.8, 15.2, 18.7, 19.8, 20.3, 20.8, 25.7, 26.3, 26.5, 및 26.9 °2θ ± 0.2 °2θ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0개의 피크를 포함하는 X-선 분말 회절(XRPD) 패턴에 의해 특징화된다.
일부 구체예에서, 고체형 A는, Cu-Kα 방사선을 사용하는 회절계로 측정하는 경우, 실질적으로 도 2에 따른 X-선 분말 회절(XRPD) 패턴에 의해 특징화된다.
관련된 양태에서, 본 발명은 LA1의 염 및 결정형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을 제공한다. 일반적으로, LA1 염은 염을 형성시키기에 충분한 조건하에 LA1 유리 산 및 적어도 1몰 당량의 적합한 염기를 함유하는 혼합물(즉, 염 형성 혼합물)을 형성시킴으로써 제조된다. 혼합물은 전형적으로 LA1 유리 산 및/또는 염기가 부분적으로 가용성이거나 완전히 가용성인 용매를 함유한다. LA1 염을 제조하기에 유용한 용매의 예는 테트라하이드로푸란, 디옥산, 메탄올,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N,N-디메틸포름아미드, N-메틸피롤리돈, 메틸 3차-부틸 에테르, 아세톤, 에틸 아세테이트, 디클로로메탄, 물, 및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하지만, 이로 제한되지 않는다. 일부 구체예에서, 염 형성 혼합물은 테트라하이드로푸란 및 메탄올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용매를 함유한다. 일부 구체예에서, 혼합물은 테트라하이드로푸란을 함유한다. 일부 구체예에서, 혼합물은 테트라하이드로푸란 및 메탄올을 함유한다. 일부 구체예에서, 혼합물은 아세톤을 함유한다. 일부 구체예에서, 혼합물은 에탄올을 함유한다.
LA1 유리 산 및 염기를 함유하는 염 형성 혼합물은 어떠한 적합한 온도하에 형성되거나 그러한 온도에서 유지될 수 있다. 전형적으로, 혼합물은 염 형성에 충분한 시간 동안 약 20℃ 내지 약 80℃ 범위의 온도에서 유지된다. 혼합물은, 예를 들어, 약 20℃ 내지 약 80℃에서 약 15분 내지 약 72시간 이상의 어떠한 시간 동안 유지될 수 있다. 혼합물은 약 40℃ 내지 약 60℃에서 약 1시간 내지 약 48시간 동안, 또는 약 40℃ 내지 약 50℃에서 약 1시간 내지 약 16시간 동안 유지될 수 있다.
일부 구체예에서, 염 형성 혼합물은 LA1 유리 산, 콜린 하이드록사이드, 테트라하이드로푸란, 및 메탄올을 함유한다. 일부 구체예에서, 테트라하이드로푸란 대 메탄올의 비율은 3:1 v:v이다. 일부 구체예에서, 결정형 G는 1 몰 당량의 LA1 유리 산, 1 몰 당량의 콜린 하이드록사이드, 및 3:1 v:v의 비율의 테트라하이드로푸란과 메탄올의 조합물을 함유하는 혼합물을 형성시킴을 포함하는 공정에 의해 제조된다. 일부 구체예에서, 결정형 G를 제조하기 위한 공정은 추가로 약 40℃ 내지 약 50℃에서 약 24시간 내지 약 48시간 동안 혼합물을 교반함을 포함한다. 일부 구체예에서, 결정형 G를 제조하기 위한 공정은 약 50℃에서 적어도 약 24시간 동안 혼합물을 교반함을 포함한다. 일부 구체예에서, 결정형 G를 제조하기 위한 공정은 결정형 G의 형성 후에 증발에 의해 혼합물로부터 테트라하이드로푸란과 메탄올의 조합물을 제거함을 포함한다.
일부 구체예에서, 염 형성 혼합물은 LA1 유리 산, 콜린 하이드록사이드, 및 테트라하이드로푸란을 함유한다. 일부 구체예에서, 테트라하이드로푸란 대 메탄올의 비율은 3:1 v:v이다. 일부 구체예에서, 결정형 O는 1 몰 당량의 LA1 유리 산, 1 몰 당량의 콜린 하이드록사이드, 및 테트라하이드로푸란을 함유하는 혼합물을 형성시킴을 포함하는 공정에 의해 제조된다. 일부 구체예에서, 결정형 O를 제조하기 위한 공정은 추가로 약 20℃ 내지 약 30℃에서 약 24시간 내지 약 48시간 동안 혼합물을 교반함을 포함한다. 일부 구체예에서, 결정형 O를 제조하기 위한 공정은 약 30℃ 이하에서 적어도 약 24시간 동안 혼합물을 교반함을 포함한다.
일부 구체예에서, 염 형성 혼합물은 LA1 유리 산, 콜린 하이드록사이드, 및 에틸 아세테이트 또는 아세톤을 함유한다. 일부 구체예에서, 결정형 Q는 1 몰 당량의 LA1 유리 산, 1 몰 당량의 콜린 하이드록사이드, 및 에틸 아세테이트를 함유하는 혼합물을 형성시킴을 포함하는 공정에 의해 제조된다. 일부 구체예에서, 결정형 Q를 제조하기 위한 공정은 추가로 약 20℃ 내지 약 30℃에서 약 12시간 내지 약 48시간 동안 혼합물을 교반함을 포함한다. 일부 구체예에서, 결정형 Q를 제조하기 위한 공정은 약 30℃ 이하에서 적어도 약 12시간 동안 혼합물을 교반함을 포함한다. 일부 구체예에서, 결정형 Q를 제조하기 위한 공정은 결정형 Q의 형성 후에 진공 여과를 통해 에틸 아세테이트 또는 아세톤를 제거함을 포함한다.
LA1 콜린 염의 결정형을 제조하는 것은 또한 LA1 콜린 염을 재결정화시킴을 포함할 수 있다. 재결정화는 양성자성 용매(예를 들어, 메탄올, 에탄올, 이소프로필 알코올(IPA), n-부탄올, 및 물), 비양성자성 용매(예를 들어, 이소프로필 아세테이트, 에틸 아세테이트, 및 아세톤),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어떠한 적합한 용매를 사용하여 실시될 수 있다. 일부 구체예에서, LA1 콜린 염의 결정형을 제조하는 것은 양성자성 용매로부터 LA1 콜린 염을 재결정화시킴을 포함한다. 일부 구체예에서, LA1 콜린 염의 결정형 R을 제조하는 것은 n-부탄올로부터 LA1 콜린 염을 재결정화시킴을 포함한다. 일부 구체예에서, LA1 콜린 염의 결정형 S를 제조하는 것은 메탄올로부터 LA1 콜린 염을 재결정화시킴을 포함한다.
일부 구체예에서, 염 형성 혼합물은 LA1 유리 산, 메글루민, 테트라하이드로푸란, 및 메탄올을 함유한다. 일부 구체예에서, 테트라하이드로푸란 대 메탄올의 비율은 2:1 v:v이다. 일부 구체예에서, 결정형 H는 1 몰 당량의 LA1 유리 산, 1 몰 당량의 메글루민, 및 2:1 v:v의 테트라하이드로푸란과 메탄올의 조합물을 함유하는 혼합물을 형성시킴을 포함하는 공정에 의해 제조된다. 일부 구체예에서, 결정형 H를 제조하기 위한 공정은 추가로 약 40℃ 내지 약 50℃에서 약 24시간 내지 약 48시간 동안 혼합물을 교반함을 포함한다. 일부 구체예에서, 결정형 H를 제조하기 위한 공정은 약 50℃에서 적어도 약 24시간 동안 혼합물을 교반함을 포함한다. 일부 구체예에서, 결정형 H를 제조하기 위한 공정은 결정형 H의 형성 후에 증발에 의해 혼합물로부터 테트라하이드로푸란과 메탄올의 조합물을 제거함을 포함한다.
일부 구체예에서, 염 형성 혼합물은 LA1 유리 산, 메글루민, 및 에탄올을 함유한다. 일부 구체예에서, 결정형 T는 1 몰 당량의 LA1 유리 산, 1 몰 당량의 메글루민, 및 에탄올을 함유하는 혼합물을 형성시킴을 포함하는 공정에 의해 제조된다. 일부 구체예에서, 결정형 T를 제조하기 위한 공정은 추가로 약 40℃ 내지 약 50℃에서 약 24시간 내지 약 48시간 동안 혼합물을 교반함을 포함한다. 일부 구체예에서, 결정형 T를 제조하기 위한 공정은 약 40℃에서 적어도 약 24시간 동안 혼합물을 교반함을 포함한다. 일부 구체예에서, 결정형 T를 제조하기 위한 공정은 결정형 T의 형성 후에 진공 여과에 의해 혼합물로부터 에탄올을 제거하고, 결정형 T의 적어도 일부를 분리함을 포함한다. 일부 구체예에서, 결정형 T를 제조하기 위한 공정은 추가로 분리된 결정형 T를 메틸 3차-부틸 에테르로 세척함을 포함한다.
LA1 메글루민 염의 결정형을 제조하는 것은 또한 LA1 메글루민 염을 재결정화시킴을 포함할 수 있다. 재결정화는 양성자성 용매 (예를 들어, 메탄올, 에탄올, 이소프로필 알코올 (IPA), n-부탄올, 및 물), 비양성자성 용매 (예를 들어, N,N-디메틸 포름아미드 (DMF), 디메틸설폭사이드 (DMSO), 이소프로필 아세테이트, 에틸 아세테이트, 및 아세톤),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어떠한 적합한 용매를 사용하여 실시될 수 있다. 일부 구체예에서, LA1 메글루민 염의 결정형을 제조하는 것은 비양성자성 용매로부터 LA1 메글루민 염을 재결정화시킴을 포함한다. 일부 구체예에서, LA1 메글루민 염의 결정형 L을 제조하는 것은 이소프로필 아세테이트로부터 LA1 콜린 염을 재결정화시킴을 포함한다. 일부 구체예에서, LA1 메글루민 염의 결정형 M을 제조하는 것은 아세톤으로부터 LA1 콜린 염을 재결정화시킴을 포함한다. 일부 구체예에서, LA1 메글루민 염의 결정형 N을 제조하는 것은 DMF로부터 LA1 콜린 염을 재결정화시킴을 포함한다.
IV. 약제학적 조성물
관련된 양태에서, 본 발명은 본원에 기재된 염 및 결정형의 투여를 위한 약제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약제학적 조성물은 약제 및 약물 전달의 기술 분야에 잘 알려진 어떠한 방법들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은 활성 성분을 하나 이상의 부성분을 함유하는 담체와 회합되게 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약제학적 조성물은 전형적으로 활성 성분을 액형 담체 또는 미분된 고형 담체 또는 이 둘 모두와 균일하고 친밀하게 회합되게 한 후, 필요 시에, 생성물을 요망되는 제형으로 성형함으로써 제조된다. 조성물은 단위 투여형으로 알맞게 제조되고/거나 패키징될 수 있다.
약제학적 조성물은 멸균 주사가능한 수성 또는 유성 용액 및 현탁액의 형태일 수 있다. 멸균 주사가능한 제조물은 물, 링거액(Ringer's solution), 및 등장성 염화나트륨 용액, 및 허용가능한 용매, 예컨대, 1,3-부탄 디올을 포함하는 비-독성의 비경구적으로-허용가능한 비히클을 사용하여 제형화될 수 있다. 또한, 멸균 고정유는 통상적으로 용매 또는 현탁 매질로서 사용된다. 이러한 목적 상, 합성 모노- 또는 디글리세라이드를 포함하는 임의의 블랜드 고정유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지방산, 예컨대, 올레산이 주사용의 제조물에서 사용이 찾아진다.
수성 현탁액은 현탁제, 예컨대, 소듐 카복시메틸셀룰로오스, 메틸셀룰로오스, 유성-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 소듐 알기네이트, 폴리비닐-피롤리돈, 검 트라가칸트 및 검 아카시아; 분산 또는 습윤제, 예컨대, 레시틴, 폴리옥시에틸렌 스테아레이트, 및 폴리에틸렌 소르비탄 모노올레에이트; 및 보존제, 예컨대, 에틸, n-프로필, 및 p-하이드록시벤조에이트를 포함하지만, 이로 제한되지 않는 부형제와 혼합된 활성 물질을 함유한다.
유성 현탁액은 식물성 오일, 예를 들어, 땅콩유(arachis oil), 올리브유, 참깨유 또는 코코넛 오일 중에 또는 광유(mineral oil), 예컨대, 액체 파라핀 중에 활성 성분을 현탁시킴으로써 제형화될 수 있다. 유성 현탁액은 증점제(thickening agent), 예를 들어, 밀랍, 경질 파라핀 또는 세틸 알코올을 함유할 수 있다. 이러한 조성물은 항산화제, 예컨대, 아스코르브산의 첨가에 의해 보존될 수 있다.
분산성 분말 및 과립(물의 첨가에 의한 수성 현탁액의 제조에 적합한)은 분산제, 습윤제, 현탁제, 또는 이들의 조합물과 혼합된 활성 성분을 함유할 수 있다. 추가의 부형제가 또한 존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또한 수중유 에멀젼의 형태일 수 있다. 유상은 식물성 오일, 예를 들어, 올리브유 또는 땅콩유, 또는 광유, 예를 들어, 액체 파라핀 또는 이들의 혼합물일 수 있다. 적합한 에멀젼화제는 천연 발생 검, 예컨대, 검 아카시아 및 검 트라가칸트, 천연 발생 인지질, 예컨대, 대두 레시틴; 지방산 및 헥시톨 무수물로부터 유래된 에스테르 또는 부분 에스테르, 예컨대, 소르비탄 모노올레에이트; 및 에틸렌 옥사이드와 상기 부분 에스테르의 축합물, 예컨대,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모노올레에이트일 수 있다.
본원에 기재된 염 및 결정형을 함유하는 약제학적 조성물은 또한 경구 용도에 적합한 형태일 수 있다. 경구 투여에 적합한 조성물은 정제, 트로키(troch), 로젠지(lozenge), 수성 또는 유성 현탁액, 분산성 분말 또는 과립, 에멀젼, 경질 또는 연질 캡슐, 시럽, 엘릭서(elixir), 용액, 구강 패치(buccal patch), 오랄 겔(oral gel), 츄잉 검, 츄어블 정제, 발포성 분말, 및 발포성 정제를 포함하지만, 이로 제한되지 않는다. 경구 투여용 조성물은 당업자에게 알려진 어떠한 방법에 따라 제형화될 수 있다. 그러한 조성물은 약제학적으로 품질이 좋고 맛있는 제조물을 제공하기 위해서 감미제, 향미제, 착색제, 항산화제, 및 보존제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제제를 함유할 수 있다.
정제는 일반적으로 비활성 희석제, 예컨대, 셀룰로오스, 실리콘 디옥사이드, 알루미늄 옥사이드, 칼슘 카보네이트, 소듐 카보네이트, 글루코오스, 만니톨, 소르비톨, 락토오스, 칼슘 포스페이트, 및 소듐 포스페이트를 포함하는 비-독성의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부형제, 과립화제 및 붕해제, 예컨대, 옥수수 전분 및 알긴산; 결합제, 예컨대, 폴리비닐피롤리돈 (PVP), 셀룰로오스, 폴리에틸렌 글리콜 (PEG), 전분, 젤라틴, 및 아카시아; 및 윤활제, 예컨대,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스테아르산, 및 탈크와 혼합된 활성 성분을 함유한다. 정제는, 위장관에서의 붕해 및 흡수를 지연시키고, 이에 의해서 더 장기간에 걸쳐 지속적인 작용을 제공하기 위해 장용으로, 또는 달리 공지된 기술에 의해서 비코팅되거나 코팅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시간 지연 물질, 예컨대, 글리세릴 모노스테아레이트 또는 글리세릴 디스테아레이트가 사용될 수 있다. 정제는 또한 제어형 방출을 위한 삼투 펌프 조성물을 형성시키기 위해 공지된 기술에 따라 반투과성 막 및 임의의 폴리머 삼투제로 코팅될 수 있다.
경구 투여용 조성물은 활성 성분이 비활성 고체 희석제(예컨대, 탄산칼슘, 인산칼슘, 또는 카올린)과 혼합되는 경질 젤라틴 캡슐, 또는 활성 성분이 물 또는 오일 매질(예컨대, 피넛 오일, 액체 파라핀, 또는 올리브유)와 혼합되는 연질 젤라틴 캡슐로서 제형화될 수 있다.
본원에 기재된 염 및 결정형은 또한 용액, 연고, 크림, 젤, 현탁액, 구강 세척액, 및 점안액 등으로서 국소적으로 투여될 수 있다. 더 추가로, 염 및 결정형의 경피 전달이 이온영동 패치 등의 수단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화합물은 또한 약물의 직장 투여를 위한 좌약의 형태로 투여될 수 있다. 이러한 조성물은 상온에서는 고체이지만 직장 온도에서는 액체라서 직장에서 용융되어 약물을 방출시킬 적합한 비-자극성 부형제와 약물을 혼합함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그러한 물질은 코코아 버터 및 폴리에틸렌 글리콜을 포함한다.
일부 구체예에서, 본원에 기재된 염 또는 결정형은 복강내 주사를 통해 투여된다. 일부 구체예에서, 염 또는 결정형은 경구로 투여된다. 일부 구체예에서, 염 또는 결정형은 정맥내로 투여된다.
LA1은 5-플루오로우라실(5-fluorouracil), AZD8055, 베바시주맙(bevacizumab), 보르테조밉(bortezomib), 세툭시맙(cetuximab), 사이클로포스파미드(cyclophosphamide), 도세탁셀(docetaxel), 젬시타빈(gemcitabine), 이마티닙(imatinib), 이필리무맙(ipilimumab), 라파티닙(lapatinib), 파클리탁셀(paclitaxel), 퍼투주맙(pertuzumab), 라파마이신(rapamycin), 시푸류셀-T(sipuleucel-T), 소라페닙(sorafenib), 수니티닙(sunitinib), 트라스투주맙(trastuzumab), 템시롤리무스(temsirolimus), 베무라페닙(vemurafenib), 탁솔(taxol), 파클리탁셀(paclitaxel), 아비라테론(abiraterone), 스테로이드(steroid), 코르티코스테로이드(corticosteroid), 프레드니손(prednisone), NSAID, 미토마이신(mitomycin), 안드로겐(androgen), 항안드로겐(antiandrogen), 에스트로겐(estrogen), 항에스트로겐(antiestrogen), 스타틴(statin), CTLA-4 억제제, 항-CTLA-4 항체, B7 조절제, 아바타셉트(abatacept), 리툭시맙(rituximab), 벨라타셉트(belatacept), 벤루미맙(benlumimab), PD-1 조절제, 항-PD1 항체, PDL1 조절제, 항-PDL1 항체, IDO1 억제제 및 조절제, CSF1 조절제, CSF1R 조절제, 항-CSF1R 항체, CD47 조절제 및 억제제, CD206 조절제 및 억제제, TNFa 억제제 및 조절제, 항-TNFa 항체, 사이토카인 조절제, 항-사이토카인 항체, 인터류킨 조절제 및 억제제, 항-인터류킨 항체, 항-CCL2, 항-CCL4, CXCR-4 억제제, 항-CXCR4, 항-IL17, 및 항-IL23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지만, 이로 제한되지 않는 약물과 병행하여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또한 마이크로화된 LA1 또는 LA1 염 또는 LA1의 염의 마이크로화된 결정형을 포함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마이크로화된 LA1을 함유하는 조성물은 50 μm 미만의 평균 직경을 지니는 LA1을 필수적으로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입자를 함유한다. LA1 입자의 평균 직경은, 예를 들어, 45 μm 미만, 40 μm 미만, 35 μm 미만, 30 μm 미만, 25 μm 미만, 또는 20 μm 미만일 수 있다. LA1 입자의 평균 직경은 약 10 μm 내지 약 49 μm, 또는 약 10 μm 내지 약 45 μm, 또는 약 15 μm 내지 약 40 μm, 또는 약 20 μm 내지 약 35 μm, 또는 약 25 μm 내지 약 30 μm일 수 있다. LA1 입자의 평균 직경은 약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또는 약 25 μm일 수 있다. 일부 구체예에서, 입자는 마이크로화된 LA1을 이의 유리-산 형태로 필수적으로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일부 구체예에서, 입자는 본원에 기재된 바와 같은 마이크로화된 LA1 염을 비정질 또는 결정질 형태로 필수적으로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V. 치료 방법
본원에 기재된 염 및 결정형은 β2 인테그린의 활성과 관련된 질환 또는 병태를 치료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특정 구체예에서, 그러한 질환 또는 병태는 염증(급성 및 만성 염증을 포함하지만, 이로 제한되지 않음), 염증 피부 질환, 면역-관련 장애, 자가면역 질환, 화상, 면역 결핍, 후천성 면역 결핍 증후군(acquired immune deficiency syndrome: AIDS), 미엘로퍼옥시다아제 결핍증(myeloperoxidase deficiency), 비스코트-알드리치 증후군(Wiskott-Aldrich syndrome), 만성 신장 질환, 만성 육아종성 질환, 과-IgM 증후군, 백혈구 부착 결핍증, 철 겹핍증, 체디아크-히가시 증후군(Chediak-Higashi syndrome), 중증 합병성 면역결핍증(severe combined immunodeficiency), 당뇨병, 비만, 고혈압, HIV, 상처-치유, 리모델링(remodeling), 흉터, 섬유증, 줄기 세포 치료, 악액질(cachexia), 뇌척수포염(encephalomyelitis), 다발성 경화증(multiple sclerosis), 건선(psoriasis), 낭창, 류마티스성 관절염, 면역-관련 장애, 방사선 손상, 이식, 세포 이식, 세포 주입, 장기 이식, 골수 이식, 장기 보존, 세포 보존, 천식, 과민성 장 질환, 과민성 장 증후군, 궤양성 대장염(ulcerative colitis), 대장염, 장 질환, 암, 백혈병, 허혈-재관류 손상, 뇌졸중, 혈관 손상 관련 신생 내막 비후, 수포성 유천포창(bullous pemphigoid), 신생아 폐쇄 신병증(neonatal obstructive nephropathy), 가족성 고콜레스테롤혈증(familial hypercholesterolemia), 죽상동맥경화증(atherosclerosis), 이상지질혈증(dyslipidemia), 대동맥 동맥류(aortic aneurism), 동맥염(arteritis), 대뇌 동맥 폐색(cerebral artery occlusion)을 포함한 혈관 폐색(vascular occlusion), 관상 동맥 우회 수술(coronary by-pass surgery)의 합병증, 만성 자가면역 심근염(chronic autoimmune myocarditis) 및 바이러스성 심근염(viral myocarditis)을 포함한 심근염(myocarditis), 만성 심부전(chronic heart failure: CHF)을 포함한 심부전, 심부전의 악액질, 심근 경색(myocardial infarction), 협착증(stenosis), 심장 수술 후 재협착, 무증상 심근 경색증(silent myocardial ischemia), 좌심실 보조 장치의 합병증, 혈전성 정맥염(thrombophlebitis), 가와사끼 혈관염(Kawasaki's vasculitis)을 포함한 혈관염, 거대 세포성 동맥염(giant cell arteritis), 베게너 육아종증(Wegener's granulomatosis), 외상성 뇌 손상(traumatic head injury), 허혈 후 재관류 손상(post-ischemic-reperfusion injury), 허혈 후 대뇌 염증(post-ischemic cerebral inflammation), 심근 경색증에 따른 허혈-재관류 손상, 심혈관 질환, 녹내장(glaucoma), 황반변성(macular degeneration), 포도막염(uveitis), 및 이식편 대 숙주 질환, 신경성 병태, 알츠하이머 병(Alzheimer's disease), 파킨슨 병(Parkinson's disease), 피부염(dermatitis), 통증(만성 통증 포함), 및 원발성 종양 및 전이성 종양을 포함한 암, 예컨대, 유방암, 전립선암, 흑색종, 폐암 및 췌장암으로부터 선택된다. 특정의 그러한 구체예에서, β2 인테그린의 활성과 관련된 질환 또는 병태는, 세계의 수백만명의 사람들에게 영향을 미치고 신부전증으로 이어지는 병태인 염증성 신장 질환, 및 중재 심장병학에서 가장 흔한 절차 중 하나인 혈관성형술을 받은 사람에게 흔한 문제인 재협착증으로부터 선택된다. 특정의 그러한 구체예에서, β2 인테그린은 CD11b/CD18이다.
본원에 기재된 염 및 결정형은 환자의 암을 치료하거나 종양을 감소시키는데 사용될 수 있다. 특정 구체예에서, 염 및 결정형은 백혈구의 종양 침윤을 조정한다. 종양은 신혈관화(neovascularization)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β2 인테그린, 예컨대, CD11b/CD18를 발현하는 세포들을 점증시키기 위해 염증 사이토카인을 분비한다. 화학요법 및 방사선 조사에 의한 것을 포함하는 암 치료 동안, 종양은 종양 맥관구조를 복구하고 종양 재성장 및 재발을 가능하게 하는 다수의 특이적 백혈구 또는 골수 유래 세포를 점증시킨다. 따라서, 본 발명의 화합물 및 방법은 그러한 세포의 활성, 예컨대, 침윤을 감소시키는데 유용하다. 또한, CD11b를 활성화시키는 것은 항-종양 면역 반응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서, 본원에 기재된 염 및 결정형을 포함하는 CD11b가 고려되는 화합물뿐만 아니라 다른 화합물들은 항-종양 요법을 위한 면역조절 경로를 표적화하고 활용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일부 구체예에서, 본원에 기재된 염 및 결정형은 화학요법, 항체 요법, 방사선 요법, 및 세포-기반 치료와 같은 다른 암 치료의 반응을 향상시키는데 유용하다.
일부 구체예에서, 기재된 염 및 결정형은 포유류의 부상, 염증, 세균 감염, 바이러스 감염, 또는 다른 질환 및 병태 시에 백혈수 점증을 감소시키는데 사용될 수 있다. 일부 구체예에서, 염 및 결정형은 동맥 손상 시의 신생혈관내막 증식을 포함한 장기 손상을 감소시키는데 사용될 수 있다. 일부 구체예에서, 염 및 결정형은 급성 장기 손상, 예컨대, 허혈-재관류 손상 시에 장기 기능을 보존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염 및 결정형은 급성 신장 손상 시에 신장 기능을 보존할 수 있다. 일부 구체예에서, 본원에 기재된 염 및 결정형은 사구체신염(glomerular nephritis) 또는 신증 시에 신장 기능을 보존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일부 구체예에서, 본원에 기재된 염 및 결정형은 염증 세포, 예컨대, 림프구 및 백혈구의 기능을 조정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화합물은 안구, 뇌, 피부, 간, 및 신장의 인테그린-매개된 염증을 포함하지만, 이로 제한되지 않는 다수의 장기 및 조직에서 인테그린-매개된 염증을 치료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염 및 결정형은 수용자 동물에게서 이식편 내성(graft tolerance)을 유도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이식편은 골수, 골수 세포, 줄기 세포, 면역 세포, 조작 세포, 장기, 조직 또는 그 밖의 세포를 포함할 수 있다. 유사하게는, 염 및 결정형은 수용자의 이식편-대-숙주 질환을 감소시킬 수 있다. 따라서, 염 및 결정형은 이식 결과를 개선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서, 본 발명은 환자의 β2 인테그린-매개된 병태 또는 질환을 예방하거나 치료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상기 환자에게 치료적 유효량의 본원에 기재된 염 또는 결정형을 투여함을 포함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특정 구체예에서, β2 인테그린-매개된 병태 또는 질환은 CD11b/CD18-매개된 병태 또는 질환이다.
LA1은 또한 아데노신 A2A 수용체 효능제 검정 및 글루코코르티코이드 수용체 효능제 검정에서 효능이 있는 것으로 밝혀졌는데, 이는 본원에 기재된 LA1 및 염 및 결정형이 그러한 수용체의 활성과 관련된 병태를 치료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나타낸다.
한 가지 양태에서, 본 발명은 암을 치료하기 위한 방법을 제공한다. 이러한 방법은 이를 필요로 하는 대상체에게
치료적 유효량의 하기 화학식 I에 따른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및
치료적 유효량의 면역 관문 억제제를 투여함을 포함한다:
Figure 112017130639903-pct00017
일부 구체예에서, 이러한 방법은 화학식 I에 따른 화합물의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대상체에 투여함을 포함한다. 일부 구체예에서, 염은 메글루민 염 또는 콜린 염이다. 일부 그러한 구체예에서, 본 발명은 본원에 기재된 바와 같은 LA1의 염 또는 결정형을 투여함을 포함한다.
일부 구체예에서, 면역 관문 억제제는 CTLA-4, 4-1BB (CD137), 4-1BBL (CD137L), PDL1, PDL2, PD1, B7-H3, B7-H4, BTLA, HVEM, TIM3, GAL9, LAG3, TIM3, B7H3, B7H4, VISTA, KIR, 2B4, CD160, IDO1/IDO2 (인돌아민 2,3-디옥시게나아제), 및 CGEN-15049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표적의 활성을 억제한다.
일부 구체예에서, 면역 관문 억제제는 CTLA-4, PDL1, PDL2, PD1, B7-H3, B7-H4, BTLA, HVEM, TIM3, GAL9, LAG3, TIM3, B7H3, B7H4, VISTA, KIR, 2B4, CD160, 및 CGEN-15049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표적에 결합하는 단백질이다.
일부 구체예에서, 단백질은 항체 및 항원-결합 항체 단편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일부 구체예에서, 단백질은 CTLA-4 항체, OX40 항체, PD-L1 항체, PD1 항체, 및 BY55 항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일부 구체예에서, 단백질은 CTLA-4 항체이다. 일부 구체예에서, 단백질은 PD1 항체이다.
일부 구체예에서, 단백질은 트레멜리무맙(tremelimumab), MEDI4736, MK-3475, 니볼루맙(nivolumab), CT-011, AMP224, BMS-936559, MPLDL3280A, MSB0010718C, 및 이필리무맙(ipilimumab)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일부 구체예에서, 암은 대상체에서 하나 이상의 백혈구 표지자의 발현과 관련된다. 일부 구체예에서, 백혈구 표지자는 CD11b/CD18, IDO1/2, TDO, CSF1R, CD14, CD16, CD68, VEGFR, 및 SIRPa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일부 구체예에서, 암은 β2 인테그린에 대한 하나 이상의 표적을 발현한다. 일부 구체예에서, 표적은 ICAM-1, VCAM-1, 피브로넥틴(fibronectin), 비로넥틴(vironectin), 피브리노겐, 및 보체 단편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일부 구체예에서, 암은 흑색종, 육종(sarcoma), 림프종(lymphoma), 신경교증(glioma), 백혈병, 췌장암, 테노시노비알 건활막-세포 종양(tenosynovial giant-cell tumor), 유방암, 난소암, 전립선암, 결장암, 위암, 및 폐암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일부 구체예에서, 암은 흑색종이다. 일부 구체예에서, 암 환자는 또한 자가면역 질환(예를 들어, 다발성 경화증, 낭창, 류마티스성 관절염, 크론병, 또는 궤양성 대장염)으로 진단되었다.
또 다른 양태에서, 본 발명은 흑색종을 치료하기 위한 방법을 제공한다. 이러한 방법은 이를 필요로 하는 대상체에게
치료적 유효량의 하기 화학식 IV에 따른 화합물, 및
치료적 유효량의 PD1 항체를 투여함을 포함한다:
Figure 112017130639903-pct00018
상기 식에서, A+는 콜린 양이온 및 메글루민 양이온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또 다른 양태에서, 본 발명은 암을 치료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이를 필요로 하는 대상체에게
치료적 유효량의 하기 화학식 I에 따른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및
치료적 유효량의, 골수 세포를 표적화하는 제제를 투여함을 포함한다:
Figure 112017130639903-pct00019
일부 구체예에서, 골수 세포를 표적화하는 제제는 CSF1R, IDO1/2, TDO, CCR2, CCL2, CXCR4, JAK1/2/3/4/5, PI3Kg, 인테그린 β1, 인테그린 α4β1 (VLA4), VEGFR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표적의 활성을 억제한다.
일부 구체예에서, 골수 세포를 표적화하는 제제는 SIRPa의 활성을 증가시킨다.
상기 양태들 중 어느 하나의 일부 구체예에서, 방법은 추가로 대상체로부터 얻어진 샘플에서 하나 이상의 백혈구 표지자를 검출함으로써 치료를 필요로 하는 대상체를 확인함을 포함한다. 일부 그러한 구체예에서, 백혈구 표지자는 CD11b/CD18, IDO1/2, TDO, CSF1R, CD14, CD16, CD68, VEGFR, 및 SIRPa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일부 그러한 구체예에서, 표지자는 CD11b/CD18이다.
상기 양태들 중 어느 하나의 일부 구체예에서, 방법은 추가로 종양 세포를 대식 세포-표적화된 이미징제로 이미징시킴으로써 치료 효능을 모니터링함을 포함한다. 상기 양태들 중 어느 하나의 일부 구체예에서, 방법은 추가로 대상체에서 하나 이상의 대식 세포 표지자의 수준을 모니터링함으로써 치료 효능을 모니터링함을 포함한다.
관련된 양태에서, 본 발명은 종양의 CD11b+ 백혈구를 감소시키기 위한 방법을 제공한다. 방법은 이를 필요로 하는 대상체에게
유효량의 하기 화학식 I에 따른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및
면역 관문 억제제, 골수 세포를 표적화하는 제제, 및 이들의 조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유효량의 제제를 투여함을 포함한다:
Figure 112017130639903-pct00020
일부 구체예에서, CD11b+ 백혈구는 골수 세포이다. 일부 구체예에서, CD11b+ 백혈구는 대식 세포이다. 일부 구체예에서, CD11b+ 백혈구는 호중구이다.
일부 구체예에서, 종양 조직의 항-종양형성 대 종양형성전 대식 세포의 비율은 변화된다.
일부 구체예에서, 종양에서 M1/M2 비율이 변화된다. 일부 그러한 구체예에서, 대식 세포는 M1 표현형으로 편중된다.
일부 구체예에서, 본 발명은 암에 걸린 대상체의 종양 전이를 예방하기 위한 방법을 제공한다. 이러한 방법은 이를 필요로 하는 대상체에게
유효량의 하기 화학식 I에 따른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투여하고,
대상체의 잠재적 전이 부위에서 CD11b+ 백혈구의 침윤을 감소시킴을 포함한다:
Figure 112017130639903-pct00021
일부 구체예에서, 종양 전이를 예방하기 위한 방법은 추가로 면역 관문 억제제, 골수 세포를 표적화하는 제제, 및 이들의 조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유효량의 제제를 투여함을 포함한다.
본원에 기재된 염 및 결정형은 본 발명의 방법에서 어떠한 적합한 용량으로 투여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염 또는 결정형은 대상체의 체중의 킬로그램 당 약 0.1 밀리그램 내지 약 2000 밀리그램(즉, 약 0.1-2000 mg/kg) 범위의 용량으로 투여된다. 염 또는 결정형의 용량은, 예를 들어, 약 0.1-1000 mg/kg, 또는 약 1-500 mg/kg, 또는 약 25-250 mg/kg, 또는 약 50-100 mg/kg, 또는 약 10-100 mg/kg일 수 있다. 염 또는 결정형의 용량은 약 1, 2, 3, 4, 5, 10, 15, 20, 25, 30, 35, 40, 45, 50, 55, 60, 65, 70, 75, 85, 90, 95, 100, 150, 200, 250, 300, 350, 400, 450, 500, 550, 600, 650, 700, 750, 800, 850, 900, 950, 1000, 1050, 1100, 1150, 1200, 1250, 1300, 1350, 1400, 1450, 1500, 1550, 1600, 1650, 1700, 1750, 1800, 1850, 1900, 1950 또는 2000 mg/kg일 수 있다. 염 또는 결정형의 용량은 약 1 미만, 약 2 미만, 약 3 미만, 약 4 미만, 약 5 미만, 약 25 미만, 약 30 미만, 약 35 미만, 약 40 미만, 약 45 미만, 약 50 미만, 약 55 미만, 약 60 미만, 약 65 미만, 약 70 미만, 약 75 미만, 약 85 미만, 약 90 미만, 약 95 미만, 약 100 미만, 약 150 미만, 약 200 미만, 약 250 미만, 약 300 미만, 약 350 미만, 약 400 미만, 약 450 미만, 약 500 미만, 약 550 미만, 약 600 미만, 약 650 미만, 약 700 미만, 약 750 미만, 약 800 미만, 약 850 미만, 약 900 미만, 약 950 미만, 또는 약 1000 mg/kg 미만의 용량으로 투여될 수 있다. 일부 구체예에서, 염 또는 결정형은 대상체의 체중의 kg 당 200 mg 미만의 화합물(200 mg/kg)의 용량으로 투여된다. 일부 구체예에서, 염 또는 결정형은 100 mg/kg 미만의 용량으로 투여된다. 일부 구체예에서, 염 또는 결정형은 50 mg/kg 미만의 용량으로 투여된다. 일부 구체예에서, 염 또는 결정형은 20 mg/kg 미만의 용량으로 투여된다.
면역 관문 억제제는 본 발명의 방법에 적합한 어떠한 용량으로 투여될 수 있다. 특정 구체예에서, 항체 면역 관문 억제제는 대상체의 체중의 킬로그램 당 약 0.1 밀리그램 내지 약 100 밀리그램(즉, 약 0.1-100 mg/kg) 범위의 용량으로 투여된다. 항체 면역 관문 억제제의 용량은, 예를 들어, 약 0.1-50 mg/kg, 또는 약 1-10 mg/kg일 수 있다. 항체 면역 관문 억제제의 용량은 약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또는 20 mg/kg일 수 있다.
투여량은 환자의 필요량, 치료될 β2 인테그린-매개된 장애 또는 병태의 중증도, 및 투여될 특정 제형에 좌우하여 달라질 수 있다. 환자에게 투여되는 용량은 환자의 유리한 치료 반응을 야기하기에 충분해야 한다. 용량의 크기는 또한 특정 환자의 약물의 투여에 동반되는 어떠한 부정적인 부작용의 존재, 성질, 및 정도에 의해 결정될 것이다. 특정 상황에 적절한 투여량의 결정은 전형적인 실무자의 기량 내에 있다. 총 투여량은 나뉘어지고, 인테그린-매개된 병태를 치료하기에 적합한 기간에 걸쳐 나누어 투여될 수 있다.
본원에 기재된 염 또는 결정형의 투여는 특정 β2 인테그린-매개된 장애 또는 병태의 성질, 이의 중증도, 및 환자의 전반적인 상태에 좌우하여 달라질 기간 동안 실시될 수 있다. 투여는, 예를 들어, 1시간마다, 2시간, 3시간, 4시간, 6시간, 8시간마다, 또는 일일 2회, 예컨대, 12시간마다, 또는 이들 사이의 임의의 간격으로 실시될 수 있다. 투여는 하루에 한 번, 또는 36시간 또는 48시간마다 한 번, 또는 한 달 또는 몇 달에 한 번 실시될 수 있다. 치료 후, 환자는 이들 상태의 변화에 대하여, 그리고 β2 인테그린-매개된 장애 또는 병태의 증상의 완화에 대하여 모니터링될 수 있다. 염 또는 결정형의 투여량은 환자가 특정 투여량 수준에 대해 유의하게 반응하지 않는 경우에 증가될 수 있거나, 용량은 β2 인테그린-매개된 장애 또는 병태의 증상의 완화가 관찰되는 경우, 또는 장애 또는 병태가 없어진 경우, 또는 허용가능하지 않은 부작용이 특정 투여량으로 보이는 경우에 감소될 수 있다.
치료적 유효량의 본원에 기재된 염 또는 결정형이 투여량 간에 적어도 1시간, 또는 6시간, 또는 12시간, 또는 24시간, 또는 36시간, 또는 48시간의 간격을 포함한 치료 요법으로 대상체에게 투여될 수 있다. 투여는 적어도 72, 96, 120, 168, 192, 216, 또는 240시간, 또는 동량의 일수의 간격으로 실시될 수 있다. 투여량 요법은 둘 이상의 상이한 간격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투여량 요법의 제1 부분은 매일 여러 번, 매일, 격일, 또는 3일마다 대상체에게 투여될 수 있다. 투약 요법은 격일마다, 3일마다, 매주, 격주, 또는 매달 대상체에게 투여하는 것으로 시작할 수 있다. 투약 요법의 제1 부분은, 예를 들어, 30일 이하, 예컨대, 7, 14, 21, 또는 30일 동안 투여될 수 있다. 매주, 14일마다, 또는 매달 투여되는 상이한 간격의 투여로 투약 요밥의 후속적인 제2 부분이 임의로 4주 내지 2년 이상, 예컨대, 4, 6, 8, 12, 16, 26, 32, 40, 52, 63, 68, 78, 또는 104주 동안 연달아 이어질 수 있다. 대안적으로, β2 인테그린-매개된 장애 또는 병태가 차도를 보이거나 일반적으로 개선되는 경우, 투여량이 유지되거나, 계속해서 최대량보다 적을 수 있다. 장애 또는 병태가 재발되는 경우, 제1 투여량 요법은 개선이 보일 때까지 재개될 수 있고, 제2 투약 요법이 다시 시행될 수 있다. 이러한 사이클은 필요 시에 여러 번 반복될 수 있다.
특정 구체예에서, LA1 염 및 면역 관문 억제제는 상승량으로 투여되고; 그러한 경우에, 병행하여 투여될 때의 제제의 효과가 단일 제제로 단독으로 투여될 때의 화합물의 부가 효과보다 더 크다. 일부 구체예에서, 상승 효과는 단일 제제로서 투여될 때의 약물의 최대로 효과적인 농도보다 낮은 농도에서 LA1 염 및 관문 억제제를 투여함으로써 얻어진다. 상승량은 특정 LA1 염 또는 결정형, 특정 면역 관문 억제제, 치료될 병태(예를 들어, 암 유형), 및 투여의 경로 및 빈도를 포함하지만, 이로 제한되지 않는 인자들에 좌우될 수 있다. 세포독성 감소, 항-증식 및/또는 항-감염 효과 증가, 또는 개별 성분들과 비교되는 몇몇 다른 유리한 효과와 관련하여 상승이 관찰될 수 있다.
일부 구체예에서, 상술된 바와 같은 LA1 또는 LA1 염은 약 1 mg/kg 내지 약 2000 mg/kg 범위의 양으로 대상체에게 투여된다. 일부 그러한 구체예에서, 면역 관문 억제제는 LA1 또는 LA1 염과 상승량으로 투여된다. 일부 이러한 구체예에서, LA1 또는 LA1 염은 대상체에게 경구로 투여된다.
일부 구체예에서, LA1 또는 LA1 염은 약 2 mg/kg 내지 약 100 mg/kg 범위의 양으로 대상체에게 투여된다. 일부 그러한 구체예에서, 면역 관문 억제제는 LA1 또는 LA1 염과 상승량으로 투여된다. 일부 그러한 구체예에서, LA1 또는 LA1 염은 대상체에게 경구로 투여된다.
LA1은 백혈구로부터 사이토카인 및 케모카인을 포함하지만, 이로 제한되지 않는 하나 이상의 선택된 인자들의 방출을 조정할 수 있다. 사이토카인은 염증전 사이토카인 (예를 들어, 인터류킨 (IL)-1, 종양 괴사 인자 (TNF)) 및 항염증 사이토카인 (예를 들어, IL-4, IL-10, IL-13)을 포함한다. 특정 구체예에서, 본원에 기재된 염 또는 결정형의 투여는 LA1에 의해 사이토카인 발현(또는 다른 가용성 인자)의 조정을 야기한다. 일부 구체예에서, 사이토카인은 IL-1β, IL-6, 및 IL-10로부터 선택된다. 일부 구체예에서, 가용성 인자는 TNF-α, 인터페론 a (IFNa), 인터페론 b (IFNb) 및 인터페론 (IFN)-γ로부터 선택된다. 가용성 인자, 예컨대, 사이토카인은 염증 표지자이고, 특정 병태를 치료하는데 있어서 LA1의 효능(또는 LA1 염 또는 결정형의 효능)을 평가하기 위해 환자 혈청 또는 환자-유래 세포 또는 조직에서 검정될 수 있다. 사이토카인, 예컨대, IL-1β 및 TNF-α를 위한 다수의 진단 검정은 당해 기술 분야에 알려져 있으며, LA1 염 또는 결정형의 항염증 효능을 평가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그러한 방법은 ELISA(효소-결합 면역-흡착 검정(enzyme-linked immune-sorbent assay)) 및 수지-결합 항체(resin-bound antibody)에 의한 사이토카인의 포집용 비드 검정 시스템(bead array system), 및 유세포분석기(flow cytometry)에 의한 검출을 포함하지만, 이로 제한되지 않는다.
또 다른 양태에서, 본 발명은 암을 치료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상기 방법이 대상체에서 CD11b, CD18, IDO1, IDO2, TDO, CSF1R, CD14, CD16, CD68, VEGFR, SIRPa, ARG1, UPAR, CD114, CD11a, CD11c, CD11d, CD45, CD4, CD8, FOXP3, CD3, ICAM1, CD31, DESMIN, 알파-평활근 액틴(alpha-smooth muscle actin), 및 CD64, CD32, CD89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단백질의 발현 수준을 확인하고, 치료적 유효량의 LA1, 또는 이의 염 또는 결정형을 대상체에게 투여함을 포함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일부 구체예에서, 단백질의 발현 수준을 확인하는 것은 환자로부터 생체시편(예컨대, 생검(biopsy))을 얻고, 생체시편에서 단백질의 발현 수준을 확인함을 포함한다. 일부 그러한 구체예에서, 방법은 추가로 치료적 유효량의 면역 관문 억제제를 대상체에게 투여함을 포함한다. 일부 그러한 구체예에서, 방법은 추가로 평가 기간의 과정에 걸쳐 단백질의 발현 수준을 주기적으로 확인하고, 단백질의 발현 수준이 평가 기간의 과정에 걸쳐 변화되는 것으로 관찰되는 경우 치료를 조절함을 포함한다.
일부 구체예에서, 방법은 대상체로부터 얻어진 생체시편, 예컨대, 생검에서의 단백질의 발현 수준이 건강한 대상체로부터 얻어진 생체시편 샘플에서의 단백질의 발현 수준보다 높은 것을 확인함을 포함한다. 일부 구체예에서, 방법은 대상체로부터 얻어진 생검 샘플에서의 단백질의 발현 수준이 대상체로부터 얻어진 비-암 조직 샘플에서의 단백질의 발현 수준보다 높은 것을 확인함을 포함한다. 일부 그러한 구체예에서, CD11b, CD18, IDO1, IDO2, TDO, CSF1R, CD14, CD16, CD68, VEGFR, SIRPa, ARG1, UPAR, CD114, CD11a, CD11c, CD11d, CD45, CD4, CD8, FOXP3, CD3, ICAM1, CD31, DESMIN, 알파-평활근 액틴, CD64, CD32, 및 CD89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단백질의 발현 수준이 확인된다.
일부 구체예에서, 방법은 대상체로부터 얻어진 생체시편, 예컨대, 생검에서의 단백질의 발현 수준이 건강한 대상체로부터 얻어진 생체시편 샘플에서의 단백질의 발현 수준보다 낮은 것을 확인함을 포함한다. 일부 구체예에서, 방법은 대상체로부터 얻어진 생검 샘플에서의 단백질의 발현 수준이 대상체로부터 얻어진 비-암 조직 샘플에서의 단백질의 발현 수준보다 낮은 것을 확인함을 포함한다. 일부 그러한 구체예에서, CD11b, CD18, IDO1, IDO2, TDO, CSF1R, CD14, CD16, CD68, VEGFR, SIRPa, ARG1, UPAR, CD114, CD11a, CD11c, CD11d, CD45, CD4, CD8, FOXP3, CD3, ICAM1, CD31, DESMIN, 알파-평활근 액틴, CD64, CD32, 및 CD89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단백질의 발현 수준이 확인된다.
일부 구체예에서, 본 발명은 암을 치료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방법이 대상체의 집락 자극 인자 1 (colony stimulating factor 1: CSF1); C-반응성 단백질 (C-reactive protein: CRP); 우로키나아제 수용체(urokinase receptor: uPAR); 가용성 우로키나아제-형 프로스미노겐 활성자 수용체(soluble urokinase-type plasminogen activator receptor: suPAR); 글리피칸-1; CD11b; 혈관 내피 성장 인자 (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 VEGF); VEGF 수용체; 기질 금속단백분해효소(matrix metalloproteinase), 예컨대, MMP-9 등; TNFα; 인터류킨, 예컨대, IL-6, IL-1β, IL-10, IL-17, 및 IL-23 등; TGFβ; 인터페론, 예컨대, IFN-α, 및 IFN-β 등; 트립토판(tryptophan); 리신; 아르기닌; 락테이트; 및 마이크로RNA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물질들의 수준을 확인하고; 치료적 유효량의 LA1, 또는 이의 염 또는 결정형을 생체표지를 지니는 대상체에게 투여함을 포함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일부 구체예에서, 물질의 수준을 확인하는 것은 환자로부터 혈액, 혈장, 소변, 또는 타액 샘플을 얻고, 샘플에서 단백질의 발현 수준을 확인함을 포함한다. 일부 그러한 구체예에서, 방법은 추가로 치료적 유효량의 면역 관문 억제제를 대상체에게 투여함을 포함한다. 일부 그러한 구체예에서, 방법은 추가로 평가 기간의 과정에 걸쳐 물질의 수준을 주기적으로 확인하고, 물질의 수준이 평가 기간의 과정에 걸쳐 변화된 것으로 관찰되는 경우에 치료를 조절함을 포함한다.
일부 구체예에서, 방법은 대상체로부터 얻어진 혈액, 혈장, 또는 타액 샘플에서의 물질의 수준이 건강한 대상체로부터 얻어진 유사한 혈장 샘플에서의 단백질의 발현 수준보다 높은 것을 확인함을 포함한다. 일부 구체예에서, 방법은 대상체로부터 얻어진 혈액, 혈장, 또는 타액 샘플에서의 물질의 수준이 건강한 대상체로부터 얻어진 유사한 샘플에서의 단백질의 발현 수준보다 낮은 것을 확인함을 포함한다. 일부 그러한 구체예에서, 집락 자극 인자 1 (CSF1); C-반응성 단백질 (CRP); 우로키나아제 수용체(uPAR); 가용성 우로키나아제-형 프로스미노겐 활성자 수용체(suPAR); 글리피칸-1; CD11b; 혈관 내피 성장 인자 (VEGF); VEGF 수용체; 기질 금속단백분해효소, 예컨대, MMP-9 등; TNFα; 인터류킨, 예컨대, IL-6, IL-1β, IL-10, IL-17, 및 IL-23 등; TGFβ; 인터페론, 예컨대, IFN-α, 및 IFN-β 등; 트립토판; 리신; 아르기닌; 락테이트; 및 마이크로RNA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물질들의 수준이 확인된다.
VI. 실시예
실시예 1. 류카드헤린 LA1 DMSO 용매화물 I형의 제조
디에틸 에테르(외부 바이알, 폐쇄됨)의 증기 확산을 DMSO 용액(내부 바이알, 개방됨) 중에 준비하였다. 실온에서 1일 후에, DMSO를 함유하는 바이알에 상당량의 에테르를 첨가하고, 바이알을 -10℃의 동결기에 넣었다. DMSO는 동결되었지만, 내부 바이알의 상부 영역에서 성장된 결정질 플레이트가 존재하였다. 결정질 플레이트를 특징화시켰다.
Figure 112017130639903-pct00022
특정 결정형의 핑거프린트(fingerprint)를 생성시키는 분말 X-선 회절 분광기에 의해 류카드헤린 LA1의 신규한 결정형을 특징화시켰다. 2θ의 측정은 전형적으로 ±0.2 ° 이내로 정확하다.
100.0(5) K에서 데이터 수집을 위해 Bruker SMART APEX II CCD 플랫폼 회절계를 사용하여 결정질 류카드헤린 LA1에 대한 X-선 회절 데이터를 획득하였다. 예비 세포 상수 세트 및 배향 매트릭스를 역격자 공간의 3개의 직교 웨지로부터 얻어진 리플렉션(reflection)으로부터 계산하였다. 60초의 프레임 시간 및 3.99 cm의 검출기 거리로 MoKα 방사선(그라파이트 모노크로메이터)를 이용하여 충분한 데이터 수집을 수행하였다. 역격자 공간의 무작위 배향된 영역을 다음과 같이 조사하였다: 4개의 상이한 φ 설정으로 ω에서 0.50°스텝 및 2θ에서 -38°의 검출기 위치로 4개의 주요 프레임 섹션을 수집하였다. 세기(intensity) 데이터를 흡수에 대하여 보정하였다. 최종 세포 상수를 적분 후에 실제 데이터 수집으로부터 4045의 강한 리플렉션의 xyz 중심으로부터 계산하였다.
도 1은 류카드헤린 LA1 DMSO 용매화물 I형에 대하여 확인된 X-선 결정 구조를 보여주는 것이고, 이에 대한 데이터는 표 1 및 표 2에서 요약되어 있다.
표 1. LA1 DMSO 용매화물 I형에 대한 결정 데이터
표 2. 100.0(5) K에서의 류카드헤린 LA1에 대한 위치 파라미터
류카드헤린 LA1에 대한 결정 데이터 및 구조 분석: 다음 파라미터를 이용하였다. 온도 - 100.0(5) K, 파장 - 0.71073 Å, 결정계 - 삼사정계, 공간 그룹 - P-1, 단위 세포 치수 - (a = 8.1554(15) Å, α = 66.860(4)°, b = 11.535(2) Å, β = 86.581(4)°, c = 14.091(3) Å, γ = 70.621(4)°), 부피 - 1146.1(4) Å3, Z - 2, 밀도(계산됨) - 1.448 Mg/m3, 흡수 계수 - 0.361 mm-1, F(000) - 520, 결정 색 & 형태 - 오렌지색 & 플레이트(orange & plate), 결정 크기 - 0.36 x 0.30 x 0.12 mm3, 데이터 수집에 대한 쎄타 범위 - 2.023 내지 35.010°, 지수 범위 - (-13 ≤ h ≤ 13, -18 ≤ k ≤ 18, -22 ≤ l ≤ 22), 수집된 리플렉션 - 25036, 독립적인 리플렉션- 9940 [R(int) = 0.0562], 관찰된 리플렉션 - 6038, 쎄타에 대한 완전도 = 34.970°- 98.7%, 흡수 보정 - 다중-스캔, 최대 및 최소 투과 - 0.7469 및 0.6405, 분석 방법 - F2 상의 풀-매트릭스 최소-자승법(Full-matrix least-squares on F2), F2 상의 피트의 선량- 1.001, 최종 R 지수 [I>2시그마(I)] - (R1 = 0.0553, wR2 = 0.1174), R 지수 (모든 데이터) - (R1 = 0.1054, wR2 = 0.1372), 최대 회절 피크 및 홀 - 0.766 및 -0.518 e.Å-3
류카드헤린 LA1 I형의 비대칭 단위는 하나의 표적 분자 및 하나의 공동-결정화된 디메틸 설폭사이드 용매 분자를 둘 모두 일반적인 위치에서 함유하였다. 분자의 페닐 고리는 각각 고리 C2-C7 및 C17-C22에 대하여 대략 3.5 및 3.6 Å의 평면 거리에서 쌍으로 스태킹되었다(도 1 참조). 수소 결합은 표적 분자에 대해 용매 분자를 링킹하였다(도 1 및 표 1 참조).
실시예 2. LA1 유리 산의 특징화
LA1의 유리 산 형태를 0.78 μg/mL의 수성 용해도 및 4.1의 계산된 pKa를 지닌다. 제한된 염 스크린을 미리 5개의 무기 상대-이온(Na, K, NH4, Ca 및 Mg)을 사용하여 실시하였다. 염은 결정성을 나타냈지만, 대부분 흡습성이었다.
용해도 평가. 분취량의 시험 용매를 주위 온도에서 정확히 계량된 LA1 샘플(~10 mg)에 첨가하였다. 분취량의 부피는 전형적으로 200-1000 μL였다. 시험 물질의 완전한 용해를 육안 검사에 의해 확인하였다. 완전한 용해를 제공하는데 사용된 전체 용매를 기초로 하여 이러한 실험으로부터 용해도를 추정하였다. 너무 큰 분취량의 용매의 사용 때문에 또는 느린 속도의 용해로 인해 실제 용해도는 계산된 것보다 클 수 있다는 것이 주지되어야 한다.
분취량 첨가에 의해 용해를 나타내지 않은 다수의 샘플을 온도 순환 체계에 주어지게 하였다. 먼저, 샘플을 0.5℃/분으로 20℃에서부터 용매 비점의 3℃ 이내로(또는 100℃, 어느 쪽이든 더 낮은 것으로) 가열한 후; 800rpm에서 교반하면서 0.2℃/분으로 20℃로 냉각시켰다.
샘플 바이알의 적외선(IR) 투과 데이터로부터, IR의 완전 투과 시점 및 IR에 의한 혼탁의 개시로 용해 및 침전의 경우를 각각 기록하였다. 선택된 샘플을 또한 50℃에서 오비탈 셰이커(orbital shaker) 상에서 교반하고, 용해에 대하여 육안으로 관찰하였다.
평형에 의한 용해도 확인. 분취량의 UHQ 물 시험 용매(1 mL)를 정확하게 칭량된 LA1 염 샘플에 첨가하고, 4일의 기간 동안 주위 온도에서 교반하였다. 샘플을 꺼내고, 0.2 μm의 PTFE 필터를 통해 여과하고, HPLC에 의해 분석하였다.
X-선 분말 회절(XRPD). Cu X-선 튜브 및 픽셀 검출기 시스템이 장착된 Panalytical Xpert Pro 회절계를 사용하여 XRPD 분석을 수행하였다. 등온 샘플을 투과 방식으로 분석하고, 저밀도 폴리에틸렌 필름 사이에 고정시켰다. ω에서 0.013°스텝, 99초의 계수 시간으로 2θ에서 3-40°의 검출기 위치 범위, 및 ~22분 작업 시간으로 프레임을 수집하였다. XRPD 패턴을 분류하고, HighScore Plus 2.2c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조종하였다.
열무게 열 시차 열 분석(TG/DTA). 열무게 분석을 Mettler Toledo TGA/DSC1 STARe 상에서 수행하였다. 보정 표준물은 인듐 및 주석이었다. 샘플을 알루미늄 샘플 팬에 넣고, TG 로에 삽입하고, 정확하게 칭량하였다. 10℃/분의 속도로 질소의 스트림에서 300℃로 가열하기 전에 30℃에서 1분 동안 열 흐름 신호를 안정화시켰다.
양성자 핵자기 공명 분광기(NMR). 양성자 NMR 분석을 d6-DMSO 또는 MeOD에서 Bruker 500MHz 또는 400MHz 인스트루먼트 상에서 수행하였다. 1방울의 D2O 및/또는 TFA를 몇 개의 샘플에 첨가하여 염기로 인한 피크와의 중첩으로부터 물 피크를 이동시켰다.
HPLC 분석. 주위 온도에서 수성 평형 용해도를 확인하기 위해 HPLC를 사용하였다. Supelco Ascentis Express C18, 4.6 x 150 mm, 2.7 μm 컬럼; 물 중에 0.1% 인산을 함유하는 이동 상 A; 아세토니트릴을 함유하는 이동 상 B; 9분에 걸친 10% B 내지 95% B 범위의 용매 구배; 1.5 mL/min의 용매 유량; 10 μL의 샘플 부피; 및 264 nm에서의 UV 검출을 이용하여 HPLC를 실시하였다. LA1의 체류 시간은 전형적으로 8.4±0.2 min이었다. HPLC 분석을 위한 표준물은 초기에 LA1 유리 산을 사용하여 제조된 것이었지만, DMSO:아세토니트릴:물(1:1:1)에 불용성이었고, 따라서, 또 다른 표준물을 아세토니트릴:물 (1:1)에 가용성이었던 LA1 콜린 염을 사용하여 제조하였다.
LA1의 특징화. 입수된 대로의 LA1은 XRPD 분석에 의해 결정질 고체였지만, 일부 회절 피크의 피크 확장에 의해 나타난 바와 같은 일부 무질서를 함유하였다(도 2). 열 프로파일 및 LA1의 관련된 %중량 변화를 확인하기 위해 열무게/시차 열 분석(TG/DTA)을 수행하였다. 도 3에서 <1%의 중량 손실이 280℃ 미만에서 관찰되었는데, 이는 물질이 무수성이라는 것을 시사하는 것이다. 동반된 DTA 추적에서 적은 흡열에 상응하여 280-300℃에서 0.5%의 작은 중량 손실이 주지되었지만 더 분석하지 않았다.
도 4에서 샘플의 DSC 서모그램은 ~318℃의 용융 개시를 나타냈다. 기준선에 대한 작은 편차가 260-280℃에서 주지되었지만, 더 분석하지 않았다. API의 양성자 NMR 스펙트럼을 d6-DMSO에서 기록하고, 분자 구조에 대하여 확인하였다. d6-DMSO에서 API의 용해 직후, 뚜렷한 침전이 아마도 공지된 DMSO 용매화물의 형성으로 인해 NMR 튜브에서 관찰되었다.
LA1의 추정된 용해도. 입수된 대로의 LA1의 대략적인 용해도를 염 연구에 적합한 용매를 선택하기 위해 분취량 첨가법에 의해 8개의 용매에서 추정하였고(표 3), 이는 시험된 모든 용매에서 불용성이었다. 여러 용매 혼합물들을 시험하였지만, API는 분석된 모든 혼합물에서 불용성이었다. 가열 시에도, API는 73℃에서 10 mg/mL로 DMF 중에서만 용해되었다.
표 3. 20℃에서 LA1의 대략적인 용해도
~10 부피에서 용해를 나타내지 않은 그러한 실험들을 온도 순환시키거나, 상술된 바와 같이 상승된 온도에서 슬러리화시켰다.
특징화 및 용매 연구로부터의 결론. XRPD 분석은 LA1이 무질서한 결정질 물질이었다는 것을 나타냈다. TG/DTA 데이터는 30-280℃에서 미량의 중량 손실을 나타냈는데, 이는 최소 수분 또는 잔여 용매 함량을 시사하는 것이고, LA1이 280℃ 이하에서 열적으로 안정하다는 것을 나타내는 것이다. 동반된 흡열과 0.5%의 적은 중량 손실이 280-300℃에서 주지되었지만, 더 분석하지 않았다. 샘플의 DSC 서모그램은 ~318℃의 용융 개시를 나타냈다. 260-280℃에서 기준선에 대한 작은 편차가 주지되었지만, 더 분석하지 않았다. 분자 구조를 d6-DMSO를 사용하여 1H NMR 분광기에 의해 확인하였다. API의 초기 용해 후에 NMR 튜브에서 침전이 주지되었고, 이는 아마도 공지된 DMSO 용매화물의 형성으로 인한 것이었다. LA1의 용해도를 분취량 첨가에 의해 평가하였고, 시험된 모든 용매에서 불량한 용해도가 나타났다. 용해는 ~10 mg/mL에서 가열(73℃)에 의해 DMF에서만 달성되었다.
실시예 3. LA1 염의 제조 및 특징화
개선된 수성 용해도 및 낮은 흡습성을 지니는 LA1 염을 제조하고 특징화시켰다.
결정화 실험으로부터의 모든 고형물을 XRPD에 의해 분석하고, 생성된 패턴을 출발 물질에 의해 나타난 것과 비교하였다. 새로운 XRPD 패턴을 발견 순서대로(패턴 B, 패턴 C 등) 알파벳 기술어로 지정하였다. 충분한 물질이 이용가능한 경우, 추가 분석(예를 들어, NMR 또는 TGA)을 새로운 XRPD 패턴을 지니는 고체 상에서 실시하여 다형체, 용매화물, 수화물, 분해물 또는 이들의 혼합으로서 새로운 패턴의 잠정적인 지정을 가능하게 하였다. 사용된 염기는 표 4에 요약되어 있다.
표 4. 염 연구에 사용된 물질 및 시약
용매 기반 기술. 용매 기반 실험을 초기에 약 90 mg 규모로 수행하였지만; 이를 제한된 API로 인해 유리 바이알에서 약 20-30 mg 규모로 수정하였다.
등몰 화학량론으로 과량의 염기를 사용하여 20-30 mg의 규모로 실험을 수행하였다. 칭량된 양의 산 및 염기를 유리 바이알에서 합하고, 이어서 주위 온도 또는 40℃에서 용매화시키고 슬러리화시켰다. 대안적으로, 칭량된 양의 산을 유리 바이알에서 과량의 염기와 합하고, 용매를 첨가하였다. 샘플을 주위 온도에서 또는 40℃/50℃에서 1-2일 동안 슬러리화시켰다. 고형물을 진공 여과, 원심분리에 의해 분리하거나, 저속 증발에 의해 건조시키고, N2 스트림하에 또는 진공 건조제하에 퍼징시켰다.
저속 증발. 슬러리로서 설정된 실험의 일부 물질들을 주위 조건하에, N2 스트림하에, 또는 진공 건조제하에 건조 상태로 증발시키고, 고형물을 분리하고, XRPD에 의해 분석하였다. API를 과량의 염기와 합하는 경우에 트로메타민으로부터의 하나의 샘플로 용액을 생성시키고, 이를 N2 스트림하에 증발시켰다.
슬러리 실험. LA1 및 염기(등몰 화학량론으로 또는 과량으로)를 바이알에 넣고, 용매를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1 또는 2일 동안 자성 교반에 의해 선택된 온도에서 교반하였다. 고형물을 진공 여과/원심분리에 의해 분리하고, XRPD에 의해 분석 전에 공기 건조시켰다.
소니케이션. 슬러리 실험으로부터 생성된 선택된 고형물을 펄싱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Cole-Parmer 130W 초음파 프로세서를 사용하여 약 8분 동안 70% 세기로 소니케이션하였다. 이러한 실험으로부터 회수된 모든 고형물을 XRPD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증발, 지속적인 슬러리(주위 및 상승된 온도에서) 및 염기에 대해 등몰 화학량론의 API를 사용하는 소니케이션 기술을 이용하였다. 등몰의 여러 염기들의 혼합물로부터의 초기 결과가 불완전한 염 형성을 나타냈기 때문에 과량의 염기를 또한 다수 실험에 사용하였다.
바이알에서의 증발. 완전하게 용해된 샘플들만 DMF 또는 MeOH-THF에서 콜린으로 처리하여 어두운 적색 용액을 형성시켰다. 이러한 용액들의 증발로 오일이 생성되었고, 이를 이후 진공하에 건조시켰다. 고형물을 건조 후에 샘플들 중 하나로부터 회수하였지만, 다른 샘플들은 끈적거리는 오일로서 남았고 분석하지 않았다(표 5). 고형물은 결정질 물질로서 구성되었고(도 5), 염 형성을 고형물에 대하여 1H NMR 분광기에 의해 확인하였다.
표 5. 바이알에서의 증발로부터의 결과
슬러리 실험. LA1과 염기의 현탁액을 주위 온도 또는 40/50℃에서 1-2일 동안 다양한 용매에서 교반하고, XRPD에 의해 분석하였다(표 6). 다수의 슬러리를 비캡핑되게 남겨두거나 N2하에서 건조한 상태로 증발시켰다. 두 개의 새로운 형태의 API를 다수의 실험으로부터 분리시켰고(패턴 C 및 D 물질), 이는 추가로 섹션 7에 논의되어 있다. 결정질 고형물은 콜린, 메글루민, 트로메타민 및 콜린 염을 포함하는 몇 개의 상대-이온으로부터 분리되고(도 6), 무질서한 고형물은 Ca, K, Mg, Na 및 피페라진으로부터 분리되었지만(도 9), 다수는 API를 함유하는 혼합물이었다. 새로운 형태의 콜린 염을 결정화시키고, 두 개의 형태의 Ca 및 트로메타민 염을 분리하였다. 염 형태가 1H NMR 분광기에 의해 독특한 고형물에 대하여 확인되었다.
표 6. 슬러리 실험으로부터의 결과
염 연구로부터의 결론. LA1 염을 12개의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기 및 연루된 여러 결정화 기술 및 조건을 이용하여 제조하였다.
결정성을 나타낸 5개의 염을 분리하였다: 콜린, 메글루민, 칼슘, 피페라진, 및트로메타민. 각각에 대한 염 형성을 1H NMR 분석에 의해 확인하고, 트로메타민 염은 NMP 용매화물인 것으로 나타났다. 다형태의 염을 콜린, 트로메타민, 및 칼슘 염에 대하여 분리하였다. 고형물을 또한 XRPD에 의해서 결정성을 나타낸 Ca, Mg, 및 Na 상대-이온으로부터 분리하였는데, 이는 API와 염으로 의심되는 물질의 혼합물인 것으로 나타났다. 염으로의 완전한 변환은, XRPD에 의해서 무질서했었던 하나의 Ca 염 샘플을 제외하고 달성될 수 없었다. 다른 상대-이온으로부터 분리된 고형물은 출발 물질들의 혼합물로 구성되었다.
실시예 4. 결정질 염의 흡습성 및 수성 용해도
40℃/75% RH에서의 습도 응력. 조해성 및 흡습성을 평가하기 위해 결정성을 나타낸 염 샘플에 40℃/75% RH 조건하에 5-6일 동안 응력을 가하였다. 결정성을 나타낸 약 5 mg의 LA1 염을 유리 바이알에 첨가하고, 이를 NaCl 포화 수용액을 함유하는 비캡핑된 더 큰 내부 바이알에 넣었다. 더 큰 바이알을 캡핑시키고, 파라필름(Parafilm)으로 밀봉시키고, 6일 이하 동안 40℃에서 오븐 안에 넣어 두었다. 이 후, 이러한 상태로부터 염을 꺼내고, 중량 변화에 대하여 XRPD에 의해 분석하기 전에 변화를 관찰하였다(예를 들어, 색, 조해성 등). 응력을 가한 후에 샘플을 육안으로 검사하고, XRPD 분석에 의해 형태 조성을 확인하고, 중량 변화를 기록하였다(표 7).
표 7. 습도 응력 실험으로부터의 결과
시험된 습도 조건하에 어떠한 샘플도 조해되지 않았지만, 샘플들 중 3개가 특히 콜린 염에 대하여 중량이 증가되었다. 또한, XRPD 분석은 콜린, 트로메타민 및 피페라진 염이 응력 후에 가능하게는 수화된 형태로 상변화를 거쳤다는 것을 나타냈다. 콜린 염에 대해서 수화물 형태를 뒷받침하는 큰 중량 증가가 주지되었지만, 피페라진 염에 대해서는 중량 손실이 관찰되었고, 이의 원인은 알 수 없다.
선택된 염의 수성 용해도. 결정성을 나타냈지만, 조해성이 아니었던 염의 수성 용해도를 주위 온도에서 HPLC 분석에 의해 확인하였다. 샘플을 분석 전에 물에서 4-5일 동안 슬러리화시켰다. 용해도는 표 8에 요약되어 있다.
표 8. 수성 용해도 추정으로부터의 결과
콜린 염은 7.1 mg/mL에서 가장 가용성이었고, 그 다음으로 메글루민 및 트로메타민이었다. 칼슘 및 피페라진 염은 매우 가용성이 아니었다.
트로메타민 염은 황색 고형물로의 슬러리화 동안 색이 변화되었다. XRPD 분석은 슬러리화 동안 자유 API로 변환되었고, 그에 따라서 그러한 기간에 걸쳐 물에서 물리적으로 안정하지 않았다는 것을 나타냈다. 용해도 및 HPLC에 의한 화학적 순도 추정은 HPLC 방법이 입증되지 않았기 때문에 근사치였다. 결과는 모든 염이 4-5일 동안 수성 매질에서 슬러리화되었을 때 화학적으로 안정하지 않았음을 시사한다. 그러나, 데이터는 평형 용해도를 달성하기 위해서 슬러리화 4-5일 후에 얻어진 것이었고; 염은 물에서 더 짧은 기간 동안 안정할 수 있다는 것이 가능하다.
실시예 5. 염 생성의 콜린 및 메글루민의 규모 확대
소규모 생산. 둘 모두의 염을 에탄올에서 성분들을 슬러리화시킴으로써 소규모로 제조하였다(표 9). EtOH에서의 염의 개선된 용해도로 인해 EtOH로부터의 수율이 낮았기 때문에, 콜린 염을 또한 아세톤 및 EtOAc에서 슬러리화시켰다.
EtOH로부터의 콜린 염의 XRPD 패턴은 디옥산-THF로부터 발생된 염의 것과 매칭되었지만, 아세톤 및 EtOAc로부터의 샘플은 40°/75% RH 응력으로부터 샘플의 것과 매칭되었던 상이한 분말 패턴을 나타냈고, 섹션 6.1을 참조하라(도 10). 아세톤으로부터의 샘플을 1H NMR 분광기에 의해 분석하고, 염 형성을 확인하였다. 1방울의 TFA를 콜린으로 인한 피크와 중첩된 물 피크를 변환시키기 위해 첨가하였다. 아세톤은 스펙트럼에서 검출되지 않았다.
메글루민 염 제조로부터의 고형물은 독특한 분말 패턴을 나타냈다(도 10). 염 형성을 1H NMR 분광기에 의해 확인하였고, 에탄올은 1 몰당량으로 존재했는데, 이는 용매화물 형성을 시사하는 것이다.
표 9. 콜린 및 메글루민 염의 결정화로부터의 결과
더 큰 규모로 LA1 메글루민 염의 제조(2116-033-02). LA1(203.3 mg) 및 N-메틸-D-글루카민(94.16 mg)을 유리 바이알에서 칭량하고, 이어서 EtOH (0.6 mL)를 첨가하고, 혼합물을 주위 온도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고형물을 진공 여과에 의해 분리하고, t-BME로, 이후 EtOH로 세척하였다. 그 후에, 고형물을 진공 오븐에 넣고, 40-47℃에서 밤새 건조시켰다. 적색/오렌지색 분말을 수거하였고, 수율은 71%였다.
더 큰 규모로 LA1 콜린 염의 제조(2116-033-04). 물 (117.3 μL) 중의 LA1(201.3 mg) 및 ~46% 콜린 하이드록사이드 용액을 유리 바이알에서 합하고, 이어서 아세톤 (0.7 mL)을 첨가하고, 혼합물을 주위 온도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고형물을 진공 여과에 의해 분리하고, 공기 건조시켰다. 어두운 적색 분말을 수거하였고, 수율은 73%였다.
처음에 둘 모두의 염을 에탄올로부터 더 큰 규모로 제조하였다. 콜린 염 슬러리로부터의 고형물의 XRPD 분석은 염이 형성되었지만 소량의 API를 함유하였음을 나타냈다(도 14). 몇몇 독특한 회절 피크가 또한 보였는데, 이는 적은 양의 추가의 성분의 존재를 나타내는 것이다. 염 형성을 1H NMR 분광기에 의해 확인하였다. 콜린 염에 대한 수율은 에탄올에서의 증가된 용해도로 인해 불량해서 제조를 반복하였다. 반복된 샘플을 진공하에 건조시켜 잔여 에탄올을 제거하였고, XRPD 분석은 이것이 무질서했고 원래의 형태와 달랐다는 것을 나타냈다(도 14). 샘플은 또한 상당량의 API를 함유하였다. 염 형성을 1H NMR 분광기에 의해 확인하였다.
더 우수한 수율로 아세톤을 사용하여 제조를 다시 반복하였고, 결정질 고형물은 패턴 Q 물질로 구성되었다(도 14). 염 형성을 1H NMR 분광기에 의해 확인하였다.
메글루민 염을 적절한 수율로 더 큰 규모로 제조하였고, XRPD 패턴은 에탄올로부터 더 작은 규모로 발생된 염의 것과 일치했다(도 14). XRPD 분석에 의해 적은 양의 API가 또한 존재했다. 샘플을 건조시켜 잔여 용매를 제거하고, XRPD 분석은 고형물이 무질서했지만 동일한 형태를 함유했음을 나타냈다(도 14). 등몰 화학량론 및 0.5 몰 당량의 에탄올을 함유하여 염 형성을 1H NMR 분광기에 의해 확인하였다.
실시예 6. 류카드헤린 LA1 메글루민 염 H형의 제조
류카드헤린 LA1(203.3 mg) 및 N-메틸-D-글루카민(94.16 mg)을 유리 바이알에서 칭량하였다. 에탄올(0.6 mL)을 첨가하고, 혼합물을 주위 온도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고형물을 진공 여과에 의해 분리하고, t-부틸 메틸 에테르로, 이후 에탄올로 세척하였다. 그 후에, 고형물을 진공 오븐에 넣고, 40-47℃에서 밤새 건조시켰다. 적색/오렌지색 분말을 수거하였고, 수율은 71%였다. 대안적으로, 1:1 비율의 류카드헤린 LA1(~200 mg) 및 N-메틸-D-글루카민을 유리 바이알에서 칭량하였다. 테트라하이드로푸란:메탄올(2:1, 0.6mL)을 첨가하고, 혼합물을 저속 증발로 질소 분위기하에 50℃에서 교반하였다. 적색/오렌지색 고형물을 수거하였다.
Figure 112017130639903-pct00033
H형은 독특한 분말 X-선 회절 패턴을 생성시켰다(도 6b; 표 10).
표 10. 류카드헤린 LA1 메글루민 염 H형에 대한 분말 X-선 회절 피크 위치 및 세기
실시예 7. 류카드헤린 LA1 메글루민 염 T형의 제조
1:1 비율의 류카드헤린 LA1(~200 mg) 및 N-메틸-D-글루카민을 유리 바이알에서 칭량하였다. 에탄올 (0.6mL)을 첨가하고, 혼합물을 50℃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고형물을 진공 여과에 의해 분리하고, t-부틸 메틸 에테르로 세척하였다. 적색/오렌지색 고형물을 수거하였다.
Figure 112017130639903-pct00035
T형은 독특한 분말 X-선 회절 패턴을 생성시켰다(표 11).
표 11. 류카드헤린 LA1 메글루민 염 T형에 대한 분말 X-선 회절 피크 위치 및 세기
실시예 8. LA1 메글루민 ( NMDG ) 염 다형체의 정제.
NMDG 염을 표 12-표 13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은 다양한 용매에서 다양한 온도 또는 실온으로 가열함으로써 재결정화를 통해 정제하였다. 표 12는 양성자성 용매에서 메글루민 염의 다형체 스크리닝을 보여주는 것이고, 표 13은 양성자성 용매에서 메글루민 염의 다형체 스크리닝을 보여주는 것이다. 양성자성 용매는 메탄올, 에탄올, 이소프로필 알코올, n-부탄올 및 물을 포함하였다. 비양성자성 용매는 아세톤, 에틸 아세테이트, 디메틸포름아미드 (DMF), 디메틸 설폭사이드 (DMSO), 이소프로필 알코올(IPA), 테트라하이드로푸란 (THF), 아세토니트릴 (ACN) 및 N-메틸 피롤리돈 (NMP)을 포함하였다. 실온에서 침전이 발생하였다. 가열 시에 투명한 용액이 관찰되지 않았다. 도 15는 다양한 용매에서 LA1 메글루민 염에 대하여 얻어진 XRPD 패턴을 보여주는 것이다.
결정형 L이 70℃에 이소프로필아세테이트에서 얻어졌고, Cu-Kα 방사선을 사용하는 회절계로 측정하는 경우, 도 11에 따른 X-선 분말 회절(XRPD) 패턴에 의해 특징화된다. 결정형 M이 70℃에 아세톤에서 얻어졌고, Cu-Kα 방사선을 사용하는 회절계로 측정하는 경우, 도 12에 따른 X-선 분말 회절(XRPD) 패턴에 의해 특징화된다. 결정형 N이 70℃에 DMF에서 얻어졌고, Cu-Kα 방사선을 사용하는 회절계로 측정하는 경우, 도 13(및 도 15i)에 따른 X-선 분말 회절(XRPD) 패턴에 의해 특징화된다.
표 12. 양성자성 용매에서 메글루민 염의 다형체 스크리닝
표 13: 비양성자성 용매에서 메글루민 염의 다형체 스크리닝
실시예 9. 류카드헤린 LA1 콜린 염 G형의 제조
1:1 비율의 물 중의 류카드헤린 LA1(~200 mg) 및 ~46% 콜린 하이드록사이드 용액을 유리 바이알에서 테트라하이드로푸란:메탄올(3:1, 0.7 mL) 용액 중에 슬러리화시키고, 혼합물을 질소 분위기하에 저속 증발로 50℃로 교반하였다. 어두운 적색 고형물을 수거하였다.
대안적으로, 1:1 비율의 물 중의 류카드헤린 LA1(~200 mg) 및 ~46% 콜린 하이드록사이드 용액을 유리 바이알에서 에탄올:t-부틸 메틸 에테르(2:1, 0.7 mL) 용액 중에 슬러리화시키고, 혼합물을 40℃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고형물을 진공 여과에 의해 분리하고, 메틸 t-부틸 에테르로 세척하고, 공기 건조시켰다. 어두운 적색 고형물을 수거하였다.
Figure 112017130639903-pct00040
Figure 112017130639903-pct00041
G형은 독특헌 분말 X-선 회절 패턴을 생성시켰다(표 14).
표 14. 류카드헤린 LA1 콜린 염 G형에 대한 분말 X-선 회절 피크 위치 및 세기
실시예 10. 류카드헤린 LA1 콜린 염 O형의 제조
1:1 비율의 물 중의 류카드헤린 LA1(~200 mg) 및 ~46% 콜린 하이드록사이드 용액을 유리 바이알에서 THF(0.7 mL) 용액 중에 슬러리화시키고, 혼합물을 주위 온도에서 밤새 동안 교반하였다. 고형물을 진공 여과에 의해 분리하고, 공기 건조시켰다. 어두운 적색 고형물을 수거하였다.
Figure 112017130639903-pct00043
O형은 독특한 분말 X-선 회절 패턴을 생성시켰다(표 15).
표 15. 류카드헤린 LA1 콜린 염 O형에 대한 분말 X-선 회절 피크 위치 및 세기
실시예 11. 류카드헤린 LA1 콜린 염 Q형의 제조
1:1 비율의 류카드헤린 LA1(~200 mg) 및 물 중의 ~46% 콜린 하이드록사이드 용액을 유리 바이알에서 아세톤 (0.7 mL) 용액 중에 슬러리화시키고, 혼합물을 주위 온도에서 밤새 동안 교반하였다. 고형물을 진공 여과에 의해 분리하고, 공기 건조시켰다. 어두운 적색 고형물을 수거하였다. 대안적으로, 1:1 비율의 류카드헤린 LA1(~200 mg) 및 물 중의 ~46% 콜린 하이드록사이드 용액을 유리 바이알에서 에틸 아세테이트 (0.7 mL) 용액 중에 슬러리화시키고, 혼합물을 주위 온도에서 밤새 동안 교반하였다. 고형물을 진공 여과에 의해 분리하고, 공기 건조시켰다. 어두운 적색 고형물을 수거하였다.
Figure 112017130639903-pct00045
Q형은 독특한 분말 X-선 회절 패턴을 생성시켰다(표 16).
표 16. 류카드헤린 LA1 콜린 염 Q형에 대한 분말 X-선 회절 피크 위치 및 세기
시차 주사 열량계
표 17은 다양한 형태의 콜린 및 메글루민 염의 용융 온도를 보여주는 것이다.
표 17: 다양한 형태의 염의 DSC 서모그램 판독
실시예 12. LA1 콜린 염 다형체의 정제
콜린 염을 표 18 및 표 19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은 양성자성 및 비양성자성 용매에서 다양한 온도 또는 실온에서 가열함으로써 재결정화를 통해 정제하였다. 표 18은 양성자성 용매에서 콜린 염의 다형체 스크리닝을 보여주는 것이고, 표 19는 비양성자성 용매에서 콜린 염의 다형체 스크리닝을 보여주는 것이다. 양성자성 용매에는 메탄올, 에탄올, 이소프로필 알코올, n-부탄올 및 물을 포함되었다. 비양성자성 용매에는 아세톤, 에틸 아세테이트, 디메틸포름아미드(DMF), 디메틸 설폭사이드(DMSO), 이소프로필 알코올(IPA), 테트라하이드로푸란(THF), 아세토니트릴(ACN) 및 N-메틸 피롤리돈(NMP)이 포함되었다. 실온에서 침전이 발생하였다. 가열 시에 투명한 용액이 관찰되지 않았다. 도 16은 개별적으로 다양한 용매에서 LA1 콜린 염에 대하여 얻어진 XRPD 패턴을 보여주는 것이다. 결정형 R이 70℃에 n-부탄올에서 얻어졌고, Cu-Kα 방사선을 사용하는 회절계로 측정하는 경우, 도 7(및 도 16a)에 따른 X-선 분말 회절(XRPD) 패턴에 의해 특징화된다. 결정형 S가 70℃에 메탄올에서 얻어졌고, Cu-Kα 방사선을 사용하는 회절계로 측정하는 경우, 도 8(및 도 16l)에 따른 X-선 분말 회절(XRPD) 패턴에 의해 특징화된다.
표 18. 양성자성 용매에서 콜린 염의 다형체 스크리닝
표 19. 비양성자성 용매에서 콜린 염의 다형체 스크리닝
실시예 13. 래트에서 LA1 유리 산의 약동학 특성의 특징화
LA1의 절대적 경구 및 복강내 생체이용률을 스프래그-돌리(SD) 래트에서 LA1의 단일 경구 및 IP 경로(2 mg/kg) 및 IV(1 mg/kg) 투여 후에 평가하였다.
첫 번째 실험에서, 2 mg/kg으로 PBS에서 제조된 30% w:v의 2-하이드록시프로필-β-사이클로덱스트린에서 투여 용액을 제조하였다. 클리어런스(Clearance) (ml/min/kg) 및 생체이용률 (mM*hr의 AUC)은 표 20에 요약되어 있다. 개선된 생체이용률이 필요했다.
표 20. PO 투여를 위한 LA1 유리 산에 대한 PK 데이터
두 번째 실험에서, Milli-Q 물 중의 Tween-80(0.02%) 및 0.5% 메틸 셀룰로오스에서 투여 용액을 제조하였다. IP(2 mg/kg) 및 IV(1 mg/kg) 투여 용액을 5% DMSO 및 95% PEG-200에서 제조하였다. 래트 PK는 표 21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20 ml/min/kg의 적정한 클리어런스를 나타낸다. PO 투여는 계산을 위해 수율 데이터에 대한 유의한 노출을 달성하지 않았다. PO(2 mg/kg)와 IP 투여로 82%의 생체이용률 (3.5 mM*hr)이 얻어졌다.
표 21. PO 및 IP 투여를 위한 LA1 유리 산에 대한 PK 데이터
실시예 14. 래트에서 마이크로화된 LA1 유리 산의 약동학적 특성의 특징화
Milli-Q 물 중의 Tween-80(0.02%) 및 0.5% 메틸 셀룰로오스에서 PO(2 mg/kg) 투여 용액을 제조하였다. IV(1 mg/kg) 투여 용액을 5% DMSO 및 95% PEG-200의 용액에서 제조하였다. 래트 PK는 표 22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23.4 ml/min/kg의 적정한 클리어런스를 나타낸다. PO 투여로 23% 생체이용률(0.76 μM*hr)이 얻어졌다.
LA1의 IV 투여 후, t1/2 및 클리어런스는 각각 1.16 h 및 19.7 mL/min/Kg인 것으로 밝혀졌다. 평균 분포 부피는 2.39 L/Kg이었다. LA1의 IP 투여 후, 0.25 h (tmax)에서 달성된 평균 Cmax는 1284 ng/mL였다. t1 /2는 0.78 h인 것으로 밝혀졌다. 절대적 IP 생체이용률은 82%였다.
표 22. 마이크로화된 LA1 유리 산의 PO 투여에 대한 PK 데이터
실시예 15. 래트에서의 LA1 염에 대한 약동학적 특성의 특징화
LA1, LA1 콜린 염, 및 LA1 메글루민 염의 단일 경구 (입으로, PO) 및 복강내(IP) 투여(2 mg/kg) 및 정맥내 (IV)(1 mg/kg) 투여 후 SD 래트에서 LA1의 절대적 경구 및 복강내 생체이용률을 평가하였다. 실시예 5에 따라 제조된 콜린 염 Q형 및 메글루민 염 T형으로 연구를 실시하였다.
세계 IAEC 승인 프로토콜 no. IAEC/JDC/2012/27에 따라 PK 연구를 실시하였다. 투여의 경로는, 즉, PO(위관영양), IP(볼루스) 및 IV(꼬리 혈관을 통한 볼루스)였다. 5-6주령된 총 4마리의 SD 수컷 래트를 사용하였다. 식이 요법은 12 h 금식을 포함하였고, 사료는 투여량 접종의 2시간 후에 제공되었고, 물이 자유 급식으로 제공되었다. PO/IP에 대한 혈액 채취 스케쥴은 0.25, 0.5, 1, 2, 4, 8,10 및 24 h이고, IV에 대해서는 0.12, 0.25, 0.5, 1, 2, 4, 8 및 24 h였다. PO 투여량의 경우, milli-Q 물 중에 제조된 tween-80(0.02%) 및 0.5% 메틸 셀룰로오스를 비히클로서 사용하고; IP 및 IV 투여량의 경우, 5% DMSO 및 95% PEG-200를 비히클로서 사용하였다.
LA1 용량 준비 과정: PO 투여량의 경우, 2.00 mg의 LA1을 ~30 μL의 Tween-80으로 습윤시키고, 모르타르(mortar) 및 막자(pestle)에서 분쇄하고, 그 후에 0.5% 메틸 셀룰로오스를 10.0 mL로의 최종 부피를 구성하도록 서서히 첨가하였다. IP 투여량의 경우, 2.050 mg의 LA1을 100 μL의 DMSO에 용해시키고, 볼텍싱(vortexing)하고, 마지막으로 1.90 mL의 PEG-200을 첨가하였다. IV 투여량의 경우, 2.010 mg의 LA1을 200 μL의 DMSO에 용해시키고, 볼텍싱하고, 마지막으로 3.80 mL의 PEG-200을 첨가하였다.
LA1 콜린 용량 준비 과정: PO 투여량의 경우, 3.670 mg의 LA1 콜린 염을 ~30 μL의 Tween-80으로 습윤시키고, 모르타르 및 막자에서 분쇄하고, 그 후에 0.5% 메틸 셀룰로오스를 13.90 mL로의 최종 부피를 구성하도록 서서히 첨가하였다. IP 투여량의 경우, 4.286 mg의 LA1 콜린 염을 162 μL의 DMSO에 용해시키고, 볼텍싱시키고, 마지막으로 3.078 mL의 PEG-200를 첨가하였다. IV 투여량의 경우, 2.025 mg의 LA1 콜린 염을 153 μL의 DMSO에 용해시키고, 볼텍싱시키고, 마지막으로 2.907 mL의 PEG-200을 첨가하였다.
LA1 콜린 용량 준비 과정: PO 투여량의 경우, 3.600 mg의 LA1 메글루민 염을 ~30 μL의 Tween-80으로 습윤시키고, 모르타르 및 막자에서 분쇄하고, 그 후에 0.5% 메틸 셀룰로오스를 11.760 mL로의 최종 부피로 서서히 첨가하였다. IP 투여량의 경우, 4.134 mg의 LA1 메글루민 염을 135 μL의 DMSO에 용해시키고, 볼텍싱시키고, 2.565 mL의 PEG-200를 첨가하였다. IV 투여량의 경우, 2.066 mg의 LA1 메글루민 염을 135 μL의 DMSO에 용해시키고, 볼텍싱시키고, 마지막으로 2.565 mL의 PEG-200을 첨가하였다.
메탄올 중의 저장 용액(178 μg/mL)을 추가로 메탄올:물(80:20, v/v)을 사용하여 희석하여 10.4 내지 20745 ng/mL 범위의 작업 용액을 수득하였다.
CC/ QC 샘플의 제조를 위한 방법: 50 μL의 샘플을 사전-라벨링된 바이알에 소분하였다. 여기에 IS(100 ng/mL; 톨부타미드)를 함유하는 200 μL의 10% 테트라하이드로푸란을 첨가하고, 잘 혼합하고, 5 min 동안 볼텍싱시키고, 이어서 4℃에서 14000 rpm으로 5 min 동안 원심분리하였다. 상청액을 분리하고, 이를 5 μL로 LC-MS/MS 상에 주입하였다.
데이터 분석: 개별적인 농도-시간 데이터를 비-구획 분석(non-compartmental analysis: NCA) 방법에 의해 WinNonlin(버젼 5.3)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래트 PK는 표 23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18 ml/min/kg의 적정한 클리어런스를 나타냈다. PO 투여로 41%의 생체이용률 (1.5 mM*hr)이 얻어졌다. IP 투여로 84%의 생체이용률 (3.2 mM*hr)이 얻어졌다. PO(2 mg/kg) 투여 용액을 Milli-Q 물 중의 Tween-80(0.02%) 및 0.5% 메틸 셀룰로오스에서 제조하였다. IP(2 mg/kg) 및 IV(1 mg/kg) 투여 용액을 5% DMSO 및 95% PEG-200에서 제조하였다.
LA1 콜린 염에 대한 결과는 표 23에 나타나 있다. LA1 콜린 염의 경구 투여 후, LA1에 대한 최대 혈장 농도(Cmax: 477 ng/mL)가 0.50 h(tmax)에서 달성되었다. t1 /2는 1.57 h인 것으로 밝혀졌다. 절대적 경구 생체이용률은 41%였다. LA1 콜린 염의 IP 투여 후, LA1에 대한 평균 Cmax는 0.25 h(tmax)에서 달성된 1590 ng/mL였다. t1 /2는 1.60 h인 것으로 밝혀졌다. 절대적 IP 생체이용률은 84%였다. LA1 콜린 염의 IV 투여 후, t1/2 및 클리어런스는 각각 LA1에 대하여 1.21 h 및 17.6 mL/min/kg인 것으로 밝혀졌다. 평균 분포 부피는 1.78 lit/kg였다.
표 23. PO 및 IP 투여를 위한 LA1 콜린 염의 PK 데이터
래트 PK는 표 24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18 ml/min/kg의 적정한 클리어런스를 나타냈다. LA1 메글루민 염의 PO 투여로 탁월한 37%의 생체이용률 (1.2 mM*hr)이 얻어졌다. LA1 메글루민 염은 복강내(IP) 투여의 경우 100% 초과의 생체이용률(167%, 5.3 mM*hr)을 나타냈다. >100%의 생체이용률에 대한 가능한 원인은 장간 순환때문이다. 장간 순환은 담즙 산, 빌리루빈(bilirubin), 약물, 또는 간에서 담즙으로의 다른 물질의 순환, 이어서 소장으로의 진입, 및 장세포에 의한 재흡수 및 다시 혈류로의 이동을 지칭한다.
LA1 메글루민 염에 대한 결과는 표 24에 나타나 있다. LA1 메글루민 염의 경구 투여 후, LA1에 대한 평균 Cmax(463 ng/mL)가 0.50 h(tmax)에서 달성되었다. t1 /2는 1.60 h인 것으로 밝혀졌다. 절대적 경구 생체이용률은 37%였다. LA1 메글루민 염의 IP 투여 후, LA1에 대한 평균 Cmax는 0.25 h(tmax)에서 달성된 2865 ng/mL였다. t1 /2는 1.95 h인 것으로 밝혀졌다. 평균 절대적 IP 생체이용률은 >100%였다. LA1 메글루민 염의 IV 투여 후, t1/2 및 클리어런스는 LA1에 대하여 각각 1.41 h 및 17.5 mL/min/Kg인 것으로 밝혀졌다. 평균 분포 부피는 1.85 L/Kg였다.
표 24. PO 및 IP 투여를 위한 LA1 메글루민 염의 PK 데이터
LA1 콜린 염과 LA1 메글루민 염 둘 모두는 경구 투여 후에 유사한 생체 이용률을 나타냈다. LA1 메글루민 염에 대한 IP 생체이용률은 LA1 및 LA1 콜린 염에 대한 IP 생체이용률보다 높았다. LA1, LA1 콜린 염, 및 LA1 메글루민 염은 IV 투여 후 유사한 약동학적 프로파일을 나타냈다.
각각 1, 2, 및 2 mg/kg에서 정맥내, 복강내 및 경구 투여 후 스프래그-돌리(SD) 래트에서 LA1, LA1 메글루민 및 LA1 콜린의 약동학을 평가하였다.
표 25는 2 mg/kg의 LA1, LA1 콜린 및 LA1 메글루민의 경구 투여 후 SD 래트에서의 LA1의 약동학적 파라미터의 비교 설명을 제공한 것이다. 도 17은 SD 래트에 대한 LA1 콜린 염(2 mg/kg) 및 LA1 메글루민 염(2 mg/kg)의 경구 투여 후 방출된 LA1의 농도 대 시간 프로파일을 보여주는 것이다.
표 25. 다양한 염의 경구 투여에 대한 PK 데이터의 비교
표 26은 2 mg/kg의 LA1, LA1 콜린 염 및 LA1 메글루민 염의 IP 투여 후 SD 래트에서의 LA1의 약동학적 파라미터의 비교 설명을 제공한 것이다. 도 18은 SD 래트에 대한 LA1(2 mg/kg)의 복강내 투여 후 LA1, 및 LA1 콜린(2 mg/kg) 및 LA1 메글루민(2 mg/kg)의 복강내 투여 후 방출된 LA1의 농도 대 시간 프로파일을 보여주는 것이다.
표 26. 다양한 염의 IP 투여에 대한 PK 데이터의 비교
표 27은 1 mg/kg의 LA1, LA1 콜린 염 및 LA1 메글루민 염의 IV 투여 후 SD 래트에서의 LA1의 약동학적 파라미터의 비교 설명을 제공한 것이다. 도 19는 SD 래트에 대한 LA1(1 mg/kg)의 정맥내 투여 후 LA1, 및 LA1 콜린(1 mg/kg) 및 LA1 메글루민(1 mg/kg)의 정맥내 투여 후 방출된 LA1의 농도 대 시간 프로파일을 보여주는 것이다.
표 27. 다양한 염의 IV 투여에 대한 PK 데이터의 비교
실시예 16. 래트에서 LA1 제형에 대한 약동학적 특성의 특징화
투여의 경로는, 즉, PO(위관영양) 및 IV(꼬리 혈관을 통한 볼루스)였다. 5-6주령된 총 4마리의 SD 수컷 래트를 사용하였다. 식이 요법에는 12 h 금식을 포함되었고, 사료는 투여량 접종의 2시간 후에 제공되었고, 물이 자유 급식으로 제공되었다. PO에 대한 혈액 채취 스케쥴은 0.25, 0.5, 1, 2, 4, 8,10 및 24 h이고, IV에 대해서는 0.12, 0.25, 0.5, 1, 2, 4, 8 및 24 h였다. PO 투여량의 경우, milli-Q 물 중에 제조된 tween-80(0.02%) 및 0.5% 메틸 셀룰로오스를 비히클로서 사용하고; IV 투여량의 경우, 10% DMSO 및 90% PEG-200를 비히클로서 사용하였다.
용량 준비 과정: PO 투여량의 경우, 2.582 mg의 LA1을 ~30 μL의 Tween-80으로 습윤시키고, 모르타르 및 막자에서 분쇄하고, 그 후에 0.5% 메틸 셀룰로오스를 12.910 mL로의 최종 부피를 구성하도록 서서히 첨가하였다. IV 투여량의 경우, 2.196 mg의 LA1을 440 μL의 DMSO에 용해시키고, 볼텍싱하고, 마지막으로 3.952 mL의 PEG-200을 첨가하였다.
결과:
표 28은 2 mg/kg w.r.t의 LA1 콜린 및 LA1 메글루민의 경구 투여 후 SD 래트에서의 마이크로화된 LA1의 약동학적 파라미터의 비교 설명을 보여주는 것이다.
표 28. LA1 제형의 경구 투여에 대한 PK 데이터의 비교
표 29는 1 mg/kg w.r.t의 LA1 콜린 및 LA1 메글루민의 IV 투여 후 SD 래트에서의 마이크로화된 LA1의 약동학적 파라미터의 비교 설명을 보여주는 것이다.
표 29. LA1 제형의 IV 투여에 대한 PK 데이터의 비교
마이크로화된 LA1의 단일 경구 및 IV(1 mg/kg) 투여 후 SD 래트에서 LA1의 절대적 경구 및 복강내 생체이용률을 평가하였다. 마이크로화된 LA1의 경구 투여 후, LA1의 최대 혈장 농도(Cmax: 123 ng/mL)를 0.88 h(tmax)에서 달성하였다. t1 /2는 1.10 h인 것으로 밝혀졌고, 절대적 경구 생체이용률은 23%였다. 마이크로화된 LA1의 IV 투여 후, t1/2, 및 클리어런스는 각각 1.36 h 및 23.4 mL/min/kg인 것으로 밝혀졌다. 또한, 평균 분포 부피는 2.63 lit/kg였다.
마이크로화된 LA1는 경구 투여 후의 LA1와 비교해 볼 때 더 우수한 전신 노출을 나타내는 것으로 결론지어진다. 그러나, LA1 및 마이크로화된 LA1은 IV 투여 후에 유사한 약동학적 프로파일을 나타냈다.
실시예 17. 개에서의 LA1 유리 산에 대한 약동학적 특성의 특징화
개 PK는 표 30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2.1 ml/min/kg의 큰 클리어런스를 나타낸다. 경구 투여로 탁월한 50%의 생체 이용률(6.1 mM*hr)이 얻어졌다. 마이크로화된 LA1의 PO(2 mg/kg) 투여 용액을 물 중의 0.1% Tween-80(w/v) 및 메틸 셀룰로오스에서 제조하였다. IV(0.5 mg/kg) 투여 용액을 5% DMSO, 90% PEG-200 및 5% 에탄올에서 제조하였다.
표 30. 개에서의 LA1 유리 산의 경구 투여에 대한 PK 데이터
본 연구의 목적은 비글 견에서 LA1(마이크로화된 분말)의 임상전 약동학적 프로파일을 조사하는 것이었다. 혈장 농도 대 시간 곡선을 그리고, 비글 견에서 LA1의 PK 약동학적 특성, 즉, 생체이용률, 반감기(t½), 분포 부피, Cmax, Tmax, AUC 및 제거율 상수에 대하여 데이터가 발생되도록 관련된 약동학적 파라미터를 특징화하였다.
LA1은 실험실 규모 볼 밀을 사용하여 마이크로화된 굵은 물질이었다. 공정에서, LA1의 입도를 ~20 마이크론으로 감소시켰다. 마이크로화된 LA1을 회수하고, 칭량하고, 실온에서 유리 콘테이너에 보관하였다. 정맥내 약물 투여를 위하여, 개에서의 투여에 대한 LA1 부형제 상용성 검정을 수행하였다. 시험 결과로부터, 투명한 용액이 제형 혼합물; 5% DMSO + 90% 폴리에틸렌 글리콜 400 (PEG-400) + 5% 에탄올을 사용하여 얻어졌다;
시험 항목 LA1의 마이크로화: LA1의 입도를 실험실 규모 볼 밀을 사용하여 ~20 마이크론으로 감소시켰다. 요약하면, 공지된 양의 LA1을 스테인리스 강으로 제조된 원통형의 캡핑된 콘테이너에 투입하고, 이어서 스테인리스 강 볼을 첨가하였다. 볼 밀을 이의 축에 대하여 총 60분 동안(6회 사이클 X 10분) 회전시켰다. 마이크로화된 LA1을 회수하고, 칭량하고, 실온에서 유리 병에 보관하였다.
시험 시스템: 체중이 10-12 kg인 건강한 수컷 비글 견(나이 10개월)을 연구를 위해 사용하였다. 교차 설계를 실험을 위해 채택하였고, 여기서 O2 견을 경구 및 정맥내 투여를 위해 연구에 사용하였다. 동물들 둘 모두를 펠렛 사료를 담는 호퍼(hopper) 및 별개의 물 호퍼가 제공된 스테인리스 강 케이지에 수용하였다. 온도 및 습도를 각각 22 ± 3℃ 및 40 - 70%로 유지하였다. 12 h의 광 및 12 h의 암흑 사이클의 순서를 제공하도록 조명을 제어하였다. 모든 동물들을 투여 전에 적어도 5일 동안 실험 조건에 적응시켰다. 처리의 10 내지 12 h 전 및 약물 투여의 4 h 후를 제외하고 모든 동물들에게 Pedigree™ 표준 펠렛 사료를 제공하였다. 물은 자유 급식으로 제공하였다.
제형 및 약물 투여: 정확히 90 mg의 시험 항목 LA1(마이크로화된 분말)을 칭량하고, 모르타르로 옮기고, 잠시 막자에 의해 분쇄하였다. 그 후에, 적은 부피의 물 중의 비히클 [0.1% Tween-80과 0.5% (w/v) 카복시 메틸 셀룰로오스]를 균일한 현탁액이 얻어질 때까지 계속 분쇄하면서 서서히 첨가하였다. 그 후에, 함유물을 측정 실린더로 옮겼다. 측정 실린더로 시험 항목의 완전한 이동이 보장될 때까지 모르타르를 헹궜다. 그 후에, 최종 부피를 비히클로 225 mL 이하로 구성하여 0.4 mg/mL의 요망되는 농도를 지니는 균일한 현탁액을 얻었다. 제형을 투여하는 것은 5 mL/kg을 초과하지 않는 용량 부피에서 경구 위관영양에 의해 제공하였다.
정맥내 약물 제형: 개의 전혈을 사용하는 용혈 검정을 정맥내 투여를 위한 부형제의 선택을 위해 적혈구의 손상을 평가하는데 사용하였다. 얻어진 결과를 기초로 하여, 기재된 과정을 채택하였다. 정확히 22.5 mg의 시험 항목(마이크로화된 분말)을 눈금형 튜브에서 칭량하였다. 2.25 mL의 DMSO를 적가하고, 볼텍스에 의해 혼합하였다. 이후, 40.50 mL의 폴리에틸렌 글리콜 400(PEG-400)을 2 내지 3개의 나누어 첨가하고, 간헐적으로 볼텍싱하였다. 그 후에, 2.25 mL의 에탄올을 적가하고, 볼텍싱하여 투명한 용액을 얻었다. 제형을 초음파에 5분 동안 주어지게 하였다. 용량 투여를 주입 펌프를 사용하여 수행하고, 0.33 mL/kg/min의 속도로 주입하였다. 용량 부피는 1 ml/kg을 초과하지 않았다.
샘플 채취: 혈액 샘플링을 위하여 연속 방법을 이용하였다. 혈액 샘플을 연구 설계 섹션(7)에서 언급된 바와 같이 채취하였다. 혈액 샘플(~1.5 mL)을 항응고제로서 2% w/v의 K2EDTA 용액을 함유하는 복재 정맥으로부터 라벨링된 튜브로 채취하였다. 전혈을 바이오-분석을 위해 취해질 때까지 -20℃에서 보관하였다.
추출 과정: 전혈로부터 분리된 혈장을 바이오-분석을 위해 사용하였다. 분석물 LA1을 아세토니트릴 침전 방법에 의해 혈장으로부터 추출하였다. 둘 모두의 층으로부터의 상청액을 혼합하고, 10분 동안 볼텍싱하였다. 모든 샘플(CC, QC 포함)을 LC-MS/MS 시스템으로 주입하였다.
데이터 분석: 상기 혈장 농도로부터 약동학 분석을 PK 솔버(solver)를 사용하여 수행하였다.
결과:
약동학 데이터는 LA1 흡수가 투여한 지 4시간 후에 발생하는 최고 농도의 경우에 중간 정도의 염을 시사하였다. 흡수 상은, 이의 최고 농도에 도달할 때까지 LA1 수준의 지속적 상승을 나타냈다. 최고 농도는 685.47 ng/mL인 것으로 밝혀졌다. LA1의 제거 상은 최고 농도가 달성된 직후에 지속적인 감소를 나타냈다. LA1의 경구 반감기는 대략 2시간이고, AUC0 -12는 2572.24 h*ng/mL였다. LA1의 분포 부피는 0.72 ml이고, 클리어런스는 0.39 ml/h였다. LA1(마이크로화된 분말)의 절대적 경구 생체이용률은 50.62%(0.5 mg의 정맥내 대 2 mg의 경구)인 것으로 밝혀졌다.
혈장 중 시험 항목의 농도를 둘 모두의 처리된 동물에서 검출하였다. LA1의 약동학적 프로파일은 2 h의 반감기, Tmax= 4 h, Cmax= 685.47 ng/mL 및 AUC0 -12 = 2572.24 h*ng/mL를 나타냈다. 표 31은 정맥내 투여에서의 LA1(마이크로화된 분말)의 혈장 농도(ng/mL)를 제공한 것이다.
표 31. 상이한 시간 간격의 IV 투여에 대한 마이크로화된 LA1의 혈장 농도
표 32는 경구 투여에서의 LA1(마이크로화된 분말)의 혈장 농도(ng/mL)를 제공한 것이다.
표 32. 상이한 시간 간격의 경구 투여에 대한 마이크로화된 LA1의 혈장 농도
표 33은 비글 견에서의 LA1(마이크로화된 분말)의 요약된 약동학적 파라미터를 제공한 것이다.
표 33. 비글 견에서의 IV 및 경구 PK 파라미터의 비교
표 34는 비글 견에서 0.5 mg/kg B.wt의 정맥내 투여의 LA1(마이크로화된 분말)에 대한 개별적인 동물 약동학적 파라미터를 제공한 것이다. 도 20은 1 mg/kg의 IV 투여량의 비글 견에서 LA1에 대한 PK 프로파일의 그래프이다.
표 34. IV 투여에 대한 다양한 비글 견 간의 PK 파라미터의 비교
표 35는 비글 견에서 2 mg/kg B.wt의 경구 처리의 LA1(마이크로화된 분말)에 대한 개별적인 동물 약동학적 파라미터를 제공한 것이다. 도 21은 2 mg/kg의 경구 투여량의 비글 견에서 LA1에 대한 PK 프로파일의 그래프를 보여주는 것이다.
표 35. 경구 투여에 대한 다양한 비글 견 간의 PK 파라미터의 비교
실시예 18. 개에서의 LA1 콜린 염에 대한 약동학적 특성의 특징화
시험 시스템: 체중이 10-12 kg인 건강한 수컷 비글 견(10월령)을 연구를 위해 사용하였다. 교차 설계를 실험을 위해 채택하였고, 여기서 O3 견을 경구 및 정맥내 투여를 위해 연구에 사용하였다. 동물들을 펠렛 사료를 담는 호퍼 및 별개의 물 호퍼가 제공된 스테인리스 강 케이지에 수용하였다. 온도 및 습도를 각각 23 ± 5℃ 및 30 - 70%에서 유지하였다. 12 h의 광 및 12 h의 암흑 사이클의 순서를 제공하도록 조명을 제어하였다. 모든 동물들을 투여 전에 적어도 5일 동안 실험 조건에 적응시켰다. 처리의 10 내지 12 h 전 및 약물 투여의 4 h 후를 제외하고 모든 동물들에게 Pedigree™ 표준 펠렛 사료를 제공하였다. 물은 자유 급식으로 제공하였다.
제형 및 약물 투여: 251.02 mg의 시험 항목을 깨끗한 모르타르로 옮겼다. 시험 항목을 막자를 사용하여 균일하게 그라인딩(grinding)하였다. 1.235 ml의 Tween 80을 첨가하고, 물질을 혼합하였다. 적은 양의, 물 중의 0.5% (w/v) 메틸셀룰로오스를 첨가하고, 혼합물을 분쇄하였다. 0.5% 메틸 셀룰로오스를 190 ml의 최종 부피를 구성하도록 첨가하였다. 마지막으로, 상기 제형을 사전-라벨링된 비이커로 옮기고, 5분 동안 소니케이션하였다. 현탁액을 자성 교반기 상에 놓아 교반 조건하에 투여하였다.
LA-1. 콜린의 투여 제형을 위관영양 급식 튜브를 사용하여 경구 위관영양에 의해 투여하였다. 필요한 부피의 투여 제형(5 ml/kg 체중)을 눈금 시린지로 드로잉하였다. 개를 이동이 제한되도록 또 다른 사람의 도움으로 적절하게 저지하였다. 급식 튜브를 위로 식도를 향해 볼과 치아 사이의 공간 통해 입으로 서서히 삽입하였다. 물이 있는 콘테이너에서 튜브의 외측 단부를 딥핑하고, 기포를 찾음으로써 튜브의 적절한 위치를 확인하였다. 기포의 부재로 위에서 튜브의 위치를 확인하였다. 필요한 용량 부피의 LA-1.콜린 현탁액을 급식 튜브를 통해 서서히 투여하였다. 공기를 단부에서 밀어 튜브가 확실히 비어 있게 하였다. 튜브를 서서히 꺼내고, 폐기하였다.
정맥내 약물 제형: 청확히 칭량된 27.49 mg의 시험 항목을 깨끗한 튜브로 옮겼다. 0.417 mL 부피의 DMSO를 첨가하고, 시험물이 완전히 용해될 때까지 혼합하였다. 0.417 mL 부피의 솔루톨:알코올(1:1, v/v)을 첨가하고, 혼합하고, 여기에 7.496 mL의 생리식염수를 첨가하고, 볼텍싱하였다. 마지막으로, 상기 제형을 투여에 사용하였다.
필요한 부피의 LA-1.콜린의 투여 제형(0.2 ml/kg 체중)을 눈금 시린지로 드로잉하였다. 투여 전에 시린지로부터 기포를 제거하였다. 개를 서 있는 위치에서 저지하였다. 요측피정맥의 주입 부위의 상부를 압축하고, 22G 크기의 나비 정맥 카테터의 니들을 정맥으로 서서히 삽입하였다. 혈액이 카테터 튜브의 단부에 도달하면, 이를 시린지에 연결하였다. 투여 제형을 서서히 바로 주입하였다. 투여의 말미에, 약 0.5 mL의 생리 식염수를 카테터를 통해 주입하여 필요한 용량 부피가 확실히 투여되게 하였다. 마지막으로, 니들을 제거하였다.
샘플 채취: 투여 후에, K2EDTA 함유 사전-라벨링된 진공채혈기 원심분리 튜브로, 각각의 개들로부터 ~1.5 ml의 혈액 샘플을 다음 0.25, 0.5, 1, 1.5, 2, 3, 5, 8, 10 및 24 h의 시점에 경정맥에서 채취하였다. 0.5 h의 샘플링 내에서 냉장(2-4℃)하에 10 min. 동안 2500 g의 혈액 샘플을 원심분리함으로써 혈장을 얻었다. 얻어진 혈장 샘플을 사전-라벨링된 마이크로원심분리 튜브(약 ~300 μl)로 옮기고, -70 ± 10℃ 또는 이보다 낮게 보관하였다. 샘플 라벨에는 연구 횟수, 시험 항목 코드 및 투여 그룹 및/또는 샘플링 날짜, 동물 번호, 시점과 같은 세부 사항이 포함된다.
추출 과정: 전혈로부터 분리된 혈장을 바이오-분석을 위해 사용하였다. 분석물 LA1을 아세토니트릴 침전 방법에 의해 혈장으로부터 추출하였다. 둘 모두의 층으로부터의 상청액을 혼합하고, 10분 동안 볼텍싱하였다. 모든 샘플(CC, QC 포함)을 LC-MS/MS 시스템으로 주입하였다.
데이터 분석: 상기 혈장 농도로부터 약동학 분석을 PK 솔버를 사용하여 수행하였다.
콜린 염에 대한 개의 PK 데이터는 표 36에 요약되어 있다. 약동학 데이터는 LA1 콜린 염의 최고 농도가 투여한 지 1.5시간 후에 발생되었음을 나타낸다. 흡수 상은, 이의 최고 농도에 도달할 때까지 LA1 수준의 지속적인 상승을 나타냈다. 최고 농도는 2068 ng/mL인 것으로 밝혀졌다. LA1의 제거 상은 최고 농도가 달성된 직후에 지속적인 감소를 나타냈다. LA1의 경구 반감기는 대략 3.4시간이고, AUC0-12는 9184 h*ng/mL였다. LA1의 분포 부피는 0.83 L/Kg이고, 클리어런스는 3.92 ml/min/Kg였다. LA1.콜린 염의 절대적 경구 생체이용률은 43.4%(0.5 mg의 정맥내 대 5 mg의 경구)인 것으로 밝혀졌다.
표 36. 수컷 비글 견에서 LA1 콜린 염의 투여에 대한 PK 데이터
표 37은 정맥내 투여로부터 생성된 LA1.콜린 염의 혈장 농도(ng/mL)를 보여주고 있다.
표 37. 상이한 시간 간격의 IV 투여에 대한 LA1.콜린 염의 혈장 농도
표 38은 경구 투여로부터 생성된 LA1.콜린 염의 혈장 농도(ng/mL)를 보여주는 것이다.
표 38. 상이한 시간 간격의 경구 투여에 대한 LA1.콜린 염의 혈장 농도
표 39는 비글 견에서 LA1.콜린 염의 요약된 약동학 파라미터를 제공한 것이다.
표 39. 비글 견의 IV 및 경구 PK 파라미터의 비교
LA1.콜린 염의 절대적 경구 생체이용률은 50.62%(0.5 mg의 정맥내 대 2 mg의 경구)이다.
도 22는 0.5 mg/kg의 IV 투여량 및 5 mg/kg의 경구(PO) 투여량의 비글 견에서의 LA1에 대한 PK 프로파일의 그래프를 보여주는 것이다.
실시예 19. C57BL /6 마우스에서 쥐과 흑색종 B16F10 동종이식편을 치료하는데 있어서의 LA1의 생체내 효능의 평가
마우스 흑색종 종양 세포주인 B16-F10을 피하 종양 모델을 발달시키는데 사용하였다. 0.1 × 106개의 세포를 동물의 우측 플랭크 영역에 피하로 주입하였다. 종양이 ~ 45 mm3에 도달하는 때에, 동물들을, 모든 군들의 평균 종양 부피가 유사하도록 각각의 군을 10마리의 동물로 하여, 다양한 군으로 무작위화시켰다. 동물들을 무작위화 날짜(1일째)로부터 처리하였다. 모든 동물들에 대하여 종양 치수(길이 및 직경)를 연구의 종결 일을 포함하여 주당 3회 측정하였다. 또한, 연구 기간 전체에 걸쳐, 마우스를 임상 조건에 대하여 매일 모니터링하였다. 15일째에, 노출을 평가하기 위해 Tmax(0.5hr)에서 모든 마우스로부터 종양 및 혈액 샘플을 채취하였다. 혈액 샘플의 일부를 혈액 분석 및 임상 화학에 사용하였다. 폐, 심장, 간, 비장, 및 신장을 또한 채취하고, 조직병리학적 분석을 수행하였다.
종양 세포. B16-F10 세포를 10% FBS 및 1% 페니실린-스트렙토마이신이 보충된 DMEM 세포 배양 배지에서 배양하였다. 세포를 CO2의 부재하에 37℃에서 유지시켰다. 세포가 75-80%의 융합에 도달하는 경우, 이들을 트립신처리에 의해 채취하고, 세척하고, 계수하였다. 그 후에, 세포를 무혈청 배지에서 10만개 세포/75 μl의 농도로 재현탁시켰다.
종양 세포 접종. 세포를 흑색 마우스의 플랭크 상에서 피하로 접종하였다. 접종 전에, 모발을 트리밍(trimming)하고, 주사 부위(등쪽 우측 플랭크) 상에서 피부를 알코올에 의해 면봉으로 닦았다. 무혈청 배지(10만개 세포/75 μl) 중의 세포를 매트리겔(Matrigel)로 3:1의 비율로 혼합하고, 100 μl의 총 부피를 각각에 동물에 26 G 니들에 부착된 1 mL의 BD 시린지로 주사하였다..
무작위화. 종양은 접종한 지 대략 7일째에 감지될 수 있었다. 종양 부피가 약 45 mm3에 도달되는 때에, 동물들을, 각각의 군의 평균 종양 부피가 유사하도록 모든 군을 10마리의 동물들로 하여, 다양한 군으로 무작위화시켰다.
제형. LA1을 5% DMSO, 5% 솔루톨:에탄올(1:1), 20% Tween20, 및 70% N-살린을 함유하는 용액과 합하였다. LA1 메글루민 염을 5% DMSO, 5% 솔루톨:에탄올(1:1), 및 90% N-살린을 함유하는 용액과 합하였다.
통계적 계산. 모든 통계적 계산을 Prism 5.0(GraphPad Software Inc, USA)를 사용하여 수행하였다. One Way ANOVA 이어서 Dunnett의 다중 비교 시험을 이용하여 연구 동안 그리고 연구 말미에 처리군과 각각의 비히클 대조군 간의 종양 크기 측정의 비교를 수행하였다. 0.05 미만의 p-값은 유의한 것으로 여겨졌다.
LA1의 노출. 연구의 말미에, LA1은 각각 혈액 및 종양에서 383±450 ng/ml 및 24.7±17.6 ng/ml의 노출을 나타냈다. 유사하게, 3 및 30 mg/kg의 LA1 메글루민 염은 각각 혈장에서 1519±613 ng/ml 및 3744±1755 ng/ml 및 종양에서 1017±510 ng/ml 및 1659±611 ng/ml의 노출을 나타냈다.
조직병리학. 간, 신장, 폐, 비장, 심장, 및 위 샘플을 사용하여 조직병리학 검정을 실시하였다. 간 조직의 현미경 검사는 각각의 대조 군, LA1 염 군, α-PD1 군, α-CTLA4 군, 및 α-CTLA4/LA1 염 군에 있어서 1마리의 동물에서 최소에서 중간 정도의 간세포 괴사를 나타냈다. 각각의 대조 군, LA1 염 군, 및 α-PD1 군에서 1마리의 동물의 폐 조직에서 종양 전이가 관찰되었다.
15일 동안 매일 3 또는 30 mg/kg을 투여할 때, LA1 메글루민 염으로의 치료는, 비히클 대조군과 비교해 볼 때, 쥐과 흑색종 B16-F10 종양의 약 58-66%의 성장 억제를 야기하였다. 단독의 제1 면역 관문 억제제(α-CTLA4 항체, 3일마다 100 μg/마우스)로의 치료는 약 42%의 성장 억제를 야기하였다. α-CTLA4 항체 및 LA1을 사용한 병행 치료는, 단독의 α-CTLA4와 비교해 볼 때, 추가의 종양 성장 억제를 야기하였다. 그러나, 제2 면역 관문 억제제(α-PD1 항체) 및 LA1 또는 LA1 메글루민 염을 사용한 병행 치료는 단독으로 사용된 어느 제제보다도 강력한 종양 성장 억제를 야기하였다. 도 23을 참조하라. α-PD1 항체로의 처리는 대략 64%의 종양 억제를 나타냈지만, 이러한 검정에서 병행으로 대략 81%의 종양 억제를 야기하였다.
실시예 20. C57BL /6 마우스에서 쥐과 흑색종 B16F10 동종이식편을 치료하는 데 있어서의 LA1의 생체내 효능의 평가
상술된 바와 같이 B16F10 종양을 마우스에게 접종하였다. 종양 부피가 약 45 mm3에 도달하면, 동물들을, 각각의 군들의 평균 종양 부피가 유사하도록 모든 군을 10마리의 동물로 하여, 다양한 군으로 무작위화시켰다.
제형. LA1을 5% DMSO, 5% 솔루톨:에탄올(1:1), 20% Tween20, 및 70% N-살린을 함유하는 용액과 합하였다. LA1 콜린 염(n-부탄올로부터 재결정화됨; R형)을 5% DMSO, 5% 솔루톨:에탄올(1:1), 및 90% N-살린을 함유하는 용액과 합하였다.
투여. LA1 콜린 염, 항-PD1 항체, 및 항-CTLA4 항체를 하기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투여하였다.
LA1의 노출. 연구의 말미에, LA1 유리 산의 경구 투여는 혈액 및 종양의 양 제한치보다 낮은 노출을 야기하였다. 3, 10, 30, 및 100 mg/kg으로 경구 투여된 LA1 콜린 염은 혈장에서 314±77.7 ng/ml, 996±401 ng/ml, 3518±1483 ng/ml 및 21,827±5628 ng/ml의 노출을 야기하였다. 3, 10, 30, 및 100 mg/kg 용량의 콜린 염의 경구 투여는 각각 종양 조직에서 118±83.1 ng/ml, 254±146 ng/ml, 855±312 ng/ml 및 2093±1997 ng/ml의 종양 농도를 야기하였다.
LA1 콜린 염은 용량 의존 방식으로 종양 부피를 감소시켰다. 도 24를 참조하라. LA1 콜린 염으로의 치료는, 3-100 mg/kg으로 투여되는 경우, 비히클 대조군과 비교해 볼 때, 쥐과 흑색종 B16-F10 종양의 약 43-68%의 성장 억제를 야기하였다. 단독의 제1 면역 관문 억제제(α-CTLA4 항체)로의 치료는 약 53%의 성장 억제를 야기하였다. α-CTLA4 항체 및 LA1 콜린 염(3 mg/kg 및 10 mg/kg)을 사용한 병행 치료는, 단독의 α-CTLA4와 비교해 볼 때, 각각 60% 및 67%의 추가의 종양 성장 억제를 야기하였다. 도 25를 참조하라.
제2 면역 관문 억제제(α-PD1 항체)를 사용한 치료는 대략 56%의 종양 억제를 야기하였다. α-PD1 항체와 LA1 콜린 염(3 mg/kg 및 10 mg/kg)의 병행 치료는, 단독의 α-PD1 항체와 비교해 볼 때, 각각 66% 및 68%의 추가의 종양 성장 억제를 야기하였다. 도 26을 참조하라.
본원에 기재된 실시예 및 구체예는 단지 예시적인 목적을 위한 것이고, 이의 관점에서 다양한 변형 또는 변화가 당업자에게 제안될 것이고 본 출원의 사상 및 시야 및 첨부된 청구항의 범위 내에 포함될 것으로 이해된다. 본원에 인용된 모든 공보, 특허, 및 특허 출원, 웹사이트, 및 데이터베이스는 모든 목적 상 이의 전체가 본원에 참조로 포함된다.

Claims (58)

  1. 하기 화학식 I의 화합물의 콜린 염:
    Figure 112017130639903-pct00073
  2. 하기 화학식 I의 화합물의 콜린 염의 결정형 G로서, Cu-Kα 방사선을 사용하는 회절계로 측정하는 경우, 5.6, 7.9, 11.2, 13.3, 15.0, 15.7, 16.1, 16.2, 16.5, 16.6, 17.8, 18.1, 18.5, 19.1, 19.8, 20.0, 21.1, 23.0, 24.6, 25.0, 25.6, 26.6, 26.8, 26.9, 29.3, 29.7, 30.6, 30.7, 및 34.4 °2θ, ± 0.2 °2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3개의 피크를 포함하는 X-선 분말 회절(X-ray powder diffraction: XRPD) 패턴을 특징으로 하는, 결정형 G:
    Figure 112023106769514-pct00074
  3. 제2항에 있어서, Cu-Kα 방사선을 사용하는 회절계로 측정하는 경우, 5.6, 11.2, 13.3, 15.0, 15.7, 16.1, 16.6, 19.1, 24.6, 25.0, 25.6, 및 26.8 ± 0.2 °2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6개의 피크를 포함하는 X-선 분말 회절(XRPD) 패턴을 특징으로 하는, 결정형 G.
  4. 제2항에 있어서, Cu-Kα 방사선을 사용하는 회절계로 측정하는 경우, 5.6, 11.2, 13.3, 15.0, 15.7, 16.1, 16.6, 19.1, 24.6, 25.0, 25.6, 및 26.8 ± 0.2 °2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10개의 피크를 포함하는 X-선 분말 회절(XRPD) 패턴을 특징으로 하는, 결정형 G.
  5. 하기 화학식 I의 화합물의 콜린 염의 결정형 O로서, Cu-Kα 방사선을 사용하는 회절계로 측정하는 경우, 8.4, 8.8, 9.3, 13.3, 14.3, 16.7, 17.0, 18.1, 19.4, 19.6, 19.9, 20.7, 20.9, 21.4, 21.7, 22.5, 23.4, 24.1, 및 25.5 ± 0.2 °2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3개의 피크를 포함하는 X-선 분말 회절(XRPD) 패턴을 특징으로 하는, 결정형 O:
    Figure 112023106769514-pct00075
  6. 제5항에 있어서, Cu-Kα 방사선을 사용하는 회절계로 측정하는 경우, 8.4, 8.8, 9.3, 16.7, 19.9, 20.7, 21.7, 22.5, 23.4, 및 25.5 ± 0.2 °2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6개의 피크를 포함하는 X-선 분말 회절(XRPD) 패턴을 특징으로 하는, 결정형 O.
  7. 하기 화학식 I의 화합물의 콜린 염의 결정형 Q로서, Cu-Kα 방사선을 사용하는 회절계로 측정하는 경우, 5.0, 5.2, 8.4, 9.6, 9.9, 11.5, 12.6, 12.8, 13.3, 14.4, 15.8, 16.1, 16.6, 17.5, 18.0, 19.3, 20.6, 20.7, 21.5, 21.7, 22.9, 23.7, 24.8, 25.1, 25.3, 25.3, 25.5, 26.3, 26.9, 27.0, 28.1, 28.8, 30.4, 31.2, 32.0, 35.7, 및 37.4 ± 0.2 °2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3개의 피크를 포함하는 X-선 분말 회절(XRPD) 패턴을 특징으로 하는, 결정형 Q:
    Figure 112023106769514-pct00076
  8. 제7항에 있어서, Cu-Kα 방사선을 사용하는 회절계로 측정하는 경우, 5.0, 8.4, 9.6, 9.9, 11.5, 12.8, 13.3, 14.4, 18.0, 19.3, 23.7, 및 25.5 ± 0.2 °2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6개의 피크를 포함하는 X-선 분말 회절(XRPD) 패턴을 특징으로 하는, 결정형 Q.
  9. 제7항에 있어서, Cu-Kα 방사선을 사용하는 회절계로 측정하는 경우, 5.0, 8.4, 9.6, 9.9, 11.5, 12.8, 13.3, 14.4, 18.0, 19.3, 23.7, 및 25.5 ± 0.2 °2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10개의 피크를 포함하는 X-선 분말 회절(XRPD) 패턴을 특징으로 하는, 결정형 Q.
  10. 하기 화학식 I의 화합물의 콜린 염의 결정형 R로서, Cu-Kα 방사선을 사용하는 회절계로 측정하는 경우, 5.1, 5.6, 8.0, 8.2, 8.4, 9.8, 11.2, 12.7, 13.4, 14.6, 15.1, 15.7, 16.1, 16.3, 16.7, 17.1, 17.8, 18.2, 18.5, 19.1, 19.9, 20.1, 21.1, 22.6, 23.0, 23.4, 24.0, 24.5, 24.7, 25.0, 25.6, 26.0, 26.6, 26.8, 27.1, 27.4, 27.7, 28.1, 29.3, 29.7, 30.6, 31.1, 31.7, 32.2, 32.8, 33.2, 33.5, 34.5, 34.8, 35.1, 35.4, 36.5, 37.6, 38.5, 39.5, 40.4, 41.3, 42.7, 및 44.4 °2θ, ± 0.2 °2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3개의 피크를 포함하는 X-선 분말 회절(XRPD) 패턴을 특징으로 하는, 결정형 R:
    Figure 112023106769514-pct00077
  11. 제10항에 있어서, Cu-Kα 방사선을 사용하는 회절계로 측정하는 경우, 5.6, 11.2, 15.1, 16.3, 16.7, 19.1, 20.1, 21.1, 23.0, 24.5, 25.0, 25.6, 26.0, 31.1, 32.8, 및 33.5 ± 0.2 °2θ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6개의 피크를 포함하는 X-선 분말 회절(XRPD) 패턴을 특징으로 하는, 결정형 R.
  12. 제10항에 있어서, Cu-Kα 방사선을 사용하는 회절계로 측정하는 경우, 5.6, 11.2, 15.1, 16.3, 16.7, 19.1, 20.1, 21.1, 23.0, 24.5, 25.0, 25.6, 26.0, 31.1, 32.8, 및 33.5 ± 0.2 °2θ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9개의 피크를 포함하는 X-선 분말 회절(XRPD) 패턴을 특징으로 하는, 결정형 R.
  13. 하기 화학식 I의 화합물의 콜린 염의 결정형 S로서, Cu-Kα 방사선을 사용하는 회절계로 측정하는 경우, 5.1, 8.4, 9.6, 10.0, 11.6, 12.9, 13.3, 14.4, 14.9, 15.8, 16.6, 17.4, 18.0, 19.2, 19.3, 20.6, 21.4, 21.7, 22.7, 23.7, 24.8, 25.4, 26.3, 26.8, 28.1, 28.7, 29.6, 30.3, 31.0, 31.9, 33.0, 34.0, 35.7, 37.4, 39.2, 40.5, 및 41.7 °2θ, ± 0.2 °2θ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3개의 피크를 포함하는 X-선 분말 회절(XRPD) 패턴을 특징으로 하는, 결정형 S:
    Figure 112023106769514-pct00078
  14. 제13항에 있어서, Cu-Kα 방사선을 사용하는 회절계로 측정하는 경우, 5.1, 8.4, 9.6, 10.0, 12.9, 13.3, 16.6, 17.4, 18.0, 19.2, 20.6, 21.4, 21.7, 23.7, 25.4, 및 28.1 °2θ ± 0.2 °2θ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6개의 피크를 포함하는 X-선 분말 회절(XRPD) 패턴을 특징으로 하는, 결정형 S.
  15. 제13항에 있어서, Cu-Kα 방사선을 사용하는 회절계로 측정하는 경우, 5.1, 8.4, 9.6, 10.0, 12.9, 13.3, 16.6, 17.4, 18.0, 19.2, 20.6, 21.4, 21.7, 23.7, 25.4, 및 28.1 °2θ ± 0.2 °2θ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10개의 피크를 포함하는 X-선 분말 회절(XRPD) 패턴을 특징으로 하는, 결정형 S.
  16. 하기 화학식 I의 화합물의 메글루민 염:
    Figure 112023106769514-pct00079
  17. 하기 화학식 I의 화합물의 메글루민 염의 결정형 H로서, Cu-Kα 방사선을 사용하는 회절계로 측정하는 경우, 5.3, 7.1, 10.7, 10.9, 16.1, 16.5, 17.7, 18.5, 20.3, 23.6, 24.9, 및 27.2 ± 0.2 °2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3개의 피크를 포함하는 X-선 분말 회절(XRPD) 패턴을 특징으로 하는, 결정형 H:
    Figure 112023106769514-pct00080
  18. 제17항에 있어서, Cu-Kα 방사선을 사용하는 회절계로 측정하는 경우, 5.3, 7.1, 10.7, 10.9, 16.1, 16.5, 17.7, 18.5, 20.3, 23.6, 24.9, 및 27.2 ± 0.2 °2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6개의 피크를 포함하는 X-선 분말 회절(XRPD) 패턴을 특징으로 하는, 결정형 H.
  19. 제17항에 있어서, Cu-Kα 방사선을 사용하는 회절계로 측정하는 경우, 5.3, 7.1, 10.7, 10.9, 16.1, 16.5, 17.7, 18.5, 20.3, 23.6, 24.9, 및 27.2 ± 0.2 °2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10개의 피크를 포함하는 X-선 분말 회절(XRPD) 패턴을 특징으로 하는, 결정형 H.
  20. 하기 화학식 I의 화합물의 메글루민 염의 결정형 L로서, Cu-Kα 방사선을 사용하는 회절계로 측정하는 경우, 5.3, 7.9, 8.5, 9.0, 9.9, 10.6, 10.9, 11.6, 12.0, 12.6, 13.1, 14.5, 14.8, 15.0, 15.3, 15.9, 16.2, 16.9, 17.4, 17.8, 18.0, 18.4, 18.8, 19.2, 20.2, 20.8, 21.3, 21.7, 22.1, 23.2, 23.8, 24.5, 25.2, 25.5, 26.3, 26.9, 27.3, 27.9, 28.4, 28.9, 29.2, 29.8, 30.3, 30.6, 31.1, 32.1, 32.8, 34.1, 34.5, 34.9, 35.1, 36.0, 36.5, 37.5, 38.0, 38.9, 39.6, 40.7, 41.7, 42.5, 및 42.9 °2θ, ± 0.2 °2θ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3개의 피크를 포함하는 X-선 분말 회절(XRPD) 패턴을 특징으로 하는, 결정형 L:
    Figure 112023106769514-pct00081
  21. 제20항에 있어서, Cu-Kα 방사선을 사용하는 회절계로 측정하는 경우, 8.5, 9.0, 10.9, 15.0, 16.9, 20.2, 21.7, 23.8, 24.5, 25.2, 26.3, 29.2, 및 29.8 °2θ ± 0.2 °2θ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6개의 피크를 포함하는 X-선 분말 회절(XRPD) 패턴을 특징으로 하는, 결정형 L.
  22. 제20항에 있어서, Cu-Kα 방사선을 사용하는 회절계로 측정하는 경우, 8.5, 9.0, 10.9, 15.0, 16.9, 20.2, 21.7, 23.8, 24.5, 25.2, 26.3, 29.2, 및 29.8 °2θ ± 0.2 °2θ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10개의 피크를 포함하는 X-선 분말 회절(XRPD) 패턴을 특징으로 하는, 결정형 L.
  23. 하기 화학식 I의 화합물의 메글루민 염의 결정형 M으로서, Cu-Kα 방사선을 사용하는 회절계로 측정하는 경우, 6.5, 8.5, 9.0, 9.9, 10.6, 11.6, 14.4, 14.8, 15.0, 15.3, 15.9, 16.1, 16.9, 17.8, 18.0, 19.0, 20.4, 20.8, 21.3, 21.7, 23.6, 24.5, 25.2, 26.3, 26.9, 27.5, 27.9, 28.5, 28.9, 29.8, 30.6, 32.1, 32.8, 33.8, 34.5, 36.0, 36.4, 37.1, 38.0, 39.7, 40.7, 41.7, 43.0, 및 44.0 °2θ ± 0.2 °2θ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3개의 피크를 포함하는 X-선 분말 회절(XRPD) 패턴을 특징으로 하는, 결정형 M:
    Figure 112023106769514-pct00082
  24. 제23항에 있어서, Cu-Kα 방사선을 사용하는 회절계로 측정하는 경우, 8.5, 9.0, 14.8, 15.0, 16.9, 18.0, 21.7, 24.5, 25.2, 26.3, 및 29.8 °2θ ± 0.2 °2θ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6개의 피크를 포함하는 X-선 분말 회절(XRPD) 패턴을 특징으로 하는, 결정형 M.
  25. 제23항에 있어서, Cu-Kα 방사선을 사용하는 회절계로 측정하는 경우, 8.5, 9.0, 14.8, 15.0, 16.9, 18.0, 21.7, 24.5, 25.2, 26.3, 및 29.8 ± 0.2 °2θ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9개의 피크를 포함하는 X-선 분말 회절(XRPD) 패턴을 특징으로 하는, 결정형 M.
  26. 하기 화학식 I의 화합물의 메글루민 염의 결정형 N으로서, Cu-Kα 방사선을 사용하는 회절계로 측정하는 경우, 4.3, 5.0, 5.4, 6.1, 7.5, 7.9, 8.9, 9.5, 10.0, 10.8, 11.4, 12.1, 12.5, 13.8, 14.3, 14.8, 15.6, 16.1, 16.7, 17.4, 18.1, 19.2, 19.5, 20.1, 20.9, 21.4, 21.5, 22.1, 22.5, 23.9, 24.6, 25.3, 26.3, 26.7, 27.1, 27.6, 28.2, 29.0, 30.4, 30.9, 32.0, 32.9, 33.9, 34.7, 36.9, 38.3, 39.1, 39.6, 40.2, 및 41.4 °2θ, ± 0.2 °2θ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3개의 피크를 포함하는 X-선 분말 회절(XRPD) 패턴을 특징으로 하는, 결정형 N:
    Figure 112023106769514-pct00083
  27. 제26항에 있어서, Cu-Kα 방사선을 사용하는 회절계로 측정하는 경우, 6.1, 7.9, 8.9, 9.5, 10.0, 12.5, 14.3, 14.8, 15.6, 16.1, 17.4, 18.1, 19.5, 20.9, 21.4, 21.5, 23.9, 24.6, 25.3, 및 29.0 °2θ ± 0.2 °2θ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6개의 피크를 포함하는 X-선 분말 회절(XRPD) 패턴을 특징으로 하는, 결정형 N.
  28. 제26항에 있어서, Cu-Kα 방사선을 사용하는 회절계로 측정하는 경우, 6.1, 7.9, 8.9, 9.5, 10.0, 12.5, 14.3, 14.8, 15.6, 16.1, 17.4, 18.1, 19.5, 20.9, 21.4, 21.5, 23.9, 24.6, 25.3, 및 29.0 °2θ ± 0.2 °2θ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10개의 피크를 포함하는 X-선 분말 회절(XRPD) 패턴을 특징으로 하는, 결정형 N.
  29. 하기 화학식 I의 화합물의 메글루민 염의 결정형 T로서, Cu-Kα 방사선을 사용하는 회절계로 측정하는 경우, 6.9, 8.2, 8.4, 9.4, 11.6, 15.0, 15.1, 15.5, 17.2, 17.8, 18.1, 20.5, 21.3, 21.9, 22.3, 23.5, 25.0, 및 26.7 ± 0.2 °2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3개의 피크를 포함하는 X-선 분말 회절(XRPD) 패턴을 특징으로 하는, 결정형 T:
    Figure 112023106769514-pct00084
  30. 제29항에 있어서, Cu-Kα 방사선을 사용하는 회절계로 측정하는 경우, 6.9, 8.4, 9.4, 11.6, 15.5, 17.2, 21.3, 21.9, 22.3, 23.5, 25.0, 및 26.7 ± 0.2 °2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6개의 피크를 포함하는 X-선 분말 회절(XRPD) 패턴을 특징으로 하는, 결정형 T.
  31. 제29항에 있어서, Cu-Kα 방사선을 사용하는 회절계로 측정하는 경우, 6.9, 8.4, 9.4, 11.6, 15.5, 17.2, 21.3, 21.9, 22.3, 23.5, 25.0, 및 26.7 ± 0.2 °2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10개의 피크를 포함하는 X-선 분말 회절(XRPD) 패턴을 특징으로 하는, 결정형 T.
  32.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부형제 및 제1항에 따른 염, 제16항에 따른 염, 제2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결정형, 또는 제17항 내지 제31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결정형을 포함하는, 약제학적 제형.
  33.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부형제 및 하기 화학식 I에 따른 화합물의 콜린 염 또는 메글루민 염을 필수적으로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입자를 포함하는, 약제학적 제형으로서, 입자의 평균 직경이 50 μm 미만인, 약제학적 제형:
    Figure 112023106769514-pct00085
    .
  34. 제33항에 있어서, 입자의 평균 직경이 25 μm 미만인, 약제학적 제형.
  35. 삭제
  36. 삭제
  37. 삭제
  38. 삭제
  39. 삭제
  40. 삭제
  41. 삭제
  42. 삭제
  43. 삭제
  44. 삭제
  45. 삭제
  46. 삭제
  47. 삭제
  48. 삭제
  49. 삭제
  50. 삭제
  51. 삭제
  52. 삭제
  53. 삭제
  54. 삭제
  55. 삭제
  56. 삭제
  57. 삭제
  58. 삭제
KR1020177037752A 2015-06-12 2016-06-10 (z)-4-(5-((3-벤질-4-옥소-2-티옥소티아졸리딘-5-일리덴)메틸)푸란-2-일)벤조산의 고체형 KR10266385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562175066P 2015-06-12 2015-06-12
US62/175,066 2015-06-12
US201662275655P 2016-01-06 2016-01-06
US62/275,655 2016-01-06
PCT/US2016/037067 WO2016201356A1 (en) 2015-06-12 2016-06-10 Solid forms of (z)-4-(5-((3-benzyl-4-oxo-2-thioxothiazolidin-5-ylidene)methyl)furan-2-yl)benzoic acid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16443A KR20180016443A (ko) 2018-02-14
KR102663856B1 true KR102663856B1 (ko) 2024-05-07

Family

ID=575045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37752A KR102663856B1 (ko) 2015-06-12 2016-06-10 (z)-4-(5-((3-벤질-4-옥소-2-티옥소티아졸리딘-5-일리덴)메틸)푸란-2-일)벤조산의 고체형

Country Status (13)

Country Link
US (2) US10723726B2 (ko)
EP (1) EP3307722B1 (ko)
JP (1) JP2018521121A (ko)
KR (1) KR102663856B1 (ko)
CN (1) CN107848991B (ko)
AU (2) AU2016275125A1 (ko)
BR (2) BR112017026406A2 (ko)
CA (2) CA3221219A1 (ko)
ES (1) ES2896674T3 (ko)
IL (1) IL256237B (ko)
NZ (1) NZ738836A (ko)
SG (1) SG10201911442XA (ko)
WO (1) WO201620135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2016275125A1 (en) 2015-06-12 2018-01-25 Gb006, Inc. Solid forms of (z)-4-(5-((3-benzyl-4-oxo-2-thioxothiazolidin-5-ylidene)methyl)furan-2-yl)benzoic acid
US20200123146A1 (en) * 2016-12-29 2020-04-23 Gb006, Inc. Heterocyclic integrin agonists
WO2018178133A1 (en) * 2017-03-30 2018-10-04 Merck Patent Gmbh Solid form of (s)-[2-chloro-4-fluoro-5-(7-morpholin-4-ylquinazolin-4-yl)phenyl]-(6-methoxy-pyridazin-3-yl)methanol
JP7416540B2 (ja) * 2018-11-28 2024-01-17 羅欣薬業(上海)有限公司 エストロゲン受容体ダウンレギュレーターの塩形態、結晶形及びその製造方法
WO2020236667A1 (en) 2019-05-17 2020-11-26 Gb006, Inc. Methods of treating cancer
WO2021061665A1 (en) * 2019-09-23 2021-04-01 Gb006, Inc. Integrin agonist prodrugs
WO2021096988A1 (en) 2019-11-12 2021-05-20 Gb006, Inc. Crystalline salt forms of (z)-4-(5-((3-benzyl-4-oxo-2-thioxothiazolidin-5-ylidene)methyl)furan-2-yl)benzoic acid
WO2023039170A1 (en) * 2021-09-09 2023-03-16 Musc Foundation For Research Development Selective targeting of cd38 activity as an immunostimulatory and antitumor strategy
WO2024081449A1 (en) * 2022-10-14 2024-04-18 Rush University Medical Center Cd11b agonists for treatment of autoimmune diseas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002526A1 (en) 2002-04-03 2004-01-01 Cell Therapeutics, Inc. Phospholipase D inhibitors and uses thereof
WO2012005800A1 (en) * 2010-07-08 2012-01-12 Adhaere Pharamaceuticals, Inc. Compounds and methods for regulating integrin cd11b/cd18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042213A1 (en) 2003-08-14 2005-02-24 Insight Biopharmaceuticals Ltd. Methods and pharmaceutical compositions for modulating heparanase activation and uses thereof
TW200526638A (en) 2003-10-22 2005-08-16 Smithkline Beecham Corp 2-(3,4-dimethylphenyl)-4-{[2-hydroxy-3'-(1H-tetrazol-5-yl)biphenyl-3-yl]-hydrazono}-5-methyl-2,4-dihydropyrazol-3-one choline
FI20041129A0 (fi) 2004-08-30 2004-08-30 Ctt Cancer Targeting Tech Oy Tioksotiatsolidinoniyhdisteitä lääkkeinä käytettäviksi
US7718680B2 (en) * 2004-09-23 2010-05-18 Burnham Institute For Medical Research Inhibition of lethal factor protease activity from anthrax toxin
ITMI20042475A1 (it) * 2004-12-23 2005-03-23 Cell Therapeutics Europe Srl Uso di derivati tiazolidinonici come agenti terapeutici
US8338465B2 (en) * 2006-06-08 2012-12-25 Cornell Research Foundation, Inc. Cyclic carboxylic acid rhodanine derivatives for the treatment and prevention of tuberculosis
WO2008082537A2 (en) 2006-12-19 2008-07-10 The General Hospital Corporation Compounds for modulating integrin cd11b/cd18
WO2008091532A1 (en) * 2007-01-19 2008-07-31 Panacos Pharmaceuticals, Inc. Salts of 3-o-(3',3'-dimethylsuccinyl)betulinic acid and solid state forms thereof
CN103159695B (zh) * 2011-12-08 2015-08-12 首都师范大学 可抑制hiv复制并对耐药hiv病毒株有效的噻唑类化合物及其制备方法和用途
WO2013159082A1 (en) 2012-04-20 2013-10-24 Adhaere Pharmaceuticals, Inc. Compounds and methods for regulating integrins
AU2016275125A1 (en) 2015-06-12 2018-01-25 Gb006, Inc. Solid forms of (z)-4-(5-((3-benzyl-4-oxo-2-thioxothiazolidin-5-ylidene)methyl)furan-2-yl)benzoic acid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002526A1 (en) 2002-04-03 2004-01-01 Cell Therapeutics, Inc. Phospholipase D inhibitors and uses thereof
WO2012005800A1 (en) * 2010-07-08 2012-01-12 Adhaere Pharamaceuticals, Inc. Compounds and methods for regulating integrin cd11b/cd18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2020270457A1 (en) 2020-12-10
US11111239B2 (en) 2021-09-07
EP3307722A4 (en) 2018-12-05
ES2896674T3 (es) 2022-02-25
CN107848991A (zh) 2018-03-27
IL256237B (en) 2021-12-01
KR20180016443A (ko) 2018-02-14
CA2988584C (en) 2024-01-23
US20200317657A1 (en) 2020-10-08
JP2018521121A (ja) 2018-08-02
CA2988584A1 (en) 2016-12-15
BR122023025347A2 (pt) 2024-01-16
US20180354938A1 (en) 2018-12-13
SG10201911442XA (en) 2020-02-27
CA3221219A1 (en) 2016-12-15
IL256237A (en) 2018-02-28
WO2016201356A1 (en) 2016-12-15
US10723726B2 (en) 2020-07-28
CN107848991B (zh) 2022-01-14
EP3307722B1 (en) 2021-08-04
AU2016275125A1 (en) 2018-01-25
BR112017026406A2 (pt) 2019-04-02
EP3307722A1 (en) 2018-04-18
NZ738836A (en) 2024-03-22
AU2020270457B2 (en) 2022-10-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63856B1 (ko) (z)-4-(5-((3-벤질-4-옥소-2-티옥소티아졸리딘-5-일리덴)메틸)푸란-2-일)벤조산의 고체형
JP7000357B2 (ja) 免疫調節剤としての複素環化合物
KR102408262B1 (ko) 비시클릭 헤테로사이클 화합물 및 요법에서의 그의 용도
TWI813566B (zh) 醫藥組成物
JP2021501790A (ja) 統合的ストレス経路の調節剤
KR20150139955A (ko) 암 치료에 사용하기 위한 2-아세틸나프토[2,3-b]푸란-4,9-디온
JP2021176819A (ja) キナゾリン化合物を有効成分とする医薬組成物
CN115803330A (zh) 4-氨基-5-(6-(4-甲基哌嗪-1-基)-1H-苯并[d]咪唑-2-基)噻吩并[2,3-b]吡啶-6(7H)-酮的盐和晶型
JP7291839B2 (ja) 固体形態のcdk4阻害薬
CN112672744A (zh) 抑制二氢乳清酸脱氢酶的方法和组合物
JP2022518175A (ja) (s)-4-(4-(4-(((2-(2,6-ジオキソピペリジン-3-イル)-1-オキソイソインドリン-4-イル)オキシ)メチル)ベンジル)ピペラジン-1-イル)-3-フルオロベンゾニトリルを含む固体形態及びその塩、ならびにそれらを含む組成物及びその使用方法
US20230227443A1 (en) Solid forms of(z)-4-(5-((3-benzyl-4-oxo-2-thioxothiazolidin-5-ylidene)methyl)furan-2-yl)benzoic acid
KR20210116529A (ko) Nlrp3 조정제
WO2021096988A1 (en) Crystalline salt forms of (z)-4-(5-((3-benzyl-4-oxo-2-thioxothiazolidin-5-ylidene)methyl)furan-2-yl)benzoic acid
RU2786994C2 (ru) Фармацевтическое соединение
KR20230124648A (ko) Eif4e 억제제의 고체 형태
WO2024076614A2 (en) Multi-cyclic irak and flt3 inhibiting compounds and uses thereof
WO2023250431A2 (en) Multi-cyclic irak and flt3 inhibiting compounds and uses thereof
EA045568B1 (ru) Солевые и кристаллические формы 4-амино-5-(6-(4-метилпиперазин-1-ил)-1н-бензо[d]имидазол-2-ил)тиено[2,3-в]пиридин-6(7н)-она
CN116507620A (zh) Cdk4抑制剂的固体形式
CA2994184A1 (en) Quinoxalinyl-piperazinamide methods of us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