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63786B1 - 엔진 소기 공기를 이용하는 공기 윤활 시스템을 갖는 선박 - Google Patents

엔진 소기 공기를 이용하는 공기 윤활 시스템을 갖는 선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63786B1
KR102663786B1 KR1020180139252A KR20180139252A KR102663786B1 KR 102663786 B1 KR102663786 B1 KR 102663786B1 KR 1020180139252 A KR1020180139252 A KR 1020180139252A KR 20180139252 A KR20180139252 A KR 20180139252A KR 102663786 B1 KR102663786 B1 KR 1026637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engine
compressor
exhaust gas
scaveng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392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55517A (ko
Inventor
황종규
Original Assignee
한화오션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화오션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화오션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392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63786B1/ko
Publication of KR202000555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555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637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637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00Hydrodynamic or hydrostatic features of hulls or of hydrofoils
    • B63B1/32Other means for varying the inherent hydrodynamic characteristics of hulls
    • B63B1/34Other means for varying the inherent hydrodynamic characteristics of hulls by reducing surface friction
    • B63B1/38Other means for varying the inherent hydrodynamic characteristics of hulls by reducing surface friction using air bubbles or air layers gas filled volum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HMARINE PROPULSION OR STEERING
    • B63H21/00Use of propulsion power plant or units on vessels
    • B63H21/12Use of propulsion power plant or units on vessels the vessels being motor-driven
    • B63H21/14Use of propulsion power plant or units on vessels the vessels being motor-driven relating to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BINTERNAL-COMBUSTION PISTON ENGINES;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 F02B29/00Engines characterised by provision for charging or scavenging not provided for in groups F02B25/00, F02B27/00 or F02B33/00 - F02B39/00; Details thereof
    • F02B29/04Cooling of air intake supp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BINTERNAL-COMBUSTION PISTON ENGINES;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 F02B39/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relating to, driven charging or scavenging pump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02B33/00 - F02B37/00
    • B63B2758/00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10Internal combustion engine [ICE] based vehicles
    • Y02T10/12Improving ICE efficienc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70/00Maritime or waterways transport
    • Y02T70/10Measures concerning design or construction of watercraft hu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Fluid Mechan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Supercharger (AREA)
  • Exhaust-Gas Circulating Devices (AREA)

Abstract

공기 윤활 시스템을 갖는 선박이 제공된다.
상기 공기 윤활 시스템은, 공기 흡입구에서 흡입된 공기를 압축시키는 공기 압축기(12)와; 상기 공기 압축기에서 압축되어 온도가 상승한 공기를 냉각시키는 공기 냉각기(14)와; 상기 공기 냉각기에서 냉각된 공기를 수용하고, 선체 저부의 공기 배출구를 통해 공기를 배출시키는 공기 챔버(16)와; 상기 공기 압축기, 상기 공기 냉각기 및 상기 공기 챔버를 연결하는 공기 배관(10)과; 선박의 엔진에 연소용 공기를 공급하는 엔진 급기 시스템(20)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공기 배관에 접속하는 연결 배관(22); 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엔진 급기 시스템(20)에서 생성된 후 상기 엔진에 공급되지 않은 잉여 소기는 상기 연결 배관(22)을 통하여 상기 공기 윤활 시스템에 공급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Description

엔진 소기 공기를 이용하는 공기 윤활 시스템을 갖는 선박 {SHIP HAVING AIR LUBRICATION SYSTEM USING ENGINE SCAVENGE AIR}
본 발명은 선박의 저부에 공기층을 형성하여 물과의 마찰저항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한 공기 윤활 시스템을 갖는 선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엔진의 효율을 높이기 위해 선박에 설치되는 터보차저에서 생성된 엔진 소기 공기를 이용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공기 윤활 시스템을 갖는 선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선박의 항해시에는 선체의 표면과 물 사이에 마찰저항이 작용하게 된다. 선체가 대형일수록 이러한 마찰저항은 선체에 작용하는 저항의 거의 대부분을 차지하기 때문에 선박의 항해시의 마찰저항의 감소는 매우 중요한 과제가 되고 있다.
에너지 절약 기술의 일례로서, 선체 저부에 공기 버블(air bubble)을 공급하여 마찰저항을 저감하는 공기 윤활 기술이 있는데, 에너지 절약 효과가 크기 때문에, 선박의 엔진 부하를 경감시켜 선박으로부터의 이산화탄소 배출 억제에 매우 유효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선박의 마찰저항은 침수 표면적의 크기에 비례하기 때문에, 공기 윤활 기술은 공기층을 선체 표면에 형성하여 물과 선체 표면이 접하는 침수 표면적의 크기를 줄임으로써, 선체의 마찰저항을 감소시킨다.
공기층 형성은 선박의 운항 속도와 해상 상태에 따른 선체 운동에 의해 크게 영향을 받기 때문에, 안정적인 공기층 형성을 위하여 선박의 다양한 운항 속도와 선체 운동시에도 선저 공기 분출구에 균일한 공기 공급이 되어야 마찰저항 저감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선체 저부에 안정적인 공기층을 형성하고 유지하기 위해서는 계속해서 공기를 압축한 후 선체 저부에 공급해야 하고, 그로 인해 공기를 압축하는 압축기에서 상당량의 에너지를 소모할 수밖에 없다. 따라서, 공기 윤활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압축공기 생성에 소요되는 에너지를 절약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한 연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여러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선박의 저부에 공기층을 형성하여 물과의 마찰저항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한 공기 윤활 시스템을 갖는 선박에 있어서, 공기층의 형성을 위하여 압축공기를 생성하는 압축기의 부하를 낮추기 위해, 엔진의 효율을 높이기 위해 선박에 설치되는 터보차저에서 생성된 엔진 소기 공기를 이용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공기 윤활 시스템을 갖는 선박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공기 윤활 시스템을 갖는 선박으로서, 공기 흡입구에서 흡입된 공기를 압축시키는 공기 압축기와; 상기 공기 압축기에서 압축되어 온도가 상승한 공기를 냉각시키는 공기 냉각기와; 상기 공기 냉각기에서 냉각된 공기를 수용하고, 선체 저부의 공기 배출구를 통해 공기를 배출시키는 공기 챔버와; 상기 공기 압축기, 상기 공기 냉각기 및 상기 공기 챔버를 연결하는 공기 배관과; 선박의 엔진에 연소용 공기를 공급하는 엔진 급기 시스템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공기 배관에 접속하는 연결 배관; 을 포함하며, 상기 엔진 급기 시스템에서 생성된 후 상기 엔진에 공급되지 않은 잉여 소기는 상기 연결 배관을 통하여 상기 공기 윤활 시스템에 공급되도록 구성되는, 공기 윤활 시스템을 갖는 선박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엔진 급기 시스템은, 배기가스의 배출압력을 이용하여 엔진에 공급되고 있는 공기를 압축시켜 소기를 발생시키는 터보차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터보차저는, 배기가스로 구동되는 터빈과, 상기 터빈에 의해 구동되어 흡입공기를 압축하는 압축기를 포함할 수 있다. 흡입공기를 엔진에서 필요한 양 이상으로 압축하여 과급된 잉여 소기가 발생할 경우, 상기 압축기에서 배출된 잉여 소기 중 적어도 일부를 상기 연결 배관을 통하여 상기 공기 윤활 시스템에 공급할 수 있다.
상기 연결 배관은, 상기 공기 배관에 있어서 상기 공기 압축기의 하류측에 접속될 수 있다.
상기 공기 챔버의 개수는 상기 공기 압축기의 개수보다 많게 구성되고, 상기 공기 배관은 다수의 분기배관으로 분기될 수 있다.
상기 엔진 급기 시스템은, 배기가스를 재순환시키는 배기가스 재순환(EGR)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엔진 급기 시스템은, 상기 터보차저에 포함된 압축기의 하류측에서 분기하여, 상기 압축기에서 생성된 소기 중 적어도 일부를 상기 배기가스 재순환 유닛으로 공급하기 위한 소기 바이패스 라인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결 배관은, 상기 소기 바이패스 라인으로부터 분기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공기 윤활 시스템을 갖는 선박에서 압축된 공기를 공급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공기 윤활 시스템은, 공기 흡입구에서 흡입된 공기를 압축시키는 공기 압축기와; 상기 공기 압축기에서 압축되어 온도가 상승한 공기를 냉각시키는 공기 냉각기와; 상기 공기 냉각기에서 냉각된 공기를 수용하고, 선체 저부의 공기 배출구를 통해 공기를 배출시키는 공기 챔버와; 상기 공기 압축기, 상기 공기 냉각기 및 상기 공기 챔버를 연결하는 공기 배관과; 선박의 엔진에 연소용 공기를 공급하는 엔진 급기 시스템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공기 배관에 접속하는 연결 배관; 을 포함하며, 상기 엔진 급기 시스템에서 생성된 후 상기 엔진에 공급되지 않은 잉여 소기는 상기 연결 배관을 통하여 상기 공기 윤활 시스템에 공급되어, 상기 공기 윤활 시스템에 포함된 상기 공기 압축기의 부하를 경감시키는 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엔진의 효율을 높이기 위해 선박에 설치되는 터보차저에서 생성된 엔진 소기 공기를 이용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공기 윤활 시스템을 갖는 선박이 제공될 수 있다.
그로 인해, 본 발명의 공기 윤활 시스템을 갖는 선박에 의하면, 물과의 마찰저항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선박의 저부에 공급되는 압축공기를 생성하기 위해 압축기에서 소모하는 에너지를 감소시킬 수 있게 된다.
따라서, 공기 윤활 시스템에서 소요되는 에너지를 감소시킴으로써, 전체 선박에서 소요되는 동력을 최소화하여 최대의 연료 절감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 윤활 시스템을 갖는 선박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 윤활 시스템에 엔진 소기 공기를 공급하는 엔진 급기 시스템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공기 윤활 시스템을 갖는 선박을,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에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 윤활 시스템을 갖는 선박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측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공기 윤활 시스템을 갖는 선박(1)은, 공기 흡입구에서 흡입된 공기를 압축시키는 공기 압축기(12)와, 압축되면서 온도가 상승한 공기를 냉각시키는 공기 냉각기(14)와, 선체의 저부에 형성되어 냉각된 공기를 수용하고, 공기방울 형태로 선체 저부의 공기 배출구를 통해 배출시키는 공기 챔버(16)를 포함한다. 공기 압축기(12), 공기 냉각기(14) 및 공기 챔버(16)는, 공기 배관(10)을 통해 서로 연결되어 있다.
공기 배관(10), 상세하게는, 공기 압축기(12)와 공기 냉각기(14) 사이의 공기 배관(10)에는 엔진 급기 시스템(20)으로부터 연장되는 연결 배관(22)이 연결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연결 배관(22)을 통하여, 엔진 급기 시스템(20)에서 생성된 후 사용되지 않은 잉여의 엔진 소기 공기가 공기 윤활 시스템에 공급될 수 있다.
도 1에는 공기 압축기(12), 공기 냉각기(14) 및 공기 챔버(16)가 각각 하나씩 도시되어 있지만, 필요에 따라, 공기 압축기(12), 공기 냉각기(14) 및 공기 챔버(16)는 각각 2개 이상 설치될 수 있다. 또, 도 1에는 공기 압축기(12), 공기 냉각기(14) 및 공기 챔버(16)를 하나의 공기 배관(10)으로 연결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공기 압축기(12), 공기 냉각기(14) 및 공기 챔버(16)가 2개 이상 설치될 경우, 공기 배관(10)도 2개 이상 설치될 수 있다. 또한, 공기 압축기(12) 및 공기 냉각기(14)의 개수보다 공기 챔버(16)의 개수가 많게 구성될 수도 있으며, 이 경우에는 하나 혹은 2개 이상의 공기 배관(10) 각각이 다수의 분기배관으로 분기될 수 있다.
공기 압축기(12)는, 도시하지 않은 공기 흡입구를 통하여 공기를 흡입하여 압축한 다음, 공기 챔버(16)에 공급한다. 예를 들어, 리던던시 혹은 유지보수의 필요에 의해, 공기 압축기(12)는 2개 이상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엔진 급기 시스템(20)으로부터 과급된 소기 공기를, 연결 배관(22)을 통하여 공기 윤활 시스템에서 공급받을 수 있으므로, 공기 압축기(12)의 부하를 감소시킬 수 있다. 공기 압축기(12)의 부하가 감소되면, 공기 압축기(12)에서 사용하는 전기 에너지의 소모량이 감소하므로 선박에서의 총 에너지 소모량이 감소하여 발전용 엔진의 부하를 경감시킬 수 있다. 결과적으로 발전용 엔진에서 소비하는 연료량을 감소시켜 비용절감은 물론, 공해물질 배출량을 감소시킬 수 있게 된다.
도 1에서는 공기 챔버(16)가 선체 저부에 형성되는 것을 바람직한 실시예로 들고 있지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공기 챔버(16)는 공기를 수용할 수 있는 구조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적용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만곡된 선저부와 같이 선체 내부에 형성되는 공간일 수 있고, 또는 별도의 부재로 외측에 형성되는 공간일 수도 있다.
도 2에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 윤활 시스템에 엔진 소기 공기를 공급하는 엔진 급기 시스템의 일례가 도시되어 있다.
엔진 급기 시스템(20)은, 엔진의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해 배기가스의 배출압력을 이용하여 엔진에 공급되고 있는 공기를 압축시키는 터보차저(Turbo Charger; 100)와, 환경오염 방지를 위하여 배기가스를 재순환시키는 배기가스 재순환(Exhaust Gas Recirculation; EGR) 유닛(500)을 포함할 수 있다.
MARPOL ANNEX VI Regulation 13 개정에 의거, 2016년 1월 1일 이후 용골 거치하는 선박에 대해서는, 배기가스 통제지역(ECA :Emission Control Area)을 운행할 경우, 주 엔진(Main Engine) 및 발전기 엔진(Diesel Generator Engine)은 IMO NOx Tier III 를 만족하여야 한다.
주 엔진에 대한 IMO NOx Tier III 조건을 만족시키기 위하여 개발된 기술로는 EGR(Exhaust Gas Recirculation) 과 SCR(Selective Catalytic Reduction) 2가지 방법이 있는데, 그 중 EGR 기술을 적용하였을 경우, ECA 내에서 Tier III 운전을 하기 위해 주기 엔진에 요구되는 냉각수 유량 및 열량이 증가하여, 기존보다 용량이 더 큰 해수 냉각 펌프(main cooling SW pump)를 설치해야 한다.
이와 같이, 선박이 배기가스 통제지역을 운행할 경우에는 주 엔진에서 배출하는 배기가스 배출을 제한해야 하므로, IMO NOx Tier III 를 만족하기 위해서는 배기가스 재순환 유닛을 구동시킬 수 있다. 그러나, 선박이 배기가스 통제지역을 벗어나서 운행하는 경우에는 IMO NOx Tier II 만을 만족하면 되므로, 배기가스 재순환(EGR) 유닛을 구동시키지 않을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엔진 급기 시스템(20)은, 선박에 마련되는 엔진(E)에서 배출되는 배기가스로 구동되는 터빈(110)에 의해, 흡입공기를 압축하여 엔진에 소기(scavenge air)를 공급하는 터보차저(100)를 포함할 수 있다. 또, 엔진 급기 시스템(20)은, 터보차저(100)의 상류측에서 분기하여, 터보차저(100)의 터빈(110)을 구동하고 배출되는 배기가스 라인으로 연결되는 배기가스 바이패스 라인(BL1)과, 이 배기가스 바이패스 라인(BL1)에 마련되는 바이패스 밸브(200)를 포함할 수 있다.
배기가스 바이패스 라인(BL1)은 엔진에서 배출된 배기가스가 터보차저(100)를 우회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필요시 배기가스 바이패스 라인(BL1)을 통해 터보차저(100)로 유입되는 배기가스의 양을 감소시키거나 차단하여 엔진으로 공급되는 소기의 양을 감소시킬 수 있다.
엔진의 효율을 높이기 위하여, 엔진(E)에는 터보차저(100)에 의해, 즉, 터보차저(100)의 터빈(110)과 동축으로 연결된 압축기(120)에 의해 고압으로 압축된 흡입공기가 공급되는데, 이것을 소기(scavenge air)라고 한다. 터보차저(100)는 배기가스로 구동되는 터빈(110)과, 이 터빈(110)에 의해 구동되어 흡입공기를 압축하는 압축기(120)를 포함한다.
터보차저(100)를 거친 공기는 압축으로 인해 고온 상태가 되므로 엔진(E)으로 공급되기 전에 냉각될 필요가 있으므로, 이를 위해 터보차저(100)의 하류에는 소기를 냉각하기 위한 소기 냉각기(400)가 설치될 수 있다.
소기 냉각기의 하류에는 소기 중에 포함된 수분을 걸러내어 배출시키는 WMC(Water Mist Catcher)(450)가 마련될 수 있다.
저온 환경에서는 외기의 온도가 낮아짐에 따라 엔진으로 도입되는 소기의 밀도가 높아지게 된다. 이에 따라 밀도가 높은 소기가 엔진 연소공기로 공급되면 엔진 실린더 내부의 온도가 상승하면서 과도한 열응력을 받게 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 엔진으로 공급되는 소기의 양을 줄일 수 있는데, 소기의 양을 줄이기 위해 본 실시예에서는 배기가스 바이패스 라인(BL1)을 마련하여 터보차저(100)로 유입되는 배기가스의 양을 감소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엔진 급기 시스템(20)은, 터보차저(100) 및 배기가스 바이패스 라인(BL1)의 상류에 설치되며, 엔진(E)으로부터 배출되는 배기가스를 배기가스 라인(EL)을 통해 전달받아 수용하는 배기가스 리시버(ER)를 포함할 수 있다. 또, 엔진 급기 시스템(20)은, 배기가스 리시버(ER)로부터 배기가스 재순환 라인(ERL)을 통해 배기가스를 공급받아 탈질 및 압축하여 엔진의 소기를 공급하는 배기가스 재순환 유닛(500)을 포함할 수 있다.
배기가스 재순환 유닛(500)은 배기가스 리시버(ER)로부터 공급되는 배기가스에 포함된 질소 산화물(NOx)을 제거하여 재순환시킴으로써 국제협약에 따른 배기가스의 대기배출 기준을 충족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배기가스 재순환 유닛(500)은, 배기가스 리시버(ER)로부터 공급받은 배기가스를 냉각하는 배기가스 재순환 냉각기(510)와, 이 배기가스 재순환 냉각기(510)에서 냉각된 배기가스에 포함된 질소산화물을 제거하는 탈질 스크러버(520)와, 배기가스에 포함된 수분을 걸러내어 배출시키는 WMC(Water Mist Catcher)(530)을 포함할 수 있다.
배기가스 재순환 라인(ERL)에 있어서 배기가스 재순환 유닛(500)의 상류에는, 배기가스 리시버(ER)로부터 배기가스 재순환 유닛(500)으로 공급되는 배기가스를 차단하는 밸브(600)가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밸브(600)와 배기가스 재순환 유닛(500) 사이에는 전-스크러버(pre-scrubber)(610)가 설치될 수 있어, 배기가스 재순환 유닛(500)에 도입되기에 앞서 배기가스에 포함된 황산화물(SOx particular matter)을 제거하고 가스의 온도 섭씨 80 내지 100도 정도로 강하시킬 수 있다. 전-스크러버(610)에서는 NaOH를 포함하는 청수(Fresh Water)를 분사하여 배기가스를 중화할 수도 있다. 전-스크러버(610)를 통해 배기가스의 온도를 낮추고, 배기가스 중 황산화물을 제거함으로써 하류측 장비의 부식을 방지할 수도 있다.
터보차저(100)의 하류에는 터보차저(100)를 통과하면서 압축된 소기를 엔진(E)에 공급하기 전에 일시적으로 수용하는 소기 리시버(SR)가 설치될 수 있다. 터보차저(100)의 압축기(120)에서 배출된 소기는, 소기 라인(SL)을 통해 소기 리시버(SR)로 공급될 수 있다.
배기가스 재순환 유닛(500)으로부터 공급되는 배기가스도 소기 리시버(SR)에 공급되어 수용된다. 배기가스 재순환 라인(ERL)에 있어서 배기가스 재순환 유닛(500)의 하류에는 배기가스 재순환 유닛(500)으로부터 배기가스를 소기 리시버(SR)로 공급하기 위하여 구동하는 재순환 블로워(blower)(620)가 설치되고, 재순환 블로워(620)와 소기 리시버(SR) 사이에는 밸브(630)가 설치될 수 있다.
소기 리시버(SR)에 일시적으로 수용된 소기(배기가스 재순환 유닛으로부터 공급된 배기가스를 포함)는 소기 라인(SL)을 통해 필요에 따라 엔진에 공급된다.
한편, 터보차저(100)에서 흡입공기를 엔진에서 필요한 양 이상으로 압축하여 과급된 잉여 소기가 발생할 경우, 터보차저(100)의 압축기(120)에서 배출된 소기 중 일부 혹은 전부를 소기 바이패스 라인(BL2)을 통해 배기가스 리시버(ER)로 공급한다. 배기가스 리시버(ER)에 공급된 잉여 소기는 배기가스 배출라인을 통해 배출될 수 있다. 소기 바이패스 라인(BL2)에는 소기 바이패스 라인을 개폐시킬 수 있는 밸브(300)가 설치될 수 있으며, 이 밸브(300)는 소기 바이패스 라인(BL2)을 통하여 우회하는 소기의 양을 조절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된 바와 같이 구성되는 엔진 급기 시스템(20)에 있어서, 과급된 잉여 소기를 배출시켜 버리지 않고, 공기 윤활 시스템으로 공급하여 사용함으로써, 공기 윤활 시스템의 공기 압축기(12)의 부하를 경감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해, 과급된 잉여 소기를 공기 윤활 시스템으로 전달할 수 있도록 엔진 급기 시스템과 공기 윤활 시스템을 연결하는 연결 배관(22)은, 엔진 급기 시스템(20)의 소기 바이패스 라인(BL2)으로부터 분기하여 공기 윤활 시스템의 공기 배관(10)에 접속된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연결 배관(22)은, 엔진 급기 시스템(20)의 소기 바이패스 라인(BL2)에 있어서 밸브(300)의 하류측에서 분기될 수 있으며, 공기 윤활 시스템의 공기 배관(10)에 있어서 공기 압축기(12)의 하류측에 접속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 배관(22)은, 공기 압축기(12)와 공기 냉각기(14) 사이의 공기 배관(10)에 접속될 수 있다.
또, 연결 배관(22)을 통한 소기 공급을 제어하기 위해, 연결 배관(22) 및 소기 바이패스 라인(BL2)에는 각각 밸브(24, 26)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된 바와 같은 엔진 급기 시스템(20)은, 도면에 도시된 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벗어나지 아니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서 자명한 것이다.
1: 선박, 10: 공기 배관, 12: 공기 압축기, 14: 공기 냉각기, 16: 공기 챔버, 20: 엔진 급기 시스템, 22: 연결 배관, 24: 밸브, 26: 밸브, 100: 터보차저, 110: 터빈, 120: 압축기, 200: 바이패스 밸브, 300: 밸브, 400: 소기 냉각기, 450: WMC (Water Mist Catcher), 500: 배기가스 재순환 유닛, 510: 배기가스 재순환 냉각기, 520: 탈질 스크러버, 530: WMC (Water Mist Catcher), 600: 밸브, 610: 전-스크러버, 620: 재순환 블로워, 630: 밸브, BL1: 배기가스 바이패스 라인, BL2: 소기 바이패스 라인, E: 엔진, EL: 배기가스 라인, ER: 배기가스 리시버, ERL: 배기가스 재순환 라인, SL: 소기 라인, SR: 소기 리시버.

Claims (9)

  1. 공기 윤활 시스템을 갖는 선박으로서,
    공기 흡입구에서 흡입된 공기를 압축시키는 공기 압축기와;
    상기 공기 압축기에서 압축되어 온도가 상승한 공기를 냉각시키는 공기 냉각기와;
    상기 공기 냉각기에서 냉각된 공기를 수용하고, 선체 저부의 공기 배출구를 통해 공기를 배출시키는 공기 챔버와;
    상기 공기 압축기, 상기 공기 냉각기 및 상기 공기 챔버를 연결하는 공기 배관과;
    선박의 엔진에 연소용 공기를 공급하는 엔진 급기 시스템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공기 배관에 접속하는 연결 배관; 을 포함하며,
    상기 엔진 급기 시스템에서 생성된 후 상기 엔진에 공급되지 않은 잉여 소기는 상기 연결 배관을 통하여 상기 공기 윤활 시스템에 공급되도록 구성되는 것으로,
    상기 엔진 급기 시스템은,
    배기가스의 배출압력을 이용하여 엔진에 공급되고 있는 공기를 압축시켜 소기를 발생시키는 터보차저를 포함하고,
    배기가스를 재순환시키는 배기가스 재순환(EGR)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터보차저에 포함된 압축기의 하류측에서 분기하여, 상기 압축기에서 생성된 소기 중 적어도 일부를 상기 배기가스 재순환 유닛으로 공급하기 위한 소기 바이패스 라인을 포함하고,
    상기 연결 배관은 상기 소기 바이패스 라인으로부터 분기하는,
    공기 윤활 시스템을 갖는 선박.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터보차저는, 배기가스로 구동되는 터빈과, 상기 터빈에 의해 구동되어 흡입공기를 압축하는 압축기를 포함하며,
    흡입공기를 엔진에서 필요한 양 이상으로 압축하여 과급된 잉여 소기가 발생할 경우, 상기 압축기에서 배출된 잉여 소기 중 적어도 일부를 상기 연결 배관을 통하여 상기 공기 윤활 시스템에 공급하는, 공기 윤활 시스템을 갖는 선박.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연결 배관은, 상기 공기 배관에 있어서 상기 공기 압축기의 하류측에 접속되는, 공기 윤활 시스템을 갖는 선박.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공기 챔버의 개수는 상기 공기 압축기의 개수보다 많게 구성되고, 상기 공기 배관은 다수의 분기배관으로 분기되는, 공기 윤활 시스템을 갖는 선박.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공기 윤활 시스템을 갖는 선박에서 압축된 공기를 공급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공기 윤활 시스템은, 공기 흡입구에서 흡입된 공기를 압축시키는 공기 압축기와; 상기 공기 압축기에서 압축되어 온도가 상승한 공기를 냉각시키는 공기 냉각기와; 상기 공기 냉각기에서 냉각된 공기를 수용하고, 선체 저부의 공기 배출구를 통해 공기를 배출시키는 공기 챔버와; 상기 공기 압축기, 상기 공기 냉각기 및 상기 공기 챔버를 연결하는 공기 배관과; 선박의 엔진에 연소용 공기를 공급하는 엔진 급기 시스템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공기 배관에 접속하는 연결 배관; 을 포함하고,
    상기 엔진 급기 시스템은,
    배기가스의 배출압력을 이용하여 엔진에 공급되고 있는 공기를 압축시켜 소기를 발생시키는 터보차저를 포함하고,
    배기가스를 재순환시키는 배기가스 재순환(EGR)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터보차저에 포함된 압축기의 하류측에서 분기하여, 상기 압축기에서 생성된 소기 중 적어도 일부를 상기 배기가스 재순환 유닛으로 공급하기 위한 소기 바이패스 라인을 포함하고,
    상기 연결 배관은 상기 소기 바이패스 라인으로부터 분기하는 것으로,
    상기 엔진 급기 시스템에서 생성된 후 상기 엔진에 공급되지 않은 잉여 소기는 상기 연결 배관을 통하여 상기 공기 윤활 시스템에 공급되어, 상기 공기 윤활 시스템에 포함된 상기 공기 압축기의 부하를 경감시키는 방법.
KR1020180139252A 2018-11-13 2018-11-13 엔진 소기 공기를 이용하는 공기 윤활 시스템을 갖는 선박 KR1026637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9252A KR102663786B1 (ko) 2018-11-13 2018-11-13 엔진 소기 공기를 이용하는 공기 윤활 시스템을 갖는 선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9252A KR102663786B1 (ko) 2018-11-13 2018-11-13 엔진 소기 공기를 이용하는 공기 윤활 시스템을 갖는 선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55517A KR20200055517A (ko) 2020-05-21
KR102663786B1 true KR102663786B1 (ko) 2024-05-07

Family

ID=709105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39252A KR102663786B1 (ko) 2018-11-13 2018-11-13 엔진 소기 공기를 이용하는 공기 윤활 시스템을 갖는 선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6378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65367B1 (ko) 2020-07-30 2022-02-22 한국해양대학교 산학협력단 디지털 트윈을 이용한 선박의 공기 윤활 시스템 성능 예측 및 제어 방법
NL2026471B1 (en) * 2020-09-15 2021-10-13 Maersk As Air supply system for a hull of a vessel and a method for operating the air supply system
KR20230097040A (ko) * 2020-10-01 2023-06-30 메르스크 에이/에스 선박의 선체를 위한 공기 공급 시스템, 및 공기 공급 시스템을 포함하는 선박
KR20220095788A (ko) 2020-12-30 2022-07-07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선박의 공기 윤활 시스템 및 상기 공기 윤활 시스템의 에어 챔버
GB202106034D0 (en) 2021-04-28 2021-06-09 Armada Tech Limited System and method for reducing drag on a marine vessel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147089A (ja) * 2012-01-18 2013-08-01 Mitsubishi Heavy Ind Ltd 船舶の摩擦抵抗低減装置
JP2013193624A (ja) * 2012-03-22 2013-09-30 Nishishiba Electric Co Ltd 船舶の圧縮空気供給システムとその装置
JP2018122717A (ja) * 2017-01-31 2018-08-09 三菱重工業株式会社 船舶の摩擦低減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147089A (ja) * 2012-01-18 2013-08-01 Mitsubishi Heavy Ind Ltd 船舶の摩擦抵抗低減装置
JP2013193624A (ja) * 2012-03-22 2013-09-30 Nishishiba Electric Co Ltd 船舶の圧縮空気供給システムとその装置
JP2018122717A (ja) * 2017-01-31 2018-08-09 三菱重工業株式会社 船舶の摩擦低減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55517A (ko) 2020-05-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63786B1 (ko) 엔진 소기 공기를 이용하는 공기 윤활 시스템을 갖는 선박
JP5014516B2 (ja) 排ガスまたは燃焼ガス再循環を備える大型ターボ過給型2サイクルディーゼルエンジンならびにNOx排出およびすす排出を減少させるための方法
CN204253221U (zh) 船舶柴油机NOx和SOx联合减排装置
DK177388B1 (en) Large turbocharged two-stroke diesel engine with exhaust gas recirculation
JP5681742B2 (ja) クロスヘッド及び排気ガス(燃焼ガス)再循環系を有する大型低速ターボ過給式2サイクル内燃機関
JP5683325B2 (ja) 排ガス処理装置およびこれを備えた内燃機関
KR20150114585A (ko) 엔진 배기 가스 정화 장치
CN104358627A (zh) 船舶柴油机NOx和SOx联合减排装置及控制方法
CN105179119A (zh) 一种双涡轮船舶二冲程低速柴油机废气再循环系统
JP6122300B2 (ja) エンジンシステム及び船舶
CN112443374A (zh) 舶用发动机系统
KR102077938B1 (ko) 엔진 시스템 및 이를 구비한 선박
KR101947977B1 (ko) 차지 공기 쿨러를 세정하는 방법 및 내연 엔진
KR20090003072A (ko) 가습공기 디젤 엔진
Park et al. A Study on NO x Reduction of Marine 4-Stroke Diesel Engine Using Charge Air Humidification
KR102297863B1 (ko) 선박용 엔진의 배기가스 재순환 시스템 및 방법
CN216153973U (zh) 用于船舶的空气润滑系统
US20230365230A1 (en) An air supply system for a hull of a vessel and a vessel comprising the air supply system
CN204253220U (zh) 一种船舶二冲程柴油机废气再循环系统
JP6963975B2 (ja) 舶用ディーゼルエンジン
KR20220072629A (ko) 선박
JP5836030B2 (ja) Egr装置
KR20200084538A (ko) 통합 배기가스 정화 시스템 및 그 운전 방법
KR20170000835U (ko) Egr이 배치된 선박
JP2018071391A (ja) 内燃機関及び内燃機関の制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