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95788A - 선박의 공기 윤활 시스템 및 상기 공기 윤활 시스템의 에어 챔버 - Google Patents

선박의 공기 윤활 시스템 및 상기 공기 윤활 시스템의 에어 챔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95788A
KR20220095788A KR1020200187662A KR20200187662A KR20220095788A KR 20220095788 A KR20220095788 A KR 20220095788A KR 1020200187662 A KR1020200187662 A KR 1020200187662A KR 20200187662 A KR20200187662 A KR 20200187662A KR 20220095788 A KR20220095788 A KR 2022009578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hull
ship
lubrication system
upper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876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성재
김성수
장유정
Original Assignee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876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95788A/ko
Publication of KR202200957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9578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00Hydrodynamic or hydrostatic features of hulls or of hydrofoils
    • B63B1/32Other means for varying the inherent hydrodynamic characteristics of hulls
    • B63B1/34Other means for varying the inherent hydrodynamic characteristics of hulls by reducing surface friction
    • B63B1/38Other means for varying the inherent hydrodynamic characteristics of hulls by reducing surface friction using air bubbles or air layers gas filled volum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3/00Conduits for emptying or ballasting; Self-bailing equipment; Scupp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00Hydrodynamic or hydrostatic features of hulls or of hydrofoils
    • B63B1/32Other means for varying the inherent hydrodynamic characteristics of hulls
    • B63B1/34Other means for varying the inherent hydrodynamic characteristics of hulls by reducing surface friction
    • B63B1/38Other means for varying the inherent hydrodynamic characteristics of hulls by reducing surface friction using air bubbles or air layers gas filled volumes
    • B63B2001/387Other means for varying the inherent hydrodynamic characteristics of hulls by reducing surface friction using air bubbles or air layers gas filled volumes using means for producing a film of air or air bubbles over at least a significant portion of the hull surfac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70/00Maritime or waterways transport
    • Y02T70/10Measures concerning design or construction of watercraft hull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Compress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운항 시 선체에 작용하는 마찰 저항을 감소시키기 위한 선박의 공기 윤활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상기 선체의 선수측 내부에 설치되어 압축공기를 생성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압축기를 포함하는 압축부; 상기 선체의 선저부에 설치되고, 상기 압축부에서 생성된 압축공기를 상기 선체의 저면에 분사하기 위한 복수개의 공기분사구를 구비하는 에어 챔버; 및 상기 압축부와 상기 복수개의 에어 챔버를 연결하는 공급배관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개의 공기분사구는 상기 선체의 저면에 대하여 일정 각도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된다.

Description

선박의 공기 윤활 시스템 및 상기 공기 윤활 시스템의 에어 챔버{AIR LUBRICATION SYSTEM FOR SHIP AND AIR CHAMBER THEREOF}
본 발명은 선박의 공기 윤활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선체의 저면에 압축공기를 분사하여 선박의 마찰 저항을 감소시킴과 아울러, 보조적인 추진력을 제공할 수 있는 선박의 공기 윤활 시스템 및 상기 공기 윤활 시스템의 에어 챔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선박은 선체의 후미에 부착되어 있는 프로펠러(Propeller)가 회전할 때 발생하는 유체의 흐름을 이용하여 전진하며, 프로펠러를 회전시켜 일정 속도를 갖기 위하여 엔진을 구동하게 된다.
최근 세계적으로 환경규제가 강화되는 추세에 따라 질소산화물과 미세먼지 등 환경오염 물질의 배출량이 많은 디젤 엔진(Diesel engine) 선박보다는 액화천연가스(LNG; Liquefied Natural Gas)와 같이 황산화물이나 질소산화물 등의 오염 물질이 상대적으로 적은 친환경 연료 선박으로 대체해 나가고 있다.
특히, 글로벌 선사들의 친환경 고효율이라는 니즈(Needs)를 만족시키기 위하여, 자체적으로 전력을 생산할 수 있는 친환경 전력 생산 기술이나 선박의 추진 시 소비되는 연료를 절감하여 연료 사용량을 감축할 수 있는 연료 절감 기술 등에 대한 연구 및 개발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선박 운항 시 소요되는 연료비를 절감하기 위한 연료 절감 기술의 일 예로서, 선박의 후미나 프로펠러, 또는 러더 등의 형상을 개량하거나 별도의 부가물을 설치함으로써 추진 효율을 높이는 동시에 연료를 절감하는 연료 절감 장치(ESD; Energy Saving Device)가 큰 관심을 받고 있다.
한편, 선박의 운항 시에는 선체와 해수 사이에 마찰 저항(Frictional resistance)이 작용하게 되고, 대형의 선박일수록 해수와 접촉하는 면적이 증가함으로 인해 추진력이 크게 저하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한 연료비 증가를 초래한다.
따라서, 선박의 운항 시 소요되는 연료비를 절감하기 위하여 저항을 감소시키기 위한 다양한 노력들이 이루어지고 있는데, 선박의 선저부 표면에 압축공기(Compressed air)를 분사하여 선체와 해수 사이에 에어 버블(Air bubble)을 카페트처럼 깔아 선박의 마찰 저항을 줄여 주는 것이 매우 효과적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와 같이, 선박의 선저부 표면에 에어 버블을 통한 공기층을 형성하여 선체의 마찰 저항을 감소시키는 시스템을 공기 윤활 시스템(ALS; Air Lubircation System)이라고 한다.
전술한 기술구성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배경기술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널리 알려진 종래 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20-0055517호 “엔진 소기 공기를 이용하는 공기 윤활 시스템을 갖는 선박”
선박의 공기 윤활 시스템은, 선체 내부에 압축공기를 생성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압축기를 설치하고, 압축기는 선체의 선저부에 복수개 배치되는 에어 챔버와 연결되어 선저부 표면에 압축공기를 분사하도록 마련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선박의 공기 윤활 시스템은, 선수측 저면에 압축공기를 분사하여 선박의 운항에 다른 해수의 흐름을 따라 에어 버블이 선미측으로 확산됨으로써, 선체의 마찰 저항을 감소시킬 수 있다.
그러나, 종래기술에 따른 선박의 공기 윤활 시스템은, 에어 챔버에 형성되는 복수개의 공기분사구가 선저면에 수직되게 관통 형성되어 압축공기가 선저면에 수직 하방으로 분사되므로, 선체의 마찰 저항 감소 효과 이외의 보조적인 추진력을 얻을 수는 없다.
본 발명은 선체의 저면에 압축공기를 분사하여 선박의 마찰 저항을 감소시킴과 아울러, 보조적인 추진력을 제공할 수 있는 선박의 공기 윤활 시스템 및 상기 공기 윤활 시스템의 에어 챔버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운항 시 선체에 작용하는 마찰 저항을 감소시키기 위한 선박의 공기 윤활 시스템으로서, 상기 선체의 선수측 내부에 설치되어 압축공기를 생성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압축기를 포함하는 압축부; 상기 선체의 선저부에 설치되고, 상기 압축부에서 생성된 압축공기를 상기 선체의 저면에 분사하기 위한 복수개의 공기분사구를 구비하는 에어 챔버; 및 상기 압축부와 상기 복수개의 에어 챔버를 연결하는 압축공기 공급라인을 포함하는 선박의 공기 윤활 시스템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복수개의 공기분사구는 상기 선체의 저면에 대하여 일정 각도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에어 챔버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선체의 저면에서 좌우현 방향으로 회전이 가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에어 챔버는, 중공의 원기둥 형상을 가지며 외주면 일측에 상기 압축공기 공급라인이 연결되는 상부 하우징; 상기 상부 하우징의 하부에서 상기 상부 하우징의 내부와 연통되는 하부 하우징; 및 상기 하부 하우징의 하부에 위치되어 상기 복수개의 공기분사구가 관통 형성되는 해치 플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부 하우징은 상기 상부 하우징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부 하우징은, 상단부에서 하단부로 갈수록 직경이 점차 확장되어 사다리꼴 형태의 단면 형상을 갖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상단에서 상기 상부 하우징의 하단부에 대응되는 플랜지 형상을 갖는 상부 플랜지; 및 상기 몸체부의 내주면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해치 플레이트가 결합되는 이너 플랜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에어 챔버는 상기 선체의 저면에서 횡방향으로 복수개 배치되고, 복수개의 상기 에어 챔버 각각의 전단에는 고압 펌프가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선체의 저면에 압축공기 분사하기 위하여 선저부에 복수개 배치되는 공기 윤활시스템의 에어 챔버로서, 중공의 원기둥 형상을 가지며 외주면 일측에 압축공기 공급라인이 연결되는 상부 하우징; 상기 상부 하우징의 하부에서 상기 상부 하우징의 내부와 연통되는 하부 하우징; 및 상기 하부 하우징의 하부에 위치되어 복수개의 공기분사구가 관통 형성되는 해치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개의 공기분사구는 상기 선체의 저면에 대하여 일정 각도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공기 윤활 시스템의 에어 챔버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하부 하우징은 상기 상부 하우징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에어 챔버에 구비된 복수개의 공기분사구를 선체의 저면에 대하여 일정 각도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함으로써, 선박의 마찰 저항을 감소시킴과 아울러 보조적인 추진력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에어 챔버의 적어도 일부를 선체의 저면에서 좌우현 방향으로 회전이 가능하도록 마련하여, 공기분사구의 방향 전환을 통한 보조적인 조향력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의 공기 윤활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 윤활 시스템의 에어 챔버 설치구조를 개략적인 사시도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에어 챔버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해치 플레이트를 평면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 윤활 시스템에서 에어 챔버의 전단에 고압 펌프가 배치되는 것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할 것이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하거나 제한되지 않고 당업자에 의해 변형되어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의 공기 윤활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 윤활 시스템의 에어 챔버 설치구조를 개략적인 사시도로 나타낸 도면이며,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에어 챔버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또한, 도 4는 도 3에 도시된 해치 플레이트를 평면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 윤활 시스템에서 에어 챔버의 전단에 고압 펌프가 배치되는 것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의 공기 윤활 시스템을 설명함에 있어서, 선미(Stern)방향과 선수(Bow)방향은 각각 도 1의 좌측 및 우측방향을 의미하고, 횡방향은 선체(H)의 길이방향에 수직되는 선체(H)의 폭방향을 의미한다.
먼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의 공기 윤활 시스템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축부(10), 압축공기 공급라인(20), 및 에어 챔버(100)를 포함할 수 있다.
압축부(10)는, 선체(H)는 선수측 내부, 보다 상세하게는 선수부에 마련된 보선 스토어(Bosun store) 내부에 설치되며, 압축공기를 생성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압축기(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서, 압축부(10)는 두그룹으로 나뉘어 각각이 네개의 압축기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압축부(10)는,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으나, 압축기를 냉각하기 위한 냉각기(Cooler)와 냉각기로 해수를 공급하기 위한 쿨링 펌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압축공기 공급라인(20)은, 압축부와 후술하는 에어 챔버를 연결하기 위한 것으로, 보선 스토어에서 코퍼댐(Cofferdam)을 지나 선체 저면의 파이프덕트(Pipe duct) 내부를 향해 길게 연장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압축공기 공급라인(20)은 압축기 각각에 연결되는 복수개의 배관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각각의 배관에는 밸브가 설치될 수 있다.
에어 챔버(100)는, 압축기에서 생성된 압축공기를 선체(H)의 저면에 분사하기 위한 것으로, 선저부에서 선체(H)의 횡방향을 따라 복수개 설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복수개의 에어 챔버(100) 중 일부는 선저부에서 선체(H)의 좌우현 방향, 즉 횡방향으로 나란하게 설치될 수 있으며, 나머지 일부는 선체(H)의 선미방향으로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복수개의 에어 챔버(100) 중 일부가 선미측으로 이격되어 형성되는 경우, 복수개의 에어 챔버(100)는 선체의 길이방향에서 일부 중첩되게 위치함으로써, 선박의 선저부 표면에 형성된 공기층의 공기체적분율(volume fraction of air)을 증가시킬 수 있다.
여기에서, 공기체적분율은 공기가 차지하는 부피 비율 즉, 공기가 포함된 정도를 의미한다.
선박의 마찰 저항을 감소하기 위해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선체(H)의 저면에 압축공기(Compressed air)를 분사하여 선체(H)와 해수 사이에 에어 버블(Air bubble)을 카페트처럼 깔아 선박의 마찰 저항을 줄여 주는 것이 매우 효과적일 수 있다.
그러나, 종래기술에 따른 선박의 공기 윤활 시스템은, 에어 챔버에 형성되는 복수개의 공기분사구가 선저면에 수직되게 관통 형성되어 압축공기가 선저면에 수직 하방으로 분사되므로, 선체의 마찰 저항 감소 효과 이외의 보조적인 추진력을 얻을 수는 없다.
본 발명은 선체의 저면에 압축공기를 분사하여 선박의 마찰 저항을 감소시킴과 아울러, 보조적인 추진력을 제공할 수 있는 선박의 공기 윤활 시스템 및 상기 공기 윤활 시스템의 에어 챔버를 제공하고자 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 윤활 시스템은, 에어 챔버(100)에 형성된 복수개의 공기분사구(151)가 선체(H)의 저면에 대하여 일정 각도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됨으로써, 선박의 마찰 저항을 감소시킴과 아울러 보조적인 추진력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에어 챔버(100)의 적어도 일부를 선체(H)의 저면에서 좌우현 방향으로 회전이 가능하도록 마련하여, 공기분사구(155)의 방향 전환을 통한 보조적인 조향력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 윤활 시스템의 에어 챔버(100)에 대해 자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에어 챔버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으로서, 도 3의 (a)는 도 2에 도시된 에어 챔버(100)의 A-A’선 단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의 (b)는 도 2에 도시된 에어 챔버(100)의 B-B’선 단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에어 챔버(1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하우징(110)과, 하부 하우징(130), 및 해치 플레이트(150)를 포함할 수 있다.
상부 하우징(110)은, 상하부가 개방된 중공의 원기둥 형상을 갖고, 상단에 상부 플레이트(미부호)가 플랜지 결합되어 상부 하우징(110)의 개방된 상부를 덮도록 마련될 수 있으며, 상부 하우징(110)의 하단에는 직경이 확장된 하부 플랜지(111)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에서, 압축공기 공급라인(20)은, 도 2 및 도 3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하우징(100)의 외주면 일측에 관통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복수개의 에어 챔버(100)가 설치되는 구역에는 선박의 평형수 공급을 위한 밸러스트 워터 파이프(Ballast water pipe)와 트롤리 레일(Trolley rail) 등이 설치될 수 있는데, 압축공기 공급라인(20)을 상부 하우징(110)의 상부, 즉 상부 플레이트를 관통시켜 연결하는 경우, 상기 워터 파이프 및 트롤리 레일과의 간섭을 피하기 위하여 압축공기 공급라인(20)에 불필요한 굴곡부를 형성하게 되므로 비효율적일 수 있다.
하부 하우징(130)은, 상부 하우징(110)의 하부에서 상부 하우징의 내부와 연통될 수 있도록 내부에 빈 공간을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하부 하우징(13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단부에서 하단부로 갈수록 직경이 점차 확장되어 사다리꼴 형태의 단면 형상을 갖는 몸체부(131)와, 몸체부(131)의 상단에서 상부 하우징(110)의 하단부에 대응되는 플랜지 형상을 갖는 상부 플랜지(133)와, 몸체부(131)의 내주면 돌출 형성되는 이너 플랜지(135)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하부 하우징(130)은 상부 하우징(1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으며, 상부 플랜지(133)는 하부 플랜지(111)와 맞닿아 하부 하우징(130)의 회전을 가이드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해치 플레이트(150)는, 선체(H)의 저면과 동일 내지 유사한 두께를 가질 수 있으며, 하부 하우징(130)의 하단부 내주면에 대응되는 크기를 갖고, 하부 하우징(130)의 내주면에 돌출 형성된 이너 플랜지(135)에 볼트(B) 결합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의 해치 플레이트(150) 상에는, 복수개의 공기분사구(151)가 형성됨과 아울러, 해치 플레이트(150)의 가장자리에는 복수개의 볼트(B)가 체결되기 위한 복수개의 체결홀(153)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으나, 하부 플랜지(111)와 상부 플랜지(133)를 맞대어 볼트 체결하고, 하부 하우징(130)의 내주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별도의 회전 가이드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여기에서, 에어 챔버(100)가 회전 가이드부를 더 포함하는 경우에는, 하부 하우징(130)의 이너 플랜지(135)의 구성을 대신하여, 회전 가이드부의 하단부 내주면에는 해치 플레이트가 결합되기 위한 플랜지가 돌출 형성되는 것은 당연할 수 있다.
복수개의 공기분사구(151)는, 전술한 바와 같이, 선체(H)의 저면에 대하여 일정 각도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복수개의 공기분사구(151)가 해치 플레이트(150) 상에서 일방향으로 나란하게 형성되어 있는 것이 도시되어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복수개의 공기분사구(151) 각각의 크기, 위치, 및 각도는 해치 플레이트(150)를 포함하는 에어 챔버(100)의 크기 및 선체(H)의 저면에 공급하고자 하는 압축공기의 유량 등을 고려하여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에어 챔버(100)는 선박의 조향 방향에 따라 복수개의 공기분사구(151)가 형성된 해치 플레이트(150)가 좌우로 회전하여 보조적인 조향력을 제공할 수 있도록 제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의 공기 윤활 시스템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분사구(151)의 회전을 통한 조향력의 향상을 위하여 복수개의 에어 챔버(100) 각각의 전단에 설치되는 고압 펌프(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에어 챔버에 구비된 복수개의 공기분사구를 선체의 저면에 대하여 일정 각도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함으로써, 선박의 마찰 저항을 감소시킴과 아울러 보조적인 추진력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에어 챔버의 적어도 일부를 선체의 저면에서 좌우현 방향으로 회전이 가능하도록 마련하여, 공기분사구의 방향 전환을 통한 보조적인 조향력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할 것이다.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에어 챔버
110: 상부 하우징
111: 하부 플랜지
130: 하부 하우징
131: 몸체부
133: 상부 플랜지
135: 이너 플랜지
150: 해치 플레이트
151: 공기분사구
153: 체결홀
H: 선체
10: 압축부
20: 공급배관

Claims (8)

  1. 운항 시 선체에 작용하는 마찰 저항을 감소시키기 위한 선박의 공기 윤활 시스템으로서,
    상기 선체의 선수측 내부에 설치되어 압축공기를 생성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압축기를 포함하는 압축부;
    상기 선체의 선저부에 설치되고, 상기 압축부에서 생성된 압축공기를 상기 선체의 저면에 분사하기 위한 복수개의 공기분사구를 구비하는 에어 챔버; 및
    상기 압축부와 상기 복수개의 에어 챔버를 연결하는 압축공기 공급라인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개의 공기분사구는 상기 선체의 저면에 대하여 일정 각도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선박의 공기 윤활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 챔버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선체의 저면에서 좌우현 방향으로 회전이 가능한 선박의 공기 윤활 시스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 챔버는,
    중공의 원기둥 형상을 가지며 외주면 일측에 상기 압축공기 공급라인이 연결되는 상부 하우징;
    상기 상부 하우징의 하부에서 상기 상부 하우징의 내부와 연통되는 하부 하우징; 및
    상기 하부 하우징의 하부에 위치되어 상기 복수개의 공기분사구가 관통 형성되는 해치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선박의 공기 윤활 시스템.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하우징은 상기 상부 하우징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선박의 공기 윤활 시스템.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하우징은,
    상단부에서 하단부로 갈수록 직경이 점차 확장되어 사다리꼴 형태의 단면 형상을 갖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상단에서 상기 상부 하우징의 하단부에 대응되는 플랜지 형상을 갖는 상부 플랜지; 및
    상기 몸체부의 내주면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해치 플레이트가 결합되는 이너 플랜지를 포함하는 선박의 공기 윤활 시스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 챔버는 상기 선체의 저면에서 횡방향으로 복수개 배치되고,
    복수개의 상기 에어 챔버 각각의 전단에는 고압 펌프가 설치되는 선박의 공기 윤활 시스템.
  7. 선체의 저면에 압축공기 분사하기 위하여 선저부에 복수개 배치되는 공기 윤활시스템의 에어 챔버로서,
    중공의 원기둥 형상을 가지며 외주면 일측에 압축공기 공급라인이 연결되는 상부 하우징;
    상기 상부 하우징의 하부에서 상기 상부 하우징의 내부와 연통되는 하부 하우징; 및
    상기 하부 하우징의 하부에 위치되어 복수개의 공기분사구가 관통 형성되는 해치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개의 공기분사구는 상기 선체의 저면에 대하여 일정 각도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공기 윤활 시스템의 에어 챔버.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하우징은 상기 상부 하우징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공기 윤활 시스템의 에어 챔버.
KR1020200187662A 2020-12-30 2020-12-30 선박의 공기 윤활 시스템 및 상기 공기 윤활 시스템의 에어 챔버 KR2022009578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7662A KR20220095788A (ko) 2020-12-30 2020-12-30 선박의 공기 윤활 시스템 및 상기 공기 윤활 시스템의 에어 챔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7662A KR20220095788A (ko) 2020-12-30 2020-12-30 선박의 공기 윤활 시스템 및 상기 공기 윤활 시스템의 에어 챔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95788A true KR20220095788A (ko) 2022-07-07

Family

ID=823976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87662A KR20220095788A (ko) 2020-12-30 2020-12-30 선박의 공기 윤활 시스템 및 상기 공기 윤활 시스템의 에어 챔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95788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55517A (ko) 2018-11-13 2020-05-21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엔진 소기 공기를 이용하는 공기 윤활 시스템을 갖는 선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55517A (ko) 2018-11-13 2020-05-21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엔진 소기 공기를 이용하는 공기 윤활 시스템을 갖는 선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311721B1 (en) Frictional-resistance reduced ship, and method for steering the same
KR20100125405A (ko) 마찰저항 저감선 및 운전방법
CN101927823A (zh) 一种船舶推进器
KR101616261B1 (ko) 기포형 저항저감장치를 구비한 선박 및 선박의 저항저감방법
KR101224833B1 (ko) 이중연료 추진시스템을 포함하는 선박
US7341496B2 (en) Fast sea-going ship with a double bottom and a waterjet drive
JP2011218959A (ja) バウスラスターを備えた船舶、及びこの船舶の航行方法と改修方法
KR20220095788A (ko) 선박의 공기 윤활 시스템 및 상기 공기 윤활 시스템의 에어 챔버
CN113548147B (zh) 一种综合节能效果满足eedi高阶段要求的散货船
KR20110093576A (ko) 선박
KR20200137954A (ko) 선박
KR20220098858A (ko) 선박의 공기 윤활 시스템 및 공기 윤활 시스템이 적용된 선박의 마찰 저항 저감 방법
KR20230082898A (ko) 선박의 공기 윤활 시스템
KR102460495B1 (ko) 선박용 에너지 절감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
KR102452420B1 (ko) 선박용 러더 및 이를 구비한 선박
KR102376325B1 (ko) 선박
KR102514085B1 (ko) 공기 윤활 시스템이 적용된 선박 및 상기 선박의 해수를 이용한 발전장치
KR102535808B1 (ko) 풍력 추진 시스템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
RU2700080C1 (ru) Судовое подруливающее устройство
CN218229309U (zh) 一种船用气膜减阻系统
KR101444144B1 (ko) 기진력 저감형 선박
CN210284572U (zh) 气液两相型的推进艇
JP2002145189A (ja) 船舶における機器構造
KR20230062266A (ko) 선수 구조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
KR20220051711A (ko) 유체 정류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