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44144B1 - 기진력 저감형 선박 - Google Patents

기진력 저감형 선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44144B1
KR101444144B1 KR1020120125947A KR20120125947A KR101444144B1 KR 101444144 B1 KR101444144 B1 KR 101444144B1 KR 1020120125947 A KR1020120125947 A KR 1020120125947A KR 20120125947 A KR20120125947 A KR 20120125947A KR 101444144 B1 KR101444144 B1 KR 1014441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peller
compressed air
hull
tunnel
power redu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259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59461A (ko
Inventor
송지수
김진학
박형길
이동현
이정훈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1259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44144B1/ko
Publication of KR201400594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594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441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441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HMARINE PROPULSION OR STEERING
    • B63H25/00Steering; Slowing-down otherwise than by use of propulsive elements; Dynamic anchoring, i.e. positioning vessels by means of main or auxiliary propulsive elements
    • B63H25/42Steering or dynamic anchoring by propulsive elements; Steering or dynamic anchoring by propellers used therefor only; Steering or dynamic anchoring by rudders carrying propel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00Hydrodynamic or hydrostatic features of hulls or of hydrofoils
    • B63B1/32Other means for varying the inherent hydrodynamic characteristics of hu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HMARINE PROPULSION OR STEERING
    • B63H1/00Propulsive elements directly acting on water
    • B63H1/02Propulsive elements directly acting on water of rotary type
    • B63H1/12Propulsive elements directly acting on water of rotary type with rotation axis substantially in propulsive direction
    • B63H1/14Propellers
    • B63H1/28Other means for improving propeller efficienc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HMARINE PROPULSION OR STEERING
    • B63H5/00Arrangements on vessels of propulsion elements directly acting on water
    • B63H5/07Arrangements on vessels of propulsion elements directly acting on water of propellers
    • B63H5/14Arrangements on vessels of propulsion elements directly acting on water of propellers characterised by being mounted in non-rotating ducts or rings, e.g. adjustable for steering purpos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70/00Maritime or waterways transport
    • Y02T70/10Measures concerning design or construction of watercraft hull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Vibration Prevention Devices (AREA)

Abstract

기진력 저감형 선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진력 저감형 선박은, 선체에 마련되는 터널 스러스터(tunnel thruster); 및 터널 스러스터의 프로펠러 동작 시 프로펠러에 이웃된 터널의 벽면에 반사파를 발생시키는 에어 레이어(air layer)를 형성시켜 선체 쪽으로의 기진력을 저감시키는 기진력 저감모듈을 포함한다.

Description

기진력 저감형 선박{A ship for reducing vibromotive force}
본 발명은, 기진력 저감형 선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기진력 저감을 위한 구조가 개선된 기진력 저감형 선박에 관한 것이다.
선박의 선수 혹은 선미에는 사이드 스러스터(side thruster)라고도 불리는 터널 스러스터(tunnel thruster)가 마련된다.
터널 스러스터는 터널 내에 마련되는 프로펠러의 추진력에 의해 선박의 이접안 시 사용되거나 항내(港內) 등에서 저속 항행의 조선성능을 향상시키고자 할 때 사용된다.
한편, 선박이 이접안될 때에는 선박의 거의 정지되고 있는 상태이기 때문에 프로펠러에 많은 부하가 걸리게 되는데, 이때는 캐비테이션(cavitation)이 많이 발생되기 때문에 선체 내로 많은 진동과 소음이 전달되어 선원 및 승객에게 큰 불편을 초래하게 된다.
좀 더 부연하여 설명하면, 터널 내의 프로펠러가 회전되면 회전체로서의 프로펠러로 인해 수중에 변동압력이 발생되며, 이렇게 발생된 변동압력은 선체로의 기진력을 증가시켜 선체에 진동(소음 포함)을 발생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한다.
특히, 프로펠러에 의하여 수중에 공동현상(cavitation)이 발생되는 경우에는 기진력이 더더욱 증가되기 때문에 선체의 진동이 심하게 발생된다.
이는 수중에서 압력이 낮은 곳이 생기면 물에 포함되어 있는 기체가 물에서 빠져나와 압력이 낮은 곳에 모이게 됨으로써 수중에 기포가 발생되고, 이렇게 발생된 기포가 압력이 높은 부분에 이르면 급격히 부서짐으로써 수중에 강한 변동압력을 발생시키기 때문이다.
이와 같이, 프로펠러에 의한 변동압력으로 인해 기진력이 증가되어 선체로 전달되는 소음을 포함한 진동 문제는 예컨대, 크루즈선처럼 유람을 목적으로 하는 선박이나 군함처럼 조용한 운항이 전제되어야 하는 선박인 경우에 있어 시급하게 해결해야 하는 사항이므로 이에 대한 연구 개발이 시급하다.
일본국특허청 공개특허공보 특개2000-255485호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터널 스러스터(tunnel thruster)의 프로펠러 동작 시 발생되는 변동압력으로 인해 기진력이 증가되어 선체에 진동이 발생되는 것을 저지할 수 있는 기진력 저감형 선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선체에 마련되는 터널 스러스터(tunnel thruster); 및 상기 터널 스러스터의 프로펠러 동작 시 상기 프로펠러에 이웃된 터널의 벽면에 반사파를 발생시키는 에어 레이어(air layer)를 형성시켜 상기 선체 쪽으로의 기진력을 저감시키는 기진력 저감모듈을 포함하는 기진력 저감형 선박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기진력 저감모듈은 상기 프로펠러를 사이에 두고 상기 터널의 상부 벽면 양측에 배치되는 제1 및 제2 기진력 저감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기진력 저감모듈로 압축공기를 공급하는 압축공기 공급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압축공기 공급부는, 상기 선체의 일측에 마련되는 컴프레서; 상기 컴프레서와 상기 제1 및 제2 기진력 저감모듈을 연결시키는 압축공기 공급라인; 및 상기 압축공기 공급라인에 마련되며, 상기 제1 및 제2 기진력 저감모듈로 향하는 압축공기를 흐름을 단속하는 밸브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밸브는 상기 제1 및 제2 기진력 저감모듈로 향하는 압축공기를 흐름을 개별적으로 단속하는 다수의 개별 밸브이거나 공용 밸브일 수 있다.
상기 프로펠러의 회전방향을 감지하는 프로펠러 회전방향 감지부; 및 상기 프로펠러 회전방향 감지부로부터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밸브의 온/오프(on/off) 동작을 컨트롤하는 컨트롤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터널 스러스터(tunnel thruster)의 프로펠러 동작 시 발생되는 변동압력으로 인해 기진력이 증가되어 선체에 진동이 발생되는 것을 저지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는 각각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기진력 저감형 선박의 터널 스러스터 영역의 동작 구조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기진력 저감형 선박의 제어 블록도이다.
도 4는 도 2의 A 영역의 확대도이다.
도 5는 도 4의 분해도이다.
도 6은 도 5의 사시도이다.
도 7은 기진력 저감모듈의 배면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기진력 저감형 선박의 터널 스러스터 영역의 구조도이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첨부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1 및 도 2는 각각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기진력 저감형 선박의 터널 스러스터 영역의 동작 구조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기진력 저감형 선박의 제어 블록도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기진력 저감형 선박은, 선체(110)에 마련되는 터널 스러스터(120, tunnel thruster)와, 터널 스러스터(120)의 프로펠러(122) 동작 시 프로펠러(122)에 이웃된 터널(121)의 벽면에 반사파를 발생시키는 에어 레이어(air layer)를 형성시켜 선체(110) 쪽으로의 기진력을 저감시키는 기진력 저감모듈(140a,140b)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의 선박은 상선, 군함, 어선, 운반선, 드릴쉽, 크루즈선 및 특수 작업선 등을 비롯하여 자항능력이 없는 부유식 해상 구조물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선박의 이접안을 위하여 프로펠러(122)가 동작되면, 즉 프로펠러(122)가 수중에서 회전되면 회전체로서의 프로펠러(122)로 인해 수중에 변동압력이 발생되며, 이렇게 발생된 변동압력은 선체(110)로의 기진력을 증가시켜 선체에 진동(소음 포함)을 발생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한다.
이처럼 선체(110)에 전달되는 진동은 예컨대, 크루즈선처럼 유람을 목적으로 하는 선박이나 군함처럼 조용한 운항이 전제되어야 하는 선박인 경우에는 큰 문제가 될 수 있기 때문에 이러한 현상을 예방시키기 위해, 즉 프로펠러(122)의 동작 시 수중에 발생된 변동압력으로 인해 기진력이 증가되어 선체(110)에 진동이 발생되는 것을 저지하기 위해 본 실시예의 경우, 기진력 저감모듈(140a,140b)을 제안하고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기진력 저감모듈(140a,140b)은 프로펠러(122)를 사이에 두고 터널(121)의 상부 벽면 양측에 배치되는 제1 및 제2 기진력 저감모듈(140a,140b)을 포함한다. 후술하겠지만, 제1 및 제2 기진력 저감모듈(140a,140b)은 프로펠러(122)의 회전방향에 따라 개별적으로 동작될 수 있다. 제1 및 제2 기진력 저감모듈(140a,140b)은 위치적인 차이만 있을 뿐 그 구조는 서로 동일하다.
제1 및 제2 기진력 저감모듈(140a,140b)에 의해 형성되는 에어 레이어는 프로펠러(122)에 이웃된 선체(110)의 표면 일부 영역에 국부적으로 형성되면 그것으로 충분하다.
다시 말해, 제1 및 제2 기진력 저감모듈(140a,140b)에 의한 에어 레이어가 프로펠러(122)에 이웃된 선체(110)의 표면 전체 영역을 덮도록 형성되는 것이 아니라 일부 영역에만 형성되도록 할 수 있는데, 이처럼 구현함으로써 반사파 작용으로 인해 선체(110) 쪽으로의 기진력을 저감시키는 데에 보다 유리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처럼 터널(121)의 상부 벽면 양측에 배치되는 제1 및 제2 기진력 저감모듈(140a,140b)이 해당 위치에서 프로펠러(122)의 회전방향에 따라 개별적으로 동작되면서 일정 폭의 에어 레이어를 형성시키게 됨으로써, 프로펠러(122) 동작 시 발생되는 변동압력으로 인해 기진력이 증가되어 선체(110)에 진동이 발생되는 것을 저지할 수 있다.
이에 대해 부연 설명한다. 프로펠러(122) 동작 시 캐비테이션에 의해 발생되는 구면 압력파는 전방위로 전파될 수 있다.
이때, 본 실시예처럼 프로펠러(122) 주변의 터널(121)의 상부 벽면에 도 1 및 도 2처럼 에어 레이어를 형성시킬 경우, 에어 레이어에 입사하는 구면 압력파의 일부는 입사파 대비 거의 180도에 가까운 위상을 가지고 에어 레이어의 바깥쪽으로 반사된다.
이렇게 반사되는 반사파는 다시 에어 레이어 쪽으로 입사되는 구면 압력파인 입사파와 만나서 입사파를 상쇄/감소시키는 역할을 하게 되는데, 이러한 작용으로 인해 에어 레이어의 외부에서 선체(110)로 전달되는 변동압력이 감소하게 된다.
에어 레이어의 외부에서 선체(110)로 전달되는 변동압력이 감소하게 되면 기진력이 저감되는 형태가 되기 때문에 자연스럽게 선체(110)에서 발생하는 소음 또는 진동이 줄어든다. 이러한 내용에 대해서는 검증을 통해 확인한 바 있다.
한편, 본 실시예의 선박에는 제1 및 제2 기진력 저감모듈(140a,140b)로 압축공기를 공급하는 압축공기 공급부(170)가 마련된다.
압축공기 공급부(170)는 선체(110)의 일측에 마련되는 컴프레서(172)와, 컴프레서(172)와 제1 및 제2 기진력 저감모듈(140a,140b)을 연결시키는 압축공기 공급라인(173)과, 압축공기 공급라인(173)에 마련되며, 제1 및 제2 기진력 저감모듈(140a,140b)로 향하는 압축공기를 흐름을 단속하는 제1 및 제2 밸브(174a,174b)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의 경우, 도 1 및 도 2처럼 제1 및 제2 기진력 저감모듈(140a,140b)로 향하는 압축공기를 흐름을 개별적으로 단속하는 다수의 제1 및 제2 밸브(174a,174b)가 적용되고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의 기진력 저감형 선박은 프로펠러(122)의 회전방향을 감지하는 프로펠러 회전방향 감지부(180)와, 프로펠러 회전방향 감지부(180)로부터의 정보에 기초하여 제1 및 제2 밸브(174a,174b)의 온/오프(on/off) 동작을 컨트롤하는 컨트롤러(190)를 포함할 수 있다.
컨트롤러(190)는 프로펠러 회전방향 감지부(180)의 정보에 기초하여 제1 및 제2 기진력 저감모듈(140a,140b)과 연결되는 컴프레서(172) 또는 제1 및 제2 밸브(174a,174b)의 동작을 컨트롤하여 제1 및 제2 기진력 저감모듈(140a,140b)을 통한 기포 발생 여부 혹은 기포 발생량 등을 컨트롤할 수 있다.
예컨대, 도 1처럼 프로펠러(122)가 제1 방향으로 회전되는 경우에는 회전되는 쪽에 배치되는 제1 기진력 저감모듈(140a) 쪽을 제1 밸브(174a)만을 열고 제2 밸브(174b)는 닫아 제1 기진력 저감모듈(140a)을 통한 기포 발생 여부 혹은 기포 발생량 등을 컨트롤할 수 있다.
반대로, 도 2처럼 프로펠러(122)가 제2 방향으로 회전되는 경우에는 회전되는 쪽에 배치되는 제2 기진력 저감모듈(140b) 쪽을 제2 밸브(174b)만을 열고 제1 밸브(174a)는 닫아 제2 기진력 저감모듈(140b)을 통한 기포 발생 여부 혹은 기포 발생량 등을 컨트롤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방법으로 기포 발생과 관련된 제반 사항은 컨트롤할 경우, 터널(121) 내에서 프로펠러(122)의 변동압력으로 인해 선체(110)에 진동이 발생되는 것을 효율적으로 저지할 수 있음은 물론 불필요하게 컴프레서(172)가 가동되어 에너지 손실이 유발되는 현상을 줄일 수도 있다.
이러한 역할을 수행하는 컨트롤러(190)는 중앙처리장치(191, CPU), 메모리(192, MEMORY), 서포트 회로(193, SUPPORT CIRCUIT)를 포함할 수 있다.
중앙처리장치(191)는 본 실시예의 선박에서 컴프레서(172) 또는 제1 및 제2 밸브(174a,174b) 동작을 컨트롤하기 위해서 산업적으로 적용될 수 있는 다양한 컴퓨터 프로세서들 중 하나일 수 있다. 메모리(192, MEMORY)는 중앙처리장치(191)와 동작으로 연결된다. 메모리(192)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로서 로컬 또는 원격지에 설치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 ROM,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또는 임의의 디지털 저장 형태와 같이 쉽게 이용가능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메모리이다. 서포트 회로(193, SUPPORT CIRCUIT)는 중앙처리장치(191)와 작용적으로 결합되어 프로세서의 전형적인 동작을 지원한다. 이러한 서포트 회로(193)는 캐시, 파워 서플라이, 클록 회로, 입/출력 회로, 서브시스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도 4는 도 2의 A 영역의 확대도이고, 도 5는 도 4의 분해도이며, 도 6은 도 5의 사시도이고, 도 7은 기진력 저감모듈의 배면 사시도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기진력 저감형 선박에 적용되는 제1 및 제2 기진력 저감모듈(140a,140b) 모두는 프로펠러(122)에 이웃된 터널(121)의 벽면에 결합되되 터널(121) 벽면의 외표면으로부터 돌출된 돌출부(141)를 구비하며, 돌출부(141)에 형성되는 기포분사공(141a)을 통해 선체(110)의 외표면으로 기포를 발생시켜 터널(121)의 벽면에 일정 폭의 에어 레이어를 형성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제1 및 제2 기진력 저감모듈(140a,140b)이 결합되기 위해, 선체(110)의 벽면에는 바텀 플러그(160, bottom plug)가 결합된다. 물론, 제1 및 제2 기진력 저감모듈(140a,140b)이 단독으로 설치될 수도 있으나 바텀 플러그(160)와 연계되어 장착되면 효율이 좋다.
제1 및 제2 기진력 저감모듈(140a,140b)의 설명에 앞서 바텀 플러그(160)에 대해 먼저 설명한다. 바텀 플러그(160)는 선체(110)의 벽면 곳곳에 장착되는 부품이다. 바텀 플러그(160)는 물을 배수시키는 마개의 역할을 수행한다. 바텀 플러그(160)는 필요할 때만 개방되기 때문에 평상 시 바텀 플러그(160)를 선체(110)로부터 분리시킬 필요는 없다.
바텀 플러그(160)가 결합되기 위해 선체(110)에는 바텀 플러그(160)의 결합을 위한 플러그 결합공(111)이 형성된다. 플러그 결합공(111)의 외벽에는 제1 경사면(112)과 제1 수평면(113)이 형성되며, 이에 대응되게 바텀 플러그(160)에도 제2 경사면(161)과 제2 수평면(162)이 형성된다.
이러한 구조에 의해 바텀 플러그(160)는 플러그 결합공(111)에 결합될 수 있다. 이때, 바텀 플러그(160)가 플러그 결합공(111)에 나사 방식으로 조립되거나 아니면 압입되는 것이 쉽게 분리되지 않도록 하는 면에서 유리할 수 있다.
한편, 제1 및 제2 기진력 저감모듈(140a,140b) 모두는, 바텀 플러그(16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전술한 것처럼 제1 및 제2 기진력 저감모듈(140a,140b)을 바텀 플러그(160)에 결합시키게 되면 제1 및 제2 기진력 저감모듈(140a,140b)의 설치 및 유지보수가 매우 용이해지는 이점이 있다.
하지만, 본 실시예의 권리범위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므로 제1 및 제2 기진력 저감모듈(140a,140b)이 반드시 바텀 플러그(160)에 결합될 필요는 없다. 예컨대, 제1 및 제2 기진력 저감모듈(140a,140b)을 선체(110)의 벽면에 일체로 매입시키는 것 등이 가능한데 이러한 구조 역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제1 및 제2 기진력 저감모듈(140a,140b)은, 압축공기가 유동되는 압축공기 유동라인(143)이 내부에 형성되며, 바텀 플러그(160)의 관통부(163)에 삽입되게 결합되는 모듈 바디(142)와, 모듈 바디(142)의 타측에 형성되고 바텀 플러그(160)의 자리턱(164)에 배치되는 바디 플랜지(144)를 포함할 수 있다.
모듈 바디(142)는 원통형 구조물로 마련될 수 있으며, 바텀 플러그(160)의 관통부(163)에 삽입되게 결합된다. 모듈 바디(142)는 플라스틱 사출물로 제작될 수 있다.
이러한 모듈 바디(142)의 삽입 단부에는 돌출부(141)가 형성되는데, 모듈 바디(142)가 바텀 플러그(160)의 관통부(163)에 삽입된 이후에는 돌출부(141)가 선체(110)의 외표면으로부터 돌출된 형태를 취한다. 따라서 돌출부(141)의 단부에 형성되는 기포분사공(141a)을 통해 기포가 선체(110)의 외표면을 따라 일정 폭으로 분사되면서 에어 레이어를 형성할 수 있다.
터널(121)의 외표면으로 돌출된 형태를 취하는 돌출부(141)는, 모듈 바디(142)의 일측변에서 경사지게 연결되는 경사벽부(141b)와, 경사벽부(141b)의 단부에서 모듈 바디(142)의 표면으로 수직되게 배치되는 수직벽부(141c)를 포함할 수 있다. 돌출부(141)가 경사벽부(141b)를 가짐에 따라, 즉 경사벽부(141b)의 구조적인 유선형 형상에 의해 물과의 마찰 저항을 줄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러한 돌출부(141)의 구조에서 기포분사공(141a)은 수직벽부(141c)에 형성될 수 있는데, 기포분사공(141a)은 원형의 홀 또는 타원형의 홀일 수 있으며, 그 개수 역시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다.
바디 플랜지(144)와 바텀 플러그(160)에는 볼트(B)가 체결되도록 상호간 연통되는 다수의 제1 및 제2 통공(144a,160a)이 형성된다. 제1 및 제2 통공(144a,160a)의 개수가 도면처럼 4개인 것이 안정적이지만 이의 개수는 적절하게 변경될 수 있다.
압축공기 유동라인(143)은 일단부가 압축공기 공급부(170)의 압축공기 공급라인(173)에 연결되고 모듈 바디(142)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직선구간부(143a)와, 돌출부(141)의 내부에 배치되되 직선구간부(143a)와 교차되고 단부에 기포분사공(141a)을 형성되는 교차구간부(143b)를 포함한다.
직선구간부(143a)와 교차구간부(143b)로 분리하여 제작한 후 이들을 연통시키는 까닭은 한번의 드릴 가공이 어렵기 때문인데, 만약 드릴 가공이 쉽다면 이들은 일체로 제작될 수도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제1 및 제2 기진력 저감모듈(140a,140b)의 작용에 대해 설명한다.
예컨대, 도 1처럼 프로펠러(122)가 제1 방향으로 회전되는 경우에는 제1 기진력 저감모듈(140a)이 동작되며, 도 2처럼 프로펠러(122)가 제2 방향으로 회전되는 경우에는 제2 기진력 저감모듈(140b)이 동작될 수 있다.
즉 컴프레서(172)가 동작되어 압축공기가 압축공기 공급라인(173)을 통해 공급되면, 압축공기는 직선구간부(143a)와 교차구간부(143b)를 따라 유동하여 기포분사공(141a)을 통해 수중에서 분사된다.
이처럼 수중에서 강한 압축공기가 분사되면 압축공기를 기포를 형성하게 되며, 이와 같이 생성되는 기포는 도 1 및 도 2처럼 프로펠러(122)에 이웃된 터널(121)의 벽면에서 일정 폭의 에어 레이어를 형성한다.
한편, 앞서 기술한 것처럼 프로펠러(122) 동작 시 캐비테이션에 의해 발생되는 구면 압력파가 전방위로 전파되는 과정에서 일부가 에어 레이어에 부딪혀 에어 레이어의 바깥쪽으로 반사되는데, 이렇게 반사되는 반사파는 다시 에어 레이어 쪽으로 입사되는 입사파와 만나서 입사파를 상쇄/감소시키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러한 작용으로 인해 에어 레이어의 외부에서 선체(110)로 전달되는 변동압력이 감소하게 되며, 이는 기진력을 저감시키는 형태가 되어 자연스럽게 선체(110)로 전달되는 진동이 줄어들게 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르면, 터널 스러스터(120)의 프로펠러(122) 동작 시 발생되는 변동압력으로 인해 기진력이 증가되어 선체(110)에 진동이 발생되는 것을 저지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크루즈선처럼 유람을 목적으로 하는 선박이나 군함처럼 조용한 운항이 전제되어야 하는 선박인 경우에 있어, 선박에 야기되는 소음 포함 진동 문제를 적절하게 해결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기진력 저감형 선박의 터널 스러스터 영역의 구조도이다.
본 실시예의 경우, 압축공기 공급부(270)의 구조가 전술한 실시예와 상이하다. 본 실시예의 압축공기 공급부(270)는, 선체(110)의 일측에 마련되는 컴프레서(172)와, 컴프레서(172)와 제1 및 제2 기진력 저감모듈(140a,140b)을 연결시키는 압축공기 공급라인(173)과, 압축공기 공급라인(173)에 마련되며, 제1 및 제2 기진력 저감모듈(140a,140b)로 향하는 압축공기를 흐름을 단속하는 밸브(274)를 포함한다.
이때의 밸브(274)는 공용 밸브(274)로서 전술한 컨트롤러(190, 도 3 참조)에 의해 컨트롤되면서 제1 및 제2 기진력 저감모듈(140a,140b)로 향하는 압축공기를 흐름을 단속할 수 있다. 공용 밸브(274)는 예컨대 3방향 솔레노이드 전자밸브일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10 : 선체 120 : 터널 스러스터
121 : 터널 122 : 프로펠러
123 : 모터 140a,140b : 기진력 저감모듈
141 : 돌출부 142 : 모듈 바디
143 : 압축공기 유동라인 144 : 바디 플랜지
160 : 바텀 플러그 163 : 관통부
164 : 자리턱 170 : 압축공기 공급부
171 : 스티어링 기어 룸 172 : 컴프레서
173 : 압축공기 공급라인 174a,174b : 밸브

Claims (6)

  1. 선체에 마련되는 터널 스러스터(tunnel thruster);
    상기 터널 스러스터의 프로펠러 동작 시 상기 프로펠러에 이웃된 터널의 벽면에 반사파를 발생시키는 에어 레이어(air layer)를 형성시켜 상기 선체 쪽으로의 기진력을 저감시키되 상기 프로펠러를 사이에 두고 상기 터널의 상부 벽면 양측에 배치되는 제1 및 제2 기진력 저감모듈; 및
    상기 제1 및 제2 기진력 저감모듈로 압축공기를 공급하는 압축공기 공급부를 포함하며,
    상기 압축공기 공급부는,
    상기 선체의 일측에 마련되는 컴프레서;
    상기 컴프레서와 상기 제1 및 제2 기진력 저감모듈을 연결시키는 압축공기 공급라인; 및
    상기 압축공기 공급라인에 마련되며, 상기 제1 및 제2 기진력 저감모듈로 향하는 압축공기를 흐름을 단속하는 밸브를 포함하는 기진력 저감형 선박.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는 상기 제1 및 제2 기진력 저감모듈로 향하는 압축공기를 흐름을 개별적으로 단속하는 다수의 개별 밸브이거나 공용 밸브인 기진력 저감형 선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펠러의 회전방향을 감지하는 프로펠러 회전방향 감지부; 및
    상기 프로펠러 회전방향 감지부로부터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밸브의 온/오프(on/off) 동작을 컨트롤하는 컨트롤러를 더 포함하는 기진력 저감형 선박.
KR1020120125947A 2012-11-08 2012-11-08 기진력 저감형 선박 KR1014441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25947A KR101444144B1 (ko) 2012-11-08 2012-11-08 기진력 저감형 선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25947A KR101444144B1 (ko) 2012-11-08 2012-11-08 기진력 저감형 선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59461A KR20140059461A (ko) 2014-05-16
KR101444144B1 true KR101444144B1 (ko) 2014-09-26

Family

ID=508892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25947A KR101444144B1 (ko) 2012-11-08 2012-11-08 기진력 저감형 선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4414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NL2030800B1 (en) 2022-02-01 2023-08-11 Hydromaster Holding B V Low noise tunnel thruster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9596A (ja) * 1996-07-16 1998-02-03 Mitsubishi Heavy Ind Ltd 防振型サイド・スラスタ・トンネル
JPH1071993A (ja) * 1996-08-30 1998-03-17 Mitsubishi Heavy Ind Ltd 船舶の振動防止装置
JP2009274705A (ja) * 2008-04-17 2009-11-26 R & D Engineering:Kk 摩擦抵抗低減船およびその運転方法
KR20110093570A (ko) * 2010-02-11 2011-08-18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기포발생기를 구비하는 선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9596A (ja) * 1996-07-16 1998-02-03 Mitsubishi Heavy Ind Ltd 防振型サイド・スラスタ・トンネル
JPH1071993A (ja) * 1996-08-30 1998-03-17 Mitsubishi Heavy Ind Ltd 船舶の振動防止装置
JP2009274705A (ja) * 2008-04-17 2009-11-26 R & D Engineering:Kk 摩擦抵抗低減船およびその運転方法
KR20110093570A (ko) * 2010-02-11 2011-08-18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기포발생기를 구비하는 선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59461A (ko) 2014-05-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10093570A (ko) 기포발생기를 구비하는 선박
KR20110068962A (ko) 선박용 추진장치
KR101475019B1 (ko) 애지머스 스러스터를 구비하는 선박
KR101383115B1 (ko) 선박의 진동 저감 장치
KR101444144B1 (ko) 기진력 저감형 선박
JP2011218959A (ja) バウスラスターを備えた船舶、及びこの船舶の航行方法と改修方法
JP2007230547A (ja) 3つの軸線を有する電気船舶推進システム
KR101399961B1 (ko) 선박
Van Terwisga et al. Steerable propulsion units: hydrodynamic issues and design consequences
KR101334332B1 (ko) 선박
KR101620464B1 (ko) 선박의 터널 스러스터
WO2020215926A1 (zh) 一种减阻船
KR20140045104A (ko) 기진력 저감형 선박
KR101444145B1 (ko) 기진력 저감형 선박
KR20220047011A (ko) 수중 방사소음 감소용 추진체를 구비하는 선박
KR101818519B1 (ko) 횡동요 저감 탱크 및 이를 가지는 해상 구조물
KR20140058948A (ko) 기진력 저감형 선박
KR20140059463A (ko) 기진력 저감형 선박
JP2006176068A (ja) 船舶のピッチング軽減装置
US20230391436A1 (en) Ship construction and propulsion system
KR101475018B1 (ko) 애지머스 스러스터를 구비하는 선박
KR101344687B1 (ko) 수중 물 분사 연료저감용 펌프시스템
KR102095417B1 (ko) 능동형 횡 동요 저감장치
KR20180076513A (ko) 코안다 효과를 이용한 폰툰 구조 및 이를 가지는 해양구조물
JP4789484B2 (ja) 船首バルブ及びそれを備えた船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0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9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