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63462B1 - 핸들러 - Google Patents

핸들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63462B1
KR102663462B1 KR1020180136050A KR20180136050A KR102663462B1 KR 102663462 B1 KR102663462 B1 KR 102663462B1 KR 1020180136050 A KR1020180136050 A KR 1020180136050A KR 20180136050 A KR20180136050 A KR 20180136050A KR 102663462 B1 KR102663462 B1 KR 1026634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y
handler
identification
unit
seating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360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52712A (ko
Inventor
남경표
Original Assignee
(주)테크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테크윙 filed Critical (주)테크윙
Priority to KR10201801360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63462B1/ko
Priority to TW108140302A priority patent/TWI745776B/zh
Priority to CN201911081290.6A priority patent/CN111153129B/zh
Publication of KR202000527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52712A/ko
Priority to KR1020230133614A priority patent/KR20230147576A/ko
Priority to KR1020240057335A priority patent/KR20240068596A/ko
Priority to KR1020240057327A priority patent/KR202400704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634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634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35/00Mechanical conveyo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005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242Apparatus for monitoring, sorting or marking
    • H01L21/67271Sorting devi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005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011Apparatus for manufacture or treatment
    • H01L21/67144Apparatus for mounting on conductive members, e.g. leadframes or conductors on insulating substrat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005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242Apparatus for monitoring, sorting or marking
    • H01L21/67259Position monitoring, e.g. misposition detection or presence detec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005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242Apparatus for monitoring, sorting or marking
    • H01L21/67294Apparatus for monitoring, sorting or marking using identification means, e.g. labels on substrates or labels on contain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arehouses Or Storage Devices (AREA)
  • Testing Of Individual Semiconductor Devi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오토메이션 시스템에 구비될 수 있는 핸들러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핸들러는, 복수 개의 트레이를 수용할 수 있는 안착부; 상기 트레이가 상기 안착부로부터 빠져나가기 전에 상기 안착부에 수용된 상기 트레이의 식별표시를 인식할 수 있는 안착부 식별장치; 및 상기 안착부 식별장치가 이동하여 상기 안착부에 수용된 상기 트레이를 식별하도록 상기 안착부 식별장치를 제어하는 핸들러 제어부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Description

핸들러{HANDLER}
본 발명은 오토메이션 시스템에 구비될 수 있는 핸들러에 대한 발명이다.
핸들러는 소정의 제조공정을 거쳐 제조된 반도체 소자 등의 전자부품이 테스터에 의해 테스트될 수 있도록 지원하며, 테스트 결과에 따라 전자부품을 등급별로 분류하여 고객트레이에 적재하는 기기이다.
이러한 핸들러에는 이송경로를 따라 전자부품을 이송시킬 수 있다. 또한, 핸들러는 전자부품을 테스트트레이에 적재하여 이동시킬 수 있으며, 여러 장의 테스트트레이를 순환시킬 수 있다. 이러한 테스트트레이의 이송경로는 로딩장치, 테스트 챔버, 및 언로딩 장치를 경유할 수 있다. 핸들러는 테스트 되지 않은 전자부품들을 고객트레이로부터 테스트트레이에 장착한 후, 전자부품들이 적재된 테스트트레이를 일정 경로를 따라서 순환시킴으로써 테스트트레이에 적재된 전자부품들의 테스트를 지원한다. 또한, 테스트트레이에 적재된 전자부품들의 테스트가 완료되면 테스트 완료된 전자부품들을 다시 고객트레이로 이송하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은, 핸들러에 구비되는 테스트트레이는 일반적으로 사각프레임에 다수의 인서트가 행렬 형태로 배열되어 있는 구조를 가지며, 각각의 인서트에는 전자부품이 적재된다.
그런데, 최근 들어서는 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하고 작업 속도를 증가시키며 물류비를 감소시키기 위하여 핸들러로 트레이를 공급하거나 핸들러로부터 트레이를 회수는 것을 자동화할 것이 요구되고 있다. 이러한 자동 운반을 위해서는 핸들러 내에 수용된 트레이의 정보를 인식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상기와 같은 배경에서 발명된 것으로서, 핸들러로 고객 트레이를 공급하는 과정과 핸들러에서 고객 트레이를 회수하는 과정이 자동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핸들러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복수 개의 트레이를 수용할 수 있는 안착부; 상기 트레이가 상기 안착부로부터 빠져나가기 전에 상기 안착부에 수용된 상기 트레이의 식별표시를 인식할 수 있는 안착부 식별장치; 및 상기 안착부 식별장치가 이동하여 상기 안착부에 수용된 상기 트레이를 식별하도록 상기 안착부 식별장치를 제어하는 핸들러 제어부를 포함하는, 핸들러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안착부 식별장치는 상기 안착부에 수용된 상기 트레이가 이동하지 않을 때 상기 트레이를 식별하는, 핸들러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안착부 식별장치는, 상기 안착부의 트레이의 식별표시를 스캔 가능하게 구성되는 제1 식별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식별유닛은, 일 방향을 향하여 스캔함으로써 상기 트레이의 상기 식별표시를 인식하는 제1 인식기; 및 상기 제1 인식기가 상기 안착부 내의 트레이의 측면을 스캔할 수 있도록 광을 반사시키는 제1 반사경을 포함하는, 핸들러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안착부는 복수 개로 제공되고, 상기 안착부 식별장치는, 상기 제1 식별유닛을 이동시킬 수 있는 제1 이동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이동기는, 상기 제1 식별유닛을 지지하여 수직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제1 수직방향 이송기; 및 상기 제1 수직방향 이송기를 지지하여 수평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으며, 상기 수평방향으로의 제1 수직방향 이송기의 이동을 위해 상기 안착부의 후방에 배치된 이동경로를 포함하는 제1 수평방향 이송기를 포함하는, 핸들러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이동기는, 상기 제1 수평방향 이송기가, 상기 제1 식별유닛을 복수 개의 상기 안착부 중 어느 하나의 안착부의 좌측 및 우측 중 어느 하나, 복수 개의 상기 안착부 중 다른 하나의 안착부의 좌측 및 우측 중 어느 하나 사이에서 이동시키도록 구성되는, 핸들러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안착부 식별장치는, 상기 제1 식별유닛이 상기 안착부의 좌측 및 우측 중 어느 일 측의 위치에서 상기 안착부의 좌측 및 우측 중 다른 일 측을 향하여 스캔하도록 구성되는, 핸들러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안착부에 수용된 복수 개의 트레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은, 상기 트레이의 좌측 및 우측 중 어느 일 측에 형성된 식별표시를 포함하는, 핸들러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안착부는, 제1 상태의 전자부품을 수용하기 위한 트레이를 수용할 수 있는 수용부; 및 제2 상태의 전자부품을 수용하기 위한 트레이를 수용할 수 있는 저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안착부 식별장치는, 상기 수용부에 수용된 상기 트레이의 식별표시 및 상기 저장부에 수용된 상기 트레이의 식별표시 중 하나 이상을 인식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핸들러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안착부 식별장치는, 상기 트레이가 상기 수용부로부터 빠져나가기 전에 상기 수용부에 수용된 상기 트레이의 식별표시를 인식할 수 있는 수용부 식별장치; 및 상기 트레이가 상기 저장부로부터 빠져나가기 전에 상기 저장부에 수용된 상기 트레이의 식별표시를 인식할 수 있는 저장부 식별장치를 포함하는, 핸들러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용부 식별장치 및 상기 저장부 식별장치는 서로에 대해 독립적으로 작동하도록 구성되는, 핸들러가 제공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핸들러 및 이를 포함하는 오토메이션 시스템의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어느 일 실시예에 따른 핸들러에 사용되는 고객 트레이로서, 고객 트레이의 좌측과 후방측 가장자리에 식별표시가 형성된 것을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핸들러의 구성을 개념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의 제 1 예시에 따른 핸들러 내부의 안착부 식별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안착부 식별장치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6은 도 4의 핸들러에 구비된 감지센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의 제 2 예시에 따른 핸들러 내부의 수용부, 및 수용부 식별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의 수용부, 및 수용부 식별장치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9는 도 7의 수용부 식별장치의 이동을 개념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의 제 2 예시에 따른 핸들러 내부의 저장부, 및 저장부 식별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저장부, 및 저장부 식별장치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12는 도 10의 저장부 식별장치의 이동을 개념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핸들러 및 이를 포함하는 오토메이션 시스템의 개념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사상을 구현하기 위한 구체적인 실시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접속', '공급', '전달', '접촉'된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 접속, 공급, 전달, 접촉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로 사용된 것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상측, 하측, 측면 등의 표현은 도면에 도시를 기준으로 설명한 것이며 해당 대상의 방향이 변경되면 다르게 표현될 수 있음을 미리 밝혀둔다. 마찬가지의 이유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개략적으로 도시되었으며,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이 아니다.
또한, 제2, 제3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해당 구성요소들은 이와 같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이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들을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의 의미는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및/또는 성분을 구체화하며, 다른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성분 및/또는 군의 존재나 부가를 제외시키는 것은 아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핸들러 및 이를 포함하는 오토메이션 시스템(1)의 구체적인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오토메이션 시스템(1)은 트레이 이송수단(10), 핸들러(20) 및 이들과 통신하는 중앙제어유닛(30)을 포함할 수 있다. 오토메이션 시스템(1)에 구비되는 이송수단(10) 및 핸들러(20)의 개수는 하나 이상일 수 있다.
트레이 이송수단(10)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고객 트레이(CT)가 트레이 공급원으로부터 공급되어 로딩될 수 있으며, 트레이 공급원(미도시)과 핸들러(20) 사이에서 고객 트레이(CT)를 이송할 수 있다. 또한, 트레이 이송수단(10)은 핸들러(20)에 고객 트레이(CT)를 언로딩할 수 있다. 복수 개의 고객 트레이(CT)는 전자부품이 로딩된 상태로 트레이 이송수단(10)에 의해 이송될 수 있고, 이러한 전자부품은 일예로 반도체 소자일 수 있다. 또한, 트레이 이송수단(10)은 복수 개의 고객 트레이(CT)를 묶음으로 한꺼번에 이송할 수 있다. 복수 개의 고객 트레이(CT)에는 각각의 고객 트레이(CT)가 개별적으로 식별 가능하도록 식별표시가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식별표시는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바타입의 1차원 바코드일 수 있으나, 다른 예로 QR코드, Data Matrix와 같은 2차원 바코드일 수 있고, 바코드 이외에도 문자, 숫자, 기호 등일 수 있다. 또한, 식별표시는 음각, 양각 및 색상 등을 달리한 표식일 수도 있다. 또한, 이러한 식별표시는 고객 트레이(CT)의 가장자리부에 복수 개로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에서와 같이 고객 트레이(CT)에는 동일한 식별표시가 고객 트레이(CT)의 가장자리의 상면 및 고객 트레이(CT)의 가장자리의 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트레이 이송수단(10)은 고객 트레이(CT)의 로딩을 위한 적재공간, 고객 트레이(CT)를 적재공간에 적재하거나 이로부터 하역하기 위한 이송암(120), 및 이동수단 제어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수단 제어부(130)는 센서 등을 통해 트레이 이송수단(10)의 고객 트레이(CT) 적재여부 및 적재량을 감지하여 중앙제어유닛(30)에 전달할 수 있다. 이동수단 제어부(130)는 중앙제어유닛(30) 등의 외부 구성으로부터 핸들러(20)에 고객 트레이(CT)의 공급이 필요한지, 핸들러(20)로부터 고객 트레이(CT)의 회수가 필요한지 등에 대한 신호를 수신하고 이러한 신호에 기초하여 트레이 이송수단(10)의 이동 및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이동수단 제어부(130)는 마이크로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연산 장치 및 메모리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이동수단 제어부(130)는 외부와 통신하기 위한 통신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트레이 이송수단(10)이 외부로부터 수신하는 신호는 제1 신호로 명명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제1 신호가 정의되는 것은 트레이 이송수단(10)이 받는 신호를 후술하는 핸들러(20)가 받는 신호와 구별하기 위함이고, 제1 신호는 반드시 하나의 신호 또는 단일 신호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도면에서는 트레이 이송수단(10)이 천장에 설치된 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카트로 구성되는 것으로 나타내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른 예로, 트레이 이송수단(10)은 지상에서 이동하는 자동무인대차로 구성될 수 있고, 자동무인대차는 레일을 따라 이동하도록 구성되거나 레일 없이 좌표를 인식함으로써 이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트레이 이송수단(10)은 핸들러(20)에 고객 트레이(CT)를 공급하거나 핸들러(20)로부터 고객 트레이(CT)를 공급받으므로, 이하 도 3 내지 도 6을 더 참조하여 제 1 실시예의 제 1 예시에 따른 핸들러(20)를 설명한다.
먼저 도 3을 더 참조하면, 제 1 실시예의 제 1 예시에 따른 핸들러(20)는 트레이 이송수단(10)으로부터 전달받은 트레이(고객 트레이(CT))에 수용된 전자부품 대한 테스트를 수행할 수 있다. 핸들러(20)에는 외부로부터 공급받은 고객 트레이(CT) 이외에도, 전자부품의 테스트를 위해 트레이(테스트 트레이)가 제공될 수 있다. 테스트 트레이에는 고객 트레이(CT)로부터 이송된 전자부품이 수용될 수 있다.
핸들러(20)는 한 쌍의 가열유닛(201a, 201b), 한 쌍의 셔틀유닛(202a, 202b), 연결유닛(203) 및 3개의 버퍼 트레이(204a, 204b, 204c)를 포함할 수 있다. 핸들러(200)에서 한 쌍의 가열유닛(201a, 201b)은 상하로 높이 차를 가지도록 설치되어서 전후 방향으로 교차하면서 왕복 이동할 수 있으며, 한 쌍의 셔틀유닛(202a, 202b)은 연결유닛(203)을 사이에 두고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가열유닛(201a, 201b)과 셔틀유닛(202a, 202b)의 복수 구성으로 인해 처리 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버퍼 트레이(204a, 204b, 204c)는 고객 트레이(CT)로 대체될 수 있다.
또한, 핸들러(20)는 트레이 간의 전자부품의 이송을 위한 픽커(미도시), 전자부품이 안착될 수 있는 고객 트레이(CT)를 안착시키기 위한 안착부(210), 안착부(210)에 안착된 고객 트레이(CT)의 식별표시를 식별하기 위한 안착부 식별장치(240), 및 테스트 트레이(TT)를 이송하거나 테스트 트레이(TT) 간에 전자부품을 이송시킴으로써 전자부품을 순환시키는 순환경로(C)를 포함할 수 있다. 안착부(210)는 좌우방향으로 배열되며 최대한 밀착 배치될 수 있으며, 복수 개로 제공될 수 있다.
핸들러(20)는 고객 트레이(CT)를 안착부(210) 사이에서 이송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고객 트레이(CT)가 안착부(210)로 공급되거나, 이들로부터 반출될 수 있도록, 안착부(210)는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드되어 배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안착부(210)는 외부로 완전히 슬라이드되었을 때, 핸들러의 몸체와 소정의 이격거리를 가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이격거리는 대략 100mm 이상 대략 300mm 이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안착부(210)와 핸들러(20)의 프레임 간의 거리는 대략 200mm일 수 있다.
픽커는 고객 트레이(CT) 또는 테스트 트레이(TT)에 수용된 전자부품을 픽업하고 이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퍽커는 전자부품의 표면을 공기 흡착 방식으로 고객 트레이(CT)에 안착된 전자부품을 픽업하여, 테스트 트레이(TT)로 이송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4 및 도 5를 더 참조하면, 안착부(210)는 고객 트레이(CT)를 수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안착부(210)는 제1 상태에 놓인 전자부품을 수용하기 위한 고객 트레이(CT)를 수용할 수 있는 수용부(220), 및 제2 상태의 전자부품을 수용하기 위한 고객 트레이(CT)를 수용하는 저장부(230)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상태에 놓인 전자부품은 테스터에 의해 테스트 되기 전의 전자부품일 수 있고, 제2 상태에 놓인 전자부품은 테스터에 의해 테스트된 이후의 전자부품일 수 있다. 안착부(210)는 복수 개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수용부(220) 및 저장부(230) 중 적어도 하나는 복수 개로 안착부(210)에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복수 개의 안착부(210)는 좌우방향으로 나란하게 배열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도면에서는, 안착부(210)가 단일 안착공간을 포함하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본 발명의 사상이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안착부(210) 중 적어도 일부는 상하 방향으로 나란하게 배열되는 복수 개의 안착공간을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수용부(220)에 수용된 고객 트레이(CT)는 트레이 이송수단(10)으로부터 전달받은 것일 수 있다. 수용부(220)는 그 내부에 복수 개의 고객 트레이(CT)가 상하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수용되고, 복수 개의 고객 트레이(CT)가 지면과 평행하게 배치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수용부(220)는 복수 개의 고객 트레이(CT)가 나란하게 배치되어 상하 방향으로 적층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수용부(220)는 핸들러(20) 내에서 복수 개로 제공될 수 있다. 복수 개의 수용부(220)는 좌우방향으로 나란하게 배열될 수 있고, 저장부(230)와도 좌우방향으로 나란하게 배열될 수 있다.
수용부(220)는 테스트되기 전의 전자부품을 수용하기 위한 고객 트레이(CT)가 수용될 수 있고 수용부(220)에 포함된 안착공간은 수용공간으로 명명될 수 있다. 이러한 수용부(220)는 순환경로(C)의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수용부(220)는 상부를 통해 고객 트레이(CT)를 공급받고, 하부를 통해 고객 트레이(CT)를 순환경로(C)로 반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수용부(220)는 제1 슬라이드 프레임(221), 제1 보조 프레임(222), 제1 수직 가이드(223), 제1 지지부(224), 제1 이송장치(225), 및 제1 승강기(226)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슬라이드 프레임(221)은 핸들러(20)의 메인 프레임에 대하여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전방은 수용부(220)가 개방되기 위해 제1 슬라이드 프레임(221)이 이동하는 방향이고, 후방은 수용부(220)가 폐쇄되기 위해 제1 슬라이드 프레임(221)이 이동하는 방향일 수 있다. 이러한 제1 슬라이드 프레임(221)은 수용부(220)의 메인 프레임일 수 있다. 제1 슬라이드 프레임(221)은 수용공간에 수용된 고객 트레이(CT)가 순환경로(C)로 이동하기 위해 후방으로 반출될 수 있도록 후방측이 개방될 수 있다.
제1 보조 프레임(222)은 수용공간의 측방을 커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보조 프레임(222)은 수용공간의 전방측을 커버하도록 수직방향으로 세워진 플레이트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상부 중앙에 하방으로 요입된 홈이 형성될 수 있다. 고객 트레이(CT)가 수용된 수용부(220)를 전방측에서 바라보았을 때, 제1 보조 프레임(222)의 홈을 통해 고객 트레이(CT)가 노출될 수 있다. 트레이 이송수단(10)의 이송암(120)은 제1 보조 프레임(222)의 요입홈을 통해 고객 트레이(CT)를 수용공간에 적재할 수 있다.
제1 수직 가이드(223)는 제1 슬라이드 프레임(221)에 지지되고 수용부(220) 내에 저장된 고객 트레이(CT)에 대하여 수직인 방향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제1 수직 가이드(223)는 수용공간의 모서리 부분에 배치되어 수용부(220)에 수용되는 고객 트레이(CT)를 안내할 수 있다. 제1 수직 가이드(223)는 횡단면이 꺽쇠 형상(ㄱ)을 가질 수 있다.
제1 지지부(224)는 이동하거나 회전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수용부(220)에 수용된 고객 트레이(CT)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다. 제1 지지부(224)는 제1 슬라이드 프레임(221)에 지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지지부(224)는 수용부(220)에 수용된 최하단의 고객 트레이(CT) 또는 최하단의 바로 위의 고객 트레이(CT)를 선택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다. 보다 자세한 예시로, 제1 승강기(226)가 최하단의 고객 트레이(CT)를 수용부(220)로부터 순환경로(C)로 반출하기 위하여 하강할 때, 제1 지지부(224)는 최하단의 바로 위의 고객 트레이(CT)를 지지할 수 있다.
제1 이송장치(225)는 수용부(220)에 수용된 고객 트레이(CT)를 수용공간의 하측을 통해 수용부(220)의 외부로 반출시킬 수 있다. 제1 이송장치(225)는 제1 슬라이드 프레임(221)에 지지될 수 있으며, 수용부(220)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이송장치(225)는 수용부(220)에 수용된 최하단의 고객 트레이(CT)를 반출할 수 있도록, 최하단의 고객 트레이(CT)의 저면에 접촉할 수 있으며, 제1 승강기(236)에 의해 승강 또는 하강됨으로써 고객 트레이(CT)에 선택적으로 접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제1 이송장치(225)는 고객 트레이(CT)의 하면의 좌측과 우측에 접촉할 수 있다.
제1 승강기(226)는 수용부(220)에 수용된 고객 트레이(CT)를 순환경로(C)로 이송시키기 위해 수용부(220)에 적재된 고객 트레이(CT)를 하강시킬 수 있다. 제1 승강기(236)는 고객 트레이(CT)의 하강을 위해 고객 트레이(CT)의 저면의 좌측과 우측을 지지할 수 있다. 이러한 승강 또는 하강으로 인해 고객 트레이(CT)는 제1 이송장치(225)에 선택적으로 접촉할 수 있다. 제1 승강기(226)는 상측에서 보았을 때 제1 수직 가이드(223)보다 중심측에 가까이 배치될 수 있으며, 제1 슬라이드 프레임(221) 및/또는 제1 지지부(224)와 좌우 방향으로 이격 배치될 수 있다. 트레이 이송수단(10)의 이송암은 제1 슬라이드 프레임(221)과 제1 승강기(226)의 사이 또는 제1 지지부(224)와 제1 승강기(226) 사이의 이격공간을 통해 고객 트레이(CT)를 수용공간에 적재할 수 있다. 이러한 제1 승강기(226)는 예를 들어 모터, 풀리 및 벨트를 포함할 수 있다.
저장부(230)에는 테스트가 완료된 전자부품을 수용하기 위한 고객 트레이(CT)가 순차적으로 수용될 수 있다. 저장부(230)는 수용부(220)와 유사한 방식으로 복수 개의 고객 트레이(CT)를 저장할 수 있다. 수용부(220)는 그 내부에 복수 개의 고객 트레이(CT)가 상하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수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저장부(230)는 그 내부에 수용된 복수 개의 고객 트레이(CT)가 지면과 평행하게 배치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저장부(230)는 복수 개의 고객 트레이(CT)가 나란하게 배치되어 상하 방향으로 적층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저장부(230)는 핸들러(20) 내에서 복수 개로 제공될 수 있다. 복수 개의 저장부(230)는 좌우방향으로 나란하게 배열될 수 있으며, 수용부(220)와도 좌우방향으로 나란하게 배열될 수 있다. 순환경로(C)에서 테스트가 완료된 전자부품은 그 테스트 결과에 따라, 픽커 등에 의해 복수 개의 저장부(230) 중 어느 하나의 고객 트레이(CT)에 로딩될 수 있다. 저장부(230)는 수용부(220)로부터 전달받거나 외부로부터 공급받은 고객 트레이(CT)를 수용할 수 있다. 저장부(230)는 순환경로(C)를 순환하며 테스트된 전자부품이 내부에 수용된 고객 트레이(CT)에 안착될 수 있도록, 고객 트레이(CT)를 순환경로(C) 측으로 승 하강시킬 수 있다.
저장부(230)는 고객 트레이(CT)를 고객 트레이(CT)가 저장되기 위한 저장공간을 가질 수 있고 순환경로(C)의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저장부(230)는 제2 슬라이드 프레임(231), 제2 보조 프레임(232), 제2 수직 가이드(233), 제2 지지부(234), 제2 이송장치(235), 및 제2 승강기(236)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슬라이드 프레임(231)은 핸들러(20)의 메인 프레임에 대하여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2 슬라이드 프레임(231)은 저장부(230)의 메인 프레임일 수 있다. 제2 슬라이드 프레임(231)은 저장공간에 저장된 고객 트레이(CT)가 순환경로(C)로 이동하기 위해 후방으로 반입될 수 있도록 후방측이 개방될 수 있다.
제2 보조 프레임(232)은 저장공간의 측방을 커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보조 프레임(232)은 저장공간의 전방측을 커버하도록 수직방향으로 세워진 플레이트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상부 중앙에 하방으로 요입된 홈이 형성될 수 있다. 고객 트레이(CT)가 저장된 저장부(230)를 전방측에서 바라보았을 때, 제2 보조 프레임(232)의 홈을 통해 고객 트레이(CT)가 노출될 수 있다. 트레이 이송수단(10)의 이송암(120)은 제2 보조 프레임(232)의 요입홈을 통해 고객 트레이(CT)를 저장공간으로부터 수거할 수 있다.
제2 수직 가이드(233)는 제2 슬라이드 프레임(231)에 지지되고 저장부(230) 내에 저장된 고객 트레이(CT)에 대하여 수직인 방향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제2 수직 가이드(233)는 저장공간의 모서리 부분에 배치되어 저장부(230)에 저장되는 고객 트레이(CT)를 안내할 수 있다. 제2 수직 가이드(233)는 횡단면이 꺽쇠 형상(ㄱ)을 가질 수 있다.
제2 지지부(234)는 이동하거나 회전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저장부(230)에 저장된 고객 트레이(CT)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다. 제2 지지부(234)는 제2 슬라이드 프레임(231)에 지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지지부(234)는 저장부(230)에 저장된 최하단의 고객 트레이(CT) 또는 최하단의 바로 위의 고객 트레이(CT)를 선택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다. 보다 자세한 예시로, 제2 이송장치(235)가 최하단의 고객 트레이(CT)를 저장부(230)로부터 순환경로(C)로 반입하기 위하여 하강할 때, 제2 지지부(234)는 최하단의 바로 위의 고객 트레이(CT)를 지지할 수 있다.
제2 이송장치(235)는 저장부(230)에 저장된 고객 트레이(CT)를 저장부(230)의 외부로부터 반입시킬 수 있다. 제2 이송장치(235)는 제2 슬라이드 프레임(231)에 지지될 수 있으며, 저장부(230)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이송장치(235)는 저장부(230)에 수용된 최하단의 고객 트레이(CT)를 반출할 수 있도록, 최하단의 고객 트레이(CT)의 저면에 접촉할 수 있으며, 제2 승강기(236)에 의해 승강 또는 하강됨으로써 고객 트레이(CT)에 선택적으로 접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제2 이송장치(235)는 고객 트레이(CT)의 하면의 좌측과 우측에 접촉할 수 있다.
제2 승강기(236)는 테스트된 전자부품이 수용하기 위한 고객 트레이(CT)가 상측으로부터 저장부(230)에 적재될 수 있도록 이미 저장부(230)에 저장된 고객 트레이(CT)를 하강시킬 수 있다. 제2 승강기(236)는 고객 트레이(CT)의 하강을 위해 고객 트레이(CT)의 저면의 좌측과 우측을 지지할 수 있다. 제2 승강기(236)는 상측에서 보았을 때 제2 수직 가이드(233)보다 중심측에 가까이 배치될 수 있으며, 제2 슬라이드 프레임(231) 및/또는 제2 지지부(234)와 좌우 방향으로 이격 배치될 수 있다. 트레이 이송수단(10)의 이송암은 제2 슬라이드 프레임(231)과 제2 승강기(236)의 사이 또는 제2 지지부(234)와 제2 승강기(236) 사이의 이격공간을 통해 수용공간에 적재된 고객 트레이(CT)를 수용공간으로부터 수거할 수 있다. 이러한 제2 승강기(236)는 예를 들어 모터, 풀리 및 벨트를 포함할 수 있다.
안착부 식별장치(240)는 안착부(210)에 수용된 고객 트레이(CT)의 식별표시를 인식할 수 있다. 또한, 도 2에서와 같이 하나의 고객 트레이(CT)에 복수 개의 식별표시가 제공되는 경우, 안착부 식별장치(240)는 복수 개의 식별표시 중 적어도 하나의 식별표시를 인식할 수 있다. 또한, 안착부 식별장치(240)는 고객 트레이(CT)가 안착부(210) 내에 안착되어 이동하지 않는 상태에서 고객 트레이(CT)를 인식하도록 작동된다. 또한, 안착부 식별장치(240)는 복수 개로 제공될 수 있으며 서로에 대하여 독립적으로 작동할 수 있다.
이러한 안착부 식별장치(240)는 제1 식별유닛(241), 및 이러한 제1 식별유닛(241)을 이동시키는 제1 이동기(244)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식별유닛(241)은 안착부(210)의 측부에 위치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고객 트레이(CT)가 안착부(210) 내에서 이동하지 않도록 안착되었을 때 고객 트레이(CT)를 인식할 수 있다. 이러한 제1 식별유닛(241)은 제1 이동기(244)에 설치될 수 있고, 복수 개의 안착부(210) 중 어느 하나의 안착부(210)의 일측에 배치되어 타측을 향해 스캔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식별유닛(241)은 복수 개의 안착부(210) 중 어느 하나의 안착부(210)의 좌측 및 우측 중 어느 일측(예를 들어 좌측)에 배치되어 안착부(210)의 좌측 및 우측 중 어느 타측(예를 들어 우측)을 향하여 스캔함으로써, 고객 트레이(CT)의 좌측 및 우측 중 어느 일측(예를 들어 좌측)에 형성된 식별표시를 인식할 수 있다. 이러한 제1 식별유닛(241)은 제1 인식기(242) 및 제1 반사경(243)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인식기(242)는 안착부(210)의 측부에서 고객 트레이(CT)의 식별표시를 인식하도록 상하 방향으로 스캔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인식기(242)는 이미지 촬영 카메라 또는 레이저 스캐너 등의 방식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측으로부터 하측을 향해 스캔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1 반사경(243)은 제1 인식기(242)가 안착부(210) 내의 고객 트레이(CT)의 가장자리부를 스캔할 수 있도록 광을 반사시킬 수 있다. 또한, 제1 인식기(242)와 제1 반사경(243)은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되, 제1 이송장치(215)에 함께 설치될 수 있다. 제1 인식기(242)는 상측에서 하측을 향해 스캔하지만, 제1 반사경(243)에 의해 빛의 경로가 변경되어 고객 트레이(CT)를 가장자리를 스캔할 수 있다. 이러한 제1 반사경(243)은 제1 인식기(242)가 상측으로부터 하측을 향해 스캔하도록 구성될 경우 제1 인식기(242)보다 하측에 위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반사경(243)은 전방측에서 바라보았을 때 45°의 각도로 기울어지도록 배치될 수 있고, 제1 반사경(243)은 제1 인식기(242)가 고객 트레이(CT)의 좌측면 또는 우측면을 스캔하도록 제1 인식기(242)의 스캔방향을 변경시킬 수 있다. 또한, 제1 반사경(243)은 제1 인식기(242)가 식별표시를 스캔하기 위해 요구되는 거리(스캔거리)만큼 제1 인식기(242)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인식기(242)와 제1 반사경(243) 사이의 거리 및 제1 반사경(243)의 크기는 고객 트레이(CT)의 좌측 또는 우측의 측면의 전체면적을 스캔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1 이동기(244)는 제1 식별유닛(241)을 지지하고 이동시킬 수 있다. 제1 이동기(244)는 제1 수직방향 이송기(244a) 및 제1 수평방향 이송기(244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수직방향 이송기(244a)는 제1 식별유닛(241)을 상하방향으로 이송시킬 수 있도록 제1 식별유닛(241)을 지지할 수 있다. 제1 수직방향 이송기(244a)는 복수 개의 안착부(230)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식별유닛(241)은 복수 개의 안착부(210)의 사이에서 제1 수직방향 이송기(244a)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는 동안 고객 트레이(CT)의 식별표시를 스캔할 수 있다. 제1 수직방향 이송기(244a)는 일 예로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이드 및 실린더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수평방향 이송기(244b)는 제1 수직방향 이송기(244a)를 수평방향으로 이송시킬 수 있다. 이러한 제1 수평방향 이송기(244b)는 저장공간보다 후방측에 배치된 이동경로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 개의 안착부(210)가 핸들러(20) 내에서 좌우방향으로 배열될 경우, 제1 식별유닛(241)은 제1 수평방향 이송기(244b)에 의해 안착부(210)의 후방에서 복수 개의 안착부(210) 중 어느 하나의 일측, 및 복수 개의 안착부(210) 중 다른 하나의 일측 사이에서 좌우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여기서, '일측'은 예를 들어 정면에서 보았을 때 안착부의 좌측 및 우측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제1 식별유닛(241)은 제1 수평방향 이송기(244b)에 의해 이송됨으로써, 복수 개의 안착부(210) 중 어느 하나의 안착부(210)에 수용된 고객 트레이(CT)의 식별표시를 스캔할 수 있다. 이러한 제1 수평방향 이송기(244b)는 모터, 풀리 및 벨트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안착부 식별장치(240)는 복수 개로 제공될 수 있다.
한편, 제1 인식기(242)는 예를 들어 비전 바코드 스캐너일 수 있다. 제1 식별유닛(241)은 제1 반사경(243)을 구비함으로써, 복수 개의 안착부(210)가 서로 좁은 간격으로 배열되더라도, 제1 인식기(242)가 식별표시를 스캔하기 위해 요구되는 거리를 확보할 수 있다.
식별표시가 고객 트레이(CT)의 측면에 부착되는 스티커 형태인 경우, 작업자들이 식별표시를 고객 트레이(CT)의 측면의 미리 정해진 위치에 붙이지 않는 상황이 발생한다. 예를 들어, 식별표시를 고객 트레이(CT) 측면 중 전방부에 부착하기로 하였음에도 불구하고 작업자들이 식별표시를 고객 트레이(CT) 측면의 중앙부 또는 후방부에 부착하는 경우가 발생한다. 제1 식별유닛(241)은 제1 반사경(243)을 통해 고객 트레이(CT) 측면을 전체적으로 스캔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제1 식별유닛(241)은 고객 트레이(CT)의 측면 전방부에 배치된 식별표시 및 고객 트레이(CT)의 측면 후방부에 배치된 식별표시를 스캔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제1 식별유닛(241)은 고객 트레이(CT) 측면 중 임의의 위치의 식별표시를 스캔할 수 있으므로, 작업자들이 식별표시를 고객 트레이(CT)에 잘못 부착한 경우에도 식별표시를 식별할 수 있다. 또한, 이처럼 제1 식별유닛(241)에게 충분한 스캔거리를 제공하면서도 각각의 수용부(220) 및 각각의 저장부(230) 간의 거리를 최소화하여 장비가 비대화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이상의 설명에서는 제1 식별유닛(241)이 광을 조사하는 방식으로 식별표시를 인식하는 것으로 구성될 수도 있으나, 본 발명의 사상이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다른 예로, 핸들러(20)의 케이스에 윈도우가 구비되고, 핸들러(20)가 윈도우를 통해 내부 공간으로 다량의 외부 광이 조사될 수 있게 구성될 경우, 또는 내부 공간에 별도의 발광장치가 구비되어 빛의 조사 없이도 식별표시가 용이하게 인식되는 경우에는 광을 조사하지 않고도 식별표시를 인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광을 조사하지 않고 식별표시를 촬영함으로써 식별표시를 인식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제1 식별유닛(241)은 LED 등의 발광수단을 포함하여 주변을 밝게 하여 식별표시를 촬영함으로써 스캔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의 설명에서는 제1 식별유닛(241)이 반사경을 통해 스캔거리를 확보하는 것으로 서술하였으나, 다른 예시로 제1 식별유닛(241)이 렌즈를 통해 스캔거리를 확보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으며, 반사경과 렌즈를 조합하여 스캔거리를 확보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안착부 식별장치(240)는 수용부(220)의 고객 트레이(CT)와 저장부(230)의 고객 트레이(CT)를 모두 인식할 수도 있지만, 수용부(220)와 저장부 중 어느 하나의 고객 트레이(CT)만을 인식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핸들러 제어부(270)는 핸들러(20)의 작동상태, 수용부(220)와 저장부(230) 내의 고객 트레이(CT)의 적재 정도를 파악할 수 있다. 또한, 핸들러 제어부(270)는 핸들러(20)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핸들러 제어부(270)는 이러한 정보를 포함하는 신호를 중앙제어유닛(30) 등과 같은 외부 구성으로 전달하고, 트레이 이송수단(10)의 작동에 대한 정보를 전달받는다. 예를 들어, 수용부(220)에 로딩된 고객 트레이(CT)가 감소하여 테스트할 전자부품이 얼마 남지 않으면, 핸들러 제어부(270)는 이를 중앙제어유닛(30)에게 알리고, 트레이 이송수단(10)이 고객 트레이(CT)의 공급을 위해 접근한다는 정보를 전달받으면, 수용부(220) 중 적어도 하나를 전방으로 슬라이드 이동시켜 수용부(220)를 개방한다. 핸들러 제어부(270)는 수용부(220)에 고객 트레이(CT)의 공급이 완료되면 이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신호를 전달받고 전방으로 이동한 수용부(220)를 다시 후방으로 이동시킨다. 핸들러 제어부(270)가 외부로부터 수신하는 신호는 제2 신호로 명명될 수 있고, 이는 앞서 서술한 제1 신호와 구별되는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제2 신호가 정의되는 것은 후술하는 핸들러(20)가 받는 신호를 트레이 이송수단(10)이 받는 신호와 구별하기 위함이고, 제1 신호는 반드시 하나의 신호 또는 단일 신호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핸들러 제어부(270)는 안착부 식별장치(240)를 통해 핸들러(20) 내에서 이동되는 고객 트레이(CT)를 식별할 수 있고, 그 정보를 신호로서 외부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핸들러 제어부(270)는 제1 식별유닛(241)을 통해 어떠한 고객 트레이(CT)의 전자부품이 테스트되고 있는지와 테스트 완료된 전자제품이 어떤 고객 트레이(CT)로 분류, 적재되고 있는지 인식할 수 있다.
또한, 핸들러 제어부(270)는 복수 개의 고객 트레이(CT) 중 복수 개의 고객 트레이(CT)에 배치된 전자부품 각각의 테스트 결과를 인식할 수 있으며, 그 전자부품이 어느 고객 트레이(CT)로 분류되었는지 인식할 수 있다. 이러한 핸들러 제어부(270)는 마이크로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연산 장치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또한 핸들러 제어부(270)는 외부와 통신하기 위한 통신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감지센서(280)는 핸들러(20) 근처에 작업자가 있는지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감지센서(280)는 핸들러(20)로부터 대략 3m 이내의 반경에 작업자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이러한 감지센서(280)는 핸들러(20)에 제공될 수 있다. 감지센서(280)가 트레이 이동수단(10)에 구비되면 트레이 이송수단(10)의 부피와 중량이 증가하게 되므로, 트레이 이송수단(10)이 천장에 설치된 레일을 따라 이동하도록 구성하기 곤란할 수 있다. 감지센서(280)가 핸들러(20)에 구비되면 트레이 이송수단(10)의 부피 및 무게를 증가시키지 않으면서도 작업자의 존재 여부를 감지하여 사고 발생 위험을 줄일 수 있다.
중앙제어유닛(30)은 트레이 이송수단(10) 및 핸들러(20)와 통신 가능하게 구성되며, 트레이 이송수단(10)와 핸들러(20)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중앙제어유닛(30)은 마이크로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연산 장치 및 메모리에 의해 구현될 수 있으며, 중앙 서버의 역할을 할 수 있다. 또한 중앙제어유닛(30)은 외부와 통신하기 위한 통신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오토메이션 시스템(1)의 작용 및 효과에 대하여 설명한다.
오토메이션 시스템(1)의 중앙제어유닛(30)은 트레이 이송수단(10) 및 핸들러(20)와 통신하여 이들의 상태를 파악하고, 트레이 이송수단(10) 및 핸들러(20)를 제어한다.
중앙제어유닛(30)은 트레이 이송수단(10)이 핸들러(20)에 고객 트레이(CT)를 공급하는 과정을 제어할 수 있다. 테스트되어야 할 전자부품이 수용된 고객 트레이(CT)가 트레이 공급원으로부터 트레이 이송수단(10)으로 공급되면, 트레이 이송수단(10)은 고객 트레이(CT)를 공급받았음을 중앙제어유닛(30)에게 알린다. 핸들러(20)가 복수 개 마련될 경우, 중앙제어유닛(30)은 복수 개의 핸들러(20)에 각각 구비되는 핸들러 제어부(270)로부터 각 핸들러(20)에 테스트되어야 할 전자부품 및 이를 수용하는 고객 트레이(CT)가 얼마나 남았는지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고, 이러한 정보로부터 복수 개의 핸들러(20) 중 테스트되어야 할 전자부품이 얼마 남지 않은 핸들러(20)를 파악한다.
중앙제어유닛(30)은 트레이 이송수단(10)이 테스트되어야 할 전자부품이 얼마 남지 않은 핸들러(20)에 고객 트레이(CT)를 공급하도록, 트레이 이송수단(10)을 당해 핸들러(20)로 이송시킨다. 또한, 중앙제어유닛(30)이 핸들러(20)에게 트레이 이송수단(10)이 접근하고 있다는 신호, 또는 수용부(220)를 개방하라는 신호를 핸들러 제어부(270)에 전송하면, 핸들러 제어부(270)는 고객 트레이(CT)를 공급받을 수용부(220)가 전방측으로 슬라이드 이동하도록 수용부(220)를 제어한다.
핸들러(20)의 수용부(220)가 개방되고, 수용부(220)가 전방측으로 슬라이드 이동되면, 핸들러 제어부(270)는 고객 트레이(CT)를 공급받을 준비가 되었음을 중앙제어유닛(30)에게 알리고, 중앙제어유닛(30)은 핸들러(20)가 고객 트레이(CT)를 공급받을 수 있음을 트레이 이송수단(10)의 이송수단 제어부(130)에게 알린다. 이송수단 제어부(130)는 이송암(120)이 적재공간에 적재된 고객 트레이(CT)를 파지하고 수용부(220)에 안착시키도록 이송암(120)을 구동시킨다. 고객 트레이(CT)가 안착되면 트레이 이송수단(10)은 이를 중앙제어유닛(30)에게 알리고, 중앙제어유닛(30)은 고객 트레이(CT)의 공급이 완료되었음을 핸들러(20)의 핸들러 제어부(270)에게 알린다. 핸들러 제어부(270)는 전방측으로 슬라이드 이동된 수용부(220)를 후방측으로 이동시키고, 수용부(220)를 닫는다.
한편, 중앙제어유닛(30)은 핸들러(20)로부터 고객 트레이(CT)가 반출되는 과정도 제어할 수 있다. 핸들러(20)는 테스트가 완료된 전자부품을 저장부(230)에 수용된 고객 트레이(CT)에 수용하고, 저장부(230)의 고객 트레이(CT)에 전자부품이 가득 수용되면, 수용부(220)의 빈 고객 트레이(CT)를 저장부(230)에 이동시킨다. 또한, 핸들러 제어부(270)는 전자부품을 수용한 고객 트레이(CT)가 저장부(230)에 일정 수준 이상 수용되었음을 감지하고 중앙제어유닛(30)에 신호를 발생시킨다. 핸들러 제어부(270)가 발생시키는 신호는 중앙제어유닛(30)에게 고객 트레이(CT)가 수거되어야 함을 알리는 신호일 수 있다. 중앙제어유닛(30)은 핸들러 제어부(270)의 신호를 받고 트레이 이송수단(10)에게 고객 트레이(CT) 수거 명령을 전달한다.
트레이 이송수단(10)은 핸들러(20)로 이동하고 핸들러(20) 근처로 이동하였을 때 신호를 발생시킴으로써 이를 중앙제어유닛(30)에게 알린다. 중앙제어유닛(30)이 핸들러(20)에게 트레이 이송수단(10)이 접근하고 있다는 정보, 또는 저장부(230)를 개방하라는 명령을 핸들러 제어부(270)에 전송하면, 핸들러 제어부(270)는 고객 트레이(CT)가 복수 개의 저장부(230) 중 반출될 저장부(230)를 개방시키고 이를 전방측으로 이동시킨다.
핸들러(20)의 저장부가 개방되고, 저장부가 전방측으로 슬라이드 이동되면, 핸들러 제어부(270)는 고객 트레이(CT)를 반출할 준비가 되었음을 중앙제어유닛(30)에게 알리고, 중앙제어유닛(30)은 핸들러(20)가 고객 트레이(CT)를 반출할 수 있음을 트레이 이송수단(10)의 이송수단 제어부(130)에게 알린다. 이송수단 제어부(130)는 이송암(120)이 핸들러(20)의 저장부에 적재된 고객 트레이(CT)를 파지하고 트레이 이송수단(10)의 적재공간에 안착시키도록 이송암(120)을 구동시킨다. 고객 트레이(CT)가 트레이 이송수단(10)에 안착되면 트레이 이송수단(10)은 이를 중앙제어유닛(30)에게 알리고, 중앙제어유닛(30)은 고객 트레이(CT)의 공급이 완료되었음을 핸들러(20)의 핸들러 제어부(270)에게 알린다. 핸들러 제어부(270)는 전방측으로 슬라이드 이동된 저장부를 후방측으로 이동시키고, 저장부를 닫는다.
또한, 핸들러 제어부(270)는 감지센서(280)를 통해 핸들러(20) 근처에 작업자가 있는지 여부를 감지할 수 있고 작업자가 근처에 있는지에 대한 정보를 중앙제어유닛(30)에 전송한다. 중앙제어유닛(30)은 트레이 이송수단(10)이 핸들러(20)에 접근하는 도중에, 핸들러 제어부(270)를 통해 작업자가 핸들러(20) 근처에 있다고 파악되면 트레이 이송수단(10)의 이동을 멈출 수 있다.
한편, 핸들러 제어부(270)는 안착부 식별장치(240)를 통해 어떠한 고객 트레이(CT)의 전자부품이 테스트될 것인지, 및 테스트 완료된 전자제품이 어떤 고객 트레이(CT)로 분류, 적재되고 있는지 인식할 수 있다.
또한, 핸들러 제어부(270)는 핸들러(20)로 공급된 복수 개의 고객 트레이(CT)에 배치된 전자부품 각각의 테스트 결과를 인식할 수 있으며, 그 전자부품이 어느 고객 트레이(CT)로 분류되었는지 인식할 수 있다. 또한, 핸들러 제어부(270)는 공급시에 고객 트레이(CT)에 수용되어 있던 전자부품을 테스트 결과에 따라 분류하여 고객 트레이(CT)에 수용하면서 고객 트레이(CT)의 배치를 다시 맵핑할 수 있다. 다시 말해, 공급되는 복수 개의 고객 트레이(CT) 중 어느 고객 트레이(CT)의 몇 번째 행의 몇 번째 열에 배치된 전자부품이 테스트 결과에 따라 어느 고객 트레이(CT)의 몇 번째 행의 몇 번째 열에 배치되었는지 파악될 수 있다. 따라서, 테스트 완료된 전자부품이 수용된 고객 트레이(CT)의 식별번호와 그 고객 트레이(CT) 내에서 몇 번째 행의 몇 번째 열에 위치하는지 파악하면, 그 전자부품이 어느 고객 트레이(CT)에서 공급되었는지, 공급될 당시 고객 트레이(CT)의 몇 번째 행의 몇 번째 열에 배치되었는지 인식될 수 있다. 또한, 핸들러 제어부(270)는 고객 트레이(CT) 내에서의 전자부품의 배치 정보를 중앙제어유닛(30)에 전달할 수 있다.
이하 도 7 내지 도 12를 더 참조하여 제 1 실시예의 제 2 예시에 따른 핸들러(20)를 설명한다.
도 7 내지 도 12를 더 참조하면, 안착부 식별장치(240)는 복수 개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복수 개의 안착부 식별장치(240) 중 주로 수용부(220)의 고객 트레이(CT)를 식별하기 위한 안착부 식별장치는 수용부 식별장치(250)로 명명되고, 주로 저장부(230)의 고객 트레이(CT)를 식별하기 위한 안착부 식별장치는 저장부 식별장치(260)로 명명될 수 있다. 다시 말해, 복수 개의 안착부 식별장치(240)는 수용부 식별장치(250) 및 저장부 식별장치(26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수용부 식별장치(250)는 수용부(220)에 수용된 고객 트레이(CT)의 식별표시를 인식할 수 있다. 또한, 도 2에서와 같이 하나의 고객 트레이(CT)에 복수 개의 식별표시가 제공되는 경우, 수용부 식별장치(250)는 복수 개의 식별표시 중 적어도 하나의 식별표시를 인식할 수 있다. 또한, 수용부 식별장치(250)는 고객 트레이(CT)가 수용부(220) 내에 안착되어 이동하지 않는 상태에서 고객 트레이(CT)를 인식하도록 작동된다. 이러한 수용부 식별장치(250)는 제2 식별유닛(251), 및 이러한 제2 식별유닛(251)을 이동시키는 제2 이동기(254)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수용부 식별장치(250)가 안착부 식별장치(240) 중 어느 한 유형이 명명된 것처럼, 제2 식별유닛(251)과 제2 이동기(254)도 제1 식별유닛(241)과 제1 이동기(244)의 어느 한 유형이 명명된 것일 수 있다.
제2 식별유닛(251)은 수용부(220)의 측부에 위치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고객 트레이(CT)가 수용부(220) 내에서 이동하지 않도록 안착되었을 때 고객 트레이(CT)를 인식할 수 있다. 이러한 제2 식별유닛(251)은 제2 이동기(254)에 설치될 수 있고, 복수 개의 수용부(220) 중 어느 하나의 수용부(220)의 일측(예를 들어, 정면에서 보았을 때 좌측)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식별유닛(251)은 복수 개의 수용부(220)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식별유닛(251)은 제2 인식기(252) 및 제2 반사경(253)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인식기(252)는 수용부(220)의 측부에서 고객 트레이(CT)의 식별표시를 인식하도록 상하 방향으로 스캔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인식기(252)는 이미지 촬영 카메라 또는 레이저 스캐너 등의 방식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측으로부터 하측을 향해 스캔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2 반사경(253)은 제2 인식기(252)가 수용부(220) 내의 고객 트레이(CT)의 가장자리부를 스캔할 수 있도록 광을 반사시킬 수 있다. 또한, 제2 인식기(252)와 제2 반사경(253)은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되, 제2 이송장치(225)에 함께 설치될 수 있다. 제2 인식기(252)는 상측에서 하측을 향해 스캔하지만, 제2 반사경(253)에 의해 빛의 경로가 변경되어 고객 트레이(CT)를 가장자리를 스캔할 수 있다. 이러한 제2 반사경(253)은 제2 인식기(252)가 상측으로부터 하측을 향해 스캔하도록 구성될 경우 제2 인식기(252)보다 하측에 위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반사경(253)은 전방측에서 바라보았을 때 45°의 각도로 기울어지도록 배치될 수 있고, 제2 반사경(253)은 제2 인식기(252)가 고객 트레이(CT)의 좌측면 또는 우측면을 스캔하도록 제2 인식기(252)의 스캔방향을 변경시킬 수 있다. 또한, 제2 반사경(253)은 제2 인식기(252)가 식별표시를 스캔하기 위해 요구되는 거리(스캔거리)만큼 제2 인식기(252)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인식기(252)와 제2 반사경(253) 사이의 거리 및 제2 반사경(253)의 크기는 고객 트레이(CT)의 좌측 또는 우측의 측면의 전체면적을 스캔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2 이동기(254)는 제2 식별유닛(251)을 지지하고 이동시킬 수 있다. 제2 이동기(254)는 제2 수직방향 이송기(254a) 및 제2 수평방향 이송기(254b)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수직방향 이송기(254a)는 제2 식별유닛(251)을 상하방향으로 이송시킬 수 있도록 제2 식별유닛(251)을 지지할 수 있다. 제2 수직방향 이송기(254a)는 복수 개의 수용부(230)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식별유닛(251)은 복수 개의 수용부(220)의 사이에서 제2 수직방향 이송기(254a)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는 동안 고객 트레이(CT)의 식별표시를 스캔할 수 있다. 제2 수직방향 이송기(254a)는 일 예로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이드 및 실린더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수평방향 이송기(254b)는 제2 수직방향 이송기(254a)를 수평방향으로 이송시킬 수 있다. 이러한 제2 수평방향 이송기(254b)는 저장공간보다 후방에 배치된 이동경로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 개의 수용부(220)가 핸들러(20) 내에서 좌우방향으로 배열될 경우, 제2 식별유닛(251)은 제2 수평방향 이송기(254b)에 의해 복수 개의 수용부(220) 중 어느 하나의 일측(예를 들어, 정면에서 보았을 때 좌측), 및 복수 개의 수용부(220) 중 다른 하나의 일측(예를 들어, 정면에서 보았을 때 좌측), 사이에서 좌우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제2 식별유닛(251)은 제2 수평방향 이송기(254b)에 의해 이송됨으로써, 복수 개의 수용부(220) 중 어느 하나의 수용부(220)에 수용된 고객 트레이(CT)의 식별표시를 스캔할 수 있다. 이러한 제1 수평방향 이송기(244b)는 모터, 풀리 및 벨트를 포함할 수 있다.
수용부 식별장치(250)는 고객 트레이(CT)가 수용부(220)로부터 빠져나가기 전에 수용부(220)에 수용된 고객 트레이(CT)의 식별표시를 인식하도록 작동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용부 식별장치(250)는 수용부(220)에 수용된 고객 트레이(CT)가 이동하지 않을 때, 제2 이동기(254)가 제2 식별유닛(251)을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고객 트레이(CT)의 식별표시를 인식할 수 있다. 더욱 상세한 일 예로, 수용부 식별장치(250)는 제2 반사경(253)을 수용공간의 최하단 측까지 이동시키고, 제2 반사경(253)이 수용공간의 최하단 측으로부터 수용공간의 최상단 측으로 이동하도록 제2 식별유닛(251)을 이동시키면서 제2 식별유닛(251)이 수용된 복수 개의 고객 트레이(CT)의 식별표시를 식별하도록 작동할 수 있다. 이러한 수용부 식별장치(250)의 작동은 핸들러 제어부(270)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한편, 다른 예로 수용부 식별장치(250)는 제2 반사경(253)이 수용공간의 최상단 측으로부터 수용공간의 최하단 측으로 이동하도록 제2 식별유닛(251)을 이동시키면서 고객 트레이(CT)의 식별표시를 식별하도록 작동할 수 있다.
도 10 내지 도 12를 더 참조하면, 저장부 식별장치(260)는 저장부(230)에 저장된 고객 트레이(CT)의 식별표시를 인식할 수 있다. 또한, 도 2에서와 같이 하나의 고객 트레이(CT)에 복수 개의 식별표시가 제공되는 경우, 저장부 식별장치(260)는 복수 개의 식별표시 중 적어도 하나의 식별표시를 인식할 수 있다. 또한, 저장부 식별장치(260)는 고객 트레이(CT)가 저장부(230) 내에 안착되어 이동하지 않는 상태에서 고객 트레이(CT)를 인식하도록 작동된다. 이러한 저장부 식별장치(260)는 제3 식별유닛(261), 및 이러한 제3 식별유닛(261)을 이동시키는 제3 이동기(264)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저장부 식별장치(260)가 안착부 식별장치(240) 중 어느 한 유형이 명명된 것처럼, 제3 식별유닛(261)과 제3 이동기(264)도 제1 식별유닛(241)과 제1 이동기(244)의 어느 한 유형이 명명된 것일 수 있다.
제3 식별유닛(261)은 저장부(230)의 측부에 위치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고객 트레이(CT)가 저장부(230) 내에서 이동하지 않도록 안착되었을 때 고객 트레이(CT)를 인식할 수 있다. 이러한 제3 식별유닛(261)은 제3 이동기(264)에 설치될 수 있고, 복수 개의 저장부(230) 중 어느 하나의 저장부(230)의 일측(예를 들어, 정면에서 보았을 때 좌측)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3 식별유닛(261)은 복수 개의 저장부(230)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3 식별유닛(261)은 제3 인식기(262) 및 제3 반사경(263)을 포함할 수 있다.
제3 인식기(262)는 저장부(230)의 측부에서 고객 트레이(CT)의 식별표시를 인식하도록 상하 방향으로 스캔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3 인식기(262)는 이미지 촬영 카메라 또는 레이저 스캐너 등의 방식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측으로부터 하측을 향해 스캔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3 반사경(263)은 제3 인식기(262)가 저장부(230) 내의 고객 트레이(CT)의 가장자리부를 스캔할 수 있도록 광을 반사시킬 수 있다. 또한, 제3 인식기(262)와 제3 반사경(263)은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되, 제3 이송장치(265)에 함께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제3 반사경(263)은 제3 인식기(262)와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제3 인식기(262)는 상측에서 하측을 향해 스캔하지만, 제3 반사경(263)에 의해 빛의 경로가 변경되어 고객 트레이(CT)를 가장자리를 스캔할 수 있다. 이러한 제3 반사경(263)은 제3 인식기(262)가 상측으로부터 하측을 향해 스캔하도록 구성될 경우 제3 인식기(262)보다 하측에 위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3 반사경(263)은 전방측에서 바라보았을 때 45°의 각도로 기울어지도록 배치될 수 있고, 제3 반사경(263)은 제3 인식기(262)가 고객 트레이(CT)의 좌측면 또는 우측면을 스캔하도록 제3 인식기(262)의 스캔방향을 변경시킬 수 있다. 또한, 제3 반사경(263)은 제3 인식기(262)가 식별표시를 스캔하기 위해 요구되는 거리(스캔거리)만큼 제3 인식기(262)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3 인식기(262)와 제3 반사경(263) 사이의 거리 및 제3 반사경(263)의 크기는 고객 트레이(CT)의 좌측 또는 우측의 측면의 전체면적을 스캔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3 이동기(264)는 제3 식별유닛(261)을 지지하고 이동시킬 수 있다. 제3 이동기(264)는 제3 수직방향 이송기(264a) 및 제3 수평방향 이송기(264b)를 포함할 수 있다.
제3 수직방향 이송기(264a)는 제3 식별유닛(261)을 상하방향으로 이송시킬 수 있도록 제3 식별유닛(261)을 지지할 수 있다. 제3 수직방향 이송기(264a)는 복수 개의 저장부(230)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3 식별유닛(261)은 저장부(230)의 측부에서 제3 수직방향 이송기(264a)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는 동안 고객 트레이(CT)의 식별표시를 스캔할 수 있다. 제3 수직방향 이송기(264a)는 일 예로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이드 및 실린더를 포함할 수 있다.
제3 수평방향 이송기(264b)는 제3 수직방향 이송기(264a)를 수평방향으로 이송시킬 수 있다. 이러한 제3 수평방향 이송기(264b)는 저장공간보다 후방에 배치된 이동경로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 개의 저장부(230)가 핸들러(20) 내에서 좌우방향으로 배열될 경우, 제3 식별유닛(261)은 제3 수평방향 이송기(264b)에 의해 복수 개의 저장부(230) 중 어느 하나의 일측(예를 들어, 정면에서 보았을 때 좌측), 및 복수 개의 저장부(230) 중 다른 하나의 일측(예를 들어, 정면에서 보았을 때 좌측), 사이에서 좌우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제3 식별유닛(261)은 제3 수평방향 이송기(264b)에 의해 이송됨으로써, 복수 개의 저장부(230) 중 어느 하나의 저장부(230)에 저장된 고객 트레이(CT)의 식별표시를 스캔할 수 있다. 제3 수평방향 이송기(264b)는 모터, 풀리 및 벨트를 포함할 수 있다.
저장부 식별장치(260)는 고객 트레이(CT)가 저장부(230)로부터 빠져나가기 전에 저장부(230)에 저장된 고객 트레이(CT)의 식별표시를 인식하도록 작동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저장부 식별장치(260)는 저장부(230)에 저장된 고객 트레이(CT)가 이동하지 않을 때, 제3 이동기(264)가 제3 식별유닛(261)을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고객 트레이(CT)의 식별표시를 인식할 수 있다. 더욱 상세한 일 예로, 저장부 식별장치(260)는 제3 반사경(263)을 저장공간의 최하단 측까지 이동시키고, 제3 반사경(263)이 저장공간의 최하단 측으로부터 저장공간의 최상단 측으로 이동하도록 제3 식별유닛(261)을 이동시키면서 제3 식별유닛(261)이 저장된 복수 개의 고객 트레이(CT)의 식별표시를 식별하도록 작동할 수 있다. 이러한 저장부 식별장치(260)의 작동은 핸들러 제어부(270)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한편, 다른 예로 저장부 식별장치(260)는 제3 반사경(263)이 저장공간의 최상단 측으로부터 저장공간의 최하단 측으로 이동하도록 제3 식별유닛(261)을 이동시키면서 고객 트레이(CT)의 식별표시를 식별하도록 작동할 수 있다.
수용부 식별장치(250)와 저장부 식별장치(260)는 서로에 대해 독립적으로 작동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수용부 식별장치(250)가 수용부(220)의 고객 트레이(CT)를 스캔하는 동안에도, 저장부 식별장치(260)가 저장부(230)의 고객 트레이(CT)를 스캔할 수 있다.
한편, 이러한 구성 이외에도,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르면, 트레이 이송수단(10)과 핸들러(20)는 직접 통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하, 도 13을 더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를 설명한다. 제 2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상술한 실시예와 비교하였을 때의 차이점을 위주로 설명하며 동일한 설명 및 도면부호는 상술한 실시예를 원용한다.
도 13을 참조하면, 트레이 이송수단(10)의 이송수단 제어부(130)는 통신모듈을 포함할 수 있고, 핸들러(20)의 핸들러 제어부(270)는 통신모듈을 포함할 수 있고, 트레이 이송수단(10)과 핸들러(20)는 이송수단 제어부(130)와 핸들러 제어부(270)를 통해 서로 직접 통신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오토메이션 시스템(1)에는 중앙제어유닛(30)이 생략될 수 있다.
트레이 이송수단(10)이 핸들러(20)에 고객 트레이(CT)를 공급하는 과정은 트레이 이송수단(10)과 핸들러(20) 간의 통신을 통해 이송수단 제어부(130) 및 핸들러 제어부(270)에 의해 제어할 수 있다. 테스트되어야 할 전자부품이 수용된 고객 트레이(CT)가 트레이 공급원으로부터 트레이 이송수단(10)으로 공급되면, 트레이 이송수단(10)은 고객 트레이(CT)를 공급받았음을 핸들러(20)에게 알린다. 핸들러(20)가 복수 개 마련될 경우, 복수 개의 핸들러(20)에 각각 구비되는 핸들러 제어부(270)는 당해 핸들러(20)에 테스트되어야 할 전자부품 및 이를 수용하는 고객 트레이(CT)가 소정 수준 이하이면, 고객 트레이(CT)를 공급받을 수 있다는 신호 또는 고객 트레이(CT)의 공급이 필요하다는 신호를 트레이 이송수단(10)에 전달한다.
트레이 이송수단(10)의 이송수단 제어부(130)는 테스트되어야 할 전자부품이 얼마 남지 않은 핸들러(20)로부터 신호를 전달받고, 트레이 이송수단(10)이 핸들러(20)로 이동하도록 트레이 이송수단(10)을 제어한다. 또한, 트레이 이송수단(10)이 핸들러(20) 근처로 이동한 후 이송수단 제어부(130)가 핸들러(20)에게 트레이 이송수단(10)이 접근하고 있다는 신호, 또는 수용부(220)를 개방하라는 신호를 핸들러 제어부(270)에 전송할 수 있다. 핸들러 제어부(270)는 이송수단 제어부(130)로부터 신호를 전달받고 고객 트레이(CT)를 공급받을 수용부(220)가 전방측으로 슬라이드 이동하도록 수용부(220)를 제어한다.
핸들러(20)의 수용부(220)가 개방되고, 수용부(220)가 전방측으로 슬라이드 이동되면, 핸들러 제어부(270)는 고객 트레이(CT)를 공급받을 준비가 되었음을 트레이 이송수단(10)의 이송수단 제어부(130)에게 알린다. 이송수단 제어부(130)는 이송암(120)이 적재공간에 적재된 고객 트레이(CT)를 파지하고 수용부(220)에 안착시키도록 이송암(120)을 구동시킨다. 고객 트레이(CT)가 안착되면 트레이 이송수단(10)은 핸들러(20)의 핸들러 제어부(270)에게 고객 트레이(CT)의 공급이 완료되었음을 알린다. 핸들러 제어부(270)는 전방측으로 슬라이드 이동된 수용부(220)를 후방측으로 이동시키고, 수용부(220)를 닫는다.
한편, 핸들러(20)로부터 고객 트레이(CT)가 반출되는 과정도 트레이 이송수단(10)과 핸들러(20) 간의 통신을 통해 이송수단 제어부(130) 및 핸들러 제어부(270)가 제어할 수 있다. 핸들러(20)는 테스트가 완료된 전자부품을 저장부(230)에 수용된 고객 트레이(CT)에 수용하고, 저장부(230)의 고객 트레이(CT)에 전자부품이 가득 수용되면, 수용부(220)의 빈 고객 트레이(CT)를 저장부(230)에 이동시킨다. 또한, 핸들러 제어부(270)는 전자부품을 수용한 고객 트레이(CT)가 저장부(230)에 일정 수준 이상 수용되었음을 감지하고 트레이 이송수단(10)에 신호를 발생시킨다. 핸들러 제어부(270)가 발생시키는 신호는 트레이 이송수단(10)이 고객 트레이(CT)를 수거하여야 함을 알리는 신호일 수 있다.
핸들러 제어부(270)로부터 신호를 전달받은 이송수단 제어부(130)는 트레이 이송수단(10)을 핸들러(20)로 이동시키고 트레이 이송수단(10)이 핸들러(20) 근처로 이동하였을 때 신호를 발생시킴으로써 이를 핸들러(20)에게 알린다. 이송수단 제어부(130)가 핸들러(20)에게 트레이 이송수단(10)이 접근하고 있다는 신호, 또는 저장부(230)를 개방하라는 신호를 핸들러 제어부(270)에 전송하면, 핸들러 제어부(270)는 이러한 신호를 수신하여 고객 트레이(CT)가 반출될 저장부(230)를 개방시키고 이를 전방측으로 이동시킨다.
핸들러(20)의 저장부가 개방되고, 저장부가 전방측으로 슬라이드 이동되면, 핸들러 제어부(270)는 고객 트레이(CT)를 반출할 준비가 되었음을 이송수단 제어부(130)에게 알린다. 이송수단 제어부(130)는 이송암(120)이 핸들러(20)의 저장부에 적재된 고객 트레이(CT)를 파지하고 트레이 이송수단(10)의 적재공간에 안착시키도록 이송암(120)을 구동시킨다. 고객 트레이(CT)가 트레이 이송수단(10)에 안착되면 트레이 이송수단(10)은 고객 트레이(CT)의 공급이 완료되었음을 핸들러(20)의 핸들러 제어부(270)에게 알린다. 핸들러 제어부(270)는 전방측으로 슬라이드 이동된 저장부를 후방측으로 이동시키고, 저장부를 닫는다.
또한, 핸들러 제어부(270)는 감지센서(280)를 통해 핸들러(20) 근처에 작업자가 있는지 여부를 감지할 수 있고 작업자가 근처에 있는지에 대한 정보를 이송수단 제어부(130)에 전송한다. 이송수단 제어부(130)는 트레이 이송수단(10)이 핸들러(20)에 접근하는 도중에, 핸들러 제어부(270)를 통해 작업자가 핸들러(20) 근처에 있다고 파악되면 트레이 이송수단(10)의 이동을 멈출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도면에서는 중앙제어유닛(30)이 없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본 실시예가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중앙제어유닛(30)이 마련되고 이송수단 제어부(130)와 핸들러 제어부(270)가 서로 통신하도록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구체적인 실시 형태로서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 것이며,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초 사상에 따르는 최광의 범위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당업자는 개시된 실시형태들을 조합/치환하여 적시되지 않은 형상의 패턴을 실시할 수 있으나, 이 역시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것이다. 이외에도 당업자는 본 명세서에 기초하여 개시된 실시형태를 용이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으며, 이러한 변경 또는 변형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함은 명백하다.
1: 오토메이션 시스템 10: 트레이 이송수단
20: 핸들러 30: 중앙제어유닛
120: 이송암 130: 이송수단 제어부
201a, 201b: 가열유닛 202a, 202b: 셔틀유닛
203: 연결 유닛 204a, 204b, 204c: 버퍼 트레이
220: 수용부 221: 제1 슬라이드 프레임
222: 제1 보조 프레임 223: 제1 수직 가이드
224: 제1 지지부 225: 제1 이송장치
226: 제1 승강기
230: 저장부 231: 제2 슬라이드 프레임
232: 제2 보조 프레임 233: 제2 수직 가이드
234: 제2 지지부 235: 제2 이송장치
236: 제2 승강기
240: 수용부 식별장치 241: 제1 식별유닛
242: 제1 인식기 243: 제1 반사경
244: 제1 이동기 244a: 제1 수직방향 이송기
244b: 제1 수평방향 이송기
250: 수용부 식별장치 251: 제2 식별유닛
252: 제2 인식기 253: 제2 반사경
254: 제2 이동기 254a: 제2 수직방향 이송기
254b: 제2 수평방향 이송기
260: 저장부 식별장치 261: 제3 식별유닛
262: 제3 인식기 263: 제3 반사경
264: 제3 이동기 264a: 제3 수직방향 이송기
264b: 제3 수평방향 이송기
270: 핸들러 제어부 280: 감지센서

Claims (9)

  1. 복수 개의 트레이를 수용할 수 있는 안착부;
    상기 트레이가 상기 안착부로부터 빠져나가기 전에 상기 안착부에 수용된 상기 트레이의 식별표시를 인식할 수 있는 안착부 식별장치; 및
    상기 안착부 식별장치가 이동하여 상기 안착부에 수용된 상기 트레이를 식별하도록 상기 안착부 식별장치를 제어하는 핸들러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안착부 식별장치는,
    상기 안착부의 트레이의 식별표시를 스캔 가능하게 구성되는 제1 식별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안착부는 복수 개로 제공되고,
    상기 안착부 식별장치는,
    상기 제1 식별유닛을 이동시킬 수 있는 제1 이동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이동기는,
    상기 제1 식별유닛을 지지하여 수직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제1 수직방향 이송기; 및
    상기 제1 수직방향 이송기를 지지하여 수평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으며, 상기 수평방향으로의 제1 수직방향 이송기의 이동을 위해 상기 안착부의 후방에 배치된 이동경로를 포함하는 제1 수평방향 이송기를 포함하고,
    상기 안착부에 수용된 복수 개의 트레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은, 상기 트레이의 좌측 및 우측 중 어느 일 측에 형성된 식별표시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식별유닛은 상기 식별표시를 스캔하는 제1 인식기를 구비하는,
    핸들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부 식별장치는 상기 안착부에 수용된 상기 트레이가 이동하지 않을 때 상기 트레이를 식별하는,
    핸들러.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식별유닛은,
    상기 제1 인식기가 상기 안착부 내의 트레이의 측면을 스캔할 수 있도록 광을 반사시키는 제1 반사경을 더 포함하는,
    핸들러.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이동기는,
    상기 제1 수평방향 이송기가, 상기 제1 식별유닛을 복수 개의 상기 안착부 중 어느 하나의 상기 안착부의 좌측 및 우측 중 어느 하나, 복수 개의 상기 안착부 중 다른 하나의 상기 안착부의 좌측 및 우측 중 어느 하나 사이에서 이동시키도록 구성되는,
    핸들러.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부 식별장치는, 상기 제1 식별유닛이 상기 안착부의 좌측 및 우측 중 어느 일 측의 위치에서 상기 안착부의 좌측 및 우측 중 다른 일 측을 향하여 스캔하도록 구성되는,
    핸들러.
  7. 제 1 항 내지 제 3 항, 제 5 항 및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부는,
    제1 상태의 전자부품을 수용하기 위한 트레이를 수용할 수 있는 수용부; 및 제2 상태의 전자부품을 수용하기 위한 트레이를 수용할 수 있는 저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안착부 식별장치는, 상기 수용부에 수용된 상기 트레이의 식별표시 및 상기 저장부에 수용된 상기 트레이의 식별표시 중 하나 이상을 인식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핸들러.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부 식별장치는,
    상기 트레이가 상기 수용부로부터 빠져나가기 전에 상기 수용부에 수용된 상기 트레이의 상기 식별표시를 인식할 수 있는 수용부 식별장치; 및
    상기 트레이가 상기 저장부로부터 빠져나가기 전에 상기 저장부에 수용된 상기 트레이의 상기 식별표시를 인식할 수 있는 저장부 식별장치를 포함하는,
    핸들러.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 식별장치 및 상기 저장부 식별장치는 서로에 대해 독립적으로 작동하도록 구성되는,
    핸들러.
KR1020180136050A 2018-11-07 2018-11-07 핸들러 KR1026634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6050A KR102663462B1 (ko) 2018-11-07 2018-11-07 핸들러
TW108140302A TWI745776B (zh) 2018-11-07 2019-11-06 搬運機
CN201911081290.6A CN111153129B (zh) 2018-11-07 2019-11-07 搬运机
KR1020230133614A KR20230147576A (ko) 2018-11-07 2023-10-06 핸들러
KR1020240057335A KR20240068596A (ko) 2018-11-07 2024-04-30 핸들러 및 이를 포함하는 오토메이션 시스템
KR1020240057327A KR20240070470A (ko) 2018-11-07 2024-04-30 핸들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6050A KR102663462B1 (ko) 2018-11-07 2018-11-07 핸들러

Related Child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133614A Division KR20230147576A (ko) 2018-11-07 2023-10-06 핸들러
KR1020240057335A Division KR20240068596A (ko) 2018-11-07 2024-04-30 핸들러 및 이를 포함하는 오토메이션 시스템
KR1020240057327A Division KR20240070470A (ko) 2018-11-07 2024-04-30 핸들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52712A KR20200052712A (ko) 2020-05-15
KR102663462B1 true KR102663462B1 (ko) 2024-05-09

Family

ID=70555918

Famil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36050A KR102663462B1 (ko) 2018-11-07 2018-11-07 핸들러
KR1020230133614A KR20230147576A (ko) 2018-11-07 2023-10-06 핸들러
KR1020240057327A KR20240070470A (ko) 2018-11-07 2024-04-30 핸들러
KR1020240057335A KR20240068596A (ko) 2018-11-07 2024-04-30 핸들러 및 이를 포함하는 오토메이션 시스템

Family Applications After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133614A KR20230147576A (ko) 2018-11-07 2023-10-06 핸들러
KR1020240057327A KR20240070470A (ko) 2018-11-07 2024-04-30 핸들러
KR1020240057335A KR20240068596A (ko) 2018-11-07 2024-04-30 핸들러 및 이를 포함하는 오토메이션 시스템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4) KR102663462B1 (ko)
CN (1) CN111153129B (ko)
TW (1) TWI745776B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63268B1 (ko) 2012-12-25 2017-08-14 히라따기꼬오 가부시키가이샤 반송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147247A (en) * 1981-03-06 1982-09-11 Hitachi Ltd Automatic inspecting device for semiconductor chip
JPH06124981A (ja) * 1992-10-09 1994-05-06 Sony Corp 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KR100304453B1 (ko) * 1993-10-21 2001-11-22 로버트에이치.워커 다수-포켓트레이내다수소자들로부터3차원자료를획득하기위한방법
WO2008075439A1 (ja) * 2006-12-21 2008-06-26 Advantest Corporation 電子部品試験装置及び電子部品の試験方法
KR100899931B1 (ko) * 2007-05-18 2009-05-28 미래산업 주식회사 테스트 트레이 및 이를 이용한 반도체 소자 테스트용 핸들러 그리고 반도체 소자의 테스트 방법
WO2010021038A1 (ja) * 2008-08-20 2010-02-25 株式会社アドバンテスト 電子部品ハンドリング装置および電子部品試験システム
JP6083140B2 (ja) * 2012-07-20 2017-02-22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電子部品搬送装置および電子部品検査装置
US9545724B2 (en) * 2013-03-14 2017-01-17 Brooks Automation, Inc. Tray engine with slide attached to an end effector base
KR102024943B1 (ko) * 2013-07-17 2019-09-25 미래산업 주식회사 인라인 테스트 핸들러 및 인라인 테스트 핸들러에서 테스트 트레이 이송 제어방법
JP6189697B2 (ja) * 2013-09-30 2017-08-30 シスメックス株式会社 検体移し替え装置及び検体処理システム
KR102249574B1 (ko) * 2015-01-30 2021-05-10 (주)테크윙 전자부품 언로딩장비
KR102483359B1 (ko) * 2015-12-09 2023-01-02 (주)테크윙 반도체소자 테스트용 핸들러 및 그의 정보처리 방법
KR102650702B1 (ko) * 2016-03-04 2024-03-25 (주)테크윙 전자부품 공급용 트레이 공급대차 및 전자부품을 처리하는 핸들러
KR102656451B1 (ko) * 2016-03-18 2024-04-12 (주)테크윙 전자부품 테스트용 핸들러
JP6236178B1 (ja) * 2017-03-07 2017-11-22 シノン電気産業株式会社 半導体集積回路用トレイ及び一式の半導体集積回路用トレイ・シリーズ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63268B1 (ko) 2012-12-25 2017-08-14 히라따기꼬오 가부시키가이샤 반송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70470A (ko) 2024-05-21
TWI745776B (zh) 2021-11-11
TW202028083A (zh) 2020-08-01
CN111153129A (zh) 2020-05-15
KR20240068596A (ko) 2024-05-17
CN111153129B (zh) 2021-11-05
KR20230147576A (ko) 2023-10-23
KR20200052712A (ko) 2020-05-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292447B2 (ja) 動的に構成可能な仕分け列構造体を用いてアイテムを自動及び手動で仕分ける方法
CN110653174B (zh) 电子部件测试用分选机
JP6785742B2 (ja) 部品搬送装置
US9123013B2 (en) Container conveying carriage and conveying system including a container conveying carriage
JP6692340B2 (ja) 部品倉庫システム
KR20170057846A (ko) 물품 반송 설비
US11206089B2 (en) Mitigating interference between wirelessly controlled machines using RF shielding
KR102663462B1 (ko) 핸들러
KR102631908B1 (ko) 핸들러 및 이를 포함하는 오토메이션 시스템
KR100663385B1 (ko) 반도체 소자의 비전 검사 시스템
KR20200007140A (ko) 전자부품 재배치장치
KR102568869B1 (ko) 전자부품 테스트 핸들러의 스태커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부품 테스트 핸들러
KR20200121185A (ko) 플라잉 스캔 기능을 갖는 전자부품 테스트 핸들러
KR20130126480A (ko) 기판 검출 장치
KR101529260B1 (ko) 자동 셀 검사 장치
JP7454954B2 (ja) 部品管理システム及び部品管理方法
KR102236103B1 (ko) 테스트 트레이 비전 검사기능이 구비된 전자부품 테스트 핸들러
US11717858B2 (en) Article sorting system
JP2023125613A (ja) システム
TWI824486B (zh) 電子元件測試分選機及其控制方法
JP7386143B2 (ja) 情報取得システム
JP2023180591A (ja) 搬送システム、および搬送システム制御方法
JP2023095168A (ja) 取出装置、取出システム及び収容箱配置部
KR20160098023A (ko) 소자핸들러 및 비전검사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