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50702B1 - 전자부품 공급용 트레이 공급대차 및 전자부품을 처리하는 핸들러 - Google Patents

전자부품 공급용 트레이 공급대차 및 전자부품을 처리하는 핸들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50702B1
KR102650702B1 KR1020160026482A KR20160026482A KR102650702B1 KR 102650702 B1 KR102650702 B1 KR 102650702B1 KR 1020160026482 A KR1020160026482 A KR 1020160026482A KR 20160026482 A KR20160026482 A KR 20160026482A KR 102650702 B1 KR102650702 B1 KR 1026507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ly
tray
electronic components
elevator
hand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264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03496A (ko
Inventor
노종기
하성원
황재혁
Original Assignee
(주)테크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테크윙 filed Critical (주)테크윙
Priority to KR10201600264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50702B1/ko
Priority to TW106104180A priority patent/TWI624888B/zh
Priority to CN201710126642.XA priority patent/CN107150033B/zh
Publication of KR201701034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03496A/ko
Priority to KR1020240038039A priority patent/KR20240042375A/ko
Priority to KR1020240038036A priority patent/KR202400407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507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507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CPOSTAL SORTING; SORTING INDIVIDUAL ARTICLES, OR BULK MATERIAL FIT TO BE SORTED PIECE-MEAL, e.g. BY PICKING
    • B07C5/00Sorting according to a characteristic or feature of the articles or material being sorted, e.g. by control effected by devices which detect or measure such characteristic or feature; Sorting by manually actuated devices, e.g. switches
    • B07C5/34Sorting according to other particular properties
    • B07C5/344Sorting according to other particular properties according to electric or electromagnetic properti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28Testing of electronic circuits, e.g. by signal tracer
    • G01R31/2851Testing of integrated circuits [IC]
    • G01R31/2855Environmental, reliability or burn-in testing
    • G01R31/286External aspects, e.g. related to chambers, contacting devices or handlers
    • G01R31/2865Holding devices, e.g. chucks; Handlers or transport devic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26Testing of individual semiconductor devices
    • G01R31/2601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28Testing of electronic circuits, e.g. by signal tracer
    • G01R31/2851Testing of integrated circuits [IC]
    • G01R31/2855Environmental, reliability or burn-in testing
    • G01R31/286External aspects, e.g. related to chambers, contacting devices or handlers
    • G01R31/2865Holding devices, e.g. chucks; Handlers or transport devices
    • G01R31/2867Handlers or transport devices, e.g. loaders, carriers, tray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28Testing of electronic circuits, e.g. by signal tracer
    • G01R31/2851Testing of integrated circuits [IC]
    • G01R31/2893Handling, conveying or loading, e.g. belts, boats, vacuum fing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28Testing of electronic circuits, e.g. by signal tracer
    • G01R31/2851Testing of integrated circuits [IC]
    • G01R31/2896Testing of IC packages; Test features related to IC packa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rehouses Or Storage Devices (AREA)
  • Testing Of Individual Semiconductor Devices (AREA)
  • Supply And Installment Of Electrical Components (AREA)
  • Automatic Assembl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자부품 공급용 트레이 공급대차 및 전자부품을 처리하는 핸들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전자부품 공급용 트레이 공급대차는 전자부품을 처리하는 핸들러의 승강기가 수용될 수 있는 수용공간은 가지고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전자부품을 처리하는 핸들러는 공급대차가 결합될 수 있는 결합공간을 가지며, 상기 로딩장치에 의한 로딩 작업을 지원하기 위해 상기 결합공간에 수용된 공급대차로부터 상기 로딩장치가 로딩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공급위치로 공급용 트레이를 공급하는 공급부분; 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공급용 트레이를 공급대차를 이용해 한꺼번에 공급할 수 있기 때문에 공급용 트레이의 공급이 빠르고 수월하게 이루어질 수 있어서 핸들러의 가동률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전자부품 공급용 트레이 공급대차 및 전자부품을 처리하는 핸들러{CART OF SUPPLYING TRAY FOR SUPPLYING ELECTRONIC COMPONENTS AND HANDLER OF PROCESSING ELECTRONIC COMPONENTS}
본 발명은 생산된 전자부품에 대하여 일정한 처리를 수행하기 위한 핸들러 기술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핸들러에 필요한 전자부품을 공급하기 위한 기술과 관련된다.
생산된 전자부품은 일정한 처리(테스트, 패키징, 케이싱 등) 과정을 거쳐 출하된다. 이 때, 일정한 처리 과정을 수행하기 위한 핸들러가 사용된다.
예를 들어 전자부품 중 하나인 반도체소자는 생산된 후 전기적 특성 테스트를 거쳐야 한다. 이러한 테스트 과정에서 반도체소자를 테스터에 전기적으로 연결시키고, 테스트 결과에 따라 분류하기 위한 핸들러가 사용된다. 이러한 반도체소자 테스트용 핸들러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10-0815131호(이하 '종래기술'이라 함)를 통해 참조할 수 있다.
종래기술을 참조하면, 핸들러에는 스택커들이 필요하다.
다수의 스택커에는 공급용 트레이(종래기술에는 '트레이'로 명명됨) 또는 회수용 트레이가 적재된다.
공급용 트레이에 적재된 반도체소자는 핸들러 내부를 순환 이동하는 테스트 트레이(물류용 트레이)로 로딩되고, 테스트가 완료된 반도체소자는 테스트 트레이에서 회수용 트레이로 언로딩된다. 여기서 전자부품은 테스트 트레이에 로딩된 상태로 테스터에 의해 테스트될 수 있다. 그리고 공급용 트레이와 회수용 트레이는 동일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한편, 스택커들로 공급용 트레이나 회수용 트레이를 공급하거나 회수하는 작업은 수작업에 의해 이루어진다. 따라서 작업에 소요되는 시간이 많이 걸려서 핸들러의 가동률을 떨어뜨린다.
또한, 종래에는 작업자에 의해 공급용 트레이를 이동용 대차에 낱장씩 실어서 대차를 이동시킨 후 대차에 실린 공급용 트레이를 핸들러에 구비된 스택커에 낱장씩 옮겨 담는 작업을 해야 했다. 이러한 공급 방식으로 인해 안전과 안정적 운영의 필요성이 요구되었고, 이에 따라 필요시 도어를 추가 구성하거나 작업이 수월하지 않아 스택커가 핸들러 밖으로 배출되는 구조도 필요로 했다. 그리고 이러한 공정프로세스가 매장비마다 있다 보니, 작업시간이 길어지고, 작업자의 업무량이 과중되며, 공급용 트레이를 옮기는 과정에서 제품의 오염 및 파손 등의 문제도 가지고 있었다.
본 발명의 제1 목적은 공급대차로 공급용 트레이(또는 회수용 트레이일 수도 있음)를 핸들러로 공급한 후 공급용 트레이에 있는 전자부품을 물류용 트레이로 로딩시킬 수 있는 기술을 제공하는 것이다.
더 나아가 본 발명의 제2 목적은 공급대차에 의해 공급된 다수의 공급용 트레이를 자체적으로 순환시키면서 각 공급용 트레이 별로 순차적으로 전자부품을 물류용 트레이로 로딩시킬 수 있는 기술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전자부품 공급용 트레이 공급대차는, 핸들러에 있는 승강기가 수용될 수 있는 수용공간을 확보하고 있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상측에서 공급용 트레이를 지지하는 지지플레이트; 및 상기 지지플레이트에 얹어진 상기 공급용 트레이의 위치를 결정하고, 상기 승강기에 의한 상기 공급용 트레이의 승강 이동을 안내할 수 있는 다수의 안내기; 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플레이트는 상기 수용공간에 수용된 상기 승강기가 상기 공급용 트레이를 승강시킬 수 있도록 하는 승강력을 상기 공급용 트레이에 가할 수 있도록 상하 방향으로 개방된 개방구멍을 가진다.
상기 다수의 안내기들은 상기 지지플레이트에 전후 방향으로 나란히 얹어진 공급용 트레이들의 전후 위치를 결정함으로써 공급용 트레이들의 전후 이동을 방지하되, 특정 위치에서 공급용 트레이의 전후 이동이 가능하게 하는 이동창구를 가진다.
상기 다수의 안내기중 전방 측 공급용 트레이와 후방 측 공급용 트레이의 전후 이동을 방지하는 특정 안내기는 그 하단이 상기 지지플레이트와 일정 간격 이격되게 설치되어서 해당 일정 간격이 상기 이동창구의 기능을 가진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전자부품을 처리하는 핸들러는, 공급용 트레이에서 물류용 트레이로 전자부품을 로딩시키는 로딩부분; 상기 로딩부분에 의해 상기 물류용 트레이에 로딩된 전자부품에 대해 요구되는 작업을 처리하는 처리부분; 상기 처리부분에 의해 처리가 완료된 전자부품을 상기 물류용 트레이에서 회수용 트레이로 언로딩시키는 언로딩부분; 공급용 트레이가 적재된 공급대차가 결합될 수 있는 결합공간을 가지며, 상기 로딩장치에 의한 로딩 작업을 지원하기 위해 상기 결합공간에 수용된 공급대차로부터 상기 로딩장치가 로딩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공급위치로 공급용 트레이를 공급하는 공급부분; 을 포함한다.
상기 공급대차는 제1 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공급대차이다.
상기 공급부분은 상기 공급대차에 적재된 공급용 트레이를 승강시킴으로써 상기 공급위치로 공급용 트레이를 상승시키거나 상기 공급위치로부터 공급용 트레이를 하강시키는 승강기를 포함한다.
상기 공급부분은 상기 공급위치에 있는 공급용 트레이를 받치거나 받침을 해제하는 받침기 및 상기 받침기에 의해 받쳐진 공급용 트레이를 고정시키는 고정기를 더 포함한다.
상기 공급대차의 위치를 교정하면서 결합시키기 위한 홀딩기; 를 더 포함하고, 상기 홀딩기는, 상기 공급대차에 있는 교정구멍에 삽입되면서 상기 공급대차의 위치를 교정하는 홀딩부분을 가지는 홀딩부재; 및 상기 홀딩부재를 승강시키는 구동원; 을 포함한다.
상기 공급부분은 전후 방향으로 나란히 배열된 공급용 트레이들을 순환시킴으로써 공급용 트레이들을 상기 공급위치를 거치도록 순환시키는 순환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순환장치는, 전방에 위치된 공급용 트레이들을 승강시키는 제1 승강기; 후방에 위치된 공급용 트레이들을 승강시키는 제2 승강기; 후방의 대기위치에 있는 공급용 트레이를 전방의 공급위치로 이동시키는 제1 이동기; 및 전방에 있는 공급용 트레이를 후방으로 이동시키는 제2 이동기; 를 포함한다.
상기 순환장치에 의한 공급용 트레이들의 순환을 지원하기 위해, 상기 공급부분은, 제1 승강기의 전방에 위치된 공급용 트레이를 받치는 제1 지지기; 및 후방에 위치된 공급용 트레이를 받치는 제2 지지기; 를 포함한다.
위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공급용 트레이를 공급대차를 이용해 한꺼번에 손쉽게 공급할 수 있기 때문에 공급용 트레이의 공급이 빠르고 수월하게 이루어질 수 있어서 핸들러의 가동률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작업자가 공급대차를 핸들러에 밀어 넣는 작업만을 하면 되기 때문에 안정성이 있고, 장비가 안정화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부품 공급용 트레이 공급대차에 대한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부품을 처리하는 핸들러에 대한 개념적인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핸들러에 적용된 공급부분에 대한 발췌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공급부분에 적용된 제1 승강기 및 제2 승강기에 대한 세부 발췌도이다.
도 5는 도 3의 공급부분에 적용된 제2 받침기에 대한 세부 발췌도이다.
도 6은 도 3의 공급부분의 일부를 발췌한 세부 발췌도이다.
도 7은 도 1의 공급대차가 도 2의 핸들러에 결합된 상태를 보여주는 작동상태도이다.
도 8 내지 도 17은 도 2의 핸들러에서 공급용 트레이가 순환하는 방식을 설명하기 위해 개략적인 측면을 도시한 작동상태도이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되, 설명의 간결함을 위해 중복되는 설명은 가급적 생략하거나 압축한다.
<전자부품 공급용 트레이 공급대차에 대한 설명>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부품 공급용 트레이 공급대차(100, 이하 '공급대차'로 약칭 함)에 대한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공급대차(100)는 프레임(110), 지지플레이트(120), 다수의 안내기(130, 130'), 안내레일(140)들, 손잡이(150) 및 바퀴(160)들을 포함한다.
프레임(110)은 전자부품을 처리하는 핸들러에 있는 2개의 승강기가 수용될 수 있는 수용공간(111)을 확보하고 있다.
지지플레이트(120)는 프레임(110)의 상측에서 공급용 트레이(ST, ST')를 지지한다. 이러한 지지플레이트(120)는 수용공간(111)에 수용된 승강기가 공급용 트레이(200)를 승강시킬 수 있도록 하는 승강력을 공급용 트레이(ST, ST')에 가할 수 있도록 상하 방향으로 개방된 개방구멍(121)을 가진다. 여기서 부호 ST의 공업용 트레이와 부호 ST'의 공업용 트레이는 동일한 구조를 가지며, 단지 위치 관계로 인한 설명의 편의를 위해 부호상 구분하여 놓았을 뿐이다.
다수의 안내기(130, 130')는 지지플레이트(120)에 얹어진 전후 방향으로 나란히 얹어진 공급용 트레이(ST, ST')들의 위치를 결정하고, 핸들러의 승강기에 의한 공급용 트레이(ST, ST')의 승강 이동을 안내한다. 여기서 전방의 공급용 트레이(ST)들과 후방의 공급용 트레이(ST')들의 전후 위치 결정은 다수의 안내기(130, 130')들 중 중간에 있는 특정 안내기(130')가 공급용 트레이(ST, ST')들의 전후 이동을 방지함으로써 가능해진다. 또한, 특정 안내기(130')는 그 하단이 안내레일(140)의 상면과 일정 간격(G) 이격되게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이유는 해당 일정 간격(G)이 공급용 트레이(ST, ST')의 전후 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이동창구로서 기능하도록 함으로써, 전후방에 각각 배열된 공급용 트레이(ST, ST')들이 순환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이에 대해서는 더 자세히 후술한다).
안내레일(140)은 지지플레이트(120)에 설치되며, 이동 창구인 해당 일정 간격을 통해 이동하는 공급용 트레이(ST, ST')의 원활한 후방 이동을 위해 구비된다.
손잡이(150)는 작업자에 의해 공급대차(100)를 이동시키기 위해 사용된다.
바퀴(160)들은 공급대차(100)의 이동이 원활히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해 마련된다.
<전자부품을 처리하는 핸들러>
이어서 전술한 공급대차(100)와 짝을 이루는 전자부품을 처리하는 핸들러(이하 '핸들러'라 약칭 함)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핸들러(H)에 대한 개념적인 평면도이다.
핸들러(H)는 물류용 트레이(200), 로딩부분(300), 처리부분(400), 언로딩부분(500), 공급부분(600) 및 회수부분(700)을 포함한다.
물류용 트레이(200)는 로딩위치(LP), 처리위치(PP) 및 언로딩위치(UP)를 거쳐 다시 로딩위치(LP)로 이어지는 폐쇄된 순환 경로(C)를 따라서 순환한다. 이러한 물류용 트레이(200)에는 전자부품들이 적재될 수 있다.
로딩부분(300)은 공급위치(SP)에 있는 공급용 트레이(ST)에서 물류용 트레이(200)로 전자부품을 로딩시킨다.
처리부분(400)은 로딩부분(300)에 의해 물류용 트레이(200)에 로딩된 전자부품에 대해 요구되는 작업을 처리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에 따른 핸들러(H)가 전자부품의 테스트를 지원하기 위한 것이라면 처리부분(400)이 전자부품을 테스터에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작업을 수행하고, 본 발명에 따른 핸들러(H)가 전자부품을 케이싱하기 위한 것이라면 처리부분(400)이 전자부품을 케이싱하는 작업을 처리한다. 즉, 처리부분(400)은 전자부품에 대해 어떠한 처리 작업이 요구되느냐에 따라서 그러한 요구에 맞도록 구성될 수 있다.
언로딩부분(500)은 처리부분(400)에 의해 처리가 완료된 전자부품을 언로딩위치(UP)에 있는 물류용 트레이(200)에서 회수위치(DP)에 있는 회수용 트레이(DT)로 언로딩시킨다. 여기서, 회수용 트레이(DT)는 처리가 완료된 전자부품을 회수하는 데 사용하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처리부분(400)의 처리에 의해 전자부품의 외관적 형태가 바뀌는 경우에는 회수용 트레이(DT)가 공급용 트레이(ST)와는 다른 구조로 마련될 것이고, 처리부분(400)의 처리에도 불구하고 전자부품의 외관적 형태가 동일하면 회수용 트레이(DT)가 공급용 트레이(ST)와 동일한 구조로 마련될 수도 있을 것이다.
공급부분(600)은 공급용 트레이(ST)가 적재된 공급대차(100)가 결합될 수 있는 결합공간(JS)을 가진다. 그리고 공급부분(600)은 로딩부분(300)에 의한 로딩 작업을 지원하기 위해 결합공간(JS)에 수용된 공급대차(100)로부터 로딩부분(300)이 로딩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공급위치(SP)로 처리될 전자부품이 적재된 공급용 트레이(ST)를 지속적으로 공급한다. 이러한 공급부분(600)은 공급대차(100)에 의해 전후방으로 나뉘어 공급되는 공급용 트레이(ST)들을 자체적으로 순환시키면서 각 공급용 트레이(ST)를 순차적으로 공급위치(SP)로 공급할 수 있도록 구비된다. 이를 위해 공급부분(600)은 도 3의 발췌도에서와 같이 제1 승강기(611), 제2 승강기(612), 제1 받침기(621), 제2 받침기(622), 고정기(630), 제1 지지기(641), 제2 지지기(642), 퇴진기(650), 감지기(660)들, 식별기(670) 및 홀딩기(680)를 포함한다.
제1 승강기(611)는 현재 전방에 위치된 공급용 트레이(ST)들을 승강시킨다. 이러한 제1 승강기(611)는 도 4의 세부 발췌도에서와 같이 승강판(611a)과 승강모터(611b)를 포함한다.
승강판(611a)은 공급용 트레이(ST)를 받칠 수 있으며, 승강 가능하게 구비된다.
승강모터(611b)는 승강판(611a)을 요구되는 위치까지 승강시키기 위해 마련된다. 따라서 승강판(611a)에 의해 받쳐진 공급용 트레이(ST)는 승강모터(611b)의 작동에 따라 요구되는 위치까지 승강할 수 있게 된다.
제2 승강기(612)는 현재 후방에 위치된 공급용 트레이(ST')들을 승강시킨다. 이러한 제2 승강기(612)는 제1 승강기(611)와 그 구조가 동일하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제1 받침기(621)는 공급위치(SP)에 있는 공급용 트레이(ST)를 받치거나 받침을 해제시킨다. 또한, 제1 받침기(622)는 받쳐진 공급용 트레이(ST)를 전방으로 이동시킬 수도 있다. 이러한 제1 받침기(621)는 제2 받침기(622)와 대칭되는 구조이므로 후술할 제2 받침기(622)의 설명으로 갈음한다.
제2 받침기(622)는 대기위치(WP, 도 2 참조)에 있는 후방의 공급용 트레이(ST)를 받치거나 받침을 해제시킨다. 또한, 제2 받침기(622)는 받쳐진 공급용 트레이(ST')를 전방으로 이동시킬 수도 있다. 이를 위해 제2 받침기(622)는 도 5의 발췌 사시도에서와 같이 한 쌍의 이동판(622a-1, 622a-2), 한 쌍의 이동실린더(622b-1, 622b-2), 레일(622c)들, 한 쌍의 받침벨트(622d-1, 622d-2), 회전모터(622e), 동력전달유닛(622f) 및 설치부재(622g)들을 포함한다.
참고로, 본 실시예에서는 제1 받침기(621)와 제2 받침기(622)가 공급용 트레이(ST, ST')를 받치는 기능과 공급용 트레이(ST, ST')를 이동시키는 기능을 함께 가지고 있지만, 실시하기에 따라서는 공급용 트레이(ST, ST')를 받치는 기능과 공급용 트레이(ST, ST'를 이동시키는 기능을 분리하여 서로 다른 구성으로 마련하는 것도 얼마든지 고려될 수 있다.
한 쌍의 이동판(622a-1, 622a-2)은 상호 간의 간격이 넓혀지거나 좁혀지도록 좌우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된다. 이러한 이동판(622a-1, 622a-2)은 도 3에서 참조되는 바와 같이 공급위치(SP) 및 대기위치(WP)에 있는 공급용 트레이(ST, ST')를 좌우 방향으로 정렬하기 위한 정렬벽(AW)을 가진다.
한 쌍의 이동실린더(622b-1, 622b-2)는 한 쌍의 이동판(622a-1, 622a-2)을 좌우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레일(622c)들은 이동판(622a-1, 622a-2)의 좌우 이동을 안내한다.
한 쌍의 받침벨트(622d-1, 622d-2)는 공급용 트레이(ST')를 받치기 위해 마련된다. 이러한 받침벨트(622d-1, 622d-2)는 전후 방향으로 나란히 있는 구동풀리(D-P)와 피동풀리(P-P)를 전환점으로 하여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다.
회전모터(622e)는 한 쌍의 받침벨트(622d-1, 622d-2)를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력을 제공한다.
동력전달유닛(622f)은 회전모터(622e)의 회전력을 받침벨트(622d-1, 622d-2)로 전달한다. 이를 위해 동력전달유닛(622f)은 구동축(DS), 구동벨트(DB), 한 쌍의 풀리조립체(PA) 및 한 쌍의 전달벨트(TB)를 포함한다.
구동축(DS)은 회전모터(622e)의 회전력을 한 쌍의 풀리조립체(PA)로 전달한다.
구동벨트(DS)는 회전모터(622e)의 회전력을 구동축(DS)으로 전달한다.
한 쌍의 풀리조립체(PA)는 구동축(DS)의 좌우 양측에 구비되며, 구동축(DS)의 회전에 따라서 함께 회전한다. 또한, 한 쌍의 풀리조립체(PA)는 좌우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구동축(DS)에 결합되어 있다. 예를 들면, 도 5의 발췌단면 부분에서와 같이 구동축(DS)에는 일 측으로 돌출된 돌출부(P)가 있고, 한 쌍의 풀리조립체(PA)에는 돌출부(P)가 삽입되는 삽입홈(S)이 있어서 구동축(DS)의 회전력은 한 쌍의 풀리조립체(PA)로 전달되면서도 한 쌍의 풀리조립체(PA)는 좌우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이 가능하다.
한 쌍의 전달벨트(TB)는 한 쌍의 구동풀리(D-P)로 구동축(DS)의 회전력을 전달한다.
따라서 회전모터(622e)의 회전력은 구동벨트(DB), 구동축(DS), 한 쌍의 풀리조립체(PA), 전달벨트(TB) 및 구동풀리(D-P)를 순차적으로 거쳐 받침벨트(622d-1, 622d-2)로 전달된다. 이에 따라 받침벨트(622d-1, 622d-2)가 회전하면서 받침벨트(622d-1, 622d-2)에 얹어진 공급용 트레이(ST')가 전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한편, 설치부재(622g)들은 한 쌍의 이동판(622a-1, 622a-2)에 나뉘어 고정된다. 그리고 이러한 설치부재(622g)들에 구동풀리(D-P)들, 피동풀리(P-P)들 및 풀리조립체(PA)들이 설치된다.
따라서 한 쌍의 실린더(622a-1, 622a-2)가 작동하면 설치부재(622g)들이 좌우 방향으로 이동하고, 이에 따라 구동풀리(D-P)들, 피동풀리(P-P)들, 풀리조립체(PA)들 및 양 받침벨트(622d-1, 622d-2)도 좌우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에 따라 양 받침벨트(622d-1, 622d-2)의 간격이 조절되어 양 받침벨트(622d-1, 622d-2)가 공급용 트레이(ST')를 받칠 수 있는 상태로 되거나, 받침을 해제하는 상태로 될 수 있다.
또한, 도 3에서와 같이 제2 받침기(622)의 후단에는 2개의 니은자(ㄴ) 형태로 꺾어진 2개의 스토퍼(STP)가 구비된다. 이러한 스토퍼(STP)는 하방에서 상승하는 공급용 트레이(ST')의 상승을 안내하면서, 제2 받침기(622)에 받혀진 공급용 트레이(ST')의 후방향 이동을 금지시키는 기능을 가진다. 물론, 제1 받침기(621)의 경우에는 전단에 스토퍼가 구비되며, 공급용 트레이(ST)의 전방 이동을 금지시키는 기능을 가진다.
고정기(630)는 공급위치(SP)에 있는 공급용 트레이(ST)를 고정시킨다. 이에 따라 로딩부분(300)이 위치가 고정된 공급용 트레이(ST)로부터 안정적으로 전자부품을 파지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고정기(630)는 한 쌍으로 구비되며, 고정부재(631)와 실린더(632)로 구성된다. 따라서 고정기(630)가 작동하여 공급용 트레이(ST)를 전방으로 가압하면 공급용 트레이(ST)의 전단은 스토퍼에 의해 밀착되고, 그 후단은 고정기(630)에 의해 고정된다. 이러한 고정기(630)의 끝단은 막대형태일 수도 있으나, 디귿자(ㄷ) 형이나 브이자(V) 형과 같이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고정부재(631)는 실린더(632)의 작동에 의해 공급위치(SP)에 있는 공급용 트레이(ST)와 접촉하거나 접촉이 해제된다.
실린더(632)는 고정부재(631)를 진퇴시킨다.
제1 지지기(641)는 제1 승강기(611)에 의해 상승한 현재 전방에 있는 공급용 트레이(ST)들을 받친다. 이를 위해 제1 지지기(641)는 도 6의 발췌 사시도에서와 같이 한 쌍의 받침판(641a)과 한 쌍의 받침실린더(641b)를 포함한다.
한 쌍의 받침판(641a)은 상호 간의 간격이 넓혀지거나 좁혀지도록 좌우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마련된다.
한 쌍의 받침판(641a)이 공급용 트레이(ST)를 받치거나 받침을 해제할 수 있게 한다.
제2 지지기(642)는 제2 승강기(612)에 의해 상승한 현재 후방에 있는 공급용 트레이(ST')들을 받친다. 이러한 제2 지지기(642)의 구성은 제1 지지기(641)의 구성과 동일하므로 그 설명을 생략한다.
퇴진기(650)는 전방의 공급용 트레이(ST)를 후방으로 퇴진시키기 위해 마련된다. 이를 위해 도 6에서와 같이 퇴진기(650)는 가압부재(651) 및 가압실린더(652)를 포함한다.
가압부재(651)는 전후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서, 전방에 있는 공업용 트레이(ST)를 후방으로 민다.
가압실린더(652)는 가압부재(651)를 진퇴시킨다.
감지기(660)들은 도 6에서와 같이 공급대차(100)에 적재된 공급용 트레이(ST)들의 개수를 파악하기 위해 마련된다. 이러한 감지기(660)들의 개수 파악에 의해 제1 승강기(611) 및 제2 승강기(612)의 작동 거리가 제어된다.
식별기(670)는 공급위치(SP)에 있는 공급용 트레이(ST)의 식별정보를 읽기 위해 마련된다. 이에 의해 핸들러(H)에서 어떤 공급용 트레이(ST)의 전자부품들이 로딩되고 있는지 파악할 수 있게 된다.
홀딩기(680, 도 3 참조)는 결합공간(JS)에 수용된 공급대차(100)를 고정시키거나 고정을 해제시키며, 공급대차(100)의 위치를 잡아주기도 한다. 본 실시예에서의 홀딩기(680)에서는 홀딩부재(681)와 홀딩부재(6891)를 승강시키는 구동원인 홀딩실린더(682)로 구성되어 있으나, 실시하기에 따라서는 기구적인 결합에 의해 공급대차의 위치를 잡아줄 수 있는 등 얼마든지 변형 가능하다. 이렇게 홀딩기(680)를 구성하는 이유는 공장의 바닥면이 늘 평평할 수만은 없고, 약간의 기울기나 굴곡진 부분이 있을 수 있기 때문이다. 그래서 핸들러(H)를 공장 내에 설치할 시에는 수평을 맞추는 작업을 하게 된다. 핸들러(H)의 수평은 핸들러(H)의 하단에 존재하는 지지발의 높이를 일일이 조절해가면서 수작업을 통해 맞춘다. 이래야만 핸들러(H) 내의 구동체들이 안정적으로 구동이 되기 때문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수평을 맞춘 핸들러(H)에 공급대차(100)가 진입하는 구조인데, 공급대차(100)를 핸들러(H)의 수평에 맞춰서 진입시키는 것은 곤란하고 바람직하지도 않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미 수평을 정확히 맞춘 핸들러(H)와 공급대차(100)가 정확히 하나의 장비처럼 결합되어야 하며 작업 효율성을 극대화하기 위해 핸들러(H)에 홀딩기(680)를 구현한 것이다. 이러한 홀딩기(680)에 의해 결합공간(JS)에 수용된 공급대차(100)를 x,y 축(좌우, 전후 방향) 위치교정과 더불어 z축(상하 방향) 상의 수평 위치를 맞추는 작업이 일시에 이루어지도록 구성한 것이다. 따라서 공급대차(100)가 결합공간(JS)으로 진입하면, 핸들러(H) 내의 미도시한 스토퍼(프레임이나 벽일 수도 있음)에 접촉함으로써 정지하게 되고, 그 후 도 8에서와 같이 공급대차(100)의 지지플레이트(120)의 하면에 존재하는 교정구멍(AH)에 홀딩기(680)의 홀딩부재(681)에 있는 홀딩부분(681a)이 삽입되면서 점차 공급대차(100)의 위치가 교정되고, 궁극적으로 공급대차(100)가 상방으로 들어올려진 상태로 고정됨으로써 핸들러(H)와 공급대차(100) 간의 상대적인 수평이 모두 맞추어지게 된다.
회수부분(700)은 언로딩위치(UP)에 있는 물류용 트레이(200)로부터 처리가 완료된 전자부품을 회수하기 위해 마련된다. 이러한 회수부분(700)은 공급부분(600)과 다르게 구성될 수도 있고, 동일하게 구성될 수도 있다.
계속하여 위 핸들러(H)의 작동에 대해 설명한다. 참고로, 도 7 이하의 작동상태도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받침기(621, 622)나 지지기(641, 642)가 공급용 트레이(ST)를 받칠 수 있는 상태에 있는 경우에는 받침기(621, 622)나 지지기(641, 642)를 실선으로 처리하고, 받침기(621, 622)나 지지기(641, 642)가 공급용 트레이(ST)를 받칠 수 없는 상태에 있는 경우에는 받침기(621, 622)나 지지기(641, 642)를 점선으로 처리하였다. 그리고 제1 승강기(611) 제2 승강기(612)의 도시는 생략하였다.
작업자가 도 7에서와 같이 공급대차(100)를 핸들러(H)의 결합공간(JS)으로 밀어 넣고 핸들러(H)를 작동시킨다. 이에 따라 제1 승강기(611)와 제2 승강기(612)가 공급대차(100)의 수용공간(111)에 위치하게 된다. 제1 승강기(611)는 공급대차(100)에 적재된 전방의 공급용 트레이(ST)들의 하방에 위치되고, 제2 승강기(612)는 공급대차(100)에 적재된 후방의 공급용 트레이(ST')들의 하방에 위치된다. 도 7의 상태에서 홀딩기(680)가 작동하여 공급대차(100)를 고정시킨다. 홀딩기(680)에 의해 공급대차(100)이 고정되면, 제1 승강기(611)와 제2 승강기(612)가 작동하여 전방의 공급용 트레이(ST)들과 후방의 공급용 트레이(ST')들을 상승시켜서 도 8의 상태가 되게 된다. 도 8의 상태에서는 안내기(130, 130')의 상단을 벗어나게 상방으로 상승한 가장 상측에 적재된 공급용 트레이(ST, ST')가 받침기(621, 622)에 의해 받쳐질 수 있는 높이로 상승되어 있다. 이 때, 스토퍼(STP)에 의해 가장 상측에 있는 공급용 트레이(ST, ST')의 상승 이동이 안내된다.
그 후 도 9에서와 같이 제1 받침기(621)와 제2 받침기(622)가 가장 상측에 있는 공급용 트레이(ST, ST')를 받칠 수 있는 상태가 되고, 제1 지지기(641)와 제2 지지기(642)가 나머지 공급용 트레이(ST, ST')들을 받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그리고 제1 승강기(611)와 제2 승강기(612)가 공급용 트레이(ST, ST')들이 제1 지지기(641) 및 제2 지지기(642)에 의해 받쳐질 수 있는 일정 위치까지 공급용 트레이(ST, ST')들을 하강시킨다. 이에 의해 도 10에서와 같이 가장 상측에 있는 전방의 공급용 트레이(ST)는 제1 받침기(621)에 의해 받쳐지고, 가장 상측에 있는 후방의 공급용 트레이(ST')는 제2 받침기(622)에 의해 받쳐지며, 나머지 공급용 트레이(ST, ST')들은 제1 지지기(641) 및 제2 지지기(642)에 의해 받쳐진다. 또한, 정렬벽(AW)에 의해 공급용 트레이(ST, ST')의 좌우 방향으로의 위치가 정렬된다. 여기서, 정렬벽(AW)과 공급용 트레이(ST, ST') 간에는 어느 정도 유격이 존재한다. 이러한 유격은 차후 기술될 공급용 트레이(ST, ST')의 원활한 이동을 위해 필요하다. 참고로, 제1 받침기(621)와 제2 받침기(622)의 작동과 제1 지지기(641)와 제2 지지기(642)의 작동은 동시에 이루어질 필요는 없으며, 가장 상측에 있는 공급용 트레이(ST, ST')를 제외한 나머지 공급용 트레이(ST, ST')들이 제1 승강기(611)와 제2 승강기(612)에 의해 하강할 때 제1 지지기(641)와 제2 지지기(642)가 나머지 공급용 트레이(ST, ST')들을 받칠 수 있는 시점 이전에 제1 지지기(641)와 제2 지지기(642)가 작동하면 족하다.
도 10의 상태에서 고정기(630)가 작동하여 도 11에서와 같이 공급위치(SP)에 있는 전방의 공급용 트레이(ST)를 고정시킨다. 이 때, 공급용 트레이(ST)의 전단은 스토퍼에 밀착된다.
도 11의 상태에서 핸들러(H)의 로딩부분(300)이 작동하여 공급위치(SP)에 있는 공급용 트레이(ST)로부터 로딩위치(LP)에 있는 물류용 트레이(200)로 전자부품을 로딩시킨다. 그리고 전자부품의 로딩이 완료된 물류용 트레이(200)는 순환 경로(C)를 따라 이동되면서, 처리위치(PP)에서 적재된 전자부품의 처리가 이루어지고, 언로딩위치(UP)에서 적재된 전자부품이 언로딩되어 회수용 트레이(DT)로 적재된다. 물론, 언로딩위치(UP)에서 전자부품이 비워진 물류용 트레이(200)는 로딩위치(LP)로 다시 이동한다.
한편, 공급위치(SP)에 있는 공급용 트레이(ST)로부터 전자부품이 모두 비워지면 고정기(630)에 의한 공급용 트레이(ST)의 고정상태를 해제시키고, 제1 승강기(611)가 작동하여 도 12에서와 같이 전방의 트레이(ST)들을 받치면서 상승시킨다. 이 때, 제1 받침기(621)와 제1 지지기(641)는 요구되는 시점에서 공급용 트레이(ST)들의 받침상태를 해제시킨다. 이어서 도 13에서와 같이 제1 승강기(611)가 전방의 트레이(ST)들을 하강시킴으로써 가장 하단에서 두 번째에 위치한 공급용 트레이(ST)가 제1 지지기(641)에 의해 받쳐질 수 있는 높이로 하강시키고, 제1 승강기(611)의 작동이 일시적으로 멈춘다. 이어서 도 14에서와 같이 제1 지지기(641)가 작동하여 공급용 트레이(ST)들을 받칠 수 있는 상태가 되게 한다. 그리고 이어지는 제1 승강기(611)의 하강 작동에 의해 도 15에서와 같이 제1 지지기(641)에 의해 받쳐지지 아니한 가장 하단의 공급용 트레이(ST)만 안내레일(140)에 얹어지고, 상측의 나머지 공급용 트레이(ST)들은 제1 지지기(641)에 의해 받쳐진다.
도 15의 상태에서 제1 받침기(621)와 제2 받침기(622)가 작동하여 도 15에서와 같이 대기위치(WP)에 있는 공급용 트레이(ST')를 전방으로 이동시키고, 퇴진기(650)가 작동하여 안내레일(140)에 얹어진 전방의 공급용 트레이(ST)를 후방으로 이동시킨다. 여기서 제1 받침기(621) 및 제2 받침기(622)에 의해 대기위치(WP)에 있는 공급용 트레이(ST')가 공급위치(SP)로 이동할 때, 정렬벽(AW)에 의해 유격의 한도 내에서 좌우 뒤틀림 없이 그 이동이 이루어지면서 1차 정렬되고, 스토퍼(STP)에 의해 전후 방향으로의 2차 정렬이 이루어지며, 차후 고정기(630)에 의한 공급용 트레이(ST)의 고정에 의해 3차 정렬이 이루어짐으로써 현재 공급위치로 이동되어온 공급용 트레이로부터 전자부품의 로딩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제2 받침기(622), 제2 지지기(642), 제2 승강기(612) 등이 설정된 순서대로 작동하면서 도 10과 같은 상태가 된다.
위와 같은 방식으로 제1 받침기(621), 제2 받침기(622), 제1 지지기(641), 제2 지지기(642), 제1 승강기(611), 제2 승강기(612) 및 퇴진기(650)가 요구되는 제어 순서에 따라서 작동되면서 공급용 트레이(ST, ST')을 순환시킨다. 따라서 제1 받침기(621), 제2 받침기(622), 제1 지지기(642), 제2 지지기(643), 제1 승강기(611), 제2 승강기(612) 및 퇴진기(650)는 순환장치로 묶일 수 있다. 그리고 공급용 트레이(ST, ST')순환 이동의 관점에서 제1 받침기(621)와 제2 받침기(622)는 후방의 공급용 트레이(ST')를 전방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이동기로 기능하고, 퇴진기(650)는 전방의 공급용 트레이(ST)를 후방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이동기로 기능한다.
위와 같이 핸들러(H)는 공급대차(100)에 의해 공급된 공급용 트레이(ST, ST')들을 자체적으로 순환시키면서 모든 공급용 트레이(ST)들이 공급위치(SP)를 거치도록 함으로써, 모든 공급용 트레이(ST)들로부터 전자부품들을 물류용 트레이(200)로 보내고 나면, 제1 받침기(621), 제2 받침기(622), 제1 지지기(641), 제2 지지기(642), 고정기(630), 제1 승강기(611)와 제2 승강기(612)를 작동시켜 도 17에서와 같이 비워진 모든 공급용 트레이(ST, ST')들을 안내레일(140)에 다시 얹어 놓는다.
그리고 핸들러(H)는 홀딩기(680)에 의한 공급대차(100)의 고정상태를 해제시킴으로써 작업자가 공급대차(100)를 결합공간(JS)으로부터 빼낼 수 있는 상태가 되게 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 실시예에 의해서 이루어졌지만, 상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를 들어 설명하였을 뿐이기 때문에, 본 발명이 상기의 실시예에만 국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아니 되며,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후술하는 청구범위 및 그 균등개념으로 이해되어져야 할 것이다.
100 : 전자부품 공급용 트레이 공급대차
110 : 프레임
111 : 수용공간
120 : 지지플레이트
121 : 개방구멍
130, 130' : 안내기
140 : 안내레일
H: 전자부품을 처리하는 핸들러
200 : 물류용 트레이
300 : 로딩부분
400 : 처리부분
500 : 언로딩부분
600 : 공급부분
611 : 제1 승강기 612 : 제2 승강기
621 : 제1 받침기 622 : 제2 받침기
630 : 공정기
641 : 제1 지지기 642 : 제2 지지기
650 : 퇴진기

Claims (10)

  1. 전자부품을 처리하는 핸들러에 있는 제1 승강기와 상기 제1 승강기의 후방에 있는 제2 승강기가 수용될 수 있는 수용공간을 확보하고 있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상측에서 전방에 위치된 공급용 트레이들과 후방에 위치된 공급용 트레이들을 지지하는 지지플레이트; 및
    상기 지지플레이트에 얹어진 상기 전방에 위치된 공급용 트레이들과 상기 후방에 위치된 공급용 트레이들의 위치를 결정하고, 상기 제1 승강기에 의한 상기 전방에 위치된 공급용 트레이들의 승강 이동과 상기 제2 승강기에 의한 상기 후방에 위치된 공급용 트레이들의 승강 이동을 안내할 수 있는 다수의 안내기; 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플레이트는 상기 수용공간에 수용된 상기 제1 승강기가 상기 전방에 위치된 공급용 트레이들을 승강시킬 수 있도록 하거나 상기 제2 승강기가 상기 후방에 위치된 공급용 트레이들을 승강시킬 수 있는 승강력을 상기 공급용 트레이에 가할 수 있도록 상하 방향으로 개방된 개방구멍을 가지며,
    상기 다수의 안내기들은 상기 지지플레이트에 전후 방향으로 나란히 얹어진 상기 전방에 위치된 공급용 트레이들과 상기 후방에 위치된 공급용 트레이들의 전후 위치를 결정함으로써 상기 전방에 위치된 공급용 트레이들과 상기 후방에 위치된 공급용 트레이들의 전후 이동을 방지하되, 상기 다수의 안내기들 중 특정 안내기가 특정 위치에서 상기 전방에 위치된 공급용 트레이들 중 하나의 공급용 트레이의 후방 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이동창구를 가지도록 구비됨으로써 전후방에 각각 배열된 공급용 트레이들이 순환될 수 있는
    전자부품 공급용 트레이 공급대차.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안내기는 그 하단이 상기 지지플레이트와 일정 간격 이격되게 설치되어서 해당 일정 간격이 상기 이동창구의 기능을 가지는
    전자부품 공급용 트레이 공급대차.
  4. 공급용 트레이에서 물류용 트레이로 전자부품을 로딩시키는 로딩부분;
    상기 로딩부분에 의해 상기 물류용 트레이에 로딩된 전자부품에 대해 요구되는 작업을 처리하는 처리부분;
    상기 처리부분에 의해 처리가 완료된 전자부품을 상기 물류용 트레이에서 회수용 트레이로 언로딩시키는 언로딩부분;
    공급용 트레이가 적재된 공급대차가 결합될 수 있는 결합공간을 가지며, 상기 로딩부분에 의한 로딩 작업을 지원하기 위해 상기 결합공간에 수용된 공급대차로부터 상기 로딩부분이 로딩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공급위치로 공급용 트레이를 공급하는 공급부분; 을 포함하고,
    상기 공급대차는 제 1항 및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공급대차인
    전자부품을 처리하는 핸들러.
  5. 삭제
  6. 삭제
  7.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부분은
    상기 공급위치에 있는 공급용 트레이를 받치거나 받침을 해제하는 받침기; 및
    상기 받침기에 의해 받쳐진 공급용 트레이를 고정시키는 고정기; 를 포함하는
    전자부품을 처리하는 핸들러.
  8.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대차의 위치를 교정하면서 결합시키기 위한 홀딩기; 를 더 포함하고,
    상기 홀딩기는,
    상기 공급대차에 있는 교정구멍에 삽입되면서 상기 공급대차의 위치를 교정하는 홀딩부분을 가지는 홀딩부재; 및
    상기 홀딩부재를 승강시키는 구동원; 을 포함하는
    전자부품을 처리하는 핸들러.
  9.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부분은
    전후 방향으로 나란히 배열된 공급용 트레이들을 순환시킴으로써 공급용 트레이들을 상기 공급위치를 거치도록 순환시키는 순환장치; 를 포함하고,
    상기 순환장치는,
    전방에 위치된 공급용 트레이들을 승강시키는 제1 승강기;
    후방에 위치된 공급용 트레이들을 승강시키는 제2 승강기;
    상기 공급위치보다 후방의 대기위치에 있는 공급용 트레이를 상기 공급위치로 이동시키는 제1 이동기; 및
    전방에 있는 공급용 트레이를 후방으로 이동시키는 제2 이동기; 를 포함하는
    전자부품을 처리하는 핸들러.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순환장치에 의한 공급용 트레이들의 순환을 지원하기 위해,
    상기 공급부분은,
    전방에 위치된 공급용 트레이를 받치는 제1 지지기; 및
    후방에 위치된 공급용 트레이를 받치는 제2 지지기; 를 포함하는
    전자부품을 처리하는 핸들러.



KR1020160026482A 2016-03-04 2016-03-04 전자부품 공급용 트레이 공급대차 및 전자부품을 처리하는 핸들러 KR1026507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6482A KR102650702B1 (ko) 2016-03-04 2016-03-04 전자부품 공급용 트레이 공급대차 및 전자부품을 처리하는 핸들러
TW106104180A TWI624888B (zh) 2016-03-04 2017-02-09 電子部件供應用托盤的供應推車及處理電子部件的分選機
CN201710126642.XA CN107150033B (zh) 2016-03-04 2017-03-03 电子部件供应用托盘的供应推车及处理电子部件的分选机
KR1020240038039A KR20240042375A (ko) 2016-03-04 2024-03-19 전자부품 공급용 트레이 공급대차 및 전자부품을 처리하는 핸들러
KR1020240038036A KR20240040707A (ko) 2016-03-04 2024-03-19 전자부품 공급용 트레이 공급대차 및 전자부품을 처리하는 핸들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6482A KR102650702B1 (ko) 2016-03-04 2016-03-04 전자부품 공급용 트레이 공급대차 및 전자부품을 처리하는 핸들러

Related Child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40038039A Division KR20240042375A (ko) 2016-03-04 2024-03-19 전자부품 공급용 트레이 공급대차 및 전자부품을 처리하는 핸들러
KR1020240038036A Division KR20240040707A (ko) 2016-03-04 2024-03-19 전자부품 공급용 트레이 공급대차 및 전자부품을 처리하는 핸들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03496A KR20170103496A (ko) 2017-09-13
KR102650702B1 true KR102650702B1 (ko) 2024-03-25

Family

ID=59791501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26482A KR102650702B1 (ko) 2016-03-04 2016-03-04 전자부품 공급용 트레이 공급대차 및 전자부품을 처리하는 핸들러
KR1020240038039A KR20240042375A (ko) 2016-03-04 2024-03-19 전자부품 공급용 트레이 공급대차 및 전자부품을 처리하는 핸들러
KR1020240038036A KR20240040707A (ko) 2016-03-04 2024-03-19 전자부품 공급용 트레이 공급대차 및 전자부품을 처리하는 핸들러

Family Applications After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40038039A KR20240042375A (ko) 2016-03-04 2024-03-19 전자부품 공급용 트레이 공급대차 및 전자부품을 처리하는 핸들러
KR1020240038036A KR20240040707A (ko) 2016-03-04 2024-03-19 전자부품 공급용 트레이 공급대차 및 전자부품을 처리하는 핸들러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3) KR102650702B1 (ko)
CN (1) CN107150033B (ko)
TW (1) TWI624888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537784B (zh) * 2017-10-11 2024-01-19 惠州市兴源自动化设备有限公司 一种电池阻抗测试机
KR102289103B1 (ko) * 2017-11-21 2021-08-13 (주)테크윙 전자부품 핸들러용 개방장치
KR102610287B1 (ko) * 2018-08-24 2023-12-06 (주)테크윙 테스트트레이 및 전자부품 테스트용 핸들러
KR102660415B1 (ko) * 2018-10-16 2024-04-25 (주)테크윙 전자부품을 적재시킬 수 있는 트레이를 자동으로 교체하는 교체장비
KR102663462B1 (ko) * 2018-11-07 2024-05-09 (주)테크윙 핸들러
KR20210074934A (ko) * 2019-12-12 2021-06-22 (주)테크윙 전자부품의 테스트를 지원하는 핸들러용 테스트트레이
JP1676254S (ko) 2020-06-22 2021-01-12
JP1676252S (ko) 2020-06-22 2021-01-12
JP1676253S (ko) 2020-06-22 2021-01-12
KR102340864B1 (ko) 2021-07-22 2021-12-20 솔리스이엔씨 주식회사 전자부품 이송용 컨베이어 장치
TWI779892B (zh) * 2021-10-20 2022-10-01 鴻勁精密股份有限公司 承盤模組、置料裝置及作業機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82174A (en) 1995-12-15 1999-03-16 Ats Automation Tooling Systems Inc. System for loading or unloading of parts onto or from trays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63038B2 (ja) * 1992-06-12 1996-12-11 株式会社ヤマザキ電機 加熱炉におけるトレイ連続搬送装置
IT1272853B (it) * 1994-11-30 1997-06-30 Circuit Line Spa Metodo e apparecchiatura per il carico e lo scarico automatico di circuiti stampati su macchine per l'esecuzione del test elettrico
JPH0971322A (ja) * 1995-07-03 1997-03-18 Advantest Corp Ic搬送装置
US6729119B2 (en) * 2001-12-28 2004-05-04 The Schnipke Family Limited Liability Company Robotic loader for surgical stapling cartridge
KR101267840B1 (ko) * 2007-09-18 2013-05-27 세메스 주식회사 테스트 핸들러용 트레이 이송장치 및 이를 이용한 트레이이송방법
JP5049769B2 (ja) * 2007-12-25 2012-10-17 株式会社日立ハイテクノロジーズ 自動分析装置および検体処理システム
CN202279522U (zh) * 2011-10-18 2012-06-20 淄博国利新电源科技有限公司 一种极片自动上料装置
KR101333422B1 (ko) * 2012-01-02 2013-11-26 세메스 주식회사 전자 부품 핸들링 장치 및 시스템
KR101435775B1 (ko) * 2012-12-22 2014-09-01 에스티에스 주식회사 트레이 공급장치
KR101999623B1 (ko) * 2013-05-10 2019-07-16 (주)테크윙 반도체소자 테스트용 핸들러의 트레이 적재장치
KR102120713B1 (ko) * 2014-03-18 2020-06-11 (주)테크윙 반도체소자 테스트용 핸들러
CN204777462U (zh) * 2015-07-01 2015-11-18 常州星宇车灯股份有限公司 一种用于自动化生产线的上料装置
CN205060982U (zh) * 2015-10-27 2016-03-02 苏州和瑞科自动化科技有限公司 一种升降式料盘上下料设备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82174A (en) 1995-12-15 1999-03-16 Ats Automation Tooling Systems Inc. System for loading or unloading of parts onto or from tray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03496A (ko) 2017-09-13
KR20240040707A (ko) 2024-03-28
TW201732980A (zh) 2017-09-16
KR20240042375A (ko) 2024-04-02
CN107150033A (zh) 2017-09-12
TWI624888B (zh) 2018-05-21
CN107150033B (zh) 2019-12-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50702B1 (ko) 전자부품 공급용 트레이 공급대차 및 전자부품을 처리하는 핸들러
CN106477217B (zh) 物品搬运设备
KR100959372B1 (ko) 반도체 소자 이송장치, 핸들러, 및 반도체 소자 제조방법
KR102322242B1 (ko) 반도체소자 테스트용 핸들러의 스택커 및 반도체소자 테스트용 핸들러
KR100911337B1 (ko) 테스트핸들러용 캐리어보드 이송장치 및 테스트핸들러
CN110610874A (zh) 储料器
KR102150670B1 (ko) 스토커
TWI519798B (zh) Semiconductor component testing sorting machine and its working methods
US20210053778A1 (en) Container stacking storage system loading trolley
KR102335827B1 (ko) 프로브 카드 로딩 장치, 그를 포함하는 프로브 카드 관리 시스템
KR102249574B1 (ko) 전자부품 언로딩장비
US20060001436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linked slot-level burn-in
KR101029064B1 (ko) 반도체 소자 이송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테스트 핸들러
KR20110059086A (ko) 테스트핸들러용 픽앤플레이스장치
KR20200039227A (ko) 스토커
KR102652903B1 (ko) 전자부품 테스트 핸들러
KR102624971B1 (ko) 전자부품 핸들러용 캐리어프레임
TWI755120B (zh) 工件供應倉儲裝置
KR101880227B1 (ko) 테스트핸들러용 트랜스퍼 모듈
KR102270587B1 (ko) 프리사이저 및 이를 이용한 테스트 핸들러
KR101361497B1 (ko) 테스트핸들러용 캐리어보드 이송장치 및 자세변환장치
KR102322243B1 (ko) 자동 대차
KR20210158237A (ko) 캐리어 이송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캐리어 이적재 방법
KR102200695B1 (ko) 물류장치 및 작업장비
KR20210083458A (ko) 전자부품 처리용 핸들러 및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