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62913B1 - 계류지원정 침수방지용 현창맨홀 - Google Patents

계류지원정 침수방지용 현창맨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62913B1
KR102662913B1 KR1020220022356A KR20220022356A KR102662913B1 KR 102662913 B1 KR102662913 B1 KR 102662913B1 KR 1020220022356 A KR1020220022356 A KR 1020220022356A KR 20220022356 A KR20220022356 A KR 20220022356A KR 102662913 B1 KR102662913 B1 KR 1026629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nhole
porthole
compartment
water level
level sen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223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125585A (ko
Inventor
배인탁
류창환
Original Assignee
배인탁
류창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배인탁, 류창환 filed Critical 배인탁
Priority to KR10202200223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62913B1/ko
Publication of KR202301255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255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629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62913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9/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ports, doors, windows, port-holes, or other openings or covers
    • B63B19/12Hatches; Hatchways
    • B63B19/28Other safety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9/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ports, doors, windows, port-holes, or other openings or covers
    • B63B19/12Hatches; Hatchways
    • B63B19/14Hatch cov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45/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79/00Monitoring properties or operating parameters of vessels in operation
    • B63B79/10Monitoring properties or operating parameters of vessels in operation using sensors, e.g. pressure sensors, strain gauges or accelerometer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12Manhole shafts; Other inspection or access cha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2D29/14Covers for manholes or the like; Frames for covers
    • E02D29/1481Security devices, e.g. indicating unauthorised open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ewage (AREA)
  • Underground Structures, Protecting, Testing And Restoring Foundations (AREA)
  • Laying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utsid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계류지원정 침수방지용 현창맨홀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계류지원정에 내부 격실을 향해 현창이 설치된 맨홀을 다수 설치하여, 외부에서 격실을 상시 확인할 수 있도록 하면서, 격실 내부의 누수 및 누유 발생시에는 이를 감지하는 수위센서 및 경보장치 등을 통해 외부에 경고하여, 신속하게 대처가 가능토록 하는 계류지원정 침수방지용 현창맨홀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계류지원정 침수방지용 현창맨홀{Porthole manhole for prevention of flooding of mooring support boats}
본 발명은 계류지원정 관련 현창맨홀에 관한 것으로서, 계류지원정의 내, 외부 상시 확인용으로 현창맨홀을 설치하여, 선체 등 인지 불가한 미세 파공 및 내부 각종 설비 배관시설의 누수 및 누유 등으로 발생되는 침수, 침하, 침몰 등의 사고를 사전 방지할 수 있는 안전시스템 구현을 위한 것이다.
기존에 다양한 형태로 운용중인 계류지원정(YPK)은 맨홀의 개방을 통해 내부 및 외부 격실을 검사하고 있다.
이에, 격실 내 선체 파공 및 각종 배관 초기 누수 및 누유 발생시에는 사전인지가 불가하며, (맨홀 개방을 통해서만 주간에 내부 일부분 확인이 가능할 뿐 야간에는 확인이 불가하다.) 누수 및 누유 발생시 YPK 외부 선체가 1/3이상 기울기 발생 전까지는 확인이 불가하다.
이러한 상기 맨홀 총 수량은 699개(1개소 너트 약 24개 체결, 너트 수량 16,776개, 1척당 맨홀 약 13개소)로, 점검 시간 과다 소요로 실질적 내부 점검이 불가하고 일일 점검도 한계가 발생하고 있다. (맨홀 1개소 점검시간 최소 18분 50초 소요, 1척당 약 4시간 소요.)
또한, 이러한 계류지원정 내부 격실은 좌현, 우현, 중앙으로 구비된 제한 격실을 운영중이며, 중앙부 독립 격실의 누수 및 누유 발생시에는 시각 확인이 불가하며, 내부 유동체 이동 및 압력 등에 의한 안전성을 고려하여 개방이 불가하다.
최근 3년간 계류지원정 내부 누유, 누수로 인한 침수, 침하 등 안전사고 및 손실건은 다수발생하고 있다.
이에,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장치의 개발이 절실히 대두되고 있는 실정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1028580호(2011.04.04.등록)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계류지원정 운용간 인지 불가능한 선체 미세파공 및 내부 각종 배관의 누수 및 누유 등으로 발생하는 침수 및 침몰 사고를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현창맨홀을 제작 및 설치하여 누수 및 누유시 자동감지로 침수를 방지하고, 맨홀의 별도 개방없이도 현창을 통해 내부 격실 검사를 가능토록 함으로써, 인적, 물적 피해를 최소화하고 불안전한 상태인 계류지원정의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는 계류지원정 침수방지용 현창맨홀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에 설명될 것이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알게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계류지원정에 천공형성된 설치공(11)을 통해, 외부갑판에서부터 내부의 격실(R) 천장을 향해 삽입되어, 일단이 격실(R) 천장으로 노출되는 맨홀몸체(12)와, 상기 맨홀몸체(12)의 타단 외주연에 연장형성되어 고정수단에 의해 맨홀몸체(12)를 외부갑판에 고정하고, 당김손잡이(14)가 형성되어 있는 맨홀커버(13)로 구성되는 맨홀부(10);
상기 격실(R) 내부에서 맨홀몸체(12)의 일단을 밀폐하는 제 1현창(21)과, 격실(R) 외부에서 맨홀몸체(12)의 타단을 밀폐하는 제 2현창(22)으로 구성되어, 맨홀부(10)의 개방없이 외부에서 맨홀부(10)를 통해 격실(R) 내부가 식별가능한 광투광도의 투명재질로 형성되며, 제 1, 2현창(21, 22)의 직경은 맨홀몸체(12)보다 큰직경을 가지는 현창부(20);
상기 제 1현창(21)과 맨홀몸체(12), 제 2현창(22)과 맨홀몸체(12) 사이에 설치되는 제 1, 2패킹부(31, 32);
상기 제 1, 2현창(21, 22)사이의 맨홀몸체(12) 내주연에서 격실(R)을 향해 각도조절가능하게 설치되어, 야간시 격실(R) 내부의 식별을 가능토록 하는 전조등부(40);
상기 격실(R) 내벽의 사전설정높이에 설치되어, 격실(R) 내 누수 및 누유를 감지하는 수위센서(50);
상기 맨홀몸체(12)의 내주연에 링 형태로 설치되되, 개구된 중앙홀(61)에는 중앙홀(61)의 일부를 밀폐하는 막힘판(62)이 형성하여, 제 1현창(21)에서 막힘판(62)으로 가려지지 않은 부위를 통해서 격실(R) 내부를 확인하도록 하는 설치링(60);
상기 설치링(60)의 상부면에서 설치링(60)의 형상을 따라 다수개가 원형태로 이격배치되어, 수위센서(50)를 통한 누수감지시, 사전설정된 다수개의 색상이 순차적으로 발광되는 반복작동으로 격실(R) 외부에 경고하는 알림등(70);
상기 수위센서(50)를 통한 누수감지시 외부에 사전설정 데시벨의 경고음을 발생시키는 경보장치(80);
로 구성되어 현창맨홀(100)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맨홀의 개방없이 맨홀에 설치된 현창을 통한 격실 내부 점검이 가능하여, 시간 및 인력 소요가 절감되고, 점검 효율성이 증대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격실 내 누수 및 누유발생시 이를 자동으로 감지할 수 있고, 경보를 통해 즉각적으로 대응하여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내부 격실을 외부에서 상시 확인가능하여, 누수 개소에 대한 선별적 대처가 가능해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계류지원정(YPK) 및 하부 격실 등 다양하게 적용설치가 가능하여,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현창맨홀을 나타낸 일실시예의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현창맨홀을 나타낸 일실시예의 설치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현창맨홀의 설치모습을 나타낸 일실시예의 사용도.
도 4는 종래 계류지원정 내 맨홀을 나타낸 도면.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 전에, 다음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되거나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의 구성 및 배열들의 상세로 그 응용이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다른 실시예들로 구현되고 실시될 수 있고 다양한 방법으로 수행될 수 있다. 또, 장치 또는 요소 방향(예를 들어 "전(front)", "후(back)", "위(up)", "아래(down)", "상(top)", "하(bottom)", "좌(left)", "우(right)", "횡(lateral)")등과 같은 용어들에 관하여 본원에 사용된 표현 및 술어는 단지 본 발명의 설명을 단순화하기 위해 사용되고, 관련된 장치 또는 요소가 단순히 특정 방향을 가져야 함을 나타내거나 의미하지 않는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제 1(first)", "제 2(second)"와 같은 용어는 설명을 위해 본원 및 첨부 청구항들에 사용되고 상대적인 중요성 또는 취지를 나타내거나 의미하는 것으로 의도되지 않는다.
본 발명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아래의 특징을 갖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계류지원정 침수방지용 현창맨홀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계류지원정 침수방지용 현창맨홀은 맨홀부(10), 현창부(20), 제 1, 2패킹부(31, 32), 전조등부(40), 수위센서(50), 설치링(60), 알림등(70), 경보장치(80), 컨트롤 박스(90)로 이루어진다.
상기 설치공(11)은 계류지원정의 외부갑판에서부터 계류지원정 내부의 격실(R) 천장을 향해 관통형성되는 설치공(11)이다. 물론, 격실(R)과 격실(R) 사이의 구획벽(W)에도 이러한 설치공(11)을 천공하여 본 발명의 현창맨홀(100)을 설치할 수 있으며, 결국, 사용자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내부 격실(R)의 내수 및 누유를 확인하고자 하는 어느 부분에도 설치에도 가능하기에, 본 발명에서는 그 설치위치를 한정하지 않는다.
상기 맨홀부(10)는 계류지원정의 갑판 또는 격실(R)의 구획벽(W) 등 사용자가 사전 천공형성한 설치공(11)에 삽입장착되는 것으로서, 외부갑판에서부터 내부의 격실(R) 천장을 향해 삽입되어, 일단이 격실(R) 천장으로 노출되고, 타단은 외부에 노출(갑판측으로 노출)되는 맨홀몸체(12)와, 외부로 노출된 상기 맨홀몸체(12)의 타단 외주연에 원판 형태로 사방을 향해 연장형성되어, 고정수단(ex: 볼트, 너트 등)에 의해 맨홀몸체(12)를 외부갑판에 고정하는 맨홀커버(13)로 구성되는 맨홀이다.
또한, 이러한 맨홀커버(13)의 외측면에는 당김손잡이(14) 형성되어 있도록 하여, 고정수단을 해제한 맨홀커버(13)를 맨홀부(10)와 함께 계류지원정에서 탈거가 용이토록 할 수 있음이다.
본 발명에서는 계류지원정의 외부갑판 외측에서부터 맨홀부(10)를 수직으로 세워 설치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하기에서도 후술하겠지만, 계류지원정에서 격실(R) 내부의 누수 및 누수를 확인하는 용도라면 어느 설치면에서도 설치가 가능함은 당연할 것이다.
상기 현창부(20)는 격실(R) 내부에서 맨홀몸체(12)의 일단을 밀폐하는 제 1현창(21)과, 격실(R) 외부에서 맨홀몸체(12)의 타단을 밀폐하는 제 2현창(22)으로 구성되어, 상기 맨홀부(10)의 상, 하단을 각각 밀폐하는 것이며, 맨홀부(10)의 개방없이 외부에서 맨홀부(10)를 통해 격실(R) 내부가 식별가능한 광투광도의 투명재질로 형성되는 창이다.
이러한 제 1, 2현창(21, 22)의 직경은 맨홀몸체(12)보다 큰 직경을 가지도록 하고, 본 발명에서는 제 1, 2현창(21, 22)을 높은 광투광도와 내충격, 내열성이 우수한 유리 또는 플라스틱 제품이 사용될 수 있도록 한다.(ex: PC(하이텍글라스)제품, PC아크릴 등)
또한, 상기 제 1현창(21)과 맨홀몸체(12), 제 2현창(22)과 맨홀몸체(12) 사이에는 실링을 위한 제 1, 2패킹부(31, 32)가 각각 설치되어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제 1, 2현창(21, 22) 중 외부로 노출되는 제 2현창(22)의 경우, 제 2현창(22)은 제 2현창(22)의 외곽을 링형태로 감싸는 형태로 형성되어, 제 2현창(22) 외주연의 파손 및 손상을 방지하도록 하는 상부커버(23)가 구비되되, 상기 상부커버(23)는 테두리에 다수의 관통장공(24)이 원주방향으로 이격형성되어, 알림등(70)의 빛이 관통장공(24)을 통해 제 2현창(22)의 테두리로도 발산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전조등부(40)는 전술된 제 1, 2현창(21, 22)사이의 맨홀부(10) 내주연에서 격실(R)을 향해 설치되어, 야간시 격실(R) 내부의 식별을 가능토록 하는 것으로서, 다양한 사이즈의 고휘도 전조등이 사용될 수 있고, 맨홀부(10) 내주연에 힌지로 설치되어 설치각도조절이 가능토록 한다.
상기 수위센서(50)(누수감지센서, 수위감지센서)는 격실(R) 내벽의 사전설정높이에 설치되어, 격실(R) 내 누수 및 누유를 감지하는 감지센서로서, 이러한 수위센서(50)는 누수 또는 누수 발생시 센서가 작동되는 수위가 사전설정수위인 40 ~ 60mm(바람직하게는 50mm이지만, 이러한 사전설정수위 및 수위센서(50)의 설치높이는 변경이 가능한 부분이다.)를 기준으로 한다.
상기 설치링(60)은 맨홀몸체(12)의 내주연에 링 형태로 설치되는 링으로서, 후술될 알림등(70)을 설치하기 위한 지지판이다.
본 발명에서 이러한 설치링(60)의 개구된 중앙홀(61)에는, 중앙홀(61)의 일부를 밀폐하는 막힘판(62)이 형성하여, 제 1현창(21)에서 막힘판(62)으로 가려지지 않은 부위를 통해서 격실(R) 내부를 확인하도록 한다.
상기 알림등(70)은 전술된 제 1, 2현창(21, 22) 중 어느 하나의 테두리에 다수개가 원형태로 배치되어, 수위센서(50)를 통한 누수감지시, 사전설정된 다수개의 색상(ex: 적색, 녹색, 파란색, 황색, 보라색)이 순차적으로 발광되는 반복작동으로 격실(R) 외부에 누수, 누유를 경고하는 시각적 알림장치이다. 고휘도 LED가 사용될 수 있음이다.
상기 경보장치(80)는 외부갑판 또는 계류지원정에 설치되어, 수위센서(50)를 통한 누수감지시, 외부에 사전설정 데시벨(ex: 55 ~ 75db, 바람직하게는 65db)의 경고음을 발생시키는 청각적 알림장치이다.
상기 컨트롤 박스(90)는 계류지원정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전술된 전조등부(40), 수위센서(50), 알림등(70), 경보장치(80)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이러한 전조등부(40), 수위센서(50), 알림등(70), 경보장치(80)가 24시간 자동으로 작동되도록 하는 자동모드 및 상기 전조등부(40), 수위센서(50), 알림등(70), 경보장치(80)가 수동으로 작동되도록 하거나, 상기 전조등부(40), 수위센서(50), 알림등(70), 경보장치(80) 중 일부만 선택하여 작동시키는 수동모드의 전환이 가능토록 하는 작동스위치가 구비되어 있도록 한 것이다.
전술된 바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계류지원정 침수방지용 현창맨홀(100)'은 갑판에서부터 격실(R) 내부를 향해 수직으로 설치되어, 격실(R) 내부를 외부에서 수직으로 식별가능토록 하는 수직 현창맨홀(100A)의 제 1경우로 설명하였지만,
격실(R)과 격실(R) 사이를 구획하는 구획벽(W)에 수평으로 설치되어, 격실(R) 상호간의 내부를 수평으로 식별가능토록 하는 수평 현창맨홀(100B)의 제 2경우로도 사용이 가능하기에, 상기 제 1경우(수직 현창맨홀(100A))와 제 2경우(수평 현창맨홀(100B)) 중 하나가 선택되어 사용되거나, 제 1, 2경우가 모두 사용하는 등 사용상 제한을 두지 않는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0: 맨홀부 11: 설치공
12: 맨홀몸체 13: 맨홀커버
14: 당김손잡이 20: 현창부
21: 제 1현창 22: 제 2현창
23: 상부커버 24: 관통장공
31: 제 1패킹부 32: 제 2패킹부
40: 전조등부 50: 수위센서
60: 설치링 61: 중앙홀
62: 막힘판 70: 알림등
80: 경보장치 90: 컨트롤 박스
100: 현창맨홀 100A: 수직 현창맨홀
100B: 수평 현창맨홀
R: 격실 W: 구획벽

Claims (4)

  1. 계류지원정에 천공형성된 설치공(11)을 통해, 외부갑판에서부터 내부의 격실(R) 천장을 향해 삽입되어, 일단이 격실(R) 천장으로 노출되는 맨홀몸체(12)와, 상기 맨홀몸체(12)의 타단 외주연에 연장형성되어 고정수단에 의해 맨홀몸체(12)를 외부갑판에 고정하고, 당김손잡이(14)가 형성되어 있는 맨홀커버(13)로 구성되는 맨홀부(10);
    상기 격실(R) 내부에서 맨홀몸체(12)의 일단을 밀폐하는 제 1현창(21)과, 격실(R) 외부에서 맨홀몸체(12)의 타단을 밀폐하는 제 2현창(22)으로 구성되어, 맨홀부(10)의 개방없이 외부에서 맨홀부(10)를 통해 격실(R) 내부가 식별가능한 광투광도의 투명재질로 형성되며, 제 1, 2현창(21, 22)의 직경은 맨홀몸체(12)보다 큰직경을 가지는 현창부(20);
    상기 제 1현창(21)과 맨홀몸체(12), 제 2현창(22)과 맨홀몸체(12) 사이에 설치되는 제 1, 2패킹부(31, 32);
    상기 제 1, 2현창(21, 22)사이의 맨홀몸체(12) 내주연에서 격실(R)을 향해 각도조절가능하게 설치되어, 야간시 격실(R) 내부의 식별을 가능토록 하는 전조등부(40);
    상기 격실(R) 내벽의 사전설정높이에 설치되어, 격실(R) 내 누수 및 누유를 감지하는 수위센서(50);
    상기 맨홀몸체(12)의 내주연에 링 형태로 설치되되, 개구된 중앙홀(61)에는 중앙홀(61)의 일부를 밀폐하는 막힘판(62)이 형성하여, 제 1현창(21)에서 막힘판(62)으로 가려지지 않은 부위를 통해서 격실(R) 내부를 확인하도록 하는 설치링(60);
    상기 설치링(60)의 상부면에서 설치링(60)의 형상을 따라 다수개가 원형태로 이격배치되어, 수위센서(50)를 통한 누수감지시, 사전설정된 다수개의 색상이 순차적으로 발광되는 반복작동으로 격실(R) 외부에 경고하는 알림등(70);
    상기 수위센서(50)를 통한 누수감지시 외부에 사전설정 데시벨의 경고음을 발생시키는 경보장치(80); 로 구성되어 현창맨홀(100)을 이루며,
    상기 계류지원정에 설치되며,
    상기 전조등부(40), 수위센서(50), 알림등(70), 경보장치(80)가 24시간 자동으로 작동되도록 하는 자동모드 및 상기 전조등부(40), 수위센서(50), 알림등(70), 경보장치(80)가 수동으로 작동되도록 하거나, 상기 전조등부(40), 수위센서(50), 알림등(70), 경보장치(80) 중 일부만 선택하여 작동시키는 수동모드의 전환이 가능토록 하는 작동스위치가 구비되는 컨트롤 박스(90); 가 구비되며,
    상기 현창맨홀(100)은
    갑판에서부터 격실(R) 내부를 향해 수직으로 설치되어, 격실(R) 내부를 외부에서 수직으로 식별가능토록 하는 수직 현창맨홀(100A)로 사용되는 제 1경우와,
    격실(R)과 격실(R) 사이를 구획하는 구획벽(W)에 수평으로 설치되어, 격실(R) 상호간의 내부를 수평으로 식별가능토록 하는 수평 현창맨홀(100B)로 사용되는 제 2경우로 구성되어, 상기 제 1, 2경우 중 하나가 선택되어 사용되거나, 제 1, 2경우가 모두 사용되며,
    상기 제 2현창(22)은
    상기 제 2현창(22)의 외곽을 링형태로 감싸는 형태로 형성되어, 제 2현창(22) 외주연의 파손 및 손상을 방지하도록 하는 상부커버(23)가 구비되되,
    상기 상부커버(23)는 테두리에 다수의 관통장공(24)이 원주방향으로 이격형성되어, 알림등(70)의 빛이 관통장공(24)을 통해 제 2현창(22)의 테두리로도 발산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류지원정 침수방지용 현창맨홀.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1020220022356A 2022-02-21 2022-02-21 계류지원정 침수방지용 현창맨홀 KR1026629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22356A KR102662913B1 (ko) 2022-02-21 2022-02-21 계류지원정 침수방지용 현창맨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22356A KR102662913B1 (ko) 2022-02-21 2022-02-21 계류지원정 침수방지용 현창맨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25585A KR20230125585A (ko) 2023-08-29
KR102662913B1 true KR102662913B1 (ko) 2024-05-03

Family

ID=878026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22356A KR102662913B1 (ko) 2022-02-21 2022-02-21 계류지원정 침수방지용 현창맨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62913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9187Y1 (ko) * 2009-09-07 2010-06-23 박이환 발광 점검창 부착형 밸브
JP2019004644A (ja) * 2017-06-16 2019-01-10 工機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電動作業機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8580B1 (ko) 2008-08-29 2011-04-12 이종현 선박용 맨홀장치
KR200487430Y1 (ko) * 2014-06-12 2018-09-19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선박용 맨홀 커버장치
KR102198937B1 (ko) * 2018-11-07 2021-01-05 김동현 수위 측정을 위한 맨홀유닛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9187Y1 (ko) * 2009-09-07 2010-06-23 박이환 발광 점검창 부착형 밸브
JP2019004644A (ja) * 2017-06-16 2019-01-10 工機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電動作業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25585A (ko) 2023-08-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73894B2 (en) Window housing for use with thru-hull fittings
US5876282A (en) Weather cap
KR102181151B1 (ko) 누수 감지 소화전
KR102662913B1 (ko) 계류지원정 침수방지용 현창맨홀
JP5343696B2 (ja) 流体搬送用ホース
US3868921A (en) Normally vented liquid-storage tank for ships, with closure device for automatically preventing leaking if the ship should sink
JPH07501027A (ja) 液体燃料あふれ防止システム
JPH0516876A (ja) 損傷したタンカからの石油漏れを制御する装置
WO2019208550A1 (ja) 洋上浮体構造物
EP1631488A1 (en) Security valve
KR20150139242A (ko) 선박용 침몰 구조 시스템
US2328014A (en) Fire detecting and extinguishing
KR200192369Y1 (ko) 가스 안전밸브
US6302166B1 (en) Secondary containment cap apparatus for attachment to a primary chlorine container
KR20100040436A (ko) 회수 파이프를 구비하는 선박
NO328367B1 (no) Ventilsammenstilling
JP4872972B2 (ja) マリンホースの流体漏れ検知器
KR20140083951A (ko) 선박의 비상 탈출 구조
CN206187743U (zh) 双层复合油罐渗漏监测井
JP2533372Y2 (ja) スプリンクラー用警報装置
KR101846662B1 (ko) 수중 잠수로봇용 해수유입구 커버장치
CN110816768A (zh) 一种水位指示旋塞装置
CN105905239A (zh) 载人潜水器舱口应急充气围栏
WO2016068721A1 (en) Safety equipment for a manhole.
JP2005239243A (ja) 浮屋根のポンツーン上部の排液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