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62727B1 - 승객 및 루지운송 운용시스템 - Google Patents

승객 및 루지운송 운용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62727B1
KR102662727B1 KR1020210144851A KR20210144851A KR102662727B1 KR 102662727 B1 KR102662727 B1 KR 102662727B1 KR 1020210144851 A KR1020210144851 A KR 1020210144851A KR 20210144851 A KR20210144851 A KR 20210144851A KR 102662727 B1 KR102662727 B1 KR 1026627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uge
unit
track
conveyor
lug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448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60288A (ko
Inventor
최재훈
Original Assignee
삼척루지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척루지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척루지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1448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62727B1/ko
Publication of KR202300602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602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627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627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BRAILWAY SYSTEMS; EQUIPMENT THEREFO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1B12/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B61B7/00 - B61B11/00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BRAILWAY SYSTEMS; EQUIPMENT THEREFO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1B7/00Rope railway systems with suspended flexible tra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37/00Combinations of mechanical conveyors of the same kind, or of different kinds, of interest apart from their application in particular machines or use in particular manufacturing proce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Escalators And Moving Walkway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송체에 탑승한 승객의 입장권으로부터 이용정보를 입수하여 루지 이용객을 미리 선별하고, 트랙 입구에 루지 이용객이 도착함과 동시에 필요한 루지가 도달하게 함으로써 대기시간을 줄일 수 있게 하는 승객 및 루지운송 운용시스템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승객 및 루지운송 운용시스템{Management system for passenger and luges transportation}
본 발명은 최근 레져로 각광받는 루지(luge)를 즐기려는 이용객을 효과적으로 수용하기 위한 수송시스템 운용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출입 승객들의 이용정보를 활용하여 수송체에 연결되는 루지 및 별도 선도로 승객들에게 공급되어야 할 루지의 수를 정확히 예측공급하여 루지 이용객들의 대기 시간을 줄일 수 있게 하는 운용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루지는 승객이 누울 수 있는 썰매에 탑승하여 눈 또는 얼음으로 형성된 트랙을 따라 고지대에서 저지대로 활주하는 동계 스포츠였으나, 최근에는 콘크리트나 아스팔트로 조성된 트랙을 활용하는 방법이 보급되어 이제는 사계절 즐길 수 있는 국민 스포츠가 되고 있다.
승객은 루지 핸들을 당겨 속도를 조절할 수 있으며, 동력없이 빠른 속도로 트랙을 활주할 수 있어 친환경 레저 스포츠이기도 하다.
일반적으로 승객은 저지대 또는 고지대에서 리프트나 곤돌라 등의 수송체에 탑승하여 트랙 입구로 이동하며, 이때 루지는 상기 수송체 하부에 연결되어 동시에 운반되고 있다.
그러나, 선로구조의 허용용량에 따라 정해진 수송체의 크기에 비해 루지의 부피가 커서 탑승하는 승객 수보다 수송체에 수용될 수 있는 루지의 수가 적을 수 밖에 없으며, 이로 인해 먼저 도착한 일부 승객들이 트랩 입구에서 자신의 루지가 도착할 때까지 장시간 대기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한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수송체의 수용 범위를 벗어난 수만큼의 루지를 별도의 루지 운반 선로를 이용하여 트랙 입구까지 운반하는 방법 등이 모색되는 있는 실정이다.
(특허문헌 1) 등록특허공보 제10-1666628(2016.10.10.)
(특허문헌 2) 공개특허공보 特開平7-81551(1995.03.28.)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승객 출입구에서 확인된 승객 정보를 제어부로 전달하고 제어부는 상기 정보를 이용하여 수송체에 탑승하는 승객 중 루지 이용객 수만을 추출한 뒤, 수송체에 연결되는 루지의 수와 별도 선로로 이송되어야 할 루지의 수를 결정하여 빈 루지를 승객이 이용하는 선로와 루지 전용 선로로 각각 분배하는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은 승객 및 루지를 이송시키기 위한 제1수송체; 루지를 이송시키기 위한 제2수송체; 상기 제1수송체와 연결되고 회전하면서 상기 제1수송체를 순환시키며 승객이 승차하는 승차장 및 하차하는 하자장을 포함하는 제1선로; 상기 제1선로와 소정거리 이격되도록 위치하고 상기 제2수송체를 순환시키며 루지가 제2수송체에 탑재되는 루지인입부 및 탈착되는 루지인출부를 포함하는 제2선로; 상기 제1선로의 승차장에 루지를 공급하는 제1컨베이어; 상기 제2선로의 루지인입부에 루지를 공급하는 제2컨베이어; 상기 제1선로의 하차장에 도착한 루지를 승객이 활주를 시작하는 트랙 입구로 공급하는 제3컨베이어; 상기 제2선로의 루지인출부에 도착한 루지를 상기 트랙입구로 공급하는 제4컨베이어; 상기 제3컨베이어 및 제4컨베이어와 입구가 연결되고 상기 제1컨베이어 및 제2컨베이어와 출구가 연결되어 루지에 탑승한 승객이 상기 입구에서 출구 사이를 활주하도록 유도하는 트랙; 상기 제1컨베이어와 제2컨베이어 사이에 위치하고 트랙 출구에 도착한 루지를 제1선로 및 제2선로 분리하여 공급하는 분류부; 상기 제3컨베이어와 제4컨베이어 사이에 위치하고, 제1수송체와 제2수송체에 탑재되어 도착한 루지의 개수를 확인하고 트랙 입구로 공급하는 확인부; 승객이 입장하는 출입구에 설치되며 승객의 입장권으로부터 루지이용여부, 아동해당 여부 등의 이용정보를 수집하는 정보입수부; 상기 이용정보로부터 제1수송체에 탑승한 승객 중 루지 이용객의 수를 연산하고, 상기 루지 이용객의 수와 공급할 루지의 개수를 일치시키도록 상기 분류부와 확인부를 통해 제어하는 제어부로 이루어진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정보입수부는 승객 입장권으로부터 루지이용여부, 아동해당 여부 등의 이용정보를 수집하는 센서부와 상기 이용정보를 제어부로 송신하는 송신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정보입수부의 이용정보를 수신하는 수신부와 이로부터 선로와 루지선로로 각각 이송해야할 빈 루지의 개수를 연산하는 연산제어부 및 상기 연산결과를 분류부와 확인부로 송신하고 처리결과를 수신하는 통신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분류부는 상기 제어부로 연산정보를 수신하는 수신부, 트랙 출구에 대기하는 루지 개수를 파악하는 감지부 및 상기 루지를 제어부 연산결과에 따라 선로와 루지선로로 각각 유도하는 루지 통제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확인부는 상기 제어부로 연산정보를 수신하는 통신부, 상기 연산정보와 확인부에 도착한 루지의 개수가 일치하는지 확인하는 감지부 및 상기 정보와 루지의 개수가 불일치 할 경우 루지의 개수를 조정하는 루지 통제부를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따르는 본 발명의 효과는, 이용객 입장정보로부터 루지 이용객의 수를 파악하여 탑승에 필요한 루지 수를 미리 한정함으로써, 루지 이용객과 루지가 트랙시작점에 동시에 도착하게 할 수 있다. 이로 인해 기존 루지 이용객이 자신의 루지가 도착하는데 소요되던 대기시간을 크게 줄이는 효과가 나타날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수송체에 루지 이용객과 일반 승객을 같이 탑승시켜 만석 상태로 운영함으로써 수송체 운용 효율도 크게 제고될 것이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종래 8인승 곤돌라에 4개 루지만 장착되는 것을 나타낸 그림이다.
도 2는 종래 곤돌라 선로만으로 루지를 운반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발명의 운영 시스템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4는 본발명에서 수송체에 탑재할 수 있는 루지의 개수와 루지 이용객의 수가 같을 경우 시스템의 작동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5는 본발명에서 수송체에 탑재할 수 있는 루지의 개수보다 루지 이용객의 수가 적을 경우 시스템의 작동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6은 본발명에서 수송체에 탑재할 수 있는 루지의 개수보다 루지 이용객의 수가 많을 경우 시스템의 작동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따라서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접속, 접촉, 결합)"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구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승객 및 루지운송 운용시스템을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종래 승객과 루지를 운송하는 곤돌라 시스템에서 8인승인 곤돌라 캐빈 내에 승객이 1명밖에 탑승하지 않았음에도 4개의 루지가 연결되어 운영되고 있는 비효율적인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반대로 곤도라에 4명 이상 탑승할 경우 상시 4개의 루지가 연결되므로, 초과하는 승객분의 루지는 다음편 곤돌라로 이송하게 해야한다. 이러한 현상은 도2와 같이 1개의 선로만을 사용하여 곤돌라, 리프트 등 수송체로 승객과 루지를 이송하고 있고, 선로구조에 따라 규격화된 수송체의 크기에 비해 연결할 루지의 부피가 커서 탑승하는 승객 수보다 수송체에 수용될 수 있는 루지의 개수가 적은 구조적 문제에 기인한다.
즉, 종래의 방법으로는 곤돌라 탑승 승객 중 루지 이용객의 수와 곤돌라에 연결된 루지 개수가 일치하지 않는 이상, 불필요한 루지의 이송으로 인한 비용 증가 또는 트랙 입구에서 루지 이용객의 대기시간 발생을 막을 수 없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도3와 같이 승객 및 루지(160)를 이송시키기 위한 제1수송체(150); 루지(260)만을 이송시키기 위한 제2수송체(250); 상기 제1수송체와 연결되고 회전하면서 상기 제1수송체를 순환시키며 승객이 승차하는 승차장(130) 및 하차하는 하자장(140)을 포함하는 제1선로(110, 120); 상기 제1선로와 소정거리 이격되도록 위치하고 상기 제2수송체를 순환시키며 루지가 제2수송체에 탑재되는 루지인입부(230) 및 탈착되는 루지인출부(240)를 포함하는 제2선로(210, 220); 상기 제1선로의 승차장에 루지를 공급하는 제1컨베이어(800); 상기 제2선로의 루지인입부에 루지를 공급하는 제2컨베이어(810); 상기 제1선로의 하차장에 도착한 루지(160)를 승객이 활주를 시작하는 트랙 입구로 공급하는 제3컨베이어(820); 상기 제2선로의 루지인출부에 도착한 루지(260)를 상기 트랙입구로 공급하는 제4컨베이어(830); 상기 제3컨베이어 및 제4컨베이어와 입구(840)가 연결되고 상기 제1컨베이어(800) 및 제2컨베이어(810)와 출구가 연결되어 루지(160, 260)에 탑승한 승객이 상기 입구에서 출구 사이를 활주하도록 유도하는 트랙(900); 상기 제1컨베이어(800)와 제2컨베이어(810) 사이에 위치하고 트랙 출구에 도착한 루지(160, 260)를 제1선로 및 제2선로 분리하여 공급하는 분류부(600); 상기 제3컨베이어와 제4컨베이어 사이에 위치하고, 제1수송체와 제2수송체에 탑재되어 도착한 루지(160, 260)의 개수를 확인하고 트랙 입구로 공급하는 확인부(700); 승객이 입장하는 출입구에 설치되며 승객의 입장권으로부터 루지이용여부, 아동해당 여부 등의 이용정보를 수집하는 정보입수부(400); 상기 이용정보로부터 제1수송체에 탑승한 승객 중 루지 이용객의 수를 연산하고, 상기 루지이용객의 수와 공급할 루지의 개수를 일치시키도록 상기 분류부와 확인부를 통해 제어하는 제어부(500)로 이루어진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정보입수부는 승객 입장권으로부터 루지이용여부, 아동해당 여부 등의 이용정보를 수집하는 센서부(410)와 상기 이용정보를 제어부로 송신하는 송신부(42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정보입수부의 이용정보를 수신하는 수신부(510)와 이로부터 선로와 루지선로로 각각 이송해야할 빈 루지의 개수를 연산하는 연산제어부(520) 및 상기 연산결과를 분류부와 확인부로 송신하고 처리결과를 수신하는 통신부(53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분류부는 상기 제어부로 연산정보를 수신하는 수신부(610), 트랙 출구에 대기하는 루지 개수를 파악하는 감지부(620) 및 상기 루지를 제어부 연산결과에 따라 선로와 루지선로로 각각 유도하는 루지 통제부(63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확인부는 상기 제어부로 연산정보를 수신하는 통신부(720), 상기 연산정보와 확인부에 도착한 루지의 개수가 일치하는지 확인하는 감지부(710) 및 상기 정보와 루지의 개수가 불일치 할 경우 루지의 개수를 조정하는 루지 통제부(730)를 포함한다.
1. 제1 실시예: 루지 이용객 수와 제1수송체 탑재 루지개수와 같은 경우
도3은 출입구에 배치된 정보입수부에서 승객 입장권으로부터 루지이용여부, 아동해당 여부 등의 이용정보를 센서부(410)로 수집하고 이를 송신부(420)에서 인터넷 등 다양한 전달매체(310)를 통해 제어부의 수신부(510)로 전달하고, 수신부(510)는 상기 정보를 연산제어부(520)로 보내 연산한 결과 루지 이용객 수가 제1수송체로 이송할 수 있는 루지(160) 수와 같은 경우의 시스템 작동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 경우 루지 이용객은 제1수송체에 탑재할 수 있는 루지(160)만으로 대기 시간없이 트랙 입구에서 바로 루지를 탑승할 수 있으므로, 제어부는 분류부와 확인부에 연산결과를 보낼 필요가 없고, 분류부는 제1수송체로 이송할 수 있는 개수만큼의 루지(160)를 제1컨베이어(800)를 통해 승객승차장에 공급한다.
2. 제2 실시예: 루지 이용객 수가 제1수송체 탑재 루지개수보다 작을 경우
도4은 출입구에 배치된 정보입수부에서 승객 입장권으로부터 루지인용여부, 아동해당 여부 등의 이용정보를 센서부(410)로 수집하고 이를 송신부(420)에서 인터넷 등 다양한 전달매체(310)를 통해 제어부의 수신부(510)로 전달하고, 수신부(510)는 상기 정보를 연산제어부(520)로 보내 연산한 결과 루지 이용객 수가 제1수송체로 이송할 수 있는 루지(160) 수보다 적을 경우의 시스템 작동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 경우 루지 이용객 수보다 많은 루지를 제1수송체로 이송하지 않기 위해 연산제어부(520)의 연산결과를 통신부(530)에서 분류부의 수신부(610)로 보내고, 수신부는 이를 다시 감지부(620)에 보내 필요한 루지 개수만 선별하면 루지통제부(630)는 선별된 루지(160)를 제1컨베이어(800)을 통해 승차장에 공급한다. 이때, 제2선로(210, 220)에는 루지(260)를 공급할 필요가 없으므로, 확인부에는 연산정보를 전달하지 않는다.
3. 제3 실시예: 루지 이용객 수가 제1수송체 탑재 루지개수보다 많을 경우
도4은 출입구에 배치된 정보입수부에서 승객 입장권으로부터 루지인용여부, 아동해당 여부 등의 이용정보를 센서부(410)로 수집하고 이를 송신부(420)에서 인터넷 등 다양한 전달매체(310)를 통해 제어부의 수신부(510)로 전달하고, 수신부(510)는 상기 정보를 연산제어부(520)로 보내 연산한 결과 루지 이용객 수가 제1수송체로 이송할 수 있는 루지(160) 수보다 많을 경우의 시스템 작동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 경우 제1수송체로 이송할 수 있는 루지 개수를 초과하는 개수만큼의 루지(260)를 제2선로(210, 220)를 통해 트랙 입구까지 이송하기 위해 연산제어부(520)의 연산결과를 통신부(530)에서 분류부의 수신부(610)로 보내고, 수신부는 이를 다시 감지부(620)에 보내 제2선로에 투입할 루지 개수를 선별하면, 루지통제부(630)는 제1수송체로 이송할 수 있는 루지(160)와 제2선로로 투입할 루지(160)를 구분하여 각각 제1컨베이어(800)와 제2컨베이어(810)을 통해 승차장과 루지인입부로 공급한다.
4. 제4 실시예: 루지 이용객 중 아동이 포함되어 있을 경우
도면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출입구에 배치된 정보입수부에서 승객 입장권으로부터 루지인용여부, 아동해당 여부 등의 이용정보를 센서부(410)로 수집하고 이를 송신부(420)에서 인터넷 등 다양한 전달매체(310)를 통해 제어부의 수신부(510)로 전달하고, 수신부(510)는 상기 정보를 연산제어부(520)로 보내 연산한 결과 루지 이용객 중 루지 단독 탑승이 곤란한 아동이 포함되어 있을 경우 아동과 아동보호자를 1명으로 묶어 연산처리하여 루지 이용객 수를 연산하고, 이후의 시스템 운용과정은 상기 설명한 실시예들과 같다.
5. 제5 실시예: 승객이 트랙입구에서 바로 탑승하는 경우
출입구가 트랙입구(840)와 근접할 경우 승객은 트랙입구로 바로 진입할 수 있으며, 이때 승객과 루지의 운용시스템은 전술한 실시예들과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된다.
6. 제6 실시예: 운영자가 루지 운송개수를 조정하는 경우
전술한 실시예로 명시한 것과 같이 제1수송체 및 제2수송체로 이송되는 루지의 수는 승객 입장권으로부터 파악한 이용정보에 의해 자동으로 조정되는 것이나, 시스템 운영자는 필요시 제어부의 수신부로부터 받은 이용정보를 바탕으로 제1수송체 및 제2수송체로 이송할 루지 수를 결정할 수 있다.
즉, 도면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제어부는 정보입수부의 이용정보를 받는 수신부와, 상기 이용정보를 시스템 운영자에게 보여주는 디스플레이부 및 시스템 이용자가 제1선로 및 제2선로로 공급할 루지의 수를 분류부와 확인부로 송신하고, 처리 결과를 수신받는 통신부로 구성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승객 및 루지를 함께 수송하는 제1수송체와 루지만을 수송하는 제2수송체가 연계되어 순환 이동하는 선로 시스템
110, 120: 제1선로
130: 승객 승차장
140: 승객 하차장
150: 제1수송체
160: 제1수송체로 이송되는 루지
210, 220: 제2선로
230: 루지인입부
240: 루지인출부
250: 제2수송체
260: 제2수송체로 이송되는 루지
310: 인터넷 등 전달매체
400: 정보입수부
410: 센서부
420: 송신부
500: 제어부
510: 수신부
520: 연산제어부
530: 통신부
600: 분류부
610: 수신부
620: 감지부
630: 루지통제부
700: 확인부
710: 감지부
720: 통신부
730: 루지통제부
800: 제1컨베이어
810: 제2컨베이어
820: 제3컨베이어
830: 제4컨베이어
840: 트랙 입구
900: 루지 이용객이 루지 탑승하여 활주하는 트랙

Claims (7)

  1. 승객 및 루지를 이송시키기 위한 제1수송체;
    루지만을 이송시키기 위한 제2수송체;
    상기 제1수송체와 연결되고 회전하면서 상기 제1수송체를 순환시키며 승객이 승차하는 승차장 및 하차하는 하자장을 포함하는 제1선로;
    상기 제1선로와 소정거리 이격되도록 위치하고 상기 제2수송체를 순환시키며 루지가 제2수송체에 탑재되는 루지인입부 및 탈착되는 루지인출부를 포함하는 제2선로;
    상기 제1선로의 승차장에 루지를 공급하는 제1컨베이어;
    상기 제2선로의 루지인입부에 루지를 공급하는 제2컨베이어;
    상기 제1선로의 하차장에 도착한 루지를 승객이 활주를 시작하는 트랙입구로 공급하는 제3컨베이어;
    상기 제2선로의 루지인출부에 도착한 루지를 상기 트랙입구로 공급하는 제4컨베이어;
    상기 제3컨베이어 및 제4컨베이어와 입구가 연결되고 상기 제1컨베이어 및 제2컨베이어와 출구가 연결되어 루지에 탑승한 승객이 상기 입구에서 출구 사이를 활주하도록 유도하는 트랙;
    상기 제1컨베이어와 제2컨베이어 사이에 위치하고 트랙 출구에 도착한 루지를 제1선로 및 제2선로로 분리하여 공급하는 분류부;
    상기 제3컨베이어와 제4컨베이어 사이에 위치하고, 제1수송체와 제2수송체에 탑재되어 도착한 루지의 개수를 확인하고 트랙 입구로 공급하는 확인부;
    승객이 입장하는 출입구에 설치되며 승객의 입장권으로부터 루지이용여부 및 아동해당 여부에 관한 이용정보를 수집하는 정보입수부;
    상기 이용정보로부터 제1수송체에 탑승한 승객 중 루지 이용객의 수를 연산하고, 상기 루지 이용객의 수와 공급할 루지의 개수를 일치시키도록 상기 분류부와 확인부를 통해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객 및 루지운송 운용시스템.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입수부는,
    입장권 정보를 입수하는 센서부와 상기 정보를 제어부로 송신하는 송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객 및 루지운송 운용시스템.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정보입수부의 이용정보를 받는 수신부;
    상기 이용정보를 통해 제1선로 및 제2선로에 공급할 루지의 수를 연산하여 연산정보를 생성하는 연산제어부;
    상기 연산정보를 분류부와 확인부로 송신하고, 처리 결과를 수신받는 통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객 및 루지운송 운용시스템.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분류부는,
    상기 제어부의 연산정보를 수신하는 수신부;
    트랙 입구의 루지 개수를 확인하는 감지부;
    상기 연산정보에 따라 루지를 제1선로 및 제2선로로 분리하여 공급하는 루지통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객 및 루지운송 운용시스템.
  5.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확인부는,
    상기 하차장 및 루지인출부의 루지 개수를 확인하는 감지부;
    상기 감지부의 감지결과를 제어부로 보내고 연산정보를 수신하는 통신부;
    제어부의 연산정보에 따라 루지를 트랙 입구에 루지를 선별공급하는 루지통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객 및 루지운송 운용시스템.
  6. 제1 항에 있어서,
    승객은 출입구를 통해 상기 트랙 입구로 진입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객 및 루지운송 운용시스템.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정보입수부의 이용정보를 받는 수신부;
    상기 이용정보를 시스템 이용자에게 보여주는 디스플레이부;
    시스템 운용자가 제1선로 및 제2선로로 공급할 루지의 수를 분류부와 확인부로 송신하고, 처리 결과를 수신받는 통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객 및 루지운송 운용시스템.


KR1020210144851A 2021-10-27 2021-10-27 승객 및 루지운송 운용시스템 KR1026627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44851A KR102662727B1 (ko) 2021-10-27 2021-10-27 승객 및 루지운송 운용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44851A KR102662727B1 (ko) 2021-10-27 2021-10-27 승객 및 루지운송 운용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60288A KR20230060288A (ko) 2023-05-04
KR102662727B1 true KR102662727B1 (ko) 2024-05-03

Family

ID=863797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44851A KR102662727B1 (ko) 2021-10-27 2021-10-27 승객 및 루지운송 운용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62727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35978A (ja) 1998-10-01 2000-05-16 Konrad Doppelmayr & Sohn Mas Fab Gmbh & Co Kg 椅子式リフト装置
US20120312187A1 (en) 2011-06-08 2012-12-13 Leonard Nelson Snow sled towing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82490A (ko) * 2009-01-09 2010-07-19 농업회사법인 유한회사 들꽃수목원 사계절 사용이 가능한 레일 썰매 및 그것을 이용한 레일 장치
KR102169241B1 (ko) * 2019-04-12 2020-10-23 주식회사 에이케이레저 롤러썰매용 후크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35978A (ja) 1998-10-01 2000-05-16 Konrad Doppelmayr & Sohn Mas Fab Gmbh & Co Kg 椅子式リフト装置
US20120312187A1 (en) 2011-06-08 2012-12-13 Leonard Nelson Snow sled towing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60288A (ko) 2023-05-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427601B2 (en) Installation for conveying persons
US4050385A (en) High capacity passenger transport apparatus
CN105189291B (zh) 用于处理分拣物品的设备
CN100410117C (zh) 操纵空中索道系统的方法
KR20150105303A (ko) 무궤도 차량의 승하차 및 노선 관리방법 및 이를 이용한 시스템
US2756686A (en) Transportation apparatus
US20180057028A1 (en) High Speed Train System
KR102662727B1 (ko) 승객 및 루지운송 운용시스템
JPH11502170A (ja) 2つの搭乗地域を備えた運搬装置
JPH0466746B2 (ko)
US20100307368A1 (en) Motion connection parallel transit
US11377127B2 (en) Station for a cable transportation system, cable transportation system comprising such station and method for operating such cable transportation system
US7832543B2 (en) Travelator system
KR20140003791A (ko) 차량 수직이송장치 및 방법
CN106743468A (zh) 一种用于民航客机的登机随身行李传送排序装置
JPH10157700A (ja) 空港の管制
KR101502565B1 (ko) 추진장치를 이용한 prt 차량 수직이송장치
JP3157264B2 (ja) 自動循環式索道における搬器の一時停止運行方法
KR20140048475A (ko) 차량 수직이송장치
JP4101326B2 (ja) 自動循環式索道の二箇所並列乗車装置
JPH05254426A (ja) 自動循環式索道搬器の一時停止運行方法
JP2683645B2 (ja) 自動循環式索道の異種搬器切換運行方法
US5893329A (en) System for the transportation of persons and/or of goods
CN111806469B (zh) 一种铁路交通系统
JPH07110691B2 (ja) 大空港において手荷物を構内で搬送する方法および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