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60665B1 - 콩 파종기 - Google Patents

콩 파종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60665B1
KR102660665B1 KR1020210032036A KR20210032036A KR102660665B1 KR 102660665 B1 KR102660665 B1 KR 102660665B1 KR 1020210032036 A KR1020210032036 A KR 1020210032036A KR 20210032036 A KR20210032036 A KR 20210032036A KR 102660665 B1 KR102660665 B1 KR 1026606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compaction
unit
ridge
compaction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320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27576A (ko
Inventor
김밝음
Original Assignee
김밝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밝음 filed Critical 김밝음
Priority to KR10202100320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60665B1/ko
Publication of KR202201275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275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606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606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7/00Sowing
    • A01C7/18Machines for depositing quantities of seed at interva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19/00Arrangements for driving working parts of fertilisers or seeders
    • A01C19/02Arrangements for driving working parts of fertilisers or seeders by a motor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5/00Making or covering furrows or holes for sowing, planting or manuring
    • A01C5/06Machines for making or covering drills or furrows for sowing or planting
    • A01C5/062Devices for making drills or furrows
    • A01C5/064Devices for making drills or furrows with rotating too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7/00Sowing
    • A01C7/20Parts of seeders for conducting and depositing seed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oi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Developing Agents For Electrophotography (AREA)
  • Transition And Organic Metals Composition Catalysts For Addition Polymerization (AREA)
  • Soil Working Imp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콩 파종기에 두둑 성형기가 좌우에 구성되는 콩 파종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서, 앵글로 된 프레임(10)과, 상기 프레임(10)의 전후방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바퀴(20)와, 상기 프레임(10)의 일측에 수평으로 장착되며, 모터에 의한 구동력에 의해 두둑에 일정한 간격으로 콩을 파종하는 파종부(30)와, 상기 프레임(10)의 소정위치에 장착되며, 한 쌍의 다짐판부(42)가 두둑의 경사면을 타고 굴러갈 수 있도록 경사지게 설치되는 다짐부(40)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콩 파종기{A Sower}
본 발명은 콩 파종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두둑 성형기를 갖는 콩 파종기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콩은 파종시기가 다른 작물에 비해 늦은 편이라 이모작 농법으로 재배된다. 이때, 기존의 콩의 파종작업은 경운 후 괭이로 골을 타거나 홈을 파고 파종한 후 괭이나 레이크 등으로 복토하는 주로 인력에 의한 것으로서 파종에 소요되는 노력이 많이 들고 고역작업이다. 또한 콩의 파종작업은 파종시기가 이앙시기와 경합되어 파종적기를 놓치는 경우가 많다. 이때를 넘기면 파종기가 지연됨에 따라 생육일수가 단축되어 수량의 감소를 가져오게 되며, 또한 인력 파종시 정밀파종이 곤란한 어려움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최근에는 콩을 재배하고 있는 밭을 일정한 간격이 유지되는 골과 두둑으로 구비하고, 골을 따라 이동하면서 콩을 자동으로 파종할 수 있도록 하는 파종기를 통해 두둑 위에 콩이 원활하게 자랄 수 있도록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며 콩을 파종한다. 파종기를 통한 콩의 파종작업은 콩 파종에 소요되는 시간과 인력을 절감함과 더불어 균일한 간격으로 콩을 파종하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기존의 콩 파종기는 파종 작업을 하기 위해서는 경운을 두세 차례 거쳐야 파종 작업이 가능하고, 작토의 상태가 스펀지처럼 수분을 흡수하기 좋아 잦은 강우 시 습해의 위험이 큰 문제점이 있다. 이에 따라, 콩 파종기 사용 전에 두둑 성형기를 이용하여 두둑을 성형한 후 콩 파종 작업을 하고 있다.
이는 밭두렁 형성 후 다시 두둑 성형 작업을 하는 기간이 길어서, 잡초 발생이 많아짐에 따라, 밭두렁 조성기로 논두렁을 형성 후에 제초제 처리를 하고, 이후 두둑 형성 후 다시 제초제 처리를 수행한 후 콩 파종 작업을 수행해야 함으로써, 노동력 및 생산비의 증가를 발생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특허출원번호 제10-2005-64264호 (출원일자 2005.07.15.)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42519호 (등록일자 2008.11.07.)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콩 파종기에 두둑 성형기가 좌우에 구성되는 콩 파종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두둑 성형기를 통해 콩 파종 시 두둑을 매끈하게 다져지도록 성형할 수 있어 제초기 처리층이 잘만들어지고, 비가올 때 두둑에 물의 흡수가 거의 안되는 콩 파종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콩 파종 작업과 두둑 성형 작업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으며, 논갈이나 로터리 작업을 하지 않고 바로 콩 파종 작업을 할 수 있는 콩 파종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콩 파종시 제초제 사용횟수를 줄여 제초작업의 번거로움을 해소할 수 있는 콩 파종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이해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콩 파종기의 특징은 앵글로 된 프레임(10)과, 상기 프레임(10)의 전후방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바퀴(20)와, 상기 프레임(10)의 일측에 수평으로 장착되며, 모터에 의한 구동력에 의해 두둑에 일정한 간격으로 콩을 파종하는 파종부(30)와, 상기 프레임(10)의 소정위치에 장착되며, 한 쌍의 다짐판부(42)가 두둑의 경사면을 타고 굴러갈 수 있도록 경사지게 설치되는 다짐부(40)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파종부(30)는 종자를 다량 공급하도록 된 호퍼(31)와, 상기 호퍼(31)로부터 일정 수량의 종자를 균일하게 지면에 파종하는 파종휠(32)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다짐부(40)는 밭두렁의 측면과 상면을 가압하여 성형하는 구성으로, 외측으로 갈수록 직경이 넓어지는 콘 형상의 측면 성형부(42)와, 상기 측면 성형부(42)의 중앙부에서 측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프레임(10)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된 원통형의 상면 성형부(41)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다짐부(40)는 유압에 의해 작동되는 유압모터를 이용하여 구동축이 상기 다짐부(40)의 상면 성형부(41)에 연결되어 다짐부(40)를 좌우로 이동시키는 좌우 이동부(43)와, 유압에 의해 작동되는 유압모터를 이용하여 구동축이 상기 다짐부(40)의 상면 성형부(41)에 연결되어 다짐부(40)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상하 이동부(4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콩 파종기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두둑 성형기를 통해 콩 파종 시 두둑을 매끈하게 다져지도록 성형할 수 있어 제초기 처리층이 잘만들어지고, 비가올 때 두둑에 물의 흡수가 거의 안되는 효과가 있다.
둘째, 콩 파종기에 두둑 성형기가 좌우에 구성되는 콩 파종기를 제공하여 콩 파종 작업과 두둑 성형 작업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으며, 논갈이나 로터리 작업을 하지 않고 바로 콩 파종 작업을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셋째, 콩 파종 작업과 두둑 성형 작업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어, 밭두령을 형성 후에 발생되는 잡초로 인해 제초제 처리를 추가로 처리해야 하는 추가 제초작업의 번거로움을 해소할 수 있다.
넷째, 콩 파종시 제초제 사용횟수를 줄여 제초제의 사용량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어 노동력 및 생산비 절감의 효과가 있다.
상술한 효과와 더불어 본 발명의 구체적인 효과는 이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사항을 설명하면서 함께 기술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콩 파종기의 구성을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3은 다짐부의 상면 성형부 및 측면 성형부가 콩 파종을 위한 두둑과 밀착되어 성형되는 구성을 나타낸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특성 및 이점들은 첨부한 도면을 참조한 실시예들의 상세한 설명을 통해 명백해질 것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콩 파종기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에서 구성요소의 "상부 (또는 하부)" 또는 구성요소의 "상 (또는 하)"에 임의의 구성이 배치된다는 것은, 임의의 구성이 상기 구성요소의 상면 (또는 하면)에 접하여 배치되는 것뿐만 아니라, 상기 구성요소와 상기 구성요소 상에 (또는 하에) 배치된 임의의 구성 사이에 다른 구성이 개재될 수 있음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상기 구성요소들은 서로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요소 사이에 다른 구성요소가 "개재"되거나, 각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를 통해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콩 파종기의 구성을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콩 파종기는 일 실시예에 따른 것이고, 그 구성요소들이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 일부 구성요소가 부가, 변경 또는 삭제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에서 도시하고 있는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콩 파종기는 앵글로 된 프레임(10)과, 상기 프레임(10)의 전후방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바퀴(20)와, 상기 프레임(10)의 일측에 수평으로 장착되며, 모터에 의한 구동력에 의해 두둑에 일정한 간격으로 콩을 파종하는 파종부(30)와, 상기 프레임(10)의 소정위치에 장착되며, 한 쌍의 다짐판부(42)가 두둑의 경사면을 타고 굴러갈 수 있도록 경사지게 설치되는 다짐부(40)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프레임(10)의 후방에 설치되어 상기 바퀴(20) 및 다짐부(40)의 회동 및 구동시키는 구동기구(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파종부(30)는 두둑에 직접적으로 콩을 파종하는 구성으로서, 크게 종자를 다량 공급하도록 된 호퍼(31)와, 상기 호퍼(31)로부터 일정 수량의 종자를 균일하게 지면에 파종하는 파종휠(32)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파종휠(32)은 외주면에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여 방사상으로 종자 토출부와 회전시 미끄러짐을 예방하는 미끄럼 방지돌부를 돌출 형성하되, 상기 종자 토출부는 일측에 스프링에 의해 항상 닫치는 방향으로 작용하는 개폐판을 장착하여 개폐판 개방용 가이드에 의해 개폐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개폐판 개방용 가이드는 연결편을 이용하여 상기 호퍼(31) 측벽에 연결 장착하되 항상 종자토출부가 지면과 가까운 위치로 올 때 개폐판이 개방되도록 위치시킬 수 있다. 다만, 상기 파종부(30)의 구성은 하나의 실시예로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다짐부(40)는 밭두렁의 측면과 상면을 가압하여 성형하는 구성으로, 외측으로 갈수록 직경이 넓어지는 콘 형상의 측면 성형부(42)와, 상기 측면 성형부(42)의 중앙부에서 측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프레임(10)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된 원통형의 상면 성형부(4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다짐부(40)는 유압에 의해 작동되는 유압모터를 이용하여 구동축이 상기 다짐부(40)의 상면 성형부(41)에 연결되어 다짐부(40)를 좌우로 이동시키는 좌우 이동부(43)와, 유압에 의해 작동되는 유압모터를 이용하여 구동축이 상기 다짐부(40)의 상면 성형부(41)에 연결되어 다짐부(40)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상하 이동부(44)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좌우 이동부(43)는 상기 프레임(10)의 일측에 좌우방향으로 연결된 파이프 형태의 인입출바가 구비되고, 상기 상면 성형부(41)의 내측으로 상기 인입출바가 인입출 가능하게 결합되는 인입 가이드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상하 이동부(44)는 상기 프레임(10)의 일측에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파이프 형태의 승강 가이드가 구비되고, 상기 승강 가이드에는 승강바가 승강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구동기구(50)는 상기 프레임(10)의 후방에 설치되어 상기 바퀴(20) 및 다짐부(40)의 회동 및 구동시킬 수 있다.
예로서, 상기 구동기구(50)는 회동되도록 손잡이가 설치되고, 손잡이의 작동에 의해 바퀴(20)가 좌우방향 전환되도록 연계되는 체인과 체인기어가 구비되는 조향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동기구(50)는 손잡이 상에 설치되는 제어박스의 조작에 의해 바퀴(20)를 정/역회전 혹은 정지 작동이 제어되는 동력을 제공하는 동력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동기구(50)는 콩 파종기의 전후 진행 방향 및 이송속도에 대응하여 파종부(30) 및 다짐부(40)의 회전 및 회전속을 제어하는 제어부 및 파종부(30) 및 다짐부(40)의 구동을 위한 전원을 제공하는 배터리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콩 파종기의 동작을 설며하면 다음과 같다. 이때, 도 1 또는 도 2와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동일한 부재를 지칭한다.
일정한 간격이 유지되는 골과 두둑에 콩 파종기를 위치시킨 후, 구동기구(50)의 제어를 통해, 다짐부(40)의 좌우 이동부(43) 및 상하 이동부(44)를 이용하여 적절히 승강 및 좌우 너비를 조절하여 도 3에서 도시하고 있는 것과 같이, 콩 파종을 위한 두둑의 상부면에 상면 성형부(41) 및 측면 성형부(42)를 밀착시킨다.
이때, 상기 다짐부(40)을 적절히 승강시킴으로써, 두둑을 적절한 높이로 성형할 수 있어, 두둑을 가압하여 성형할 수 있음으로, 두둑을 정확하고 강성하게 성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특히, 상기 다짐부(40)에는 유압모터가 직접 연결되어, 다짐부(40)를 구동시키는 구동장치의 구조가 매우 간단할 뿐 아니라, 상기 다짐부(40)가 승강 구동기구(60)에 의해 승강 및 좌우 이동됨으로, 작업자가 상기 다짐부(40)를 승강 및 좌우 이동시켜 두렁이 적절히 성형되도록 조절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후, 두둑의 방향을 따라 콩 파종기를 이동시키면, 파종휠(32)의 회전운동을 통해 호퍼(31)에 담겨진 종자콩이 파종휠(32)의 종자토출부로 이동되어 두둑 위로 떨어져 파종된다. 이때, 파종휠(32)에 의해 파종홈이 발생되고, 발생된 파종홈으로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며 콩이 파종된다.
삭제
이처럼, 콩 파종기는 양측에 구성되어 두둑 성형 작업을 제공하는 다짐부(40)를 통해 콩 파종 시 두둑을 매끈하게 다져지도록 성형할 수 있어 제초기 처리층이 잘만들어지고, 비가올 때 두둑에 물의 흡수가 거의 안된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콩 파종 작업과 두둑 성형 작업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으며, 논갈이나 로터리 작업을 하지 않고 바로 콩 파종 작업을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러한 콩 파종기의 동작을 통해 밭두령을 형성 후에 발생되는 잡초로 인해 제초제 처리를 추가로 처리해야 하는 추가 제초작업의 번거로움을 해소할 수 있다. 이는 콩 파종시 제초제 사용횟수를 줄여 제초제의 사용량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어 노동력 및 생산비 절감의 효과가 있다.
한편, 개시된 실시예에서 인용하는 공개 문헌, 특허 출원, 특허 등을 포함하는 모든 문헌들은 각 인용 문헌이 개별적으로 및 구체적으로 병합하여 나타내는 것 또는 게시된 실시예에서 전체적으로 병합하여 나타낸 것과 동일하게 개시된 실시예에 병합될 수 있다.
개시된 실시예의 이해를 위하여, 도면에 도시된 바람직한 실시예들에서 참조 부호를 기재하였으며, 개시된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하여 특정 용어들을 사용하였으나, 특정 용어에 의해 개시된 실시예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개시된 실시예들은 당업자에 있어서 통상적으로 생각할 수 있는 모든 구성 요소들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구성 요소들 간의 선들의 연결 또는 연결 부재들은 기능적인 연결 및/또는 물리적 연결들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으로서, 실제 장치에서는 대체 가능하거나 추가의 다양한 기능적인 연결, 물리적인 연결들로서 나타내어질 수 있다.  또한, "필수적인", "중요하게" 등과 같이 구체적인 언급이 없다면 개시된 실시예의 적용을 위하여 반드시 필요한 구성 요소가 아닐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적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프레임 20: 바퀴
30: 파종부 31: 호퍼
32: 파종휠 40: 다짐부
41: 성면 성형부 42: 측면 성형부
43: 좌우 이동부 44: 상하 이동부
50: 구동기구

Claims (3)

  1. 앵글로 된 프레임(10)과,
    상기 프레임(10)의 전후방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바퀴(20)와,
    상기 프레임(10)의 일측에 수평으로 장착되며, 모터에 의한 구동력에 의해 두둑에 일정한 간격으로 콩을 파종하는 파종부(30)와,
    상기 프레임(10)의 소정위치에 장착되며, 한 쌍의 다짐판부(42)가 두둑의 경사면을 타고 굴러갈 수 있도록 경사지게 설치되는 다짐부(40)와,
    상기 프레임(10)의 후방에 설치되어 작업자에 의해 바퀴(20)의 회동 및 구동시키며, 상기 다짐부(40)의 승강 및 좌우 너비가 조절되도록 이동시켜 두둑의 상부면에 상면 성형부(41) 및 측면 성형부(42)를 밀착시키는 구동기구(50)를 포함하고,
    상기 다짐부(40)는
    밭두렁의 측면과 상면을 가압하여 성형하는 구성으로, 외측으로 갈수록 직경이 넓어지는 콘 형상의 측면 성형부(42)와,
    상기 측면 성형부(42)의 중앙부에서 측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프레임(10)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된 원통형의 상면 성형부(41)와,
    유압에 의해 작동되는 유압모터를 이용하여 구동축이 상기 다짐부(40)의 상면 성형부(41)에 연결되어 다짐부(40)를 좌우로 이동시키는 좌우 이동부(43)와,
    유압에 의해 작동되는 유압모터를 이용하여 구동축이 상기 다짐부(40)의 상면 성형부(41)에 연결되어 다짐부(40)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상하 이동부(44)를 포함하고,
    상기 좌우 이동부(43)는 상기 프레임(10)의 일측에 좌우방향으로 연결된 파이프 형태의 인입출바가 구비되고, 상기 상면 성형부(41)의 내측으로 상기 인입출바가 인입출 가능하게 결합되는 인입 가이드가 구비되며,
    상기 상하 이동부(44)는 상기 프레임(10)의 일측에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파이프 형태의 승강 가이드가 구비되고, 상기 승강 가이드에는 승강바가 승강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콩 파종기.
  2. 삭제
  3. 삭제
KR1020210032036A 2021-03-11 2021-03-11 콩 파종기 KR1026606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2036A KR102660665B1 (ko) 2021-03-11 2021-03-11 콩 파종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2036A KR102660665B1 (ko) 2021-03-11 2021-03-11 콩 파종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27576A KR20220127576A (ko) 2022-09-20
KR102660665B1 true KR102660665B1 (ko) 2024-04-24

Family

ID=834465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32036A KR102660665B1 (ko) 2021-03-11 2021-03-11 콩 파종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60665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8655B1 (ko) * 2007-06-29 2007-11-28 이세원 다기능 두둑 성형기
JP2016106552A (ja) * 2014-12-03 2016-06-20 国立研究開発法人農業・食品産業技術総合研究機構 播種畝成形直播機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64264A (ko) 2003-12-23 2005-06-29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반도체 소자의 트랜지스터 제조방법
KR200442519Y1 (ko) 2006-11-27 2008-11-14 근우테크 주식회사 콩 파종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8655B1 (ko) * 2007-06-29 2007-11-28 이세원 다기능 두둑 성형기
JP2016106552A (ja) * 2014-12-03 2016-06-20 国立研究開発法人農業・食品産業技術総合研究機構 播種畝成形直播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27576A (ko) 2022-09-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005471B2 (ja) 複合作業機
US8838346B1 (en) Seeder
CN101675721A (zh) 主动防堵式缺口圆盘耙免耕播种机
CN103190230B (zh) 根茎类作物全自动覆膜种植机
CN110637564B (zh) 一种大棚农作物种植自动化作业一体机
KR102660665B1 (ko) 콩 파종기
CN211909584U (zh) 一种小麦田间播种辅助器
CN113068467A (zh) 一种镇压中耕锄草机
CN105325083B (zh) 一种挂接式多功能西芹种植一体机
CN205142807U (zh) 一种挂接式多功能西芹种植一体机
CN201571316U (zh) 草地播种机
CN207612599U (zh) 多功能播种机
CN203289863U (zh) 小型组合式播种机
CN206118371U (zh) 棉花覆膜播种机
CN104938069A (zh) 一种全覆膜播种机
CN214177955U (zh) 一种农业用土地开沟装置
CN204579076U (zh) 全覆膜播种机
CN208462343U (zh) 手扶牵引覆膜播种一体机
JP6131594B2 (ja) 農作業機
CN208175283U (zh) 一种一垄四行多功能膜上花生播种机
CN207054023U (zh) 一种全液压开沟起垄镇压整田器
CN111869351A (zh) 一种生姜免耕施肥播种覆膜的装置
CN206283798U (zh) 一种灭茬旋播机及其起垄平播装置
KR20200046312A (ko) 파종 장치
CN108464088A (zh) 一种深度调节播种施肥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