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60220B1 - 역류 최소화 스텐트 - Google Patents

역류 최소화 스텐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60220B1
KR102660220B1 KR1020210108729A KR20210108729A KR102660220B1 KR 102660220 B1 KR102660220 B1 KR 102660220B1 KR 1020210108729 A KR1020210108729 A KR 1020210108729A KR 20210108729 A KR20210108729 A KR 20210108729A KR 102660220 B1 KR102660220 B1 KR 1026602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flux
stent
cylindrical body
backflow prevention
minimiz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087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26746A (ko
Inventor
이상협
유기중
Original Assignee
(주)태웅메디칼
서울대학교병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태웅메디칼, 서울대학교병원 filed Critical (주)태웅메디칼
Priority to KR10202101087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60220B1/ko
Publication of KR202300267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267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602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602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82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86Stents in a form characterised by the wire-like elements; Stents in the form characterised by a net-like or mesh-like structure
    • A61F2/90Stents in a form characterised by the wire-like elements; Stents in the form characterised by a net-like or mesh-like structure characterised by a net-like or mesh-like structu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04Hollow or tubular parts of organs, e.g. bladders, tracheae, bronchi or bile duc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31/00Materials for other surgical articles, e.g. stents, stent-grafts, shunts, surgical drapes, guide wires, materials for adhesion prevention, occluding devices, surgical gloves, tissue fixation devices
    • A61L31/02Inorganic materials
    • A61L31/022Metals or alloy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31/00Materials for other surgical articles, e.g. stents, stent-grafts, shunts, surgical drapes, guide wires, materials for adhesion prevention, occluding devices, surgical gloves, tissue fixation devices
    • A61L31/04Macromolecular materi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04Hollow or tubular parts of organs, e.g. bladders, tracheae, bronchi or bile ducts
    • A61F2002/041Bile duc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210/00Particular material properties of prostheses classified in groups A61F2/00 - A61F2/26 or A61F2/82 or A61F9/00 or A61F11/00 or subgroups thereof
    • A61F2210/0014Particular material properties of prostheses classified in groups A61F2/00 - A61F2/26 or A61F2/82 or A61F9/00 or A61F11/00 or subgroups thereof using shape memory or superelastic materials, e.g. nitinol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Transplantation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Cardiology (AREA)
  • Surgery (AREA)
  • Epidemi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Gastroenterology & Hepat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Prosthe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십이지장을 따라 이동하는 음식물이 인체의 담도로 역류하는 것을 최대한 막아주면서, 동시에 소화액에 해당하는 담즙을 원활하게 십이지장으로 배출해주는 역류 최소화 스텐트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초탄성 형상기억합금으로 이루어진 와이어가 중공식 원통형의 형상으로 그물망 형태로 엮기거나 교차되어 다수의 공간부가 형성되면서, 양쪽 끝에는 원주를 따라 절곡부가 다수 형성되어 열처리된 원통형 몸체를 포함하되,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절곡부에 형성되어 원통형 몸체의 한쪽 끝에서 돌출되며, 가압되어 공간부의 크기가 작아지고, 원통형 몸체의 중심을 향하도록 절곡되면서 열처리된 역류 방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류 최소화 스텐트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역류 최소화 스텐트{Stent to minimize backflow}
본 발명은 인체의 담도에 시술되는 역류 최소화 스텐트에 관한 것으로써, 특히 십이지장을 따라 이동하는 음식물이 인체의 담도로 역류하는 것을 최대한 막아주면서, 동시에 소화액에 해당하는 담즙을 원활하게 십이지장으로 배출해주는 역류 최소화 스텐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스텐트는 협착 또는 폐색되는 병변부위에 의해 좁아진 인체의 내강을 확장시키면서, 병변부위에 의해 인체의 내강이 다시 좁아지지 않도록 사용되었다.
특히, 인체의 담도 등에 발생되는 협착 또는 폐색되는 병변부위에는 담도용 스텐트가 시술되었다.
하지만, 종래의 담도용 스텐트는 협착 또는 폐색되는 병변부위를 넓혀주면서 소화액의 배수를 원활하게 해주었지만, 십이지장의 유두부를 항상 개통시키고 있어서 십이지장을 통과하는 음식물이 스텐트 내부로 역류하는 경우가 발생하였다.
이로 인해, 음식물이 담도용 스텐트 내부에 부착되면서 소화액의 배수를 방해하는 상황이 발생하였고, 장기간 이식되어있는 담도용 스텐트의 내부 표면에 지속적으로 침전되면서 그 부피가 늘어나 담도용 스텐트 내부를 막는 현상이 발생하여 스텐트 본연의 기능을 상실하게 되는 경우가 발생하였다.
이에, 특허문헌1은 스텐트에 있어서, 형상기억합금으로 제조한 망사형태의 원통형 외측 스텐트와, PTFE 또는 실리콘으로 피복한 상광하협의 깔데기형의 구조를 가진 내측 스텐트를 각각 구성하여, 상기 외측 스텐트의 내부에 상기 내측 스텐트를 위치시켜서 상기 외측 스텐트와 내측 스텐트의 상단을 용접이나 와이어 또는 실로 결합하여 이중 구조화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텐트를 제공하였다.
또한, 특허문헌2는 초탄성 형상기억합금으로 이루어진 와이어를 중공식 원통형의 형상으로 그물망 형태로 엮거나 교차시켜서 다수의 공간부를 형성하며, 양단에는 각각 원주 방향으로 다수의 절곡단을 형성하고 열처리한 내,외측 스텐트를 포함하며, 상기 내측 스텐트는 PTFE 피막을 표면에 형성하여 다수의 공간부를 폐쇄하고, 상기 내측 스텐트의 공간부와 외측 스텐트의 공간부를 연결사로 꿰매어 연결하며, 상기 내측 스텐트의 일단에는 외측 스텐트의 공간부에서 노출되는 걸림단을 다수의 절곡단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서 경사지게 돌출 형성하고, 상기 연결사는 체액에 의해 녹는 생분해성 폴리머 성분으로 제조하며, 상기 PTFE 피막은 한쪽 길이를 내측 스텐트의 타단에서 연장 형성하여, 외측 스텐트의 한쪽에서 노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구조 스텐트를 제공하였다.
하지만, 특허문헌1은, 역류하는 음식물이 내,외측 스텐트 사이에 끼어서 소화액을 배출하는 내측 스텐트의 배출구가 좁아질 우려가 있었다.
이로 인해, 소화액의 침전물에 의해 내측 스텐트의 내부가 막힐 우려가 있었다.
또한, 특허문헌2는 내측 스텐트에서 연장되어 외측 스텐트에서 노출되는 PTFE 피막이 구겨져서 역류 현상을 막지만, PTFE 피막이 구겨진 후 원상태로 잘 펴지지 않아서 소화액의 침전물에 의해 내측 스텐트의 내부가 막힐 우려가 있었다.
그래서, 특허문헌1,2의 경우에는 막힌 스텐트를 제거하고 다른 스텐트를 재 시술할 수 있기 때문에, 환자에게 정신적, 육체적, 경제적 부담을 줄 수 있었다.
특허문헌1 : 국내등록특허 제10-0942036호(2010. 2. 4. 등록.) 특허문헌2 : 국내등록특허 제10-1734365호(2017. 5. 2. 등록.)
이에 본 발명은, 십이지장을 따라 이동하는 음식물이 인체의 담도로 역류하는 것을 최대한 막아주면서, 동시에 소화액에 해당하는 담즙을 원활하게 십이지장으로 배출해주는 종래와 다른 역류 최소화 스텐트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초탄성 형상기억합금으로 이루어진 와이어가 중공식 원통형의 형상으로 그물망 형태로 엮기거나 교차되어 다수의 공간부가 형성되면서, 양쪽 끝에는 원주를 따라 절곡부가 다수 형성되어 열처리된 원통형 몸체를 포함하되,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절곡부에 형성되어 원통형 몸체의 한쪽 끝에서 돌출되며, 가압되어 공간부의 크기가 작아지고, 원통형 몸체의 중심을 향하도록 절곡되면서 열처리된 역류 방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류 최소화 스텐트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십이지장을 따라 이동하는 음식물이 인체의 담도로 역류하는 것을 1개 또는 2개 이상의 역류 방지부로 최대한 막아주는 효과가 있다.
즉, 역류 최소화 스텐트의 내부로 음식물이 삽입되거나 막히는 것을 막아주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공간부가 가압되어 크기가 작아지면서 역류 방지부의 크기가 작아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역류 방지부가 삼각형 또는 반원과 유사한 형태로 형성되어 공간부의 크기가 커지는 효과가 있다.
즉, 소화액에 해당하는 담즙이 배출되는 원통형 몸체의 배출구를 역류 방지부가 많이 가리지 않기 때문에, 소화액에 해당하는 담즙이 원활하게 십이지장으로 배출되는 효과가 있다.
다시 말해, 소화액에 해당하는 담즙이 제대로 배출되지 못해서 역류 최소화 스텐트의 내부에 침전물 형태로 쌓이는 것을 막아주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폐쇄되지 않은 공간부로 담도의 내강 및 병변부위가 삽입되면서, 원통형 몸체가 담도의 내강 및 병변부위에 걸리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제1피막부에 의해 폐쇄된 공간부로 담도의 내강 및 병변부위가 삽입되지 못하기 때문에, 원통형 몸체가 담도의 내강 및 병변부위에 덜 걸리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제1피막부가 원통형 몸체의 어느 한 부분 또는 미리 정해진 간격으로 다수 형성되기 때문에, 원통형 몸체의 일부가 담도의 내강 및 병변부위에 걸리면서 원통형 몸체의 나머지 일부가 담도의 내강 및 병변부위에 덜 걸리는 효과가 있다.
즉, 역류 최소화 스텐트를 담도의 내강 및 병변부위에 다양한 형태로 고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실리콘 또는 PTFE 재질의 제1,2피막부에, 소화액에 해당하는 담즙이 안내되어 침전물 형태로 쌓이지 않고 용이하게 배출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1개 또는 2개 이상의 역류 방지부에 형성되는 제2피막부를 통해, 소화액에 해당하는 담즙이 배출되는 원통형 몸체의 배출구 즉, 역류 최소화 스텐트의 배출구 크기를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즉, 소화액에 해당하는 담즙의 배출량 및 배출 방향을 유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삼각형과 유사한 형태의 역류 방지부 및 반원과 유사한 형태의 역류 방지부가 가압된 역류 방지부보다 크기가 크기 때문에, 역류하는 면적이 큰 음식물이 잘 걸리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역류하는 음식물이 둥근면에 의해 삼각형과 유사한 형태의 역류 방지부의 한쪽 끝에 박히지 않기 때문에, 원통형 몸체의 배출구 즉, 역류 최소화 스텐트의 배출구가 막히지 않는 효과가 있다.
즉, 소화액에 해당하는 담즙이 원활하게 십이지장으로 배출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가압에 의해 공간부의 크기가 작아지면서 강성이 상승한 역류 방지부가 역류하는 음식물의 외력에 크게 휘어지지 않기 때문에, 역류하는 음식물이 역류 최소화 스텐트의 내부로 삽입되는 것을 최대한 막아주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이웃한 일부가 서로 겹치면서 서로 지지하는 4개 이상으로 형성된 역류 방지부가 역류하는 음식물의 외력에 크게 휘어지지 않기 때문에, 역류하는 음식물이 역류 최소화 스텐트의 내부로 삽입되는 것을 최대한 막아주는 효과가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를 따른 역류 최소화 스텐트의 시술상태도,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를 따른 역류 최소화 스텐트의 정면도 및 평면도 및 부분확대도,
도 5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제1,2,3,4,5,6변형예를 따른 역류 최소화 스텐트의 정면도 및 평면도 및 부분확대도,
도 11 및 도 12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를 따른 역류 최소화 스텐트의 정면도 및 평면도 및 부분확대도,
도 13 내지 도 20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의 제1,2,3,4,5,6,7,8변형예를 따른 역류 최소화 스텐트의 정면도 및 평면도 및 부분확대도,
도 21 및 도 22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를 따른 역류 최소화 스텐트의 정면도 및 평면도 및 부분확대도,
도 23 내지 도 28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의 제1,2,3,4,5,6변형예를 따른 역류 최소화 스텐트의 정면도 및 평면도 및 부분확대도이다.
이에,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2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를 따른 역류 최소화 스텐트(1000)는 간(1)과 십이지장(2) 사이로 스텐트 전달 장치를 통해 인체의 담도(3)에 시술되어, 상기 인체의 담도(3)에 발생된 협착 또는 폐색되는 병변부위(4)를 확장시킬 때 사용된다.
즉, 상기 역류 최소화 스텐트(1000)는 십이지장(2)의 유두부 주변으로 인체의 담도(3)에 시술된다.
그리고,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를 따른 상기 역류 최소화 스텐트(1000)는 초탄성 형상기억합금으로 이루어진 와이어(101)가 중공식 원통형의 형상으로 그물망 형태로 엮기거나 교차되어 다수의 공간부(102)가 형성되면서, 양쪽 끝에는 원주를 따라 절곡부(103)가 다수 형성되어 열처리된 원통형 몸체(100)가 포함된다.
그리고, 상기 역류 최소화 스텐트(100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절곡부(103)에 형성되어 원통형 몸체(100)의 한쪽 끝에서 돌출되며, 가압되어 공간부(102)의 크기가 작아지고, 상기 원통형 몸체(100)의 중심을 향하도록 절곡되면서 열처리된 역류 방지부(110)가 포함된다.
여기서, 상기 역류 방지부(110)는 원통형 몸체(100)의 배출구 즉, 소화액에 해당하는 담즙이 배출되는 상기 배출구의 일부를 가리게 된다.
또한, 상기 역류 방지부(110)는 가압되어 공간부(102)의 크기가 작아지기 때문에, 원통형 몸체(100)의 배출구를 많이 가리지 않으면서 강성이 상승된다.
또한, 상기 역류 방지부(110)는 갈고리와 같은 유사한 형태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역류 방지부(110)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1개 형성된다.
그래서, 본 발명의 제1실시예를 따른 상기 역류 최소화 스텐트(1000)는 스텐트 전달 장치를 통해 인체의 담도(3)에 시술되면, 상기 담도(3)에 발생된 협착 또는 폐색되는 병변부위(4)를 확장시키게 된다.
그리고, 상기 역류 최소화 스텐트(1000)는 담도(3)의 내강 및 병변부위(4)가 공간부(102)로 삽입되면서, 상기 담도(3)의 내강 및 병변부위(4)에 걸리게 된다.
그리고, 상기 역류 최소화 스텐트(1000)는 담도(3)를 따라 이동하는 소화액에 해당하는 담즙을 십이지장(2)으로 배출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소화액에 해당하는 담즙은 역류 방지부(110)가 많이 가리지 않는 원통형 몸체(100)의 배출구와, 상기 역류 방지부(110)의 공간부(102)를 통과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십이지장(2)을 따라 이동하는 음식물이 인체의 담도(3)로 역류하여 이동하게 되면, 1개의 역류 방지부(110)에 걸리게 된다.
또한, 상기 역류 방지부(110)는 가압되어 공간부(102)의 크기가 작아져서 강성이 상승되었기 때문에, 역류하는 음식물의 외력에 크게 휘어지지 않고 견디게 된다.
즉, 상기 음식물이 역류 최소화 스텐트(1000)의 내부로 침투 즉, 역류하는 것을 막게 된다.
물론, 배출되었던 상기 담즙도 역류하는 것을 막게 된다.
그리고,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제1변형예를 따른 상기 역류 최소화 스텐트(1000)의 원통형 몸체(100)에는 실리콘 또는 PTFE(Polytetrafluoroethylene) 재질의 제1피막부(120)가 형성되어 다수의 공간부(102)가 폐쇄된다.
그래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제1변형예를 따른 상기 역류 최소화 스텐트(1000)가 시술되면, 제1피막부(120)에 의해 폐쇄된 공간부(102)로 담도(3)의 내강 및 병변부위(4)가 삽입되지 않는다.
즉, 상기 역류 최소화 스텐트(1000)는 담도(3)의 내강 및 병변부위(4)에 덜 걸리게 된다.
그리고, 상기 역류 최소화 스텐트(1000)는 담도(3)를 따라 이동하는 소화액에 해당하는 담즙을, 실리콘 또는 PTFE(Polytetrafluoroethylene) 재질의 제1피막부(120)로 안내하여 십이지장(2)으로 용이하게 배출하게 된다.
그리고,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제2,3변형예를 따른 상기 역류 최소화 스텐트(1000)의 원통형 몸체(100)에는 실리콘 또는 PTFE(Polytetrafluoroethylene) 재질의 제1피막부(120)가 어느 한 부분 또는 미리 정해진 간격으로 형성되어 다수의 공간부(102) 중 일부만 폐쇄된다.
여기서, 제3변형예를 따른 상기 역류 최소화 스텐트(1000)는 제1피막부(120)가 원통형 몸체(1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 또는 일정하지 않은 간격으로 원통형 몸체(100)에 다수 형성된다.
그래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제2,3변형예를 따른 상기 역류 최소화 스텐트(1000)가 시술되면, 제1피막부(120)에 의해 폐쇄된 공간부(102)로 담도(3)의 내강 및 병변부위(4)가 삽입되지 않으면서, 폐쇄되지 않은 공간부(102)로 상기 담도(3)의 내강 및 병변부위(4)가 삽입된다.
즉, 제2,3변형예를 따른 상기 역류 최소화 스텐트(1000)는 담도(3)의 내강 및 병변부위(4)에 제1변형예보다 더 걸리게 된다.
그리고,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제4변형예를 따른 상기 역류 최소화 스텐트(1000)는 1개의 역류 방지부(110)에 실리콘 또는 PTFE(Polytetrafluoroethylene) 재질의 제2피막부(121)가 형성되어 공간부(102)가 폐쇄된다.
그래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제4변형예를 따른 상기 역류 최소화 스텐트(1000)가 시술되면, 상기 역류 최소화 스텐트(1000)는 담도(3)를 따라 이동하는 소화액에 해당하는 담즙을, 실리콘 또는 PTFE(Polytetrafluoroethylene) 재질의 제2피막부(121)로 안내하여 십이지장(2)으로 용이하게 배출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역류 방지부(110)의 공간부(102)로 역류하는 음식물이 끼는 것을 제2피막부(121)로 막게 된다.
그리고,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제5변형예를 따른 상기 역류 최소화 스텐트(1000)는 역류 방지부(110)가 2개 이상으로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역류 방지부(110)는 원통형 몸체(100)의 원주를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2개 이상의 절곡부(103)에 각각 형성된다.
그래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제5변형예를 따른 상기 역류 최소화 스텐트(1000)가 시술되면, 역류하는 음식물이 2개 이상의 역류 방지부(110)에 더 걸리게 된다.
즉, 상기 음식물이 역류 최소화 스텐트(1000)의 내부로 침투 즉, 역류하는 것을 더 막게 된다.
물론, 배출되었던 상기 담즙도 역류하는 것을 더 막게 된다.
그리고,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제6변형예를 따른 상기 역류 최소화 스텐트(1000)는 2개 이상의 역류 방지부(110)에 실리콘 또는 PTFE(Polytetrafluoroethylene) 재질의 제2피막부(121)가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어 다수의 공간부(102)가 적어도 하나 이상 폐쇄된다.
즉, 2개 이상의 상기 역류 방지부(110)는 제2피막부(121)에 의해 다수의 공간부(102)가 일부만 선택되어서 폐쇄되거나 전부 폐쇄된다.
그래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제6변형예를 따른 상기 역류 최소화 스텐트(1000)가 시술되면, 상기 역류 최소화 스텐트(1000)는 담도(3)를 따라 이동하는 소화액에 해당하는 담즙을, 실리콘 또는 PTFE(Polytetrafluoroethylene) 재질의 제2피막부(121)로 안내하여 십이지장(2)으로 용이하게 배출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역류 방지부(110)의 공간부(102)로 역류하는 음식물이 끼는 것을 제2피막부(121)로 막게 된다.
그리고,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실시예를 따른 상기 역류 최소화 스텐트(1000)는 초탄성 형상기억합금으로 이루어진 와이어(101)가 중공식 원통형의 형상으로 그물망 형태로 엮기거나 교차되어 다수의 공간부(102)가 형성되면서, 양쪽 끝에는 원주를 따라 절곡부(103)가 다수 형성되어 열처리된 원통형 몸체(100)가 포함된다.
그리고, 상기 역류 최소화 스텐트(100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절곡부(103)에 형성되어 원통형 몸체(100)의 한쪽 끝에서 돌출되며, 상기 원통형 몸체(100)의 중심을 향하도록 절곡되면서 열처리된 역류 방지부(110)가 포함된다.
여기서, 상기 역류 방지부(110)는 삼각형과 유사한 형태로 형성되며, 원통형 몸체(100)의 배출구 즉, 소화액에 해당하는 담즙이 배출되는 상기 배출구의 일부를 가리게 된다.
또한, 상기 역류 방지부(110)는 삼각형과 유사한 형태로 형성되어 제1실시예보다 공간부(102)의 크기 때문에, 원통형 몸체(100)의 배출구를 많이 가리지 않는다.
또한, 상기 역류 방지부(110)는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1개 형성된다.
그래서, 본 발명의 제2실시예를 따른 상기 역류 최소화 스텐트(1000)가 시술되면, 상기 역류 최소화 스텐트(1000)는 담도(3)의 내강 및 병변부위(4)가 공간부(102)로 삽입되면서 상기 담도(3)의 내강 및 병변부위(4)에 걸리게 된다.
그리고, 상기 역류 최소화 스텐트(1000)는 담도(3)를 따라 이동하는 소화액에 해당하는 담즙을 십이지장(2)으로 배출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소화액에 해당하는 담즙은 역류 방지부(110)가 많이 가리지 않는 원통형 몸체(100)의 배출구와, 상기 역류 방지부(110)의 공간부(102)를 통과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십이지장(2)을 이동하는 음식물이 인체의 담도(3)로 역류하여 이동하게 되면, 1개의 역류 방지부(110)에 걸리게 된다.
여기서, 상기 역류 방지부(110)는 삼각형과 유사한 형태로 형성되기 때문에, 원통형 몸체(110)의 중심에 가까운 상기 역류 방지부(110)의 날카로운 한쪽 끝에 음식물이 더 걸리게 된다.
즉, 상기 음식물이 역류 최소화 스텐트(1000)의 내부로 침투 즉, 역류하는 것을 막게 된다.
물론, 배출되었던 상기 담즙도 역류하는 것을 막게 된다.
그리고,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의 제1변형예를 따른 상기 역류 최소화 스텐트(1000)의 원통형 몸체(100)에는 실리콘 또는 PTFE(Polytetrafluoroethylene) 재질의 제1피막부(120)가 형성되어 다수의 공간부(102)가 폐쇄된다.
그래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의 제1변형예를 따른 상기 역류 최소화 스텐트(1000)가 시술되면, 제1피막부(120)에 의해 폐쇄된 공간부(102)로 담도(3)의 내강 및 병변부위(4)가 삽입되지 않는다.
즉, 상기 역류 최소화 스텐트(1000)는 담도(3)의 내강 및 병변부위(4)에 덜 걸리게 된다.
그리고, 상기 역류 최소화 스텐트(1000)는 담도(3)를 따라 이동하는 소화액에 해당하는 담즙을, 실리콘 또는 PTFE(Polytetrafluoroethylene) 재질의 제1피막부(120)로 안내하여 십이지장(2)으로 용이하게 배출하게 된다.
그리고, 도 14 및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의 제2,3변형예를 따른 상기 역류 최소화 스텐트(1000)의 원통형 몸체(100)에는 실리콘 또는 PTFE(Polytetrafluoroethylene) 재질의 제1피막부(120)가 어느 한 부분 또는 미리 정해진 간격으로 형성되어 다수의 공간부(102) 중 일부만 폐쇄된다.
여기서, 제3변형예를 따른 상기 역류 최소화 스텐트(1000)는 제1피막부(120)가 원통형 몸체(1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 또는 일정하지 않은 간격으로 상기 원통형 몸체(100)에 다수 형성된다.
그래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의 제2,3변형예를 따른 상기 역류 최소화 스텐트(1000)가 시술되면, 제1피막부(120)에 의해 폐쇄된 공간부(102)로 담도(3)의 내강 및 병변부위(4)가 삽입되지 않으면서, 폐쇄되지 않은 공간부(102)로 상기 담도(3)의 내강 및 병변부위(4)가 삽입된다.
즉, 제2,3변형예를 따른 상기 역류 최소화 스텐트(1000)는 담도(3)의 내강 및 병변부위(4)에 제1변형예보다 더 걸리게 된다.
그리고,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의 제4변형예를 따른 상기 역류 최소화 스텐트(1000)는 1개의 역류 방지부(110)에 실리콘 또는 PTFE(Polytetrafluoroethylene) 재질의 제2피막부(121)가 형성되어 공간부(102)가 폐쇄된다.
그래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의 제4변형예를 따른 상기 역류 최소화 스텐트(1000)가 시술되면, 상기 역류 최소화 스텐트(1000)는 담도(3)를 따라 이동하는 소화액에 해당하는 담즙을, 실리콘 또는 PTFE(Polytetrafluoroethylene) 재질의 제2피막부(121)로 안내하여 십이지장(2)으로 용이하게 배출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역류 방지부(110)의 공간부(102)로 역류하는 음식물이 끼는 것을 제2피막부(121)로 막게 된다.
그리고,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의 제5변형예를 따른 상기 역류 최소화 스텐트(1000)는 역류 방지부(110)가 2개 이상으로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역류 방지부(110)는 원통형 몸체(100)의 원주를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2개 이상의 절곡부(103)에 각각 형성된다.
그래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의 제5변형예를 따른 상기 역류 최소화 스텐트(1000)가 시술되면, 역류하는 음식물이 2개 이상의 역류 방지부(110)에 더 걸리게 된다.
또한, 2개 이상의 상기 역류 방지부(110)는 삼각형과 유사한 형태로 형성되기 때문에, 원통형 몸체(110)의 중심에 가까운 2개 이상의 상기 역류 방지부(110)의 날카로운 한쪽 끝에 음식물이 더 걸리게 된다.
즉, 상기 음식물이 역류 최소화 스텐트(1000)의 내부로 침투 즉, 역류하는 것을 더 막게 된다.
물론, 배출되었던 상기 담즙도 역류하는 것을 더 막게 된다.
그리고,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의 제6변형예를 따른 상기 역류 최소화 스텐트(1000)는 2개 이상의 역류 방지부(110)에 실리콘 또는 PTFE(Polytetrafluoroethylene) 재질의 제2피막부(121)가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어 다수의 공간부(102)가 적어도 하나 이상 폐쇄된다.
즉, 2개 이상의 상기 역류 방지부(110)는 제2피막부(121)에 의해 다수의 공간부(102)가 일부만 선택되어서 폐쇄되거나 전부 폐쇄된다.
그래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의 제6변형예를 따른 상기 역류 최소화 스텐트(1000)가 시술되면, 상기 역류 최소화 스텐트(1000)는 담도(3)를 따라 이동하는 소화액에 해당하는 담즙을, 실리콘 또는 PTFE(Polytetrafluoroethylene) 재질의 제2피막부(121)로 안내하여 십이지장(2)으로 용이하게 배출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역류 방지부(110)의 공간부(102)로 역류하는 음식물이 끼는 것을 제2피막부(121)로 막게 된다.
그리고,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의 제7변형예를 따른 상기 역류 최소화 스텐트(1000)는 원통형 몸체(100)의 중심에 가까운 역류 방지부(110)의 한쪽 끝이 완만하게 형성되어 둥근면(111)이 형성된다.
즉, 상기 역류 방지부(110)의 한쪽 끝은 둥근면(111)에 의해 날카롭게 형성되지 않는다.
여기서, 상기 역류 방지부(110)는 1개 또는 2개 이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의 제8변형예를 따른 상기 역류 최소화 스텐트(1000)는 둥근면(111)을 가진 역류 방지부(110)가 1개로 형성되면, 1개의 상기 역류 방지부(110)에 실리콘 또는 PTFE(Polytetrafluoroethylene) 재질의 제2피막부(121)가 형성되어 공간부(102)가 폐쇄된다.
또한, 상기 역류 최소화 스텐트(1000)는 둥근면(111)을 가진 역류 방지부(110)가 2개 이상으로 형성되면, 2개 이상의 상기 역류 방지부(110)에 실리콘 또는 PTFE(Polytetrafluoroethylene) 재질의 제2피막부(121)가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어 다수의 공간부(102)가 적어도 하나 이상 폐쇄된다.
즉, 2개 이상의 상기 역류 방지부(110)는 제2피막부(121)에 의해 다수의 공간부(102)가 일부만 선택되어서 폐쇄되거나 전부 폐쇄된다.
그래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의 제7,8변형예를 따른 상기 역류 최소화 스텐트(1000)가 시술되면, 역류하는 음식물은 둥근면(111)에 의해 역류 방지부(110)의 한쪽 끝에 박히지 않고 걸리게 된다.
여기서, 제8변형예를 따른 상기 역류 방지부(110)는 제2피막부(121)가 형성되었기 때문에, 역류하는 음식물은 둥근면(111) 및 상기 둥근면(111)을 감싼 제2피막부(121)에 의해 역류 방지부(110)의 한쪽 끝에 제7변형예보다 더 박히지 않게 된다.
그리고, 도 21 및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3실시예를 따른 상기 역류 최소화 스텐트(1000)는 초탄성 형상기억합금으로 이루어진 와이어(101)가 중공식 원통형의 형상으로 그물망 형태로 엮기거나 교차되어 다수의 공간부(102)가 형성되면서, 양쪽 끝에는 원주를 따라 절곡부(103)가 다수 형성되어 열처리된 원통형 몸체(100)가 포함된다.
그리고, 상기 역류 최소화 스텐트(100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절곡부(103)에 형성되어 원통형 몸체(100)의 한쪽 끝에서 돌출되며, 상기 원통형 몸체(100)의 중심을 향하도록 절곡되면서 열처리된 역류 방지부(110)가 포함된다.
여기서, 상기 역류 방지부(110)는 제1실시예의 역류 방지부(110)보다 크기가 큰 반원과 유사한 형태로 형성되며, 원통형 몸체(100)의 배출구 즉, 소화액에 해당하는 담즙이 배출되는 상기 배출구의 일부를 가리게 된다.
또한, 상기 역류 방지부(110)는 반원과 유사한 형태로 형성되어 제1실시예보다 공간부(102)의 크기 때문에, 원통형 몸체(100)의 배출구를 많이 가리지 않는다.
또한, 상기 역류 방지부(110)는 도 21 및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1개 형성된다.
그래서, 본 발명의 제3실시예를 따른 상기 역류 최소화 스텐트(1000)가 시술되면, 상기 역류 최소화 스텐트(1000)는 담도(3)의 내강 및 병변부위(4)가 공간부(102)로 삽입되면서 상기 담도(3)의 내강 및 병변부위(4)에 걸리게 된다.
그리고, 상기 역류 최소화 스텐트(1000)는 담도(3)를 따라 이동하는 소화액에 해당하는 담즙을 십이지장(2)으로 배출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소화액에 해당하는 담즙은 역류 방지부(110)가 많이 가리지 않는 원통형 몸체(100)의 배출구와, 상기 역류 방지부(110)의 공간부(102)를 통과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십이지장(2)을 이동하는 음식물이 인체의 담도(3)로 역류하여 이동하게 되면, 1개의 역류 방지부(110)에 걸리게 된다.
즉, 상기 음식물이 역류 최소화 스텐트(1000)의 내부로 침투 즉, 역류하는 것을 막게 된다.
물론, 배출되었던 상기 담즙도 역류하는 것을 막게 된다.
그리고,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3실시예의 제1변형예를 따른 상기 역류 최소화 스텐트(1000)의 원통형 몸체(100)에는 실리콘 또는 PTFE(Polytetrafluoroethylene) 재질의 제1피막부(120)가 형성되어 다수의 공간부(102)가 폐쇄된다.
그래서, 본 발명의 제3실시예의 제1변형예를 따른 상기 역류 최소화 스텐트(1000)가 시술되면, 제1피막부(120)에 의해 폐쇄된 공간부(102)로 담도(3)의 내강 및 병변부위(4)가 삽입되지 않는다.
즉, 상기 역류 최소화 스텐트(1000)는 담도(3)의 내강 및 병변부위(4)에 덜 걸리게 된다.
그리고, 상기 역류 최소화 스텐트(1000)는 담도(3)를 따라 이동하는 소화액에 해당하는 담즙을, 실리콘 또는 PTFE(Polytetrafluoroethylene) 재질의 제1피막부(120)로 안내하여 십이지장(2)으로 용이하게 배출하게 된다.
그리고, 도 24 및 도 2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3실시예의 제2,3변형예를 따른 상기 역류 최소화 스텐트(1000)의 원통형 몸체(100)에는 실리콘 또는 PTFE(Polytetrafluoroethylene) 재질의 제1피막부(120)가 어느 한 부분 또는 미리 정해진 간격으로 형성되어 다수의 공간부(102) 중 일부만 폐쇄된다.
여기서, 제3변형예를 따른 상기 역류 최소화 스텐트(1000)는 제1피막부(120)가 원통형 몸체(1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 또는 일정하지 않은 간격으로 원통형 몸체(100)에 다수 형성된다.
그래서, 본 발명의 제3실시예의 제2,3변형예를 따른 상기 역류 최소화 스텐트(1000)가 시술되면, 제1피막부(120)에 의해 폐쇄된 공간부(102)로 담도(3)의 내강 및 병변부위(4)가 삽입되지 않으면서, 폐쇄되지 않은 공간부(102)로 상기 담도(3)의 내강 및 병변부위(4)가 삽입된다.
즉, 제2,3변형예를 따른 상기 역류 최소화 스텐트(1000)는 담도(3)의 내강 및 병변부위(4)에 제1변형예보다 더 걸리게 된다.
그리고, 도 2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3실시예의 제4변형예를 따른 상기 역류 최소화 스텐트(1000)는 1개의 역류 방지부(110)에 실리콘 또는 PTFE(Polytetrafluoroethylene) 재질의 제2피막부(121)가 형성되어 공간부(102)가 폐쇄된다.
그래서, 본 발명의 제3실시예의 제4변형예를 따른 상기 역류 최소화 스텐트(1000)가 시술되면, 상기 역류 최소화 스텐트(1000)는 담도(3)를 따라 이동하는 소화액에 해당하는 담즙을, 실리콘 또는 PTFE(Polytetrafluoroethylene) 재질의 제2피막부(121)로 안내하여 십이지장(2)으로 용이하게 배출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역류 방지부(110)의 공간부(102)로 역류하는 음식물이 끼는 것을 제2피막부(121)로 막게 된다.
그리고, 도 2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3실시예의 제5변형예를 따른 상기 역류 최소화 스텐트(1000)는 역류 방지부(110)가 2개 이상으로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역류 방지부(110)는 원통형 몸체(100)의 원주를 따라 상기 역류 방지부(110)의 중심 사이의 거리가 일정한 간격으로 2개 이상의 절곡부(103)에 각각 형성된다.
또한, 상기 역류 방지부(110)가 4개 이상으로 형성되면, 4개 이상의 상기 역류 방지부(110)는 이웃한 일부가 서로 겹치게 된다.
즉, 4개 이상의 상기 역류 방지부(110)는 서로 지지하게 된다.
그래서, 본 발명의 제3실시예의 제5변형예를 따른 상기 역류 최소화 스텐트(1000)가 시술되면, 역류하는 음식물이 2개 이상의 역류 방지부(110)에 더 걸리게 된다.
또한, 4개 이상으로 형성된 상기 역류 방지부(110)는 이웃한 일부가 서로 겹치면서 서로 지지하기 때문에, 역류하는 음식물의 외력에 크게 휘어지지 않고 견디게 된다.
즉, 상기 음식물이 역류 최소화 스텐트(1000)의 내부로 침투 즉, 역류하는 것을 더 막게 된다.
그리고, 도 2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3실시예의 제6변형예를 따른 상기 역류 최소화 스텐트(1000)는 2개 이상의 역류 방지부(110)에 실리콘 또는 PTFE(Polytetrafluoroethylene) 재질의 제2피막부(121)가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어 다수의 공간부(102)가 적어도 하나 이상 폐쇄된다.
즉, 2개 이상의 상기 역류 방지부(110)는 제2피막부(121)에 의해 다수의 공간부(102)가 일부만 선택되어서 폐쇄되거나 전부 폐쇄된다.
그래서, 본 발명의 제3실시예의 제6변형예를 따른 상기 역류 최소화 스텐트(1000)가 시술되면, 상기 역류 최소화 스텐트(1000)는 담도(3)를 따라 이동하는 소화액에 해당하는 담즙을, 실리콘 또는 PTFE(Polytetrafluoroethylene) 재질의 제2피막부(121)로 안내하여 십이지장(2)으로 용이하게 배출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역류 방지부(110)의 공간부(102)로 역류하는 음식물이 끼는 것을 제2피막부(121)로 막게 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를 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할 것이다.
100 : 원통형 몸체 101 : 와이어
102 : 공간부 103 : 절곡부
110 : 역류 방지부 111 : 둥근면
120 : 제1피막부 121 : 제2피막부
1000 : 역류 최소화 스텐트

Claims (14)

  1. 형상기억합금으로 이루어진 와이어(101)가 중공식 원통형의 형상으로 그물망 형태로 엮기거나 교차되어 다수의 공간부(102)가 형성되면서, 양쪽 끝에는 원주를 따라 절곡부(103)가 다수 형성되어 열처리된 원통형 몸체(100)를 포함하되,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기 절곡부(103)에 형성되어 원통형 몸체(100)의 한쪽 끝에서 돌출되며, 가압되어 공간부(102)의 크기가 작아지고, 상기 원통형 몸체(100)의 중심을 향하도록 절곡되면서 열처리된 역류 방지부(11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류 최소화 스텐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원통형 몸체(100)에는 실리콘 또는 PTFE(Polytetrafluoroethylene) 재질의 제1피막부(120)를 형성하여, 다수의 공간부(102)를 폐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류 최소화 스텐트.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원통형 몸체(100)에는 실리콘 또는 PTFE(Polytetrafluoroethylene) 재질의 제1피막부(120)를 어느 한 부분 또는 미리 정해진 간격으로 형성하여, 다수의 공간부(102) 중 일부만 폐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류 최소화 스텐트.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역류 방지부(110)가 1개 형성되면, 1개의 상기 역류 방지부(110)에는 실리콘 또는 PTFE(Polytetrafluoroethylene) 재질의 제2피막부(121)를 형성하여 공간부(102)를 폐쇄하고,
    상기 역류 방지부(110)가 2개 이상으로 형성되면, 2개 이상의 상기 역류 방지부(110)에는 실리콘 또는 PTFE(Polytetrafluoroethylene) 재질의 제2피막부(121)를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하여 다수의 공간부(102)를 적어도 하나 이상 폐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류 최소화 스텐트.
  5. 형상기억합금으로 이루어진 와이어(101)가 중공식 원통형의 형상으로 그물망 형태로 엮기거나 교차되어 다수의 공간부(102)가 형성되면서, 양쪽 끝에는 원주를 따라 절곡부(103)가 다수 형성되어 열처리된 원통형 몸체(100)를 포함하되,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기 절곡부(103)에 형성되어 원통형 몸체(100)의 한쪽 끝에서 돌출되며, 상기 원통형 몸체(100)의 중심을 향하도록 절곡되면서 열처리된 역류 방지부(110)를 포함하며,
    상기 역류 방지부(110)는 삼각형과 유사한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류 최소화 스텐트.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원통형 몸체(100)의 중심에 가까운 역류 방지부(110)의 한쪽 끝을 완만하게 형성하여 둥근면(111)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류 최소화 스텐트.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원통형 몸체(100)에는 실리콘 또는 PTFE(Polytetrafluoroethylene) 재질의 제1피막부(120)를 형성하여, 다수의 공간부(102)를 폐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류 최소화 스텐트.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원통형 몸체(100)에는 실리콘 또는 PTFE(Polytetrafluoroethylene) 재질의 제1피막부(120)를 어느 한 부분 또는 미리 정해진 간격으로 형성하여, 다수의 공간부(102) 중 일부만 폐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류 최소화 스텐트.
  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역류 방지부(110)가 1개 형성되면, 1개의 상기 역류 방지부(110)에는 실리콘 또는 PTFE(Polytetrafluoroethylene) 재질의 제2피막부(121)를 형성하여 공간부(102)를 폐쇄하고,
    상기 역류 방지부(110)가 2개 이상으로 형성되면, 2개 이상의 상기 역류 방지부(110)에는 실리콘 또는 PTFE(Polytetrafluoroethylene) 재질의 제2피막부(121)를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하여 다수의 공간부(102)를 적어도 하나 이상 폐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류 최소화 스텐트.
  10. 형상기억합금으로 이루어진 와이어(101)가 중공식 원통형의 형상으로 그물망 형태로 엮기거나 교차되어 다수의 공간부(102)가 형성되면서, 양쪽 끝에는 원주를 따라 절곡부(103)가 다수 형성되어 열처리된 원통형 몸체(100)를 포함하되,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기 절곡부(103)에 형성되어 원통형 몸체(100)의 한쪽 끝에서 돌출되며, 상기 원통형 몸체(100)의 중심을 향하도록 절곡되면서 열처리된 역류 방지부(110)를 포함하며,
    상기 역류 방지부(110)는 반원과 유사한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류 최소화 스텐트.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원통형 몸체(100)에는 실리콘 또는 PTFE(Polytetrafluoroethylene) 재질의 제1피막부(120)를 형성하여, 다수의 공간부(102)를 폐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류 최소화 스텐트.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원통형 몸체(100)에는 실리콘 또는 PTFE(Polytetrafluoroethylene) 재질의 제1피막부(120)를 어느 한 부분 또는 미리 정해진 간격으로 형성하여, 다수의 공간부(102) 중 일부만 폐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류 최소화 스텐트.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역류 방지부(110)가 1개 형성되면, 1개의 상기 역류 방지부(110)에는 실리콘 또는 PTFE(Polytetrafluoroethylene) 재질의 제2피막부(121)를 형성하여 공간부(102)를 폐쇄하고,
    상기 역류 방지부(110)가 2개 이상으로 형성되면, 2개 이상의 상기 역류 방지부(110)에는 실리콘 또는 PTFE(Polytetrafluoroethylene) 재질의 제2피막부(121)를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하여 다수의 공간부(102)를 적어도 하나 이상 폐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류 최소화 스텐트.
  14.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역류 방지부(110)가 4개 이상으로 형성되면, 4개 이상의 상기 역류 방지부(110)는 이웃한 일부가 서로 겹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류 최소화 스텐트.
KR1020210108729A 2021-08-18 2021-08-18 역류 최소화 스텐트 KR1026602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8729A KR102660220B1 (ko) 2021-08-18 2021-08-18 역류 최소화 스텐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8729A KR102660220B1 (ko) 2021-08-18 2021-08-18 역류 최소화 스텐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26746A KR20230026746A (ko) 2023-02-27
KR102660220B1 true KR102660220B1 (ko) 2024-04-23

Family

ID=853296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08729A KR102660220B1 (ko) 2021-08-18 2021-08-18 역류 최소화 스텐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60220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2036B1 (ko) 2008-05-26 2010-02-11 (주) 태웅메디칼 스텐트
US20170056150A1 (en) * 2001-10-09 2017-03-02 Boston Scientific Scimed, Inc. Medical stent with a valve and related methods of manufacturing
KR101734365B1 (ko) 2015-11-19 2017-05-11 (주)태웅메디칼 이중 구조 스텐트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808614B1 (en) * 1996-05-23 2003-02-26 Samsung Electronics Co., Ltd. Flexible self-expandable stent and method for making the same
US5855597A (en) * 1997-05-07 1999-01-05 Iowa-India Investments Co. Limited Stent valve and stent graft for percutaneous surgery
KR101604987B1 (ko) * 2014-03-28 2016-03-21 주식회사 에스앤지바이오텍 역류방지 스텐트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70056150A1 (en) * 2001-10-09 2017-03-02 Boston Scientific Scimed, Inc. Medical stent with a valve and related methods of manufacturing
KR100942036B1 (ko) 2008-05-26 2010-02-11 (주) 태웅메디칼 스텐트
KR101734365B1 (ko) 2015-11-19 2017-05-11 (주)태웅메디칼 이중 구조 스텐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26746A (ko) 2023-02-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568925B2 (ja) 管腔内装置
US10398875B2 (en) Embolization microcatheter
JP5575277B2 (ja) 腹腔−静脈シャント用ステント
US11918449B2 (en) Medical device for collecting substances inside a body lumen
AU2006211015B2 (en) Device and methods for non-surgical clipping of aneurysms
JP4490099B2 (ja) バルブ付き医療用ステントおよび関連製造方法
JP5061181B2 (ja) 動脈瘤を閉塞するシステム及び方法
SG149740A1 (en) Percutaneous catheter directed intravascular occlusion devices
EP0373178B1 (de) Antirefluxive harnleiterschiene mit blasenseitigem, dynamischem haubenventil
US20170112643A1 (en) Medical device and system having such a device
KR20100094763A (ko) 음식물 역류방지와 체내 분해가 가능한 스텐트
US20120253454A1 (en) Stent designs having enhanced radiopacity
JP7267245B2 (ja) ステント
KR102660220B1 (ko) 역류 최소화 스텐트
CN215083906U (zh) 一种导管加强层和导管
CN106308985B (zh) 防返流胆道引流支架
JP7264600B2 (ja) 梗塞予防装置
US20070150042A1 (en) Stents with beveled ends and methods of use thereof
JP2020157059A (ja) 灌流用チューブ
JP6904987B2 (ja) ステント
WO2020162359A1 (ja) 管状留置具
KR20230158348A (ko) 동물의 담도용 스텐트
JPH09168599A (ja) ステント及び回収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