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59996B1 - 음료 충전 장치 및 용기에 담긴 음료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음료 충전 장치 및 용기에 담긴 음료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59996B1
KR102659996B1 KR1020187023337A KR20187023337A KR102659996B1 KR 102659996 B1 KR102659996 B1 KR 102659996B1 KR 1020187023337 A KR1020187023337 A KR 1020187023337A KR 20187023337 A KR20187023337 A KR 20187023337A KR 102659996 B1 KR102659996 B1 KR 1026599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mber
container
beverage
unit
clea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233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101534A (ko
Inventor
츠요시 아키모토
가즈오 미야자키
아키라 와타나베
Original Assignee
더 코카콜라 컴파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더 코카콜라 컴파니 filed Critical 더 코카콜라 컴파니
Publication of KR201801015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015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599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59996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CCLEANING, FILLING WITH LIQUIDS OR SEMILIQUIDS, OR EMPTYING, OF BOTTLES, JARS, CANS, CASKS, BARRELS, OR SIMILAR CONTAIN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UNNELS
    • B67C3/00Bottling liquids or semiliquids; Filling jars or cans with liquids or semiliquids using bottling or like apparatus; Filling casks or barrels with liquids or semiliqui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CCLEANING, FILLING WITH LIQUIDS OR SEMILIQUIDS, OR EMPTYING, OF BOTTLES, JARS, CANS, CASKS, BARRELS, OR SIMILAR CONTAIN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UNNELS
    • B67C3/00Bottling liquids or semiliquids; Filling jars or cans with liquids or semiliquids using bottling or like apparatus; Filling casks or barrels with liquids or semiliquids
    • B67C3/001Cleaning of fill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CCLEANING, FILLING WITH LIQUIDS OR SEMILIQUIDS, OR EMPTYING, OF BOTTLES, JARS, CANS, CASKS, BARRELS, OR SIMILAR CONTAIN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UNNELS
    • B67C3/00Bottling liquids or semiliquids; Filling jars or cans with liquids or semiliquids using bottling or like apparatus; Filling casks or barrels with liquids or semiliquids
    • B67C3/007Applications of control, warning or safety devices in filling machiner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CCLEANING, FILLING WITH LIQUIDS OR SEMILIQUIDS, OR EMPTYING, OF BOTTLES, JARS, CANS, CASKS, BARRELS, OR SIMILAR CONTAIN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UNNELS
    • B67C3/00Bottling liquids or semiliquids; Filling jars or cans with liquids or semiliquids using bottling or like apparatus; Filling casks or barrels with liquids or semiliquids
    • B67C3/02Bottling liquids or semiliquids; Filling jars or cans with liquids or semiliquids using bottling or like apparatus
    • B67C3/22Details
    • B67C3/24Devices for supporting or handling bott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CCLEANING, FILLING WITH LIQUIDS OR SEMILIQUIDS, OR EMPTYING, OF BOTTLES, JARS, CANS, CASKS, BARRELS, OR SIMILAR CONTAIN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UNNELS
    • B67C3/00Bottling liquids or semiliquids; Filling jars or cans with liquids or semiliquids using bottling or like apparatus; Filling casks or barrels with liquids or semiliquids
    • B67C3/02Bottling liquids or semiliquids; Filling jars or cans with liquids or semiliquids using bottling or like apparatus
    • B67C3/22Details
    • B67C3/24Devices for supporting or handling bottles
    • B67C3/242Devices for supporting or handling bottles engaging with bottle ne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CCLEANING, FILLING WITH LIQUIDS OR SEMILIQUIDS, OR EMPTYING, OF BOTTLES, JARS, CANS, CASKS, BARRELS, OR SIMILAR CONTAIN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UNNELS
    • B67C7/00Concurrent cleaning, filling, and closing of bottles; Processes or devices for at least two of these operations
    • B67C7/0006Conveying; Synchronising
    • B67C7/004Conveying; Synchronising the containers travelling along a circular path
    • B67C7/0046Infeed and outfeed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CCLEANING, FILLING WITH LIQUIDS OR SEMILIQUIDS, OR EMPTYING, OF BOTTLES, JARS, CANS, CASKS, BARRELS, OR SIMILAR CONTAIN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UNNELS
    • B67C3/00Bottling liquids or semiliquids; Filling jars or cans with liquids or semiliquids using bottling or like apparatus; Filling casks or barrels with liquids or semiliquids
    • B67C3/02Bottling liquids or semiliquids; Filling jars or cans with liquids or semiliquids using bottling or like apparatus
    • B67C3/22Details
    • B67C2003/228Aseptic features

Landscapes

  • Filling Of Jars Or Cans And Processes For Cleaning And Sealing Jars (AREA)

Abstract

음료 용기의 제조 시 발생하는 휴지 시간을 저감한다. 음료 충전 장치(10)가, 제1 챔버(21) 및 제2 챔버(22)를 가지는 챔버(20), 용기(120)를 반송하는 반송부, 제1 챔버(21)에 반송된 용기(120)에 음료를 충전하는 제1 충전부(101), 제2 챔버(22)에 반송된 용기(120)에 음료를 충전하는 제2 충전부(103), 제2 챔버(22)에서 용기(120)에 음료가 충전되고 있는 동안에 제1 챔버(21) 및 제1 충전부(101)를 각각 세정 및 살균하는 제1 세정/살균부(102), 및 제1 챔버(21)에서 용기(120)에 음료가 충전되고 있는 동안에 제2 챔버(22) 제2 충전부(103)를 각각 세정 및 살균하는 제2 세정/살균부(104)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음료 충전 장치 및 용기에 담긴 음료의 제조 방법
본 발명은 음료 충전 장치 및 용기에 담긴 음료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 있어서, 챔버 내에 구비된 하나의 노즐을 이용하여 용기에 음료를 충전하는 음료 충전 장치가 알려져 있다(예를 들어, 특허문헌 1 참조).
이러한 종류의 음료 충전 장치에서는, 음료의 충전 중에 음료의 일부가 튀거나 응축하여, 노즐에 이어지는 배관이나 챔버가 더러워지게 된다. 따라서, 음료의 충전 후에는 배관이나 챔버에 대한 세정 및 살균을 수행한다.
이러한 세정 및 살균에는 예를 들어 5~8시간이 필요하며, 그 동안에는 챔버를 사용할 수 없기 때문에, 새로운 음료 용기를 제조(용기에 음료를 충전)할 수 없는 휴지 시간(down time)이 생기게 된다.
이러한 점에서, 특허문헌 2에는, 세정용 약제가 첨가된 무균수를 노즐의 배관 내로 순환시킴으로써 배관의 세정 및 살균을 동시에 수행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특허문헌 1] 특허공개 2015-155332호 공보
[특허문헌 2] 특허공개 2007-22600호 공보
그러나, 특허문헌 1의 기술뿐만 아니라 특허문헌 2의 기술에서도, 배관의 세정 및 살균을 수행하는 동안은 휴지 시간이 된다.
본 출원은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음료 용기의 제조 시 발생하는 휴지 시간을 저감할 수 있는 음료 충전 장치 및 용기에 담긴 음료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하나의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1 양태에 따른 음료 충전 장치는, 각각 격리 가능하게 되어 있는 제1 챔버 및 제2 챔버를 가진 챔버; 상기 챔버 내에서 용기를 상기 제1 챔버 및 상기 제2 챔버 중 어느 하나에 반송하는 반송부; 상기 제1 챔버에 구비되며, 상기 제1 챔버에 반송된 상기 용기에 음료를 충전하는 제1 충전부; 상기 제2 챔버에 구비되며, 상기 제2 챔버에 반송된 상기 용기에 음료를 충전하는 제2 충전부; 상기 제1 챔버에 구비되며, 상기 제2 챔버에서 상기 용기에 음료가 충전되고 있는 동안, 상기 제1 챔버를 격리하여 상기 제1 챔버 및 상기 제1 충전부를 각각 세정 및 살균하는 제1 세정/살균부; 및 상기 제2 챔버에 구비되며, 상기 제1 챔버에서 상기 용기에 음료가 충전되고 있는 동안, 상기 제2 챔버를 격리하여 상기 제2 챔버 및 상기 제2 충전부를 각각 세정 및 살균하는 제2 세정/살균부를 포함한다.
또한, '격리'란, 세정 및 살균이 이루어진 챔버 내에서 그러한 상태를 잃어버리지 않고, 인접한 챔버로부터의 영향을 받지 않는 상태를 나타낸다.
이 구성에 따르면, 제1 챔버에서 용기에 음료가 충전되고 있는 동안에 제2 챔버 및 제2 충전부가 각각 세정 및 살균되고, 또한 제2 챔버에서 용기에 음료가 충전되고 있는 동안에 제1 챔버 및 제1 충전부가 각각 세정 및 살균된다. 그 결과, 음료가 충전된 용기(음료 용기)의 제조 시 발생하는 휴지 시간을 저감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양태에 따른 음료 충전 장치는, 상기 반송부에 의한 상기 용기의 반송지를 상기 제1 챔버 또는 상기 제2 챔버로 전환하는 전환부를 더 포함한다.
이 구성에 따르면, 반송지를 수작업으로 전환할 필요가 없고, 전환에 따른 휴지 시간을 저감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 양태에 따른 음료 충전 장치에서는, 상기 챔버는, 상기 제1 챔버 및 상기 제2 챔버와 연통되고, 상기 용기가 상기 제1 챔버 및 상기 제2 챔버 중 어느 하나로 반송되기 전에 반송되는 전방 챔버를 가지며, 상기 전방 챔버에 구비되고, 상기 전방 챔버에 반송된 상기 용기를 세정 및 살균하는 용기 세정/살균부를 더 포함한다.
이 구성에 따르면, 용기를 세정 및 살균하는 용기 세정/살균부가, 제1 챔버 및 제2 챔버 중 어느 하나로 용기가 반송되기 전에 제1 챔버 및 제2 챔버 공통으로 이용되게 된다. 그 결과, 용기 세정/살균부를 제1 챔버용과 제2 챔버용으로 따로따로 구비하는 경우에 비해, 설비 비용을 저감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4 양태에 따른 음료 충전 장치는, 상기 챔버는, 상기 제1 챔버 및 상기 제2 챔버와 연통되고, 상기 용기가 상기 제1 챔버 및 상기 제2 챔버 중 어느 하나로부터 반송되는 후방 챔버를 가지며, 상기 후방 챔버에 구비되고 상기 후방 챔버에 반송된 상기 용기를 캡핑하는 캡핑부를 더 포함한다.
이 구성에 따르면, 용기를 밀폐하는 캡핑부가, 제1 챔버 및 제2 챔버 중 어느 하나로부터 용기가 반송된 후에 제1 챔버 및 제2 챔버 공통으로 이용되게 된다. 그 결과, 캡핑부를 제1 챔버용과 제2 챔버용으로 따로따로 구비하는 경우에 비해, 설비 비용을 저감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5 양태에 따른 음료 충전 장치는, 상기 제1 챔버 및 상기 제2 챔버 중 상기 용기에 음료가 충전되는 하나의 챔버 내의 압력을, 상기 용기에 음료가 충전되는 동안에 세정 및 살균되는 다른 챔버 내의 압력보다 높게 조정하는 압력 조정부를 더 포함한다.
이 구성에 따르면, 다른 챔버에 미처 격리되지 못한 손상 부위가 있더라도, 그러한 손상 부위를 통해 다른 챔버 내의 세정액 등이 하나의 챔버 내로 들어가는 것을 저감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6 양태에 따른 음료 충전 장치는, 상기 제1 챔버에 구비되고 상기 제1 챔버를 격리하는 제1 격리부와, 상기 제2 챔버에 구비되고 상기 제2 챔버를 격리하는 제2 격리부를 더 포함한다.
이 구성에 따르면, 제1 챔버와 제2 챔버를 격리하는 것이, 제1 격리부와 제2 격리부로 구분되어 있으므로, 각각의 타이밍으로 제1 챔버와 제2 챔버를 격리할 수 있고, 효율적으로 음료 용기를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7 양태에 따른 음료 충전 장치에서는, 상기 반송부는, 상기 제1 챔버 내에 구비되고 상기 용기를 파지하는 제1 그리퍼와, 상기 제2 챔버 내에 구비되고 상기 용기를 파지하는 제2 그리퍼를 포함하며, 상기 제1 그리퍼는, 상기 제1 격리부에 대해 후퇴 가능한 구성으로 되어 있고, 상기 제2 그리퍼는, 상기 제2 격리부에 대해 후퇴 가능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 구성에 따르면, 제1 챔버 또는 제2 챔버가 격리될 때는 격리부를 방해하지 않게 후퇴한다. 그 결과, 제1 챔버와 제2 챔버를 더욱 확실하게 격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8 양태에 따른 음료 충전 장치에서는, 상기 제1 격리부는, 슬라이딩함으로써 상기 제1 챔버를 격리하는 제1 셔터를 포함하고, 상기 제2 격리부는, 슬라이딩함으로써 상기 제2 챔버를 격리하는 제2 셔터를 포함하며, 상기 제1 그리퍼는, 상기 제1 셔터가 열려서 상기 제1 챔버가 격리되지 않는 경우에 연장된 상태가 되고, 상기 제1 셔터가 닫혀서 상기 제1 챔버가 격리되는 경우는 굴곡되어 상기 제1 셔터에 대해 후퇴하며, 상기 제2 그리퍼는, 상기 제2 셔터가 열려서 상기 제2 챔버가 격리되지 않는 경우에 연장된 상태가 되고, 상기 제2 셔터가 닫혀서 상기 제2 챔버가 격리되는 경우는 굴곡되어 상기 제2 셔터에 대해 후퇴한다.
이 구성에 따르면, 제1 챔버나 제2 챔버가 격리되지 않는 경우는 제1 그리퍼나 제2 그리퍼가 연장된 상태가 되므로, 챔버 내에 존재할 수 있는 다른 챔버에 구비된 그리퍼 등과 용기를 주고 받을 수 있다. 또한, 제1 챔버나 제2 챔버가 격리될 때에는, 제1 그리퍼나 제2 그리퍼가 격리부를 방해하지 않도록 굴곡된다. 그 결과, 제1 챔버와 제2 챔버를 더욱 확실하게 격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9 양태에 따른 용기에 담긴 음료의 제조 방법은, 제1 챔버 및 상기 제1 챔버와는 격리 가능하게 되어 있는 제2 챔버를 가지는 챔버 내에서 수행되는 용기에 담긴 음료의 제조 방법으로서, 상기 챔버 내에서 용기를 상기 제1 챔버에 반송하는 제1 공정; 상기 제1 공정에 의해 상기 용기가 상기 제1 챔버에 반송된 경우에, 상기 제1 챔버에 구비된 제1 충전부를 이용하여 상기 용기에 음료를 충전하는 제2 공정; 상기 제2 공정 후에 상기 용기가 상기 제1 챔버로부터 반송된 경우에, 상기 제1 챔버를 격리하여 상기 제1 챔버 및 상기 제1 충전부를 각각 세정 및 살균하는 제3 공정; 상기 제2 공정 후 상기 제3 공정이 끝나기 전에, 상기 용기의 반송지를 상기 제2 챔버로 전환하여 상기 용기를 반송하는 제4 공정; 및 상기 제4 공정에 의해 상기 용기가 상기 제2 챔버에 반송된 경우에, 상기 제2 챔버에 구비된 제2 충전부를 이용하여 상기 용기에 음료를 충전하는 제5 공정을 포함한다.
이 방법에 따르면, 제2 챔버에서 용기에 음료가 충전되고 있는 동안에 제1 챔버 및 제1 충전부가 각각 세정 및 살균된다. 그 결과, 용기에 담긴 음료의 제조 시 발생하는 휴지 시간을 저감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음료 용기의 제조 시 발생하는 휴지 시간을 저감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음료 충전 장치를 포함하는 음료 충전 시스템의 개략 구성을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2는 음료 충전 장치의 내부의 개략 구성도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의 (A)는, 도 2에 도시된 제1 챔버를 전방 챔버와 격리하지 않은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며, 도 3의 (B)는, 도 2에 도시된 제1 챔버를 전방 챔버와 격리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용기에 담긴 음료의 제조 방법에서의 제조 공정의 일례를 보여주는 플로 차트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또한, 동일한 요소에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중복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상하좌우 등의 위치 관계는, 특별히 언급되지 않는 한 도면에 나타낸 위치 관계를 기초로 한다. 나아가, 도면의 치수 비율은, 도시된 비율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하의 실시형태는,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이며, 본 발명은 이러한 실시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음료 충전 시스템의 개요>
우선, 도 1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음료 충전 시스템의 개요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음료 충전 시스템(1)은, 음료 충전 장치(10), 프리폼 성형 장치(11), 블로우 성형 장치(12), 반송 장치(13), 패키징 장치(14), 및 제어 장치(15)를 포함한다. 또한,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반송 장치(13)는 프리폼 성형 장치(11)로부터 패키징 장치(14)에 걸쳐 구비되어 있다.
각 장치(10~14)는 제어 장치(15)에 의해, 예를 들어 이하와 같이 제어된다. 또한, 제어 장치(15)를 하나의 장치로서 설명하지만, 각 장치(10~14)에 개별적으로 구비해도 된다.
프리폼 성형 장치(11)는, 용기(120)의 프리폼(모재)을 성형한다. 또한, 이러한 용기(120)는 음료 용기라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본 실시형태에서는 페트병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다음으로, 블로우 성형 장치(12)는, 용기(120)의 프리폼에 블로우 성형을 실시함으로써 용기(120)를 성형한다. 반송 장치(13)는, 음료 충전 장치(10)를 통해 패키징 장치(14)로 용기(120)를 반송한다. 음료 충전 장치(10)는, 용기(120)에 음료를 충전한 후, 용기(120)를 캡핑하여 밀폐한다. 그 후, 패키징 장치(14)는 용기(120)를 포장한다.
<음료 충전 장치(10)의 개략 구성>
다음으로, 음료 충전 장치(10)의 개략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음료 충전 장치(10)는, 내부가 적절히 살균됨으로써 무균 상태로 유지되는 챔버(20)를 포함한다. 이러한 챔버(20)의 내부에는, 제1 챔버(21), 제2 챔버(22), 전방 챔버(23), 및 후방 챔버(24)가 구비되어 있다.
제1 챔버(21) 및 제2 챔버(22)는 각각 전방 챔버(23)와 후방 챔버(24)와 연통되어 있다. 또한, 제1 챔버(21) 및 제2 챔버(22)는 각각, 다른 챔버에 대해 격리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용기(120)는, 챔버(20)의 외부로부터 챔버(20)의 내부에 들어간 후, 전방 챔버(23), 제1 챔버(21) 및 후방 챔버(24)의 순서로 반송되거나, 혹은 전방 챔버(23), 제2 챔버(22) 및 후방 챔버(24)의 순서로 반송되어, 챔버(20)의 외부로 배출되게 되어 있다.
음료 충전 장치(10)는, 챔버(20)의 내부의 임의의 챔버에, 용기 세정/살균부(100), 제1 충전부(101), 제1 세정/살균부(102), 제2 충전부(103), 제2 세정/살균부(104), 캡핑부(105), 전환부(106), 및 압력 조정부(107)를 포함한다.
용기 세정/살균부(100)는,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전방 챔버(23)에 구비된 노즐, 세정액 공급원, 살균액 공급원, 및 각 공급원과 노즐을 연결하는 배관을 포함한다. 이러한 용기 세정/살균부(100)는, 제1 챔버(21)로의 반송 및 제2 챔버(22)로의 반송 전에 공통적으로, 용기(120)가 전방 챔버(23)에 반송된 경우에, 노즐로부터 세정액 및 살균액을 순서대로 분사하여 해당 용기(120)를 세정 및 살균한다.
제1 충전부(101)는,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제1 챔버(21)에 구비된 노즐, 음료 공급원, 및 공급원과 노즐을 연결하는 배관을 포함한다. 이러한 제1 충전부(101)는, 용기(120)가 제1 챔버(21)에 반송된 경우에, 노즐로부터 해당 용기(120)에 음료를 충전한다.
제1 세정/살균부(102)는,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제1 챔버(21)에 구비된 샤워 헤드, 세정액 공급원, 살균액 공급원, 및 각 공급원과 샤워 헤드를 연결하는 배관을 포함한다. 이러한 제1 세정/살균부(102)는, 용기(120)가 제1 챔버(21)로부터 캡핑부(105)에 반송 배출된 경우에(본 실시형태에서는 후술하는 패키징 후), 제1 챔버(21)를 격리한다. 그리고, 제1 세정/살균부(102)는, 샤워 헤드로부터 세정액 및 살균액을 순서대로 분사하여, 제1 챔버(21) 및 제1 충전부(101)를 각각 세정 및 살균한다.
제2 충전부(103)는,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제2 챔버(22)에 구비된 노즐, 음료 공급원, 및 공급원과 노즐을 연결하는 배관을 포함한다. 이러한 제2 충전부(103)는, 용기(120)가 제2 챔버(22)에 반송된 경우에, 노즐로부터 해당 용기(120)에 음료를 충전한다. 또한, 제1 충전부(101)에 의해 충전되는 음료와, 제2 충전부(103)에 의해 충전되는 음료는, 동일한 종류일 수도 있고 다른 종류일 수도 있지만, 본 실시형태에서는 다른 종류인 경우를 설명한다.
제2 세정/살균부(104)는, 도시되지 않은, 제2 챔버(22)에 구비된 샤워헤드, 세정액 공급원, 살균액 공급원, 및 각 공급원과 샤워헤드를 연결하는 배관을 포함한다. 이러한 제2 세정/살균부(104)는, 용기(120)가 제2 챔버(22)로부터 캡핑부(105)에 반송 배출된 경우에(본 실시형태에서는 후술하는 패키징 후), 제2 챔버(22)를 격리한다. 그리고, 제2 세정/살균부(104)는, 샤워헤드로부터 세정액 및 살균액을 순서대로 분사하여, 제2 챔버(22) 및 제2 충전부(103)를 각각 세정 및 살균한다.
캡핑부(105)는, 후방 챔버(24)에 구비되어 있다. 이러한 캡핑부(105)는, 제1 챔버(21)로부터의 반송 및 제2 챔버(22)로부터의 반송 후에 공통적으로, 용기(120)가 후방 챔버(24)에 반송된 경우에, 용기(120)를 캡핑하여 밀폐한다.
전환부(106)는, 예를 들어 도시되지 않은 전환 스위치를 가지며, 반송 장치(13)에 의한 용기(120)의 반송지를 제1 챔버(21) 또는 제2 챔버(22)로 전환한다. 이러한 전환부(106)에 의한 전환은, 제어 장치(15)에 의해 자동적으로 수행될 수도 있고, 제조자에 의해 수동으로 수행될 수도 있다.
압력 조정부(107)는, 예를 들어 챔버 내에 기체를 도입함으로써, 챔버(20) 내의 각 챔버 내의 압력을 조정한다.
<음료 충전 장치(10)의 구체적 구성>
다음으로, 도 2를 이용하여, 상기 개략 구성을 적용한 음료 충전 장치(10)의 구체적인 구성의 일례에 대해 설명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음료 충전 장치(10)에서는, 챔버(20) 내의 제1 챔버(21)~후방 챔버(24)의 각 챔버가 서로 대향되어 있다. 이들 제1 챔버(21)~후방 챔버(24)는 각각 모듈화되어 있다. 이로써, 각 챔버를 서로 분리 또는 접속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제1 챔버(21)~후방 챔버(24) 내에는 각각, 개별 반송 장치(13)가 구비되어 있다. 각 반송 장치(13)에는, 용기(120)를 파지하는 그리퍼(130)가 구비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제1 챔버(21) 내의 반송 장치(13)에는 제1 그리퍼(131)가 구비되고, 제2 챔버(22) 내의 반송 장치(13)에는 제2 그리퍼(132)가 구비되고, 전방 챔버(23) 내의 반송 장치(13)에는 제3 그리퍼(133)가 구비되고, 후방 챔버(24) 내의 반송 장치(13)에는 제4 그리퍼(134)가 구비되어 있다.
각 그리퍼(131~134)는 굴곡 가능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예를 들어, 각 그리퍼(131~134)는,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용기(120)를 파지하는 선단부, 본체부, 및 선단부와 본체부를 회전 가능하게 접속하는 접속 핀을 포함한다. 이로써 각 그리퍼(131~134)는, 선단부가 접속 핀을 중심으로 하여 본체부에 대해 절곡되어, 굴곡 가능하게 된다.
제1 챔버(21)에는 개구부(25) 및 개구부(26)가 구비되어 있다. 개구부(25)는 제1 챔버(21)와 전방 챔버(23)를 연통시킨다. 개구부(26)는 제1 챔버(21)와 후방 챔버(24)를 연통시킨다. 또한, 제1 챔버(21) 내에는, 제1 충전부(101)의 노즐과, 제1 세정살균부(102)의 샤워 헤드가 각각 돌출되어 있다. 또한, 제1 챔버(21)에는, 제1 챔버(21)를 다른 챔버로부터 격리하는 격리부(30)가 구비되어 있다. 격리부(30)는, 예를 들어 슬라이딩함으로써 개구부(25) 및 개구부(26)의 개폐를 가능하게 하는 제1 격리부로서의 제1 셔터(30A)로 구성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제2 챔버(22)에는 개구부(27) 및 개구부(28)가 구비되어 있다. 개구부(27)는 제2 챔버(22)와 전방 챔버(23)를 연통시킨다. 개구부(28)는 제2 챔버(22)와 후방 챔버(24)를 연통시킨다. 또한, 제2 챔버(22) 내에는, 제2 충전부(103)의 노즐과, 제2 세정/살균부(104)의 샤워 헤드가 각각 돌출되어 있다. 또한, 제2 챔버(22)에는, 제2 챔버(22)를 다른 챔버로부터 격리하는 격리부(30)가 구비되어 있다. 격리부(30)는, 예를 들어 슬라이딩함으로써 개구부(27) 및 개구부(28)의 개폐를 가능하게 하는 제2 격리부로서의 제2 셔터(30B)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도 2에서는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전방 챔버(23)에는 챔버 입구 또는 용기 세정/살균부(100)가 구비되고, 후방 챔버(24)에는 챔버 출구 또는 캡핑부(105)가 구비되어 있다.
여기에서, 도 3의 (A) 및 (B)를 이용하여, 격리부(30)와 반송 장치(13)의 그리퍼(130)의 관계에 대해, 제1 챔버(21)가 전방 챔버(23)와 격리되지 않는 경우 및 격리되는 경우의 2가지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또한, 이하에서 제1 챔버(21)가 다른 챔버와, 혹은 제2 챔버(22)가 격리되는 경우도 동일하다.
도 3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격리부(30)로서의 제1 셔터(30A)가 열려서, 제1 챔버(21)가 전방 챔버(23)와 격리되지 않는 경우, 제1 챔버(21) 내의 제1 그리퍼(131)는, 전방 챔버(23) 내의 제3 그리퍼(133)에 도달하도록 연장된 상태가 된다. 이로써, 제3 그리퍼(133)로부터 제1 그리퍼(131)에 용기(120)를 전달할 수 있다.
도 3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격리부(30)로서의 제1 셔터(30A)가 닫혀서, 제1 챔버(21)가 전방 챔버(23)와 격리되는 경우, 제1 챔버(21) 내의 제1 그리퍼(131)는, 예를 들어 용기(120)를 파지하는 선단부가 선단부 이외에 대해 절곡됨으로써, 굴곡된 상태가 된다. 즉, 제1 셔터(30A)에 대해 후퇴 가능한 상태가 되어 있다. 이로써, 제1 셔터(30A)를 확실하게 닫을 수 있다. 선단부가 선단부 이외에 대해 절곡되는 각도는, 예를 들어 0도 초과 180도 미만이다. 이러한 각도는, 제1 그리퍼(131)의 선단이 셔터의 방해가 되지 않도록, 90도 초과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3의 (B)에서는, 선단부가 선단부 이외에 대해 절곡되는 각도가 90도인 경우를 예로 보여주고 있다.
<음료 용기의 제조 공정>
다음으로, 도 4를 이용하여, 본 실시형태에 따른 용기에 담긴 음료의 제조 방법에서의 제조 공정을 설명한다. 또한, 이하에서는 제조 장치(15)에 의해 모든 제조 공정이 자동으로 개시되는 경우를 설명하지만, 제조 공정의 전부 또는 일부가 제조자에 의해 수동으로 개시될 수도 있다.
(단계 SP10)
제어 장치(15)는, 반송 장치(13)의 지난 번 반송지가 제1 챔버(21)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제어 장치(15)는, 상기 판단이 긍정 판단인 경우, 단계 SP12의 공정으로 이행한다. 제어 장치(15)는, 상기 판단이 부정 판단인 경우, 단계 SP11의 공정으로 이행한다.
(단계 SP11)
제어 장치(15)는 전환부(106)에 제어 신호를 송신한다. 전환부(106)는, 해당 제어 신호에 따라 반송 장치(13)에 의한 용기(120)의 반송지를 제1 챔버(21)로 전환한다. 그리고, 제어 장치(15)는 다음 단계 SP13의 공정으로 이행한다.
(단계 SP12)
제어 장치(15)는 전환부(106)에 제어 신호를 송신한다. 전환부(106)는, 해당 제어 신호에 따라 반송 장치(13)에 의한 용기(120)의 반송지를 제2 챔버(22)로 전환한다. 그리고, 제어 장치(15)는 다음 단계 SP13의 공정으로 이행한다.
(단계 SP13)
제어 장치(15)는 프리폼 성형 장치(11)에 제어 신호를 송신한다. 프리폼 성형 장치(11)는, 해당 제어 신호에 따라 용기(120)의 프리폼(모재)을 성형한다. 프리폼 성형 후, 제어 장치(15)는 반송 장치(13)에 제어 신호를 송신한다. 반송 장치(13)는, 해당 제어 신호에 따라 용기(120)의 프리폼을 블로우 성형 장치(12)를 향해 반송한다. 그리고, 제어 장치(15)는 다음 단계 SP14의 공정으로 이행한다.
(단계 SP14)
제어 장치(15)는, 용기(120)의 프리폼이 블로우 성형 장치(12)로 반송되면, 블로우 성형 장치(12)에 제어 신호를 송신한다. 블로우 성형 장치(12)는, 해당 제어 신호에 따라 용기(120)의 프리폼에 블로우 성형을 실시함으로써 용기(120)를 성형한다. 용기(120)의 성형 후, 제어 장치(15)는 반송 장치(13)에 제어 신호를 송신한다. 반송 장치(13)는, 해당 제어 신호에 따라 음료 충전 장치(10)의 챔버 입구를 향해 용기(120)를 반송한다. 그리고, 제어 장치(15)는 다음 단계 SP15의 공정으로 이행한다. 또한, 이하에서는, 반송 장치(13)는, 수시로 제어 장치(15)에 의해 제어 신호를 수신함으로써 반송이 개시되지만, 한 번 제어 신호를 수신하면 패키징 장치(14)까지 계속 반송할 수도 있다.
(단계 SP15)
제어 장치(15)는, 용기(120)가 음료 충전 장치(10)의 전방 챔버(23) 내 반송되면, 용기 세정/살균부(100)에 제어 신호를 송신한다. 용기 세정/살균부(100)는, 해당 제어 신호에 따라 노즐로부터 세정액을 분사하여 용기(120)를 세정한다. 세정 후, 용기 세정/살균부(100)는, 노즐로부터 살균액을 분사하여 용기(120)를 살균한다. 또한, 챔버(20)의 내부는, 후술하는 단계 SP20의 세정 및 살균에 의해 무균 상태가 유지되고 있다. 세정 및 살균 후, 제어 장치(15)는 반송 장치(13)에 제어 신호를 송신한다. 반송 장치(13)는, 해당 제어 신호에 따라, 전환부(106)에 의해 전환된 반송지로 용기(120)를 반송한다. 그리고, 제어 장치(15)는, 다음 단계 SP16의 공정으로 이행한다.
(단계 SP16)
제어 장치(15)는 압력 조정부(107)에 제어 신호를 송신한다. 압력 조정부(107)는, 해당 제어 신호에 따라, 음료가 충전되는 제1 챔버(21) 내의 압력을 단계 SP20에 의해 세정 및 살균 중인 제2 챔버(22) 내의 압력보다 높게 조정한다. 제1 챔버(21)와 제2 챔버(22)의 압력차는, 예를 들어 무균 상태를 유지한다는 이유에서 바람직하게는 2 Pa 이상, 더 바람직하게는 5 Pa 이상, 더 바람직하게는 10 Pa 이상이다. 또한, 양압 유지를 위한 에너지 효율이라는 이유에서 바람직하게는 12 kPa 이하, 더 바람직하게는 15 Pa 이하이다. 압력 조정 후, 제어 장치(15)는 제1 충전부(101)에 제어 신호를 송신한다. 제1 충전부(101)는 해당 제어 신호에 따라 노즐로부터 용기(120)에 음료를 충전한다.
마찬가지로, 제어 장치(15)는 압력 조정부(107)에 제어 신호를 송신한다. 압력 조정부(107)는, 해당 제어 신호에 따라, 음료가 충전되는 제2 챔버(22) 내의 압력을 단계 SP20에 의해 세정 및 살균 중인 제1 챔버(21) 내의 압력보다 높게 조정한다. 제1 챔버(21)와 제2 챔버(22)의 압력차는, 상기와 마찬가지로 2 kPa 이상 12 kPa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압력 조정 후, 제어 장치(15)는, 제2 충전부(103)에 제어 신호를 송신한다. 제2 충전부(104)는, 해당 제어 신호에 따라 노즐로부터 용기(120)에 음료를 충전한다.
음료의 충전 후, 제어 장치(15)는 반송 장치(13)에 제어 신호를 송신한다. 반송 장치(13)는, 해당 제어 신호에 따라 후방 챔버(24)를 향해 용기(120)를 반송한다. 그리고, 제어 장치(15)는 다음 단계 SP17의 공정으로 이행한다.
(단계 SP17)
제어 장치(15)는, 용기(120)가 후방 챔버(24)에 반송되면, 캡핑부(105)에 제어 신호를 송신한다. 캡핑부(105)는, 해당 제어 신호에 따라 용기(120)를 캡핑 및 밀폐한다. 캡핑 및 밀폐 후, 제어 장치(15)는 반송 장치(13)에 제어 신호를 송신한다. 반송 장치(13)는, 해당 제어 신호에 따라, 챔버 출구를 통해 챔버(20) 외부의 패키징 장치(14)를 향해 용기(120)를 반송한다. 그리고, 제어 장치(15)는 다음 단계 SP18의 공정으로 이행한다.
(단계 SP18)
제어 장치(15)는, 용기(120)가 패키징 장치(14)에 반송되면, 해당 패키징 장치(14)에 제어 신호를 송신한다. 패키징 장치(14)는 해당 제어 신호에 따라 용기(120)를 포장한다. 이로써, 용기(120)에 음료가 충전된 음료 용기가 제조된다. 그리고, 제어 장치(15)는 다음 단계 SP19의 공정으로 이행한다.
(단계 SP19)
제어 장치(15)는, 음료의 종류에 변경이 있는지, 혹은 모든 제조가 종료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제어 장치(15)는, 상기 판단이 긍정 판단인 경우에 단계 SP20의 공정으로 이행한다. 제어 장치(15)는, 상기 판단이 부정 판단인 경우에 단계 SP13의 공정으로 이행한다.
또한, 상기 제조 공정에서는 하나의 음료 용기가 제조되고 나서 다음 음료 용기가 제조되지만, 음료의 종류가 동일한 경우에는 하나의 음료 용기의 제조 중에 같은 반송지(제1 챔버(21) 또는 제2 챔버(22))를 이용하여 다음 음료 용기의 제조를 개시해도 된다. 즉, 복수의 음료 용기를 동시에 제조할 수도 있다.
(단계 SP20)
제어 장치(15)는, 충전에 사용된 챔버(20) 내의 장소에 따라 격리부(30)에 제어 신호를 송신한다. 예를 들어 충전에 사용된 장소가 제1 챔버(21)인 경우, 격리부(30)는 해당 제어 신호에 따라 제1 챔버(21)를 격리한다. 또한, 충전에 사용된 장소가 제2 챔버(22)인 경우, 격리부(30)는 해당 제어 신호에 따라 제2 챔버(22)를 격리한다.
격리 후, 제어 장치(15)는, 충전에 사용된 챔버(20) 내의 장소에 따라, 제1 세정/살균부(102) 또는 제2 세정/살균부(104)에 제어 신호를 송신한다. 예를 들어, 충전에 사용된 장소가 제1 챔버(21)인 경우, 제1 세정/살균부(102)는 제어 신호에 따라 제1 챔버(21)와 제1 충전부(101) 각각의 세정 및 살균을 개시한다. 또한, 예를 들어 충전에 사용된 장소가 제2 챔버(22)인 경우, 제2 세정/살균부(104)는 제어 신호에 따라 제2 챔버(22)와 제2 충전부(103) 각각의 세정 및 살균을 개시한다. 이 때, 도시되지 않은 세정/살균부에 의해 전방 챔버(23)와 후방 챔버(24) 각각의 세정 및 살균도 개시된다. 이에 따라, 챔버(20)의 내부가 무균 상태로 유지된다.
여기에서, 전방 챔버(23)와 후방 챔버(24)의 세정 및 살균은, 음료가 튀거나 하지 않고, 제1 충전부(101) 등의 세정 및 살균도 불필요하므로, 제1 챔버(21)와 제1 충전부(101) 혹은 제2 챔버(22)와 제2 충전부(103)의 세정 및 살균보다, 예를 들어 1/3 이하의 시간 등으로 빠른 시간에 끝낼 수 있다.
따라서, 제어 장치(15)는, 음료의 종류에 변경이 있는 경우, 예를 들어 전방 챔버(23) 및 후방 챔버(24)의 세정 및 살균이 끝난 후에, 단계 SP10의 공정으로 돌아간다. 혹은, 제어 장치(15)는, 챔버(20) 내에 용기(120)가 들어가기 전에 전방 챔버(23) 및 후방 챔버(24)의 세정 및 살균이 끝나는 것을 예측하여 세정 및 살균의 개시와 동시에, 단계 SP10의 공정으로 돌아갈 수도 있다. 또한, 제어 장치(15)는 모든 제조가 종료된 경우에는 도 4에 도시된 처리를 끝낸다.
이로써, 단계 SP10에서 반송 장치(13)의 반송지가 지난 번 반송지와 다른 반송지로 전환되고, 단계 SP16에서는 제1 충전부(101) 및 제2 충전부(103) 중 지난 번 충전부와 다른 충전부에서 용기(120)에 음료가 충전된다. 즉, 제1 충전부(101)는, 제2 챔버(22) 및 제2 충전부(103)가 각각 세정 및 살균되고 있는 동안에, 제1 챔버(21)에서 용기(120)에 음료를 충전하게 된다. 또한, 제2 충전부(103)는, 제1 챔버(21) 및 제1 충전부(101)가 각각 세정 및 살균되고 있는 동안에, 제2 챔버(22)에서 용기(120)에 음료를 충전하게 된다.
<작용>
다음으로, 본 실시형태에 따른 음료 충전 장치(10)의 작용에 대해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음료 충전 장치(10)의 구성에 의하면, 제1 챔버(21)에서 용기(120)에 음료가 충전되고 있는 동안에 제2 챔버(22) 및 제2 충전부(103)가 각각 세정 및 살균된다. 또한, 같은 구성에 의하면, 제2 챔버(22)에서 용기(120)에 음료가 충전되고 있는 동안에 제1 챔버(21) 및 제1 충전부(101)가 각각 세정 및 살균된다. 그 결과, 용기(120)에 음료가 충전된 음료 용기의 제조 시 발생하는 휴지 시간을 저감할 수 있다.
특히, 전방 챔버(23) 및 후방 챔버(24)의 세정 및 살균이 끝난 직후에 단계 SP10의 공정으로 돌아가 제조를 재개하면, 휴지 시간을 더욱더 저감할 수 있다. 또한, 세정 및 살균의 개시와 동시에 단계 SP10의 공정으로 돌아가 제조를 재개하면, 사람에 의한 세정 등의 확인 작업을 제외하고 휴지 시간을 0으로 만드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전환부(106)가, 반송 장치(13)에 의한 용기(120)의 반송지를 제1 챔버(21) 또는 제2 챔버(22)로 전환한다. 그 결과, 반송지를 수작업으로 전환할 필요가 없고, 전환에 따른 휴지 시간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용기(120)를 세정 및 살균하는 용기 세정/살균부(100)가, 제1 챔버(21) 및 제2 챔버(22) 중 어느 하나에 용기(120)가 반송되기 전에 제1 챔버(21) 및 제2 챔버(22) 공통으로 이용되게 된다. 그 결과, 용기 세정/살균부(100)를 제1 챔버(21)용과 제2 챔버(22)용으로 따로따로 구비하는 경우에 비해 설비 비용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용기(120)에 대해 타전하는 캡핑부(105)가, 제1 챔버(21) 및 제2 챔버(22) 중 어느 하나로부터 용기가 반송된 후에 제1 챔버 및 제2 챔버 공통으로 이용되게 된다. 그 결과, 캡핑부(105)를 제1 챔버(21)용과 제2 챔버(22)용으로 따로따로 구비하는 경우에 비해 설비 비용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압력 조정부(107)가, 제1 챔버(21) 및 제2 챔버(22) 중 용기(120)에 음료가 충전되는 하나의 챔버 내의 압력을, 용기(120)에 음료가 충전되는 동안에 세정 및 살균되는 다른 챔버 내의 압력보다 높게 조정한다. 이로 인해, 다른 챔버에 미처 격리하지 못한 손상 부위가 있더라도, 이러한 손상 부위를 통해 다른 챔버 내의 세정액 등이 하나의 챔버 내로 들어가는 것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제1 챔버(21)와 제2 챔버(22)를 격리하는 것이 제1 셔터(30A)와 제2 셔터(30B)로 구분되므로, 별개의 타이밍으로 제1 챔버(21)와 제2 챔버(22)를 격리할 수 있고, 효율적으로 음료 용기를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제1 그리퍼(131)는 제1 셔터(30A)에 대해 후퇴 가능한 구성으로 되어 있으며, 제2 그리퍼(132)는 제2 셔터(30B)에 대해 후퇴 가능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제1 챔버(21) 또는 제2 챔버(22)가 격리될 때에는 격리부(30)에 방해가 되지 않도록 후퇴한다. 그 결과, 제1 챔버(21)와 제2 챔버(22)를 더욱 확실하게 격리할 수 있다.
또한, 제1 그리퍼(131)는, 제1 셔터(30A)가 열려서 제1 챔버(21)가 격리되지 않는 경우에 연장된 상태가 되고, 제1 셔터(30A)가 닫혀서 제1 챔버(21)가 격리되는 경우에는 굴곡되어 제1 셔터(30A)에 대해 후퇴하고, 제2 그리퍼(132)는, 제2 셔터(30B)가 열려서 제2 챔버(22)가 격리되지 않는 경우에 연장된 상태가 되고, 제2 셔터가 닫혀서 제2 챔버(22)가 격리되는 경우에는 굴곡되어 제2 셔터(30B)에 대해 후퇴한다. 그 결과, 제1 챔버(21) 또는 제2 챔버(22)가 격리되지 않는 경우에는 제1 그리퍼 또는 제2 그리퍼가 연장된 상태가 되므로, 챔버(20) 내에 존재할 수 있는 다른 챔버에 구비되는 그리퍼(제3 그리퍼(133) 또는 제4 그리퍼(134)) 등과 용기를 주고 받을 수 있다. 또한, 제1 챔버(21) 또는 제2 챔버(22)가 격리될 때에는, 제1 그리퍼(131) 또는 제2 그리퍼(132)가 격리부(30)에 방해가 되지 않도록 굴곡된다. 그 결과, 제1 챔버(21)와 제2 챔버(22)를 더욱 확실하게 격리할 수 있다.
<변형예>
이상,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러한 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당업자라면, 특허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사상의 범주 내에서 각종 변형예 또는 수정예를 생각해 낼 수 있음이 명백하며, 이들에 대해서도 당연히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예를 들어,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 용기에 음료를 충전하는 충전부가 구비되는 챔버는 제1 챔버(21)와 제2 챔버(22) 2개인 경우를 설명하였지만, 2개에 한정되지 않고 3개 이상일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는, 제1 챔버(21)와 제2 챔버(22) 외에 충전부가 구비된 제3 챔버와 제4 챔버를 포함하고, 제1 챔버(21)와 제2 챔버(22)와 마찬가지로 제3 챔버와 제4 챔버에서도 교대로 충전과 살균이 반복될 수도 있다. 또한, 제1 챔버(21)와 제2 챔버(22) 외에 제3 챔버를 포함하고, 제2 챔버(22)가 살균되고 있는 동안에 제1 챔버(21)와 제3 챔버에서 동시에 충전되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제1 챔버와 제2 챔버는 모듈화되고 분리 가능하게 되어 있는 경우를 설명하였지만, 분리 가능하지 않도록 일체로 되어있을 수도 있다.
또한, 제1 그리퍼(131)~제4 그리퍼(134)는 격리부(30)에 의한 격리 시에 굴곡되는 경우를 설명하였지만, 예를 들어, 수축, 슬라이딩 또는 회전하도록 하여 격리부(30)에 대해 후퇴하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제1 챔버(21) 등의 살균에는 살균액을 분사하는 경우를 설명하였지만, 살균액의 분사 대신에 전자 빔의 조사를 수행해도 된다. 또한, 세정 및 살균은, 세정액과 살균액을 혼합하여 동시에 수행해도 된다.
또한, 압력 조정부(107)는, 단계 SP16, 즉 음료의 충전 직전에 압력을 조정하는 경우를 설명하였지만, 예를 들어 단계 SP20 이후라면, 조정 타이밍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10 음료 충전 장치
13 반송 장치(반송부)
20 챔버
21 제1 챔버
22 제2 챔버
23 전방 챔버
24 후방 챔버
30 격리부
30A 제1 셔터(제1 격리부)
30B 제2 셔터(제2 격리부)
100 용기 세정/살균부
101 제1 충전부
102 제1 세정/살균부
103 제2 충전부
104 제2 세정/살균부
105 캡핑부
106 전환부
107 압력 조정부
120 용기
130 그리퍼
131 제1 그리퍼
132 제2 그리퍼
133 제3 그리퍼
134 제4 그리퍼

Claims (9)

  1. 각각 격리 가능하게 되어 있는 제1 챔버 및 제2 챔버, 전방 챔버 및 후방 챔버를 가지는 챔버로, 전방 챔버 및 후방 챔버는 모두 제1 챔버 및 제2 챔버와 직접 연통하는, 챔버;
    상기 챔버 내에서 용기를 상기 전방 챔버로부터 상기 제1 챔버 및 상기 제2 챔버 중 어느 하나에 반송하는 반송부;
    상기 제1 챔버에 구비되고, 상기 제1 챔버에 반송된 상기 용기에 음료를 충전하도록 구성되는 제1 충전부;
    상기 제2 챔버에 구비되고, 상기 제2 챔버에 반송된 상기 용기에 음료를 충전하도록 구성되는 제2 충전부;
    상기 제1 챔버에 구비되는 제1 세정 및 살균부로, 상기 제1 세정 및 살균부는 상기 제2 챔버에서 상기 용기에 음료가 충전되고 있는 동안에, 상기 제1 챔버를 격리하여 상기 제1 챔버 및 상기 제1 충전부를 각각 세정 및 살균하도록 구성되는, 제1 세정 및 살균부;
    상기 제2 챔버에 구비되는 제2 세정 및 살균부로, 상기 제2 세정 및 살균부는 상기 제1 챔버에서 상기 용기에 음료가 충전되고 있는 동안에, 상기 제2 챔버를 격리하여 상기 제2 챔버 및 상기 제2 충전부를 각각 세정 및 살균하도록 구성되는, 제2 세정 및 살균부
    를 포함하는 음료 충전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반송부에 의한 상기 용기의 반송지를 상기 제1 챔버 또는 상기 제2 챔버로 전환하는 전환부를 더 포함하는 음료 충전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 챔버에 구비되고, 상기 전방 챔버에 반송된 용기를 세정 및 살균하도록 구성되는 용기 세정 및 살균부를 더 포함하는 음료 충전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후방 챔버에 구비되고, 상기 후방 챔버에 반송된 용기에 대해 타전하도록 구성되는 캡핑부를 더 포함하는 음료 충전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챔버 및 상기 제2 챔버 중 상기 용기에 음료가 충전되는 하나의 챔버 내의 압력을, 상기 용기에 음료가 충전되는 동안에 세정 및 살균되는 다른 챔버 내의 압력보다 높게 조정하는 압력 조정부를 더 포함하는 음료 충전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챔버에 구비되고, 상기 제1 챔버를 격리하는 제1 격리부; 및
    상기 제2 챔버에 구비되고, 상기 제2 챔버를 격리하는 제2 격리부를 더 포함하는 음료 충전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반송부는, 상기 제1 챔버 내에 구비되고 상기 용기를 파지하는 제1 그리퍼와, 상기 제2 챔버 내에 구비되고 상기 용기를 파지하는 제2 그리퍼를 포함하며,
    상기 제1 그리퍼는, 상기 제1 격리부에 대해 후퇴 가능한 구성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 그리퍼는, 상기 제2 격리부에 대해 후퇴 가능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음료 충전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격리부는, 슬라이딩함으로써 상기 제1 챔버를 격리하는 제1 셔터를 포함하고,
    상기 제2 격리부는, 슬라이딩함으로써 상기 제2 챔버를 격리하는 제2 셔터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그리퍼는, 상기 제1 셔터가 열려서 상기 제1 챔버가 격리되지 않는 경우에 연장된 상태가 되고, 상기 제1 셔터가 닫혀서 상기 제1 챔버가 격리되는 경우에는 굴곡되어 상기 제1 셔터에 대해 후퇴하며,
    상기 제2 그리퍼는, 상기 제2 셔터가 열려서 상기 제2 챔버가 격리되지 않는 경우에 연장된 상태가 되고, 상기 제2 셔터가 닫혀서 상기 제2 챔버가 격리되는 경우에는 굴곡되어 상기 제2 셔터에 대해 후퇴하는, 음료 충전 장치.
  9. 챔버 내에서 수행되는 용기에 담긴 음료의 제조 방법으로서,
    상기 챔버는 제1 챔버, 상기 제1 챔버와는 격리 가능하게 되어 있는 제2 챔버, 전방 챔버 및 후방 챔버를 가지며, 전방 챔버 및 후방 챔버는 모두 제1 챔버 및 제2 챔버와 직접 연통하고, 상기 방법은,
    상기 챔버 내에서 용기를 상기 전방 챔버로부터 상기 제1 챔버에 반송하는 제1 공정;
    상기 제1 공정에 의해 상기 용기가 상기 전방 챔버로부터 상기 제1 챔버에 반송된 경우에, 상기 제1 챔버에 구비된 제1 충전부를 이용하여 상기 용기에 음료를 충전하는 제2 공정;
    상기 제2 공정 후에 상기 용기가 상기 제1 챔버로부터 상기 후방 챔버에 직접 반송된 경우에, 상기 제1 챔버를 격리하여 상기 제1 챔버 및 상기 제1 충전부를 각각 세정 및 살균하는 제3 공정;
    상기 제2 공정 후 상기 제3 공정이 끝나기 전에, 상기 용기의 반송지를 상기 제2 챔버로 전환하여 상기 용기를 반송하는 제4 공정; 및
    상기 제4 공정에 의해 상기 용기가 상기 제2 챔버에 반송된 경우에, 상기 제2 챔버에 구비된 제2 충전부를 이용하여 상기 용기에 음료를 충전하는 제5 공정을 포함하는, 용기에 담긴 음료의 제조 방법.
KR1020187023337A 2016-01-18 2017-01-17 음료 충전 장치 및 용기에 담긴 음료의 제조 방법 KR10265999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6-006927 2016-01-18
JP2016006927A JP7149685B2 (ja) 2016-01-18 2016-01-18 飲料充填装置及び容器入り飲料の製造方法
PCT/JP2017/001300 WO2017126483A1 (ja) 2016-01-18 2017-01-17 飲料充填装置及び容器入り飲料の製造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01534A KR20180101534A (ko) 2018-09-12
KR102659996B1 true KR102659996B1 (ko) 2024-04-24

Family

ID=593623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23337A KR102659996B1 (ko) 2016-01-18 2017-01-17 음료 충전 장치 및 용기에 담긴 음료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7149685B2 (ko)
KR (1) KR102659996B1 (ko)
CN (1) CN108473292A (ko)
WO (1) WO201712648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52048A1 (ja) * 2016-09-14 2018-03-22 澁谷工業株式会社 充填システム
DE102017215860A1 (de) * 2017-09-08 2019-03-14 Krones Aktiengesellschaft Behälterbehandlungsanlage und Verfahren zum Herstellen zweier getrennter Bereiche in einer solchen Anlage
CN111361979B (zh) * 2020-02-28 2021-10-29 江苏新美星包装机械股份有限公司 一种拨轮盘输送机构
CN112683586B (zh) * 2020-12-14 2024-03-26 西安奕斯伟材料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取样装置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37936A (ja) * 2002-02-15 2003-08-27 Mitsubishi Heavy Ind Ltd クリーンチャンバー開口部の遮断装置
JP2010070200A (ja) 2008-09-17 2010-04-02 Hitachi Zosen Corp 多品種少量生産用の充填ライン設備
WO2013094587A1 (ja) 2011-12-22 2013-06-27 大日本印刷株式会社 飲料充填方法及び装置
JP2014213877A (ja) * 2013-04-24 2014-11-17 澁谷工業株式会社 充填システム
JP2015129022A (ja) 2015-04-02 2015-07-16 大日本印刷株式会社 飲料充填装置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487393B2 (ja) * 2000-07-25 2010-06-23 シブヤマシナリー株式会社 ガス入り飲料製造ライン
CN103588154B (zh) * 2008-05-20 2016-07-27 大日本印刷株式会社 饮料填充装置
EP3120940B1 (en) * 2012-12-21 2021-11-17 Dai Nippon Printing Co., Ltd. Beverage filling method
CN204824121U (zh) * 2015-07-31 2015-12-02 山东新华医疗器械股份有限公司 吹灌封一体设备在线清洗和在线灭菌系统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37936A (ja) * 2002-02-15 2003-08-27 Mitsubishi Heavy Ind Ltd クリーンチャンバー開口部の遮断装置
JP2010070200A (ja) 2008-09-17 2010-04-02 Hitachi Zosen Corp 多品種少量生産用の充填ライン設備
WO2013094587A1 (ja) 2011-12-22 2013-06-27 大日本印刷株式会社 飲料充填方法及び装置
JP2014213877A (ja) * 2013-04-24 2014-11-17 澁谷工業株式会社 充填システム
JP2015129022A (ja) 2015-04-02 2015-07-16 大日本印刷株式会社 飲料充填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01534A (ko) 2018-09-12
JP2017128340A (ja) 2017-07-27
WO2017126483A1 (ja) 2017-07-27
JP7149685B2 (ja) 2022-10-07
CN108473292A (zh) 2018-08-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59996B1 (ko) 음료 충전 장치 및 용기에 담긴 음료의 제조 방법
US8770957B2 (en) Blow moulding machine, method of exchanging blow moulding station components and beverage filling plant and/or beverage container production plant
US10870564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leaning filler
CN103917453B (zh) 饮料填充方法及其装置
US11753287B2 (en) Aseptic filling apparatus and method of decontaminating the same
JP6056930B1 (ja) 無菌充填装置及びその浄化方法
CN102773998B (zh) 无菌排出空气的无菌吹塑机
JP6439949B2 (ja) 無菌充填装置及びその浄化方法
CN102431149B (zh) 包装处理装置
CN105829065A (zh) 吹塑成型机及其杀菌方法
JP2020029310A (ja) 炭酸飲料無菌充填システム
CN105939936A (zh) 容器的杀菌方法和装置
CN215550831U (zh) 用于将塑料预成型坯形成塑料容器的设备
JP6131999B1 (ja) 無菌充填装置及びその浄化方法
JP2022160705A (ja) 殺菌方法
JP2019023115A (ja) 無菌充填装置及びその浄化方法
JP6735705B2 (ja) 無菌充填装置及びその浄化方法
JP6132000B1 (ja) 無菌充填装置及びその浄化方法
JP6252665B2 (ja) 無菌充填装置及びその浄化方法
CN220056341U (zh) 一种带无菌仓的注吹罐一体机
JP2017128395A (ja) 無菌充填装置及びその浄化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