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58348B1 - 음료 파우치용 스파우트 - Google Patents

음료 파우치용 스파우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58348B1
KR102658348B1 KR1020230180209A KR20230180209A KR102658348B1 KR 102658348 B1 KR102658348 B1 KR 102658348B1 KR 1020230180209 A KR1020230180209 A KR 1020230180209A KR 20230180209 A KR20230180209 A KR 20230180209A KR 102658348 B1 KR102658348 B1 KR 1026583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eck
pouch
discharge passage
spout
w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1802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우방
Original Assignee
케이피지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케이피지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케이피지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301802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5834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583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58348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5/00Packages comprising articles or materials partially or wholly enclosed in strips, sheets, blanks, tubes, or webs of flexible sheet material, e.g. in folded wrappers
    • B65D75/52Details
    • B65D75/58Opening or contents-removing devices added or incorporated during package manufacture
    • B65D75/5861Spouts
    • B65D75/5872Non-integral spouts
    • B65D75/5883Non-integral spouts connected to the package at the sealed junction of two package wa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38Devices for discharging contents
    • B65D25/40Nozzles or spouts
    • B65D25/48Separable nozzles or spou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39/00Closures arranged within necks or pouring openings or in discharge apertures, e.g. stoppers
    • B65D39/0005Closures arranged within necks or pouring openings or in discharge apertures, e.g. stoppers made in one piece
    • B65D39/0029Plastic closures other than those covered by groups B65D39/0011 - B65D39/0023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5/00Packages comprising articles or materials partially or wholly enclosed in strips, sheets, blanks, tubes, or webs of flexible sheet material, e.g. in folded wrappers
    • B65D75/28Articles or materials wholly enclosed in composite wrappers, i.e. wrappers formed by associating or interconnecting two or more sheets or blan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posite Materials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 Bag Fram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부를 완전 밀폐시켜 내용물의 저장과 내용물의 부패를 방지하는 동시에 사용자가 내용물을 1회에 전부 마시거나 또는 내용물의 일부를 다수회(여러 번) 나누어서 마실수 있도록 임시 밀폐가 가능하도록 구현한 음료 파우치용 스파우트에 관한 것으로, 파우치 필름 사이에 내재되어 융착되는 숄더; 파우치 필름으로부터 노출되도록 상기 숄더의 상단에 일체화되는 목부; 파우치에 수용되어 있는 내용물을 배출시킬 수 있도록 상기 숄더와 상기 목부를 관통하고 형성되는 배출 통로; 및 상기 배출 통로를 밀폐시키면서 상기 목부와 일체로 연장 형성되며, 상기 목부로부터 분리됨에 따라 상기 배출 통로를 개방시켜 주는 캡;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음료 파우치용 스파우트{Spout for beverage pouch}
본 발명은 음료 파우치용 스파우트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내부를 완전 밀폐시켜 내용물의 저장 또는 내용물의 부패를 방지하는 동시에, 사용자가 내용물을 1회에 전부 마시거나 또는 내용물의 일부를 다수회(여러 번) 나누어서 마실수 있도록 임시 밀폐가 가능하도록 구현한 음료 파우치용 스파우트에 관한 것이다.
파우치를 구성하는 연포장 필름에 배출이 이루어지는 스파우트가 융착되고, 상기 스파우트 일단에 있는 캡이 쉽게 분리되는 구조를 갖는다.
상기 종래 파우치의 스파우트에는 합성수지제 필름 또는 금속제 필름으로 구성된 용기의 일단에 융착부가 형성되고, 상기 융착부에는 내용물을 충진하고 내용물을 배출시키는 통로 역할을 하는 숄더가 형성되며, 상기 숄더에 목부 및 캡이 결합된다. 또한, 상기 숄더와 목부 및 캡으로 구성된 스파우트 파우치의 일단에 실링부를 구성하여 수밀성을 향상시켜 운송이나 취급과정에서 내용물이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공개실용신안 제20-2009-0008168호(2009.08.14. 공개)의 "스파우트 구조체"에서는 숄더가 형성된 목부와, 상기 목부에 나사로 결합되는 캡과, 상기 목부의 토출구에 융착되는 실링부를 갖는 구조를 제공하고 있다.
상기 종래의 건은 개봉하기 이전에 용기에 저장된 내용물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실링부를 설치한 것이다. 개봉시에는 캡의 일단에 형성된 홈으로 실링부를 제거하여 개봉이 이루어져 저장된 내용물을 배출 시키도록 하며, 저장할 경우에는 캡을 목부에 다시 조립하여 밀봉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이 별도의 실링부를 구비한 것은 앞서 상술한 내용과 같이 숄더와 연결된 목부와 캡만으로는 용기를 완전밀폐 하기가 매우 어렵기 때문에 별도의 밀폐수단을 더 구비하여 수밀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목적이다.
상기 별도의 밀폐수단이 구비된 파우치는 목부에 실링부와 캡이 결합되는 등 많은 부품의 결합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이를 제조하기 위해서는 제조비용이 많이 들고, 제품 생산도 다수의 조립 과정으로 복잡하며, 각 부품 간의 조립이 완전하게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 이동 또는 보관할 때 저장물이 유출될 수 있는 단점이 내재되어 있었다.
뿐만 아니라, 기존 파우치용 스파우트의 경우, 제조 단가가 높고, 어린이나 노약자가 오픈이 힘들며, 원형 모양으로 유아 및 어린이가 음용에 불편함이 있을 뿐만 아니라, 재질이 딱딱하여 치아로 오픈 시 치아의 손상을 유발할 수 있다는 문제점 역시 가지고 있었다.
한편, 전술한 배경 기술은 발명자가 본 발명의 도출을 위해 보유하고 있었거나, 본 발명의 도출 과정에서 습득한 기술 정보로서, 반드시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게 공개된 공지기술이라 할 수는 없다.
한국등록특허 제10-2322750호 (2021.11.05. 공고)
본 발명의 일측면은 파우치의 일단과 융착되는 입의 구조와 유사한 타원이나 다각형으로 형성된 숄더와, 상기 숄더 상부에 입의 구조와 유사한 라운딩된 직사각형 형상 또는 타원이나 다각형으로 형성된 목부와 배출 통로를 차단하는 캡을 일체화하여 제조가 용이하도록 하고, 내, 외부를 완전 차단하여 내용물의 밀폐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구현한 음료 파우치용 스파우트를 제공한다.
또한, 음료가 토출되는 배출 통로를 개방하기 위해 분리하였던 마개부를 배출 통로로 재 삽입하여 배출통로를 다시 임시 밀폐시켜 줌으로써, 사용자가 내용물의 일부를 다수회(여러 번) 나누어서 마실수 있도록 임시 밀폐가 가능하도록 구현한 음료 파우치용 스파우트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료 파우치용 스파우트는, 파우치 필름 사이에 내재되어 융착되는 숄더; 파우치 필름으로부터 노출되도록 상기 숄더의 상단에 일체화되는 목부; 파우치에 수용되어 있는 내용물을 배출시킬 수 있도록 상기 숄더와 상기 목부를 관통하고 형성되는 배출 통로; 및 상기 배출 통로를 밀폐시키면서 상기 목부와 일체로 연장 형성되며, 상기 목부로부터 분리됨에 따라 상기 배출 통로를 개방시켜 주는 캡;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숄더는, 내측을 따라 상기 배출 통로가 형성되는 튜브 형태로 형성되는 융착 몸체부; 상기 융착 몸체부의 일측으로부터 연장 형성되는 제1 날개; 상기 제1 날개와 대향하면서 상기 융착 몸체부의 타측으로부터 연장 형성되는 제2 날개; 및 상기 융착 몸체부, 상기 제1 날개 및 상기 제2 날개의 전면 및 후면을 따라 좌우 수평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상하 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다수 개가 형성되는 융착홈;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날개 및 상기 제2 날개는, 파우치 필름과의 융착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좌우측 각 단부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전후 폭이 줄어들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날개 및 상기 제2 날개는, 상기 파우치 필름 사이에 융착된 후 상기 파우치 필름으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최상단에 위치하는 상기 융착홈의 상측 부분의 각 단부가 계단 형상으로 단차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목부는, 상기 융착 몸체부의 형상에 대응하여 모서리가 라운딩 처리된 직사각형 형상 또는 다각형 형상 또는 타원형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융착 몸체부로부터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캡은, 헤드 및 마개부를 구비하여 직사각형 형상의 실봉으로 이루어지지고, 상기 배출 통로를 밀폐시키면서 상기 목부의 상단에 설치되며, 상기 목부로부터 분리됨에 따라 상기 배출 통로를 개방시켜 주는 마개부; 상기 마개부보다 큰 형상으로 상기 마개부의 상단에 설치되는 헤드; 및 금형으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도록 상기 헤드의 전단 및 후단에 각각 함몰 형성되는 금형홈;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마개부는, 상기 목부로부터 용이하게 파단될 수 있도록 하측으로 갈수록 상기 목부와 연결되는 하단 테두리의 외경이 줄어들도록 라운드 처리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캡은, 상기 목부가 내측을 따라 상기 배출 통로가 형성되어 연질(Soft)로 이루어짐에 반하여 사용자가 상기 헤드를 비틂에 따라 상기 마개부의 하단부를 따라 상기 목부로부터 용이하게 분리될 수 있도록 상기 마개부와 상기 헤드가 경질(Hard)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마개부는, 음료가 토출되는 배출 통로를 개방하기 위해 분리하였던 마개부를 배출 통로로 재 삽입하여 배출통로를 다시 임시 밀폐시켜 줌으로써, 사용자가 내용물의 일부를 다수회(여러 번) 나누어서 마실수 있도록 임시 밀폐가 가능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마개부가 상기 목부로부터 분리된 뒤 배출 통로로 다시 삽입되어 상기 배출 통로를 다시 임시 밀폐시켜 줄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마개부는, 두께를 보강하는 동시에 상기 배출 통로로 재 삽입 시 밀폐력을 향상시켜 줄 수 있도록 둘레를 따라 하나 이상의 밀폐 돌기가 돌출되어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목부는, 융착 몸체부 내측과 동일하게 장공으로 이루어지고, 직사각형 형상의 실봉으로 된 마개부 외측 단면적이 장공으로 된 목부의 내측 단면적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음료가 토출되는 배출 통로를 개방하기 위해 분리하였던 마개부를 배출 통로로 재 삽입하여 배출통로를 다시 임시 밀폐시켜 줌으로써, 사용자가 내용물의 일부를 다수회(여러 번) 나누어서 마실수 있도록 임시 밀폐가 가능하게 구성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배출통로가 형성된 숄더 및 목부와, 상기 목부로부터 연장된 캡을 성형에 의해 단일 부품으로 제조함으로써 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단품 구성으로 밀폐성이 향상되어 내용물과 외부를 완전히 차단하여 부패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스파우트 형상에 있어서 사용자가 음료를 마시는 부분이 원형 타입의 스타우터보다 사용자의 입모양에 근접하게 직사각형 형상 또는 다각형 형상의 장공으로 구성되어 사용자가 식음료의 음용이 매우 편리할 뿐만 아니라, 많은 양의 스파우치를 한꺼번에 적재할 수 있어 운송비를 절감할 수 있다.
또한, 힘이 약한 어린이 및 노약자도 쉽게 오픈할 수 있고, 쐐기 모양으로 유아 및 어린이의 음용이 용이하며, 재질이 딱딱하지 않아 사용 시 치아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음료가 토출되는 배출 통로를 개방하기 위해 분리하였던 마개부를 배출 통로로 재 삽입하여 배출통로를 다시 임시 밀폐시켜 줌으로써, 사용자가 내용물의 일부를 다수회(여러 번) 나누어서 마실수 있도록 여러차례 임시 밀폐가 가능한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이하에서 설명할 내용으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범위 내에서 다양한 효과들이 포함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료 파우치용 스파우트의 개략적인 구성과 작동관계를 도시된 도면들이다.
도 3은 도 1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료 파우치용 스파우트의 사용 예시도이다.
도 4는 도 1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료 파우치용 스파우트의 정면도이다.
도 5는 도 1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료 파우치용 스파우트의 저면도와 측면도이다.
도 6는 도 1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료 파우치용 스파우트에서, 음료가 토출되는 배출 통로를 개방하기 위해 분리하였던 마개부를 배출 통로로 재 삽입하여 배출통로를 다시 임시 밀폐시켜 줌으로써, 사용자가 내용물의 일부를 다수회(여러 번) 나누어서 마실수 있도록 임시 밀폐가 가능한 것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는 도 1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료 파우치용 스파우트의 실물사진을 보여준 사진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료 파우치용 스파우트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들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료 파우치용 스파우트(10)는, 숄더(100), 목부(200), 배출 통로(300) 및 캡(400)을 포함한다.
숄더(100)는, 파우치 필름(1) 사이에 내재되어 융착 설치되며, 상단에 목부(200)가 연장 형성되며, 내측을 따라 배출 통로(300)가 연통 형성된다.
일 실시예에서, 숄더(100)는, 융착 몸체부(110), 제1 날개(120), 제2 날개(130) 및 융착홈(140)을 포함할 수 있다.
융착 몸체부(110)는, 내측을 따라 배출 통로(300)가 형성되는 튜브 형태로 형성되며, 제1 날개(120), 제2 날개(130) 및 다수개의 융착홈(140) 등의 구성들이 설치된다.
일 실시예에서, 융착 몸체부(110)는, 직사각형 형상 또는 다각형 형상 또는 타원형 형상 등으로 다양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날개(120)는, 제2 날개(130)와 대향하면서 융착 몸체부(110)의 일측으로부터 연장 형성되며, 전면 및 후면을 따라 다수개의 융착홈(140)이 좌우 수평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제2 날개(130)는, 제1 날개(120)와 대향하면서 융착 몸체부(110)의 타측으로부터 연장 형성되며, 전면 및 후면을 따라 다수개의 융착홈(140)이 좌우 수평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일 실시예에서, 제1 날개(120) 및 제2 날개(130)는, 도 5의 (a)의 저면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우측 각 단부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전후 폭이 줄어들도록 형성됨으로써 파우치 필름(1)과의 융착이 용이하게 이루어지고 파우치 필름(1)들과 숄더(100) 사이의 틈새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날개(120) 및 제2 날개(130)는, 파우치 필름(1) 사이에 융착된 후 파우치 필름(1)으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최상단에 위치하는 융착홈(140)의 상측 부분의 각 단부가 계단 형상으로 단차지도록 형성(150)될 수 있다.
다수개의 융착홈(140)은, 융착 몸체부(110), 제1 날개(120) 및 제2 날개(130)의 전면 및 후면을 따라 좌우 수평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상하 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다수 개가 형성됨으로써, 다층으로 밀폐가 이루어져 압력에 의해 어느 하나의 융착층이 떨어지더라도 다른 융착층에서 밀봉이 이루어짐으로써 내용물의 누출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목부(200)는, 파우치 필름(1)으로부터 노출되도록 숄더(100)의 상단에 일체화되며, 상단에 캡(400)이 연장 형성되며, 내측을 따라 배출 통로(300)가 연통 형성된다.
일 실시예에서, 장공으로 된 목부(200)는, 융착 몸체부(110)의 형상에 대응하여 모서리가 라운딩 처리된 직사각형 형성 또는 다각형 형상 또는 타원형 형상으로 이루어져 융착 몸체부(110)로부터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숄더(100) 및 목부(200)는, 내측 단면적은 보편적으로 많이 사용하고 있는 장공 또는 원형 형태의 단면적이 동일한 크기로 형성되어 저장물의 배출이 저항 없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한다.
배출 통로(300)는, 파우치에 수용되어 있는 내용물을 배출시킬 수 있도록 숄더(100)와 목부(200)를 관통하고 형성되며, 상단 배출구가 캡(400)에 의해 밀봉되며, 사용자가 캡(400)을 비틀어 목부(200)로부터 분리시킴에 따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로 노출되어 파우치 필름(1)에 수용되어 있는 음료가 배출되도록 한다.
직사각형 형상의 실봉(이하 '장실봉'으로 부르기도 한다)으로 된 캡(400)은, 배출 통로(300)를 밀폐시키면서 목부(200)와 일체로 연장 형성되며, 사용자가 비틂에 따라 목부(200)로부터 분리되어 배출 통로(300)를 개방시켜 준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캡(400)은, 장실봉으로 된 마개부(410), 직사각형 형상의 실봉으로 된 헤드(420)으로 이루어지고, 금형홈(430)을 포함할 수 있다.
직사각형 형상의 실봉으로 된 마개부(410)는, 배출 통로(300)를 밀폐시키면서 목부(200)의 상단에 설치되며, 목부(200)로부터 분리됨에 따라 배출 통로(300)를 개방시켜 준다.
일 실시예에서, 마개부(410)는, 목부(200)로부터 용이하게 파단될 수 있도록 하측으로 갈수록 상기 목부와 연결되는 하단 테두리의 외경이 줄어들도록 도 4 등에 도시된 바와 같이 라운드 처리(411)됨으로써,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직사각형 형상의 실봉으로 된 헤드(420)를 비틂에 따라 라운드 처리(411) 분위를 따라 파단되면서 목부(200)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또한, 마개부(410)의 하단이 라운드 처리(411)됨에 따라, 배출 통로(300)로의 삽입이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마개부(410)는, 목부(200)로부터 분리된 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음료가 토출되는 배출 통로를 개방하기 위해 분리하였던 마개부를 배출 통로로 재 삽입하여 배출통로를 다시 임시 밀폐시켜 줌으로써, 사용자가 내용물의 일부를 다수회(여러 번) 나누어서 마실수 있도록 임시 밀폐가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마개부(410)는, 두께를 보강하는 동시에 배출 통로(300)의 내주면을 따라 밀착 안착되어 배출 통로(300)로 재 삽입 시 임시적으로 밀폐력을 향상시켜 줄 수 있도록 도 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둘레를 따라 하나 이상의 밀폐 돌기(440)가 돌출되어 연장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 직사각형 형상의 실봉으로 된 마개부 외측 단면적이 장공으로 된 목부의 내측 단면적보다 크게 형성되게 구성할 수 있다. 그 이유는 마개부 외측과 목부의 내측과의 기밀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다.
직사각형 형상의 실봉(장실봉)으로 된 헤드(420)는, 마개부(410)보다 큰 형상으로 마개부(410)의 상단에 설치된다.
금형홈(430)은, 금형으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도록 헤드(420)의 전단 및 후단에 각각 함몰 형성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캡(400)은, 목부(200)가 내측을 따라 배출 통로(300)가 형성되어 연질(Soft)로 이루어짐에 반하여, 사용자가 헤드(420)를 비틂에 따라 마개부(410)의 하단부를 따라 목부(200)로부터 용이하게 분리될 수 있도록 상기 마개부와 헤드(420)가 경질(Hard)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 실시예로 헤드 및 마개부를 포함하는 캡은 직사각형 형상의 실봉으로 구성하고, 목부는 융착 몸체부 내측과 동일하게 장공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료 파우치용 스파우트(10)는, 연한 재질로 형성하여 외압이 발생할 경우 신축성을 제공하여 탄성변형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재질을 연한 재질로 형성하면 캡(400)의 마개부(410)가 배출통로(300)로 삽입되면 외력에 의해 배출통로(300)가 일정부분 확장되는 변형이 이루어져 변형에 대한 탄성복원력이 작용하여 밀폐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료 파우치용 스파우트(10)의 적용 사례를 간단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사용자는 한손으로 파우치 필름(1)으로 융착된 숄더(100)로 감싸인 목부(200)를 잡고 다른 손으로 캡(400)을 잡아 비틀면, 회전력이 목부(200)와 캡(400)의 연결 부위로 집중되고, 얇게 형성된 목부(200)와 캡(400)의 연결 부위가 파단이 되면서 캡(400)이 분리되어 숄더(100) 및 목부(200) 내부에 구성된 배출통로(300)가 개방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료 파우치용 스파우트(10)는, 배출통로가 형성된 숄더 및 목부와, 상기 목부로부터 연장된 캡을 성형에 의해 단일 부품으로 제조함으로써 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단품 구성으로 밀폐성이 향상되어 내용물과 외부를 완전히 차단하여 부패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힘이 약한 어린이 및 노약자도 쉽게 오픈할 수 있고, 쐐기 모양으로 유아 및 어린이의 음용이 용이하며, 재질이 딱딱하지 않아 사용 시 치아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음료가 토출되는 배출 통로를 개방하기 위해 분리하였던 마개부를 배출 통로로 재 삽입하여 배출 통로를 다시 임시 밀폐시켜 줌으로써, 사용자가 내용물의 일부를 다수회(여러 번) 나누어서 마실수 있도록 임시 밀폐가 가능하도록 구현할 수 있다.
상술된 실시예들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상술된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된 실시예들이 갖는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명세서를 통해 보호받고자 하는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음료 파우치용 스파우트
100: 숄더
110: 융착 몸체부
120: 제1 날개
130: 제2 날개
140: 융착홈
200: 목부
300: 배출 통로
400: 캡
410: 마개부
420: 헤드
430: 금형홈

Claims (13)

  1. 파우치 필름 사이에 내재되어 융착되는 숄더;
    파우치 필름으로부터 노출되도록 상기 숄더의 상단에 일체화되는 목부;
    파우치에 수용되어 있는 내용물을 배출시킬 수 있도록 상기 숄더와 상기 목부를 관통하고 형성되는 배출 통로; 및
    상기 배출 통로를 밀폐시키면서 상기 목부와 일체로 연장 형성되며, 상기 목부로부터 분리됨에 따라 상기 배출 통로를 개방시켜 주는 캡;
    상기 캡은 상기 배출 통로를 밀폐시키면서 상기 목부의 상단에 설치되며, 상기 목부로부터 분리됨에 따라 상기 배출 통로를 개방시켜 주는 마개부,
    상기 마개부보다 큰 형상으로 상기 마개부의 상단에 설치되는 헤드, 및
    금형으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도록 상기 헤드의 전단 및 후단에 각각 함몰 형성되는 금형홈,을 포함하는, 음료 파우치용 스파우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숄더는,
    내측을 따라 상기 배출 통로가 형성되는 튜브 형태로 형성되는 융착 몸체부;
    상기 융착 몸체부의 일측으로부터 연장 형성되는 제1 날개;
    상기 제1 날개와 대향하면서 상기 융착 몸체부의 타측으로부터 연장 형성되는 제2 날개; 및
    상기 융착 몸체부, 상기 제1 날개 및 상기 제2 날개의 전면 및 후면을 따라 좌우 수평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상하 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다수 개가 형성되는 융착홈;을 포함하는, 음료 파우치용 스파우트.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날개 및 상기 제2 날개는,
    파우치 필름과의 융착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좌우측 각 단부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전후 폭이 줄어들도록 형성되는, 음료 파우치용 스파우트.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날개 및 상기 제2 날개는,
    상기 파우치 필름 사이에 융착된 후 상기 파우치 필름으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최상단에 위치하는 융착홈의 상측 부분의 각 단부가 계단 형상으로 단차지도록 형성되는, 음료 파우치용 스파우트.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목부는,
    융착 몸체부의 형상에 대응하여 모서리가 라운딩된 직사각형 형상 또는 다각형 형상 또는 타원형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융착 몸체부로부터 연장 형성되는, 음료 파우치용 스파우트.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개부는,
    상기 목부로부터 용이하게 파단될 수 있도록 하측으로 갈수록 상기 목부와 연결되는 하단 테두리의 외경이 줄어들도록 라운드 처리되는, 음료 파우치용 스파우트.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캡은,
    헤드 및 마개부를 구비하여 직사각형 형상의 실봉으로 이루어지는, 음료 파우치용 스파우트.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캡은,
    상기 목부가 내측을 따라 상기 배출 통로가 형성되어 연질(Soft)로 이루어짐에 반하여 사용자가 상기 헤드를 비틂에 따라 상기 마개부의 하단부를 따라 상기 목부로부터 용이하게 분리될 수 있도록 상기 마개부와 상기 헤드가 경질(Hard)로 이루어지는, 음료 파우치용 스파우트.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마개부는,
    상기 목부로부터 분리된 뒤 배출 통로로 재 삽입되어 상기 배출 통로를 다시 임시 밀폐시켜 주는, 음료 파우치용 스파우트.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마개부는,
    두께를 보강하는 동시에 배출 통로로 삽입 시 밀폐력을 향상시켜 줄 수 있도록 둘레를 따라 하나 이상의 밀폐 돌기가 돌출되어 연장 형성되는, 음료 파우치용 스파우트.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목부는, 융착 몸체부 내측과 동일하게 장공으로 이루어지는, 음료 파우치용 스파우트.
  13. 제8항 또는 제12항에 있어서,
    직사각형 형상의 실봉으로 된 마개부 외측 단면적이 장공으로 된 목부의 내측 단면적보다 크게 형성되는, 음료 파우치용 스파우트.

KR1020230180209A 2023-12-13 2023-12-13 음료 파우치용 스파우트 KR1026583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80209A KR102658348B1 (ko) 2023-12-13 2023-12-13 음료 파우치용 스파우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80209A KR102658348B1 (ko) 2023-12-13 2023-12-13 음료 파우치용 스파우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58348B1 true KR102658348B1 (ko) 2024-04-17

Family

ID=908762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180209A KR102658348B1 (ko) 2023-12-13 2023-12-13 음료 파우치용 스파우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58348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12364A (ko) * 2016-07-26 2018-02-06 김인성 파우치용 스파우트
KR102322750B1 (ko) 2017-11-27 2021-11-05 케이피지 주식회사 위생적인 잠금 스파우트 파우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12364A (ko) * 2016-07-26 2018-02-06 김인성 파우치용 스파우트
KR102322750B1 (ko) 2017-11-27 2021-11-05 케이피지 주식회사 위생적인 잠금 스파우트 파우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963816T3 (es) Recipiente polimérico liviano
US20090166314A1 (en) Plastic bottle
JP2004196417A (ja) 液体用容器のノズル構造
CN105473460A (zh) 容器
US11155390B2 (en) Coupled structure between pouring spout of refill container and pouring unit of packaging container
KR20040056373A (ko) 깔때기 형태로 연장되어 있는 유출로가 구비된 밀폐요소와필름백
KR102322750B1 (ko) 위생적인 잠금 스파우트 파우치
US10961025B2 (en) Pouring spout of container
JP5118478B2 (ja) プラスチックボトル
KR102658348B1 (ko) 음료 파우치용 스파우트
JP6396192B2 (ja) 二重容器
JP5375268B2 (ja) 詰替え容器用口栓および詰替え容器
JP2019064692A (ja) キャップ
KR200451631Y1 (ko) 이중 구조의 저장용기
JP5521375B2 (ja) 容器用口栓及び液体用容器
KR100944718B1 (ko) 숄더 캡 결합 구조체
CN107922090A (zh) 容器注出口的封闭构造
JP4393835B2 (ja) 開閉機構付きスパウト
JP7175631B2 (ja) 二重容器
JP2019064693A (ja) キャップ
KR200455090Y1 (ko) 뚜껑이 개봉된 상태에서 실링밴드의 빠짐이 방지되는 파우치 마개
KR20180096306A (ko) 캡 모튤 파우치
JP6572606B2 (ja) 無菌充填用口栓
JP6458544B2 (ja) 口栓
CN216270831U (zh) 一种可制作混合饮料的瓶盖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