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12364A - 파우치용 스파우트 - Google Patents

파우치용 스파우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12364A
KR20180012364A KR1020160094777A KR20160094777A KR20180012364A KR 20180012364 A KR20180012364 A KR 20180012364A KR 1020160094777 A KR1020160094777 A KR 1020160094777A KR 20160094777 A KR20160094777 A KR 20160094777A KR 20180012364 A KR20180012364 A KR 201800123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uch
spout
pouch container
welding
fus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947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인성
Original Assignee
김인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인성 filed Critical 김인성
Priority to KR10201600947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12364A/ko
Publication of KR201800123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1236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5/00Packages comprising articles or materials partially or wholly enclosed in strips, sheets, blanks, tubes, or webs of flexible sheet material, e.g. in folded wrappers
    • B65D75/52Details
    • B65D75/58Opening or contents-removing devices added or incorporated during package manufacture
    • B65D75/5861Spouts
    • B65D75/5872Non-integral spouts
    • B65D75/5883Non-integral spouts connected to the package at the sealed junction of two package wa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5/00Packages comprising articles or materials partially or wholly enclosed in strips, sheets, blanks, tubes, or webs of flexible sheet material, e.g. in folded wrappers
    • B65D75/008Standing pouches, i.e. "Standbeute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205/00Venting means
    • B65D2205/02Venting ho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ag Fram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파우치 용기와 융착이 깔끔하고 안정적으로 이루어져 불량률을 최소화할 수 있는 파우치용 스파우트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서는 내부에 내용물의 배출통로가 형성된 관형 베이스부와, 상기 베이스부의 한쪽에 파우치 용기의 가장자리에 삽입 융착을 위해 형성하되, 상하 일정한 간격으로 파우치 용기와 융착 접합되는 제1웰딩리브가 다수 형성되고, 상기 제1웰딩리브의 양쪽 단부에 제2웰딩리브가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부와 상기 제1웰딩리브들 및 상기 제2웰딩리브들 사이를 연결하는 스파부가 일체로 형성된 융착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파우치용 스파우트에 있어서, 상기 스파부에 상기 융착부와 파우치 용기 간에 융착 시 발생하는 용융가스의 이동을 유도하는 가스유통공이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된 파우치용 스파우트를 개시한다.

Description

파우치용 스파우트{Spout for pouch}
본 발명은 파우치용 스파우트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파우치 용기와 융착이 깔끔하고 안정적으로 이루어져 제품의 불량률을 최소화할 수 있는 파우치용 스파우트에 관한 것이다.
파우치(pouch)는 대개 합성수지 필름, 증착 필름, 천, 합성지와 각종 소재의 복합재료로 이루어지는 시트상의 가장자리를 밀봉(sealing)하여 만드는 튜브형 유연성 포장재로 경량, 염가, 취급의 용이성(충전 및 포장작업성, 전시성, 개봉 및 폐기용이성 등) 면에서 우수하여 최근 식품의 사전포장(prepackage)용을 비롯하여 각종 생활용품 따위의 용기포장분야에서 통, 병, 경질성 플라스틱 용기 등의 대체포장으로 널리 이용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파우치 용기에 담긴 내용물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용기의 모서리를 일부 절단하고, 그 절단부를 통해 내용물을 배출하는데, 이때 내용물을 안전하게 배출하고 재밀봉 등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 통상 합성수지제 스파우트(spout)가 사용되고 있다.
예컨대, 종래의 파우치용 스파우트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내용물의 배출통로가 형성된 관형 베이스부(10)와, 이 베이스부(10)의 내용물 유입단 쪽에 형성되어 파우치 용기의 가장자리에 삽입 융착되는 융착부(11)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베이스부(10)의 외주연 일부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어 나사 또는 원터치 방식으로 별도의 밀폐캡(20)과 결합할 수 있고, 그 밀폐캡(20)의 하단에는 스커트(21)가 떼어낼 수 있는 다수의 웹(web) 및 탭(tear-off tab)에 의해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또 그 베이스부(10)의 외주연에는 스커트(21)와 접촉으로 밀폐캡(20)이 축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칼라 또는 숄더(collar or shoulder)(14)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베이스부(10)의 내용물 배출단은 용도(고온 또는 저온 살균용)에 따라 알루미늄 소재의 박막으로 접착(융착) 밀봉하거나 또는 밀폐캡(20)의 내부에 리브, 라이너와 같은 폐쇄수단을 구비하여 상호 결합 시 자연스럽게 밀폐할 수 있다.
이러한 종래의 파우치용 스파우트는 그 융착부(11)를 파우치 용기(2)의 한쪽 변 개구부에 밀착되게 삽입한 상태에서 별도의 초음파융착기 등으로 수회(2~3회)에 걸쳐 반복적으로 용융 압착하여 밀봉하는데, 이때 스파우트와 파우치 용기는 열에 의한 용융점이 서로 다른 소재의 특성상 과도하게 융착을 반복하면 파우치 용기의 외형이 손상될 수 있고, 특히 융착부(11)의 가장자리와 접하면서 서로 마주하여 용융 접착되는 부분이 파우치 용기(2)의 테두리 밖으로 마치 거스러미처럼 날카롭게 삐져나와 외관상 보기에도 좋지 않은 데다가 내용물을 포장한 상태로 고온 또는 저온 살균하는 과정에서 그 삐져나온 용융 부분과의 접촉 간섭으로 인해 파우치 용기가 쉽게 변형 또는 찢어지는 등 파손의 우려가 큰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파우치용 스파우트는 파우치 용기(2)와 융착 시 밀봉 효과를 높이기 위해서 그 융착부(11)의 바깥쪽 면에 일정한 간격으로 웰딩리브가 다수 형성되어 있는데, 그 웰딩리브들 사이에 융착 시 발생하는 용융가스(압력)가 차이고, 이로 인해 스파우트와 파우치 용기(2)의 융착이 제대로 되지 않아 종종 유통과정에서 쉽게 분리 및 벌어지면서 그 틈새로 내용물이 스며들거나 흘러나오고, 또 외기가 유입되어 자칫 내용물을 변질시키는 등의 불량이 발생하기 때문에 해당 제조업계에서는 최우선 당면 과제로 대두하여 이를 해결할 수 있는 새로운 파우치용 스파우트를 절실히 요구하고 있다.
여기서 상술한 기술들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것으로서,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널리 알려진 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님을 밝힌다.
KR10-1007127 B1(2011.01.03.) KR10-1223432 B1(2013.01.11.) KR10-1264585 B1(2013.05.08.) KR10-1032260 B1(2011.04.24.) KR10-0852308 B1(2008.08.07.) KR10-0944718 B1(2010.02.22.) KR10-0951526 B1(2010.03.30.) KR10-2004-0053029 A(2004.06.23.) KR10-2002-0015270 A(2002.02.27.) KR10-0550752 B1(2006.02.02.) KR20-2011-0010276 U(2011.10.31.) KR20-0455090 Y1(2011.08.09.) KR20-0449700 Y1(2010.07.26.) KR20-0196301 Y1(2000.07.05.) JP특개2002-29552 A(2002.01.29.)
이에 본 발명자는 상술한 제반 사항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기존의 파우치용 스파우트가 지닌 한계 및 문제점의 해결에 역점을 두어 파우치 용기와 융착 시 발생되는 품질불량 문제를 최소화하는 효과를 도모할 수 있는 새로운 구조의 파우치용 스파우트를 개발하고자 각고의 노력을 기울여 부단히 연구하던 중 스파우트와 파우치 용기를 융착 시에 발생하는 용융가스의 압력으로 인해 상호 간의 융착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아 틈이 발생하고, 유통 과정에서 그 틈새로 파우치 용기 내의 내용물이 스며들거나 흘러나오는 등의 제품 및 품질불량이 발생하는바, 이러한 문제점은 융착 시에 발생하는 용융가스의 압력에 변화를 줌으로써 해결할 수 있음을 확인하고, 그 결과로서 본 발명을 창안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 및 목적은 파우치 용기와 융착이 깔끔하고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파우치용 스파우트를 제공하는 데 있는 것이다.
여기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 및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 및 목적으로 국한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 및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가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 및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태양에 따른 구체적 수단은, 내부에 내용물의 배출통로가 형성된 관형 베이스부와, 상기 베이스부의 한쪽에 파우치 용기의 가장자리에 삽입 융착을 위해 형성하되, 상하 일정한 간격으로 파우치 용기와 융착 접합되는 제1웰딩리브가 다수 형성되고, 상기 제1웰딩리브의 양쪽 단부에 제2웰딩리브가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부와 상기 제1웰딩리브들 및 상기 제2웰딩리브들 사이를 연결하는 스파부가 일체로 형성된 융착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파우치용 스파우트에 있어서, 상기 스파부에 상기 융착부와 파우치 용기 간에 융착 시 발생하는 용융가스의 이동을 유도하는 가스유통공이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우치용 스파우트를 제시한다.
이로써 본 발명은 파우치 용기와의 융착 시에 발생하는 용융가스가 가스유통공을 통해 자연스럽게 이동 및 분산되면서 제1웰딩리브들 사이의 압력이 변화되므로 융착이 한층 더 깔끔하고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양태로, 상기 제2웰딩리브의 사방 모서리 부분에 안쪽으로 둥글게 깎아낸 역호형챔퍼부가 형성됨으로써 파우치 용기와의 융착 시에 용융 접착 부분이 역호형챔퍼부에 위치되면서 거스러미처럼 날카롭게 삐져나옴 없이 외관상 깔끔하고 단정하게 융착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의 달성과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및 구성을 갖춘 본 발명의 실시 태양은, 파우치 용기와의 융착 시에 발생하는 용융가스가 가스유통공을 통해 자연스럽게 이동 및 분산되면서 제1웰딩리브들 사이의 용융가스 압력이 변화되므로 융착이 한층 더 깔끔하고 안정적으로 이루어져 종래와 달리 융착불량 발생으로 인한 융착 부분의 틈새로 내용물이 스며들거나 흘러나오는 것을 확실하게 막는 등 제품의 불량률 및 손실(loss)을 최소화할 수 있다.
아울러 파우치 용기와의 융착 시 용융 압착 횟수를 최소로 줄일 수 있어 융착 과정에서 파우치 용기의 외형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작업 효율성 및 생산성을 극대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태양은, 파우치 용기와의 융착 시에 그 제2웰딩리브와 접하면서 용융 접착되는 부분이 역호형챔퍼부의 공간에 의해 파우치 용기의 테두리 밖으로 벗어남 없이 위치 및 수용되므로 종래와 달리 파우치 용기의 테두리 밖으로 거스러미처럼 날카롭게 삐져나옴 없이 외관상 깔끔하고 단정하게 융착이 이루어져 내용물을 포장한 상태로 고온 또는 저온 살균하는 과정에서 파우치 용기가 변형되거나 찢어지는 등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국한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가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파우치용 스파우트의 일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종래의 기술에 따른 파우치용 스파우트를 파우치 용기와 결합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파우치용 스파우트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파우치용 스파우트를 나타낸 부분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파우치용 스파우트를 나타낸 저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파우치용 스파우트를 파우치 용기에 융착한 상태를 나타낸 국부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이에 앞서, 후술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것으로서, 이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개념과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용 또는 통상적으로 인식되는 의미로 해석하여야 함을 명시한다.
또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여기서 첨부된 도면들은 기술의 구성 및 작용에 대한 설명과 이해의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해 일부분을 과장하거나 간략화하여 도시한 것으로, 각 구성요소가 실제의 크기와 정확하게 일치하는 것은 아님을 밝힌다.
아울러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한편, 하기에서 설명의 편의를 위해 파우치용 스파우트 구성 중 파우치 용기 내의 내용물이 유입되는 단부를 하부로, 배출되는 단부를 상부로 지칭한다.
도 3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파우치용 스파우트는 크게 내부에 내용물의 배출통로(110)가 형성된 관형 베이스부(100)와, 이 베이스부(100)의 내용물 유입단 쪽에 파우치 용기(P)의 가장자리에 삽입 융착을 위해 형성된 융착부(2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베이스부(100)는 상하로 일정 길이를 갖는 속이 빈 관형으로 이루어져 그 내부, 즉 중공부에 외부와 파우치 용기(P) 사이의 유체 통로인 배출통로(110)가 형성되어 있고, 상부 외주연에는 별도의 밀폐캡(미도시)과 나사 결합을 위한 나사산(120)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또 중심부 외주연에는 밀폐캡이 축 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는 칼라(130)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베이스부(100)의 밀폐캡과 결합을 위한 스크루형 나사산(120) 대신에 타격동작으로 밀폐캡과 결합시키는 구조 등 이 기술분야에서 알려진 다양한 결합수단을 채택하여 적용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베이스부(100)의 배출통로(110)는 용도(고온 또는 저온 살균용)에 따라 알루미늄 소재의 박막으로 접착(융착) 밀봉하거나 또는 별도의 밀폐캡과의 상호 결합 관계에 의해 자연스럽게 밀폐되는 구조를 채용할 수도 있다.
한편, 칼라(130)와 융착부(200) 사이의 베이스부(100) 외주연에는 밀폐캡의 스커트 부분이 어느 한쪽으로 기울어짐 없이 칼라(130)와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보강 및 지지하는 리브(미도시)가 방사상으로 또는 수평으로 다수 형성될 수 있다.
융착부(100)는 베이스부(100)의 하부 바깥쪽 면 둘레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즉, 융착부(100)는 베이스부(100)의 외경보다 외경이 크고, 높이가 작은 형상으로 베이스부(100)의 하부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융착부(100)는 제1웰딩리브(210)와 제2웰딩리브(220) 및 스파부(230)로 이루어져 있다.
제1웰딩리브(210)는 파우치 용기(P)와 융착 접합을 위해 베이스부(100)의 하부 외주면에 상하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 형성되어 있다.
즉, 제1웰딩리브(210)는 판형으로 이루어져 베이스부(100)에 대하여 다층으로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제1웰딩리브(210)는 파우치 용기(P)와 융착 접합이 수월하고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도록 저면 상에서 볼 때 마치 타원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웰딩리브(220)는 파우치 용기(P)와 융착 접합을 위해 제1웰딩리브(210)의 양쪽 단부에 일체로 두께가 얇고 납작하게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제2웰딩리브(220)의 사방 모서리 부분에는 파우치 용기(P)와 융착 접합 시 그 제2웰딩리브(220)와 접하면서 용융 접착되는 부분이 테두리 밖으로 날카롭게 삐져나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안쪽으로 둥글게 깎아낸 역호형챔퍼부(221)가 형성되어 있다.
스파부(230)는 베이스부(100)와 제1웰딩리브(210)들 및 제2웰딩리브(220)들 사이를 일체로 연결하도록 납작하게 마치 격벽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스파부(230)에는 융착부(200)와 파우치 용기(P) 간에 융착 시 발생하는 용융가스의 이동을 유도하는 가스유통공(231)이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가스유통공(231)은 타원형이나 장공형 또는 원형 형상으로 베이스부(100)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양쪽에 서로 대칭적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베이스부(100)와 융착부(200)는 폴리프로필렌 등과 같이 고온 살균에 적합한 내열성 플라스틱이나 폴리에틸렌 등과 같이 저온 살균에 적합한 플라스틱을 금형 내에 사출하여 일체로 성형할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파우치용 스파우트는 가스유통공(231)을 통해 파우치 용기(P)와의 융착 시에 발생하는 용융가스를 한쪽 제1웰딩리브(210)들 사이에서 반대쪽으로 자연스럽게 이동 및 분산시켜 제1웰딩리브(210)들 내의 압력을 낮추는 변화를 일으키고, 이 때문에 파우치 용기(P)와의 융착 과정에서 용융가스로 인한 융착 간섭 및 방해를 최소화하여 융착이 한층 더 깔끔하고 안정적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즉, 종래와 같이 가스유통공(231)이 없는 구조이면 파우치 용기(P)와의 융착 시에 발생하는 용융가스는 스파부(230)에 의해 가로막히어 한쪽 제1웰딩리브(210)들 사이 공간에 채워진 상태를 유지하면서 압력으로 작용하기 때문에 파우치 용기(2)와의 융착이 제대로 되지 않아 융착 부분에 틈새가 발생하는 등의 불량률이 높지만,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파우치용 스파우트는 가스유통공(231)이 형성되어 있어, 이를 통해 파우치 용기(P)와의 융착 시에 발생하는 용융가스가 한쪽 제1웰딩리브(210)들에서 스파부(230)를 통과하여 반대쪽의 제1웰딩리브(210)들로 자연스럽게 유동적으로 이동함으로써 압력이 줄어드는 가변현상이 일어나 융용가스의 융착 간섭 및 방해를 최소화할 수 있다.
따라서 파우치 용기(P)와의 융착 부분으로 내용물이 스며들거나 흘러나오는 것을 확실하게 막고, 아울러 외기를 효과적으로 차단하여 내용물을 외부 오염으로부터 보호하는 등 제품의 불량률을 최소화하고, 이를 통해 품질 및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게다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파우치용 스파우트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우치 용기(P)와의 융착 시에 그 제2웰딩리브(220)와 접하면서 서로 마주하는 용융 접착되는 부분이 파우치 용기(P)의 테두리 밖으로 벗어남 없이 역호형챔퍼부(221) 내의 공간에 위치하게 되므로 종래와 달리 파우치 용기의 테두리 밖으로 거스러미처럼 날카롭게 삐져나옴 없이 외관상 깔끔하고 단정하게 융착이 이루어질 수 있고, 이로 인해 내용물을 포장한 상태로 고온 또는 저온 살균하는 과정에서 다른 파우치와의 접촉 간섭 등에 의해 파우치 용기(P)가 변형되거나 찢어지는 등의 파손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안에서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은 물론 구성요소의 치환 및 균등한 타 실시 예로 변경하여 폭넓게 적용할 수도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명백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특징에 대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내용은 본 발명의 기술사상 및 범위 내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하여야 할 것이다.
100: 베이스부 110: 배출통로
120: 나사산 130: 칼라
200: 융착부 210: 제1웰딩리브
220: 제2웰딩리브 221: 역호형챔퍼부
230: 스파부 231: 가스유통공
P : 파우치 용기

Claims (2)

  1. 내부에 내용물의 배출통로(110)가 형성된 관형 베이스부(100)와, 상기 베이스부(100)의 한쪽에 파우치 용기(P)의 가장자리에 삽입 융착을 위해 형성하되, 상하 일정한 간격으로 파우치 용기(P)와 융착 접합되는 제1웰딩리브(210)가 다수 형성되고, 상기 제1웰딩리브(210)의 양쪽 단부에 제2웰딩리브(220)가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부(100)와 상기 제1웰딩리브(210)들 및 상기 제2웰딩리브(220)들 사이를 연결하는 스파부(230)가 일체로 형성된 융착부(2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파우치용 스파우트에 있어서,
    상기 스파부(230)에 상기 융착부(200)와 파우치 용기(P) 간에 융착 시 발생하는 용융가스의 이동을 유도하는 가스유통공(231)이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우치용 스파우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웰딩리브(220)의 사방 모서리 부분에 안쪽으로 둥글게 깎아낸 역호형챔퍼부(221)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우치용 스파우트.
KR1020160094777A 2016-07-26 2016-07-26 파우치용 스파우트 KR2018001236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4777A KR20180012364A (ko) 2016-07-26 2016-07-26 파우치용 스파우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4777A KR20180012364A (ko) 2016-07-26 2016-07-26 파우치용 스파우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12364A true KR20180012364A (ko) 2018-02-06

Family

ID=612278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94777A KR20180012364A (ko) 2016-07-26 2016-07-26 파우치용 스파우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12364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58348B1 (ko) * 2023-12-13 2024-04-17 케이피지 주식회사 음료 파우치용 스파우트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58348B1 (ko) * 2023-12-13 2024-04-17 케이피지 주식회사 음료 파우치용 스파우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751904B2 (en) A dispensing structure incorporating a valve-containing fitment for mounting to a container and a package with dispensing structure
ES2352048T3 (es) Cierre para un recipiente sellado de un producto alimenticio vertible, y método para producir el mismo.
KR910001282B1 (ko) 포장용기의 유출용모서리
KR20020093634A (ko) 액체 또는 페이스트-유사 물질을 수용하기 위한 포장용밀폐 요소
AU682532B2 (en) Package with pouring device for fluid substances, process for manufacturing package for fluid substances and tool for carrying out the process
JP5226939B2 (ja) 逆止機能を有する液体注出ノズルおよびそれを用いた包装袋
KR20180012364A (ko) 파우치용 스파우트
JP4907047B2 (ja) 包装材料に開口装置を取付ける方法、およびその方法によって得られるパッケージ
JP2000062813A (ja) 注出口付きパウチ
JP2018024472A (ja) スパウト付きガゼット袋形成用のガゼット袋体
JP5500495B2 (ja) 漏斗パーツ並びにこれを用いた包装容器及びパッケージ
JP5339402B2 (ja) 注出具
JP2023519796A (ja) パッケージのためのスパウト、パッケージのための蓋部-スパウト組立体、及びスパウトを有するパッケージ
JP2023520293A (ja) 包装材のためのスパウト、包装材のための蓋部/スパウト組立体、及びスパウトを有する包装材
JP2007197044A (ja) スパウト付自立容器
JP2017036067A (ja) 外装容器と液体収納容器の組合体、注出口と保持具の組合体およびその組立方法および保持具
US9517588B2 (en) Connected spouts of containers and related methods
JP2016052904A (ja) 液体収納容器、外装容器と液体収納容器の組合体、および内容液排出方法
US20120324836A1 (en) Method of application of closure liner in hot fill packages
EP4306445A1 (en) Spout for plastic packaging
JP6340712B2 (ja) 吐出容器
JP4745749B2 (ja) スパウト
JP2012046252A (ja) 逆止機能を有する液体注出ノズルおよびそれを用いた包装袋
KR19980081035A (ko) 웰드 주입 부재 및 캡
JP2021066510A (ja) 注出口付き容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