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57817B1 - 세정장치 및 추출시스템 - Google Patents

세정장치 및 추출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57817B1
KR102657817B1 KR1020217028265A KR20217028265A KR102657817B1 KR 102657817 B1 KR102657817 B1 KR 102657817B1 KR 1020217028265 A KR1020217028265 A KR 1020217028265A KR 20217028265 A KR20217028265 A KR 20217028265A KR 102657817 B1 KR102657817 B1 KR 1026578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ion
filter
fluid
cover
clean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282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41480A (ko
Inventor
타케미 사토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이즈미푸드머시너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이즈미푸드머시너리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이즈미푸드머시너리
Publication of KR202101414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414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578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57817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9/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 B01D29/96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in which the filtering elements are moved between filtering operations; Particular measures for removing or replacing the filtering elements; Transport systems for filters
    • B01D29/965Device for changing the inclination of the filtering element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60Clean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4403Constructional det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9/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 B01D29/01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with flat filtering elements
    • B01D29/014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with flat filtering elements with curved filtering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9/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 B01D29/01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with flat filtering elements
    • B01D29/05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with flat filtering elements suppor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9/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 B01D29/62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 B01D29/64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by scrapers, brushes, nozzles, or the like, acting on the cake side of the filtering element
    • B01D29/6438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by scrapers, brushes, nozzles, or the like, acting on the cake side of the filtering element nozzles
    • B01D29/6446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by scrapers, brushes, nozzles, or the like, acting on the cake side of the filtering element nozzles with a rotary movement with respect to the filtering el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3/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r presence of liquid or steam
    • B08B3/02Cleaning by the force of jets or spra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01/00Details relating to filtering apparatus
    • B01D2201/08Regeneration of the filter
    • B01D2201/085Regeneration of the filter using another chemical than the liquid to be filter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01/00Details relating to filtering apparatus
    • B01D2201/08Regeneration of the filter
    • B01D2201/087Regeneration of the filter using gas bubbles, e.g. air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Extraction Or Liquid Replacement (AREA)
  • Cleaning By Liquid Or Steam (AREA)
  •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AREA)

Abstract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음과 함께, 추출장치의 필터를 간단한 구성으로 확실히 세정할 수 있는 세정장치 및 추출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세정장치(1)는, 추출재료(EM)를 수납하는 추출탱크(81)와, 추출탱크(81)의 하부에 개폐 가능하게 지지되는 덮개체(82)와, 덮개체(82)에 마련되고, 추출재료(EM)가 재치되는 필터(83)를 구비한 추출장치(8)의 필터(83)를 유체(Q)로 세정하는 장치이다. 이 세정장치(1)는, 추출탱크(81)에 대한 위치가 고정되어 배치되고, 유체(Q)가 통과하는 관체(2)와, 관체(2)에 마련되며, 덮개체(82)가 개방상태에 있을 때에, 필터(83)를 향하여 유체(Q)를 분사하는 노즐(31)을 구비한다.

Description

세정장치 및 추출시스템
본 발명은, 세정장치 및 추출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커피콩이나 찻잎 등과 같은 추출재료로부터 추출액을 추출하는 추출장치가 알려져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참조).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추출장치는, 추출재료를 수납하는 추출탱크와, 추출탱크의 하부의 개구부에 개폐 가능하게 지지되는 바닥덮개와, 바닥덮개에 마련되고, 추출재료가 재치되는 금망필터를 구비하고 있다. 추출장치에서는, 필터를 정기적으로 세정할 것이 요구되고 있고, 그 세정에 세정장치가 이용된다.
특허문헌 1: 실용신안등록 제3039433호
세정장치는, 개방상태에 있는 바닥덮개의 필터에 대하여, 유체를 분사하는 복수의 유체분사노즐이 마련된 세정파이프와, 세정파이프를 필터를 따라 상측으로부터 하측을 향하여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기구를 구비하고 있다. 지지기구는, 2개의 가이드레일과, 각 가이드레일 상을 슬라이딩하는 복수의 슬라이더를 갖고 있고, 그 구성은, 부품개수가 비교적 많아, 복잡한 구성이 되어 버린다.
또, 지지기구의 부품개수가 많을수록, 세정장치가 대형화가 되는 경향이 있다. 대형의 장치는, 설치공간이나 가동공간의 넓이에 따라서는, 설치나 사용이 곤란해진다.
본 발명의 목적은,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음과 함께, 추출장치의 필터를 간단한 구성으로 확실히 세정할 수 있는 세정장치 및 추출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세정장치의 일 양태는,
추출재료를 수납하는 추출탱크와,
상기 추출탱크의 하부에 개폐 가능하게 지지되는 덮개체와,
상기 덮개체에 마련되고, 상기 추출재료가 재치되는 필터를 구비한 추출장치의 상기 필터를 유체로 세정하는 세정장치로서,
상기 추출탱크에 대한 위치가 고정되어 배치되며, 상기 유체가 통과하는 관체(官體)와,
상기 관체에 마련되고, 상기 덮개체가 개방상태에 있을 때에, 상기 필터를 향하여 상기 유체를 분사하는 분출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추출시스템의 일 양태는,
추출재료를 수납하는 추출탱크와, 상기 추출탱크의 하부에 개폐 가능하게 지지되는 덮개체와, 상기 덮개체에 마련되고, 상기 추출재료가 재치되는 필터를 구비한 추출장치와,
상기 필터를 유체로 세정하는 상기 세정장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관체를 고정하여 배치한 상태로 덮개체가 개방상태일 때에 세정을 하므로, 예를 들면 관체를 추출장치의 필터를 따라 이동시키는 구성에 비하여 간단한 장치구성이 되어, 장치의 소형화에도 기여한다. 또, 필터를 세정할 때, 덮개체를 회동(回動)시키거나 또는, 관체를 회동시키거나 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경우에는, 추출재료에 대하여, 유체가 분사되는 개소를 변경할 수 있고, 따라서, 그 세정을 확실히 행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추출시스템(덮개체의 개방상태)의 제1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수직부분단면측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추출시스템(덮개체의 폐쇄상태)의 제1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수직부분단면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추출시스템에 있어서의 덮개체의 세정상태(제1 상태)를 나타내는 수직부분단면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추출시스템에 있어서의 덮개체의 세정상태(제2 상태)를 나타내는 수직부분단면측면도이다.
도 5는, 도 3 중 화살표 A방향에서 본 수직부분단면측면도이다.
도 6은, 도 5 중 화살표 B방향에서 본 하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추출시스템의 제2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덮개체의 세정상태(제1 상태)를 나타내는 수직부분단면측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추출시스템의 제2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덮개체의 세정상태(제2 상태)를 나타내는 수직부분단면측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세정장치 및 추출시스템을 첨부도면에 나타내는 적합한 실시형태에 근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1 실시형태>
도 1은, 본 발명의 추출시스템(덮개체의 개방상태)의 제1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수직부분단면측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추출시스템(덮개체의 폐쇄상태)의 제1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수직부분단면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추출시스템에 있어서의 덮개체의 세정상태(제1 상태)를 나타내는 수직부분단면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추출시스템에 있어서의 덮개체의 세정상태(제2 상태)를 나타내는 수직부분단면측면도이다. 도 5는, 도 3 중 화살표 A방향에서 본 수직부분단면측면도이다. 도 6은, 도 5 중 화살표 B방향에서 본 하면도이다.
다만,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수평방향 중 일 방향을 "X축방향"이라고 하고, 수평방향 중 X축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을 "Y축방향"이라고 하며, 연직방향, 즉, X축방향과 Y축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을 "Z축방향"이라고 한다. 또, 각 축방향의 화살표측을 "정측(正側)"이라고 하고, 화살표와 반대측을 "부측(負側)"이라고 한다. 또, 도 1~도 5 중 상측을 "상(또는 상방)"이라고 하고, 하측을 "하(하방)"라고 한다.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추출시스템(100)은, 추출장치(8)와, 세정장치(1)와, 회수장치(9)를 구비하고 있다. 이하, 각부(各部)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추출장치(8)는, 추출재료(EM)로부터 추출액을 추출하는 장치이다. 추출재료(EM)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커피콩, 찻잎, 가쓰오부시, 다시마 등을 들 수 있다.
추출장치(8)는, 추출탱크(81)와, 덮개체(82)와, 필터(83)와, 덮개체회동구동부(84)와, 처리액공급부(85)와, 평탄화부(86)와, 탱크세정부(87)를 구비한다.
추출탱크(81)는, 중공(中空)체로 구성되어, 그 내부공간(811)에 추출재료(EM)를 수납할 수 있다. 다만, 내부공간(811)의 용적은, 추출장치(8)의 사용상태에 따라서도 다르지만, 예를 들면, 50L 이상 10000L 이하로 할 수 있다.
추출탱크(81)는, 통형상의 측벽부(812)와, 측벽부(812)의 상측을 덮는 상측 벽부(813)를 갖는다. 또, 측벽부(812)의 하측은, 하방을 향하여 개구한 하측 개구부(814)로 되어 있다.
추출탱크(81)의 하부에는, 덮개체회동구동부(84)를 통하여, 덮개체(82)가 하측 개구부(814)에 대하여 개폐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덮개체(82)는, 도 1에 나타내는 완전개방상태와, 도 2에 나타내는 완전폐쇄상태와, 완전개방상태와 완전폐쇄상태의 사이의 중간의 상태를 취할 수 있고, 덮개체회동구동부(84)에 의하여, 각 상태로 정지 가능하다.
덮개체(82)는, 완전폐쇄상태에서는, 하측 개구부(814)를 밀봉할 수 있다. 이 상태에서는, 추출액을 추출할 수 있다.
덮개체(82)는, 완전개방상태에서는, 하측 개구부(814)를 하방을 향하여 개방시킬 수 있다. 또, 이 상태에서는, 예를 들면, 추출재료(EM)를 폐기하거나, 필터(83)를 세정하거나 할 수 있다.
덮개체(82)는, 편평형상을 이루고, 그 내측(이측(裏側))의 부분에, 완전폐쇄상태로 추출탱크(8)의 내부공간(811)에 면하는 오목부(821)를 갖는다. 그리고, 오목부(821)를 덮도록, 필터(83)가 설치되어 있다(도 3, 도 4 참조).
덮개체회동구동부(84)는, 유압실린더(841)를 갖고, 이 유압실린더(841)의 작동에 의하여, 덮개체(82)를 회동시킬 수 있다. 그리고, 이 회동에 의하여, 덮개체(82)가 추출탱크(81)의 하측 개구부(814)에 대하여 접근, 이간되어, 덮개체(82)를 개폐시킬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덮개체(82)에는, 오목부(821)를 덮도록 필터(83)가 마련되어 있다. 필터(83)는, 시트상 또는 중심으로부터 측벽부를 향하여 하방으로 완만한 경사를 이루고, 그 면방향으로 충분히 당겨진 상태로 되어 있다. 이로써, 덮개체(82)가 완전폐쇄상태에 있을 때, 필터(83)는, 수평 또는 중심으로부터 측벽부를 향하여 하방으로 완만한 경사의 자세가 되어, 추출재료(EM)를 재치할 수 있다. 그리고, 이 상태로 추출재료(EM)에 대하여, 예를 들면 물(온수를 포함한다) 등과 같은 처리액을 공급함으로써, 추출성분을 포함하는 추출액이 추출된다.
또, 필터(83)는, 금망 또는 무명천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로써, 추출액은, 필터(83)를 통과하여, 덮개체(82)의 오목부(821)에 연통되는 배출구(822)로부터 배출된다. 필터(83)의 구성재료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금망사용의 경우는, 알루미늄이나 스테인리스강 등과 같은 방청성을 갖는 각종 금속재료를 이용할 수 있다.
처리액공급부(85)는, 덮개체(82)가 완전폐쇄상태에 있을 때에, 추출탱크(81) 내에 처리액을 공급할 수 있다. 처리액공급부(85)는, 필터(83) 상의 추출재료(EM)에 대하여, 처리액을 분사하는 복수의 노즐(851)을 갖는다.
평탄화부(86)는, 필터(83) 상의 추출재료(EM)의 두께를 균일하게 평탄화할 수 있다. 평탄화부(86)는, 노즐(851)의 하측에 배치되고, Z축방향과 평행한 축 둘레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복수의 판부재(861)를 갖는다. 그리고, 각 판부재(861)가 일괄적으로 추출재료(EM)에 접한 상태에서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추출재료(EM)를 균일하게 평탄화할 수 있다.
다만, 추출장치(8)는, 노즐(851) 및 판부재(861)를 상하방향으로 승강시킬 수 있다. 이로써, 추출장치(8)의 작동상태에 따라, 노즐(851) 및 판부재(861)의 높이를 조정할 수 있다.
탱크세정부(87)는, 덮개체(82)가 완전개방상태에 있을 때에, 주로 추출탱크(81) 내를 세정할 수 있다. 탱크세정부(87)는, 추출탱크(81)의 상측 벽부(813)측에 마련된 볼상의 스프레이부(871)를 갖는다. 스프레이부(871)는, 추출탱크(81) 내에서 세정액을 분사할 수 있다. 이로써, 추출탱크(81) 내가 세정된다.
회수장치(9)는, 세정 시에 필터(83)로부터 낙하해 온 추출재료(EM)를 회수하는 장치이다. 회수장치(9)는, 호퍼(91)와, 벨트컨베이어(92)를 구비하고 있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호퍼(91)는, 개방상태의 덮개체(82)의 하방에 배치되어 있다. 호퍼(91)는, 절구상을 이루는 도입부(911)와, 도입부(911)의 중심부로부터 하방으로 돌출된 관상(管狀)을 이루는 배출부(912)를 갖는다.
도입부(911)는, 필터(83)로부터 낙하해 온 추출재료(EM)를 배출부(912)를 향하여 유도할(안내할) 수 있다.
배출부(912)는, 도입부(911)와 연통되어 있으며, 도입부(911)를 거친 추출재료(EM)를 벨트컨베이어(92)를 향하여 배출할 수 있다.
배출부(912)의 하방에는, 벨트컨베이어(92)가 배치되어 있다. 벨트컨베이어(92)는, 무단(無端)벨트(921)와, 무단벨트(921)를 회전구동시키는 복수의 롤러(922)를 갖는다. 각 롤러(922)는, Y축방향과 평행한 축 둘레로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무단벨트(921) 상에는, 배출부(912)로부터 배출된 추출재료(EM)가 퇴적한다. 그리고, 이 상태로, 무단벨트(921)가 회전구동함으로써, 무단벨트(921) 상의 추출재료(EM)를 X축방향 정측을 향하여 반송할 수 있다.
다만, 추출재료(EM)의 반송처에는, 예를 들면, 추출재료(EM)가 회수되는 회수박스 등이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회수장치(9)는, 벨트컨베이어(92)를 갖는 구성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벨트컨베이어(92) 대신에, 스크루컨베이어를 갖는 구성이어도 된다.
세정장치(1)는, 필터(83)를 유체(Q)로 세정하는 장치이다.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세정장치(1)는, 유체(Q)가 통과하는 관체(2)와, 관체(2)와 별체로 구성되어, 관체(2)에 접속된 노즐유닛(3)과, 중계관(11)을 개재하여 관체(2)에 접속된 액체공급부(4)와, 중계관(12)을 통하여 관체(2)에 접속된 기체공급부(5)를 구비한다. 다만, 노즐유닛(3)은, 관체(2)와 별체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예를 들면, 세정장치(1)의 크기에 따라, 관체(2)에 대한 접속수를 임의로 변경할 수 있다.
도 3,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관체(2)는, 횡단면형상이 원형을 이루고, 그 내부공간(21)을 유체(Q)가 통과할 수 있다. 다만, 관체(2)의 횡단면형상은, 본 실시형태에서는 원형이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타원형, 다각형의 경우도 있다.
관체(2)는, 추출탱크(81)에 대한 위치가 고정되어 배치되어 있다. 이 배치위치로서는, 덮개체(82)의 개폐동작에 관계없이, 덮개체(82)와 간섭되지 않는 위치이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관체(2)는, 그 길이방향이 Y축방향과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다.
도 5,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관체(2)에는, 복수의 노즐유닛(3)이 연통되어 접속되어 있다. 각 노즐유닛(3)은, 유체(Q)를 분출하는 분출구로서의 복수의 노즐(31)을 갖고, 이들 노즐(31)이 등간격으로 일렬로 배치된 노즐열(분출구열)(32)로서 유닛화된 부재이다. 또, 각 노즐유닛(3)(노즐열(32))은, 관체(2)의 길이방향, 즉, Y축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각 노즐(31)로부터는, 관체(2)를 통과한 유체(Q)를 하방을 향하여 분사할 수 있다. 다만, 분출구로서는, 관체(2)와 별체로 구성된 노즐유닛(3)으로 구성되어 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관체(2)의 길이방향을 따라 슬릿상으로 형성된 측구멍으로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다음으로, 세정장치(1)에 의한 세정상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세정장치(1)에 의한 세정에 선행하여, 덮개체(82)가 완전폐쇄상태로 추출액의 추출이 완료된 후, 덮개체회동구동부(84)에 의하여, 덮개체(82)를 일단 완전개방상태로 한다. 이로써, 필터(83) 상의 추출재료(EM)는, 자중(自重)으로 낙하한다.
그러나, 추출재료(EM)에는, 필터(83) 상으로부터 낙하하는 추출재료(EM) 외에, 예를 들면, 필터(83)에 부착되거나, 얽히거나 하여, 잔류하는 추출재료(EM)도 있다. 세정장치(1)는, 이 잔류한 추출재료(EM)를 필터(83)로부터 제거할 수 있다.
세정장치(1)에 의한 세정을 행하기 위해서는, 먼저,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덮개체(82)를 반개방상태로 한다. 여기에서, "반개방상태"란, 완전개방상태와 완전폐쇄상태의 사이의 중간의 상태이다.
또, 각 노즐(31)로부터의 유체(Q)의 분사방향이 Z축방향 부측으로 되어 있는 경우, 필터(83)는, 반개방상태, 완전개방상태에 관계없이, 유체(Q)의 분사방향에 대하여 경사져 있다(도 3, 도 4 참조). 이 경사각도 θ82는, 반개방상태, 완전개방상태에 따라 크기가 변화하지만, 어느 상태에서도 0° 또는 예각이다.
그리고, 반개방상태에서, 각 노즐(31)은, 필터(83)를 향하여 유체(Q)를 분사하는 분출구이다. 이로써, 각 노즐(31)로부터의 유체(Q)는, 필터(83)에 대하여 0° 또는 예각의 경사각도 θ82로 분사되어, 필터(83)의 경사방향 상측에 잔류한 추출재료(EM)를 떼어 낼 수 있다. 또, 유체(Q)로 떼어 내진 추출재료(EM)는, 당해 추출재료(EM)보다 경사방향 하측의 추출재료(EM)를, 유체(Q)와 함께, 경사방향 하방을 향하여 압압해 간다. 이로써, 필터(83)에 잔류한 추출재료(EM)가 서서히 제거되어 간다.
또, 유체(Q)를 분사한 상태를 유지한 상태로, 도 3에 나타내는 상태로부터 덮개체(82)를 회동시켜 가면,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덮개체(82)는, 완전개방상태가 된다. 이 도 4에 나타내는 상태에서도, 각 노즐(31)로부터의 유체(Q)는, 필터(83)에 대하여 0° 또는 예각의 경사각도 θ82로 분사된다. 다만, 도 4에 나타내는 상태에서는, 유체(Q)는, 필터(83)의 경사방향의 도중(중앙부 부근)에 잔류한 추출재료(EM)를 떼어 낼 수 있다. 이로써, 상기와 동일하게, 유체(Q)로 떼어 내진 추출재료(EM)는, 당해 추출재료(EM)보다 경사방향 하측의 추출재료(EM)를, 유체(Q)와 함께, 경사방향 하방을 향하여 압압해 간다.
세정장치(1)는, 도 3에 나타내는 상태와 도 4에 나타내는 상태를 교대로 반복함으로써, 필터(83)에 잔류한 추출재료(EM)를 충분히 제거할 수 있고, 따라서, 필터(83)를 확실히 세정할 수 있다. 그리고, 필터(83)의 세정 후는, 유체(Q)의 분사를 정지하여, 덮개체(82)를 재차 완전폐쇄상태로 한다.
이상과 같이, 세정장치(1)는, 추출탱크에 대한 관체(2)의 위치가 고정된 상태로, 덮개체회동구동부(84)에 의하여 덮개체(82)를 회동시키면서, 각 노즐(31)로부터 필터(83)를 향하여 유체(Q)를 분사할 수 있다. 이로써, 예를 들면 관체(2)를 필터(83)를 따라 이동시키지 않아도, 필터(83)에 잔류한 추출재료(EM)에 대하여, 유체(Q)가 분사되는 개소를 변경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은, 관체(2)를 이동시키는 구성에 비하여 간단한 구성이 되어, 세정장치(1)의 소형화에도 기여한다. 또, 세정장치(1)는, 필터(83)에 대한 세정불균일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필터(83)를 균일하게 확실히 세정을 행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노즐(31)은, 유체(Q)를 분사했을 때, 유체(Q)의 분사방향이 필터(83)에 대하여 0° 또는 예각이 된다. 이로써, 필터(83)에 잔류한 추출재료(EM)를 떼어 내는 데에 유효한 경사각도 θ82가 얻어지고, 따라서, 신속한 추출재료(EM)의 제거, 즉, 필터(83)의 세정이 가능해진다.
다만, 관체(노즐)의 방향은, Z축방향(직하방향)으로 향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세정을 위한 유체(Q)가 중력에 따라 덮개체(82)(필터(83))를 향하기 때문에, 세정을 위한 유체(Q)의 압력을 그다지 높이지 않고, 유체(Q)의 직진성(관철력)을 유지할 수 있다.
또, 노즐(31)이 유체(Q)를 분사했을 때, 유체(Q)는, 필터(83)를 향하여 확산되면서 분사되어, 그 확산각도가 15도 이하가 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0도 이상 5도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로써, 유체(Q)의 분사 시의 직진성을 가능한 한 유지할 수 있고, 따라서, 세정에 기여하는 유체(Q)의 손실을 방지할 수 있다.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 노즐유닛(3)은, 노즐열(32)의 배치방향이 Y축방향에 대하여 경사져 있다. 그리고, 관체(2)의 길이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는 수평방향에서 관체(2)를 보았을 때(도 6 중에서는 화살표방향 C에서 보았을 때, 즉, X축방향 정측에서 부측을 향하여 보았을 때), 관체(2)의 길이방향으로 이웃하는 2개의 노즐열(32)끼리는, 이들 노즐열(32) 중, 일방의 노즐열(32)의 적어도 하나의 노즐(31)과, 타방의 노즐열(32)의 적어도 하나의 노즐(31)이 중첩되는 중첩부(33)를 공유한다. 이로써, 필터(83)를 세정할 때, 노즐유닛(3)끼리의 사이에서도 간극없이, 중첩부(33)의 노즐(31)로 세정할 수 있고, 따라서, 필터(83)에 대한 세정불균일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필터(83)를 균일하게 세정을 행할 수 있다.
관체(2)에는, 노즐(31)이 노즐유닛(3)으로 마련되어 있는 데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노즐(31)이 관체(2)의 관벽에 관통하여 형성된 측구멍으로 마련되어 있어도 된다.
관체(2)에 배치되는 노즐(31)의 배치수는, 필터(83)의 크기에 따라, 적절히 변경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관체(2)에 배치되는 노즐(31)의 배치수는, 복수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하나여도 된다. 이 경우, 노즐(31)은, Y축방향을 따른 슬릿상을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관체(2)에는, 중계관(11)을 개재하여 액체공급부(4)가 접속되고, 중계관(12)을 통하여 기체공급부(5)가 접속되어 있다.
액체공급부(4)는, 중계관(11)을 개재하여, 관체(2)의 길이방향의 도중에 접속되어 있다. 액체공급부(4)는, 유체(Q)로서 물을 포함하는 액체(Q1)를 관체(2)에 공급할 수 있다. 다만, 액체공급부(4)는, 액체(Q1)의 온도를 조정하는 온도조정부를 갖고 있어도 된다. 이로써, 예를 들면 액체(Q1)를 가열할 수 있고, 따라서, 필터(83)에 대한 세정력이 향상된다. 또, 액체(Q1)에는, 세제가 함유되어 있어도 된다. 이로써도, 필터(83)에 대한 세정력이 향상된다.
기체공급부(5)는, 중계관(12)을 통하여, 관체(2)의 Y축방향 부측에 접속되어 있다. 기체공급부(5)는, 유체(Q)로서 압축공기를 포함하는 기체(Q2)를 관체(2)에 공급할 수 있다.
그리고, 각 노즐(31)로부터는, 유체(Q)로서의 액체(Q1)와 기체(Q2)의 혼합유체를, 고압의 제트분사로 분사할 수 있다. 이로써, 필터(83) 상에 잔류한 추출재료(EM)를 날려 버려, 필터(83)로부터 박리할 수 있다.
다만, 세정장치(1)에서는, 액체(Q1)와 기체(Q2)의 혼합을 조정할 수 있다.
삭제
또, 세정장치(1)에 의한 세정양태로서, 액체(Q1)와 기체(Q2)를 각 노즐(31)로부터 일괄적으로 분사하는 양태이지만, 그 외에, 예를 들면, 액체(Q1)와 기체(Q2)를 각 노즐(31)로부터 교대로 분사하는 양태로 할 수도 있다.
또, 필터(83)를 세정한 후, 이 필터(83)에 대하여 기체(Q2)를 분사함으로써, 필터(83)를 건조시킬 수도 있다.
<제2 실시형태>
도 7은, 본 발명의 추출시스템의 제2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덮개체의 세정상태(제1 상태)를 나타내는 수직부분단면측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추출시스템의 제2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덮개체의 세정상태(제2 상태)를 나타내는 수직부분단면측면도이다.
이하, 이들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세정장치 및 추출시스템의 제2 실시형태에 대하여 설명하지만, 전술한 실시형태와의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하고, 동일한 사항은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 7,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세정장치(1)는, 관체(2)를, 그 중심축 O2 둘레로 노즐유닛(3)(노즐(31))과 함께 회동시키는 관체구동부(6)를 더 구비한다. 관체구동부(6)는, 관체(2)의 Y축방향 정측에 연결되어 있고, 예를 들면, 모터와, 모터에 연결되어, 서로 맞물리는 복수의 기어를 갖는 감속기를 구비한다. 혹은, 예를 들면, 유압실린더 등의 왕복운동을 관체(2)의 회동으로 변환하는 기구여도 된다. 이로써, 관체(2)를 중심축 O2 둘레로 왕복회동시켜, 각 노즐(31)을 도 7에 나타내는 상태와 도 8에 나타내는 상태로 이행시킬 수 있다. 도 7에 나타내는 상태에서는, 각 노즐(31)이 연직하방을 향하고 있다. 도 8에 나타내는 상태에서는, 각 노즐(31)이 좌(左)경사하방을 향하고 있다.
그리고, 덮개체(82)의 반개방상태를 유지하고, 관체(2)를 중심축 O2 둘레로 왕복 회동시키면서 각 노즐(31)로부터 유체(Q)를 분사시킨다. 이때, 관체(2)의 회동각도에 관계없이, 경사각도 θ82는, 0° 또는 예각이다. 이로써, 각 노즐(31)로부터의 유체(Q)는, 필터(83)에 대하여 0° 또는 예각의 경사각도 θ82로 분사된다.
도 7에 나타내는 상태에서는, 필터(83)의 경사방향 상측에 잔류한 추출재료(EM)를 떼어 낼 수 있다. 도 8에 나타내는 상태에서는, 필터(83)의 경사방향의 도중에 잔류한 추출재료(EM)를 떼어 낼 수 있다. 세정장치(1)는, 도 7에 나타내는 상태와 도 8에 나타내는 상태를 교대로 반복함으로써, 필터(83)에 잔류한 추출재료(EM)를 충분히 제거할 수 있다. 이로써, 필터(83)를 확실히 세정할 수 있다.
다만, 관체구동부(6)는, 예를 들면 추출재료(EM)의 잔류량에 따라, 관체(2)의 회동속도를 가변으로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이 경우, 예를 들면 관체(2)의 회동속도를 감소시킬 수 있고, 따라서, 유체(Q)가 분사되는 시간도 증가시킬 수 있다. 이로써, 확실한 세정을 행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세정장치 및 추출시스템을 도시한 실시형태에 대하여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세정장치 및 추출시스템을 구성하는 각부는, 동일한 기능을 발휘할 수 있는 임의의 구성의 것과 치환할 수 있다. 또, 임의의 구성물이 부가되어 있어도 된다.
또, 본 발명의 세정장치 및 추출시스템은, 상기 각 실시형태 중의, 임의의 2 이상의 구성(특징)을 조합한 것이어도 된다. 예를 들면, 필터(83)를 세정할 때, 덮개체(82)의 회동과, 관체(2)의 회동을 조합하여, 그 세정을 행해도 된다.
1 세정장치
2 관체
21 내부공간
3 노즐유닛
31 노즐(분출구)
32 노즐열(분출구열)
33 중첩부
4 액체공급부
5 기체공급부
6 관체구동부
8 추출장치
81 추출탱크
811 내부공간
812 측벽부
813 상측 벽부
814 하측 개구부
82 덮개체
821 오목부
822 배출구
83 필터
84 덮개체회동구동부
841 유압실린더
85 처리액공급부
851 노즐
86 평탄화부
861 판부재
87 탱크세정부
871 스프레이부
9 회수장치
91 호퍼
911 도입부
912 배출부
92 벨트컨베이어
921 무단벨트
922 롤러
11 중계관
12 중계관
100 추출시스템
EM 추출재료
O2 중심축
Q 유체
Q1 액체
Q2 기체
θ82 경사 각도

Claims (10)

  1. 추출재료를 수납하는 추출탱크와,
    상기 추출탱크의 하부에 개폐 가능하게 지지되는 덮개체와,
    상기 덮개체를 회동시켜서, 상기 덮개체를 개폐시키는 덮개체회동구동부와,
    상기 덮개체에 마련되고, 상기 추출재료가 재치되는 필터를 구비한 추출장치의 상기 필터를 유체로 세정하는 세정장치로서,
    상기 추출탱크에 대한 위치가 고정되어 배치되며, 상기 유체가 통과하는 관체와,
    상기 관체에 마련되고, 상기 덮개체가 개방상태에 있을 때에, 상기 필터를 향하여 상기 유체를 분사하는 분출구를 구비하고,
    상기 덮개체가 개방상태에 있을 때에, 분출구는 상기 필터의 상측에 배치되며,
    상기 관체의 상기 추출탱크에 대해 고정된 위치는, 상기 덮개체의 개폐동작에 관계없이 상기 덮개체와 간섭하지 않는 위치이며,
    상기 필터를 향해서 상기 유체를 분사할 때의 상기 분출구는, 상기 필터의 상측의 부분보다 상측에 위치하고, 상기 덮개체회동구동부측에 상기 관체가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정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출구는, 상기 관체와 별체로 구성되어 있는 세정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는, 시트상 또는 중심으로부터 측벽부를 향하여 하방으로 완만한 경사를 이루고 있고,
    상기 분출구는, 상기 유체를 분사했을 때, 상기 유체의 분사방향이 상기 필터에 대하여 0° 또는 예각이 되는 세정장치.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장치는, 상기 덮개체를 회동시켜, 상기 덮개체를 개폐시키는 덮개체회동구동부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분출구는, 상기 덮개체회동구동부에 의하여 상기 덮개체를 회동시키면서, 상기 유체를 분사하는 세정장치.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관체를, 그 중심축 둘레로 회동시키는 관체구동부를 구비하고,
    상기 분출구는, 상기 관체구동부에 의하여 상기 관체를 회동시키면서, 상기 유체를 분사하는 세정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관체구동부는, 상기 관체의 회동속도를 가변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세정장치.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분출구는, 복수의 상기 분출구가 일렬로 배치된 분출구열로서 유닛화되고,
    상기 분출구열은, 상기 관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관체의 길이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는 수평방향에서 상기 관체를 보았을 때, 상기 관체의 길이방향으로 이웃하는 2개의 상기 분출구열끼리 중, 일방의 상기 분출구열의 적어도 하나의 상기 분출구와, 타방의 상기 분출구열의 적어도 하나의 상기 분출구가 중첩되는 세정장치.
  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로서 물을 포함하는 액체를 상기 관체에 공급하는 액체공급부를 구비하는 세정장치.
  9.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로서 공기를 포함하는 기체를 상기 관체에 공급하는 기체공급부를 구비하는 세정장치.
  10. 추출재료를 수납하는 추출탱크와, 상기 추출탱크의 하부에 개폐 가능하게 지지되는 덮개체와, 상기 덮개체에 마련되고, 상기 추출재료가 재치되는 필터를 구비한 추출장치와,
    상기 필터를 유체로 세정하는, 제1항 또는 제2항에 기재된 세정장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출시스템.
KR1020217028265A 2019-03-25 2019-05-30 세정장치 및 추출시스템 KR10265781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9-056004 2019-03-25
JP2019056004 2019-03-25
PCT/JP2019/021559 WO2020194766A1 (ja) 2019-03-25 2019-05-30 洗浄装置および抽出システ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41480A KR20210141480A (ko) 2021-11-23
KR102657817B1 true KR102657817B1 (ko) 2024-04-15

Family

ID=726106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28265A KR102657817B1 (ko) 2019-03-25 2019-05-30 세정장치 및 추출시스템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220007881A1 (ko)
JP (1) JP7461930B2 (ko)
KR (1) KR102657817B1 (ko)
CN (1) CN113573619B (ko)
WO (1) WO202019476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403704B (zh) * 2022-01-26 2024-01-26 沽源县特莲思食品加工有限公司 金莲花茶饮制备系统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39433B2 (ja) * 1997-03-31 2000-05-08 タイガー魔法瓶株式会社 ホットプレート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7425U (ja) * 1993-10-27 1995-05-23 三友機器販売株式会社 飲料液抽出器
US5473974A (en) * 1994-06-15 1995-12-12 Chang; Kwei T. Compact coffee maker
JPH08112205A (ja) * 1994-10-18 1996-05-07 Mitsubishi Heavy Ind Ltd 飲料抽出装置
JP3393016B2 (ja) * 1996-04-15 2003-04-07 大日本スクリーン製造株式会社 基板洗浄装置および方法
JP3039433U (ja) * 1997-01-10 1997-07-22 株式会社イズミフードマシナリ 飲料液体抽出装置のフィルタ洗浄装置
JPH11188328A (ja) * 1997-12-26 1999-07-13 Taiho Ind Co Ltd タンクの洗浄装置及び洗浄方法
JP4556130B2 (ja) * 2005-05-13 2010-10-06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容器の洗浄装置および洗浄方法、並びにタンク
JP4413829B2 (ja) 2005-08-03 2010-02-10 東京エレクトロン株式会社 現像処理装置及び現像処理方法
JP5580167B2 (ja) * 2010-10-21 2014-08-27 鹿島建設株式会社 抽出装置
CN102177971B (zh) * 2011-03-26 2015-01-28 乔林友 一种自动清洗的豆浆机
CN203138096U (zh) * 2013-01-08 2013-08-21 周林斌 咖啡壶过滤装置
JP6329380B2 (ja) 2014-02-07 2018-05-23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液晶表示装置の製造方法および製造装置
JP6924363B2 (ja) 2017-03-27 2021-08-25 Toto株式会社 浴室洗い場床用洗浄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39433B2 (ja) * 1997-03-31 2000-05-08 タイガー魔法瓶株式会社 ホットプレー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20007881A1 (en) 2022-01-13
JP7461930B2 (ja) 2024-04-04
CN113573619A (zh) 2021-10-29
KR20210141480A (ko) 2021-11-23
CN113573619B (zh) 2023-07-11
WO2020194766A1 (ja) 2020-10-01
JPWO2020194766A1 (ko) 2020-10-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98428B1 (ko) 하수 또는 폐수의 부유물 처리장치
KR102657817B1 (ko) 세정장치 및 추출시스템
CN108970981B (zh) 一种中药炮制用的辅助加工设备
US20190320700A1 (en) Produce washer
CN208340257U (zh) 回转式格栅除污机
EP1964795A1 (en) Device for cleaning from a conveyor belt fluid substances sprayed thereon
EP0377367A1 (fr) Procédé de lavage de la surface extérieure d&#39;objets cylindriques, en particulier de bouteilles de gaz, et dispositif de mise en oeuvre dudit procédé
DE4400871C2 (de) Vorrichtung zum Waschen bzw. Reinigen von Flaschenkästen
CN211631703U (zh) 一种海鲜菇下脚料清洗装置
US20070204886A1 (en) Lift/immersion bath
CN210907373U (zh) 一种土壤修复用破碎搅拌一体机
CN109512356A (zh) 一种多功能餐具洗净机
KR102310196B1 (ko) 수납박스용 자동 세척장치
KR200237003Y1 (ko) 도장 부스의 분진 및 가스 제거장치
KR101323482B1 (ko) 수삼 세척기
KR100523165B1 (ko) 건설 폐기물의 골재 세척용 콘베이어 구조
FR2976562A1 (fr) Installation de conditionnement aseptique a zones tampon aseptiques
KR100499979B1 (ko) 상하수 처리장용 원격제어식 스컴스키머
CN112518973A (zh) 一种螺旋布料器用的出料装置
CN110864542A (zh) 茶叶加工用烘干装置
CN210788292U (zh) 一种清洗彻底的天麻清洗装置
CN114472413B (zh) 一种紧凑型组培瓶自动清洗机
JP3039433U (ja) 飲料液体抽出装置のフィルタ洗浄装置
CN109850469A (zh) 一种果蔬卸料装置
CN114472414B (zh) 一种高效型组培瓶自动清洗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