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54612B1 - 정보 처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정보 처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54612B1
KR102654612B1 KR1020237009337A KR20237009337A KR102654612B1 KR 102654612 B1 KR102654612 B1 KR 102654612B1 KR 1020237009337 A KR1020237009337 A KR 1020237009337A KR 20237009337 A KR20237009337 A KR 20237009337A KR 102654612 B1 KR102654612 B1 KR 1026546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duct
information
products
gift
information proces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70093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42539A (ko
Inventor
유키히로 소노다
Original Assignee
기프트 패드 씨오., 엘티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기프트 패드 씨오., 엘티디. filed Critical 기프트 패드 씨오., 엘티디.
Publication of KR202300425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425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546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54612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13Third-party assiste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90/00Enabling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contribution to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P90/30Comput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Abstract

상품 등 제공자로부터 제공되는 상품 등의 판로를 확대하고, 그 결과 상품 등의 새로운 고객층을 획득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상품 또는 역무를 상품 등으로 하여 상품 등을 제공하는 상품 등 제공자에 의해 관리되는 상품 등 제공자 단말(2), 상품을 유통시키는 상품 등 유통자에 의해 관리되는 상품 등 유통자 단말(3), 제1 정보 처리 장치 및 제2 정보 처리 장치의 각각과 통신을 하는 플랫폼 서버(1)를 포함하는 정보 처리 시스템에 있어서, 등록 의뢰부(51)는 상품 등에 관한 정보를 상품 등 정보로서 플랫폼 서버(1)에 등록 의뢰를 한다. 제시부(81)는 플랫폼 서버(1)로부터의 상품 등 정보의 제시 의뢰를 기초로, 상품 등 정보를 상품 등의 양도를 받는 후보자인 양수 후보자에게 제시한다. 수주 접수부(82)는 양수 후보자 중 소정 사람에 대해, 상품 등의 양도의 수주를 접수한다. 수주 정보 생성부(83)는 그 소정 사람을 고객으로 하여 수주 정보를 생성한다.

Description

정보 처리 시스템
본 발명은 정보 처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인터넷 등을 이용하여 상품을 판매하는 통신 판매가 이루어지고 있다(예를 들어, 특허문헌 1 참조).
특허문헌 1: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2013-3834호
그러나, 실제로 그 상품의 구입을 희망하는 사람이 통신 판매의 웹 사이트 등에서 상품을 열람이나 검색함으로써 구입할 수 있는, 혹은 그 이력 등을 기초로 구입의 제안이 이루어지는 것에 지나지 않았다. 즉, 구입자는 구입을 희망하는 사람이 직접 구입하는 외에는 없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상황에 비추어 이루어진 것으로, 상품 등 제공자로부터 제공되는 상품 등의 판로를 확대하고, 그 결과, 상품 등의 새로운 고객층을 획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아울러, 상품 등 제공자, 상품 등의 정의 등에 대해서는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형태에서 후술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양태의 정보 처리 시스템은
상품 또는 역무를 상품 등으로 하여 상품 등을 제공하는 상품 등 제공자에 의해 관리되는 제1 정보 처리 장치,
상기 상품을 유통시키는 상품 등 유통자에 의해 관리되는 제2 정보 처리 장치,
상기 제1 정보 처리 장치 및 상기 제2 정보 처리 장치의 각각과 통신을 하는 제3 정보 처리 장치
를 포함하는 정보 처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제1 정보 처리 장치는
상기 상품 등에 관한 정보를 상품 등 정보로서, 상기 제3 정보 처리 장치에 등록 의뢰를 하는 등록 의뢰 수단,
상기 상품 등이 고객에게 수주된 것을 나타내는 정보가 수주 정보로서 상기 제3 정보 처리 장치로부터 제공되어 온 경우, 해당 수주 정보를 취득하는 수주 정보 취득 수단,
상기 수주 정보를 기초로, 상기 상품 등의 고객으로의 제공의 제어를 실행하는 상품 등 제공 수단
을 구비하고,
상기 제2 정보 처리 장치는
상기 제3 정보 처리 장치로부터의 상기 상품 등 정보의 제시 의뢰를 기초로, 해당 상품 등 정보를 상기 상품 등의 양도를 받는 후보자인 양수 후보자에게 제시하는 제시 수단,
상기 양수 후보자 중 소정의 사람에 대해, 상기 상품 등의 양도의 수주를 접수하는 수주 접수 수단,
상기 소정의 사람을 상기 고객으로 하여 상기 수주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제3 정보 처리 장치에 제공하는 수주 정보 생성 수단
을 구비하고,
상기 제3 정보 처리 장치는
상기 제1 정보 처리 장치로부터의 상기 등록 의뢰를 기초로, 상기 상품 등 정보를 등록하는 등록 수단,
상기 상품 등 정보의 제시 의뢰를 상기 제2 정보 처리 장치에게 하는 제시 의뢰 수단,
상기 상품 등 정보의 상기 수주 정보를 상기 제2 정보 처리 장치로부터 취득하여 상기 제1 정보 처리 장치에 제공하는 수주 정보 전달 수단
을 구비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품 등 제공자로부터 제공되는 상품 등의 판로를 확대하고, 그 결과, 상품 등의 새로운 고객층을 획득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의 정보 처리 시스템에 의해 실현 가능한 본 서비스와 비교하기 위한, 종래 판로의 개요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의 정보 처리 시스템을 적용한 본 서비스에 의해 가능해지는 판로의 개요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정보 처리 시스템의 일 실시 형태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3의 정보 처리 시스템 중 플랫폼 서버(1)의 하드웨어 구성의 일 예를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5는 도 4의 정보 처리 시스템의 기능적 구성의 일 예를 나타내는 기능 블럭도이다.
도 6은 도 5의 기능적 구성을 갖는 정보 처리 시스템이 실행하는, 도 2의 본 서비스를 실현하기 위한 처리의 개요를 나타내고 있다.
도 7은 도 5의 기능적 구성을 갖는 정보 처리 시스템이 실행하는, 도 2의 본 서비스를 실현하기 위한 처리의 상세를 나타내고 있다.
도 8은 소셜 기프트에 대해, 기프트를 주는 사람의 서비스 플로우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소셜 기프트에서의 기프트를 받는 사람의 서비스 플로우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서비스의 적용처 및 해당 적용에 의해 확립이 가능해지는 새로운 판로의 제1 구체적인 예의 개요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본 서비스의 적용처 및 해당 적용에 의해 확립이 가능해지는 새로운 판로의 제2 구체적인 예의 개요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는 본 서비스의 적용처 및 해당 적용에 의해 확립이 가능해지는 새로운 판로의 제3 구체적인 예의 개요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은 본 서비스의 적용처 및 해당 적용에 의해 확립이 가능해지는 새로운 판로의 제4 구체적인 예의 개요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는 본 서비스의 적용처 및 해당 적용에 의해 확립이 가능해지는 새로운 판로의 제5 구체적인 예의 개요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5는 본 서비스의 적용처 및 해당 적용에 의해 확립이 가능해지는 새로운 판로의 제6 구체적인 예의 개요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6은 본 서비스의 적용처 및 해당 적용에 의해 확립이 가능해지는 새로운 판로의 제7 구체적인 예의 개요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7은 본 서비스의 적용처 및 해당 적용에 의해 확립이 가능해지는 새로운 판로의 제8 구체적인 예의 개요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8은 본 서비스의 적용처 및 해당 적용에 의해 확립이 가능해지는 새로운 판로의 제9 구체적인 예의 개요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9는 본 서비스의 적용처 및 해당 적용에 의해 확립이 가능해지는 새로운 판로의 제10 구체적인 예의 개요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0은 본 서비스의 적용처 및 해당 적용에 의해 확립이 가능해지는 새로운 판로의 제11 구체적인 예의 개요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해 도면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의 정보 처리 시스템에 의해 실현 가능한 본 서비스와 비교하기 위한, 종래 판로의 개요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상품 등 제공자(T)는 상품 또는 역무를 상품 등으로 하여, 상품 등을 제공하는 사람이다. 여기서, 상품 등의 제공이란, 상품 등을 생산하는 등으로서 최초로 만들어 내, 해당 상품 등을 다른 사람(도 1의 예에서는 고객(U))에게 제공하는 것을 말한다. 제조업자, 산지, 생산자, 서비스 제공자는 상품 등 제공자(T)의 일 예이다.
상품 등 유통자(J)는 상품 등 제공자(T)와 후술하는 고객(U)의 사이를 중개하여, 상품 등을 상품 등 제공자(T)로부터 고객(C)으로 이전시키는 역할을 담당하는 사람이다. 도·소매, EC는 상품 등 유통자(J)의 일 예이다.
고객(U)은 상품 등 제공자(T)로부터 제공되어 상품 등 유통자(J)에 의해 유통되는 상품 등을 구입할 의사가 있는 사람이다. 상품 등의 구입 등의 경험이 없는 사람이어도, 상품 등 제공자(T) 또는 상품 등 유통자(J)의 타겟이며, 잠재적으로 구입 등의 가능성이 있는 사람은 고객(U)에 포함된다.
종래에는, 상품 등 제공자(T)로부터 제공되는 상품 등은 한정된 범위 내의 소수의 상품 등 유통자(J)로부터 고객(U)에게 판매 등 되고 있었다.
때문에, 상품 등 제공자(T)는 상품 등을 고객(U)에게 인지시키기 위한 비용을 상품 등 유통자(J)에 대해 걸칠 필요가 있었다. 바꾸어 말하면, 종래에는, 고객(U)은 해당 상품 등을 인지하고 있는 사람으로 한정되어 있었다.
또한, 상품 등 유통자(J)로서는, 가격이 싸고, 신속하게 배송 혹은 수수가 가능한 것, 판매장의 확보, 검색 상위 등의 요건을 만족하는 사람인 것이 필요했다.
이와 같이, 종래에는 한정된 범위 내의 상품 등 유통자(J)부터, 상품 등을 인지하고 있는 상품 등 유통자(J)로의 판로밖에 얻을 수 없었다.
이에 반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의 정보 처리 시스템을 적용한 본 서비스에 의해 가능해지는 판로의 개요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서비스는 도 3 이후를 이용하여 후술하는 플랫폼 서버(1)의 제어에 의해, 다수의 상품 등 유통자(J)로부터 다수의 고객(T)에게 상품 등을 유통 가능하게 된다.
즉, 본 서비스는 후술하는 플랫폼 서버(1)를 제공함으로써, 상품 등을 처음 알게 된 새로운 고객(U)에게 상품 등이 이전되는 새로운 판로를 포함하는 다수의 판로가 실현 가능하게 되며, 또한 상품 등 제공자(T)에게 있어서 자사 다른 사람의 새로운 DX 판로의 활용도 가능하게 된다.
이러한 도 2에 나타내는 본 서비스(후술하는 플랫폼 서버(T))에 의해, 상품 등 제공자(T), 상품 등 유통자(J), 고객(U)의 각각은 다음과 같은 메리트를 누리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상품 등 제공자(T)의 메리트는 예를 들어 다음과 같다.
즉, 상품 등 제공자(T)는 자신의 상품 등에 관한 정보(이하, '상품 등 정보'라고 부른다)를 자신의 스마트폰(예를 들어 후술하는 상품 등 제공자 단말(2))을 이용하여 간단히 등록할 수 있다.
상품 등이 대량이면, 연계하여 일괄 거두어 들임이나 CSV 업 로드 등이 가능해진다.
상품 등 정보에 대해, 화상(정지 화상 또는 동영상)도 올릴 수 있게 된다.
또한, 상품 등의 판로가 넓어져, 해당 상품 등이 사용되는 신(scene)도 넓어진다.
또한, 본 서비스의 이용에서, 서비스 제공자로부터 적절한 서포트를 받을 수 있다.
또한, 종래의 자사 유통(도, 소매, EC를 포함한다. 도 1 참조)에 더하여, 서비스 제공자, 및 후술하는 소셜 기프트의 이용 기업이 전개하는 다양한 판로(신)에 단기간에 전개가 가능해진다.
후술하는 소셜 기프트 기능을 이용함으로써, 상품 등의 도매, 소매뿐만 아니라 자사의 DX를 무상 혹은 저예산으로 구축 가능하다.
예약 판매, 수주 판매 등 장래적인 매상을 기대하는 경우에도 상품 등의 등록이 가능하다.
자사 브랜드를 훼손하지 않는 판로의 한정, 친화성이 높은 이용 기업과의 매칭을 기대할 수 있다. 즉, AU 기능을 활용한 자동 매칭(조건 설정)을 채용함으로써, 상품 등 제공자(T)에게 있어서 적절한 상품 등 유통자(J)의 매칭이 가능해진다.
상품 등의 희망 판매 가격(도매가)을 판로에 맞추어 설정, 변경할 수 있다.
점포에서 현물 혹은 특정 QR 코드(등록 상표)를 고객(U)의 단말로 읽어 들임으로써, 상품 등(기프트)의 구입을 할 수 있다, 라고 하는 비지니스를 전개할 수 있다.
위치 정보 연동, 푸시 통지, 리마인드 기능에 의해 고객(C)을 점포로 유인할 수 있다.
점포에서 판매하는 상품 등을 사전 결제한 사람(고객(U))에의 상품 등의 수수를 계산대 통과 없이 가능하게 한다.
또한, 상품 등 유통자(J)나 고객(U) 중 비용 부담하는 사람(예를 들어 상품 등 유통자(J) 중 기업(영업·총무) 등이나, 고객(U) 중 후술하는 '기프트를 주는 사람(G)' 등)의 메리트는 예를 들어 다음과 같다.
즉, 후술하는 기프트로서 고객(U)에 대해 빠르게 전달된다(메일이나 SNS가 있으면. 상품 등의 도착과는 별도로 전달된다).
본 서비스의 회원 기능이 있고, 회원으로서 등록되면, 후술하는 기프트를 주는 작업도 경감된다.
후술하는 기프트를 주기 위한 사이트 등을 커스터마이즈하여, 고객(U)의 만족도를 높일 수 있다.
필요한 템플릿이 있으면, 작업도 간단해진다.
또한, 상품 등 이외에, 자사 제품도 등록할 수 있게 된다(즉, 상품 등 유통자(J)가 상품 등 제공자(T) 자신도 될 수 있다).
비용 부담하는 사람은 상품 등을 스스로 모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재고를 갖지 않고 다종, 다양한 상재(商材)를 판매하는 것이 가능해져, 선택하여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즉, AU 기능을 활용한 자동 매칭(조건 설정)을 채용함으로써, 상품 등 유통자(J)에게 있어서 적절한 상품 등 제공자(T)의 매칭이 가능해진다.
후술하는 소셜 기프트에서의 카드형, 메일형에 의한 '기프트를 받을 권리(기프트 코드)'의 수수 수단을 자사 서비스로서 이용할 수 있다.
'기프트를 받을 권리(기프트 코드)'에 의한 기프트(상품 등)의 수수 시에, URL의 유효화/무효화, 정보 수집, 정보 발신, 추첨, 수익 배분(revenue share) 등, 후술하는 소셜 기프트를 위해 제공되는 다양한 기능을 이용할 수 있다.
자사 상재, 서비스를 상품 등으로서 등록함으로써, 상품 등 제공자(T)도 될 수 있다.
정보·운용의 관리, 재고 리스크가 경감됨으로써 대폭적인 비용 삭감을 실현할 수 있다.
또한, 고객(U)(예를 들어 후술하는 '기프트를 받는 사람(M)'이나 체험하는 사람)의 메리트는 예를 들어 다음과 같다.
즉, 본 서비스의 회원 기능이 있으며, 회원으로서 등록되면, 주소나 이름의 입력이 경감된다.
고객(U)은 동일한 상품 등을 나중에 스스로 살 수 있다.
고객(U)은 기프트를 주는 사람(G)으로부터 기프트로서 주어진 경우, 해당 기프트를 돌려 보낼 수 있다.
고객(U)은 예의에 따른 형태로, 리코멘드를 한다.
다음으로, 도 2에 나타내는 본 서비스의 제공을 실현화시키는 정보 처리 시스템의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정보 처리 시스템의 일 실시 형태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에 나타내는 정보 처리 시스템은 플랫폼 서버(1), 상품 등 제공자 단말(2-1 내지 2-n)(n은 1 이상의 정수값), 상품 등 유통자 단말(3-1 내지 3-m)(m은 1 이상의 정수값)을 포함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플랫폼 서버(1), 상품 등 제공자 단말(2-1 내지 2-n), 및 상품 등 유통자 단말(3-1 내지 3-m)의 각각은 인터넷 등의 소정의 네트워크(Nw)를 통해 서로 접속되어 있다.
플랫폼 서버(1)는 서비스 제공자에 의해 관리되는 정보 처리 장치이다. 플랫폼 서버(1)는 상품 등 제공자 단말(2-1 내지 2-n) 및 상품 등 유통자 단말(3-1 내지 3-m)과 적절히 통신하면서, 본 서비스를 실현하기 위한 각종 처리를 실행한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플랫폼 서버(1)는 상품 등 제공자(Tk)(k는 1 내지 n 중 임의의 정수값)의 상품 등에 관한 정보(이하, '상품 등 정보'라고 부른다)의 등록 의뢰를 상품 등 제공자 단말(2-k)로부터 받으면, 상품 등 정보를 등록한다.
플랫폼 서버(1)는 상품 등 유통자 단말(3-1 내지 3-m) 중 적어도 일부에 대해 상품 등 정보의 제시 의뢰를 한다.
이 제시 의뢰를 받은 상품 등 유통자 단말(3-p)(p는 1 내지 m 중 임의의 정수값)은 상품 등 유통자(Jp)에 의한 양도 등의 대상으로서, 상품 등 정보를 제시한다. 이로써, 상품 등 제공자(Tk)의 종래의 고객층뿐만 아니라, 새로운 고객층(고객(U))에 대해서도 넓게 상품 등 정보의 제시가 가능해진다. 바꾸어 말하면, 상품 등 유통자 단말(3-p)은 상품 등의 하나의 판로로서 기능한다. 즉, 본 예에서는, 플랫폼 서버(1)에 m대의 상품 등 유통자 단말(3-1 내지 3-m)이 등록되어 있기 때문에, 최대 m의 판로에 의해 상품 등의 양도 등이 가능해진다.
여기서, 양도 등이란, 상술한 바와 같이, 직접적인 양도 외에, 양도의 지원 행위도 포함한다. 이 지원 행위로서는, 예를 들어 상품 등을 기프트로서 받을 권리를 갖는 것을 나타내는 정보를 권리 정보로 하여, 해당 권리 정보를 발행하는 것도 포함한다. 아울러, 양도 등의 각종 구체적인 예에 대해서는 도 6 이후의 도면을 참조하여 후술한다.
상품 등 유통자 단말(3-p)에서 소정의 고객(고객(U)의 후보)에 의해 상품 등의 양도 등의 계약이 이루어지면(수주기 접수되면), 수주 정보가 생성되어 플랫폼 서버(1)에 제공된다.
플랫폼 서버(1)는 이 수주 정보를 상품 등 유통자 단말(3-p)로부터 취득하면 상품 등 제공자 단말(2-k)에 송신한다.
이로써, 상품 등 제공자(Tk)로부터 고객(고객(U))에 대해 상품 등이 배송 등 된다.
상품 등 제공자 단말(2-1 내지 2-n)의 각각은 상품 등 제공자(T1 내지 Tn)의 각각에 의해 조작되는 정보 처리 장치이다. 상품 등 제공자 단말(2-1 내지 2-n)은 예를 들어 스마트폰, 태블릿 등으로 구성된다.
상품 등 제공자 단말(2-1 내지 2-n)의 각각은 상품 등 제공자(T1 내지 Tn)의 각각에 의해 입력된 상품 등 정보의 등록 의뢰를 플랫폼 서버(1)에 송신한다.
또한, 상품 등 제공자 단말(2-1 내지 2-n)의 각각은 상품 등이 고객(U)에게 수주된 것을 나타내는 수주 정보가 플랫폼 서버(1)로부터 제공되어 온 경우, 해당 수주 정보를 수신하여 취득한다.
이하, 상품 등 제공자(T1 내지 Tn)를 구별하지 않고 '상품 등 제공자(T)'라고 부르고 있는 경우, 상품 등 제공자 단말(2-1 내지 2-n)을 합쳐 '상품 등 제공자 단말(2)'이라고 부른다.
상품 등 제공자 단말(2)에는, 예를 들어 본 실시 형태에서는 본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한 전용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하, '전용 어플리케이션'이라고 부른다)이 인스톨되어 있다. 아울러, 이하, 언급이 없는 한 '상품 등 제공자(T)가 상품 등 제공자 단말(2)을 조작한다'고 표현하고 있는 경우, 이는 상품 등 제공자(T)가 상품 등 제공자 단말(2)에 인스톨된 전용 어플리케이션을 기동하여 각종 조작을 수행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한다.
상품 등 유통자 단말(3-1 내지 3-m)의 각각은 상품 등 유통자(J1 내지 Jm)의 각각에 의해 조작되는 정보 처리 장치이다. 상품 등 유통자 단말(3-1 내지 3-m)은 예를 들어 스마트폰, 태블릿 등으로 구성된다.
상품 등 유통자 단말(3-1 내지 3-m)의 각각은 플랫폼 서버(1)로부터 제공된 소정의 상품 등 제공자(Tr)의 상품 등 정보를 제시한다.
또한, 상품 등 유통자 단말(3-1 내지 3-m)의 각각은 이 상품 등 정보의 제시를 받은 고객(고객(U)의 후보)으로부터 해당 상품 등의 양도의 계약을 접수하면(수주하면), 수주 정보를 생성하여 플랫폼 서버(1)에 송신한다.
이하, 상품 등 유통자(J1 내지 Jm)를 구별하지 않고 '상품 등 유통자(J)'라고 부르고 있는 경우, 상품 등 유통자 단말(3-1 내지 3-m)을 합쳐 '상품 등 유통자 단말(3)'이라고 부른다.
상품 등 유통자 단말(3)에는, 예를 들어 본 실시 형태에서는 본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한 전용 어플리케이션이 인스톨되어 있다. 아울러, 이하, 언급이 없는 한 '상품 등 유통자(J)가 상품 등 유통자 단말(3)을 조작한다'고 표현하고 있는 경우, 이는 상품 등 유통자(J)가 상품 등 유통자 단말(3)에 인스톨된 전용 어플리케이션을 기동하여 각종 조작을 수행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한다.
다음으로, 도 3의 정보 시스템 중 플랫폼 서버(1)의 하드웨어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도 4는 도 3의 정보 처리 시스템 중 플랫폼 서버(1)의 하드웨어 구성의 일 예를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플랫폼 서버(1)는 CPU(Central Processing Unit)(21), ROM(Read Only Memory)(22), RAM(Random Access Memoy)(23), 버스(24), 입출력 인터페이스(25), 출력부(26), 입력부(27), 저장부(28), 통신부(29), 드라이브(30)를 구비하고 있다.
CPU(21)는 ROM(22)에 기록되어 있는 프로그램, 또는 저장부(28)로부터 RAM(23)에 로딩된 프로그램에 따라 각종 처리를 실행한다.
RAM(23)에는, CPU(21)가 각종 처리를 실행함에 있어서 필요한 데이터 등도 적절히 저장된다.
CPU(21), ROM(22) 및 RAM(23)은 버스(24)를 통해 서로 접속되어 있다. 이 버스(24)에는 또한, 입출력 인터페이스(25)도 접속되어 있다. 입출력 인터페이스(25)에는, 출력부(26), 입력부(27), 저장부(28), 통신부(29) 및 드라이브(30)가 접속되어 있다.
출력부(26)는 액정 등의 디스플레이에 의해 구성되며, 각종 화상을 표시한다.
입력부(27)는 각종 하드웨어 버튼 등으로 구성되며, 조작자의 지시 조작에 따라 각종 정보를 입력한다.
저장부(28)는 DRAM(Dynamic Random Access Memory) 등으로 구성되며, 각종 데이터를 저장한다.
통신부(29)는 인터넷을 포함하는 네트워크(N)를 통해 다른 장치(상품 등 제공자 단말(2) 및 상품 등 유통자 단말(3))와의 사이에서 수행하는 통신을 제어한다.
드라이브(20)는 필요에 따라서 마련된다. 드라이브(20)에는,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광자기 디스크, 혹은 반도체 메모리 등으로 이루어지는 리무버블 미디어(41)가 적절히 장착된다. 드라이브(30)에 의해 리무버블 미디어(41)로부터 읽어내진 프로그램은 필요에 따라 저장부(28)에 인스톨된다. 또한, 리무버블 미디어(41)는 저장부(28)에 저장되어 있는 각종 데이터도 저장부(28)와 마찬가지로 저장할 수 있다.
아울러, 도시는 하지 않지만, 도 3의 정보 처리 시스템 중, 상품 등 제공자 단말(2) 및 상품 등 유통자 단말(3)도 도 4에 나타내는 하드웨어 구성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도 5의 플랫폼 서버(1), 상품 등 제공자 단말(2), 및 상품 등 유통자 단말(3)의 각종 하드웨어와 각종 소프트웨어의 협동에 의해, 플랫폼 서버(1), 상품 등 제공자 단말(2), 및 상품 등 유통자 단말(3)에서 각종 처리의 실행이 가능해진다. 그 결과, 서비스 제공자는 상품 등 제공자(T)나 상품 등 유통자(J)에 대해, 상술한 본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도 5는 도 4의 정보 처리 시스템의 기능적 구성의 일 예를 나타내는 기능 블럭도이다.
무순으로 설명하면,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품 등 제공자 단말(2)에서는, 등록 의뢰부(51), 수주 정보 취득부(52), 상품 등 제공 제어부(53)가 기능한다.
등록 의뢰부(51)는 상품 등에 관한 정보를 상품 등 정보로서 플랫폼 서버(1)에 등록 의뢰를 한다.
플랫폼 서버(1)에서, 등록 의뢰를 기초로 등록된 상품 등 정보는 복수의 상품 등 유통자 단말(3)을 통해 복수의 고객(U)에게 제시된다. 소정의 고객(U)과 상품 등의 양도의 계약이 이루어지면(상품 등 유통자(J) 입장에서는 수주하면), 해당 상품 등의 수주 정보가 상품 등 유통자 단말(3)로부터 플랫폼 서버(1)를 통해 송신되어 온다.
수주 정보 취득부(52)는 해당 수주 정보를 취득한다.
상품 등 제공 제어부(53)는 이 수주 정보를 기초로, 상품 등의 고객(U)에의 제공의 제어, 예를 들어 상품 등의 고객으로의 배송 의뢰 등의 제어를 실행한다.
또한,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품 등 유통자 단말(3)에서는, 제시부(81), 수주 접수부(82), 수주 정보 생성부(83)가 기능한다.
제시부(81)는 플랫폼 서버(1)로부터의 상품 등 정보의 제시 의뢰를 기초로, 해당 상품 등 정보를 고객(U)에게 제시한다.
수주 접수부(82)는 고객(U) 중 해당 상품 등의 양수의 계약을 희망하는 소정의 사람에 대해, 해당 상품 등의 양도의 수주를 접수한다.
수주 정보 생성부(83)는 상술한 소정의 사람을 고객(U)으로 하여 수주 정보를 생성하고, 플랫폼 서버(1)에 제공한다.
또한,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플랫폼 서버(1)에서는, 등록부(61), 제시 의뢰부(62), 수주 정보 전달부(63), 제공자 관리부(64), 유통자 관리부(65)가 기능한다.
또한, 플랫폼 서버(1)에는, 상품 등 DB(71), 제공자 DB(72), 양도등자 DB(73)가 마련된다.
등록부(61)는 상품 등 제공자 단말(2)로부터의 등록 의뢰를 기초로, 상품 등 정보를 상품 등 DB(71)에 등록한다.
즉, 상품 등 DB(71)에는, 상품 등 제공자 단말(2-1 내지 2-n)의 각각이 제공하는 각종 각양의 상품 등의 각각에 대한 상품 등 정보가 저장된다.
제시 의뢰부(62)는 1 이상의 상품 등의 각각의 상품 등 정보의 제시 의뢰를 상품 등 유통자 단말(3-1 내지 3-m) 중 적어도 일부에 대해 송신한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소정의 상품 등 유통자 단말(3-p)로부터 소정 상품 등의 수주 정보가 송신되어 오면, 수주 정보 전달부(63)는 해당 수주 정보를 취득하고, 해당 소정 상품 등을 제공하는 상품 등 제공자(Tk)의 상품 등 제공자 단말(2-k)에 대해 제공한다.
본 예에서는, 상품 등 제공자(T)는 n(n은 1 이상의 정수값)명 존재한다.
이에, 제공자 관리부(64)는 n명의 상품 등 제공자(T1 내지 Tn)의 각각에 관한 정보를 상품 등 제공자 정보로서 제공자 DB(72)에 저장하고, n명별로 관리한다.
즉, 제공자 DB(72)에는, n명의 상품 등 제공자(T1 내지 Tn)의 각각의 상품 등 제공자 정보가 저장된다.
이 경우, 등록부(61)는 상품 등 정보를 n명별로 상품 등 DB(71)에 저장함으로써 등록한다.
제시 의뢰부(62)는 n명의 상품 등 제공자(T1 내지 Tn) 중 지정된 1명 이상의 상품 등 정보의 제시 의뢰를 상품 등 제공자 단말(2) 중 적어도 일부에 송신한다.
본 예에서는, 상품 등 유통자(J)는 m(m은 1 이상의 정수값)명 존재한다.
이에, 유통자 관리부(65)는 m명의 상품 등 유통자(J1 내지 Jm)의 각각에 관한 정보를 상품 등 유통자 정보로서 양도등자 DB(73)에 저장하고, m명별로 관리한다.
즉, 양도등자 DB(73)에는, m명의 상품 등 유통자(J1 내지 Jn)의 각각의 상품 등 유통자 정보가 저장된다.
이 경우, 제시 의뢰부(62)는 m명의 상품 등 유통자(J1 내지 Jm) 중 지정된 1명 이상의 상품 등 유통자 단말(3)에 대해, 상품 등 정보의 제시 의뢰를 한다.
다음으로, 도 2의 본 서비스를 실현하기 위한 처리에 대해 설명한다.
도 6은 도 5의 기능적 구성을 갖는 정보 처리 시스템이 실행하는, 도 2의 본 서비스를 실현하기 위한 처리의 개요를 나타내고 있다.
도 7은 도 5의 기능적 구성을 갖는 정보 처리 시스템이 실행하는, 도 2의 본 서비스를 실현하기 위한 처리의 상세를 나타내고 있다.
도 6 및 도 7의 예에서는, 상품 등 제공자(T)로서 본점 소재지가 가나가와현인 식품 제조업자 A사가 채용되고 있다.
식품 제조업자 A사의 기존 판로는 자사 점포, 자사 EC 사이트 및 대형 통신 판매 사이트로 되어 있다. 이 기존 판로의 고객이 기존의 고객(Ua)(후보), 즉 식품 제조업자 A사의 상재(자사의 상품 등)를 인지하고 있는 고객(Ua)이다.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식품 제조업자 A사의 상품 등 제공자 단말(2)은 본 서비스의 등록 의뢰를 플랫폼 서버(1)에 대해 수행한다.
그러면, 서비스 제공자는 본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한 시스템 제공을 한다.
본 예에서는, 시스템 제공은 상품 등 제공자 단말(2)의 도 5의 기능 블록의 각 기능을 발휘시키기 위한 전용 어플리케이션의 제공으로 되어 있지만, 특별히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플랫폼 서버(1)의 도 5의 기능 블록의 적어도 일부를 위양시키는 것을 시스템 제공으로 할 수도 있다.
그 외, 서비스 제공자는 시스템 개발, 본 서비스의 보수·운용, 인증·액티베이트, API 연계·커스터마이즈를 한다.
이와 같이 하여 시스템 제공이 이루어진 식품 제조업자 A사(상품 등 제공자(T)의 일 예)는 자신의 상품 등 제공자 단말(2)을 이용하여 본 서비스를 이용함으로써, 도 6에 나타내는 판로 S1 내지 S7과 같은 새로운 판로를 획득할 수 있다.
바꾸어 말하면, 식품 제조업자 A사는 판로 S1 내지 S7과 같은 새로운 판로의 획득에 의해, 새롭게 리치할 수 있는 고객(Ub)을 획득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하, 이 새로운 판로 S1 내지 S7의 각각에 대해, 그 순번대로 개별적으로 설명해 나간다.
판로 S1은 식품 제조업자 A사의 자사 사이트에 소셜 기프트 기능을 탑재함으로써 확립되는 판로이다.
여기서, 소셜 기프트란, 도 8 및 도 9의 서비스 플로우에 의해 실현되는 것을 말한다.
도 8은 소셜 기프트에 대해, 기프트를 주는 사람의 서비스 플로우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소셜 기프트에서는, 기프트를 주는 사람이 기프트를 받는 사람에 대해 특정 상품 등을 기프트로서 직접 주고 받는 것이 아니라, 기프트를 받을 권리를 양도한다.
기프트란, 기프트를 받을 권리를 갖는 사람이, 기프트를 받는 사람(M)으로서 그 권리를 가지고 있는 것을 나타냄으로써(예를 들어 후술하는 기프트 코드를 입력함으로써), 받을 수(소유권을 가지게 될 수) 있는 상품 등이다.
여기서, 주목해야 할 점은, 본 실시 형태에서 말하는 '기프트를 주는 사람(G)'이란, 기프트를 받는 사람(M)에 대해, 기프트가 되는 상품 등을 직접 주는 사람이 아니라, 기프트를 받을 권리를 주는 사람인 점이다.
즉, 기프트를 받을 권리는 본 서비스의 서비스 제공자가 원시적으로 발생시키는 것이며, 본 서비스에서는 고객(U)이나 상품 등 유통자(J) 등이 '기프트를 주는 사람(G)'이 되고, 이 기프트를 받을 권리를 서비스 제공자로부터 양도받는다(유상과 무상은 불문한다). 그리고, '기프트를 주는 사람(G)'이 기프트를 받을 권리를 원하는 상대에게 양도하는 것이다.
즉, 기프트를 받을 권리를 최종적으로 가진 사람이 기프트를 받는 사람(M)(최종적인 고객(U))이 되어, 원하는 상품 등을 기프트로서 받을 수 있다.
즉, 기프트를 주는 사람(G)이 본 서비스의 서비스 제공자로부터 기프트를 받을 권리를 양도받음으로써, 그 권리를 기프트를 받는 사람(M)에게 양도한다.
여기서, 이 기프트를 받을 권리를 가지고 있는 것을 나타내기 위해, 본 서비스의 서비스 제공자는 소정의 코드(예를 들어, 알파벳이나 숫자 등의 조합이며, 이하, '기프트 코드'라고 부른다)를 발행한다.
즉, 기프트를 주는 사람(G)으로부터 기프트를 받는 사람(M)에게 주어지는 대상이 이 '기프트 코드'이다. 즉, 기프트를 받는 사람(M)은 이 '기프트 코드'를 본 서비스의 서비스 제공자에게 나타냄으로써, 원하는 상품 등을 기프트로서 받을 수 있다.
여기서, 기프트를 주는 사람(G)이 조작하는 단말(102)을 이하, '주는 사람 단말(102)'이라고 부른다. 본 서비스에서는, 판로에 따라 기프트를 주는 사람(G)이 상이하기 때문에, 주는 사람 단말(102)은 상품 등 제공자 단말(2)이 되거나, 상품 등 유통자 단말(3)이 되거나, 고객(U)의 도시하지 않는 단말이 된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우선, 주는 사람 단말(102)은 기프트를 주는 사람(G)의 조작에 의해 플랫폼 서버(1)에 의해 관리되는 웹 사이트 중, 기프트 코스의 선택을 시키기 위해 제공되는 소정의 웹 사이트(이하, '주는 사람용 선택 사이트'라고 부른다)에 액세스한다.
이로써, 주는 사람 단말(102)에는, 주는 사람용 선택 사이트의 각 페이지, 예를 들어 본 서비스의 제공자가 설정하는 복수 종류의 기프트 코스 중에서 소정 종류를 선택하기 위한 페이지가 표시된다.
기프트를 주는 사람(G)은 주는 사람 단말(102)을 조작하여, 표시된 복수 종류의 기프트 코스 중에서 임의의 종류를 선택하고, 그 종류의 기프트 코스를 구입한다.
여기서, 기프트 코스란, 소정의 예산으로 줄 수 있는 1 이상의 상품 등으로 구성되는 상품 리스트이다.
도 6 및 도 7의 예에서는, 상품 리스트에는 식품 제조업자 A사(상품 등 제공자(T)의 일 예)의 상재가 포함되어 있게 된다.
또한, 여기서 말하는 '기프트 코스를 구입한다'란, 기프트를 받을 권리로서, 해당 기프트 코스에 포함되는 상품 등 중에서 임의의 것을 선택하여 기프트로서 받을 권리를 구입하는 것을 말한다.
여기서, 기프트를 주는 사람(G)이 소정 종류의 기프트 코스를 구입하면, 본 서비스의 서비스 제공자(플랫폼 서버(1))는 구입된 기프트 코스의 소정 종류와 연결된 기프트 코드를 발행한다.
즉, 이 기프트 코드를 입력한 사람이 해당 소정 종류의 기프트 코스에 게재되는 임의의 상품 등을 기프트로서 받을 권리를 가지고 있는 것을, 본 서비스의 서비스 제공자(플랫폼 서버(1))에게 나타낼 수 있다.
도 8의 예에서는, 플랫폼 서버(1)는 기프트를 주는 사람(G)별로 커스터마이즈한 소정의 화면(이하, '커스터마이즈 화면'이라고 부른다)을 생성하고, 해당 커스터마이즈 화면에 기프트 코드를 표시한다.
그리고, 플랫폼 서버(1)는 해당 커스터마이즈 화면을 특정하기 위한 URL(Uniform Resource Locator)을 메일 등으로 주는 사람 단말(102)에 송신한다.
주는 사람 단말(102)은 해당 메일 등에 기재된 URL에 액세스함으로써, 커스터마이즈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이로써, 주는 사람 단말(102)을 사용하는 기프트를 주는 사람(G)은 기프트 코드를 받을 수 있다.
이상으로부터, 기프트를 주는 사람(G)은 기프트를 받는 사람에 대해 이 기프트 코드를 건네줌으로써, 본 서비스의 서비스 제공자로부터 기프트를 받을 권리를 양도한다.
여기서, 상술한 기프트 코드를 주고 받는(기프트를 받을 권리를 양도하는) 방법에 대해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예를 들어 이하와 같은 방법이 있다.
예를 들어, 기프트 코드를 받은 기프트를 주는 사람(G)은 기프트를 받는 사람(M)에게 해당 기프트 코드를 메일 등으로 송신함으로써, 해당 기프트 코드를 주고 받을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기프트를 주는 사람(G)은 기프트 코드를 인쇄한 종이 매체 등의 카드(이하, '기프트 카드'라고 부른다)를 받음으로써, 해당 기프트 코드를 취득할 수도 있다.
아울러, 기프트를 주는 사람(G)이 기프트 카드의 수취를 희망하는 경우에는, 본 서비스의 제공자의 스태프(오퍼레이터)(O)는 기프트를 주는 사람(G)에게 기프트 카드를 배송한다.
계속해서, 기프트를 받는 사람측의 서비스 플로우를 설명한다.
도 9는 소셜 기프트에서의 기프트를 받는 사람의 서비스 플로우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아울러, 해당 서비스 플로우는 도 8의 서비스 플로우에서, 기프트를 받는 사람(M)이 기프트를 주는 사람(G)으로부터 받은 기프트 코드를 입력하여, 상품 등을 취득(양도받음)할 때까지의 플로우이다.
여기서, 기프트를 받는 사람(M)이 조작하는 단말(103)을 이하, '받는 사람 단말(103)'이라고 부른다. 본 서비스에서는, 최종적인 기프트를 받는 사람(M)은 최종적인 고객(U)이 되기 때문에, 받는 사람 단말(103)은 최종적인 고객(U)의 도시하지 않는 단말이 된다.
받는 사람 단말(3)은 기프트를 주는 사람(G)으로부터 기프트 코드가 넘겨진 기프트를 받는 사람(M)의 조작에 의해, 우선은 서비스 제공자에 의해 관리되는 사이트 중, 기프트로서의 상품 등을 선택시키기 위해 제공하는 사이트(이하, '받는 사람용 상품 선택 사이트'라고 부른다)에 액세스하고, 기프트 코드를 입력한다.
기프트를 받는 사람(M)은 이와 같이 기프트 코드를 입력함으로써, 본 서비스의 서비스 제공자에 대해 기프트를 받을 권리를 가지고 있는 것을 나타낼 수 있다.
그리고, 받는 사람 단말(3)은 받는 사람용 상품 선택 사이트의 소정 페이지에서, 해당 기프트 코드에 대응하는 종류의 기프트 코스에 게재된 1 이상의 상품 등을 표시(제시)하고, 해당 1 이상의 상품 등 중에서 소정의 것을 기프트로서 선택하기 위한 화면(이하, '상품 선택 화면'이라고 부른다)이 표시된다.
기프트를 받는 사람(M)은 표시된 상품 선택 화면에서, 선택 대상이 되는 1 이상의 상품 등 중에서 취향인 것을 선택하고, 자신의 주소나 연락처 등을 입력하는 조작을 수행한다.
이로써, 기프트를 받는 사람(M)의 상품 선택은 종료된다.
본 예에서는, 이 상품 선택이 이루어지면, 기프트를 받는 사람(M)에게 해당 상품 등을 배송하기 위해 필요한 배송 정보가 수주 정보로서 생성되어, 플랫폼 서버(1)를 통해 제조업자(도 6 및 도 7의 예에서는 식품 제조업자 A사)의 상품 등 제공자 단말(2)에 송신된다. 이로써, 기프트(식품 제조업자 A사의 상재 등)는 기프트를 받는 사람(M)에게 양도된다.
이상, 소셜 기프트에 대해, 도 8을 참조하여 기프트를 주는 사람(G)의 서비스 플로우에 대해 설명하고, 도 9를 참조하여 기프트를 받는 사람(M)의 서비스 플로우로 나누어 간단히 설명했다. 아울러, 소셜 기프트의 구조 등의 상세에 대해서는, 본 출원인에 의해 이미 출원된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2019-021286호에서의 명세서 및 도면을 참조할 수 있다.
즉, 소셜 기프트 기능이란, 도 8 및 도 9의 서비스 플로우를 실현 가능한 일련의 처리를 실행시키는 기능이다.
도 6으로 돌아와, 판로 S1에서는, 이러한 소셜 기프트 기능이 식품 제조업자 A사의 자사 사이트에 탑재되게 된다.
즉,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판로 S1에서는, 플랫폼 서버(1)와 API 연계함으로써, 주는 사람용 선택 사이트의 각 페이지, 커스터마이즈 화면, 받는 사람용 상품 선택 사이트의 각 페이지가 식품 제조업자 A사의 자사 사이트에 포함되게 된다.
이로써,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식품 제조업자 A사는 주소를 모르는 상대를 신규 고객(Ub)으로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즉, 판로 S1에서는, 주소를 모르는 상대를 신규 고객(Ub)이 기프트를 주는 사람(G) 또는 기프트를 받는 사람(M)이다.
판로 S2는 식품 제조업자 A사의 상재를 기프트로 하는 기프트 카드(도 8 참조)로서 본 서비스의 서비스 제공자에게 발행받아, 해당 기프트 카드(카드형 기프트)를 A사 점포에서 판매하는 판로이다.
즉, 판로 S2에서는, 기프트를 주는 사람(G)이 식품 제조업자 A사이다. 때문에,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프트 카드는 서비스 제공자에 의해 작성되어, 식품 제조업자 A사에 납품된다. 식품 제조업자 A는 수수료를 서비스 제공자에게 지불하게 된다.
이로써,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식품 제조업자 A사에게 있어서 현물(상재 자체)이 아닌 새로운 이용신이 창출되게 되어, 각종 각양의 비지니스 모델의 실현이 가능해진다.
판로 S3은 서비스 제공자 판매 사이트에서, 식품 제조업자 A사의 상재의 상품 등 정보를 게재시키는 판로이다.
즉, 본 서비스의 서비스 제공자 자신도 플랫폼 서버(1)에 의해, 상술한 소셜 기프트 기능을 탑재한 Web 사이트를 운영하고 있다. 이 Web 사이트가 서비스 제공자 판매 사이트이다. 즉, 판로 S3에서는, 서비스 제공자가 상품 등 유통자(J)가 된다.
즉, 식품 제조업자 A사의 상재가 서비스 제공자가 판매하는 기프트에 포함시켜지기 때문에, 식품 제조업자 A사는 서비스 제공자의 고객(소셜 기프트 이용자)을 자신의 새로운 고객(Ub)으로서 거두어들일 수 있다.
판로 S3의 구체적인 처리의 흐름은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된다.
즉, 단계 S11에서, 상품 등 제공자 단말(2)의 등록 의뢰부(51)는 식품 제조업자 A사의 상재에 관한 정보를 상품 등 정보(상품 데이터)로서, 플랫폼 서버(1)에 등록 의뢰를 한다. 플랫폼 서버(1)의 등록부(61)는 상품 등 제공자 단말(2)로부터의 등록 의뢰를 기초로, 식품 제조업자 A사의 상품 등 정보를 상품 등 DB(71)에 등록한다.
서비스 제공자의 고객(고객(Ub)의 후보)이 기프트를 주는 사람(G)이 되어, 기프트 코드를, 기프트를 받는 사람(M)(고객(Ub)의 다른 후보)에게 준다. 기프트를 받는 사람(M)이 자신의 단말(도 9의 받는 사람 단말(3))을 조작하여, 서비스 제공자에 의해 관리되는 사이트 중 받는 사람용 상품 선택 사이트에 액세스하고, 기프트 코드를 입력한다.
단계 S21a에서, 플랫폼 서버(1)의 제시 의뢰부(62)는 식품 제조업자 A사의 상품 등 정보의 제시 의뢰를, 서비스 제공자의 Web 사이트를 관리하는 장치(상품 등 유통자 단말(3))에 송신한다. 서비스 제공자의 Web 사이트를 관리하는 장치(상품 등 유통자 단말(3))의 제시부(81)는 제시 의뢰를 기초로, 식품 제조업자 A사의 상품 등 정보를 기프트에 포함시켜 받는 사람용 상품 선택 사이트를 통해 서비스 제공자의 고객(고객(Ub)의 후보)에게 제시한다.
다음으로, 단계 S22a에서, 기프트를 받는 사람(M)은 자신의 단말(도 9의 받는 사람 단말(3))을 조작하여, 식품 제조업자 A사의 상재를 선택하고, 배송 의뢰를 한다. 그러면, 서비스 제공자의 Web 사이트를 관리하는 장치(상품 등 유통자 단말(3))의 수주 접수부(82)는 기프트를 받는 사람(M)에 대해 해당 식품 제조업자 A사의 상재의 양도의 수주를 접수한다. 수주 정보 생성부(83)는 수주 정보를 생성하여, 플랫폼 서버(1)에 제공한다.
단계 S12에서, 플랫폼 서버(1)의 수주 정보 전달부(63)는 해당 수주 정보를 취득하여, 식품 제조업자 A사의 상품 등 제공자 단말(2)에 대해 제공한다. 이로써, 식품 제조업자 A사의 상재는 기프트를 받는 사람(M)에 대해 배송된다(상품 배송이 이루어진다).
판로 S4는 자동차 딜러의 캠페인 사이트에서, 식품 제조업자 A사의 상재의 상품 등 정보를 게재시키거나, 기프트 카드로서 양도시키는 판로이다.
즉, 판로 S4에서는, 자동차 딜러는 상품 등 유통자(J)이기도 하고, 기프트를 주는 사람(G)이기도 하다. 자동차 딜러(기프트를 주는 사람(G))가 자사의 자동차 구입자(기프트를 받는 사람(M))에 대해, 자동차 구입의 계약 성립 기념으로서 기프트 카드 또는 기프트 코드를 준다.
자동차 구입자(기프트를 받는 사람(M))가 해당 기프트 코드(기프트 카드에 첨부된 것을 포함한다)를 입력하여, 자동차 구입의 계약 성립 기념으로서 식품 제조업자 A사의 상재를 선택 조작하기 위한 받는 사람용 상품 선택 사이트가 자동차 딜러의 캠페인 사이트이다.
이와 같이, 식품 제조업자 A사의 상재가 자동차 구입의 계약 성립 기념으로서의 기프트에 포함시켜지기 때문에, 식품 제조업자 A사는 자동차 구입자를 자신의 새로운 고객(Ub)으로서 거두어들일 수 있다.
판로 S4의 구체적인 처리의 흐름은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된다.
즉, 단계 S11에서, 상품 등 제공자 단말(2)의 등록 의뢰부(51)는 식품 제조업자 A사의 상재에 관한 정보를 상품 등 정보(상품 데이터)로서, 플랫폼 서버(1)에 등록 의뢰를 한다. 플랫폼 서버(1)의 등록부(61)는 상품 등 제공자 단말(2)로부터의 등록 의뢰를 기초로, 식품 제조업자 A사의 상품 등 정보를 상품 등 DB(71)에 등록한다.
자동차 구입자(기프트를 받는 사람(M))가 자신의 단말(도 9의 받는 사람 단말(3))을 조작하여, 자동차 딜러의 캠페인 사이트(받는 사람용 상품 선택 사이트)에 액세스하고, 기프트 코드를 입력한다.
단계 S21b에서, 플랫폼 서버(1)의 제시 의뢰부(62)는 식품 제조업자 A사의 상품 등 정보의 제시 의뢰를 자동차 딜러가 관리하는 장치(상품 등 유통자 단말(3))에 송신한다. 자동차 딜러가 관리하는 장치(상품 등 유통자 단말(3))의 제시부(81)는 제시 의뢰를 기초로, 식품 제조업자 A사의 상품 등 정보를 계약 성립 기념의 기프트에 포함시켜 자동차 딜러의 캠페인 사이트(받는 사람용 상품 선택 사이트)를 통해 자동차 구입자(기프트를 받는 사람(M)이며, 고객(Ub)의 후보)에게 제시한다.
다음으로, 단계 S22a에서, 자동차 구입자(기프트를 받는 사람(M))는 자신의 단말(도 9의 받는 사람 단말(3))을 조작하여, 식품 제조업자 A사의 상재를 선택하고, 배송 의뢰를 한다. 그러면, 자동차 딜러가 관리하는 장치(상품 등 유통자 단말(3))의 수주 접수부(82)는 자동차 구입자(기프트를 받는 사람(M))에 대해, 해당 식품 제조업자 A사의 상재의 양도의 수주를 접수한다. 수주 정보 생성부(83)는 수주 정보를 생성하여, 플랫폼 서버(1)에 제공한다.
단계 S12에서, 플랫폼 서버(1)의 수주 정보 전달부(63)는 해당 수주 정보를 취득하고, 식품 제조업자 A사의 상품 등 제공자 단말(2)에 대해 제공한다. 이로써, 식품 제조업자 A사의 상재는 자동차 구입자(기프트를 받는 사람(M))에 대해 배송된다(상품 배송이 이루어진다).
판로 S5는 타자 상장 기업의 주주 우대 기프트(사이트)에 식품 제조업자 A사의 상재의 상품 등 정보를 게재시키거나, 기프트 카드로서 양도시키는 판로이다.
즉, 판로 S5에서는, 타자 상장 기업은 상품 등 유통자(J)이기도 하고, 기프트를 주는 사람(G)이기도 하다. 타자 상장 기업(기프트를 주는 사람(G))이 자사의 주주나 투자가(기프트를 받는 사람(M))에 대해, 주주 우대로서 기프트 카드 또는 기프트 코드를 준다.
주주나 투자가(기프트를 받는 사람(M))가 해당 기프트 코드(기프트 카드에 첨부된 것을 포함한다)를 입력하여, 주주 우대로서 식품 제조업자 A사의 상재를 선택 조작하기 위한 받는 사람용 상품 선택 사이트가 타자 상장 기업의 주주 우대 기프트(사이트)이다.
이와 같이, 식품 제조업자 A사의 상재가 타자 상장 기업의 주주 우대의 기프트에 포함시켜지기 때문에, 식품 제조업자 A사는 타자 상장 기업의 주주나 투자가를 자신의 새로운 고객(Ub)으로서 거두어들일 수 있다.
판로 S5의 구체적인 처리의 흐름은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된다.
즉, 단계 S11에서, 상품 등 제공자 단말(2)의 등록 의뢰부(51)는 식품 제조업자 A사의 상재에 관한 정보를 상품 등 정보(상품 데이터)로서, 플랫폼 서버(1)에 등록 의뢰를 한다. 플랫폼 서버(1)의 등록부(61)는 상품 등 제공자 단말(2)로부터의 등록 의뢰를 기초로, 식품 제조업자 A사의 상품 등 정보를 상품 등 DB(71)에 등록한다.
주주나 투자가(기프트를 받는 사람(M))가 자신의 단말(도 9의 받는 사람 단말(3))을 조작하여, 타자 상장 기업의 주주 우대 기프트(받는 사람용 상품 선택 사이트)에 액세스하고, 기프트 코드를 입력한다.
단계 S21c에서, 플랫폼 서버(1)의 제시 의뢰부(62)는 식품 제조업자 A사의 상품 등 정보의 제시 의뢰를 타자 상장 기업이 관리하는 장치(상품 등 유통자 단말(3))에 송신한다. 타사 상장 기업이 관리하는 장치(상품 등 유통자 단말(3))의 제시부(81)는 제시 의뢰를 기초로, 식품 제조업자 A사의 상품 등 정보를 주주 우대의 기프트에 포함시켜, 타자 상장 기업의 주주 우대 기프트(받는 사람용 상품 선택 사이트)를 통해 주주나 투자가(기프트를 받는 사람(M)이며, 고객(Ub)의 후보)에게 제시한다.
다음으로, 단계 S22c에서, 주주나 투자가(기프트를 받는 사람(M))는 자신의 단말(도 9의 받는 사람 단말(3))을 조작하여, 식품 제조업자 A사의 상재를 선택하고, 배송 의뢰를 한다. 그러면, 타사 상장 기업의 장치(상품 등 유통자 단말(3))의 수주 접수부(82)는 주주나 투자가(기프트를 받는 사람(M))에 대해, 해당 식품 제조업자 A사의 상재의 양도의 수주를 접수한다. 수주 정보 생성부(83)는 수주 정보를 생성하여, 플랫폼 서버(1)에 제공한다.
단계 S12에서, 플랫폼 서버(1)의 수주 정보 전달부(63)는 해당 수주 정보를 취득하고, 식품 제조업자 A사의 상품 등 제공자 단말(2)에 대해 제공한다. 이로써, 식품 제조업자 A사의 상재는 주주나 투자가(기프트를 받는 사람(M))에 대해 배송된다(상품 배송이 이루어진다).
판로 S6은 가나가와현의 관광 기관이 제공하는 '미야겟트(miyaget, 등록 상표)'에 게재시키거나, 기프트 카드로서 양도시키는 판로이다.
'미야겟트(등록 상표)'란, 선물로서의 상품 등을 현지에서 직접 판매하는 것이 아니라, 소셜 기프트를 이용한 기프트로서, 그 기프트 카드 또는 기프트 코드를 판매하는 서비스를 말한다. 아울러, '미야겟트(등록 상표)'의 구조 등의 상세에 대해서는, 본 출원인에 의해 이미 출원된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2018-152071호에서의 명세서 및 도면을 참조할 수 있다.
즉, 판로 S6에서는, 가나가와현의 관광 기관은 상품 등 유통자(J)이기도 하고, 기프트를 주는 사람(G)이기도 하다. 가나가와현의 관광 기관(기프트를 주는 사람(G))이 식품 제조업자 A사의 상재를 가나가와현에 온 관광객이나 출장자에 대해 해당 선물의 기프트 카드 또는 기프트 코드를 판매한다. 아울러, 관광객이나 출장자는 해당 기프트 카드 또는 기프트 코드를 다시 다른 사람(가족이나 직장의 사람)에게 줄 수도 있기 때문에, 기프트를 주는 사람(G)도 될 수 있지만, 이하 설명의 편의상, 기프트를 받는 사람(M)으로서 설명한다.
관광객이나 출장자(기프트를 받는 사람(M))가 해당 기프트 코드(기프트 카드에 첨부된 것을 포함한다)를 입력하여, 가나가와현의 선물로서 식품 제조업자 A사의 상재를 선택 조작하기 위한 사이트가 미야겟트(등록 상표)에서 이용되는 받는 사람용 상품 선택 사이트이다.
이와 같이, 식품 제조업자 A사의 상재가 미야겟트(등록 상표)에 의한 가나가와현의 선물로서의 기프트에 포함시켜지기 때문에, 식품 제조업자 A사는 관광객이나 출장자를 자신의 새로운 고객(Ub)으로서 거두어들일 수 있다.
판로 S6의 구체적인 처리의 흐름은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된다.
즉, 단계 S11에서, 상품 등 제공자 단말(2)의 등록 의뢰부(51)는 식품 제조업자 A사의 상재에 관한 정보를 상품 등 정보(상품 데이터)로서, 플랫폼 서버(1)에 등록 의뢰를 한다. 플랫폼 서버(1)의 등록부(61)는 상품 등 제공자 단말(2)로부터의 등록 의뢰를 기초로, 식품 제조업자 A사의 상품 등 정보를 상품 등 DB(71)에 등록한다.
관광객이나 출장자(기프트를 받는 사람(M))가 자신의 단말(도 9의 받는 사람 단말(3))을 조작하여, 미야겟트(등록 상표)에 의한 받는 사람용 상품 선택 사이트에 액세스하고, 기프트 코드를 입력한다.
단계 S21d에서, 플랫폼 서버(1)의 제시 의뢰부(62)는 식품 제조업자 A사의 상품 등 정보의 제시 의뢰를 가나가와현의 관광 기관이 관리하는 장치(상품 등 유통자 단말(3))에 송신한다. 가나가와현의 관광 기관이 관리하는 장치(상품 등 유통자 단말(3))의 제시부(81)는 제시 의뢰를 기초로, 식품 제조업자 A사의 상품 등 정보를 가나가와현의 선물로서의 기프트에 포함시켜, 미야겟트(등록 상표)에 의한 받는 사람용 상품 선택 사이트를 통해 관광객이나 출장자(기프트를 받는 사람(M)이며, 고객(Ub))에게 제시한다.
다음으로, 단계 S22d에서, 관광객이나 출장자(기프트를 받는 사람(M))는 자신의 단말(도 9의 받는 사람 단말(3))을 조작하여, 식품 제조업자 A사의 상재를 가나가와현의 선물로서 선택하고, 배송 의뢰를 한다. 그러면, 가나가와현의 관광 기관의 장치(상품 등 유통자 단말(3))의 수주 접수부(82)는 관광객이나 출장자(기프트를 받는 사람(M))에 대해 해당 식품 제조업자 A사의 상재의 양도의 수주를 접수한다. 수주 정보 생성부(83)는 수주 정보를 생성하여, 플랫폼 서버(1)에 제공한다.
단계 S12에서, 플랫폼 서버(1)의 수주 정보 전달부(63)는 해당 수주 정보를 취득하여, 식품 제조업자 A사의 상품 등 제공자 단말(2)에 대해 제공한다. 이로써, 식품 제조업자 A사의 상재는 관광객이나 출장자(기프트를 받는 사람(M))에 대해 가나가와현의 선물로서 배송된다(상품 배송이 이루어진다).
판로 S7은 복리 후생 카페테리아 플랜 포인트 교환 사이트에 게재시키는 판로이다.
복리 후생 카페테리아 플랜이란, 소정 기업의 복리 후생을 위한 플랜으로서 서비스 제공자로부터 제공되는 서비스이다. 소정 기업의 종업원은 해당 소정 기업 내의 활동 등을 통해 소정의 포인트를 모을 수 있다. 이 소정의 포인트는 상품 등의 교환에 이용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한 사이트가 복리 후생 카페테리아 플랜 포인트 교환 사이트이다.
아울러, 포인트에 의한 교환 대상은 상품 등 단일체일 수도 있으나, 여기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소셜 기프트를 이용한 기프트인 것으로 한다. 이 경우, 복리 후생 카페테리아 플랜 포인트 교환 사이트는 받는 사람용 상품 선택 사이트로서 기능한다.
즉, 판로 S7에서는, 소정 기업은 상품 등 유통자(J)이기도 하고, 기프트를 주는 사람(G)이기도 하다. 소정 기업(기프트를 주는 사람(G))이 식품 제조업자 A사의 상재를 종업원에 대해, 포인트 교환의 대상으로서 기프트 카드 또는 기프트 코드를 양도한다. 아울러, 종업원은 해당 기프트 카드 또는 기프트 코드를 다시 다른 사람(가족이나 직장의 다른 사람)에게 줄 수도 있기 때문에, 기프트를 주는 사람(G)도 될 수 있지만, 이하 설명의 편의상, 기프트를 받는 사람(M)으로서 설명한다.
소정 기업의 종업원(기프트를 받는 사람(M))이 해당 기프트 코드(기프트 카드에 첨부된 것을 포함한다)를 입력하여, 포인트 교환의 대상으로서 식품 제조업자 A사의 상재를 선택 조작하기 위한 사이트가 복리 후생 카페테리아 플랜 포인트 교환 사이트이다.
이와 같이, 식품 제조업자 A사의 상재가 소정 기업의 복리 후생으로서의 포인트 교환 대상으로서 기프트에 포함시켜지기 때문에, 식품 제조업자 A사는 해당 소정 기업의 종업원을 자신의 새로운 고객(Ub)으로서 거두어들일 수 있다.
판로 S7의 구체적인 처리의 흐름은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된다.
즉, 단계 S11에서, 상품 등 제공자 단말(2)의 등록 의뢰부(51)는 식품 제조업자 A사의 상재에 관한 정보를 상품 등 정보(상품 데이터)로서, 플랫폼 서버(1)에 등록 의뢰를 한다. 플랫폼 서버(1)의 등록부(61)는 상품 등 제공자 단말(2)로부터의 등록 의뢰를 기초로, 식품 제조업자 A사의 상품 등 정보를 상품 등 DB(71)에 등록한다.
소정 기업의 종업원(기프트를 받는 사람(M))이 자신의 단말(도 9의 받는 사람 단말 3)을 조작하여, 복리 후생 카페테리아 플랜 포인트 교환 사이트(받는 사람용 상품 선택 사이트)에 액세스하고, 기프트 코드를 입력한다.
단계 S21de에서, 플랫폼 서버(1)의 제시 의뢰부(62)는 식품 제조업자 A사의 상품 등 정보의 제시 의뢰를 소정 기업이 관리하는 장치(상품 등 유통자 단말(3))에 송신한다. 소정 기업이 관리하는 장치(상품 등 유통자 단말(3))의 제시부(81)는 제시 의뢰를 기초로, 식품 제조업자 A사의 상품 등 정보를 포인트 교환 대상으로서의 기프트에 포함시켜, 복리 후생 카페테리아 플랜 포인트 교환 사이트(받는 사람용 상품 선택 사이트)를 통해 종업원(기프트를 받는 사람(M)이며, 고객(Ub))에게 제시한다.
다음으로, 단계 S22e에서, 종업원(기프트를 받는 사람(M))은 자신의 단말(도 9의 받는 사람 단말 3)을 조작하여, 식품 제조업자 A사의 상재를 포인트 교환 대상으로서 선택하고, 배송 의뢰를 한다. 그러면, 소정 기업이 관리하는 장치(상품 등 유통자 단말(3))의 수주 접수부(82)는 소정 기업의 종업원(기프트를 받는 사람(M))에 대해, 해당 식품 제조업자 A사의 상재의 양도의 수주를 접수한다. 수주 정보 생성부(83)는 수주 정보를 생성하여, 플랫폼 서버(1)에 제공한다.
단계 S12에서, 플랫폼 서버(1)의 수주 정보 전달부(63)는 해당 수주 정보를 취득하여, 식품 제조업자 A사의 상품 등 제공자 단말(2)에 대해 제공한다. 이로써, 식품 제조업자 A사의 상재는 소정 기업의 종업원(기프트를 받는 사람(M))에 대해 포인트 교환 대상으로서 배송된다(상품 배송이 이루어진다).
이상, 도 6 내지 도 9를 적절히 참조하여, 도 2의 본 서비스의 적용에 의해 확립이 가능해지는 새로운 판로 S1 내지 S7에 대해 설명했다.
단, 본 서비스의 적용처나, 해당 적용에 의해 확립이 가능해지는 새로운 판로는 상술한 예로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각종 각양의 형태가 존재한다.
이에, 다시 이하, 도 10 내지 도 20을 참조하여, 본 서비스의 적용처 및 해당 적용에 의해 확립이 가능해지는 새로운 판로의 구체적인 예에 대해 설명한다.
도 10은 본 서비스의 적용처 및 해당 적용에 의해 확립이 가능해지는 새로운 판로의 제1 구체적인 예의 개요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서비스를 미디어와 연계시켜 적용시키는 예를 나타내고 있다.
전제로서, 상품 등 제공자(T)에 의해 제공되는 상품 등이 미디어(텔레비전 방송국)의 프로그램, 예를 들어 통신 판매 프로그램이나 버라이어티 프로그램에 의해 소개되는 것으로 한다.
여기서, 상품 등 제공자(T)는 예를 들어, 제조업자, 산지, 음식점, 서비스 제공 사업자 등이 상정된다.
즉, 상품 등 제공자(T)가 취재를 받음으로써, 해당 상품 등 제공자에 의해 제공되는 상품 등이 미디어에 의해 온 에어되는 프로그램에 의해 소개되거나, 해당 미디어에 대한 일반지나 프로그램책으로 소개되거나, 혹은 특설 사이트에서 소개된다.
상품 등 제공자(T)는 상술한 바와 같이, 상품 등의 상품 등 정보를 플랫폼 서버(1)에 등록한다.
플랫폼 서버(1)는 미디어에서 소개된 상품 등을 판매 등 하는 사이트(이하, '전용 판매 사이트'라고 부른다)에서 상품 등 정보를 제시한다.
아울러, 전용 판매 사이트는 소셜 기프트를 이용해 상품 등을 기프트로 하여 기프트 코드 또는 기프트 카드의 판매를 하는 사이트일 수도 있고, 상품 등을 직접 판매하는 EC 사이트일 수도 있다. 또한, 전용 판매 사이트는 미디어가 관리할 수도 있고, 본 서비스의 서비스 제공자가 관리할 수도 있고, 그 외의 사람이 관리할 수도 있다. 즉, 전용 판매 사이트의 관리자가 상품 등 유통자(J)가 된다.
이 전용 판매 사이트에의 액세스는, 예를 들어 해당 전용 판매 사이트의 URL이 삽입된 QR 코드(QR 스티커)가 발행되고, QR 코드의 읽어 들임에 의해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전용 판매 사이트에 의해 판매되는 상품 등(또는 이를 취득하기 위한 기프트 코드나 기프트 카드)은 미디어에 의해 온 에어된 프로그램의 시청자에 의해 구입되는 것은 물론, 미시청자에 의해서도 구입된다. 즉, 시청자나 미시청자가 고객(U)이 된다. 또한, 전용 판매 사이트가 소셜 기프트 기능을 가지고 있는 경우, 상품 등의 기프트 코드나 기프트 카드는 시청자나 미시청자로부터 다른 사람에게 기프트로서 주어지는 경우도 있다. 이 경우, 기프트의 수취인(즉, 기프트를 받는 사람(M))도 또한 고객(U)이 된다.
이와 같이 하여, 전용 판매 사이트에 의한 새로운 판로가 확립 가능하게 된다.
즉, 이 새로운 판로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전용 판매 사이트의 관리자는 상품 등 유통자(J)이며, 전용 판매 사이트가 소셜 기프트 기능을 가지고 있는 경우에는 기프트를 주는 사람(G)이기도 하다.
이 전용 판매 사이트에 의해 상품 등(혹은 기프트 카드 또는 기프트 코드)을 구입하는 사람, 즉 시청자, 미시청자, 기프트 수취인(기프트를 받는 사람(M))은 모두 고객(Ub)이다.
즉, 이 새로운 판로에서는, 고객(Ub)은 자신의 단말(스마트폰)을 조작함으로써, 전용 판매 사이트로부터 미디어의 프로그램에 의해 소개된 상품 등을 용이하게 구입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품 등 제공자(T)의 상품 등은 시청자, 미시청자, 기프트 수취인(기프트를 받는 사람(M))을 새로운 고객(Ub)으로서 거두어들일 수 있다.
아울러, 미디어의 프로그램에 의해 소개된 상품 등의 판로는 전용 판매 사이트로 한정되지 않으며, 상술한 도 6 및 도 7의 판로 S1 내지 S7을 임의로 채용하는 것은 당연히 가능하다.
이로써, 예를 들어, 법인 노벨티, 주주 우대, 포인트 교환, 복리 후생 기프트 등의 각종 각양의 형태로, 미디어에 의해 소개된 상품 등의 양도 등이 가능해진다.
도 11은 본 서비스의 적용처 및 해당 적용에 의해 확립이 가능해지는 새로운 판로의 제2 구체적인 예의 개요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본 서비스를 교통 인프라나 숙박 시설과 연계시켜 적용시키는 예를 나타내고 있다.
전제로서, 상품 등 제공자(T)에 의해 제공되는 상품 등이 교통 인프라나 숙박 시설(철도, 항공, 버스, 택시 등)에서 소개되는 것으로 한다.
여기서, 상품 등 제공자(T)는 예를 들어, 제조업자, 산지 등이 상정된다.
즉, 상품 등 제공자(T)가 지역 연계함으로써, 해당 상품 등 제공자에 의해 제공되는 상품 등이 교통 인프라나 숙박 시설에 의해 소개된다.
상품 등 제공자(T)는 상술한 바와 같이, 상품 등의 상품 등 정보를 플랫폼 서버(1)에 등록한다.
플랫폼 서버(1)는 등록된 상품 등에 대해 전용 판매 사이트에서 상품 등 정보를 제시한다.
아울러, 전용 판매 사이트는 소셜 기프트를 이용해 상품 등을 기프트로 하여 기프트 코드 또는 기프트 카드의 판매를 하는 사이트일 수도 있고, 상품 등을 직접 판매하는 EC 사이트일 수도 있다. 또한, 전용 판매 사이트는 교통 인프라나 숙박 시설이 관리할 수도 있고, 본 서비스의 서비스 제공자가 관리할 수도 있고, 그 외의 사람이 관리할 수도 있다. 즉, 전용 판매 사이트의 관리자가 상품 등 유통자(J)가 된다.
이 전용 판매 사이트에의 액세스는 예를 들어 해당 전용 판매 사이트의 URL이 삽입된 QR 코드(QR 스티커)가 발행되고, QR 코드의 읽어 들임에 의해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전용 판매 사이트에 의해 판매되는 상품 등(또는 이를 취득하기 위한 기프트 코드나 기프트 카드)은 이동 시나 숙박 시, 관광 중에 여행자나 이동자에 의해 구입된다. 즉, 여행자나 이동자가 고객(U)이 된다. 또한, 전용 판매 사이트가 소셜 기프트 기능을 가지고 있는 경우, 상품 등의 기프트 코드나 기프트 카드는 여행자나 이동자로부터 다른 사람에게 프레젠트(선물)로서 주어지는 경우도 있다. 이 경우, 기프트의 수취인(즉, 기프트를 받는 사람(M))도 또한 고객(U)이 된다.
이와 같이 하여, 전용 판매 사이트에 의한 새로운 판로가 확립 가능하게 된다.
즉, 이 새로운 판로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전용 판매 사이트의 관리자는 상품 등 유통자(J)이며, 전용 판매 사이트가 소셜 기프트 기능을 가지고 있는 경우에는 기프트를 주는 사람(G)이기도 하다.
이 전용 판매 사이트에 의해 상품 등(혹은 기프트 카드 또는 기프트 코드)을 구입하는 사람, 즉 여행자, 이동자, 기프트 수취인(기프트를 받는 사람(M))은 모두 고객(Ub)이다.
즉, 이 새로운 판로에서는, 고객(Ub)은 자신의 단말(스마트폰)을 조작함으로써, 전용 판매 사이트로부터 미디어의 프로그램에 의해 소개된 상품 등을 용이하게 구입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품 등 제공자(T)의 상품 등은 여행자, 이동자, 기프트 수취인(기프트를 받는 사람(M))을 새로운 고객(Ub)으로서 거두어들일 수 있다.
아울러, 교통 인프라, 숙박 시설과의 연계에 의한 상품 등의 판로는 전용 판매 사이트로 한정되지 않으며, 상술한 도 6 및 도 7의 판로 S1 내지 S7을 임의로 채용하는 것은 당연히 가능하다.
이로써, 예를 들어 법인 노벨티, 주주 우대, 포인트 교환, 복리 후생 기프트 등의 각종 각양의 형태로 미디어에 의해 소개된 상품 등의 양도 등이 가능해진다.
도 12는 본 서비스의 적용처 및 해당 적용에 의해 확립이 가능해지는 새로운 판로의 제3 구체적인 예의 개요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는 본 서비스를 스포츠와 연계시켜 적용시키는 예를 나타내고 있다.
전제로서, 상품 등 제공자(T)에 의해 제공되는 상품 등이 스포츠 팀에서 소개되는 것으로 한다.
여기서, 상품 등 제공자(T)는 예를 들어, 제조업자, 산지 등이 상정된다.
즉, 상품 등 제공자(T)가 스폰서 제휴나 지역 연계함으로써, 해당 상품 등 제공자에 의해 제공되는 상품 등이 스포츠 팀에 의해 소개된다.
상품 등 제공자(T)는 상술한 바와 같이, 상품 등의 상품 등 정보를 플랫폼 서버(1)에 등록한다.
플랫폼 서버(1)는 등록된 상품 등에 대해 전용 판매 사이트에서 상품 등 정보를 제시한다.
아울러, 전용 판매 사이트는 소셜 기프트를 이용해 상품 등을 기프트로 하여 기프트 코드 또는 기프트 카드의 판매를 하는 사이트일 수도 있고, 상품 등을 직접 판매하는 EC 사이트일 수도 있다. 또한, 전용 판매 사이트는 스포츠 팀이 관리할 수도 있고, 본 서비스의 서비스 제공자가 관리할 수도 있고, 그 외의 사람이 관리할 수도 있다. 즉, 전용 판매 사이트의 관리자가 상품 등 유통자(J)가 된다.
이 전용 판매 사이트에의 액세스는 예를 들어 해당 전용 판매 사이트의 URL이 삽입된 QR 코드(QR 스티커)가 발행되고, QR 코드의 읽어 들임에 의해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전용 판매 사이트에 의해 판매되는 상품 등(또는 이를 취득하기 위한 기프트 코드나 기프트 카드)은 관전 시나 스타디움 등에의 입장 시에 그 스포츠 팀의 팬에 의해 구입된다. 즉, 팬이 고객(U)이 된다. 또한, 전용 판매 사이트가 소셜 기프트 기능을 가지고 있는 경우, 상품 등의 기프트 코드나 기프트 카드는 팬으로부터 다른 사람에게 프레젠트로서 주어지는 경우도 있다. 이 경우, 기프트의 수취인(즉, 기프트를 받는 사람(M))도 또한 고객(U)이 된다.
이와 같이 하여, 전용 판매 사이트에 의한 새로운 판로가 확립 가능하게 된다.
즉, 이 새로운 판로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전용 판매 사이트의 관리자는 상품 등 유통자(J)이며, 전용 판매 사이트가 소셜 기프트 기능을 가지고 있는 경우에는 기프트를 주는 사람(G)이기도 하다.
이 전용 판매 사이트에 의해 상품 등(혹은 기프트 카드 또는 기프트 코드)을 구입하는 사람, 즉 여행자, 이동자, 기프트 수취인(기프트를 받는 사람(M))은 모두 고객(Ub)이다.
즉, 이 새로운 판로에서는, 고객(Ub)은 자신의 단말(스마트폰)을 조작함으로써, 전용 판매 사이트로부터 스포츠 팀에 의해 소개된 상품 등을 용이하게 구입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품 등 제공자(T)의 상품 등은 팬이나 기프트 수취인(기프트를 받는 사람(M))을 새로운 고객(Ub)으로서 거두어들일 수 있다.
아울러, 스포츠 팀과의 연계에 의한 상품 등의 판로는 전용 판매 사이트로 한정되지 않으며, 상술한 도 6 및 도 7의 판로 S1 내지 S7을 임의로 채용하는 것은 당연히 가능하다.
이로써, 예를 들어 법인 노벨티, 주주 우대, 포인트 교환, 복리 후생 기프트 등의 각종 각양의 형태로, 미디어에 의해 소개된 상품 등의 양도 등이 가능해진다. 또한, 이로써, 상품 등의 수취뿐만 아니라, 스포츠 팀 등에 관한 정보의 제공이나, 다른 정보 사이트 등으로의 유인을 추진할 수도 있다.
도 13은 본 서비스의 적용처 및 해당 적용에 의해 확립이 가능해지는 새로운 판로의 제4 구체적인 예의 개요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은 본 서비스를 엔터테인먼트(예를 들어 아이돌 촬영회) 및 지방의 단체와 연계시켜 적용시키는 예를 나타내고 있다.
전제로서, 상품 등 제공자(T)에 의해 제공되는 상품 등이 엔터테인먼트(예를 들어 아이돌 촬영회) 및 지방의 단체에서 소개되는 것으로 한다.
여기서, 상품 등 제공자(T)는 예를 들어 제조업자, 산지 등이 상정된다.
즉, 예를 들어, 상품 등 제공자(T)가 엔터테인먼트와 제휴함으로써, 해당 상품 등 제공자에 의해 제공되는 상품 등이 엔터테인먼트(예를 들어 아이돌 촬영회) 및 지방의 단체 등에 의해 소개된다.
상품 등 제공자(T)는 상술한 바와 같이, 상품 등의 상품 등 정보를 플랫폼 서버(1)에 등록한다.
플랫폼 서버(1)는 등록된 상품 등에 대해 전용 판매 사이트에서 상품 등 정보를 제시한다.
아울러, 전용 판매 사이트는 소셜 기프트를 이용해 상품 등을 기프트로 하여 기프트 코드 또는 기프트 카드의 판매를 하는 사이트일 수도 있고, 상품 등을 직접 판매하는 EC 사이트일 수도 있다. 또한, 전용 판매 사이트는 엔터테인먼트(예를 들어 아이돌의 사무소)가 관리할 수도 있고, 본 서비스의 서비스 제공자가 관리할 수도 있고, 그 외의 사람이 관리할 수도 있다. 즉, 전용 판매 사이트의 관리자가 상품 등 유통자(J)가 된다.
이 전용 판매 사이트에의 액세스는 예를 들어 해당 전용 판매 사이트의 URL이 삽입된 QR 코드(QR 스티커)가 발행되고, QR 코드의 읽어 들임에 의해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전용 판매 사이트에 의해 판매되는 상품 등(또는 이를 취득하기 위한 기프트 코드나 기프트 카드)은 예를 들어 아이돌 촬영회에서는 그 아이돌의 팬 등에 의해 구입된다. 즉, 팬이 고객(U)이 된다. 또한, 전용 판매 사이트가 소셜 기프트 기능을 가지고 있는 경우, 상품 등의 기프트 코드나 기프트 카드는 팬으로부터 다른 사람에게 프레젠트로서 주어지는 경우도 있다. 이 경우, 기프트의 수취인(즉, 기프트를 받는 사람(M))도 또한 고객(U)이 된다.
이와 같이 하여, 전용 판매 사이트에 의한 새로운 판로가 확립 가능하게 된다.
즉, 이 새로운 판로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전용 판매 사이트의 관리자는 상품 등 유통자(J)이며, 전용 판매 사이트가 소셜 기프트 기능을 가지고 있는 경우에는 기프트를 주는 사람(G)이기도 하다.
이 전용 판매 사이트에 의해 상품 등(혹은 기프트 카드 또는 기프트 코드)을 구입하는 사람, 즉 팬, 기프트 수취인(기프트를 받는 사람(M))은 모두 고객(Ub)이다.
즉, 이 새로운 판로에서는, 고객(Ub)은 자신의 단말(스마트폰)을 조작함으로써, 전용 판매 사이트로부터 아이돌 등에 의해 소개된 상품 등을 용이하게 구입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품 등 제공자(T)의 상품 등은 팬이나 기프트 수취인(기프트를 받는 사람(M))을 새로운 고객(Ub)으로서 거두어들일 수 있다.
이 때, 전용 판매 사이트의 매상은 엔터테인먼트(아이돌 그룹이나 그 사무소), 지방의 단체(콘서트 회장이나 배)에 대해, 수익 배분 형태의 계약을 맺는다. 그리고, QR 코드(QR 스티커)는 예를 들어 아이돌의 촬영에서의 인스턴트 사진에 첨부되어, 팬 등에게 제공된다. 팬은 이 QR 코드의 읽어 들임에 의해, 상품 등의 기프트 코드나 기프트 카드의 구입이 가능해진다. 즉, 이와 같이 구입되었을 때의 보수의 일부가 엔터테인먼트(아이돌 그룹이나 그 사무소), 지방의 단체(콘서트 회장이나 배)에 대해 지불되는 것이다.
또한 예를 들어, QR 코드로부터, 그 엔터테인먼트의 팬클럽 사이트(예를 들어, 아이돌의 팬클럽이 운영하는 웹 사이트)에의 링크를 포함한다. 이로써, 구입자(고객(U))가 팬클럽 사이트를 통해 구입한 상품 등의 기프트 코드나 기프트 카드의 보수의 일부가 지불되는(분배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각자에게 수익 배분 형태에 의한 보수의 분배가 수행되기 때문에, 상품 등의 기프트 코드나 기프트 카드의 유통을 공동으로 수행함으로써, 한층 더 판로의 확립이 가능해지는 것이다.
아울러, 엔터테인먼트나 지방의 단체와의 연계에 의한 상품 등의 판로는 전용 판매 사이트로 한정되지 않으며, 상술한 도 6 및 도 7의 판로 S1 내지 S7을 임의로 채용하는 것은 당연히 가능하다.
이로써, 예를 들어 법인 노벨티, 주주 우대, 포인트 교환, 복리 후생 기프트 등의 각종 각양의 형태로, 엔터테인먼트나 지방의 단체에 의해 소개된 상품 등의 양도 등이 가능해진다. 또한, 이로써, 상품 등의 수취뿐만 아니라, 팬클럽 등에 관한 정보의 제공이나, 다른 정보 사이트 등으로의 유인을 추진할 수도 있다.
도 14는 본 서비스의 적용처 및 해당 적용에 의해 확립이 가능해지는 새로운 판로의 제5 구체적인 예의 개요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는 본 서비스를 점포 솔루션(POSA 카드)과 연계시켜 적용시키는 예를 나타내고 있다.
전제로서, 상품 등 제공자(T)에 의해 제공되는 상품 등이 점포 솔루션(예를 들어 편의점 등에서 판매되고 있는 POSA 카드)에서 소개되는 것으로 한다.
여기서, 상품 등 제공자(T)는 예를 들어 제조업자, 산지 등이 상정된다.
즉, 예를 들어, 상품 등 제공자(T)가 점포(예를 들어 편의점)와 제휴함으로써, 해당 상품 등 제공자에 의해 제공되는 상품 등이 점포 솔루션(예를 들어 편의점 등에서 판매되고 있는 POSA 카드)에 의해 소개된다.
상품 등 제공자(T)는 상술한 바와 같이, 상품 등의 상품 등 정보를 플랫폼 서버(1)에 등록한다.
플랫폼 서버(1)는 등록된 상품 등에 대해 전용 판매 사이트에서 상품 등 정보를 제시한다.
아울러, 전용 판매 사이트는 소셜 기프트를 이용해 상품 등을 기프트로 하여 기프트 코드 또는 기프트 카드의 판매를 하는 사이트일 수도 있고, 상품 등을 직접 판매하는 EC 사이트일 수도 있다. 또한, 전용 판매 사이트는 점포(예를 들어, 편의점이라면 프랜차이즈하고 있는 모체)가 관리할 수도 있고, 본 서비스의 서비스 제공자가 관리할 수도 있고, 그 외의 사람이 관리할 수도 있다. 즉, 전용 판매 사이트의 관리자가 상품 등 유통자(J)가 된다.
이 전용 판매 사이트에의 액세스는 예를 들어 해당 전용 판매 사이트의 URL이 삽입된 QR 코드(QR 스티커)가 발행되고, QR 코드의 읽어 들임에 의해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전용 판매 사이트에 의해 판매되는 상품 등(또는 이를 취득하기 위한 기프트 코드나 기프트 카드)은 예를 들어 점포에서는 그 점포의 이용자(예를 들어 점포인 편의점의 근린 주민) 등에 의해 구입된다. 즉, 점포의 이용자(구입자)가 고객(U)이 된다. 또한, 전용 판매 사이트가 소셜 기프트 기능을 가지고 있는 경우, 상품 등의 기프트 코드나 기프트 카드는 구입자로부터 다른 사람에게 프레젠트로서 주어지는 경우도 있다. 이 경우, 기프트의 수취인(즉, 기프트를 받는 사람(M))도 또한 고객(U)이 된다.
이와 같이 하여, 전용 판매 사이트에 의한 새로운 판로가 확립 가능하게 된다.
즉, 이 새로운 판로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전용 판매 사이트의 관리자는 상품 등 유통자(J)이며, 전용 판매 사이트가 소셜 기프트 기능을 가지고 있는 경우에는 기프트를 주는 사람(G)이기도 하다.
이 전용 판매 사이트에 의해 상품 등(혹은 기프트 카드 또는 기프트 코드)을 구입하는 사람, 즉 구입자, 기프트 수취인(기프트를 받는 사람(M))은 모두 고객(Ub)이다.
즉, 이 새로운 판로에서는, 고객(Ub)은 자신의 단말(스마트폰)을 조작함으로써, 전용 판매 사이트로부터 점포에서 POSA 카드로 확인한 상품 등을 용이하게 구입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품 등 제공자(T)의 상품 등은 구입자나 기프트 수취인(기프트를 받는 사람(M))을 새로운 고객(Ub)으로서 거두어들일 수 있다.
이 때, 전용 판매 사이트의 매상은 상술한 엔터테인먼트(아이돌 그룹이나 그 사무소), 지방의 단체(콘서트 회장이나 배)의 예와 마찬가지로, 수익 배분 형태의 계약을 맺는다. 이로써, 이와 같이 구입되었을 때의 보수의 일부가 점포(예를 들어 편의점)에 대해 지불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각자에게 수익 배분 형태에 의한 보수의 분배가 수행되기 때문에, 상품 등의 기프트 코드나 기프트 카드의 유통을 공동으로 수행함으로써, 한층 더 판로의 확립이 가능해지는 것이다.
아울러, 점포 솔루션(POSA 카드)에 의한 상품 등의 판로는 전용 판매 사이트로 한정되지 않으며, 상술한 도 6 및 도 7의 판로 S1 내지 S7을 임의로 채용하는 것은 당연히 가능하다.
이로써, 예를 들어 법인 노벨티, 주주 우대, 포인트 교환, 복리 후생 기프트 등의 각종 각양의 형태로, 점포에 의해 소개된 상품 등의 양도 등이 가능해진다.
도 15는 본 서비스의 적용처 및 해당 적용에 의해 확립이 가능해지는 새로운 판로의 제6 구체적인 예의 개요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5는 본 서비스를 점포 솔루션(사전 결제 수취)과 연계시켜 적용시키는 예를 나타내고 있다.
전제로서, 상품 등 제공자(T)에 의해 제공되는 상품 등이 점포 솔루션(사전 결제에 의한 수수)에서 소개되는 것으로 한다.
여기서, 상품 등 제공자(T)는 예를 들어, 제조업자, 생산 공장 등이 상정된다.
즉, 예를 들어, 상품 등 제공자(T)가 점포(예를 들어 편의점)와 제휴함으로써, 해당 상품 등 제공자에 의해 제공되는 상품 등이 점포 솔루션(예를 들어 편의점 등)을 통해 수수된다.
상품 등 제공자(T)는 상술한 바와 같이, 상품 등의 상품 등 정보를 플랫폼 서버(1)에 등록한다.
플랫폼 서버(1)는 등록된 상품 등에 대해 전용 판매 사이트에서 상품 등 정보를 제시한다.
아울러, 전용 판매 사이트는 소셜 기프트를 이용해 상품 등을 기프트로 하여 기프트 코드 또는 기프트 카드의 판매를 하는 사이트일 수도 있고, 상품 등을 직접 판매하는 EC 사이트일 수도 있다. 또한, 전용 판매 사이트는 점포(예를 들어, 편의점이라면 프랜차이즈하고 있는 모체)가 관리할 수도 있고, 본 서비스의 서비스 제공자가 관리할 수도 있고, 그 외의 사람이 관리할 수도 있다. 즉, 전용 판매 사이트의 관리자가 상품 등 유통자(J)가 된다.
이 전용 판매 사이트에의 액세스는 예를 들어 해당 전용 판매 사이트의 URL이 삽입된 QR 코드(QR 스티커)가 발행되고, QR 코드의 읽어 들임에 의해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전용 판매 사이트에 의해 판매되는 상품 등은 예를 들어 전용 사이트를 열람한 사람 등에 의해 구입된다. 즉, 전용 사이트의 이용자(구입자)가 고객(U)이 된다. 또한, 전용 판매 사이트가 소셜 기프트 기능을 가지고 있는 경우, 상품 등의 기프트 코드나 기프트 카드는 구입자로부터 다른 사람에게 프레젠트로서 주어지는 경우도 있다. 이 경우, 기프트의 수취인(즉, 기프트를 받는 사람(M))도 또한 고객(U)이 된다.
고객(U)은 이와 같이 하여 구입된 상품 등의 기프트 코드나 기프트 카드를 이용함으로써, 고객(U)은 점포에서 상품을 받는 것이 가능해진다. 즉, 고객(U)은 상품 등의 기프트 코드나 기프트 카드를 이용하여, 전용 판매 사이트에 수취를 희망하는 점포의 정보 등을 입력한다. 그 결과, 상품 등은 점포에 배송되고, 고객(U)은 그 상품을 받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와 같이 하여, 전용 판매 사이트에 의한 새로운 판로가 확립 가능하게 된다.
즉, 이 새로운 판로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전용 판매 사이트의 관리자는 상품 등 유통자(J)이며, 전용 판매 사이트가 소셜 기프트 기능을 가지고 있는 경우에는 기프트를 주는 사람(G)이기도 하다.
이 전용 판매 사이트에 의해 상품 등(혹은 기프트 카드 또는 기프트 코드)을 구입하는 사람, 즉 구입자, 기프트 수취인(기프트를 받는 사람(M))은 모두 고객(Ub)이다.
즉, 이 새로운 판로에서는, 고객(Ub)은 자신의 단말(스마트폰)을 조작함으로써, 전용 판매 사이트에서 제시된 상품 등을 점포에서 용이하게 받을 수 있다.
즉, 이로써, 점포의 혼잡을 피해 사전 구입을 완료한 고객(U)에의 상품 수수를 신속화할 수 있다. 더 말하면, 점포에게 있어서는 과잉 재고나 잔품의 리스크를 회피하면서, 고객 정보 수집이 가능해지고, 마케팅에 그 정보를 이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품 등 제공자(T)의 상품 등은 구입자나 기프트 수취인(기프트를 받는 사람(M))을 새로운 고객(Ub)으로서 거두어들일 수 있다.
이 때, 전용 판매 사이트의 매상은 상술한 엔터테인먼트(아이돌 그룹이나 그 사무소), 지방의 단체(콘서트 회장이나 배)의 예와 마찬가지로, 수익 배분 형태의 계약을 맺는다. 이로써, 이와 같이 구입되었을 때의 보수의 일부가 점포(예를 들어 편의점)에 대해 지불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각자에게 수익 배분 형태에 의한 보수의 분배가 수행되기 때문에, 상품 등의 기프트 코드나 기프트 카드의 유통을 공동으로 수행함으로써, 한층 더 판로의 확립이 가능해지는 것이다.
아울러, 엔터테인먼트나 지방의 단체와의 연계에 의한 상품 등의 판로는 전용 판매 사이트로 한정되지 않으며, 상술한 도 6 및 도 7의 판로 S1 내지 S7을 임의로 채용하는 것은 당연히 가능하다.
이로써, 예를 들어 법인 노벨티, 주주 우대, 포인트 교환, 복리 후생 기프트 등의 각종 각양의 형태로, 점포에 의해 소개된 상품 등의 양도 등이 가능해진다.
도 16은 본 서비스의 적용처 및 해당 적용에 의해 확립이 가능해지는 새로운 판로의 제7 구체적인 예의 개요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6은 본 서비스를 DX 솔루션과 연계시켜 적용시키는 예를 나타내고 있다.
전제로서, 상품 등 제공자(T)에 의해 제공되는 상품 등이 DX 솔루션(예를 들어 어떤 상품의 제조업자의 EC 사이트)에서 소개되는 것으로 한다.
여기서, 상품 등 제공자(T)는 예를 들어, 제조업자, 점포 등이 상정된다.
즉, 예를 들어, 상품 등 제공자(T)가 DX 솔루션과 제휴함으로써, 해당 상품 등 제공자에 의해 제공되는 상품 등이 DX 솔루션(예를 들어 제조업자의 EC 사이트)에 의해 소개된다.
상품 등 제공자(T)는 상술한 바와 같이, 상품 등의 상품 등 정보를 플랫폼 서버(1)에 등록한다.
플랫폼 서버(1)는 등록된 상품 등에 대해 전용 판매 사이트에서 상품 등 정보를 제시한다.
아울러, 전용 판매 사이트는 소셜 기프트를 이용해 상품 등을 기프트로 하여 기프트 코드 또는 기프트 카드의 판매를 하는 사이트일 수도 있고, 상품 등을 직접 판매하는 EC 사이트일 수도 있다. 또한, 전용 판매 사이트는 제조업자(EC 사이트 운영자)가 관리할 수도 있고, 본 서비스의 서비스 제공자가 관리할 수도 있고, 그 외의 사람이 관리할 수도 있다. 즉, 전용 판매 사이트의 관리자가 상품 등 유통자(J)가 된다.
이 전용 판매 사이트에의 액세스는 예를 들어 해당 전용 판매 사이트의 URL이 삽입된 QR 코드(QR 스티커)가 발행되고, QR 코드의 읽어 들임에 의해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전용 판매 사이트에 의해 판매되는 상품 등(또는 이를 취득하기 위한 기프트 코드나 기프트 카드)은 DX 솔루션(예를 들어 제조업자의 EC 사이트) 등에 의해 구입된다. 즉, 점포의 이용자(구입자)가 고객(U)이 된다. 또한, 전용 판매 사이트가 소셜 기프트 기능을 가지고 있는 경우, 상품 등의 기프트 코드나 기프트 카드는 구입자로부터 다른 사람에게 프레젠트로서 주어지는 경우도 있다. 이 경우, 기프트의 수취인(즉, 기프트를 받는 사람(M))도 또한 고객(U)이 된다.
이와 같이 하여, 전용 판매 사이트에 의한 새로운 판로가 확립 가능하게 된다.
즉, 이 새로운 판로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전용 판매 사이트의 관리자는 상품 등 유통자(J)이며, 전용 판매 사이트가 소셜 기프트 기능을 가지고 있는 경우에는 기프트를 주는 사람(G)이기도 하다.
이 전용 판매 사이트에 의해 상품 등(혹은 기프트 카드 또는 기프트 코드)을 구입하는 사람, 즉 구입자, 기프트 수취인(기프트를 받는 사람(M))은 모두 고객(Ub)이다.
즉, 이 새로운 판로에서는, 고객(Ub)은 자신의 단말(스마트폰)을 조작함으로써, 전용 판매 사이트로부터 상품 등을 용이하게 구입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품 등 제공자(T)의 상품 등은 구입자나 기프트 수취인(기프트를 받는 사람(M))을 새로운 고객(Ub)으로서 거두어들일 수 있다.
즉, DX 솔루션(EC 사이트)의 운영자는 통상적으로 그대로 상품 등을 판매하고 있던 중, 본 서비스의 전용 판매 사이트를 통해 상품 등의 기프트 코드나 기프트 카드의 형태로의 판매가 가능해진다.
아울러, DX 솔루션에 의한 상품 등의 판로는 전용 판매 사이트로 한정되지 않으며, 상술한 도 6 및 도 7의 판로 S1 내지 S7을 임의로 채용하는 것은 당연히 가능하다.
이로써, 예를 들어 법인 노벨티, 주주 우대, 포인트 교환, 복리 후생 기프트 등의 각종 각양의 형태로, 점포에 의해 소개된 상품 등의 양도 등이 가능해진다.
도 17은 본 서비스의 적용처 및 해당 적용에 의해 확립이 가능해지는 새로운 판로의 제8 구체적인 예의 개요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7은 본 서비스를 자사 인트라넷과 연계시켜 적용시키는 예를 나타내고 있다.
전제로서, 상품 등 제공자(T)에 의해 제공되는 상품 등이 자사 인트라넷(예를 들어 어떤 법인의 인트라넷상의 복리 후생 서비스 사이트)에서 소개되는 것으로 한다.
여기서, 상품 등 제공자(T)는 예를 들어, 제조업자, 산지 등이 상정된다.
즉, 예를 들어, 상품 등 제공자(T)가 어떤 법인과 제휴함으로써, 해당 상품 등 제공자에 의해 제공되는 상품 등이 인트라넷상의 복리 후생 서비스 사이트에 의해 소개된다.
상품 등 제공자(T)는 상술한 바와 같이, 상품 등의 상품 등 정보를 플랫폼 서버(1)에 등록한다.
플랫폼 서버(1)는 등록된 상품 등에 대해 전용 판매 사이트에서 상품 등 정보를 제시한다.
아울러, 전용 판매 사이트는 소셜 기프트를 이용해 상품 등을 기프트로 하여 기프트 코드 또는 기프트 카드의 판매를 하는 사이트일 수도 있고, 상품 등을 직접 판매하는 EC 사이트일 수도 있다. 또한, 전용 판매 사이트는 그 복리 후생을 제공하는 법인이 관리할 수도 있고, 본 서비스의 서비스 제공자가 관리할 수도 있고, 그 외의 사람이 관리할 수도 있다. 즉, 전용 판매 사이트의 관리자가 상품 등 유통자(J)가 된다.
이 전용 판매 사이트에의 액세스는 예를 들어 해당 전용 판매 사이트의 URL이 삽입된 QR 코드(QR 스티커)가 발행되고, QR 코드의 읽어 들임에 의해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전용 판매 사이트에 의해 판매되는 상품 등(또는 이를 취득하기 위한 기프트 코드나 기프트 카드)은 인트라넷상의 복리 후생 서비스 사이트 등에 의해 구입된다. 즉, 인트라넷상의 복리 후생 서비스 사이트를 이용하는 법인의 종업원 등이 고객(U)이 된다. 또한, 전용 판매 사이트가 소셜 기프트 기능을 가지고 있는 경우, 상품 등의 기프트 코드나 기프트 카드는 구입자로부터 다른 사람에게 프레젠트로서 주어지는 경우도 있다. 이 경우, 기프트의 수취인(즉, 기프트를 받는 사람(M))도 또한 고객(U)이 된다.
이와 같이 하여, 전용 판매 사이트에 의한 새로운 판로가 확립 가능하게 된다.
즉, 이 새로운 판로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전용 판매 사이트의 관리자는 상품 등 유통자(J)이며, 전용 판매 사이트가 소셜 기프트 기능을 가지고 있는 경우에는 기프트를 주는 사람(G)이기도 하다.
이 전용 판매 사이트에 의해 상품 등(혹은 기프트 카드 또는 기프트 코드)을 구입하는 사람, 즉 구입자, 기프트 수취인(기프트를 받는 사람(M))은 모두 고객(Ub)이다.
즉, 이 새로운 판로에서는, 고객(Ub)은 자신의 단말(스마트폰)을 조작함으로써, 전용 판매 사이트로부터 상품 등을 용이하게 구입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품 등 제공자(T)의 상품 등은 구입자나 기프트 수취인(기프트를 받는 사람(M))을 새로운 고객(Ub)으로서 거두어들일 수 있다.
즉, 인트라넷상의 복리 후생 서비스 사이트의 운영자는 본 서비스의 전용 판매 사이트에 등록된 상품 등을 상품 등의 기프트 코드나 기프트 카드의 형태로, 복리 후생의 일환으로서 제공 가능하게 된다.
아울러, 자사 인트라넷에 의한 상품 등의 판로는 전용 판매 사이트로 한정되지 않으며, 상술한 도 6 및 도 7의 판로 S1 내지 S7을 임의로 채용하는 것은 당연히 가능하다.
이로써, 예를 들어 법인 노벨티, 주주 우대, 포인트 교환, 복리 후생 기프트 등의 각종 각양의 형태로, 점포에 의해 소개된 상품 등의 양도 등이 가능해진다.
도 18은 본 서비스의 적용처 및 해당 적용에 의해 확립이 가능해지는 새로운 판로의 제9 구체적인 예의 개요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8은 본 서비스를 인바운드 수요와 연계시켜 적용시키는 예를 나타내고 있다.
전제로서, 상품 등 제공자(T)에 의해 제공되는 상품 등이 인바운드의 구입자에서 소개되는 것으로 한다.
여기서, 상품 등 제공자(T)는 예를 들어, 제조업자, 산지 등이 상정된다.
즉, 예를 들어, 상품 등 제공자(T)와 공항·역·호텔과 제휴함으로써, 해당 상품 등 제공자에 의해 제공되는 상품 등이 공항·역·호텔을 통해 수수된다.
상품 등 제공자(T)는 상술한 바와 같이, 상품 등의 상품 등 정보를 플랫폼 서버(1)에 등록한다.
플랫폼 서버(1)는 등록된 상품 등에 대해 전용 판매 사이트에서 상품 등 정보를 제시한다.
아울러, 전용 판매 사이트는 소셜 기프트를 이용해 상품 등을 기프트로 하여 기프트 코드 또는 기프트 카드의 판매를 하는 사이트일 수도 있고, 상품 등을 직접 판매하는 EC 사이트일 수도 있다. 또한, 전용 판매 사이트는 공항·역·호텔이 관리할 수도 있고, 본 서비스의 서비스 제공자가 관리할 수도 있고, 그 외의 사람이 관리할 수도 있다. 즉, 전용 판매 사이트의 관리자가 상품 등 유통자(J)가 된다.
이 전용 판매 사이트에의 액세스는 예를 들어 해당 전용 판매 사이트의 URL이 삽입된 QR 코드(QR 스티커)가 발행되고, QR 코드의 읽어 들임에 의해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전용 판매 사이트에 의해 판매되는 상품 등은 예를 들어 전용 사이트를 열람한 사람 등에 의해 구입된다. 즉, 전용 사이트의 이용자(구입자)가 고객(U)이 된다. 또한, 전용 판매 사이트가 소셜 기프트 기능을 가지고 있는 경우, 상품 등의 기프트 코드나 기프트 카드는 구입자로부터 다른 사람에게 프레젠트로서 주어지는 경우도 있다. 이 경우, 기프트의 수취인(즉, 기프트를 받는 사람(M))도 또한 고객(U)이 된다.
고객(U)은 이와 같이 하여 구입된 상품 등의 기프트 코드나 기프트 카드를 이용함으로써, 고객(U)은 공항·역·호텔에서 상품을 받는 것이 가능해진다. 즉, 고객(U)은 상품 등의 기프트 코드나 기프트 카드를 이용하여, 전용 판매 사이트에 수취를 희망하는 공항·역·호텔의 정보 등을 입력한다. 그 결과, 상품 등은 그 공항·역·호텔에 배송되고, 고객(U)은 그 상품을 받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와 같이 하여, 전용 판매 사이트에 의한 새로운 판로가 확립 가능하게 된다.
즉, 이 새로운 판로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전용 판매 사이트의 관리자는 상품 등 유통자(J)이며, 전용 판매 사이트가 소셜 기프트 기능을 가지고 있는 경우에는 기프트를 주는 사람(G)이기도 하다.
이 전용 판매 사이트에 의해 상품 등(혹은 기프트 카드 또는 기프트 코드)을 구입하는 사람, 즉 구입자, 기프트 수취인(기프트를 받는 사람(M))은 모두 고객(Ub)이다.
즉, 이 새로운 판로에서는, 고객(Ub)은 자신의 단말(스마트폰)을 조작함으로써, 전용 판매 사이트에서 제시된 상품 등을 공항·역·호텔에서 용이하게 받을 수 있다.
즉, 구입자는 자신이 귀국하는 국가용 검역 필터(검역 결과 자국으로 반입 가능한지 여부의 필터)나 자신의 모국어를 이용하여 플랫폼 서버(1)를 통해 상품 등의 구입을 할 수 있다. 또한, 공항·역·호텔로 상품 등을 운반할 필요가 없어진다.
이와 같이, 상품 등 제공자(T)의 상품 등은 구입자나 기프트 수취인(기프트를 받는 사람(M))을 새로운 고객(Ub)으로서 거두어들일 수 있다.
아울러, 엔터테인먼트나 지방의 단체와의 연계에 의한 상품 등의 판로는 전용 판매 사이트로 한정되지 않으며, 상술한 도 6 및 도 7의 판로 S1 내지 S7을 임의로 채용하는 것은 당연히 가능하다.
이로써, 예를 들어 법인 노벨티, 주주 우대, 포인트 교환, 복리 후생 기프트 등의 각종 각양의 형태로, 점포에 의해 소개된 상품 등의 양도 등이 가능해진다.
도 19는 본 서비스의 적용처 및 해당 적용에 의해 확립이 가능해지는 새로운 판로의 제10 구체적인 예의 개요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9는 본 서비스를 글로벌 전개시켜 적용시키는 예를 나타내고 있다.
전제로서, 상품 등 제공자(T)에 의해 제공되는 상품 등이 글로벌 전개되어 소개되는 것으로 한다.
여기서, 상품 등 제공자(T)는 예를 들어, 제조업자, 산지 등이 상정된다.
즉, 예를 들어, 상품 등 제공자(T)와 발송원의 국가(도 19의 일본 창고)의 창고나 발송처의 국가(도 19의 해외 창고)와 제휴함으로써, 해당 상품 등 제공자에 의해 제공되는 상품 등이 일본 창고나 해외 창고를 통해 수수된다.
상품 등 제공자(T)는 상술한 바와 같이, 상품 등의 상품 등 정보를 플랫폼 서버(1)에 등록한다.
플랫폼 서버(1)는 등록된 상품 등에 대해 전용 판매 사이트에서 상품 등 정보를 제시한다.
아울러, 전용 판매 사이트는 소셜 기프트를 이용해 상품 등을 기프트로 하여 기프트 코드 또는 기프트 카드의 판매를 하는 사이트일 수도 있고, 상품 등을 직접 판매하는 EC 사이트일 수도 있다. 또한, 전용 판매 사이트는 공항·역·호텔이 관리할 수도 있고, 본 서비스의 서비스 제공자가 관리할 수도 있고, 그 외의 사람이 관리할 수도 있다. 즉, 전용 판매 사이트의 관리자가 상품 등 유통자(J)가 된다.
이 전용 판매 사이트에의 액세스는 예를 들어 해당 전용 판매 사이트의 URL이 삽입된 QR 코드(QR 스티커)가 발행되고, QR 코드의 읽어 들임에 의해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전용 판매 사이트에 의해 판매되는 상품 등은 예를 들어 전용 사이트를 열람한 사람 등에 의해 구입된다. 즉, 전용 사이트의 이용자(구입자)가 고객(U)이 된다. 또한, 전용 판매 사이트가 소셜 기프트 기능을 가지고 있는 경우, 상품 등의 기프트 코드나 기프트 카드는 구입자로부터 다른 사람에게 프레젠트로서 주어지는 경우도 있다. 이 경우, 기프트의 수취인(즉, 기프트를 받는 사람(M))도 또한 고객(U)이 된다.
고객(U)은 이와 같이 하여 구입된 상품 등의 기프트 코드나 기프트 카드를 이용함으로써, 고객(U)은 상품 등 제공자(T)의 국가, 즉 발송원의 국가가 아니라, 고객(U) 자신이 거주하고 있는 국가에서 상품을 받는 것이 가능해진다. 즉, 고객(U)은 상품 등의 기프트 코드나 기프트 카드를 이용하여, 전용 판매 사이트에 수취를 희망하는 자택의 정보 등을 입력한다. 그 결과, 상품 등은 일본 창고나 해외 창고를 통해 고객(U)의 자택에 배송되고, 고객(U)은 그 상품을 받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와 같이 하여, 전용 판매 사이트에 의한 새로운 판로가 확립 가능하게 된다.
즉, 이 새로운 판로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전용 판매 사이트의 관리자는 상품 등 유통자(J)이며, 전용 판매 사이트가 소셜 기프트 기능을 가지고 있는 경우에는 기프트를 주는 사람(G)이기도 하다.
이 전용 판매 사이트에 의해 상품 등(혹은 기프트 카드 또는 기프트 코드)을 구입하는 사람, 즉 구입자, 기프트 수취인(기프트를 받는 사람(M))은 모두 고객(Ub)이다.
즉, 이 새로운 판로에서는, 고객(Ub)은 자신의 단말(스마트폰)을 조작함으로써, 전용 판매 사이트에서 제시된 상품 등을 공항·역·호텔에서 용이하게 받을 수 있다.
즉, 구입자는 자신이 거주하는 국가용 검역 필터(검역의 결과 자국에 반입 가능한지 여부의 필터)나 자신의 모국어를 이용하여 플랫폼 서버(1)를 통해 상품 등의 구입을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품 등 제공자(T)의 상품 등은 구입자나 기프트 수취인(기프트를 받는 사람(M))을 새로운 고객(Ub)으로서 거두어들일 수 있다.
아울러, 엔터테인먼트나 지방의 단체와의 연계에 의한 상품 등의 판로는 전용 판매 사이트로 한정되지 않으며, 상술한 도 6 및 도 7의 판로 S1 내지 S7을 임의로 채용하는 것은 당연히 가능하다.
이로써, 예를 들어 법인 노벨티, 주주 우대, 포인트 교환, 복리 후생 기프트 등의 각종 각양의 형태로, 점포에 의해 소개된 상품 등의 양도 등이 가능해진다.
도 20은 본 서비스의 적용처 및 해당 적용에 의해 확립이 가능해지는 새로운 판로의 제11 구체적인 예의 개요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0은 본 서비스를 글로벌 전개시켜 적용시키는 예를 나타내고 있다.
전제로서, 상품 등 제공자(T)에 의해 제공되는 상품 등이 글로벌 전개되어 소개되는 것으로 한다.
여기서, 상품 등 제공자(T)는 예를 들어, 제조업자, 산지 등이 상정된다.
즉, 예를 들어, 상품 등 제공자(T)와 타서비스와 제휴함으로써, 해당 상품 등 제공자에 의해 제공되는 상품 등이 타서비스를 통해 수수된다.
상품 등 제공자(T)는 상술한 바와 같이, 상품 등의 상품 등 정보를 플랫폼 서버(1)에 등록한다.
플랫폼 서버(1)는 등록된 상품 등에 대해 전용 판매 사이트에서 상품 등 정보를 제시한다.
아울러, 전용 판매 사이트는 소셜 기프트를 이용해 상품 등을 기프트로 하여 기프트 코드 또는 기프트 카드의 판매를 하는 사이트일 수도 있고, 상품 등을 직접 판매하는 EC 사이트일 수도 있다. 또한, 전용 판매 사이트는 타서비스의 운영자가 관리할 수도 있고, 본 서비스의 서비스 제공자가 관리할 수도 있고, 그 외의 사람이 관리할 수도 있다. 즉, 전용 판매 사이트의 관리자가 상품 등 유통자(J)가 된다.
이 전용 판매 사이트에의 액세스는 예를 들어 해당 전용 판매 사이트의 URL이 삽입된 QR 코드(QR 스티커)가 발행되고, QR 코드의 읽어 들임에 의해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전용 판매 사이트에 의해 판매되는 상품 등은 예를 들어 전용 사이트를 열람한 사람 등에 의해 구입된다. 즉, 전용 사이트의 이용자(구입자)가 고객(U)이 된다. 또한, 전용 판매 사이트가 소셜 기프트 기능을 가지고 있는 경우, 상품 등의 기프트 코드나 기프트 카드는 구입자로부터 다른 사람에게 프레젠트로서 주어지는 경우도 있다. 이 경우, 기프트의 수취인(즉, 기프트를 받는 사람(M))도 또한 고객(U)이 된다.
고객(U)은 이와 같이 하여 구입된 상품 등의 기프트 코드나 기프트 카드를 이용함으로써, 고객(U)은 타서비스상에서 본 서비스의 상품 등의 기프트 코드나 기프트 카드를 구입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와 같이 하여, 전용 판매 사이트에 의한 새로운 판로가 확립 가능하게 된다.
즉, 이 새로운 판로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전용 판매 사이트의 관리자는 상품 등 유통자(J)이며, 전용 판매 사이트가 소셜 기프트 기능을 가지고 있는 경우에는 기프트를 주는 사람(G)이기도 하다.
이 전용 판매 사이트에 의해 상품 등(혹은 기프트 카드 또는 기프트 코드)을 구입하는 사람, 즉 구입자, 기프트 수취인(기프트를 받는 사람(M))은 모두 고객(Ub)이다.
즉, 이 새로운 판로에서는, 고객(Ub)은 자신의 단말(스마트폰)을 조작함으로써, 전용 판매 사이트에서 제시된 상품 등을 자택에서 용이하게 받을 수 있다.
이와 같이, 상품 등 제공자(T)의 상품 등은 구입자나 기프트 수취인(기프트를 받는 사람(M))을 새로운 고객(Ub)으로서 거두어들일 수 있다.
아울러, 엔터테인먼트나 지방의 단체와의 연계에 의한 상품 등의 판로는 전용 판매 사이트로 한정되지 않으며, 상술한 도 6 및 도 7의 판로 S1 내지 S7을 임의로 채용하는 것은 당연히 가능하다.
이로써, 예를 들어 법인 노벨티, 주주 우대, 포인트 교환, 복리 후생 기프트 등의 각종 각양의 형태로, 점포에 의해 소개된 상품 등의 양도 등이 가능해진다.
이상,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대해 설명했지만, 본 발명이 상술한 실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범위에서의 변형, 개량 등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것이다.
예를 들어, 상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상품 등 제공자 단말(2) 및 상품 등 유통자 단말(3)의 각각에 인스톨된 전용 어플리케이션을 기동시킴으로써, 상품 등 제공자 단말(2) 및 상품 등 유통자 단말(3)의 각각에서 본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단,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으며, 전용 어플리케이션을 인스톨하지 않고, 소정의 웹 사이트에 액세스하여, 소정의 로그인 조작을 수행함으로써 본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상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명확하게 언급은 하고 있지는 않지만, 기프트로서 채용되는 상품에는 IoT의 기술이 응용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어, 기프트 수취자(B)가 받은 기프트가 냉장고(도시하지 않음)인 경우, 그 냉장고에 보존되어 있는 식품 등을 판별하는 센서 등을 탑재하는 등 할 수도 있다.
그리고, 예를 들어, 냉장고에 보존되어 있던 우유가 없어진 경우에는, 그 취지가 기프트를 주는 사람(예를 들어 이용자(M)) 등에 전달되어, 다음번 줄 기프트의 선택에 고려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예를 들어, 기프트 상품 리스트에 게재되는 상품에는, 역무의 제공을 받을 권리가 포함되어 있을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레스토랑의 식사권, 여행권, 콘서트 티켓은 모두 기프트 상품 리스트에 게재될 수 있는 상품의 일 예이다. 즉, 본 발명에서의 '아이템'은 유체물인 상품과, 역무의 제공을 받을 권리와 같이 무체물인 상품을 모두 포함하는 개념으로서 이용된다.
또한, 도 5에 나타내는 플랫폼 서버(1)의 하드웨어 구성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예시에 지나지 않으며,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도 6에 나타내는 기능 블럭도는 예시에 지나지 않으며,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즉, 상술한 일련의 처리를 전체적으로 실행할 수 있는 기능이 정보 처리 시스템에 구비되어 있으면 충분하며, 이 기능을 실현하기 위해 어떠한 기능 블록을 이용할지는 특별히 도 6의 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기능 블록의 존재 장소도 도 6으로 한정되지 않으며, 임의일 수 있다.
또한, 하나의 기능 블록은 하드웨어 단일체로 구성할 수도 있고, 소프트웨어 단일체로 구성할 수도 있고, 이들의 조합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각 기능 블록의 처리를 소프트웨어에 의해 실행시키는 경우에는, 그 소프트웨어를 구성하는 프로그램이 컴퓨터 등에 네트워크나 기록 매체로부터 인스톨된다.
컴퓨터는 전용의 하드웨어에 편입되어 있는 컴퓨터일 수도 있다. 또한, 컴퓨터는 각종 프로그램을 인스톨함으로써, 각종 기능을 실행하는 것이 가능한 컴퓨터, 예를 들어 플랫폼 서버의 다른 범용 스마트폰이나 퍼스널 컴퓨터일 수도 있다.
이러한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기록 매체는 각 유저에게 프로그램을 제공하기 위해 장치 본체와는 별도로 배포되는 리무버블 미디어에 의해 구성될 뿐 아니라, 장치 본체에 미리 편입된 상태로 각 유저에게 제공되는 기록 매체 등으로 구성된다.
아울러, 본 명세서에서, 기록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을 기술하는 단계는 그 순서에 따라 시계열적으로 수행되는 처리는 물론, 반드시 시계열적으로 처리되지 않아도, 병렬적 혹은 개별적으로 실행되는 처리도 포함하는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시스템의 용어는 복수의 장치나 복수의 수단 등으로 구성되는 전체적인 장치를 의미하는 것이다.
이상 정리하면, 본 발명이 적용되는 정보 처리 시스템은 다음과 같은 구성을 취하면 충분하며, 각종 각양의 실시 형태를 취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이 적용되는 정보 처리 시스템(예를 들어, 도 3의 정보 처리 시스템)은
상품 또는 역무를 상품 등으로 하여 상품 등을 제공하는 상품 등 제공자에 의해 관리되는 제1 정보 처리 장치(예를 들어, 도 3의 상품 등 제공자 단말(2)),
상기 상품을 유통시키는 상품 등 유통자에 의해 관리되는 제2 정보 처리 장치(예를 들어, 도 3의 상품 등 유통자 단말(3)),
상기 제1 정보 처리 장치 및 상기 제2 정보 처리 장치의 각각과 통신을 하는 제3 정보 처리 장치(예를 들어, 도 3의 플랫폼 서버(1)),
를 포함하는 정보 처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제1 정보 처리 장치는
상기 상품 등에 관한 정보를 상품 등 정보로서, 상기 제3 정보 처리 장치에 등록 의뢰를 하는 등록 의뢰 수단(예를 들어, 도 5의 등록 의뢰부(51)),
상기 상품 등이 고객에게 수주된 것을 나타내는 정보가 수주 정보로서 상기 제3 정보 처리 장치로부터 제공되어 온 경우, 해당 수주 정보를 취득하는 수주 정보 취득 수단(예를 들어, 도 5의 수주 정보 취득부(52)),
상기 수주 정보를 기초로, 상기 상품 등의 고객으로의 제공의 제어를 실행하는 상품 등 제공 수단(예를 들어, 도 5의 상품 등 제공 제어부(53)),
을 구비하고,
상기 제2 정보 처리 장치는
상기 제3 정보 처리 장치로부터의 상기 상품 등 정보의 제시 의뢰를 기초로, 해당 상품 등 정보를 상기 상품 등의 양도를 받는 후보자인 양수 후보자에게 제시하는 제시 수단(예를 들어, 도 5의 제시부(81)),
상기 양수 후보자 중 소정의 사람에 대해, 상기 상품 등의 양도의 수주를 접수하는 수주 접수 수단(예를 들어, 도 5의 수주 접수부(82)),
상기 소정의 사람을 상기 고객으로 하여 상기 수주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제3 정보 처리 장치에 제공하는 수주 정보 생성 수단(예를 들어, 도 5의 수주 정보 생성부(83)),
을 구비하고,
상기 제3 정보 처리 장치는
상기 제1 정보 처리 장치로부터의 상기 등록 의뢰를 기초로, 상기 상품 등 정보를 등록하는 등록 수단(예를 들어, 도 5의 등록부(61)),
상기 상품 등 정보의 제시 의뢰를 상기 제2 정보 처리 장치에게 하는 제시 의뢰 수단(예를 들어, 도 5의 제시 의뢰부(62)),
상기 상품 등 정보의 상기 수주 정보를 상기 제2 정보 처리 장치로부터 취득하여 상기 제1 정보 처리 장치에 제공하는 수주 정보 전달 수단(예를 들어, 도 5의 수주 정보 전달부(63)),
을 구비하면 충분하다.
이로써, 상품 등 제공자로부터 제공되는 상품 등의 판로를 확대하고, 그 결과 상품 등의 새로운 고객층을 획득할 수 있다.
상기 제2 정보 처리 장치 또는 제3 정보 처리 장치는
상기 상품 등을 기프트로서 주는 제1 사람에 대해, 상기 상품 등을 상기 기프트로서 받을 권리를 갖는 것을 나타내는 정보를 권리 정보로서, 해당 권리 정보를 발행하는 발행 수단(예를 들어, 도 5의 제시 의뢰부(62))
을 더 구비하며,
상기 제2 정보 처리 장치는
상기 제1 사람으로부터 상기 권리 정보가 제공된 제2 사람이 조작하는 제4 정보 처리 장치에 대한 조작에 의해, 해당 권리 정보의 입력을 접수하는 권리 정보 접수 수단
을 구비하고,
상기 제2 정보 처리 장치에서,
상기 제시 수단은 상기 권리 정보의 입력이 접수된 경우, 상기 상품 등 정보를 제시하고,
상기 수주 정보 생성 수단은 제시된 상기 상품 등 정보가 상기 제2 사람의 상기 제4 정보 처리 장치에 대한 조작에 의해 선택된 경우, 상기 제2 사람을 상기 고객으로 하여 상기 수주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제3 정보 처리 장치에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상품 등 제공자는 n(n은 1 이상의 정수값)명 존재하며,
상기 제3 정보 처리 장치는
상기 상품 등 제공자의 각각에 관한 정보를 상품 등 제공자 정보로서 상기 n명별로 관리하는 상품 등 제공자 관리 수단
을 더 구비하고,
상기 제3 정보 처리 장치에서,
상기 등록 수단은 상기 상품 등 정보를 상기 n명별로 등록하고,
상기 제시 의뢰 수단은 상기 n명의 상품 등 제공자 중 지정된 1명 이상의 상기 상품 등 정보의 상기 제시 의뢰를 상기 제2 정보 처리 장치에게 할 수 있다.
상기 상품 등 유통자는 m(m은 1 이상의 정수값)명 존재하며,
상기 제3 정보 처리 장치는
상기 상품 등 유통자의 각각에 관한 정보를 상품 등 유통자 정보로서 상기 m명별로 관리하는 상품 등 유통자 관리 수단
을 더 구비하고,
상기 제3 정보 처리 장치에서,
상기 제시 의뢰 수단은 상기 m명의 상품 등 유통자 중 지정된 1명 이상의 상기 제2 정보 처리 장치에 대해, 상기 상품 등 정보의 상기 제시 의뢰를 할 수 있다.
1: 플랫폼 서버
2, 2-1 내지 2-n: 제공자 단말
3, 3-1 내지 3-m: 이용자 단말
11: CPU
12: ROM
13: RAM
14: 버스
15: 입출력 인터페이스
16: 출력부
17: 입력부
18: 저장부
19: 통신부
20: 드라이브
30: 리무버블 미디어

Claims (4)

  1. 상품 또는 역무를 상품 등으로 하여 상품 등을 제공하는 상품 등 제공자에 의해 관리되는 제1 정보 처리 장치,
    상기 상품 등을 유통시키는 상품 등 유통자에 의해 관리되는 제2 정보 처리 장치,
    상기 제1 정보 처리 장치 및 상기 제2 정보 처리 장치의 각각과 통신하고, 복수의 상기 상품 등 제공자 및 상기 상품 등 유통자에 관한 정보를 관리하는 제3 정보 처리 장치
    를 포함하는 정보 처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제1 정보 처리 장치는
    상기 상품 등에 관한 정보를 상품 등 정보로서, 상기 제3 정보 처리 장치에 등록 의뢰를 하는 등록 의뢰 수단,
    상기 상품 등이 고객에게 수주된 것을 나타내는 정보가 수주 정보로서 상기 제3 정보 처리 장치로부터 제공되어 온 경우, 해당 수주 정보를 취득하는 수주 정보 취득 수단,
    상기 수주 정보를 기초로, 상기 상품 등의 고객으로의 제공의 제어를 실행하는 상품 등 제공 수단
    을 구비하고,
    상기 제2 정보 처리 장치는
    상기 제3 정보 처리 장치로부터의 상기 상품 등 정보의 제시 의뢰를 기초로, 해당 상품 등 정보를 상기 상품 등의 양도를 받는 후보자인 양수 후보자에게 제시하는 제시 수단,
    상기 양수 후보자 중 소정의 사람에 대해, 상기 상품 등의 양도의 수주를 접수하는 수주 접수 수단,
    상기 소정의 사람을 상기 고객으로 하여 상기 수주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제3 정보 처리 장치에 제공하는 수주 정보 생성 수단
    을 구비하고,
    상기 제3 정보 처리 장치는
    상기 제1 정보 처리 장치로부터의 상기 등록 의뢰를 기초로, 상기 상품 등 정보를 등록하는 등록 수단,
    상기 상품 등 정보의 제시 의뢰를 상기 제2 정보 처리 장치에게 하는 제시 의뢰 수단으로서, 상기 제3 정보 처리 장치를 이용하여 획득하는 판로에 포함되는 상기 양수 후보자에게 상기 상품 등 정보를 제시하기 위한 제시 의뢰 수단,
    상기 상품 등 정보의 상기 수주 정보를 상기 제2 정보 처리 장치로부터 취득하여 상기 제1 정보 처리 장치에 제공하는 수주 정보 전달 수단,
    상기 상품 등 제공자는 n(n은 1 이상의 정수값)명 존재하고, 상기 상품 등 제공자의 각각에 대한 정보를 상품 등 제공자 정보로서 상기 n명별로 관리하는 상품 등 제공자 관리 수단,
    상기 상품 등 유통자는 m(m은 1 이상의 정수값)명 존재하고, 상기 상품 등 유통자의 각각에 관한 정보를 상품 등 유통자 정보로서 상기 m명별로 관리하는 상품 등 유통자 관리 수단
    을 구비하고,
    상기 상품 등 유통자 정보에 의해, 상기 상품 등 제공자의 기존 판로와는 다른 새로운 판로가 포함되도록 제어되고, 또한 조건 설정을 포함한 자동 매칭을 이용하여 상기 상품 등 제공자에 매칭 가능한 상기 상품 등 유통자에 의한 판로가 한정되는, 정보 처리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정보 처리 장치 또는 제3 정보 처리 장치는
    상기 상품 등을 기프트로서 주는 제1 사람에 대해, 상기 상품 등을 상기 기프트로서 받을 권리를 갖는 것을 나타내는 정보를 권리 정보로서, 해당 권리 정보를 발행하는 발행 수단
    을 더 구비하며,
    상기 제2 정보 처리 장치는
    상기 제1 사람으로부터 상기 권리 정보가 제공된 제2 사람이 조작하는 제4 정보 처리 장치에 대한 조작에 의해, 해당 권리 정보의 입력을 접수하는 권리 정보 접수 수단
    을 구비하고,
    상기 제2 정보 처리 장치에서,
    상기 제시 수단은 상기 권리 정보의 입력이 접수된 경우, 상기 상품 등 정보를 제시하고,
    상기 수주 정보 생성 수단은 제시된 상기 상품 등 정보가 상기 제2 사람의 상기 제4 정보 처리 장치에 대한 조작에 의해 선택된 경우, 상기 제2 사람을 상기 고객으로 하여 상기 수주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제3 정보 처리 장치에 제공하는, 정보 처리 시스템.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정보 처리 장치에서,
    상기 등록 수단은 상기 상품 등 정보를 상기 n명별로 등록하고,
    상기 제시 의뢰 수단은 상기 n명의 상품 등 제공자 중 지정된 1명 이상의 상기 상품 등 정보의 상기 제시 의뢰를 상기 제2 정보 처리 장치에게 하는, 정보 처리 시스템.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정보 처리 장치에서,
    상기 제시 의뢰 수단은 상기 m명의 상품 등 유통자 중 지정된 1명 이상의 상기 제2 정보 처리 장치에 대해, 상기 상품 등 정보의 상기 제시 의뢰를 하는, 정보 처리 시스템.
KR1020237009337A 2020-09-08 2021-09-07 정보 처리 시스템 KR10265461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20-150530 2020-09-08
JP2020150530 2020-09-08
PCT/JP2021/032817 WO2022054791A1 (ja) 2020-09-08 2021-09-07 情報処理システ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42539A KR20230042539A (ko) 2023-03-28
KR102654612B1 true KR102654612B1 (ko) 2024-04-05

Family

ID=806321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09337A KR102654612B1 (ko) 2020-09-08 2021-09-07 정보 처리 시스템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7117056B1 (ko)
KR (1) KR102654612B1 (ko)
WO (1) WO202205479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432648B2 (ja) 2022-04-12 2024-02-16 ユーザーライク株式会社 注文管理装置、注文管理システム及び注文管理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75475A (ja) * 2000-12-06 2002-06-21 It Cast:Kk 電子カタログ作成装置及び電子カタログ作成方法並びに商品贈呈処理システム
JP2003108639A (ja) * 2001-09-27 2003-04-11 Toshiba Corp 取引仲介サーバ及び取引仲介方法
JP2019139671A (ja) * 2018-02-15 2019-08-22 株式会社クレアトゥール プレゼント提供支援装置、プレゼント提供支援装置の管理サーバー、およびプレゼント提供方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249958A (ja) * 2006-02-17 2007-09-27 Seiko Epson Corp 商品カタログ提供システム、プログラム、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の商品カタログ提供方法
JP2013003834A (ja) 2011-06-16 2013-01-07 Hitachi Consumer Electronics Co Ltd 商品購入推薦装置
JP5231676B2 (ja) * 2012-10-25 2013-07-10 優太 冨安 商品購入希望者に対する支援機能を有するネットモール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75475A (ja) * 2000-12-06 2002-06-21 It Cast:Kk 電子カタログ作成装置及び電子カタログ作成方法並びに商品贈呈処理システム
JP2003108639A (ja) * 2001-09-27 2003-04-11 Toshiba Corp 取引仲介サーバ及び取引仲介方法
JP2019139671A (ja) * 2018-02-15 2019-08-22 株式会社クレアトゥール プレゼント提供支援装置、プレゼント提供支援装置の管理サーバー、およびプレゼント提供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2054791A1 (ja) 2022-03-17
KR20230042539A (ko) 2023-03-28
JPWO2022054791A1 (ko) 2022-03-17
JP7117056B1 (ja) 2022-08-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46836B2 (en) Payment system and method including enabling electronic receipts
US10636066B2 (en) System and method for location and time specific mobile commerce
US11769140B2 (en) System and method for location-based individualized content and mobile wallet offers
US11570485B2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synchronized interactive multimedia content to mobile devices based on geolocation of a vehicle
US7107236B2 (en) Self-contained business transaction capsules
US20110246287A1 (en)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a marketing campaign
US9031867B1 (en) Computer implemented method and system for ordering food from a restaurant
US10949897B2 (en) System and method for receiving promotional sample product
KR101572951B1 (ko) 오프라인 직거래를 위한 온라인 마켓 제공 시스템
JP2015524955A (ja) メニュー・レベルの支持と報酬システム
TW201520942A (zh) 便利乘客於電子訊息內管理航空公司預訂內容之技術
US20210174344A1 (en) System and method for location based individualized mobile content and mobile wallet offers
US20130297458A1 (en) System and Method for Cooperation Between Online and Physical Value-Chain Endpoints
KR101583037B1 (ko) 쿠폰제공방법 및 쿠폰제공시스템
US20140012655A1 (en) System and method for purchasing with a discount in exchange for social media advertising
KR102654612B1 (ko) 정보 처리 시스템
JP7169767B2 (ja) ロイヤリティ醸成支援装置
MXPA03004755A (es) Sistema y metodo para exhibicion y venta de bienes y servicios en un ambiente al menudeo utilizando medios electronicos auxiliares para comprador.
KR100397032B1 (ko) 인터넷을 이용한 토탈 웨딩서비스 방법
KR102334612B1 (ko) 잔여 시간을 고려하여 생성되는 웨딩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 서버
KR101626197B1 (ko) 스마트폰 앱 기반 임박 상품 서비스 판매 방법
JP2002092233A (ja) 館内案内システム、サーバ及び記録媒体
WO2022061339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synchronized interactive multimedia content to mobile devices based on geolocation of a vehicle
Heinemann et al. Location-based services as Base Factor No. 2 for SoLoMo
KR20230114554A (ko) 식음료 사업주를 위한 광고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