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83037B1 - 쿠폰제공방법 및 쿠폰제공시스템 - Google Patents

쿠폰제공방법 및 쿠폰제공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83037B1
KR101583037B1 KR1020140032107A KR20140032107A KR101583037B1 KR 101583037 B1 KR101583037 B1 KR 101583037B1 KR 1020140032107 A KR1020140032107 A KR 1020140032107A KR 20140032107 A KR20140032107 A KR 20140032107A KR 101583037 B1 KR101583037 B1 KR 1015830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pon
user
information
identification information
sto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321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15269A (ko
Inventor
이광호
Original Assignee
이광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광호 filed Critical 이광호
Priority to US14/777,592 priority Critical patent/US20170004522A1/en
Priority to PCT/KR2014/002316 priority patent/WO2014148821A1/ko
Publication of KR201401152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152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830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830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07Discounts or incentives, e.g. coupons or rebat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01Market modelling; Market analysis; Collecting market data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Fina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Economics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Market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쿠폰제공방법 및 쿠폰제공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제 1 측면에 따르면 사용자와의 인터랙션이 가능한 쿠폰제공시스템에 의해 수행되는 쿠폰제공방법으로서, 상기 사용자에 의해 생성된 이미지정보 및 매장식별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이미지정보 및 매장식별정보에 기초하여 쿠폰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생성된 쿠폰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쿠폰제공방법 및 쿠폰제공시스템{METHOD AND SYSTEM AND FOR PROVIDING COUPON}
본 발명은 쿠폰제공방법 및 쿠폰제공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에 의해 생성된 이미지에 기초하여 쿠폰을 생성하고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음식점, 영화관, 온라인 쇼핑몰 등에서 다양한 쿠폰을 발행함으로써, 고객들이 보다 싸게 상품과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고 있으며, 이러한 쿠폰을 이용하여, 상품과 서비스를 제공하는 커피숍, 서점, 음식점, 뷰티샵, 미용실, 학원, 여행/숙박, 오락/영화관 각각의 매장에서는 상품 또는 서비스의 판매를 촉진하고 매출을 올릴 수 있다.
다만 이러한 쿠폰은, 쿠폰을 유통하는 유통업체를 통해서만 배포될 수 있기 때문에, 매장에서는 불특정 다수의 고객들에게 쿠폰 제공 기회를 노출시킬 수 없는 한계를 가졌다.
관련하여 선행기술 문헌인 특허출원번호 제2010-0096344호에서는, 소셜커머스에 의한 할인쿠폰 판매 대행 서비스 제공 방법을 제시하고 있다. 즉, 선행기술 문헌에서는 광고주로부터 의뢰된 물품이나 용역의 판매 서비스에 대한 할인쿠폰의 판매 대행을 위하여, 소셜커머스 서버가 웹상에서 할인쿠폰을 게시하되 할인쿠폰의 구매가 종국적으로 확정되기 위한 조건으로서의 최소 판매 수량 및 판매 기한을 함께 게시하고, 사용자가 할인쿠폰에 의해 할인된 후의 가액에 상응하는 구매대금을 결제하고 할인쿠폰에 대한 추천인을 입력함에 따라, 소셜커머스 서버가 추천인과 그 상위 추천인들에 대해 다단계 방식으로 추천에 따른 보상을 수행하며, 보상액은 각각의 추천인에 대하여 다단계 방식으로 산정된 추천 횟수에 상응하여 증가하도록 설정되며, 또한 상기 보상액에 대해서 소정의 상한선이 설정되는 방법을 제안하고 있다.
즉 선행기술 문헌에서는 쿠폰 판매 방법에 대해 제시할 뿐이어서, 선행기술 문헌에서도 쿠폰이 특정 유통업체를 통해서만 배포될 수밖에 없는 문제점을 해결하지 못한다. 따라서 상술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기술이 필요하게 되었다.
한편 최근들어 SNS(social network service)가 이슈되고 있다. 즉, 사용자들은 SNS페이지에, 자신이 찍은 이미지, 동영상을 업로드하며, 특히, 특정 상품 또는 서비스를 구매하거나 이용하게 되는 경우 상품 또는 서비스의 특징을 잘 나타내는 이미지, 동영상을 업로드하는 추세이다. 이러한 추세를 활용하여 상술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기술을 제안하고자 한다.
한편, 전술한 배경기술은 발명자가 본 발명의 도출을 위해 보유하고 있었거나, 본 발명의 도출 과정에서 습득한 기술 정보로서, 반드시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게 공개된 공지기술이라 할 수는 없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쿠폰제공방법 및 쿠폰제공시스템을 제시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제 1 측면에 따르면 사용자와의 인터랙션이 가능한 쿠폰제공시스템에 의해 수행되는 쿠폰제공방법으로서, 상기 사용자에 의해 생성된 이미지정보 및 매장식별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이미지정보 및 매장식별정보에 기초하여 쿠폰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생성된 쿠폰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2 측면에 따르면, 제1사용자와의 인터랙션이 가능한 쿠폰제공시스템으로서, 상기 제1사용자에 의해 생성된 이미지정보 및 매장식별정보를 획득하도록 구성되는 정보획득부, 상기 이미지정보 및 매장식별정보에 기초하여 쿠폰을 생성하도록 구성되는 쿠폰생성부, 및 상기 생성된 쿠폰을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쿠폰제공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쿠폰제공방법 및 쿠폰제공시스템을 제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예를 들어, 커피숍, 음식점, 영화관 등과 같은 매장에서의 사용자의 자발적인 광고를 유도할 수 있어, 자연스럽게 매장을 홍보할 수 있는 쿠폰제공방법 및 쿠폰제공시스템을 제시할 수 있다.
아울러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사용자는 자신이 이용하는 SNS서비스를 통해 매장 혜택이 포함된 광고를 지인들과 공유할 수 있고, 이는 매장의 판매를 촉진시키며, 지인들 또한 신뢰할 수 있는 광고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하는 쿠폰제공방법 및 쿠폰제공시스템을 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쿠폰제공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쿠폰제공시스템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쿠폰제공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4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쿠폰제공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쿠폰제공시스템(100)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쿠폰제공시스템(100)은 사용자와 인터랙션이 가능한 시스템으로서, 사용자단말(10) 및 쿠폰 제공 서버(2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사용자단말(10) 및 쿠폰 제공 서버(20)는 네트워크(N)를 통해 통신할 수 있으며, 이때 네트워크(N)는 근거리 통신망(Local Area Network; LAN), 광역 통신망(Wide Area Network; WAN), 부가가치 통신망(Value Added Network; VAN), 개인 근거리 무선통신(Personal Area Network; PAN), 이동 통신망(mobile radio communication network),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Mobile WiMAX,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또는 위성 통신망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유/무선 네트워크로 구현될 수 있다.
관련하여 사용자단말(10)은, 쿠폰제공시스템을 통해 쿠폰을 생성하려고 하거나 쿠폰을 제공받고자 하는 사용자와의 인터랙션을 처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단말(10)은 쿠폰제공방법이 동작하기 위한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이 설치될 수 있어, 쿠폰제공시스템에 의해 제공되는 쿠폰 제공 서비스를, 사용자단말(10)을 제어할 수 있는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단말(10)은 사용자단말(10)을 제어하는 사용자의 역할에 따라 제 1 단말(110), 제 2 단말(120) 및 제 3 단말(130)로 분류할 수 있다.
제 1 단말(110)은, 쿠폰을 생성하기 위한 이미지정보 및 매장식별정보를 획득할 수 있으며, 쿠폰을 생성하려는 제1사용자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반면 제 2 단말(120)은, 생성된 쿠폰을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하며, 쿠폰을 획득하여 쿠폰에 수반되는 혜택을 받고자 하는 제2사용자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한편 제 3 단말(130)은 매장식별정보를 생성하기 위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매장의 점주 또는 점원 등과 같이 매장에서 판매되는 물품(상품 또는 서비스를 포함함)을 제공하는 제3사용자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여기서 매장은 온라인, 오프라인 등 모든 종류의 매장을 의미한다.
한편, 제1사용자 및 제2사용자 간에는, 쿠폰제공시스템(100)(또는 서드파티서버(미도시))에서 ‘지인관계’가 설정될 수 있다. 즉, 일방(一方)의 사용자가 생성하거나 획득한 쿠폰을 타방(他方)의 사용자가 제공받을 수 있는 경우 양 사용자는 ‘지인관계’라 칭할 수 있으며, 따라서 제1사용자와 지인관계인 제2사용자는 제1사용자에 의해 생성된 쿠폰을 제공받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제 1 단말(110), 제 2 단말(120) 및 제 3 단말(130)은 상술한 작업을 수행할 수 있지만, 각각의 단말의 역할을 서로 바뀔 수 있으며, 제 1 단말(110), 제 2 단말(120) 및 제 3 단말(130)은 서로 역할이 바뀌어 상술한 작업을 모두 수행할 수도 있다.
이러한 사용자단말(10)은 이미지(정적이미지, 동적이미지(즉, 동영상) 등을 포함)를 촬영하거나, 또는, 촬영가능한 식별정보(예를 들어, 1내지 3차원코드 등)을 촬영할 수 있는 촬영장치(예를 들어, 카메라)를 포함할 수 있으며, 또한, 판독의 대상이 될 수 있는 종류의 정보(예를 들어,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태그, NFC(near field communication)태그 등)를 판독할 수 있는 판독장치(RFID리더기, NFC리더기 등) 등을 구비할 수 있다.
즉, 사용자단말(10)은 네트워크(N)를 통해 원격지의 쿠폰 제공 서버(20) 또는 서드파티서버에 접속하거나, 타 사용자단말 및 서버와 연결 가능한 컴퓨터나 휴대용 단말기, 텔레비전으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등을 포함하고, 휴대용 단말기는 예를 들어,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스마트폰(Smart Phone), 모바일 WiMAX(Mobile Worldwide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텔레비전은 IPTV(Internet Protocol Television), 인터넷 TV(Internet Television), 지상파 TV, 케이블 TV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쿠폰 제공 서버(20)는 사용자단말(10)과 통신하면서 쿠폰제공방법에 따른 쿠폰을 생성 또는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쿠폰 제공 서버(20)는, 클라이언트가 설치된 사용자단말(10)에 대해 서버로서 동작할 수 있다.
이러한 쿠폰 제공 서버(20)는, 쿠폰 생성을 위한 이미지정보 또는 매장식별정보 등을 사용자단말(10)로부터 수신할 수 있으며, 쿠폰을 생성하여 사용자단말(10)로 상기 쿠폰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쿠폰제공시스템(100)은 네트워크(N)를 통해 서드파티서버(미도시)와도 통신할 수 있다.
서드파티서버는, 쿠폰제공시스템(100)으로부터 수신한 쿠폰을 게시할 수 있으며, 상기 쿠폰을 생성한 제1사용자의 서드파티서버 계정에 쿠폰을 게시할 수 있다.
서드파티서버는 SNS(social network service) 또한 제공할 수 있으며, 따라서 서드파티서버의 계정에 쿠폰을 게시한 제1사용자와 지인관계인 제2사용자는 제1사용자의 계정을 통해 상기 쿠폰을 제공받을 수 있다.
한편 쿠폰 제공 서버(20) 및 서드파티서버(미도시) 각각은, 웹 접속을 받아들이는 통상의 웹서버, 또는 모바일 웹 접속을 받아들이는 통상의 모바일 웹서버로도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쿠폰 제공 서버(20) 및 서드파티서버(미도시) 각각은, 예를 들어, 사용자단말(10)로 웹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웹서버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포털 사이트 서버이거나, 온라인 쇼핑몰 서버 등 다양한 웹 컨텐츠 프로바이더의 서버 시스템일 수 있다. 또한 쿠폰 제공 서버(20) 및 서드파티서버(미도시) 각각은, 웹서버를 포함하여 로드밸런싱 서버, 데이터베이스 서버 등 일군의 서버 시스템으로 구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쿠폰제공시스템(100)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쿠폰제공시스템(100)은 정보획득부(210), 쿠폰생성부(220), 쿠폰제공부(230) 및 계정관리부(24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쿠폰제공시스템(100)은 내부구성요소, 즉, 정보획득부(210), 쿠폰생성부(220), 쿠폰제공부(230) 및 계정관리부(240) 간의 통신을 가능하게 하게 하며 또한 외부구성요소와의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통신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쿠폰제공시스템(10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쿠폰제공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저장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으며, 또는 외부에 위치하는 저장장치(미도시), 예를 들어, 데이터베이스와 통신할 수 있다.
한편 정보획득부(210)는, 쿠폰 생성을 위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즉 정보획득부(210)는, 이미지정보 및 매장식별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여기서, ‘이미지정보’는, 사용자가 생성한 이미지에 관한 제반정보를 포함하며, 따라서 예를 들어, 이미지정보는 이미지, 이미지 식별정보, 이미지 상세설명, 이미지 생성시점, 이미지를 생성한 위치에 관한 위치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매장식별정보’는 매장을 다른 매장 또는 다른 사용자와 식별하기 위한 정보를 의미한다. 매장식별정보는, 일련의 문자 또는 숫자로 구현될 수 있으며, 또한 1차원 바코드, 2차원 바코드 또는 3차원 바코드 등으로도 구현될 수 있으며, 또는 RFID, NFC태그로도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매장식별정보는 제3사용자의 사용자식별정보와 동일할 수 있으며, 또는 제3사용자의 사용자식별정보에 포함되거나, 또는 제3사용자의 사용자식별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정보획득부(210)는 매장식별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매장식별정보의 획득에 따른 이미지정보 생성을 위한 촬영인터페이스를 제공하며, 상기 촬영인터페이스를 통해 이미지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정보획득부(210)는 이미지정보를 획득하고, 매장식별정보의 수신을 위한 입력인터페이스를 제공하며, 상기 입력인터페이스를 통해 매장식별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한편 쿠폰생성부(220)는, 이미지정보 및 매장식별정보에 기초하여 쿠폰을 생성할 수 있다.
쿠폰생성부(220)는, 매장식별정보에 대응되며, 상기 매장식별정보, 상기 매장명칭정보, 매장위치정보 및 매장연락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매장정보를 획득하여, 상기 매장정보를 쿠폰정보에 추가함으로써 쿠폰을 생성할 수 있다.
이때 매장식별정보에 매칭되는 매장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경우, 쿠폰생성부(220)는 획득한 매장식별정보에 매칭되는 매장정보를 탐색함으로써 매장정보를 획득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타사용자에 의해, 또는 매장 점주에 의해 매장정보가 쿠폰제공시스템(100)에 등록될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매장정보에 매칭되는 매장식별정보를 탐색함으로써 쿠폰생성부(220)는 상기 등록된 매장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쿠폰생성부(220)는 매장식별정보 내에 포함되는 매장정보를 추출함으로써 매장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획득한 매장식별정보 그 자체에 매장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 예를 들어, 매장식별정보가 이미지인 경우 쿠폰생성부(220)는 OCR (optical character reader) 등의 기법을 통해 매장식별정보 그 자체로부터 매장정보를 추출하여 획득할 수 있다.
쿠폰생성부(220)는 이미지를 제공한 제1사용자의 사용자식별정보 및 상기 매장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쿠폰정보에 추가함으로써 쿠폰을 생성할 수 있는데, 여기서 ‘쿠폰정보’는 쿠폰을 열람하는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는 각종 정보, 또는 상기 사용자가 쿠폰을 사용하기 위해 필요한 제반 정보를 의미한다. 쿠폰정보는, 쿠폰 사용시 받을 수 있는 혜택정보, 쿠폰을 사용할 수 있는 매장정보, 쿠폰에 사용된 이미지의 이미지정보, 쿠폰을 생성한 사용자의 사용자식별정보, 쿠폰을 식별할 수 있는 쿠폰식별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쿠폰생성부(220)는 쿠폰정보에 추가할 사용자의 사용자식별정보를 생성하여 쿠폰에 추가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사용자식별정보와 매장정보(또는 매장식별정보)를 결합하여 식별정보를 생성하여 쿠폰에 추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쿠폰생성부(220)는 제1사용자의 사용자식별정보 및 매장식별정보(또는 제3사용자의 사용자식별정보)를 결합하여 새로운 식별정보를 생성할 수 있고, 상기 생성된 식별정보를 쿠폰정보에 추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추가된 식별정보는, 쿠폰을 확인할 때 상기 쿠폰을 생성한 제1사용자의 계정에 접근할 수 있도록 하며, 또한 상기 쿠폰을 사용하게 하는 제3사용자의 계정에 접근할 수 있도록 한다.
아울러서 쿠폰생성부(220)는 쿠폰 생성을 위해 획득한 이미지정보에 포함되는 위치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이미지정보와 매장식별정보의 매칭여부를 판단하고, 매칭하는 경우에 한해 쿠폰을 생성할 수 있다.
한편 쿠폰제공부(230)는, 생성된 쿠폰을 타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쿠폰제공부(230)는 소정의 시간 동안에만 쿠폰을 제공할 수 있고, 지속적으로 쿠폰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쿠폰제공부(230)는, 쿠폰을 제공하되 제공받을 수 있는 대상자의 범위(예를 들어 쿠폰을 생성한 사용자와 지인관계인 사용자)를 제한하여 제공할 수 있고, 또는 대상자의 수를 제한하여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쿠폰제공부(230)는 쿠폰을 열람하는 제2사용자의 특성(예를 들어, 제2사용자의 위치(제2사용자가 등록한 위치, 또는 쿠폰을 열람할 때의 제2사용자의 위치 등), 제2사용자의 연령, 성별, 열람했던 쿠폰의 카테고리 등)에 따라 쿠폰을 선별하여 제2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쿠폰제공부(230)는 서드파티서버로 쿠폰(또는 쿠폰정보)을 송신함으로써 서드파티서버를 통해 제공되는 서비스를 통해 쿠폰이 제공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서드파티서버는, 서드파티서버를 식별할 수 있는 서드파티식별정보가 할당되어 있어, 쿠폰제공부(230)는 서드파티서버로 상기 쿠폰을 송신할 때 상기 쿠폰정보에 상기 서드파티식별정보를 추가할 수 있다.
또한 쿠폰제공부(230)는 쿠폰을 제공받고자 하는 제2사용자가, 쿠폰을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하는 열람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열람인터페이스’는 쿠폰을 제2사용자의 사용자단말로 다운로드할 수 있도록 할 수 있고, 또한 상기 쿠폰을 제2사용자의 계정으로 다운로드할 수 있도록 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쿠폰을 제2사용자의 서드파티서버의 계정으로 송신할 수 있도록 할 수 있고, 또한, 상기 쿠폰을 프린터와 같은 인쇄장치로 출력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계정관리부(240)는, 쿠폰에 대응되는 대가를, 쿠폰을 생성한 제1사용자의 사용자계정에 적립할 수 있다. 즉 계정관리부(240)는 이미지 생성 또는 쿠폰의 생성의 대가로서 소정의 대가를 상기 이미지 또는 쿠폰을 생성한 제1사용자의 사용자계정에 적립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대가가 적립될 때마다 계정관리부(240)는, 대가가 적립되었음을 제1사용자에게 메시지, 이메일 또는 푸쉬메시지 형태로 통지할 수 있다.
여기서 대가는 현물, 가상의 화폐 모두 가능하며, 대가금액은 쿠폰에 대응되는 물품 판매 금액의 소정비율에 상응하는 가격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3사용자의 사용자계정에 적립된 금액 중 일부가 대가로서 제1사용자의 사용자계정에 적립되고 상기 적립된 금액만큼 제3사용자의 사용자계정의 금액이 차감될 수 있다. 아울러서 대가가 적립될 때, 쿠폰정보 중 적어도 일부가 제1사용자의 사용자계정에 저장될 수 있다.
즉, 계정관리부(240)는, 쿠폰의 사용을 확인하고, 상기 쿠폰의 사용이 확인되면(즉, 쿠폰이 제2사용자에 의해 상기 쿠폰에 대응되는 매장에서 제시됨이 확인되면), 상기 쿠폰에 대응되는 대가를 상기 제1사용자의 사용자계정에 적립할 수 있다.
또한, 계정관리부(240)는, 상기 쿠폰 사용 확인 요청과 함께, 상기 쿠폰을 사용하고자 하는 제2사용자의 사용자식별정보를 획득하면, 상기 쿠폰에 대응되는 대가를 제1사용자의 사용자계정에 적립할 수 있다.
아울러서 계정관리부(240)는, 쿠폰의 확인 시점이 상기 쿠폰의 생성시점과 소정의 범위 이상인 경우에 한해, 상기 쿠폰에 대응되는 대가를 제1사용자의 사용자계정에 적립할 수 있다.
상술된 바와 같이 대가의 적립을 수행하기 위해, 계정관리부(240)는 제1사용자, 제2사용자 및 제3사용자 각각의 사용자계정을 관리할 수 있다.
즉, 계정관리부(240)는 제1사용자의 사용자계정을 관리할 수 있다. 따라서, 예를 들어, 계정관리부(240)는 제1사용자가 적립받았던 대가에 관한 총 금액에 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으며, 또한 제1사용자가 적립받았던 내역(예를 들어, 대가의 적립 원인이 된 쿠폰정보를 누적하여 통계낸 내역, 또는 대가의 적립 원인이 된 쿠폰에 대응되는 매장식별정보, 또는, 대가의 적립 원인이 된 쿠폰을 제공했던 서드파티서버식별정보 등)을 저장하여 제1사용자가 열람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계정관리부(240)는 제1사용자의 사용자계정에 적립된 대가를, 쿠폰제공시스템(100)에 등록된 매장에서 제1사용자가 자유롭게 사용하도록 할 수 있으며, 이때 쿠폰제공시스템(100)에 등록된 매장은, 쿠폰제공시스템(100)의 사용자계정에 적립된 대가를 매장에서 판매하는 물품의 교환가치로 인정하는 매장을 의미한다.
또한, 계정관리부(240)는 제2사용자의 사용자계정을 관리할 수 있다. 따라서 계정관리부(240)는 예를 들어, 쿠폰 확인을 요청하는 제2사용자가, 동일한 쿠폰에 대해 쿠폰 확인 요청을 수행하였던 이력이 있는 사용자(즉, 동일 쿠폰을 예전에 사용했던 이력이 있는 사용자)인지를 확인하고, 상기 제2사용자가 예전에 동일 쿠폰으로 할인혜택 등을 제공받았다면, 제1사용자의 사용자계정에 대가를 적립하지 않거나, 제2사용자에게 혜택을 제공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한, 계정관리부(240)는 제3사용자의 사용자계정을 관리할 수 있으며, 따라서 예를 들어, 제3사용자에 매칭되는 매장의 매장정보, 매장식별정보 등을 저장할 수 있으며, 또한 쿠폰 사용 이력(예를 들어, 쿠폰 사용 빈도수, 매장에 매칭되는 쿠폰을 생성했던 사용자들의 정보 등)을 저장하거나 상기 이력에 기초하여 통계자료를 생성하여 저장할 수 있고, 저장된 정보를 제3사용자가 열람하도록 할 수 있다.
아울러서, 계정관리부(240)는 쿠폰제공시스템(100)에 등록된 사용자들 간의 지인관계에 관한 정보를 관리할 수 있다.
추가로 계정관리부(240)는, 지인관계인 사용자들 간에 한해 쿠폰을 공유하도록 할 수 있으며, 또한, 쿠폰을 생성한 제1사용자에 대해 평가할 수 있는 평가인터페이스를 제공하여 제1사용자가 생성한 쿠폰을 다운로드받았던 제2사용자가 제1사용자를 평가할 수 있도록 하며, 이에 타사용자들이 제1사용자가 생성한 쿠폰이 신뢰가능한 쿠폰인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상술된 바와 같은 쿠폰제공시스템(100)의 각 구성요소는 사용자단말(10) 또는 쿠폰 제공 서버(20) 중 적어도 하나의 장치 상에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정보획득부(210)는 사용자단말(10) 상에서 구현되고, 쿠폰생성부(220), 쿠폰제공부(230) 및 계정관리부(240) 각각은 쿠폰 제공 서버(20) 상에서 구현될 수 있다.
한편 도 3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쿠폰제공방법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쿠폰제공시스템(100)에서 시계열적으로 처리되는 단계들을 포함한다. 따라서, 이하에서 생략된 내용이라고 하더라도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쿠폰제공시스템(100)에 관하여 이상에서 기술한 내용은 도 3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쿠폰제공방법에도 적용될 수 있다.
도 3은 도 4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이하에서 후술되며, 도 4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쿠폰제공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관련하여 쿠폰생성방법은, 예를 들어, 쿠폰생성방법을 구현하는 프로그램이 사용자단말에 설치되어 있어 실행되거나, 또는 사용자가 쿠폰생성을 요청할 때 트리거링될 수 있다.
도 3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쿠폰제공시스템(100)은 이미지정보 및 매장식별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S310).
관련하여 쿠폰제공시스템(100)은 촬영인터페이스를 통해 이미지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촬영인터페이스로서 카메라가 제공되는 경우, 쿠폰제공시스템(100)은 카메라를 통해 촬영대상을 촬영함으로써 이미지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쿠폰제공시스템(100)은 입력인터페이스를 통해 매장식별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QR코드의 형태로 제공되는 매장식별정보를 획득하기 위해 쿠폰제공시스템(100)은 입력인터페이스로서 QR코드리더기를 제공하고 상기 리더기를 통해 매장식별정보를 촬영함으로써 매장식별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획득가능한 이미지정보 및 매장식별정보는, 쿠폰제공시스템(100)에 의해 동시에 획득될 수 있다.
또한 쿠폰제공시스템(100)은 이미지정보를 먼저 획득하고, 매장식별정보의 수신을 위한 입력인터페이스를 제공함에 따라 상기 입력인터페이스를 통해 매장식별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다.
또한, 쿠폰제공시스템(100)은 매장식별정보를 먼저 획득하고, 매장식별정보의 획득에 따른 이미지정보 생성을 위한 촬영인터페이스를 제공함으로써 이미지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관련하여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쿠폰제공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로서 이미지정보를 획득하는 모습을 나타낸 것이다.
사용자단말(10)을 통해 제1사용자는, 예를 들어, 음식을 파는 매장의 식탁에 부착되어 있고 QR코드로 구현되어 있는 매장식별정보를 먼저 획득할 수 있으며, 상기 매장식별정보를 획득함에 따라 쿠폰제공시스템(100)은 사용자단말(10)의 카메라를 동작시킴으로써 사용자가 음식사진을 촬영할 수 있도록 하는 촬영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도 4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촬영인터페이스를 통해 음식(410)을 촬영하면 쿠폰제공시스템(100)은 상기 촬영한 이미지를 이미지정보로서 획득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이미지정보 및 매장식별정보를 획득하면, 쿠폰제공시스템(100)은 이미지정보 및 매장식별정보에 기초하여 쿠폰을 생성할 수 있다 (S320).
이때, 쿠폰제공시스템(100)은 이미지정보의 위치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이미지정보와 매장식별정보의 매칭여부를 판단하고, 매칭하는 경우에 한해 쿠폰을 생성할 수 있다. 즉, 쿠폰제공시스템(100)은, 이미지정보의 위치정보가 매장A인 경우, 매장A의 매장식별정보를 입력받은 경우에 한해 쿠폰을 생성하며, 매장B의 매장식별정보를 입력받은 경우 쿠폰 생성을 제한할 수 있다.
관련하여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쿠폰제공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로서 본 발명에 따른 쿠폰제공방법에 따라 생성된 쿠폰(500)을 도시한 것이다.
도 5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쿠폰(500)은 쿠폰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쿠폰정보는, 이미지정보(510), 혜택정보(520), 매장정보 중 매장명칭정보(530), 매장위치정보 및 매장연락정보(540, 550), 및 제1사용자의 사용자식별정보(560)를 포함할 수 있다.
관련하여 제1사용자 사용자식별정보 대신 새롭게 생성된 식별정보를 쿠폰정보에 추가할 수 있으며, 따라서 예를 들어, 제1사용자의 사용자식별정보 및 매장에 매칭되는 제3사용자의 사용자식별정보(또는 매장식별정보)를 결합하여 새롭게 생성된 식별정보를 쿠폰정보에 추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생성된 쿠폰은 제1사용자의 사용자계정에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쿠폰제공시스템(100)은 쿠폰을 제공할 수 있다 (S330).
즉 쿠폰제공시스템(100)은 쿠폰을 업로드하여, 쿠폰제공시스템(100)에 액세스가능한 제2사용자로 하여금 쿠폰을 다운로드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쿠폰제공시스템(100)은, 쿠폰제공시스템과 통신하며 제2사용자가 액세스 가능한 서드파티서버로 쿠폰정보를 송신함으로써 상기 쿠폰이 서드파티서버를 통해 제공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쿠폰제공시스템(100)은 쿠폰제공시스템(100) 상에 쿠폰을 게시하여 쿠폰제공시스템(100)에서 제1사용자와 지인관계인 제2사용자가 쿠폰을 열람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쿠폰제공시스템(100)은, SNS를 제공하는 서드파티서버의 제1사용자계정으로 쿠폰정보를 송신할 수 있으며, 이에 서드파티서버는 서드파티서버의 제1사용자계정에 쿠폰을 게시하도록 함으로써 쿠폰을 제공할 수 있고, 또한 서드파티서버 상에서 제1사용자와 지인관계인 제2사용자는 서드파티서버의 제1사용자계정에 게시된 쿠폰을 열람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쿠폰제공시스템(100)은, 채팅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드파티서버로 쿠폰을 송신할 수 있으며, 이에 서드파티서버는 제1사용자가 참여하는 채팅방에서 쿠폰의 공유를 가능하게 함으로써 쿠폰을 제공할 수 있고, 상기 채팅방에 참여하는 지인관계인 제2사용자는 상기 쿠폰을 열람할 수 있다.
관련하여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쿠폰제공방법에 따른 예시도로서, 서드파티서버를 통해 쿠폰이 모습을 도시한 것이다.
도 6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사용자는 서드파티서버 상에 글(620)을 게시하면서, 쿠폰(610)을 함께 게시할 수 있다. 또한 제1사용자와 지인관계이어서 상기 글(620)을 열람할 수 있는 제2사용자는 쿠폰을 획득할 수 있는 열람인터페이스(630)를 통해 쿠폰(610)을 획득할 수 있다. 이때 쿠폰(610)은, 전체로서 표시될 수 있고, 또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쿠폰의 일부분(710)만이 표시되도록 게시되어 서드파티서버의 본래 목적(예를 들어, 쿠폰정보 중 이미지정보만을 공유)을 해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추가로 쿠폰제공시스템(100)은 쿠폰을 열람하는 제2사용자의 특성에 따라 제2사용자에게 제공할 쿠폰을 선별할 수 있으며, 따라서 예를 들어, 제2사용자가 가장 많은 빈도수로 열람했던 쿠폰의 카테고리가 '피자류'인 경우 제1사용자가 생성한 여러 쿠폰 중 피자와 관련된 쿠폰만을 선별하여 제2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고, 또는 예를 들어 제2사용자의 위치가 '부산'인 경우 제1사용자가 생성한 여러 쿠폰 중 부산에서 사용될 수 있는 쿠폰만을 선별하여 제2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공받은 쿠폰을 제2사용자는 자신의 계정에 저장할 수 있고, 또한 자신이 제어하는 사용자단말로 다운로드할 수 있다.
아울러서 쿠폰제공시스템(100)은 제2사용자에 의해 사용되었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S340).
예를 들어, 쿠폰에 대응되는 매장이 오프라인매장일 경우 상기 오프라인매장의 단말(예를 들어, POS단말)로부터 쿠폰이 수령되었음을 입력받으면(예를 들어 쿠폰식별정보를 입력받거나, 또는 쿠폰이 수령되었음을 제3사용자가 확인하는 입력을 받으면), 쿠폰제공시스템(100)은 쿠폰이 사용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쿠폰에 대응되는 매장이 온라인매장일 경우 상기 온라인매장에서 물품구매서 쿠폰정보가 입력되면 쿠폰이 사용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쿠폰이 사용되었음이 확인되면, 제1사용자의 사용자계정에 포인트를 적립할 수 있다(S350). 이때 쿠폰의 확인 시점이 상기 쿠폰의 생성시점과 소정의 범위 이상인 경우에 제1사용자의 사용자계정에 적립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쿠폰 사용 확인 요청과 함께, 상기 쿠폰을 사용하고자 하는 제2사용자의 사용자식별정보를 획득한 경우에 한해, 제1사용자의 사용자계정에 대가를 적립할 수 있다. 이때 제2사용자의 사용자식별정보는, 일련의 문자 또는 숫자로 구현될 수 있으며, 또한 1차원 바코드, 2차원 바코드 또는 3차원 바코드 등으로도 구현될 수 있으며, 또는 RFID, NFC태그로도 구현될 수 있다.
상술된 S340단계 내지 S350단계는, 쿠폰의 확인을 요청받을 때마다 반복될 수 있다. 따라서 쿠폰을 생성한 제1사용자는 쿠폰 생성에 따른 대가의 적립을 지속적으로 보장받을 수 있다.
또한 제1사용자는, 자신의 사용자계정에 적립된 대가를, 쿠폰제공시스템(100)에 등록된 매장에서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다. 이때, 대가가 어떤 매장에서 적립되든, 상기 대가의 사용이 제휴된 매장에서 제1사용자는 상기 대가를 이용하여 제휴 매장에서 원하는 물품을 구매할 수 있다.
또한 제1사용자에 의해 생성된 쿠폰을 사용했던 제2사용자는 제1사용자를 평가할 수 있다.
도 3을 통해 설명된 실시예에 따른 쿠폰제공방법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 모듈과 같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가능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기록 매체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 매체일 수 있고, 휘발성 및 비휘발성 매체,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 저장 매체 및 통신 매체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저장 매체는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기타 데이터와 같은 정보의 저장을 위한 임의의 방법 또는 기술로 구현된 휘발성 및 비휘발성,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통신 매체는 전형적으로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반송파와 같은 변조된 데이터 신호의 기타 데이터, 또는 기타 전송 메커니즘을 포함하며, 임의의 정보 전달 매체를 포함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쿠폰제공시스템
10: 사용자단말
20: 서버

Claims (18)

  1. 제1사용자와의 인터랙션이 가능한 쿠폰제공시스템에 의해 수행되는 쿠폰제공방법으로서,
    상기 제1사용자에 의해 생성된 이미지정보 및 매장식별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이미지정보 및 매장식별정보에 기초하여 쿠폰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생성된 쿠폰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이미지정보는,
    상기 제1사용자가 이미지를 생성한 위치에 관한 위치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쿠폰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위치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이미지정보와 상기 매장식별정보의 매칭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판단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이미지정보와 상기 매장식별정보가 매칭하는 경우 상기 쿠폰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쿠폰제공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정보 및 매장식별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매장식별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매장식별정보의 획득에 따른 이미지정보 생성을 위한 촬영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촬영인터페이스를 통해 이미지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쿠폰제공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정보 및 매장식별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이미지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매장식별정보의 획득을 위한 입력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입력인터페이스를 통해 매장식별정보를 입력받는 단계를 포함하는, 쿠폰제공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쿠폰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매장식별정보에 대응되며, 상기 매장식별정보, 매장명칭정보, 매장위치정보 및 매장연락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매장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이미지를 제공한 제1사용자의 사용자식별정보 및 상기 매장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쿠폰정보에 추가함으로써 쿠폰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쿠폰제공방법.
  5. 삭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쿠폰을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쿠폰제공시스템과 통신하며 제1사용자와는 상이한 제2사용자의 액세스가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서드파티서버로 상기 쿠폰을 송신함으로써, 상기 쿠폰을 상기 서드파티서버를 통해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쿠폰제공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쿠폰의 사용을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쿠폰의 사용이 확인되면 상기 쿠폰에 대응되는 대가를 상기 제1사용자의 사용자계정에 적립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쿠폰제공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쿠폰의 사용을 확인하는 단계는,
    상기 쿠폰 사용 확인 요청과 함께, 상기 쿠폰을 사용하고자 하는 제2사용자의 사용자식별정보를 획득하면, 상기 쿠폰이 사용되었음을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쿠폰제공방법.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사용자의 사용자계정에 적립하는 단계는,
    상기 쿠폰의 확인 시점이 상기 쿠폰의 생성시점과 소정의 범위 이상인 경우에 한해 상기 제1사용자의 사용자계정에 적립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쿠폰제공방법.
  10. 제1사용자와의 인터랙션이 가능한 쿠폰제공시스템으로서,
    상기 제1사용자에 의해 생성된 이미지정보 및 매장식별정보를 획득하도록 구성되는 정보획득부;
    상기 이미지정보 및 매장식별정보에 기초하여 쿠폰을 생성하도록 구성되는 쿠폰생성부; 및
    상기 생성된 쿠폰을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쿠폰제공부를 포함하고,
    상기 이미지정보는,
    상기 제1사용자가 이미지를 생성한 위치에 관한 위치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쿠폰생성부는,
    상기 위치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이미지정보와 상기 매장식별정보의 매칭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판단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이미지정보와 상기 매장식별정보가 매칭하는 경우 상기 쿠폰을 생성하도록 구성되는, 쿠폰제공시스템.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획득부는 추가적으로,
    상기 매장식별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매장식별정보의 획득에 따른 이미지정보 생성을 위한 촬영인터페이스를 제공하며, 상기 촬영인터페이스를 통해 이미지정보를 생성하도록 구성되는, 쿠폰제공시스템.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획득부는 추가적으로,
    상기 이미지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매장식별정보의 획득을 위한 입력인터페이스를 제공하며, 상기 입력인터페이스를 통해 매장식별정보를 입력받도록 구성되는, 쿠폰제공시스템.
  13.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쿠폰생성부는 추가적으로,
    상기 매장식별정보에 대응되며, 상기 매장식별정보, 매장명칭정보, 매장위치정보 및 매장연락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매장정보를 획득하여, 상기 이미지를 제공한 제1사용자의 사용자식별정보 및 상기 매장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쿠폰정보에 추가함으로써 쿠폰을 생성하도록 구성되는, 쿠폰제공시스템.
  14. 삭제
  15.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쿠폰제공시스템은, 제1사용자와는 상이한 제2사용자의 액세스가 가능한 서드파티서버와 통신가능하며,
    상기 쿠폰제공부는 추가적으로,
    상기 서드파티서버로 상기 쿠폰을 송신함으로써, 상기 쿠폰을 상기 서드파티서버를 통해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쿠폰제공시스템.
  16.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쿠폰의 사용을 확인하고, 상기 쿠폰의 사용이 확인되면 상기 쿠폰에 대응되는 대가를 상기 제1사용자의 사용자계정에 적립하도록 구성되는 계정관리부를 더 포함하는, 쿠폰제공시스템.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계정관리부는 추가적으로,
    상기 쿠폰 사용 확인 요청과 함께, 상기 쿠폰을 사용하고자 하는 제2사용자의 사용자식별정보를 획득하면, 상기 쿠폰이 사용되었음을 확인하도록 구성되는, 쿠폰제공시스템.
  18.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계정관리부는 추가적으로,
    상기 쿠폰의 확인 시점이 상기 쿠폰의 생성시점과 소정의 범위 이상인 경우에 한해 상기 제1사용자의 사용자계정에 적립하도록 구성되는, 쿠폰제공시스템.
KR1020140032107A 2013-03-19 2014-03-19 쿠폰제공방법 및 쿠폰제공시스템 KR1015830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4/777,592 US20170004522A1 (en) 2013-03-19 2014-03-19 Coupon issuing method and coupon issuing system
PCT/KR2014/002316 WO2014148821A1 (ko) 2013-03-19 2014-03-19 쿠폰제공방법 및 쿠폰제공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9230 2013-03-19
KR20130029230 2013-03-1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15269A KR20140115269A (ko) 2014-09-30
KR101583037B1 true KR101583037B1 (ko) 2016-01-06

Family

ID=517586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32107A KR101583037B1 (ko) 2013-03-19 2014-03-19 쿠폰제공방법 및 쿠폰제공시스템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170004522A1 (ko)
KR (1) KR101583037B1 (ko)
CN (1) CN105122286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60699B1 (ko) * 2014-11-13 2016-09-28 김용현 가맹 음식점 광고 시스템
CN107766432A (zh) * 2017-09-18 2018-03-06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数据交互方法、移动终端及服务器
CN110119318A (zh) * 2018-02-06 2019-08-13 阿里巴巴集团控股有限公司 一种信息提醒方法及信息显示方法
CN108898414A (zh) * 2018-05-23 2018-11-27 苏宁易购集团股份有限公司 电商平台的优惠券发放方法及装置
CN109285020A (zh) * 2018-07-03 2019-01-29 中国银联股份有限公司 一种放券数据处理方法以及放券数据处理系统
CN110135899A (zh) * 2019-05-09 2019-08-16 达疆网络科技(上海)有限公司 一种基于用户访问时段的差异化优惠券发放方法
CN110517061A (zh) * 2019-07-09 2019-11-29 威富通科技有限公司 一种优惠券的生成方法、装置及服务器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5405B1 (ko) 2007-12-03 2010-12-30 (주)드림투리얼리티 쿠폰 공유가 가능한 모바일 동적 생성 쿠폰시스템
KR101188900B1 (ko) 2012-05-11 2012-10-09 (주)버즈빌 리뷰 정보를 통한 쿠폰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5142B1 (ko) * 2002-08-17 2010-06-23 주식회사 비즈모델라인 디지털 카메라를 이용한 무선쿠폰 제공방법
US20060100925A1 (en) * 2004-11-10 2006-05-11 Tom Finaly Demand coupon generating system and method of using same
CN101576985A (zh) * 2008-05-07 2009-11-11 研华股份有限公司 利用识别影像形成互动广告的方法
US20100198700A1 (en) * 2009-02-03 2010-08-05 Satyanarayanan Ramaswamy System and method for image-based connected mobile shopping aids
US20110161158A1 (en) * 2009-12-24 2011-06-30 Entertainment Machine Operator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discount information
KR20120137561A (ko) * 2011-04-26 2012-12-24 문연주 전자쿠폰 유통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CN102790949A (zh) * 2011-05-17 2012-11-21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移动广告业务实现方法及系统
US20130006738A1 (en) * 2011-06-30 2013-01-03 Microsoft Corporation Shared electronic incentives and coupons leveraging social connections and shepherding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5405B1 (ko) 2007-12-03 2010-12-30 (주)드림투리얼리티 쿠폰 공유가 가능한 모바일 동적 생성 쿠폰시스템
KR101188900B1 (ko) 2012-05-11 2012-10-09 (주)버즈빌 리뷰 정보를 통한 쿠폰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5122286A (zh) 2015-12-02
KR20140115269A (ko) 2014-09-30
US20170004522A1 (en) 2017-0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83037B1 (ko) 쿠폰제공방법 및 쿠폰제공시스템
US11361292B2 (en) Selected place on map or from category specific list of nearby places associated payment interface for making payment
KR101876412B1 (ko) 소셜 네트워킹 시스템에서 연결관계의 활동에 기반한 소셜 딜의 제공
KR101881939B1 (ko) 판매자 중심의 전자상거래 서비스 제공 방법, 장치, 서비스 서버 및 사용자 단말기
US9747612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automated RFID based commerce rewards
US20170161806A1 (en) A social e-commerce system and server for price-adjusted item purchaser aggregation
US20190266677A1 (en) Endorsing a product purchased offline
US20120295542A1 (en) System for creating web based applications linked to rfid tags
US10540687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automated mass media commerce
JP2020030783A (ja) サーバ装置、電子商取引システム、及び電子商取引方法
KR101270649B1 (ko) 소셜마케터를 이용한 타겟 광고시스템
JP2014029643A (ja) 情報提供装置、情報提供方法、情報提供システム、およびプログラム
US20130092730A1 (en) Interactive code processing platform providing interaction between parties generating and disseminating single and multidimensional optical and digital codes
US20080091555A1 (en) User generated style content
US20170032404A1 (en) Customer Purchase Data Network System, Method, and Apparatus
US10163094B2 (en) Light-life system and application
KR101373074B1 (ko) 마일리지를 기반으로 한 유비쿼터스 전시컨벤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654612B1 (ko) 정보 처리 시스템
KR101538618B1 (ko) 소셜 네트워크와 연동하는 매장 추천 및 포인트 적립 시스템, 그 제어방법
KR102163620B1 (ko) 통합 장바구니 서비스를 이용한 상품공유 및 선물하기 제공 방법
US11430005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automated mass media commerce
WO2014148821A1 (ko) 쿠폰제공방법 및 쿠폰제공시스템
WO2016181188A1 (en) Mobile application based discount coupon management solution (quponer) business & technical specification
JP2016517594A (ja) 自動化されたrfidベースの商取引報酬のためのシステム及び方法
KR20160023979A (ko) 거래중개장치 및 거래중개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18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