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53318B1 - 이동대차 - Google Patents

이동대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53318B1
KR102653318B1 KR1020230093045A KR20230093045A KR102653318B1 KR 102653318 B1 KR102653318 B1 KR 102653318B1 KR 1020230093045 A KR1020230093045 A KR 1020230093045A KR 20230093045 A KR20230093045 A KR 20230093045A KR 102653318 B1 KR102653318 B1 KR 1026533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base
tunnel
fixed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930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영기
안남기
안철홍
이해영
박범종
Original Assignee
(재) 한국건설품질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재) 한국건설품질연구원 filed Critical (재) 한국건설품질연구원
Priority to KR10202300930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5331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533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533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DBODY DETAILS OR KINDS OF RAILWAY VEHICLES
    • B61D15/00Other railway vehicles, e.g. scaffold cars; Adaptations of vehicles for use on railwa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DBODY DETAILS OR KINDS OF RAILWAY VEHICLES
    • B61D49/00Other detail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3/00Systems using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e.g. radar systems; Analogous systems using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waves whose nature or wavelength is irrelevant or unspecified
    • G01S13/88Radar or analogous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7/00Details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s G01S13/00, G01S15/00, G01S17/00
    • G01S7/02Details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s G01S13/00, G01S15/00, G01S17/00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 G01S13/00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Machines For Laying And Maintaining Railway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터널내부의 이상유무를 점검하는 점검장치 등을 적재하여 점검장치가 터널내부를 용이하게 점검할 수 있도록 터널내부를 따라 이동하는 이동대차에 관한 것으로서, 측정부는, 몸체를 이루는 베이스 플레이트;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면에서 제1 베이스부의 이동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고, 제1 베이스부의 이동방향으로 서로 거리를 두고 이격된 한 쌍의 가이드 레일; 상기 가이드 레일을 따라 제1 베이스부의 이동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이송부; 이송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된 지지부; 상기 지지부에 고정되고, 터널천단부의 철근의 상태를 감지하는 RC RADER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이동대차{TRANSFER VEHICLE}
본 발명은 터널 콘크리트 구조물 조사를 위한 이동대차와 비파괴검사 모듈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터널내부의 이상유무를 점검하는 점검장치 등을 적재하여 점검장치가 터널내부 고소부위를 용이하게 점검할 수 있도록 터널내부를 따라 이동하는 이동대차와 비파괴검사용 모듈에 관한 것이다.
터널은 도로 터널, 철도 터널, 지하철 터널, 고속철도 터널 등으로 분류된다.
상기 터널들 중 지하철 터널의 단면은 약 높이 6~8.5 m × 폭 10~14 m의 구조물로 이뤄진다.
이러한 지하철 터널 내부의 이상유무 점검 시 터널안전점검용 점검장치의 결합을 위해 이동대차가 이용된다.
즉, 터널내부의 선로를 따라 이동하는 이동대차에 점검장치를 결합하여 터널내부의 이상유무를 점검한다.
이때, 이동대차는 각각 한 쌍의 레일로 이루어진 상행방향 레일 또는 하행방향 레일 중 어느 하나를 따라 이동하는 것이 일반적이나, 경우에 따라서는 한 쌍의 상행방향 레일 중 하행방향 쪽에 배치된 레일과 한 쌍의 하행방향 레일 중 상행방향 쪽에 배치된 레일에 각각 걸쳐 이동하기도 한다.
한편, 지하철 터널내부의 이상유무 점검은 현장 조사 시간이 짧고, 현장 조사용 장비의 무게가 있어 인력으로 운반, 조립, 해체가 매우 어려운 실정이다.
또한 리프트 최상단 작업대에 사람이 탑승하여 현장 조사를 실시할 경우에는 고소작업으로 인명피해가 발생되며, 이러한 인명피해 방지를 위해서는 원격으로 현장조사를 실시하는 장비의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상기와 같은 이유로 해당분야에서는 터널내부의 이상유무 점검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점검장치의 터널 내부 점검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이동대차와 비파괴검사 모듈의 개발을 시도하고 있으나, 현재까지는 만족할 만한 결과를 얻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터널내부의 이상유무 점검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점검장치의 터널 내부 점검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이동대차와 비파괴검사 모듈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전술한 목적 및 그 이외의 목적과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된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이동대차와 비파괴검사 모듈은, 상행선 레일 또는 하행선 레일 중 어느 한 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제1 베이스부; 상기 제1 베이스부의 상면에서 상기 제1 베이스부의 이동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1 베이스부의 이동방향으로 서로 거리를 두고 이격된 한 쌍의 가이드부; 상기 가이드부를 따라 상기 제1 베이스부의 이동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제2 베이스부; 및 상기 제2 베이스부의 상부에 고정되고, 터널천단부를 검사하는 측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측정부는, 몸체를 이루는 베이스 플레이트;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면에서 상기 제1 베이스부의 이동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1 베이스부의 이동방향으로 서로 거리를 두고 이격된 한 쌍의 가이드 레일; 상기 가이드 레일을 따라 상기 제1 베이스부의 이동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이송부; 상기 이송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된 지지부; 상기 지지부에 고정되고, 터널천단부의 철근의 상태를 감지하는 RC RADER를 포함한다.
상기 제2 베이스부는, 사각 판재로 이루어진 제2 상판; 및 상기 제2 상판의 상면에 고정되고, 상부에 상기 측정부가 고정되어 상기 측정부를 터널천단부까지 신장시키는 높이 조절부를 포함한다.
상기 이송부는, 상기 가이드 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스크류 유닛; 상기 스크류 유닛의 내부에 수용되고, 상기 지지부를 이동시키는 스크류 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스크류 유닛은, 몸체를 이루는 스크류 박스; 상기 스크류 박스의 하면에 고정되어 상기 가이드 레일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이동블록; 및
상기 스크류 박스의 상면에 상기 지지부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이동슬릿이 형성된다.
상기 지지부는, 몸체를 이루는 지지 플레이트; 상기 지지 플레이트의 하면으로부터 돌출되고, 상기 이동슬릿를 관통하여 상기 스크류 부재의 고정블록에 고정된 관통 고정돌기; 상기 지지 플레이트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RC RADER를 고정하는 홀더; 및 상기 지지 플레이트의 상면에서 상기 홀더와 겹치지 않고, 상기 RC RADER의 디스플레이부와 겹치는 영역에 고정되는 카메라를 포함한다.
상기 카메라는, 상기 RC RADER의 디스플레이부에 출력된 영상을 촬영한다.
상기 스크류 부재가 회전하면 상기 이동블록에 고정된 상기 관통 고정돌기가 상기 이동슬릿의 내측면에 접하여 상기 관통 고정돌기가 상기 이동슬릿을 따라 이동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본 발명은 터널내부의 이상유무 점검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점검장치의 터널 내부 점검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이동대차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이동대차의 정면을 나타낸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이동대차의 평면을 나타낸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이동대차의 분해된 상태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이동대차의 변형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도 5에 도시된 가이드부의 변형예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7은 도 5에 도시된 이동대차의 변형예를 나타낸 정면도.
도 8은 도 5에 도시된 이동대차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이동대차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이동대차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이동대차를 나타낸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측정부를 나타낸 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측정부를 분해한 분해사시도.
도 1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측정부의 일부를 나타낸 저면 사시도.
도 1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측정부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1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측정부의 변형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1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이동대차를 나타낸 사시도.
도 1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측정부를 나타낸 사시도.
도 19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측정부를 분해한 분해사시도.
도 20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측정유닛을 나타낸 사시도.
도 21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측정부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22a 및 도 22b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이동대차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도 23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이동대차를 나타낸 사시도.
도 24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측정부를 나타낸 사시도.
도 25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측정부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26 및 도 27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터널천단부 콘크리트 배면의 공동 유무를 확인하는 방법을 나타낸 개략도.
도 28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이동대차를 나타낸 사시도.
도 29은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측정부를 분해한 분해사시도.
도 30는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이동대차의 사용상태를 나태낸 측면도.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며, 하기 실시예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오히려, 이들 실시예는 본 개시를 더욱 충실하고 완전하게 하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을 완전하게 전달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또한, 이하의 도면에서 각 구성은 설명의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하여 과장된 것이며, 도면 상에서 동일 부호는 동일한 요소를 지칭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 "및/또는"는 해당 열거된 항목 중 어느 하나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특정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하여 사용되며, 본 발명을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단수 형태는 문맥상 다른 경우를 분명히 지적하는 것이 아니라면, 복수의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경우 "포함한다(comprise)"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한 형상들, 숫자, 단계, 동작, 부재, 요소 및/또는 이들 그룹의 존재를 특정하는 것이며, 하나 이상의 다른 형상, 숫자, 동작, 부재, 요소 및 /또는 그룹들의 존재 또는 부가를 배제하는 것이 아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마제형(馬蹄形) 터널천단부를 조사하는 본원발명의 이동대차는, 제1 베이스부(100)와, 가이드부(200)와, 제2 베이스부(300) 및 측정부(400)를 포함한다.
제1 베이스부(100)는, 상부에 각종 장비들이 적재될 수 있는 것으로서, 바람직하게는 마제형 터널 내부의 상행선 레일 또는 하행선 레일 중 어느 한 레일, 즉 도면에 도시된 Y축을 따라 이동한다.
이러한 제1 베이스부(100)는 제1 상판(110)과, 제1 롤러부(120) 및 고정돌기(130)를 포함한다.
제1 상판(110)은, 사각 판재로 이루어진 것으로서, 제1 베이스부(100)의 몸체를 이룬다.
제1 롤러부(120)는, 제1 상판(110)의 하면에 고정된 것으로서, 터널 내부의 상행선 레일 또는 하행선 레일 중 어느 한 레일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안착된다.
즉, 제1 롤러부(120)는 상부에 고정된 제1 상판(110)을 터널 내부의 상행선 레일 또는 하행선 레일 중 어느 한 레일을 따라 슬라이딩 방식으로 이동시킨다.
이러한 제1 롤러부(120)는 바람직하게는 사각 판재로 이루어진 제1 상판(110)의 하면 각 모서리 영역에 고정된다.
이로 인해, 제1 롤러부(120)는 제1 상판(110)을 터널 내부의 상행선 레일 또는 하행선 레일 중 어느 한 레일을 따라 안정적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한편, 다수개의 제1 롤러부(120) 중 어느 하나에는 엔코더(121)가 부착될 수 있다.
엔코더(121)는, 제1 롤러부(120)가 터널 내부의 상행선 레일 또는 하행선 레일 중 어느 한 레일을 따라 이동할 때, 제1 롤러부(120)의 회전수를 검출하여 제1 베이스부(100)의 이동 거리를 산출할 수 있다.
즉, 엔코더(121)는 제1 베이스부(100)의 이동거리를 산출함으로써, 터널천단부의 조사 시작 지점으로부터 조사 종료 지점까지의 거리를 용이하게 측정할 수 있다.
고정돌기(130)는, 사각 박스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으로서, 사각 판재로 이루어진 제1 상판(110)의 상면 각 모서리 영역에 고정된다.
즉, 고정돌기(130)는 제1 상판(110)의 상면에서 서로 거리를 두고 이격된 위치에 고정된다.
그리고, 고정돌기(130)에는, 한 쌍의 가이드부(200)가 고정되어 한 쌍의 가이드부(200)가 제1 상판(110)에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가이드부(200)는, 제1 베이스부(100)의 상면에서 제1 베이스부(100)의 이동방향과 직교하는 방향, 즉 도면에 도시된 X축 방향으로 연장된다.
그리고, 가이드부(200)는 한 쌍으로 이루어진 것으로서, 제1 베이스부(100)의 상면에서 제1 베이스부(100)의 이동방향으로 서로 거리를 두고 이격된다.
이러한 가이드부(200)는 이동 빔(210)과, 고정홈(230) 및 앵글(220)을 포함한다.
이동 빔(210)은, 중공(中空)의 사각 파이프로 이루어진 것으로서, 바람직하게는 이동 빔(210)의 연장된 방향, 즉 도면에 도시된 X축 방향인 제1 상판(110)의 폭과 동일한 길이 또는 짧은 길이로 이루어진다.
고정홈(230)은, 한 쌍으로 이루어진 것으로서, 사각 파이프로 이루어진 이동 빔(210)의 하면에서 일단과 일단의 반대방향인 타단에 각각 고정되어 고정돌기(130)가 결합된다.
즉, 고정홈(230)은 상부에 고정된 이동 빔(210)을 제1 베이스부(100)에 고정시킨다.
앵글(220)은, 사각 파이프로 이루어진 이동 밤의 상면에 역삼각형상으로 배치된 것으로서, 이동 빔(210)과 동일한 방향으로 연장된다.
이러한 앵글(220)에는 제2 베이스부(300)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안착된다.
제2 베이스부(300)는, 상부에 측정부(400)가 안착되는 것으로서, 가이드부(200)를 따라 제1 베이스부(100)의 이동방향과 직교하는 방향, 즉 도면에 도시된 X축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러한 제2 베이스부(300)는 제2 상판(310)과, 제2 롤러부(320)와, 아우트리거(330: OUTRIGGER) 및 높이 조절부(340)를 포함한다.
제2 상판(310)은, 사각 판재로 이루어진 것으로서, 제2 베이스부(300)의 몸체를 이룬다.
제2 롤러부(320)는, 제2 상판(310)의 하면에 고정된 것으로서, 이동 빔(210)의 상부에 고정된 앵글(220)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안착된다.
즉, 제2 롤러부(320)는 상부에 고정된 제2 상판(310)을 가이드부(200)를 따라 슬라이딩 방식으로 이동시킨다.
따라서, 제2 롤러부(320)는 제2 베이스부(300)가 터널 내부의 상행선 레일 또는 하행선 레일 중 상행선 레일과 겹치는 영역의 터널천단부를 조사할 때, 이동 빔(210)의 길이방향을 따라 미세조정할 수 있다.
상행선 레일과 겹치는 영역의 터널천단부를 더욱 넓고 정확하게 조사할 수 있다.
이러한 제2 롤러부(320)는 바람직하게는 사각 판재로 이루어진 제2 상판(310)의 하면 각 모서리 영역에 고정된다.
이로 인해, 제2 롤러부(320)는 제2 상판(310)을 가이드부(200)를 따라 안정적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아우트리거(330)는, 제2 상판(310)을 지지하는 것으로서, 제2 상판(310)의 하면에서 제2 롤러부(320)와 겹치지 않는 영역에 고정된다.
아우트리거(330)는 전체적으로 수평 프레임(331)과 수직 프레임(332)으로 이루어진다.
수평 프레임(331)은, 제2 상판(310)의 하면으로부터 바깥 방향으로 연장되고, 수직 프레임(332)은 수평 프레임(331)에서 제2 상판(310)이 배치된 방향의 반대방향 단부로부터 하방향으로 연장된다.
즉, 수직 프레임(332)의 단부는 터널 내부의 지면과 접촉된다.
수평 프레임(331)은 수직 프레임(332)의 단부가 장애물이 없는 지면에 접촉될 수 있도록 그 길이가 텔레스코픽(TELESCOPIC) 방식으로 가변되고, 수직 프레임(332)은 제2 상판(310)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그 길이가 텔레스코픽 방식으로 가변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한편, 아우트리거(330)에서 지면과 접촉되는 부분은 지면이 콘크리트 포장인 경우 접촉면적을 넓게 할 수 있도록 강판이 고정될 수 있다.
높이 조절부(340)는, 제2 상판(310)의 상면에 고정되고, 상부에 측정부(400)가 고정되어 측정부(400)를 터널천단부까지 신장시킨다.
이러한 높이 조절부(340)는 슬라이딩 프레임(341)과, 지지대(342)와, 동력부(633)를 포함한다.
슬라이딩 프레임(341)은, 다수개가 서로 면접촉된 상태로 배치된 것으로서, 다수개가 순차적으로 상부를 향해 슬라이딩 되어 연장된다.
그리고, 다수개의 슬라이딩 프레임(341) 중 제일 최외곽에 배치된 슬라이딩 프레임(341) 상부에는 측정부(400)가 고정된다.
또한, 다수개의 슬라이딩 프레임(341)은 상부 방향, 즉 도면에 도시된 Z축 방향으로 신장될 때, 측정부(400)가 고정된 슬라이딩 프레임(341)이 제일 먼저 터널천단부에 도달한다.
즉, 측정부(400)가 고정된 슬라이딩 프레임(341)은 측정부(400)를 터널천단부까지 이동시킬 수 있다.
지지대(342)는, 제2 상판(310)의 가운데 영역에 고정된 것으로서, 슬라이딩 프레임(341)을 제2 상판(310)의 상면에 고정시키고, 슬라이딩 프레임(341)을 지지한다.
동력부(633)는, 외부로부터 전원이 인가되면 슬라이딩 프레임(341)을 Z축 방향으로 신장시킨다.
이러한 동력부(633)는 와이어 및 구동모터로 이루어진다.
와이어는, 다수개의 슬라이딩 프레임(341)을 서로 연결하는 것으로서, 구체적으로 다수개의 슬라이딩 프레임(341)을 도르레 형식으로 연결한다.
구동모터는, 지지대(342)에 고정된 것으로서, 와이어와 연결되어 외부로부터 전원이 인가되면 와이어를 선택적으로 권취한다.
즉, 동력부(633)는 와이어 및 구동모터를 통해 슬라이딩 프레임(341)을 Z축 방향으로 연장시킨다.
이러한 높이 조절부(340)는 공지된 기술인 것으로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지 않기 위해 구체적은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이동대차는 터널 내부의 상행선 레일 또는 하행선 레일 중 상행선 레일과 겹치는 영역의 터널천단부를 조사한 후, 하행선 레일과 겹치는 영역의 터널천단부를 조사해야 하는 경우에는 제1 베이스부(100)와 제1 베이스부(100)의 상부에 적층된 가이드부(200), 제2 베이스부(300) 및 측정부(400)를 분해 한 후, 제1 베이스부(100)의 제1 롤러부(120)를 하행선 레일의 상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안착시키고, 상기 분해 한 가이드부(200), 제2 베이스부(300) 및 측정부(400)를 제1 베이스부(100)에 다시 조립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이러한 불편함을 해소하기 위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부(200)는 연장부재(240)와, 연장 롤러부(250)와, 조인트부재(260) 및 고정부재(2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연장부재(240)는, 다수개로 이루어진 것으로서, 중공의 사각 파이프로 이루어진 것으로서, 한 쌍의 상기 이동 빔(210)으로부터 상행선 레일 또는 하행선 레일 중 어느 한 방향, 즉 도면에 도시된 X축 방향으로 배열된다.
구체적으로 연장부재(240)는 예컨대, 제1 베이스부(100)가 터널 내부의 상행선 레일 또는 하행선 레일 중 상행선 레일에 배치된 경우, 이동 빔(210)으로부터 하행선 레일이 배치된 방향으로 배열된다.
그리고, 사각 파이프로 이루어진 연장부재(240)의 상면에는 이동 빔(210)의 상면에 역삼각형상의 앵글(220)이 배치된다.
이로 인해, 연장부재(240)의 상부에 배치된 앵글(220)은 상행선 레일에 배치된 제2 베이스부(300)가 연장부를 따라 슬라이딩 되면서 하행선 레일이 배치된 방향으로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연장 롤러부(250)는, 연장부재(240)의 하면에 고정된 것으로서, 상행선 레일 또는 하행선 레일 중 어느 한 레일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안착된다.
구체적으로 연장 롤러부(250)는 예컨대, 제1 베이스부(100)가 터널 내부의 상행선 레일 또는 하행선 레일 중, 상행선 레일에 배치된 경우, 하행선 레일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안착된다.
즉, 연장 롤러부(250)는 상부에 고정된 연장부재(240)를 터널 내부의 하행선 레일을 따라 슬라이딩 방식으로 이동시킨다.
그리고, 연장 롤러부(250)의 길이는 제1 베이스부(100) 및 가이드부(200)의 높이보다 높은 곳에 고정됨으로써, 제1 롤러부(120)의 길이보다 길다.
이로 인해, 연장 롤러부(250)는 연장부재(240)를 이동 빔(210)과 동일한 높이로 지지할 수 있다.
조인트부재(260)는, 다수개로 이루어진 것으로서, 단면형상이 중공형상의 연장부재(240) 내부와 동일한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조인트부재(260)는 이동 빔(210) 및 다수개의 연장부재(240)의 내부에 삽입되어 서로 근접한 가이드부(200)와 다수개의 연장부재(240)를 서로 연결시킨다.
구체적으로 조인트부재(260)의 일단에 이동 빔(210)의 일단이 삽입되고, 일단의 반대 방향인 타단에 연장부재(240)의 일단이 삽입된다.
또한, 서로 근접한 연장부재(240)를 서로 연결시킬 수 있다.
이로 인해, 조인트부재(260)는 다수개의 연장부재(240)가 견고하고 나란하게 배열될 수 있다.
고정부재(270)는, 조인트부재(260)와 조인트부재(260)가 삽입된 이동 빔(210) 및 연장부재(240)를 고정시키는 것으로서, 가이드부(200)와 다수개의 연장부재(240)가 고정부재(270)를 매개로 하여 배열된다.
구체적으로 고정부재(270)는, 이동 빔(210)의 일단이 삽입된 조인트부재(260)의 일단과 연장부재(240)의 일단이 삽입된 상기 조인트부재(260)의 타단을 고정시킨다.
이러한 고정부재(270)는 이동 빔(210) 및 다수개의 연장부재(240)가 연장되는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 즉 도면에 도시된 Y축 방향으로 삽입된다.
따라서, 제2 베이스부(300)의 제2 롤러부(320)가 연장부재(240)의 상부에 배치된 앵글(220)을 따라 슬라이딩될 때, 고정부재(270)에 의해 슬라이딩이 방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추가로 배열된 다수개의 연장부재(240)에 의해 상행선 레일에 있던 제2 베이스부(300)가 하행선 레일로 용이하게 슬라이딩될 수 있다.
한편, 제2 베이스부(300)가 최초에 터널 내부의 상행선 레일 또는 하행선 레일 중 하행선 레일에 위치한 경우, 연장부재(240)가 상행선 레일 방향으로 연장됨은 당연하다.
측정부(400)는, 제2 베이스부(300), 구체적으로 다수개로 이루어진 슬라이딩 프레임(341) 중 최외곽에 배치된 슬라이딩 프레임(341)의 상부에 고정되고, 터널천단부를 검사한다.
이러한 측정부(400)는, 베이스 플레이트(410)와, 조명부재(420)와, 촬영부재(430) 및 센서부재(440)를 포함한다.
베이스 플레이트(410)는, 사각 판재로 이루어진 것으로서, 측정부(400)의 몸체를 이룬다.
그리고, 베이스 플레이트(410)는 다수개의 슬라이딩 프레임(341) 중 최외곽에 배치된 슬라이딩 프레임(341)에 고정된다.
이로 인해, 베이스 플레이트(410)는 다수개의 슬라이딩 프레임(341)이 Z축 방향으로 신장될 때, 터널천단부에 근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조명부재(420)는, 베이스 플레이트(410)의 상면에 고정되어 터널천단부를 비추고, 촬영부재(430)는, 베이스 플레이트(410)의 상면에서 조명부재(420)와 겹치지 않는 영역에 고정되어 터널천단부를 촬영한다.
그리고, 센서부재(440)는, 베이스 플레이트(410)의 상면에서 조명부재(420) 및 촬영부재(430)와 겹치지 않는 영역에 고정되어 높이 조절부(340)의 슬라이딩 프레임(341)이 Z축 방향으로 신장될 때, 터널천단부를 감지한다.
그리고, 센서부재(440)는 터널천단부를 감지하면 모터부재의 상승동작을 멈추도록 한다.
즉, 센서부재(440)는 터널천단부를 감지함으로써, 높이조절부(340)의 과도한 신장을 방지하여 측정부(400)가 터널천단부에 부딪혀 파손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이동대차의 제2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이동대차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측정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1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측정부를 분해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1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측정부의 일부를 나타낸 저면 사시도이고, 도 1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측정부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1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측정부의 변형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전술한 실시예에서 설명한 구성과 동일한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도 11내지 도 1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이동대차는, 제1 베이스부(100)와, 가이드부(200)와, 제2 베이스부(300) 및 측정부(500)를 포함한다.
제1 베이스부(100)는, 상부에 각종 장비들이 적재될 수 있는 것으로서, 터널 내부의 상행선 레일 또는 하행선 레일 중 어느 한 레일을 따라 이동한다.
가이드부(200)는, 제1 베이스부(100)의 상면에서 제1 베이스부(100)의 이동방향과 직교하는 방향, 즉 도면에 도시된 X축 방향으로 연장된다.
그리고, 가이드부(200)는 한 쌍으로 이루어진 것으로서, 제1 베이스부(100)의 상면에서 제1 베이스부(100)의 이동방향으로 서로 거리를 두고 이격된다.
제2 베이스부(300)는, 상부에 측정부(500)가 안착되는 것으로서, 가이드부(200)를 따라 제1 베이스부(100)의 이동방향과 직교하는 방향, 즉 도면에 도시된 X축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러한 제2 베이스부(300)는 제2 상판(310) 및 높이 조절부(340)를 포함한다.
제2 상판(310)은, 사각 판재로 이루어진 것으로서, 제2 베이스부(300)의 몸체를 이룬다.
높이 조절부(340)는, 제2 상판(310)의 상면에 고정되고, 상부에 측정부(500)가 고정되어 측정부(500)를 터널천단부까지 신장시킨다.
측정부(500)는, 제2 베이스부(300), 구체적으로 다수개로 이루어진 슬라이딩 프레임(341) 중 최외곽에 배치된 슬라이딩 프레임(341)의 상부에 고정되고, 터널천단부를 검사한다.
이러한 측정부(500)는 베이스 플레이트(510)와, 가이드 레일(520)과, 이송부(530)와, 지지부(540) 및 RC RADER(550)를 포함한다.
한편, 제2 실시예에 따른 측정부(500)에는 전술한 제1 실시예의 측정부(400)를 구성하는 조명부재(420)와 촬영부재(430) 및 센서부재(4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 실시예의 측정부(500)를 구성하는 조명부재(420)와 촬영부재(430) 및 센서부재(440)는 제1 실시예의 측정부(400)를 구성하는 조명부재(420)와 촬영부재(430) 및 센서부재(440)와 동일한 구성으로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지 않기 위해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베이스 플레이트(510)는, 사각 판재로 이루어진 것으로서, 측정부(500)의 몸체를 이룬다.
그리고, 베이스 플레이트(510)는 다수개의 슬라이딩 프레임(341) 중 최외곽에 배치된 슬라이딩 프레임(341)에 고정된다.
이로 인해, 베이스 플레이트(510)는 다수개의 슬라이딩 프레임(341)이 도면에 도시된 Z축 방향으로 신장될 때, 터널천단부에 근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가이드 레일(520)은, 한 쌍으로 이루어진 것으로서, 베이스 플레이트(510)의 상면에서 제1 베이스부(100)의 이동방향과 직교하는 방향, 즉 X축 방향으로 연장되고, Y축 방향으로 서로 거리를 두고 이격된다.
이송부(530)는, 가이드 레일(520)을 따라 제1 베이스부(100)의 이동방향과 직교하는 방향, 즉 X축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러한 이송부(530)는 스크류 유닛(531) 및 스크류 부재(535)를 포함한다.
스크류 유닛(531)은, 가이드 레일(520)을 따라 이동하는 것으로서, 일단과 일단의 반대방향인 타단이 각각 한 쌍으로 이루어진 가이드 레일(520)에 각각 슬라이딩 가능하게 고정된다.
이러한 스크류 유닛(531)은 스크류 박스(532)와, 이동블록(533) 및 이동슬릿(534)을 포함한다.
스크류 박스(532)는, 스크류 유닛(531)의 몸체를 이루는 것으로서,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가이드 레일(520)을 따라 이동한다.
이동블록(533)은, 스크류 박스(532)의 하면에서 가이드 레일(520)의 위치와 동일한 위치에 고정된 것으로서, 가이드 레일(520)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동슬릿(534)은, 스크류 박스(532)의 상면에 지지부(540)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스크류 박스(532)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홈이다.
스크류 부재(535)는, 스크류 박스(532)의 내부에 수용된 것으로서, 외부로부터 동력이 발생되면 스크류 박스(532) 내부에서 회전한다.
그리고, 스크류 부재(535)에는 지지부(540)가 결합되어 지지부(540)를 이송시킨다.
이러한 스크류 부재(535)에는 고정블록(536)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고정블록(536)은, 스크류 부재(535)에 나사결합 방식으로 결합된 것으로서, 스크류 부재(535)의 회전에 따라 Y축 방향으로 이동한다.
따라서, 가이드 레일(520)의 X축 방향 이동과 이송부(530)의 Y축 방향 이동에 의해 측정부(500)가 터널천단부를 조사할 때, 이동 빔(210)의 길이방향을 따라 미세조정할 수 있다.
이러한 고정블록(536)에는 지지부(540)가 결합된다.
지지부(540)는, 이송부(530)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된 것으로서, RC RADER(550)가 스크류 유닛(531)으로부터 용이하게 슬라이딩될 수 있도록 RC RADER(550)를 고정한다.
이러한 지지부(540)는 지지 플레이트(541)와, 관통 고정돌기(542)와, 홀더(543) 및 카메라(544)를 포함한다.
지지 플레이트(541)는, 지지부(540)의 몸체를 이루는 것으로서, 바람직하게는 스크류 박스(532)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직사각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관통 고정돌기(542)는, 지지 플레이트(541)의 하면에서 일단 방향 영역으로부터 하부로 돌출된 것으로서, 이동슬릿(534)을 관통하여 스크류 부재(535)의 고정블록(536)에 고정된다.
즉, 관통 고정돌기(542)는 이동슬릿(534)을 관통하여 스크류 부재(535)에 결합된 고정블록(536)에 고정됨으로써, 스크류 부재(535)가 회전하면 이동슬릿(534)의 내측면에 접하여 관통 고정돌기(542)가 이동슬릿(534)을 따라 이동한다.
이로 인해, 지지 플레이트(541)는 스크류 부재(535)의 회전에 따라 이송부(530)의 진행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홀더(543)는, 지지 플레이트(541)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되어 RC RADER(550)의 하면에 형성된 손잡이(552)와 결합되어 RC RADER(550)를 지지 플레이트(541)에 고정시킨다.
카메라(544)는, 지지 플레이트(541)의 상면에서 홀더(543)와 겹치지 않고, RC RADER(550)의 디스플레이부(551)와 겹치는 영역에 고정된다.
그리고, 카메라(544)는, RC RADER(550)의 디스플레이부(551)에 출력된 영상을 촬영한다.
즉, 카메라(544)는 RC RADER(550)가 철근을 따라 철근탐사가 정상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는지를 확인 및 관찰한다.
한편, 가이드 레일(520)과 이송부(530)는 서로 슬라이딩 방식으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가이드 레일(520)과 이송부(530)는 이송부(530)와 지지부(540)의 결합구조와 같이 스크류 부재(535)를 매개로 하여 이송시킬 수 있다.
또한, 가이드 레일(520)과 이송부(530)는 벨트를 매개로 하여 이송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가이드 레일(520)과 이송부(530)의 결합구조 변형예서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 레일(520')은 벨트로 이루어질 수 있다.
RC RADER(550)는, 전자기파를 통해 터널천단부 내의 철근을 찾는 장비로써, 상기 지지부(540)에 고정되고, 터널천단부의 철근 상태를 조사한다.
이러한 RC RADER(550)는 높이조절부가 터널천단부에 위치하면 터널천단부의 철근 상태를 조사한다.
구체적으로 RC RADER(550)는 레이더를 사용하여 철근의 위치, 크기, 모양 등을 감지할 수 있으며, 이를 사용하여 철근을 정확하고 안전하게 배치한다.
그리고, RC RADER(550)는 터널천단부의 철근 조사를 조사하고, 조사결과를 디스플레이를 통해 출력한다.
이로 인해 RC RADER(550)는 철근을 조사함으로써, 노후화된 철근을 감지하여 노후화된 철근으로 인한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이동대차의 제3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이동대차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1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측정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19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측정부를 분해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20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측정유닛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1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측정부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2a 및 도 22b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이동대차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전술한 실시예에서 설명한 구성과 동일한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도 17 내지 도 22a 및 21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이동대차는, 제1 베이스부(100)와, 가이드부(200)와, 제2 베이스부(300) 및 측정부(600)를 포함한다.
제1 베이스부(100)는, 상부에 각종 장비들이 적재될 수 있는 것으로서, 터널 내부의 상행선 레일 또는 하행선 레일 중 어느 한 레일을 따라 이동한다.
가이드부(200)는, 제1 베이스부(100)의 상면에서 제1 베이스부(100)의 이동방향과 직교하는 방향, 즉 도면에 도시된 X축 방향으로 연장된다.
그리고, 가이드부(200)는 한 쌍으로 이루어진 것으로서, 제1 베이스부(100)의 상면에서 제1 베이스부(100)의 이동방향으로 서로 거리를 두고 이격된다.
제2 베이스부(300)는, 상부에 측정부(600)가 안착되는 것으로서, 가이드부(200)를 따라 제1 베이스부(100)의 이동방향과 직교하는 방향, 즉 도면에 도시된 X축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러한 제2 베이스부(300)는 제2 상판(310) 및 높이 조절부(340)를 포함한다.
제2 상판(310)은, 사각 판재로 이루어진 것으로서, 제2 베이스부(300)의 몸체를 이룬다.
높이 조절부(340)는, 제2 상판(310)의 상면에 고정되고, 상부에 측정부(600)가 고정되어 측정부(600)를 터널천단부까지 신장시킨다.
측정부(600)는, 제2 베이스부(300), 구체적으로 다수개로 이루어진 슬라이딩 프레임(341) 중 최외곽에 배치된 슬라이딩 프레임(341)의 상부에 고정되고, 터널천단부를 검사한다.
이러한 측정부(600)는 베이스 플레이트(610)와, 가이드 중공 파이프(620)와, 회전부(630)와, 그라인더(640)와, 측정유닛(650) 및 마그네틱 브레이크(660)를 포함한다.
한편, 제3 실시예에 따른 측정부(600)에는 전술한 제1 실시예의 측정부(400)를 구성하는 조명부재(420)와 촬영부재(430) 및 센서부재(4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3 실시예의 측정부(600)를 구성하는 조명부재(420)와 촬영부재(430) 및 센서부재(440)는 제1 실시예의 측정부(400)를 구성하는 조명부재(420)와 촬영부재(430) 및 센서부재(440)와 동일한 구성으로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지 않기 위해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베이스 플레이트(610)는, 사각 판재로 이루어진 것으로서, 측정부(600)의 몸체를 이룬다.
그리고, 베이스 플레이트(610)는 다수개의 슬라이딩 프레임(341) 중 최외곽에 배치된 슬라이딩 프레임(341)에 고정된다.
이로 인해, 베이스 플레이트(610)는 다수개의 슬라이딩 프레임(341)이 도면에 도시된 Z축 방향으로 신장될 때, 터널천단부에 근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가이드 중공 파이프(620)는, 베이스 플레이트(610)의 상면에서 가운데 영역에 배치된 것으로서, 환(環)형상의 파이프이다.
가이드 중공 파이프(620)는 환, 즉 고리형상으로 이루어져 회전부(630)의 회전을 가이드 한다.
이러한 가이드 중공 파이프(620)는 바람직하게는 베이스 플레이트(610)에 용접결합방식으로 결합된다.
회전부(630)는, 가이드 중공 파이프(620)의 상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어 가이드 중공 파이프(620)를 따라 회전한다.
이러한 회전부(630)는 회전 플레이트(631)와, 회전 롤러(632) 및 동력부(633)를 포함한다.
회전 플레이트(631)는, 회전 플레이트(631)의 상부에 각종 장비들이 적재될 수 있는 것으로서, 바람직하게는 원판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회전 플레이트(631)는 동력부(633)로부터 전원이 인가되면 가이드 중공 파이프(620)를 따라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한다.
회전 롤러(632)는, 다수개로 이루어진 것으로서, 회전 플레이트(631)의 하면에 고정되고, 가이드 중공 파이프(620)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안착된다.
즉, 회전 롤러(632)는 상부에 고정된 회전 플레이트(631)를 가이드 중공 파이프(620)를 따라 슬라이딩 방식으로 이동시킨다.
이러한 회전 롤러(632)부는 바람직하게는 원판 형상으로 이루어진 회전 플레이트(631)의 하면에 4개가 서로 등간격으로 이격되어 고정된다.
이로 인해, 회전 롤러(632)는 회전 플레이트(631)를 가이드 중공 파이프(620)를 따라 안정적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동력부(633)는, 일단이 제2 상판(310)의 상면에 고정되고, 일단의 반대 방향인 타단이 회전 플레이트(631)의 하면에 고정된 것으로서, 외부로부터 전원이 인가되면 회전 플레이트(631)를 제2 상판(310)으로부터 회전시킨다.
그라인더(640)는, 회전부(630)의 상면 중심부로부터 일방향으로 이격된 위치에 고정된 것으로서 터널천단부를 연마한다.
이러한 그라인더(640)의 하부에는 그라인더(640)를 터널천단부의 표면에 접촉시킬 수 있는 가동부재(641)가 결합된다.
따라서, 높이 조절부(340)가 그라인더(640)가 터널천단부의 표면까지 근접한 위치로 신장되면 가동부재(641)는 그라인더(640)가 터널천단부의 표면에 접촉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그라인더(640)는 터널천단부의 표면을 연마하여 표면처리를 수행한다.
즉, 그라인더(640)는 터널천단부의 표면을 연마함으로써, 측정유닛(650)이 터널천단부를 타격하여도 터널천단부의 표면으로부터 이물질이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그라인더(640)는 터널천단부의 표면을 연마함으로써, 터널천단부의 표면에 있는 이물질들이 제거되어 이물질들에 의해 측정 오차가 발생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측정유닛(650)은, 회전부(630)의 상면 중심부로부터 그라인더(640)가 고정된 방향의 반대 방향인 타방향으로 이격된 위치에 고정된다.
이러한 측정유닛(650)은 이송레일(651)과, 이송 플레이트(652)와, 이송블록(653) 및 슈미트 햄머(654)를 포함한다.
이송레일(651)은, 한 쌍으로 이루어진 것으로서, 베이스 플레이트(610)의 상면에서 제1 베이스부(100)의 이동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고, 제1 베이스부(100)의 이동방향으로 서로 거리를 두고 이격된다.
이송 플레이트(652)는, 사각 판재로 이루어진 것으로서, 측정유닛(650)의 몸체를 이루고, 가이드 레일(520)을 따라 이동한다.
이송블록(653)은, 이송 플레이트(652)의 하면에서 이송레일(651)의 위치와 동일한 위치에 고정된 것으로서, 이송레일(651)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된다.
따라서, 이송 플레이트(652)는 이송레일(651)과 이송블록(653)에 의해 측정유닛(650)이 터널천단부를 조사할 때, 이동 빔(210)의 길이방향을 따라 미세조정할 수 있다.
슈미트 햄머(654)는, 이송 플레이트(652)의 상면에 고정된 것으로서, 터널천단부의 표면을 타격하여 터널천단부의 콘크리트 강도를 측정한다.
한편, 회전부(630)는 그라인더(640)가 터널천단부의 표면을 연마 한 후, 측정유닛(650)이 터널천단부의 표면에서 그라인더(640)에 의해 연마된 영역에 위치하도록 회전한다.
이로 인해, 측정유닛(650)의 슈미트 햄머(654)가 터널천단부 콘크리트 강도를 측정할 때, 그라인더(640)에 의해 이물질들이 제거된 터널천단부 표면을 측정하게 됨으로써, 측정유닛(650)의 측정 오차를 현저하게 줄일 수 있다.
또한, 그라인더(640)가 터널천단부의 표면을 연마함으로써, 측정유닛(650)이 터널천단부를 타격하여도 터널천단부의 표면으로부터 이물질이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특히, 회전부(630)는 그라인더(640)를 이용한 터널천단부 표면 연마와 슈미트 햄머(654)를 이용한 터널천단부 콘크리트 강도 측정을 동시에 수행함으로써, 터널천단부 표면 연마 및 터널천단부 콘크리트 강도측정을 위한 작업시간을 효율적으로 단축시킬 수 있다.
마그네틱 브레이크(660)는, 베이스 플레이트(610)의 상면에서 회전부(630)의 둘레면 영역에 고정된 것으로서, 회전부(630)의 회전을 제어한다.
이러한 마그네틱 브레이크(660)는 전자석을 이용하여 회전부(630)의 회전을 제어한다.
이하 본 발명의 이동대차의 제4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3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이동대차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4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측정부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5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측정부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전술한 실시예에서 설명한 구성과 동일한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도 23 내지 도 2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이동대차는, 제1 베이스부(100)와, 가이드부(200)와, 제2 베이스부(300) 및 측정부(700)를 포함한다.
제1 베이스부(100)는, 상부에 각종 장비들이 적재될 수 있는 것으로서, 터널 내부의 상행선 레일 또는 하행선 레일 중 어느 한 레일을 따라 이동한다.
가이드부(200)는, 제1 베이스부(100)의 상면에서 제1 베이스부(100)의 이동방향과 직교하는 방향, 즉 도면에 도시된 X축 방향으로 연장된다.
그리고, 가이드부(200)는 한 쌍으로 이루어진 것으로서, 제1 베이스부(100)의 상면에서 제1 베이스부(100)의 이동방향으로 서로 거리를 두고 이격된다.
제2 베이스부(300)는, 상부에 측정부(700)가 안착되는 것으로서, 가이드부(200)를 따라 제1 베이스부(100)의 이동방향과 직교하는 방향, 즉 도면에 도시된 X축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러한 제2 베이스부(300)는 제2 상판(310) 및 높이 조절부(340)를 포함한다.
제2 상판(310)은, 사각 판재로 이루어진 것으로서, 제2 베이스부(300)의 몸체를 이룬다.
높이 조절부(340)는, 제2 상판(310)의 상면에 고정되고, 상부에 측정부(700)가 고정되어 측정부(700)를 터널천단부까지 신장시킨다.
측정부(700)는, 제2 베이스부(300), 구체적으로 다수개로 이루어진 슬라이딩 프레임(341) 중 최외곽에 배치된 슬라이딩 프레임(341)의 상부에 고정되고, 터널천단부를 검사한다.
이러한 측정부(700)는 베이스 플레이트(710)와, 거치대(720)와, 타격 연장부(731)와, 타격부(730)와, 가변부재(740) 및 회전 조인트부(750)를 포함한다.
한편, 제4 실시예에 따른 측정부(700)에는 전술한 제1 실시예의 측정부(400)를 구성하는 조명부재(420)와 촬영부재(430) 및 센서부재(4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4 실시예의 측정부(700)를 구성하는 조명부재(420)와 촬영부재(430) 및 센서부재(440)는 제1 실시예의 측정부(400)를 구성하는 조명부재(420)와 촬영부재(430) 및 센서부재(440)와 동일한 구성으로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지 않기 위해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베이스 플레이트(710)는, 사각 판재로 이루어진 것으로서, 측정부(700)의 몸체를 이룬다.
그리고, 베이스 플레이트(710)는 다수개의 슬라이딩 프레임(341) 중 최외곽에 배치된 슬라이딩 프레임(341)에 고정된다.
이로 인해, 베이스 플레이트(710)는 다수개의 슬라이딩 프레임(341)이 도면에 도시된 Z축 방향으로 신장될 때, 터널천단부에 근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거치대(720)는, 한 쌍으로 이루어진 것으로서, 베이스 플레이트(710)의 상면으로부터 상부 방향으로 연장된 직사각형상의 판재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한 쌍으로 이루어진 거치대(720)는 서로 거리를 두고 이격된다.
타격부(730)는, 거치대(720)의 상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것으로서, 터절천단부를 타격한다.
그리고 타격부(730)는 터널천단부 콘크리트 배면의 공동(CAVITIES)유무를 확인과, 촬영부재(430)에 의해 획득된 영상에 터널천단부의 콘크리트 표면이 자연스럽게 벗겨진 것으로 판단된 경우, 박리된 콘크리트를 타격하여 박락시킨다.
즉, 타격부(730)는 자연스럽게 벗겨진 터널천단부의 콘크리트 표면을 미리 박락시켜 터널 내부를 지나는 열차위로 떨어지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타격부(730)는, 타격 연장부(731) 및 접촉부(733)를 포함한다.
타격 연장부(731)는, 원형의 봉 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으로서, 중심부가 한 쌍의 상기 거치대(720)의 상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러한 타격 연장부(731)에는 한 쌍의 연장부를 관통한 회전핀(721)이 관통된다.
즉, 타격 연장부(731)는 회전핀(721)을 매개로 하여 한 쌍의 거치대(72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접촉부(733)는, 타격 연장부(731)의 일방향에 단부에 고정된 것으로서, 타격 연장부(731)가 거치대(720)를 중심으로 회전하면 터널천단부의 표면을 타격한다.
즉, 접촉부(733)는 터널천단부의 표면을 타격하여 터널천단부 콘크리트 배면의 공동 유무를 확인하고, 촬영부재(430)에 의해 획득된 영상에 터널천단부의 콘크리트 표면이 자연스럽게 벗겨진 것으로 판단된 경우, 박리된 콘크리트를 타격하여 박락시킨다.
가변부재(740)는, 타격부(730)를 회전시키는 것으로서, 바람직하게는 전자석 실린더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가변부재(740)는 베이스 플레이트(710)의 상면에서 타격부(730)에서 일방향의 반대 방향인 타방향에 고정되고, 상부 방향 단부가 타격부(730)에서 일방향의 반대 방향인 타방향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된다.
즉, 가변부재(740)는 접촉부(733)가 고정된 타격 연장부(731)를 회전핀(721)을 중심으로 회전시켜 접촉부(733)가 터널천단부의 표면을 타격하도록 한다.
이러한 가변부재(740)는 실리더 하우징(741)과 실린더 로드(742)를 포함한다.
실리더 하우징(741)은, 가변부재(740)의 몸체를 이루는 것으로서, 베이스 플레이트(710)의 상면에서 타격부(730)의 일방향 반대 방향인 타방향에 고정된다.
그리고, 실린더 로드(742)는, 실리더 하우징(741)으로부터 상하방향으로 가변되는 것으로서, 상부 방향 단부에 타격 연장부(731)가 회전 가능하게 고정된다.
따라서, 가변부재(740)는 외부로부터 전원이 인가되면 실린더 로드(742)가 하우징으로부터 당겨지고, 이로 인해, 타격 연장부(731)가 회전핀(721)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접촉부(733)가 터널천단부l 표면을 타격한다.
이로 인해 접촉부(733)는 가변부재(740)의 작동에 따라 상기 회전핀(721)을 중심으로 회전하면 터널천단부의 표면을 타격하여 터널천단부의 표면을 박락 시킨다.
또한, 접촉부(733)는, 가변부재(740)의 작동에 따라 회전핀(721)을 중심으로 회전하면 터널천단부의 표면을 타격하여 충격음을 발생시킨다.
이러한 측정부(700)는 접촉부(733)가 터널천단부의 표면을 타격하여 발생된 충격음을 통해 저주파 반향음을 분석하여 터널천단부 콘크리트의 배면 공동을 측정한다.
한편, 타격 연장부(731)에는 제1 회전 돌기가 형성되고, 실린더 로드(742)에는 제2 회전 돌기가 형성된다.
그리고, 제1 회전 돌기와, 제2 회전돌기(743)에는 각각 회전 조인트부(750)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회전 조인트부(750)는, 일단이 타격부(730), 즉 타격 연장부(731)의 제1 회전돌기(732)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일단의 반대방향인 타단이 가변부재(740), 즉 실린더 로드(742)의 제2 회전돌기(743)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로 인해, 회전 조인트부(750)는 타격 연장부(731)가 회전핀(721)을 중심으로 회전할 때, 타격 연장부(731) 및 실린더 로드(742)가 용이하게 회전할 수 있도록 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측정부(600)를 통한 터널천단부 표면 콘크리트 배면의 공동 유무 측정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터널천단부 표면 콘크리트 배면의 공동(CAVITIES) 유무 측정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26 및 도 27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터널천단부 콘크리트 배면의 공동 유무를 확인하는 방법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전술한 실시예에서 설명한 구성과 동일한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도 26 및 도 2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이동대차는, 검출부(800)를 통해 터널천단부 표면 콘크리트 배면의 공동 유무를 측정한다.
검출부(800)는, 바람직하게는 마이크로폰으로 이루어진 것으로서, 터널 내부의 바닥 또는 제1 베이스부(100)에 배치된다.
그리고, 검출부(800)는 측정부(700)의 타격부(730) 터널천단부의 표면을 타격하여 발생된 충격음을 검출하여 터널천단부 표면 콘크리트 배면의 공동 유무 측정한다.
구체적으로 타격부(730)는 높이 조절부(340)에 의해 터널천단부 위치까지 위치한 측정부(700)의 가변부재(740)의 작동에 따라 회전핀(721)을 중심으로 타격 연장부(731)가 회전하면 타격 연장부(731)의 단부에 고장된 접촉부(733)가 터널천단부의 표면을 타격하여 충격음을 발생시킨다.
그리고, 검출부(800)는 측정부(700)로부터 발생된 충격음을 전달받아 터널천단부의 상태를 검출한다.
즉, 검출부(800)는 측정부(700)의 타격에 의해 터널천단부로부터 발생된 충격음을 감지하여 터널천단부 콘크리트 배면의 공동 유무를 측정한다.
일반적으로 터널천단부 콘크리트 배면에 공동이 없는 영역을 타격하면, 충격음의 음이 크고, 직진성을 갖게 되어 검출부(800)에 도달하는 시간이 빠르고 진폭이 크다.
반면에, 터널천단부 콘크리트 배면에 공동이 있는 영역을 타격하면, 공동이 충격음을 흡수하기 때문에 충격의 세기가 작아져 충격음의 음이 작고, 검출부(800)로 도달하는 시간이 비교적 늦어지게 된다.
이러한 검출부(800)는 타격부(730)가 터널천단부에서 정상 영역과 공동 영역을 타격할 때, 충격음이 검출부(800)로 비교적 늦게 도달되는 영역이 공동 영역인 것으로 판단한다.
이로 인해, 검출부(800)는 충격음이 검출부(800)로 도달하는 시점 및 충격음의 높낮이를 분석하여 터널천단부 표면 콘크리트의 공동 유무를 용이하게 검출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이동대차의 제5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8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이동대차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9은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측정부를 분해한 분해사시도이며, 도 30는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이동대차의 사용상태를 나태낸 측면도이다.
전술한 실시예에서 설명한 구성과 동일한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도 28 내지 도 30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이동대차는, 제1 베이스부(100)와, 가이드부(200)와, 제2 베이스부(300) 및 측정부(900)를 포함한다.
제1 베이스부(100)는, 상부에 각종 장비들이 적재될 수 있는 것으로서, 터널 내부의 상행선 레일 또는 하행선 레일 중 어느 한 레일을 따라 이동한다.
가이드부(200)는, 제1 베이스부(100)의 상면에서 제1 베이스부(100)의 이동방향과 직교하는 방향, 즉 도면에 도시된 X축 방향으로 연장된다.
그리고, 가이드부(200)는 한 쌍으로 이루어진 것으로서, 제1 베이스부(100)의 상면에서 제1 베이스부(100)의 이동방향으로 서로 거리를 두고 이격된다.
제2 베이스부(300)는, 상부에 측정부(900)가 안착되는 것으로서, 가이드부(200)를 따라 제1 베이스부(100)의 이동방향과 직교하는 방향, 즉 도면에 도시된 X축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러한 제2 베이스부(300)는 제2 상판(310) 및 높이 조절부(340)를 포함한다.
제2 상판(310)은, 사각 판재로 이루어진 것으로서, 제2 베이스부(300)의 몸체를 이룬다.
높이 조절부(340)는, 제2 상판(310)의 상면에 고정되고, 상부에 측정부(900)가 고정되어 측정부(900)를 터널천단부까지 신장시킨다.
측정부(900)는, 제2 베이스부(300), 구체적으로 다수개로 이루어진 슬라이딩 프레임(341) 중 최외곽에 배치된 슬라이딩 프레임(341)의 상부에 고정되고, 터널천단부를 검사한다.
이러한 측정부(900)는 베이스 플레이트(910)와, 서브 플레이트(920)와, 완충부재(930)와, 결속부(940)와, 구름부(950) 및 투과장치(960)를 포함한다.
한편, 제5 실시예에 따른 측정부(900)에는 전술한 제1 실시예의 측정부(400)를 구성하는 조명부재(420)와 촬영부재(430) 및 센서부재(4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5 실시예의 측정부(900)를 구성하는 조명부재(420)와 촬영부재(430) 및 센서부재(440)는 제1 실시예의 측정부(400)를 구성하는 조명부재(420)와 촬영부재(430) 및 센서부재(440)와 동일한 구성으로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지 않기 위해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베이스 플레이트(910)는, 사각 판재로 이루어진 것으로서, 측정부(900)의 몸체를 이룬다.
그리고, 베이스 플레이트(910)는 다수개의 슬라이딩 프레임(341) 중 최외곽에 배치된 슬라이딩 프레임(341)에 고정된다.
이로 인해, 베이스 플레이트(910)는 다수개의 슬라이딩 프레임(341)이 도면에 도시된 Z축 방향으로 신장될 때, 터널천단부에 근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서브 플레이트(920)는, 사각 판재로 이루어진 것으로서, 베이스 플레이트(910)로부터 상부 방향으로 이격된 위치에 배치된다.
이러한 서브 플레이트(920)는 완충부재(930)에 의해 베이스 플레이트(910)에 탄성적으로 지지대(342)된다.
완충부재(930)는, 베이스 플레이트(910)와 서브 플레이트(920) 사이에 배치된 것으로서, 서브 플레이트(920)를 베이스 플레이트(910)로부터 탄성적으로 지지한다.
구체적으로 완충부재(930)는 높이 조절부(340)에 의해 구름부(950)가 터널천단부의 표면에 접하게 되면 서브 플레이트(920)에 의해 탄성 압축된다.
이를 위해 완충부재(930)는 내부에 가스와 오일을 사용하여 충격을 흡수하 공압쇼바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이로 인해, 완충부재(930)는 높이 조절부(340)의 과도한 연장으로 인해 측정부(900)를 이루는 구성들이 터널천단부의 표면으로부터 파손되는 것을 용이하게 방지할 수 있다.
결속부(940)는, 서브 플레이트(920)의 상면에 고정되는 것으로서, 서브 플레이트(920)의 상면에 안착된 투과장치(960)를 견고하게 고정시킨다.
이러한 결속부(940)는 테두리부(941)와, 제1 조절부(944)와, 제1 고정부(945)와, 제2 조절부(946) 및 제2 고정부(947)를 포함한다.
테두리부(941)는, 서브 플레이트(920)의 상면 중앙부에 고정된 것으로서, 평면상 사각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사각 형상으로 이루어진 테두리부(941)의 내부에는 투과장치(960)가 안착된다.
즉, 테두리부(941)의 둘레는 투과장치(960)의 둘레보다 큰 둘레로 이루어진다.
한편, 테두리부(941)의 내부에 안착되는 투과장치(960)의 둘레는 다양한 크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사각 형상의 테두리부(941) 둘레에는 제1 장공부(942) 및 제2 장공부(943)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제1 장공부(942)는, 테두리부(941)에서 서로 평행하는 한 쌍의 일면, 예컨대, 도면에 도시된 Y축 방향의 면에 형성된 것으로서, 투과장치(960)와 겹치는 영역에 볼트가 삽입된다.
제1 장공부(942)는 볼트가 제1 장공부(942)를 따라 이동시켜 투과장치(960)와 겹치는 영역에 위치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제2 장공부(943)는, 테두리부(941)에서 일면과 직교하고 서로 평행한 한 쌍의 타면, 예컨대 도면에 도시된 Z축 방향의 면에 형성된 것으로서, 투과장치(960)와 겹치는 영역에는 볼트가 삽입된다.
제2 장공부(943)는 볼트가 제2 장공부(943)를 따라 이동시켜 투과장치(960)와 겹치는 영역에 위치할 수 있도록 한다.
즉, 제1 장공부(942)와 제2 장공부(943)는 테두리부(941)의 내부에 안착되는 투과장치(960)의 크기가 달라도, 도면에 도시된 Z축 및 Y축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고 테두리부(941)의 내부에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제1 조절부(944)는, 테두리부(941)의 일방향의 내측면에 고정된 것으로서, 테두리부(941)의 한 쌍의 일면 중 어느 한 일면에 형성된 제1 장공부(942)를 관통한 볼트가 관통된다.
이러한 제1 조절부(944)의 높이는 투과장치(960)의 높이보다 낮은 높이로 이루어진다.
제1 고정부(945)는, 하단이 제1 조절부(944)의 상단에 볼트를 매개로 하여 고정되고, 상단이 일방향, 구체적으로 테두리부(941)의 내부에 안착된 투과장치(960)의 상면 방향으로 절곡되어 상기 투과장치(960) 상면에 접한다.
이로 인해, 제1 고정부(945)는 테두리부(941)의 내부에 안착된 투과장치(960)가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견고하게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제2 고정부(947)는 투과장치(960)가 도면에 도시된 Z방향으로 이탈되는 것을 견고하게 방지할 수 있다.
제2 조절부(946)는, 테두리부(941)의 일방향의 반대 방향인 타방향 내측면에 고정된 것으로서, 테두리부(941)의 한 쌍의 일면 중 나머지 어느 한 일면에 형성된 제1 장공부(942)를 관통한 볼트가 관통된다.
이러한 제2 조절부(946)의 높이는 투과장치(960)의 높이보다 낮은 높이로 이루어진다.
제2 고정부(947)는, 하단이 제2 조절부(946)의 상단에 볼트를 매개로 하여 고정되고, 상단이 상기 제1 고정부(945)가 배치된 방향, 구체적으로 테두리부(941)의 내부에 안착된 투과장치(960)의 상면 방향으로 절곡되어 상기 투과장치(960)의 상면에 접한다.
이로 인해, 제2 고정부(947)는 테두리부(941)의 내부에 안착된 투과장치(960)가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견고하게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제2 고정부(947)는 투과장치(960)가 도면에 도시된 Z방향으로 이탈되는 것을 견고하게 방지할 수 있다.
구름부(950)는, 서브 플레이트(920)의 모서리에 각각 배치되고, 터널천단부의 표면을 따라 구르는다.
즉, 구름부(950)는 바람직하게는 4개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구름부(950)는 탄성부재(951)와, 가변봉(953)과, 지지부재(954) 및 바퀴부재(955)를 포함한다.
탄성부재(951)는, 서브 플레이트(920)의 상면에서 상부 방향으로 연장된 것으로서, 압축스프링으로 이루어진다.
구체적으로 탄성부재(951)는 높이 조절부(340)에 의해 구름부(950)의 바퀴부재(955)가 터널천단부의 표면에 접하게 되면 바퀴부재(955)에 의해 탄성 압축된다.
이로 인해, 탄성부재(951)는 높이 조절부(340)의 과도한 연장으로 인해 측정부(900)를 이루는 구성들이 터널천단부의 표면으로부터 파손되는 것을 용이하게 방지할 수 있다.
즉, 탄성부재(951)는 완충부재(930)와 함께 측정부(900)를 이루는 구성들이 터널천단부의 표면으로부터 파손되는 것을 2중으로 방지할 수 있다.
받침부재(952)는, 탄성부재(951)의 상부에 고정되는 것으로서, 서브 플레이트(920)로부터 상부 방향으로 이격된 위치에 배치된다.
이러한 받침부재(952)는 탄성부재(951)에 의해 서브 플레이트(920)에 탄성적으로 지지대(342)된다.
가변봉(953)은, 받침부재(952)와 상기 서브 플레이트(920) 사이에 배치되고, 탄성부재(951)의 내부에 수용되며, 상기 탄성부재(951)가 수축될 때 좌굴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러한 가변봉(953)은 일단이 받침부재(952)의 하면에 접하는 제1 봉(953_1)과 일단의 반대 방향인 타단이 서브 플레이트(920)의 상면에 접하고, 원통형상으로 이루어진 제2 봉(953_2)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제1 봉(953_1)은 제2 봉(953_2)의 둘레보다 작은 둘레로 이루어지고, 제2 봉(953_2)의 내부에 삽입된다.
즉, 가변봉(953)은 상기 탄성부재(951)가 수축되면 제1 봉(953_1)과 제2 봉(953_2)이 함께 수축된다.
지지부재(954)는, 한 쌍으로 이루어진 것으로서, 받침부재(952)의 상면으로부터 상부 방향으로 연장된 직사각형상의 판재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한 쌍으로 이루어진 지지부재(954)는 서로 거리를 두고 이격된다.
바퀴부재(955)는, 지지부재(954)의 상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터널천단부 표면을 따라 구른다.
바퀴부재(955)는 도면에 도시된 Y축 방향을 따라 구른다.
투과장치(960)는, GPR(Ground Penetrating Radar)로 이루어진 것으로서, 터널천단부 콘크리트 배면의 공동유무를 확인한다.
한편, 제1 베이스부(100)가 레일을 따라 도면에 도시된 Y축 방향을 따라 이동한다.
이로 인해, 제1 베이스부(100)의 이동에 따라 바퀴부재(955)도 동일한 방향으로 함께 이동함으로써, 투과장치(960)가 터널천단부 콘크리트 배면의 공동유무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흔들림 방지부재(970)는, 투과장치(960)가 제1 베이스부(100) 및 구름부(950)를 따라 이동할 때, 투과장치(960)가 흠들리는 것을 방지한다.
이러한 흔들림 방지부재(970)은 와이어(971)와, 턴버클(972)로 이루어진다.
와이어(971)는, 한 쌍으로 이루어지고, 이러한 한 쌍으로 이루어진 와이어(971)가 바람직하게는 4개로 이루어진 것으로서, 일단이 베이스 플레이트(910)의 모서리에 각각 고정되고, 일단의 반대방향인 타단은 아우트리거(330)의 수평 프레임(331)에서 바깥쪽 단부에 각각 고정된다.
턴버클(972)은, 한 쌍으로 이루어진 와이어(971)를 서로 연결하는 것으로서, 회전 방향에 따라 한 쌍의 와이어(971)의 텐선을 조절할 수 있다.
즉, 턴버클(972)은 일방향으로 회전시키면 한 쌍의 와이어(972)가 서로 당겨지고, 일방향의 반대방향인 타방향으로 회전시키면 한 쌍의 와이어(972)가 서로 멀어진다.
따라서, 턴버클(972) 일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와이어(971)가 4방으로 당겨짐으로써, 투과장치(970)가 장착된 베이스 플레이트(910)가 흔들리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이로 인해 흔들림 방지부재(970)는 투과장치가 터널천단부 콘크리트 배면의 공동을 확인할 때, 흔들림 없이 터널천단부 콘크리트 배면의 공동을 정확하게 확인할 수 있다.
이처럼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을 위한 예시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제1 베이스부 110: 제1 상판
120: 제1 롤러부 121: 엔코더
130: 고정돌기 200: 가이드부
210: 이동 빔 220: 앵글
230: 고정홈 240: 연장부재
250: 연장 롤러부 260: 조인트부재
270: 고정부재 300: 제2 베이스부
310: 제2 상판 320: 제2 롤러부
330: 아우트리거 331: 수평 프레임
332: 수직 프레임 340: 높이 조절부
341: 슬라이딩 프레임 342: 지지대
400, 500, 600, 700, 900: 측정부
410, 510, 610, 710, 910: 베이스 플레이트
420: 조명부재 430: 촬영부재
440: 센서부재
520: 가이드 레일 530: 이송부
531: 스크류 유닛 532: 스크류 박스
533: 이동블록 534: 이동슬릿
535: 스크류 부재 536: 고정블록
540: 지지부 541: 지지 플레이트
542: 관통 고정돌기 543: 홀더
544: 카메라 550: RC RADER
551: 디스플레이부 552: 손잡이
620: 가이드 중공 파이프 630: 회전부
631: 회전 플레이트 632: 회전 롤러
633: 동력부 640: 그라인더
641: 가동부재 650: 측정유닛
651: 이송레일 652: 이송 플레이트
653: 이송블록 654: 슈미트 햄머
660: 마그네틱 브레이크
720: 거치대 721: 회전핀
730: 타격부 731: 타격 연장부
732: 제1 회전돌기 733: 접촉부
740: 가변부재 741: 실린더 하우징
742: 실린더 로드 743: 제2 회전돌기
750: 회전 조인트부
800: 검출부
920: 서브 플레이트 930: 완충부재
940: 결속부 941: 테두리부
942: 제1 장공부 943: 제2 장공부
944: 제1 조절부 945: 제1 고정부
946: 제2 조절부 947: 제2 고정부
950: 구름부 951: 탄성부재
952: 받침부재 953: 가변봉
953_1: 제1 봉 953_2: 제2 봉
954: 지지부재 955: 바퀴부재
960: 투과장치 970: 흔들림 방지부재
971: 와이어 972: 턴버클

Claims (7)

  1. 상행선 레일 또는 하행선 레일 중 어느 한 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제1 베이스부;
    상기 제1 베이스부의 상면에서 상기 제1 베이스부의 이동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1 베이스부의 이동방향으로 서로 거리를 두고 이격된 한 쌍의 가이드부;
    상기 가이드부를 따라 상기 제1 베이스부의 이동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제2 베이스부; 및
    상기 제2 베이스부의 상부에 고정되고, 터널천단부를 검사하는 측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측정부는,
    몸체를 이루는 베이스 플레이트;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면에서 상기 제1 베이스부의 이동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1 베이스부의 이동방향으로 서로 거리를 두고 이격된 한 쌍의 가이드 레일;
    상기 가이드 레일을 따라 상기 제1 베이스부의 이동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이송부;
    상기 이송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된 지지부;
    상기 지지부에 고정되고, 터널천단부의 철근의 상태를 감지하는 RC RADAR를 포함하고,
    상기 이송부는,
    상기 가이드 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스크류 유닛;
    상기 스크류 유닛의 내부에 수용되고, 상기 지지부를 이동시키는 스크류 부재를 포함하는 이동대차.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베이스부는,
    사각 판재로 이루어진 제2 상판; 및
    상기 제2 상판의 상면에 고정되고, 상부에 상기 측정부가 고정되어 상기 측정부를 터널천단부까지 신장시키는 높이 조절부를 포함하는 이동대차.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류 유닛은,
    몸체를 이루는 스크류 박스;
    상기 스크류 박스의 하면에 고정되어 상기 가이드 레일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이동블록; 및
    상기 스크류 박스의 상면에 상기 지지부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이동슬릿이 형성된 이동대차.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몸체를 이루는 지지 플레이트;
    상기 지지 플레이트의 하면으로부터 돌출되고, 상기 이동슬릿를 관통하여 상기 스크류 부재의 고정블록에 고정된 관통 고정돌기;
    상기 지지 플레이트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RC RADAR를 고정하는 홀더; 및
    상기 지지 플레이트의 상면에서 상기 홀더와 겹치지 않고, 상기 RC RADAR의 디스플레이부와 겹치는 영역에 고정되는 카메라를 포함하는 이동대차.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는, 상기 RC RADAR의 디스플레이부에 출력된 영상을 촬영하는 이동대차.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류 부재가 회전하면 상기 고정블록에 고정된 상기 관통 고정돌기가 상기 이동슬릿의 내측면에 접하여 상기 관통 고정돌기가 상기 이동슬릿을 따라 이동하는 이동대차.


KR1020230093045A 2023-07-18 2023-07-18 이동대차 KR1026533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93045A KR102653318B1 (ko) 2023-07-18 2023-07-18 이동대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93045A KR102653318B1 (ko) 2023-07-18 2023-07-18 이동대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53318B1 true KR102653318B1 (ko) 2024-04-02

Family

ID=907146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93045A KR102653318B1 (ko) 2023-07-18 2023-07-18 이동대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53318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217600A (ja) * 1990-01-22 1991-09-25 Kinki Nippon Tetsudo Kk トンネル内壁面の撮影方法およびその装置
KR100972655B1 (ko) * 2008-08-01 2010-07-27 주식회사 한국국토안전연구원 Gpr 탐사를 위한 보조 장치
JP2014122805A (ja) * 2012-12-20 2014-07-03 Japan Radio Co Ltd 非破壊探査装置および探査支援装置
KR102539175B1 (ko) * 2023-01-12 2023-06-01 정진이엔씨(주) 터널 탐사용 gpr 안테나 거치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217600A (ja) * 1990-01-22 1991-09-25 Kinki Nippon Tetsudo Kk トンネル内壁面の撮影方法およびその装置
KR100972655B1 (ko) * 2008-08-01 2010-07-27 주식회사 한국국토안전연구원 Gpr 탐사를 위한 보조 장치
JP2014122805A (ja) * 2012-12-20 2014-07-03 Japan Radio Co Ltd 非破壊探査装置および探査支援装置
KR102539175B1 (ko) * 2023-01-12 2023-06-01 정진이엔씨(주) 터널 탐사용 gpr 안테나 거치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167523B (zh) 一种桥梁混凝土护栏的裂缝自动探伤装置
CN106758810B (zh) 一种悬臂式桥梁维修养护平台
JP4420189B2 (ja) X線検査装置
JP2001349876A (ja) 構造物打音検査装置およびトンネル用打音検査装置
JP6355517B2 (ja) 橋梁検査ロボットシステム
KR100598654B1 (ko) 방사선을 이용하여 자동 스캐닝방식으로 대형 물체를검사하는 시스템에 사용되는 트레일러
KR102010341B1 (ko) 철도용 궤도점검차
WO2018121081A1 (zh) 移动式排爆透射成像装置
WO2018121079A1 (zh) 安检设备及方法
CN110578293A (zh) 一种混凝土箱梁巡检机器人
CN104749649A (zh) 一种用于集装箱的检查系统
KR102653318B1 (ko) 이동대차
KR102653320B1 (ko) 이동대차
JP6865519B2 (ja) 溶接部の放射線検査用システム
KR102653319B1 (ko) 이동대차
CN110412131A (zh) 一种钢轨超声波探伤扫查装置
CN215833330U (zh) 一种超声波探测组件及具有该组件的钢轨探伤仪检测框体
WO2020141001A1 (zh) 安全检查装置
KR102287738B1 (ko) 고정 클램프 조립부재를 이용한 현수식 교각 점검방법
CN212107602U (zh) 便捷式高精度x射线探伤装置
EP4206750A1 (en) Mobile inspection apparatus and mobile inspection method
CN209148649U (zh) 机翼检测探伤定点仪
CN116077280A (zh) 一种车载移动式智能螺旋ct医疗应急方舱
CN116124633A (zh) 一种混凝土检测设备
CN215406216U (zh) 一种模拟桩基础受地震冲击用试验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