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51070B1 - 항균성을 가지는 코팅장갑의 제조방법 및 이 방법에 의해 제조된 코팅장갑 - Google Patents

항균성을 가지는 코팅장갑의 제조방법 및 이 방법에 의해 제조된 코팅장갑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51070B1
KR102651070B1 KR1020210119033A KR20210119033A KR102651070B1 KR 102651070 B1 KR102651070 B1 KR 102651070B1 KR 1020210119033 A KR1020210119033 A KR 1020210119033A KR 20210119033 A KR20210119033 A KR 20210119033A KR 102651070 B1 KR102651070 B1 KR 1026510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tibacterial
gloves
glove
latex
coa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190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36320A (ko
Inventor
윤철희
박차철
정현수
Original Assignee
장미고무공업사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미고무공업사주식회사 filed Critical 장미고무공업사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1190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51070B1/ko
Publication of KR202300363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363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510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51070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9/00Gloves
    • A41D19/04Appliances for making gloves; Measuring devices for glove-making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9/00Gloves
    • A41D19/015Protective glov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5/0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 D06M15/19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with synthetic macromolecular compounds
    • D06M15/37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D06M15/643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ntaining silicon in the main chain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5/0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 D06M15/693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with natural or synthetic rubber, or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500/00Materials for garments
    • A41D2500/50Synthetic resins or rubbers
    • A41D2500/54Synthetic resins or rubbers in coated form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401/00Physical properties
    • D10B2401/13Physical properties anti-allergenic or anti-bacterial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501/00Wearing apparel
    • D10B2501/04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 D10B2501/041Glov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lo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항균성을 가지는 코팅장갑의 제조방법 및 이 방법에 의해 제조된 코팅장갑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장갑에 코팅층을 형성시키고 수세처리 한 후, 이를 열처리하여 건조하기 전 단계, 즉, 수세와 열처리 건조공정 사이에 항균제 용액 코팅공정을 진행함으로써, 이어지는 수분 건조 공정에서 항균제가 장갑의 내피 및, 완전 건조되지 않아 조직이 이완상태인 코팅층에 효과적으로 침투하여 그 부착성을 극대화시킬 뿐만 아니라, 부착된 항균제의 관능기를 섬유 및 코팅층의 분자와 공유결합시켜 내구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도록 하며, 이로 인해 종래기술에 비해 제조공정 및 제조원가를 감소시키면서도 장갑 내피 및 코팅층에 대한 항균제의 우수한 부착성과 내구성을 구현할 수 있도록 하는, 항균성을 가지는 코팅장갑의 제조방법 및 이 방법에 의해 제조된 코팅장갑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항균성을 가지는 코팅장갑의 제조방법 및 이 방법에 의해 제조된 코팅장갑{MANUFACTURING METHOD OF COATING GLOVE HAVING ANTIMICROBIAL ACTIVITY AND COATING GLOVE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제조공정 및 제조원가를 감소시키면서도 장갑 내피 및 코팅층에 대한 항균제의 우수한 부착성과 내구성을 구현할 수 있도록 하는, 항균성을 가지는 코팅장갑의 제조방법 및 이 방법에 의해 제조된 코팅장갑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코팅장갑은 나일론사, 면사 또는 폴리에스테르사 등으로 제조된 장갑의 표면에 라텍스(천연고무 라텍스, 합성고무 라텍스, 기타 수지 라텍스 등)를 코팅함으로써, 장갑에 내슬립성 등을 부여한 것이다.
상기한 코팅장갑은 그 사용의 특성상 착용 후에는 땀이나 오염물 접촉 등으로 인한 오염도가 높아지게 되고 이로 인해 코팅장갑에서 각종 세균 및 바이러스, 곰팡이 등이 번식하는 비위생적인 문제점이 나타나게 된다.
따라서, 특허문헌 1에서는 항균성을 가지는 원사를 이용하여 장갑을 제조함으로써 장갑에 항균성을 부여하고자 하였다.
하지만, 상기 특허문헌 1의 경우 본 발명의 카테고리인 "코팅장갑"에 적용할 경우 외부면 라텍스 코팅층에는 항균기능이 없음에 따라 항균 원사에 의한 항균성이 코팅층 외부로 쉽게 전이되지 않고 이로 인해 그 기능이 제대로 구현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특허문헌 2 및 3에서는 코팅 라텍스에 항균제를 첨가하고 이를 코팅하여 항균성을 부여하고자 하였다.
하지만, 상기 특허문헌 2 및 3의 경우 항균성 코팅액이 코팅되지 않은 내피 등의 섬유 부분에 항균성이 없어 그 항균 효율이 미비한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특허문헌 4에서는 장갑 또는 코팅장갑에 대한 코팅 공정 등의 모든 공정을 완료한 후 항균성을 가지는 물질로 후처리(항균성 물질 후가공 코팅)하여 항균 코팅막을 형성시키는 기술을 제안하였다.
하지만, 특허문헌 4의 경우 별도의 항균처리 공정이 부가되어 제조원가가 상승하는 문제점이 있을 뿐만 아니라, 특히 가교 또는 완전 건조로 치밀한 피막이 형성된 코팅면에 후가공으로 항균처리함에 따라 항균제의 부착력이 낮아 그 내구성이 낮아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허문헌 1 :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2150828호 "항균장갑의 제조방법" 특허문헌 2 :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323820호 "장갑 코팅용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상기 조성물로 코팅된 코팅 장갑" 특허문헌 3 :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2242591호 "항균 코팅장갑의 제조방법" 특허문헌 4 :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20-0057509호 "항균 코팅막을 갖는 외피 소재 제조방법"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장갑에 코팅층을 형성시키고 수세처리 한 후, 이를 열처리하여 건조하기 전 단계, 즉, 수세와 열처리 건조공정 사이에 항균제 용액 코팅공정을 진행함으로써, 이어지는 수분 건조 공정에서 항균제가 장갑의 내피 및, 완전 건조되지 않아 조직이 이완상태인 코팅층에 효과적으로 침투하여 그 부착성을 극대화시킬 뿐만 아니라, 부착된 항균제의 관능기를 섬유 및 코팅층의 분자와 공유결합시켜 내구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도록 하며, 이로 인해 종래기술에 비해 제조공정 및 제조원가를 감소시키면서도 장갑 내피 및 코팅층에 대한 항균제의 우수한 부착성과 내구성을 구현할 수 있도록 함을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코팅장갑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장갑을 응고액에 침적시키는 단계(S100); 상기 S100 단계를 거친 장갑 내피를 탈수하는 단계(S200); 상기 S200 단계를 거친 장갑 내피에 라텍스 응고층을 형성시키는 단계(S300); 상기 S300 단계를 거친 장갑을 세척하는 단계(S400); 상기 S400 단계를 거친 장갑에 항균제 용액을 코팅하는 단계(S500); 상기 S500 단계를 거친 장갑의 코팅층을 열처리하는 단계(S600); 및 상기 S600 단계를 거친 장갑을 가열하여 항균제를 화학결합시키는 단계(S7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균성을 가지는 코팅장갑의 제조방법 및 이 방법에 의해 제조된 코팅장갑을 과제의 해결 수단으로 한다.
본 발명은 제조공정 및 제조원가를 감소시키면서도 장갑 내피 및 코팅층에 대한 항균제의 우수한 부착성과 내구성을 구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별도의 항균제 용액 조성 시 별도의 바인더를 사용하지 않아 친환경적이며 또한 장갑의 촉감을 그대로 유지하여 고품질의 항균성 코팅장갑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항균성을 가지는 코팅장갑의 제조방법을 나타낸 공정 흐름도
상기의 효과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항균성을 가지는 코팅장갑의 제조방법 및 이 방법에 의해 제조된 코팅장갑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부분만이 설명되며 그 이외 부분의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흩트리지 않도록 생략될 것이라는 것을 유의하여야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항균성을 가지는 코팅장갑의 제조방법 및 이 방법에 의해 제조된 코팅장갑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항균성을 가지는 코팅장갑의 제조방법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응고액 침적 단계(S100), 탈수 단계(S200), 라텍스 응고층 형성 단계(S300), 세척 단계(S400), 항균제 용액 코팅 단계(S500), 코팅층 열처리 단계(S600) 및 항균제 화학결합 단계(S7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S100 단계는 장갑 내피를 응고액에 침적시키는 단계로써, 라텍스가 장갑 내부로 침투되는 것을 최소화하는 동시에 라텍스의 경화가 보다 빠르게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해 응고액에 침적시킨다.
구체적으로는 응고액에 장갑 내피를 5 ~ 30분간 침적시키는데, 응고액에 대한 침적시간이 5분 미만일 경우, 후술되어질 라텍스의 코팅 시, 라텍스가 제대로 응고되지 않을 우려가 있으며, 30분을 초과할 경우, 공정상의 부담 및 외부 응고에 의한 접착불량(박리) 등의 문제가 발생할 우려가 있다.
이때, 상기 장갑 내피는 나일론사, 면사 또는 폴리에스테르사 등의 섬유사를 이용하여 제조되는 장갑 내피를 의미하고, 응고액의 경우 특정 응고액에 한정하지 않고 이미 공지된 다양한 응고액의 사용이 가능하며, 일 예로 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칼슘염 3 ~ 25 중량부, 개미산 1 ~ 10 중량부, 습윤제(비이온/이온성또는 기타실리콘계열 등의 계면활성제) 0.0001 ~ 1 중량부 및 강산용액 1 ~ 10 중량부 등을 선택적으로 포함하는 공지된 응고액의 사용이 가능하다.
상기 S200 단계는 상기 S100 단계를 거친 장갑 내피를 탈수하는 단계로써, 탈수를 통해 응고액의 함수율을 조절하여 라텍스 코팅 품질 및 생산효율을 향상시킨다.
보다 구체적으로 장갑 내피를 응고액에 침적시킨 후, 한 쌍의 롤러 또는 판형 플레이트에 의한 압착, 또는 회전체의 원심력, 또는 진공탈수를 통해 장갑의 무게 대비 응고액의 함수율이 30 ~ 250%가 되도록 물을 탈수하여 응고액의 농도와 함수율을 일정하게 조절한다.
여기서, 상기 응고액의 함수율이 30% 미만일 경우, 응고액의 농도를 높이더라도 응고액 함유량이 낮아지므로 응고액이 농도가 낮아질때의 문제점(장갑 표면에서의 라텍스 응고속도 저하로 인하여 직물장갑 안쪽으로 라텍스 코팅물의 침투가 다량발생)을 가지며, 250%를 초과할 경우, 장갑이 충분히 머금을 양(흡수가능 양) 이상으로 응고액의 이동이 있어 균일한 농도와 양의 구배를 구현하기 힘들고, 농도를 낮추고 양이 많아지더라도 응고액의 농도가 높을때 발생하는 문제(장갑 표면의 외부에서 발생하는 응고속도가 너무 빨라 직물장갑의 틈새로의 라텍스 진입방해가 발생하여 코팅층과 직물장갑층의 접착불량)를 그대로 가질 우려가 있다.
상기 S300 단계는 상기 S200 단계를 거친 장갑 내피에 라텍스 응고층을 형성시키는 단계로써, 라텍스에 장갑 내피를 1 ~ 90초간 디핑하거나 또는, 장갑 내피에 라텍스를 분사하여 라텍스 응고층을 형성 한다. 디핑하여 코팅하는 경우에는 장갑 내피를 라텍스에 디핑하는 시간, 깊이 및 라텍스 점도에 따라 라텍스의 내피 내부로의 침투 정도가 달라지게 된다. 라텍스를 분사하는 방식에는 스프레이 방식, 라텍스를 장갑에 흘러내리는 방식 등으로 장갑에 응고층을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사용되는 라텍스는 NR(natural rubber), NBR(nitrile-butadiene rubber), 아크릴(acryl), PU(polyurethane) 라텍스 등을 사용할 수 있지만,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천연고무 라텍스, 합성고무 라텍스, 습식폴리우레탄, 아크릴에멀젼, 기타 합성수지 라텍스 등 다양한 라텍스를 적용할 수 있으며,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는다. 그리고 라텍스에 대한 디핑시간이 상기 범위를 벗어날 경우, 라텍스가 너무 얇게 코팅되거나 또는 너무 두껍게 코팅되어 불량이 발생할 우려가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이 라텍스가 디핑된 후에는 장갑표면에 흡착되어 있는 응고제와 라텍스가 반응하여 공기 중에서 라텍스의 상전이가 이루어져 일종의 겔(gel)상의 고체화가 이루어진다.
상기 S400 단계는 상기 S300 단계를 거친 장갑을 세척하는 단계로써, 장갑에 잔류한 응고액 등 불순물을 세척하며, 본 발명에서는 몰드에 삽입된 상태에서 이송되는 장갑에 물을 직접 분사하여 세척함으로써, 상기 분사력에 의해 코팅층의 미세기공 내부로 물이 스며들어 잔유물을 완전히 세척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세척이 완료된 장갑 표면에 라텍스 디핑에 의해 형성된 겔 상의 코팅 층은, 중합체 분자 사이에 존재하는 물 분자에 의해 중합체 분자가 상호 분리되어 떨어진 상태로 존재하게 되며, 또한 중합체의 분자간 인력이 느슨한 상태이다. 따라서 겔 상의 코팅 층은 중합체 분자들 간의 인력이 완전히 형성되지 않아 정상적인 고체상태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항균제를 비롯한 저분자물의 침투가 용이한 상태이다.
따라서, 이어지는 공정에서 항균제가 장갑의 내피 및, 완전 건조되지 않아 조직이 느슨한 상태인 코팅층에 효과적으로 침투시켜 그 부착성을 극대화시킬 뿐만 아니라, 부착된 항균제의 관능기를 섬유 및 코팅층의 분자와 공유결합시켜 내구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라텍스로 코팅된 장갑에 항균가공을 수행하면, 장갑의 코팅층을 형성하는 중합체의 분자간 인력이 크고 조직이 치밀한 표면의 스킨 층과 내부의 코어층이 형성되어 저분자물의 침투나 확산이 어려운 상태이다. 따라서 항균제나 기타 가공제를 상기 코팅층에 처리하더라도 코팅층의 내부로 침투 및 확산은 불가능하게 되어 가공효과가 미미할 뿐만 아니라 세탁견뢰도를 포함한 내구성이 약하게 된다.
상기 S500 단계는 상기 S400 단계를 거친 장갑에 항균제 용액을 코팅하여 흡착 및 침투시키는 단계로써, 장갑을 항균제 용액에 5 ~ 180초간 디핑하여 코팅하거나 또는, 장갑에 항균제 용액을 분사하는 방식(예를 들면, 스프레이 방식 또는 흘러내리는 방식)으로 코팅하여 항균성을 부여한다. 여기서 항균제 용액 디핑 시간이 5초 미만일 경우 항균제가 제대로 고착되지 못할 우려가 있으며, 180초를 초과할 경우 공정상의 부담이 될 수 있다.
여기서, 항균제 용액을 스프레이하는 경우에는 장갑내측으로 충분히 침투할 수 있도록 스프레이 시간을 10 ~ 180초 스프레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항균제 용액을 장갑에 흘러내리는 경우에는 장갑의 표면뿐만 아니라 내부로 침투할 수 있도록 장갑상단으로부터 노출된 몰드에서부터 흘러내려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항균제 용액은 공유결합이 가능한 실록산그룹 및/또는 이중결합을 포함하는 항균제를 함유하되, 상기 항균제는 아래 [화학식 1]과 같은 구조를 가지는 트리메톡시실릴프로필디메틸옥타데실암모늄클로라이드(trimethoxysilyl propyl dimethyl octadecyl ammonium chloride)를 사용하거나 또는 [화학식 2]와 같은 구조를 가지는 디알릴암모늄클로라이드(diallylalkylmethylammonium chloride, n=1~16)를 사용한다.
[화학식 1]
[화학식 2]
또한, 공유결합 가능한 관능기를 갖지 않는 항균제는 항균제 고착기능을 수행하는 바인더와 병용하여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며 상기 항균제로는 [화학식 3]과 같은 구조를 가지는 알킬메틸암모늄클로라이드(alkylmethylammonium chloride, n=10~16)를 사용한다.
[화학식 3]
상기 S400 단계를 거친 장갑에 항균제 용액을 흡착 및 침투 시키면 수세된 겔상의 코팅층은 중합체 분자 들이 느슨한, 즉 분자간 거리가 멀고, 인력은 낮고, 운동성이 큰 상태이며, 불순물이 존재하지 않아 항균제용액이 겔상의 코팅층 표면 및 내부로 효과적으로 흡착 및 침투하여 그 부착성이 극대화될 수 있게 된다.
만약 상기 S500 단계를 S400 단계 이전에 실시를 하게 되면, 겔상의 표면 및 내피 표면에 부착되어 있는 응고제 이온에 의해 항균제가 겔상 코팅층 및 내피에 침투 및 흡착에 저해되고, 또한 표면에 부착되어 있던 응고제 이온들이 항균제 수용액에 용출되어 항균제 분자의 기능을 약화시키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항균제 용액은 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트리메톡시실릴프로필디메틸옥타데실암모늄클로라이드 혹은 반응성 이중결합을 지닌 디알릴암모늄알킬클로라이드 등 항균제 0.1 ~ 5 중량부가 혼합된 것을 사용한다. 여기서 상기 항균제의 함량이 상기 범위를 벗어날 경우 항균제가 제대로 고착되지 못하거나 또는 항균성이 미비해질 우려가 있다.
또는 상기 항균제 용액은 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알킬메틸암모늄클로라이드 등 항균제 0.1 ~ 5 중량부 및 바인더로 라텍스 1 ~ 5 중량부가 혼합된 것을 사용한다. 여기서 상기 항균제 및 바인더의 함량이 상기 범위를 벗어날 경우 항균제가 제대로 고착되지 못하거나 또는 항균성이 미비해질 우려가 있다. 상기 바인더로 사용되는 라텍스는 고무라텍스, 합성고무 라텍스, 습식폴리우레탄, 아크릴에멀젼 등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사용한다.
상기 S600 단계는 상기 S500 단계를 거친 장갑을 열처리하여 수분을 건조시킴과 동시에 겔상의 코팅층에 존재하는 중합체의 코팅층의 마이크로브라운 운동(microbrownian motion)을 통한 분자 재배열을 유도하여 코팅층 중합체간의 분자간 인력을 증대시켜 치밀한 조직으로 전환하며, 표면의 스킨층과 내부의 코어층을 형성하는 단계로써, 상기 항균제 용액이 코팅된 장갑을 90 ~ 130℃에 10 ~ 30분간 열처리하여 수분을 제거하고 코팅층의 분자 재배열화를 통한 조직 치밀화 과정을 진행한다.
겔상의 코팅면은 고체상태이지만 코팅면에 존재하는 중합체 분자들 사이에 물분자가 존재하여, 중합체분자간 거리가 멀고 중합체 분자간 인력이 낮아 코팅면의 인장강도, 내마모성 등의 기계적 특성을 발휘할 수 없다. 겔상 코팅면의 중합체에 존재하는 수분을 제거하고, 중합체의 유리전이온도 이상의 온도에서 열처리하게 되면, 중합체 분자들의 마이크로브라운 운동에 의한 분자 재배열이 일어나 분자간 거리가 가까워지고, 분자간 인력이 증대하여 조직이 치밀하게 되고 기계적 특성을 나타낼 수 있게 된다. 상기 겔상 코팅층의 마이크로브라운 운동에 의한 조직치밀화 과정이 진행되면, 코팅면의 표면에 존재하는 중합체간의 간격이 매우 가깝고 분자간 인력이 큰 스킨층이 형성되어, 이후에는 항균제가공을 하더라도 항균제 분자가 코팅층의 스킨층을 통과하여 코팅층 내부로 침투하는 것이 어려워 항균가공 효과 및 내구성이 낮아지게 된다.
상기 S700 단계는 내피 및 코팅층의 표면과 내부에 흡착 및 침투된 항균제분자와 내피 섬유와 코팅층의 중합체와의 화학결합이 진행되는 단계로써, 상기 항균제 용액이 코팅된 장갑을 100 ~ 140℃에 10 ~ 30분간 가열하여 화학반응을 수행한다. 여기서 가열 조건이 상기 범위를 벗어날 경우 항균제 분자와 내피 및 코팅층분자와의 화학반응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하거나 화학결합이 불완전하여 항균제의 세탁견뢰도나 내구성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결합에는 이온결합, 공유결합 등의 1차 결합과 이온-극성결합, 수소결합, 극성결합 등 분자간 2차 결합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바인더가 혼용된 항균가공제의 경우 겔상표면 및 내부에 침투된 항균제를 함유한 바인드 분자가 코팅층 중합체에 2차결합을 형성하여 항균제를 코팅층에 고착하게 된다.
아울러, 상기 S700 단계를 거친 장갑의 최종 코팅층은 열린셀(open cell) 구조의 다공성 발포체로 형성된다.
이하, 본 발명을 아래 실시예에 의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1. 항균성을 가지는 코팅장갑의 제조
(실시예 1 ~ 5)
나일론으로 직조된 장갑내피를 사용하여 아래 [표 1]과 같은 공정 및 조성으로 코팅장갑을 제조하였다.
공정 및 조성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실시예5
S100
(응고액침적)
5분간 침적 10분간 침적 15분간 침적 20분간 침적 30분간 침적
S200(탈수) 함수율 30% 함수율 150% 함수율 100% 함수율 250% 함수율 150%
S300(라텍스 응고층 형성) NBR 라텍스
1초간 디핑
NBR 라텍스
20초간 디핑
NBR 라텍스
스프레이
NBR 라텍스
스프레이
NBR 라텍스
90초간 디핑
S400(세척) 물 분사 물 분사 물 분사 물 분사 물 분사
S500(항균제 용액 코팅) 항균제 용액
5초간 디핑
항균제 용액
10초간 디핑
항균제 용액
180초간 디핑
항균제 용액
스프레이
항균제 용액
10초간 디핑
S600(열처리) 105℃,15분간
열처리
95℃,20분간
열처리
100℃,20분간
열처리
110℃,10분간
열처리
110℃,20분간
열처리
S700(화학결합) 110℃,30분간
열처리
120℃,25분간
열처리
130℃,20분간
열처리
140℃10분간
열처리
120℃,20분간
열처리




100 중량부 100 중량부 100 중량부 100 중량부 100 중량부
항균제/바인더 TSAC
0.1 중량부
TSAC
2 중량부
TSAC
3 중량부
TSAC
5 중량부
AMAC
2 중량부
우레탄라텍스 3중량부
TSAC : 트리메톡시실릴프로필디메틸옥타데실암모늄클로라이드
AMAC : 알킬메틸암모늄클로라이드
(비교예 1 ~ 4)
나일론으로 직조된 장갑내피를 사용하여 아래 [표 2]와 같은 공정 및 조성으로 코팅장갑을 제조하였다.
단계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비교예 4
가공단계 S100
5분간 침적
S100
10분간 침적
S100
15분간 침적
S100
30분간 침적
가공단계 S200
(함수율 100%)
S200
함수율 250%
S200
함수율 100%
S200
함수율 250%
가공단계 S300
항균성 라텍스
1초간 디핑
S300
NBR 라텍스
20초간 디핑
S300
NBR 라텍스
스프레이
S300
NBR 라텍스
스프레이
가공단계 S400
물 분사
S400
물 분사
S500
항균제 용액
10초간 디핑
S400
물 분사
가공단계 S600
100℃,20분간
열처리
S600
110℃,20분간
열처리
S400
물 분사(세척)
S600
110℃,20분간
열처리
가공단계 S700
120℃,20분간
열처리
S700
120℃,20분간
열처리
S600
110℃,20분간
열처리
S700
120℃,20분간
열처리
가공단계 - S500
항균제 용액
스프레이
S700
120℃,20분간
열처리
S500
은 콜로이드 용액 스프레이
항균성 라텍스 : NBR 라텍스 100 중량부에 대하여, 염화벤조알킬암모늄 3 중량부 혼합
항균제 용액 : 정제수 100 중량부에 대하여, 염화벤조알킬암모늄 3 중량부 혼합
은 콜로이드 용액 : 정제수 100 중량부에 대하여, 입자크기 20㎚의 은 분말 4 중량부 함유
2. 항균성을 가지는 코팅장갑의 평가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 대한 항균제의 부착성, 내구성 및 항균성을 평가하였으며, 그 시험기준 및 결과는 아래 [표 3]과 같다.
구분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3 실시예4 실시예5 비교예1 비교예2 비교예3 비교예4
항균성
(세균
감소율)
99.9% 99.9% 99.9% 99.9% 99.9% 76.5% 99.5% 89.0% 99.9%
내구성
(세탁1회)
X X X
내구성
(세탁5회)
X X X X
*항균성
SHAKE FLASK법(FC-TM-19)-2001(시험포 5*?*에 따라 시험균액(일반대장균)을 35℃에서 24시간, 90RH에서 배양한 후 균수 측정를 측정하고 초기 균수대비 24시간 후 균수에 대한 세균감소율(%)을 측정하였다.

*내구성(항균 세탁견뢰도)
KS K 0430(세탁견뢰도 시험) A-4법에 따라 Launder-O-Meter를 사용하여 1 ~ 5회 처리 후 항균성 변화를 측정하였다.
○ : 항균성(세균감소율) 변화 없음
△ : 항균성이 일부 저하됨
X : 항균성이 현저히 저하됨
상기 [표 3]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비교예에 비하여 항균제의 부착성과 내구성이 우수함을 알 수 있으며, 이로 인해 더욱 우수하면서도 효율적인 항균성능이 구현됨을 알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항균성을 가지는 코팅장갑의 제조방법 및 이 방법에 의해 제조된 코팅장갑을 상기한 설명 및 도면에 따라 설명하였지만 이는 예를 들어 설명한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 분야의 통상적인 기술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S100 : 응고액 침적 단계
S200 : 탈수 단계
S300 :라텍스 응고층 형성 단계
S400 : 세척 단계
S500 : 항균제 용액 코팅 단계
S600 : 코팅층 열처리 단계
S700 : 항균제 화학결합 단계

Claims (10)

  1. 코팅장갑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응고액에 장갑 내피를 5 ~ 30분간 침적시키는 단계(S100);
    상기 S100 단계를 거친 장갑 내피를 장갑 내피의 무게 대비 응고액의 함수율이 30 ~ 250%가 되도록 응고액을 탈수하는 단계(S200);
    라텍스에 상기 S200 단계를 거친 장갑 내피를 1 ~ 90초간 디핑하거나 또는 장갑 내피에 라텍스를 분사하여 라텍스 응고층을 형성시키는 단계(S300);
    상기 S300 단계를 거친 장갑에 물을 분사하여 세척하는 단계(S400);
    상기 S400 단계를 거친 장갑에 항균제 용액을 코팅하는 단계(S500);
    상기 S500 단계를 거친 장갑의 코팅층을 항균제 용액이 코팅된 장갑을 90 ~ 130℃에 10 ~ 30분간 열처리하여 수분을 건조시키는 단계(S600); 및
    상기 S600 단계를 거친 장갑을 100 ~ 140℃에 10 ~ 30분간 가열하여 항균제를 화학결합시키는 단계(S7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균성을 가지는 코팅장갑의 제조방법.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S500 단계는,
    장갑을 항균제 용액에 디핑하여 코팅하거나 또는, 장갑에 항균제 용액을 분사하여 코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균성을 가지는 코팅장갑의 제조방법.
  4. 삭제
  5. 삭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S700 단계를 거친 장갑의 최종 코팅층은 열린셀(open cell) 구조의 다공성 발포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균성을 가지는 코팅장갑의 제조방법.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항균제 용액은,
    공유결합이 가능한 실록산그룹 또는 반응성 이중결합을 포함하는 항균제를 함유하는, 항균성을 가지는 코팅장갑의 제조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항균제 용액은,
    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트리메톡시실릴프로필디메틸옥타데실암모늄클로라이드 0.1 ~ 5 중량부가 혼합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균성을 가지는 코팅장갑의 제조방법.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항균제 용액은,
    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알킬메틸암모늄클로라이드 0.1 ~ 5 중량부 및 바인더로 라텍스 1 ~ 5중량부가 혼합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균성을 가지는 코팅장갑의 제조방법.
  10. 삭제
KR1020210119033A 2021-09-07 2021-09-07 항균성을 가지는 코팅장갑의 제조방법 및 이 방법에 의해 제조된 코팅장갑 KR1026510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9033A KR102651070B1 (ko) 2021-09-07 2021-09-07 항균성을 가지는 코팅장갑의 제조방법 및 이 방법에 의해 제조된 코팅장갑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9033A KR102651070B1 (ko) 2021-09-07 2021-09-07 항균성을 가지는 코팅장갑의 제조방법 및 이 방법에 의해 제조된 코팅장갑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36320A KR20230036320A (ko) 2023-03-14
KR102651070B1 true KR102651070B1 (ko) 2024-03-25

Family

ID=855030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19033A KR102651070B1 (ko) 2021-09-07 2021-09-07 항균성을 가지는 코팅장갑의 제조방법 및 이 방법에 의해 제조된 코팅장갑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51070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517624A (ja) * 2003-01-31 2006-07-27 キンバリー クラーク ワールドワイド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低減された病原体親和性および伝染性を有する手袋
JP2012520398A (ja) * 2009-03-11 2012-09-06 アンセル リミテッド 抗菌性コーティングされたパウダーフリー手袋
KR101270548B1 (ko) * 2013-01-25 2013-06-03 장미고무공업사주식회사 보온기능을 갖는 코팅장갑의 제조방법 및 이 방법에 의해 제조된 코팅장갑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3820B1 (ko) 2011-11-21 2013-10-31 주식회사 샘텍 장갑 코팅용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상기 조성물로 코팅된 코팅 장갑
KR20200057509A (ko) 2018-11-16 2020-05-26 (주)시쉴드코리아 항균 코팅막을 갖는 외피 소재 제조방법
KR102150828B1 (ko) 2020-05-27 2020-09-02 백승화 향균장갑의 제조방법
KR102242591B1 (ko) 2020-09-24 2021-04-19 이장성 항균 코팅장갑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517624A (ja) * 2003-01-31 2006-07-27 キンバリー クラーク ワールドワイド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低減された病原体親和性および伝染性を有する手袋
JP2012520398A (ja) * 2009-03-11 2012-09-06 アンセル リミテッド 抗菌性コーティングされたパウダーフリー手袋
KR101270548B1 (ko) * 2013-01-25 2013-06-03 장미고무공업사주식회사 보온기능을 갖는 코팅장갑의 제조방법 및 이 방법에 의해 제조된 코팅장갑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36320A (ko) 2023-03-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181826B1 (en) Production of coated gloves
CN109796640A (zh) 一种耐磨防滑乳胶手套及其制备方法
CN105568665B (zh) 一种拒污防毡缩羊毛面料的生产方法
CN111534650B (zh) 一种皮包用耐久型抗菌柔软皮革及其制备方法
CN103568986B (zh) 一种抗菌汽车顶棚内饰板及其制备方法
KR102651070B1 (ko) 항균성을 가지는 코팅장갑의 제조방법 및 이 방법에 의해 제조된 코팅장갑
CN113863023B (zh) 持久抗菌皮革及其制备方法
CN114481682A (zh) 一种浸胶工艺用抗菌防粘剂及其制备方法
CN114134721A (zh) 防水pu皮革及其制备方法
JP5506265B2 (ja) 繊維用処理剤、抗菌抗かび性繊維製品の製造方法及び抗菌抗かび性繊維製品
CN113622193A (zh) 一种抗菌枕头
CN110670353B (zh) 一种简单长效抗菌织物涂层的制备方法
KR20070100553A (ko) 주름이 형성된 고무코팅 장갑의 제조방법 및 그 방법에의해 제조된 주름이 형성된 고무코팅 장갑
KR100473500B1 (ko) 키토산 함유 투습방수포의 제조방법
Ngamdee et al. Fabrication of superhydrophobic natural rubber film via grafting of methyltrichlorosilane
KR20050014337A (ko) 폴리우레탄 장갑의 습식 제조방법 및 이에 따라 제조된폴리우레탄 코팅장갑
CN113832712A (zh) 一种负氧离子放出功能性超细纤维人工皮革的制备方法
AU2009230758B2 (en) Production of coated gloves
CN111705512A (zh) 一种丝绵整理方法
CN114805914B (zh) 用于稠油分离的磁性纳米纤维气凝胶
CN108774874B (zh) 一种含纳米银亲水丙纶无纺布料的制备方法
CN113147119B (zh) 一种吸湿面料
CN108660760B (zh) 一种保暖抗湿自洁净丝巾及其制备方法
EP3744175B1 (en) Composition for impregnating a substrate, in particular a watchstrap
CN116856181A (zh) 一种高强度防水透湿面料及其制备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