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48733B1 - 배수 채널을 갖는 포장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포장 시스템 - Google Patents

배수 채널을 갖는 포장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포장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48733B1
KR102648733B1 KR1020187016371A KR20187016371A KR102648733B1 KR 102648733 B1 KR102648733 B1 KR 102648733B1 KR 1020187016371 A KR1020187016371 A KR 1020187016371A KR 20187016371 A KR20187016371 A KR 20187016371A KR 102648733 B1 KR102648733 B1 KR 1026487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ckaging member
packaging
cavity
drainage
part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163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84873A (ko
Inventor
랑스도르프 헤럴드 본
윌리엄 제임스
Original Assignee
에프. 본 랑스도르프 라이센싱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프. 본 랑스도르프 라이센싱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에프. 본 랑스도르프 라이센싱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1800848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848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487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487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5/00Pavings made of prefabricated single unit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1/00Details of pavings
    • E01C11/22Gutters; Kerbs ; Surface drainage of streets, roads or like traffic areas
    • E01C11/224Surface drainage of streets
    • E01C11/225Paving specially adapted for through-the-surfacing drainage, e.g. perforated, porous; Preformed paving elements comprising, or adapted to form, passageways for carrying off drainage
    • E01C11/226Coherent pav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4/00Filters comprising loose filtering material, i.e. filtering material without any binder between the individual particles or fibres thereof
    • B01D24/02Filters comprising loose filtering material, i.e. filtering material without any binder between the individual particles or fibres thereof with the filter bed stationary during the filtration
    • B01D24/04Filters comprising loose filtering material, i.e. filtering material without any binder between the individual particles or fibres thereof with the filter bed stationary during the filtration the filtering material being clamped between pervious fixed wa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4/00Filters comprising loose filtering material, i.e. filtering material without any binder between the individual particles or fibres thereof
    • B01D24/46Regenerating the filtering material in the filter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1/00Details of pavings
    • E01C11/22Gutters; Kerbs ; Surface drainage of streets, roads or like traffic areas
    • E01C11/224Surface drainage of streets
    • E01C11/225Paving specially adapted for through-the-surfacing drainage, e.g. perforated, porous; Preformed paving elements comprising, or adapted to form, passageways for carrying off drainage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5/00Pavings made of prefabricated single units
    • E01C5/005Individual couplings or spacer elements for joining the prefabricated uni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1/00Types of filters having loose filtering material
    • B01D2101/04Sand or gravel filter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2201/00Paving elements
    • E01C2201/02Paving elements having fixed spacing featur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2201/00Paving elements
    • E01C2201/06Sets of pav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2201/00Paving elements
    • E01C2201/16Elements joined together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2201/00Paving elements
    • E01C2201/20Drainage detai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30/00Adapting or protecting infrastructure or their operation
    • Y02A30/30Adapting or protecting infrastructure or their operation in transportation, e.g. on roads, waterways or railway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Road Paving Structures (AREA)
  • Sink And Installation For Waste Water (AREA)
  • Filtration Of Liquid (AREA)
  • Tires In General (AREA)

Abstract

포장 부재는 상측 및 하측 표면 및 상기 상측 및 하측 표면 사이에서 연장되어 상기 포장 부재를 관통하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배수 채널을 포함한다. 상기 배수 채널은 상기 포장 부재의 상기 상측 표면 상에 제공되며, 실질적으로 오목부 또는 큐풀 형상의 상측 부분, 및 상기 오목부 부분으로부터 상기 포장 부재의 상기 하부 표면의 상기 하측 표면까지 관통되는 채널을 포함한다. 상기 배수 채널은, 상기 포장 부재의 내측에 제공될 경우, 완전이거나, 상기 포장 부재의 사이드 또는 외측을 따라 제공될 경우, 부분일 수 있다. 상기 부분 채널은 포장을 형성하여 상기 포장 부재가 다른 포장 부재에 인접하게 놓일 때 완전해진다. 상기 배수 채널은 상기 채널의 세척 과정을 용이하게 하기에 적합하다.

Description

배수 채널을 갖는 포장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포장 시스템
이하의 내용은 일반적으로 포장된 표면 상의 액체의 배수 및 여과를 제공하기 위한 포장 부재(paving element) 및 포장 시스템(pavement system)에 관한 것이다. 특히, 이하의 내용은 포장된 표면으로부터 소모된 여과 매질(filter media)의 제거를 용이하게 하는 포장 부재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포장된 표면을 생성하기 위해 사용되는 다양한 종류의 포장석(paving stone) 또는 포장 부재가 당 업계에 공지되어 있다. 특히, 그 내측에 배수 공동(drainage cavity) 또는 홀이 형성된 포장된 표면을 생성하기 위한 포장석이 공지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배수 공동은 그를 통하여 이러한 액체의 경로를 허용함으로써 포장된 표면 상에 액체(예를 들어, 물)가 고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제공된다.
배수 공동을 통해 배수되는 액체의 여과를 제공하기 위한 일부 시도 또한 있었다. 여과는, 예를 들어, 배수 공동을 통해 배수되는 유체가 여과 매질에 의해 여과되도록 배수 공동 내에 여과 매질을 제공함으로써 제공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오일, 미립자 및 여타 화학물과 같은, 배수 액체 내에 존재할 수 있는 다양한 오염 물질이, 여과 매질에 의해 보유된다. 배수 액체의 여과는 일반적으로 포장된 표면 아래의 지하수 및 토양에 도달하는 오염 물질의 양뿐만 아니라, 배수 액체가 배출될 수 있는 임의의 수용수(receiving water)의 양을 감소시키기 위한 목적을 위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Barth 등의 U.S 특허 번호 5,342,142는 복수 개의 오목부를 갖는 모난 포장석을 개시한다. 오목부는 포장석이 놓였을 때, 인접한 돌들의 오목부에 의해 서로 보완됨으로써 전체 오목부가 형성되도록 구성된다. 전체 오목부는 포장된 표면으로부터 아래의 레이어로 물이 배출되는 것을 허용한다. Barth는 전체 오목부가 모래, 미세한 자갈, 미세한 칩 또는 동종의 적합한 충진 물질(filling material)로 충진될 수 있음과, 예를 들면, 모터 스위퍼(motor sweeper) 같은, 시간 경과에 따라 형성될 수 있는, 임의의 "충진 물질 플러그"를 사용하여 청소될 수 있음을 개시한다. 그러나, 포장석을 놓음으로써 형성되는 전체 오목부는 스위핑 이외의 수단에 의해 오목부의 세정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구성된 것으로는 기술되지 않는다. 또한, 충진 물질은 일반적으로 오목부로부터 쉽게 제거될 수 없음이 밝혀졌는데, 이하에서 더 기술될 바와 같이, 일부 경우에 이러한 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시도가 충진 물질이 오목부 내로 더 깊게 밀어 넣어지는 결과를 유발할 수 있기 때문이다.
다른 예에서, Barth 등의 U.S. 특허번호 4,834,575는 유사하게 구성된 포장석을 서로 인접하게 놓음으로써, 인접한 포장석 사이에 생성되는 물을 배출하기 위한 자유 공간이 있는, 포장된 표면을 형성하기 위한 포장석을 기술한다. 하나의 양상에서, 이웃하는 포장석이 서로 인접하게 놓여지면, 그 사이에 자유 공간을 생성하기 위해 각 석(stone)의 대응하는 돌출부가 마주할 수 있도록, 포장석은 하측을 향해 경사진 모따기된 상측 표면을 갖는 돌출부를 포함하는 것으로 기술된다. 자유 공간이 미세한 자갈(fine grained gravel)과 같은 투수성(water permeable) 충진 물질로 충진될 수 있는 것으로 기술되었으나, 포장석은 일단 충진 물질이 오염되거나 그렇지 않더라도 오염 물질을 축적하면, 이러한 충진 물질이 용이하게 제거되도록 구체적으로 구성되지 않는다.
Welling, Jr의 U.S. 특허 번호 4,997,308은 네 개의 각진 모퉁이(corner) 및 중앙부 홀을 포함하는 포장석을 기술한다. 포장석의 상측 표면의 에지는 모따기된 것으로 기술된다. 중앙부 홀은 다른 목적 중에서 특히 포장석의 취급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목적으로 제공되는 것으로 기술된다. 그러나, 중앙부 홀은 여과 매질로서 작용하는 임의의 물질로 충진되도록 구성되는 것으로 기술되지 않는다.
배수 공동 및/또는 여과 매질을 포함하는 포장 시스템에 있어서, 침투 용량, 즉 시스템에 의해 포획되고 처리될 수 있는 물의 부피를 유지하는 문제는 도전되어 왔다. 침투성 포장 설치를 계획, 설계, 전설 및/또는 관리하던 간에, 표면 침투 용량을 제공하고 관리하는 것은 근본적으로 중요하다. 그러나, 연구는 중금속, 영양 물질(nutrients), 침전물(sediment) 및 유기 물질(organic matter) 같은 유기물 및 화학물 입자에 의한 여과 매질의 막힘으로 인한 포장 시스템의 노후화와 같은, 침투 용량의 감소를 일관되게 보여준다. 또한, 연구는 이와 같은 시스템에 종래의 거리 세척기를 사용하면 침투 용량의 제한된 복원을 초래함을 보여준다. 만약 포장 시스템의 침투 용량이 세척 방법에 의해 실질적으로 복원될 수 없다면, 시스템이 더 이상 효과적으로 물을 포획하고 처리할 수 없을 때까지 노후화에 따른 침투 용량의 감소가 불가피하다.
따라서, 당 업계에 공지된 결함 중 적어도 하나를 해결하는 포장 부재 및 시스템에 대한 필요성이 남아 있다.
일 양상에서, 효율적인 방법으로 세척되기에 적합한 복수 개의 배수 채널을 포함하는 포장 부재가 제공된다.
일 양상에서, 상측 표면, 하측 표면 및 측벽을 포함하는 포장 부재가 제공되고, 상기 포장 부재는 상측 및 하측 표면 사이에서 부재를 관통하여 연장되는 복수 개의 배수 채널을 더 포함하며, 각 배수 채널은 포장 부재의 상측 표면 상에 제공되는 제1 개구부를 포함하고, 또한 일부 양상에서 포장 부재의 하측 표면 상에 제공되는 제2 개구부를 포함하며, 제1 개구부는 포장 부재의 상측 표면 상에 형성된 오목부(concave) 또는 정점-다운(apex-down) 형태의 삼각형 부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정점-다운 삼각형 형상은 "오목부"(concave)로서 지칭될 것이다.
일 양상에서, 포장 부재의 배수 채널은 포장 부재의 외곽(perimeter) 및/또는 그 내부에 제공된다. 외곽에 제공된 경우, 배수 채널은 포장 부재의 측벽 내로 형성된 부분 배수 채널이고, 전체 채널은 부분 채널을 포함하는 둘 또는 그 이상의 포장 부재가 포장을 형성하기 위해 서로 인접하도록 위치되었을 때 형성된다.
다른 양상에서, 본 명세서에서 기술된 바와 같은 복수 개의 포장석을 포함하는 포장 시스템이 제공된다. 이러한 포장 부재로 형성된 포장은 상측 표면 상에 오목부 개구부를 각각 포함하는, 복수 개의 배수 채널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양상에서, 각 포장 부재는 그 외곽 상에 제공된, 즉, 포장 부재의 측벽에 형성된 부분 배수 채널을 가지며, 이에 따라, 포장 부재가 표면 상에 놓이면, 인접한 부분 배수 채널은 완전한 배수 채널을 형성하기 위해 결합된다.
본 발명의 특징은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에 의해 보다 명확해질 것이다:
도 1은 일 양상에 따른 포장 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포장 부재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포장 부재의 단부 단면도(end elevation view)이다.
도 4는 일 양상에 따른 배수 공동이 형성된 두 개의 포장 부재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5a는 일 양상에 따른 배수 공동으로부터 여과 매질이 제거되는 과정을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도 5b는 경사진 상부 에지(beveled top edge)를 포함하는 포장석에 의해 형성된 배수 공동에 도 5a에 따른 과정이 적용되는 모습을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도 6은 배수 공동으로부터 여과 매질이 제거되는 다른 과정을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도 7은 다른 양상에 따른 포장 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의 포장 부재의 평면도이다.
도 9a는 또다른 양상에 따른 포장 부재의 단부 단면도이다.
도 9b는 도 9a의 포장 부재의 평면도이다.
도 10은 도 9a의 포장 부재에 의해 형성된 배수 공동으로부터 여과 매질이 제거되는 과정을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도 11은 일 양상에 따른 비대칭 배수 공동으로부터 여과 매질이 제거되는 과정을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도 12는 배수 공동 내측에 위치된 삽입체를 도시하는 단부 단면도이다.
도 13은 도 12의 배수 공동 내측에 위치된 삽입체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14는 또다른 양상에 따른 포장 부재의 평면도이다.
도 15는 도 14의 포장 부재가 배수 공동을 형성하기 위해 대응하는 포장 부재에 인접하게 위치되는 모습을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16은 도 15의 배수 공동의 내측에 위치되는 삽입부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17은 또다른 양상에 따른 실질적으로 직사각형인 포장 부재의 평면도이다.
도 18은 또다른 양상에 따른 실질적으로 정사각형인 포장 부재의 평면도이다.
도 19는 또다른 양상에 따른 포장 부재의 부분을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20은 도 19의 포장 부재의 부분의 단부 단면도이다.
도 21은 또다른 양상에 따른 포장 부재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22는 다른 양상에 따른 포장 부재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23a는 또다른 양상에 따른 포장 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23b는 도 23a의 포장 부재의 단부 단면도이다.
도 24는 또다른 양상에 따른 포장 부재의 단부 단면도이다.
도 25는 또다른 양상에 따른 포장 부재의 단부 단면도이다.
도 26a는 또다른 양상에 따른 포장 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26b는 도 26a의 포장 부재의 단부 단면도이다.
도 27은 또다른 양상에 따른 포장 부재의 단부 단면도이다.
도 28a는 또다른 양상에 따른 포장 부재의 평면도이다.
도 28b는 도 28a의 포장 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29는 다른 양상에 따른 포장 부재의 평면도이다.
도 30은 도 29에 도시된 포장 부재의 측면 사시도이다.
도 31은 다른 양상에 따른 포장 부재의 평면도이다.
도 32는 도 31에 도시된 포장 부재의 측면 사시도이다.
도 33은 다른 양상에 따른 포장 부재의 평면도이다.
도 34는 도 33에 도시된 포장 부재의 측면 사시도이다.
도 35는 다른 양상에 따른 포장 부재의 평면도이다.
도 36은 도 35에 도시된 포장 부재의 측면 사시도이다.
도 37은 도 29 및 도 31에 도시된 포장 부재의 배치의 평면도이다.
도 38은 포장 부재의 다른 양상의 정면도이다.
도 39는 도 38의 포장 부재의 평면도이다.
도 40은 포장 부재의 다른 양상의 평면도이다.
도 41은 포장 부재의 다른 양상의 측면도이다.
도 42는 도 41의 포장 부재의 정면도이다.
도 43은 도 41의 포장 부재의 평면도이다.
도 44는 포장 부재의 다른 양상의 평면도이다.
도 45는 포장 부재의 다른 양상의 정면 사시도이다.
도 46은 도 45의 포장 부재의 평면도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실질적인 오목부"(substantially concave) 또는 "일반적인 오목부"(generally concave)라는 용어는 일반적으로 오목한 부분(concavity) 내의 낮은 지점으로부터 팽창되는 굽은 또는 곧은 평면에 의해 공동의 부분이 형성되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될 것이다. 이하 더 기술될 바와 같이, "오목부"(concave) 또는 "오목한 부분"(concave portion)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큐풀"(cupule)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될 것이다.
"부분 공동"(partial cavity)라는 용어는 협력적으로 배수 공동을 형성하기 위해 대응하는 부분 공동에 인접하게 위치되기에 적합한 공동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될 것이다. 예를 들어, 대응하는 부분 공동은 부분 공동의 거울 역상 프로파일(mirror profile)을 가질 수 있다. 반면, "전체 공동"(full cavity)이라는 용어는 완전한 배수 채널을 독립적으로 형성하기에 적합한 공동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될 것이다.
"포함한다", "포함한", "포함된" 또는 "포함하는"이라는 용어가 본 명세서에서 사용될 수 있다. 본 명세서(발명의 설명 및/또는 청구항을 포함한다.)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이 용어들은 명시된 특징, 정수, 단계 또는 구성 요소의 존재를 명시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지만, 관련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특징, 정수, 단계, 구성요소 또는 이들의 그룹의 존재를 방해하는 것은 아니다.
"포장 부재"(paving element)라는 용어는 포장을 형성하기 위해 다른 포장 부재와 결합되어 사용될 수 있는, 포장석 또는 포장 블록 등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될 것이다. 이것은 주차장, 차도, 도로, 인도 또는 당 업계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알려진 임의의 다른 표면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포장 부재"(paving element) 및 "포장석"(paving stone)은 상호 교환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상측"(upper) 및 "하측"(lower)이라는 용어는 포장을 형성하기 위해 표면 상에 놓여질 때 포장 부재의 방향과 관련하여 사용된다. 따라서, 포장된 표면을 형성하기 위해 사용될 때, 포장 부재의 하측 표면은 지면 또는 기타 지지 표면(당 업계에서 알려진 바와 같이, 보통은 입상 물질(granular material)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레이어) 상에 놓일 수 있다. 상측 표면은 지면으로부터 멀어질 것(face away)이다.
일 양상에서, 포장 부재가 제공된다. 포장 부재는 일반적으로 상측 표면과 하측 표면과 다수 개의 전체 및/또는 부분 배수 채널을 포함한다. 전체 또는 부분 배수 채널은 일반적인 오목부, 또는 큐풀 형상의 상측 부분 및, 일 양상에서, 큐풀로부터 포장 부재를 관통하여 연장되는 하측 부분, 또는 채널 또는 도관 및 포장 부재를 관통하는 유체의 경로를 허용하기 위한 포장 부재의 하측 표면 내의 개구부를 포함한다.
도 1은 상측 표면(113) 및 하측 표면(115)을 포함하는 일 양상에 따른 포장 블록(100)을 도시한다. 포장 블록(100)은 또한 그 안에 부분 공동(130)을 포함하는 것으로 도시된다. 부분 공동(130)은 상측 표면(113) 상에 형성된 상측 오리피스 또는 개구부(141) 및 하측 표면(115) 상에 형성된 하측 오리피스 또는 개구부(143) 사이에서 연장되는 부분 공동으로 도시된다. 부분 공동(130)은 상측 표면(113)에 인접하게 위치된 상측, 일반적인 오목부 또는 큐풀 부분(132) 및 일반적으로 큐풀(132)의 베이스로부터 연장되는 하측 부분, 또는 도관 또는 채널(134)을 포함하여 하측 표면(115)에 인접하게 위치되는 하측 오리피스 또는 개구부(143)을 관통하여 연장되는 채널을 형성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측 부분 또는 큐풀(132)은 굽은 표면(100)에 의해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적인 오목부 형상을 갖는다. 본 명세서에서 추가로 논의될 바와 같이, 큐풀(132) 또는 도관(134)의 형상은 첨부된 도면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될 것이다. 도면에 도시된 형상은 오로지 대상 포장 부재의 특징의 일반적인 특성을 예시하기 위한 것이다.
도 1에 도시된 예시에서, 상부 오리피스(141) 및 하부 오리피스(143)는 모두 반원 형상이다. 이것은 도 2 및 3에 추가적으로 도시되어 있고, 각각 포장 부재(100)의 평면도 및 단부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4는 일 양상에 따른 배수 공동(160)을 형성하기 위해 두 개의 동일한 포장 부재(100, 100')가 다른 하나에 인접하게 놓인 것을 도시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포장 부재(100)가 제2 포장 부재(100')에 인접하게 놓임으로써, 제1 포장 부재(100)의 부분 공동(130) 및 제2 포장 부재(100')의 대응하는 부분 공동(130')이 협력적으로 배수 공동(160)을 형성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 개의 반원 부분 공동(130, 130')을 함께 결합시킴으로써 배수 공동(160)의 상부 및 하부 오리피스가 실질적으로 원형 형상임이 이해될 것이다. 더욱이, 각 부분 공동(130, 130')이 채널에 의해 규정되는 상측 오목부 부분 및 하측 오목부 부분을 포함함에 따라, 배수 공동(160)은 "보울-형상"(bowl-shaped) 또는 "컵-형상"(cup-shaped)의 상측 부분(또한, "큐풀"(cupule) 또는 "오목형"(concavity)으로 지칭될 수 있음) 및 관 형상의 하측 부분(또한, "도관"(conduit)으로 지칭될 수 있음)을 포함할 수 있음이 이해될 것이다. 상술한 방법으로 복수 개의 포장 부재를 놓음으로써, 복수 개의 배수 공동을 가지는 포장 평면이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양상에서, 포장 시스템이 제공된다. 포장 시스템은, 본 명세서에서 기술된 바와 같은, 서로 인접하게 위치되는 복수 개의 포장 부재를 포함한다. 각 포장 부재는 상측 표면과 하측 표면, 및 포장 부재에 형성되는 전체 또는 부분 공동을 포함한다. 전체 또는 부분 공동은 상측 큐풀 및 포장 부재를 관통하는 액체의 경로를 허용하기 위해 하측 표면을 향해 연장되는 하측 채널을 더 포함한다. 이러한 시스템에서, 복수 개의 포장 부재는 전체 또는 부분 공동에 의해 형성되는 복수 개의 배수 공동을 갖는 포장된 표면을 제공하기 위해 서로 인접하게 위치된다.
배수 공동은 배수 공동을 통과하여 배수되는 액체(예를 들어, 물)를 여과하기 위한 여과 매질로 충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여과 매질은 자갈, 모래 및 처리되거나 처리되지 않을 수 있는 다양한 응집체(aggregate)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여과 매질의 존재는 일반적으로 미립자를 포함하는, 오물 및 다양한 오염 물질을 감소시키며, 이 오물 및 오염 물질은 여과 매질에 의해 보유되는 잔류물을 생성하기 위해 여과되기 때문에, 토양 또는 포장된 표면 아래의 다른 레이어에 도달한다. 여과 과정의 결과로서, 여과된 액체(즉, 여과액)은 원 액체보다 "더 깨끗"(cleaner)하며 따라서 토양 또는 포장된 표면 아래의 땅에 배출되거나, 수집 장치 등에 배수될 수 있다.
시간이 지남에 따라, 배수 공동 내에서 배치된(disposed) 여과 매질은 소모되거나 보유물(retentate)(예를 들어, 오물 및 오염 물질)의 축적으로 인해 덮이게(encrust) 된다. 여과 매질을 보충하기 위해, 소모된 여과 매질을 제거하고 새로운 또는 충전된 여과 매질을 재충진하기 위한 세척 장치가 사용될 수 있다.
일 양상에 따르면, 세척 장치는 배수 공동 내로 가압된 유체(들)의 흐름을 유도함으로써 여과 매질 및 임의의 잔류물을 제거하도록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세척 장치는 포장된 표면의 충진된 배수 공동을 향해 가압된 유체(즉, 물 및/또는 공기)의 흐름을 유도할 수 있는 제트를 포함할 수 있고, 동시에 배출된 여과 매질을 진공화할 수 있다.
배수 공동 내에 배치된 소모된 여과 매질이 유체 제트를 사용하여 제거될 수 있는 한 가지 잠재적인 메커니즘이 도 5a를 참조하여 설명된다. 도 5a에서, 제트(310)는 제트(310)로부터 배출된 가압된 유체(예를 들어, 물 및/또는 공기)가 배수 공동(360)의 리딩 에지(leading edge)(371)에 인접하게 배치된 덮인 여과 매질(미도시)의 표면에 입사되도록 위치되고 배향되는 것으로 도시된다. 덮인 여과 매질은 가압된 유체에 의해 그 표면이 타격됨으로써 파괴된다. 제트의 계속적인 적용은 가압 유체가 배수 공동(360)의 상측 오목부 부분 또는 큐풀(362)을 규정하는 굽은 표면에 의해 굴절되게 하고, 이러한 유체는, 임의의 연행 공기(entrained air) 및 소모된 여과 매질과 함께, 배수 공동(360)의 큐풀(362)의 외측으로 밀려나게 된다. 제트(310)에서 배출되는 유체의 일반적인 방향 및 궤적이 화살표(311)로 표시된다. 배수 공동(360)의 상측 오목부 부분 또는 큐풀(362)으로부터의 여과 매질의 제거는 소모된 여과 매질을 상측으로 방향을 바꾸게 하는, 배수 공동(360)의 상측 부분(362)의 트레일링 에지(trailing edge)(373)를 규정하는 표면의 곡률(curvature)에 의해 또한 용이해진다. 배수 공동(360)을 향하도록 배향된 유체의 압력은, 배수 공동(360)으로부터 배출됨에 따라 포장된 표면으로부터 수직으로 상승되고, 진공에 의해 수집될 수 있는 소모된 여과 매질 및 임의의 잔류물을 운반하는, 트레일링 에지(362)로부터 배출되는 유체 흐름의 각도를 제어하기 위해 조절될 수 있다.
배수 공동(360)으로부터 배출된 소모된 여과 매질은 호퍼(미도시)에 의해 수집될 수 있다. 호퍼는 세척 장치에 제공될 수 있음이, 이해될 것이다. 호퍼는 트레일링 에지(373)로부터 배수 공동(360)을 떠나는 임의의 소모된 여과 매질이 자동으로 호퍼에 의해 수집될 수 있도록 제트(310)에 대하여 위치될 수 있다. 일 양상에서, 세척 장치는 소모된 여과 매질의 제거 및 수집을 용이하게 하도록 진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진공은, 예를 들어, 제트에 인접하게 위치될 수 있다.
배수 공동(360)의 상측 부분(362)을 규정하는 벽의 곡률은 일반적으로 가압된 유체, 팽창에 의해 연행된 공기, 가압된 유체 및 결과적인 와류에 의한 소모된 덮인 여과 매질의 팽창(bulking)을 용이하게 하도록 구성된다. 더 나아가, 배수 공동(360)의 프로파일, 특히 오목부 상측 부분 또는 큐풀(362)을 규정하는 벽의 곡률은, 다수의 상이한 인자, 예를 들면, 세척 장치가 구동될 때의 수평 속도, 제트의 압력, 제트에서 분사되는 유체의 각도, 및 여과 매질의 물리적 성질 및 축적된 잔해 및 오물 같은 다수의 상이한 인자에 따라 수정될 수 있다.
도 5a에 도시된 메커니즘에서, 배수 공동(360)의 프로파일은 배수 공동의 도관(364) 내에 배치된 임의의 여과 매질이 제거될 가능성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이것은 도관(364) 내에 배치된 여과 매질을 실질적으로 방해하지 않으면서 배수 공동(360)의 큐풀(362) 내에 수용된 오직 심하게 오염된 여과 매질만이 제거되는 것을 허용한다.
비교의 목적으로, 도 5b는 경사진 상부 에지를 갖는 두 개의 인접한 포장 부재(382, 382')에 의해 형성된 배수 공동(380)을 도시한다. 경사진 상부 에지를 갖는 유사한 포장 부재는, 예를 들면, U.S. 특허 번호 5,342,142 및 4,834,575 등에 기술된 바와 같이, 일반적으로 당 업계에 알려져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경사진 에지(384, 384')는 실질적으로 선형이므로, 인접한 포장 부재(382, 382')에 의해 형성된 배수 공동(380)은 깔대기-형상(funnel-shape)이다. 이러한 "깔대기-형상" 배수 공동을 갖는 포장된 표면에서, 배수 공동의 상측 부분은 배수 공동을 관통하는 유체의 경로를 방해하는, 미세 잔해의 축적에 의해 "막히게"(clogged) 될 수 있음이, 관찰되었다. 도 5b를 참조하면, 제트(390) 및 진공(미도시)의 조합을 사용하여 축적된 잔해를 제거함으로써 배수 공동을 세척하기 위한 시도가 이루어질 때, 제트(390)로부터 분사된 가압된 유체가 적어도 일부 경우에서 축적된 잔해를 배수 공동(380)의 내부로 더 깊게 이동시킴이 발견되었다. 따라서, 이러한 "깔대기-형상" 배수 공동 내에 배치된 물질은 이러한 세척 방법 및 장치의 사용에 의해 효과적으로 제거될 수 없다.
도 6은 배수 공동 내에 배치된 소모된 여과 매질이 제거될 수 있는 다른 잠재적인 메커니즘을 도시한다. 구체적으로, 도 6에서, 배수 공동(360)의 상측 부분(362)으로부터 소모된 여과 매질(미도시)을 제거하기 위해 브러시(320)가 사용된다. 브러시(320)는, 예를 들면, 필요에 따라 브러시를 회전시키고 또한 물, 강제 공기(forced air) 또는 진공을 적용하기에 적합한 다른 기계 장치에 부착되는 회전 브러시일 수 있다. 화살표(322)는 회전 브러시가 시계 방향으로 작동될 때 소모된 여과 매질이 배출되는 일반적인 방향을 표시한다.
일단 소모된 여과 매질이 배수 공동으로부터 제거되면, 배수공동은 새 여과 매질로 재충진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배수 공동으로부터 제거된 소모된 여과 매질은 세척 장치에 의해 수집되고 충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소모된 여과 매질은 가열, 여과, 소독제(disinfectant) 및/또는 효소(enzyme)의 사용, 또는 소모된 여과 매질에 의해 보유되는 임의의 오일 및 탄화수소의 제거와 같은, 다양한 알려진 화학적, 생물학적, 및 물리적 처리 과정을 사용함으로써 충전될 수 있다. 충전된 여과 매질은 배수 공동을 재충진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방법으로, 여과 매질은 쓰레기를 감소시키기 위해 재활용될 수 있다. 소모된 여과 매질을 제거하는 단계, 소모된 여과 매질을 충전하는 단계, 및 그 다음 새로운 및/또는 충전된 여과 매질로 배수 공동을 재충진하는 단계는 단일 패스(single pass)(즉, 세척 장치가 배출 공동을 한 번 이상 지날 필요가 없음)에서 세척 장치를 사용하여 수행될 수 있음이 이해될 것이다.
도 7은 다른 양상에 따른 포장 부재(200)를 도시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장 부재(200)는 상측 표면(213), 하측 표면(215), 및 포장 부재(200) 안에 형성된 부분 공동(230)을 포함한다. 부분 공동(230)은 실질적인 오목부 표면에 의해 규정되는, 큐풀(232), 및 배수 개구부로서 제공되는, 포장 부재를 관통하여 연장되는 도관(234)을 포함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측 표면(213) 상에 형성된 캐비티(230)의 상부 오리피스(241)는 대략적으로 타원형 또는 늘여진 계란형(oblong) 오리피스로 도시되고, 하측 표면(215) 상에 형성된 캐비티(230)의 하측 오리피스(243)는 반원 형상인 것으로 도시된다. 개구부의 형상은, 포장 부재(200)의 평면도를 도시하는 도 8에 더 도시된다.
도 9a는 또다른 양상에 따른 포장 부재(400)의 단부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9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장 부재(400)는 상측 표면(413), 하측 표면(415), 및 상측 표면(413) 및 하측 표면(415) 사이에서 연장되는 부분 공동(430)을 포함한다. 부분 공동(430)은 실질적인 오목부 큐풀(432) 및 도관(434)을 포함한다. 상측 표면(413) 상에 형성되는 상측 오리피스 및 하측 표면(415) 상에 형성되는 하측 오리피스 모두 반원형인 것으로 도시된다. 오리피스의 형상은, 포장 부재(400)의 평면도를 도시하는 도 9b에 더 도시된다. 도 9a 및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큐풀(432)은 오목부 부분 및 볼록부 부분을 모두 포함하는 굽은 표면에 의해 규정되는 것으로 도시된다. 그러나, 이러한 표면에 의해 형성되는 공동의 부분은 여전히 큐풀로서 고려될 수 있음이 이해될 것이다.
도 10은 도 9a 및 도 9b의 포장석(400)에 의해 형성된 배수 공동으로부터 소모된 여과 매질을 제거하기 위한 잠재적인 메커니즘을 도시한다. 도 10에서, 제트(460)는 유체의 흐름(461)을 배수 공동을 향해 분사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도시된다. 제트(460)에서 분사된 유체는 배수 공동 내에 배치된 임의의 소모된 여과 매질이 화살표(470)로 표시된 궤적으로 배출되게 한다.
도 11은 또다른 양상에 따른 포장 부재(550)의 입면도를 도시한다. 도 11에서, 포장 부재(550)는 상측 표면(533), 하측 표면(535) 및 상측 표면(533) 및 하측 표면(535) 사이에서 연장되는 부분 공동(560)을 포함하는 것으로 도시된다. 부분 공동(560)은 오목부 상측 부분 또는 큐풀(562) 및 도관(564)을 포함한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측 부분(562)은 포장 부재의 높이를 따라 연장되는 축을 중심으로 비대칭형이다. 이러한 방식으로, 포장 부재가 포장을 형성하기 위해 놓여지면, 포장된 표면(여과 매질로 충진될 수 있는) 상에 형성되는 배수 공동은 지향성 방식(directional manner)으로 세척되기에 적합해진다. 구체적으로,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트(510)에서 분사된 유체는 화살표(512)로 표시된 일반적인 방향으로 소모된 여과 매질이 배출되도록 리딩 에지(571) 근처에 있는 덮인 또는 소모된 여과 매질의 표면을 타격한다. 제트(510)에서 분사된 유체의 일반적인 방향은 화살표(511)로 표시된다. 이러한 비대칭형 배수 공동의 사용은 적어도 일부 경우에 소모된 여과 매질의 제거 및 수집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도 12에 도시된 양상에서, 삽입부(610)는 배수 공동의 하측 부분 내측에 배치된다. 배수 공동의 큐풀(620)은 여과 매질로 충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삽입부(610)은 배수 공동의 도관 내에 위치될 수 있다. 일단 삽입부(610)가 위치되면, 큐풀(620)은 여과 매질로 충진되어, 삽입부(610)의 존재로 인해 여과 매질이 배수 공동의 하측 부분에 닿는 것이 방지된다. 삽입부(610)는 일반적으로 물-침투성일 수 있고, 따라서 삽입부(610)의 존재가 배수 공동을 관통하는 유체의 흐름을 실질적으로 방해하지 않음이 이해될 것이다. 도 13은 배수 공동 내측에 배치된 삽입부(610)의 평면도를 도시한다. 일 양상에서, 삽입부는 인접한 포장 부재의 서로에 대한 상대적인 이동을 방지하기 위한 연결 메커니즘(interlocking mechanism)을 제공한다.
그 내부에 단일 공동이 형성된 포장 부재의 다양한 양상이 상술되었으나, 공동의 개수 및 구성과 같은, 포장 부재에 제공되는 다양한 파라미터가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될 것이다.
도 14는 복수 개의 일반적으로 계란형-형상의 부분 공동(710a 내지 710f)이 포장 부재(700)의 에지에 제공되는 포장 부재(700)의 양상을 도시한다. 구체적으로, 포장 부재(700)는 단 에지(short edge)(715, 716)에 형성된 두 개의 부분 공동(710a, 710d) 및 장 에지(long edge)(725, 726)에 형성된 네 개의 부분 공동(710b, 710c, 710f, 710e)을 가지는 것으로 도시된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공동(710a 내지 710f)은 상술한 바와 같은, 도 7 및 8에 도시된 공동과 동일하다.
포장 부재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배수 공동을 생성하기 위해 대응하는 포장 부재에 인접하게 놓이는 복수 개의 공동을 포함한다. 도 15는 포장 부재(700)가 다른 동일한 포장 부재(700')에 인접하게 위치되어, 배수 개구부(760)가 인접한 포장 부재(700, 700')의 부분 공동(710, 710')에 의해 협력적으로 형성된 양상을 도시한다. 이해될 바와 같이, 복수 개의 배수 공동을 갖는 포장된 표면이 추가적인 포장 부재를 다른 것에 인접하게 놓음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방법으로 형성된 배수 공동이 상이한 축을 따라 배향될 수 있다는 것 역시 이해될 것이다. 구체적으로, 도 15에서, 일반적인 계란형 배수 공동 중 적어도 일부의 길이 방향 축은 다른 배수 공동의 길이 방향 축에 대해 수직하게 배향된다. 배수 공동의 길이 방향 축은 참조를 위해 화살표(771, 773)을 사용하여 표시된다.
도 16에 도시된 추가 양상에서, 삽입부(780)는 이웃하는 포장 부재(700, 700')에 의해 형성된 배수 공동(760) 내측에 배치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삽입부(780)의 존재는 여과 매질이 배수 공동의 하측 부분에 접촉하는 것을 방지한다. 배수 공동(760)의 길이 방향 축은 화살표(775)를 사용하여 표시된다.
도 17은 복수 개의 부분 공동(810a 내지 810f)이 그 내측에 형성된 포장 부재(800)의 다른 양상을 도시한다. 도 17에서, 모든 부분 공동(810a 내지 810f)은 대응하는 포장 부재를 다른 하나에 인접하게 배치함으로써 배수 공동이 형성될 때, 모든 배수 공동의 길이 방향 축이 화살표(830)에 의해 표시된 단일 방향으로 배향되도록 형성된다. 이해될 바와 같이, 배수 공동의 균일한 방향은 일부 경우에 포장된 표면의 세척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도 18은 포장 부재(900)의 또다른 양상을 도시한다. 도 18에서, 포장 부재(900)는 실질적으로 정사각형이며, 부재의 에지에 형성된 복수 개의 일반적인 계란형의 부분 공동(910a 내지 910h)을 포함하여 제공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공동(910a 내지 910h)을 대응하는 공동과 결합하여 생성되는 배수 공동의 길이 방향 축과 같이 형성되는 공동(910a 내지 910h)은 단일 방향으로 배향될 수 있다.
도 19는 두 개의 부분 공동(1010a, 1010b)이 포장 부재(1000)의 에지 중 적어도 하나에 형성되는, 또다른 양상에 따른 포장 부재(1000)의 부분을 도시한다. 부분 공동(1010a, 1010b)은 모두 포장 부재(1000)의 상부 표면 및 하부 표면 상에 반원형 개구부로서 형성된 것으로 도시된다. 포장 부재(1000)의 단부 단면도가 도 20에 도시된다.
도 21은 또다른 양상에 따른 포장 부재(1100)를 도시한다. 도 21에서, 포장 부재(1100)는 부재(1100)의 에지에 형성된 복수 개의 부분 공동(1110a 내지 1110f)을 가진다. 부분 공동(1110a 내지 1110f)는 부분 공동이 대응하는 부분 공동과 결합되었을 때, "빗방울"(raindrop) 형상의 배수 공동이 형성되는 형상이다.
도 21 및 이전의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포장 블록의 큐풀은 임의의 형상일 수 있고, 대칭(예를 들어, 원형 형상) 또는 비대칭(예를 들어, 빗방울 형상)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일단 인접한 블록이 놓이면, 포장 표면 상에 최종 배수 개구 형상을 형성하기 위해 부분 개구부가 결합함이 이해될 것이다.
도 22는, 도 18에 도시된 블록 같은, 포장 블록(1200)이, 1210으로 도시된 복수 개의 상호연결 립(rib) 또는 닙(nib)과 함께 제공되는, 다른 선택적인 양상을 도시한다. 이러한 립 또는 닙은 인접한 돌이 서로에 대해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며, 이는 당 업계에 잘 알려져 있다. 알려진 바와 같이, 립의 경우, 이러한 립은 일반적으로 포장 부재(즉, 블록 또는 돌)의 상부 표면으로부터 하부 표면까지 연장될 수 있다. 일부의 경우에서, 립은 포장 부재의 전체 두께를 따라 연장될 필요가 없다.
도 23a는 포장 부재(1300)의 에지 중 적어도 하나에 부분 공동(1330)이 형성된 또다른 양상에 따른 포장 부재(1300)를 도시한다. 부분 공동은 상측 표면(1313) 상에 형성된 상측 오리피스 또는 개구부(1341) 및 하측 오리피스 또는 개구부(1343) 사이에서 연장된다. 지금까지 설명된 실시 예들과는 대조적으로, 상측 오리피스 또는 개구부(1341)는 평면도로부터 보이는 바와 같이 직사각형 형상을 가진다. 따라서, 부분 공동(1330)이 대응하는 부분 공동과 결합되면, 일반적인 직사각형 배수 공동 개구부가 평면도에서 관측될 수 있다. 도 23a의 실시 예의 측부 단면도가 도 23b에 도시된다. 부분 공동(1330)은 도시된 바와 같이, 측부에서 보았을 때 일반적인 오목부 단면을 갖는 상측 부분(1332), 및 하측 부분, 또는 상측 부분(1332)의 베이스로부터 포장 블록을 관통하여 연장됨으로써, 도시된 바와 같이, 하측 표면(1315) 상에 위치된 하측 오리피스 또는 개구부(1343)까지 연장되는 채널을 형성하는, 도관 또는 채널(1334)을 포함한다. 상측 표면(1313)으로부터 하향하는 상측 부분(1332)의 경사의 각도는 더 깊거나 더 얕은 상측 공동 부분을 형성하기 위해, 각각 증가 또는 감소될 수 있다. 이러한 각도 조절의 예시적인 실시 예가 도 24 및 25에 도시된다.
도 24는 포장 부재(1400)의 에지 중 적어도 하나에 부분 공동(1430)이 형성되는, 다른 양상에 따른 포장 부재(1400)를 도시한다. 부분 공동(1430)은 도시된 바와 같이, 측부에서 보았을 때 일반적인 오목부 단면을 갖는 상측 부분(1432), 및 하측 부분, 또는 상측 부분(1432)의 베이스로부터 포장 블록을 관통하여 연장됨으로써, 하측 표면(1415) 상에 위치된 하측 오리피스 또는 개구부(1443)까지 연장되는 채널을 형성하기 위한 도관 또는 채널(1434)을 포함한다. 상측 표면(1413)으로부터 하향하는 상측 부분(1432)의 경사의 각도는 도 23의 대응하는 각도보다 더 작으며, 이는 각각 도 23의 상측 부분(1332)과 관련하여, 더 얕은 상측 부분(1432)을 초래한다.
도 25는 포장 부재(1500)의 에지 중 적어도 하나에 부분 공동(1530)이 형성되는, 다른 양상에 따른 포장 부재(1500)를 도시한다. 공동 부분(1530)은, 도시된 바와 같이, 측부에서 보았을 때 일반적인 오목부 단면을 갖는 상측 부분(1532), 및 하측 부분, 또는 상측 부분(1532)의 베이스로부터 포장 블록을 관통하여 연장됨으로써, 하측 표면(1515) 상에 위치된 하측 오리피스 또는 개구부(1543)까지 연장되는 채널을 형성하기 위한 도관 또는 채널(1534)을 포함한다. 상측 표면(1513)으로부터 하향하는 상측 부분(1532)의 경사의 각도는 도 23 및 24의 대응하는 각도보다 더 작으며, 이는 각각 도 23 및 24의 상측 부분(1332, 1432)과 관련하여 각각 더 얕은 상측 부분(1532)을 초래한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포장 부재의 세척의 관점에서, 그 중 일부가 앞서 기술된 바 있는, 다양한 장비가 사용될 수 있다. 장비의 세척 효율을 계산하기 위해, 세척 비율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S"로 표시되는, 이러한 비율은, 여과 매질의 침투 용량의 완전한 복원이 S=1을 의미할 때, 세척 장치에 의해 수집되고 제거되는 물질의 양, 또는 여과 매질의 양을 여과 매질의 원래 양과 연관시킬 수 있다. "상당한 복원"(substantial restoration)이라는 용어는 S의 값이 1.0과 근사하거나 동일함을 의미함이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23, 24, 25, 26, 및 27에 도시된 공동의 기하학적 구조는, 예를 들어, 종래의 거리 세척 장비 또는 본 명세서에서 기술된 포장 부재를 위해 설계된 특수한 장비에 의해, 여과 매질에 의해 포획된 임자의 제거를 용이하게 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여과 매질의 침투 용량의 상당한 복원을 허용할 수 있다. 여과 매질의 침투 용량의 상당한 복원을 허용함으로써, 포장 시스템은, 이러한 형상을 포함하지 않는 포장 시스템보다, 더 긴 길이의 시간 동안 오물 및 기타 오염 물질을 제거함에 있어 효과적인 상태로 지속될 수 있다.
도 26a는 포장 부재(1600)의 에지 중 적어도 하나에 부분 공동(1630)이 형성된, 또다른 양상에 따른 포장 부재(1600)를 도시한다. 부분 공동은 상측 표면(1613) 상에 형성된 상측 오리피스 또는 개구부(1641) 및 하측 오리피스 또는 개구부(1643) 사이에서 연장된다. 전술한 포장 요소와 마찬가지로, 상측 오리피스(1641)는 평면도에서 보았을 때 일반적인 직사각형 형상이다. 부분 공동(1630)은 상측 표면(1613)에 인접하게 위치되는 상측 부분(1632) 및 포장 블록을 관통하는 큐풀(1632)의 베이스로부터 일반적으로 연장되는 하측 부분(1634)을 포함하며, 이에 따라 하측 표면(1615)에 인접하게 위치되는 하측 오리피스 또는 개구부(1643)까지 관통되어 연장하는 채널을 형성한다. 이 특정 실시 예에서, 부분 공동의 상측 부분(1632)은 실질적인 평평한 부분(planar portion)(1631a 및 1631b)을 포함하며 따라서 상측 부분(1632)은 임의의 관점에서 보았을 때 본질적으로 오목하지 않다. 포장 부재(1600)의 상부 표면(1613)에 대해 상대적인 실질적으로 평평한 부분(1631a 및 1631b)의 각도는 더 깊은 또는 더 얕은 상측 공동 부분의 형성에 따라, 각각 증가되거나 감소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부분 공동(1630)의 하측 부분(1643)은 관형 또는 직사각형 형상일 수 있다. 도 26a는 직사각형 형상의 하측 부분(1643)이 있는 실시 예를 도시한다. 부분 공동(1630)이 대응하는 부분 공동과 결합될 때, 직사각형 형상의 배수 공동 개구부는 평면도로부터 상측 표면(1613) 상에서 관측될 수 있다. 도 26에 도시된 기하학적 구조는 종래의 재생-공기 거리 세척 장치에 의한 여과 매질에 의해 포획된 잔류물의 제거를 용이하게 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여과 매질의 침투 용량의 상당한 복원을 돕는다. 도 26a의 실시 예의 정면도가 도 26b에 도시된다.
도 27은 포장 부재(1700)의 에지 중 적어도 하나에 부분 공동(1730)이 형성되는, 또다른 실시 예에 따른 포장 부재(1700)를 도시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포장석(1700)은 상측 표면(1713) 및 하측 표면(1715)을 포함한다. 본 실시 예에서, 부분 공동(1730)은 한 개의 상측 부분(1732) 및 벽(1735)에 의해 분할되는 두 개의 하측 부분(1734a 및 1734b)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더 논의될 바와 같이, 다른 양상에서, 두 개 이상의 하측 부분이 도 27의 돌에 제공될 수 있다. 부분 공동(1730)의 하측 부분(1734a 및 1734b)은 관형 또는 직사각형 형상일 수 있다. 본 실시 예에 따르면, 부분 공동(1730)이 대응하는 부분 공동과 결합되면, 그 결과인 배수 공동은 한 개의 전체 상측 부분 및 두 개의 전체 관형 또는 직사각형의 하측 부분을 포함하게 된다. 도 27에 도시된 기하학적 구조는 종래의 재생-공기 거리 세척 장치에 의한 여과 매질에 의해 포획된 잔류물의 제거를 용이하게 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여과 매질의 침투 용량의 상당한 복원을 돕는다.
도 28a는 포장 부재(1800)가 두 개의 외측 사이드(outer side)(1810), 두 개의 내측 사이드(inner side)(1812) 및 두 개의 정면(face side)(1814)을 갖도록 설계되어, 상측에서 보았을 때 포장 부재(1800)가 전체적으로 "L"-형상의 윤곽을 갖는, US 5,342,142에 의해 교시된 포장 부재와 유사한, 또다른 양상에 따른 포장 부재(1800)를 도시한다. 각각 상측 개구부(1841a) 및 하측 개구부(1843a) 사이에서 연장되며, 개구부(1843a)의 한 개의 세트는 1/4의 원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 개의 부분 공동(1830a)이 존재한다. 각각 상측 개구부(1841b) 및 하측 개구부(1843b) 사이에서 연장되며, 하측 개구부(1843b)는 반원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 개의 부분 공동(1830b)이 또한 존재한다. 마지막으로, 상측 개구부(1841c) 및 하측 개구부(1843c) 사이에서 연장되며, 하측 개구부(1843c)는 3/4의 원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분 공동(1830c)가 적어도 하나 존재한다. 도 28b는 포장 부재(1800)의 사시도를 도시하며, 큐풀 부분(1832c)이 실질적으로 오목하여 상부 면(1813) 상의 상측 개구부(18341c)가, 대응하는 하측 개구부(1843c)에 비해 더 큰 직경을 갖는, 큐풀 부분(1832c) 및 도관 또는 채널 부분(1834c)을 포함하는 부분 공동(1830c)을 더 도시한다. 유사하게, 각 부분 공동(1832A 및 1832B)은, 상측 개구부(1841A 및 1841B)가 대응하는 하측 개구부(1843A 및 1843B)에 비해 더 큰 직경을 갖는, 실질적으로 오목한 큐풀 부분 및 도관 또는 채널 부분을, 각각 포함한다. 이 실시 예에 따르면, 포장 부재(1800) 상에 각 부분 공동(18830A, 1830B, 및 1830C)이 있도록 포장을 형성하기 위해 복수 개의 포장 부재(1800)를 포함하는 포장 시스템은 배치되는 인접한 포장 부재(1800) 상에, 각각, 대응하는 부분 공동(1830C, 1830B 및 1830A)과 결합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임의의 부분 공동(1843A, 1843B, 또는 1843C)에 대응하는 부분 공동은 결과적인 도관 개구부가 전체 원형이 되도록 하는 부분 공동이다.
본 포장석의 추가 양상이 도 29 내지 36에 도시된다. 도 29 내지 32는 본 양상에 따른 "L" 형상의 돌을 도시하며 또한 도 33 내지 도 36은 본 실시 예에 따른 돌의 직시각형 버전을 도시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돌은 돌의 사이드 상에 형성된 다수의 제1 부분 공동(1930a) 뿐만 아니라 돌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단부로 절단된 슬롯(slot)으로 형성된 제2 부분 공동(1930b)을 포함한다. 부분 공동(1930a)은 이들이 제공되는 돌의 사이드와 본질적으로 평행하게 형성되고, 상측, 오목부 부분(1932a) 및 하측 부분(1934a)에 의해 규정된다. 돌이 포장을 형성하기 위해 표면 상에 배치되면, 인접한 제1 부분 공동(1930a)은 완전한 공동을 형성하기 위해 결합되고 또한 인접한, 또는 근처의 제2 부분 공동(1930b)은 완전한 공동을 형성하기 위해 결합된다. 이해될 바와 같이, 이러한 포장의 예시가 도 37에 도시된다. 도 37은 도 29 내지 도31의 돌을 사용하는 포장을 도시함에도 불구하고, 도 33 내지 도 35의 돌 또한 유사한 방식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일부 경우에, "L" 형상의 돌이 직사각형 형상의 돌과 결합될 수 있다.
도 38 및 39는 도 27에 도시된 것과 유사한 방식으로 부분 공동(2030)이 형성되는, 대상 포장석(2000)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다. 그러나, 도 38 및 39의 예시에서, 부분 공동은 부분 공동이 형성될 때 포장석의 사이드의 길이의 대부분을 따라 연장할 수 있는 더 연장된 상측 부분(2032)을 포함한다. 도 38 및 39에 도시된 버전에서, 부분 공동(2030)은 직사각형 형상의 포장석(2000)의 단 사이드(short side) 상에 형성된다. 이러한 부분 공동은 직사각형 포장석의 단 및/또는 장 사이드(long side)의 하나 또는 모두를 포함하는, 포장석(2000)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사이드 상에 형성될 수 있음이 이해될 것이다. 도 38 및 39에 도시된 것과 같은 부분 공동이, 본 명세서의 "L" 형상 돌과 같은, 다양한 형상의 포장석에 역시 제공될 수 있음이 또한 이해될 것이다.
부분 공동(2030)은 상측 볼록 부분(2032) 및 복수 개의 하측 부분(2034)을 포함한다. 도 38 및 39에 도시된 버전에서, 세 개의 하측 부분(2034)이 도시되나, 이러한 부분이 임의의 개수로 제공될 수 있음이 이해될 것이다.
도 40은 도 38 및 39에 도시된 것과 유사한 포장석(2100)의 버전을 도시하되, 부분 공동(2130)은 직사각형 형상의 돌의 장 사이드 중 어느 하나 상에 제공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부분 공동은 상측, 오목부 또는 큐풀, 부분(2132) 및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하측 부분(2134)을 포함한다.
도 41 내지 43은 도 38 및 39에 도시된 것과 유사한 다른 버전의 포장석(2200)을 도시하되, 포장석(2200)의 사이드의 길이를 따라 완전히 연장된 상측, 오목부 부분(2232)을 갖는 부분 공동의 예를 도시한다.
도 44는 부분 공동의 오목부 부분(2332)이 포장석(도 41 내지 43에 또한 도시된 바와 같이)의 사이드의 전체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지만, 단일의, 연장 하측 부분(2334)이 제공되는, 포장석(2300)의 다른 양상을 도시한다.
도 45 및 46은 부분 공동이 돌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모퉁이에 형성된, 포장석(2400)의 다른 양상을 도시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또한 앞서 기술된 바와 같이, 각 부분 공동은 상측 부분(2432) 및 하측 부분(2434)과 함께 형성된다. 이 버전에서, 각 돌은 완전한 공동의 1/4 부분을 포함하므로, 네 개의 돌이, 포장 내에 배열되면, 완전한 공동을 형성할 수 있음이, 이해될 것이다.
다른 양상에서, 포장 시스템이 제공된다. 포장 시스템은, 본 명세서에서 기술된 바와 같이, 다른 하나에 인접하게 위치되는, 복수 개의 포장 부재를 포함한다. 이러한 포장을 형성함에 있어서, 포장 부재는 알려진 방식으로 서로 인접하게 위치되나, 각 개구부는 이와 같이 형성된 포장 상에 앞서 언급한 배수 개구부를 형성하도록 함께 배치된다.
본 명세서에서 논의된 큐풀이 당 업계에서 공지되고 포장 부재에서 쉽게 발견될 수 있는 모따기한 에지와 독특하게 구별될 수 있음은 주목할 만하다. 포장 블록의 단단한 90도 에지는 포장 블록 내의 취약점이 된다 - 이러한 시스템에서 인접한 두 개의 블록이 함께 가압되면, 두 블록 사이의 경계면에 하중이 집중되고, 이는 상측 에지에 힘을 가하며 일반적으로 블록의 모퉁이의 천공을 유발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두 개의 인접한 블록이 만나는 조인트에 대칭형 경사 표면을 포함하는, 모따기된 에지가, 포장 부재의 모퉁이의 이러한 천공을 방지하는 것을 돕기 위해 설계되고 개발되었다. 반면, 본 명세서에서 논의된 큐풀의 다양한 설계는 모퉁이의 천공을 방지하기 위한 목적에 의해 주도되지 않는다. 큐풀은 포장 시스템의 세척을 용이하게 하고 또한 시스템의 침투 용량을 실질적으로 복원하는 것을 목적으로 설계된다. 또한, 큐풀은 포장 부재의 임의의 에지 및/또는 내측 부분에 위치될 수 있다. 따라서, 포장 부재의 모따기된 에지로부터 유발되는 형상이 본 명세서에서 논의된 큐풀의 적어도 일부와 부분적으로 유사할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 둘 간에 명확한 차이가 있음이 명백하다.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부분 공동이 포장 부재의 에지에 형성되는 것과 같은, 포장 부재의 다양한 양상이 본 명세서에 기재되었으나, 공동은 또한 포장 부재의 다른 부분에도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체 공동이, 포장 부재의 중앙부와 같은, 부재의 내측 부분(즉, 에지로부터 이격되어)에 형성될 수 있다. 전체 공동을 갖는 포장 부재가 포장된 표면을 형성하기 위해 다른 하나와 인접하게 위치되면, 각 부재에 형성된 전체 공동은 그것을 관통하는 유체의 경로를 허용하기 위한 배수 공동처럼 작동한다.
이해될 바와 같이, 포장 부재의 형상 및 상대적인 크기는 다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포장 부재는 정사각형, 직사각형, 육각형, 또는 다면체일 수 있다. 부분 또는 전체 공동의 형상 또한 다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부분 또는 전체 공동은 실질적으로 원형, 계란형(oblong), 타원형, 또는 여과될 액체가 그것을 관통하여 통과하는 것을 허용할 수 있는 임의의 다른 형상일 수 있다. 복수 개의 부분 또는 전체 배수 공동이 제공되는 양상에서, 각 부분 또는 전체 공동은 다른 하나와 동일한 또는 상이한 형상 및/또는 구성일 수 있다는 것 또한 이해될 것이다.
앞서 논의된 바와 같이, 본 명세서에 기술된 배수 개구의 구조는 오목부, 또는 큐풀 형상의 개구부 또는 평평한, 또는 삼각형 프리즘-같은 개구부를 포장 부재의 상측 표면 상에 포함하며 큐풀로부터 연장되어 포장 부재의 하측 표면을 관통하는 일반적인 원통형 또는 정사각형 도관을 포함하며, 도관은 큐풀 부분보다 더 작은 직경을 갖는다. 앞서 논의된 바와 같이, 포장 부재의 상측 표면 상의 개구부의 구조는 배수 채널을 세척함에 있어 이점을 제공한다. 역시 이해될 바와 같이, 더 좁은 도관 부분(큐풀 개구부와 동일한 직경을 갖는 도관과 대조적으로)을 포함함으로써 더 많은 고체 물질이 포장 부재에 제공되도록 허용한다. 이해될 바와 같이, 이것은 포장 부재가 더 큰 강도 또는 완전성(integrity)을 갖는 것을 허용한다. 더 나아가, 포장 부재의 외측 외곽 또는 사이드에 제공된 배수 개구부와 관련하여, 추가된 포장 부재 물질은 표면 상에 놓였을 때 인접한 포장 부재 사이에 더 많은 접촉 면적을 허용한다. 접촉 면적은 인접한 포장 부재 사이에서 직접 또는 그 사이에 제공된 여과 매질을 통해 형성될 수 있다. 어느 경우라도, 추가된 접촉 면적은 마찰을 더 크게 하고, 따라서, 포장을 형성하기 위해 놓였을 때, 부재의 움직임에 대한 저항이 더 커진다. 게다가, 더 좁은 도관 부분에 의해 증가된 표면 면적은 포장 부재에 더 많은 간격 닙 또는 립을 제공하는 것을 허용하고, 이에 따라 인접한 포장 부재 사이에 상대적인 움직임의 가능성을 더욱 감소시킨다.
본 명세서에서, 오목부 또는 큐풀 형상의 개구부 아래의 도관 부분은 그 길이를 따라 일정한 직경의, 원통형 또는 정사각형의 형상인 것으로 기술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도관은 포장 부재의 사이드 상에 제공되는 배수 공동에 관하여 또한 원뿔 형상, 또는 부분 원뿔 형상일 수 있음이 이해될 것이다. 따라서, 포장 부재는, 포장 부재의 상측 또는 하측 표면 중 어느 하나를 향해 그 직경이 증가되는, 테이퍼된 도관과 함께 제공될 수 있다. 이상적으로, 제조 장치를 수용하기 위해, 도관은, 하측 직경에 비해 상측 직경이 더 크도록 상측으로 테이퍼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기술된 공동 또는 부분 공동은 임의의 형상의 포장석에 포함되거나 그에 형성될 수 있음이 이해될 것이다. 본 명세서는 예시를 위해 직사각형 또는 "L" 형상의 돌을 기술하였다. 기술된 돌에 포함될 수 있는 임의의 공동 구성에도 불구하고, 그것은 또한 임의의 형상의 포장석 또는 포장석의 임의의 사이드에도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은 특정한 특징적인 양상을 참조하여 기술되었으나, 다양한 변형이 당 업계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제공된 임의의 예시는 오로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만 포함된 것이며 어떤 식으로든 본 발명을 제한하려는 것이 아니다. 본 명세서에 제공된 임의의 도면은 오로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양상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일 뿐이며 어떤 식으로든 본 발명을 축소하거나 제한하려는 것이 아니다. 본 명세서에 첨부된 청구항의 범위는 상술한 발명의 설명에 기재된 바람직한 양상에 의해 제한되어서는 안되며, 본 명세서와 전체로서 일치하는 가장 넓은 해석이 부여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언급된 모든 선행 기술의 명세서는 그 전체가 본 명세서에 참고로서 포함된다.

Claims (18)

  1. 상측 표면, 하측 표면 및 측벽을 포함하는 포장 부재로서, 상기 포장 부재는 상기 상측 및 하측 표면 사이에서 연장되는 하나 이상의 배수 채널을 더 포함하며,
    - 각각의 상기 배수 채널은 상기 포장 부재의 상기 상측 표면에 구비된, 제1 개구부, 및 상기 포장 부재의 상기 하측 표면 상에 구비된, 제2 개구부를 포함하고,
    - 상기 제1 개구부는 상기 포장 부재의 상기 상측 표면 상에 형성된 오목부 (concave portion)를 포함하며,
    - 상기 제2 개구부는 상기 제1 개구부의 하측 단부로부터 상기 포장 부재의 상기 하측 표면까지 연장되는 도관을 포함하고, 상기 도관은 상기 제1 개구부보다 더 작은 개구부를 갖고,
    - 상기 하나 이상의 배수 채널은 상기 포장 부재의 외곽(perimeter)에 구비되는, 포장 부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 채널은 부분 채널이며, 상기 포장 부재의 상기 측벽에 형성되고, 상기 포장 부재가 사용될 때, 상기 부분 채널은 상기 포장 부재가 포장을 형성하도록 함께 위치 설정될 때 완전 채널을 형성하기 위해 인접한 포장 부재의 부분 채널과 협력하도록 구성되는, 포장 부재.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 채널의 상기 오목부 각각은 상기 포장 부재의 적어도 하나의 축에 대하여 대칭인, 포장 부재.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 채널의 상기 오목부 각각은 상기 포장 부재의 적어도 하나의 축에 대하여 비대칭인, 포장 부재.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부는 원형, 계란형, 연장형(elongate) 또는 타원형 형상인, 포장 부재.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부 각각은 상기 포장 부재의 상기 상측 표면의 평면에 대하여 각도를 형성하도록 배향되는, 포장 부재.
  7. 상측 표면, 하측 표면 및 측벽을 포함하는 포장 부재로서, 상기 포장 부재는 상기 상측 및 하측 표면 사이에서 상기 부재를 관통하여 연장되는 복수 개의 배수 채널을 더 포함하며,
    - 각각의 상기 배수 채널은 상기 포장 부재의 상기 상측 표면 상에 구비된, 제1 개구부, 및 상기 포장 부재의 상기 하측 표면 상에 구비된, 제2 개구부를 포함하고,
    - 상기 제1 개구부는 상기 포장 부재의 상기 상측 표면 상에 형성된 실질적으로 평평한 부분을 포함하며,
    - 상기 제2 개구부는 상기 제1 개구부의 하측 단부로부터 상기 포장 부재의 상기 하측 표면까지 연장되는 도관을 포함하고, 상기 도관은 상기 제1 개구부보다 더 작은 개구부를 갖고,
    - 상기 하나 이상의 배수 채널은 상기 포장 부재의 외곽에 구비되는, 포장 부재.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외곽에 구비된 상기 배수 채널은 부분 채널이며, 상기 측벽에 형성되고, 상기 포장 부재가 사용될 때, 상기 부분 채널은 완전 채널을 형성하기 위해 인접 포장 부재의 부분 채널과 협력하도록 구성되는, 포장 부재.
  9.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 채널의 상기 평평한 부분 각각은 상기 포장 부재의 적어도 하나의 축에 대하여 대칭인, 포장 부재.
  10.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 채널의 상기 평평한 부분 각각은 상기 포장 부재의 적어도 하나의 축에 대하여 비대칭인, 포장 부재.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배수 채널은 상기 포장 부재의 하나 이상의 모퉁이(corner) 상에 구비되는, 포장 부재.
  12. 제1항, 제2항,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측벽 상에 구비되는 복수 개의 간격 립(spacer rib) 또는 닙(nib)을 더 포함하는, 포장 부재.
  13. 제1항, 제2항,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 채널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채널을 통과하는 액체를 여과하기에 적합한 여과 매질을 포함하는, 포장 부재.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여과 매질은 상기 배수 채널로부터 제거될 수 있는, 포장 부재.
  15. 제1항, 제2항, 제7항 또는 제8항에 따른 복수 개의 포장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포장 부재 각각은 서로 인접하게 놓이기에 적합한, 포장 시스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KR1020187016371A 2015-11-17 2016-11-17 배수 채널을 갖는 포장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포장 시스템 KR10264873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562256471P 2015-11-17 2015-11-17
US62/256,471 2015-11-17
US201662382758P 2016-09-01 2016-09-01
US62/382,758 2016-09-01
PCT/CA2016/051345 WO2017083977A1 (en) 2015-11-17 2016-11-17 Paving element having drainage channels and pavement system incorporating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84873A KR20180084873A (ko) 2018-07-25
KR102648733B1 true KR102648733B1 (ko) 2024-03-18

Family

ID=587171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16371A KR102648733B1 (ko) 2015-11-17 2016-11-17 배수 채널을 갖는 포장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포장 시스템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10494770B2 (ko)
EP (1) EP3377700B1 (ko)
JP (1) JP7026051B2 (ko)
KR (1) KR102648733B1 (ko)
CN (1) CN108368680A (ko)
AU (1) AU2016356749B2 (ko)
CA (1) CA3005366C (ko)
RU (1) RU2721334C2 (ko)
SG (1) SG11201804102VA (ko)
WO (1) WO201708397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D864420S1 (en) * 2016-07-31 2019-10-22 F. Von Langsdorff Licensing Limited Paving stone
US10407838B1 (en) * 2017-02-06 2019-09-10 Integrated Roadways, Llc Modular pavement slab
USD962484S1 (en) * 2017-10-03 2022-08-30 Alexander Lorenz Concrete slab
US11162229B1 (en) 2018-11-07 2021-11-02 Berry Outdoor, LLC Paver system
WO2021105942A1 (en) * 2019-11-29 2021-06-03 Pixel Paver Limited Paver, paving system, and related methods
CN113276590B (zh) * 2021-05-19 2022-09-30 宿州市全兴家具有限公司 一种可精准定位的皮雕软包金葱粉装填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336205A (ja) * 2002-05-23 2003-11-28 Matsumoto Renga Kk 路面のライニング用ブロックおよびライニング方法
US20070269265A1 (en) * 2006-05-16 2007-11-22 Thorkelson Steven J Paver system
JP2008240388A (ja) * 2007-03-28 2008-10-09 Furukawa Electric Co Ltd:The 潅水システム及びこの潅水システムに用いられる貯水ユニット

Family Cites Families (4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24276A (en) 1911-02-01 1912-04-23 Alfred S Nash Building-block.
US1686757A (en) 1927-06-24 1928-10-09 Howard R Loughridge Building block
US1727362A (en) 1927-11-07 1929-09-10 Bone Russell Glenn Three-walled building block
US2530940A (en) 1947-05-28 1950-11-21 Dahlin John Wall construction
NL6514966A (ko) 1965-11-17 1967-05-18
GB1385207A (en) 1972-05-09 1975-02-26 Dytap Constr Holding Masonry block
DE2354600C3 (de) 1973-10-31 1979-05-23 Jordan, Reinhard, 7570 Baden-Baden Mit Durchbrechungen versehener Verbundstein und Verband aus Verbundsteinen
JPS50100332U (ko) * 1974-01-18 1975-08-20
JPS5444431Y2 (ko) * 1974-08-30 1979-12-20
US3943589A (en) * 1974-11-05 1976-03-16 Peder Fahrsen Pedersen Gangway element
GB2103262B (en) * 1981-06-30 1985-11-20 John Forsythe Mccall Paving-slab with drainage holes for allowing growth of grass
US4834575A (en) 1986-09-23 1989-05-30 Barth Guenther Paving stone
DE8707649U1 (ko) * 1987-05-27 1987-07-16 Kronimus & Sohn Betonsteinwerk Und Baugeschaeft Gmbh & Co Kg, 7551 Iffezheim, De
DE8915417U1 (ko) 1989-04-04 1990-06-28 Dr. Barth Gmbh, 7582 Buehlertal, De
US4997308A (en) 1989-08-29 1991-03-05 Welling Jr Robert L Paving stone
DE3936527A1 (de) 1989-11-02 1991-05-08 Barth Gmbh Dr Formsteinsatz und formstein zum belegen von bodenflaechen mit breiten fugen
US5046887A (en) * 1990-08-06 1991-09-10 Fontana John D Guttered paving blocks
JPH0643005U (ja) * 1992-06-02 1994-06-07 新興窯業株式会社 舗石タイル
JPH068402U (ja) * 1992-07-09 1994-02-04 仙台コンクリート工業株式会社 舗装用ブロック
EP0657583B1 (de) * 1993-12-08 1999-03-17 Peter Geiger Plattenförmiger Pflasterstein, insbesondere aus Beton
JPH09111853A (ja) * 1995-10-18 1997-04-28 Sanko Touen:Kk 構築部材
DE29602972U1 (de) 1996-02-20 1996-04-04 Kann Baustoffwerke Gmbh Kunststein zur Befestigung von Verkehrsflächen im Freien
US5797698A (en) 1996-04-10 1998-08-25 F. Von Langsdorff Licensing Ltd. Paving elements for the water-permeable reinforcement of surfaces
CZ294671B6 (cs) 1996-04-11 2005-02-16 Karl Kortmann Betonová tvárnice
RU2129185C1 (ru) * 1997-02-20 1999-04-20 Акционерное общество закрытого типа "МИКЕ" Дорожная одежда
AU751257B2 (en) * 1998-06-11 2002-08-08 Hanson Building Products Ltd Paving block
US6337025B1 (en) * 1998-08-03 2002-01-08 Environmental Filtration, Inc. Filter canister for use within a storm water sewer system
EP1024226B1 (de) 1998-12-29 2003-03-19 Kombilith GmbH Entwicklung und Verwertung Kunststein für Pflasterzwecke
PT1162313E (pt) 2000-06-07 2004-01-30 Uni Int Bausysteme Gmbh & Co Pedra artificial para consolidacao de superficies de transito no exterior
DE10105055A1 (de) 2001-02-05 2002-12-05 Uni Int Bausysteme Gmbh & Co Bodenbelagelemente aus Kunststeinmaterial
DE20102145U1 (de) * 2001-02-08 2001-06-13 Betonwerk Brilon Gmbh & Co Kg Formstein für einen Bodenbelag
JP2002256505A (ja) * 2001-03-05 2002-09-11 Taiheiyo Cement Corp 舗装用目地材及び舗装方法
JP3748870B2 (ja) * 2003-11-12 2006-02-22 福岡県 緑化ブロック
ITMS20050001A1 (it) 2005-01-27 2006-07-28 Mauro Morelli Marmi Di Morelli Mauro Linea tolleranza zero.
US7841806B2 (en) * 2005-12-15 2010-11-30 Terrafusion, Inc. Soil stabilization system
US8162563B2 (en) * 2006-07-19 2012-04-24 Oceansafe Llc Aquifer replenishment system with filter
JP2008115603A (ja) * 2006-11-02 2008-05-22 Misawa Homes Co Ltd 穴あき舗石
KR100951712B1 (ko) * 2007-12-13 2010-04-07 황유하 다공성 필터가 설치된 보도블록
CA2724556A1 (en) * 2008-05-16 2009-11-19 Alan Sian Ghee Lee Flexible drainage cell
GB0912174D0 (en) * 2009-07-13 2009-08-26 Permavoid Ltd Surfaces using structural modules
WO2011090499A1 (en) * 2010-01-22 2011-07-28 Connor Sport Court International, Inc. Modular sub-flooring system
DE102011010163A1 (de) * 2010-03-09 2011-09-15 Godelmann Pflasterstein Gmbh & Co. Kg Befestigte Fläche
CN201843045U (zh) * 2010-06-25 2011-05-25 罗其峰 一种耐踩踏草坪砖
DE102012103118A1 (de) * 2012-04-11 2013-10-17 Aicheler & Braun Gmbh Stein und Verlegeeinheit mit mehreren Steinen
CN203257043U (zh) * 2013-01-24 2013-10-30 Fgi股份公司 用于地面路面的模块化保持结构
CN204417961U (zh) * 2014-12-16 2015-06-24 越艳 再生混凝土草坪砖
CN204715139U (zh) 2015-05-22 2015-10-21 江苏建筑职业技术学院 快速排水地面砖
CN104805746A (zh) * 2015-05-22 2015-07-29 江苏建筑职业技术学院 泄水地砖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336205A (ja) * 2002-05-23 2003-11-28 Matsumoto Renga Kk 路面のライニング用ブロックおよびライニング方法
US20070269265A1 (en) * 2006-05-16 2007-11-22 Thorkelson Steven J Paver system
JP2008240388A (ja) * 2007-03-28 2008-10-09 Furukawa Electric Co Ltd:The 潅水システム及びこの潅水システムに用いられる貯水ユニッ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RU2721334C2 (ru) 2020-05-19
RU2018120201A (ru) 2019-12-18
CN108368680A (zh) 2018-08-03
AU2016356749A1 (en) 2018-05-31
CA3005366A1 (en) 2017-05-26
KR20180084873A (ko) 2018-07-25
EP3377700C0 (en) 2023-08-02
EP3377700A4 (en) 2019-07-10
AU2016356749B2 (en) 2021-12-16
JP7026051B2 (ja) 2022-02-25
US10494770B2 (en) 2019-12-03
RU2018120201A3 (ko) 2019-12-18
US20180327978A1 (en) 2018-11-15
CA3005366C (en) 2022-03-15
WO2017083977A1 (en) 2017-05-26
EP3377700A1 (en) 2018-09-26
JP2018534457A (ja) 2018-11-22
EP3377700B1 (en) 2023-08-02
SG11201804102VA (en) 2018-06-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48733B1 (ko) 배수 채널을 갖는 포장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포장 시스템
US20110247973A1 (en) Exfiltration apparatus
US8657122B2 (en) Clog resistant media retainer assembly
US11371203B2 (en) Devices for controlling erosion and storm water runoff
US20090148243A1 (en) Controlling Sediment
KR101688845B1 (ko) 침투 여과통 부착을 통한 투수성능 및 투수지속성 증대로 초기우수처리 및 지하수 함양효과를 극대화시킨 침투형 빗물받이
US6719490B2 (en) Stormwater receiving assembly
KR101205223B1 (ko) 침투수 처리시스템
US20050042030A1 (en) Drainage and irrigation approach and structure as well as its implementation
HUT71664A (en) Element assembly for paving roads and the like
KR200405382Y1 (ko) 절ㆍ성토부면 노면에 적용되는 집수정 구조
KR101384490B1 (ko) 자동 우수 처리 장치
KR20140004867A (ko) 산 비탈면 및 절토 면의 배수로에 적용되는 집수정 구조
KR101494221B1 (ko) 무동력 하천용수 상시 취수 시스템 및 취수 구조
KR100690583B1 (ko) 빗물받이
KR101649506B1 (ko) 측구의 이물질 유입 방지 수단을 구비한 구조체
KR101674110B1 (ko) 전처리용 팬이 거치된 침투도랑
JP6637309B2 (ja) 集水機能を有するコンクリート二次成形品集水機能を有するコンクリート二次成形品を多数用いて構成された道路構造物集水機能を有するコンクリート二次成形品の成形方法
JP5521713B2 (ja) 構築物
JP4174348B2 (ja) 水路用ブロック及びこれを用いた水路
FR3119101A1 (fr) Dispositif de dépollution d’eaux d’eau pluviale pour caniveau
KR101354398B1 (ko) 빗물을 재활용하기 위한 도로 경계석구조
NL1038382C2 (nl) Infiltratiesysteem.
KR200215826Y1 (ko) 도로용 빗물 집수구
JPH0637110Y2 (ja) 雨水浸透桝用濾過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