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47816B1 - 유체 라인을 위한 신속 커넥터 장치로의 삽입을 위한 삽입 부재 - Google Patents

유체 라인을 위한 신속 커넥터 장치로의 삽입을 위한 삽입 부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47816B1
KR102647816B1 KR1020217035834A KR20217035834A KR102647816B1 KR 102647816 B1 KR102647816 B1 KR 102647816B1 KR 1020217035834 A KR1020217035834 A KR 1020217035834A KR 20217035834 A KR20217035834 A KR 20217035834A KR 102647816 B1 KR102647816 B1 KR 1026478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quick
connector device
insertion member
fluid line
ring su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358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45264A (ko
Inventor
미할 스타흐
Original Assignee
노르마 저머니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노르마 저머니 게엠베하 filed Critical 노르마 저머니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2101452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452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478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47816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7/00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 F16L37/02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is maintained only by friction of the parts being joined
    • F16L37/025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is maintained only by friction of the parts being joined with an inner elastic part pressed against an outer part by reason of its elasticit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7/00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 F16L37/08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 F16L37/12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using hooks, pawls or other movable or insertable locking members
    • F16L37/14Joints secured by inserting between mating surfaces an element, e.g. a piece of wire, a pin, a chain
    • F16L37/142Joints secured by inserting between mating surfaces an element, e.g. a piece of wire, a pin, a chain where the securing element is inserted tangentially
    • F16L37/144Joints secured by inserting between mating surfaces an element, e.g. a piece of wire, a pin, a chain where the securing element is inserted tangentially the securing element being U-shap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7/00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 F16L37/08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 F16L37/084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combined with automatic locking
    • F16L37/088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combined with automatic locking by means of a split elastic ring
    • F16L37/0885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combined with automatic locking by means of a split elastic ring with access to the split elastic ring from a radial or tangential opening in the coupl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7/00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 F16L37/02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is maintained only by friction of the parts being join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Quick-Acting Or Multi-Walled Pipe Joi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체 라인을 위한 신속 커넥터 장치로 삽입되는 삽입 부재에 관한 것이다. 삽입 부재(20)는 중공 실린더형 주 부분(21)을 포함하고, 중공 실린더형 부분(21)은 전방 고리형 표면(24)과 후방 고리형 표면(25) 사이에서 실린더형 축(29)을 따라서 연장되고, 실린더 축(29)을 따라서 연장된 통로 개구(26) 및 신속 커넥터 장치의 내부 벽상에 배치되는 외부 측방향 표면(22)을 가지고, 통로 개구(26)는 전방 고리형 표면(24)의 방향으로 연장되는 통로 섹션(27)을 가진다. 본 발명은 유체 라인 및/또는 신속 커넥터 장치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는 향상된 삽입 부재(20)를 제공하는데 사용된다.

Description

유체 라인을 위한 신속 커넥터 장치로의 삽입을 위한 삽입 부재
본 발명은 유체 라인용 신속 작용 커넥터 장치(quick action connector device)에 삽입하기 위한 삽입 부재에 관한 것으로서, 청구항 제 1 항의 전제부에 기재된 바와 같이, 삽입 부재는 중공 실린더형 주 동체를 포함하고, 상기 중공 실린더형 주 동체는 실린더 축을 따라서 전방 링 표면과 후방 링 표면 사이에서 연장되고, 실린더 축을 따라 연장된 통로 개구를 가지고, 신속 작용 커넥터 장치의 내부 벽에 배치되기 위한 외부 측방향 표면을 가진다.
일반적으로 플라스틱 재료로 생산되는 유체 라인을 연결하기 위해, 특히 자동차 산업에서, 신속 작용 커넥터 장치(quick action connector device)가 공통적으로 사용된다. 여기에서, 신속 작용 커넥터 장치는 유체 라인이 도입되고 고정되는 튜브 섹션들을 가진다. 이러한 경우에, 용접 링은 신속 작용 커넥터에 도입된 유체 라인을 연결하기 위해 신속 작용 커넥터 장치들에서 사용된다. 여기에서 용접 링이 가열되어 부분적으로 또는 완전히 용융된다. 이러한 과정에서, 용접 링의 재료는 유체 라인에 대하여 그리고 신속 작용 커넥터 장치의 내부 벽에 대하여 꼭 맞도록 지지된다. 냉각 후에, 재료는 응고되어 유체 라인을 신속 작용 커넥터 장치에 연결한다.
신속 작용 커넥터 장치로 유체 라인을 도입하기 전에 용접 링이 도입된다. 여기에서, 용접 링은 신속 작용 커넥터 장치의 내부 직경보다 최소한으로 큰 외부 직경을 가진다. 이것은 용접 링이 신속 작용 커넥터 장치의 내부 벽에 대해 지탱되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내부 벽에서 용접 링의 위치를 고정하기 위해, 용접 링이 배열되는 함몰부 또는 홈을 내부 벽이 가질 수 있다. 이 경우 유체 라인은 용접 링을 통해 안내되고 용접 링의 내부 직경과 일치하는 외부 직경을 가진다. 그러나 유체 라인이 도입되면, 용접 링, 유체 라인 및/또는 신속 작용 커넥터 장치가 손상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유체 라인 및/또는 신속 작용 커넥터 장치에 대한 손상을 방지하는 개선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주요 특징은 청구항 제 1 항 및 제 9 항의 특징 부분에 명시되어 있다. 청구항 제 2 항 내지 제 8 항 및 제 10 항 내지 제 12 항은 구성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유체 라인용 신속 작용 커넥터 장치에 삽입하기 위한 삽입 부재를 제공하며, 여기에서 삽입 부재는 중공 실린더형 주 동체를 포함하고, 중공 실린더형 주 동체는 실린더 축을 따라서 전방 링 표면과 후방 링 표면 사이에서 연장되고, 실린더 축을 따라 연장되는 통로 개구를 구비하고, 신속 작용 커넥터 장치의 내부 벽에 배치되는 외부 측방향 표면을 가지며, 본 발명에 따라서 통로 개구는 전방 링 표면의 방향으로 넓어지는 통로 섹션을 가진다.
본 발명에 의하여, 전방 링 표면의 방향으로 넓어지는 통로 섹션에 의해 통로 개구에서 외부 측방향 표면에 대하여 경사진 표면을 가지는 삽입 부재가 제공된다. 여기에서, 통로 개구는 중공 실린더형 주 동체의 내부 측방향 표면에 의해 한정된다. 또한, 외부 측방향 표면은 실린더 축과 평행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전방 및 후면 링 표면들은 실린더 축에 직각으로 지향될 수 있다. 외부 측방향 표면에 의해, 삽입 부재는 신속 작용 커넥터 장치의 내부 벽에 배치될 수 있고, 전방 링 표면은 신속 작용 커넥터 장치의 진입 개구를 향하여 지향된다. 즉, 삽입 부재가 신속 작용 커넥터 장치에 적절하게 삽입된 후에, 외부 측방향 표면은 신속 작용 커넥터 장치의 내부 벽에 대해 지탱된다. 외부 측방향 표면이 신속 작용 커넥터 장치의 내부 벽에 대해 지탱될 때, 통로 섹션은 마찬가지로 내부 벽에 대해 경사진 표면을 제공한다. 통로 개구를 향해 정확하게 지향되지 않은 유체 라인의 도입으로, 유체 라인은 전방 링 표면을 통과한 다음 먼저 통로 섹션에서 삽입 부재와 접촉한다. 통로 섹션의 확장 형상 때문에, 삽입 부재와의 접촉으로 인하여 유체 라인에 의해 전달되는 힘은, 내부 벽에 평행하게 지향되는 성분과 내부 벽에 직각으로 지향되는 성분으로 분할될 수 있다. 따라서, 유체 라인에 의해 삽입 부재로 전달되는 힘의 일부는 내부 벽에 직각으로 작용하고, 삽입 부재를 내부 벽에 대해 민다. 따라서, 힘의 일부만이 평행 성분과 연관되고, 유체 라인과 접촉하는 삽입부재의 섹션에서 실린더 축에 평행한 삽입 부재의 전단(shearing)을 야기한다. 따라서, 유체 라인이 도입될 때 삽입 부재에 작용하는 전단력은 감소한다. 이는 삽입 부재의 기계적 응력을 감소시켜서, 삽입 부재의 파손 위험도 마찬가지로 감소시킨다. 따라서 파편이 유체 라인이나 신속 작용 커넥터 장치를 손상시킬 위험성은 감소된다. 결과적으로, 유체 라인과 신속 작용 커넥터 장치의 손상이 방지된다. 여기에서, 삽입 부재는 유체 라인용 신속 작용 커넥터 장치를 위한 인서트 링일 수 있다.
또한, 전방 링 표면으로부터, 통로 섹션은 좁은 부분을 가져서, 유체 라인은 통로 섹션의 경사면에 의해 통로 개구로 안내된다. 또한, 통로 섹션으로 인해, 통로 개구로의 유체 라인의 도입이 더 어려워지거나 막히지 않으면서, 유체 라인의 길이 방향 축은 실린더 축에 대해 최대 5°의 각도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삽입 부재를 가진 신속 작용 커넥터 장치에 유체 라인을 도입하는 것이 용이해진다.
통로 섹션은 또한 전방 링 표면 상에 둥근 모서리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전방 링 표면 및 통로 섹션을 한정하는 중공 실린더형 주 동체의 해당 표면은 서로 천이된다. 따라서, 전방 링 표면의 방향으로, 전방 링 표면으로부터의 거리가 감소함에 따라 둥근 에지에서 통로 섹션의 확장 비율은 증가한다. 따라서, 삽입 부재에 도입될 때, 유체 라인은 날카로운 모서리나 또는 실린더 축에 직각으로 배치된 전방 링 표면과 접촉하지 않고, 둥근 모서리와 접촉한다. 여기에서, 둥근 모서리(round edge)는, 통로 섹션을 한정하는 주 동체의 표면들과 마찬가지로, 도입된 유체 라인에 의해 전달되는 힘이 신속 작용 커넥터 장치의 내부 벽에 직각으로 부분적으로 지향되는 효과를 가진다. 둥근 모서리는 또한 삽입 부재 자체에서 향상된 힘의 안내를 가져온다. 즉, 만약 유체 라인이 통로 섹션에서 둥근 모서리 뒤에 힘을 전달하면, 날카로운 모서리보다 둥근 모서리에서 응력이 더 적다. 따라서, 둥근 모서리는 삽입 부재에 가해지는 전단력을 더 감소시킨다.
또한, 중공 실린더형 주 동체는, 통로 섹션 주위에 링 형상 방식으로 연장되고 중공 실린더형 주 동체에서 반경 방향으로 통로 섹션을 한정하는, 베벨(bevel)을 가질 수 있다. 여기에서, 둥근 모서리는 전방 링 표면을 베벨에 연결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베벨은, 중공 실린더형 주 동체상의 내부 측방향 표면의 일부일 수 있으며, 통로 섹션을 정의한다. 베벨은 큰 노력 없이 나중 단계에서 작업물에 형성될 수 있거나, 압출된 물체의 경우에는 생산될 작업물을 위한 몰드에 의해 미리 제공될 수 있다. 이는 삽입 부재의 생산을 용이하게 한다.
삽입 부재는 섬유로 강화된 재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섬유는 유리 섬유를 포함할 수 있다.
섬유는 삽입 부재에 가해지는 외력이 삽입 부재 내에서 최적으로 분포되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신속 작용 커넥터 장치의 내부 벽을 향해 지향되는 삽입 부재의 통로 섹션에 작용하는 힘들의 비율이 증가되는 방식으로, 섬유들이 구성될 수 있다.
여기에서, 재료는 0% 내지 70% 사이의 섬유 함량을 가질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0% 내지 50% 사이의 섬유 함량을 가질 수 있다.
재료의 섬유 함량을 통해, 삽입 부재에 의해 내부 벽에 직각으로 향하는 힘들의 비율이 설정될 수 있다. 따라서 삽입 부재 또는 신속 작용 커넥터 장치에서 스트레스를 유도하는 힘의 비율이 설정될 수 있다. 이것은 최적의 응력 분포를 선택할 수 있게 하며, 따라서 손상의 위험성은 더욱 감소된다.
링 표면들은 적어도 13mm 와 15mm 사이의 내부 직경을 가질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14mm의 내부 직경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바람직한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14mm의 공칭 폭을 가진 유체 라인을 위한 삽입 부재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양상은 유체 라인을 연결하기 위한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상기 시스템은 상기 설명에 따른 삽입 부재 및 유체 라인용 신속 작용 커넥터 장치를 가지며, 상기 신속 작용 커넥터 장치는 진입 개구 및 상기 진입 개구로부터 신속 작용 커넥터 장치로 연장하는 내부 벽을 가지고, 삽입 부재는 외부 측방향 표면을 통해서 내부 벽상에 배치되고, 전방 링 표면은 진입 개구를 향하여 지향된다.
시스템의 장점 및 효과와 개선 사항은 위에서 설명한 삽입 부재의 장점 및 효과와 개선 사항에서 나타난다. 따라서, 이와 관련하여, 이전 설명을 참조한다.
시스템은 단부 부재를 가진 유체 라인을 구비할 수 있고, 여기에서 단부 부재는 외부 직경을 가지며 상기 외부 직경의 크기는 통로 섹션에서의 최대 직경과 통로 개구의 최소 직경 사이이다.
따라서 외부 직경은 통로 섹션을 통해 안내될 수 있다. 여기에서, 유체 라인은 전방 링 표면이 배치되는 삽입 부재의 측으로부터 단부 부재를 경유하여 통로 개구 안으로 안내된다. 단부 부재의 도입 방향으로, 통로 섹션은 좁아지고 통로 개구에서 단부 부재를 안내한다. 단부 부재는 그것의 최소 직경에서 통로 개구의 직경보다 큰 외부 직경을 가지기 때문에, 유체 라인이 통로 개구를 통해 안내될 때, 이 위치에서 높은 수준의 마찰이 형성되며, 여기에서 유체 라인 및 삽입 부재의 재료들은 약간 탄성적으로 또는 소성적으로 변형될 수 있다. 여기에서, 재료들은 플라스틱을 포함할 수 있다. 유체 라인이 의도된 위치에서 통로 개구를 통해 배치된 후, 통로 개구의 최소 직경과 단부 부재의 외부 직경 사이의 마찰은, 유체 라인이 삽입 부재에 의하여 신속 작용 커넥터 장치에 유지되는 효과를 가진다. 따라서 용접 프로세스는 회피될 수 있고, 이것은 시간과 비용을 절약하게 한다.
또한, 유체 라인의 공칭 폭은 1mm와 30mm 사이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14mm일 수 있다.
여기에서, 유체 라인과 신속 작용 커넥터 장치는 0° 내지 10° 사이의 각도에서 서로 연결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0° 내지 5° 사이의 각도로 서로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유체 라인은 각도를 가지고 신속 작용 커넥터 장치 내로 도입될 수 있고, 상기 각도에서 신속 작용 커넥터 장치에 연결될 수 있다. 이렇게 하면 유체 라인을 신속 작용 커넥터 장치에 간단히 연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 세부 사항 및 장점은 청구 범위의 기재 및 도면에 기초한 예시적인 실시예의 다음 설명으로부터 이해될 것이다.
도 1a 및 도 1b 는 시스템의 개략적인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2a 및 도 2b 는 인서트 부재(insert piece)의 개략도의 다양한 도면을 도시한다.
도 3 은 인서트 부재의 개략적인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4 는 내측 벽 섹션의 개략적인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1a는 유체 라인을 연결하기 위한 시스템(10)을 도시하며, 여기에서 시스템(10)은 신속 작용(quck action) 커넥터 장치(30), 유체 라인(40) 및 삽입 부재(20)를 포함한다. 여기에서, 삽입 부재(20)는 신속 작용 커넥터 장치(30)에 배치되고, 유체 라인(40)은 삽입 부재(20)에 의해 신속 작용 커넥터 장치(30)에 연결된다.
신속 작용 커넥터 장치(30)는 진입 개구(32)를 포함하는 챔버(38)를 가지며, 상기 진입 개구를 통하여 삽입 부재(20) 및 유체 라인(40)이 신속 작용 커넥터 장치(30)의 챔버(38) 내로 도입될 수 있다. 챔버(38)는 신속 작용 커넥터 장치(30)의 내벽(34)에 의해 한정되며, 내벽(34)은 중공 실린더의 내측 측방향 표면과 같은 형상을 가진다. 내벽(34)에는 삽입 부재(20)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함몰부(36)가 더 배치된다. 진입 개구(32)로부터, 함몰부(36) 뒤에는 O-링 형태의 시일(39)이 배치되어 있다.
삽입 부재(20)는 함몰부(36)에 배치된다. 삽입 부재(20)는 중공 원통형 주 동체(21)를 가지며, 즉 삽입 부재(20)는 링 형상을 가진다. 여기에서, 중공 원통형 주 동체(21)는 실린더 축(29)을 따라 전방 링 표면(24)과 후방 링 표면(25) 사이에서 연장된다. 여기에서, 전방 링 표면(24)은 진입 개구(32)를 향하여 지향된다. 또한, 전방 링 표면(24) 및 후방 링 표면(25)은 실린더 축(29)에 직각으로 배향된다.
중공-실린더형 주 동체(21)는 신속 작용 커넥터 장치의 내벽에 배치되기 위한 외측 측방향 표면(22)을 더 포함한다. 외부 측방향 표면(22)은 실린더 축(29)에 평행하게 지향된다. 도 1a에서, 외측 방향 표면(22)은 신속 작용 커넥터 장치(30)의 내부 벽(34)상에 배치된다. 여기에서, 외측 측방향 표면(22)은 신속 작용 커넥터 장치(30)의 내부 벽(34)에 의해 정의된 직경보다 최소한으로 큰 직경을 가진다. 링 표면(24, 25)은 외부 측방향 표면과 동일한 외부 직경을 가진다. 이러한 방식으로, 전체 측방향 표면(22)은 내벽(34)에 반하여 밀리게 된다. 여기에서, 외측 측방향 표면(22)은 함몰부(36)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배치된다.
중공 실린더형 주 동체(21)의 링 개구는 실린더 축(29)을 따라 연장되는 통로 개구(26)에 의해 형성된다. 중공 실린더형 주 동체(21)의 내부 측방향 표면(43)은 실린더 축(29)으로부터 반경 방향으로 통로 개구(26)를 한정한다. 통로 개구(26)는 여기에서 전체 중공 실린더형 주 동체(21)를 통해 연장되고 전방 링 표면(24)의 링 개구를 후방 링 표면(25)의 링 개구에 연결한다. 이러한 예에서, 링 표면(24, 25)은 적어도 13mm 내지 15mm 사이의 내경을 가지고, 바람직하게는 14mm의 내경을 가진다.
통로 개구(26)는 전방 링 표면(24)으로부터 좁아지는 통로 섹션(27)을 가진다. 반대로, 통로 섹션(27)은 전방 링 표면(24)의 방향으로 넓어진다. 이러한 예에서, 도 1a 와 같이, 중공 실린더 주 동체(21)에서 통로 섹션(27)을 정의하는 표면은 베벨(bevel, 23)이다. 베벨(23)은 전방 링 표면(24)의 내부 경계의 전체 원주에 걸쳐 연장되고, 내부 측방향 표면(43)의 섹션일 수 있다. 또한, 전방 링 표면(24)으로부터, 베벨(23)은 통로 섹션(27) 외부에 배치된 통로 개구(26)의 섹션에 원추형으로 수렴한다.
중공 실린더 주 동체(21)는 베벨(23)과 전방 링 표면(24) 사이에 둥근 모서리(round edge, 28)를 포함한다. 둥근 모서리(28)는 베벨(23)을 전방 링 표면(24)에 연결한다. 이것은 베벨(23)과 전방 링 표면(24) 사이의 영역에 날카로운 모서리가 없음을 의미한다.
유체 라인(40)은 도 1a에서 유체 라인(40)의 상부 표면을 경유하여 베벨(23) 상에 배치된 단부 부재(42)를 가진다. 여기에서, 도 1a 는 유체 라인(40)을 신속 작용 커넥터 장치(30)로 도입하는 것을 도시한다. 도 1a 에서 우측으로 유체 라인(40)을 움직이는 것은 베벨(23)이 단부 부재(42)에 의해 유체 라인(40)을 통로 섹션(27)을 통해 통로 개구(26)로 안내하는 결과를 가져온다.
여기에서, 유체 라인(40)은 통로 개구(26)에 대해 삽입 부재(20)의 실린더 축(29)에 평행하게 안내될 필요가 절대적으로 있는 것은 아니다. 유체 라인(40)은, 도입될 때, 신속 작용 커넥터 장치(30)에 대해 각도를 가질 수 있는 효과를 통로 섹션(27)이 가진다. 또한, 통로 섹션(27)이 전방 링 표면(24)을 향해 넓어짐으로 인해 제공하는 유격(play) 때문에, 유체 라인(40)과 신속 작용 커넥터 장치(30)는 상기 각도에서 서로 연결될 수 있다. 각도는 0° 내지 10° 사이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0° 내지 5° 사이일 수 있다. 따라서, 삽입 부재(20)에 의해, 유체 라인(40)과 신속 작용 커넥터 장치(30) 사이의 안전한 연결은 약간의 각도에서의 연결 위치로도 제공된다.
삽입 부재(20)와 접촉하면, 유체 라인(40)은 삽입 부재(20)에 힘을 전달한다. 이것은 도 1b 에 도시되어 있다. 화살표는 단부 부재(42)와 삽입 부재(20) 사이의 접촉 표면을 지향한다. 도 1b 에서, 유체 라인(40)과 삽입 부재(20) 사이의 접촉은 둥근 모서리(28)에서 실현된다. 여기에서, 유체 라인(40)에 의해 전달되는 힘은 화살표를 따라 지향된다. 상기 힘은 삽입 부재(20)의 외부 측방향 표면(22)을 신속 작용 커넥터 장치(30)의 내부 벽(34)에 대해 각도를 가지고 민다. 여기에서, 힘은 내부 벽(34)에 직각으로 지향되는 성분을 가지고, 실린더 축(29) 또는 내부 벽(34)에 평행하게 지향되는 성분을 가진다.
베벨(23)은 둥근 모서리(28)에 의해 야기되는 것과 유사한 효과를 가져온다. 여기에서, 베벨(23)은 마찬가지로 유체 라인(40)에 의해 전달되는 힘의 일부를 외부 측방향 측면(22a)을 통해 내부 벽(34)에 직각으로 지향시킨다.
유체 라인(40)에 의해 전달된 힘의 적어도 일부는 베벨(23)에 의해 또는 둥근 모서리(28)에 의해 내부 벽(34)에 직각으로 전달되고, 따라서 모든 힘이 실린더 축(29) 또는 내부 벽(34)에 평행하게 작용하지는 않는다. 힘의 평행 성분에서의 감소는 삽입 부재(20)에 대한 전단 작용(shearing action)을 감소시키는 효과를 가진다. 그 결과 삽입 부재(20)의 파손 위험이 감소된다. 삽입 부재(20)는 내부 벽(34)에 대해 함몰부(31)에 유지되기 때문에, 이것은 마찬가지로 유체 라인(40)에 의해 삽입 부재(20)를 통해 함몰부(31)의 모서리로 전달된 힘에 의해 함몰부(31)의 모서리가 파괴되는 것은 회피된다.
여기에서, 도 2a 에 따르면, 삽입 부재(20)는 섬유(33)를 포함하는 재료를 포함한다. 섬유(33)는 유리 섬유일 수 있다. 베벨(23)에 작용하는 힘이 외부 측방향 표면(22)의 방향으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전달되는 방식으로, 섬유(33)는 삽입 부재(20)의 재료내에 배치된다. 즉, 삽입 부재(20)가 신속 작용 커넥터 장치(30)에 배치될 때, 베벨(23)에 작용하는 힘의 더 많은 부분은, 삽입 부재(20)의 재료가 섬유(33)를 가지지 않는 경우에서보다, 외부 측방향 표면(22)을 통해 내부 벽(34)으로 전달된다.
이러한 경우 재료는 플라스틱일 수 있다. 따라서 삽입 부재(20)는 섬유 강화 플라스틱 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다.
재료에서의 섬유(33)의 비율에 의해, 유체 라인(40)에 의해 삽입 부재(20) 및 내부 벽(34)으로 전달되는 힘을 외부 측방향 표면(22)에 직각으로 작용하는 성분 및 실린더 축(29)에 평행하게 작용하는 성분으로 분할하는 것이 설정될 수 있다. 여기에서, 재료는 0% 내지 70% 사이의 섬유 함량을 가질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0% 내지 50% 사이의 섬유 함량을 가질 수 있다. 재료에서 섬유(33)의 섬유 함량이 높을수록, 외부 측방향 표면(22)에 직각으로 전달되는 힘은 더 커진다. 역으로, 재료가 가지는 섬유(33)가 적을수록, 외부 측방향 표면(22)에 직각으로 전달되는 힘은 작아진다.
유체 라인(40)은 그것의 외부 직경(44)이 통로 섹션(27)에서의 하나의 최대 직경(37)과 통로 개구(26)의 최소 직경(35) 사이에 놓이는 크기를 가지는 방식으로 설계된다. 최대 직경(37) 및 최소 직경(35)은 도 2b 에 도시되어 있다.
여기에서, 유체 라인(40)의 공칭 폭은 1mm 와 30mm 사이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14mm일 수 있다.
외부 직경(44)의 선택된 크기의 결과로서, 유체 라인(40)은 통로 섹션(27)에 의해 수용될 수 있고 통로 개구(26) 내로 안내될 수 있다. 통로 개구(26)에서, 통로 개구(26)의 작은 최소 직경(35)으로 인해, 유체 라인(40)은, 유체 라인(40)과 통로 개구(26)의 벽들 사이의 마찰을 극복하기 위해, 그리고 유체 라인(40) 및/또는 삽입 부재(30)를 약간 변형시키기 위해, 힘의 소비가 증가되면서 실린더 축을 따라서 움직인다.
유체 라인(40)과 통로 개구(26)의 벽들 사이의 마찰은 또한 유체 라인(40)이 신속 작용 커넥터 장치(30)에서의 마찰 맞물림에 의해 삽입 부재(20)에 유지되는 효과를 더 가진다. 유체 라인(40)을 신속 작용 커넥터 장치(30)에 용접할 필요는 없다.
도 3 은 삽입 부재(10)의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이러한 경우에, 삽입 부재(10)의 외부 측방향 표면(22)은 실린더 축(29)을 둘러싸는 채널(31)을 가진다. 채널(31)은 비드(bead, 41)를 수용할 수 있는데, 상기 비드는 채널(31)에 맞는 방식으로 형성되고, 신속 작용 커넥터 장치(30)의 함몰부(36)에 배치되고, 실린더 축(29)을 중심으로 내부 벽(34)을 따라 연장된다.
삽입 부재(20)가 함몰부(36)에 삽입될 때, 삽입 부재(20)는 먼저 비드(bead, 41)에서 멈추고, 힘의 소비가 증가되면서 비드(41)에 걸쳐 밀어져야 하며, 여기에서 삽입 부재(20)는 비드(41)에서 탄성 변형된다. 비드(41)가 채널(31)에 배치되자마자, 비드(41)는 이 위치에서 신속 작용 커넥터 장치(30)에 있는 삽입 부재(20)를 유지한다.
비드(41)는 함몰부(36)와 조합되어 이 위치에서 삽입 부재(20)를 고정한다. 결과적으로, 삽입 부재(20)는 내부 벽(34)에 대해 단단히 유지되고, 실린더 축(29)에 평행하게 작용하는 힘에 의해 내부 벽(34)을 따라 변위되지 않는다.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중 하나로 제한되지 않고 오히려 다양한 방식으로 수정될 수 있다.
구조적 세부사항, 공간적 배치 및 방법 단계를 포함하여 청구범위, 설명 및 도면으로부터 나타나는 모든 특징 및 이점은 개별적으로 및 매우 다양한 조합으로 본 발명에 필수적일 수 있다.
10. 시스템
20. 삽입 부재
21. 주 동체
22. 외부 측방향 표면
23. 베벨
24. 전방 링 표면
25. 후방 링 표면
26. 통로 개구
27. 통로 섹션
28. 둥근 모서리(round edge)
29. 실린더 축
30. 신속 작용 커넥터 장치
31. 채널
32. 진입 개구
33. 섬유
34. 내부 벽
35. 최소 직경
36. 함몰부
37. 최대 직경
38. 챔버
39. 시일
40. 유체 라인
41. 비드(bead)
42. 단부 부재
43. 내부 측방향 표면
44. 외부 직경

Claims (12)

  1. 유체 라인을 위한 신속 작용 커넥터 장치(quick-action connector device) 로 삽입되는 삽입 부재로서, 삽입 부재(20)는 중공 실린더형 주 동체(21)를 포함하고, 중공 실린더형 주 동체(21)는, 실린더 축(29)을 따라서 전방 링 표면(24)과 후방 링 표면(25) 사이에서 연장되고, 실린더 축(29)을 따라서 연장된 통로 개구(26)를 가지고, 신속 작용 커넥터 장치의 내부 벽에 배치되기 위한 외부 측방향 표면(22)을 가지고, 통로 개구(26)는 전방 링 표면(24)의 방향으로 넓어지는 통로 섹션(27)을 가지며,
    통로 섹션(27)은 전방 링 표면(24) 상에 둥근 모서리(round edge, 28)를 가지며,
    중공 실린더형 주 동체(21)는 베벨(23)(bevel)을 가지되, 상기 베벨은 통로 섹션(27) 둘레에서 링 형상의 방식으로 연장되고 중공 실린더형 주 동체(21)에서 통로 섹션(27)을 반경 방향으로 한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삽입 부재.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둥근 모서리(28)는 전방 링 표면(24)을 베벨(23)에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삽입 부재.
  4. 제 1 항에 있어서, 삽입 부재(20)는 섬유(33)로 강화된 재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삽입 부재.
  5. 제 4 항에 있어서, 섬유(33)는 유리 섬유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삽입 부재.
  6. 제 4 항에 있어서, 재료는 0% 내지 70% 사이의 섬유 함량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삽입 부재.
  7. 제 1 항에 있어서, 링 표면(24, 25)은 적어도 13mm 내지 15mm 사이의 내부 직경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삽입 부재.
  8. 유체 라인 연결용 시스템으로서, 상기 유체 라인 연결용 시스템은 제 1 항에 따른 삽입 부재(20) 및 유체 라인(40)을 위한 신속 작용 커넥터 장치(30)를 가지고, 상기 신속 작용 커넥터 장치(30)는 진입 개구(32) 및 상기 진입 개구(32)로부터 신속 작용 커넥터 장치(30)로 연장되는 내부 벽(34)을 가지며, 삽입 부재(20)은 외부 측방향 표면(22)을 통해 내부 벽(34)상에 배치되고, 전방 링 표면(24)은 진입 개구(32)를 향하여 지향되는, 유체 라인 연결용 시스템.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 라인 연결용 시스템은 단부 부재(42)를 가진 유체 라인(40)을 구비하고, 상기 단부 부재(42)에 구비된 외부 직경(44)의 크기는 통로 섹션(27)에서의 최대 직경(37)과 통로 개구(26)의 최소 직경(35) 사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라인 연결용 시스템.
  10. 제 8 항 또는 제 9 항에 있어서, 유체 라인(40)의 공칭 폭은 1mm 내지 30mm 사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라인 연결용 시스템.
  11. 제 8 항 또는 제 9 항에 있어서, 유체 라인(40)과 신속 작용 커넥터 장치(30)는 0° 와 10° 사이의 각도로 서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라인 연결용 시스템.
  12. 삭제
KR1020217035834A 2019-04-03 2020-03-23 유체 라인을 위한 신속 커넥터 장치로의 삽입을 위한 삽입 부재 KR10264781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9108768.6A DE102019108768A1 (de) 2019-04-03 2019-04-03 Einsatzstück zum Einsetzen in eine Schnellverbinder-Vorrichtung für Fluidleitungen
DE102019108768.6 2019-04-03
PCT/EP2020/058002 WO2020200886A1 (de) 2019-04-03 2020-03-23 Einsatzstück zum einsetzen in eine schnellverbinder-vorrichtung für fluidleitunge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45264A KR20210145264A (ko) 2021-12-01
KR102647816B1 true KR102647816B1 (ko) 2024-03-15

Family

ID=699540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35834A KR102647816B1 (ko) 2019-04-03 2020-03-23 유체 라인을 위한 신속 커넥터 장치로의 삽입을 위한 삽입 부재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220178478A1 (ko)
EP (1) EP3948041A1 (ko)
JP (1) JP7242899B2 (ko)
KR (1) KR102647816B1 (ko)
CN (1) CN113646572B (ko)
DE (1) DE102019108768A1 (ko)
WO (1) WO2020200886A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015969A (ja) * 2012-07-09 2014-01-30 Nifco Inc コネクタ

Family Cites Families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69534A (en) * 1988-09-26 1989-09-26 Huron Products Corporation Swivelable quick connector
DE4424258A1 (de) * 1994-07-09 1996-01-11 Friatec Keramik Kunststoff Verbindungsanordnung für Rohre
FR2727492B1 (fr) * 1994-11-30 1996-12-27 Legris Sa Dispositif de raccordement rapide d'un tube a un embout rigide
ES2105811T3 (es) * 1995-05-11 1997-10-16 Benteler Werke Ag Disposicion para la conexion de un tubo metalico con un manguito de alojamiento.
JP3871885B2 (ja) * 2001-01-09 2007-01-24 三桜工業株式会社 配管用継手
US7354079B2 (en) * 2002-04-23 2008-04-08 Watts Sea Tech, Inc. Connector
DE50204467D1 (de) * 2002-05-04 2006-02-16 Ti Automotive Fuldabrueck Gmbh Rohrkupplung für Rohrleitungen
JP2005106207A (ja) * 2003-09-30 2005-04-21 Tokai Rubber Ind Ltd 流体配管用コネクタ
JP2005155910A (ja) * 2003-10-31 2005-06-16 Tokai Rubber Ind Ltd クイックコネクタ及び配管接続構造
JP2011174615A (ja) * 2003-10-31 2011-09-08 Tokai Rubber Ind Ltd クイックコネクタ及び配管接続構造
JP4011575B2 (ja) * 2004-10-15 2007-11-21 三桜工業株式会社 クイックコネクタ
FR2878932B1 (fr) * 2004-12-02 2007-01-12 Legris Sa Douille de guidage a insertion facilitee dans un alesage d'un raccord et raccord correspondant
JP4815133B2 (ja) * 2005-02-03 2011-11-16 東海ゴム工業株式会社 クイックコネクタ
FR2883607A1 (fr) * 2005-03-25 2006-09-29 Raymond Et Cie Soc En Commandi Dispositif de raccordement de deux elements
EP1959182A4 (en) * 2005-12-06 2014-03-12 Tokai Rubber Ind Ltd QUICK CONNECTION AND CONTROLLER
JP4749244B2 (ja) * 2006-06-09 2011-08-17 臼井国際産業株式会社 細径配管接続用コネクタ
DE112008000308B4 (de) * 2007-01-31 2024-02-01 Togo Seisakusyo Corp. Rohrverbindungen
US7699356B2 (en) * 2007-05-10 2010-04-20 Craig Assgembly, Inc. Quick connector for fluid conduit
US8282139B2 (en) * 2009-03-02 2012-10-09 Ti Group Automotive Systems, Llc Quick connector with seal assembly retainer
JP5613478B2 (ja) * 2010-06-28 2014-10-22 株式会社ニフコ パイプ連結用コネクタ
JP5567430B2 (ja) * 2010-08-31 2014-08-06 株式会社キッツ 管継手
JP5941772B2 (ja) * 2012-07-09 2016-06-29 株式会社ニフコ コネクタ
JP5753284B1 (ja) * 2014-01-16 2015-07-22 住友理工株式会社 クイックコネクタ
JP5873898B2 (ja) * 2014-06-19 2016-03-01 株式会社キッツ 管継手
US20170356581A1 (en) * 2014-11-20 2017-12-14 Illinois Tool Works Inc. Quick connector
DE102017119704B4 (de) * 2017-08-28 2022-11-10 Norma Germany Gmbh Leitungskupplung und Behälter hiermit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015969A (ja) * 2012-07-09 2014-01-30 Nifco Inc コネク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7242899B2 (ja) 2023-03-20
KR20210145264A (ko) 2021-12-01
DE102019108768A1 (de) 2020-10-08
EP3948041A1 (de) 2022-02-09
CN113646572A (zh) 2021-11-12
WO2020200886A1 (de) 2020-10-08
CN113646572B (zh) 2023-08-08
US20220178478A1 (en) 2022-06-09
JP2022526009A (ja) 2022-05-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250970B1 (en) Resin tube joint with reinforcing ring
KR101194327B1 (ko) 센터링 핀
US20160238175A1 (en) Fluid line assembly
FI109826B (fi) Menetelmä putkiliitoksen tekemiseksi sekä työkalu ja putkiliitoskappale menetelmän toteuttamiseksi
US9920541B2 (en) Scaffolding pipe of a structural scaffolding system and scaffolding element
CA2852297A1 (en) Fiber optic connector with vented ferrule holder
US10077567B2 (en) Method for reinforcing and calibrating a pipe portion
KR102643921B1 (ko) 팽창 커넥터
US6286213B1 (en) Method of securing intake tubes in intake manifold
KR102647816B1 (ko) 유체 라인을 위한 신속 커넥터 장치로의 삽입을 위한 삽입 부재
US10850341B2 (en) Loading pin for a joining device, joining device and joining element feed method
US8109688B2 (en) Device, arrangement and method for connecting lines, motor vehicle comprising such an device or arrangement, respectively
JP5111212B2 (ja) 通水管の接続具
US8561875B2 (en) Method and device for connecting pipes; motor vehicle with a device of this type
US20180002146A1 (en) Component for replacing pipes, method of use, and kit of parts for use in removing pipes
US20210317858A1 (en) Expansion anchor with bulged zone
US6543817B1 (en) Process for forming radially upset tube flange and tube connector assembly formed thereby
ITSV20060012A1 (it) Raccordo tubolare
EP3933242A1 (en) Joint structure
CZ20023839A3 (cs) Montážní jednotka z konstrukční součásti a z nejméně jednoho závit vytvářejícího šroubu
CN108808405B (zh) 用于装配设有密封垫的插头壳体的装置和方法
US11090789B2 (en) Sliding element for transmitting a sliding force onto a sliding sleeve and connecting tool comprising said sliding element
US20180326632A1 (en) Insert for Use in an Injection Molding Nozzle and Injection Molding Nozzle with Such an Insert
JP4493860B2 (ja) 接合構造
KR102328611B1 (ko) 파이프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