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46451B1 - 액압 제어 유닛, 브레이크 시스템 및 안승형 차량 - Google Patents

액압 제어 유닛, 브레이크 시스템 및 안승형 차량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46451B1
KR102646451B1 KR1020227010040A KR20227010040A KR102646451B1 KR 102646451 B1 KR102646451 B1 KR 102646451B1 KR 1020227010040 A KR1020227010040 A KR 1020227010040A KR 20227010040 A KR20227010040 A KR 20227010040A KR 102646451 B1 KR102646451 B1 KR 1026464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rol unit
coil
hydraulic pressure
pressure control
base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100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50993A (ko
Inventor
히로아키 아츠시
다카시 오가와
료지 나카노
가즈키 치바
Original Assignee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filed Critical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2200509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509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464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464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8/00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 B60T8/17Using electrical or electronic regulation means to control braking
    • B60T8/1701Braking or traction control mean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types of vehicles
    • B60T8/1706Braking or traction control mean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types of vehicles for single-track vehicles, e.g. motorcy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13/00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 B60T13/10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with fluid assistance, drive, or release
    • B60T13/12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with fluid assistance, drive, or release the fluid being liquid
    • B60T13/14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with fluid assistance, drive, or release the fluid being liquid using accumulators or reservoirs fed by pumps
    • B60T13/148Arrangements for pressure supp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13/00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 B60T13/10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with fluid assistance, drive, or release
    • B60T13/66Electrical control in fluid-pressure brake systems
    • B60T13/68Electrical control in fluid-pressure brake systems by electrically-controlled valves
    • B60T13/686Electrical control in fluid-pressure brake systems by electrically-controlled valves in hydraulic systems or part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8/00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 B60T8/32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responsive to a speed condition, e.g.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 B60T8/321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responsive to a speed condition, e.g.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deceleration
    • B60T8/3225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ingle-track vehicles, e.g. motorcy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8/00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 B60T8/32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responsive to a speed condition, e.g.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 B60T8/34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responsive to a speed condition, e.g.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having a fluid pressure regulator responsive to a speed condition
    • B60T8/341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val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LBRAKE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 B62L3/00Brake-actuating mechanisms; Arrangements thereof
    • B62L3/02Brake-actuating mechanisms; Arrangements thereof for control by a hand lever
    • B62L3/023Brake-actuating mechanisms; Arrangements thereof for control by a hand lever acting on fluid pressure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2270/00Further aspects of brake control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T2270/10ABS control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2270/00Further aspects of brake control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T2270/10ABS control systems
    • B60T2270/14ABS control systems hydraulic mode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2270/00Further aspects of brake control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T2270/84Driver circuits for actuating motor, valve and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2270/00Further aspects of brake control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T2270/88Pressure measurement in brake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3Bicycles; Tricy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3/00Bicy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Regulating Braking Force (AREA)

Abstract

안승형 차랑에 탑재되었을 때, 외력을 받는 것을 종래보다도 억제할 수 있는 액압 제어 유닛을 얻는다. 액압 제어 유닛(1)은, 브레이크액이 흐르는 내부 유로가 형성된 베이스체(10)와, 베이스체(10)와 접속되고, 내부에 회로 기판이 수납되어 있는 하우징(40)을 구비하고, 하우징(40)의 축 방향(Y)의 치수는, 베이스체(10)의 폭 방향(Y)의 치수보다도 크고, 액압 제어 유닛(1)을 접속 방향(X)으로부터 본 상태에서, 베이스체(10)의 폭 방향(Y)의 중심이 하우징(40)의 폭 방향(Y)의 중심보다도 제 1 측면(45)측에 위치한다.

Description

액압 제어 유닛, 브레이크 시스템 및 안승형 차량
본 발명은, 안승형 차량에 탑재되는 브레이크 시스템의 액압 제어 유닛, 상기 액압 제어 유닛을 구비한 브레이크 시스템, 및, 상기 브레이크 시스템을 구비한 안승형 차량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안승형 차량에는, 브레이크액의 액압을 제어함으로써 차륜의 제동력을 제어하는, 안티 록 브레이크 제어를 실행 가능한 브레이크 시스템을 구비한 것이 존재한다. 이러한 브레이크 시스템은, 액압 제어 유닛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액압 제어 유닛은, 브레이크액이 흐르는 내부 유로가 형성된 베이스체(基體)와, 베이스체에 설치되어 내부 유로를 개폐하는 인렛 밸브 및 아웃렛 밸브와, 인렛 밸브의 구동원으로서의 제 1 코일과, 아웃렛 밸브의 구동원으로서의 제 2 코일과, 제 1 코일 및 제 2 코일과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제 1 코일 및 제 2 코일로의 통전을 제어하는 회로 기판과, 베이스체와 접속되고, 내부에 제 1 코일, 제 2 코일 및 회로 기판이 수납되어 있는 하우징을 구비하고 있다.
액압 제어 유닛은, 안승형 차량에 탑재될 때, 예를 들어, 안승형 차량의 프론트 포크에 유지된다(특허문헌 1 참조). 이때, 종래의 액압 제어 유닛은, 안승형승형 차량을 정면시(正面視)했을 때, 적어도 일부가 프론트 포크의 외측에 배치되어 있다. 환언하면, 종래의 액압 제어 유닛이 탑재된 안승형 차량을 정면시했을 때, 종래의 액압 제어 유닛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액압 제어 유닛을 유지하고 있는 프론트 포크를 기준으로 하여, 전륜(前輪)과 반대측에 위치하는 영역에 배치되어 있다.
[특허문헌 1] 일본 특허공보 제6118424호
상술한 바와 같이, 종래의 액압 제어 유닛은, 안승형 차량을 정면시했을 때, 적어도 일부가 프론트 포크의 외측에 배치되어 있다. 이 때문에, 종래의 액압 제어 유닛은, 안승형 차량의 주행 중에 날아든 돌 등이 충돌하는 등에 의해 외력을 받기 쉽다. 또한, 종래의 액압 제어 유닛은, 안승형 차량이 넘어졌을 때, 지면 등에 충돌하여 외력을 받기 쉽다. 이와 같이, 종래의 액압 제어 유닛은, 안승형 차량에 탑재되었을 때, 외력을 받기 쉬운 상태로 되어 있다는 과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를 배경으로 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안승형 차량에 탑재되었을 때, 외력을 받는 것을 종래보다도 억제할 수 있는 액압 제어 유닛을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이러한 액압 제어 유닛을 구비한 브레이크 시스템을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이러한 브레이크 시스템을 구비한 안승형 차량을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액압 제어 유닛은, 안승형 차량에 탑재되고, 또한, 안티 록 브레이크 제어를 실행 가능한 브레이크 시스템의 액압 제어 유닛으로서, 상기 안티 록 브레이크 제어에서의 감압시에 휠 실린더로부터 벗어난 브레이크액을 어큐뮬레이터에 비축하고, 상기 어큐뮬레이터 내의 브레이크액을 펌프리스로 상기 어큐뮬레이터 밖으로 배출하는 구성으로, 마스터 실린더에 연통하는 액관이 접속되는 마스터 실린더 포트와, 상기 휠 실린더에 연통하는 액관이 접속되는 휠 실린더 포트와, 상기 마스터 실린더 포트와 상기 휠 실린더 포트를 연통시키는 내부 유로가 형성된 베이스체와, 상기 베이스체에 설치되어, 상기 안티 록 브레이크 제어시에 상기 내부 유로를 개폐하는 인렛 밸브 및 아웃렛 밸브와, 상기 인렛 밸브의 구동원으로서의 제 1 코일과, 상기 아웃렛 밸브의 구동원으로서의 제 2 코일과, 상기 제 1 코일 및 상기 제 2 코일과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상기 제 1 코일 및 상기 제 2 코일로의 통전을 제어하는 회로 기판과, 상기 베이스체와 접속되고, 내부에 상기 제 1 코일, 상기 제 2 코일, 및 상기 회로 기판이 수납되어 있는 하우징을 구비하고, 상기 베이스체로의 상기 하우징의 접속 방향과 수직인 방향을 폭 방향으로 하고, 상기 하우징에서의, 상기 폭 방향에 있어서 대향하는 한 쌍의 측면 중 한쪽을 제 1 측면으로 하고, 다른 쪽을 제 2 측면으로 한 경우, 상기 하우징의 상기 폭 방향의 치수는, 상기 베이스체의 상기 폭 방향의 치수보다도 크고, 상기 액압 제어 유닛을 상기 접속 방향으로부터 본 상태에서, 상기 베이스체의 상기 폭 방향의 중심이 상기 하우징의 상기 폭 방향의 중심보다도 상기 제 1 측면측에 위치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브레이크 시스템은, 본 발명에 따른 액압 제어 유닛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안승형 차량은, 본 발명에 따른 브레이크 시스템을 구비하고 있다.
베이스체는, 회로 기판 등이 수납되어 있는 하우징과 비교하여, 폭 방향의 치수를 작게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액압 제어 유닛은, 베이스체로의 하우징의 접속 방향에서 본 상태에서, 베이스체의 폭 방향의 중심이 하우징의 폭 방향의 중심보다도 제 1 측면측에 위치하고 있다. 즉, 베이스체로의 하우징의 접속 방향에서 본 발명에 따른 액압 제어 유닛을 보았을 때, 베이스체에 대한 하우징의 폭 방향의 돌출량은, 제 2 측면측과 비교하여, 제 1 측면측이 작아진다. 이 때문에, 본 발명에 따른 액압 제어 유닛은, 베이스체의 적어도 일부의 폭 방향의 치수를 프론트 포크와 전륜 사이의 틈보다도 작게 형성함으로써, 하우징의 제 1 측면을 전륜과 대향시켜, 베이스체의 적어도 일부를 프론트 포크와 전륜 사이에 배치할 수 있다. 이때, 하우징에서의 베이스체로부터 폭 방향으로 돌출된 개소 중, 제 2 측면측의 개소는, 상기 액압 제어 유닛이 탑재된 안승형 차량을 정면시한 상태에서, 프론트 포크의 후방에 배치시킬 수 있다. 이 때문에, 본 발명에 따른 액압 제어 유닛은, 상기 액압 제어 유닛이 탑재된 안승형 차량을 정면시했을 때, 프론트 포크의 외측에 배치되는 영역을 종래보다도 작게 할 수 있어, 외력을 받는 것을 종래보다도 억제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브레이크 시스템이 탑재되는 자전거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브레이크 시스템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액압 제어 유닛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액압 제어 유닛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액압 제어 유닛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며, 일부를 단면으로 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액압 제어 유닛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액압 제어 유닛의 베이스체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내부를 투과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액압 제어 유닛의 베이스체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내부를 투과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액압 제어 유닛의 다른 일례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액압 제어 유닛에서의 회로 기판의 조립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에, 본 발명에 따른 액압 제어 유닛, 브레이크 시스템 및 안승형 차량에 대하여, 도면을 사용하여 설명한다.
또한, 이하에서는, 본 발명이 자전거(예를 들어, 이륜차, 삼륜차 등)에 채용되는 경우를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자전거 이외의 다른 안승형 차량에 채용되어도 좋다. 자전거 이외의 다른 안승형 차량이란, 예를 들어, 엔진 및 전동 모터 중 적어도 하나를 구동원으로 하는 자동 이륜차, 자동 삼륜차, 및 버기(buggy) 등이다. 또한, 자전거란, 페달에 부여되는 답력에 의해 노상을 추진하는 것이 가능한 탈 것 전반을 의미하고 있다. 즉, 자전거에는, 보통 자전거, 전동 어시스트 자전거, 전동 자전거 등이 포함된다. 또한, 자동 이륜차 또는 자동 삼륜차는, 이른바 모터 사이클을 의미하고, 모터 사이클에는, 오토바이, 스쿠터, 전동 스쿠터 등이 포함된다.
또한, 이하에서 설명하는 구성, 동작 등은, 일례이며, 본 발명에 따른 액압 제어 유닛, 브레이크 시스템 및 안승형 차량은, 이러한 구성, 동작 등인 경우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브레이크 시스템이, 전륜에 발생하는 제동력에 대해서만 안티 록 브레이크 제어를 실행하는 것인 경우를 설명하고 있지만, 본 발명에 따른 브레이크 시스템이, 후륜(後輪)에 발생하는 제동력에 대해서만 안티 록 브레이크 제어를 실행하는 것이라도 좋고, 또한, 전륜에 발생하는 제동력 및 후륜에 발생하는 제동력 양쪽에 대하여 안티 록 브레이크 제어를 실행하는 것이라도 좋다.
또한, 각 도면에 있어서는, 동일 또는 유사한 부재 또는 부분에, 동일 부호를 붙이고 있거나, 또는, 부호를 붙이는 것을 생략하고 있다. 또한, 미세한 구조에 대해서는, 적당히 도시를 간략화 또는 생략하고 있다. 또한, 중복되는 설명에 대해서는, 적당히 간략화 또는 생략하고 있다.
<브레이크 시스템의 자전거로의 탑재>
실시형태에 따른 브레이크 시스템의 자전거로의 탑재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브레이크 시스템이 탑재되는 자전거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또한, 도 1에서는, 자전거(200)가 이륜차인 경우를 나타내고 있지만, 자전거(200)는 삼륜차 등의 다른 자전거라도 좋다.
안승형 차량의 일례인 자전거(200)는, 프레임(210)과, 선회부(230)와, 새들(218)과, 페달(219)과, 후륜(220)과, 후륜 제동부(260)를 구비하고 있다.
프레임(210)은, 예를 들어, 선회부(230)의 스티어링 칼럼(231)을 축지지하는 헤드 튜브(211)와, 헤드 튜브(211)에 연결되어 있는 톱 튜브(212) 및 다운 튜브(213)와, 톱 튜브(212) 및 다운 튜브(213)에 연결되고, 새들(218)을 유지하는 시트 튜브(214)와, 시트 튜브(214)의 상하단에 연결되고, 후륜(220) 및 후륜 제동부(260)를 유지하고 있는 스테이(215)를 포함한다.
선회부(230)에는, 스티어링 칼럼(231)과, 스티어링 칼럼(231)에 유지되어 있는 핸들 스템(232)과, 핸들 스템(232)에 유지되어 있는 핸들 바(233)와, 핸들 바(233)에 부착되어 있는 제동 조작부(240)와, 스티어링 칼럼(231)에 연결되어 있는 프론트 포크(216)와, 프론트 포크(216)에 회전 가능하게 유지되어 있는 전륜(217)과, 전륜 제동부(250)가 포함된다. 프론트 포크(216)는, 전륜(217)의 양측에 설치되어 있다. 프론트 포크(216)는, 일단이 스티어링 칼럼(231)에 연결되고, 타단이 전륜(217)의 회전 중심에 접속되어 있다. 즉, 전륜(217)은, 한 쌍의 프론트 포크(216) 사이에, 회전 가능하게 유지되어 있다. 또한, 프론트 포크(216)는, 서스펜션 장착 프론트 포크라도 좋다.
제동 조작부(240)는, 전륜 제동부(250)의 조작부로서 사용되는 기구와, 후륜 제동부(260)의 조작부로서 사용되는 기구를 포함한다. 예를 들면, 전륜 제동부(250)의 조작부로서 사용되는 기구는, 핸들 바(233)의 우단측에 배치되고, 후륜 제동부(260)의 조작부로서 사용되는 기구는, 핸들 바(233)의 좌단측에 배치된다.
선회부(230)의 프론트 포크(216)에, 액압 제어 유닛(1)이 유지되어 있다. 액압 제어 유닛(1)은, 전륜 제동부(250)의 브레이크액의 압력의 제어를 담당하는 유닛이다. 또한, 후륜 제동부(260)는, 브레이크액의 압력을 증가시킴으로써 제동력을 발생시키는 타입의 제동부라도 좋고, 또한, 기계식으로 제동력을 발생시키는 타입의 제동부(예를 들면, 와이어에 장력을 발생시킴으로써 제동력을 발생시키는 타입의 제동부 등)라도 좋다.
예를 들어, 프레임(210)의 다운 튜브(213)에는, 액압 제어 유닛(1)의 전원이되는 전원 유닛(270)이 부착되어 있다. 전원 유닛(270)은, 배터리라도 좋고, 또한, 발전기라도 좋다. 발전기에는, 예를 들면, 자전거(200)의 주행에 의해 발전하는 것(예를 들면, 전륜(217) 또는 후륜(220)의 회전에 의해 발전하는 허브 다이나모, 전륜(217) 또는 후륜(220)의 구동원의 전동기로서 회생 전력을 발전하는 것 등), 태양광에 의해 발전하는 것 등이 포함된다.
즉, 자전거(200)에는, 적어도, 제동 조작부(240)와, 전륜 제동부(250)와, 액압 제어 유닛(1)과, 전원 유닛(270)을 포함하는, 브레이크 시스템(100)이 탑재되어 있다. 브레이크 시스템(100)은, 전륜 제동부(250)의 브레이크액의 압력을 액압 제어 유닛(1)에 의해 제어함으로써, 안티 록 브레이크 제어를 실행 가능하다.
<브레이크 시스템의 구성>
실시형태에 따른 브레이크 시스템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브레이크 시스템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액압 제어 유닛(1)은, 베이스체(10)를 구비하고 있다. 베이스체(10)에는, 마스터 실린더 포트(11)와, 휠 실린더 포트(12)와, 마스터 실린더 포트(11)와 휠 실린더 포트(12)를 연통시키는 내부 유로(13)가 형성되어 있다.
내부 유로(13)는 브레이크액의 유로이다. 내부 유로(13)에는, 제 1 유로(14)와, 제 2 유로(15)와, 제 3 유로(16)와, 제 4 유로(17)가 포함된다. 마스터 실린더 포트(11)와 휠 실린더 포트(12)는, 제 1 유로(14) 및 제 2 유로(15)를 통해서 연통하고 있다. 또한, 제 2 유로(15)의 도중부에는, 제 3 유로(16)의 입구측의 단부가 접속되어 있다.
마스터 실린더 포트(11)에는, 액관(101)을 통해서 제동 조작부(240)가 접속된다. 제동 조작부(240)는, 브레이크 레버(241)와, 마스터 실린더(242)와, 리저버(243)를 포함한다. 마스터 실린더(242)는, 브레이크 레버(241)의 사용자의 조작에 연동하여 이동하는 피스톤부(도시 생략)를 구비하고 있으며, 액관(101) 및 마스터 실린더 포트(11)를 통해서, 제 1 유로(14)의 입구측에 접속되어 있다. 환언하면, 마스터 실린더 포트(11)에는, 마스터 실린더(242)에 연통하는 액관(101)이 접속되어 있다. 피스톤부의 이동에 의해, 제 1 유로(14)의 브레이크액의 압력이 상승 또는 감소한다. 또한, 리저버(243)에는, 마스터 실린더(242)의 브레이크액이 비축된다.
휠 실린더 포트(12)에는, 액관(102)을 통해서 전륜 제동부(250)가 접속된다. 전륜 제동부(250)는, 휠 실린더(251)와, 로터(252)를 포함한다. 휠 실린더(251)는, 프론트 포크(216)의 하단부에 부착되어 있다. 휠 실린더(251)는, 액관(102)의 압력에 연동하여 이동하는 피스톤부(도시 생략)를 구비하고 있고, 액관(102) 및 휠 실린더 포트(12)를 통해서, 제 2 유로(15)의 출구측에 접속되어 있다. 환언하면, 휠 실린더 포트(12)에는, 휠 실린더(251)에 연통하는 액관(102)이 접속되어 있다. 로터(252)는, 전륜(217)에 유지되고, 전륜(217)과 함께 회전한다. 피스톤부의 이동에 의해, 로터(252)에 브레이크 패드(도시 생략)가 눌림으로써, 전륜(217)이 제동된다.
또한, 액압 제어 유닛(1)은, 내부 유로(13)의 개폐를 행하는 인렛 밸브(31) 및 아웃렛 밸브(32)를 구비하고 있다. 인렛 밸브(31) 및 아웃렛 밸브(32)는, 베이스체(10)에 설치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인렛 밸브(31)는, 제 1 유로(14)의 출구측과 제 2 유로(15)의 입구측 사이에 설치되어 있고, 제 1 유로(14)와 제 2 유로(15) 사이의 브레이크액의 유통을 개폐한다. 아웃렛 밸브(32)는, 제 3 유로(16)의 출구측과 제 4 유로(17)의 입구측 사이에 설치되어 있고, 제 3 유로(16)와 제 4 유로(17) 사이의 브레이크액의 유통을 개폐한다. 인렛 밸브(31) 및 아웃렛 밸브(32)의 개폐 동작에 의해, 브레이크액의 압력이 제어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따른 브레이크 시스템(100)은, 전륜에 발생하는 제동력에 대해서만 안티 록 브레이크 제어를 실행하는 1계통의 브레이크 시스템으로 되어 있다. 이 때문에, 본 실시형태에서는, 인렛 밸브(31) 및 아웃렛 밸브(32)는, 베이스체(10)에 한 쌍만 설치되어 있다.
또한, 액압 제어 유닛(1)은, 인렛 밸브(31)의 구동원으로서의 제 1 코일(61)과, 아웃렛 밸브(32)의 구동원으로서의 제 2 코일(62)을 구비하고 있다. 예를 들어, 제 1 코일(61)이 비통전 상태일 때, 인렛 밸브(31)는, 양방향으로의 브레이크액의 유동을 개방한다. 그리고, 제 1 코일(61)에 통전되면, 인렛 밸브(31)는, 폐지(閉止) 상태가 되어 브레이크액의 유동을 차단한다. 즉, 본 실시형태에서는, 인렛 밸브(31)는, 비통전시 개방의 전자 밸브로 되어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제 2 코일(62)이 비통전 상태일 때, 아웃렛 밸브(32)는, 브레이크액의 유동을 차단한다. 그리고, 제 2 코일(62)에 통전되면, 아웃렛 밸브(32)는, 개방 상태가 되어 양방향으로의 브레이크액의 유동을 개방한다. 즉, 본 실시형태에서는, 아웃렛 밸브(32)는, 비통전시 닫힘의 전자 밸브로 되어 있다.
또한, 액압 제어 유닛(1)은, 어큐뮬레이터(33)를 구비하고 있다. 어큐뮬레이터(33)는, 제 4 유로(17)의 출구측에 접속되어 있고, 아웃렛 밸브(32)를 통과한 브레이크액이 저류된다.
또한, 액압 제어 유닛(1)은, 브레이크액의 압력을 검출하기 위한 압력 센서(103)를 구비하고 있다. 압력 센서(103)는, 베이스체(10)에 설치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압력 센서(103)는, 휠 실린더(251)의 브레이크액의 압력을 검출하고 있다. 압력 센서(103)는, 제 2 유로(15)에 연통하고 있다.
또한, 액압 제어 유닛(1)은, 제어부(35)를 구비하고 있다. 제어부(35)에는, 압력 센서(103), 전륜(217)의 회전 속도를 검출하기 위한 차륜속 센서(도시 생략) 등의 각종 센서의 신호가 입력된다. 또한, 제어부(35)의 각 부가, 하나로 모아져서 배치되어 있어도 좋고, 또한, 분산하여 배치되어 있어도 좋다. 제어부(35)는, 예를 들면, 마이크로 컴퓨터, 마이크 프로세서 유닛 등을 포함하여 구성되어도 좋고, 또한, 펌웨어 등의 갱신 가능한 것을 포함하여 구성되어도 좋고, 또한, CPU 등으로부터의 지령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 모듈 등을 포함하여 구성되어도 좋다.
제어부(35)는, 제 1 코일(61) 및 제 2 코일(62)로의 통전을 제어한다. 상세하게는, 제어부(35)는, 제 1 코일(61)로의 통전을 제어함으로써, 인렛 밸브(31)의 구동(개폐 동작)을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35)는, 제 2 코일(62)로의 통전을 제어함으로써, 아웃렛 밸브(32)의 구동(개폐 동작)을 제어한다. 즉, 제어부(35)는, 인렛 밸브(31) 및 아웃렛 밸브(32)의 개폐 동작을 제어함으로써, 휠 실린더(251)의 브레이크액의 압력, 즉, 전륜(217)의 제동력을 제어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어부(35)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회로 기판(36)을 구비하고 있다. 회로 기판(36)은, 제 1 코일(61) 및 제 2 코일(62)과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고, 제 1 코일(61) 및 제 2 코일(62)로의 통전을 제어한다. 즉, 회로 기판(36)은, 제 1 코일(61) 및 제 2 코일(62)로의 통전을 제어함으로써, 인렛 밸브(31) 및 아웃렛 밸브(32)의 구동을 제어한다.
예를 들면, 제어부(35)는, 사용자에 의한 브레이크 레버(241)의 조작에 의해 전륜(217)이 제동되어 있을 때에, 차륜속 센서(도시 생략)의 신호로부터, 전륜(217)의 록 또는 록의 가능성이 있다고 판단하면, 안티 록 브레이크 제어를 개시한다.
안티 록 브레이크 제어가 개시되면, 제어부(35)는, 제 1 코일(61)을 통전 상태로 하고, 인렛 밸브(31)를 폐지시켜, 마스터 실린더(242)로부터 휠 실린더(251)로의 브레이크액의 유동을 차단함으로써, 휠 실린더(251)의 브레이크액의 증압을 억제한다. 한편, 제어부(35)는, 제 2 코일(62)을 통전 상태로 하고, 아웃렛 밸브(32)를 개방시켜, 휠 실린더(251)로부터 어큐뮬레이터(33)로의 브레이크액의 유동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휠 실린더(251)의 브레이크액의 감압을 행한다. 이로써, 전륜(217)의 록이 해제 또는 회피된다. 제어부(35)는, 압력 센서(103)의 신호로부터, 휠 실린더(251)의 브레이크액이 소정의 값까지 감압되었다고 판단하면, 제 2 코일(62)을 비통전 상태로 하여 아웃렛 밸브(32)를 폐지시켜, 단시간 동안, 제 1 코일(61)을 비통전 상태로 하여 인렛 밸브(31)를 개방시켜, 휠 실린더(251)의 브레이크액의 증압을 행한다. 제어부(35)는, 휠 실린더(251)의 브레이크액의 증감압을 1회만 행해도 좋고, 또한, 복수회 반복해도 좋다.
안티 록 브레이크 제어가 종료되고, 브레이크 레버(241)가 되돌아오면, 마스터 실린더(242) 내가 대기압 상태가 되어, 휠 실린더(251) 내의 브레이크액이 되돌아온다. 또한, 안티 록 브레이크 제어가 종료되고, 브레이크 레버(241)가 되돌아왔을 때, 아웃렛 밸브(32)를 개방 상태로 한다. 내부 유로(13) 내의 브레이크액의 압력이 어큐뮬레이터(33)에 비축되어 있는 브레이크액의 압력보다도 낮아지면, 어큐뮬레이터(33)에 비축되어 있는 브레이크액은, 승압리스(즉, 펌프리스)로 어큐뮬레이터(33) 밖으로 배출된다. 그리고, 어큐뮬레이터(33) 밖으로 방출된 브레이크액은, 제 4 유로(17), 아웃렛 밸브(32), 제 3 유로(16), 제 2 유로(15), 인렛 밸브(31) 및 제 1 유로(14)의 순으로 흘러, 마스터 실린더 포트(11) 및 액관(101)을 통해 마스터 실린더(242)로 되돌아온다. 즉, 본 실시형태에 따른 액압 제어 유닛(1)은, 안티 록 브레이크 제어에서의 감압시에 휠 실린더(251)로부터 벗어난 브레이크액을 어큐뮬레이터(33)에 비축하고, 어큐뮬레이터(33) 내의 브레이크액을 펌프리스로 어큐뮬레이터(33) 밖으로 배출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한, 내부 유로(13)는, 어큐뮬레이터(33) 내의 브레이크액을 아웃렛 밸브(32)를 통하지 않고 마스터 실린더 포트(11)로 되돌릴 수 없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액압 제어 유닛의 구성>
실시형태에 따른 브레이크 시스템의 액압 제어 유닛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또한, 이하에서는, 액압 제어 유닛(1)이 자전거(200)의 프론트 포크(216)에 유지되어 있는 상태에서, 프론트 포크(216)의 축(216a)의 연장되는 방향이 액압 제어 유닛(1)의 상하 방향이 되도록 액압 제어 유닛(1)을 관찰하면서, 액압 제어 유닛(1)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해 간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액압 제어 유닛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이 도 3에는, 액압 제어 유닛(1)과 함께, 전륜(217)과, 액압 제어 유닛(1)을 유지하는 프론트 포크(216)를 도시하고 있다. 도 3에서는, 종이면 좌측이 자전거(200)의 전방이 된다. 즉, 액압 제어 유닛(1)이 탑재된 자전거(200)를 정면시한 상태란, 도 3의 종이면 좌측으로부터, 액압 제어 유닛(1), 프론트 포크(216) 및 전륜(217)을 관찰한 상태가 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액압 제어 유닛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액압 제어 유닛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며, 일부를 단면으로 한 도면이다. 또한, 도 5는, 도 4에 나타내는 화살표 A 방향으로 액압 제어 유닛(1)을 관찰한 일부 단면 측면도로 되어 있다. 또한, 도 5에서는, 내부 유로(13)의 제 2 유로(15)는, 단면 부분의 전방에 위치하는 것이 된다. 이 때문에, 도 5에서는, 제 2 유로(15)의 일부를, 상상선인 2점 쇄선으로 나타내고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액압 제어 유닛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액압 제어 유닛의 베이스체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내부를 투과한 도면이다. 상세하게는, 도 7은, 도 4의 화살표 B 방향으로 베이스체(10)를 관찰한 도면으로 되어 있다. 또한, 도 8은, 도 4의 화살표 C 방향으로 베이스체(10)를 관찰한 도면으로 되어 있다. 또한, 도 7 및 도 8에서는, 베이스체(10) 내의 내부 유로(13)를 보기 쉽게 하기 위해서, 베이스체(10)의 전면(27)에 형성되어 있는 암나사(273)의 도시를 생략하고 있다.
이하, 도 3 내지 도 8을 사용하여, 본 실시형태에 따른 액압 제어 유닛(1)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또한, 액압 제어 유닛(1)의 구성을 설명할 때에, 도 4에 나타내는 접속 방향(X), 폭 방향(Y) 및 축 방향(Z)을, 다음과 같이 정의한다. 접속 방향(X)은, 베이스체로의 후술하는 하우징의 접속 방향이다. 폭 방향(Y)은, 접속 방향(X)과 수직인 방향이다. 폭 방향(Y)은, 프론트 포크(216)와 전륜(217)이 대향하는 방향이기도 하고, 액압 제어 유닛(1)의 가로폭을 나타내고 있다. 축 방향(Z)은, 프론트 포크(216)의 축(216a)과 평행한 방향이다. 축 방향(Z)은, 폭 방향(Y)과 수직인 방향이기도 하다. 보다 상세하게는, 축 방향(Z)은, 접속 방향(X)과 수직이고, 또한 폭 방향(Y)과 수직인 방향이다. 또한, 베이스체(10)의 후술하는 상면(25) 및 하면(26)은, 축 방향(Z)으로 늘어서 있다. 이 때문에, 축 방향(Z)은, 상면(25)과 하면(26)이 나란한 방향이라고도 할 수 있다.
액압 제어 유닛(1)은, 베이스체(10)와, 인렛 밸브(31)와, 아웃렛 밸브(32)와, 제 1 코일(61)과, 제 2 코일(62)과, 회로 기판(36)과, 하우징(40)을 구비하고 있다.
베이스체(10)는, 예를 들면, 알루미늄 합금을 소재로 하는, 대략 직방체의 부재이다. 또한, 베이스체(10)의 각 면은, 평탄해도 좋고, 만곡부를 포함하고 있어도 좋고, 또한, 단차를 포함하고 있어도 좋다. 베이스체(10)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마스터 실린더 포트(11)와, 휠 실린더 포트(12)와, 마스터 실린더 포트(11)와 휠 실린더 포트(12)를 연통시키는 내부 유로(13)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베이스체(10)에는, 인렛 밸브(31)가 설치된 인렛 밸브용 오목부(18)와, 아웃렛 밸브(32)가 설치된 아웃렛 밸브용 오목부(19)가 형성되어 있다.
도 7 및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마스터 실린더 포트(11)는, 베이스체(10)의 상면(25)에 형성되어 있다. 인렛 밸브용 오목부(18)는, 베이스체(10)의 후면(28)으로 개구되어 형성되어 있다. 인렛 밸브용 오목부(18)는, 제 1 오목부(18a) 및 제 2 오목부(18b)를 구비하고 있다. 제 1 오목부(18a)는, 베이스체(10)의 후면(28)으로 개구된, 대략 원통 형상의 오목부이다. 제 2 오목부(18b)는, 제 1 오목부(18a)보다도 베이스체(10)의 전면(27)측에 배치되어 있다. 제 2 오목부(18b)는, 제 1 오목부(18a)보다도 작은 직경의 대략 원통 형상을 하고 있고, 제 1 오목부(18a)의 바닥부에 연통하고 있다. 또한, 마스터 실린더 포트(11)와 인렛 밸브용 오목부(18)의 제 2 오목부(18b)는, 내부 유로(13)의 제 1 유로(14)로 접속되어 있다.
인렛 밸브용 오목부(18)의 제 1 오목부(18a)에는, 내부 유로(13)의 제 2 유로(15)가 접속되어 있다. 제 1 오목부(18a)와 제 2 유로(15)가 직접 접속되어 있어도 좋지만,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 1 오목부(18a)와 제 2 유로(15)는 인렛 밸브용 노치(23)를 통해서 접속되어 있다. 인렛 밸브용 노치(23)는, 제 1 오목부(18a)의 내주면에, 외측으로 움푹하게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인렛 밸브용 노치(23)의 상단부(23a)는, 제 1 오목부(18a)의 내주면의 상단부(18c)보다도 하측에 위치하고 있다.
아웃렛 밸브용 오목부(19)는, 베이스체(10)의 후면(28)으로 개구되어 형성되어 있다. 아웃렛 밸브용 오목부(19)와 인렛 밸브용 오목부(18)는, 축 방향(Z)에 있어서 나란하다. 아웃렛 밸브용 오목부(19)는, 제 1 오목부(19a) 및 제 2 오목부(19b)를 구비하고 있다. 제 1 오목부(19a)는, 베이스체(10)의 후면(28)으로 개구된, 대략 원통 형상의 오목부이다. 제 2 오목부(19b)는, 제 1 오목부(19a)보다도 베이스체(10)의 전면(27)측에 배치되어 있다. 제 2 오목부(19b)는, 제 1 오목부(19a)보다도 작은 직경의 대략 원통 형상을 하고 있고, 제 1 오목부(19a)의 바닥부에 연통하고 있다.
아웃렛 밸브용 오목부(19)의 제 1 오목부(19a)와 인렛 밸브용 오목부(18)의 제 1 오목부(18a)는, 내부 유로(13)의 제 2 유로(15)로 접속되어 있다. 즉, 아웃렛 밸브용 오목부(19)의 제 1 오목부(19a)와 내부 유로(13)의 제 2 유로(15)의 접속 개소가, 도 2에 나타내는 제 3 유로(16)로서 기능한다. 제 2 유로(15) 중, 인렛 밸브용 오목부(18)와 아웃렛 밸브용 오목부(19)를 접속하는 부분은, 직선상으로 연장되는 유로로 되어 있다. 또한, 제 2 유로(15)는, 베이스체(10)의 하면(26)(상면(25)과 대향하는 면)에 형성된 휠 실린더 포트(12)와 접속되어 있다. 즉, 마스터 실린더 포트(11)와 휠 실린더 포트(12)는, 상면(25) 및 하면(26)에 나뉘어 형성되어 있다. 환언하면, 마스터 실린더 포트(11)와 휠 실린더 포트(12)는, 축 방향(Z)에 있어서 대향하는 한 쌍의 측면에 나뉘어 형성되어 있다. 제 2 유로(15) 중, 인렛 밸브용 오목부(18)와 아웃렛 밸브용 오목부(19)와 휠 실린더 포트(12)를 접속하는 부분도 또한, 직선상으로 연장되는 유로로 되어 있다. 또한, 아웃렛 밸브용 오목부(19)의 제 1 오목부(19a)와 제 2 유로(15)가 직접 접속되어 있어도 좋지만,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 1 오목부(19a)와 제 2 유로(15)는 아웃렛 밸브용 노치(24)를 통해서 접속되어 있다. 아웃렛 밸브용 노치(24)는, 제 1 오목부(19a)의 내주면에, 외측으로 움푹하게 형성되어 있다. 또한, 아웃렛 밸브용 노치(24)의 상단부(24a)는, 제 1 오목부(19a)의 내주면의 상단부(19c)보다도 하측에 위치하고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따른 베이스체(10)에는, 압력 센서(103)가 설치된 압력 센서용 오목부(22)가 형성되어 있다. 압력 센서용 오목부(22)는, 베이스체(10)의 후면(28)으로 개구되어 형성되어 있다. 인렛 밸브용 오목부(18)와 아웃렛 밸브용 오목부(19)와 압력 센서용 오목부(22)는, 축 방향(Z)에 있어서 나란하다. 압력 센서용 오목부(22)는, 내부 유로(13)의 제 2 유로(15)에서의 아웃렛 밸브용 오목부(19)와 휠 실린더 포트(12)를 접속하는 부분에 연통하고 있다. 즉, 압력 센서(103)는, 내부 유로(13)의 제 2 유로(15)에서의 아웃렛 밸브용 오목부(19)와 휠 실린더 포트(12)를 접속하는 부분에 연통하고 있다.
또한, 베이스체(10)의 하면(26)에는, 어큐뮬레이터(33)가 형성되어 있다. 어큐뮬레이터(33)는, 내부 유로(13)의 제 4 유로(17)에 의해, 아웃렛 밸브용 오목부(19)의 제 2 오목부(19b)와 접속되어 있다.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인렛 밸브용 오목부(18)의 제 1 오목부(18a)에는, 제 1 오목부(18a)의 축 방향이 되는 접속 방향(X)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인렛 밸브(31)가 설치되어 있다. 인렛 밸브(31)의 일부는, 베이스체(10)의 후면(28)으로부터 후방으로 돌출되어 있다. 또한, 베이스체(10)의 후면(28)에는, 제 1 코일(61)이 입설(立設)되어 있다. 제 1 코일(61)은, 인렛 밸브(31)에서의 베이스체(10)의 후면(28)으로부터 후방으로 돌출되어 있는 개소를 둘러싸도록, 설치되어 있다. 즉, 제 1 코일(61)의 축(61a)은, 제 1 오목부(18a) 및 인렛 밸브(31)의 축과 마찬가지로, 접속 방향(X)으로 연장되어 있다. 또한, 제 1 코일(61)의 꼭대기면(61b)에는, 단자(63)가 설치되어 있다. 이 단자(63)를 통해서, 제 1 코일(61)은, 상기 제 1 코일(61)의 후방에 배치된 회로 기판(36)과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구부려 형성된 단자(63)를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단자(63)를 형성함으로써, 단자(63)의 위치와, 회로 기판(36)에서의 단자(63)의 삽입 구멍의 위치가 어긋나 있는 경우라도, 단자(63)가 변형됨으로써 양자의 위치 어긋남을 흡수할 수 있어, 단자(63)를 회로 기판(36)에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것이 용이해진다.
회로 기판(36)으로부터 제 1 코일(61)로의 통전을 제어함으로써, 인렛 밸브(31)는, 인렛 밸브용 오목부(18)의 제 1 오목부(18a) 내를 접속 방향(X)으로 슬라이딩한다. 이로써, 인렛 밸브(31)는, 인렛 밸브용 오목부(18)의 제 1 오목부(18a)와 제 2 오목부(18b) 사이의 유로를 개폐한다. 이로써, 제 1 오목부(18a)와 제 2 오목부(18b) 사이의 유로가 개방되었을 때,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유로(14) 및 제 2 유로(15)를 통해서, 마스터 실린더(242)로부터 휠 실린더(251)로의 브레이크액의 유동이 가능해진다. 또한, 제 1 오목부(18a)와 제 2 오목부(18b) 사이의 유로가 폐쇄되었을 때,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마스터 실린더(242)로부터 휠 실린더(251)로의 브레이크액의 유동이 차단된다.
또한,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아웃렛 밸브용 오목부(19)의 제 1 오목부(19a)에는, 제 1 오목부(19a)의 축 방향이 되는 접속 방향(X)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아웃렛 밸브(32)가 설치되어 있다. 아웃렛 밸브(32)의 일부는, 베이스체(10)의 후면(28)으로부터 후방으로 돌출되어 있다. 또한, 베이스체(10)의 후면(28)에는, 제 2 코일(62)이 입설되어 있다. 제 2 코일(62)은, 아웃렛 밸브(32)에서의 베이스체(10)의 후면(28)으로부터 후방으로 돌출되어 있는 개소를 둘러싸도록, 설치되어 있다. 즉, 제 2 코일(62)의 축(62a)은, 제 1 오목부(19a) 및 아웃렛 밸브(32)의 축과 마찬가지로, 접속 방향(X)으로 연장되어 있다. 또한, 제 2 코일(62)의 꼭대기면(62)에는, 단자(64)가 설치되어 있다. 이 단자(64)를 통해서, 제 2 코일(62)은, 상기 제 2 코일(62)의 후방에 배치된 회로 기판(36)과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구부려 형성된 단자(64)를 사용하고 있다. 이와 같이 단자(64)를 형성함으로써, 단자(64)의 위치와, 회로 기판(36)에서의 단자(64)의 삽입 구멍의 위치가 어긋나 있는 경우라도, 단자(64)가 변형됨으로써 양자의 위치 어긋남을 흡수할 수 있어, 단자(64)를 회로 기판(36)에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것이 용이해진다.
회로 기판(36)으로부터 제 2 코일(62)로의 통전을 제어함으로써, 아웃렛 밸브(32)는, 아웃렛 밸브용 오목부(19)의 제 1 오목부(19b) 내를 접속 방향(X)으로 슬라이딩한다. 이로써, 아웃렛 밸브(32)는, 아웃렛 밸브용 오목부(19)의 제 1 오목부(19a)와 제 2 오목부(19b) 사이의 유로를 개폐한다. 이로써, 제 1 오목부(19a)와 제 2 오목부(19b) 사이의 유로가 개방되었을 때,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2 유로(15) 및 제 4 유로(17)를 통해서, 휠 실린더(251)로부터 어큐뮬레이터(33)로의 브레이크액의 유동이 가능해진다.
여기서, 상술한 바와 같이, 인렛 밸브용 오목부(18)와 아웃렛 밸브용 오목부(19)는, 축 방향(Z)에 있어서 나란하다. 이 때문에, 인렛 밸브용 오목부(18)에 설치된 인렛 밸브(31)의 일부를 둘러싸도록 설치된 제 1 코일(61)과, 아웃렛 밸브 밸브용 오목부(19)에 설치된 아웃렛 밸브(32)의 일부를 둘러싸도록 설치된 제 2 코일(62)은, 축 방향(Z)에 있어서 나란히 배열되게 된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인렛 밸브용 오목부(18)와 아웃렛 밸브용 오목부(19)와 압력 센서용 오목부(22)는, 축 방향(Z)에 있어서 나란하다. 이 때문에, 제 1 코일(61)과, 제 2 코일(62)과, 압력 센서용 오목부(22)에 설치된 압력 센서(103)는, 축 방향(Z)에 있어서 나란히 배열되게 된다.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우징(40)은, 인렛 밸브(31), 아웃렛 밸브(32), 제 1 코일(61), 제 2 코일(62) 및 회로 기판(36)이 수납되어 있는 것이다. 하우징(40)은, 예를 들어 대략 직방체의, 상자형 형상을 하고 있다. 또한, 하우징(40)의 각 면은, 평탄해도 좋고, 만곡부를 포함하고 있어도 좋고, 또한, 단차를 포함하고 있어도 좋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하우징(40)은, 수지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하우징(40)의 전면(43)은, 베이스체(10)의 후면(28)에 접속되어 있다. 즉, 상술한 제 1 코일(61) 및 제 2 코일(62)은, 베이스체(10)에서의 하우징(40)이 접속되는 면에 입설되어 있다.
도 4 및 도 6 등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우징(40)의 폭 방향(Y)의 치수는, 베이스체(10)의 폭 방향(Y)의 치수보다도 크게 되어 있다. 여기서, 하우징(40)은, 폭 방향(Y)에 있어서 대향하는 한 쌍의 측면을 구비하고 있다. 이하, 이러한 측면 중 한쪽을 제 1 측면(45)으로 하고, 이러한 측면 중 다른 쪽을 제 2 측면(46)으로 한다. 이와 같이 제 1 측면(45) 및 제 2 측면(46)을 정의한 경우, 액압 제어 유닛(1)을 접속 방향(X)에서 본 상태에서, 베이스체(10)의 폭 방향(Y)의 중심이 하우징(40)의 폭 방향(Y)의 중심보다도 제 1 측면(45)측에 위치하고 있다.
액압 제어 유닛(1)을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베이스체(10)에 대한 하우징(40)의 폭 방향(Y)의 돌출량은, 제 2 측면(46)측에 비해, 제 1 측면(45)측이 작아진다. 이 때문에, 도 3에서 알 수 있듯이, 하우징(40)의 제 1 측면(45)을 전륜(217)과 대향시켜 액압 제어 유닛(1)을 프론트 포크(216)에 유지시킴으로써, 베이스체(10)의 적어도 일부를 프론트 포크(216)와 전륜(217) 사이에 배치시키기 쉬워진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 2 측면(46)은, 베이스체(10)에 가까워짐에 따라 폭 방향(Y)의 치수가 작아지는 경사부(47)를 포함하고 있다. 그러나, 제 2 측면(46)의 형상은, 이러한 형상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액압 제어 유닛의 다른 일례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2 측면(46)은, 예를 들어 계단상으로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이와 같이 제 2 측면(46)을 형성해도, 하우징(40)의 제 1 측면(45)을 전륜(217)과 대향시켜 액압 제어 유닛(1)을 프론트 포크(216)에 유지시킴으로써, 베이스체(10)의 적어도 일부를 프론트 포크(216)와 전륜(217) 사이에 배치시키기 쉬워진다. 단, 제 2 측면(46)이 경사부(47)를 포함함으로써, 제 2 측면(46)과 프론트 포크(216) 사이의 틈을 작게 할 수 있어, 하우징(40)의 수납 용량을 증대시킬 수 있다.
도 4 내지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따른 하우징(40)은, 본체부(51) 및 덮개부(58)를 구비하고 있다. 본체부(51)는, 전면이 베이스체(10)의 후면(28)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본체부(51)에는, 베이스체(10)와 접속되어 있는 면과 대향하는 면에, 즉 상기 본체부(51)의 후면에 개구부(52)가 형성되어 있다. 덮개부(58)는, 본체부(51)의 개구부(52)를 덮는 부재이다. 즉, 덮개부(58)는, 하우징(40)의 후면(44)을 구성하고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따른 본체부(51)에 있어서는, 개구부(52)의 둘레 가장자리의 일부인 제 1 측면(45)측의 변(53)과, 개구부(52)의 둘레 가장자리에서의 변(53)과 대향하는 타부(他部)인 변(54)은, 접속 방향(X)에 있어서, 도 6에 나타내는 위치 관계로 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접속 방향(X)에 있어서, 변(53)은, 회로 기판(36)에 대하여 베이스체(10)에 가까운 측에 위치하고 있다. 또한, 변(54)은, 변(53)에 대하여 베이스체(10)로부터 먼 측에 위치하고 있다. 변(53) 및 변(54)을 이러한 위치에 배치하고 있는 것은, 다음의 이유 때문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액압 제어 유닛에서의 회로 기판의 조립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인렛 밸브(31), 아웃렛 밸브(32), 제 1 코일(61), 제 2 코일(62), 및 하우징(40)의 본체부(51)가 베이스체(10)에 접속된 조립체를 준비하고, 베이스체(10)의 전면(27)이 하면이 되는 자세로 조립체를 유지한 상태에서, 조립체에 회로 기판(36)이 조립된다. 이때, 조립체에 회로 기판(36)을 조립할 때에, 회로 기판(36)의 하방에, 지그(75)를 배치하는 경우가 있다. 예를 들어, 본 실시형태의 경우, 상술한 바와 같이, 구부려 형성된 단자(63) 및 단자(64)를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경우, 단자(63) 및 단자(64)를 회로 기판(36)의 삽입 구멍으로 삽입할 때, 단자(63) 및 단자(64)에 과부하가 걸리지 않도록, 회로 기판(36)의 하방에, 단자(63) 및 단자(64)를 지지하는 지그(75)를 배치한다.
회로 기판(36)의 하방에 지그(75)를 배치시키려면, 본체부(51)의 개구부(52)의 둘레 가장자리에서의 지그(75)와 대향하는 개소를, 도 10에 있어서 지그(75)의 하방이 되는 위치에 배치할 필요가 있다. 이때, 본체부(51)의 개구부(52)의 둘레 가장자리 전체를 접속 방향(X)에 있어서 베이스체(10)로부터 등거리로 배치한 경우, 접속 방향(X)에 대한 경사부(47)의 경사 각도가 커진다. 환언하면, 도 3에서, 경사부(47)가 프론트 포크(216)에 접근하게 된다. 또한, 하우징(40)의 제 2 측면(46)이 도 9와 같이 구성되어 있는 경우, 하우징(40)에서의 베이스체(10)로부터 제 2 측면(46)측으로 돌출된 부분은, 도 10에 나타내는 위치와 비교하여, 베이스체(10)에 접근하게 된다.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액압 제어 유닛(1)이 탑재된 자전거(200)를 정면시했을 때, 하우징(40)에서의 베이스체(10)로부터 제 2 측면(46)측으로 돌출된 부분은, 프론트 포크(216)의 후방에 배치되게 된다. 이 때문에, 본체부(51)의 개구부(52)의 둘레 가장자리 전체를 접속 방향(X)에 있어서 베이스체(10)로부터 등거리로 배치한 경우, 하우징(40)에서의 베이스체(10)로부터 제 2 측면(46)측으로 돌출된 부분을 프론트 포크(216)의 후방에 배치하기 위해서는, 액압 제어 유닛(1)의 접속 방향(X)의 길이를, 도 4 및 도 9에서 나타내는 상태보다도 길게 해야한다. 즉, 본체부(51)의 개구부(52)의 둘레 가장자리 전체를 접속 방향(X)에 있어서 베이스체(10)로부터 등거리로 배치한 경우, 액압 제어 유닛(1)은, 도 4 및 도 9에서 나타내는 상태보다도 대형화하게 된다.
한편, 변(53) 및 변(54)을 본 실시형태와 같이 배치함으로써, 회로 기판(36)의 하방에 지그(75)를 배치시킬 수 있고, 또한, 본체부(51)의 개구부(52)의 둘레 가장자리 전체를 접속 방향(X)에 있어서 베이스체(10)로부터 등거리에 배치한 경우와 비교하여, 접속 방향(X)에 대한 경사부(47)의 경사 각도가 커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하우징(40)의 제 2 측면(46)이 도 9와 같이 구성되어 있는 경우, 변(53) 및 변(54)을 본 실시형태와 같이 배치함으로써, 회로 기판(36)의 하방에 지그(75)를 배치시킬 수 있고, 또한, 본체부(51)의 개구부(52)의 둘레 가장자리 전체를 접속 방향(X)에 있어서 베이스체(10)로부터 등거리에 배치한 경우와 비교하여, 하우징(40)에서의 베이스체(10)로부터 제 2 측면(46)측으로 돌출된 부분이 베이스체(10)에 가까워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즉, 변(53) 및 변(54)을 본 실시형태와 같이 배치함으로써, 회로 기판(36)의 하방에 지그(75)를 배치시킬 수 있고, 또한, 본체부(51)의 개구부(52)의 둘레 가장자리 전체를 접속 방향(X)에 있어서 베이스체(10)로부터 등거리로 배치한 경우와 비교하여, 액압 제어 유닛(1)을 소형화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본체부(51)의 개구부(52)의 둘레 가장자리 중, 변(53)과 변(54)을 접속하는 변(55)은, 직선 형상으로 되어 있다. 즉, 변(53)은, 변(54)에 연속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그러나, 변(55)은, 직선 형상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예를 들면 계단 형상으로 되어 있어도 좋다. 단, 변(53)을 변(54)에 연속적으로 접속함으로써, 본체부(51)의 개구부(52)의 둘레 가장자리와 덮개부(58) 사이에 틈이 형성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이 때문에, 변(53)을 변(54)에 연속적으로 접속함으로써, 본체부(51)의 개구부(52)의 둘레 가장자리와 덮개부(58) 사이의 기밀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액압 제어 유닛(1)은, 하우징(40)에, 회로 기판(36)과 전기적으로 접속된 커넥터(48)를 구비하고 있다. 커넥터(48)에는, 압력 센서(103), 전륜(217)의 회전 속도를 검출하기 위한 차륜속 센서(도시 생략) 등의 각종 센서의 신호선(도시 생략), 전원 유닛(270)으로부터 연장되는 전원선(도시 생략) 등의 케이블이 접속된다. 여기서, 도 3 내지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커넥터(48)는, 하우징(40)의 상면(41) 및 하면(42) 중 적어도 한쪽에 설치되어 있다. 환언하면, 커넥터(48)는, 하우징(40)에서의, 축 방향(Z)에 있어서 대향하는 한 쌍의 측면 중 적어도 한쪽에 배치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커넥터(48)가 하우징(40)의 상면(41) 및 하면(42) 모두에 설치되어 있는 예를 나타내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액압 제어 유닛(1)은,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프론트 포크(216)에 유지되어, 자전거(200)에 탑재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베이스체(10)의 전면(27)에는, 암나사(27a)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프론트 포크(216)는, 전륜(217)을 향해서 돌출되는 브래킷(70)을 구비하고 있다. 브래킷(70)의 도시하지 않은 관통 구멍에 삽입된 볼트(71)를 액압 제어 유닛(1)의 암나사(27a)에 나사 체결함으로써, 액압 제어 유닛(1)은 프론트 포크(216)에 유지되어 있다. 또한, 액압 제어 유닛(1)이 프론트 포크(216)에 유지되는 구성은, 도 3에 나타내는 구성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고정 벨트와 같은, 프론트 포크(216)와는 별체의 유지 부재를 사용하여, 액압 제어 유닛(1)이 프론트 포크(216)에 유지되어 있어도 좋다.
여기서, 도 3 내지 도 6으로부터 알 수 있듯이, 액압 제어 유닛(1)이 탑재된 자전거(200)를 정면시한 상태에서, 회로 기판(36)은, 프론트 포크(216) 및 베이스체(10)의 후방에 위치하고 있다. 또한, 제 1 코일(61) 및 제 2 코일(62)은, 베이스체(10)의 후면(28)에 입설되어 있다. 환언하면, 액압 제어 유닛(1)이 탑재된 자전거(200)를 프론트 포크(216)의 축(216a) 방향으로 관찰한 상태에서, 회로 기판(36)은, 프론트 포크(216) 및 베이스체(10)의 후방에 위치하고 있다. 또한, 제 1 코일(61) 및 제 2 코일(62)은, 베이스체(10)의 후면(28)에 입설되어 있다.
또한,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액압 제어 유닛(1)이 자전거(200)에 탑재된 상태에서는, 베이스체(10) 중 적어도 일부는, 프론트 포크(216)와 전륜(217) 사이에 위치하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베이스체(10)의 전부가, 프론트 포크(216)와 전륜(217) 사이에 위치하고 있다.
또한,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액압 제어 유닛(1)이 탑재된 자전거(200)를 정면시한 상태에서, 베이스체(10)는, 프론트 포크(216)의 전방에 위치하는 영역을 갖지 않는다. 환언하면, 액압 제어 유닛(1)이 탑재된 자전거(200)를 프론트 포크(216)의 축(216a) 방향으로 관찰한 상태에서, 베이스체(10)는, 프론트 포크(216)의 전방에 위치하는 영역을 갖지 않는다.
또한,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액압 제어 유닛(1)이 탑재된 자전거(200)를 정면시한 상태에서, 베이스체(10)는, 프론트 포크(216)에 대하여, 전륜(217)과 반대측에 위치하는 영역을 갖지 않는다. 환언하면, 액압 제어 유닛(1)이 탑재된 자전거(200)를 프론트 포크(216)의 축(216a) 방향으로 관찰한 상태에서, 베이스체(10)는, 프론트 포크(216)에 대하여, 전륜(217)과 반대측에 위치하는 영역을 갖지 않는다. 추가로 환언하면, 액압 제어 유닛(1)이 탑재된 자전거(200)를 정면시한 상태에서, 베이스체(10)는, 프론트 포크(216)보다도 외측에 배치되는 영역을 갖지 않는다.
또한,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액압 제어 유닛(1)이 탑재된 자전거(200)를 정면시한 상태에서, 제 1 코일(61)의 축(61a) 및 제 2 코일(62)의 축(62a)은, 프론트 포크(216)의 축(216a)에 대하여 전륜(217)에 가까운 측에 위치하고 있다. 환언하면, 액압 제어 유닛(1)이 탑재된 자전거(200)를 프론트 포크(216)의 축(216a) 방향으로 관찰한 상태에서, 제 1 코일(61)의 축(61a) 및 제 2 코일(62)의 축(62a)은, 프론트 포크(216)의 축(216a)에 대하여 전륜(217)에 가까운 측에 위치하고 있다.
또한,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액압 제어 유닛(1)이 탑재된 자전거(200)를 정면시한 상태에서, 베이스체(10)는, 하우징(40)에 대하여 전륜(217)과 반대측에 위치하는 영역을 갖지 않는다. 환언하면, 액압 제어 유닛(1)이 탑재된 자전거(200)를 프론트 포크(216)의 축(216a) 방향으로 관찰한 상태에서, 베이스체(10)는, 하우징(40)에 대하여 전륜(217)과 반대측에 위치하는 영역을 갖지 않는다. 즉, 액압 제어 유닛(1)이 탑재된 자전거(200)를 정면시한 상태에서, 베이스체(10)는, 하우징(40)으로부터 프론트 포크(216)측으로 돌출되는 개소를 갖지 않는다.
<액압 제어 유닛의 효과>
실시형태에 따른 액압 제어 유닛의 효과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액압 제어 유닛(1)은, 자전거(200)에 탑재되고, 또한, 안티 록 브레이크 제어를 실행 가능한 브레이크 시스템(100)의 액압 제어 유닛(1)이다. 액압 제어 유닛(1)은, 안티 록 브레이크 제어에서의 감압시에 휠 실린더(251)로부터 벗어난 브레이크액을 어큐뮬레이터(33)에 비축하고, 어큐뮬레이터(33) 내의 브레이크액을 펌프리스로 어큐뮬레이터(33) 밖으로 배출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액압 제어 유닛(1)은, 베이스체(10)를 구비하고 있다. 베이스체(10)에는, 마스터 실린더(242)에 연통하는 액관(101)이 접속되는 마스터 실린더 포트(11)와, 휠 실린더(251)에 연통하는 액관(102)이 접속되는 휠 실린더 포트(12)와, 마스터 실린더 포트(11)와 휠 실린더 포트(12)를 연통시키는 내부 유로(13)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액압 제어 유닛(1)은, 베이스체(10)에 설치되고, 안티 록 브레이크 제어시에 내부 유로(13)를 개폐하는 인렛 밸브(31) 및 아웃렛 밸브(32)와, 인렛 밸브(31)의 구동원으로서의 제 1 코일(61)과, 아웃렛 밸브(32)의 구동원으로서의 제 2 코일(62)과, 제 1 코일(61) 및 제 2 코일(62)과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제 1 코일(61) 및 제 2 코일(62)로의 통전을 제어하는 회로 기판(36)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액압 제어 유닛(1)은, 베이스체(10)와 접속되고, 내부에 제 1 코일(61), 제 2 코일(62), 및 회로 기판(36)이 수납되어 있는 하우징(40)을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하우징(40)의 폭 방향(Y)의 치수는 베이스체(10)의 폭 방향(Y)의 치수보다도 크고, 액압 제어 유닛(1)을 접속 방향(X)으로부터 본 상태에서, 베이스체(10)의 폭 방향(Y)의 중심이 하우징(40)의 폭 방향(Y)의 중심보다도 제 1 측면(45)측에 위치하고 있다.
베이스체(10)는, 회로 기판(36) 등이 수납되어 있는 하우징(40)과 비교하여, 폭 방향(Y)의 치수를 작게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액압 제어 유닛(1)은, 접속 방향(X)으로부터 본 상태에서, 베이스체(10)의 폭 방향(Y)의 중심이 하우징(40)의 폭 방향(Y)의 중심보다도 제 1 측면(45)측에 위치하고 있다. 즉, 접속 방향(X)으로부터 액압 제어 유닛(1)을 보았을 때, 베이스체(10)에 대한 하우징(40)의 폭 방향(Y)의 돌출량은, 제 2 측면(46)측에 비해, 제 1 측면(45)측이 작아진다. 이 때문에, 액압 제어 유닛(1)은, 베이스체(10)의 적어도 일부의 폭 방향(Y)의 치수를 프론트 포크(216)와 전륜(217) 사이의 틈보다도 작게 형성함으로써, 하우징(40)의 제 1 측면(45)을 전륜(217)과 대향시켜, 베이스체(10)의 적어도 일부를 프론트 포크(216)와 전륜(217) 사이에 배치할 수 있다. 이때, 하우징(40)에서의 베이스체(10)로부터 폭 방향(Y)으로 돌출된 개소 중, 제 2 측면(46)측의 개소는, 상기 액압 제어 유닛(1)이 탑재된 자전거(200)를 정면시한 상태에서, 프론트 포크(216)의 후방에 배치시킬 수 있다. 이 때문에, 액압 제어 유닛(1)은, 상기 액압 제어 유닛(1)이 탑재된 자전거(200)를 정면시했을 때, 프론트 포크(216)의 외측에 배치되는 영역을 종래보다도 작게 할 수 있고, 외력을 받는 것을 종래보다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액압 제어 유닛(1)은, 상기 액압 제어 유닛(1)이 탑재된 자전거(200)를 정면시했을 때, 프론트 포크(216)의 외측에 배치되는 영역을 종래보다도 작게 할 수 있으므로, 자전거(200)의 미관을 향상시킬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 2 측면(46)은, 베이스체(10)에 접근함에 따라 폭 방향(Y)의 치수가 작아지는 경사부(47)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함으로써, 제 2 측면(46)과 프론트 포크(216) 사이의 틈을 작게 할 수 있고, 하우징(40)의 수납 용량을 증대시킬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하우징(40)은, 베이스체(10)와 접속되어 있는 면과 대향하는 면에 개구부(52)가 형성된 본체부(51)와, 본체부(51)의 개구부(52)를 덮는 덮개부(58)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접속 방향(X)에 있어서, 개구부(52)의 둘레 가장자리의 일부인 변(53)은, 회로 기판(36)에 대하여 베이스체(10)에 가까운 측에 위치하고 있다. 또한, 접속 방향(X)에 있어서, 개구부(52)의 둘레 가장자리의 상기 일부(변(53))와 대향하는 타부인 변(54)은, 변(53)에 대하여 베이스체(10)로부터 먼 측에 위치하고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함으로써, 회로 기판(36)을 조립할 때에 회로 기판(36)의 하방에 지그(75)를 배치시킬 수 있고, 또한, 본체부(51)의 개구부(52)의 둘레 가장자리 전체를 접속 방향(X)에 있어서 베이스체(10)로부터 등거리로 배치한 경우와 비교하여, 액압 제어 유닛(1)을 소형화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변(53)은, 변(54)에 연속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함으로써, 본체부(51)의 개구부(52)의 둘레 가장자리와 덮개부(58) 사이에 틈이 형성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고, 본체부(51)의 개구부(52)의 둘레 가장자리와 덮개부(58) 사이의 기밀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 1 코일(61) 및 제 2 코일(62)은, 베이스체(10)의 하우징(40)이 접속되는 면인 후면(28)에 입설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함으로써, 베이스체(10)의 폭 방향(Y)의 치수를 작게 형성하기 쉬워져, 베이스체(10)의 보다 많은 부분을 프론트 포크(216)와 전륜(217) 사이에 배치할 수 있다. 그 결과, 액압 제어 유닛(1)이 탑재된 자전거(200)를 정면시했을 때, 프론트 포크(216)의 외측에 배치되는 영역을 보다 작게 할 수 있다. 그 결과, 액압 제어 유닛(1)이 외력을 받는 것을 보다 억제할 수 있고, 자전거(200)의 미관이 보다 향상된다.
바람직하게는, 제 1 코일(61) 및 제 2 코일(62)은, 폭 방향(Y)과 수직인 방향인 축 방향(Z)에 있어서 나란하다. 이러한 구성으로 함으로써, 베이스체(10)의 폭 방향(Y)의 치수를 작게 형성하기 쉬워져, 베이스체(10)의 보다 많은 부분을 프론트 포크(216)와 전륜(217) 사이에 배치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이와 같이 구성된 액압 제어 유닛(1)에 있어서는, 액압 제어 유닛(1)이 탑재된 자전거(200)를 정면시했을 때, 프론트 포크(216)의 외측에 배치되는 영역을 보다 작게 할 수 있다. 그 결과, 액압 제어 유닛(1)이 외력을 받는 것을 보다 억제할 수 있고, 자전거(200)의 미관이 향상된다.
바람직하게는, 액압 제어 유닛(1)은, 베이스체(10)에 설치되고, 브레이크액의 압력을 검출하는 압력 센서(103)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제 1 코일(61), 제 2 코일(62), 및 압력 센서(103)는, 폭 방향(Y)과 수직인 방향인 축 방향(Z)에 있어서 나란하다. 이러한 구성으로 함으로써, 액압 제어 유닛(1)이 압력 센서(103)를 구비하고 있는 경우라도 베이스체(10)의 폭 방향(Y)의 치수를 작게 형성하기 쉬워진다. 이 때문에, 액압 제어 유닛(1)이 압력 센서(103)를 구비하고 있는 경우라도, 액압 제어 유닛(1)은, 상기 액압 제어 유닛(1)이 탑재된 자전거(200)를 정면시했을 때, 프론트 포크(216)의 외측에 배치되는 영역을 종래보다도 작게 할 수 있고, 외력을 받는 것을 종래보다도 억제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 1 코일(61)의 꼭대기면(61b)에 단자(63)가 설치되어 있고, 제 2 코일(62)의 꼭대기면(62b)에 단자(64)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제 1 코일(61)은 단자(63)를 통해서 회로 기판(36)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고, 제 2 코일(62)은 단자(64)를 통해서 회로 기판(36)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함으로써, 베이스체(10)가 폭 방향(Y)으로 커지는 것을 억제하면서, 제 1 코일(61) 및 제 2 코일(62)과 회로 기판(36)을 전기적으로 접속할 수 있다. 이 때문에, 베이스체(10)의 폭 방향(Y)의 치수를 작게 형성하기 쉬워져, 베이스체(10)의 보다 많은 부분을 프론트 포크(216)와 전륜(217) 사이에 배치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이와 같이 구성된 액압 제어 유닛(1)에 있어서는, 액압 제어 유닛(1)이 탑재된 자전거(200)를 정면시했을 때, 프론트 포크(216)의 외측에 배치되는 영역을 보다 작게 할 수 있다. 그 결과, 액압 제어 유닛(1)이 외력을 받는 것을 보다 억제할 수 있고, 자전거(200)의 미관이 보다 향상된다.
바람직하게는, 하우징(40)은, 회로 기판(36)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커넥터(48)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커넥터(48)는, 하우징(40)에서의, 폭 방향(Y)과 수직인 축 방향(Z)에 있어서 대향하는 한 쌍의 측면인 상면(41 및 42) 중 적어도 한쪽에 배치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함으로써, 커넥터(48)에 접속되는 케이블의 커넥터가 베이스체(10)로부터 폭 방향(Y)으로 돌출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이 때문에, 베이스체(10)의 보다 많은 부분을 프론트 포크(216)와 전륜(217) 사이에 배치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이와 같이 구성된 액압 제어 유닛(1)에 있어서는, 액압 제어 유닛(1)이 탑재된 자전거(200)를 정면시했을 때, 프론트 포크(216)의 외측에 배치되는 영역을 보다 작게 할 수 있다. 그 결과, 액압 제어 유닛(1)이 외력을 받는 것을 보다 억제할 수 있고, 자전거(200)의 미관이 보다 향상된다.
바람직하게는, 마스터 실린더 포트(11) 및 휠 실린더 포트(12)는, 상면(25) 및 하면(26)에 나뉘어져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면(25)이 본 발명의 제 3 측면에 상당하고, 하면(26)이 본 발명의 제 4 측면에 상당한다. 이러한 구성으로 함으로써, 베이스체(10)가 폭 방향(Y)으로 커지는 것을 억제하면서, 베이스체(10)에 마스터 실린더 포트(11) 및 휠 실린더 포트(12)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마스터 실린더 포트(11)에 접속되는 액관(101) 및 휠 실린더 포트(12)에 접속되는 액관(102)이 베이스체(10)로부터 폭 방향(Y)으로 돌출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이 때문에, 베이스체(10)의 보다 많은 부분을 프론트 포크(216)와 전륜(217) 사이에 배치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이와 같이 구성된 액압 제어 유닛(1)에 있어서는, 액압 제어 유닛(1)이 탑재된 자전거(200)를 정면시했을 때, 프론트 포크(216)의 외측에 배치되는 영역을 보다 작게 할 수 있다. 그 결과, 액압 제어 유닛(1)이 외력을 받는 것을 보다 억제할 수 있고, 자전거(200)의 미관이 보다 향상된다.
바람직하게는, 내부 유로(13)는, 어큐뮬레이터(33) 내의 브레이크액을 아웃렛 밸브(32)를 통하지 않고 마스터 실린더 포트(11)로 되돌릴 수 없는 구성이다. 종래, 베이스체에 형성되는 내부 유로에는, 어큐뮬레이터 내의 브레이크액을 아웃렛 밸브를 통하지 않고 마스터 실린더 포트로 되돌릴 수 있는 구성의 것도 존재한다. 이러한 종래의 내부 유로는, 일단이 어큐뮬레이터에 접속되고, 타단이 마스터 실린더와 인렛 밸브 사이의 유로에 접속된 바이패스 유로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이러한 종래의 내부 유로는, 제동시에 마스터 실린더로부터 내부 유로로 유입된 브레이크액이 바이패스 유로를 통해서 어큐뮬레이터로 흘러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바이패스 유로에, 마스터 실린더측으로부터 어큐뮬레이터측으로 브레이크액이 흐르는 것을 규제하는 체크 밸브가 설치되어 있다. 이 체크 밸브는, 어큐뮬레이터의 하단으로부터 어큐뮬레이터에 삽입되어, 어큐뮬레이터의 상단부에 설치된다. 이 체크 밸브는, 가로 폭을 작게 형성할 수 없기 때문에, 어큐뮬레이터의 가로 폭도 크게 형성되게 된다. 즉, 이 체크 밸브를 구비함으로써, 베이스체의 폭 방향(Y)의 치수가 커져버린다. 이것에 대하여, 내부 유로(13)를, 어큐뮬레이터(33) 내의 브레이크액을 아웃렛 밸브(32)를 통하지 않고 마스터 실린더 포트(11)로 되돌릴 수 없는 구성으로 함으로써, 상술한 체크 밸브가 불필요해진다. 이로써, 베이스체(10)의 폭 방향(Y)의 치수를 작게 형성하기 쉬워져, 베이스체(10)의 보다 많은 부분을 프론트 포크(216)와 전륜(217) 사이에 배치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이와 같이 구성된 액압 제어 유닛(1)에 있어서는, 액압 제어 유닛(1)이 탑재된 자전거(200)를 정면시했을 때, 프론트 포크(216)의 외측에 배치되는 영역을 보다 작게 할 수 있다. 그 결과, 액압 제어 유닛(1)이 외력을 받는 것을 보다 억제할 수 있고, 자전거(200)의 미관이 보다 향상된다.
바람직하게는, 인렛 밸브(31) 및 아웃렛 밸브(32)가, 한 쌍만 설치되어 있다. 인렛 밸브 및 아웃렛 밸브가 한 쌍만 설치되는 1계통의 브레이크 시스템의 액압 제어 유닛은, 소형화되어, 안승형 차량의 눈에 띄지 않는 위치에 탑재되는 것이 요망된다. 이 때문에, 본 실시형태에 따른 액압 제어 유닛(1)을 1계통의 브레이크 시스템의 액압 유닛으로서 사용하는 것이 적합하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자전거(200)는, 본 실시형태에 따른 액압 제어 유닛(1)과, 한 쌍의 프론트 포크(216)와, 한 쌍의 프론트 포크(216) 사이에 회전 가능하게 유지되어 있는 전륜(217)을 구비하고, 베이스체(10)의 적어도 일부가 프론트 포크(216)와 전륜(217)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자전거(200)를 구성함으로써, 상기 자전거(200)를 정면시했을 때, 액압 제어 유닛(1)이 프론트 포크(216)의 외측에 배치되는 액압 제어 유닛(1)의 부분을 종래보다도 작게 할 수 있고, 액압 제어 유닛(1)이 외력을 받는 것을 종래보다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이 자전거(200)를 구성함으로써, 상기 액압 제어 유닛(1)이 탑재된 자전거(200)를 정면시했을 때, 프론트 포크(216)의 외측에 배치되는 액압 제어 유닛(1)의 부분을 종래보다도 작게 할 수 있기 때문에, 자전거(200)의 미관을 향상시킬 수도 있다.
이상, 실시형태에 대하여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실시형태의 설명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실시형태의 설명의 일부만이 실시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예를 들어, 본 발명에 따른 액압 제어 유닛이 유지되는 개소는, 프론트 포크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액압 제어 유닛을 안승형 차량의 프론트 포크 이외의 프레임 등에 유지시켜도 물론 좋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액압 제어 유닛은, 종래 사용되지 않았던 공간에, 본 발명에 따른 액압 제어 유닛의 적어도 일부를 배치할 수 있다. 이 때문에, 본 발명에 따른 액압 제어 유닛을 안승형 차량의 프론트 포크 이외의 프레임 등에 유지시켜도, 본 발명에 따른 액압 제어 유닛이 외력을 받는 것을 종래보다도 억제할 수 있고, 안승형 차량의 미관을 향상시킬 수 있다.
1 액압 제어 유닛, 10 베이스체, 11 마스터 실린더 포트, 12 휠 실린더 포트, 13 내부 유로, 14 제 1 유로, 15 제 2 유로, 16 제 3 유로, 17 제 4 유로, 18 인렛 밸브용 오목부, 18a 제 1 오목부, 18b 제 2 오목부, 18c 상단부, 19 아웃렛 밸브용 오목부, 19a 제 1 오목부, 19b 제 2 오목부, 19c 상단부, 22 압력 센서용 오목부, 23 인렛 밸브용 노치, 23a 상단부, 24 아웃렛 밸브용 노치, 24a 상단부, 25 상면, 26 하면, 27 전면, 27a 암나사, 28 후면, 31 인렛 밸브, 32 아웃렛 밸브, 33 어큐뮬레이터, 35 제어부, 36 회로 기판, 40 하우징, 41 상면, 42 하면, 43 전면, 44 후면, 45 제 1 측면, 46 제 2 측면, 47 경사부, 48 커넥터, 51 본체부, 52개구부, 53 변, 54 변, 55 변, 58 덮개부, 61 제 1 코일, 61a 축, 61b 꼭대기면, 62 제 2 코일, 62a 축, 62b 꼭대기면, 63 단자, 64 단자, 70 브래킷, 71 볼트, 75 지그, 100 브레이크 시스템, 101 액관, 102 액관, 103 압력 센서, 200 자전거, 210 프레임, 211 헤드 튜브, 212 톱 튜브, 213 다운 튜브, 214 시트 튜브, 215 스테이, 216 프론트 포크, 216a 축, 217 전륜, 218 새들, 219 페달, 220 후륜, 230 선회부, 231 스티어링 칼럼, 232 핸들 스템, 233 핸들 바, 240 제동 조작부, 241 브레이크 레버, 242 마스터 실린더, 243 리저버, 250 전륜 제동부, 251 휠 실린더, 252 로터, 260 후륜 제동부, 270 전원 유닛.

Claims (15)

  1. 안승형 차량(200)에 탑재되고, 또한, 안티 록 브레이크 제어를 실행 가능한 브레이크 시스템(100)의 액압 제어 유닛(1)으로서,
    상기 안승형 차량(200)은 한 쌍의 프론트 포크들(216) 및 상기 한 쌍의 상기 프론트 포크들(216) 사이에 회전 가능하게 유지되어 있는 전륜(217)을 포함하고,
    상기 액압 제어 유닛(1)은, 상기 안티 록 브레이크 제어에서의 감압시에 휠 실린더(251)로부터 벗어난 브레이크액을 어큐뮬레이터(33)에 비축하고, 상기 어큐뮬레이터(33) 내의 브레이크액을 펌프리스(pumpless)로 상기 어큐뮬레이터(33) 밖으로 배출하는 구성이고,
    상기 액압 제어 유닛(1)은, 마스터 실린더(242)에 연통하는 액관(101)이 접속되는 마스터 실린더 포트(11)와, 상기 휠 실린더(251)에 연통하는 액관(102)이 접속되는 휠 실린더 포트(12)와, 상기 마스터 실린더 포트(11)와 상기 휠 실린더 포트(12)를 연통시키는 내부 유로(13)가 형성된 베이스체(10)와,
    상기 베이스체(10)에 설치되어, 상기 안티 록 브레이크 제어시에 상기 내부 유로(13)를 개폐하는 인렛 밸브(31) 및 아웃렛 밸브(32)와,
    상기 인렛 밸브(31)의 구동원으로서의 제 1 코일(61)과,
    상기 아웃렛 밸브(32)의 구동원으로서의 제 2 코일(62)과,
    상기 제 1 코일(61) 및 상기 제 2 코일(62)과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상기 제 1 코일(61) 및 상기 제 2 코일(62)로의 통전을 제어하는 회로 기판(36)과,
    상기 베이스체(10)와 접속되고, 내부에 상기 제 1 코일(61), 상기 제 2 코일(62), 및 상기 회로 기판(36)이 수납되어 있는 하우징(40)을 구비하고,
    상기 베이스체(10)로의 상기 하우징(40)의 접속 방향(X)과 수직인 방향을 폭 방향(Y)으로 하고, 상기 하우징(40)에서의, 상기 폭 방향(Y)에 있어서 반대편에 있는 한 쌍의 측면 중 한쪽을 제 1 측면(45)으로 하고, 다른 쪽을 제 2 측면(46)으로 한 경우,
    상기 하우징(40)의 폭 방향(Y)의 치수는, 상기 베이스체(10)의 폭 방향(Y)의 치수보다도 크고,
    상기 액압 제어 유닛(1)을 상기 접속 방향(X)으로부터 본 상태에서, 상기 베이스체(10)의 폭 방향(Y)의 중심이 상기 하우징(40)의 폭 방향(Y)의 중심보다도 상기 제 1 측면(45) 측에 위치하고,
    상기 베이스체(10)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프론트 포크(216)와 상기 전륜(217) 사이에 배치되는 액압 제어 유닛(1).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측면(46)은, 상기 베이스체(10)에 가까워짐에 따라 상기 폭 방향(Y)의 치수가 작아지는 경사부(47)를 포함하는 액압 제어 유닛(1).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40)은,
    상기 베이스체(10)와 접속되어 있는 면의 반대편에 있는 면에 개구부(52)가 형성된 본체부(51)와,
    상기 본체부(51)의 개구부(52)를 덮는 덮개부(58)를 구비하고,
    상기 접속 방향(X)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52)의 둘레 가장자리의 일부(53)는, 상기 회로 기판(36)에 대하여 상기 베이스체(10)에 가까운 측에 위치하고, 상기 둘레 가장자리의 일부(53)의 반대편에 있는 타부(54)는, 상기 둘레 가장자리의 일부(53)에 대하여 상기 베이스체(10)로부터 먼 측에 위치하는 액압 제어 유닛(1).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둘레 가장자리의 일부(53)는, 상기 둘레 가장자리의 타부(54)에 연속적으로 접속하는 액압 제어 유닛(1).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코일(61) 및 상기 제 2 코일(62)은, 상기 베이스체(10)에서, 상기 하우징(40)이 접속되는 면(28)에 입설되어 있는 액압 제어 유닛(1).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코일(61) 및 상기 제 2 코일(62)은, 상기 폭 방향(Y)과 수직인 방향(Z)으로 정렬되는 액압 제어 유닛(1).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체(10)에 설치되어, 브레이크액의 압력을 검출하는 압력 센서(103)를 구비하고,
    상기 제 1 코일(61), 상기 제 2 코일(62), 및 상기 압력 센서(103)는, 상기 폭 방향(Y)과 수직인 방향(Z)으로 정렬되는 액압 제어 유닛(1).
  8.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코일(61) 및 상기 제 2 코일(62)각각의 꼭대기면(61b, 62b)에, 단자(63, 64)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제 1 코일(61) 및 상기 제 2 코일(62)은, 상기 단자(63, 64)를 통해서, 상기 회로 기판(36)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는 액압 제어 유닛(1).
  9.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회로 기판(36)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커넥터(48)를 구비하고,
    상기 커넥터(48)는, 상기 하우징(40)에서의, 상기 폭 방향(Y)과 수직인 방향(Z)에 있어서 서로 반대편에 있는 한 쌍의 측면들(41, 42) 중 적어도 한쪽에 배치되어 있는 액압 제어 유닛(1).
  10.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체(10)에서의, 상기 접속 방향(X)과 수직이고, 또한, 상기 폭 방향(Y)과 수직인 방향(Z)에 있어서 서로 반대편에 있는 한 쌍의 측면들 중 한쪽을 제 3 측면(25)으로 하고, 다른 쪽을 제 4 측면(26)으로 한 경우,
    상기 마스터 실린더 포트(11) 및 상기 휠 실린더 포트(12)는, 상기 제 3 측면(25) 및 상기 제 4 측면(26)으로 나뉘어져 형성되어 있는 액압 제어 유닛(1).
  11.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유로(13)는, 상기 어큐뮬레이터(33) 내의 브레이크액을 상기 아웃렛 밸브(32)를 통하지 않고 상기 마스터 실린더 포트(11)로 되돌릴 수 없는 구성인 액압 제어 유닛(1).
  12.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인렛 밸브(31) 및 상기 아웃렛 밸브(32)가 한 쌍만 설치되어 있는 액압 제어 유닛(1).
  1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기재된 액압 제어 유닛(1)을 구비하고 있는 브레이크 시스템(100).
  14. 제 13 항에 기재된 브레이크 시스템(100)을 구비하고 있는 안승형 차량(200).
  15. 삭제
KR1020227010040A 2019-08-29 2020-07-21 액압 제어 유닛, 브레이크 시스템 및 안승형 차량 KR10264645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9156223A JP2021030997A (ja) 2019-08-29 2019-08-29 液圧制御ユニット、ブレーキシステム及び鞍乗型車両
JPJP-P-2019-156223 2019-08-29
PCT/IB2020/056831 WO2021038336A1 (ja) 2019-08-29 2020-07-21 液圧制御ユニット、ブレーキシステム及び鞍乗型車両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50993A KR20220050993A (ko) 2022-04-25
KR102646451B1 true KR102646451B1 (ko) 2024-03-13

Family

ID=722665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10040A KR102646451B1 (ko) 2019-08-29 2020-07-21 액압 제어 유닛, 브레이크 시스템 및 안승형 차량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220297646A1 (ko)
EP (1) EP4023539B1 (ko)
JP (2) JP2021030997A (ko)
KR (1) KR102646451B1 (ko)
TW (1) TW202128468A (ko)
WO (1) WO2021038336A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9137293A (ja) * 2018-02-14 2019-08-22 ロベルト・ボッシュ・ゲゼルシャフト・ミト・ベシュレンクテル・ハフツングRobert Bosch Gmbh 液圧制御ユニット、ブレーキシステム、及び、自転車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18424U (ja) 1984-07-10 1986-02-03 東陶機器株式会社 定温,給湯装置
JP2019137295A (ja) * 2018-02-14 2019-08-22 ロベルト・ボッシュ・ゲゼルシャフト・ミト・ベシュレンクテル・ハフツングRobert Bosch Gmbh 液圧制御ユニット、ブレーキシステム、及び、自転車
JP2019137294A (ja) * 2018-02-14 2019-08-22 ロベルト・ボッシュ・ゲゼルシャフト・ミト・ベシュレンクテル・ハフツングRobert Bosch Gmbh 液圧制御ユニット、ブレーキシステム、及び、自転車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9137293A (ja) * 2018-02-14 2019-08-22 ロベルト・ボッシュ・ゲゼルシャフト・ミト・ベシュレンクテル・ハフツングRobert Bosch Gmbh 液圧制御ユニット、ブレーキシステム、及び、自転車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50993A (ko) 2022-04-25
TW202128468A (zh) 2021-08-01
WO2021038336A1 (ja) 2021-03-04
EP4023539A1 (en) 2022-07-06
JP2021030997A (ja) 2021-03-01
JPWO2021038336A1 (ko) 2021-03-04
JP7303885B2 (ja) 2023-07-05
EP4023539B1 (en) 2024-01-24
US20220297646A1 (en) 2022-09-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661135B2 (en) Hydraulic pressure control unit, braking system, and bicycle
JP2019137293A (ja) 液圧制御ユニット、ブレーキシステム、及び、自転車
WO2019159046A1 (ja) 液圧制御ユニット
JP7404376B2 (ja) 液圧制御ユニット、ブレーキシステム及び鞍乗型車両
CN110785329B (zh) 液压控制装置、跨乘型乘具用制动系统、以及跨乘型乘具
KR102646451B1 (ko) 액압 제어 유닛, 브레이크 시스템 및 안승형 차량
CN114258370B (zh) 液压控制单元、制动系统及跨乘型车辆
EP4265491A1 (en) Hydraulic pressure control device, brake system, and saddle-type vehicle
EP4265490A1 (en) Hydraulic pressure control device and straddle-type vehicle
EP4265492A1 (en) Brake system and saddle riding-type vehicle
RU2788536C1 (ru) Транспортное средство с верховой посадкой водителя
JP2024049451A (ja) 液圧制御ユニット及び鞍乗型車両
WO2023007292A1 (ja) ブレーキ液圧制御装置及び鞍乗型車両
JP2023181015A (ja) 液圧制御ユニット及び鞍乗型車両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