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45874B1 - 서랍 잠금장치 - Google Patents

서랍 잠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45874B1
KR102645874B1 KR1020230176715A KR20230176715A KR102645874B1 KR 102645874 B1 KR102645874 B1 KR 102645874B1 KR 1020230176715 A KR1020230176715 A KR 1020230176715A KR 20230176715 A KR20230176715 A KR 20230176715A KR 102645874 B1 KR102645874 B1 KR 1026458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awer
locker
drawers
handle
po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1767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순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크로바가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크로바가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크로바가구
Priority to KR10202301767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4587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458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458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5/00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 E05B65/46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for draw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8/00Drawers for tables, cabinets or like furniture; Guides for drawers
    • A47B88/90Constructional details of drawe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3/00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pivotally or rotatively
    • E05C3/12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pivotally or rotatively with latching action
    • E05C3/16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pivotally or rotatively with latching action with operating handle or equivalent member moving otherwise than rigidly with the latch
    • E05C3/22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pivotally or rotatively with latching action with operating handle or equivalent member moving otherwise than rigidly with the latch the bolt being spring controlled
    • E05C3/30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pivotally or rotatively with latching action with operating handle or equivalent member moving otherwise than rigidly with the latch the bolt being spring controlled in the form of a hook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8/00Drawers for tables, cabinets or like furniture; Guides for drawers
    • A47B88/40Sliding drawers; Slides or guides therefor
    • A47B88/423Fastening devices for slides or guides
    • A47B88/427Fastening devices for slides or guides at drawer side
    • A47B2088/4276Fastening devices for slides or guides at drawer side at drawer front via latch means or locking lev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rawers Of Furni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서랍장에서 닫힌 서랍이 임의로 열리지 않도록 서랍의 닫힘과 동시에 잠기도록 함으로써 서랍이 임의로 열려 안전사고가 유발되지 않도록 하고, 반대로 서랍을 꺼낼 때 잠긴 서랍을 즉시 해제하고 인출할 수 있는 서랍잠금장치를 갖춘 서랍장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서랍 잠금장치{CHEST OF DRAWERS WITH DRAWER LOCKS}
본 발명은, 서랍장에서 닫힌 서랍이 임의로 열리지 않도록 서랍의 닫힘과 동시에 잠기도록 함으로써 서랍이 임의로 열려 안전사고가 유발되지 않도록 하고, 반대로 서랍을 꺼낼 때 잠긴 서랍을 즉시 해제하고 인출할 수 있는 서랍잠금장치를 갖춘 서랍장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서랍장은 열린 서랍의 자중이나 영유아의 메달림에 의해 서랍장이 앞으로 쓰러질 수 있는 문제가 있고, 또한 닫힌 서랍이 임의로 열려 그곳에 부딪치는 안전사고가 발생될 수 있는 문제가 내재되어 있다.
전술한 안전사고는 특히 주의가 산만한 영유아(또는 저학년 학생)에게서 종종 발생된다.
서랍잠금장치와 관련된 서랍장은,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659229, 2016,09.13)에서 제안하는 책상 서랍의 잠금장치가 있는데, 이 것은 다수의 서랍들을 키(key)를 사용하여 모든 일괄하여 잠그는 방식으로, 주로 보안이 요구되는 물품을 보관하기 위한 주로 사용된다. 그러나, 서랍을 열기 위해서는 키를 사용하여 잠금장치를 해제하고 열어야 하기 때문에 매번 서랍의 잠금과 해제를 해야 하는 불편한 번거로움이 있다.
또 다른 서랍잠금장치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771929(20217/08.22), 등록특허 10-2178513(2020.11.09)이 있는데, 이 것들은 사랍장에 영유아가 취급하거나 알 수 없는 비밀 서랍잠금장치를 갖춘 서랍장에 관한 것이다.
그러나, 비밀 잠금장치를 갖춘 서랍장 역시 서랍을 열고 닫을 때 마다 매번 비밀 잠금장치를 조작해야 하므로, 망각한 채 서랍을 잠그지 않는 경우가 있기 때문에 서랍이 임의로 열릴 수 있는 개연성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창안하기에 이르렀고, 괄목할 만한 성과가 있어, 이를 본 발명을 통해 제안하려고 한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은, 서랍장에서 닫힌 서랍이 임의로 열리지 않도록 서랍이 닫힌 순간 잠기도록 함으로써 서랍의 임의 열림에 따른 안전사고가 유발되지 않도록 하고, 반대로 서랍을 꺼낼 때 잠긴 서랍을 즉시 해제하여 인출할 수 있는 서랍잠금장치를 갖춘 서랍장을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에 따른 서랍 잠금장치은,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되는 서랍을 포함하는 서랍장으로서, 전술한 서랍은 서랍잠금장치를 갖춘 손잡이를 포함한다.
전술한 서랍잠금장치는,
손을 넣을 수 있는 포켓과, 전술한 포켓의 바닥면과 일정거리 이격된 통로를 형성하고 상기 포켓의 후면을 형성하는 격판을 포함하고, 프론트커버에 결합되는 손잡이와;
전술한 포켓 속에 위치되는 트리거와, 전술한 트리거와 연결되고 전술한 격판의 후면에 위치되며, 표면에 장공을 갖춘 락커와;
전술한 락커를 관통하여 전술한 격판에 탈부착가능하게 결합되는 덮개 및;
전술한 트리거와 포켓의 바닥면 사이에 위치되는 탄성수단을 포함한다.
전술한 덮개의 일 실시 예로서, 격판과 덮개 사이에 락커의 이동공간을 마련하기 위해 채용될 수 있다. 이렇게 하면, 전술한 락커는 전술한 이동공간 내에서 움직일 수 있다.
전술한 탄성수단은, 전술한 락커를 원위치되도록 탄성을 부여하기 위해 채용될 수 있다.
전술한 탄성수단은, 전술한 락커를 서랍의 상측방향으로 돌출되도록 유지시키기 위한 수단을 포괄하는 것으로, 바랍직한 실시 예로는 압축 스프링을 채용할 수 있다. 전술한 압축 스프링은, 상기 포켓의 바닥과 트리거사이에 설치될 수 있다.
그래서, 전술한 트리거와 락커는 서랍의 상측으로 작용하는 탄성이 탄성수단에 의해 내재될 수 있다.
전술한 덮개는, 락커의 운동과 손잡이로부터 락커가 분리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채용될 수 있다.
전술한 손잡이는, 서랍을 용이하게 취급하기 위해 서랍의 프론트커버에 설치될 수 있다.
전술한 서랍 손잡이는, 전술한 포켓 속으로 손을 넣어 서랍을 밀거나 당길 수 있고, 포켓 내의 트리거를 손으로 누르고 그것을 당기면, 트리거는 탄성수단의 탄성을 극복하면서 하강하여 락커의 잠금상태가 해제되면서 서랍을 서랍장 밖으로 인출할 수 있다.
반대로, 서랍의 서랍장속으로 밀어 넣으면, 서랍이 닫힘과 동시에 탄성이 내재된 락커는 에어프런의 후면에 걸리게 되므로, 서랍장 내에 서랍이 잠금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서랍의 손잡이 포켓속으로 손을 넣어 트리거를 누르고 손잡이를 당기면, 즉시 서랍의 잠금상태가 해제되므로 서랍장 밖으로 서랍을 인출할 수 있고, 반대로 서랍을 서랍장 속으로 밀어 넣으면 서랍의 닫힘과 동시에 락커에 의해 서랍이 잠기게 된다. 그 결과 서랍의 임의 열림에 의한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가져온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서랍 잠금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서랍 잠금장치를 전면에서 바라 본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서랍 잠금장치를 후면에서 바라 본 사시도이다.
도 4a와 도 4b는 도 2에 도시된 서랍 잠금장치의 전면과 후면에서 바라 본 각각의 요부 발췌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2와 도 3에 도시된 락커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2와 도 3에 도시된 덮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1에 도시된 서랍의 프론트커버를 후면에서 바라 본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 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실시 예들은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기 때문에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 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기 때문에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본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따라서. 몇몇 실시 예에서, 잘 알려진 구성 요소, 잘 알려진 동작 및 잘 알려진 기술들은 본 발명이 모호하게 해석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
한편, 본 발명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사전적 의미에 제한되지 않으며,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통상적으로,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서랍 잠금장치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서랍장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랍에 대응되는 수납공간이 마련되어 있고, 전술한 서랍은 전술한 수납공간(도면에는 미도시)에 슬라이드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전술한 서랍은, 그 내부에 사물을 보관할 수 있는 공간을 갖추고, 그 전면에 손잡이(121)가 부착된 프론트커버(110)를 포함한다.
전술한 서랍은 프론트커버(110)의 상단에 손잡이(121)의 형상에 대응되는 절결부(도면 부호 미표기)가 마련되어 있다. 그래서 위 절결부의 내면에 손잡이(121)의 테두리 면을 끼워 맞추어 분리되지 않게 프론트커버(110)에 결합할 수 있다.
전술한 서랍은, 도 2 내지 도 3에 도시된 서랍잠금장치(120)를 갖춘 손잡이(121)를 포함한다.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서랍장(100)은,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되는 서랍을 포함하는 서랍장(100)으로서,
전술한 서랍은, 손잡이(121)를 포함하고, 손잡이(121)는 서랍잠금장치(120)를 포함한다.
전술한 서랍잠금장치(120)는, 도 2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을 넣을 수 있는 포켓(123)과, 전술한 포켓(123)의 바닥면과 통해지는 통로(122b)와 포켓(123)의 후면을 각각 형성하는 격판(122)을 갖추고, 서랍 프론트커버(110)의 결결부에 결합되는 손잡이 몸체(121a)와;
손잡이 몸체(121a)는, 손을 넣을 수 있는 공간을 갖춘 포켓(123)과,
전술한 포켓(123) 속에 위치되는 트리거(124a)와, 트리거(124a)와 연결되고, 상기 격판(122)의 후면에 위치되며, 표면에 장공(124c)을 갖춘 락커(124b)와;
전술한 락커(124b)를 관통하여 전술한 격판(122)에 탈부착가능하게 결합되는 덮개(125) 및;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리거(124a)와 포켓(123)의 바닥면 사이에 위치되는 탄성수단(127)을 포함한다.
손잡이(121) 몸체(121a)는,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랍을 용이하게 취급하기 위해 프론트커버(110)에 설치될 수 있다.
손잡이(121) 몸체(121a)의 설치 예로는,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랍의 프론트커버(110)에 손잡이(121) 몸체(121a)의 형상에 대응되는 절결부(도면 부호 미표기)를 마련하고, 그 절결부에 몸체(121a)를 결합하는 방안을 제안한다.
이렇게 하면, 손잡이(121) 몸체(121a)는 서랍의 프론트커버(110)에 결합되므로 손잡이(121)를 사용하여 서랍을 열고 닫을 수 있다.
덮개(125)의 일 실시 예로서, 도 2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격판(122)과 덮개(125) 사이에 락커(124b)가 이동할 수 있는 공간을 마련하기 위해 채용될 수 있다. 그래서, 전술한 락커(124b)는 격판(122)과 덮개(125) 사이에서 움직일 수 있고, 그 곳에서 이탈되는 일이 없다.
탄성수단(127)은 전술한 락커(124b)를 원위치되도록 락커(124b)에 탄성을 부여하기 위한 수단을 포괄한다.
전술한 탄성수단(127)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로는, 압축 스프링을 채용할 수 있다. 전술한 압축 스프링은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켓(123)의 바닥과 트리거(124a)사이에 설치될 수 있다.
그래서, 전술한 트리거(124a)는 탄성수단(127)에 의해 손잡이의 상측방향으로 작용하는 탄성이 늘 내재될 수 있다.
전술한 격판(122)은 도 2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양 단부가 손잡이(212)에 결합되어 전술한 포켓(123)을 형성하고, 또한 포켓(123)의 바닥면과 통해진 통로(122b)를 형성하기 위해 채용될 수 있다.
전술한 덮개(125)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락커(124b)를 이동가능하게 안내하고, 또한 락커(124b)가 손잡이(121) 몸체(121a)로부터 분리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채용될 수 있다.
상기 덮개(125)는, 스크류(126)가 관통되어 격판(122)과 나사 체결에 의해 프론트커버(110) 후면에 지지되도록 결합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손잡이(121)는 프론트커버의 후면에 접하는 확장면(도면부호 미표기)을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확장면은 도 2, 도 3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크류(126)가 나선 결합되는 보스(122c)를 포함할 수 있다.
이렇게 하면, 서랍을 열 때 서랍을 당기는 힘을 프론트커버(110)에 전달할 수 있고, 또한 확장면은 손잡이에 덮개를 용이하게 결합할 수 있는 기반을 제공할 수 있다.
전술한 장공(124c)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락커(124b)가 움직일 수 있게 하고 그것이 이탈되지 않게 하는데 유용하게 작용한다.
전술한 서랍의 손잡이(121)는, 포켓(123)속으로 손을 넣어 서랍을 밀거나 당길 수 있고, 포켓(123) 내에 삽입되는 손으로 트리거(124a)를 누르면, 트리거(124a)는 탄성수단(127)의 탄성을 극복하면서 하강하고, 그와 연동하여 락커(124b)의 잠금상태는 해제될 수 있다.
그래서, 손잡이(121)를 서랍장(100)의 전방쪽으로 당기면, 서랍을 서랍장(100) 밖으로 인출할 수 있다.
반대로, 서랍장(100)속으로 서랍을 밀어 넣으면, 서랍의 닫힘과 동시에 탄성이 내재된 락커(124b)는 에어프런(101)의 후면에 걸리게 되므로, 서랍은 서랍장에서 잠금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전술한 락커의 상단부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사면(124d)을 마련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이렇게 하면, 서랍이 닫힐 때, 락커(124b)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에어프런(101)에 접촉하면 경사면(124d)에 의해 탄성수단(127)을 극복하면서 일시적으로 후퇴(하강)하게 되고, 경사면(124d, 도 5)이 에어프런(101) 또는 상측에 위치된 프론트커버(110)를 통과할 수 있고 이후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락커(124b)는 서랍의 상측으로 다시 돌출되게 된다.
참고로, 전술한 에어프런(101)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랍장에서 이웃한 서랍들 사이에 위치되도록 서랍장 측에 결합될 수 있는 요소로, 그 후면에 락커가 걸려 서랍이 임으로 열리지 않게 할 수 있고, 다른 예로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닫히는 사랍의 상측 서랍의 프론트커버(110)에 락커가 걸리도록 할 수 있다.
도 4에서, 미설명 도면부호 122a와 122c는 스크류가 체결되는 보스이고, 도 5에서 도면부호 124e는 단턱으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락커에 마련된 단턱의 높이(도면기준)에 따라 덮개(125) 위로 돌출되는 경사면(124d)의 높이는 제한될 수 있다.
그리고, 도 6에서, 125a는 스크류(126)가 관통되는 구멍이고, 125b는 락커(124b)의 경사면(124d)이 출입하도록 안내하고, 그것의 돌출길이를 제한하는 출입구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일 뿐 한정하는 의미로 해석해서는 안 될 것이고, 또한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이라면 본 발명을 통해 다양한 변경 예나 응용 예를 실시할 수 있을 것이나, 이러한 변경 예나 응용 예는 본 발명자가 의도하는 진정한 의미의 기술적 사상과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정의하는 권리범위의 범주에 포함된다는 것을 미리 밝혀두는 바이다.
100: 서랍장 101: 에어프런
110: 프론트커버 120: 서랍잠금장치
121: 손잡이 122: 격판
122a, 122c: 보스 122b: 통로
123: 포켓 124a: 트리거
124b: 락커 124c: 장공
124e: 단턱 125: 덮개
125a: 구멍 125b: 락커 출입구
126: 스크류 127: 탄성수단

Claims (3)

  1. 격판(122)에 의해 형성되는 통로(122b)를 포함하는 포켓(123)을 구비하고, 서랍의 프론트커버(110)에 결합되는 손잡이 몸체(121a)와;
    통로(122b)를 통해 포켓(122) 내에 배치되는 트리거(124a)와, 경사면(124d)과 장공(124c)을 갖추고, 트리거(124a)와 연결되어 상기 격판(122)의 배면에 배치되는 락커(124b)와;
    장공(124c)을 관통하여 체결되는 스크류(126)에 의해 상기 격판(122)에 대하여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덮개(125) 및;
    트리거(124a)와 포켓(123)의 바닥면 사이에 위치되는 탄성수단(127);
    을 포함하는 손잡이(121)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랍 잠금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수단은 압축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랍 잠금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는, 프론트커버의 후면에 접하는 확장면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랍 잠금장치.

KR1020230176715A 2023-12-07 2023-12-07 서랍 잠금장치 KR1026458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76715A KR102645874B1 (ko) 2023-12-07 2023-12-07 서랍 잠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76715A KR102645874B1 (ko) 2023-12-07 2023-12-07 서랍 잠금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45874B1 true KR102645874B1 (ko) 2024-03-08

Family

ID=902358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176715A KR102645874B1 (ko) 2023-12-07 2023-12-07 서랍 잠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45874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70792B1 (ko) * 2013-03-04 2014-03-07 김광신 서랍 잠금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70792B1 (ko) * 2013-03-04 2014-03-07 김광신 서랍 잠금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430976B1 (en) Anti-theft container
US9382730B1 (en) Locking device for two-way travel drawer
US3084008A (en) Automatic locking key safe
US20060230795A1 (en) Lock box with obstruction free interior and improved method of locking
US6352290B1 (en) Child safety lock
KR200488276Y1 (ko) 영유아를 위한 안전 잠금장치를 장착한 서랍장
KR102645874B1 (ko) 서랍 잠금장치
US20140373578A1 (en) Portable safety device with two locks
KR101659229B1 (ko) 서랍 안전 잠금장치 및 이를 구비한 서랍장
KR102631456B1 (ko) 서랍 잠금장치
CN109911404B (zh) 容器
CN209939400U (zh) 容器
KR200445240Y1 (ko) 잠금보조장치
GB2307227A (en) Security case
US3087751A (en) Safety chaing locking means for a door
JP2000316653A (ja) 把 手
KR102596884B1 (ko) 사물함 잠금장치
AU2015100018A4 (en) Locking device for two-way travel drawer
JP3032028U (ja) 耐震性引出し装置
KR100566658B1 (ko) 사물함
KR20060090917A (ko) 마그네틱 래치 어셈블리
KR200416810Y1 (ko) 책상
TWI529292B (zh) The lock structure of the box
JP2702678B2 (ja) 家具における引出のロック構造
TWM470876U (zh) 方便啓閉之箱體扣接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