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90917A - 마그네틱 래치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마그네틱 래치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90917A
KR20060090917A KR1020050011642A KR20050011642A KR20060090917A KR 20060090917 A KR20060090917 A KR 20060090917A KR 1020050011642 A KR1020050011642 A KR 1020050011642A KR 20050011642 A KR20050011642 A KR 20050011642A KR 20060090917 A KR20060090917 A KR 200600909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tch
latch member
magnet
cavity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116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03875B1 (ko
Inventor
마사토시 사이토오
토루 네기시
Original Assignee
유치 카이하츠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치 카이하츠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유치 카이하츠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to KR10200500116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03875B1/ko
Publication of KR200600909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909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038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038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9/00Other milling methods or mills specially adapted for grain
    • B02C9/02Cutting or splitting gra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1/00Other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grain mi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원 발명은, 도어와 같은 제1 대상물에 이동가능하게 장착된 래치 부재와, 도어 프레임과 같은, 대향하는 제2 대상물에 배치된 리테이너를 포함하는 마그네틱 래치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래치 부재는 래치 아암과, 상기 래치 아암의 말단부상에 형성된 후크와, 상기 후크내에 장착된 제1 마그네트를 포함한다. 상기 리테이너는 공동을 가진 하우징과 제2 마그네트를 포함한다. 상기 공동은 제1 수평 통로와 상기 수평 통로에 연통된 제2 수직 통로를 포함한다. 제2 마그네트는 상기 제1 마그네트의 극성과 반대 극성의 자극을 가진다. 제1 및 제2 대상물이 서로 상대적으로 움직이면, 래치 아암은 상기 공동의 제1 통로로 움직인다. 래치 헤드가 상기 제1 통로에 완전히 수용되면, 상기 두개의 마그네트는 서로 동작가능하게 결합하여 상기 래치부재가 상기 수평통로에서 상기 수직통로로 움직이게 하여 상기 래치 부재 또는 헤드가 리테이너로 기능하는 하우징의 일단부와 래칭 결합하도록 한다.

Description

마그네틱 래치 어셈블리{MAGNETIC LATCH ASSEMBLY}
첨부된 도면을 함께하여 볼 때 본 발명의 특징 및 유리한 점은 후술의 명세서로부터 명백하여진다.
도 1은 도어의 개방 또는 언래치된 상태에서의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마그네틱 래치 어셈블리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과 동일한 도면으로서, 도어의 닫힘 또는 래치된 상태에서의 도면이다.
도 3은 래치 부재가 도어내에 포함된 마그네틱 래치 어셈블리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4는 래치 부재가 도어 밖으로 축상회전으로 이동된 마그네틱 래치 어셈블리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5는 도어가 도어 프레임 방향으로 이동됨에 따라 래치 부재가 리테이너로 부분적으로 삽입된 마그네틱 래치 어셈블리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6은 래치 부재가 도어를 잠그기 위해 리테이너와 완전히 결합되어 있는 마그네틱 래치 어셈블리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7은 도어가 닫힘 또는 래치된 상태에서에서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마그네틱 래치 어셈블리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과 동일한 도면으로서, 도어가 개방 또는 언래치된 상태의 도면이다.
도 9는 도 7에 도시된 마그네틱 래치 어셈블리의 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8에 도시된 마그네틱 래치 어셈블리의 단면도이다.
도 11은 컨테이너 리드가 언래치된 상태에서의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마그네틱 래치 어셈블리의 사시도이다.
도 12는 도 11과 동일한 도면으로서, 리드가 래치된 상태에서의 도면이다.
도 13은 도 11에 도시된 마그네틱 래치 어셈블리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14는 도 12에 도시된 마그네틱 래치 어셈블리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15는 아타셰 케이스(attache case)에서의 개방 또는 언래치된 상태에서의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마그네틱 래치 어셈블리의 사시도이다.
도 16은 도 15와 동일한 도면으로서, 아타세 케이스의 닫임 또는 래치된 상태에서의 도면이다.
도 17은 도 15에 도시된 마그네틱 래치 어셈블리의 단면도이다.
도 18은 도 16에 도시된 마그네틱 래치 어셈블리의 단면도이다.
미국특허 2,673,111호, 미국특허 5,035,451호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로킹(locking)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리드(lid) 또는 이와 유사한 클로저(closure)와 같은 도어를 선택적으로 로킹과 언로킹하는 마그네틱 래치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지금까지 닫혀진 상태의 도어, 컨테이너 리드, 캐비넷의 안전을 위해 다양한 마그네틱 래치들이 제안되어 왔으며, 구현되어 왔다. 예를 들어, 미국특허 2,673,111호에는 블라인드 패널 타입의 캐비넷 도어에 사용되기에 적합한 마그네틱 도어 캐치(catch)가 개시되어 있다. 이 마그네틱 도어 캐치는 도어의 내면쪽으로 단단하게 잠겨진 자성적으로 투과될 수 있는 금속 또는 보강재 플레이트와 도어를 마주보는 문설주(door jamb)에 축상회전하게 장착된 마그네트 유니트를 포함하고 있다. 이 마그네트 유니트는 마그테트가 장착된 길게 연장된 프레임를 구비한다. 도어가 개방 상태에 있을 때, 마그네트 유니트는 문설주의 전면으로부터 내부쪽으로 배치된 하우징의 바닥단부와 경사지게 일직선으로 꼭 붙잡는다. 도어가 닫힘 상태로 이동할 때, 보강재 플레이트와 마그네트 사이의 마그네트 인력은 전체 마그네트 유니트가 실질적으로 수직 상태로 축회전하는 것을 야기하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보강재 플레이트와 마그네트는 도어를 닫힘 상태로 하기 위해 서로 각각 끌어당긴다. 도어를 열기 위해서는, 보강재 플레이트가 문설주와 접촉할 때까지 안쪽으로 밀어야 한다. 이는 보강재 플레이트로부터 마그네트를 제거하게 된다. 마그네트 유니트 안에 배치된 스프링은 보강재 플레이트가 문설주에 접촉 상태에 있을 때 후방으로 비끼게 하거나 압축되도록 한다. 도어에 작용하는 압력이 갑자기 풀어질 경우, 이 스프링은 개방 상태쪽으로 도어에 압력을 가하게 된다.
미국특허 5,035,451호의 마그네틱 래치는 도어에 축상회전하게 장착된 래치 아암을 포함하며 일단에 위치하는 후크와 타단에 위치하는 스프링 레그를 구비하는 것이 개시되어 있다. 후크 형태의 플래트(flat) 마그네트와 리테이너(retainer)는 캐비넷에 부착되어 있다. 지진과 같은 장애가 발생한 경우에, 래치 아암은 상방으로 축상회전으로 이동하고 마그네트를 끌어당긴다. 만약 도어가 바깥방향으로 더 이동한다면, 래치 아암은 캐비넷의 내용물의 미끄러짐을 방지하기 위해 리테이너에 대해 래칭 결합(engagement)이 일어난다.
종래의 많은 래치 어셈블리들은 구조적으로 복잡하고 다양한 이동부재를 구비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구조적으로 간단하고 두개의 상대적으로 이동가능한 대상물이 부드럽고 효과적으로 래치될 수 있는 마그네틱 래치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술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제 1래치 수단과 도어와 도어 프레임의 조합 및 컨테이너와 클로저 리드(closure lid)의 조합과 같은 상대적으로 이동가능한 제 1 및 제 2 대상물을 선택적으로 래치하거나 언래치(unlatch)하기 위한 상기 제 1래치 수단과 동작적으로 관련있는 제 2래치 수단을 포함하는 마그네틱 래치 어셈블리를 제공한다.
상기 제 1래치 수단은 제 1 대상물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제 2 래치 수단은 상기 제 2 대상물내에 배치되는 리테이너 형태이다. 상기 제 1래치 수단은 상기 제 1 대상물에 이동가능하게 장착된 래치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래치 부재내에는 제 1 마그네트가 배치되어 있다. 상기 리테이너는 제 1 및 제 2 대상물이 서로 이동할 때 상기 래치 부재의 적어도 일부분을 수용하도록 정의된 공동(空洞) 범위내의 하우징을 구비한다. 상기 공동은 제 1 통로와 상기 제 1 통로에 대해 실질적으로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2 통로를 가진다. 제 2 마크네트는 상기 하우징내에 장착되고 상기 제 1 마그네트의 자극과 반대 극성의 자극을 가진다. 상기 래치 부재는 제 1 및 제 2 대상물이 각각 상대적으로 이동할 때 상기 공동의 제 1통로쪽으로 이동한다. 그 후, 상기 래치 부재가 제 1통로에서 제 2 통로로 이동하도록 상기 제 1 마그네트와 제 2 마그네트는 동작적으로 결합되어 진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래치 부재가 상기 제 2 통로에 도달할 때, 제 1 및 제 2 마그네트간의 인력이 상기 래치 부재가 후크 또는 리테이너와 같은 역할을 하는 하우징의 일단으로 래칭 결합이 되도록 하게 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 상기 래치 부재는 래치 부재의 말단에 형성된 후크를 가지는 연장된 래치 아암을 포함한다. 상기 제 1 마그네트는 상기 후크에 장착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 상기 하우징은 상기 공동과 통해 있는 관통 구멍(aperture)을 가지고 있어 상기 래치 부재가 구멍을 통해 접근가능하다. 상기 제 1 및 제 2 대상물이 그들의 래치된 상태로 유지할 때, 상기 래치 부재는 상기 제 2 마그네트로부터 상기 제 1 마그네트를 해제하기 위한 충분한 힘을 가지고 수동으로 하방으로 가해진다. 이 결과, 상기 래치 부재는 상기 공동 또는 하우징으로 부터 상기 래치 부재의 제거가 가능하도록 공동의 제 1 통로 방향으로 이동한다. 대안적으로, 분산된 해제(release) 부재가 상기 구멍을 통해 삽입될 수 있다. 상기 해제 부재는 상기 제 1 및 제 2 대상물이 그들의 래치된 상태로 유지될 때 상기 래치 부재로 관여할 수 있다. 상기 해제 부재는 상기 제 2 마그네트로부터 상기 제 1 마그네트를 해제하기 위한 충분한 힘을 가지고 수동으로 하방으로 가해진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 상기 하우징은 공동과 통해 있는 보어(bore)를 가진다. 해제 부재는 상기 보어내에 삽입된다. 상기 제 2 마그네트는 상기 해제부재에 장착된다. 상기 두개의 대상물이 그들의 래치된 상태로 유지될 때, 하우징의 바깥으로 연장되는 해제 부재의 일단과 해제 부재의 타단이 실질적으로 공동과 평평하게 된다. 해제 부재가 공동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당겨질 때, 상기 제 2 마그네트는 상기 제 1 마그네트로부터 이탈되어 진다. 이 결과, 상기 래치부재는 상기 공동의 제 2 통로로부터 제 1 통로로 이동한다. 이로써, 하우징으로부터 래치부재의 제거가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도면을 참조하면서 기술될 것이며, 여기서 유사한 도면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가리키거나 기능적으로 유사한 부재를 가리킨다.
도 1과 2를 참조하면, 도어(10)는 도어의 외측변(미도시)에서 대략 수직축으로 회전하는 문설주 또는 프레임(12)과 힌지 결합되어 있다. 도어(10)에는 일반적으로 도면 부호 14로 지명된 제 1 래치 수단이 제공된다. 이 제 1 래치 수단(14)은 도어(10)의 내부 표면의 상단 좌측 코너로 정의되는 수직으로 연장된 오목부(16)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10)가 개방 또는 언래치된 상태일 때 상기 오목부(16)내에 들어가는 이동가능 래치부재(18)를 포함한다.
도 3 내지 6을 참조하면, 래치 부재(18)는 연장된 래치 아암(20), 래치 아암(20)의 근접단부의 대향면으로부터 바깥쪽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측면 피봇 핀(22)(도 3 내지 6에서는 하나만 도시), 및 래치 아암(20)의 말단부상에 형성된 대체로 직사각형의 후크(24)를 가진다. 직사각형 마그네트(26)는 후크(24)내에 장착되고 예를 들어 N극을 가진다. 마그네트(26)의 바깥단부는 실질적으로 후크(24)의 바깥단부로부터 평평하게 또는 약간 바깥쪽으로 연장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후크(24)는 바깥모서리가 점점 가늘어지는 형태를 가진다. 수평 가이드 홈(28)은 오목부(16) 후방의 도어(10)내에 정의되며 오목부(16)와 연결된다. 래치 아암(20)의 근접단부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래치아암(20)이 수평 방향일 때 수평 가이드 홈(28)내에 수용된다. 또한, 한 쌍의 수직 가이드 홈(30)(도 3 내지 6에서는 하나만 도시)이 도어(10)내에 정의되고 오목부(16)의 대향면에 위치한다.
돌아와서 도 1 및 2를 참조하면, 도어 프레임(12)에는 리테이너(34) 형태로 제 2 래치 수단이 제공된다. 리테이너(34)는 나사 및 접착제(미도시)와 같은 고정수단에 의해 도어 프레임(12)에 단단히 고정되는 실질적으로 직사각 형태의 하우징(36)을 포함한다. 특히, 하우징(36)은 도어 프레임(12)의 내부 표면상에 단단하게 고정 장착된 수직 전방벽(36a)(도 3 내지 6 참조), 수직 상단 및 바닥 벽(36b, 36c), 수직 내부벽(미도시)을 가진다.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의 바깥벽(36d)와 후방벽(36e)은 그들 사이의 구부러진 코너에 집합적으로 형성된다. 직사각형의 전 방 개구 또는 개구마우스(open mouth)은 래치 부재(18)를 수용하는 하우징(36)의 전방벽(36a)내에 정의되어 진다. 하우징(36)으로 래치부재(18)의 삽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개구마우스(38)는 주변 모서리가 테이퍼(taper) 형태를 가진다. 도 3 내지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36)은 개구(38)와 연결되는 L 형태의 공동(40)을 가진다. 공동(40)은 제 1, 수평 통로(40a)와 수평 통로(40a)와 연결되고 수평 통로(40a)에 실질적으로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2, 수직 통로(40b)를 가진다. 직사각형 마그네트(42)는 하우징(36) 내에 수평하게 장착되고 공동(40)쪽으로 오픈된다. 마그네트(42)는 예를 들어 S극을 가진다. 공동(40)쪽으로 래치 부재(18)의 후크(24) 통로를 허용하기 위해, 수평 통로(40a)는 래치 부재(18)의 후크(24) 단면적보다 약간 더 큰 단면적을 가진다. 또한, 수직 통로(40b)는 도어(10)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래치된 상태에 있을 때 후크(24)를 수용하도록 후크(24)의 단면적보다 약간 더 큰 단면적을 가진다. 하우징(36)의 상단벽(36b)은 구멍(44)을 통과하여 형성된다. 해제부재(46)는 원형 구멍(44)을 통해 공동(40)으로 부분적으로 삽입되고 하우징(36)의 상단벽(36b)에 의해 지지된다.
특히, 해제부재(46)는 도 3 내지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도어(10)가 그 언래치 위치에 있을 때, 구멍(44)을 통해 연장되는 섕크(46a;shank), 섕크(46a)의 상단부에 고정되어 하우징(36)의 상부벽(36b) 상에 놓여져 있는 반구형의 헤드(46b), 및 섕크(46a)의 하단부 둘레에 연장되는 고리형 플랜지(46c)를 가진다.
하우징(36)의 상부벽(36b)은 고리형 오목부(48)와 함께 그 바닥면(bottom surface)에 형성되어 있다. 고리형 오목부(48)의 직경은 관통구멍(44)의 직경 보다 크고, 또한 고리형 플랜지(46c)의 직경 보다도 약간 크다. 고리형 오목부(48)의 깊이는 해제 부재(46)의 고리형 플랜지(46c)의 두께와 거의 동일히다. 고리형 플랜지(46c) 및 반구형 헤드(46b)는 집합적으로 하우징(36)의 상부벽(36b)으로부터 해제 부재(46)가 제거되는 것을 방지한다.
도 3에 나타낸 위치로부터 도어(10)를 로크하기 위해, 래치 부재(18)는 유저의 집게손가락(index) 또는 다른 손가락에 의해 수동으로 오목부(16) 밖으로 당겨진다. 그후, 래치 부재(18)는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피봇핀(22) 둘레에 상방으로 피봇된다. 이때, 피봇핀(22)은 수직 가이드홈(30)의 하단에 위치된다. 래치 아암(18)이 수평 가이드홈(28)과 수평으로 배치될 때까지 래치 부재(18)는 도 4에서 시계방향으로 회전된다. 래치 아암(20)의 근접단부(proximal end)가 수평 가이드홈(28)의 후방 또는 바닥단부와 접촉되게 될 때까지 래치 아암(18)은 수평 가이드홈(28)에 삽입된다.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그 수평 배향에서의 래치 부재(18)에 의하면, 도어(10)는 도어 프레임(12)을 향해 이동된다. 이는 래치 부재(18)가 개구 또는 개구 마우스(38; open mouth)를 통해 유지 하우징(36)에 삽입되도록 한다. 후크(24)의 외부단부가 수평 통로(40a) 또는 공동(40; cavity)의 후방벽와 접촉되게 될 때까지 래치 부재(18)는 공동(40)의 바닥 상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이동된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마그네트(42)는 마그네트(26)의 자극과는 반대 극성의 자극을 가진다. 그 결과 얻어지는 마그네트(26, 42) 간의 인력으로 인해 공동(40)내의 래치 부재(18)의 상방 이동을 야기시킨다. 이때, 피봇핀(22)은 각각의 수직 가이드홈(30)을 따라 이동된다. 래치 부재(18)의 후크(24)가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 이 공동(40)의 수직 통로(40b) 내부에 완전히 수용될 경우, 마그네트(26, 42)는 서로 끌어당겨져 래치 부재(18)를 그 위치에 유지하는 것을 돕는다. 후크(24)는 하우징(36)의 전방벽(36a)의 상단부 또는 유지 단부와 힌지 결합되어 도어(10)를 고정되게 래치하거나 로크한다. 이때, 해제 부재(46)의 고리형 플랜지(46c)는 하우징(36)의 전방벽(36b)의 오목부(48) 내부로 끌어당겨지거나 수용되고, 반구형 헤드(44b)는 상방으로 이동되어 하우징(36)의 상부벽(36a)으로부터 분리된다.
도 6에 나타낸 위치로부터 도어(10)를 언래치하기 위해, 해제 부재(46)는 마그네트(26, 42) 간의 인력을 극복하기 위한 충분한 힘으로 수동으로 아래로 가압된다. 그 결과, 마그네트(26)는 마그네트(42)으로부터 분리되어, 공동(40)내의 래치 부재(18)의 하방 이동을 허락하고, 래치 부재(18)의 피봇핀(22)은 각각의 수직 가이드홈(30)을 따라 하방으로 이동된다. 공동(40)의 바닥와 접촉하는 래치 아암(20)으로 인해, 도어(10)는 그 개방위치를 향해 피봇된다. 이는 래치 부재(18)가 공동(40) 밖으로 이동되도록 한다. 래치 부재(18)가 유지 하우징(36)으로부터 분리되자 마자, 래치 부재(18)는 피봇핀(22) 둘레에 하방으로 피봇된다. 그후, 래치 부재(18)는 길다란 오목부(16) 내부에 수용된다.
상술한 실시형태에서는, 마그네틱 래치 어셈블리가 보조의 고정 로크로서 바람직하게, 도어의 상단부 근방에 장착되어 있다. 그 대안으로서, 마그네틱 래치 어셈블리는 도어의 바닥단부 근방에 장착될 수도 있다. 또한 대안으로서, 안전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2개의 마그네틱 래치 어셈블리가 도어의 상단부와 바닥단부에 모두 장착될 수도 있다. 또한, 후크는 철 및 강(鋼) 등의 강자성체 금속 또는 자기적 으로 투과 가능한 금속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구조는 마그네트의 사용을 배제한다.
다음으로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따른 마그네틱 래치 어셈블리가 나타나 있다. 이 실시형태의 래치 부재는 상술한 실시형태와 구조가 동일하므로, 그 설명을 생략한다. 상술한 실시형태에서와 같이, 제2 래치 수단으로서의 리테이너(50; retainer)는 도어 프레임(12) 상에 장착된다. 리테이너(50)는 수직 전방 및 후방 벽(52a, 52b), 수평 상부 및 바닥 벽(52c, 52d), 도어 프레임(12)의 내부면상에 고정된 수직 내부벽(도시하지 않음), 및 외부 측벽(52e)을 가진 직사각형 하우징(52)을 포함한다.
도 9 및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하우징(52)은 비교적 긴 수평 통로(54a) 및 상기 수평 통로(54a)의 내부단부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는 비교적 짧은 수직 통로(54b)로 이루어진 L자형상의 공동(54)을 구비한다. 전방 개구(56)는 하우징(52)의 전방벽(52a)내에 형성되어 공동(54)의 수평 통로(54a)와 연통된다. 수평 관통보어(58; horizontal through bore)는 하우징(52)의 후방벽부(52b)내에 형성되어 해제 부재(60)를 수용한다. 수평 보어(58)는 직사각형 단면을 가지며, 공동(54)과 직접 연통되는 큰 직경의 부분(58a)과 상기 큰 직경의 부분(58a)과 연통되는 작은 직경의 부분(58b)으로 이루어진다. 큰 직경의 부분(58a)과 작은 직경의 부분(58b)의 사이에는 숄더(shoulder) 또는 단차(step)(62)가 형성된다. 해제 부재(60)는 확장된 전방단부(60b)를 가진 직사각형 섕크(60a)를 포함한다. 섕크(60a)의 확장된 단부(60b)는 보어(58)의 큰 직경의 부분(58a) 보다 약 간 작은 단면적을 가지며, 섕크(60a)의 나머지 부분은 수평 보어(58)의 작은 직경의 부분(58b) 보다 약간 작은 단면적을 가진다. 구멍이 생긴(apertured) 탭(tab) 또는 손잡이(knob)(60c)는 섕크(60a)의 후방단부에 고정되며, 직사각형 플랜지(60d)를 가진다. 마그네트(64)가 섕크(60a) 내부에 포함되어, 공동(54)을 개방시킨다. 해제 부재(60)의 섕크(60a)는 도어(10)가 래치되는 동안 관통보어(58)내부에 완전히 포함된다.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플랜지(60d)는 하우징(52)의 후방벽(52b)과 접촉하여 유지되므로, 섕크(60a)의 전방단부는 관통보어(58)의 전방단부와 거의 평면으로 되어 있어 공동(54)내의 래치부재(18)의 수직 이동을 방지하지 않는다.
사용시, 래치 부재(18)는 도어(10)를 래치하는 동안 제1 실시형태와 동일한 방식으로 조작된다. 도어(10)를 언래치하기 위해,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유저가 잡은 손잡이(60c)에 의해, 해제 부재(60)는 마그네트(26, 64) 간의 인력을 극복하기 위한 충분한 힘으로 유저를 향해 당겨진다. 이는 공동(54) 내부의 래치 부재(18)의 갑작스런 드롭(drop)을 야기시킨다. 상술한 실시형태에서와 같이, 도어(10)가 그 개방위치를 향해 피봇되는 동안, 래치 부재(18)는 공동(54) 밖으로 슬라이딩된다. 래치 부재(18)가 리테이너(50)로부터 분리되자 마자, 래치 부재(18)는 피봇핀(22) 둘레에 하방으로 피봇된다. 그 결과, 래치 부재(18)는 오목부(16)내부에 수용된다.
도 11 및 도 12을 참조하면, 컨테이너(66)에 적용된, 본 발명의 제3 실시형태에 따른 마그네틱 래치 어셈블리가 나타나 있다. 컨테이너(66)는 직사각형 컨테 이너 본체(68) 및 컨테이너를 선택적으로 개방 및 폐쇄하기 위해 상기 컨테이너 본체(68)상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이동할 수 있는 연관된 클로저 리드(70; lid)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는, 컨테이너 본체(68)는 마주보는 길이방향 측벽(68a), 마주보는 가로방향 측벽(68b)(하나만 도시함), 상기 4개의 측벽에 연결된 바닥벽(68c), 및 개방 상부(68d)를 가진다. 도 11에 더욱 잘 나타낸 바와 같이, 한쌍의 반원형 가이드홈(72)(하나만 도시함)이 개방 상부(68d)에 인접하는 컨테이너 본체(68)의 길이방향 측벽(68a)내에 형성된다. 클로저 리드(70)는 대응하는 한쌍의 반원형 돌출부(74)에 의해 그 길이방향측 가장자리에 형성된다. 마주보는 돌출부(74)는 각각의 가이드홈(72)내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수용되므로, 클로저 리드(70)는 개방 또는 언래치 위치(도 11 참조)와 닫힘 또는 래치 위치(도 12 참조) 사이에서 선택적으로 이동된다. 가로방향 측벽(68b) 중 하나는 다른 측벽 보다 낮으므로, 클로저 리드(70)는 컨테이너 본체(68)의 하부 측벽으로부터 삽입된다. 2개의 가로방향 측벽(68b) 사이의 높이차는 클로저 리드(70)의 두께와 거의 동일하다.
도 13 및 도 14에 더욱 잘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래치수단(76)은 컨테이너 본체(68)의 측벽(68b) 중 하나 내부에 배치되고, 제2 래치수단(78)은 클로저 리드(70) 내부에 배치된다. 제1 래치수단이 클로저 리드 내부에 배치될 수도 있고, 제2 래치수단이 컨테이너 본체 내부에 배치될 수도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실시형태에서는, 제1 래치수단(76)은 컨테이너 본체(68)의 측벽(68b)의 내부면 내에 형성된 수직 오목부(80), 및 컨테이너 본체(68)의 측벽(68b)에 장착되며 상기 수직 오목부(80)를 따라 수직으로 이동할 수 있는 이동 가능한 래치부재 (82)를 포함한다. 래치부재(82)는 길다란 래치 아암(84), 상기 래치 아암(84)의 말단부 상에 형성된 후크(86), 및 상기 래치 아암(84)의 근접단부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는 한쌍의 마주보는 타원형 요소 또는 홀더(88)를 포함한다. 한쌍의 타원형 가이드홈(90)이 컨테이너 본체(68)의 측벽(68b) 내부에 형성되고, 오목부(80)와 마주보는 쪽에 위치한다. 타원형 요소(88)는 각각의 가이드홈(90) 내부에 수용되므로, 래치 부재(82)는 수평배향으로 일정하게 유지된다. 상술한 실시형태에서와 같이, 직사각형 마그네트(92)가 래치부재(82)의 후크(86)속에 끼워져 있고, 래치 아암(84)의 말단부로부터 외부로 약간 연장되거나 래치 아암(84)의 말단부와 거의 평면을 이루는 외부단부를 가진다. 도시한 바와 같이, 후크(86)는 테이퍼 형상의 외부 가장자리를 가진다.
제2 래치수단(78)은 래치부재(82)에 인접하는 클로저 리드(70)의 가로방향 쪽 중 하나에 배치된 하우징 또는 리테이너(94)의 형태이다. 도 13 및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2 래치수단(78)은 제1 실시형태에 사용된 것과 거의 동일한 구조이다. 그러나, 이 실시형태에 사용되는 제2 래치수단은 제1 래치수단을 향해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이동되는 반면에, 제1 실시형태에서의 제1 래치수단은 제2 래치수단을 향해 피봇 가능하도록 이동된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리테이너(94)는 리드(70)의 가로방향 단부내에 형성된 L자형상의 공동(96)을 포함하며, 수평 통로(96a) 및 상기 수평 통로(96a)의 내부단부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는 수직 통로(96b)로 이루어진다. 클로저리드(70)의 전방 가장자리는 전방 개구 또는 마우스(98)에 의해 형성되어 래치부재(82)를 수용하며, 공동(96)과 연통된다. 마그네트(100)는 공동 (96) 뒤의 클로저리드(70)속에 끼워져 있다. 마그네트(100)의 외부단부는 공동(96)의 후방벽과 거의 평면이다. 원형 관통구멍(102)은 공동(96) 위의 리드(70) 내부에 형성되며, 공동(96)과 연통된다. 해제 부재(104)는 원형 구멍(102)을 통해 삽입되며, 원통형 섕크(104a), 상기 섕크(104a)의 상단부에 고정된 반구형 헤드(104b), 및 상기 섕크(104a)의 하단부 둘레에 연장되는 고리형 플랜지(104c)를 포함한다.
클로저리드(70)를 닫힘 또는 래치하기 위해, 리드(70)는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래치부재(82)를 향해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이동된다. 더욱 이동시킴으로써, 래치부재(82)가 리드(70)의 전방 개구(98)를 통해 공동(96)으로 삽입되도록 한다. 일단 래치부재(82)가 공동(96)의 후방벽와 접촉되면, 마그네트(92, 100) 간의 인력으로 인해 공동(96)의 수직 통로(96b)를 따라 래치부재(82)의 상방이동이 야기된다. 그 결과, 래치부재(82)의 후크(86)가 공동(96)의 상부벽과 접촉되게 된다. 이때, 마그네트(92, 100)는 서로 끌어당겨지며, 후크(86)는 클로저리드(70)의 선단 또는 유지 가장자리와 결합된다. 또한,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해제부재(104)의 헤드(104b)는 클로저리드(70)의 상부면으로부터 분리된다.
클로저리드(70)를 도 14에 나타낸 위치로부터 개방 또는 언래치하기 위해, 해제부재(104)는 마그네트(92, 100)간의 인력을 극복하기 위한 충분한 힘으로 수동으로 아래로 가압된다. 결과적으로, 마그네트(92)는 마그네트(100)로부터 결합이 해제되어, 래치부재(82)는 래치부재(82)가 공동(96)의 바닥 벽부와 접촉할 때까지 하향 이동된다. 이것은, 클로저리드(70)가 래치부재(82)로부터 미끄러지듯이 이동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이제, 도 15 및 도 16을 참조하면, 아타셰 케이스(attache case)(106)에 적용된,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르는 마그네틱 래치 어셈블리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아타셰 케이스(106)는 직사각형 형상을 가지며, 리드 셀(108)과 종래의 힌지(미도시)에 의해 리드 셀(108)에 연결된 베이스 셀(110)을 포함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리드 셀(108)에는 제1 래치수단(112)이 설치되어 있고, 베이스 셀(110)에는 제1 및 제2 래치 수단 사이에 핸들(미도시)이 설치되어 있다.
제1 래치수단(112)은 리드 셀(108)의 상면에 고정된 래치대(latch mount)(116)과, 래치대(116)로부터 부분적으로 연장하는 이동가능한 래치부재(118)을 포함한다. 래치대(116)는 수직 정면벽부(116a)와, 리드 셀(108)의 상면에 고정된 바닥 벽부(116b)와, 기립 대향하는 측벽부(116c)(도 15 및 도 16에는 하나만 도시됨)와, 상단 벽부(116d) 및 라운드 후벽부(116e)를 포함한다. 정면 오목부(120)는 래치대(116)의 정면벽부(116a)에 형성되어 있다. 한쌍의 수직 가이드 홈(122)은 래치대(116)에 형성되며, 정면 오목부(120)의 대향 측부에 위치된다. 래치부재(118)는 연장된 래치아암(124)과, 래치아암(124)의 말단부상에 배열된 직사각형 후크(hook)(126)와, 상기 래치부재(118)의 근접단부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고 각각의 가이드 홈(122) 내에 이동가능하게 배치된 대향하는 타원체 소자 또는 홀더(128)를 포함한다. 타원체 소자(128)는 수평 방향으로 래치부재(118)를 일정하게 유지하는 기능을 하며, 래치대(116)로부터 래치부재(118)의 이탈을 방지한다. 직사각형 마그네트(130)는 후크(126)내에 장착되어 있다.
제2 래치수단(114)은 리테이너(132)의 형태로 되어 있다. 리테이너(132)는 베이스셀(110)의 상면에 고정되어 베이스셀(110)의 정면 엣지로부터 외부로 부분 연장하는 하우징(134)을 포함한다. 리테이너(132)는 그 정면 단부에 래치부재를 수용하는 형태를 가지는 정면 개구부(136)가 형성된다. 또한, 리테이너(132)는 개구부(136)와 연통되는 수평의 통로(138a)와, 상기 수평 통로(138a)의 내부 단부로부터 수직 상방으로 연장하는 수직 통로(138b)로 구성된 L자 형상 공동(138)을 포함한다. 접근 구멍(140)은 하우징(134)의 상면에 형성되며 수직 통로(138b)와 연통되어 있다. 상부 구멍(140)은, 도 16 및 도 1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아타셰 케이스가 그 래칭된 위치에 있을 때 래치부재(118)의 후크(126)에 사용자의 접근이 가능하게 한다. 직사각형 마그네트(142)는 공동(138) 뒤의 리테이너(132)에 수평으로 장착되어 있으며, 마그네트(130)의 자극과는 반대 극성을 가진다.
도 15 및 도 17에 나타낸 바와 같은 위치에서 아타셰 케이스를 래치하기 위해서, 리드 셀(108)은 베이스 셀(110)쪽으로 이동된다. 리드 셀(108)을 더 이동시키면, 래치부재(118)가 리테이너(132)의 정면 개구(136)를 통하여 공동(138)으로 삽입되게 한다. 일단 래치부재(118)의 말단부가 공동(138)의 후벽부와 접촉하면, 마그네트(130, 142) 사이의 인력이 공동(138) 내의 래치부재(118)의 상향 이동을 일으킨다. 도 16 및 도 18에 나타낸 래칭된 위치에 있는 아타셰 케이스에 있어, 마그네트(130, 142)는 서로 끌어당겨, 래치부재(118)의 후크(126)는 리테이너의 유지 단부 또는 정면 벽부와 결합한다. 이러한 위치에서, 후크(126)의 상면은 리테이너 하우징(134)의 상면과 실질적으로 같은 높이에 놓이게 된다.
아타셰 케이스의 언래칭을 위해서, 후크(126)는 마그네트(142)로부터 마그네 트(130)의 결합을 해제하는데 충분한 힘을 가지고 수동적으로 밀어 내린다. 이것은 래치아암(124)의 바닥이 공동(138)의 바닥과 접촉할 때까지 공동(138)내에서의 래치부재(118)의 하향 이동을 유발한다. 이것은 래치부재(118)가 공동(138)으로부터 이동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리드 셀(108)이 베이스 셀(110)로부터 축상 회전할 때, 래치부재(118)는 정면 개구부(136)를 통하여 공동(138)으로부터 미끄러져 나간다.
이상, 본원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원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된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 여러 가지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발명을 따르게 되면 구조적으로 간단하며 상대적으로 이동가능한 두 개의 대상물이 부드럽고 효과적으로 래치될 수 있는 마그네틱 래치 어셈블리를 얻을 수 있다.

Claims (9)

  1. 상대적으로 이동가능한 제1 및 제2 대상물의 래칭 및 언래칭을 선택적으로 하기 위한 마그네틱 래치 어셈블리로서,
    제1 대상물에 배치된 제1 래치 수단,
    상기 제2 대상물에 배치되며, 상기 제1 래치 수단과 작동가능하게 결합된 제2 래치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래치 수단은, 상기 제1 대상물에 이동가능하게 장착된 래치 부재와, 상기 래치 부재에 배치되고 제1 자극을 가지는 제1 마그네트를 포함하며,
    상기 제2 래치 수단은 상기 제2 대상물에 배치되고 유지단부(retaining end)를 가지는 하우징을 포함하며, 상기 하우징은 적어도 상기 래치 부재 부분을 수용하고, 제1 통로 및 상기 제1 통로에 실질적으로 수직인 방향으로 연장하는 제2 통로를 가지는 공동과, 상기 제1 마그네트의 상기 제1 자극과 반대 극성의 제2 자극을 가지는 제2 마그네트를 포함하며,
    상기 래치 부재는 상기 제1 및 제2 대상물이 서로 상대적으로 이동하면, 상기 공동의 상기 제1 통로쪽으로 움직이며,
    상기 제1 마그네트 및 제2 마그네트는 작동가능하게 결합하여 상기 래치부재가 상기 제1 통로에서 제2 통로로 이동하여 상기 래치부재를 상기 하우징의 상기 유지 단부와 래칭 결합하도록 하는 마그네틱 래치 어셈블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래치 부재는 상기 제1 대상물에 의해 지지된 말단부와 근접 단부를 가지는 연장된 래치 아암과, 상기 제1 마그네트를 수용하는 형태인, 상기 래치 아암의 상기 말단부에 배치된 후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그네틱 래치 어셈블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래치 수단은 상기 제1 대상물에 형성된 오목부와, 상기 제1 대상물에 형성되고 상기 오목부 내에서 상기 래치 부재가 이동하는 동안 상기 래치 부재를 가이드하기 위한 제1 가이드홈을 포함하며, 상기 제1 가이드홈은 상기 래치 부재가 상기 유지단부와 래칭 결합하면, 상기 공동의 상기 제2 통로에 실질적으로 나란한 방향으로 연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그네틱 래치 어셈블리.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래치 수단은 상기 제1 대상물에 형성되고, 상기 제1 가이드홈에 실질적으로 수직인 방향으로 연장하는 제2 가이드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그네틱 래치 어셈블리.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래치 수단은 상기 제1 대상물에 형성된 오목부를 포함하고,
    상기 래치 부재는, 상기 래치 부재가 상기 오목부 내에 들어가는 제1 위치 와, 상기 래치 부재가 상기 공동의 상기 제1 통로와 정렬되는 제2 위치 사이에서 축상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그네틱 래치 어셈블리.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마그네트는 상기 공동에 인접한 상기 하우징 내에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그네틱 래치 어셈블리.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공동과 연통된 관통 구멍을 가져, 상기 래치 부재는 상기 구멍을 통하여 접근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그네틱 래치 어셈블리.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관통 구멍을 가지며, 상기 하우징의 상기 유지단부와 상기 래치 부재가 래칭 결합되는 경우 상기 래치 부재와 결합하며 상기 구멍을 통하여 연장하는 해제 부재(release member)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그네틱 래치 어셈블리.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공동과 연통된 관통 보어(through bore)를 가지며, 상기 제2 마그네트를 수용하는 형태의, 상기 제1 및 제2 마그네트 사이의 선택적 결합이 가능하도록 상기 관통 보어에 이동가능하게 수용된 해제 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그네틱 래치 어셈블리.
KR1020050011642A 2005-02-11 2005-02-11 마그네틱 래치 어셈블리 KR1008038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11642A KR100803875B1 (ko) 2005-02-11 2005-02-11 마그네틱 래치 어셈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11642A KR100803875B1 (ko) 2005-02-11 2005-02-11 마그네틱 래치 어셈블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90917A true KR20060090917A (ko) 2006-08-17
KR100803875B1 KR100803875B1 (ko) 2008-02-14

Family

ID=375929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11642A KR100803875B1 (ko) 2005-02-11 2005-02-11 마그네틱 래치 어셈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0387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27147A (ko) * 2017-05-18 2018-11-28 코웨이 주식회사 비데
KR102073396B1 (ko) * 2018-08-24 2020-02-04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37224Y1 (ko) 2003-10-01 2003-12-31 박교훈 창문 자동 잠금 장치
KR20040027823A (ko) * 2004-03-10 2004-04-01 이동곤 이중창 창문 샤시 틀속 잠금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27147A (ko) * 2017-05-18 2018-11-28 코웨이 주식회사 비데
KR102073396B1 (ko) * 2018-08-24 2020-02-04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WO2020040611A1 (en) * 2018-08-24 2020-02-27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apparatus
US10798830B2 (en) 2018-08-24 2020-10-06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03875B1 (ko) 2008-02-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34739B2 (en) Magnetic latch assembly
US8397546B2 (en) Cabinet security system
EP1583879B1 (en) Opening and closing latch device for furniture
US5470115A (en) Recessed three-point latching mechanism and method for a storage locker
EP1693538A1 (en) Magnetic latch assembly
US3637246A (en) Latching mechanism
US5864929A (en) Snap ring
KR100803875B1 (ko) 마그네틱 래치 어셈블리
KR100533742B1 (ko) 사물함의 잠금장치
US20060103275A1 (en) Jewelry chest with a fully locking system
CA2496650A1 (en) Magnetic latch assembly
KR200437756Y1 (ko) 사물함용 도어 잠금장치
KR200362804Y1 (ko) 손잡이를 구비한 사물함용 잠금장치
RU2323313C2 (ru) Узел магнитного замка
KR200386598Y1 (ko) 손잡이기능을 갖는 자물쇠용 커버
AU2005200582A1 (en) Magnetic latch assembly
JP2003027816A (ja) 耐震ロック機能を有する抽斗装置とその耐震ロック方法
GB2058196A (en) A Casket and its Lock Device
KR20050026444A (ko) 손잡이기능을 갖는 자물쇠용 커버
CN217771692U (zh) 一种自动扣锁盖药盒
JP2005344434A (ja) サッシ
KR100566658B1 (ko) 사물함
JP2010101075A (ja) 戸当り
CN209862502U (zh) 磁性锁扣和包括该磁性锁扣的防走失牵引绳
EP3653814B1 (en) Lock with a roller deadbol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