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45414B1 - 콤바인 - Google Patents

콤바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45414B1
KR102645414B1 KR1020180067961A KR20180067961A KR102645414B1 KR 102645414 B1 KR102645414 B1 KR 102645414B1 KR 1020180067961 A KR1020180067961 A KR 1020180067961A KR 20180067961 A KR20180067961 A KR 20180067961A KR 102645414 B1 KR102645414 B1 KR 1026454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iver
display device
seat
combine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679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02309A (ko
Inventor
도모노리 다나카
가즈시 사코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filed Critical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Publication of KR201900023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23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454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454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41/00Combines, i.e. harvesters or mowers combined with threshing devices
    • A01D41/02Self-propelled combin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67/00Undercarriages or frames specially adapted for harvesters or mowers; Mechanisms for adjusting the frame; Platforms
    • A01D67/02Protection against weather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41/00Combines, i.e. harvesters or mowers combined with threshing devices
    • A01D41/12Details of combin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67/00Undercarriages or frames specially adapted for harvesters or mowers; Mechanisms for adjusting the frame; Platforms
    • A01D67/04Sea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8Front or rear por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33/00Superstructures for load-carrying vehicles
    • B62D33/06Drivers' cab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arvester Elements (AREA)
  • Combines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운전자가 운전 좌석으로부터 전방 하방의 상황을 시인하기에 적합한 콤바인이 요망되고 있다.
운전부(4)에, 운전 좌석(21)과, 운전 좌석(21)에 대해 기체 좌우 방향의 일방측에 설치되는 사이드 패널(22)과, 운전 좌석(21)에 대해 기체 좌우 방향의 타방측에 설치되는 조향 조작 레버(23)와, 사이드 패널(22)과 조향 조작 레버(23) 사이에서 운전 좌석(21)의 전방에 설치되는 표시 장치(24)가 구비되어 있다. 표시 장치(24)의 하방에, 운전 좌석(21)에 착좌한 운전자가 전방 하방을 내다보는 중앙측 전망 공간(Sc)이 형성되어 있다.

Description

콤바인 {COMBINE}
본 발명은, 운전자가 탑승하는 운전부가 구비된 콤바인에 관한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콤바인으로서, 예를 들어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콤바인이 이미 알려져 있다.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콤바인에서는, 운전부에, 운전 좌석과, 운전 좌석에 대해 좌측에 설치되는 사이드 패널과, 운전 좌석의 전방에 설치되는 프론트 패널이 구비되어 있다. 프론트 패널에는, 조향 조작구(문헌에서는 「스티어링 레버」)나 표시 장치(문헌에서는 「계기 표시부」)가 설치되어 있다.
일본 특허 공개 제2016-63790호 공보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콤바인에서는, 예취 작업 시에, 운전자가 운전 좌석으로부터 전방 하방의 상황을 시인할 때, 시선이 프론트 패널에 차단되어 버린다. 이 때문에, 운전자가 운전 좌석으로부터 전방 하방의 상황을 시인하기 위해서는, 앞으로 구부린 상태로 전방 하방을 들여다볼 필요가 있어, 번거롭다.
상기 상황에 비추어, 운전자가 운전 좌석으로부터 전방 하방의 상황을 시인하기에 적합한 콤바인이 요망되고 있다.
본 발명의 특징은,
운전자가 탑승하는 운전부가 구비된 콤바인이며,
상기 운전부에, 운전 좌석과, 상기 운전 좌석에 대해 기체 좌우 방향의 일방측에 설치되는 사이드 패널과, 상기 운전 좌석에 대해 기체 좌우 방향의 타방측에 설치되는 조향 조작구와, 상기 사이드 패널과 상기 조향 조작구 사이에서 상기 운전 좌석의 전방에 설치되는 표시 장치가 구비되고,
상기 표시 장치의 하방에, 상기 운전 좌석에 착좌한 운전자가 전방 하방을 내다보는 전망 공간이 형성되어 있는 것에 있다.
본 특징 구성에 의하면, 운전자가 운전 좌석에 착좌한 상태에서 시선을 전방 하방을 향하는 것만으로, 표시 장치의 하방의 전망 공간을 통해, 전방 하방의 상황을 시인할 수 있다. 즉, 본 특징 구성에 의하면, 운전자가 운전 좌석으로부터 전방 하방의 상황을 시인하기에 적합한 콤바인을 실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 패널과 상기 표시 장치 사이에, 상기 운전 좌석에 착좌한 운전자가 상기 일방측의 전방 하방을 내다보는 전망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조향 조작구와 상기 표시 장치 사이에, 상기 운전 좌석에 착좌한 운전자가 상기 타방측의 전방 하방을 내다보는 전망 공간이 형성되어 있으면 적합하다.
본 특징 구성에 의하면, 표시 장치의 하방 전망 공간, 사이드 패널과 표시 장치 사이의 전망 공간 및 조향 조작구와 표시 장치 사이의 전망 공간을 통해, 기체 좌우 방향의 광범위에 걸친 전방 하방의 상황을 시인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운전 좌석의 전방이며, 또한 상기 표시 장치의 하방에 기체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횡 프레임이 설치되고,
상기 표시 장치는, 상기 횡 프레임에 지지되어 있으면 적합하다.
본 특징 구성에 의하면, 표시 장치를 지지하기 위해, 표시 장치의 하방에 있어서,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프레임을 운전부의 바닥부에 기립 설치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표시 장치의 하방에 전망 공간을 확보하기 쉽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운전부 중 기체 좌우 방향의 일방측의 측부에, 상방으로 연장되는 종 프레임이 설치되고,
상기 횡 프레임은, 상기 종 프레임으로부터 기체 좌우 방향의 타방측을 향해 연장되어 있으면 적합하다.
본 특징 구성에 의하면, 종 프레임보다 기체 좌우 방향의 타방측에 있어서, 횡 프레임의 상방 및 하방에 공간이 존재하게 되기 때문에, 전망 공간을 확보하기 쉽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종 프레임은, 상기 운전부 중 기체 좌우 방향에서 상기 사이드 패널이 위치하는 측의 측부에 설치되고,
기체 전후 방향으로 연장됨과 함께 상기 사이드 패널을 지지하는 전후 프레임이 구비되고,
상기 전후 프레임은, 상기 종 프레임에 지지되어 있으면 적합하다.
본 특징 구성에 의하면, 종 프레임과 전후 프레임이 연결되게 되어, 횡 프레임, 종 프레임 및 전후 프레임에 대해, 프레임 전체적인 강성이 높아지는 결과, 표시 장치를 확실하게 지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횡 프레임 중 상기 종 프레임과는 반대측의 단부는, 상기 종 프레임과는 다른 프레임에 지지되어 있으면 적합하다.
본 특징 구성에 의하면, 횡 프레임의 일단부가 종 프레임에 지지되고, 또한 횡 프레임의 타단부가 종 프레임과는 다른 프레임에 지지되게, 즉, 횡 프레임이 양단 지지되게 되어, 표시 장치를 확실하게 지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운전부에 있어서의 바닥부의 전방 모서리부에, 전방벽이 설치되고,
상기 전방벽의 상단부는, 상기 운전 좌석을 적재 지지하는 천장판보다 하측에 위치하고,
상기 횡 프레임 중 상기 종 프레임과는 반대측의 단부는, 상기 전방벽에 지지되어 있으면 적합하다.
본 특징 구성에 의하면, 운전자가 운전 좌석으로부터 전방 하방의 상황을 시인할 때, 전방벽이 시계의 방해가 되기 어렵다. 또한, 횡 프레임을 지지하는 부재로서 전방벽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횡 프레임은, 상기 사이드 패널의 최하단부보다 하측에 배치되어 있으면 적합하다.
본 특징 구성에 의하면, 표시 장치가 횡 프레임에 지지된 상태에서, 당해 표시 장치의 상하 위치가 사이드 패널의 상하 위치와 대략 동일해진다. 이에 의해, 운전자가 시선을 크게 오르내리는 일 없이, 사이드 패널 및 표시 장치를 편하게 시인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표시 장치는, 상기 사이드 패널의 최상단부보다 하측에 배치되어 있으면 적합하다.
본 특징 구성에 의하면, 표시 장치의 상하 위치가 사이드 패널의 상하 위치에 비해 지나치게 높은 일이 없다. 이에 의해, 운전자가 시선을 크게 오르내리는 일 없이 사이드 패널 및 표시 장치를 편하게 시인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기체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축심 주위에 있어서의 상기 표시 장치의 각도를 조정하는 각도 조정 기구가 구비되어 있으면 적합하다.
본 특징 구성에 의하면, 운전자가 체격이나 자세 등에 따라서, 표시 장치를 보기 쉬운 각도로 조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표시 장치의 상하 위치를 조정하는 상하 위치 조정 기구가 구비되어 있으면 적합하다.
본 특징 구성에 의하면, 운전자가 체격이나 자세 등에 따라서, 표시 장치를 보기 쉬운 상하 위치로 조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운전 좌석에 착좌한 운전자가 발을 놓는 발 배치부가, 상기 표시 장치의 하방에 있어서의 평면으로 보아 상기 표시 장치와 중복되는 위치에 설치되고,
상기 발 배치부에 대해 기체 좌우 방향의 일방측에, 주차 브레이크를 조작하는 주차 브레이크 페달이 설치되고,
상기 발 배치부에 대해 기체 좌우 방향의 타방측에, 식립 곡간을 예취하는 예취부를 구동하는 예취부 구동 페달이 설치되어 있으면 적합하다.
본 특징 구성에 의하면, 발 배치부를 가능한 한 전방측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발 배치부, 주차 브레이크 페달 및 예취부 구동 페달을 좌우로 배열하는 상태로 배치하고 있다. 이에 의해, 운전자의 발밑 공간을 전후 방향 및 좌우 방향으로 넓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조향 조작구를 지지하는 지지대가 구비되고,
상기 표시 장치는, 상기 지지대의 후단부보다 전방측에 배치되어 있으면 적합하다.
본 특징 구성에 의하면, 표시 장치를 가능한 한 전방측에 위치시켜, 운전 좌석의 전방의 공간을 넓게 함과 함께, 조향 조작구를 조작할 때, 표시 장치가 방해가 되기 어렵게 할 수 있다.
도 1은 자탈형 콤바인을 나타내는 우측면도이다.
도 2는 자탈형 콤바인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3은 운전 캐빈의 내부를 나타내는 평면 단면도이다.
도 4는 운전 캐빈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5는 운전 캐빈의 내부를 나타내는 우측면 단면도이다.
도 6은 표시 장치 및 조향 조작 레버의 주변을 나타내는 배면도이다.
도 7은 운전 좌석의 주변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8은 라디오의 설치 구조를 나타내는 우측면 단면도이다.
도 9는 표시 장치의 지지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0은 표시 장치의 지지 구조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11은 표시 장치의 지지 구조를 나타내는 우측면도이다.
도 12는 도 11에 있어서의 XII-XII 단면도이다.
도 13은 흡입구를 나타내는 우측면 단면도이다.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형태에 대해, 도면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콤바인의 전체 구성〕
도 1 및 도 2에는, 자탈형 콤바인을 나타내고 있다. 본 콤바인에는, 기체 프레임(1)과, 기체 프레임(1)을 지지하는 주행 장치(2)가 구비되어 있다. 기체의 전방부에 있어서의 우측에는, 운전 캐빈(3)이 설치되어 있다. 운전 캐빈(3)에는, 운전자가 탑승하는 운전부(4)와, 운전부(4)를 덮는 캐빈(5)이 구비되어 있다.
운전 캐빈(3)의 전방에는, 식립 곡간을 예취하는 예취부(6)가 설치되어 있다. 운전 캐빈(3)의 후방에는, 곡립을 저류하는 곡립 저류 탱크(7)가 설치되어 있다. 곡립 저류 탱크(7) 내의 곡립을 배출하는 곡립 배출 장치(8)가 설치되어 있다. 곡립 배출 장치(8)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선회 축심(Z1) 주위에서 격납 위치(도 2 참조)와 배출 위치에 걸쳐 선회 가능하다. 곡립 저류 탱크(7)의 좌측 옆에는, 예취 곡간을 급동(도시 생략)에 의해 탈곡 처리하는 탈곡 장치(10)가 설치되어 있다.
운전부(4)의 하방에는, 엔진 룸(11)이 설치되어 있다. 엔진 룸(11)에는, 엔진(E)이 수용되어 있다. 운전부(4)의 후방부에는, 에어 클리너 룸(12)이 설치되어 있다. 에어 클리너 룸(12)에는, 엔진(E)용 에어 클리너(13)가 수용되어 있다. 엔진 룸(11) 및 에어 클리너 룸(12)의 기체 횡외측의 측부에는, 엔진(E) 및 에어 클리너(13)를 기체 횡외측으로부터 통기 가능하게 덮는 방진 커버(14)가 설치되어 있다. 캐빈(5)과 곡립 저류 탱크(7) 사이에는, 엔진(E)용 프리 클리너(15)가 설치되어 있다.
기체의 하부에는, 엔진(E)의 구동력을 변속하는 변속 장치(16)가 설치되어 있다. 변속 장치(16)에는, 정유압식 무단 변속 장치(도시 생략)와, 기계식(기어식) 부 변속 장치(도시 생략)가 구비되어 있다.
〔예취부〕
예취부(6)는, 복수 예취 사양(예를 들어, 6조 예취 사양)으로 구성되어 있다. 예취부(6)에는, 복수(예를 들어, 7개)의 분초구(17)와, 복수(예를 들어, 6개)의 기립 장치(18)와, 절단 장치(19)와, 반송 장치(20)가 구비되어 있다. 분초구(17)는, 포장의 식립 곡간을 분초한다. 기립 장치(18)는, 분초된 식립 곡간을 기립시킨다. 절단 장치(19)는, 기립된 식립 곡간을 절단한다. 반송 장치(20)는, 예취 곡간을 탈곡 장치(10)를 향해 후방으로 반송한다.
〔운전부〕
도 3 내지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운전부(4)에는, 운전자가 착좌하는 운전 좌석(21)과, 사이드 패널(22)과, 기체를 조향 조작하는 조향 조작 레버(23)(본 발명에 관한 「조향 조작구」에 상당)와, 표시 장치(24)와, 운전 좌석(21)에 착좌한 운전자가 발을 놓는 발 배치부(25)와, 주차 브레이크(도시 생략)를 조작하는 주차 브레이크 페달(26)과, 예취부(6)를 구동하는 예취부 구동 페달(27)이 구비되어 있다.
사이드 패널(22)은, 운전 좌석(21)에 대해 좌측에 설치되어 있다. 사이드 패널(22)에는, 상기 무단 변속 장치를 변속 조작하는 주 변속 조작 레버(28)나 조작 패널(29) 등이 설치되어 있다. 조향 조작 레버(23)는, 운전 좌석(21)에 대해 우측에 설치되어 있다. 표시 장치(24)는, 사이드 패널(22)과 조향 조작 레버(23) 사이에서 운전 좌석(21)의 전방에 설치되어 있다. 표시 장치(24)에는, 액정 표시부(24a)와, 표시 조작부(24b)가 구비되어 있다. 액정 표시부(24a)는, 예를 들어 주행 속도나 엔진 회전수, 연료 잔량 등을 표시한다.
운전부(4)의 탑승 공간과 엔진 룸(11)은, 엔진 보닛(30)에 의해 구획되어 있다. 엔진 보닛(30)에는, 운전 좌석(21)을 적재 지지하는 천장판(31)과, 운전 좌석(21)에 착좌한 운전자의 발밑 공간에 면하는 전방벽(32)이 구비되어 있다. 운전부(4)의 탑승 공간과 에어 클리너 룸(12)은, 후방부 커버(33)에 의해 구획되어 있다. 운전부(4)의 하부에 있어서의 좌측 전방 코너부에는, 반송 장치(20)가 들어가는 오목부(4a)가 형성되어 있다.
조향 조작 레버(23)를 지지하는 지지대(34)가 설치되어 있다. 지지대(34)에는, 키 스위치(35)나 콤비네이션 스위치(36), 암 레스트(37) 등이 설치되어 있다. 지지대(34)는, 지지대 프레임(38)에 지지되어 있다. 지지대 프레임(38)은, 우측 전방 지주(39)에 외팔보 지지되어 있다. 지지대(34)를 지지대 프레임(38)을 통해 우측 전방 지주(39)에 지지시킴으로써, 조향 조작 레버(23)와 우측 전방 지주(39) 사이의 공간이 넓어져, 운전자가 당해 공간을 통해 우측의 전방 하방을 양호하게 시인할 수 있다.
발 배치부(25)는, 표시 장치(24)의 하방에 있어서의 평면으로 보아 표시 장치(24)와 중복되는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주차 브레이크 페달(26)은, 발 배치부(25)에 대해 좌측에 설치되어 있다. 예취부 구동 페달(27)은, 발 배치부(25)에 대해 우측에 설치되어 있다. 예취부 구동 페달(27)은, 지지대(34)의 하방에 있어서의 평면으로 보아 지지대(34)와 중복되는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주차 브레이크 페달(26) 및 예취부 구동 페달(27)은, 발 배치부(25)를 사이에 두고 좌우로 나뉘어 배치되어 있다. 즉, 발 배치부(25), 주차 브레이크 페달(26) 및 예취부 구동 페달(27)은 좌우로 배열되는 상태로 배치되어 있다.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지지대 프레임(38)에는, 지지대(34)가 설치되는 설치 프레임(40)과, 설치 프레임(40)을 지지하는 지지 프레임(41)과, 보강용 리브(42)가 구비되어 있다. 지지대(34)는, 설치 프레임(40)에 전후 위치 및 좌우 위치를 조정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설치 프레임(40) 중 우측 전방 지주(39)측의 단부는, 우측 전방 지주(39)의 좌측면부에 볼트 고정되어 있다. 지지 프레임(41) 중 우측 전방 지주(39)측의 단부는, 우측 전방 지주(39)의 후방면부에 볼트 고정되어 있다.
도 3 및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에어컨 유닛(43)을 조작하는 에어컨 조작 패널(44)이 후방부 커버(33) 중 운전 좌석(21)에 대해 좌측의 부분에 설치되어 있다. 에어컨 조작 패널(44)에는, 풍량 조절 조작부나 온도 조절 조작부, 내외기 전환 조작부 등이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가령, 에어컨 조작 패널(44)이 운전 좌석(21)에 착좌한 운전자의 머리 위 부근(캐빈(5) 내의 천장 전방부)에 배치되어 있으면, 에어컨 조작 패널(44)이 운전자의 전방 시계에 영향을 미칠 우려가 있다. 그러나 본 실시 형태와 같이, 에어컨 조작 패널(44)을 배치함으로써, 에어컨 조작 패널(44)이 운전 좌석(21)에 착좌한 운전자의 머리 위 부근에서 방해가 되는 일이 없어, 운전자의 전방 시계를 양호하게 확보할 수 있다.
도 3, 도 7 및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라디오(45)가 후방부 커버(33) 중 운전 좌석(21)에 대해 우측의 부분에 설치되어 있다. 라디오(45)는, 수용 케이스(46)에 수용되어 있다. 수용 케이스(46)는, 일부가 후방부 커버(33)의 내부(에어 클리너 룸(12)의 내부)에 들어가 있다. 수용 케이스(46)에는, 제1 커버(47)와, 제2 커버(48)가 구비되어 있다. 제1 커버(47)에는, 라디오(45)가 스테이(49)를 통해 지지되어 있다. 제1 커버(47)는, 후방부 커버(33)에 볼트 고정되어 있다. 제2 커버(48)는, 제1 커버(47) 중 상방 개구부를 상방으로부터 덮고 있다. 제2 커버(48)로부터는, 라디오(45) 중 라디오 조작부(45a)가 상방으로 돌출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운전자가 운전 좌석(21)으로부터 라디오 조작부(45a)에 손이 닿기 쉬운 동시에, 후방부 커버(33)의 내부를 라디오(45)의 수용부로서 이용할 수 있다.
〔캐빈〕
도 3 내지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캐빈(5)에는, 루프부(50)와, 프론트 글래스(51)와, 사이드 글래스(52)와, 도어(53)와, 리어 글래스(54)와, 우측 리어 글래스(55)가 구비되어 있다.
프론트 글래스(51)는, 좌측 전방 지주(56)와 우측 전방 지주(39)에 걸쳐 있다. 프론트 글래스(51)는, 루프부(50)로부터 운전 좌석(21)의 시트면보다 하측(구체적으로는, 천장판(31)의 상하 위치와 동일하거나 또는 대략 동일한 상하 위치)까지 연장되어 있다. 도어(53)는, 상하 한 쌍의 힌지(57)를 통해 후방 지주(58)에 요동 개폐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루프부(50)의 후방부에는, 캐빈(5)의 실내를 공조 하는 에어컨 유닛(43)이 수용되어 있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루프부(50)의 좌측 모서리부에 있어서의 후방부에는, 경사부(50a)가 형성되어 있다. 경사부(50a)는, 후단부일수록 루프부(50)의 좌우 중심측에 위치하도록 경사져 있다. 경사부(50a)는, 평면으로 보아, 격납 위치에 있어서의 곡립 배출 장치(8)와 대략 평행이다.
〔전방벽〕
도 3 내지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운전부(4)에 있어서의 바닥부의 전단부에는, 전방벽(59)이 설치되어 있다. 전방벽(59)의 상단부(59a)는, 천장판(31)보다 하측에 위치하고 있다. 전방벽(59)의 상단부에는, 프론트 글래스(51)의 하단부를 지지하는 샤시(60)가 설치되어 있다.
〔종 프레임〕
운전부(4) 중 기체 좌우 방향에서 사이드 패널(22)이 위치하는 측의 측부(좌측부)에는, 종 프레임(61)이 설치되어 있다. 종 프레임(61)은, 전방벽(59)의 좌측 상부 코너부로부터 상단부일수록 좌측에 위치하도록 비스듬히 상방으로 연장되어 있다.
〔전후 프레임〕
기체 전후 방향으로 연장됨과 함께 사이드 패널(22)을 지지하는 전후 프레임(62)이 설치되어 있다. 전후 프레임(62)은, 사이드 패널(22)의 좌측 모서리부를 따르는 상태로 사이드 패널(22)의 전단부에 대응하는 전후 위치로부터 사이드 패널(22)의 후단부보다 후방측까지 연장되어 있다. 전후 프레임(62)은, 종 프레임(61)에 지지되어 있다. 전후 프레임(62)의 전단부는, 종 프레임(61)의 상단부에 연결되어 있다.
〔횡 프레임〕
운전 좌석(21)의 전방이며, 또한 표시 장치(24)의 하방에는, 기체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횡 프레임(63)이 설치되어 있다. 횡 프레임(63)은, 프론트 글래스(51)의 하부의 배후에 배치되어 있다. 횡 프레임(63)은, 운전 좌석(21)에 착좌한 운전자의 무릎이 프론트 글래스(51)에 충돌하지 않도록, 무릎 보호대(가드)의 기능도 한다. 횡 프레임(63)은, 사이드 패널(22)의 최하단부(P1)보다 하측에 배치되어 있다. 횡 프레임(63)은, 종 프레임(61)으로부터 우측을 향해 운전 좌석(21)의 우측 단부보다 우측까지 연장되어 있다. 횡 프레임(63) 중 종 프레임(61)측의 단부는, 종 프레임(61)에 지지되어 있다.
도 9 및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횡 프레임(63)에는, 기체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횡방향 부분(63a)과,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종방향 부분(63b)이 구비되어 있다. 횡방향 부분(63a)과 종방향 부분(63b)의 접속부는, 둥그스름한 형상으로 구부러져 있다. 횡방향 부분(63a)의 좌측 단부에는, 종 프레임(61)에 고정되는 고정부(63c)가 설치되어 있다. 고정부(63c)는, 종 프레임(61)에 볼트(64)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종방향 부분(63b)은, 횡방향 부분(63a)의 우측 단부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어 있다. 종방향 부분(63b)의 하단부는, 전방벽(59)의 상부에 지지되어 있다. 즉, 횡 프레임(63) 중 종 프레임(61)과는 반대측의 단부는, 종 프레임(61)과는 다른 프레임(전방벽(59))에 지지되어 있다.
전방벽(59)의 상부에는, 지지부(65)가 설치되어 있다. 지지부(65)는, 전방벽(59)의 상부에 있어서의 좌측 단부와 우측 단부에 걸쳐 있다. 지지부(65)에는, 샤시(60)가 지지되어 있다. 지지부(65)의 좌측 단부에는, 종 프레임(61)의 하단부가 연결되어 있다. 종방향 부분(63b)의 하단부에는, 지지부(65)에 고정되는 고정부(63d)가 설치되어 있다. 고정부(63d)는, 지지부(65)에 볼트(66)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전망 공간〕
도 2 내지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표시 장치(24)의 하방에는, 중앙측 전망 공간(Sc)이 형성되어 있다. 사이드 패널(22)과 표시 장치(24) 사이에는, 좌측 전망 공간(Sl)이 형성되어 있다. 조향 조작 레버(23)와 표시 장치(24) 사이에는, 제1 우측 전망 공간(Sr1)이 형성되어 있다. 조향 조작 레버(23)와 우측 전방 지주(39) 사이에는, 제2 우측 전망 공간(Sr2)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 2 내지 도 4에는, 운전 좌석(21)에 착좌한 운전자가 중앙측 전망 공간(Sc), 좌측 전망 공간(Sl), 제1 우측 전망 공간(Sr1) 및 제2 우측 전망 공간(Sr2)을 통해 시인 가능한 범위를 도시하고 있지만, 당해 범위는 예시이며, 운전자의 체격이나 자세 등에 따라 다소 상이하다.
중앙측 전망 공간(Sc)은, 표시 장치(24)의 하방에 있어서, 운전 좌석(21)에 착좌한 운전자가 전방 하방을 내다보는 전망 공간이다. 중앙측 전망 공간(Sc)에는, 표시 장치(24)의 하방에 있어서, 표시 장치(24)와 횡 프레임(63) 사이의 공간이나, 횡 프레임(63)과 샤시(60) 사이의 공간 등이 포함되어 있다. 도 2에 나타낸 예에서는, 운전 좌석(21)에 착좌한 운전자가 중앙측 전망 공간(Sc)을 통해 우측 단부의 분초구(17) 및 우측으로부터 두 번째의 분초구(17)를 시인할 수 있다. 도 5에는, 운전자가 운전 좌석(21)에 착좌한 상태에서 중앙측 전망 공간(Sc) 중 횡 프레임(63)과 샤시(60) 사이의 공간을 통해 전방 하방을 내다볼 때의 시선(L)을 예시하고 있다.
좌측 전망 공간(Sl)은, 사이드 패널(22)과 표시 장치(24) 사이에 있어서, 운전 좌석(21)에 착좌한 운전자가 좌측의 전방 하방을 내다보는 공간이다. 좌측 전망 공간(Sl)에는, 사이드 패널(22)과 표시 장치(24) 사이에 있어서, 횡 프레임(63)의 상방 공간이나, 횡 프레임(63)과 샤시(60) 사이의 공간 등이 포함되어 있다. 도 2에 나타낸 예에서는, 운전 좌석(21)에 착좌한 운전자가 좌측 전망 공간(Sl)을 통해 우측으로부터 세 번째, 네 번째 및 다섯 번째의 분초구(17)를 시인할 수 있다.
제1 우측 전망 공간(Sr1)은, 조향 조작 레버(23)와 표시 장치(24) 사이에 있어서, 운전 좌석(21)에 착좌한 운전자가 우측의 전방 하방을 내다보는 공간이다. 제1 우측 전망 공간(Sr1)에는, 조향 조작 레버(23)와 표시 장치(24) 사이에 있어서, 지지대(34)와 샤시(60) 사이의 공간이나, 지지대(34)의 상방 공간 등이 포함되어 있다. 또한, 도 2에 나타낸 예에서는, 운전 좌석(21)에 착좌한 운전자가 제1 우측 전망 공간(Sr1)을 통해 시인 가능한 범위에 분초구(17)가 들어 있지 않지만, 당해 범위에 우측 단부의 분초구(17) 등이 들어 있어도 된다.
제2 우측 전망 공간(Sr2)은, 조향 조작 레버(23)와 우측 전방 지주(39) 사이에 있어서, 운전 좌석(21)에 착좌한 운전자가 우측의 전방 하방을 내다보는 공간이다. 제2 우측 전망 공간(Sr2)에는, 조향 조작 레버(23)와 우측 전방 지주(39) 사이에 있어서, 지지대(34)의 상방의 공간이나, 지지대 프레임(38)의 상방의 공간 등이 포함되어 있다. 또한, 도 2에 나타낸 예에서는, 운전 좌석(21)에 착좌한 운전자가 제2 우측 전망 공간(Sr2)을 통해 시인 가능한 범위에 분초구(17)가 들어 있지 않지만, 당해 범위에 우측 단부의 분초구(17) 등이 들어 있어도 된다.
〔표시 장치〕
도 3 내지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표시 장치(24)는, 운전자가 운전 좌석(21)으로부터 액정 표시부(24a)를 시인하기 쉽도록, 후방 하향으로 경사지는 자세로 배치되어 있다. 액정 표시부(24a)의 좌우 중심(C1)은, 운전 좌석(21)의 좌우 중심(C2)과 일치 또는 대략 일치하고 있다. 표시 조작부(24b)는, 액정 표시부(24a)에 대해 조향 조작 레버(23)측에 배치되어 있다.
표시 장치(24)는, 지지대(34)의 후단부(34a)보다 전방측이며, 또한 지지대(34)의 전후 범위 내에 배치되어 있다. 표시 장치(24)는, 사이드 패널(22)과 지지대(34) 사이에 있어서, 지지대(34)측으로 치우친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표시 장치(24)는, 측면으로 보아 사이드 패널(22)의 전단부와 중복되어 있다. 표시 장치(24)는, 사이드 패널(22)의 최상단부(P2)보다 하측이며, 또한 사이드 패널(22)의 최하단부(P1)보다 상측에 배치되어 있다. 표시 장치(24)는, 사이드 패널(22)의 상하 범위 내이며, 또한 지지대(34)의 상하 범위 내에 배치되어 있다.
도 9 내지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표시 장치(24)는, 가동 스테이(67) 및 고정 스테이(68)를 통해 횡 프레임(63)에 지지되어 있다. 표시 장치(24)는, 가동 스테이(67)에 대해 탈착 가능하다. 가동 스테이(67)와 고정 스테이(68)의 접속부는, 운전자가 당해 접속부에 접촉하지 않도록, 스테이 커버(69)에 의해 덮여 있다. 스테이 커버(69)는, 고정 스테이(68)에 볼트(70)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표시 장치(24)의 이면부로부터는 하니스(71)가 연장되어 있다. 하니스(71)는, 횡 프레임(63)(횡방향 부분(63a))을 따라 종 프레임(61)측으로 연장되어 있다. 하니스(71) 중 횡방향 부분(63a)을 따르는 부분은, 하니스 커버(72)에 의해 덮여 있다. 하니스 커버(72)는, 횡방향 부분(63a)에 볼트(73)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가동 스테이(67)에는, 표시 장치(24)가 볼트 고정되어 있다. 가동 스테이(67)는, 기체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축심(X1) 주위에서 요동 가능, 또한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고정 스테이(68)에 지지되어 있다. 가동 스테이(67)에는, 표시 장치(24)가 설치되는 표시 장치 설치부(74)와, 고정 스테이(68)에 설치되는 고정 스테이 설치부(75)가 구비되어 있다. 고정 스테이 설치부(75)의 우측판에는, 제1 긴 구멍(75a) 및 제2 긴 구멍(75b)이 형성되어 있다. 제1 긴 구멍(75a) 및 제2 긴 구멍(75b)은 서로 평행이고, 또한 상하 방향으로 긴 형상(동일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1 긴 구멍(75a)에는, 노브 볼트(76)가 삽입 관통되어 있다. 제2 긴 구멍(75b)에는, 헤드가 달린 핀(77)이 삽입 관통되어 있다.
고정 스테이(68)는, 횡 프레임(63)에 고정(예를 들어, 용접 고정)되어 있다. 고정 스테이(68)의 우측판에는, 긴 구멍(68a) 및 둥근 구멍(68b)이 형성되어 있다. 긴 구멍(68a)은, 둥근 구멍(68b)의 중심을 중심으로 하는 원호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긴 구멍(68a)에는, 노브 볼트(76)가 삽입 관통되어 있다. 둥근 구멍(68b)에는, 헤드가 달린 핀(77)이 삽입 관통되어 있다.
너트(78) 및 헤드가 달린 핀(77)이 용접 고정된 판재(79)가 설치되어 있다. 헤드가 달린 핀(77)은 제2 긴 구멍(75b) 및 둥근 구멍(68b)에 삽입 관통되어 있다. 너트(78)에는, 노브 볼트(76)가 나사 결합되어 있다.
가동 스테이(67)와 고정 스테이(68) 사이에는, 각도 조정 기구(80) 및 상하 위치 조정 기구(81)가 설치되어 있다. 각도 조정 기구(80)는, 축심(X1) 주위에 있어서의 표시 장치(24)의 각도를 조정한다. 상하 위치 조정 기구(81)는, 표시 장치(24)의 상하 위치를 조정한다.
각도 조정 기구(80)에는, 가동 스테이(67)를 축심(X1) 주위에서 요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헤드가 달린 핀(77)과, 고정 스테이(68)에 형성된 긴 구멍(68a)과, 긴 구멍(68)에 삽입 관통됨과 함께 가동 스테이(67)와 고정 스테이(68)에 걸친 노브 볼트(76)가 구비되어 있다. 각도 조정 기구(80)에 의하면, 노브 볼트(76)를 느슨하게 한 상태에서, 가동 스테이(67)를 헤드가 달린 핀(77)을 통해 축심(X1) 주위에서 요동시키면, 가동 스테이(67)와 일체적으로 노브 볼트(76)가 긴 구멍(68a) 내를 이동한다. 이와 같이 하여, 축심(X1) 주위에 있어서의 표시 장치(24)의 각도를, 긴 구멍(68a)의 범위 내에서 조정할 수 있다.
상하 위치 조정 기구(81)에는, 가동 스테이(67)에 형성된 제1 긴 구멍(75a) 및 제2 긴 구멍(75b)과, 제1 긴 구멍(75a)에 삽입 관통됨과 함께 가동 스테이(67)와 고정 스테이(68)에 걸친 노브 볼트(76)와, 제2 긴 구멍(75b)에 삽입 관통됨과 함께 가동 스테이(67)와 고정 스테이(68)에 걸친 헤드가 달린 핀(77)이 구비되어 있다. 상하 위치 조정 기구(81)에 의하면, 노브 볼트(76)를 느슨하게 한 상태에서, 가동 스테이(67)를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키면, 제1 긴 구멍(75a)이 노브 볼트(76)를 따라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고, 또한 제2 긴 구멍(75b)이 헤드가 달린 핀(77)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와 같이 하여, 표시 장치(24)의 상하 위치를, 제1 긴 구멍(75a) 및 제2 긴 구멍(75b)의 범위 내에서 조정할 수 있다.
〔에어컨 유닛용 흡입구〕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루프부(50)의 후단부에 있어서의 저부에는, 에어컨 유닛(43)에 공급하는 외기를 흡입하는 흡입구(82)가 형성되어 있다. 흡입구(82)에는, 외기 청정용 필터(83)가 설치되어 있다. 흡입구(82)에 대해 하방으로 이격된 상태에서 흡입구(82)를 덮는 커버(84)가 설치되어 있다. 커버(84)와 흡입구(82)(필터(83)) 사이에 있어서의 전방 및 후방으로부터 외기가 흡입구(82)로 흡입된다.
〔다른 실시 형태〕
(1)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사이드 패널(22)이 운전 좌석(21)에 대해 좌측에 설치되고, 또한 조향 조작 레버(23)가 운전 좌석(21)에 대해 우측에 설치되어 있다. 그러나 사이드 패널(22)이 운전 좌석(21)에 대해 우측에 설치되고, 또한 조향 조작 레버(23)가 운전 좌석(21)에 대해 좌측에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
(2)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횡 프레임(63) 중 종 프레임(61)측의 단부가 종 프레임(61)에 지지되어 있다. 그러나 횡 프레임(63) 중 종 프레임(61)측의 단부가 종 프레임(61)과는 다른 프레임에 지지되어 있어도 된다. 이 경우, 횡 프레임(63) 중 종 프레임(61)측의 단부가, 횡 프레임(63) 중 종 프레임(61)과는 반대측의 단부와 마찬가지로 하방으로 구부러져, 전방벽(59)의 상부에 지지되어 있어도 된다.
(3)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전방벽(59)의 상단부(59a)가 천장판(31)보다 하측에 위치하고 있다. 그러나 전방벽(59)의 상단부(59a)가 천장판(31)보다 상측에 위치하고 있어도 된다. 혹은, 전방벽(59)의 상단부(59a)가 천장판(31)과 동일한 상하 위치에 위치하고 있어도 된다.
(4)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횡 프레임(63) 중 종 프레임(61)과는 반대측의 단부가 전방벽(59)의 상부에 지지되어 있다. 그러나 횡 프레임(63) 중 종 프레임(61)과는 반대측의 단부가 우측 전방 지주(39)에 지지되어 있어도 된다.
(5)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횡 프레임(63)이 사이드 패널(22)의 최하단부(P1)보다 하측에 배치되어 있다. 그러나 횡 프레임(63)이 사이드 패널(22)의 최하단부(P1)보다 상측에 배치되어 있어도 된다. 혹은, 횡 프레임(63)이 사이드 패널(22)의 최하단부(P1)와 동일한 상하 위치에 배치되어 있어도 된다.
(6)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표시 장치(24)가 사이드 패널(22)의 최상단부(P2)보다 하측에 배치되어 있다. 그러나 표시 장치(24)가 사이드 패널(22)의 최상단부(P2)보다 상측에 배치되어 있어도 된다. 혹은, 표시 장치(24)가 사이드 패널(22)의 최상단부(P2)와 동일한 상하 위치에 배치되어 있어도 된다.
(7)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각도 조정 기구(80) 및 상하 위치 조정 기구(81)가 구비되어 있다. 그러나 각도 조정 기구(80) 및 상하 위치 조정 기구(81) 중 어느 한쪽 혹은 양쪽이 구비되어 있지 않아도 된다.
(8)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주차 브레이크 페달(26)이 발 배치부(25)에 대해 좌측에 설치되고, 또한 예취부 구동 페달(27)이 발 배치부(25)에 대해 우측에 설치되어 있다. 그러나 주차 브레이크 페달(26)이 발 배치부(25)에 대해 우측에 설치되고, 또한 예취부 구동 페달(27)이 발 배치부(25)에 대해 좌측에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
(9)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캐빈(5)이 구비되어 있다. 그러나 캐빈(5)이 구비되어 있지 않아도 된다.
본 발명은, 자탈형 콤바인 외에, 보통형 콤바인에도 이용 가능하다.
4 : 운전부
6 : 예취부
21 : 운전 좌석
22 : 사이드 패널
23 : 조향 조작 레버(조향 조작구)
24 : 표시 장치
25 : 발 배치부
26 : 주차 브레이크 페달
27 : 예취부 구동 페달
31 : 천장판
34 : 지지대
34a : 지지대의 후단부
59 : 전방벽
59a : 전방벽의 상단부
61 : 종 프레임
62 : 전후 프레임
63 : 횡 프레임
80 : 각도 조정 기구
81 : 상하 위치 조정 기구
Sc : 중앙측 전망 공간(표시 장치의 하방의 전망 공간)
Sl : 좌측 전망 공간(사이드 패널과 표시 장치 사이의 전망 공간)
Sr1 : 제1 우측 전망 공간(조향 조작구와 표시 장치 사이의 전망 공간)
P1 : 사이드 패널의 최하단부
P2 : 사이드 패널의 최상단부
X1 : 축심

Claims (13)

  1. 운전자가 탑승하는 운전부와, 기체 좌우 방향으로 배열된 복수의 분초구가 구비된 콤바인이며,
    상기 운전부에, 운전 좌석과, 상기 운전 좌석에 대해 기체 좌우 방향의 일방측에 설치되는 사이드 패널과, 상기 운전 좌석에 대해 기체 좌우 방향의 타방측에 설치되는 조향 조작구와, 상기 사이드 패널과 상기 조향 조작구 사이에서 상기 운전 좌석의 전방에 설치되는 표시 장치가 구비되고,
    상기 표시 장치의 하방에, 상기 운전 좌석에 착좌한 운전자가 전방 하방을 내다보는 전망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전망 공간을 통해 상기 운전 좌석에 착좌한 운전자가 상기 일방측 또는 상기 타방측의 단부에 위치하는 상기 분초구를 시인할 수 있도록 구성된, 콤바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 패널과 상기 표시 장치 사이에, 상기 운전 좌석에 착좌한 운전자가 상기 일방측의 전방 하방을 내다보는 전망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조향 조작구와 상기 표시 장치 사이에, 상기 운전 좌석에 착좌한 운전자가 상기 타방측의 전방 하방을 내다보는 전망 공간이 형성되어 있는 콤바인.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운전 좌석의 전방이며, 또한 상기 표시 장치의 하방에 기체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횡 프레임이 설치되고,
    상기 표시 장치는, 상기 횡 프레임에 지지되어 있는 콤바인.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운전부 중 기체 좌우 방향의 일방측의 측부에, 상방으로 연장되는 종 프레임이 설치되고,
    상기 횡 프레임은, 상기 종 프레임으로부터 기체 좌우 방향의 타방측을 향해 연장되어 있는 콤바인.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종 프레임은, 상기 운전부 중 기체 좌우 방향에서 상기 사이드 패널이 위치하는 측의 측부에 설치되고,
    기체 전후 방향으로 연장됨과 함께 상기 사이드 패널을 지지하는 전후 프레임이 구비되고,
    상기 전후 프레임은, 상기 종 프레임에 지지되어 있는 콤바인.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횡 프레임 중 상기 종 프레임과는 반대측의 단부는, 상기 종 프레임과는 다른 프레임에 지지되어 있는 콤바인.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운전부에 있어서의 바닥부의 전방 모서리부에 전방벽이 설치되고,
    상기 전방벽의 상단부는, 상기 운전 좌석을 적재 지지하는 천장판보다 하측에 위치하고,
    상기 횡 프레임 중 상기 종 프레임과는 반대측의 단부는, 상기 전방벽에 지지되어 있는 콤바인.
  8.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횡 프레임은, 상기 사이드 패널의 최하단부보다 하측에 배치되어 있는 콤바인.
  9.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장치는, 상기 사이드 패널의 최상단부보다 하측에 배치되어 있는 콤바인.
  10.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기체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축심 주위에 있어서의 상기 표시 장치의 각도를 조정하는 각도 조정 기구가 구비되어 있는 콤바인.
  11.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장치의 상하 위치를 조정하는 상하 위치 조정 기구가 구비되어 있는 콤바인.
  12.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운전 좌석에 착좌한 운전자가 발을 놓는 발 배치부가, 상기 표시 장치의 하방에 있어서의 평면으로 보아 상기 표시 장치와 중복되는 위치에 설치되고,
    상기 발 배치부에 대해 기체 좌우 방향의 일방측에, 주차 브레이크를 조작하는 주차 브레이크 페달이 설치되고,
    상기 발 배치부에 대해 기체 좌우 방향의 타방측에, 식립 곡간을 예취하는 예취부를 구동하는 예취부 구동 페달이 설치되어 있는 콤바인.
  1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조향 조작구를 지지하는 지지대가 구비되고,
    상기 표시 장치는, 상기 지지대의 후단부보다 전방측에 배치되어 있는 콤바인.
KR1020180067961A 2017-06-29 2018-06-14 콤바인 KR10264541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7-127926 2017-06-29
JP2017127926A JP6811687B2 (ja) 2017-06-29 2017-06-29 コンバイン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2309A KR20190002309A (ko) 2019-01-08
KR102645414B1 true KR102645414B1 (ko) 2024-03-11

Family

ID=649898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67961A KR102645414B1 (ko) 2017-06-29 2018-06-14 콤바인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6811687B2 (ko)
KR (1) KR102645414B1 (ko)
CN (1) CN109197119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423506B2 (ja) * 2020-12-23 2024-01-29 株式会社クボタ コンバイン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79021A (ja) * 1999-03-30 2000-10-10 Kubota Corp 収穫機の運転部構造
JP2007060987A (ja) * 2005-08-31 2007-03-15 Iseki & Co Ltd コンバインのセンサチェック装置
JP2017055706A (ja) 2015-09-16 2017-03-23 株式会社クボタ 収穫機
JP2017108637A (ja) * 2015-12-14 2017-06-22 ヤンマー株式会社 コンバイン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919382B2 (ja) * 1999-05-19 2007-05-23 株式会社クボタ コンバインの運転部構造
JP4390072B2 (ja) * 2005-02-28 2009-12-24 井関農機株式会社 コンバイン
JP4917405B2 (ja) * 2006-10-24 2012-04-18 ヤンマー株式会社 コンバイン
JP2013021975A (ja) * 2011-07-21 2013-02-04 Kubota Corp コンバイン
AU2012258458B9 (en) * 2011-12-01 2014-11-06 Joy Global Surface Mining Inc Cab module for a mining machine
US9963084B2 (en) * 2012-08-16 2018-05-08 Cnh Industrial America Llc Agricultural vehicle console track system
JP6238865B2 (ja) 2014-09-25 2017-11-29 株式会社クボタ コンバイン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79021A (ja) * 1999-03-30 2000-10-10 Kubota Corp 収穫機の運転部構造
JP2007060987A (ja) * 2005-08-31 2007-03-15 Iseki & Co Ltd コンバインのセンサチェック装置
JP2017055706A (ja) 2015-09-16 2017-03-23 株式会社クボタ 収穫機
JP2017108637A (ja) * 2015-12-14 2017-06-22 ヤンマー株式会社 コンバイン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9010033A (ja) 2019-01-24
CN109197119B (zh) 2022-06-21
CN109197119A (zh) 2019-01-15
JP6811687B2 (ja) 2021-01-13
KR20190002309A (ko) 2019-01-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139359B2 (ja) 自脱型コンバイン
JP2013021975A (ja) コンバイン
KR102645414B1 (ko) 콤바인
JP6456016B2 (ja) 収穫機
JP5797962B2 (ja) コンバイン
JP5739137B2 (ja) 普通型コンバイン
JP6257246B2 (ja) コンバイン
JP2015126737A5 (ko)
JP2015126737A (ja) コンバイン
JP2017055706A (ja) 収穫機
JP5763326B2 (ja) コンバイン
JP7038468B2 (ja) 自脱型コンバイン
JP2017123881A (ja) 自脱型コンバイン
JP6800100B2 (ja) 収穫機
JP7224320B2 (ja) 自脱型コンバイン
WO2017168884A1 (ja) コンバイン
JP2020103053A (ja) 収穫機
JP5778409B2 (ja) コンバイン
JP5921063B2 (ja) 普通型コンバイン
JP2020202870A5 (ko)
JP6673872B2 (ja) コンバイン
CN109197120B (zh) 联合收割机
JP2022100101A (ja) コンバイン
JP2019004871A (ja) コンバイン
JP6804399B2 (ja) コンバイン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