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44894B1 - 나사체의 상대 회전 억제 구조, 상대 이동 억제 구조, 상대 이동 억제체 - Google Patents

나사체의 상대 회전 억제 구조, 상대 이동 억제 구조, 상대 이동 억제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44894B1
KR102644894B1 KR1020197027735A KR20197027735A KR102644894B1 KR 102644894 B1 KR102644894 B1 KR 102644894B1 KR 1020197027735 A KR1020197027735 A KR 1020197027735A KR 20197027735 A KR20197027735 A KR 20197027735A KR 102644894 B1 KR102644894 B1 KR 1026448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ew body
relative rotation
displacement
deformation
relative mov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277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28180A (ko
Inventor
히로시 미치와키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네지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네지로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네지로
Priority claimed from PCT/JP2018/010925 external-priority patent/WO2018180737A1/ja
Publication of KR201901281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281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448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448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39/00Locking of screws, bolts or nuts
    • F16B39/02Locking of screws, bolts or nuts in which the locking takes place after screwing down
    • F16B39/12Locking of screws, bolts or nuts in which the locking takes place after screwing down by means of locknuts
    • F16B39/16Locking of screws, bolts or nuts in which the locking takes place after screwing down by means of locknuts in which the screw-thread of the locknut differs from that of the nu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39/00Locking of screws, bolts or nuts
    • F16B39/22Locking of screws, bolts or nuts in which the locking takes place during screwing down or tightening
    • F16B39/28Locking of screws, bolts or nuts in which the locking takes place during screwing down or tightening by special members on, or shape of, the nut or bolt
    • F16B39/34Locking by deformable inserts or like par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39/00Locking of screws, bolts or nuts
    • F16B39/02Locking of screws, bolts or nuts in which the locking takes place after screwing down
    • F16B39/12Locking of screws, bolts or nuts in which the locking takes place after screwing down by means of locknu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39/00Locking of screws, bolts or nuts
    • F16B39/22Locking of screws, bolts or nuts in which the locking takes place during screwing down or tightening
    • F16B39/28Locking of screws, bolts or nuts in which the locking takes place during screwing down or tightening by special members on, or shape of, the nut or bolt
    • F16B39/36Locking of screws, bolts or nuts in which the locking takes place during screwing down or tightening by special members on, or shape of, the nut or bolt with conical locking parts, which may be split, including use of separate rings co-operating therewith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33/00Features common to bolt and nut
    • F16B33/02Shape of thread; Special thread-forms
    • F16B2033/025Shape of thread; Special thread-forms with left-hand threa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mission Devices (AREA)
  • Bolts, Nuts, And Washers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상대 회전 억제 구조는, 나사부를 가지는 나사체에서의, 상대 부재에 대한 상대 회전 억제 구조로서, 상기 상대 부재에 미리 형성되어, 축 방향 또는 지름 방향으로 변위하는 상대측 변위부와, 상기 나사체에 형성되어, 체결력을 이용하여 상기 상대측 변위부를 누름에 의해서 스스로가 변형하고, 상기 변형에 의해서, 축 방향 또는 지름 방향으로 변위하는 나사체측 변위부를 작출하는 나사체측 변형 허용부를 구비하도록 한다.

Description

나사체의 상대 회전 억제 구조, 상대 이동 억제 구조, 상대 이동 억제체
본 발명은, 나사체에서의 상대 부재와의 상대 회전을 억제하는 구조 등에 관한 것이다.
종래, 체결 구조의 하나로서, 볼트 등의 소위 수나사체와, 너트 등의 소위 암나사체를 이용하는 것이 존재한다. 이 나사체에 의한 체결 구조에 관련하여, 하나의 수나사체에 대해서, 리드각 및/또는 리드 방향이 상이한 2종류의 나선홈(예를 들면 오른쪽 나선홈에 의한 수나사부와 왼쪽 나선홈에 의한 수나사부)을 형성하고, 이 2종류의 나선홈에 대해서, 더블 너트와 같이, 2종류의 암나사체(예를 들면 오른쪽 암나사체와 왼쪽 암나사체)를 따로 따로 나합시키는 것이 있다. 어떠한 맞물림 수단(係合手段)에 의해, 2종류의 암나사체의 상대 회전을 억제하면, 리드각 및/또는 리드 방향이 상이함에 의한 축 방향 간섭 작용 또는 축 방향 배반 작용에 의해, 수나사와의 사이에 기계적인 풀림 방지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특허문헌 1 참조).
또, 하나의 수나사체에 대해서, 동일한 리드각 및 리드 방향이 되는 암나사체를 더블 너트로서 나합시킬 때에, 일방의 암나사체에 진원(眞圓)의 요부(凹部)를 형성하고, 타방의 수나사체에, 편심원의 철부(凸部)를 형성하고, 요부와 철부를 맞물림(係合)으로써, 쐐기 효과(수나사체에 대한 전단 방향의 응력)를 일으킴으로써, 풀림 방지 효과를 얻는 구조가 존재한다(특허문헌 2 참조).
일본 특허 5406168호 공보 일본 공개특허 특개평11-6516 공보
특허문헌 1의 구조에서, 2종류의 암나사체의 상대 회전을 억제하는 수법으로서, 소위 래칫 구조를 채용하는 경우가 있다. 래칫 구조에 의하면, 2종류의 암나사체의 체결 방향의 상대 회전을 허용하고, 체결의 풀림 방향의 상대 회전을 규제할 수 있지만, 체결 후에 암나사체를 풀리게 할 필요가 있는 경우, 래칫 구조를 부술 필요가 있다.
또, 특허문헌 2의 구조의 경우, 한 쌍의 암나사체에 의해서, 수나사체의 축부에 영속적으로 전단력이 작용하므로, 축부가 국소적으로 피로하고, 거기로부터 축 파단하기 쉽다고 하는 과제가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실정에 감안한 것으로, 확실한 풀림 방지 효과를 발휘하면서, 수나사의 축부를 피로시키기 어렵고, 또 체결 부재 자신을 파괴하지 않고 암수의 체결체의 나합 상태를 해제하여 서로 제거하는 것이 가능한 나사체의 회전 억제 구조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또, 본 발명은, 나사체에 한정되지 않고, 일반적으로, 제1 부재와 제2 부재의 상대 이동을 억제하는 구조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는 본 발명은, 나사부를 가지는 나사체에서의, 상대 부재에 대한 상대 회전 억제 구조로서, 상기 상대 부재에 미리 형성되어, 축 방향 또는 지름 방향으로 변위하는 상대측 변위부와, 상기 나사체에 형성되어, 체결력을 이용하여 상기 상대측 변위부를 누름(押壓)에 의해서 스스로가 변형하고, 상기 변형에 의해서, 축 방향 또는 지름 방향으로 변위하는 나사체측 변위부를 작출(作出)하는 나사체측 변형 허용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사체의 상대 회전 억제 구조이다.
상기 나사체의 상대 회전 억제 구조에 관련하여, 상기 상대측 변위부가, 둘레 방향으로 복수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나사체의 상대 회전 억제 구조에 관련하여, 상기 나사체측 변형 허용부는, 상기 나사체측 변위부를 둘레 방향으로 복수 작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나사체의 상대 회전 억제 구조에 관련하여, 상기 나사체가 상기 상대 부재에 대해서 상대 회전할 때, 상기 나사체 자신을 기준으로서 상기 나사체측 변위부가 둘레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나사체의 상대 회전 억제 구조에 관련하여, 상기 나사체가 상기 상대 부재에 대해서 상대 회전할 때, 상기 나사체 자신을 기준으로서 상기 나사체측 변위부가 축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나사체의 상대 회전 억제 구조에 관련하여, 상기 나사체측 변위부가 탄성변형 및/또는 소성변형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나사체의 상대 회전 억제 구조에 관련하여, 상기 나사체측 변위부가, 지름 방향 내측 및 지름 방향 외측의 쌍 방향으로 동시에 변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나사체의 상대 회전 억제 구조에 관련하여, 상기 나사체측 변형 허용부의 축 방향 거리에 대해서, 상기 나사체측 변형 허용부와 상기 상대측 변위부가 축 방향으로 서로 간섭하는 간섭 거리가 작게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나사체의 상대 회전 억제 구조에 관련하여, 상기 나사체측 변위부와 상기 상대측 변위부의 축 방향의 접근 거리를 규제하는 축 방향 스토퍼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나사체의 상대 회전 억제 구조에 관련하여, 상기 나사체측 변형 허용부는, 띠 모양(帶狀) 돌기를 갖고, 상기 띠 모양 돌기의 일부를 변형시키고, 상기 나사체측 변위부를 작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나사체의 상대 회전 억제 구조에 관련하여, 상기 나사체측 변형 허용부에서는, 단일 또는 복수의 상기 나사체측 변위부가, 상기 나사체의 1 피치 이상의 축 방향 범위에 걸쳐 작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나사체의 상대 회전 억제 구조에 관련하여, 상기 나사체측 변형 허용부에서는, 단일 또는 복수의 상기 나사체측 변위부가, 상기 나사체의 3 피치 이상의 축 방향 범위에 걸쳐 작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나사체의 상대 회전 억제 구조에 관련하여, 상기 상대측 변위부는, 지름 방향으로 넓어지고, 둘레 방향과 교차하도록 변위하는 변형 부여면을 갖고, 상기 나사체측 변형 허용부는, 상기 변형 부여면과 맞닿고(當接), 나사체측 변위부를 작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나사체의 상대 회전 억제 구조에 관련하여, 상기 변위 부여면은, 상기 나사체에서의 풀림측의 둘레 방향으로 대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나사체의 상대 회전 억제 구조에 관련하여, 상기 변형 부여면은, 상기 나사체에서의 풀림측의 리드각과 다른 각도에서 축 방향으로 변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나사체의 상대 회전 억제 구조에 관련하여, 상기 나사체의 리드각을 β, 상기 나사체가 상기 풀림측의 둘레 방향으로 회전할 때에 상기 나사체가 축 방향으로 이동하는 방향을 풀림측 방향, 상기 풀림측의 둘레 방향을 기준으로서 상기 풀림 축 방향측을 정각이라고 정의했을 경우, 상기 변형 부여면의 변위각 A는, β+135°≥A≥β+45°를 만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나사체의 상대 회전 억제 구조에 관련하여, 상기 변형 부여면의 변위각 A는, 135°≥A≥90°을 만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나사체의 상대 회전 억제 구조에 관련하여, 상기 변형 부여면은, 축 방향으로, 상기 나사체의 1 피치 이상의 범위에서 변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나사체의 상대 회전 억제 구조에 관련하여, 상기 변형 부여면은, 축 방향으로, 상기 나사체의 3 피치 이상의 범위에서 변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나사체의 상대 회전 억제 구조에 관련하여, 상기 상대측 변위부 및/또는 상기 나사체측 변위부는, 축 방향을 따라서 지름 방향으로 확경(擴徑) 또는 축경(縮徑)하는 테이퍼 형상이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나사체의 상대 회전 억제 구조에 관련하여, 상기 상대 부재의 상기 상대측 변위부와 비교하여, 상기 나사체의 상기 나사체측 변형 허용부가 유연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나사체의 상대 회전 억제 구조에 관련하여, 상기 상대 부재의 상기 상대측 변위부와 비교하여, 상기 나사체의 상기 나사체측 변형 허용부가 저강성(低剛性)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나사체의 상대 회전 억제 구조에 관련하여, 상기 상대측 변위부가, 제1 암나사체이며, 상기 나사체가, 제2 암나사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나사체의 상대 회전 억제 구조에 관련하여, 상기 제1 수나사체는, 적당의 리드각 및/또는 리드 방향으로 설정되는 제1 나선홈을 갖고, 상기 제2 암나사체는, 상기 리드각 및/또는 리드 방향에 대해서 상이한 리드각 및/또는 리드 방향으로 설정되는 제2 나선홈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나사체의 상대 회전 억제 구조에 관련하여, 상기 제1 암나사체 및 상기 제2 암나사체와 나합하여 피체결체를 체결 가능한 수나사체를 구비하고, 피체결체를 기준으로 상기 제1 암나사체가 내측, 상기 제2 암나사체가 외측에 나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는 본 발명은, 나사부를 가지는 나사체와, 상기 나사체와 맞닿음(當接) 가능한 상대 부재와의 사이에 구성되는 상대 회전 억제 구조로서, 상기 나사체에 미리 형성되어, 축 방향 또는 지름 방향으로 변위하는 나사체측 변위부와, 상기 상대 부재에 형성되어, 상기 나사체의 체결력을 이용하여 상기 나사체측 변위부를 누름(押壓)에 의해서 스스로가 변형하고, 상기 변형에 의해서, 축 방향 또는 지름 방향으로 변위하는 상대측 변위부를 작출하는 상대측 변형 허용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사체의 상대 회전 억제 구조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는 본 발명은, 제1 부재와, 상기 제1 부재와 맞닿는 제2 부재 사이의 상대 이동 억제 구조로서, 상기 제1 부재에 형성되는 열상 돌기(列狀突起)를 이루는 제1 조부와, 상기 제2 부재에 형성되는 열상 돌기를 이루고, 상기 제1 조부와 다른 방향으로 연장되고, 또한, 상기 제1 조부와 맞닿는 제2 조부와, 상기 제1 조부와 상기 제2 조부의 교차 부분에서 상기 제1 조부에 형성되어, 상기 제1 조부와 상기 제2 조부 사이에 작용하는 압압력(押壓力)에 의해서 스스로가 탄성변형 및/또는 소성변형 하고, 상기 변형에 의해서 제1 변위부를 작출하는 제1 변형 허용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 변위부에 의해서, 상기 제1 부재와 상기 제2 부재의 상대 이동을 규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대 이동 억제 구조이다.
상기 상대 이동 억제 구조에 관련하여, 상기 제1 부재에는, 병렬로 연장되는 복수의 상기 제1 조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2 부재에는, 병렬로 연장되는 복수의 상기 제2 조부가 형성되고, 복수의 상기 제1 조부와 복수의 상기 제2 조부가 교차함으로써, 복수의 상기 제1 변위부가 작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상대 이동 억제 구조에 관련하여, 병렬로 연장되는 복수의 상기 제1 조부와, 병렬로 연장되는 복수의 상기 제1 조부가, 격자 모양(格子狀)으로 교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상대 이동 억제 구조에 관련하여, 상기 제1 부재와 상기 제2 부재가 상대 이동할 때, 상기 제1 부재를 기준으로서 상기 제1 변위부의 이동을 수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상대 이동 억제 구조에 관련하여, 상기 제2 조부가 연장되는 방향과, 상기 제1 부재와 상기 제2 부재의 상대 이동 방향이, 서로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상대 이동 억제 구조에 관련하여, 상기 제1 변위부는, 상기 제2 조부와 교차하는 부위에서 패임으로써, 상기 제2 조부와 맞물림(係合) 가능한 제1 작출면이 작출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2 조부의 측면이 서로 다른 복수의 방향으로 연재함에 의해서, 상기 제2 조부의 상기 측면과 맞물리는 복수의 상기 제1 작출면이, 서로 다른 방향으로 작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상대 이동 억제 구조에 관련하여, 상기 제1 조부의 돌출 높이에 대해서, 상기 제1 조부에 작출되는 상기 제1 변위부의 패임 깊이가, 작게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상대 이동 억제 구조에 관련하여, 상기 제1 조부와 상기 제2 조부의 간섭 거리를 규제하는 스토퍼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상대 이동 억제 구조에 관련하여, 상기 스토퍼부는, 제1 스토퍼와, 상기 제1 스토퍼와 다른 장소에 배설(配設)되는 제2 스토퍼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상대 이동 억제 구조에 관련하여, 상기 제1 스토퍼와 상기 제2 스토퍼를 묶는 가상 직선과, 상기 제1 조부의 길이 방향의 각도 차이는, 20° 이상 또한 70° 이하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상대 이동 억제 구조에 관련하여, 표면에 열상 돌기(列狀突起)가 되는 기체 조부(基體條部)를 가지는 모재(母材)를 복수 구비하고, 상기 모재의 일방이 상기 제1 부재이며, 상기 모재의 타방이 상기 제2 부재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상대 이동 억제 구조에 관련하여, 상기 제1 조부의 돌단(突端)은, 곡면 또는 평면 또는 요철면이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상대 이동 억제 구조에 관련하여, 상기 제1 조부와 상기 제2 조부의 교차 부분에서 상기 제2 조부에 형성되고, 상기 제1 조부와 상기 제2 조부 사이에 작용하는 압압력(押壓力)에 의해서 스스로가 탄성변형 및/또는 소성변형 하고, 상기 변형에 의해서 제2 변위부를 작출하는 제2 변형 허용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는 본 발명은, 제1 규제 대상물과, 제2 규제 대상물과, 상기 제1 규제 대상물과 상기 제2 규제 대상물에 걸치도록 배치되는 개재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제1 규제 대상물과 상기 개재 부재 사이에, 상기의 제1 상대 이동 억제 구조가 형성되고, 상기 제2 규제 대상물과 상기 개재 부재 사이에, 상기의 제2 상대 이동 억제 구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대 이동 억제체이다.
상기 상대 이동 억제체에 관련하여, 상기 제1 규제 대상물과 상기 개재 부재 사이, 및, 상기 제2 규제 대상물과 상기 개재 부재 사이에, 압압력(押壓力)을 부여하는 부세 기구(付勢機構)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확실한 풀림 방지 효과를 발휘하면서, 수나사의 축부를 피로시키기 어렵다고 하는 뛰어난 효과를 상주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의하면, 나사체에 한정되지 않고, 일반적으로, 제1 부재와 제2 부재의 상대 이동을 확실히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1]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나사체의 상대 회전 억제 구조가 적용되는 나사 체결 기구를 나타내는 정면 부분 단면도이다.
[도 2] 동(同) 나사 체결 기구에서의 수나사체 및 암나사체의 체결 상태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A) 정면도이며, (B) 평면도이다.
[도 3] 동(同) 수나사체 및 암나사체의 체결 상태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A) 정면 단면도이며, (B) 측면 단면도이다.
[도 4] (A)는 제1 암나사체의 정면 단면도이며, (B)는 제1 암나사체와 나선 방향이 반대(逆)가 되는 제2 암나사체의 정면 단면도이다.
[도 5] 동(同) 수나사체의 (A) 정면도, (B) 나사산만의 단면도, (C) 평면도이다.
[도 6] 동(同) 수나사체의 (A) 측면도, (B) 나사산만의 단면도, (C) 평면도이다.
[도 7] (A) 내지 (C)는, 동(同) 나사 체결 기구에서의 제1 암나사체와 제2 암나사체의 상대 회전 동작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8] 동(同) 제1 암나사체의 (A) 정면도, (B) 평면도, (C) 측면도, (D) 사시도이다.
[도 9] 동(同) 제2 암나사체의 (A) 정면도, (B) 평면도, (C) 측면도, (D) 사시도이다.
[도 10] 동(同) 제1 암나사체와 제2 암나사체의 체결 상태에서의, 상대 회전 억제 구조를 나타내는 (A) 정면도, (B) 제2 암나사체측을 확대하여 나타내는 부분 확대 사시도, (C) 제1 수나사체측을 확대하여 나타내는 부분 확대 사시도이다.
[도 11] 동(同) 상대 회전 억제 구조에서의, 제1 변위부의 변위각의 각도 범위를 해설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12] (A) 내지 (C)는, 제2 변위부의 천이 상태를 해설하기 위해, 동(同) 상대 회전 억제 구조를 축심으로부터 지름 방향 외측을 향해 본 상태를 나타내는 부분 확대도이다.
[도 13] (A) 내지 (C)는, 변형예가 되는 제2 변위부의 천이 상태를 해설하기 위해, 동(同) 상대 회전 억제 구조를 축심으로부터 지름 방향 외측을 향해 본 상태를 나타내는 부분 확대도이다.
[도 14] 변형예가 되는 제2 변위부의 천이 상태를 해설하기 위해, (A)는 동(同) 상대 회전 억제 구조의 부분 확대 평면도이며, (B) 내지 (D)는, 동(同) 상대 회전 억제 구조를 축심으로부터 지름 방향 외측을 향해 본 상태를 나타내는 부분 확대도이다.
[도 15] 변형예가 되는 제2 변위부를 해설하기 위해, 동(同) 상대 회전 억제 구조를 축심으로부터 지름 방향 외측을 향해 본 상태를 나타내는 부분 확대도이다.
[도 16] (A) 및 (B)는, 변형예가 되는 제2 변위부를 해설하기 위해, 동(同) 상대 회전 억제 구조를 축심으로부터 지름 방향 외측을 향해 본 상태를 나타내는 부분 확대도이다.
[도 17]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상대 회전 억제 구조의 상대 회전 상태의 천이를 설명하기 위한 (A)는 정면도, (B)는 (A)의 B-B 화살표에 따른 단면도, (C)는 정면도, (D)는 (C)의 D-D 화살표에 따른 단면도, (E)는 정면도, (F)는 (E)의 F-F 화살표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18] (A)는, 도 17의 (F)를 확대한 단면도이며, (B)는, (A)를 기준으로서 제2 암나사체를 상대 회전시킨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9] 동(同) 상대 회전 억제 구조가 적용되는 제1 암나사체의 (A) 정면도, (B) 평면도, (C) 측면도, (D) 사시도이다.
[도 20] 동(同) 상대 회전 억제 구조가 적용되는 제2 암나사체의 (A) 정면도, (B) 평면도, (C) 측면도, (D) 사시도이다.
[도 21] 동(同) 제1 암나사체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A) 평면도, (B) 정면도, (C) 사시도이다.
[도 22a] (A)는 동(同) 제1 암나사체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B)는 동(同) 제2 암나사체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C)는 동(同) 변형 예의 체결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22b] (A)는 동(同) 제1 암나사체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B)는 동(同) 제2 암나사체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C)는 동(同) 변형 예의 체결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23] (A)는 동(同) 제1 암나사체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B)는 동(同) 제1 암나사체의 다른 변형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4] (A)는 동(同) 제1 암나사체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B)는 동(同) 제2 암나사체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5] (A)는 동(同) 제1 암나사체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B)는 동(同) 제2 암나사체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C)는 상대 회전 억제 구조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26] (A)는 동(同) 제1 암나사체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B)는 동(同) 제2 암나사체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C)는 상대 회전 억제 구조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27] 본 실시 형태의 수나사체 및 암나사체의 체결 구조의 변형예에 따른 정면 단면도이다.
[도 28] (A) 및 (B)는 본 실시 형태의 상대 회전 억제 구조의 변형예에 따른 정면 단면도이다.
[도 29] (A) 및 (B)는 본 실시 형태의 상대 회전 억제 구조의 변형예에 따른 정면 단면도이다.
[도 30] 본 실시 형태의 상대 회전 억제 구조의 변형예에 따른 정면 단면도이다.
[도 31] 제3 실시 형태에 따른 상대 이동 억제 구조에 따른 (A) 제1 부재의 정면도 및 측면도이며, (B) 제2 부재의 정면도 및 측면도이며, (C) 제1 부재와 제2 부재를 맞물린(係合)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32] (A) 및 (B)는 동(同) 상대 이동 억제 구조에 따른 부분 확대 사시도이다.
[도 33] (A) 내지 (C)는, 동(同) 상대 이동 억제 구조의 교차 부분의 천이 상태를 해설하는 부분 확대도이다.
[도 34] (A) 내지 (C)는, 동(同) 상대 이동 억제 구조의 교차 부분의 천이 상태를 해설하는 부분 확대도이다.
[도 35] (A) 내지 (D)는, 동(同) 상대 이동 억제 구조의 열상 돌기의 단면 형상의 예를 나타내는 확대 단면도이다.
[도 36] (A) 내지 (D)는, 동(同) 상대 이동 억제 구조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37] (A) 내지 (C)는, 동(同) 상대 이동 억제 구조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38] (A) 및 (B)는, 동(同) 상대 이동 억제 구조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39] (A) 및 (B)는, 동(同) 상대 이동 억제 구조의 스토퍼부의 동작 및 변형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0] 동(同) 상대 이동 억제 구조의 스토퍼부의 동작 및 변형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1] (A) 및 (B)는, 동(同) 상대 이동 억제 구조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42] 제4 실시 형태에 따른 상대 이동 억제 구조가 적용되는 나사 체결 기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3] (A)는 동(同) 나사 체결 기구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며, (B)는 동(同) 나사 체결 기구의 상대 이동 억제 구조를 나타내는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도 44] (A) 및 (B)는, 동(同) 나사 체결 기구의 열상 돌기의 맞물린(係合) 상태를 나타내는 부분 확대 단면도이며, (C)는, 상대 이동 억제체의 구조를 설명하는 블록도이다.
[도 45] (A)는 동(同) 나사 체결 기구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정면 부분 단면도이며, (B)는 평면 부분 단면도이다.
[도 46] (A) 및 (B)는 동(同) 나사 체결 기구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정면 부분 단면도이다.
[도 47] 제5 실시 형태에 따른 상대 이동 억제 구조가 적용되는 나사 체결 기구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48] 동(同) 상대 이동 억제 구조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A) 정면도, (B) 정면 단면도이다.
[도 49] 동(同) 나사 체결 기구에서의 (A) 상방에서 본 사시도, (B) 하방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50] 동(同) 나사 체결 기구에서의 수나사체의 (A) 하방에서 본 사시도, (B) 저면도이다.
[도 51] 동(同) 나사 체결 기구에서의 좌체의 (A) 상방에서 본 사시도, (B) 하방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52] 동(同) 나사 체결 기구에서, (A) 수나사체의 두부(頭部)로부터 축단을 향해 투시할 때의 나사체측 변형 허용부와 좌체측 변위부의 겹친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 (B) 수나사체의 축단으로부터 두부를 향해 투시할 때의 나사체측 변형 허용부와 좌체측 변위부의 겹친 상태를 나타내는 저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에 대해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에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상대 회전 억제 구조(30)가 적용되는 나사 체결 기구(1)를 나타낸다. 나사 체결 기구(1)는, 제1 암나사체(100)와, 제2 암나사체(101)와, 수나사체(10)를 구비하고 있고, 이들에 의해서 피체결 부재(H)를 체결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1 암나사체(100)와, 이 축 방향 외측에 인접하는 제2 암나사체(101)가, 소위 더블 너트 구조가 되고, 서로의 풀림을 방지한다. 제1 암나사체(100)와 제2 암나사체(101) 사이에, 상대 회전 억제 구조(30)가 설치된다.
나사 체결 기구(1)의 기본 구조에 대해 설명한다. 도 5의 (A)에 나타내듯이, 수나사체(10)의 수나사부(13)에는, 대응하는 우나사로서 이루어지는 암나사 모양의 나선조를 나합 가능하게 구성되는 우나사로서 이루어지는 제1 나선홈(14)과, 대응하는 좌나사로서 이루어지는 암나사 모양의 나선조를 나합 가능하게 구성되는 좌나사로서 이루어지는 제2 나선홈(15)의 2종류의 수나사 나선홈이, 수나사체(10)의 축 방향에서의 동일 영역 상에 중복하여 형성된다. 또, 상기 중복 부분 이외에, 일방의 방향의 나선홈이 형성되어서 이루어지는 편나선홈 영역을 설치해도 좋다.
제1 나선홈(14)은, 이에 대응하는 제1 암나사체(100)의 우나사로서 이루어지는 암나사 모양의 나선조와 나합 가능하고, 제2 나선홈(15)은, 이에 대응하는 제2 암나사체(101)의 좌나사로서 이루어지는 암나사 모양의 나선조와 나합 가능해진다.
수나사부(13)에는, 도 5의 (C) 및 도 6의 (C)에 나타내듯이, 축심(나사축)ⓒ에 수직이 되는 면 방향에서 둘레 방향으로 연장되는 대략 초승달 모양(三日月狀)의 조 모양(條狀)을 이루는 나사산(G)이, 수나사부(13)의 직경 방향에서의 일방측(도면의 좌측) 및 타방측(도면의 우측)에 교대로 설치된다. 즉, 이 나사산(G)은, 그 능선이 축에 대해서 수직으로 연장되고 있고, 나사산(G)의 높이는, 둘레 방향 중앙이 높아지고, 둘레 방향 양단이 점차 낮아지도록 변화한다. 나사산(G)을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우회전으로 선회하는 가상적인 나선홈 구조(도 5의 (A)의 화살표 14 참조) 및 왼쪽 회전으로 선회하는 가상적인 나선홈 구조(도 5의 (A)의 화살표 15 참조)의 2종류의 나선홈을, 나사산(G) 사이에 형성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1 나선홈(14) 및 제2 나선홈(15)의 2종류의 수나사 나선홈을, 수나사부(13)에 중첩 형성하고 있다. 따라서, 수나사부(13)는, 우나사 및 좌나사의 어느 암나사체와도 나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2종류의 수나사 나선홈이 형성된 수나사부(13)의 상세에 대해서는, 본원의 발명자에 따른 일본 등록특허 제4663813호 공보가 참조될 수 있다.
도 4의 (A)에 나타내듯이, 제1 암나사체(100)(여기에서는 설명의 편의 상, 상대 회전 억제 구조의 도시를 생략)의 관통공부(106a)에는, 우나사로서의 제1 암나사 나선조(114)가 형성된다. 즉, 제1 암나사체(100)의 통 모양 부재(106)의 제1 암나사 나선조(114)는, 수나사체(10)의 수나사부(13)에서의 제1 나선홈(14)과 나합한다. 도 4의 (B)에 나타내듯이, 제2 암나사체(101)(여기에서는 설명의 편의 상, 상대 회전 억제 구조의 도시를 생략)의 관통공부(106a)에는, 좌나사로서의 제2 암나사 나선조(115)가 형성된다. 제2 암나사 나선조(115)는, 수나사체(10)의 수나사부(13)에서의 제2 나선홈(15)과 나합한다.
이와 같이, 리드각 및/또는 리드 방향이 상이한 2종류의 암나사체(100, 101)를, 예를 들면, 더블 너트와 같이, 수나사체(10)에 나합시켜서 피체결체를 체결하면, 서로의 암나사체(100, 101)가 상대 회전하지 않는 한 회전 풀림을 얻을 수 없지만, 그 원리에 대해 설명한다.
도 7의 (A)에 나타내듯이, 우나사가 되는 제1 암나사체(100)를 풀림 방향(왼쪽 회전 방향) Sa으로 회전시키려고 하면, 제1 암나사체(100)는, 피체결 부재(H)로부터 멀어지는 축 방향(Ja)으로 이동하려고 한다. 이 제1 암나사체(100)와 Sa 방향으로 공회전하는 좌나사가 되는 제2 암나사체(101)는, 피체결 부재(H)에 가까워지는 축 방향(Jb)으로 이동하려고 한다. 따라서, 제1 암나사체(100)와 제2 암나사체(101)가 축 방향으로 간섭하므로, 풀리지 않는다.
한편, 도 7의 (B)에 나타내듯이, 좌나사가 되는 제2 암나사체(101)를 풀림 방향(우회전 방향) Sb으로 회전시키려고 하면, 제2 암나사체(101)는, 피체결 부재(H)로부터 멀어지는 축 방향(Ja)으로 이동하려고 한다. 이 제2 암나사체(101)와 Sb 방향으로 공회전하는 우나사가 되는 제1 암나사체(100)는, 피체결 부재(H)에 가까워지는 축 방향(Jb)으로 이동하려고 한다. 따라서, 제1 암나사체(100)가(이미 체결 끝난) 피체결 부재(H)와 간섭하고, 그 이상 회전할 수 없다. 결과, 제2 암나사체(101)가 풀리지 않는다.
결국, 도 7의 (C)에 나타내듯이, 제1 암나사체(100)를 회전시키지 않고, 좌나사가 되는 제2 암나사체(101)를 풀림 방향(우회전 방향) Sb으로 단독으로 회전시키거나, 또는, 제2 암나사체(101)를 풀림 방향(우회전 방향) Sb으로 회전시킴과 동시에, 우나사가 되는 제1 암나사체(100)를, 반대의 풀림 방향(왼쪽 회전 방향) Sa으로 회전시키지 않는 한, 이 더블 너트 구조는 회전 풀림 할 수 없다. 즉, 제1 암나사체(100)와 제2 암나사체(101)를 풀리게 하기 위해서는, 상대 회전하는 것이 필수 요건이 된다.
다음으로, 상대 회전 억제 구조(30)에 대해 설명한다.
도 1로 돌아와서, 상대 회전 억제 구조(30)는, 제1 암나사체(100)의 외측 단면(100A)에 형성되는 환상 돌기(150)와, 제2 암나사체(101)의 내측 단면(101A)에 형성되는, 환상 돌기(150)를 수용하는 환상 요부(160)를 구비한다.
제1 암나사체(100)의 환상 돌기(150)의 외주면은, 축 방향(J)을 따라서 지름 방향(K)으로 확경 또는 축경하는 테이퍼면이 된다. 여기에서는 외주면이 축 방향(J)의 외측(제2 암나사체(101) 측)을 향해 축경하고 있다.
도 8에 나타내듯이, 제1 암나사체(100)의 환상 돌기(150)의 외주면에는, 둘레 방향(S)으로 이동함에 따라, 축 방향(J) 또는 지름 방향(K)으로 변위하는 제1 (상대측) 변위부(40)가 형성된다.
이 제1 변위부(40)는 띠 모양의 돌기(또는 홈)이 되고 있고, 도 8의 (A)에 나타내듯이, 띠의 길이 방향(L)이, 둘레 방향(S)으로 이동함에 따라 축 방향(J)으로 변위한다. 동시에, 도 8의 (B)에 나타내듯이, 제1 변위부(40)는, 띠의 길이 방향(L)이 둘레 방향(S)으로 이동함에 따라 지름 방향(K)으로 변위한다. 즉, 제1 변위부(40)는 축 방향(J)과 지름 방향(K)의 쌍방으로 변위하는 돌기가 된다.
제1 변위부(40)는, 둘레 방향으로 균등 간격으로 복수 형성되고, 여기에서는 30개의 제1 변위부(40)가 둘레 방향으로 12°의 상대 위상 차이를 가지고 등간격으로 형성된다.
도 9에 나타내듯이, 제2 암나사체(101)의 환상 요부(160)의 내주면은, 축 방향(J)을 따라서 지름 방향(K)으로 확경 또는 축경하는 테이퍼면이 된다. 여기에서는, 내주면이, 축 방향(J)의 내측(제1 암나사체(100) 측)을 향해 확경하고 있고, 환상 철부(150)의 외주면과 평행한 면이 된다.
이 내주면에는, 제2 (나사체측) 변형 허용부(50)가 형성된다. 이 제2 변형 허용부(50)는 띠 모양의 돌기(또는 홈)이 되고 있고, 도 9의 (D)에 나타내듯이, 돌기의 띠의 길이 방향(L)이, 축 방향(J)과 대략 일치한다. 동시에, 제2 변형 허용부(50)는, 도 9의 (B)에 나타내듯이, 돌기의 띠의 길이 방향(L)이 지름 방향(K)으로 변위한다. 즉, 축 방향(J)과 지름 방향(K)의 쌍방으로 변위하는 돌기가 된다.
이 제2 변형 허용부(50)는, 둘레 방향으로 균등 간격으로 복수 형성된다. 여기에서는 30개의 제2 변형 허용부(50)가 둘레 방향으로 12°의 상대 위상 차이를 가지고 등간격으로 형성된다.
도 10의 (B)에 나타내듯이, 제2 변형 허용부(50)는, 체결력을 이용하여, 제1 암나사체(100)의 제1 변위부(40)에 눌려진다(押壓). 결과, 스스로의 일부가 지름 방향 외측으로 패이도록 변형하고, 이 변형에 의해서, 제2 (나사체측) 변위부(60)를 작출(作出)한다. 또, 도 9에서는, 체결 전 상태를 도시하고 있으므로, 제2 변위부(60)는 작출되어 있지 않다.
제2 암나사체(101)의 제2 변형 허용부(50)는, 제1 암나사체(100)의 제1 변위부(40)와 비교하여, 유연한 재료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하면, 제2 변형 허용부(50)와 간섭하는 제1 변위부(40)가, 제2 변형 허용부(50)를 적극적으로 변형시킬 수 있다. 또, 제2 변형 허용부(50)는, 제1 변위부(40)와 비교하여 저강성으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하면, 제1 변위부(40)와 맞닿는 제2 변형 허용부(50) 측이, 적극적으로 탄성변형 및/또는 소성변형할 수 있다. 또,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2 암나사체(101)와 비교하여, 제1 암나사체(100)의 전체를 고강도 재료로 하고 있다. 이 때, 제1 암나사체(100)에서는, 철(鐵)에 대해서 첨가물을 부가하거나 열처리를 수행하거나 하여 강도를 높인 재료를 채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1 암나사체(100)의 환상 돌기(150)의 지름 방향의 두께를, 제2 암나사체(101)의 환상 요부(160)의 지름 방향의 두께보다 크게 하고 있다. 결과, 환상 돌기(150)의 강성이, 환상 요부(160)보다 높다.
제2 변위부(60)의 패임 형상을 확정하는 대향 형상(對向狀)의 작출면(62A, 62B)은, 지름 방향(K)으로 소정의 폭을 가지는(변위하는) 것은 물론이지만, 이 작출면(62A, 62B)은, 둘레 방향(S)으로 이동함에 따라 축 방향(J)으로도 변위한다. 즉, 제2 변위부(60)는, 지름 방향(K) 및 축 방향(J)의 쌍방으로 변위하는 공간이 된다. 또, 여기에서는 제2 변위부(60)가 오목한 모양으로 변형하는 경우를 예시하고 있지만, 볼록한 모양으로 변형시켜도 좋다.
또한, 도 10의 (B)에서는, 모식적으로, 띠 모양 돌기가 되는 제2 변형 허용부(50)가, 단일의 제1 변위부(40)와 교차함으로써 패임(제2 변위부(60))을 형성하는 경우를 나타내고 있지만, 실제로는, 복수의 제1 변위부(40)와 교차하는 경우도 있다. 따라서, 각 제2 변형 허용부(50)에는, 복수의 제2 변위부(60)가 형성되는 경우도 있다.
도 10의 (A)에 나타내듯이, 제2 변형 허용부(50)의 표면에서, 복수의 제2 변위부(60)가, 나사체의 1 피치 이상의 축 방향 범위(영역)(W)로 넓어져서 작출된다. 상대 회전의 억제 효과를 발휘하는 제2 변위부(60)가, 축 방향으로 1 피치 이상의 확대를 가지는 범위에 형성됨으로써, 제2 암나사체(101)가, 풀림 방향으로 1회전할 때에, 모든 위상에서 항상, 상대 회전 억제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또, 구체적으로는 3 피치 이상의 축 방향 범위로 넓어져서 작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축 방향 범위(영역)(W)는, 제2 변형 허용부(50)와 제1 변위부(40)의 축 방향의 간섭 거리(W)라고 정의할 수도 있다.
또, 환상 요부(160)를 축에서 보면, 제2 변위부(60)가 둘레 방향으로 복수, 여기에서는 30개 이상 작출되게 된다. 특히, 제2 변위부(60)가 균등 간격(또는 소정 주기마다)으로 형성되도록 하면, 복수의 제2 변위부(60)의 변형 시의 직경 방향의 반력이, 서로 상쇄되므로, 제1 암나사체(100)와 제2 암나사체(101) 사이에, 상대적인 편심력이 작용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결과, 제1 암나사체(100)와 제2 암나사체(101)가, 수나사체(10)에 대해서, 소위 치우쳐 닿음(片當)를 억제할 수 있다. 또, 복수의 제2 변위부(60)의 둘레 방향의 배치 간격이 랜덤이어도, 그 수가 많으면, 결과적으로, 직경 방향의 반력이 서로 상쇄된다.
도 10의 (C)에 나타내듯이, 제2 변위부(60)의 상대측이 되는 제1 변위부(40)의 띠 모양의 돌기는, 한 쌍의 제1 변형 부여면(42A, 42B)을 가진다. 이러한 제1 변형 부여면(42A, 42B)은, 지름 방향으로 넓어짐(폭(幅))을 갖고, 둘레 방향(S)과 교차하도록 변위한다(즉, 축 방향(J)으로 변위한다).
제2 변형 허용부(50)는, 이 제1 변형 부여면(42A, 42B)과 맞닿음으로써, 제2 변위부(60)의 작출면(62A, 62B)을 작출한다. 즉, 일방의 제1 변형 부여면(42A)과 일방의 작출면(62A)이 서로 맞닿고(當接), 타방의 제1 변형 부여면(42B)과 타방의 작출면(62B)이 서로 맞닿는다.
일방의 제1 변형 부여면(42A)은, 좌나사가 되는 제2 암나사체(101)에서의 풀림측(오른쪽 회전측)의 둘레 방향(Sa)에 대향한다. 또, 타방의 제1 변형 부여면(42B)은, 제2 암나사체(101)에서의 체결측(좌회전측)의 둘레 방향(Sb)에 대향한다.
이러한 제1 변형 부여면(42A, 42B)은, 축 방향(J)을 향하고, 제2 암나사체(101)의 1 피치 이상의 범위에서 변위한다. 구체적으로는, 3 피치 이상의 범위에서 변위한다. 이와 같이 하면, 이 제1 변형 부여면(42A, 42B)에 의해서 작출되는 제2 변위부(60)를, 축 방향으로 1 피치 이상(바람직하게는 3 피치 이상)의 넓어지는 범위에 형성하거나, 이동시키거나 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1을 참조하여, 일방의 제1 변형 부여면(42A)의 각도에 대해 설명한다. 또, 도 11에서는, 일방의 제1 변형 부여면(42A)을, 지름 방향 내측에서 외측을 향해 본 상태를 나타낸다.
제2 암나사체(101)의 리드각을 β라 하고, 제2 암나사체(101)의 풀림측의 둘레 방향을 Sb라고 정의한다. 또, 제2 암나사체(101)가, 풀림측의 둘레 방향(Sa)으로 회전할 때에, 제2 암나사체(101)가 축 방향(J)으로 이동하는 방향을 풀림측 방향(Ja)이라고 정의한다. 그리고, 이하에 설명하는 「각도」는, 풀림측의 둘레 방향(Sa)을 기준(0°)으로서, 풀림 축 방향(Ja) 측을 향하는 각도를 정각이라고 정의한다.
제1 변형 부여면(42A)의 각도(이 각도를 변위각 A라고 정의함)는, 제2 암나사체(101)에서의 풀림측의 리드각(β)과 다르게 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 형태에서는, 변위각 A을 약 120°로 설정하여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 일방의 제1 변형 부여면(42A)의 변위각 A의 바람직한 범위는, 이하의 조건을 만족시키는 범위가 된다(도 11의 각도 범위 P 참조).
β+135°≥A≥β+45°
이와 같이 하면, 제2 암나사체(101)가 풀림 방향(즉, 풀림측 리드각(β)의 방향)으로 회전하려고 해도, 제1 변형 부여면(42A)이, 작출면(62A)에 대해서, 둘레 방향과 리드 방향의 쌍방의 이동을 저해하는 방향으로 맞물리므로(係合), 보다 더, 상대 회전이 억제되기 쉬운 상태가 된다.
또한, 상대 회전 억제 효과를 높이기 위해서, 바람직하게는, 일방의 제1 변형 부여면(42A)의 변위각 A를 이하의 범위로 한다(도 11의 각도 범위 Q 참조).
135°≥A≥90°
또한, 이 변위각 A가 180°를 넘으면, 제1 변형 부여면(42A)이 풀림측의 둘레 방향(Sb)과 동(同) 방향을 향해 버리므로, 제2 암나사체(101)가 풀림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억제하는 효과를 발휘하기 어려워진다. 또, 도 11의 각도 X나, 각도 Y와 같이, 제1 변형 부여면(42A)이, 리드각(β)이나, 풀림측의 둘레 방향(Sb)에 접근함(평행에 가까워짐)과, 제2 암나사체(101)의 회전 억제 효과를 발휘하기 어려워진다.
다음으로 도 12를 참조하여, 제2 변위부(60)의 이동 효과에 대해 설명한다. 또, 도 12에서는, 제2 변위부(60)를, 지름 방향 내측에서 외측을 향해 본 상태를 나타낸다. 도 12의 (A)~(C)의 천이로 나타내듯이, 제1 암나사체(100)에 대해서, 제2 암나사체(101)가, 풀림측 둘레 방향(Sb)으로 회전하는 경우를 가정하면, 제2 변형 허용부(50)와 제1 변위부(40)가 교차하는 개소, 즉, 제2 변위부(60)가 이동한다. 구체적으로는, 제2 암나사체(101) 자신을 기준으로서, 제2 변위부(60)가 축 방향(J)으로 이동한다.
환언하면, 제2 암나사체(101)를 풀림 방향으로 회전시키기 위해서는, 제2 변위부(60)를 이동시키도록 제2 변형 허용부(50)를 변형시킬 필요가 있고, 상응하는 외력(에너지)이 요구된다. 따라서, 이 변형 시의 저항에 의해서, 상대 회전이 억제된다. 물론, 상응하는 외력(에너지)을 더하면, 상대 회전이 가능해서, 필요한 때에 풀리게 하는 것도 가능해진다.
또, 제2 변형 허용부(50)에서의, 제2 변위부(60)의 축 방향(J)의 이동 범위(이동량)를, 제2 암나사체(101)의 1 피치 이상, 바람직하게는 복수 피치(더욱 바람직하게는 3 피치 이상)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긴 거리의 회전에 대해서, 상대 회전 억제 기능을 계속 발휘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제2 변위부(60)가 축 방향(J)으로 이동하는 것은, 이미 말한 것처럼, 제1 변형 부여면(42A)의 변위각 A를, 리드각(β)과 다르게 하고 있기 때문이다. 만일 도 13에 나타내듯이, 제1 변형 부여면(42A)의 변위각 A이, 리드각(β)과 일치하는 경우, 도 13의 (A)~(C)의 천이에 나타내듯이, 제2 변형 허용부(50)와 제1 변위부(40)가 교차하는 개소가 되는 제2 변위부(60)가, 제2 암나사체(101)의 회전과 동시에, 리드각(β)과 같은 방향으로 이동한다. 결과, 제2 암나사체(101) 자신을 기준으로 하면, 제2 변위부(60)가 전혀 이동하지 않게 된다.
또한, 본 제1 실시 형태에서는, 도 14의 (A)에 나타내듯이, 제2 변형 허용부(50)에 제2 변형부(60)를 형성함과 동시에, 제1 변위부(40)의 길이 방향의 일부(제2 변형 허용부(50)와 교차하는 범위)도 지름 방향 내측으로 패이고, 보조 변위부(70)를 작출하고 있다. 즉, 제1 암나사체(100)의 제1 변위부(40)는, 본원 발명에서의 「나사체측 변형 허용부」의 역할을 담당하고 있고, 체결력을 이용하여, 상대측 부재가 되는 제2 변형 허용부(50)를 누름(押壓)에 의해서, 스스로의 일부가 지름 방향 내측에 패이도록 변형하고, 이 변형에 의해서, 보조 변위부(70)를 작출한다.
따라서, 이 보조 변위부(70)의 상대측이 되는 제2 변형 허용부(50)는, 한 쌍의 제2 변형 부여면(52A, 52B)을 가진다. 제2 변형 부여면(52A, 52B)은 지름 방향으로 넓어짐(폭)을 갖고, 둘레 방향(S)과 교차하도록 변위한다(즉, 축 방향(J)으로 변위한다).
제1 변위부(제1 변형 허용부)(40)는, 이 제2 변형 부여면(52A, 52B)과 맞닿음으로써, 보조 변위부(70)의 작출면(72A, 72B)을 작출한다. 즉, 일방의 제2 변형 부여면(52A)과 일방의 작출면(72A)이 서로 맞닿고(當接), 타방의 제2 변형 부여면(52B)과 타방의 작출면(72B)이 서로 맞닿는다.
일방의 제2 변형 부여면(52A)은, 우나사가 되는 제1 암나사체(100)에서의 조임측(오른쪽 회전측)의 둘레 방향(Sa)에 대향한다. 또, 이 조임측(오른쪽 회전측)은, 제2 암나사체(101) 측을 기준으로 생각하면, 제2 암나사체(101)로부터 배반하는 방향으로서의 「풀림측」이라고 정의하는 것도 가능하다.
타방의 제2 변형 부여면(52B)은, 제1 암나사체(100)에서의 풀림측(좌회전측)의 둘레 방향(Sb)에 대향한다.
이러한 제2 변형 부여면(52A, 52B)은, 축 방향(J)을 향하고, 제1 암나사체(100)의 1 피치 이상의 범위에서 변위한다. 구체적으로는, 3 피치 이상의 범위에서 변위한다. 이와 같이 하면, 이 제2 변형 부여면(52A, 52B)에 의해서 작출되는 보조 변위부(70)를, 축 방향으로 1 피치 이상(바람직하게는 3 피치 이상)의 확대를 가지는 범위에 형성하거나, 이동시키거나 할 수 있다.
도 14의 (B)~(D)의 천이에 나타내듯이, 제2 암나사체(101)에 대해서 제1 암나사체(100)를, 체결측 둘레 방향(Sb)으로 회전하는 경우(즉, 제1 암나사체(100)를 제2 암나사체(101)로부터 축 방향(Jb)으로 배반시키는 경우)를 가정하면, 제2 변형 허용부(50)와 제1 변위부(40)가 교차하는 개소, 즉, 보조 변위부(70)가 이동한다. 구체적으로는, 제1 암나사체(100) 자신을 기준으로서, 보조 변위부(70)가 축 방향(J)으로 이동한다. 동시에, 여기에서는 제1 변위부(40)가 경사하고 있으므로, 제1 암나사체(100) 자신을 기준으로서, 보조 변위부(70)가 둘레 방향(Sb)으로도 이동한다.
환언하면, 제1 암나사체(100)를 체결 방향으로 회전시키고, 제2 암나사체(101)로부터 축 방향으로 배반시키기 위해서는, 보조 변위부(70)를 이동시키도록 변형시킬 필요가 있고, 상응하는 외력(에너지)이 요구된다. 따라서, 이 변형 시의 저항에 의해서, 상대 회전이 억제된다.
상기 제1 실시 형태에서는, 제1 변위부(40)가 축 방향(J)에 대해서 둘레 방향(S)을 향해 경사하고 있고, 제2 변형 허용부(50)가 축 방향(J)과 평행이 되는 경우를 예시했지만, 본 발명은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도 15에 나타내듯이, 제2 변형 허용부(50)도, 축 방향(J)에 대해서 둘레 방향(S)으로 경사시켜도 좋다. 제2 암나사체(101)를 풀림측 둘레 방향(Sa)으로 상대 회전시키면, 제2 암나사체(101)를 기준으로서, 제2 변위부(60)가, 축 방향(J)과 둘레 방향(S)의 쌍 방향으로 이동하려고 하므로, 보다 강한 상대 회전 억제 구조를 발휘할 수 있다.
또, 도 16의 (A)에 나타내듯이, 제1 변위부(40)를 축 방향(J)에 대해서 평행으로 하고, 제2 변형 허용부(50) 측을, 축 방향(J)에 대해서 둘레 방향(S)으로 경사시켜도 좋다. 이 때, 둘레 방향의 일방으로 경사시키는 부분과, 둘레 방향의 타방으로 경사시키는 부분의 쌍방을 가져도 좋다. 더욱, 도 16의 (A)의 응용으로서, 도 16의 (B)에 나타내듯이, 제1 변위부(40)도, 둘레 방향의 일방으로 경사시키는 부분과, 둘레 방향의 타방으로 경사시키는 부분의 쌍방을 가져도 좋다.
다음으로, 도 17 이후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나사 체결 기구로 이용되는 상대 회전 억제 구조(30)에 대해 설명한다. 또, 상대 회전 억제 구조(30)를 제외한 다른 부위·부재는, 제1 실시 형태와 동일한 것으로, 여기서의 설명을 생략한다.
도 17에 나타내듯이, 상대 회전 억제 구조(30)는, 제1 암나사체(100)에 형성되는 환상 돌기(150)와, 제2 암나사체(101)에 형성되는, 환상 돌기(150)를 수용하는 환상 요부(160)를 구비한다.
도 19에 나타내듯이, 제1 암나사체(100)의 환상 돌기(150)의 외주면은, 축 방향(J)을 따라서 지름 방향(K)으로 확경 또는 축경하는 테이퍼면이 된다. 여기에서는 외주면이 축 방향(J)의 외측(제2 암나사체(101) 측)을 향해 축경하고 있다.
도 19의 (B)에 나타내듯이, 환상 돌기(150)의 외주면에는, 둘레 방향(S)으로 이동함에 따라, 지름 방향(K)으로 변위하는 제1 (상대측) 변위부(40)가 형성된다. 이 제1 변위부(40)는, 축 방향에서 본 경우, 회전 중심과 동축(同軸)이 되는 가상 정원(正圓)(M)(가상 정원추(正圓錐))의 부분 원호(M1)에 대해서, 지름 방향(K)의 외측으로 볼록한 돌기가 된다. 따라서, 제1 변위부(40)의 돌출 부분의 외주면의 곡률은, 가상 정원(M)의 곡률보다 작아진다. 또, 환상 돌기(150)의 외주면을 축 방향에서 본 경우의 곡률 중심은, 항상, 외주면의 내측(또는 가상 정원(M)의 내측)에 위치하고 있다. 즉, 제1 변위부(40)의 외주면의 곡률은, 둘레 방향을 따라서 정부(正負)가 반전하지 않게 설정된다. 이와 같이 하면, 도 18에 나타내듯이, 환상 돌기(150)의 외주면은, 지름 방향 외측으로 볼록한 모양이 되거나, 적어도 가상 정원(M)과 외접하는 평탄면이 되므로, 제2 암나사체(101)에서 탄소성변형 하는 제2 변형 허용부(50)에 대해서, 전 둘레에 걸쳐 밀착할 수 있다. 결과, 높은 마찰력이 발휘되고, 높은 상대 회전 억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1 변위부(40)의 각 돌기가 둘레 방향으로 120°의 위상 범위를 차지하고 있고, 3개의 제1 변위부(40)가, 둘레 방향으로 균등 분할 정렬된다. 결과적으로, 환상 돌기(150)를 축에서 보면, 각이 둥근 정삼각형이 되고 있고, 인접하는 한 쌍의 제1 변위부(40)의 가상적인 경계(40X)는, 직선 모양의 평면이 되고 있다. 또, 본 발명은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각이 둥근 정사각형, 정오각형 등, 다양한 형상을 채용할 수 있다.
또한, 제1 변위부(40)는, 축 방향(J)을 향해 연장되고 있다. 제1 변위부(40)의 축 직각 방향의 단면 형상은, 환상 돌기(150)의 돌단측(突端側)이 작아지고, 기단측(基端側)이 커지는 상사형(相似形)이 된다. 또, 환상 돌기(150)의 외주면의 외주 길이(外周長)는, 기단측이 가장 큰 R1가 되고, 돌단측이 가장 작은 R3가 되고, 그 중간이 R2가 된다 (R1>R2>R3). 또, 이 제1 변위부(40)의 부분 원호 형상의 외표면은, 둘레 방향(S)으로 이동함에 따라 지름 방향(K)으로 변위하게 된다.
도 20에 나타내듯이, 제2 암나사체(101)의 환상 요부(160)의 원추 내주면(원통면)은, 정원 형상이고, 또한, 축 방향(J)을 따라서 지름 방향(K)으로 확경 또는 축경하는 테이퍼면이 된다. 여기에서는 내주면이, 제1 암나사체(100) 측을 향해 확경하고, 환상 돌기(150)의 외주면과 평행이 된다. 이 내주면은 평활면이 된다. 내주면의 내주 길이(內周長)는, 돌단측이 가장 큰 E1이 되고, 기단측이 가장 작은 E3가 되고, 그 중간이 E2가 된다(E1>E2>E3). 이러한 내주 길이(E1, E2, E3)를, 환상 돌기(150)의 외주면의 외주 길이(R1, R2, R3)와 비교하면, 이하의 조건을 만족시킨다.
R1≥E1>R2≥E2>R3≥E3(도 17의 (E) 참조)
즉, 후술하는 도 17의 (E) (F) 및 도 18에 나타내듯이, 환상 돌기(150)와 환상 요부(160)가 최종적으로 감합(피트)한 상태에서, 축 방향으로 일치하는 장소의 환상 돌기(150)의 외주 길이와, 환상 요부(160)의 내주 길이가, 대략 같아진다. 즉, 이 설정으로 하면, 환상 요부(160)의 제2 변형 허용부(50)는, 탄성변형 및/또는 소성변형(탄소성변형) 하지 않으면, 환상 돌기(150)의 제1 변위부(40)를 받아들일 수 없다. 환언하면, 도 18의 (A)에 나타내듯이, 제2 변형 허용부(50)는, 변형 전의 내주면이 되는 가상 정원 Z에 대해서, 지름 방향 내측으로 변형하는 영역과, 지름 방향 외측으로 변형하는 영역의 쌍방을 동시에 가지게 된다. 이 탄소성변형에 의해서, 상대 회전을 효과적으로 억제하는 구조가 되고 있다.
본 제2 실시 형태에서는, 도 17에 나타내듯이, 이 환상 요부(160) 전체가, 제2 (나사체측) 변형 허용부(50)가 된다. 따라서, 제1 암나사체(100)와 제2 암나사체(101)가 서로 접근할 때의 체결력을 이용하여, 이 제2 변형 허용부(50)는, 제1 암나사체(100)의 제1 변위부(40)를 누름으로써(押壓), 스스로의 일부가 지름 방향 외측으로 패이도록 변형하고, 이 변형에 의해서, 제2 (나사체측) 변위부(60)를 작출한다. 또, 도 20에서는, 체결 전 상태를 도시하고 있으므로, 제2 변위부(60)는 작출되어 있지 않다.
제2 암나사체(101)의 제2 변형 허용부(50)는, 제1 암나사체(100)의 제1 변위부(40)와 비교하여, 유연한 재료로 구성된다. 또, 제2 변형 허용부(50)는, 제1 변위부(40)와 비교하여 저강성으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하면, 제1 변위부(40)가, 제2 변형 허용부(50)를 적극적으로 외측으로 확대하도록 변형한다(도 17의 (D) 참조). 결과, 제1 변위부(40)의 외주면의 형상과, 제2 변형 허용부(50)의 내주면의 형상이 거의 일치한다(도 17의 (E) 참조). 이 때, 제1 변위부(40)와 맞닿는 제2 변형 허용부(50) 측이, 적극적으로 탄성 및/또는 소성변형 한다. 또, 여기에서는 제2 변위부(60)가 지름 방향 외측으로 오목한 모양으로 변형하는 경우를 예시하고 있지만, 지름 방향 내측으로 변형시켜도 좋다.
도 18에 나타내듯이, 변형 후의 제2 변위부(60)의 패임 형상을 확정하는 한 쌍의 작출면(62A, 62B)은, 지름 방향(K)의 폭을 갖는다(변위한다). 또, 이 작출면(62A, 62B)은, 축 방향(J)으로 연장된다. 결과, 도 17의 (E)에 나타내듯이, 제2 변형 허용부(50)의 표면에서, 제2 변위부(60)가, 나사체의 1 피치 이상의 축 방향 범위(영역)(W)로 넓어져서 작출된다. 결과, 제2 암나사체(101)가, 풀림 방향으로 1회전할 때에, 모든 위상에서 항상, 상대 회전의 억제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또, 구체적으로는 3 피치 이상의 축 방향 범위로 넓어져 작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축 방향 범위(영역)(W)는, 제2 변형 허용부(50)와 제1 변위부(40)의 축 방향의 간섭 거리(W)라고 정의할 수도 있다.
또, 환상 요부(160)를 축에서 보면, 제2 변위부(60)가 둘레 방향으로 균등 간격으로 3개소에 작출된다. 이와 같이 하면, 제2 변위부(60)의 변형 시의 직경 방향 반력이, 서로 상쇄되므로, 제1 암나사체(100)와 제2 암나사체(101) 사이에, 서로 편심력이 작용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도 18의 (A)에 나타내듯이, 제2 변위부(60)의 상대측이 되는 제1 변위부(40)는, 한 쌍의 제1 변형 부여면(42A, 42B)을 가진다. 제1 변형 부여면(42A, 42B)은, 지름 방향(K)으로 넓어짐(폭)을 가짐과 동시에, 축 방향(J)과 대략 평행으로 연장됨으로써, 둘레 방향(S)과 교차한다.
제2 변형 허용부(50)는, 이 제1 변형 부여면(42A, 42B)과 맞닿음으로써, 제2 변위부(60)의 작출면(62A, 62B)을 작출한다. 즉, 일방의 제1 변형 부여면(42A)과 일방의 작출면(62A)이 서로 맞닿고(當接), 타방의 제1 변형 부여면(42B)과 타방의 작출면(62B)이 서로 맞닿는다.
일방의 제1 변형 부여면(42A)은, 좌나사가 되는 제2 암나사체(101)에서의 풀림측(오른쪽 회전측)의 둘레 방향(Sa)에 대향한다. 또, 타방의 제1 변형 부여면(42B)은, 제2 암나사체(101)에서의 체결측(좌회전측)의 둘레 방향(Sb)에 대향한다.
이러한 제1 변형 부여면(42A, 42B)은, 축 방향(J)을 향하고, 제2 암나사체(101)의 1 피치 이상의 범위에서 변위한다. 구체적으로는, 3 피치 이상의 범위에서 변위한다. 이와 같이 하면, 이 제1 변형 부여면(42A, 42B)에 의해서 작출되는 제2 변위부(60)를, 축 방향으로 1 피치 이상(바람직하게는 3 피치 이상)으로 넓어지는 범위에 형성할 수 있다.
도 18의 (B)에 나타내듯이, 제1 암나사체(100)에 대해서, 제2 암나사체(101)가, 풀림측 둘레 방향(Sb)으로 상대 회전하는 경우를 생각하면, 제2 암나사체(101) 자신을 기준으로서, 제2 변위부(60)가, 조임측 둘레 방향(Sa)으로 이동한다. 환언하면, 제2 암나사체(101)를 풀림 방향으로 회전시키기 위해서는, 제2 변위부(60)를 이동시키도록 제2 변형 허용부(50)를 변형시킬 필요가 있고, 상응하는 외력(에너지)이 요구된다. 따라서, 이 변형 시의 저항에 의해서, 상대 회전이 억제된다.
또한, 본 제2 실시 형태에서는, 제1 암나사체(100)에서의 제1 변형 부여면(42A, 42B)이, 축 방향(J)과 대략 평행으로 연장되는 경우를 예시하고 있지만, 본 발명은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도 21에 나타내듯이, 제1 변형 부여면(42A, 42B)이, 축 방향(J)을 따라서 둘레 방향으로 뒤틀리는 상태로 형성해도 좋다. 구체적으로는, 환상 돌기(150)의 기단측으로부터 돌단측을 향하고, 제1 변위부(40)의 부분 원호(부분 타원호)의 위상이, 제2 암나사체(101)의 체결측(좌회전측)의 둘레 방향(Sb)에 점차 변위하도록 형성한다. 이와 같이 하면, 제1 실시 형태와 동일하게, 일방의 제1 변형 부여면(42A)이, 축 방향(J)에 대해서 경사하고, 제2 암나사체(101)가 풀림 방향으로 회전하려고 해도, 제1 변형 부여면(42A)이, 작출면(62A)의 이동을 저해하는 방향으로 맞물리므로(係合), 상대 회전이 더욱 억제되기 쉬운 상태가 된다. 물론, 제1 변형 부여면은, 반드시 나사축 직각 방향에 대해서 경사하고 있지 않으면 안 된다고 하는 것이 아니고, 나사축 직각 방향에 대해서 평행한 둘레 상(周上)의 조상(條狀)을 이루는 것이어도 좋다.
본 제2 실시 형태의 변형예로서, 도 22a의 (A)에 나타내듯이, 제1 암나사체(100)의 환상 돌기(150)의 외주 근방에서의 기단측에, 축 방향 스토퍼부(154)를 형성해도 좋다. 이 축 방향 스토퍼부(154)는, 제2 암나사체(101)의 환상 요부(160)의 돌단과 맞닿고, 제1 암나사체(100)와 제2 암나사체(101)의 축 방향의 접근 거리를 규정한다. 동일하게, 도 22a의 (B)에 나타내듯이, 제2 암나사체(101)의 환상 요부(160)의 내주 근방에서의 기단측에, 축 방향 스토퍼부(164)를 형성해도 좋다. 이 축 방향 스토퍼부(164)는, 제1 암나사체(100)의 환상 돌기(150)의 돌단과 맞닿고, 제1 암나사체(100)와 제2 암나사체(101)의 축 방향의 접근 거리를 규정한다.
이와 같이 하면, 도 22a의 (B)에 나타내듯이, 체결 시에서, 환상 요부(160)의 제2 변형 허용부(50)가, 환상 돌기(150)의 제1 변위부(40)를 축 방향으로 받아들이는 양(축 방향의 간섭 거리(W))를, 일정치로 규정(제한)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상대 회전 억제 효과를 안정시킬 수 있다. 이 때, 환상 요부(160)의 제2 변형 허용부(50)의 최대의 축 방향 치수를 B로 하는 경우, 간섭 거리(W)는, 최대의 축 방향 치수(B)보다 작게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하면, 제2 변형 허용부(50)의 기단측에, 축 방향의 여유 공간 N를 확보할 수 있다. 여유 공간 H에 의해서, 제2 변형 허용부(50)의 기단측이, 여유를 가지고 지름 방향으로 탄소성변형할 수 있으므로, 환상 돌기(150)를 내부에 받아들여 서로 간섭할 때에, 제2 변형 허용부(50)의 기단측이 극도로 소성변형하여 손상하는 사태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여기에서는, 제1 암나사체(100) 또는 제2 암나사체(101)에, 일체적으로 축 방향 스토퍼부(154, 164)를 형성하는 경우를 예시했지만, 본 발명은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축 방향 스토퍼부를 환상 링 등의 별도의 부재로서, 제1 암나사체(100)와 제2 암나사체(101) 사이에 개재시킴으로써, 양자의 접근 거리(최소 접근 거리)를 일정하게 유지하도록 해도 좋다.
또, 여기에서는, 환상 돌기(150)의 외주와 환상 요부(160)의 내주에, 연속적으로 축 방향 스토퍼부(154, 164)를 형성하는 경우를 예시했지만, 본 발명은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도 22b의 (A)에 나타내듯이, 제1 암나사체(100)의 환상 돌기(150)로부터 멀어진 외주 측에, 환상의 제1 축 방향 스토퍼부(154)를 독립하여 형성하고, 도 22b의 (B)에 나타내듯이, 제2 암나사체(101)의 환상 요부(160)로부터 멀어진 외주 측에, 환상의 제2 축 방향 스토퍼부(164)를 독립하여 형성해도 좋다.
도 22b의 (C)에 나타내듯이, 제1 축 방향 스토퍼부(154)의 좌면과 제2 축 방향 스토퍼부(164) 좌면을 서로 맞닿게 함으로써, 제1 암나사체(100)와 제2 암나사체(101)의 축 방향의 접근 거리를 규정한다.
이와 같이 하면, 제1 축 방향 스토퍼부(154)와 제2 축 방향 스토퍼부(164)의 존재에 의해서, 환상 돌기(150)나 환상 요부(160)의 강성이 변화하지 않는다. 결과, 제1 축 방향 스토퍼부(154)와 제2 축 방향 스토퍼부(164)의 맞닿음(當接) 전후에 걸쳐, 제2 변형 허용부(50)의 기단측을, 여유를 가지고 지름 방향으로 탄소성변형시킬 수 있다. 또, 제1 축 방향 스토퍼부(154)와 제2 축 방향 스토퍼부(164)를 환상으로 함으로써, 맞닿음 시의 면압에 대한 내구성을 높일 수 있다. 또, 제1 축 방향 스토퍼부(154)와 제2 축 방향 스토퍼부(164)의 각각의 축 방향 높이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적당 설정할 수 있다. 또, 제1 축 방향 스토퍼부(154)의 높이를 0(부존재)으로 하고, 제2 축 방향 스토퍼부(164)만을 형성해도 좋고, 반대로, 제2 축 방향 스토퍼부(164)의 높이를 0(부존재)으로 하고, 제1 축 방향 스토퍼부(154)만을 형성해도 좋다.
또한, 제2 실시 형태에서는, 제1 암나사체(100)의 환상 돌기(150)의 외주면의 형상이, 각이 둥근 정삼각형이 되는 경우를 예시했지만, 예를 들면 도 23의 (A)에 나타내듯이, 정폭 도형 형상이라고 해도 좋다. 정폭 도형의 경우, 도형 양측에서 외접하는 2 개의 평행선의 거리가, 항상 일정한 거리(즉 직경이 항상 일정)가 되는 도형이며, 대표적인 것으로 루로 삼각형 등이 있다. 이 정폭 도형의 외주 길이와, 제2 변형 허용부(50)의 내주 길이를 거의 일치하게 함으로써, 탄소성변형 후, 전 둘레에 걸쳐 서로를 밀착시킬 수 있다.
또 예를 들면, 도 23의 (B)에 나타내듯이, 인접하는 한 쌍의 제1 변위부(40)의 경계에서, 지름 방향(K)의 내측으로 패이는 골부(谷部)(40Y)를 형성하도록 하고, 환상 돌기(150)와 환상 요부(160) 사이에 적극적으로 틈새를 형성하도록 해도 좋다.
또한, 제2 실시 형태에서는, 제1 암나사체(100)의 환상 돌기(150)의 외주면에, 부분 원호 형상의 돌기를 형성하는 경우를 예시했지만, 본 발명은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도 24에 나타내는 제1 암나사체(100)와 같이, 환상 돌기(150)의 외주면에, 점상(dot 狀)의 미세 돌기를 형성하고, 이를 제1 변위부(40)라 해도 좋다.
또한, 제1 및 제2 실시 형태에서는, 환상 돌기(150)의 외주에 형성되는 환상의 테이퍼면에, 제1 변위부(40)를 형성하는 경우를 예시했지만, 본 발명은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도 25의 (A)에 나타내듯이, 제1 암나사체(100)의 축 방향(J)에 대해서 직행하는 평면, 즉, 제1 암나사체(100)의 축 방향 단면에서, 제1 변위부(40)를 형성해도 좋다. 여기에서는, 제1 변위부(40)로서, 지름 방향으로 연장되는 띠 모양의 돌기를, 둘레 방향으로 복수 형성하고 있다. 도 25의 (B)에 나타내듯이, 제2 암나사체(101)에서도, 축 방향(J)에 대해서 직행하는 평면, 즉, 제2 암나사체(101)의 축 방향 단면에서, 제2 변형 허용부(50)를 형성한다. 여기에서는, 제2 변형 허용부(50)로서, 둘레 방향으로 연장되는 띠 모양의 돌기를 형성하고 있다. 특히 여기에서는, 둘레 방향으로 연장되는 띠 모양의 돌기가, 지름 방향으로 사행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제1 암나사체(100)와 제2 암나사체(101)의 서로의 축 방향 단면을 맞닿게 하면, 도 25의 (C)에 나타내듯이, 제2 변형 허용부(50)에서, 제1 변위부(40)와 교차하는 부분에 제2 변위부(60)가 형성된다. 제2 암나사체(101)를, 풀림측 둘레 방향(Sa)으로 상대 회전시키면, 제2 변위부(60)가, 제2 변형 허용부(50)의 길이 방향을 따라서 둘레 방향으로 이동함과 동시에, 지름 방향으로도 이동한다. 환언하면, 제2 암나사체(101)를 풀림 방향으로 회전시키기 위해서는, 제2 변위부(60)를 이동시키도록 제2 변형 허용부(50)를 변형시킬 필요가 있고, 상응하는 외력(에너지)이 요구된다. 따라서, 이 변형 시의 저항에 의해서, 상대 회전이 억제된다.
또한, 도 26에 나타내듯이, 도 25의 (A)의 제1 암나사체와 제2 암나사체를 반전시키고, 제1 암나사체(100)의 축 방향 단면에서, 제1 변위부(40)로서, 둘레 방향으로 연장되어 지름 방향으로 사행하는 띠 모양의 돌기를 형성하고, 제2 암나사체(101)의 축 방향 단면에서, 제2 변형 허용부(50)로서, 지름 방향으로 연장되는 띠 모양의 돌기를, 둘레 방향으로 복수 형성해도 좋다. 도 26의 (B)에 나타내듯이, 제1 암나사체(100)와 제2 암나사체(101)의 서로의 축 방향 단면을 맞닿게 하면, 제2 변형 허용부(50)에서, 제1 변위부(40)와 교차하는 부분에 제2 변위부(60)가 형성된다. 제2 암나사체(101)를, 풀림측 둘레 방향(Sa)으로 상대 회전시키면, 제2 변위부(60)가, 제2 변형 허용부(50)의 지름 방향(K)을 따라서 이동한다. 환언하면, 제2 암나사체(101)를 풀림 방향으로 회전시키기 위해서는, 제2 변위부(60)를 지름 방향(K)으로 이동시키도록 제2 변형 허용부(50)를 변형시킬 필요가 있고, 상응하는 외력(에너지)이 요구된다. 따라서, 이 변형 시의 저항에 의해서, 상대 회전이 억제된다.
이상의 실시 형태군에서의, 수나사체(10), 제1 암나사체(100) 및 제2 암나사체(101)에서는, 제1 나선홈(14) 및 제1 암나사 나선조(114)의 쌍과, 제2 나선홈(15) 및 제2 암나사 나선조(115)의 쌍이, 서로 역나사의 관계(리드각이 같고 리드 방향이 반대)가 되고 있는 경우를 예시했지만, 본 발명은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도 27에 나타내듯이, 리드 방향(L1, L2)이 같고, 리드각이 다른 제1 나선홈(14) 및 제1 암나사 나선조(114)와, 제2 나선홈(15) 및 제2 암나사 나선조(115)를 채용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제1 나선홈(14)에 대해서, 더 리드각이 다른 나선홈을 중첩 형성함으로써, 리드가 L1(리드각 α1)의 제1 나선홈(14) 및 리드가 L2(리드각이 α2)의 제2 나선홈(15)이, 나사 방향을 나란히 하여 형성된다. 이 경우는, 제1 나선홈(14)의 제1 나사산(G1)과, 제2 나선홈(15)의 제2 나사산(G2)은, 공유되지 않고 별도가 된다.
또, 상기 실시 형태군에서는, 공통의 수나사체(10)에 대해서, 제1 암나사체(100)와 제2 암나사체(101)를 나합시키는, 소위 더블 너트 구조의 경우를 예시했지만, 본 발명은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도 28의 (A)에 나타내듯이, 제2 암나사체(101)에서의 상대측 부재가, 피체결 부재(H)가 되는 경우도 포함한다. 이 경우, 제2 암나사체(101)와 피체결 부재(H) 사이에, 상대 회전 억제 구조(30)를 형성한다.
구체적으로는, 제1 암나사체의 대신으로서, 피체결 부재(H)의 외측 단면에 환상 돌기(150)를 형성하고, 이 환상 돌기(150)에 제1 (상대측) 변위부(40)를 형성하면 좋다. 또, 제2 암나사체(101)에서의 상대측 부재는, 피체결 부재(H)로 한정되지 않고, 와셔(washer) 등의 좌체나, 수나사체의 두부(頭部)나 축부 등이어도 좋다.
예를 들면, 도 28의 (B)에 나타내듯이, 제2 암나사체(101)에서의 상대측 부재가, 와셔 등의 좌체(200)가 되는 경우도 포함하고, 제2 암나사체(101)와 좌체(200) 사이에, 상대 회전 억제 구조(30)를 형성한다. 이 경우, 특히 도시하지 않지만, 좌체(200)의 외주의 형상을, 비정원(예를 들면 육각형)이나 편심원 등으로 구성하고, 이 좌체(200)를, 비체결 부재(H)에 형성되는 요부에 수용함으로써, 좌체(200)와 비체결 부재(H)의 상대 회전을 기계적으로 방지하여 두는 것도 바람직하다.
또 상기 실시 형태군에서는, 암나사체에 상대 회전 억제 구조(30)를 형성하는 경우를 예시했지만, 본 발명은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도 29의 (A)에 나타내듯이, 수나사체(10)의 두부(頭部)(20)와 상대 부재(비체결 부재(H)) 사이에, 상대 회전 억제 구조(30)를 형성해도 좋다. 또, 예를 들면, 도 29의 (B)에 나타내듯이, 제1 암나사체(100)와 좌체(200) 사이에, 상대 회전 억제 구조(30)를 형성해도 좋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군에서는, 나사체(수나사체 및/또는 암나사체) 측에, 상대측 변위부를 받아들여 변형하는 나사체측 변형 허용부를 형성하는 경우를 예시했지만, 본 발명은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이러한 관계를 반전시킬 수도 있다. 예를 들면, 나사체(수나사체 및/또는 암나사체) 측에, 축 방향 또는 지름 방향으로 변위하는 나사체측 변위부를 형성하여 두고, 또한, 상대측 부재(예를 들면, 피체결 부재(H)나 좌체)에, 나사체측 변위부가 눌려짐(押壓)에 의해서 스스로가 변형하고, 축 방향 또는 지름 방향으로 변위하는 상대측 변위부를 작출하는 상대측 변형 허용부를 형성해도 좋다. 구체적으로는, 도 30에 나타내듯이, 수나사체(10)의 두부(頭部)(20)에, 피체결 부재(H) 측에철이 되는 환상 돌기(250)를 형성하고, 피체결 부재(H)에 환상 요부(260)를 형성한다. 수나사체(10)의 환상 돌기(250)의 외주면에는, 둘레 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축 방향 또는 지름 방향으로 변위하는 나사체측 변위부(40P)를 형성한다. 이 나사체측 변위부(40P)의 형상이나 구조는, 상기 실시 형태군으로 설명한 상대측 변위부(40)와 동등의 것을 적용할 수 있다. 또, 피체결 부재(H)에 환상 요부(260)의 내주면에는, 상대측 변형 허용부(50P)가 형성된다. 이 상대측 변형 허용부(50P)의 구조는, 상기 실시 형태군으로 설명한 나사체측 변형 허용부(50)와 동등의 것을 적용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실시 형태의 상대 회전(이동) 억제 구조는, 나사체의 상대 회전을 억제하는 경우에 대해 예시했지만, 본 발명은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나사체 이외의 제1 부재와 제2 부재를 맞물리고(係合), 양자의 상대 이동(상대 회전을 포함함)을 억제하도록 해도 좋다.
도 31에, 제3 실시 형태의 상대 이동 억제 구조(230)가 적용되는 계합 기구(係合機構)(235)를 나타낸다. 이 계합 기구(235)는, 제1 부재(200)와 제2 부재(201)를 구비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1 부재(200)에 제1 면(200A)이 형성되고, 제2 부재(201)에 제2 면(201A)이 형성되고, 양자를 대향시켜서 서로 맞닿음(當接) 내지 압접(壓接)시키면, 상대 이동 억제 구조(230)가 작출되고, 제1 부재(200)와 제2 부재(201)의 면 방향의 상대 이동이 억제된다. 따라서, 소위 미끄럼방지나 브레이크, 위치 결정 기구 등으로 이용할 수 있다. 또,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1 면(200A) 및 제2 면(201A)이, 평면이 되지만, 본 발명은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곡면이나 꺾인 면(折面), 혹은 요철면이라도 좋다.
상대 이동 억제 구조(230)는, 제1 부재(200)의 제1 면(200A)에 형성되는 제1 조부가 되는 제1 열상 돌기(列狀突起)(250)와, 제2 부재(201)의 제2 면(201A)에 형성되는, 제2 조부가 되는 제2 열상 돌기(260)를 구비한다.
제1 열상 돌기(250)는, 제1 면(200A)의 특정의 면 방향이 되는 제1 기준면 방향(N1)으로 이동함에 따라, 면 수직 방향(L1)으로 변위한다. 이 제1 열상 돌기(250)를, 상대측이 되는 제2 열상 돌기(260)를 누름으로써(押壓), 제2 열상 돌기(260)를 변형시킨다. 이 제1 열상 돌기(250)는, 제1 기준면 방향(N1)에 대해서 직각이 되는 면 방향(여기에서는 제1 조(條) 연재 방향(M1)이라고 부른다)으로 연장되는 봉상의 돌기가 되고 있다. 제1 열상 돌기(250)는, 제1 기준면 방향(N1)을 따라서 균등 간격의 병렬 상태로 복수 형성된다.
제2 열상 돌기(260)는, 제2 면(201A)의 특정의 면 방향이 되는 제2 기준면 방향(N2)으로 이동함에 따라, 면 수직 방향(L2)으로 변위한다. 이 제2 열상 돌기(260)를, 상대측이 되는 제1 열상 돌기(250)를 누름으로써(押壓), 제1 열상 돌기(250)를 변형시킨다. 이 제2 열상 돌기(260)는, 제2 기준면 방향(N2)에 대해서 직각이 되는 면 방향(여기에서는 제2 조 연재 방향(M2)이라고 부른다)으로 연장되는 봉상의 돌기가 되고 있다. 제2 열상 돌기(260)는, 제2 기준면 방향(N2)을 따라서, 균등 간격으로 병렬 상태로 복수 형성된다.
또한, 제1 부재(200)와 제2 부재(201)가 맞닿음 상태가 될 때, 제1 열상 돌기(250)가 연장되는 제1 조 연재 방향(M1)과, 제2 열상 돌기(260)가 연장되는 제2 조 연재 방향(M2)은, 서로 각도를 가지게 되고, 여기에서는 90°로 설정된다. 따라서, 제1 열상 돌기(250)와 제2 열상 돌기(260)는, 평면에서 보면, 서로의 봉우리끼리가 접촉하는 교차 부분(238)이 존재한다.
제1 열상 돌기(250)의 전부 또는 일부는, 제2 열상 돌기(260)에 눌려짐으로써(押壓), 스스로가 패이도록 변형하는 제1 변형 허용부(80)를 겸한다. 구체적으로, 이 제1 변형 허용부(80)는, 제2 열상 돌기(260)와의 교차 부분(238)에서, 도 32의 (A)에 나타내듯이, 스스로의 일부가 면 수직 방향(L1)으로 패이도록 변형하고, 이 변형에 의해서, 제1 변위부(90)를 작출한다. 따라서, 제1 변형 허용부(80)는, 제1 열상 돌기(250)의 적어도 돌단(능면(稜面))의 길이 방향을 따라서 형성되게 된다.
교차 부분(238)은, 제1 열상 돌기(250)와 제2 열상 돌기(260)가, 격자 모양으로 교차하는 부분이 된다. 따라서, 복수의 교차 부분(238)은, 규칙성을 가지고 면상에 점재(点在)한다. 구체적으로 복수의 교차 부분(238)은, 도 31의 (C)에 나타내듯이, 복수의 제1 열상 돌기(250)가 병렬하는 제1 규칙성과, 복수의 제2 열상 돌기(260)가 병렬하는 제2 규칙성의 쌍방을 만족시키는 배치가 된다. 또, 도 31의 (A)에서는, 맞물리기 전 상태를 도시하고 있으므로, 제1 변위부(40)는 작출되어 있지 않다.
제1 변형 허용부(80)는, 예를 들면, 제2 부재(201)의 제2 열상 돌기(260)와 비교하여, 유연한 재료로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이와 같이 하면, 제2 열상 돌기(260)와 간섭하는 제1 변형 허용부(80)가, 스스로 적극적으로 패임으로써 제1 변위부(90)가 작출된다. 또, 제1 변형 허용부(80)는, 제2 열상 돌기(260)와 비교하여 저강성으로 구성되어도 좋다. 이와 같이 하면, 제2 열상 돌기(260)와 간섭하는 제1 변형 허용부(80)가, 적극적으로 탄성변형 및/또는 소성변형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부재(100)와 비교하여, 제2 부재(201)의 전체를 고강도 재료로서도 좋다. 이 때, 제2 부재(201)에서는, 철에 대해서 첨가물을 부가하거나 열처리를 수행하여 강도를 높인 재료를 채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 특히 도시하지 않지만, 제2 열상 돌기(260)의 돌단면의 폭(즉, 열상 돌기의 폭)을, 제1 열상 돌기(250)의 동(同) 폭보다 크게 해도 좋다. 이와 같이 하면, 제2 열상 돌기(260)의 강성이, 제1 열상 돌기(250)보다 높아지므로, 제1 열상 돌기(250) 측을 적극적으로 패이게 할 수 있을 수 있다.
또한, 도 32는, 단일의 열상 돌기의 부분 확대도이며, 단일의 열상(띠 모양) 돌기가 되는 제1 변형 허용부(80)가, 단일의 제2 열상 돌기(260)와 교차함으로써, 단일의 패임(제1 변위부(90))이 작출되는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 그러나 실제로는, 복수의 제2 열상 돌기(260)와 교차하므로, 제1 변형 허용부(80)의 길이 방향을 따라서, 복수의 제1 변위부(90)가 간격을 두고 작출된다.
또, 도 31의 (C)에 나타내듯이, 제1 면(200A)에서, 복수의 제1 변위부(90)(교차 부분(238))가, 면상으로 넓어져서 점재한다. 따라서, 제1 부재(200)와 제2 부재(200A)의 상대 위치가 어긋났다고 해도, 제1 열상 돌기(250)가 연장되는 방향과, 제2 열상 돌기(260)가 연장되는 방향이 차이가 나는 한, 항상, 상대 이동 억제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또, 복수의 제1 변위부(90)의 점재 간격이 랜덤이어도, 그 수가 많으면, 항상 상대 이동 규제 효과를 안정되게 발휘할 수 있다.
도 32의 (A)에 나타내듯이, 제1 변위부(90)의 패임 형상을 확정하는 대향 형상(對向狀)의 제1 작출면(92A, 92B)은, 제1 열상 돌기(250)의 높이 방향 및 폭 방향으로 넓어지는(변위하는) 면이 된다. 환언하면, 제1 작출면(92A, 92B)은, 제2 열상 돌기(250)의 측면이 연장되는 방향과 일치 또는 평행 하는 평면이 된다.
또, 제1 작출면(92A, 92B)은, 제2 열상 돌기(250)의 측면과 맞물리므로(係合), 이 맞물림 방향(係合方向)(K1)에서의 제1 부재(200)와 제2 부재(201)의 면 방향의 상대 이동이 규제된다. 이 맞물림 방향(K1)(상대 이동의 규제 방향)은, 제1 작출면(92A, 92B)에 대해서 각도를 가지는 방향이 되고, 구체적으로는, 제1 작출면(92A, 92B)에 대한 면 수직 방향이 된다.
한편, 제1 변위부(90)의 상대측이 되는 제2 열상 돌기(260)는, 양 측면에서, 한 쌍의 제2 변형 부여면(260A, 260B)을 가진다.
제1 변형 허용부(80)는, 이 제2 변형 부여면(260A, 260B)에 눌릴 수 있도록 패임으로써, 제1 작출면(92A, 92B)이 작출된다. 즉, 일방의 제2 변형 부여면(260A)과 일방의 제1 작출면(92A)이 서로 맞닿고, 타방의 제2 변형 부여면(260B)과 타방의 제1 작출면(92B)이 서로 맞닿는다.
다음으로 도 33을 참조하여, 제1 변위부(90)의 이동 효과에 대해 설명한다. 또, 여기에서는 제1 변위부(90)를 평면에서 본 상태를 나타낸다. 도 33의 (A)~(C)의 천이에 나타내듯이, 제1 변위부(90)와 제2 열상 돌기(260)의 맞물린 상태로 저항하고, 억지로, 제1 부재(200)와 제2 부재(201)를, 제2 열상 돌기(260)가 연장되는 제2 조 연재 방향(M2)와 다른 방향 F1으로 상대 이동하는 경우를 가정한다. 이 때, 제1 열상 돌기(250)와 제2 열상 돌기(260)의 교차 부분에 형성되는 제1 변위부(90)가, 제1 부재(200)를 기준으로서 이동한다. 구체적으로는, 제1 열상 돌기(250)의 돌단의 길이 방향(제1 조 연재 방향(M1))을 따라서, 제1 변위부(90)(패임)가 이동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제1 열상 돌기(250)에 형성되는 패임이, 탄성변형 또는 소성변형을 반복하면서, 길이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 탄성변형 또는 소성변형의 변형 저항이, 제1 부재(200)와 제2 부재(201)의 상대 이동의 규제력이 된다.
환언하면, 제1 부재(200)와 제2 부재(201)를, F1 방향으로 상대 이동시키기 위해서는, 제1 변위부(90)를 이동시키도록 제1 변형 허용부(80)를 변형시킬 필요가 있고, 상응하는 외력(에너지)이 요구된다. 따라서, 이 변형 시의 저항에 의해서, 상대 이동이 억제된다. 물론, 상응하는 외력(에너지)을 더하면, 제1 변위부(90)의 이동이 가능해서, 필요한 때에, 상대 이동시키는 것도 가능해진다.
덧붙여서, 제1 부재(200)와 제2 부재(201)의 상대 이동 방향 F1이, 제2 조 연재 방향(M2)과 일치하는 경우, 제1 변위부(90)는, 그 상대 이동을 규제할 수 없다. 따라서, 제2 조 연재 방향(M2)을 따르는 상대 이동에서는, 후술하는 제2 변위부(60)가 규제하는 구조가 된다.
더욱 본 실시 형태에서는, 도 32의 (B)에 나타내듯이, 제1 변형 허용부(90)에 대해서 제1 변형부(90)가 작출됨과 동시에, 제2 열상 돌기(260)에도, 공통의 교차 부분(238)에서, 돌기의 높이 방향으로 패이는 제2 변위부(60)가 작출된다. 즉, 제2 부재(201)의 제2 열상 돌기(260)는, 그 전부 또는 일부가, 제2 변형 허용부(50)가 되고, 상대측 부재가 되는 제1 열상 돌기(250)로부터 눌려짐(押壓)에 의해서, 스스로의 일부가 지름 방향 내측으로 패이도록 변형하고, 이 변형에 의해서 제2 변위부(60)를 작출한다.
제2 변위부(60)의 상대측이 되는 제1 열상 돌기(250)는, 양 측면에서, 한 쌍의 제1 변형 부여면(250A, 250B)을 가진다.
한편, 제2 변형 허용부(50)는, 이 제1 변형 부여면(250A, 250B)에 눌릴 수 있도록 패임으로써, 제2 작출면(72A, 72B)을 작출한다. 즉, 일방의 제1 변형 부여면(250A)과 일방의 제2 작출면(72A)이 서로 맞닿고, 타방의 제2 변형 부여면(250B)과 타방의 제2 작출면(72B)이 서로 맞닿는다. 결과, 맞물림 방향 K2에서의 제1 부재(200)와 제2 부재(201)의 면 방향의 상대 이동이 규제된다.
다음으로 도 34를 참조하여, 제2 변위부(60)의 이동 효과에 대해 설명한다. 또, 여기에서는, 제2 변위부(60)를, 평면에서 본 상태를 나타낸다. 도 34의 (A)~(C)의 천이에 나타내듯이, 제2 변위부(60)와 제1 열상 돌기(250)의 맞물린 상태로 저항하고, 억지로, 제1 부재(200)와 제2 부재(201)를, 제1 조 연재 방향(M1)과 다른 F2 방향으로 상대 이동하는 경우를 가정한다. 이 때, 제1 열상 돌기(250)와 제2 열상 돌기(260)의 교차 부분에 형성되는 제2 변위부(60)가, 제2 부재(201)를 기준으로서 이동한다. 구체적으로는, 제2 열상 돌기(260)의 돌단의 길이 방향을 따라서, 제2 변위부(60)(패임)가 이동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제2 열상 돌기(260)에 형성되는 패임이, 탄성변형 및/또는 소성변형을 반복하면서 길이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 탄성변형 및/또는 소성변형의 변형 저항이, 제1 부재(200)와 제2 부재(201)의 상대 이동의 규제력이 된다.
환언하면, 제1 부재(200)와 제2 부재(201)를, F2 방향으로 상대 이동시키기 위해서는, 제2 변위부(60)를 이동시키도록 제2 변형 허용부(50)를 변형시킬 필요가 있고, 상응하는 외력(에너지)이 요구된다. 따라서, 이 변형 시의 저항에 의해서, 상대 이동이 억제된다. 물론, 상응하는 외력(에너지)을 더하면, 제2 변위부(60)의 이동이 가능해서, 필요한 때에, 상대 이동시키는 것도 가능해진다.
또한, 제1 부재(200)와 제2 부재(201)의 상대 이동 방향 F2이, 만일, 제1 조 연재 방향(M1)과 일치하는 경우, 제2 변위부(60)는, 그 상대 이동을 규제할 수 없다. 따라서, 제1 조 연재 방향(M1)을 따르는 상대 이동에 대해서는, 먼저 말한 제1 변위부(90)가 규제하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제1 변위부(90)와 제2 열상 돌기(260)의 맞물림에 의해서, 제1 부재(200)와 제2 부재(201)의 F1 방향(도 33 참조)의 상대 이동이 규제되고, 제2 변위부(70)와 제1 열상 돌기(250)의 맞물림에 의해서, 제1 부재(200)와 제2 부재(201)의 F2 방향(도 34 참조)의 상대 이동이 규제된다. 이러한 상승효과에 의해서, 제1 부재(200)와 제2 부재(201)는, 모든 면 방향에 대해서, 상대 이동이 억제된다.
또한, 도 32의 (A)에 나타내듯이, 제1 부재(200)와 제2 부재(201)가 맞물리고 있는 상태에서, 제2 열상 돌기(260)의 돌단연과, 제1 부재(200)의 제1 면(200A)(이는, 제1 열상 돌기(250)의 기저면이라고 정의할 수 있음) 사이에는, 여유 틈새 X1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제1 열상 돌기(250)에 작출되는 제1 변위부(90)의 깊이는, 제1 열상 돌기(250)의 높이보다 작아진다. 이와 같이 하면, 제1 열상 돌기(250)의 교차 부분(238)에서, 제1 열상 돌기(250)의 기단측에, 주위도 개방되는 탄성변형 영역을 남기는 것이 가능해지고, 제1 부재(200)와 제2 부재(201)의 서로의 눌려진(押壓) 상태를 해제했을 때에, 일단, 작출된 제1 변위부(90)의 전부 또는 일부를, 작출전의 원래 상태로 복원시키기 쉬워진다.
이와 같이, 도 32의 (B)에 나타내듯이, 제1 부재(200)와 제2 부재(201)가 맞물리고 있는 상태에서, 제1 열상 돌기(250)의 돌단연과, 제2 부재(201)의 제2 면(201A)(이는, 제2 열상 돌기(260)의 기저면이라고 정의할 수 있음) 사이에는, 여유 틈새 X2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제2 열상 돌기(260)에 작출되는 제2 변위부(60)의 깊이는, 제2 열상 돌기(260)의 높이보다 작아진다. 이와 같이 하면, 제2 열상 돌기(260)의 교차 부분(238)에서, 제2 열상 돌기(260)의 기단측에, 주위도 개방되는 탄성변형 영역을 남기는 것이 가능해지고, 제1 부재(200)와 제2 부재(201)의 서로의 눌려진(押壓) 상태를 해제했을 때에, 일단, 작출된 제2 변위부(60)의 전부 또는 일부를, 작출전의 원래 상태로 복원시키기 쉬워진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도 35의 (A)에 나타내듯이, 제1 및 제2 열상 돌기(250, 260)에서의, 길이 방향으로 직교하는 단면 형상이 사각형(方形)이 되는 경우를 예시했지만, 본 발명은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대략 사다리꼴(台形) 형상의 단면이라도 좋다. 이와 같이, 돌기의 돌단을 비교적 넓은 평면으로 함으로써, 면압을 균등하게 분산시킬 수 있고, 이에 의해서 탄성변형량을 늘리고, 소성변형량을 줄이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고, 제1 부재(200) 및 제2 부재(201)를 반복하여 이용 가능해진다. 한편, 예를 들면, 도 35의 (B)에 나타내듯이, 돌단이 원호상이 되는 단면 형상이라도 좋고, 도 35의 (C)에 나타내듯이, 선단이 둥근 각이 되는 삼각형이어도 좋다. 또, 도 35의 (D)에 나타내듯이, 돌기의 돌단을 예리한 각 모양(角狀)·톱날 모양(鋸刃狀)의 단면 형상으로 하고, 면압을 불균등하게 받도록 함으로써, 돌단의 편하중량을 증대시킴으로써 변형량을 증폭시키고, 이에 의해서 선단을 적극적으로 소성변형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또,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복수의 제1 변위부(90)에 형성되는 제1 작출면(92A, 92B)은, 모두, 동일 방향으로 연장되는 경우를 예시했지만, 본 발명은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도 36에 나타내듯이, 제2 조부가 되는 제2 열상 돌기(260)의 측면이, 서로 다른 복수의 방향으로 연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도 36의 (A)에 나타내듯이, 복수의 제2 열상 돌기(260)의 복수 종류의 연재 방향(M2-A), M2-B을, 서로 다르게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면, 제2 열상 돌기(260)의 압압력(押壓力)에 의해, 제1 열상 돌기(250)에 작출되는 복수의 제1 작출면(92A, 92B)이, 서로 다른 방향으로 연장되는 구조가 된다. 결과, 제2 열상 돌기(260)의 일방의 연재 방향(M2-A)을 따라서, 제1 부재(200)와 제2 부재(201)를 상대 이동시키려고 하면, 타방의 연재 방향(M2-B)으로 연장되는 제1 작출면(92A, 92B)이, 제2 열상 돌기(260)와 맞물리고, 상대 이동을 규제한다. 또, 제2 열상 돌기(260)의 타방의 연재 방향(M2-B)을 따라서, 제1 부재(200)와 제2 부재(201)를 상대 이동 시키려고 하면, 일방의 연재 방향(M2-A)으로 연장되는 제1 작출면(92A, 92B)이, 제2 열상 돌기(260)와 맞물리고, 상대 이동을 규제한다. 따라서, 만일, 제2 열상 돌기(260)를 적극적으로 변형시켜서 제2 변위부(60)를 작출하지 않아도, 제1 부재(200)와 제2 부재(201)의 모든 방향의 상대 이동을 규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이 경우, 도 36의 (B)에 나타내듯이, 단일 또는 복수의 제2 열상 돌기(260)를 사행시켜도 좋고, 도 36의 (C)에 나타내듯이, 복수의 제2 열상 돌기(260)의 서로의 연재 방향을 다르게 해도 좋고, 도 36의 (D)에 나타내듯이, 단일 또는 복수의 제2 열상 돌기(260)의 띠 폭을 연재 방향을 따라서 확대·축소시킴으로써, 그 측면이 서로 다른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해도 좋다.
다음으로, 도 37을 참조하여, 상기 제3 실시 형태의 계합 기구(235)의 변형예에 대해 설명한다. 여기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제1 부재(200)에 형성되는 제1 열상 돌기(250)의 능선(연재 방향)과, 제2 부재(201)에 형성되는 제2 열상 돌기(260)의 능선(연재 방향)만을 표시한다. 또, 제1 부재(200)는, 제1 면(200A) 측으로부터 본 정면도를 나타내고, 제2 부재(201)는, 제2 면(201A)의 반대측의 면으로부터 본 배면도를 계합 기구(235)를 나타낸다. 따라서, 제1 부재(200)와 제2 부재(201)를 그대로 겹침으로써, 계합 기구(235)가 된다.
도 37의 (A)에 나타내는 계합 기구(235)의 제1 부재(200)는, 복수의 제1 열상 돌기(250)가, 길이 방향으로 소망한 간격을 두고 직렬 상태로 배설된다. 또, 복수의 제1 열상 돌기(250)는, 폭 방향으로도 병렬 상태로 배설된다. 제2 부재(201)도 이와 같이, 복수의 제2 열상 돌기(260)가, 길이 방향으로 소망한 간격을 두고 직렬 상태로 배설된다. 또, 복수의 제2 열상 돌기(260)는, 폭 방향으로도 병렬 상태로 배설된다.
제1 부재(200)의 제1 열상 돌기(250)의 연재 방향과, 제2 부재(201)의 제2 열상 돌기(260)의 연재 방향은 90°의 상대 차이를 가진다. 또, 제1 부재(200)를 90° 회전시키면, 제2 부재(201) 그 자체가 되므로, 서로 동일 모재를 채용할 수 있다. 이 계합 기구(235)에서도, 제1 열상 돌기(250)와 제2 열상 돌기(260)의 교차 부분에서, 제1 변위부와 제2 변위부가 형성되고, 양자의 상대 이동이 규제된다.
도 37의 (B)에 나타내는 계합 기구(235)의 제1 부재(200)는, 복수의 제1 열상 돌기(250)가, 폭 방향으로 소망한 간격을 두고 병렬 상태로 배설된다. 각 제1 열상 돌기(250)는 직선 모양으로 연장된다. 제2 부재(201)는, 복수의 제2 열상 돌기(260)가, 폭 방향으로 소망한 간격을 두고 병렬 상태로 배설된다. 각 제2 열상 돌기(260)는, 지그재그 모양(사행상)으로 연장된다.
제1 부재(200)의 제1 열상 돌기(250)의 연재 방향과, 제2 부재(201)의 제2 열상 돌기(260)의 연재 방향은 소망한 상대 차이를 가진다. 이 계합 기구(235)에서는, 제1 열상 돌기(250)와 제2 열상 돌기(260)의 교차 부분에서, 제1 변위부와 제2 변위부가 형성되고, 양자의 상대 이동이 규제된다. 또, 제2 열상 돌기(260)가 지그재그 모양(사행상)으로 연장됨으로써, 제1 변위부의 형상이 복수 종류가 된다.
도 37의 (C)에 나타내는 계합 기구(235)의 제1 부재(200)는, 복수의 제1 열상 돌기(250)가, 폭 방향으로 소망한 간격을 두고 병렬 상태로 배설된다. 각 제1 열상 돌기(250)는 직선 모양으로 연장된다. 제2 부재(201)는, 정원의 환상으로 연장되는 제2 열상 돌기(260)를 구비한다. 복수의 제2 열상 돌기(260)는, 서로 직경이 다른 사이즈가 되고, 동심원 상태로 배설된다.
제1 부재(200)의 제1 열상 돌기(250)의 연재 방향과, 제2 부재(201)의 제2 열상 돌기(260)의 연재 방향은 각종 상대 차이를 가진다. 이 계합 기구(235)에서는, 제1 열상 돌기(250)와 제2 열상 돌기(260)의 교차 부분에서, 제1 변위부와 제2 변위부가 형성되고, 양자의 상대 이동이 규제된다. 제2 열상 돌기(260)가 환상으로 연장됨으로써, 제1 변위부의 형상도 복수 종류가 된다.
다음으로, 도 38을 참조하여, 상기 제3 실시 형태의 상대 이동 억제 구조(230)의 또 다른 변형예에 대해 설명한다. 도 38의 (A)에 나타내듯이, 상대 이동 억제 구조(230)는, 제1 부재(200)의 제1 조부(제1 열상 돌기(250))와, 제2 부재(201)의 제2 조부(제2 열상 돌기(260))의 간섭 거리(W)(중복량)를 규제하는 스토퍼부(제1 및 제2 스토퍼(295, 296))를 가진다.
도 39의 (A)에 나타내듯이, 제1 스토퍼(295)는, 제1 부재(200)의 제1 면(200A)과, 제2 부재(201)의 제2 면(201A) 사이에 개재되는 부재이며, 제1 부재(200)와 제2 부재(201)를 접근시킬 때에, 제1 스토퍼(295)가 방해 부재가 되고, 제1 면(200A)과 제2 열상 돌기(260)의 돌단면 사이, 및, 제2 면(201A)과 제1 열상 돌기(250)의 돌단면 사이에, 각각, 여유 틈새 X1를 확보함과 동시에, 간섭 거리(W)를 확정한다. 또, 제2 스토퍼(296)도 완전히 동일한 구조가 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1 스토퍼(295)는, 제1 부재(200) 측에 형성되는 스토퍼편(295A)과, 제2 부재(201) 측에 형성되는 스토퍼편(295B)를 구비하고 있고, 여기에서는, 원반 모양(圓盤狀) 또는 원주 모양(圓柱狀)의 돌기가 된다. 따라서, 제1 스토퍼(295)의 한 쌍의 스토퍼편(295A, 295B)을 서로 맞닿게 함으로써, 간섭 거리(W)를 규제한다.
도 38의 (A)로 돌아오고, 제2 스토퍼(296)는, 제1 부재(200) 측에 형성되는 스토퍼편(296A)과, 제2 부재(201) 측에 형성되는 스토퍼편(296B)을 구비하고 있고, 여기에서는, 원반 모양 또는 원주 모양의 돌기가 된다. 제2 스토퍼(296)의 한 쌍의 스토퍼편(296A, 296B)을 서로 맞닿게 함으로써, 간섭 거리(W)를 확정한다.
이와 같이, 제1 및 제2 스토퍼(295, 296)를 설치하면, 제1 부재(200)와 제2 부재(201) 사이에 작용하는 압압력(押壓力)의 여하에 따르지 않고, 항상, 간섭 거리(W)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상대 이동 억제 구조(230)에서의 상대 이동의 억제력을 안정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제1 열상 돌기(250) 및 제2 열상 돌기(260)의 교차 부분에서, 각 돌기의 기단측에 탄성변형 영역(여유 틈새 X1, X2)를 남기는 것이 가능해지고, 제1 부재(200)와 제2 부재(201)의 서로의 눌려진(押壓) 상태를 해제했을 때에, 일단, 작출된 제1 및 제2 변위부의 전부 또는 일부를, 작출전의 원래 상태로 복원시킬 수 있다.
도 38의 (A)로 돌아오고, 제1 스토퍼(295)는, 가상점(C)으로부터 동일한 거리이고, 또한, 가상점(C)을 중심으로 하는 90°의 위상 차이를 가지도록 2개소에 형성된다. 제2 스토퍼(296)는, 가상점(C)으로부터 동일한 거리이고, 또한, 가상점(C)을 중심으로 하는 90°의 위상 차이를 가지도록 2개소에 형성된다. 더욱, 제2 스토퍼(296)는, 가상점(C)을 기준으로서 제1 스토퍼(295)의 회전 대칭이 되는 장소에 위치한다. 이 회전 대칭의 위상 차이는, 여기에서는 180°로 설정되어 있다.
또한, 여기에서는, 제1 부재(200)와 제2 부재(201)의 쌍방으로, 스토퍼편을 형성하는 경우를 예시하고 있지만, 도 39의 (B)에 나타내듯이, 제1 부재(200) 및 제2 부재(201)의 일방측에만 스토퍼편을 형성하고, 타방측은, 평면 상태(즉, 열상 돌기가 존재하지 않는 제1 및 제2 면(200A, 201A) 상태)라고 해도 좋다. 더욱, 도 40에 나타내듯이, 제1 부재(200)와 제2 부재(201)의 쌍방으로 관통공(202A, 202B)을 형성하고, 예를 들면, 이 관통공(202A, 202B)에 동시에 삽입되는 수나사체(297)와, 이 수나사체(297)와 나합하는 암나사체(298)에 의해서, 제1 부재(200)와 제2 부재(201)를 체결할 수도 있다. 이 구조에 의하면, 상대 회전 억제 구조에 의해서, 제1 부재(200)와 제2 부재(201)의 면 방향으로 상대 이동이 미리 규제되므로, 수나사체(297)에 전단력이 작용하지 않고 끝난다고 하는 이점이 있다. 또, 이 수나사체(297)와 암나사체(298)는, 제1 부재(200)와 제2 부재(201)에 대해서, 압압력(押壓力)을 부여하는 부세 기구(付勢機構)로서 기능시킬 수 있다.
도 38의 (A)에서는, 가상 정방형의 4 모서리의 각각 스토퍼부를 배치하는 경우를 예시한다. 이와 같이 하면, 제1 부재(200)와 제2 부재(201)가 동일 형상이 되므로, 동일한 모재로 구성할 수 있다. 따라서, 모재를 쌍으로 준비하고, 열상 돌기가 격자 모양으로 교차하도록 대향시키면, 계합 기구(235)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스토퍼부의 배치는, 정방형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도 38의 (B)에 나타내듯이, 가상점(C)으로부터 등거리이며, 또한, 가상점(C)을 중심으로 서로 45°의 위상 차이로, 합계 8곳에 스토퍼부(294)를 배치해도 좋다. 공통의 모재를 쌍으로 준비함으로써, 일방을 제1 부재(200)로 하고, 제2 부재(201)로서, 계합 기구(235)를 얻을 수 있다. 이 때, 제1 부재(200)의 제1 열상 돌기(250)와, 제2 부재(201)의 제2 열상 돌기(260)가 교차하는 각도는, 서로의 스토퍼편이 맞닿음 가능한 45° 간격의 3종류의 위상 차이(45°, 90°, 135°) 중에서, 임의로 선택하면 좋다.
또한, 도 41의 (A)에 나타내는 상대 이동 억제 구조(230)와 같이, 예를 들면, 제1 부재(200)에서, 가상점(C)으로부터 등거리이며, 또한, 가상점(C)을 중심으로 서로 180°의 위상 차이가 되는 장소에, 제1 스토퍼(295)(스토퍼편(295A)) 및 제2 스토퍼(296)(스토퍼편(296A))를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 제1 스토퍼(295)(스토퍼편(295A)) 및 제2 스토퍼(296)(스토퍼편(296A))의 각 위치는, 각각, 제1 열상 돌기(250)의 연재 방향(M1)에 대해서 45°가 되도록 설정한다.
다른 관점에서 설명하면, 제1 스토퍼(295)(스토퍼편(295A)) 및 제2 스토퍼(296)(스토퍼편(296A))를 묶는 가상 선분 T1RHK, 제1 열상 돌기(250)의 연재 방향(M1)의 각도 차이가, 45°가 되도록 설정한다.
이와 같이, 제2 부재(201)에서도, 가상점(C)으로부터 등거리이며, 또한, 가상점(C)을 중심으로 서로 180°의 위상 차이가 되는 장소에, 제1 스토퍼(295)(스토퍼편(295B)) 및 제2 스토퍼(296)(스토퍼편(296B))를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 제1 스토퍼(295)(스토퍼편(295B)) 및 제2 스토퍼(296)(스토퍼편(296B))의 위상은, 각각, 제2 열상 돌기(260)의 연재 방향(M2)에 대해서 45°가 되도록 설정한다.
다른 관점에서 설명하면, 제1 스토퍼(295)(스토퍼편(295B)) 및 제2 스토퍼(296)(스토퍼편(296B))를 묶는 가상 선분 T2와, 제2 열상 돌기(260)의 연재 방향(M2)의 각도 차이가, 45°가 되도록 설정한다.
이와 같이 하면, 제1 스토퍼(295) 및 제2 스토퍼(296)가 적절히 존재하도록 위치 결정하면서, 제1 부재(200)와 제2 부재(201)를 대향시키면, 반드시, 제1 열상 돌기(250)의 길이 방향과 제2 열상 돌기(260)의 길이 방향이 90°의 각도를 가지는 결과가 되어, 격자 모양으로 교차한다. 결과, 제1 부재(200)와 제2 부재(201)의 설치 미스를 억제할 수 있다. 더욱, 제1 부재(200)의 모재와, 제2 부재(201)의 모재를 일치시키는 것도 가능하므로, 한 쌍의 모재를 준비하는 것만으로, 제1 및 제2 부재(200, 201)를 준비 가능해지고, 상대 이동 억제 구조(230)를 간단하게 구축할 수 있다.
또한, 도 41의 (A)에서는, 제1 스토퍼(295) 및 제2 스토퍼(296)를 묶는 가상 선분 T1, T2과, 제1 및 제2 열상 돌기(250, 260)의 연재 방향(M1, M2)의 각도 차이가 45°가 되도록 설정하는 경우를 예시했지만, 본 발명은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바람직하게는, 각도 차이가 20° 이상 또한 70° 이하로 설정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각도 차이가 30° 이상 또한 60° 이하로 설정한다. 예를 들면, 도 41의 (B)에는, 각도 차이를 60°으로 설정하는 경우를 나타낸다. 이 경우, 제1 스토퍼(295) 및 제2 스토퍼(296)가 적절히 존재하도록 위치 결정하면서, 제1 부재(200)와 제2 부재(201)를 대향시키면, 반드시, 제1 열상 돌기(250)의 길이 방향과 제2 열상 돌기(260)의 길이 방향이 60°의 각도를 가지는 결과가 되어, 격자 모양으로 교차한다. 제1 부재(200)와 제2 부재(201)를 공통 모재로 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도 42 내지도 44를 참조하여, 제4 실시 형태에 따른 나사 체결 기구(301)에 대해 설명한다. 이 나사 체결 기구(301)는, 제1 암나사체(400)와, 제2 암나사체(401)와, 수나사체(310)(도 43 참조)와, 클램프 장치(500)를 구비한다. 또, 제1 암나사체(400)와 클램프 장치(500) 사이에는, 제1 상대 이동 억제 구조(330A)가 형성되고, 제2 암나사체(401)와 클램프 장치(500) 사이에는, 제2 상대 이동 억제 구조(330B)가 형성된다. 또,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1 암나사체(400)와, 이 축 방향 외측에 인접하는 제2 암나사체(401)가, 소위 더블 너트 구조가 되고, 서로의 풀림을 방지한다. 이 나사 부분에 관한 기본 구조는, 제1 실시 형태와 동일 또는 유사하므로, 여기서의 설명을 생략하고, 제1 및 제2 상대 이동 억제 구조(330A, 330B)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제1 암나사체(400)에서의, 제2 암나사체측의 단면에는, 제1 환상부(450)가 일체적으로 돌설된다. 또, 제2 암나사체(401)의 제1 암나사체측의 단면에는, 제2 환상부(460)가 일체적으로 형성된다.
제1 환상부(450)의 외주면에는, 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열상 돌기(455)가, 둘레 방향으로 등간격으로 복수 형성된다. 또, 제1 환상부(450)의 외주면과, 제1 암나사체(400)의 경계에는, 둘레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환상홈(제1 굴곡홈)(452)이 형성된다. 제2 환상부(460)의 외주면에는, 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열상 돌기(465)가, 둘레 방향으로 등간격으로 복수 형성된다. 또, 제2 환상부(460)의 외주면과, 제2 암나사체(401)의 경계에는, 둘레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환상홈(제2 굴곡홈)(462)이 형성된다.
클램프 장치(500)는, 반원통 모양의 제1 클램프체(510)와, 반원통 모양의 제2 클램프체(520)를 구비하고 있고, 제1 클램프체(510)의 둘레 방향의 일방단과, 제2 클램프체(520)의 둘레 방향의 타방단이, 힌지(530)에 의해서 서로 열림 가능하게(開動自在) 연결되고 있다. 또, 제1 클램프체(510)의 둘레 방향의 타단과, 제2 클램프체(520)의 둘레 방향의 타단에는, 계합 기구(540)가 설치된다. 물론, 힌지(530)는 필수가 아니고, 제1 및 제2 환상부를 반경 방향 내향으로 누를(押壓) 수 있으면 좋고, 특히 힌지(530)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구체적으로 계합 기구(540)는, 제1 클램프체(510)의 타방단에 열림 가능하게(開動自在) 배설되는 봉상체(542)와, 봉상체(542)의 선단의 수나사부와 나합하는 너트(544)와, 제2 클램프체(520)의 타방단에 형성되어 봉상체(542)의 일부를 수용 가능한 홈(546)과, 제2 클램프체(520)의 타방단에 형성되고, 홈(546)에 수용되는 봉상체(542)의 선단의 너트(544)와 축 방향으로 맞물림 가능한 좌부(548)를 가진다. 따라서, 제1 클램프체(510)와 제2 클램프체(520)를 닫고(대향시키고), 전체를 원통 형상으로 하면, 이 원통의 내부에 제1 및 제2 환상부(450, 460)를 수용 가능해진다. 계합 기구(540)에 의해서, 제1 클램프체(510)와 제2 클램프체(520)의 타방단 끼리를 연결하고, 너트(544)를 단단히 조이면, 제1 및 제2 환상부(450, 460)에 대해서, 클램프 장치(500)의 장착이 완료된다. 이에 의해, 제1 및 제2 클램프체(510, 520)를, 제1 및 제2 환상부(450, 460)에 대해서 누를(押壓) 수 있다. 즉, 계합 기구(540)는, 압압력(押壓力)을 발휘하는 부세 기구(付勢機構)로서 기능시킬 수 있다.
한편, 계합 기구(540)를 해제하고, 힌지(530)를 이용하여 제1 클램프체(510)와 제2 클램프체(520)를 개방하면, 클램프 장치(500) 전체를, 제1 및 제2 환상부(450, 460)로부터 이탈할 수 있다. 즉, 클램프 장치(500) 전체는, 착탈 가능하게(着脫自在) 되고 있다.
도 43의 (B)에 나타내듯이, 제1 클램프체(510)의 내주면에는, 제1 및 제2 환상부(450, 460)를 정리하여 수용 가능한 제1 수용 요부(511)가, 둘레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이 제1 수용 요부(511)의 축 방향의 양측에는, 지름 방향 내측으로 볼록한 한 쌍의 측벽(511A, 511B)이 형성된다. 일방의 측벽(511A)은, 제1 환상홈(제1 굴곡홈)(452)에 삽입되고, 타방의 측벽(511B)은, 제2 환상홈(제2 굴곡홈)(462)에 삽입된다.
제1 수용 요부(511)의 내주면에는, 둘레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클램프측 열상 돌기(512)가, 축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6개 형성된다. 이 중의 3 개는, 제1 환상부(450)의 제1 열상 돌기(455)와 교차하고, 나머지 3 개는, 제2 환상부(460)의 제2 열상 돌기(465)와 교차한다.
이와 같이, 제2 클램프체(520)의 내주면에는, 제1 및 제2 환상부(450, 460)를 정리하여 수용 가능한 제2 수용 요부(521)가, 둘레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이 제2 수용 요부(521)의 축 방향의 양측에는, 지름 방향 내측으로 볼록한 한 쌍의 측벽(521A, 521B)이 형성된다. 일방의 측벽(521A)은, 제1 환상홈(제1 굴곡홈)(452)에 삽입되고, 타방의 측벽(521B)은, 제2 환상홈(제2 굴곡홈)(462)에 삽입된다.
제2 수용 요부(521)의 내주면에는, 둘레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클램프측 열상 돌기(522)가, 축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6개 형성된다. 이 중의 3 개는, 제1 환상부(450)의 제1 열상 돌기(455)와 교차하고, 나머지 3 개는, 제2 환상부(460)의 제2 열상 돌기(465)와 교차한다.
제1 상대 이동 억제 구조(330A)는, 제1 환상부(450)의 제1 열상 돌기(455)와, 제1 열상 돌기(455)와 교차할 수 있는 각 3 개의 제1 및 제2 클램프측 열상 돌기(512, 522)에 의해서 구성된다. 즉, 제1 열상 돌기(455)가, 제1 상대 이동 억제 구조(330A)에서의 제1 조부에 상당하고, 제1 및 제2 클램프측 열상 돌기(512, 522)가, 제1 상대 이동 억제 구조(330A)에서의 제2 조부에 상당한다. 따라서, 도 44의 (A), (B)에 나타내듯이, 이 교차 부분에서는, 클램프 장치(500)에 의한 압압력(押壓力)에 의해서, 제1 조부(제1 열상 돌기(455))가 변형하여 제1 변위부가 작출되고, 제2 조부(제1 및 제2 클램프측 열상 돌기(512, 522))가 변형하여 제2 변위부가 작출된다. 결과, 클램프 장치(500)와 제1 암나사체(400)의 상대 회전이 억제된다. 또, 상대 회전이 억제되는 구조는, 이미, 제3 실시 형태 등에서 상세하게 설명하고 있으므로, 생략한다.
제2 상대 이동 억제 구조(330B)는, 제2 환상부(460)의 제2 열상 돌기(465)와, 제2 열상 돌기(465)와 교차할 수 있는 각 3 개의 제1 및 제2 클램프측 열상 돌기(512, 522)에 의해서 구성된다. 즉, 제2 열상 돌기(465)가, 제2 상대 이동 억제 구조(330B)에서의 제1 조부에 상당하고, 제1 및 제2 클램프측 열상 돌기(512, 522)가, 제2 상대 이동 억제 구조(330B)에서의 제2 조부에 상당한다. 따라서, 도 44의 (A), (B)에 나타내듯이, 이 교차 부분에서는, 클램프 장치(500)에 의한 압압력(押壓力)에 의해서, 제1 조부(제2 열상 돌기(465))가 변형하여 제1 변위부가 작출되고, 제2 조부(제1 및 제2 클램프측 열상 돌기(512, 522))가 변형하여 제2 변위부가 작출된다. 결과, 클램프 장치(500)와 제2 암나사체(401)의 상대 회전이 억제된다. 또, 상대 회전이 억제되는 구조는, 이미, 제3 실시 형태 등에서 상세하게 설명하고 있으므로, 생략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제4 실시 형태에서는, 클램프 장치(500)를 개재시킴으로써, 제1 암나사체(400)와 제2 암나사체(401)의 상대 회전이, 실질적으로 억제되는 구조가 되고 있다. 이 구조가 적용되는 상대 이동 억제체를, 도 44의 (C)에 나타내듯이 개념화하면, 상대 이동을 억제하고 싶은 규제 대상 부재(A)(제1 암나사체(400))와 규제 대상 부재(B)(제2 암나사체(401))가 존재하는 경우에, 그 사이에 개재 부재(K)(클램프 장치(500))를 개재시키면 좋다. 규제 대상 부재(A)와 개재 부재(K) 사이, 및, 규제 대상 부재(B)와 개재 부재(K) 사이의 쌍방으로, 각각 상대 이동 억제 구조(D)를 구축한다. 이 때, 클램프 장치(500)의 계합 기구(540)와 같이, 개재 부재(K)와, 규제 대상 부재(A)와 규제 대상 부재(B) 사이에 압압력(押壓力)을 일으키게 하는 부세 수단(付勢手段)(P)을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개념은, 제3 실시 형태에도 적용 가능하다.
또한, 본 제4 실시 형태에서는, 클램프 장치(500)의 클램프측 열상 돌기가 둘레 방향으로 원호상으로 연장되고 있고, 제1 및 제2 환상부(450, 460)에 형성되는 제1 및 제2 열상 돌기(455, 465)가, 축 방향으로 직선 모양으로 연장되는 경우를 예시했지만, 본 발명은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클램프측 열상 돌기가 축 방향으로 직선 모양으로 연장되고, 제1 및/또는 제2 열상 돌기(455, 465)가, 둘레 방향으로 원호상으로 연장되도록 해도 좋다.
다음으로, 도 45를 참조하여, 제4 실시 형태의 변형예가 되는 나사 체결 기구(301)에 대해 설명한다. 이 나사 체결 기구(301)는, 암나사체(400)와, 수나사체(310)와, 클램프 장치(500)를 구비한다. 암나사체(400)와 클램프 장치(500) 사이에는, 제1 상대 이동 억제 구조(330A)가 형성되고, 수나사체(310)와 클램프 장치(500) 사이에는, 제2 상대 이동 억제 구조(330B)가 형성된다.
암나사체(400)의 단면에는, 환상부(450)가 일체적으로 돌설된다. 환상부(450)의 외주면에는, 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열상 돌기(455)가, 둘레 방향으로 등간격으로 복수 형성된다. 또, 환상부(450)의 외주면과, 암나사체(400)의 경계에는, 둘레 방향으로 연장되는 환상홈(굴곡홈)(452)이 형성된다. 물론, 환상홈(452)은 필수는 아니다.
클램프 장치(500)는, 반원통 모양의 제1 클램프체(510)와, 반원통 모양의 제2 클램프체(520)를 구비하고 있고, 제1 클램프체(510)의 둘레 방향의 일방단과, 제2 클램프체(520)의 둘레 방향의 일방단이, 힌지(530)에 의해서 서로 열림 가능하게(開動自在) 연결되고 있다. 또, 제1 클램프체(510)의 둘레 방향의 타단과, 제2 클램프체(520)의 둘레 방향의 타단에는 계합 기구(540)가 설치된다.
도 45의 (A)에 나타내듯이, 제1 클램프체(510)의 내주에는, 환상부(450)의 외주와 접근 가능한 제1 암나사측 내주면(510A)과, 수나사체(310)의 외주와 접근 가능한 제1 수나사측 내주면(510B)이 형성된다. 제1 암나사측 내주면(510A)의 내경과 비교하여, 제1 수나사측 내주면(510B)의 내경이 작아진다.
제1 암나사측 내주면(510A)에는, 둘레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암나사 대응 열상 돌기(512)가, 축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3 개 형성된다. 이 제1 암나사 대응 열상 돌기(512)는, 환상부(450)의 열상 돌기(455)와 교차한다.
한편, 도 45의 (B)에 나타내듯이, 제1 수나사측 내주면(510B)에는, 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수나사 대응 열상 돌기(513)가, 둘레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복수 형성된다. 이 제1 수나사 대응 열상 돌기(513)는, 수나사체(310)의 나사산이 되는 나선 모양(314)와 교차한다.
도 45의 (A)에 나타내듯이, 제2 클램프체(520)의 내주에는, 환상부(450)의 외주와 접근 가능한 제2 암나사측 내주면(520A)과, 수나사체(310)의 외주와 접근 가능한 제2 수나사측 내주면(520B)이 형성된다. 제2 암나사측 내주면(520A)의 내경과 비교하여, 제2 수나사측 내주면(520B)의 내경이 작아진다.
제2 암나사측 내주면(520A)에는, 둘레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암나사 대응 열상 돌기(522)가, 축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3 개 형성된다. 이 제2 암나사 대응 열상 돌기(522)는, 환상 돌기(450)의 열상 돌기(455)와 교차한다.
한편, 도 45의 (B)에 나타내듯이, 제2 수나사측 내주면(520B)에는, 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수나사 대응 열상 돌기(523)가, 둘레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복수 형성된다. 이 제2 수나사 대응 열상 돌기(523)는, 수나사체(310)의 나사산이 되는 나선조(314)와 교차한다.
제1 상대 이동 억제 구조(330A)는, 환상부(450)의 열상 돌기(455)와, 이 열상 돌기(455)와 교차할 수 있는 3 개의 암나사 대응 열상 돌기(512, 522)에 의해서 구성된다. 즉, 열상 돌기(455)가, 제1 상대 이동 억제 구조(330A)에서의 제1 조부에 상당하고, 제1 및 제2 암나사 대응측 열상 돌기(512, 522)가, 제1 상대 이동 억제 구조(330A)에서의 제2 조부에 상당한다. 따라서, 이 교차 부분에서는, 클램프 장치(500)에 의한 압압력(押壓力)에 의해서, 제1 조부가 변형하여 제1 변위부가 작출되고, 제2 조부가 변형하여 제2 변위부가 작출된다. 결과, 클램프 장치(500)와 암나사체(400)의 상대 회전이 억제된다.
제2 상대 이동 억제 구조(330B)는, 수나사체(310)의 나선조(열상 돌기)(314)와, 나선조(314)와 교차할 수 있는 수나사 대응 열상 돌기(513, 523)에 의해서 구성된다. 즉, 나선조(314)가, 제2 상대 이동 억제 구조(330B)에서의 제1 조부에 상당하고, 제1 및 제2 수나사 대응 열상 돌기(513, 523)가, 제2 상대 이동 억제 구조(330B)에서의 제2 조부에 상당한다. 따라서, 이 교차 부분에서는, 클램프 장치(500)에 의한 압압력(押壓力)에 의해서, 제1 조부가 변형하여 제1 변위부가 작출되고, 제2 조부가 변형하여 제2 변위부가 작출된다. 결과, 클램프 장치(500)와 수나사체(310)의 상대 회전이 억제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변형예에서는, 클램프 장치(500)를 개재시킴으로써, 암나사체(400)와 수나사체(310)의 상대 회전이, 실질적으로 억제되는 구조가 되고 있다.
상기 변형예에서는, 수나사체(310)와, 암나사체(400)의 상대 회전을, 클램프 장치(500)에 의해서 억제하는 경우를 예시했지만, 본 발명은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도 46의 (A)에 나타내듯이, 암나사체(400)에 대해서, 직접, 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수나사 대응 열상 돌기(413)를 형성해도 좋다. 이 수나사 대응 열상 돌기(413)는, 수나사체(310)의 나선조(열상 돌기)(314)와 교차하고, 상대 이동 억제 구조를 창출한다. 또, 수나사체(310)와 암나사체(400)를 나합시킬 때는, 상대 이동 억제 구조의 억제력보다 강한 힘으로, 상대 회전시킴으로써, 수나사 대응 열상 돌기(413)와 나선조(열상 돌기)(314)의 교차 부분을 탄성변형시키면서 이동시키면 좋다.
또, 수나사체(310)의 나선조(314)를 이용하지 않고, 도 46의 (B)에 나타내듯이, 수나사체(310)에 대해서, 전용의 암나사 대응 열상 돌기(315)를 형성하고, 암나사체(400)의 수나사 대응 열상 돌기(413)와 교차시켜도 좋다. 각 열상 돌기의 연재 방향은 적당 설정할 수 있지만, 예를 들면, 수나사체(310)의 암나사 대응 열상 돌기(315)를 축 방향으로 연재시키고, 암나사체(400)의 수나사 대응 열상 돌기(413)를 둘레 방향으로 연재시켜도 좋다.
다음으로, 도 47 내지 도 52를 참조하여, 제5 실시 형태에 따른 상대 회전 억제 구조(730)가 적용되는 나사 체결 기구(601)에 대해 설명한다. 이 나사 체결 기구(601)는, 제1 실시 형태로 나타낸 나사 체결 기구(도 22, 도 26, 도 28, 도 29 등에서 나타낸 변형예)와, 일부가 유사하므로, 그 유사 부분·유사 부재에 관해서는, 설명 및 도시 중의 부호 아래 2자리수를 일치시킴으로써, 상세 설명을 생략하는 경우가 있다.
도 47에 나타내듯이, 이 나사 체결 기구(601)는, 수나사체(701)와, 이 수나사체(701)의 두부(頭部)(793)의 좌면(703A)에 대향하는 와셔가 되는 좌체(800)를 구비하고 있고, 피체결 부재(H)에 체결된다. 수나사체(701)에서의 상대측 부재가 좌체(800)가 되고, 좌체(800)에서의 상대측 부재가, 수나사체(701)와 피체결 부재(H)가 된다. 수나사체(701)와 좌체(800) 사이에는, 제1 상대 회전 억제 구조(730)가 형성된다. 또, 좌체(800)와 피체결 부재(H) 사이에는, 제2 상대 회전 억제 구조(930)가 형성된다.
도 49에 나타내듯이, 제1 상대 회전 억제 구조(730)는, 좌체(800)의 나사체측 좌면(800A)에 형성되는 좌체측(상대측) 변위부(840)와, 수나사체(701)의 두부(703)의 좌면(703A)에 형성되는 나사체측 변형 허용부(750)를 구비한다.
도 51의 (A)에 나타내듯이, 제1 상대 회전 억제 구조(730)는, 좌체(800)의 나사체측 좌면(800A)에 형성되는 좌체측(상대측) 변위부(840)를 가진다. 나사체측 좌면(800A)은, 수나사체(701)의 축 방향에 대해서 수직인 평면이 되지만, 테이퍼면이라고 해도 좋다. 좌체측 변위부(840)는, 띠 모양의 돌기(또는 홈)가 되고, 띠의 길이 방향(L)이, 둘레 방향(S)으로 이동함에 따라 지름 방향(K)으로 변위한다. 특히 여기에서는, 둘레 방향(S)에서의, 체결시에 수나사체(701)의 두부(703)와 상대 회전할 때의 체결시 상대 회전 방향(S1)으로 이동함에 따라, 지름 방향(K)의 내측으로 변위한다. 이 좌체측 변위부(840)는, 둘레 방향으로 균등 간격으로 복수 형성되고, 여기에서는 12개가 등간격으로 형성된다.
도 50에 나타내듯이, 수나사체(701)의 두부(703)의 좌면(703A)에는, 나사체측 변형 허용부(750)가 형성된다. 이 나사체측 변형 허용부(750)는 띠 모양의 돌기(또는 홈)가 되고, 돌기의 띠의 길이 방향(L)이, 둘레 방향(S)으로 이동함에 따라 지름 방향(K)으로 변위한다. 특히 여기에서는, 둘레 방향(S)에서의, 체결시에 좌체(800)와 상대 회전할 때의 체결시 상대 회전 방향(S1)으로 이동함에 따라, 지름 방향(K)의 내측으로 변위한다. 이 나사체측 변형 허용부(750)는, 둘레 방향으로 균등 간격으로 복수 형성된다. 여기에서는 12개의 제2 변형 허용부(750)가 둘레 방향으로 등간격으로 형성된다.
도 52의 (A)에 투시해 나타내듯이, 나사체측 변형 허용부(750)는, 스스로의 체결력(축력)을 이용하여, 좌체측 변위부(840)에 눌려진다(押壓). 결과, 스스로의 일부가 축 방향으로 패이도록 변형하고, 이 변형에 의해서, 나사체측 변위부(760)가 작출된다. 또, 나사체측 변형 허용부(750)와 좌체측 변위부(840)는, 정반대의 스파이럴 형상이 되므로, 수나사체(701)와 좌체(800)가 상대 회전해도, 항상, 어떠한 맞닿음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나사체측 변형 허용부(750)는, 좌체측 변위부(840)와 동등 또는 그보다 유연한 재료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하면, 좌체측 변위부(840)가, 나사체측 변형 허용부(750)를 적극적으로 변형시킬 수 있다. 이 변형은 탄성변형 및/또는 소성변형이 된다. 또, 이 변형량은, 피체결 부재(H)를 체결할 때에 요구되는 축력으로, 완전하게 눌러지지 않고, 적당의 탄성변형 및/또는 소성변형 하는 정도로 설정된다(도 48 참조).
도 52의 (B)에 나타내듯이, 나사체측 변형 허용부(750)는, 체결력을 이용하고, 상대측 부재가 되는 좌체측 변형 허용부(850)를 누름(押壓)에 의해서, 좌체측 변형 허용부(850)에 보조 변위부(870)를 작출한다. 이 보조 변위부(870)는, 좌체측 변위부(840)의 길이 방향의 일부(나사체측 변형 허용부(750)와 교차하는 범위)가 축 방향으로 패이는 상태가 된다.
도 51의 (B)에 나타내듯이, 좌체(800)와 피체결 부재(H) 사이에 형성되는 제2 상대 회전 억제 구조(930)는, 좌체(800)의 피체결 부재측 좌면(800B)에 형성되는 피체결 부재용 변위부(880)를 가진다.
피체결 부재측 좌면(800B)는, 수나사체(701)의 축 방향에 대해서 수직인 평면이 되고 있지만, 테이퍼면이라고 해도 좋다. 이 피체결 부재용 변위부(880)는, 단면이 산 모양 또는 톱날 모양(鋸刃狀)의 열상 돌기(또는 열상 홈)가 되고, 돌기 길이 방향(L)이 지름 방향(K)으로 연장된다.
특히 본 실시 형태에서는, 피체결 부재용 변위부(880)의 톱날(鋸刃) 형상은, 좌체(800)가, 체결시에 발생하는 억압 토크가 작용했을 때에는, 피체결 부재(H)의 좌면을 톱날 형상을 따라서 압축하고, 탄성변형 및/또는 소성변형시켜서 파고 들기 쉬워지고, 반대로, 좌체(800)가, 수나사체(701)에 풀림 토크가 작용했을 때에는, 피체결 부재(H)와의 상대 회전을 규제하기 쉽게 한다. 즉, 회전 방향을 따라, 상대 회전의 규제력이 다른 형상이 된다.
또, 좌체(800)의 재료와 비교하여, 피체결 부재(H)의 재료가 유연한(변형하기 쉬운)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좌체(800)가 철(스텐레스) 등으로, 피체결 부재(H)가 알루미늄 등이다. 이와 같이 하면, 수나사체(701)에 의한 체결 초기의 축력이, 좌체(800)와 피체결 부재(H) 사이에 작용한 단계에서, 재빠르게, 피체결 부재용 변위부(880)가 피체결 부재(H)에 들어가고, 좌체(800)와 피체결 부재(H)의 상대 회전을 대부분 잃는 것이 가능하고, 피체결 부재(H)의 손상을 최소한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좌체(800)에서, 피체결 부재용 변위부(880)가 피체결 부재(H)와 맞닿는 접촉 면적은, 좌체측 변위부(840)가 나사체측 변형 허용부(750)와 맞닿는 접촉 면적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하면, 피체결 부재용 변위부(880)와 피체결 부재(H) 사이에 작용하는 국소적인 면압이, 좌체측 변위부(840)와 나사체측 변형 허용부(750) 사이에 작용하는 국소적인 면압보다 커진다. 결과, 제1 상대 회전 억제 구조(730)에 의한 상대 회전 규제 효과보다, 제2 상대 회전 억제 구조(930)에 의한 상대 회전 규제 효과가 앞서 작용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피체결 부재용 변위부(880)가 피체결 부재(H)와 맞닿는 접촉 면적을 작게 하기 위해서, 피체결 부재용 변위부(880)의 톱날 형상의 돌단연의 능선폭을 지극히 작게 하고, 대략 선상으로 하고 있다. 한편으로, 좌체측 변위부(840)와 나사체측 변형 허용부(750)의 각각의 폭은, 0.5mm 이상, 바람직하게는 소재와 축력에 맞추어 설정하고, 서로 접촉하는 면적이 비교적 커지도록 하고 있다.
이와 같이 하면, 체결시에서, 좌체(800)는, 피체결 부재(H)와 수나사체(701)의 두부(703)에 쌍방에 대해서 동시 접촉하지만, 초기~중기의 체결 단계에서는, 제2 상대 회전 억제 구조(930)에 의해서 좌체(800)와 피체결 부재(H)의 상대 회전이 우선적으로 규제됨과 동시에, 좌체(800)와 수나사체(701)의 상대 회전은 허용된다. 그 후, 중기~종기 체결 단계에 이르면, 제1 상대 회전 억제 구조(730)에 의해서, 좌체(800)와 수나사체(701)의 상대 회전이 서서히 규제된다. 결과, 제2 상대 회전 억제 구조(930)와 제1 상대 회전 억제 구조(730)의 쌍방에 의해서, 수나사체(701)와 피체결 부재(H)의 상대 회전이 생기지 않는다. 게다가, 피체결 부재(H)의 손상을 큰 폭으로 저감할 수 있다.
또한, 이 상대 회전 억제 구조(630)에 관해서, 와셔가 되는 좌체(800)에만 주목하면, 나사체측 좌면(800A)에는, 좌체측 변위부(840)가 형성되고, 수나사체(701)의 일부를 변형시킨다. 동시에, 피체결 부재측 좌면(800B)에는, 피체결 부재용 변위부(880)가 형성되고, 피체결 부재(H)의 일부를 바람직하게는 탄성적으로 변형, 경우에 따라서는 소성 영역(塑性域)으로 변형시킨다. 이 때, 좌체측 변위부(840)에 의한 상대 회전 억제 효과보다, 피체결 부재용 변위부(880)에 의한 상대 회전 억제 효과를 우위로 발휘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수나사체(701)보다, 피체결 부재(H)의 재료를 유연하게 하거나, 또는, 좌체측 변위부(840)에 작용하는 면압보다, 피체결 부재용 변위부(880)에 작용하는 면압을 크게 한다. 이러한 좌체(800)를 이용하면, 예를 들면, 피체결 부재(H)가 알루미늄 등의 비교적 유연한 재료이며, 너무 강한 체결력(축력)을 인가할 수 없는 환경에서도, 최소한의 체결력으로, 완전한 풀림 방지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상대 회전 억제 구조는, 상기한 실시의 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을 더할 수 있는 것은 물론이다.
1 나사 체결 기구
10 수나사체
14 제1 나선홈
15 제2 나선홈
20 두부(頭部)
30 상대 회전 억제 구조
40 제1 (상대측) 변위부
40X 가상 경계
42A, 42B 제1 변형 부여면
50 제2 변형 허용부
52A, 52B 제2 변형 부여면
60 제2 (나사체측) 변위부
62A, 62B 작출면
70 보조 변위부
72A, 72B 작출면
100 제1 암나사체
101 제2 암나사체
150 환상 돌기
150 환상 돌기
160 환상 요부

Claims (42)

  1. 나사부를 가지는 나사체에서의, 상대 부재에 대한 상대 회전 억제 구조로서,
    상기 상대 부재에 미리 형성되어, 축 방향 또는 지름 방향으로 변위하는 상대측 변위부와,
    상기 나사체에 형성되어, 체결력을 이용하여 상기 상대측 변위부를 누름에 의해서 스스로가 변형하고, 상기 변형에 의해서, 풀림 방향으로 상대 회전할 때에 상기 상대측 변위부에 맞닿아서 회전을 저해하도록 축 방향 또는 지름 방향으로 변위하는 나사체측 변위부를 작출하는 나사체측 변형 허용부,
    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사체의 상대 회전 억제 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대측 변위부가, 둘레 방향으로 복수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사체의 상대 회전 억제 구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나사체측 변형 허용부는, 상기 나사체측 변위부를 둘레 방향으로 복수 작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사체의 상대 회전 억제 구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나사체가 상기 상대 부재에 대해서 상대 회전할 때, 상기 나사체 자신을 기준으로서 상기 나사체측 변위부가 둘레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사체의 상대 회전 억제 구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나사체가 상기 상대 부재에 대해서 상대 회전할 때, 상기 나사체 자신을 기준으로서 상기 나사체측 변위부가 축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사체의 상대 회전 억제 구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나사체측 변위부가 탄성변형 또는 소성변형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사체의 상대 회전 억제 구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나사체측 변위부가, 지름 방향 내측 및 지름 방향 외측의 쌍 방향에서 동시에 변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사체의 상대 회전 억제 구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나사체측 변형 허용부의 축 방향 거리에 대해서, 상기 나사체측 변형 허용부와 상기 상대측 변위부가 축 방향으로 서로 간섭하는 간섭 거리가 작게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사체의 상대 회전 억제 구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나사체측 변위부와 상기 상대측 변위부의 축 방향의 접근 거리를 규제하는 축 방향 스토퍼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사체의 상대 회전 억제 구조.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나사체측 변형 허용부는, 띠 모양 돌기를 갖고,상기 띠 모양 돌기의 일부를 변형시키고, 상기 나사체측 변위부를 작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사체의 상대 회전 억제 구조.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나사체측 변형 허용부에서는, 단일 또는 복수의 상기 나사체측 변위부가, 상기 나사체의 1 피치 이상의 축 방향 범위에 걸쳐 작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사체의 상대 회전 억제 구조.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나사체측 변형 허용부에서는, 단일 또는 복수의 상기 나사체측 변위부가, 상기 나사체의 3 피치 이상의 축 방향 범위에 걸쳐 작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사체의 상대 회전 억제 구조.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대측 변위부는, 지름 방향으로 넓어지고, 둘레 방향과 교차하도록 변위하는 변형 부여면을 갖고,
    상기 나사체측 변형 허용부는, 상기 변형 부여면과 맞닿고, 나사체측 변위부를 작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사체의 상대 회전 억제 구조.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변형 부여면은, 상기 나사체에서의 풀림측의 둘레 방향으로 대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사체의 상대 회전 억제 구조.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변형 부여면은, 상기 나사체에서의 풀림측의 리드각과 다른 각도에서 축 방향으로 변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사체의 상대 회전 억제 구조.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나사체의 리드각을 β, 상기 나사체가 상기 풀림측의 둘레 방향으로 회전할 때에 상기 나사체가 축 방향으로 이동하는 방향을 풀림측 축 방향, 상기 풀림측의 둘레 방향을 기준으로서 상기 풀림측 축 방향 측을 정각이라고 정의했을 경우,
    상기 변형 부여면의 변위각 A는,
    β+135°≥A≥β+45°
    를 만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사체의 상대 회전 억제 구조.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변형 부여면의 변위각 A는,
    135°≥A≥90°
    를 만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사체의 상대 회전 억제 구조.
  18. 제13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변형 부여면은, 축 방향으로, 상기 나사체의 1 피치 이상의 범위에서 변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사체의 상대 회전 억제 구조.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변형 부여면은, 축 방향으로, 상기 나사체의 3 피치 이상의 범위에서 변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사체의 상대 회전 억제 구조.
  20. 제1항 있어서,
    상기 상대측 변위부 또는 상기 나사체측 변위부는, 축 방향을 따라서 지름 방향으로 확경 또는 축경하는 테이퍼 형상이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사체의 상대 회전 억제 구조.
  2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대 부재의 상기 상대측 변위부와 비교하여, 상기 나사체의 상기 나사체측 변형 허용부가 유연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사체의 상대 회전 억제 구조.
  2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대 부재의 상기 상대측 변위부와 비교하여, 상기 나사체의 상기 나사체측 변형 허용부가 저강성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사체의 상대 회전 억제 구조.
  2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대 부재가, 제1 암나사체이고,
    상기 나사체가, 제2 암나사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사체의 상대 회전 억제 구조.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암나사체는, 적당의 리드각 또는 리드 방향으로 설정되는 제1 나선홈을 갖고,
    상기 제2 암나사체는, 상기 리드각 또는 리드 방향에 대해서 상이한 리드각 또는 리드 방향으로 설정되는 제2 나선홈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사체의 상대 회전 억제 구조.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암나사체 및 상기 제2 암나사체와 나합하여 피체결체를 체결 가능한 수나사체를 구비하고,
    피체결체를 기준으로 상기 제1 암나사체가 내측, 상기 제2 암나사체가 외측에 나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사체의 상대 회전 억제 구조.
  26. 나사부를 가지는 나사체와, 상기 나사체와 맞닿음 가능한 상대 부재와의 사이에 구성되는 상대 회전 억제 구조로서,
    상기 나사체에 미리 형성되어, 축 방향 또는 지름 방향으로 변위하는 나사체측 변위부와,
    상기 상대 부재에 형성되어, 상기 나사체의 체결력을 이용하여 상기 나사체측 변위부를 누름에 의해서 스스로가 변형하고, 상기 변형에 의해서, 풀림 방향으로 상대 회전할 때에 상기 나사체측 변위부에 맞닿아서 회전을 저해하도록 축 방향 또는 지름 방향으로 변위하는 상대측 변위부를 작출하는 상대측 변형 허용부,
    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사체의 상대 회전 억제 구조.
  27. 제1 부재와, 상기 제1 부재와 맞닿는 제2 부재 사이의 상대 이동 억제 구조로서,
    상기 제1 부재의 평면 형상을 이루는 제1 면 상에 형성되는 열상 돌기를 이루는 제1 조부와,
    상기 제2 부재의 평면 형상을 이루는 제2 면 상에 형성되는 열상 돌기를 이루고, 상기 제1 조부와 다른 방향으로 연장되고, 또한, 상기 제1 조부와 맞닿는 제2 조부와,
    상기 제1 조부와 상기 제2 조부의 교차 부분에서 상기 제1 조부에 형성되고, 상기 제1 조부와 상기 제2 조부 사이에 작용하는 압압력에 의해서 스스로가 탄성변형 또는 소성변형 하고, 상기 변형에 의해서 제1 변위부를 작출하는 제1 변형 허용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 변위부에 의해서, 상기 제1 부재와 상기 제2 부재의 상대 이동을 규제하고,
    상기 제1 면과 상기 제2 면 사이에 개재되는 부재로서 상기 제1 조부와 상기 제2 조부의 간섭 거리를 규제하는 스토퍼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대 이동 억제 구조.
  28.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부재에는, 병렬로 연장되는 복수의 상기 제1 조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2 부재에는, 병렬로 연장되는 복수의 상기 제2 조부가 형성되고,
    복수의 상기 제1 조부와 복수의 상기 제2 조부가 교차함으로써, 복수의 상기 제1 변위부가 작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대 이동 억제 구조.
  29. 제27항 또는 제28항에 있어서,
    병렬로 연장되는 복수의 상기 제1 조부와, 병렬로 연장되는 복수의 상기 제1 조부가, 격자 모양으로 교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대 이동 억제 구조.
  30.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부재와 상기 제2 부재가 상대 이동할 때, 상기 제1 부재를 기준으로서 상기 제1 변위부의 이동을 수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대 이동 억제 구조.
  31.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조부가 연장되는 방향과, 상기 제1 부재와 상기 제2 부재의 상대 이동 방향이, 서로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대 이동 억제 구조.
  32.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변위부는, 상기 제2 조부와 교차하는 부위에서 패여서, 상기 제2 조부와 맞물림 가능한 제1 작출면이 작출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2 조부의 측면이 서로 다른 복수의 방향으로 연재하는 것에 의해서, 상기 제2 조부의 상기 측면과 맞물리는 복수의 상기 제1 작출면이, 서로 다른 방향으로 작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대 이동 억제 구조.
  33.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조부의 돌출 높이에 대해서, 상기 제1 조부에 작출되는 상기 제1 변위부의 패임 깊이가, 작게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대 이동 억제 구조.
  34. 삭제
  35.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부는,
    제1 스토퍼와,
    상기 제1 스토퍼와 다른 장소에 배설되는 제2 스토퍼,
    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대 이동 억제 구조.
  36. 제3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스토퍼와 상기 제2 스토퍼를 묶는 가상 직선과, 상기 제1 조부의 길이 방향의 각도 차이는, 20° 이상 또한 70° 이하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대 이동 억제 구조.
  37. 제27항에 있어서,
    표면에 열상 돌기가 되는 기체 조부를 가지는 모재를 복수 구비하고,
    상기 모재의 일방이 상기 제1 부재이고,
    상기 모재의 타방이 상기 제2 부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대 이동 억제 구조.
  38.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조부의 돌출단은, 곡면 또는 평면 또는 요철면이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대 이동 억제 구조.
  39.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조부와 상기 제2 조부의 교차 부분에서 상기 제2 조부에 형성되어, 상기 제1 조부와 상기 제2 조부 사이에 작용하는 압압력에 의해서 스스로가 탄성변형 또는 소성변형하고, 상기 변형에 의해서 제2 변위부를 작출하는 제2 변형 허용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대 이동 억제 구조.
  40. 제1 규제 대상물과,
    제2 규제 대상물과,
    상기 제1 규제 대상물과 상기 제2 규제 대상물에 걸치도록 배치되는 개재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제1 규제 대상물과 상기 개재 부재 사이에, 제27항 기재의 제1 상대 이동 억제 구조가 형성되고,
    상기 제2 규제 대상물과 상기 개재 부재 사이에, 제27항 기재의 제2 상대 이동 억제 구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대 이동 억제체.
  41. 제4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규제 대상물과 상기 개재 부재 사이, 및, 상기 제2 규제 대상물과 상기 개재 부재 사이에, 압압력을 부여하는 부세 기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대 이동 억제체.
  4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대측 변위부가 환상 돌기의 외주면에 형성되고,
    상기 나사체측 변형허용부가 환상 요부의 내주면에 형성되고,
    체결력을 이용하여 상기 환상 요부를 상기 환상 돌기의 외형에 가깝게 변형시켜 나사체측 변위부를 작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사체의 상대 회전 억제 구조.
KR1020197027735A 2017-03-27 2018-03-20 나사체의 상대 회전 억제 구조, 상대 이동 억제 구조, 상대 이동 억제체 KR10264489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7-060816 2017-03-27
JP2017060816 2017-03-27
JPJP-P-2017-100636 2017-05-22
JP2017100636 2017-05-22
JPJP-P-2017-131553 2017-07-04
JP2017131553A JP7014395B2 (ja) 2017-03-27 2017-07-04 ねじ体の相対回転抑制構造、相対移動抑制構造、相対移動抑制体
PCT/JP2018/010925 WO2018180737A1 (ja) 2017-03-27 2018-03-20 ねじ体の相対回転抑制構造、相対移動抑制構造、相対移動抑制体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28180A KR20190128180A (ko) 2019-11-15
KR102644894B1 true KR102644894B1 (ko) 2024-03-08

Family

ID=644786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27735A KR102644894B1 (ko) 2017-03-27 2018-03-20 나사체의 상대 회전 억제 구조, 상대 이동 억제 구조, 상대 이동 억제체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210140465A1 (ko)
JP (2) JP7014395B2 (ko)
KR (1) KR102644894B1 (ko)
CN (1) CN110537032A (ko)
TW (1) TWI759452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679073B (zh) * 2018-08-03 2023-11-14 周峰 防震螺母套件
CN109764053A (zh) * 2019-03-22 2019-05-17 安徽理工大学 一种防松螺母
TWI721764B (zh) * 2020-01-22 2021-03-11 林家民 防鬆螺帽組
CN112392835B (zh) * 2020-11-16 2022-03-15 浙江瑞昭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具有防松功能的紧固件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25069A (ja) * 2002-10-03 2004-04-22 Hitoshi Maejima 二構成部材間の締結装置およびその締結方法
JP2013217486A (ja) * 2012-04-09 2013-10-24 Tanaka Masae ロックナット
JP2014214761A (ja) * 2013-04-23 2014-11-17 裕 道脇 締結保持部材及び締結保持構造
JP2016145607A (ja) * 2015-02-09 2016-08-12 ハードロック工業株式会社 緩み止めナット

Family Cites Families (4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28139A (en) * 1885-10-13 patten
US514315A (en) * 1894-02-06 Nut-lock
US254154A (en) * 1882-02-28 Joseph peeston
US1303784A (en) * 1919-05-13 Butt-lock
US330471A (en) * 1885-11-17 desmond
US1551389A (en) * 1925-08-25 hansplf
US647235A (en) * 1899-11-10 1900-04-10 Mark Sault Threaded bolt for nut-locks.
US818584A (en) * 1905-09-13 1906-04-24 Ethelred Walter Treatt Lock-nut.
US1257202A (en) * 1917-05-08 1918-02-19 Walter E Emery Nut-lock.
US1372525A (en) * 1918-01-24 1921-03-22 Mccabe James Nut-lock
US1329814A (en) * 1919-10-20 1920-02-03 Suhr Matthew Lock-nut
US1406423A (en) * 1920-09-13 1922-02-14 Frank H Smith Nut and washer
US1488069A (en) * 1923-01-15 1924-03-25 Seago George Washington Nut lock
US1473321A (en) * 1923-02-24 1923-11-06 Michael R Rumfelt Nut and bolt lock
US1926982A (en) * 1927-05-06 1933-09-12 Flintkote Co Fibrous composition
US1975815A (en) * 1932-12-22 1934-10-09 Wilson Locknut Company Lock nut
US1999082A (en) * 1934-11-13 1935-04-23 Philadelphia Steel And Wire Co Lock washer and method of producing the same
DE838840C (de) * 1948-10-02 1952-05-12 Bankhaus Seiler & Co Doppelmutter mit einem laengsgeschlitzten Kegelansatz an der einen Mutter und mit einer diesen Kegelansatz uebergreifenden Kegelausnehmung an der anderen Mutter
JPS546168Y2 (ko) 1974-06-03 1979-03-22
JPS56141416A (en) * 1980-04-02 1981-11-05 Kayou Kogyo Kk Buried nut
JP2543945Y2 (ja) * 1993-10-28 1997-08-13 松下電工株式会社 連結用鋼管
JP3505308B2 (ja) * 1995-03-06 2004-03-08 株式会社サクラクレパス 筆記具、筆記具の製造方法および雄・雌部材の嵌合構造
JPH1061645A (ja) * 1996-08-26 1998-03-06 Hideo Moroi ロックナット
JPH116516A (ja) 1997-06-18 1999-01-12 Hard Lock Kogyo Kk 緩み止めナット
TW490539B (en) * 1998-08-07 2002-06-11 Textron Inc Thread-forming pipe plug
AUPQ611800A0 (en) * 2000-03-09 2000-03-30 Smolarek, Hanna Maria Washer and threaded fastener assembly incorporating same
DE60236510D1 (de) * 2001-02-24 2010-07-08 Ibm Für massiv parallele systeme
US7497653B2 (en) * 2001-08-20 2009-03-03 Maclean-Fogg Company Locking fastener assembly
JP2006327289A (ja) * 2005-05-24 2006-12-07 Nsk Ltd 車輪支持用軸受ユニット及びその製造方法
US7497652B2 (en) * 2006-02-23 2009-03-03 Tech Stell Co., Ltd. Plastic fastening device
JP2009177078A (ja) 2008-01-28 2009-08-06 Olympus Corp 実装構造
EP3040582B1 (en) * 2008-02-20 2019-03-27 Nejilaw Inc. Internally-threaded body
JP5643338B2 (ja) * 2009-12-22 2014-12-17 アール ビー アンド ダブリュー マニュファクチュアリング エル・エル・シーR B & W Manufacturing LLC ラグフレア付きナット
US8784027B2 (en) * 2010-09-14 2014-07-22 Enduralock, Llc Ratchet locking mechanism for threaded fastener
US8496421B1 (en) * 2010-11-09 2013-07-30 Christopher C. Burton Ferrule lock nuts
KR101505425B1 (ko) * 2013-03-14 2015-03-25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풀림방지너트
CN203430956U (zh) * 2013-07-19 2014-02-12 深圳富泰宏精密工业有限公司 螺钉套管结构
JP6343748B2 (ja) * 2013-10-04 2018-06-20 Next Innovation合同会社 締結部の逆回転防止構造
US10107326B2 (en) * 2015-11-12 2018-10-23 Maclean-Fogg Company Anti-loosening incremental tension fastener assembly
CN111365350A (zh) * 2020-04-21 2020-07-03 黄从武 螺母组件和螺栓套件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25069A (ja) * 2002-10-03 2004-04-22 Hitoshi Maejima 二構成部材間の締結装置およびその締結方法
JP2013217486A (ja) * 2012-04-09 2013-10-24 Tanaka Masae ロックナット
JP2014214761A (ja) * 2013-04-23 2014-11-17 裕 道脇 締結保持部材及び締結保持構造
JP2016145607A (ja) * 2015-02-09 2016-08-12 ハードロック工業株式会社 緩み止めナッ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I759452B (zh) 2022-04-01
KR20190128180A (ko) 2019-11-15
JP7241431B2 (ja) 2023-03-17
TW201839278A (zh) 2018-11-01
JP7014395B2 (ja) 2022-02-15
US20210140465A1 (en) 2021-05-13
JP2018189224A (ja) 2018-11-29
CN110537032A (zh) 2019-12-03
JP2021185327A (ja) 2021-12-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44894B1 (ko) 나사체의 상대 회전 억제 구조, 상대 이동 억제 구조, 상대 이동 억제체
US2823574A (en) Self-tapping fastener
US3982575A (en) Thread forming self-locking screw
US3877339A (en) Lobular screw with means for improved stress distribution
US3640326A (en) Bolt
US3263727A (en) Lock washer arrangement
US4220188A (en) Locking fastener
US20050079028A1 (en) Fastener
EP2539595B1 (en) Wave thread form
US3927503A (en) Prevailing torque fastener
US3352344A (en) Dished lock washer
KR20190032665A (ko) 복동식 록킹 와셔
US20130164093A1 (en) Fastener
US3340920A (en) Prevailing torque locknut
US2817380A (en) Resilient undulating lock washer with inclined lugs for retaining on rotary fastener
US3972360A (en) Vibration resistant fastener
US4236561A (en) Self-locking nut
JP3763819B2 (ja) 雌ねじ部と雄ねじ部の組合せ緩み止め構造、およびそのための雄ねじ部構造
KR20210037238A (ko) 풀림 방지 기능을 갖는 볼트
JPH04244612A (ja) 自動係止ファスナ
JP3113151U (ja) 弛み止め締結部材
JP2021095991A (ja) 緩み止め締結構造
JP2022036211A (ja) 相対回転抑制構造
US3039507A (en) Lock nut having segmented thread structure
US3079969A (en) Locknu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