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44494B1 - 파우치백 제조설비 - Google Patents

파우치백 제조설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44494B1
KR102644494B1 KR1020230130258A KR20230130258A KR102644494B1 KR 102644494 B1 KR102644494 B1 KR 102644494B1 KR 1020230130258 A KR1020230130258 A KR 1020230130258A KR 20230130258 A KR20230130258 A KR 20230130258A KR 102644494 B1 KR102644494 B1 KR 1026444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dle
pouch bag
fabric
plate
pou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1302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훈
Original Assignee
박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훈 filed Critical 박훈
Priority to KR10202301302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4449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444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444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5/0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 B29C65/02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by heating, with or without pressure
    • B29C65/08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by heating, with or without pressure using ultrasonic vibr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5/0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 B29C65/02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by heating, with or without pressure
    • B29C65/18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by heating, with or without pressure using heated too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5/0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 B29C65/48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using adhesives, i.e. using supplementary joining material; solvent bon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5/0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 B29C65/78Means for handling the parts to be joined, e.g. for making containers or hollow articles, e.g. means for handling sheets, plates, web-like materials, tubular articles, hollow articles or elements to be joined therewith; Means for discharging the joined articles from the joining apparatus
    • B29C65/7802Positioning the parts to be joined, e.g. aligning, indexing or cent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5/0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 B29C65/78Means for handling the parts to be joined, e.g. for making containers or hollow articles, e.g. means for handling sheets, plates, web-like materials, tubular articles, hollow articles or elements to be joined therewith; Means for discharging the joined articles from the joining apparatus
    • B29C65/7841Holding or clamping means for handling purpo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5/0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 B29C65/78Means for handling the parts to be joined, e.g. for making containers or hollow articles, e.g. means for handling sheets, plates, web-like materials, tubular articles, hollow articles or elements to be joined therewith; Means for discharging the joined articles from the joining apparatus
    • B29C65/7858Means for handling the parts to be joined, e.g. for making containers or hollow articles, e.g. means for handling sheets, plates, web-like materials, tubular articles, hollow articles or elements to be joined therewith; Means for discharging the joined articles from the join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feeding movement of the parts to be joined
    • B29C65/7888Means for handling of moving sheets or web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6/0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 B29C66/01General aspects dealing with the joint area or with the area to be joined
    • B29C66/03After-treatments in the joint area
    • B29C66/032Mechanical after-treatments
    • B29C66/0326Cutting, e.g. by using waterjets, or perfor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6/0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 B29C66/01General aspects dealing with the joint area or with the area to be joined
    • B29C66/03After-treatments in the joint area
    • B29C66/034Thermal after-treatments
    • B29C66/0342Cooling, e.g. transporting through welding and cooling zo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6/0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 B29C66/90Measuring or controlling the joining proc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33/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sacks or bags
    • B65D33/002Rolls, strips or like assemblies of ba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33/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sacks or bags
    • B65D33/06Handles
    • B65D33/08Hand ho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aking Paper Art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쌀 등의 내용물을 담을 수 있는 비닐 소재의 파우치백을 제조하는 설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파우치백의 원단을 공급하는 장치, 손잡이 부착장치 및 지퍼 부착장치, 그리고 3면 봉합 및 커팅장치 등을 순차적으로 조합하고, 각 장치 간의 연계적인 공정을 이용한 연속 자동화 라인으로 손잡이는 물론 지퍼 등을 구비한 파우치백을 제조하는 새로운 타입의 파우치백 제조설비를 구현함으로써, 파우치백의 제조와 관련한 생산성 향상과 더불어 공정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고, 파우치백의 제조 품질을 확보할 수 있는 한편, 파우치백 제조라인 상의 일측에 손잡이 공급파트, 손잡이 투입파트, 손잡이 융착파트 등을 설치하고, 각 파트들을 연계적으로 작동시키면서 파우치백에 손잡이를 자동으로 부착하고, 특히 탄창식 카트리지를 이용하여 손잡이를 자동 공급하는 타입을 채택한 새로운 형태의 손잡이 부착장치를 구현함으로써, 공정 자동화에 따른 인건비 절감 및 생산성 향상을 도모할 수 있고, 손잡이의 돌출 부분을 제거하여 후속 충전 공정을 위한 자동화 라인의 설계 자유도를 높일 수 있는 손잡이 부착장치를 포함하는 파우치백 제조설비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파우치백 제조설비{POUCH BAG MANUFACTURING FACILITY}
본 발명은 파우치백 제조설비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쌀 등의 내용물을 담을 수 있는 비닐 소재의 파우치백을 제조하는 설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파우치백은 주로 폴리에틸렌, PE 등 여러 종류의 플라스틱 필름을 이용하여 제조하는 것으로서, 공업용(예를 들면, 포장, 방수 등), 농업용(예를 들면, 작물의 보온 및 생육 촉진 등), 일상생활용(예를 들면 각종 봉투) 등으로 널리 사용된다.
이러한 파우치백은 소량 포장으로 판매되는 쌀이나 분말세제 등을 담아서 판매할 때 주로 사용되고 있으며, 이렇게 소량 포장하더라도 중량이 많이 나가는 제품에는 소비자가 용이하게 파우치백을 들고 다닐 수 있도록 하기 위해 파우치백의 상단에 손잡이 구멍을 뚫거나 플라스틱 소재 등의 손잡이를 부착하고, 또 반복적인 개폐 사용을 위해 지퍼백을 부착한다.
보통 손잡이를 가진 파우치백의 제조 과정을 설명하면, 압출기에서 원통형 필름 형태로 압출하여 평편하게 냉각한 비닐원단을 보빈에 권취한 후, 권취한 비닐원단을 풀어내면서 비닐원단의 길이 방향 및 폭 방향을 따라 융착부를 형성하고, 융착부의 일측을 펀칭하여 손잡이 부착을 위한 홀을 형성한 후에 이곳에 손잡이를 부착하면, 내용물을 충전하기 위해 한쪽이 개방되어 있는 파우치백이 완성된다.
여기서, 상기 손잡이는 파우치백을 사이에 두고 서로 맞체결되어 결합되는 형태로 부착된다.
예를 들면, 파우치백의 손잡이 홀을 사이에 두고 암끼움부와 수끼움부를 가지는 2개의 손잡이를 배치한 다음, 2개의 손잡이를 서로 마주보게 눌러서 암수끼움부를 체결하면, 파우치백 상에 손잡이가 부착된다.
그러나, 종래의 손잡이 부착방법은 다음과 같은 단점이 있다.
첫째, 파우치백 제조공정과는 별개의 수작업으로 손잡이를 부착하기 때문에 노동력 투입에 따른 인건비 지출이 불가피할 뿐만 아니라 작업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등 파우치백 제조와 관련한 전반적인 생산성 저하를 초래하는 단점이 있다.
둘째, 파우치백의 표면에 손잡이가 돌출된 형태로 두껍게 부착되어 있기 때문에 파우치백에 내용물을 충전하는 자동화 공정에서 손잡이의 간섭 등으로 인해 자동화 라인을 설계하는데 많은 어려움이 있고, 내용물 충전 불량이 빈번하게 일어나는 단점이 있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04-0097891호 공개특허공보 제10-2009-0111412호 공개특허공보 제10-2017-0050987호 공개특허공보 제10-2017-0127337호
따라서,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파우치백의 원단을 공급하는 장치, 손잡이 부착장치 및 지퍼 부착장치, 그리고 3면 봉합 및 커팅장치 등을 순차적으로 조합하고, 각 장치 간의 연계적인 공정을 이용한 연속 자동화 라인으로 손잡이는 물론 지퍼 등을 구비한 파우치백을 제조하는 새로운 타입의 파우치백 제조설비를 구현함으로써, 파우치백의 제조와 관련한 생산성 향상과 더불어 공정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고, 파우치백의 제조 품질을 확보할 수 있는 파우치백 제조설비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파우치백 제조라인 상의 일측에 손잡이 공급파트, 손잡이 투입파트, 손잡이 융착파트 등을 설치하고, 각 파트들을 연계적으로 작동시키면서 파우치백에 손잡이를 자동으로 부착하고, 특히 탄창식 카트리지를 이용하여 손잡이를 자동 공급하는 타입을 채택한 새로운 형태의 손잡이 부착장치를 구현함으로써, 공정 자동화에 따른 인건비 절감 및 생산성 향상을 도모할 수 있고, 손잡이의 돌출 부분을 제거하여 후속 충전 공정을 위한 자동화 라인의 설계 자유도를 높일 수 있는 동시에 충전 불량 문제를 말끔히 해소하여 후속 충전 공정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손잡이 부착장치를 포함하는 파우치백 제조설비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파우치백 제조설비는 다음과 같은 특징이 있다.
상기 파우치백 제조설비는 비닐 소재의 상부 원단을 공급하는 상부 원단 공급장치와, 비닐 소재의 하부 원단과 지퍼를 공급하는 하부 원단 및 지퍼 공급장치와, 상하부 원단에 장력을 부여하는 원단 장력 유지장치와, 상하부 원단에 손잡이가 들어갈 구멍을 뚫어주는 손잡이 홀 펀칭장치와, 상하부 원단의 손잡이 홀에 손잡이를 삽입한 후에 가 접착하는 손잡이 가 부착장치와, 상하부 원단에 지퍼를 부착하는 지퍼 부착장치와, 상하부 원단에 가 접착되어 있는 손잡이를 완전히 융착 고정시키는 손잡이 완전 부착장치와, 손잡이와 지퍼가 부착되어 있는 쪽의 상하부 원단의 상단부를 접착하는 원단 상단부 부착장치와, 원단 상단부에 대한 냉각을 실시하는 1차 냉각장치와, 상하부 원단에 부착되어 있는 지퍼의 양단부를 초음파로 실링하는 초음파 실링장치와, 상하부 원단의 양쪽 사이드부를 접착하는 원단 사이드부 부착장치와, 원단 사이드부에 대한 냉각을 실시하는 2차 냉각장치를 포함하는 것이 특징이다.
여기서, 상기 손잡이 홀 펀칭장치는 장치 프레임 상에 지지되면서 상하 간격을 유지하는 상부 플레이트 및 하부 플레이트와, 상기 상부 플레이트의 저면에 상하 유동가능하게 설치되는 펀치 블록과, 상기 펀치 블록의 하부에서 하부 플레이트의 상면에 고정 설치되는 다이 블록과, 상기 상부 플레이트의 상면부에 설치되면서 로드를 통해 펀치 블록과 연결되어 펀치 블록을 상하 동작시켜주는 업다운 실린더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손잡이 가 부착장치는 파우치백 제조라인 상의 일측에 설치되어 파우치백에 손잡이를 자동으로 부착하는 장치로서, 손잡이의 공급을 위한 수단으로서 장치 프레임측에 수직 설치됨과 더불어 다수 개의 손잡이를 일렬로 차곡차곡 적층시킨 상태로 저장하고 있다가 손잡이를 1개씩 아래쪽으로 공급하는 상하부 개방형의 사각 케이스 구조로 이루어진 손잡이 카트리지와, 손잡이의 투입을 위한 수단으로서 장치 프레임측에 지지되는 구조로 설치됨과 더불어 손잡이 카트리지의 아래쪽 배출측에 위치되어 전후진 작동하면서 손잡이를 위아래 2겹의 파우치백 사이로 투입하는 푸셔 및 푸셔 실린더와, 상기 장치 프레임측에 지지되는 구조로 설치되면서 2겹의 파우치백 사이의 손잡이 투입 위치의 상부에 위치되어 승강 작동하면서 파우치백 사이의 손잡이를 가압 융착하는 히팅 블록 및 히팅 블록 실린더와, 상기 장치 프레임측에 지지되는 구조로 설치되면서 손잡이 및 파우치백의 가압 융착 시에 히팅 블록과 파우치백 사이에 개재되어 파우치백과 히팅 블록 간의 직접적인 접촉을 차단하는 논스틱장치를 포함하는 것이 특징이다.
특히, 상기 손잡이 카트리지의 전후면과 양측면에는 내부에 저장되어 있는 손잡이의 충전량을 확인하기 위해 위아래로 길게 절개되어 있는 형태의 카트리지 홀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손잡이 가 부착장치는 장치 프레임측에 지지되는 구조로 설치되는 동시에 손잡이 카트리지의 양옆에 위치되어 손잡이 카트리지 내의 손잡이 유무를 감지하는 한쌍의 손잡이 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손잡이 카트리지에 저장되어 있는 손잡이에 끼워지는 착탈 가능하게 끼워지는 구조로 설치되어 적층되어 있는 손잡이측에 적당한 하중을 부여함과 더불어 손잡이 충전 시 손잡이를 정렬시킨 상태로 충전할 수 있도록 해주는 손잡이 정렬바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장치 프레임에 지지되는 구조로 설치되어 히팅 블록의 저부에 나란하게 배치되면서 히팅 블록에 의해 눌려지는 파우치백과 손잡이를 받쳐주는 다이 블록 및 다이 블록 실린더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논스틱장치는 장치 프레임에 설치되는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의 양단부에 설치되는 시트 롤과, 상기 양쪽의 시트 롤 사이에 걸쳐지면서 히팅 블록의 저면부 아래쪽에 위치되어 파우치백과 접하는 테프론 시트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논스틱장치의 시트 롤은 레버의 조작에 의해 회전 가능한 구조로 설치되고, 상기 테프론 시트는 한쪽의 시트 롤에서 풀리면서 다른 한쪽의 시트 롤에 감기는 구조로 설치되어, 일정 시간 사용 후 테프론 시트의 히팅 블록 접촉 부분을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논스틱장치는 양쪽의 시트 롤의 아래쪽에 각각 하나씩 나란하게 배치되면서 테프론 시트에 장력을 부여하는 가이드 롤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파우치백용 손잡이 부착장치는 장치 프레임에 지지되는 구조로 설치됨과 더불어 푸셔의 앞쪽에 위치되는 동시에 손잡이 카트리지의 아래쪽에 위치되어 파우치백 사이로 투입되는 손잡이의 위치와 진행을 안내하는 가이드 플레이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손잡이 완전 부착장치는 장치 프레임 상에 지지되면서 상판과 하판, 그리고 후판으로 구성되는 플레이트 구조물과, 상기 플레이트 구조물의 상판측에 지지되는 구조로 설치되면서 2겹의 상하부 원단 사이의 손잡이 위치의 위쪽에 위치되어 승강 작동하면서 상하부 원단 사이의 손잡이를 가압 융착하는 히팅 블록 및 히팅 블록 실린더와, 상기 히팅 블록의 저부에 나란하게 배치되는 동시에 플레이트 구조물의 하판측에 지지되는 구조로 설치되면서 히팅 블록에 의해 눌려지는 상하부 원단과 손잡이를 받쳐주는 다이 블록과, 상기 플레이트 구조물 상에 지지되는 구조로 설치되면서 손잡이 및 상하부 원단의 가압 융착 시에 히팅 블록과 상하부 원단 사이에 개재되어 상하부 원단과 히팅 블록 간의 직접적인 접촉을 차단하는 한쌍의 논스틱장치를 포함하는 것이 특징이다.
여기서, 상기 논스틱장치는 플레이트 구조물에 설치되는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의 양단부에 설치되는 시트 롤과, 상기 양쪽의 시트 롤 사이에 걸쳐지면서 히팅 블록의 저면부 아래쪽에 위치되어 상하부 원단과 접하는 테프론 시트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논스틱장치는 양쪽의 시트 롤의 아래쪽에 각각 하나씩 나란하게 배치되면서 테프론 시트에 장력을 부여하는 가이드 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초음파 실링장치는 장치 프레임 상에 지지되는 베이스 플레이트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측에 지지되면서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부에서 이와 나란하게 수평 배치되는 상부 플레이트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 상에 상하 이동 가능한 구조로 설치되어 상하부 원단의 저면을 받쳐주는 받침 블록 및 상기 받침 블록을 승강시켜주는 받침 블록 실린더와, 상기 받침 블록의 위쪽에 위치되면서 상부 플레이트 상에 지지되는 구조로 설치되어 상하부 원단의 지퍼 부착부위를 초음파 진동으로 눌러서 실링시키는 초음파 진동기기 및 초음파 진동자를 포함하는 것이 특징이다.
여기서, 상기 초음파 실링장치는 초음파 진동기기 및 초음파 진동자가 설치되어 있는 상부 플레이트를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수단으로서, 베이스 플레이트에서 수직 연장되면서 상부 플레이트를 관통하는 지지용 바와, 상기 상부 플레이트를 기준으로 하여 지지용 바의 위쪽 길이 구간과 아래쪽 길이 구간에 각각 설치되어 초음파 진동을 상쇄하는 스프링 및 스프링 홀더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초음파 실링장치의 초음파 진동기기 및 초음파 진동자는 상부 플레이트에 형성되어 있는 슬라이드 홀을 따라 이동하면서 위치를 옮겨서 고정될 수 있도록 된 것이 특징이다.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파우치백 제조설비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1) 파우치백 원단 공급에서부터 손잡이 부착 및 지퍼 부착, 그리고 3면 봉합 및 커팅 등의 각 공정을 연계적으로 조합한 연속 자동화 라인으로 손잡이는 물론 지퍼 등을 구비한 파우치백을 제조하는 새로운 파우치백 제조설비를 적용함으로써, 파우치백의 제조와 관련한 생산성 향상과 더불어 공정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고, 파우치백의 제조 품질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2) 손잡이 공급파트, 손잡이 투입파트, 손잡이 융착파트 등을 연계적으로 작동시켜서 파우치백에 손잡이를 자동으로 부착하는 새로운 형태의 손잡이 부착장치를 적용함으로써, 공정 자동화에 따른 인건비 절감 및 생산성 향상을 도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3) 손잡이 공급라인을 단순화할 수 있고 손잡이 공급속도를 단축할 수 있는 탄창식 카트리지 타입으로 손잡이를 공급하는 방식을 채택함으로써, 공간 점유율을 낮출 수 있고 장치의 전체적인 구조를 콤팩트하게 설계할 수 있는 등 공정 레이아웃 설계에 유리한 효과가 있다.
4) 2겹의 비닐 원단 내측으로 손잡이를 삽입하여 손잡이의 돌출 부분을 제거함으로써, 후속 충전 공정을 위한 자동화 라인의 설계 자유도를 높일 수 있고, 후속 충전 공정과의 공정 간 유기적인 연계성을 확보할 수 있으며, 충전 불량 문제를 말끔히 해소하여 후속 충전 공정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5) 파우치백의 바깥쪽으로 손잡이가 돌출되지 않고 또 적절한 강성을 발휘하면서도 손잡이의 두께가 얇기 때문에 우수한 그립감을 제공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가 간편하게 집어서 들고 다닐 수 있는 등 사용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6) 지퍼가 부착되어 있는 비닐 원단의 양단부를 초음파로 실링하여 마감 처리하는 공정을 채택함으로써, 파우치백의 외관 품질을 높일 수 있고, 지퍼의 잦은 개폐 조작 시에도 지퍼의 기능을 유지할 수 있는 등 지퍼의 내구수명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우치백 제조설비를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우치백 제조설비를 나타내는 도면
도 3과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우치백 제조설비에서 손잡이 홀 펀칭장치를 나타내는 도면
도 5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우치백 제조설비에서 손잡이 가(假) 부착장치를 나타내는 도면
도 12와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우치백 제조설비에서 손잡이 완전 부착장치를 나타내는 도면
도 14와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우치백 제조설비에서 초음파 실링장치를 나타내는 도면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우치백 제조설비로 제조한 파우치백을 나타내는 도면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우치백 제조설비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우치백 제조설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과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파우치백 제조설비는 상부 원단 공급장치(110), 하부 원단 및 지퍼 공급장치(111), 원단 장력 유지장치(112), 손잡이 홀 펀칭장치(113), 손잡이 가 부착장치(114), 지퍼 부착장치(115), 손잡이 완전 부착장치(116), 원단 상단부 부착장치(117), 1차 냉각장치(118), 초음파 실링장치(119), 원단 사이드부 부착장치(120), 2차 냉각장치(121) 등을 순차적으로 배치한 연속 자동화 라인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그리고, 상기 2차 냉각라인(121)의 후속 라인에는 파우치백 내부의 공기를 빼기위한 숨구멍 역할을 하는 홀을 가공하는 홀 펀치장치(154), 파우치백의 날카로운 모서리 부분을 둥글게 절단하는 라운드 펀치장치(155), 연속해서 이어져 오는 원단을 각각의 낱개로 절단하여 하나의 파우치백을 완성하는 단위 포장 커팅장치(156)가 순차적으로 배치되고, 각 장치들의 사이사이에는 마크 센서 등과 같은 센서장치들이 배치된다.
여기서, 상기 상부 원단 공급장치(110)는 비닐 소재의 상부 원단을 공급하는 장치이고, 상기 하부 원단 및 지퍼 공급장치(111)는 비닐 소재의 하부 원단과 지퍼를 공급하는 장치이고, 상기 원단 장력 유지장치(112)는 후속 라인으로 진행되는 원단에 적당한 장력을 부여하는 장치이고, 상기 지퍼 부착장치(115)는 상하부 원단 사이에 지퍼를 부착하는 장치이고, 상기 원단 상단부 부착장치(117)는 지퍼가 부착되어 있는 쪽의 상하부 원단의 상단부를 접착하여 밀봉하는 장치이고, 상기 1차 냉각장치(118)는 접착되어 있는 원단 상단부에 대한 냉각을 실시하는 장치이고, 상기 원단 사이드부 부착장치(120)는 상하부 원단의 양쪽 사이드부를 접착하는 장치이고, 상기 2차 냉각장치(121)는 접착되어 있는 원단 사이드부에 대한 냉각을 실시하는 장치이다.
이에 따라, 상기 상부 원단 공급장치(110)와 하부 원단 및 지퍼 공급장치(112)에서 공급되는 상하부 원단(예컨대, 원단 사이의 지퍼를 포함하는 상하부 원단)은 원단 장력 유지장치(112)에 의해 적절한 장력을 유지한 채 후속 라인을 따라 진행되고, 이렇게 진행되는 상하부 원단은 순차적으로 배치되어 있는 손잡이 홀 펀칭장치(113)→손잡이 가 부착장치(114)→지퍼 부착장치(115)→손잡이 완전 부착장치(116)→원단 상단부 부착장치(117)→1차 냉각장치(118)→초음파 실링장치(119)→원단 사이드부 부착장치(120)→2차 냉각장치(121)→홀 펀치장치(154)→라운드 펀치장치(155)→단위 포장 커팅장치(156)를 차례로 경유한 후에 하나의 완성된 파우치백으로 제조된다.
이러한 파우치백 제조장치에서 상부 원단 공급장치(110), 하부 원단 및 지퍼 공급장치(112), 원단 장력 유지장치(112), 지퍼 부착장치(115), 원단 상단부 부착장치(117), 1차 냉각장치(118), 초음파 실링장치(119), 원단 사이드부 부착장치(120), 2차 냉각장치(121), 홀 펀치장치(154), 라운드 펀치장치(155), 단위 포장 커팅장치(156) 등은 공지의 파우치백 제조설비에서 채택하고 있는 장치들과 구조 및 작동이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위와 같은 공지의 파우치백 제조설비에 원단 장력 유지장치(112)와 지퍼 부착장치(115) 사이에 위치되어 상하부 원단에 손잡이가 들어갈 구멍을 뚫어주는 손잡이 홀 펀칭장치(113), 상기 손잡이 홀 펀칭장치(113)의 뒤쪽에 연이어 위치되어 상하부 원단의 손잡이 홀에 손잡이를 삽입한 후에 가 접착하는 손잡이 가 부착장치(114), 상기 지퍼 부착장치(115)의 뒤쪽에 연이어 위치되어 상하부 원단에 가 접착되어 있는 손잡이를 완전히 융착 고정시키는 손잡이 완전 부착장치(116), 상기 1차 냉각장치(118)와 원단 사이드부 부착장치(120) 사이에 위치되어 상하부 원단에 부착되어 있는 지퍼의 양단부를 초음파로 실링하는 초음파 실링장치(119)를 추가하거나 또는 개량하여 적용한 것이 특징이다.
도 3과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우치백 제조설비에서 손잡이 홀 펀칭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과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손잡이 홀 펀칭장치(113)는 상부 플레이트(123) 및 하부 플레이트(124), 펀치 블록(125), 다이 블록(126), 업다운 실린더(127)를 포함한다.
상기 상부 플레이트(123)와 하부 플레이트(124)는 서로 상하 간격을 유지함과 더불어 수평 자세로 나란하게 배치되면서 장치 프레임(122) 상에 지지되는 구조로 설치된다.
예를 들면, 상기 상하부 플레이트(123,124)는 그 후단부를 통해 다수의 플레이트 조합형 구조물과 함께 장치 프레임(122) 상에 지지되는 구조로 설치될 수 있게 된다.
상기 펀치 블록(125)은 서로 겹쳐져 있는 상하부 원단에 트랙 모양의 홀을 펀칭하는 수단으로서, 이러한 펀치 블록(125)의 저면부에는 트랙 모양의 펀치(157)가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펀치 블록(125)은 상부 플레이트(123)의 저면에 상하 유동가능하게 위치되는 동시에 업다운 실린더(127)의 로드에 결합되어 지지되는 구조로 설치된다.
상기 다이 블록(126)은 펀치 블록(125)이 트랙 모양의 홀을 펀칭할 때 아래쪽에서 이와 함께 짝을 이루는 수단으로서, 이러한 펀치 블록(125)의 상면부에는 펀치(157)의 수용을 위해 위쪽의 펀치(157)에 상응하는 트랙 모양의 펀치 홀(132)이 형성된다.
상기 업다운 실린더(127)는 펀치(157) 및 펀치 블록(125)을 승강시켜주는 수단으로서, 이러한 업다운 실린더(127)는 상부 플레이트(123)의 상면부에 설치되고, 이렇게 설치되는 업다운 실린더(127)의 로드는 상부 플레이트(123)의 개구부위를 통해 아래로 수직 연장되어 펀치 블록(125)에 결합된다.
이에 따라, 스텝 방식으로 이송되는 2겹의 상부 원단 및 하부 원단이 펀치 블록(125)과 다이 블록(126) 사이에 위치되면, 업다운 실린더(127)가 하강 작동에 의해 펀치 블록(125)이 아래로 이동하게 되고, 계속해서 펀치 블록(125)에 있는 펀치(157)가 상하부 원단을 뚫고 다이 블록(126)의 펀치 홀(132) 내에 진입하게 되므로서, 상하부 원단에 트랙 모양의 손잡이 홀이 가공되며, 손잡이 홀의 가공을 마친 펀치(157)와 펀치 블록(125)은 업다운 실린더(127)의 상승 작동에 의해 원래의 위치로 복귀된다.
도 5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우치백 제조설비에서 손잡이 가(假) 부착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 내지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손잡이 가 부착장치(114)는 파우치백 제조라인 상의 일측, 예를 들면 손잡이 홀 펀칭장치(113)과 지퍼 부착장치(115) 사이에 설치되어 파우치백, 즉 상하부 원단의 손잡이 홀에 손잡이를 자동으로 가 부착하는 장치로서, 파우치백 제조라인을 따라 이송되는 파우치백의 내측으로 손잡이를 투입하고, 압력과 열을 이용하여 파우치백에 손잡이를 가압 융착시키는 방법으로 손잡이 일체형의 파우치백을 제조하는 장치이다.
이를 위하여, 상기 파우치백용 손잡이 부착장치는 손잡이를 공급하는 수단으로 손잡이 카트리지(10)를 포함한다.
상기 손잡이 카트리지(10)는 상하부 개방형의 사각 케이스 구조, 예를 들면 손잡이의 전후 및 좌우 4면을 감쌀 수 있는 직사각형의 길다란 케이스 구조로 이루어지게 되고, 이때의 손잡이 카트리지(10)는 장치 프레임(12)의 상부 플레이트 상에 카트리지 브라켓(11)을 이용하여 지지되는 구조로 수직 설치된다.
이렇게 설치되는 손잡이 카트리지(10)의 개방된 하단부는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면, 실질적으로 베이스 플레이트 상에 설치되는 가이드 플레이트(23)의 상면에 근접 위치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손잡이 카트리지(10)는 다수 개의 손잡이를 일렬로 차곡차곡 적층시킨 상태로 저장하고 있다가 손잡이를 1개씩 아래쪽의 가이드 플레이트(23) 상에 공급할 수 있게 된다.
즉, 손잡이 카트리지(10)에 들어 있는 가장 아래쪽의 손잡이가 푸셔(13)에 의해 빠져나가게 되면, 그 바로 위에 있던 손잡이가 자중에 의해 손잡이 카트리지(10)를 빠져나와 가이드 플레이트(23) 상에 위치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손잡이 카트리지(10)의 전후면과 양측면에는 위아래로 길게 절개되어 있는 형태의 카트리지 홀(29)이 형성되며, 이에 따라 작업자는 카트리지 내부에 저장되어 있는 손잡이가 어느 정도 채워져 있는 지를 쉽게 확인할 수 있게 된다.
특히, 상기 장치 프레임(12)의 상부 플레이트에는 손잡이 카트리지(10)의 양옆에, 즉 손잡이 카트리지(10)의 양측면에 있는 카트리지 홀(29)의 위치에 한쌍의 손잡이 센서(26)가 센서 브라켓(27)에 의해 지지되는 구조로 설치된다.
이에 따라, 상기 손잡이 카트리지(10) 내의 손잡이가 계속 빠져나가게 되면, 손잡이 카트리지(10)의 내부에 들어 있는 손잡이의 적층 높이가 점차적으로 줄어들게 되고, 결국 손잡이의 높이가 어느 정도 줄어들게 되면(예컨대, 손잡이 총 충전량의 약 2/3 정도가 줄어들게 되면), 이를 한쌍의 손잡이 센서(26)가 감지하게 되며, 이때의 손잡이 센서(26)의 감지신호를 입력받은 컨트롤러(미도시)의 출력 제어에 의해 손잡이 보충을 위한 경고신호 등이 울릴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손잡이 카트리지(10) 내의 손잡이 유무를 감지하는 한쌍의 손잡이 센서(26)는 한 세트의 수광 발광 센서 등을 적용할 수 있게 된다.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기 파우치백용 손잡이 부착장치는 손잡이 카트리지(19) 내에 적층 상태로 채워져 있는 손잡이측에 적당한 하중을 부여하고 또 손잡이 충전 시에 손잡이를 정렬시킨 상태로 충전할 수 있도록 해주는 수단으로 손잡이 정렬바(28)를 포함한다.
상기 손잡이 정렬바(28)는 핸들 부분과 사각막대 부분의 조합형으로 이루어지게 되고, 이러한 손잡이 정렬바(28)는 사각막대 부분을 이용하여 손잡이 카트리지(19)에 저장되어 있는 손잡이의 홀 내에 착탈 가능하게 끼워지는 구조로 설치된다.
이에 따라, 상기 손잡이 카트리지(10)의 내부에 다량의 손잡이를 채울 때, 손잡이를 하나하나 낱개로 채우는 불편함없이 밖에서 손잡이 정렬바(28)의 사각막대 부분에 다량의 손잡이를 차곡차곡 끼운 다음, 손잡이 정렬바(28)에 손잡이가 끼워져 있는 채 그대로 손잡이 카트리지(10) 내에 위로부터 삽입하게 되면, 다량의 손잡이를 한꺼번에 손쉽게 채울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손잡이 카트리지(10)의 내부에 적층 상태로 채워져 있는 손잡이의 홀에 손잡이 정렬바(28)를 끼운 상태로 손잡이 위에 얹혀놓게 되면, 이때의 손잡이 정렬바(28)가 발휘하는 무게에 의해 손잡이들은 아래쪽으로 하중을 받게 되고, 결국 손잡이 로딩 영역에 있던 가장 아래쪽의 손잡이가 1개 앞쪽으로 빠져나가면 전체 손잡이들이 하중에 의해 아래쪽으로 이동하면서 손잡이 카트리지(10) 내의 그 다음의 손잡이가 원활하게 손잡이 카트리지(10)의 하단부를 벗어나 로딩 영역에 위치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손잡이 가 부착장치(114)는 푸셔 실린더(14), 히팅 블록 실린더(16), 논스틱장치(17) 등과 같은 각 구성부품을 지지하는 수단으로 장치 프레임(12)을 포함한다.
상기 장치 프레임(12)은 파우치백 제조라인측 프레임(미도시) 상에 지지되는 베이스 플레이트 및 포스트 플레이트, 그리고 포스트 플레이트의 전면에 위아래로 나란하게 수평 설치되는 상부 플레이트 및 하부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플레이트 조합형의 구조물 형태로 이루어지게 된다.
이러한 장치 프레임(12)의 베이스 플레이트에는 푸셔 실린더(14)가, 상부 플레이트에는 히팅 블록 실린더(16) 및 손잡이 카트리지(10)가, 하부 플레이트에는 논스틱장치(17)가 각각 설치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장치 프레임(12)의 베이스 플레이트 뒤쪽, 예를 들면 손잡이 카트리지(10)의 아래쪽으로는 가상의 손잡이 로딩영역이 조성되며, 이에 따라 손잡이 로딩영역에 위치되는 1개의 손잡이는 푸셔(13)에 의해 밀려서 파우치백 내측으로 진입될 수 있게 된다.
이와 더불어, 상기 장치 프레임(12)의 상부 플레이트에는 뒤쪽으로 사각의 절개부위가 형성되고, 이렇게 형성되는 절개부위를 통해 수직의 손잡이 카트리지(10)의 하단부가 진입하여 하부 플레이트측까지 위치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손잡이 가 부착장치(114)는 파우치백의 내측으로 손잡이를 투입하는 수단으로 푸셔(13)와 푸셔 실린더(14)를 포함한다.
상기 푸셔 실린더(14)는 장치 프레임(12)의 베이스 플레이트 상에 설치되며, 이렇게 설치되는 푸셔 실린더(14)는 파우치백 제조라인의 길이 방향(예컨대, 파우치백 진행 방향)에 대해 90°의 각도를 이루며 파우치백 제조라인의 폭 방향을 향해 위치된다.
상기 푸셔(13)는 사각판 형태로서, 푸셔 실린더(14)의 피스톤 로드에 결합되어 수평 자세를 취하면서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면에 접하게 되며, 이러한 푸셔(13)는 장치 프레임(12)의 베이스 플레이트 뒤쪽으로 조성되어 있는 손잡이 로딩영역의 바로 뒤쪽에 위치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푸셔 실린더(14)의 전진 작동 시 푸셔(13)가 앞쪽으로 이동하면서 손잡이 로딩영역에 위치되어 있는 손잡이를 밀게 되고, 결국 손잡이는 위아래 2겹의 파우치백 사이에 투입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손잡이 가 부착장치(114)는 2겹의 파우치백 사이의 손잡이 투입 위치의 상부에 위치되어 승강 작동하면서 파우치백 사이의 손잡이를 가압 융착하는 수단으로 히팅 블록(15) 및 히팅 블록 실린더(16)을 포함한다.
상기 히팅 블록 실린더(16)는 장치 프레임(12)의 상부 플레이트의 상면에 수직 자세로 설치되며, 이렇게 설치되는 히팅 블록 실린더(16)의 피스톤 로드는 상부 플레이트와 하부 플레이트를 관통한 후에 하부 플레이트의 저부까지 연장 위치될 수 있게 된다.
상기 히팅 블록(15)은 사각의 블록 형태로서, 함께 겹쳐있는 파우치백 및 손잡이에 열과 압력을 가해서 파우치백과 손잡이를 실질적으로 가 융착시키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러한 히팅 블록(15)은 장치 프레임(12)의 하부 플레이트의 저부에 위치되면서 히팅 블록 실린더(16)의 실린더 로드에 결합되는 구조로 설치된다.
이때, 상기 히팅 블록(15)의 저면에는 양편 2곳의 돌출부, 즉 실질적으로 파우치백과 손잡이 눌러주는 돌출부(미도시)가 형성되어 있어서, 히팅 블록(15)의 가압 시 파우치백과 손잡이는 양쪽 2곳이 가 접착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히팅 블록(15)에는 열선(미도시)이 내장되며, 따라서 히팅 블록(15)은 열선에 의해 소정의 온도로 가열된 상태에서 파우치백과 손잡이를 눌러서 융착시킬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히팅 블록 실린더(16)의 전진(하강) 작동 시 히팅 블록(15)이 아래쪽으로 내려가면서 파우치백과 그 사이에 삽입되어 있는 손잡이를 함께 눌러주게 되고, 결국 히팅 블록(15)의 열과 누르는 힘에 의해 파우치백에 손잡이의 양쪽 2점이 가 융착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손잡이 가 부착장치(114)는 손잡이 및 파우치백의 가압 융착 시 히팅 블록(15)과 파우치백 사이에 개재되면서 파우치백과 히팅 블록(15)이 직접적으로 접촉되지 않도록 해주는 수단, 즉 파우치백이 열에 의해 녹으면서 히팅 블록(15)에 달라붙는 것을 막아주는 수단으로 논스틱장치(17)를 포함한다.
상기 논스틱장치(17)는 지지대(18), 시트 롤(19a,19b) 및 테프론 시트(20)를 포함한다.
상기 지지대(17)는 "ㄷ"자 모양의 바 형태로서, 장치 프레임(12)의 하부 플레이트의 선단부에 체결 구조로 설치된다.
상기 시트 롤(19a,19b)은 테프론 시트(20)를 지지하는 역할과 더불어 테프론 시트(20)를 감아주고 풀어주는 역할도 하는 것으로서, 지지대(17)의 양단부에 회전 가능한 구조로 설치된다.
상기 테프론 시트(20)는 파우치백과 손잡이에 대한 융착 작업을 할 때 열을 받아도 들어붙지 않는 띠 모양의 시트로서 여러 번 재사용할 수 있으며, 양쪽의 시트 롤(19a,19b) 사이에 팽팽하게 걸쳐지는 구조로 설치된다.
이렇게 설치되는 테프론 시트(20)는 히팅 블록(15)의 저면부 아래쪽에 나란하게 위치되고, 즉 파우치백과 히팅 블록(15) 사이에 위치되고, 히팅 블록(15)가 하강하면 히팅 블록(15)의 저면과 파우치백의 표면 사이에 끼여 있는 상태로 접하면서 파우치백이 히팅 블록(15)에 달라붙는 것을 막아줄 수 있게 된다.
특히, 상기 시트 롤(19a,19b)은 레버(21)의 조작에 의해 회전 가능한 구조로 설치된다.
즉, 상기 시트 롤(19a,19b)은 지지대(17) 상에 회전 가능한 구조로 설치되고, 이렇게 설치되는 시트 롤(19a,19b)의 축에는 레버(21)가 각각 장착된다.
이에 따라, 상기 한쪽의 레버(21)를 돌리게 되면, 한쪽의 시트 롤(19a)에 감겨있던 테프론 시트(20)가 풀리게 되고, 이와 더불어 다른 한쪽의 레버(21)를 돌리게 되면, 풀려난 테프론 시트(20)가 다른 한쪽의 시트 롤(19b)에 감기게 되므로서, 테프론 시트(20)를 일정 시간 사용한 후, 수명이 다한 테프론 시트(20)의 히팅 블록 접촉 부분을 새로운 부분으로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논스틱장치(17)는 양쪽의 시트 롤(19a,19b)의 아래쪽에 각각 하나씩 나란하게 배치되면서 테프론 시트(20)에 장력을 부여하는 한쌍의 가이드 롤(22)을 포함한다.
상기 가이드 롤(22)은 테프론 시트(20)에 적절한 장력을 부여하여 항상 팽팽한 상태가 유지되도록 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지지대(17)의 양단부에 회전 가능한 구조로 설치된다.
이에 따라, 상기 한쪽의 시트 롤(19a)에서 풀려나온 테프론 시트(20)는 한쪽의 가이드 롤(22)에 걸쳐진 다음, 계속해서 히팅 블록(15)의 저부를 가로지른 후에 다른 한쪽의 가이드 롤(22)을 거쳐 다른 한쪽의 시트 롤(19b)에 감겨지게 된다.
또한, 상기 손잡이 가 부착장치(114)는 손잡이를 손잡이 로딩영역에 정확하게 위치시켜줌과 더불어 손잡이가 정확한 경로를 따라 투입되도록 해주는 수단으로 가이드 플레이트(23)를 포함한다.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23)는 장치 프레임(12)의 베이스 플레이트에 조성되는 손잡이 로딩영역의 바닥측에 설치되며, 푸셔(13)의 앞쪽에 위치되어 있는 손잡이가 파우치백 사이로 투입될 때, 이때의 손잡이의 진행을 안내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예를 들면, 상기 손잡이 카트리지(10)를 벗어난 손잡이가 손잡이 로딩영역으로 떨어지게 되면, 가이드 플레이트(23)의 상면부 내측 영역, 즉 손잡이 로딩영역 내에 정확하게 위치될 수 있게 되고, 또 푸셔(13)의 전진 이동에 의해 손잡이가 밀려나게 되면, 이때의 손잡이는 가이드 플레이트(23)과 양쪽 벽체와 접하면서 가이드 플레이트(23)가 유도하는 경로를 따라 정확한 일직선상으로 밀려나면서 파우치백 내의 정해진 위치에 정확하게 투입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손잡이 가 부착장치(114)는 히팅 블록(15)과 함께 위아래에서 파우치백 및 손잡이를 가압 융착하는 수단으로 다이 블록(24)과 다이 블록 실린더(25)를 포함한다.
상기 다이 블록 실린더(25)는 수직 자세를 취하면서 장치 프레임(12)에 지지되는 구조로 설치되고, 이렇게 설치되는 다이 블록 실린더(25)의 실린더 로드에 다이 블록(24)이 결합되는 구조로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다이 블록(24)은 히팅 블록(15)의 저부에 나란하게 배치되면서 히팅 블록(15)에 의해 눌려지는 파우치백과 손잡이를 받쳐줄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다이 블록(24)의 경우 초기 상태에서는 장치 프레임(12)의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면보다 아래쪽에 위치될 수 있으며, 가압 및 융착 시 살짝 상승하게 되므로서, 이때의 다이 블록(24)의 상면과 장치 프레임(12)의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면은 거의 동일면(예를 들면, 1겹의 비닐 두께 만큼의 미세한 단차를 이루는 동일면)을 이룰 수 있게 되고, 이에 따라 푸셔(13)에 의해 밀려나는 손잡이가 아래쪽 1겹의 비닐 위로 쉽게 진입하여 들어올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손잡이 가 부착장치(114)의 사용상태에 대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상기 상기 손잡이 가 부착장치(114)는 파우치백 제조라인 상의 일측, 예를 들면 손잡이 부착 부위에 홀을 가공하는 손잡이 홀 펀칭 스텝의 다음 스텝에 설치되어 손잡이 홀 형성 부위에 손잡이를 부착하게 된다.
먼저, 파우치백 제조라인을 따라 이송되는 파우치백이 손잡이 부착 스텝에 위치된다.
이때의 파우치백의 손잡이 부착 부위는 위아래 2겹으로 벌어져 있는 상태가 된다.
이와 더불어, 손잡이 카트리지(10)측에서 배출되는 손잡이는 손잡이 로딩 영역인 가이드 플레이트(23) 내에 안착된다.
이 상태에서, 푸셔 실린더(14)의 전진 작동에 의해 푸셔(13)가 전진하게 되면, 손잡이 로딩 영역에 있던 손잡이는 앞쪽으로 밀려나서 다이 블록(24)의 상면에 위치되어 있는 파우치백의 위아래 2겹의 비닐 원단, 즉 상부 원단과 하부 원단 사이로 투입된다.
계속해서, 히팅 블록 실린더(16)의 전진(하강) 작동에 의해 히팅 블록(15)이 하강하는 동시에 다이 블록 실린더(25)의 전진(상승) 작동에 의해 다이 블록(25)이 상승하게 되면, 파우치백과 손잡이는 논스틱장치(17)의 테프론 시트(20)를 사이에 두고 히팅 블록(15)에 의해 눌려짐과 더불어 다이 블록(24)에 의해 받쳐지면서 열을 받아 융착되고, 따라서 손잡이는 파우치백의 내측(예컨대, 2겹의 상하부 원단 사이)에 2곳이 융착된 상태로 일체식으로 부착된다.
그리고, 푸셔 실린더(14) 및 푸셔(13)와 히팅 블록 실린더(16) 및 히팅 블록(15)과 다이 블록 실린더(25) 및 다이 블록(24)이 초기 위치로 복귀되고, 이와 더불어 손잡이가 부착된 파우치백이 다음 스텝으로 진행되는 동시에 새로운 파우치백이 손잡이 부착 스텝에 위치되는 것으로 손잡이 부착 공정을 위한 1사이클이 완료된다.
도 12와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우치백 제조설비에서 손잡이 완전 부착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와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손잡이 완전 부착장치(116)는 히팅 블록 실린더(130), 논스틱장치(133) 등과 같은 각 구성부품을 지지하는 수단으로 플레이트 구조물(128)을 포함한다.
상기 플레이트 구조물(128)은 파우치백 제조라인측 프레임, 즉 장치 프레임(122) 상에 지지되면서 상판과 하판, 그리고 후판으로 구성된다.
예를 들면, 상기 플레이트 구조물(128)은 장치 프레임(122) 상에 지지되는 하판 및 후판, 그리고 포스트 플레이트의 전면에 위아래로 나란하게 수평 설치되는 한쌍의 상판을 포함하는 플레이트 조합형의 구조물 형태로 이루어지게 된다.
이러한 플레이트 구조물(128)의 위쪽 상판에는 히팅 블록 실린더(130)가, 하판에는 다이블록(131)이, 후판에는 한쌍의 논스틱장치(133)가 각각 설치될 수 있게 된다.
이때의 한쌍의 논스틱장치(133) 중 아래쪽 논스틱장치(133)는 후판에 직접 지지되는 구조, 위쪽의 논스틱장치(133)는 후판에서 연장되는 아래쪽 상판에 지지되는 구조로 설치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손잡이 완전 부착장치(116)는 플레이트 구조물(128)의 상판측에 지지되는 구조로 설치되면서 2겹의 상하부 원단 사이의 손잡이 위치의 위쪽에 위치되어 승강 작동하면서 상하부 원단 사이의 손잡이를 가압 융착하는 수단으로 히팅 블록(129) 및 히팅 블록 실린더(130)를 포함한다.
상기 히팅 블록 실린더(130)는 장치 프레임(122)의 위쪽 상판의 상면에 수직 자세로 설치되며, 이렇게 설치되는 히팅 블록 실린더(130)의 피스톤 로드는 위아래 상판을 관통한 후에 아래쪽 상판의 저부까지 연장 위치될 수 있게 된다.
상기 히팅 블록(129)은 사각의 블록 형태로서, 함께 겹쳐있는 파우치백 및 손잡이에 열과 압력을 가해서 파우치백과 손잡이를 실질적으로 완전 융착시키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러한 히팅 블록(129)은 장치 프레임(122)의 아래쪽 상판의 저부에 위치되면서 히팅 블록 실린더(130)의 실린더 로드에 결합되는 구조로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히팅 블록(129)에는 열선(미도시)이 내장되며, 따라서 히팅 블록(129)은 열선에 의해 소정의 온도로 가열된 상태에서 파우치백과 손잡이를 눌러서 융착시킬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히팅 블록 실린더(130)의 하강 작동 시 히팅 블록(129)이 아래쪽으로 내려가면서 파우치백과 그 사이에 삽입되어 있는 손잡이를 함께 눌러주게 되고, 결국 히팅 블록(129)의 열과 누르는 힘에 의해 파우치백에 손잡이의 전체 면적이 완전 융착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손잡이 완전 부착장치(114)는 히팅 블록(129)과 함께 위아래에서 파우치백 및 손잡이를 가압 융착하는 수단으로 다이 블록(131)을 포함한다.
상기 다이 블록(131)은 히팅 블록(129)의 저부에 나란하게 배치되는 동시에 플레이트 구조물(128)의 하판측에 지지되는 구조로 설치되면서 히팅 블록(129)에 의해 눌려지는 상하부 원단과 손잡이를 받쳐주는 역할을 하게 된다.
즉, 상기 다이 블록(131)은 히팅 블록(129)의 저부에 나란하게 배치되면서 히팅 블록(129)에 의해 눌려지는 파우치백과 손잡이를 받쳐줄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손잡이 완전 부착장치(116)는 손잡이 및 파우치백의 가압 융착 시 히팅 블록(129)과 파우치백 사이에 개재되면서 파우치백과 히팅 블록(129)이 직접적으로 접촉되지 않도록 해주는 수단, 즉 파우치백이 열에 의해 녹으면서 히팅 블록(129)에 달라붙는 것을 막아주는 수단으로 위아래 한쌍의 논스틱장치(133)를 포함한다.
상기 논스틱장치(133)는 플레이트 구조물(128) 상에 지지되는 구조로 설치되면서 손잡이 및 상하부 원단의 가압 융착 시 히팅 블록(129) 및 다이 블록(131)과 상하부 원단 사이에 개재되어 상하부 원단과 히팅 블록(129) 및 다이 블록(131) 간의 직접적인 접촉을 차단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를 위하여, 상기 논스틱장치(133)는 지지대(134), 시트 롤(135a,135b) 및 테프론 시트(136)를 포함한다.
상기 지지대(134)는 바 형태로서, 장치 프레임(122)의 후판에 있는 아래쪽 상판과 하판에 각각 고정되는 구조로 설치된다.
상기 시트 롤(135a,135b)은 테프론 시트(136)를 팽팽하게 지지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지지대(134) 상에 후단 고정되는 구조로 설치된다.
상기 테프론 시트(136)는 파우치백과 손잡이에 대한 융착 작업을 할 때 열을 받아도 들어붙지 않는 띠 모양의 시트로서 여러 번 재사용할 수 있으며, 양쪽의 시트 롤(135a,135b) 사이에 팽팽하게 걸쳐지는 구조로 설치된다.
이렇게 설치되는 테프론 시트(136)는 히팅 블록(129)의 저면부 아래쪽과 다이 블록(131)의 상면부 위쪽에 나란하게 위치되고, 즉 파우치백과 히팅 블록(129) 사이 및 파우치백과 다이 블록(131) 사이에 위치되고, 히팅 블록(129)가 하강하면 히팅 블록(129)의 저면과 파우치백의 표면 사이 및 다이 블록(131)의 상면과 파우치백의 표면 사이에 끼여 있는 상태로 접하면서 파우치백이 히팅 블록(129) 및 다이 블록(131)에 달라붙는 것을 막아줄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논스틱장치(133)는 양쪽의 시트 롤(135a,135b)의 아래쪽에 각각 하나씩 나란하게 배치되면서 테프론 시트(136)에 장력을 부여하는 한쌍의 가이드 롤(137)을 포함한다.
상기 가이드 롤(137)은 테프론 시트(136)에 적절한 장력을 부여하여 항상 팽팽한 상태가 유지되도록 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시트 롤(135a,135b)과 위아래로 나란하게 위치되면서 지지대(134) 상에 후단 고정되는 구조로 설치된다.
이에 따라, 상기 한쪽의 시트 롤(135a)에서 풀려나온 테프론 시트(136)는 한쪽의 가이드 롤(137)에 걸쳐진 다음, 계속해서 히팅 블록(129)의 저부와 다이 블록(131)의 상부를 가로지른 후에 다른 한쪽의 가이드 롤(137)을 거쳐 다른 한쪽의 시트 롤(135b)에 감겨지게 된다.
도 14와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우치백 제조설비에서 초음파 실링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와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초음파 실링장치(119)는 파우치백에 부착되어 있는 지퍼, 즉 상하부 원단 사이에 부착되어 있는 지퍼의 양쪽 끝 부분 돌출부를 눌러서 납작하게 펴주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를 위하여, 상기 장치 프레임(미도시) 상에는 라인의 폭 방향을 가로걸쳐 배치되는 베이스 플레이트(138)가 설치되고, 이렇게 설치되는 베이스 플레이트(138)의 상부에는 초음파 진동기기(142)의 설치를 위한 상부 플레이트(139)와 상하부 원단의 저면을 받쳐주기 위한 받침 블록(140)이 일정 간격을 유지하면서 위아래로 나란하게 배치된다.
여기서, 상기 상부 플레이트(139)는 베이스 플레이트(138)에 수직 설치되어 있는 한쌍의 지지용 바(144)에 의해 양단 지지되는 구조로 설치되고, 상기 받침 블록(140)은 그 저면을 통해 베이스 플레이트(138)에 수직 자세로 설치되어 있는 2개 정도의 받침 블록 실린더(141)에 의해 지지되는 구조로 설치되어 받침 블록 실린더(14)의 작동 시 위아래로 작동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상부 플레이트(139)에는 상하부 원단의 지퍼 부착부위를 초음파 진동으로 눌러서 실링시키는 초음파 진동기기(142) 및 초음파 진동자(143)가 수직 자세로 설치된다.
이렇게 설치되는 초음파 진동기기(142)의 초음파 진동자(143)의 바로 아래쪽 동일선상에는 받침 블록(140)이 위치될 수 있게 되며, 이에 따라 상하부 원단의 지퍼 부착부분은 초음파 진동자(143)와 받침 블록(140) 사이에 위치되어 눌려질 수 있게 된다.
특히, 상기 초음파 실링장치(119)는 초음파 진동 시의 충격이나 진동을 효과적으로 감쇄할 수 있는 구조를 포함한다.
이를 위하여, 상기 초음파 진동기기(142) 및 초음파 진동자(143)가 설치되어 있는 상부 플레이트(139)를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수단으로 한쌍의 지지용 바(144)와 각 지지용 바(144)에 속하는 다수 개의 스프링(145) 및 스프링 홀더(146)를 포함한다.
상기 지지용 바(144)는 길다란 장볼트 형태의 바로서, 이러한 지지용 바(144)는 하단부를 통해 베이스 플레이트(138)에 고정되는 구조로 설치되고, 이렇게 설치되는 수직의 지지용 바(144)에는 상부 플레이트(139)가 관통될 수 있게 된다.
상기 스프링(145)는 지지용 바(144)의 둘레에 끼워지는 4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부 플레이트(139)를 기준으로 하여 2개의 스프링(145)은 상부 플레이트(139)와 베이스 플레이트(138) 사이에, 나머지 2개는 상부 플레이트(139)의 상부에 각각 위치될 수 있게 되고, 이때의 각 스프링(145)은 플레이트측과 스프링 홀더(146)측에 양단 지지되는 구조로 설치될 수 있게 된다.
예를 들면, 상기 지지용 바(144)의 아래쪽 길이 구간에 위치되는 스프링(144), 즉 상부 플레이트(139)와 베이스 플레이트(138) 사이에 위치되는 스프링(145)은 지지용 바(144)에 나사 체결되어 있는 스프링 홀더(146)의 저면과 베이스 플레이트(138)의 상면(예컨대, 베이스 플레이트에 있는 스페이서의 상면) 사이에 양단 지지되는 구조로 설치되고, 지지용 바(144)의 위쪽 길이 구간에 위치되는 스프링(144), 즉 상부 플레이트(139)의 상부에 위치되는 스프링(145)은 지지용 바(144)에 나사 체결되어 있는 스프링 홀더(146)의 저면과 상부 플레이트(139)의 상면(예컨대, 상부 플레이트에 있는 스페이서의 상면) 사이에 양단 지지되는 구조로 설치된다.
이에 따라, 초음파 진동기기(142)의 작동 시 상부 플레이트(139) 등에 전해지는 진동이 스프링(145)에 의해 상쇄되면서 초음파 실링작업이 보다 안정적으로 진행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스프링 홀더(146)는 지지용 바(144)에 나사 체결구조로 설치되고, 이에 따라 스프링 홀더(146)의 위치를 위아래로 옮겨가면서 스프링(145)의 탄성력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기 초음파 실링장치(119)의 초음파 진동기기(142) 및 초음파 진동자(143)는 상부 플레이트(139)에 형성되어 있는 슬라이드 홀(147)을 따라 이동하면서 위치를 옮겨서 고정될 수 있는 구조로 설치되며, 이에 따라 다양한 크기를 갖는 파우치백, 즉 다양한 지퍼 부착 위치에 적극 대처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지퍼가 장착되어 있는 파우치백이 초음파 실링영역, 즉 초음파 진동자(143)와 받침 블록(140) 사이에 위치되면, 받침 블록 실린더(141)의 상승 작동에 의해 받침 블록(140)이 상승하여 파우치백의 저면(예컨대, 지퍼 장착 부위의 저면)을 받쳐주게 됨과 더불어 파우치백의 상면(예컨대, 지퍼 장착 부위의 상면)이 초음파 진동자(143)에 밀착되고, 이와 동시에 초음파 진동기기(142)의 작동에 따라 초음파 진동자(143)가 동작하게 되므로서, 파우치백의 지퍼 장착 부위, 즉 파우치백의 표면보다 튀어나와 있는 돌출 부위가 납잡하게 눌려지면서 편평해질 수 있게 된다.
그리고, 파우치백의 양편의 지퍼 장착 부위에 대한 초음파 실링 작업은 파우치백의 스텝 진행에 의해 순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우치백 제조설비로 제조한 파우치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여기서는 본 발명의 파우치백 제조설비에 의해 제조된 손잡이 일체형의 파우치백을 보여준다.
상기 손잡이(148)는 지퍼(153)를 가지는 파우치백(149)의 손잡이 홀(150) 둘레에 배치되면서 2겹의 비닐 등의 상부 원단(151) 및 하부 원단(152) 사이에 내장된 상태를 이루며 파우치백(149)에 일체형으로 부착되며, 이러한 손잡이(148)는 바깥쪽에서 조립되는 기존의 손잡이처럼 파우치백의 표면에서 돌출되지 않고, 또 2개를 결합한 형태로 되어 있는 기존의 손잡이 대비 상대적으로 얇은 두께를 가질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 손잡이 일체형의 파우치백은 우수한 그립감을 제공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가 간편하게 집어서 들고 다닐 수 있는 등 사용의 편의성을 높일 수 있는 한편, 손잡이의 돌출 부분이 없기 때문에 후속 충전 공정을 위한 자동화 라인에서의 간섭 문제를 완전히 배제할 수 있는 등 공정 간의 유기적인 연계성을 확보할 수 있는 동시에 공정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파우치백의 원단을 공급하는 장치, 손잡이 부착장치 및 지퍼 부착장치, 그리고 3면 봉합 및 커팅장치 등을 순차적으로 조합하고, 각 장치 간의 연계적인 공정을 이용한 연속 자동화 라인으로 손잡이는 물론 지퍼 등을 구비한 파우치백을 제조하는 새로운 설비를 제공함으로써, 파우치백의 제조와 관련한 생산성 향상과 더불어 공정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고, 파우치백의 제조 품질을 확보할 수 있다.
특히, 상기 파우치백 제조설비에서는 손잡이 공급파트, 손잡이 투입파트, 손잡이 융착파트 등을 구비하고, 이러한 각각의 파트들을 연계적으로 작동시키면서 파우치백에 손잡이를 자동으로 가 부착하는 한편, 특히 탄창식 카트리지 타입으로 손잡이를 효과적으로 공급하는 방식을 채택한 새로운 손잡이 부착장치를 제공함으로써, 공정 자동화에 따른 인건비 절감 및 생산성 향상을 도모할 수 있음은 물론, 손잡이 공급과 관련한 구조적인 이점을 얻을 수 있고, 손잡이의 돌출 부분을 제거하여 후속 충전 공정을 위한 자동화 라인의 설계 자유도를 높일 수 있으며, 내용물 충전 불량 문제를 말끔히 해소하여 후속 충전 공정에서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10 : 손잡이 카트리지
11 : 카트리지 브라켓
12 : 장치 프레임
13 : 푸셔
14 : 푸셔 실린더
15 : 히팅 블록
16 : 히팅 블록 실린더
17 : 논스틱(Non-stick) 장치
18 : 지지대
19a,19b : 시트 롤
20 : 테프론 시트(Teflon sheet)
21 : 레버
22 : 가이드 롤
23 : 가이드 블록
24 : 다이 블록
25 : 다이 블록 실린더
26 : 손잡이 센서
27 : 센서 브라켓
28 : 손잡이 정렬바
29 : 카트리지 홀
110 : 상부 원단 공급장치
111 : 하부 원단 및 지퍼 공급장치
112 : 원단 장력 유지장치
113 : 손잡이 홀 펀칭장치
114 : 손잡이 가 부착장치
115 : 지퍼 부착장치
116 : 손잡이 완전 부착장치
117 : 원단 상단부 부착장치
118 : 1차 냉각장치
119 : 초음파 실링장치
120 : 원단 사이드부 부착장치
121 : 2차 냉각장치
122 : 장치 프레임
123 : 상부 플레이트
124 : 하부 플레이트
125 : 펀치 블록
126 : 다이 블록
127 : 업다운 실린더
128 : 플레이트 구조물
129 : 히팅 블록
130 : 히팅 블록 실린더
131 : 다이 블록
132 : 펀치 홀
133 : 논스틱장치
134 : 지지대
135a,135b : 시트 롤
136 : 테프론 시트
137 : 가이드 롤
138 : 베이스 플레이트
139 : 상부 플레이트
140 : 받침 블록
141 : 받침 블록 실린더
142 : 초음파 진동기기
143 : 초음파 진동자
144 : 지지용 바
145 : 스프링
146 : 스프링 홀더
147 : 슬라이드 홀
148 : 손잡이
149 : 파우치백
150 : 손잡이 홀
151 :상부 원단
152 : 하부 원단
153 : 지퍼
154 : 홀 펀치장치
155 : 라운드 펀치장치
156 : 단위 포장 커팅장치
157 : 펀치

Claims (17)

  1. 비닐 소재의 상부 원단을 공급하는 상부 원단 공급장치(110)와, 비닐 소재의 하부 원단과 지퍼를 공급하는 하부 원단 및 지퍼 공급장치(111)와, 상하부 원단에 장력을 부여하는 원단 장력 유지장치(112)와, 상하부 원단에 지퍼를 부착하는 지퍼 부착장치(115)와, 지퍼가 부착되어 있는 쪽의 상하부 원단의 상단부를 접착하는 원단 상단부 부착장치(117)와, 원단 상단부에 대한 냉각을 실시하는 1차 냉각장치(118)와, 상하부 원단의 양쪽 사이드부를 접착하는 원단 사이드부 부착장치(120)와, 원단 사이드부에 대한 냉각을 실시하는 2차 냉각장치(121)를 포함하는 공지의 파우치백 제조설비에 있어서,
    상기 원단 장력 유지장치(112)와 지퍼 부착장치(115) 사이에 위치되어 상하부 원단에 손잡이가 들어갈 구멍을 뚫어주는 손잡이 홀 펀칭장치(113)와, 상기 손잡이 홀 펀칭장치(113)의 뒤쪽에 연이어 위치되어 상하부 원단의 손잡이 홀에 손잡이를 삽입한 후에 가 접착하는 손잡이 가 부착장치(114)와, 상기 지퍼 부착장치(115)의 뒤쪽에 연이어 위치되어 상하부 원단에 가 접착되어 있는 손잡이를 완전히 융착 고정시키는 손잡이 완전 부착장치(116)와, 상기 1차 냉각장치(118)와 원단 사이드부 부착장치(120) 사이에 위치되어 상하부 원단에 부착되어 있는 지퍼의 양단부를 초음파로 실링하는 초음파 실링장치(119)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우치백 제조설비.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 홀 펀칭장치(113)는 장치 프레임(122) 상에 지지되면서 상하 간격을 유지하는 상부 플레이트(123) 및 하부 플레이트(124)와, 상기 상부 플레이트(123)의 저면에 상하 유동가능하게 설치되는 펀치 블록(125)과, 상기 펀치 블록(125)의 하부에서 하부 플레이트(124)의 상면에 고정 설치되는 다이 블록(126)과, 상기 상부 플레이트(123)의 상면부에 설치되면서 로드를 통해 펀치 블록(125)과 연결되어 펀치 블록(125)을 상하 동작시켜주는 업다운 실린더(127)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우치백 제조설비.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 가 부착장치(114)는 파우치백 제조라인 상의 일측에 설치되어 파우치백에 손잡이를 자동으로 부착하는 장치로서,
    손잡이의 공급을 위한 수단으로서, 장치 프레임(12)측에 수직 설치됨과 더불어 다수 개의 손잡이를 일렬로 차곡차곡 적층시킨 상태로 저장하고 있다가 손잡이를 1개씩 아래쪽으로 공급하는 상하부 개방형의 사각 케이스 구조로 이루어진 손잡이 카트리지(10)와, 손잡이의 투입을 위한 수단으로서, 장치 프레임(12)측에 지지되는 구조로 설치됨과 더불어 손잡이 카트리지(10)의 아래쪽 배출측에 위치되어 전후진 작동하면서 손잡이를 위아래 2겹의 파우치백 사이로 투입하는 푸셔(13) 및 푸셔 실린더(14)와, 상기 장치 프레임(12)측에 지지되는 구조로 설치되면서 2겹의 파우치백 사이의 손잡이 투입 위치의 상부에 위치되어 승강 작동하면서 파우치백 사이의 손잡이를 가압 융착하는 히팅 블록(15) 및 히팅 블록 실린더(16)와, 상기 장치 프레임(12)측에 지지되는 구조로 설치되면서 손잡이 및 파우치백의 가압 융착 시에 히팅 블록(15)과 파우치백 사이에 개재되어 파우치백과 히팅 블록(15) 간의 직접적인 접촉을 차단하는 논스틱장치(17)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우치백 제조설비.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 카트리지(10)의 전후면과 양측면에는 내부에 저장되어 있는 손잡이의 충전량을 확인하기 위해 위아래로 길게 절개되어 있는 형태의 카트리지 홀(29)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우치백 제조설비.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장치 프레임(12)측에 지지되는 구조로 설치되는 동시에 손잡이 카트리지(10)의 양옆에 위치되어 손잡이 카트리지(10) 내의 손잡이 유무를 감지하는 한쌍의 손잡이 센서(26)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우치백 제조설비.
  6.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 카트리지(19)에 저장되어 있는 손잡이에 끼워지는 착탈 가능하게 끼워지는 구조로 설치되어 적층되어 있는 손잡이측에 적당한 하중을 부여함과 더불어 손잡이 충전 시 손잡이를 정렬시킨 상태로 충전할 수 있도록 해주는 손잡이 정렬바(28)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우치백 제조설비.
  7.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장치 프레임(12)에 지지되는 구조로 설치되어 히팅 블록(15)의 저부에 나란하게 배치되면서 히팅 블록(15)에 의해 눌려지는 파우치백과 손잡이를 받쳐주는 다이 블록(24) 및 다이 블록 실린더(25)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우치백 제조설비.
  8.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논스틱장치(17)는 장치 프레임(12)에 설치되는 지지대(18)와, 상기 지지대(18)의 양단부에 설치되는 시트 롤(19a,19b)과, 상기 양쪽의 시트 롤(19a,19b) 사이에 걸쳐지면서 히팅 블록(15)의 저면부 아래쪽에 위치되어 파우치백과 접하는 테프론 시트(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우치백 제조설비.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논스틱장치(17)의 시트 롤(19a,19b)은 레버(21)의 조작에 의해 회전 가능한 구조로 설치되고, 상기 테프론 시트(20)는 한쪽의 시트 롤(19a)에서 풀리면서 다른 한쪽의 시트 롤(19b)에 감기는 구조로 설치되어, 일정 시간 사용 후 테프론 시트의 히팅 블록 접촉 부분을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우치백 제조설비.
  10.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논스틱장치(17)는 양쪽의 시트 롤(19a,19b)의 아래쪽에 각각 하나씩 나란하게 배치되면서 테프론 시트(20)에 장력을 부여하는 가이드 롤(2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우치백 제조설비.
  11.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장치 프레임(12)에 지지되는 구조로 설치됨과 더불어 푸셔(13)의 앞쪽에 위치되는 동시에 손잡이 카트리지(10)의 아래쪽에 위치되어 파우치백 사이로 투입되는 손잡이의 위치와 진행을 안내하는 가이드 플레이트(23)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우치백 제조설비.
  1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 완전 부착장치(116)는 장치 프레임(122) 상에 지지되면서 상판과 하판, 그리고 후판으로 구성되는 플레이트 구조물(128)과, 상기 플레이트 구조물(128)의 상판측에 지지되는 구조로 설치되면서 2겹의 상하부 원단 사이의 손잡이 위치의 위쪽에 위치되어 승강 작동하면서 상하부 원단 사이의 손잡이를 가압 융착하는 히팅 블록(129) 및 히팅 블록 실린더(130)와, 상기 히팅 블록(129)의 저부에 나란하게 배치되는 동시에 플레이트 구조물(128)의 하판측에 지지되는 구조로 설치되면서 히팅 블록(129)에 의해 눌려지는 상하부 원단과 손잡이를 받쳐주는 다이 블록(131)과, 상기 플레이트 구조물(128) 상에 지지되는 구조로 설치되면서 손잡이 및 상하부 원단의 가압 융착 시에 히팅 블록(129)과 상하부 원단 사이에 개재되어 상하부 원단과 히팅 블록(129) 간의 직접적인 접촉을 차단하는 한쌍의 논스틱장치(13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우치백 제조설비.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논스틱장치(133)는 플레이트 구조물(128)에 설치되는 지지대(134)와, 상기 지지대(134)의 양단부에 설치되는 시트 롤(135a,135b)과, 상기 양쪽의 시트 롤(135a,135b) 사이에 걸쳐지면서 히팅 블록(129)의 저면부 아래쪽에 위치되어 상하부 원단과 접하는 테프론 시트(13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우치백 제조설비.
  14.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논스틱장치(133)는 양쪽의 시트 롤(135a,135b)의 아래쪽에 각각 하나씩 나란하게 배치되면서 테프론 시트(136)에 장력을 부여하는 가이드 롤(137)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우치백 제조설비.
  1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초음파 실링장치(119)는 장치 프레임(122) 상에 지지되는 베이스 플레이트(138)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38)측에 지지되면서 베이스 플레이트(138)의 상부에서 이와 나란하게 수평 배치되는 상부 플레이트(139)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38) 상에 상하 이동 가능한 구조로 설치되어 상하부 원단의 저면을 받쳐주는 받침 블록(140) 및 상기 받침 블록(140)을 승강시켜주는 받침 블록 실린더(141)와, 상기 받침 블록(140)의 위쪽에 위치되면서 상부 플레이트(139) 상에 지지되는 구조로 설치되어 상하부 원단의 지퍼 부착부위를 초음파 진동으로 눌러서 실링시키는 초음파 진동기기(142) 및 초음파 진동자(14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우치백 제조설비.
  16.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초음파 실링장치(119)는 초음파 진동기기(142) 및 초음파 진동자(143)가 설치되어 있는 상부 플레이트(139)를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수단으로서, 베이스 플레이트(138)에서 수직 연장되면서 상부 플레이트(139)를 관통하는 지지용 바(144)와, 상기 상부 플레이트(139)를 기준으로 하여 지지용 바(144)의 위쪽 길이 구간과 아래쪽 길이 구간에 각각 설치되어 초음파 진동을 상쇄하는 스프링(145) 및 스프링 홀더(14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우치백 제조설비.
  17.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초음파 실링장치(119)의 초음파 진동기기(142) 및 초음파 진동자(143)는 상부 플레이트(139)에 형성되어 있는 슬라이드 홀(147)을 따라 이동하면서 위치를 옮겨서 고정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우치백 제조설비.
KR1020230130258A 2023-09-27 2023-09-27 파우치백 제조설비 KR1026444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30258A KR102644494B1 (ko) 2023-09-27 2023-09-27 파우치백 제조설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30258A KR102644494B1 (ko) 2023-09-27 2023-09-27 파우치백 제조설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44494B1 true KR102644494B1 (ko) 2024-03-07

Family

ID=902714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130258A KR102644494B1 (ko) 2023-09-27 2023-09-27 파우치백 제조설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44494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67149A (ja) * 2002-08-06 2004-03-04 Sanai Pack Kk 手提袋及びその製造方法
KR20040097891A (ko) 2003-05-13 2004-11-18 가부시키가이샤 마루망 쇼핑봉투용 손잡이
KR20090111412A (ko) 2008-04-22 2009-10-27 김도언 내용물 배출구 일체형 손잡이가 구비된 포장팩 및 포장팩용손잡이
JP2011020719A (ja) * 2009-07-17 2011-02-03 Totani Corp 製袋機
KR20170050987A (ko) 2015-11-02 2017-05-11 (주)일성산업 손잡이를 가진 비닐봉투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
KR20170127337A (ko) 2016-05-11 2017-11-21 이민지 반복개폐 가능한 손잡이가 달린 쓰레기 봉투
KR102417792B1 (ko) * 2021-12-17 2022-07-06 박훈 비닐포장지 손잡이 부착 장치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67149A (ja) * 2002-08-06 2004-03-04 Sanai Pack Kk 手提袋及びその製造方法
KR20040097891A (ko) 2003-05-13 2004-11-18 가부시키가이샤 마루망 쇼핑봉투용 손잡이
KR20090111412A (ko) 2008-04-22 2009-10-27 김도언 내용물 배출구 일체형 손잡이가 구비된 포장팩 및 포장팩용손잡이
JP2011020719A (ja) * 2009-07-17 2011-02-03 Totani Corp 製袋機
KR20170050987A (ko) 2015-11-02 2017-05-11 (주)일성산업 손잡이를 가진 비닐봉투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
KR20170127337A (ko) 2016-05-11 2017-11-21 이민지 반복개폐 가능한 손잡이가 달린 쓰레기 봉투
KR102417792B1 (ko) * 2021-12-17 2022-07-06 박훈 비닐포장지 손잡이 부착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353196A (en) Package and automatic method of forming same
KR102417792B1 (ko) 비닐포장지 손잡이 부착 장치
KR200491764Y1 (ko) 일회용 포장용기 실링 장치
CN109178493B (zh) 包膜设备及物料入袋与封袋控制方法
CN109178491B (zh) 入袋模块、入袋控制方法及包膜设备
KR101260012B1 (ko) 자립형 파우치의 바닥부 접합장치 및 접합방법
PL95856B1 (pl) Sposob wytwarzania,napelniania i zamykania workow oraz urzadzenie do wytwarzania,napelniania i zamykania workow
KR102644494B1 (ko) 파우치백 제조설비
WO2007106916A1 (en) Continuous motion vertical form, fill and seal machine
JP2010006383A (ja) 製袋包装機
CN109178490B (zh) 入袋平台及包膜设备
KR20080082866A (ko) 포대 포장장치
CA2617069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joining two webs of material
KR102664322B1 (ko) 비닐봉투용 손잡이 부착장치
JP5402526B2 (ja) ヒートシール包装装置
KR101990843B1 (ko) 포장 장치
US3364650A (en) Combined bagging and packaging machine
TWM552004U (zh) 包裝袋束條及排氣閥安裝機
KR101752883B1 (ko) 컵홀더 제조장치
KR20200098890A (ko) 자동 포장기
KR101707887B1 (ko) 방향제 시트가 부착된 포장지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JP4798530B1 (ja) 手提げ付きガゼット袋の製造方法
JP5471007B2 (ja) シール包装装置、及びシール包装方法並びにその包装体
KR20080043263A (ko) 시트 공급 장치 및 이것을 이용한 시트 포장기
KR101677212B1 (ko) 포장백 제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