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44150B1 - 약품 배출과 회수, 그리고 재분배 작업이 가능한 약품 배출 장치 - Google Patents

약품 배출과 회수, 그리고 재분배 작업이 가능한 약품 배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44150B1
KR102644150B1 KR1020210148821A KR20210148821A KR102644150B1 KR 102644150 B1 KR102644150 B1 KR 102644150B1 KR 1020210148821 A KR1020210148821 A KR 1020210148821A KR 20210148821 A KR20210148821 A KR 20210148821A KR 102644150 B1 KR102644150 B1 KR 1026441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charge
drug
medicine
discharged
cont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488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64039A (ko
Inventor
김미연
Original Assignee
김미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미연 filed Critical 김미연
Priority to KR10202101488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44150B1/ko
Priority to PCT/KR2022/016781 priority patent/WO2023080570A1/ko
Publication of KR202300640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640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441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441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7/00Devices for administering medicines orally, e.g. spoons; Pill counting devices; Arrangements for time indication or reminder for taking medicine
    • A61J7/0076Medicament distribution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00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 A61J1/03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for pills or table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3/00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 A61J3/07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into the form of capsules or similar small containers for oral us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3/00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 A61J3/10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into the form of compressed table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7/00Devices for administering medicines orally, e.g. spoons; Pill counting devices; Arrangements for time indication or reminder for taking medici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7/00Devices for administering medicines orally, e.g. spoons; Pill counting devices; Arrangements for time indication or reminder for taking medicine
    • A61J7/0076Medicament distribution means
    • A61J7/0084Medicament distribution means for multiple medica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7/00Devices for administering medicines orally, e.g. spoons; Pill counting devices; Arrangements for time indication or reminder for taking medicine
    • A61J7/02Pill count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7/00Devices for administering medicines orally, e.g. spoons; Pill counting devices; Arrangements for time indication or reminder for taking medicine
    • A61J7/04Arrangements for time indication or reminder for taking medicine, e.g. programmed dispens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7/00Devices for administering medicines orally, e.g. spoons; Pill counting devices; Arrangements for time indication or reminder for taking medicine
    • A61J7/04Arrangements for time indication or reminder for taking medicine, e.g. programmed dispensers
    • A61J7/0409Arrangements for time indication or reminder for taking medicine, e.g. programmed dispensers with timers
    • A61J7/0454Arrangements for time indication or reminder for taking medicine, e.g. programmed dispensers with timers for dispensing of multiple dru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7/00Devices for administering medicines orally, e.g. spoons; Pill counting devices; Arrangements for time indication or reminder for taking medicine
    • A61J7/04Arrangements for time indication or reminder for taking medicine, e.g. programmed dispensers
    • A61J7/0409Arrangements for time indication or reminder for taking medicine, e.g. programmed dispensers with timers
    • A61J7/0472Arrangements for time indication or reminder for taking medicine, e.g. programmed dispensers with timers of the count-down type, i.e. counting down a predetermined interval after each rese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7/00Devices for administering medicines orally, e.g. spoons; Pill counting devices; Arrangements for time indication or reminder for taking medicine
    • A61J7/04Arrangements for time indication or reminder for taking medicine, e.g. programmed dispensers
    • A61J7/0409Arrangements for time indication or reminder for taking medicine, e.g. programmed dispensers with timers
    • A61J7/0481Arrangements for time indication or reminder for taking medicine, e.g. programmed dispensers with timers working on a schedule basi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2Social work or social welfare, e.g. community support activities or counselling service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2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 G16H20/1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relating to drugs or medications, e.g. for ensuring correct administration to pati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2200/00General characteristics or adaptations
    • A61J2200/70Device provided with specific sensor or indicating means
    • A61J2200/74Device provided with specific sensor or indicating means for weigh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2205/00General identification or selection mea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arket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conomic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edical Preparation Storing Or Oral Administration Devices (AREA)

Abstract

약품 자동 배출과 회수, 그리고 재분배 작업이 가능한 약품 배출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가 처방받은 약품 처방 정보에 따라 약품이 자동으로 배출되어 약품 복용 편의성이 향상되면서도, 수거하지 않은 약품은 별도 회수되고 다시 약통으로 재분배되어 버려지는 약품을 최소화하는 것이 가능하다.

Description

약품 배출과 회수, 그리고 재분배 작업이 가능한 약품 배출 장치{Drug Dispensing Device capable of Discharging, Retrieving and Redistributing Drug}
본 발명은 약품 배출과 회수, 그리고 재분배 작업이 가능한 약품 배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질병의 치료/증상 완화를 위해 태블릿(tablet) 혹은 캡슐(capsule) 형태의 약품이 처방되어 사용되고 있다. 만성 질환자의 경우, 한 번에 섭취하는 약품의 종류가 5~6개 이상일 수 있으며, 처방된 약품을 하루에 2~3번의 섭취하는 것이 요구되는 경우도 빈번하다. 일반적으로 만성 질환자는 1개월 이상에 해당하는 기간 동안의 약품을 처방받고, 약국에서 처방받은 약품을 수령하게 된다.
고령 만성질환자에서 복잡한 약물 복용 방법은 약물 복용의 정확성과 효용성을 떨어뜨려 질환의 약화를 유발하고 사망에 이르기까지 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비닐 재질 약포에 소분하는 시스템이 적용하기도 하지만, 일반적이지 않고, 소분하기 위해서는 약국에 특수 포장설비를 갖추는 것이 필요하고, 또 소분 포장을 위해 불필요한 대기시간이 소요되며, 약품을 섭취하고 나면, 약포는 버려져 환경 오염을 가중시킨다. 더욱이 진료 시 처방이 바뀌면 기존의 소분된 약품 전체가 버려지게 되는 낭비의 문제도 발생한다.
한편, 약품을 처방받은 자가 약품 섭취 시간을 별도로 설정해두지 않는다면, 일상 생활 중에 약품 섭취 시간에 약품을 섭취하지 못하는 경우도 빈번하다. 만성 질환자의 경우 증상 완화/유지를 위해 미리 정해진 약품 섭취 시간에 약품을 섭취하는 것이 요구되는 바, 미리 정해진 약품 섭취 시간마다 이를 섭취 대상자에게 알리고, 해당 약품 섭취 시간에 따른 약품을 제공할 수 있다면 만성 질환자의 치료/증상 완화에 상당한 도움이 된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약포에 의한 환경 오염을 저감하기 위해, 미국공개특허 제2016-0039553호와 같은 약품 분배 시스템이 개발되어 사용되어 왔다.
미국공개특허 제2016-0039553호는 다수의 컨테이너 각각에 어느 한 종류의 분배 가능 유닛(약품)이 수용되어 있으며, 장치에 입력된 시간/처방 용량에 따라 진공 장치에 의해 분배 가능 유닛이 흡입되어 배출되는 내용을 제시한다. 미리 정해진 약품 섭취 시간/처방 용량에 따라 약품이 배출되도록 되어 있으나, 사용자가 재때 약을 복용하지 않는 경우 배출구로 배출된 약품이 방치되고, 이전 배출약과 다음 배출약이 섞이는 단점이 존재하므로 약품 복용시간이 도래할 때마다 버튼을 눌러 약품이 분배되기를 기다려 복용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1368644호는 약제 배출장치에 관한 것으로, 인쇄된 복약정보를 취득하여 복약정보에 따라 인출구로 약포를 이송시키는 구성을 제안한다. 또한, 인출구에 이송된 약포가 복용시간에 복용되지 않고, 다음 복용시간이 도래하는 경우, 별도의 회수통으로 약포를 회수하는 회수장치를 제안한다. 하지만, 어디까지나 사전에 약포에 약품을 패키징하여야 한다는 단점이 있다.
미국공개특허문헌 제2016-0039553호(2016.02.11.) 한국등록특허문헌 제10-1368644호(2014.02.24.)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이다.
구체적으로, 사용자가 처방받은 약품 처방 정보에 포함된 약품 섭취 권장 시간에 따라 약품이 자동적으로 배출되어 편리하게 약품을 섭취하는 것이 가능한 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처방받은 약품을 수용하고 있는 약통을 장치에 설치만 하면 약품이 자동으로 배출될 수 있기에, 종래의 비닐, 종이 등의 약포를 사용함에 따라 발생하는 환경 오염 문제가 저감되는 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배출구로 배출된 약품이 소정 시간 이상 수거되지 않은 경우, 회수 약품 수용부로 해당 약품들이 수용되고, 회수된 약품들이 다시 종류별로 원래의 배출 약품 수용부에 재분배됨에 따라 버려지는 약품이 최소화되는 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출원의 일 실시예는, 약품 수용 공간을 갖는 배출 약품 수용부(1)가 설치되고, 제1 폐루프(closed-loop)를 이루는 제1 이송 레일(10), 상기 약품 수용 공간의 개방된 부분을 덮는 배출 약품 수용부 커버(2)가 설치되고, 상기 제1 폐루프보다 작은 제2 폐루프를 이루는 제2 이송 레일(20), 상기 제1 이송 레일(10)과 상기 제2 이송 레일(20)의 회전 운동에 따른 상기 배출 약품 수용부(1)와 상기 배출 약품 수용부 커버(2)의 이동 경로에 배치되며, 내부에 상기 배출 약품 수용부(1)로부터 배출된 약품의 식별을 위한 제어 공간(51)이 마련되는 배출 제어부(50), 상기 배출 제어부(50)의 상기 제어 공간(51)과 배출 라인(71)을 통해 연결되는 배출구(60) 및 상기 제1 이송 레일(10)과 상기 제2 이송 레일(20)에 의한 이송에 의해 상기 배출구(60)와 제1 회수 라인(72)을 통해 연결될 수 있으며, 상기 제1 이송 레일(10)에 설치되는 회수 약품 수용부(3)와 상기 제2 이송 레일(20)에 설치되는 회수 약품 수용부 커버(4)를 포함하는 약품 회수통을 포함하는, 약품 배출 장치를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배출 약품 수용부 커버(2)가 상기 제2 이송 레일(20)에 설치될 때, 상기 배출 약품 수용부(1)의 약품 수용 공간의 개방된 부분은 상기 배출 약품 수용부 커버(2)에 의해 덮이고, 상기 회수 약품 수용부 커버(3)가 상기 제2 이송 레일(20)에 설치될 때, 상기 회수 약품 수용부(3)의 회수 약품 수용 공간의 개방된 부분은 상기 회수 약품 수용부 커버(3)에 의해 덮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이송 레일(10)과 상기 제2 이송 레일(20)의 운동 속도는 동일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배출 제어부(50)는, 일측에 상기 약품 수용 공간의 개방된 부분과 연통될 수 있는 투입 구멍(52)이 형성되고, 상기 투입 구멍(52)과 마주하는 곳에 상기 배출 라인(71)과 연통될 수 있는 배출 구멍(53)이 형성되는, 하우징(54), 상기 투입 구멍(52)에 설치되어 상기 투입 구멍(52)의 크기를 조절하도록 구성된 조리개(55), 상기 배출 구멍(53)에 설치되어 상기 배출 구멍(53)을 개방 또는 폐쇄하도록 구성된 셔터(56) 및 상기 제어 공간(51)에 설치되어 대면 영역을 촬영하도록 구성된 촬영부(57)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셔터(56)는 외측에서 중심측을 향할수록 상기 배출구(60)에 가까워지도록 경사져 형성되고, 경사면을 포함하는 단면을 기준으로 상기 단면이 상기 배출구(60)의 일측으로부터 멀어지거나 가까워짐으로써 상기 배출 구멍(53)을 개방 또는 폐쇄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54) 내부에 2개 이상의 약품이 투입되는 경우, 투입된 2개 이상의 약품은 상기 셔터(56)의 상면 중 배출구(60)와 가장 가까운 부분에 일렬 정렬되고, 상기 단면이 상기 배출구(60)의 일측으로부터 멀어지는 경우 일렬 정렬된 약품들 중 하나의 약품이 상기 배출구(60)로 배출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배출 제어부(50)는, 상기 제어 공간(51)에 설치되어 상기 투입 구멍(52)으로부터 상기 배출 구멍(53)을 향하는 약품의 개수를 카운팅하도록 구성된 카운팅 센서(58)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배출구(60)와 상기 회수 약품 수용부(3) 사이를 연결하는 제1 회수 라인(72) 및 상기 배출 라인(71)의 일 지점에서 분기되어 상기 배출 제어부(50)와 상기 회수 약품 수용부(3) 사이를 연결하는 제2 회수 라인(73)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배출 라인(71)과 상기 제2 회수 라인(73)의 분기 지점에 마련되어 상기 배출 구멍(53)을 상기 배출 라인(71) 및 상기 제2 회수 라인(73) 중 어느 하나의 라인에 연통되도록 하는 제1 라인 조절 부재(7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배출 약품 수용부 커버(2)에는 상기 배출 약품 수용부(1)에 수용된 약품의 무게를 감지하도록 구성된 제1 압력 센서(6)가 설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 이송 레일(20)의 일 지점에 형성되어 상기 회수 약품 수용부 커버(4)의 상기 회수 약품 수용부(3)에 대한 개방 및 폐쇄를 제어하도록 구성된 개방기(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배출 약품 수용부(1)의 외면에는 해당 배출 약품 수용부의 약품 수용 공간에 수용된 약품의 정보가 인쇄된 식별 코드(C)가 부착되며, 상기 장치는, 배출 대상 약품의 종류, 배출 개수 및 배출 시간을 포함하는 약품 배출 정보를 입력 또는 인식하도록 구성된 배출 정보 인식부(81), 상기 배출 제어부(50)에 위치된 배출 약품 수용부(1)의 식별 코드(C)에 인쇄된 정보를 인식하도록 구성된 코드 인식부(82) 및 상기 배출 정보 인식부(81)와 상기 코드 인식부(82) 및 상기 배출 제어부(50)에서 획득되는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배출구(60)로의 약품 배출을 제어하는 컨트롤러(9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90)는, 상기 코드 인식부(82)에 의해 인식된 식별 코드(C)의 정보에 포함된 약품 종류와, 상기 배출 정보 인식부(81)에 입력 또는 인식된 약품 배출 정보의 약품 종류가 일치하는 경우, 해당 약품 배출 정보의 배출 개수 및 배출 시간에 따라 상기 배출 제어부(50)에 위치된 배출 약품 수용부(1)의 약품이 상기 배출구(60)로 배출되도록 상기 조리개(55) 및 상기 셔터(56)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90)는, 상기 촬영부(57)에 의한 촬영 결과를 이용하여 상기 제어 공간(51)에 투입된 약품의 종류를 판별하도록 구성된 약품 판단부(91)를 포함하며, 상기 약품 판단부(91)에 의해 판단된 약품의 종류가, 상기 코드 인식부(82)에 의해 인식된 식별 코드(C)의 정보에 포함된 인식된 약품 종류 및 상기 배출 정보 인식부(81)에 입력 또는 인식된 약품 배출 정보의 약품 종류 모두가 일치되었을 때, 해당 약품 배출 정보의 배출 개수 및 배출 시간에 따라 상기 배출 제어부(50)에 위치된 배출 약품 수용부(1)의 약품이 상기 배출구(60)로 배출되도록 상기 조리개(55) 및 상기 셔터(56)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배출구(60)에는, 상기 배출구(60)에 투입된 부하를 감지하도록 구성된 제2 압력 센서(7)가 설치되고, 상기 제1 회수 라인(72)에는 상기 배출구(60)와 상기 회수 약품 수용부(3) 사이의 연통을 제어하도록 구성된 제2 라인 조절 부재(75)가 설치되며, 상기 배출구(60)로 약품이 배출된 후 소정 시간이 경과한 시점까지 상기 제2 압력 센서(7)에서 소정 압력값 이상의 압력이 지속적으로 감지되는 경우, 상기 제2 라인 조절 부재(75)에 의해 상기 배출구(60)의 약품이 상기 회수 약품 수용부(3)로 투입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90)는, 상기 배출 제어부(50) 상에 상기 회수 약품 수용부(3)가 위치하고 상기 회수 약품 수용부(3) 내에 투입된 약품이 상기 제어 공간(51)에 배출될 때, 상기 제어 공간(51)에 배출되어 상기 약품 판단부(91)에 의해 판단된 약품의 종류와 일치하는 약품을 수용하는 배출 약품 수용부(1)가 상기 제2 회수 라인(73)에 정렬되도록 제1 이송 레일(10)과 제2 이송 레일(20)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90)는, 상기 배출 약품 수용부(1)가 상기 제2 회수 라인(73)에 정렬된 경우, 상기 배출 구멍(53)이 상기 제2 회수 라인(73)과 연통되도록 상기 제1 라인 조절 부재(74)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배출 정보 인식부(81)에 입력 또는 인식된 약품 배출 정보와, 상기 회수 약품 수용부(3)에서 배출 약품 수용부(1)들로 배출된 재분배 약품 정보의 비교 결과에 따라 배출 정확도가 연산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유휴 시간대에, 상기 배출 약품 수용부(1)로부터 상기 회수 약품 수용부(3)로 약품이 배출되고, 상기 약품 판단부(91)에 의해 상기 유휴 시간대에 배출된 약품 배출 정보가 판단되며, 상기 회수 약품 수용부(3)에서 배출 약품 수용부(1)들로 배출된 재분배 약품 정보와, 상기 유휴 시간대에 배출된 약품 배출 정보의 비교 결과에 따라 배출 정확도가 연산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유휴 시간대에 상기 배출 약품 수용부(1)로부터 배출된 약품 배출 정보와, 배출된 약품이 상기 배출구(60)에 위치하거나, 상기 제1 회수 라인(72), 또는 상기 제2 회수 라인(73)을 통한 상기 회수 약품 수용부(3)로 약품이 배출된 상태에서 시행한 재분배 과정에서의 재분배 약품 정보의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배출 라인(71), 상기 제1 회수 라인(72), 및 상기 제2 회수 라인(73) 중 하나 이상의 라인에 대한 고장 여부가 연산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연산된 배출 정확도가 미리 결정된 정확도 미만인 경우나, 상기 배출 라인(71), 상기 제1 회수 라인(72), 및 상기 제2 회수 라인(73) 중 하나 이상이 고장으로 연산되는 경우, 알림 발생부(93)에서 알람이 출력되고, 고장 부분에 대한 정보가 출력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이송 레일(10)과 상기 제2 이송 레일(20)은 나란히 연장되면서 각각이 폐루프를 이루되, 연장 경로 상에서 외측으로 굽어진 부분과 내측으로 굽어진 부분을 다수개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배출 약품 수용부(1)와 상기 배출 약품 수용부 커버(2) 이동 경로에 배치되되, 상기 배출 제어부(50)의 설치 위치와는 다른 위치에 마련되는 추가 배출 제어부 및 상기 추가 배출 제어부의 제어 공간과 추가 배출 라인을 통해 연결되는 추가 배출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사용자가 처방받은 약품 처방 정보에 포함된 약품 섭취 권장 시간에 따라 약품이 자동적으로 배출되고 환자에게 통지되어 편리하게 약품을 섭취하는 것이 가능하다.
둘째, 약품을 수용하고 있는 원래 약통을 그대로 장치에 설치만 하면 배출 약품 수용부(1)가 구성되어 약품이 자동으로 배출될 수 있기에, 약품을 나눠 담을 때의 오염 가능성이 사라지고 전체적인 약품의 재고파악이 가능해지며, 종래의 비닐, 종이 등의 약포를 사용함에 따라 발생하는 환경 오염 문제가 저감된다.
셋째, 배출구로 배출된 약품이 소정 시간 이상 수거되지 않은 경우, 회수 약품 수용부로 해당 약품들이 회수되고, 회수된 약품들이 다시 약통에 재분배됨에 따라 버려지는 약품이 최소화된다.
넷째, 약물을 복용하지 않고 시간이 경과한 경우, 또는 중한 부작용이 발생한 경우, 경과 시간 및 의학적 필요에 따라 미리 입력된 원칙으로 필요한 약품을 선별 복용하도록 할 수 있어 약물 복용에 있어 안전과, 질환 특성에 따른 대처가 가능하다.
다섯째, 회수된 약품은 약통에 재분배 작업을 거치면서 적정한 약품이 수거(복용) 되었는지 검증할 수 있어 기계의 정확도와 고장 여부가 자가 검증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약품 배출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도면으로서, 배출 약품 수용부가 배출 제어부에 위치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약품 배출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도면으로서, 회수 약품 수용부가 배출 제어부에 위치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약품 배출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도면으로서, 2개의 배출 제어부가 구비되어 하나의 장치에서 2명이 처방받은 약품을 각각 배출하는 것이 가능한 장치를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도 1의 약품 배출 장치의 배출 제어부의 내부 구성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약품 배출 장치의 동작 제어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약품 배출 장치의 약품 배출 동작 및 약품 회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약품 배출 장치에서 회수된 약품의 재분배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8과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제1 이송 레일과 제2 이송 레일의 일부가 굽어져 형성되는 모습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약품 수용부 내부의 약품을 혼합하여 약품이 엉기는 현상을 방지하는 회전 날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출원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에서, 용어 '배출 약품 수용부'는 사용자가 처방받은 약품들을 수용하는 구성을 의미하며, '배출 약품 수용부 커버'는 배출 약품 수용부의 개방된 부분을 커버하는 구성을 의미한다.
이하에서, 용어 '회수 약품 수용부'는 약품 배출 과정에서, 배출구로 배출되었으나 소정 시간 이상 회수되지 않거나, 잘못 배출된 약품들을 수용하는 구성을 의미하며, '회수 약품 수용부 커버'는 회수 약품 수용부의 개방된 부분을 커버하는 구성을 의미한다.
이하에서, 용어 '상방'은 도 1에서 배출구(60)에서 배출 제어부(50)를 향하는 방향을 의미한다. 배출 제어부(50)에서 배출구(60)를 향하는 방향을 '하방'을 의미한다. 또한, '상측'은 어느 한 구성보다 높은 위치에 위치함을 의미하고, '하측'은 어느 한 구성보다 낮은 위치에 위치함을 의미한다.
이하에서, 용어 '수거'는 배출구(60)로 배출된 약품을 사용자가 복용하기 위해 약을 가져가는 행동을 지칭하는 것으로 사용되고, 용어 '회수'는 배출구(60)로 배출된 약품이 소정 시간 이상 수거되지 않은 경우 회수 약통으로 투입하는 작업을 지칭하는 것으로 사용된다. 또한, 용어 '재분배'는 회수 약통으로 투입된 약품을 다시 원래의 배출 약통으로 투입하는 작업을 지칭하는 것으로 사용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약품 배출 장치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을 참조하면, 약품 배출 장치는 제1 이송 레일(10), 제2 이송 레일(20), 제1 구동부(30), 제2 구동부(40), 배출 제어부(50), 배출구(60), 배출 라인(71), 제1 회수 라인(72), 제2 회수 라인(73), 배출 정보 인식부(81), 코드 인식부(82) 및 컨트롤러(90)를 포함한다.
제1 이송 레일(10)과 제2 이송 레일(20)에는 배출 대상 약품과, 회수 대상 약품을 수용하는 배출 약통과 회수 약통이 설치된다.
제1 이송 레일(10)(또는 제2 이송 레일(20))과 배출 약품 수용부(1)(또는 회수 약품 수용부(3))는 연결 암을 통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배출 약품 수용부(1)는 연결 암을 통해 제1 이송 레일(10)에 설치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약품 배출 장치를 사용하려는 사용자는, 사용자가 갖는 질병에 따라 다양한 약품을 처방받는다. 따라서, 사용자마다 서로 다른 복수개의 배출 약품 수용부를 이송 레일에 설치하는 것이 필요하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약품 배출 장치는 별도 구동 장치 없이 자중에 의해 중력 방향으로 약품이 배출되도록, 배출 약품 수용부(1)가 배출 약품 수용부 커버(2)보다 높은 위치에 위치할 수 있다. 후술하겠지만, 제1 이송 레일(10)에 배출 약품 수용부(1)가 설치되고, 제2 이송 레일(20)에 배출 약품 수용부 커버(2)가 설치되는데, 배출 약품 수용부(1)와 배출 약품 수용부 커버(2)는 서로 별개로 이송 레일에 설치되는 것이 요구된다.
배출 약품 수용부(1)와 배출 약품 수용부 커버(2)가 각각 제1 이송 레일(10)과 제2 이송 레일(20)에 설치되면, 배출 약품 수용부 커버(2)는 배출 약품 수용부(1)의 약품 수용 공간의 개방된 부분을 덮도록 배치되어, 배출 제어부(50)에 배출 약품 수용부(1)가 위치한 경우를 제외한 나머지 위치에서 배출 약품 수용부(1)로부터의 약품 배출이 이루어지지 않는다. 이를 위해, 제1 이송 레일(10)과 제2 이송 레일(20)의 회전 운동은 서로 동기화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회전 운동 각속도 역시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다시,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약품 배출 장치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제1 이송 레일(10)과 제2 이송 레일(20)에 배출 약품 수용부(1), 배출 약품 수용부 커버(2), 회수 약품 수용부(3), 회수 약품 수용부 커버(4)가 모두 설치된 모습을 나타낸다.
제1 구동부(30)는 제1 이송 레일(10)에 연결되어 제1 이송 레일(10)의 회전 운동을 위한 구동력을 제공하도록 구성되고, 제2 구동부(40)는 제2 이송 레일(20)에 연결되어 제2 이송 레일(20)의 회전 운동을 위한 구동력을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이송 레일(10)과 제2 이송 레일(20)은 각각 폐루프(closed-loop)를 이룬다. 도 1에서는 제1 이송 레일(10)이 이루는 제1 폐루프가, 제2 이송 레일(20)이 이루는 제2 폐루프보다 큰 실시예가 도시된다. 제1 이송 레일(10)과 제2 이송 레일(20)이 폐루프를 이루고, 제1 구동부(30)와 제2 구동부(40)가 제1 이송 레일(10)과 제2 이송 레일(20)에 각각 회전 운동을 위한 구동력을 제공함에 따라, 제1 이송 레일(10)과 제2 이송 레일(20)은 회전 왕복 운동을 수행하게 된다. 일 예로, 제1 이송 레일(10)과 제2 이송 레일(20)은 체인 형태로 구비될 수 있으며, 제1 구동부(30)와 제2 구동부(40)는 체인 사이의 공간에 삽입되는 다수의 톱니를 갖는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배출 제어부(50)는 제1 이송 레일(10)과 제2 이송 레일(20)의 회전 운동에 따른 배출 약품 수용부(1)와 배출 약품 수용부 커버(2)의 이동 경로 상에 배치된다. 이는, 제1 이송 레일(10)과 제2 이송 레일(20)이 1회전 운동함에 따라, 제1 이송 레일과 제2 이송 레일(20)에 설치된 배출 약품 수용부(1)와 배출 약품 수용부 커버(2)는 배출 제어부(50)를 한번은 통과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배출 제어부(50)는 내부에 제어 공간(51)이 형성된 하우징(54)을 포함한다. 제1 이송 레일(10)과 제2 이송 레일(20)에 각각 배출 약품 수용부(1)와 배출 약품 수용부 커버(2)가 설치되었을 때, 배출 약품 수용부 커버(2)는 배출 약품 수용부(1)의 약품 수용 공간의 개방된 부분을 덮는다는 점은 전술한바 있다. 제1 이송 레일(10)과 제2 이송 레일(20)의 이동에 따라, 배출 약품 수용부(1)와 배출 약품 수용부 커버(2)가 배출 제어부(50)가 형성된 위치까지 이송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위치에서는 배출 약품 수용부(1)와 배출 약품 수용부 커버(2) 사이에 배출 제어부(50)가 위치된다. 즉, 배출 약품 수용부(1)에서 배출 제어부(50) 내부로 배출된 약품은 배출 라인을 거쳐 배출구(60) 또는 회수 약품 수용부(3)로 배출될 수 있다. 상기 위치에서는, 배출 약품 수용부(1)의 출구가 배출 제어부(50)의 투입 구멍(52)과 정렬되고, 배출 제어부(50)의 셔터(56)가 배출 라인과 정렬될 수 있어서, 투입 구멍(52)에 설치된 조리개(55)와, 셔터(56)의 제어를 통해 배출 약품 수용부(1)에 수용된 약품이 배출 라인을 향해 배출되는 것이 가능하다.
하우징(54)은 일 예로, 도 4에 도시된 형태를 가질 수 있으나, 특별히 이에 제한되지 않고 임의의 형태가 적용될 수 있다.
하우징(54) 내부에는 제어 공간(51)에 형성되고, 제어 공간(51)의 상부는 투입 구멍(52), 투입 구멍(52)과 마주하는 제어 공간(51)의 하부는 배출 구멍(53)이 형성된다. 투입 구멍(52)은 하우징(54)에 위치한 배출 약품 수용부(1)의 약품 수용 공간과 연통되고, 배출 구멍(53)은 배출구(60)와 연통(보다 구체적으로는, 배출 라인을 통해 배출구와 연통됨)된다.
투입 구멍(52)에는 조리개(55)가 설치된다. 조리개(55)는 컨트롤러(9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컨트롤러(90)의 제어에 의해 투입 구멍(52)의 크기를 조절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에서의 조리개(55)는 일 예로, 카메라에 사용되는 것과 유사한 형태의 조리개가 적용될 수 있으나, 특별히 이에 제한되지 않고 투입 구멍(52)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는 것이면 임의의 구성이 적용될 수 있다고 할 것이다.
즉, 조리개(55)에 의해 투입 구멍(52)이 폐쇄된 경우 배출 약품 수용부(1)에 수용된 약품이 제어 공간(51)으로 배출되지 못할 것이며, 조리개(55)에 의해 투입 구멍(52)이 개방된 경우 배출 약품 수용부(1)에 수용된 약품이 제어 공간(51)으로 배출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조리개(55)의 개방 정도에 따라 투입 구멍(52)의 크기가 조절될 수 있으므로, 투입 구멍(52)의 크기를 점진적으로 확대하면 다양한 크기, 형태의 약품이 하나씩만 통과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투입 구멍(52)은 약품이 하나씩 통과할 수 있는 최소한의 통로만 확보되도록 그 크기가 조절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실제 사용자가 처방받은 약품을 한 개씩 정확히 배출구(60)로 배출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배출 구멍(53)에는 셔터(56)가 설치된다. 셔터(56) 역시, 컨트롤러(9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개방/폐쇄가 제어될 수 있다.
도 1 및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셔터(56)는 가장자리에서 중심을 향할수록 배출구(60)에 가까워지도록 경사져 형성될 수 있다. 간혹, 제어 공간(51)에 2개 이상의 약품이 배출될 수 있는데(예를 들어, 조리개의 개방 시간이 길었거나, 약이 복수개가 겹쳐 떨어진 경우), 셔터(56)가 중심을 향할수록 배출구(60)에 가까워지도록 경사짐에 따라, 2개 이상의 약품이 셔터(56) 상면(구체적으로, 셔터 중앙부의 굽어진 부분)에 일렬로 배치되게 된다. 이는 셔터(56)에 의해, 제어 공간(51)에 2개 이상의 약품이 배출되었더라도, 1개의 약품만을 배출구(60)로 배출시키는 것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즉, 사용자가 처방받은 1회 복용 개수에 따라 약품을 정확하게 배출구(60)로 배출시키는 제어가 가능하다.
제어 공간(51)의 상면에는 촬영부(57)가 마련된다. 촬영부(57)는 셔터(56)를 포함하는 영역의 이미지/영상을 촬영하고, 특히 일관된 배경 하에서 약의 위치에 따라 다양한 각도에서의 약품 촬영 이미지/영상을 생성한다. 촬영부(57)에 의해 생성된 이미지/영상은 추후 컨트롤러(90)의 약품 판단부(91)에 전송되어 촬영 이미지/영상에 포함된 약품이 어떤 종류의 약품인지, 또한 몇 개의 약품이 제어 공간(51)에 배출되어 있는지 판단할 수 있게 된다.
촬영부(57)의 촬영 결과 인식 정확도를 높이기 위해, 제어 공간(51)의 상면에는 LED와 같은 광원(59)이 설치될 수 있으며, 촬영부(57)에 의한 촬영 시 광원(59)이 활성화되어 보다 고품질의 촬영 결과를 획득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제어 공간(51)의 일면에는 카운팅 센서(58)가 설치될 수 있다. 카운팅 센서(58)는 투입 구멍(52)으로부터 배출 구멍(53)을 향하는 약품의 개수를 카운팅하도록 구성된다. 카운팅 센서(58)에 의해 카운팅된 정보는 컨트롤러(90)에 전송되며, 제어 공간(51)으로 배출된 약품 배출 정보(여기에서는, 배출 개수)가 입력된 약품 배출 정보와 일치하는지 여부를 대조하는데 사용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약품이 서로 엉겨 배출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를 대비하여, 약품이 움직이도록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약통 내부에 삽입되어 회전하는 회전 날개(8) 구성이 추가로 적용될 수 있다. 회전 날개(8)는 소정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함으로써 약통 내부의 약품을 섞어주어 약품이 서로 엉기는 현상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배출구(60)는 제어 공간(51)으로부터 배출된 약품이 투입되는 구성으로, 사용자는 배출구(60)로 배출된 약품을 섭취하게 된다.
도 1을 참조하면, 배출 약품 수용부 커버(2)에는 제1 압력 센서(6)가 설치되고, 배출구(60)에는 제2 압력 센서(7)가 설치된다.
배출 약품 수용부(1)가 배출 약품 수용부 커버(2)보다 상측에 위치할 때, 제1 압력 센서(6)에는 배출 약품 수용부(1)에 수용된 약품의 무게를 감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제1 압력 센서(6)에서 감지된 약품의 무게는 컨트롤러(90)에 전송되어, 배출 약통 교체 알림을 출력하는데 사용되고, 입력 또는 인식된 약품 배출 정보에 따라 약품이 배출되었는지 여부를 판별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배출구(60)에 설치된 제2 압력 센서(7)는, 배출구(60)에 잔류하는 배출 약품의 무게를 감지하도록 구성된다. 입력 또는 인식된 약품 배출 정보에 따라 배출구(60)로 약품이 배출된 경우, 사용자는 배출구(60)로 배출된 약품을 수거하여 복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다만, 외출 등의 사유로 약품 배출 장치가 설치된 공간에 사용자가 위치하지 않은 경우, 배출구(60)로 배출된 약품이 방치되는 경우도 존재한다. 약품이 공기에 소정 시간 이상 방치된 경우, 그 효능이 감소할 수 있고 이후의 약품 복용 시간이 되면 이전 배출된 약품(방치되어 있는 약품)과 새로 배출된 약품이 혼합되어, 과량의 약품이 복용되거나 약품 복용에 혼란이 초래되므로, 본 발명에서는 약품이 배출구(60)로 배출된 후 소정 시간이 경과한 시점까지 수거되지 않은 경우(즉, 약품이 배출구로 배출되어 제2 압력 센서가 약품의 무게를 감지한 이후 소정 시간이 경과하였음에도 감지된 무게의 변화가 없는 경우, 다시 말하면 약품이 배출구로 배출된 이후 소정 압력값 이상의 압력이 제2 압력 센서에 의해 감지되는 경우), 배출구(60)로 배출된 약품이 제1 회수 라인(72)을 통해 회수 약품 수용부(3)로 투입되게 한다. 회수 약품 수용부(3)로 투입된 약품은 추후 재분배 작업에 따라 약품 배출 장치의 배출 제어부(50)를 통해 다시 해당 배출 약품 수용부(1)로 투입되며, 이에 따라 복용하지 않은 약품을 버리지 않고 재활용할 수 있게 된다.
배출구(60)와 배출 제어부(50)는 배출 라인(71)에 의해 연결된다. 즉, 배출 제어부(50)의 제어 공간(51)으로 배출된 약품은 배출 라인(71)을 통과하여 배출구(60)로 배출된다. 그리고, 배출구(60)와 회수 약품 수용부(3)는 제1 회수 라인(72)에 의해 연결되며, 배출구(60)로 배출된 약품이 수거되지 않은 경우 제1 회수 라인(72)을 통해 회수 약품 수용부(3)로 회수된다.
한편, 배출 라인(71)의 일 지점에는 배출 구멍(53)과 회수 약품 수용부(3) 사이를 직접 연결하는 제2 회수 라인(73)이 분기되어 형성된다.
배출 라인(71)과 제2 회수 라인(73)의 분기 지점에는 제1 라인 조절 부재(74)가 설치되는데, 제1 라인 조절 부재(74)는 배출 구멍(53)을 배출 라인(71) 및 제2 회수 라인(73) 중 어느 하나의 라인에 연통되도록 제어하는 구성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제1 라인 조절 부재(74)는 상기 분기 지점에 설치되고, 설치 지점을 중심으로 배출 라인(71)과 제2 회수 라인(73)에 대해 상대 회전 가능하게 구성된다.
제1 라인 조절 부재(74)의 회전에 의해 배출 제어부(50)의 배출 구멍(53)이 배출 라인(71)과 제2 회수 라인(73) 중 어느 하나의 라인과 연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배출 제어부(50)의 제어 공간(51)에 투입된 약품이 배출구(60)로 배출되어야 할 때에는 배출 구멍(53)과 배출 라인(71)이 연통되도록 제1 라인 조절 부재(74)가 회전하며, 제어 공간(51)으로 투입된 약품이 배출구(60)가 아닌 회수 약품 수용부(3)로 배출되어야 할 때에는 배출 구멍(53)과 제2 회수 라인(73)이 연통되도록 제1 라인 조절 부재(74)가 회전한다.
제1 회수 라인(72)에는 제2 라인 조절 부재(75)가 설치된다. 제2 라인 조절 부재(75)는 제1 라인 조절 부재(74)와 마찬가지로 설치 지점을 중심으로, 제1 회수 라인(72)에 대해 상대 회전 가능하게 구성된다.
제2 라인 조절 부재(75)의 회전에 의해 배출구(60)가 회수 약품 수용부(3)와 연통되거나, 연통이 차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배출구(60)로 약품이 배출된 시점으로부터 소정 시간이 경과하기 이전까지는 연통이 차단되어 배출구(60)에 배출된 약품이 위치하게 되며, 소정 시간이 경과하게 되면 연통되어 배출구(60)에 배출된 약품이 제1 회수 라인(72)을 통과하여 회수 약품 수용부(3)로 투입된다.
한편, 제2 이송 레일(20)의 일 지점에는 개방기(5)가 배치될 수 있다. 제1 회수 라인(72)과 제2 회수 라인(73)은 회수 약품 수용부(3)와 연결되어 해당 라인들을 통과한 약품이 회수 약품 수용부(3) 내부 공간으로 투입될 수 있음은 전술한바 있다.
다만, 제1 회수 라인(72)과 제2 회수 라인(73)과 연결된 배출 약품 수용부(1)와 회수 약품 수용부(3)는 지속적으로 개방/폐쇄가 반복된다(배출 제어부를 통과하는 배출 약품 수용부와 회수 약품 수용부 역시 지속적으로 개방/폐쇄가 반복되지만 배출 제어부의 하우징으로 인해 외기와 접촉하는 시간이 극히 적음). 외기와의 잦은 접촉이 이루어지면, 내부 공간에 수용된 약품의 변색이 발생하거나, 위생상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제1 회수 라인(72)과 제2 회수 라인(73)과 연결된 제2 이송 레일(20)의 일 지점에 개방기(5)를 마련하고, 개방기(5)는 실제 제1 회수 라인(72) 또는 제2 회수 라인(73)을 통해 약품이 통과할 때에만 회수 약품 수용부(3) 또는 배출 약품 수용부(1)가 개방되도록 제어한다. 일 예로, 개방기(5)는 팽창/수축을 통해 수용부와 커버 사이의 거리를 증가시키거나 감소시킴으로써 개방/폐쇄하는 구성 또는 제1 라인 조절 부재(74) 및 제2 라인 조절 부재(75)와 같이 제2 이송 레일(20)의 일 지점에 대해 상대 회전 가능하여 커버를 개방하는 구성이 적용될 수도 있다.
개방기(5)가 마련됨으로써, 제1 회수 라인(72)과 제2 회수 라인(73)을 통과하는 배출 약품 수용부(1) 또는 회수 약품 수용부(3)가 상시 개방되지 않고 필요할 때에만 개방됨으로써, 공기노출/위생 문제를 최소화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약품 배출 장치에 설치되는 배출 약품 수용부(1)와 회수 약품 수용부(3)의 외면에는 해당 배출 약품 수용부와 회수 약품 수용부의 식별을 위한 식별 코드(C)가 부착될 수 있다.
배출 약품 수용부에 부착된 식별 코드(C)에는 해당 배출 약품 수용부의 약품 수용 공간에 수용된 약품의 정보(예를 들어, 약품의 종류, 개수 등)가 인쇄될 수 있으며, 회수 약품 수용부에 부차된 식별 코드(C)에는 회수 약품 수용부를 식별하기 위한 정보가 인쇄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약품 배출 장치는 배출 정보 인식부(81)와 코드 인식부(82)를 더 포함한다.
배출 정보 인식부(81)는 배출 대상 약품의 종류, 배출 개수 및 배출 시간을 포함하는 약품 배출 정보를 입력 또는 인식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약품 배출 정보는 예를 들어, 처방전에 바코드 형태로 인쇄될 수 있으며, 배출 정보 인식부(81)는 상기 바코드를 인식할 수 있는 리더기 형태로 구비되어 약품 배출 정보를 인식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는, 배출 정보 인식부(81)가 터치 패드, 버튼, 키보드 등의 별도의 입력 장치(미도시)를 통해 약품 배출 정보를 입력받는 것도 가능하다.
코드 인식부(82)는 배출 제어부(50)에 위치된 배출 약품 수용부(1) 또는 회수 약품 수용부(3)의 식별 코드(C)에 인쇄된 정보를 인식하도록 구성된다. 일 예로, 식별 코드(C)에 인쇄된 정보를 인식할 수 있도록 리더기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배출 정보 인식부(81)에 의해 입력 또는 인식된 약품 배출 정보와, 코드 인식부(82)에 의해 인식된 정보는 컨트롤러(90)에 전송되며, 컨트롤러(90)는 전송된 정보를 이용하여 약품 배출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게 된다.
도 6을 참조하면, 컨트롤러(90)는 약품 판단부(91), 동작 제어부(92) 및 알림 발생부(93)를 포함한다.
약품 판단부(91)는 제어 공간(51)의 촬영부(57)에 의해 획득된 촬영 결과에 포함된 약품의 종류와 개수를 판단하도록 구성된다. 다시 말하면, 약품 판단부(91)는 제어 공간(51)으로 배출된 약품의 종류와 개수를 판단하도록 구성된다.
약품 판단부(91)에 의한 판단은 예를 들어, 인공지능 학습 알고리즘을 통해 구현될 수 있다. 즉, 약품이 포함되거나 포함되지 않은 이미지가 질의되는 경우, 질의된 이미지에 어떠한 약품이 포함되어 있는지, 또한 해당 약품의 개수는 몇 개인지를 판단하도록 사전 학습된 인공신경망이 적용될 수 있다. 또한, 해당 약품이 원인일 가능성이 있는 중대한 부작용 발생이 복용자에게서 제시되는 경우, 프로그램에 의해 다음 진료 및 처방시까지 해당 약품의 불출이 제한될 수도 있다. 촬영부(57)에 의해 획득된 촬영 결과가 약품 판단부(91)의 사전 학습된 인공신경망에 질의되면, 인공신경망은 질의된 촬영 결과에 포함된 약품의 종류, 개수를 연산하여 출력하게 된다.
다만, 사전 학습된 인공신경망을 구축하기 위해서는 많은 양의 데이터가 요구되므로 많은 시간과 비용이 소요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사전 학습된 인공신경망이 적용되지 않고, 배출 약통과 회수 약통이 약품 배출 장치에 장착된 이후에 이송 레일이 이동하면서 설치된 배출 약품 수용부(1)에 수용된 약품을 제어 공간(51)에 배출시키고, 촬영부(57)가 배출된 약품을 촬영하여 획득한 촬영 결과를 반복적으로 획득하여 이를 인공신경망에 학습시킬 수도 있다. 약품 배출 장치에 설치된 배출 약품 수용부(1)에 수용된 약품을 판별하기만 하면 되기에, 보다 적은 개수의 데이터(촬영 결과)로도 학습된 인공신경망을 구축하는 것이 가능하다. 해당 과정은, 배출 약통을 약품 배출 장치에 설치하고 난 직후 소정 시간 동안 이송 레일을 구동시켜 다수의 촬영 결과를 획득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으며, 약품 배출과 회수 과정에서 획득된 촬영 결과를 이용하여 지속적으로 인공신경망을 학습시켜 나갈수도 있다. 각 약품 배출 장치에서 획득된 데이터들은 별도의 중앙 처리 서버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될 수도 있으며, 각각의 약품 배출 장치에서 전송되는 데이터들이 축적되어 빅데이터를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동작 제어부(92)는 배출 정보 인식부(81)에 입력 또는 인식된 약품 배출 정보, 코드 인식부(82)에 의해 인식된 정보, 그리고 약품 판단부(91)에 의해 판단된 정보 등을 이용하여 약품 배출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도록 구성된다.
약품 배출 장치의 동작을 위해, 배출 정보 인식부(81)에 배출 대상 약품의 종류, 배출 개수 및 배출 시간을 포함하는 약품 배출 정보가 입력되거나, 배출 정보 인식부(81)에 의해 약품 배출 정보가 인식되는 과정이 선행될 수 있다.
약품 배출 장치는 입력 또는 인식된 약품 배출 정보에 따라 약품을 배출하는 것이 요구된다. 이를 위해, 동작 제어부(92)는 제1 구동부(30)와 제2 구동부(40)를 제어하여 제1 이송 레일(10)과 제2 이송 레일(20)이 회전 운동 되도록 제어한다. 여기에서, 제1 이송 레일(10)과 제2 이송 레일(20)의 회전 운동은 서로 동기화될 수 있으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제1 이송 레일(10)과 제2 이송 레일(20)의 운동 각속도는 동일할 수 있다.
제1 이송 레일(10)과 제2 이송 레일(20)의 회전 운동에 따라, 배출 제어부(50)에 배출 약품 수용부(1)와 배출 약품 수용부 커버(2)가 위치된다. 이 때, 배출 약품 수용부(1)와 배출 약품 수용부 커버(2) 사이에는 배출 제어부(50)의 하우징(54)이 배치되며, 배출 약품 수용부(1)에서 배출된 약품은 하우징(54) 내부의 제어 공간(51)을 통과하게 된다. 제1 이송 레일(10)과 제2 이송 레일(20)은 서로 동기화되면서 운동하므로, 배출 약품 수용부(1)가 하우징(54) 상부에 위치할 때, 하우징(54)의 하부는 배출 약품 수용부 커버(2)에 의해 폐쇄되어 있다가 배출 약품 수용부(1)와 배출 약품 수용부 커버(2)가 지나간 후 셔터(56)가 움직이면 약품이 배출구(60)를 향하게 된다.
동작 제어부(92)는 배출 제어부(50) 구성들의 동작을 제어한다. 코드 인식부(82)는 배출 제어부(50)에 위치한 배출 약품 수용부(1)의 외면에 부착된 식별 코드(C)를 인식하여 해당 배출 약품 수용부(1)에 수용된 약품의 종류 등의 정보를 획득한다.
코드 인식부(82)에 의해 인식된 식별 코드(C)의 정보에 포함된 약품 종류와, 배출 정보 인식부(81)에 입력 또는 인식된 약품 배출 정보의 약품 종류가 일치하는 경우, 동작 제어부(92)는 해당 약품 배출 정보의 배출 개수 및 배출 시간에 따라 배출 제어부(50)에 위치된 배출 약품 수용부(1)의 약품이 배출구(60)로 배출되도록 배출 제어부(50)의 동작을 제어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코드 인식부(82)에 의해 인식된 식별 코드(C)의 정보에 포함된 약품 종류, 배출 정보 인식부(81)에 입력 또는 인식된 약품 배출 정보의 약품 종류, 그리고 약품 판단부(91)에 의해 판단된 약품 종류가 모두 일치되었을 때, 배출 약품 수용부(1)의 약품이 배출구(60)로 배출되도록 배출 제어부(50)의 동작을 제어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는, 투입 구멍(52)의 크기를 조절하는 조리개(55)를 제어하여 배출 약품 수용부(1)에 수용된 약품이 제어 공간(51) 내로 배출되도록 하고, 광원(59)이 활성화된 상태에서 촬영부(57)가 제어 공간(51) 내의 이미지/영상을 촬영하도록 제어하고, 배출 구멍(53)의 개방/폐쇄를 조절하는 셔터(56)를 제어하여 제어 공간(51)에 수용된 약품이 배출구(60)를 향하도록 제어한다. 제어 공간(51)에 수용된 약품이 배출구(60)를 향하기 위해서는 배출 구멍(53)이 개방되는 것이 요구된다. 평시에는 배출 구멍(53)은 셔터(56)에 의해 폐쇄되어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셔터(56)는 그 중심을 향할수록 배출구(60)에 가까워지는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보다 구체적으로 횡단면이 'V'자 형상이되, 중앙 부분이 라운드진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 공간(51)으로 배출된 약품은 셔터(56)의 굴곡진 부분(즉, 아래로 돌출된 부분)으로 모이게 된다. 다수의 약품이 제어 공간(51)으로 배출되는 경우, 약품은 굴곡진 부분에서 일렬로 정렬된다(도 4 참조).
셔터(56)는 그 종단면(V자 형상을 갖는)이 하우징(54)의 일측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 및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구동된다. 셔터(56)가 하우징(54)의 일측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할 때, 하우징(54)의 타측(일측과 마주하는 면)에 의해 굴곡진 부분에 모인 약품이 하나씩 배출되며(하우징의 타측은 고정되어 있지만 셔터가 하우징의 타측에 대해 상대 이동함으로써, 하우징의 타측이 일렬 정렬된 약품을 밀어냄으로써 배출되게 됨) 이후 셔터(56)는 다시 하우징(54)의 일측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배출 구멍(53)을 폐쇄하게 된다.
셔터(56)의 형상으로 인해, 복수 개의 약품이 제어 공간(51)에 위치하더라도 일렬로 셔터(56) 상면에 정렬될 수 있으며, 셔터(56)의 움직임에 따라 약품이 하나씩 배출구(60)로 배출될 수 있어 제어가 가능하다는 장점을 갖게 된다.
한편, 배출 구멍(53)을 통과한 약품이 배출구(60)를 향하기 위해서는 배출 구멍(53)과 배출구(60)가 서로 연통되어야 하므로, 동작 제어부(92)는 배출 라인(71)에 위치한 제1 라인 조절 부재(74)의 동작을 제어하여 배출 구멍(53)과 배출구(60)가 서로 연통되도록 한다.
한편, 제어 공간(51)으로 투입되어 약품 판단부(91)에 의해 판단된 약품의 종류가, 배출 정보 인식부(81)에 입력 또는 인식된 약품 배출 정보의 약품 종류와 일치하지 않을 경우에는, 동작 제어부(92)는 배출 라인(71)에 위치한 제1 라인 조절 부재(74)의 동작을 제어하여 배출 구멍(53)과 회수 약품 수용부(3)가 서로 연통되도록 한다. 그리고, 셔터(56)를 제어하여 해당 약품이 제2 회수 라인(73)을 거쳐 곧바로 회수 약품 수용부(3)로 투입되도록 할 수 있다.
동작 제어부(92)는 배출 정보 인식부(81)에 입력 또는 인식된 약품 배출 정보에 따라 모든 약품이 배출구(60)로 배출될때까지, 제1 이송 레일(10)과 제2 이송 레일(20)을 회전 운동 시킨다. 동작 제어부(92)는 약품 배출 정보에 따른 모든 약품이 배출구(60)로 배출된 경우 약품 배출 장치의 동작이 중지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약품 배출 정보에 따라 배출구(60)로 약품이 배출되면, 사용자는 배출구(60)에서 약품을 수거하여 복용하게 된다. 이 때, 배출구(60)의 약품을 수거하기 위해 사용자의 손이 배출구(60)에 접촉하게 되고, 이에 따라 배출구(60)에 구비된 제2 압력 센서(7)에서 추가 압력 감지가 발생하게 된다. 이후, 약품이 수거되면 약품 무게만큼의 감소된 무게가 제2 압력 센서(7)에서 감지될 것이다. 하지만, 사용자의 외출 등의 사유로 배출구(60)로 배출된 약품이 수거되지 않을 수 있다. 다시 말하면, 배출구(60)로 약품이 배출된 이후로도, 소정 시간이 경과한 시점까지 배출구(60)에 구비된 제2 압력 센서(7)에서 약품을 수거하기 위한 움직임에 대응한 압력 변화가 감지되지 않거나, 배출된 약품의 무게가 지속적으로 감지되어 약품 수거가 이루어지지 않은 것으로 판단된 경우, 동작 제어부(92)는 제2 라인 조절 부재(75)의 동작을 제어함으로써 배출구(60)로 배출된 약품이 제1 회수 라인(72)을 통해 회수 약품 수용부(3)로 투입되도록 제어한다. 다시 말하면, 제1 회수 라인(72)에 설치된 제2 라인 조절 부재(75)의 동작을 제어하여 배출구(60)와 회수 약품 수용부(3)가 서로 연통되도록 제어함으로써, 배출구(60)의 약품이 제1 회수 라인(72)을 통해 회수 약품 수용부(3)로 투입되도록 할 수 있다. 배출구(60)로 배출되었으나, 수거되지 않은 약품을 별도의 회수 약품 수용부(3)로 회수하고, 회수된 약품을 다시 배출 약품 수용부(1)에 재분배하는 과정을 통해 미복용 약품을 재활용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갖게 된다.
약품 배출과 미수거 약품의 회수 과정이 완료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약품 배출 장치는 회수된 약품의 재분배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여 이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회수된 약품의 재분배 작업을 위해서는, 회수 약품 수용부(3)를 배출 제어부(50)에 위치시키는 것이 먼저 요구된다.
배출 제어부(50)에 회수 약품 수용부(3)가 위치되면, 회수 약품 수용부(3)의 약품을 배출 제어부(50)의 제어 공간(51)으로 투입하고, 촬영부(57)의 촬영 결과를 이용하여 약품 판단부(91)가 제어 공간(51)에 투입된 약품의 종류를 판단한다.
이후, 약품 판단부(91)에 의해 판단된 약품의 종류를 수용하고 있는 배출 약품 수용부(1)가 제2 회수 라인(73)과 연통되도록 제1 이송 레일(10)과 제2 이송 레일(20)을 구동시킨다. 해당 배출 약품 수용부(1)가 제2 회수 라인(73)과 정렬된 경우, 셔터(56)에 의해 배출 구멍(53)이 개방되어 제어 공간(51)의 약품이 제2 회수 라인(73)을 통해 배출 약품 수용부(1)로 투입될 수 있다. 이 과정은, 회수 약품 수용부(3)의 약품의 분배가 모두 이루어질 때까지 반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약품 재분배 과정에서는, 한 개의 약품만이 제어 공간(51)으로 투입되는 것이 중요하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약품 배출 장치는 투입 구멍(52)이 개방될 때는 천천히 개방되도록 조리개(55)를 제어하고, 폐쇄될 때는 신속히 폐쇄되도록 조리개(55)를 제어한다. 이를 통해, 배출 제어부(50)에 위치한 배출 약품 수용부(1) 또는 회수 약품 수용부(3)에 수용된 약품들 중 가능한 한 개의 약품만이 제어 공간(51)으로 투입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한 개의 약품만이 제어 공간(51)으로 투입되거나, 제어 공간(51)으로부터 배출되도록 하는 다양한 구성이 적용될 수 있다.
일 예로, 조리개(55)가 투입 구멍(52)의 중앙을 향할수록 높게 위치하도록(즉, 조리개가 굽어지도록) 형성되어 굴곡을 형성함으로써 2개 이상의 약품이 동시에 배출되는 것이 방지되는 구성이 적용될 수 있다.
또 다른 예에서는, 배출 제어부(50)에 위치한 배출 약품 수용부(1)에 수용된 약품의 크기에 따라 투입 구멍(52)의 크기를 조절하는 방식으로 한 개의 약품만이 제어 공간(51)으로 투입되는 구성이 적용될 수 있다.
또 다른 예에서는, 셔터(56)를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중심을 향할수록 배출구(60)에 가까워지도록 경사지게 형성하여, 제어 공간(51) 내부에 2개 이상의 약품이 위치하더라도 굴곡진 부분에 일렬 정렬되도록 하고, 셔터(56)를 천천히 개방하여 약이 순차적으로 떨어지도록 하는 방식이 적용될 수도 있다.
전술한 방식을 통해, 제어 공간(51)에 한 개의 약품만이 투입되도록 하거나, 제어 공간(51)으로부터 한 개의 약품만이 배출될 수 있으며, 보다 정밀한 제어가 가능하다는 장점을 갖게 된다.
만일, 2개 이상의 약품이 제어 공간(51)에 투입되었다면(이는 제어 공간에 마련된 카운팅 센서 또는 약품 판단부에 의해 판단될 수 있음), 동작 제어부(92)는 제어 공간(51)에 투입된 약품이 하나씩 배출되어 일부는 곧바로 회수 약품 수용부(3)로 회수되고 일부는 배출구(60)로 배출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만일, 제1 압력 센서(6)에 감지된 정보를 통해, 배출 약품 수용부(1)에 약품 소진이 임박했다고 판단될 경우, 별도의 알림 발생부(93)를 통해 알림 신호를 발생시킴으로써 사용자가 배출 약통 교체를 인식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한편, 약품 배출 장치는 복약 대상 약품을 배출/회수/재분배하는 장치로서, 높은 정확도로 처방받은 약품만을 배출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고, 고장 여부를 즉시 파악하는 것 역시 중요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약품 배출 장치는 정확도를 측정하는 자가 진단 기능을 수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일 예로, 본 발명에 따른 약품 배출 장치는 배출구(60)로 배출되었으나 소정 시간 이상 복용하지 않아 회수 약품 수용부(3)로 회수된 약품을 재분배하는 과정에서, 약품 판단부(91)에 의해 어떠한 종류의 약품, 그리고 몇 개의 약품이 배출구(60)로 배출되었는지 판단할 수 있다. 판단된 정보는 예를 들어 배출 정보 인식부(81)에 의해 인식된 약품 배출 정보와 비교되고, 약품 배출 정보에 따른 약품의 종류 및 개수가 배출되었는지 여부에 기초하여 배출 정확도를 자가 진단하는 것이 가능하다.
다른 예에서는, 유휴 시간(예를 들어, 사용자가 취침 중인 새벽 시간)에 소정의 약품을 회수 약품 수용부(3)로 배출시키고, 회수 약품 수용부(3)로 투입된 약품을 재분배하는 과정에서 자가 진단이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 때에는, 회수 약품 수용부(3)로 배출된 약품의 종류 및 개수, 재분배 과정에서 배출된 약품의 종류 및 개수와 비교하는 과정을 통해, 전체적인 배출 정확도나 약품 판단부(91)의 정확도를 자가 진단하는 것이 가능하다.
다른 예에서는 약품의 이동 라인에 따른 계통별 고장여부를 파악하는 자가 진단도 가능하다. 더 구체적으로는, 소정의 약품을 배출구(60)로 배출만 시킨 상태에서, 회수 약품 수용부(3)의 약품 재분배 과정을 통해 약품이 배출은 되었으나 회수 약품 수용부(3)에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배출 라인(71)의 기능이 잘 이뤄지는지 진단이 가능하고, 이후 제1 회수 라인(72)을 통해 회수 약품 수용부(3)로 약품이 투입되게 한 후 약품을 재분배하는 과정을 통해 제1 회수 라인(72)의 기능이 잘 이뤄지는지 진단이 가능하다. 마찬가지로 소정의 약품을 제2 회수 라인(73)을 통해 회수 약품 수용부(3)로 배출시키고 재분배하는 과정을 통해 제2 회수 라인(71)의 기능이 잘 이뤄지는지도 진단이 가능하다. 즉, 유휴 시간대에 배출 약품 수용부(1)로부터 배출된 약품 배출 정보와, 배출된 약품이 배출구(60)에 위치한 상태, 제1 회수 라인(72) 또는 제2 회수 라인(73)을 통해 회수 약품 수용부(3)로 약품이 배출된 상태에서 약품 재분배 과정을 시행하고, 재분배 과정에서의 재분배 약품 정보를 비교함으로써, 배출 라인(71), 제1 회수 라인(72) 및 제2 회수 라인(73) 중 하나 이상의 라인에 대한 고장 여부가 연산 될 수 있다.
만일, 정확도가 소정의 기준 미만인 경우나, 배출 라인(71), 제1 회수 라인(72) 및 제2 회수 라인(73) 중 하나 이상의 라인이 고장으로 연산되는 경우, 알림 발생부(93)를 통해 고장 알람 신호가 출력되고, 고장 부분에 대한 정보가 출력되도록 하고 장치 자체의 동작을 중지시키는 제어를 수행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약품 배출 장치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의 배출 제어부(50)를 갖는 형태일 수도 있다. 각각의 배출 제어부(50)는 별도의 배출 라인과 회수 라인을 가지며, 어느 하나의 배출 제어부는 어느 한 사용자가 처방받은 배출 약품 정보에 따라 배출구로 약품을 배출하고, 다른 하나의 배출 제어부는 다른 한 사용자가 처방받은 배출 약품 정보에 따라 배출구로 약품을 배출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하나의 약품 배출 장치에서 두 명 이상의 사용자가 각기 전용 배출구(60)를 독점적으로 점유하여 혼란없이 처방받은 배출 약품 정보에 따라 약품을 배출하는 것이 가능하며, 이와 동시에 복용하지 않은 약품을 각각 회수 및 재분배하는 것이 수행될 수 있어 동거인이 하나의 시스템으로 필요한 약품을 복용하는데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3에서는, 2개의 배출 제어부가 구비된 형태가 도시되나, 3개 이상의 배출 제어부를 가지고 이에 대응하는 개수의 배출구를 갖는 형태도 본 발명의 범주에 포함된다고 봄이 바람직할 것이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약품 배출 장치의 구성 전체 내지 적어도 일부는 하드웨어 모듈 형태 또는 소프트웨어 모듈 형태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 모듈과 소프트웨어 모듈이 조합된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소프트웨어 모듈이란, 예컨대, 약품 배출 장치 내에서 연산을 제어하는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명령어로 이해될 수 있으며, 이러한 명령어는 시스템 내 메모리에 탑재된 형태를 가질 수 있을 것이다.
위 설명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을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 본 명세서에는 본 발명을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하고 재현할 수 있도록 도면에 도시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업자라면 본 출원의 실시예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출원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1: 회수 약품 수용부
2: 회수 약품 수용부 커버
3: 배출 약품 수용부
4: 배출 약품 수용부 커버
5: 개방기
6: 제1 압력 센서
7: 제2 압력 센서
8: 회전 날개
10: 제1 이송 레일
20: 제2 이송 레일
30: 제1 구동부
40: 제2 구동부
50: 배출 제어부
51: 제어 공간
52: 투입 구멍
53: 배출 구멍
54: 하우징
55: 조리개
56: 셔터
57: 촬영부
58: 카운팅 센서
60: 배출구
71: 배출 라인
72: 제1 회수 라인
73: 제2 회수 라인
74: 제1 라인 조절 부재
75: 제2 라인 조절 부재
81: 배출 정보 인식부
82: 코드 인식부
90: 컨트롤러
91: 약품 판단부
92: 동작 제어부
93: 알림 발생부

Claims (23)

  1. 약품 수용 공간을 갖는 배출 약품 수용부(1)가 설치되고, 제1 폐루프(closed-loop)를 이루는 제1 이송 레일(10);
    상기 약품 수용 공간의 개방된 부분을 덮는 배출 약품 수용부 커버(2)가 설치되고, 상기 제1 폐루프보다 작은 제2 폐루프를 이루는 제2 이송 레일(20);
    상기 제1 이송 레일(10)과 상기 제2 이송 레일(20)의 회전 운동에 따른 상기 배출 약품 수용부(1)와 상기 배출 약품 수용부 커버(2)의 이동 경로에 배치되며, 내부에 상기 배출 약품 수용부(1)로부터 배출된 약품의 식별을 위한 제어 공간(51)이 마련되는 배출 제어부(50);
    상기 배출 제어부(50)의 상기 제어 공간(51)과 배출 라인(71)을 통해 연결되는 배출구(60); 및
    상기 제1 이송 레일(10)과 상기 제2 이송 레일(20)에 의한 이송에 의해 상기 배출구(60)와 제1 회수 라인(72)을 통해 연결될 수 있으며, 상기 제1 이송 레일(10)에 설치되는 회수 약품 수용부(3)와 상기 제2 이송 레일(20)에 설치되는 회수 약품 수용부 커버(4)를 포함하는 약품 회수통;을 포함하는,
    약품 배출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 약품 수용부 커버(2)가 상기 제2 이송 레일(20)에 설치될 때, 상기 배출 약품 수용부(1)의 약품 수용 공간의 개방된 부분은 상기 배출 약품 수용부 커버(2)에 의해 덮이고,
    상기 회수 약품 수용부 커버(4)가 상기 제2 이송 레일(20)에 설치될 때, 상기 회수 약품 수용부(3)의 회수 약품 수용 공간의 개방된 부분은 상기 회수 약품 수용부 커버(4)에 의해 덮이는,
    약품 배출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이송 레일(10)과 상기 제2 이송 레일(20)의 운동 속도는 동일한,
    약품 배출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 제어부(50)는,
    일측에 상기 약품 수용 공간의 개방된 부분과 연통될 수 있는 투입 구멍(52)이 형성되고, 상기 투입 구멍(52)과 마주하는 곳에 상기 배출 라인(71)과 연통될 수 있는 배출 구멍(53)이 형성되는, 하우징(54);
    상기 투입 구멍(52)에 설치되어 상기 투입 구멍(52)의 크기를 조절하도록 구성된 조리개(55);
    상기 배출 구멍(53)에 설치되어 상기 배출 구멍(53)을 개방 또는 폐쇄하도록 구성된 셔터(56); 및
    상기 제어 공간(51)에 설치되어 대면 영역을 촬영하도록 구성된 촬영부(57);를 포함하는,
    약품 배출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셔터(56)는 외측에서 중심측을 향할수록 상기 배출구(60)에 가까워지도록 경사져 형성되고, 경사면을 포함하는 단면을 기준으로 상기 단면이 상기 배출구(60)의 일측으로부터 멀어지거나 가까워짐으로써 상기 배출 구멍(53)을 개방 또는 폐쇄하는,
    약품 배출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54) 내부에 2개 이상의 약품이 투입되는 경우, 투입된 2개 이상의 약품은 상기 셔터(56)의 상면 중 배출구(60)와 가장 가까운 부분에 일렬 정렬되고, 상기 단면이 상기 배출구(60)의 일측으로부터 멀어지는 경우 일렬 정렬된 약품들 중 하나의 약품이 상기 배출구(60)로 배출되는,
    약품 배출 장치.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 제어부(50)는,
    상기 제어 공간(51)에 설치되어 상기 투입 구멍(52)으로부터 상기 배출 구멍(53)을 향하는 약품의 개수를 카운팅하도록 구성된 카운팅 센서(58);를 더 포함하는,
    약품 배출 장치.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구(60)와 상기 회수 약품 수용부(3) 사이를 연결하는 제1 회수 라인(72); 및
    상기 배출 라인(71)의 일 지점에서 분기되어 상기 배출 제어부(50)와 상기 회수 약품 수용부(3) 사이를 연결하는 제2 회수 라인(73);을 더 포함하는,
    약품 배출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 라인(71)과 상기 제2 회수 라인(73)의 분기 지점에 마련되어 상기 배출 구멍(53)을 상기 배출 라인(71) 및 상기 제2 회수 라인(73) 중 어느 하나의 라인에 연통되도록 하는 제1 라인 조절 부재(74);를 더 포함하는,
    약품 배출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 약품 수용부 커버(2)에는 상기 배출 약품 수용부(1)에 수용된 약품의 무게를 감지하도록 구성된 제1 압력 센서(6)가 설치되는,
    약품 배출 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이송 레일(20)의 일 지점에 형성되어 상기 회수 약품 수용부 커버(4)의 상기 회수 약품 수용부(3)에 대한 개방 및 폐쇄를 제어하도록 구성된 개방기(5);를 더 포함하는,
    약품 배출 장치.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 약품 수용부(1)의 외면에는 해당 배출 약품 수용부의 약품 수용 공간에 수용된 약품의 정보가 인쇄된 식별 코드(C)가 부착되며,
    상기 장치는,
    배출 대상 약품의 종류, 배출 개수 및 배출 시간을 포함하는 약품 배출 정보를 입력 또는 인식하도록 구성된 배출 정보 인식부(81);
    상기 배출 제어부(50)에 위치된 배출 약품 수용부(1)의 식별 코드(C)에 인쇄된 정보를 인식하도록 구성된 코드 인식부(82); 및
    상기 배출 정보 인식부(81)와 상기 코드 인식부(82) 및 상기 배출 제어부(50)에서 획득되는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배출구(60)로의 약품 배출을 제어하는 컨트롤러(90);를 더 포함하는,
    약품 배출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90)는,
    상기 코드 인식부(82)에 의해 인식된 식별 코드(C)의 정보에 포함된 약품 종류와, 상기 배출 정보 인식부(81)에 입력 또는 인식된 약품 배출 정보의 약품 종류가 일치하는 경우, 해당 약품 배출 정보의 배출 개수 및 배출 시간에 따라 상기 배출 제어부(50)에 위치된 배출 약품 수용부(1)의 약품이 상기 배출구(60)로 배출되도록 상기 조리개(55) 및 상기 셔터(56)의 동작을 제어하는,
    약품 배출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90)는,
    상기 촬영부(57)에 의한 촬영 결과를 이용하여 상기 제어 공간(51)에 투입된 약품의 종류를 판별하도록 구성된 약품 판단부(91);를 포함하며,
    상기 약품 판단부(91)에 의해 판단된 약품의 종류가, 상기 코드 인식부(82)에 의해 인식된 식별 코드(C)의 정보에 포함된 인식된 약품 종류 및 상기 배출 정보 인식부(81)에 입력 또는 인식된 약품 배출 정보의 약품 종류 모두가 일치되었을 때, 해당 약품 배출 정보의 배출 개수 및 배출 시간에 따라 상기 배출 제어부(50)에 위치된 배출 약품 수용부(1)의 약품이 상기 배출구(60)로 배출되도록 상기 조리개(55) 및 상기 셔터(56)의 동작을 제어하는,
    약품 배출 장치.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구(60)에는, 상기 배출구(60)에 투입된 부하를 감지하도록 구성된 제2 압력 센서(7)가 설치되고,
    상기 제1 회수 라인(72)에는 상기 배출구(60)와 상기 회수 약품 수용부(3) 사이의 연통을 제어하도록 구성된 제2 라인 조절 부재(75)가 설치되며,
    상기 배출구(60)로 약품이 배출된 후 소정 시간이 경과한 시점까지 상기 제2 압력 센서(7)에서 소정 압력값 이상의 압력이 지속적으로 감지되는 경우,
    상기 제2 라인 조절 부재(75)에 의해 상기 배출구(60)의 약품이 상기 회수 약품 수용부(3)로 투입되는,
    약품 배출 장치.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90)는,
    상기 배출 제어부(50) 상에 상기 회수 약품 수용부(3)가 위치하고 상기 회수 약품 수용부(3) 내에 투입된 약품이 상기 제어 공간(51)에 배출될 때, 상기 제어 공간(51)에 배출되어 상기 약품 판단부(91)에 의해 판단된 약품의 종류와 일치하는 약품을 수용하는 배출 약품 수용부(1)가 상기 제2 회수 라인(73)에 정렬되도록 제1 이송 레일(10)과 제2 이송 레일(20)의 구동을 제어하는,
    약품 배출 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90)는,
    상기 배출 약품 수용부(1)가 상기 제2 회수 라인(73)에 정렬된 경우, 상기 배출 구멍(53)이 상기 제2 회수 라인(73)과 연통되도록 상기 제1 라인 조절 부재(74)의 구동을 제어하는,
    약품 배출 장치.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 정보 인식부(81)에 입력 또는 인식된 약품 배출 정보와, 상기 회수 약품 수용부(3)에서 배출 약품 수용부(1)들로 배출된 재분배 약품 정보의 비교 결과에 따라 배출 정확도가 연산되는,
    약품 배출 장치.
  19. 제14항에 있어서,
    유휴 시간대에, 상기 배출 약품 수용부(1)로부터 상기 회수 약품 수용부(3)로 약품이 배출되고, 상기 약품 판단부(91)에 의해 상기 유휴 시간대에 배출된 약품 배출 정보가 판단되며,
    상기 회수 약품 수용부(3)에서 배출 약품 수용부(1)들로 배출된 재분배 약품 정보와, 상기 유휴 시간대에 배출된 약품 배출 정보의 비교 결과에 따라 배출 정확도가 연산되는
    약품 배출 장치.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유휴 시간대에 상기 배출 약품 수용부(1)로부터 배출된 약품 배출 정보와, 배출된 약품이 상기 배출구(60)에 위치하거나, 상기 제1 회수 라인(72), 또는 상기 제2 회수 라인(73)을 통한 상기 회수 약품 수용부(3)로 약품이 배출된 상태에서 시행한 재분배 과정에서의 재분배 약품 정보의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배출 라인(71), 상기 제1 회수 라인(72), 및 상기 제2 회수 라인(73) 중 하나 이상의 라인에 대한 고장 여부가 연산되는,
    약품 배출 장치.
  21. 제18항 내지 제2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연산된 배출 정확도가 미리 결정된 정확도 미만인 경우나, 상기 배출 라인(71), 상기 제1 회수 라인(72), 및 상기 제2 회수 라인(73) 중 하나 이상이 고장으로 연산되는 경우, 알림 발생부(93)에서 알람이 출력되고, 고장 부분에 대한 정보가 출력되는,
    약품 배출 장치.
  2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이송 레일(10)과 상기 제2 이송 레일(20)은 나란히 연장되면서 각각이 폐루프를 이루되, 연장 경로 상에서 외측으로 굽어진 부분과 내측으로 굽어진 부분을 다수개 포함하는,
    약품 배출 장치.
  2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 약품 수용부(1)와 상기 배출 약품 수용부 커버(2) 이동 경로에 배치되되, 상기 배출 제어부(50)의 설치 위치와는 다른 위치에 마련되는 추가 배출 제어부; 및
    상기 추가 배출 제어부의 제어 공간과 추가 배출 라인을 통해 연결되는 추가 배출구;를 더 포함하는,
    약품 배출 장치.
KR1020210148821A 2021-11-02 2021-11-02 약품 배출과 회수, 그리고 재분배 작업이 가능한 약품 배출 장치 KR1026441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48821A KR102644150B1 (ko) 2021-11-02 2021-11-02 약품 배출과 회수, 그리고 재분배 작업이 가능한 약품 배출 장치
PCT/KR2022/016781 WO2023080570A1 (ko) 2021-11-02 2022-10-31 약품 배출과 회수, 그리고 재분배 작업이 가능한 약품 배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48821A KR102644150B1 (ko) 2021-11-02 2021-11-02 약품 배출과 회수, 그리고 재분배 작업이 가능한 약품 배출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64039A KR20230064039A (ko) 2023-05-10
KR102644150B1 true KR102644150B1 (ko) 2024-03-08

Family

ID=862417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48821A KR102644150B1 (ko) 2021-11-02 2021-11-02 약품 배출과 회수, 그리고 재분배 작업이 가능한 약품 배출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644150B1 (ko)
WO (1) WO2023080570A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4751210U (zh) 2015-06-24 2015-11-11 上海观谷科技有限公司 一种针剂出药系统
JP2021016598A (ja) 2019-07-22 2021-02-15 株式会社トーショー 汎用薬剤供給装置及び薬剤分包装置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426814B2 (en) * 2005-12-23 2008-09-23 Qem, Inc. Method of dispensing pills from a movable platen
KR101899269B1 (ko) * 2011-04-28 2018-10-29 가부시키가이샤 유야마 세이사쿠쇼 약제 감사 장치 및 약제 분포 장치
KR101368644B1 (ko) * 2012-02-14 2014-03-20 대진기술정보 (주) 약제 배출장치
DE102014219978A1 (de) 2014-10-01 2016-04-07 Sitech Sitztechnik Gmbh Fahrzeugsitz mit einem crashmodifizierten Blendenhalter
KR101716620B1 (ko) * 2016-10-27 2017-03-14 (주)이디티 처방약 자동 포장 인출 장치
TW202039314A (zh) * 2019-01-31 2020-11-01 日商湯山製作所股份有限公司 盒子處理裝置和藥劑處理裝置
CN110482152B (zh) * 2019-07-25 2021-04-09 南通超科机器人有限公司 基于识别药方信息控制轨道切换机构的自动配药输送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4751210U (zh) 2015-06-24 2015-11-11 上海观谷科技有限公司 一种针剂出药系统
JP2021016598A (ja) 2019-07-22 2021-02-15 株式会社トーショー 汎用薬剤供給装置及び薬剤分包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64039A (ko) 2023-05-10
WO2023080570A1 (ko) 2023-05-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381977B2 (ja) 薬剤供給装置
US8386073B2 (en) Module for regulating quantity of various-shaped tablets in automatic tablet dispenser, and tablet dispensing method thereof
KR100910395B1 (ko) 로터리형 정제공급기
US9675523B2 (en) Prescription control system
US10098817B2 (en) Dispensing device
US10022304B2 (en) As-needed, time controlled medication dispenser and methods
WO2010137828A2 (ko) 로터리형 정제공급기
US20220125684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portable pill dispensers with various dispensing mechanisms
US20140097195A1 (en) Automated medication dispensing unit
KR20210125154A (ko) 복약 관리 시스템
KR100886493B1 (ko) 정제공급기의 수량조절모듈
KR102644150B1 (ko) 약품 배출과 회수, 그리고 재분배 작업이 가능한 약품 배출 장치
KR200459198Y1 (ko) 로터리형 정제공급기
CN112700596A (zh) 一种自助取药方法及取药系统
KR200454178Y1 (ko) 로터리형 정제공급기
TW202145991A (zh) 個別包裝錠劑再分類機
KR101356965B1 (ko) 약제 자동 포장기의 약제 배출장치 및 상기 약제 배출장치를 이용한 약제 배출방법
WO2020021292A1 (en) Inserts for containers and methods of use thereof
CA2901845C (en) Prescription control system
Jain et al. Alerting System For Medicine Dispensing
KR102611356B1 (ko) 얼굴 인식 알약 배분 장치
CN114067465A (zh) 药品流转核验系统、方法、设备及存储介质
EP4011349A1 (en) Drug-dosing device
GB2620567A (en) Improvements in and relating to pill dispenser mechanisms, pill dispenser assemblies and methods
WO2020172484A1 (en) Point of care pharmacy app controlled blister pack drug dispens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