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11356B1 - 얼굴 인식 알약 배분 장치 - Google Patents

얼굴 인식 알약 배분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11356B1
KR102611356B1 KR1020210098887A KR20210098887A KR102611356B1 KR 102611356 B1 KR102611356 B1 KR 102611356B1 KR 1020210098887 A KR1020210098887 A KR 1020210098887A KR 20210098887 A KR20210098887 A KR 20210098887A KR 102611356 B1 KR102611356 B1 KR 1026113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ll
pills
unit
layer
storage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988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17431A (ko
Inventor
김종혁
김종현
최숭언
권호성
박진수
Original Assignee
김종혁
김종현
최숭언
권호성
박진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종혁, 김종현, 최숭언, 권호성, 박진수 filed Critical 김종혁
Priority to KR10202100988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11356B1/ko
Publication of KR202300174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174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113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11356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7/00Devices for administering medicines orally, e.g. spoons; Pill counting devices; Arrangements for time indication or reminder for taking medicine
    • A61J7/0076Medicament distribution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7/00Devices for administering medicines orally, e.g. spoons; Pill counting devices; Arrangements for time indication or reminder for taking medicine
    • A61J7/04Arrangements for time indication or reminder for taking medicine, e.g. programmed dispens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N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SPECIFIC COMPUTATIONAL MODELS
    • G06N3/00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biological models
    • G06N3/02Neural networks
    • G06N3/08Learning metho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10Human or animal bodies, e.g. vehicle occupants or pedestrians; Body parts, e.g. hands
    • G06V40/16Human faces, e.g. facial parts, sketches or express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20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 H04R1/32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for obtaining desired directional characteristic only
    • H04R1/323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for obtaining desired directional characteristic only for loudspeak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2200/00General characteristics or adaptations
    • A61J2200/70Device provided with specific sensor or indicating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07/00Indexing scheme for image analysis or image enhancement
    • G06T2207/20Special algorithmic details
    • G06T2207/20081Training; Learn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07/00Indexing scheme for image analysis or image enhancement
    • G06T2207/20Special algorithmic details
    • G06T2207/20084Artificial neural networks [AN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07/00Indexing scheme for image analysis or image enhancement
    • G06T2207/30Subject of image; Context of image processing
    • G06T2207/30196Human being; Person
    • G06T2207/30201Fa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iophysics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Otolaryngology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edical Preparation Storing Or Oral Administrat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얼굴 인식 알약 배분 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부 일측에 설치하여 촬영 이미지를 통해 사용자의 얼굴을 인식하는 카메라 촬영부와, 하부 일측에 알약이 토출되는 토출구로 구성된 외부 케이스부; 상기 외부 케이스부의 하단에 결합되며 알약 복용 시간을 알리는 스피커를 포함하는 받침부; 다수개의 원판 층에 알약을 보관하고 정렬하는 정렬보관부; 상기 정렬보관부 중앙에 삽입되며, 정렬보관부의 원판 각 층으로 이동하여 각 층에 맞는 알약을 상부의 구멍을 통해 투입하는 투입부; 상기 원판 각 층의 알약을 하나씩 배출하는 배출부; 촬영 이미지를 처리하고 알약 배출을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외부 케이스부에 내장되어 정렬보관부, 투입부, 배출부, 및 제어부를 받쳐주는 몸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얼굴 인식 알약 배분 장치{Face Recognition Pill Dispenser}
본 발명은 얼굴 인식 알약 배분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알약 복용 시간을 알리며 얼굴 인식을 통해 필요한 알약을 복용자에게 배분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현대인들은 질병, 부상을 치료하기 위한 목적 또는 건강 유지 등 다양한 이유로 많은 약들을 복용한다. 특히 노인들은 젊은 환자에 비해 많은 양의 약을 처방받고 있지만 기억력이 저하된 노인들에게는 모든 종류의 약들을 일일이 시간을 지켜 먹고 확인하는 것이 힘든 상황이다.
또한, 노인들은 너무 많은 종류의 약을 먹다 보니 먹었는지 안 먹었는지 기억하는 것이 쉽지 않고, 더 먹기도 하고 덜 먹기도 하며, 복용하는 약의 종류가 늘어나다 보니 중복 섭취하는 경우가 발생하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공개특허공보 제10-2018-0055584호에는 복용시간을 자동으로 알려주며 복용시간에 토출구로 정량의 알약을 이송시켜 복용할 수 있도록 하는 복용 알람 및 알약 자동토출 약통이 게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복용 알람 및 알약 자동토출 약통은 복용시간 알림을 받을 수 없으며, 정해진 복용자의 구별 없이 알약이 배출되어 오남용을 방지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18-0055584호(2018.05.25.)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어플과 스피커를 통해 알약 복용 시간을 알리며, 딥러닝을 통한 얼굴인식을 이용하여 복용자를 인식하고 필요한 알약을 배분할 수 있는 얼굴 인식 알약 배분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얼굴 인식 알약 배분 장치는 상부 일측에 설치하여 촬영 이미지를 통해 사용자의 얼굴을 인식하는 카메라 촬영부와, 하부 일측에 알약이 토출되는 토출구로 구성된 외부 케이스부; 상기 외부 케이스부의 하단에 결합되며 알약 복용 시간을 알리는 스피커를 포함하는 받침부; 다수개의 원판 층에 알약을 보관하고 정렬하는 정렬보관부;상기 정렬보관부 중앙에 삽입되며, 정렬보관부의 원판 각 층으로 이동하여 각 층에 맞는 알약을 상부의 구멍을 통해 투입하는 투입부; 상기 원판 각 층의 알약을 하나씩 배출하는 배출부; 촬영 이미지를 처리하고 알약 배출을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외부 케이스부에 내장되어 정렬보관부, 투입부, 배출부, 및 제어부를 받쳐주는 몸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정렬보관부는 중앙이 비어 있는 다수개의 원판과, 각 원판의 상하부에 결합하여 고정시키는 4개의 고정 지지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투입부는 알약을 투입하는 실린더형 통로와, 정렬보관부의 원판 각 층을 고정하는 투입부 고정대를 포함하고, 상기 투입부 고정대는 스프링을 통해 고정버튼을 누를 경우 돌기가 제거됨을 통해 정렬보관부의 각 층 원판으로 이동이 가능하며, 고정버튼에서 손을 땔 경우 돌기가 생성되어 한 층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배출부는 알약의 배출을 감지하여 정보를 라즈베리파이에 전송하는 레이저 센서모듈과, 정렬보관부에 의해 원판 바깥쪽에 정렬된 알약들이 차례로 들어와 일렬로 정렬되며 계단형 구조를 통해 한 층으로 정렬되는 알약 통로와, 상기 알약 통로의 폭을 알약의 크기에 따라 조절하는 조절나사와, 출구판과 랙과 피니언으로 구성되며, 출구판의 하부에 부착되어 외부 케이스의 토출구로 알약을 배출하는 배출구, 및 상기 피니언의 회전을 통해 랙과 연결된 출구판을 개폐시키는 서보 모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어부는 딥러닝을 통해 촬영된 이미지와 카메라 촬영부를 통해 인식된 사용자의 얼굴을 비교하여 어플을 통해 저장된 데이터를 바탕으로 필요한 알약을 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어부는 촬영 이미지 분석을 통해 사용자를 식별하고 알약을 배출하기 위해 서보 모터와, 레이저 센서모듈을 제어하여 한 번에 한 개의 알약만이 배출되도록 제어하는 라즈베리파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얼굴 인식 알약 배분 장치는 사용자의 촬영이미지, 알약 복용 정보, 건강상태를 입력하고, 사용자의 데이터를 입력받아 제어부에 전달하며, 복용시간이 되면 알림을 통해 알약 복용 시간을 알리는 어플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복용자마다 먹는 약을 등록해 놓고 시간이 되면 스피커와 핸드폰 알림을 통해 복용 시간을 정확하게 알려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카메라로 얼굴을 인식하여 해당 복용자에게 약을 효과적으로 제공하여 오남용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얼굴 인식 알약 배분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얼굴 인식 알약 배분 장치의 몸체부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얼굴 인식 알약 배분 장치의 정렬보관부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얼굴 인식 알약 배분 장치의 투입부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얼굴 인식알약 배분 장치의 배출부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얼굴 인식 알약 배분 장치의 제어부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러면 본 발명에 따른 얼굴 인식 알약 배분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얼굴 인식 알약 배분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얼굴 인식 알약 배분 장치의 몸체부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얼굴 인식 알약 배분 장치의 정렬보관부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얼굴 인식 알약 배분 장치의 투입부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얼굴 인식알약 배분 장치의 배출부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얼굴 인식 알약 배분 장치의 제어부이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얼굴 인식 알약 배분 장치는 외부 케이스부(100), 상기 외부 케이스부(100)의 하단에 결합된 받침부(200), 상기 외부 케이스부(100)에 내장되는 몸체부(300), 정렬보관부(400), 투입부(500), 배출부(600), 및 제어부(7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외부 케이스부(100)는 상부가 돔형상의 원통형 케이스로 상부 일측에 설치하여 사용자의 얼굴을 촬영하는 카메라 촬영부(110)와, 하부 일측에 알약이 토출되는 토출구(120)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카메라 촬영부(110)는 촬영 이미지를 통해 사용자의 얼굴을 인식하는데 사용된다.
상기 받침부(200)는 외부 케이스부(100)의 하단에 결합되며, 알약 복용 시간을 알리는 스피커(210)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스피커(210)는 사용자에게 알약 복용시간을 음성을 통해 알릴 수 있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몸체부(300)는 원통형상으로 전체적으로 부품들을 내장하여 받쳐주는 틀 역할을 한다. 즉, 상기 몸체부(300)는 원통형상으로 정렬보관부(400), 투입부(500), 배출부(600), 및 제어부(700)를 내장하여 받쳐주는 역할을 한다.
도 3 및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정렬보관부(400)는 중앙이 비어 있는 다수개의 원판(410)으로 이루어지며, 바람직하게는 10개층으로 이루어진다. 각 원판(410) 층에 한 종류의 알약을 보관하며, 모터(430)로 회전시켜 알약을 일렬로 정렬시킨다.
여기서, 각 원판(410)은 일정 간격의 4개 고정 지지대(420)로 상하부를 고정하고, 모터(430)에 의해 회전하며 원심력과 원판(410)의 경사를 통해 알약을 원판(410)의 바깥쪽에 정렬시킨다. 여기서, 상기 모터(430)는 모터 고정대(440) 상부에 고정되며, 모터 고정대(440)는 받침부(200) 상단에 결합된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투입부(500)는 정렬보관부(400) 중앙에 삽입되며, 알약을 투입하면 정렬보관부(400)의 각 층으로 이동하여 각 층에 맞는 알약을 상부의 구멍을 통해 투여된다.
여기서, 상기 투입부(500)는 알약을 투입하는 실린더형 통로(510)와 각 워판(410) 층에 고정이 가능하게 하는 투입부 고정대(520)를 포함한다.
상기 투입부 고정대(520)는 스프링을 통해 고정버튼(530)을 누를 경우 돌기(540)가 제거됨을 통해, 정렬보관부(400) 각 층 원판(410)으로 이동이 가능하며, 고정버튼(530)에서 손을 땔 경우, 돌기(540)가 생성되어 한 층에 고정될 수 있다.
한편, 고정된 투입부(500)의 상부에 위치한 입구에 알약을 투여하면, 고정된 층의 원판(410)으로 알약이 투입된다. 여기서, 고정된 층의 위치는 실린더형 통로(510)에 있는 눈금으로 확인할 수 있다.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배출부(600)는 정렬보관부(400)의 원판(410) 각 층에 정렬된 알약을 하나씩 배출한다.
여기서, 상기 배출부(600)는 레이저 센서모듈(610), 서보 모터(620), 알약 통로(630), 및 배출구(6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레이저 센서모듈(610)은 배출구(640) 일측에 부착되어 알약의 배출됨을 감지하여 정보를 라즈베리파이(710)에 전송한다. 이때, 상기 라즈베리파이(710)는 서보 모터(620)를 제어하여 한 번에 한 개의 알약만이 배출되도록 제어한다.
상기 알약 통로(630)는 정렬보관부(400)에 의해 원판(410) 바깥쪽에 정렬된 알약들이 차례로 들어와, 일렬로 정렬되며 계단형 구조(650)를 통해 한 층으로 정렬된다.
한편, 상기 알약 통로(630)의 폭은 알약의 크기에 따라 조절나사(660)를 통해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내부 2중벽이 이동함에 따라 벌어진 이격간격을 스프링에 연결된 판이 따라 움직이며 경사를 만들어 채울 수 있다.
상기 배출구(640)는 출구판(670)과 랙(680)과 피니언(690)으로 구성되며, 랙(690)은 출구판(670)의 하부에 부착되어 있다.
상기 서보 모터(620)에는 피니언(690)이 연결되어 있으며, 피니언(690)의 회전을 통해 랙(690)과 연결된 출구판(670)이 개폐되는 구조로 작동한다.
상기 배출구(640)를 통해 배출된 알약은 낙하하여 외부 케이스(100)의 토출구(120)로 배출되어 사용자가 복용할 수 있다.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제어부(700)는 딥러닝을 통해 촬영된 이미지와 카메라 촬영부(110)를 통해 인식된 사용자의 얼굴을 비교하여 어플(720)을 통해 저장된 데이터를 바탕으로 필요한 알약을 배출한다. 여기서, 상기 카메라 촬영부(110)는 촬영을 통해 사용자를 인식하며, 촬영 이미지를 제어부(700)의 라즈베리파이(710)에 전송한다.
한편, 상기 제어부(100)는 라즈베리파이(710)와 어플(720)로 구성되며, 라즈베리파이(710)는 외부 케이스의 상부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라즈베리파이(710)는 촬영 이미지 분석을 통해 사용자를 식별하고 알맞은 알약을 배출하기 위해 서보 모터(620)와 레이저 센서모듈(610)을 제어한다.
한편, 상기 어플(720)은 사용자의 촬영이미지, 알약 복용 정보, 건강상태 등을 입력할 수 있고 복용시간이 될 경우 알림을 받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어플(720)은 사용자의 데이터를 입력받아 제어부(700)에 전달하고 시간이 되면 알림을 통해 사용자가 알약 복용 시간을 알 수 있게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의 촬영 이미지와 알약, 시간을 등록해 두고 해당 시간이 되면 사용자의 이름과 복용해야 할 알약을 스피커로 불러준다. 이를 들은 사용자가 카메라를 통한 얼굴 인식을 하면 시간에 따라 복용해야 할 알약이 종류별로 제공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00: 외부 케이스부 110: 카메라 촬영부
120: 토출구 200: 받침부
210: 스피커 300: 몸체부
400: 정렬보관부 410: 원판
420: 고정 지지대 430: 모터
440: 모터 고정대 500: 투입부
510: 실린더형 통로 520: 투입부 고정대
530: 고정버튼 540: 돌기
600: 배출부 610: 레이저 센서모듈
620: 서보 모터 630: 알약 통로
640: 배출구 650: 계단형 구조
660: 조절나사 670: 출구판
680: 랙 690: 피니언
700: 제어부 710: 라즈베리파이
720: 어플

Claims (7)

  1. 상부 일측에 설치하여 촬영 이미지를 통해 사용자의 얼굴을 인식하는 카메라 촬영부와, 하부 일측에 알약이 토출되는 토출구로 구성된 외부 케이스부;
    상기 외부 케이스부의 하단에 결합되며 알약 복용 시간을 알리는 스피커를 포함하는 받침부;
    다수개의 원판 층에 알약을 보관하고 정렬하는 정렬보관부;
    상기 정렬보관부 중앙에 삽입되며, 정렬보관부의 원판 각 층으로 이동하여 각 층에 맞는 알약을 상부의 구멍을 통해 투입하는 투입부;
    상기 원판 각 층의 알약을 하나씩 배출하는 배출부;
    촬영 이미지를 처리하고 알약 배출을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외부 케이스부에 내장되어 정렬보관부, 투입부, 배출부, 및 제어부를 받쳐주는 몸체부;를 포함하되,
    상기 정렬보관부는,
    중앙이 비어 있는 다수개의 원판과,
    각 원판의 상하부에 결합하여 고정시키는 4개의 고정 지지대와,
    각 원판 층에 보관된 한 종류의 알약을 일렬로 정렬시키는 모터, 및
    상기 모터를 고정하는 모터 고정대를 포함하며,
    상기 투입부는 알약을 투입하는 실린더형 통로와 정렬보관부의 원판 각 층을 고정하는 투입부 고정대를 포함하고,
    상기 투입부 고정대는 스프링을 통해 고정버튼을 누를 경우 돌기가 제거됨을 통해 정렬보관부의 각 층 원판으로 이동이 가능하며, 상기 고정버튼에서 손을 땔 경우 돌기가 생성되어 한 층에 고정되며,
    상기 제어부는 카메라 촬영부를 통해 촬영한 사용자의 얼굴과 어플을 통해 저장된 사용자의 얼굴을 비교 및 식별하여 알약을 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얼굴 인식 알약 배분 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부는,
    알약의 배출을 감지하여 정보를 제어부로 전송하는 레이저 센서모듈과,
    정렬보관부에 의해 원판 바깥쪽에 정렬된 알약들이 차례로 들어와 일렬로 정렬되며 계단형 구조를 통해 한 층으로 정렬되는 알약 통로와,
    상기 알약 통로의 폭을 알약의 크기에 따라 조절하는 조절나사와,
    출구판과 랙과 피니언으로 구성되며, 출구판의 하부에 부착되어 외부 케이스의 토출구로 알약을 배출하는 배출구, 및
    상기 피니언의 회전을 통해 랙과 연결된 출구판을 개폐시키는 서보 모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얼굴 인식 알약 배분 장치.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한 번에 한 개의 알약만이 배출되도록 서보 모터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얼굴 인식 알약 배분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사용자의 촬영이미지, 알약 복용 정보, 건강상태를 입력하고, 사용자의 데이터를 입력받아 제어부에 전달하며, 복용시간이 되면 알림을 통해 알약 복용 시간을 알리는 어플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얼굴 인식 알약 배분 장치.
KR1020210098887A 2021-07-28 2021-07-28 얼굴 인식 알약 배분 장치 KR1026113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8887A KR102611356B1 (ko) 2021-07-28 2021-07-28 얼굴 인식 알약 배분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8887A KR102611356B1 (ko) 2021-07-28 2021-07-28 얼굴 인식 알약 배분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17431A KR20230017431A (ko) 2023-02-06
KR102611356B1 true KR102611356B1 (ko) 2023-12-08

Family

ID=852245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98887A KR102611356B1 (ko) 2021-07-28 2021-07-28 얼굴 인식 알약 배분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11356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5138B1 (ko) * 2013-06-18 2014-01-27 무라르 제이슨 자동 알약 공급 장치
KR101871185B1 (ko) * 2017-09-14 2018-06-27 봉승구 원터치 살균 수저통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34464A (ko) * 2013-09-26 2015-04-03 주식회사 오성전자 알약 제공장치
KR20180055584A (ko) 2016-11-17 2018-05-25 민기홍 복용알람 및 알약 자동토출 약통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5138B1 (ko) * 2013-06-18 2014-01-27 무라르 제이슨 자동 알약 공급 장치
KR101871185B1 (ko) * 2017-09-14 2018-06-27 봉승구 원터치 살균 수저통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17431A (ko) 2023-02-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381977B2 (ja) 薬剤供給装置
CN111372549B (zh) 整合药物管理的系统、方法及模组
EP2672947B1 (en) Devices, systems and methods for point of use medication control
US5441165A (en) Autonomous controlled drug dispensing system
US5755357A (en) Compact medication delivery systems
US9014847B2 (en) Systems for point-of-use medication control
JP5346023B2 (ja) 薬剤包装装置の自由形状錠剤の自動排出器及び錠剤供給方法
US6834775B1 (en) Programmable medicine dispenser
KR101953750B1 (ko) 복약관리용 약 디스펜서
US20100096399A1 (en) Smart Medicine Container
JPH09508846A (ja) 薬剤分配ステーション
KR20170112704A (ko) 복약 모니터링 장치 및 방법
CN111361863A (zh) 药物分配装置和智能药箱
US10022304B2 (en) As-needed, time controlled medication dispenser and methods
US20220125684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portable pill dispensers with various dispensing mechanisms
EP1947012A1 (en) Semi-automatic medicine packaging machine having cassette locking unit
KR102611356B1 (ko) 얼굴 인식 알약 배분 장치
KR20210125154A (ko) 복약 관리 시스템
KR20140139998A (ko) 복약 관리 시스템 및 복약 관리 서비스 제공방법
KR102344626B1 (ko) 스마트 약통 및 이를 이용한 복용관리방법
WO2001093801A1 (en) Apparatus for dispensing medication and for providing information thereon
KR102674834B1 (ko) 정제 자동 공급 장치용 정제로딩모듈
EP4011349A1 (en) Drug-dosing device
KR102664319B1 (ko) 정제 연속 공급장치
US11952202B2 (en) Pill dispenser with a pre-filled stackable cartridg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