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42226B1 - 모발 처짐방지기능을 갖는 모발 세정제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모발 처짐방지기능을 갖는 모발 세정제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42226B1
KR102642226B1 KR1020230139992A KR20230139992A KR102642226B1 KR 102642226 B1 KR102642226 B1 KR 102642226B1 KR 1020230139992 A KR1020230139992 A KR 1020230139992A KR 20230139992 A KR20230139992 A KR 20230139992A KR 102642226 B1 KR102642226 B1 KR 1026422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ir
weight
agent
tannin
sagg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1399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광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웰메이드인터내셔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웰메이드인터내셔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웰메이드인터내셔널
Priority to KR10202301399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4222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422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42226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0Sugars; Derivatives thereof
    • A61K8/602Glycosides, e.g. rut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A61K8/26Aluminium; Compound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4Alcoho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4Alcohols
    • A61K8/345Alcohols containing more than one hydroxy grou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73Polysaccharides
    • A61K8/731Cellulose; Quaternized cellulose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5/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hair
    • A61Q5/004Preparations used to protect coloured hai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5/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hair
    • A61Q5/02Preparations for cleaning the hai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5/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hair
    • A61Q5/12Preparations containing hair condition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2Stabilizers
    • A61K2800/524Preser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8Metal complex; Coordination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80Process related aspects concerning the prepara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or the storage or application thereof
    • A61K2800/88Two- or multipart kits
    • A61K2800/884Sequential applica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Dermat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탄닌 성분과 다가 금속염의 배위결합 성분이 모발 내로 침투하게 됨으로써 모발의 표면에는 별다른 영향을 주지 않으면서도 모발의 탄성을 증가시켜, 결국 모발의 처짐을 방지하도록 하는 모발 처짐방지기능을 갖는 모발 세정제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으로, 70~90℃의 정제수에 탄닌 0.5~3중량% 및 셀룰로우스검 0.1~1중량%를 첨가하여 제조한 1제; 및 40~70℃의 정제수에 명반(AlK(SO4)2·12H2O) 0.5~3중량%를 첨가하여 제조한 2제;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모발 처짐방지기능을 갖는 모발 세정제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A hair cleansing composition having the function for preventing the hair sagging and the fabricat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모발 세정제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모발 처짐방지기능을 갖는 모발 세정제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대인의 외관적 미의 기준 중 상당량이 모발에 좌우되며 모발 아름다움의 기준은 지역, 시대마다 다르지만 대체적으로 윤기 있고 풍성하며 탄력과 가지런함이 있는 모발을 선호한다. 하지만, 모발은 개인차가 큰 인체의 한 부분으로 그것을 극복하기 위하여, 펌, 염색 등의 미적 변화와 샴푸, 트리트먼트 등의 꾸준한 관리를 필요로 한다.
이러한 미용처치와 관리, 또는 고유한 개인의 차이, 약물의 이용, 임신, 스트레스 등 각각 여러 사유로 모발의 탈락과 약해짐, 탄력저하, 끊어짐 등이 발생할 수 있는데 이는 외관으로 보이는 미의 기준을 저하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
그 중 탄력저하는 모발에 열기구 사용, 미용처치중의 단백질 변성 등으로 발생할 수 있으며, 탄력이 저하된 모발은 잔머리 프리즈 현상의 발생, 전체적인 모발 처짐 등으로 심미적 관점에서 좋지 않을 뿐만 아니라 모발의 강도 약화로 모발 건강에 좋지 않은 영향을 가져 오게 된다.
한편, 탄닌은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폴리페놀의 일종으로 배위결합에 용이한 하이드록시기를 충분하게 가지고 있는 방향족화합물류이다. 많은 식물에 포함되어 있으며 떫은맛을 내는 성분으로 흔하게 접할 수 있는 물질인바, 예로부터 수렴제, 지혈제 등의 약, 와인, 녹차 등의 식품, 염료산업 등 다양한 곳에 이용되고 있다.
특히, 탄닌은 금속염을 매염제로 하여 염색 효과를 나타내는데 금속 종류에 따라 색이 달라지게 된다. 금속염은 알루미늄명반, 중크롬산칼륨, 염화제이주석, 황산동, 등 다양한 성분들이 이용되며 그 밖에 농도와 온도, 시간 등도 색에 변화를 줄 수 있다.
아울러, 탄닌을 천에 처리 후 매염제를 처리하거나 또는 매염제를 처리 후 탄닌을 처리하면,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염료 분자의 OH기와 금속염의 배위결합으로 인하여 부피가 커진 분자가 천에서 쉽게 탈락하지 않게 되는바, 이는 천연염료의 물빠짐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게 되며, 이를 응용하여 모발의 탄력증가 효과를 가져오기도 하였다.
이러한 탄닌 성분을 이용한 모발의 탄력 증가에 관한 기술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978820호(명칭: 피부 또는 모발용 세정제 조성물),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21-0041905호(명칭: 탄닌산과 수용성 금속염을 포함하는 두피 또는 모발 세정 조성물),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2244464호(명칭: 감잎추출물을 함유하는 모발 상태 개선용 모발 외용제 조성물),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23-0113116호(명칭: 볼륨증대용 염색샴푸 조성물),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23-0113117호(명칭: 천연염료를 포함하는 샴푸 조성물) 등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들 문헌은 모발의 표면에 탄닌 성분 혹은 탄닌 성분과 금속염 성분의 결합체가 들러붙어 모발 염색과 동시에 모발을 굵게 함으로써 인장강도를 증가시키는 방법으로 진행되었는바, 역으로 모발이 굵어지면서 모발의 무게가 증가함에 따라 모발이 더 처지게 되는 부작용이 있다.
특허문헌 1 :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978820호(명칭: 피부 또는 모발용 세정제 조성물) 특허문헌 2 :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21-0041905호(명칭: 탄닌산과 수용성 금속염을 포함하는 두피 또는 모발 세정 조성물) 특허문헌 3 :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2244464호(명칭: 감잎추출물을 함유하는 모발 상태 개선용 모발 외용제 조성물) 특허문헌 4 :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23-0113116호(명칭: 볼륨증대용 염색샴푸 조성물) 특허문헌 5 :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23-0113117호(명칭: 천연염료를 포함하는 샴푸 조성물)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탄닌 성분과 다가 금속염의 배위결합 성분이 모발 내로 침투하게 됨으로써 모발의 표면에는 별다른 영향을 주지 않으면서도 모발의 탄성을 증가시켜, 결국 모발의 처짐을 방지하도록 하는 모발 처짐방지기능을 갖는 모발 세정제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상의 목적 및 다른 추가적인 목적들이, 첨부되는 청구항들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업자들에게 명백히 인식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1 측면에 따르는 모발 처짐방지기능을 갖는 모발 세정제 조성물은, 70~90℃의 정제수에 탄닌 0.5~3중량% 및 셀룰로우스검 0.1~1중량%를 첨가하여 제조한 1제; 및 40~70℃의 정제수에 명반(AlK(SO4)2·12H2O) 0.5~3중량%를 첨가하여 제조한 2제;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1제에서 탄닌의 함량은 0.5~2중량%이고, 상기 2제에서 명반의 함량은 0.5~2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1제에 및 상기 2제에 각각 소량의 방부제를 추가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방부제는, 페녹시에탄올 0.1~0.5중량% 및 클로페네신 0.1~0.5중량%가 첨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2 측면에 따르는 모발 처짐방지기능을 갖는 모발 세정제 조성물의 제조방법은, 상기 모발 처짐방지기능을 갖는 모발 세정제 조성물의 제조방법으로서, (a) 정제수를 70~90℃로 가온하여 0.5~3중량%가 되도록 탄닌을 용해하는 단계; (b) 상기 (a) 단계에서의 탄닌 수용액에 0.1~1중량%의 셀룰로우스검을 첨가하여 1제를 수득하는 단계; 및 (c) 정제수를 40~70℃로 가온하여, 명반(AlK(SO4)2·12H2O) 0.5~3중량%를 용해하여 2제를 수득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1제에서 탄닌의 함량은 0.5~2중량%이고, 상기 2제에서 명반의 함량은 0.5~2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1제에 및 상기 2제에 각각 소량의 방부제를 추가하되, 페녹시에탄올 0.1~0.5중량% 및 클로페네신 0.1~0.5중량%가 각각 첨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모발 처짐방지기능을 갖는 모발 세정제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과 그 제조방법에 따르면, 탄닌 성분과 다가 금속염의 배위결합 성분이 모발 내로 침투하게 됨으로써 모발의 표면에는 별다른 영향을 주지 않으면서도 모발의 탄성을 증가시켜, 결국 모발의 처짐을 방지하도록 하는 모발 처짐방지기능을 갖는 모발 세정제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추가적인 특징 및 장점들은 이하의 설명을 통해 더욱 명확히 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모발 처짐방지기능을 갖는 모발 세정제 조성물에 사용되는 탄닌산(tannin acid)의 화학구조식의 예
도 2는 OH기를 갖는 염료 분자와 Al의 배위결합 형태를 설명하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모발 처짐방지 기능을 확인하기 위한 모발 처짐 각도 계산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비교실험예(대조모)의 처리전과 처리후 사진
도 5는 실험예1(흑색모)의 처리전과 처리후 사진
도 6은 실험예2(염색모)의 처리전과 처리후 사진
도 7은 비교실험예(대조모)의 SEM 및 EDAX 촬영 사진
도 8은 실험예2(염색모)의 SEM 및 EDAX 촬영 사진
본 발명은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하지만,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하여 해석되어서는 안 되며, 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후술하는 실시예 및 실시 형태들은 예시로서 제한적이지 않은 것으로 고려되어야 하며, 본 발명은 여기에 주어진 상세로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첨부된 청구항의 범위 및 동등물 내에서 치환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로 변경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모발 처짐방지기능을 갖는 모발 세정제 조성물에 사용되는 탄닌산(tannin acid)의 화학구조식의 예이고, 도 2는 OH기를 갖는 염료 분자와 Al의 배위결합 형태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모발 처짐방지 기능을 확인하기 위한 모발 처짐 각도 계산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4는 비교예(대조모)의 처리전과 처리후 사진이고, 도 5는 실시예1(흑색모)의 처리전과 처리후 사진이며, 도 6은 실시예2(염색모)의 처리전과 처리후 사진이다.
도 7은 비교예(대조모)의 SEM 및 EDAX 촬영 사진이고, 도 8은 실시예2(염색모)의 SEM 및 EDAX 촬영 사진이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모발 처짐방지기능을 갖는 모발 세정제 조성물은, 탄닌을 포함하는 1제와, 금속염으로서 명반을 포함하는 2제로 이루어지며, 먼저 1제를 모발에 골고루 도포하고 일정 시간 방치후 2제를 스프레이 등의 방식으로 골고루 도포하는 방식으로 사용되어 진다.
1) 탄닌을 이용한 1제 제조
먼저, 탄닌을 이용한 '1제'를 제조하는바, 정제수를 70~90℃로 가온하여 0.5~3중량% (바람직하게는, 0.5~2중량%) 가 되도록 탄닌을 용해하고, 사용성을 높이기 위하여 0.1~1중량%의 셀룰로우스검을 첨가하여 점도를 증가시켰다. 추가적으로, 소량의 방부제가 첨가될 수 있는바, 페녹시에탄올 0.1~0.5중량% 및 클로페네신 0.1~0.5중량% (바람직하게는, 페녹시에탄올 0.3중량% 및 클로페네신 0.2중량%) 를 첨가하여 1제 용액의 방부효과를 추가할 수 있다.
탄닌을 3중량% 초과하게 되면, 탄닌의 용해가 잘 되지 않아 제형이 불가능해 지며, 부가적으로 탄닌을 2중량% 초과하게 됨에 따라 경제성 관점에서도 불리하고 오히려 전체 무게 증가로 인하여 모발처짐각도 개선 효과가 낮아지는바, 3중량% 이하가 바람직하다.
아울러, 셀룰로우스검의 경우, 1중량%를 초과하게 되면, 점도가 너무 높아져서 제품화가 불가능한바, 1중량%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례로, 탄닌(tannin acid)은 '씨그마아드리치코리아(주)'의 제품번호 'W304204' (CAS No.: 1401-55-4) 를 사용할 수 있으며, 탄닌(tannin acid)의 화학 구조식의 일 예가 도 1에 도시되어 있다.
2) 명반을 이용한 2제 제조
다음, 금속염으로서 명반을 이용한 '2제'를 제조하는바, 정제수를 40~70℃로 가온하여, 명반(AlK(SO4)2·12H2O) 0.5~3중량% (바람직하게는, 0.5~2중량%) 를 추가한다.
금속 배위결합 효과를 주기 위한 명반은, 일례로 '㈜삼현제약'의 의약용품외를 사용할 수 있으며, 역시 방부효과를 주기 위해 1제와 동일하게 방부제 (페녹시에탄올과 클로페네신) 를 추가할 수 있다.
상기 1제의 탄닌 성분 함량비 및 이에 따른 2제의 명반 성분 함량비를 달리해 가며, 실시예1 내지 실시예4의 본 발명에 따른 모발 처짐 방지기능을 갖는 모발 세정제 조성물을 조성하였는바, 다음 [표 1]과 같다.
성분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3 실시예4


1제
탄닌 0.5 1 2 3
셀룰로우스검 0.2 0.2 0.2 0.2
페녹시에탄올 0.3 0.3 0.3 0.3
클로페네신 0.2 0.2 0.2 0.2

2제
명반 0.5 1 2 3
페녹시에탄올 0.3 0.3 0.3 0.3
클로페네신 0.2 0.2 0.2 0.2
실시예1
먼저, 80℃의 정제수에 탄닌(CAS No.: 1401-55-4) 0.5중량% 및 셀룰로우스검 0.2중량%, 페녹시에탄올 0.3중량% 및 클로페네신 0.2중량%를 첨가하여 1제를 제조하고,
60℃의 정제수에 명반(AlK(SO4)2·12H2O) 0.5중량%, 페녹시에탄올 0.3중량% 및 클로페네신 0.2중량%를 첨가하여 2제를 제조한다.
실시예2
1제에서 탄닌의 함량 및 2제에서 명반의 함량을 각각 1중량%로 하는 것 외에는, 상기 실시예1과 동일하다.
실시예3
1제에서 탄닌의 함량 및 2제에서 명반의 함량을 각각 2중량%로 하는 것 외에는, 상기 실시예1과 동일하다.
실시예4
1제에서 탄닌의 함량 및 2제에서 명반의 함량을 각각 3중량%로 하는 것 외에는, 상기 실시예1과 동일하다.
모발 처짐 각도 실험예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발 세정제 조성물의 모발 처짐방지기능을 확인하기 위하여, 실제 동일인의 모발을 여러 세트 준비하되, 건강한 흑색모와 염색으로 인하여 표면이 일부 손상된 염색모를 준비하고, 실험 중에 빠지지 않도록 도 4 내지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왁스로 한쪽을 봉합하였다.
대조실험예
흑색모 모발샘플을 정렬하고 노폐물을 제거하기 위하여 샴푸한 후 헤어드라이어로 건조, 사진 촬영을 하고 (도 4의 (a) 참조), 5분 방치 후 다시 샴푸를 하고 드라이어로 건조 후, 5분 지나 다시 한번 샴푸를 하고 드라이어로 건조 후, 촬영을 하였다 (도 4의 (b) 참조).
이때 샴푸는 실험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양이온계면활성제와 실리콘이 함유되지 않는 것을 이용하였다. 그 다음 사진촬영을 하였다.
실험예1
이제, 흑색모 모발샘플을 샴푸한 후 드라이어로 건조 후, 촬영을 하고 (도 5의 (a) 참조), 5분 후 (상기 실시예1에 의해 제조된) 1제를 도포 및 골고루 바른 후, 5분 방치하며, 그 후 (상기 실시예1에 의해 제조된) 2제를 스프레이하고 골고루 바른 후 5분 방치하였다. 그 후 다시 샴푸 및 드라이어로 건조하고 나서 5분 방치 후 추가 샴푸 및 드라이어로 건조한 후, 촬영하였다 (도 5의 (b) 참조).
실험예2
이제, 염색모 모발샘플에 대하여, 상기 실험예1과 같이 실험하였다.
즉, 염색모 모발샘플을 샴푸한 후 드라이어로 건조, 촬영을 하고 (도 6의 (a) 참조), 5분 후 (상기 실시예1에 의해 제조된) 1제를 도포 및 골고루 바른 후, 5분 방치하며, 그 후 (상기 실시예1에 의해 제조된) 2제를 스프레이하고 골고루 바른 후 5분 방치하였다. 그 후 다시 샴푸 및 드라이어로 건조하고 나서 5분 방치 후 추가 샴푸 및 드라이어로 건조한 후, 촬영하였다 (도 6의 (b) 참조).
실험예3
상기 실시예2에 의해 제조된 (탄닌 함량이 1중량%인) 모발 세정제 조성물을 사용한 점 외에는, 상기 실험예1과 같이 실험하였다.
실험예4
상기 실시예3에 의해 제조된 (탄닌 함량이 2중량%인) 모발 세정제 조성물을 사용한 점 외에는, 상기 실험예1과 같이 실험하였다.
실험예5
상기 실시예4에 의해 제조된 (탄닌 함량이 3중량%인) 모발 세정제 조성물을 사용한 점 외에는, 상기 실험예1과 같이 실험하였다.
실험결과1
본 발명에 따른 모발 세정제 조성물을 처리한 상기 실험예1 및 실험예2에 대해서 공히, 처리전보다 처리후에 모발 처짐현상이 유의미하게 개선되었다. 반면, 본 발명에 따른 모발 세정제 조성물을 처리하지 않은 상기 대조실험예의 경우에는, 오히려 여러번 샴푸를 행한 과정에서 탄성이 약해져, 모발의 처짐 현상이 더 악화되었다.
이를 객관적 수치상으로 확인하여 위하여,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모발 처짐 각도(도 3의 x°)를 수치적으로 계산하였는바, 모발과 카메라를 고정시킨 후 사진을 촬영하고, 그 사진에서 모발샘플의 휘어짐 각도를 계산하여, 처리 전 샘플의 각도와 처리 후 각도의 차이를 확인하고, 그 비를 상대적으로 수치화하였다.
즉, 도 3에서, 모발샘플의 끝단 중 샘플마다 같은 길이를 기준으로 설정 후 처짐의 각도를 x°라 하면, a, b의 탄젠트값을 이용하여 각도를 계산할 수 있다. 아울러, 모발샘플의 처리 전 각도(x1)에서 처리 후 각도(x2)를 빼면 최대 0~90도가 되는데, 이를 단순화하기 위하여 90으로 나누면 0~1 사이의 값으로 표현할 수 있다. 이 수치를 '모발처짐방지값'(R = (x1-x2)/90) 이라 하였다 ([수학식1] 참조). '모발처짐방지값'이 '0'이면 변화를 보이지 않는 값이고, 1이면 중력에 의해 완전히 구부러져 있다가 처리 후 전혀 휘어지지 않는 모발을 표현한다. 만약 처리 후 더 휘어진다면 음수값을 가지게 된다.
Figure 112023114610259-pat00001
대조실험예와 실험예1, 2의 경우, 본 발명의 세정제 처리 전의 처짐각도(x1) 및 처리 후의 각도(x2)와 상기 각각의 처짐 각도를 상기 [수학식1]에 의해 계산된 '모발처짐방지값'(R)은 [표 2]에서 보는 바와 같다.
대조실험예 실험예1 실험예2
사용된 모발샘플 흑색모 흑색모 염색모
세정제 사용여부 사용않음 실시예1의 세정제 사용함
1차 샴푸후(처리전) 처짐각도(x1) 60 58 76
3차 샴푸후(처리후) 처짐각도(x2) 66 51 61
모발처짐방지값(R) -0.067 0.078 0.167
우선, 대조실험예의 '모발처짐방지값'은 음수(-0.067)인 반면, 흑색모 탄력값은 0.078로 이는 유의미한 차이가 있음을 나타낸다.
또한, 손상된 염색모의 경우에는, '모발처짐방지값'이 0.167로, 흑색모에 비하여 현저하게 높은 차이를 나타내었는데, 그 이유는 흑색모의 경우 매우 건강한 모발이라 탄닌의 침투가 상대적으로 어렵지만, 표면이 손상된 염색모의 경우 큐티클이 파괴되어 탄닌의 침투가 더 용이했던 때문이라 여겨진다.
한편, 처리 전후 모발 겉면의 유의미한 변화를 확인하기 위하여, 보조실험예의 경우와 실험예2의 최종 처리 후 모발샘플을, 에너지 분산형 전자현미경 (FE-SEM, Model S-4700, Hitachi, Japan)으로 촬영하였다.
이는, 도 7 및 도 8의 SEM 촬영 사진에서도 알 수 있는바, 도 7 (a) 및 도 8 (a)의 SEM 촬영 사진에서, 겉면에 특별한 변화나 피막 등이 발견되지 않는다. 이는 셀룰로우스검 등이 표면에 코팅되어 탄력 효과를 이루는 종래기술들과 전혀 상이한 기작이며, 모발 내부로 침투한 때문인 것으로 추정된다.
도 7 (b) 및 도 8 (b)의 EDAX 촬영 사진의 결과를 보면, EDAX 촬영에 의한 원소분석 결과, 도 7 (b)의 대조실험예에서는 모발의 단백질 성분인 C, O, S가 주로 관찰되었으나, 도 8 (b)의 실험예2의 경우에는 대조실험예에서는 발견되지 않는 Al이 염색모에서는 발견되는데, 이는 탄닌과 Al이 배위결합하여 모발 내에 존재함을 나타낸다.
참고로, 명반 (AlK(SO4)2·12H2O)은 수용액 상에서 각 성분이온들로 해리되므로, 알루미늄 이온(Al3+)과 칼륨 이온(K+) 모두 검출 가능하지만, 탄닌과의 배위결합의 경우 K+는 탄닌 1분자와 결합하는 반면 Al3+는 주위에 탄닌 3분자와 배위결합을 하므로 (도 2 참조), 여러번의 샴푸로 인하여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2~3배로 훨씬 더 커진 Al3+와 탄닌결합은 모발 내부에 남는 반면, K+과 결합한 탄닌은 수세에 씻겨 나간 것으로 여겨진다. (참고로, 명반 내 다른 성분 대부분은 C, S, O와 겹치므로 표시가 나지 않고, K는 Al처럼 3배 이상의 배위결합을 형성하지 않으므로 샴푸에 의해 씻겨나가, 결국 최종적으로는 Al이 원소분석에서 검출된 것이다.)
결국, 탄닌을 이용한 모발 처짐방지기능을 갖는 모발 세정제 조성물의 경우, 충분히 유의미한 모발처짐 방지기능을 갖는바, 이를 샴푸, 헤어 컨디셔너 등에 응용하거나 별도의 1~2제 형태의 제품으로 우수한 기술적 효과를 갖는다 할 것이다.
실험결과2
다른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모발 세정제 조성물을 동일한 흑색모에 대하여, 탄닌의 성분 함량을 달리해 가면서 처리한 상기 실험예1, 실험예3 내지 5에 대해서 살펴본 결과, 상기 실험결과1에서와 동일한 방식으로 '모발처짐방지값'을 산출한 결과는, [표 3]에서와 같다.
대조실험예 실험예1 실험예3 실험예4 실험예5
사용된 모발샘플 흑색모 흑색모 흑색모 흑색모 흑색모
사용된 세정제 사용않음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3 실시예4
탄닌의 함량(중량%) 0 0.5 1 2 3
모발처짐방지값(R) -0.067 0.078 0.100 0.120 0.105
즉, 상기 [표 3]에서 보듯이, 본 발명에 따른 모발 세정제 조성물을 처리한 상기 실험예1 및 실험예2 내지 실험예5에 대해서 공히, 처리전보다 처리후에 모발 처짐현상이 유의미하게 개선되었다.
다만, 탄닌의 성분 함량이 2중량%에서 3중량%로 넘어가면, '모발처짐방지값(R)'이 0.120에서 0.105로 오히려 떨어지는바, 탄닌의 성분 함량이 2중량%를 넘어가면, 탄성은 증가하나 오히려 무게감 증가로 모발처짐 방지효과는 더 이상 향상되지 않으며, 특히 3중량%를 초과하게 되면, 제품에 용해가 되지 않아 제형이 불가능함을 알수 있었다 (참고로, 방부제나 셀룰로우스검의 함량은 '모발처짐방지값(R)'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더구나, 탄닌 성분의 함량이 증가하려면 실제 제품 단가도 높아지는바, 탄닌의 함량을 늘리는 것이 능사는 아니라는 점을 알 수 있었다.
결국, 탄닌의 성분 함량은 3중량를 초과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2중량% 이하로 하는 것이 좋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본 발명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변경 및 변형한 것도 본 발명에 속함은 당연하다.

Claims (7)

  1. 70~90℃의 정제수에 탄닌 0.5~3중량% 및 셀룰로우스검 0.1~1중량%를 첨가하여 제조한 1제; 및
    40~70℃의 정제수에 명반(AlK(SO4)2·12H2O) 0.5~3중량%를 첨가하여 제조한 2제;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모발 처짐방지기능을 갖는 모발 세정제 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1제에서 탄닌의 함량은 0.5~2중량%이고, 상기 2제에서 명반의 함량은 0.5~2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발 처짐방지기능을 갖는 모발 세정제 조성물.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1제에 및 상기 2제에 각각 소량의 방부제를 추가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발 처짐방지기능을 갖는 모발 세정제 조성물.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방부제는, 페녹시에탄올 0.1~0.5중량% 및 클로페네신 0.1~0.5중량%가 첨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발 처짐방지기능을 갖는 모발 세정제 조성물.
  5. 제 1 항의 모발 처짐방지기능을 갖는 모발 세정제 조성물의 제조방법으로서,
    (a) 정제수를 70~90℃로 가온하여 0.5~3중량%가 되도록 탄닌을 용해하는 단계;
    (b) 상기 (a) 단계에서의 탄닌 수용액에 0.1~1중량%의 셀룰로우스검을 첨가하여 1제를 수득하는 단계; 및
    (c) 정제수를 40~70℃로 가온하여, 명반(AlK(SO4)2·12H2O) 0.5~3중량%를 용해하여 2제를 수득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발 처짐방지기능을 갖는 모발 세정제 조성물의 제조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1제에서 탄닌의 함량은 0.5~2중량%이고, 상기 2제에서 명반의 함량은 0.5~2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발 처짐방지기능을 갖는 모발 세정제 조성물의 제조방법.
  7. 제 5 항 또는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1제에 및 상기 2제에 각각 소량의 방부제를 추가하되, 페녹시에탄올 0.1~0.5중량% 및 클로페네신 0.1~0.5중량%가 각각 첨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발 처짐방지기능을 갖는 모발 세정제 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20230139992A 2023-10-19 2023-10-19 모발 처짐방지기능을 갖는 모발 세정제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26422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39992A KR102642226B1 (ko) 2023-10-19 2023-10-19 모발 처짐방지기능을 갖는 모발 세정제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39992A KR102642226B1 (ko) 2023-10-19 2023-10-19 모발 처짐방지기능을 갖는 모발 세정제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42226B1 true KR102642226B1 (ko) 2024-02-29

Family

ID=900412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139992A KR102642226B1 (ko) 2023-10-19 2023-10-19 모발 처짐방지기능을 갖는 모발 세정제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42226B1 (ko)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92049A (ja) * 1992-09-24 1994-07-12 Helene Curtis Inc 透明なリーブ・オン毛髪処理組成物およびその製造法
JP2012219057A (ja) * 2011-04-08 2012-11-12 Nippon Fine Chem Co Ltd 毛髪のハリコシ改善剤
KR20130001571A (ko) * 2011-06-27 2013-01-04 (주)아모레퍼시픽 곱슬모발 완화용 조성물
KR20150113672A (ko) * 2014-03-31 2015-10-08 (주)아모레퍼시픽 모발 세정용 조성물
KR101978820B1 (ko) 2016-02-02 2019-05-15 주식회사 휴앤코스메틱 피부 또는 모발용 세정제 조성물
KR20210041905A (ko) 2019-10-08 2021-04-16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탄닌산과 수용성 금속염을 포함하는 두피 또는 모발 세정 조성물
KR102244464B1 (ko) 2020-03-31 2021-04-26 주식회사마잘 감잎추출물을 함유하는 모발 상태 개선용 모발 외용제 조성물
KR20230113116A (ko) 2022-01-21 2023-07-28 신홍철 볼륨증대용 염색샴푸 조성물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92049A (ja) * 1992-09-24 1994-07-12 Helene Curtis Inc 透明なリーブ・オン毛髪処理組成物およびその製造法
JP2012219057A (ja) * 2011-04-08 2012-11-12 Nippon Fine Chem Co Ltd 毛髪のハリコシ改善剤
KR20130001571A (ko) * 2011-06-27 2013-01-04 (주)아모레퍼시픽 곱슬모발 완화용 조성물
KR20150113672A (ko) * 2014-03-31 2015-10-08 (주)아모레퍼시픽 모발 세정용 조성물
KR101978820B1 (ko) 2016-02-02 2019-05-15 주식회사 휴앤코스메틱 피부 또는 모발용 세정제 조성물
KR20210041905A (ko) 2019-10-08 2021-04-16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탄닌산과 수용성 금속염을 포함하는 두피 또는 모발 세정 조성물
KR102244464B1 (ko) 2020-03-31 2021-04-26 주식회사마잘 감잎추출물을 함유하는 모발 상태 개선용 모발 외용제 조성물
KR20230113116A (ko) 2022-01-21 2023-07-28 신홍철 볼륨증대용 염색샴푸 조성물
KR20230113117A (ko) 2022-01-21 2023-07-28 신홍철 천연염료를 포함하는 샴푸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52430B1 (ko) 헤어 펌제용 첨가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펌 시술방법
DE102015221460B4 (de) Dauerwellverfahren mit verbesserter Pflegeleistung und Wellwirkung
DE112017002170T5 (de) Haarstärkende Zusammensetzung und ein Kit zur Stärkung von Haaren
DE60118902T2 (de) Auf dem haar verbleibende oder ausspülbare konditioniermittel, die quaternäre-silikon-verbindungen und verdickungsmittel enthalten
DE202016008643U1 (de) Zusammensetzung zur Haarverfestigung und deren Anwendung zum Festigen der Haare
TW201821053A (zh) 頭髮護理組成物
WO2016006529A1 (ja) 毛髪処理剤
WO2016126121A1 (ko) 효모추출물을 포함하는발모 및 모발 강화용의 두피 및 모발용 조성물
EP1727518B1 (de) Verwendung von mitteln zur kosmetischen behandlung von menschlichen haaren
KR102642226B1 (ko) 모발 처짐방지기능을 갖는 모발 세정제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US4652445A (en) Hair treatment and conditioner
JP2019123701A (ja) 毛髪処理剤
JPS63502104A (ja) ヘア−トリ−トメント
JPS5867613A (ja) パーマネントウェーブ加工剤用希釈剤
KR102106852B1 (ko) 모발 손상을 최소화하는 펌 시술방법
KR20160018453A (ko) 모발 처리제 조성물
KR101661511B1 (ko) 모발 처리제 및 이를 이용한 모발의 퍼머 또는 염색 방법
JP3765858B2 (ja) 頭髪処理剤組成物
WO2022004886A1 (ja) 毛髪補修剤、毛髪処理剤及び毛髪処理方法
JP2886283B2 (ja) 毛髪処理剤
JP3494282B2 (ja) ストレートパーマ用パーマネントウエーブ用第2剤
JPH1087441A (ja) ヘアトリートメント
JP2014214150A (ja) 毛髪化粧料
US20240139093A1 (en) Extemporaneous preparation and cosmetic method for straightening hair using said preparation
KR101664333B1 (ko) 환원성 성분 및 마린콜라겐펩타이드를 이용한 모발 스타일링용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