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64333B1 - 환원성 성분 및 마린콜라겐펩타이드를 이용한 모발 스타일링용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환원성 성분 및 마린콜라겐펩타이드를 이용한 모발 스타일링용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64333B1
KR101664333B1 KR1020140155681A KR20140155681A KR101664333B1 KR 101664333 B1 KR101664333 B1 KR 101664333B1 KR 1020140155681 A KR1020140155681 A KR 1020140155681A KR 20140155681 A KR20140155681 A KR 20140155681A KR 101664333 B1 KR101664333 B1 KR 1016643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parts
hair
mixture
glycer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556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56397A (ko
Inventor
차운호
Original Assignee
퓨전켐코리아㈜
차운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퓨전켐코리아㈜, 차운호 filed Critical 퓨전켐코리아㈜
Priority to KR10201401556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64333B1/ko
Publication of KR201600563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563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643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643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4Proteins; Peptides; Derivatives or degradation products thereof
    • A61K8/65Collagen; Gelatin; Keratin; Derivatives or degradation produc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4Alcoho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4Proteins; Peptides; Derivatives or degradation produc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94Liliopsida [mono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5/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hai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Dermat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글리세린, 에칠파라벤, 폴리쿼터늄-10, 자이리톨, 글라이신, 타우린, 우레아, 세트리모늄클로라이드, 하이드롤라이즈드밀단백질, 하이드롤라이즈드귀리, 효모/마늘발효여과물, 피이지-7글리세릴코코에이트, 메칠클로로이소치아졸리논/메칠이소치아졸리논, 에티드로닉애씨드, 하이드롤라이즈드마린콜라겐, 베타인, 시스테아민에이치씨엘 및 피이지-60 하이드로제네이티드캐스터오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대한 것이다.

Description

환원성 성분 및 마린콜라겐펩타이드를 이용한 모발 스타일링용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COSMETIC COMPOSITION FOR HAIR STYLING USING REDUCING SUBSTANCE AND MARINE COLLAGEN PEPTIDE}
본 발명은 모발 스타일링용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에 대한 것이다.
일상 생활에서 사람의 모발은 수많은 물리화학적 손상을 받는다. 특히 여성모발의 경우 퍼머, 염색, 탈색을 자주 번갈아 함으로써 화학적 손상을 받고, 매일 헤어 블로우드라이어의 열풍과 고대기나 아이롱 기구의 고열에 물리적 손상을 많이 받고 있다. 게다가 잦은 샴푸로 모발의 간충물질이 상당부분 빠져 나가므로 손상이 심한 모발은 다공성 모발이 되어 쉽게 부스러져 끊어지거나, 모발의 탄력이 없고, 푸석한 상태의 뜬머리가 된다. 이러한 손상된 모발에 사용되어 극손상모발의 공동화 부분과 골절모발의 균열 부위를 화학적, 물리적으로 결합하여 건강모의 구조로 복원 시켜주는 스타일링 에센스의 필요성이 있다.
이 때문에 지금까지 손상 모발에 대하여 많은 모발관리 제품이 개발되고 있다(한국공개특허 10-2013-0078323호, 한국공개특허 10- 2010-0029567호 등). 그러나 시중의 모발관리 제품들 중 대부분이 모발 표면의 정발과 모표피의 영양, 유분, 수분 공급에 그치고, 사용 후 짧은 시간내에 딱딱해 지거나, 플레이킹이 생기는 등 본래 모발과는 다른 부자연스럼움과 습기, 온도 등 외부환경에 의해 쉽게 변형되고 세척에 의해 효과가 없어지는 짧은 지속력의 일회성에 그치게 된다.
본 발명자들은 손상 모발의 상태를 개선할 수 있는 모발용 화장료 조성물을 연구하던 중 특정 성분들을 이용 시 손상 모발의 광택성, 윤활성 및 보습성을 개선하고, 추가적인 퍼머, 염색 등의 미용 공정을 할 수 있도록 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발명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모발 스타일링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글리세린, 폴리쿼터늄-10, 타우린, 하이드롤라이즈드귀리, 효모/마늘발효여과물, 하이드롤라이즈드마린콜라겐 및 시스테아민에이치씨엘을 포함하며, pH 3.0 내지 pH 7.0인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글리세린, 에칠파라벤, 폴리쿼터늄-10, 자이리톨, 글라이신, 타우린, 우레아, 세트리모늄클로라이드, 하이드롤라이즈드밀단백질, 하이드롤라이즈드귀리, 효모/마늘발효여과물, 피이지-7글리세릴코코에이트, 메칠클로로이소치아졸리논/메칠이소치아졸리논, 에티드로닉애씨드, 하이드롤라이즈드마린콜라겐, 베타인, 시스테아민에이치씨엘 및 피이지-60 하이드로제네이티드캐스터오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1) 혼합물 A, 혼합물 B 및 혼합물 C를 준비하는 단계;
2) 혼합물 A를 교반기에 넣는 단계;
3) 혼합물 A가 포함된 상기 단계 2)의 교반기에 혼합물 B를 가하면서 교반하는 단계;및
4) 혼합물 A 및 혼합물 B가 포함된 상기 단계 3)의 교반기에 혼합물 C를 가하면서 교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 방법으로,
상기 혼합물 A는 글리세린, 에칠파라벤 및 폴리쿼터늄-10을 포함하고,
상기 혼합물 B는 자이리톨, 글라이신, 타우린 및 우레아를 포함하며,
상기 혼합물 C는 세트리모늄클로라이드, 하이드롤라이즈드밀단백질, 하이드롤라이즈드귀리, 효모/마늘발효여과물, 피이지-7글리세릴코코에이트, 메칠클로로이소치아졸리논/메칠이소치아졸리논, 에티드로닉애씨드, 하이드롤라이즈드마린콜라겐, 베타인, 시스테아민에이치씨엘 및 피이지-60 하이드로제네이티드캐스터오일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손상모발의 상태를 개선하여, 극손상모발도 퍼머, 염색, 탈색 등의 미용 공정을 할 수 있게 함으로서 그 동안 어려웠던 극손상모발과 약모에 대하여도 헤어스타일 변화를 여러 번 연출하는 것이 가능하게 한다.
도 1은 50대 여성들에게 실시예 1 내지 3의 화장료 조성물을 처리한 후 퍼머를 한 모발 상태를 나타낸다(a 내지 c: 실시예 1, d 내지 f: 실시예 2, d 내지 i: 실시예 3).
도 2는 내지 도 15는 20대 내지 40대 여성들에게 실시예 1 내지 13의 화장료 조성물을 처리한 후 퍼머를 한 모발 상태를 나타낸다(a: 퍼머 전, b: 퍼머 후, 도 2: 실시예 1, 도 3: 실시예 2, 도 4: 실시예 3, 도 5: 실시예 4, 도 6: 실시예 5, 도 7: 실시예 6, 도 8: 실시예 7, 도 9: 실시예 8, 도 10: 실시예 9, 도 11: 실시예 10, 도 12: 실시예 11, 도 13: 실시예 12, 도 14: 실시예 13, 도 15: 실시예 13)
본 발명은,
글리세린, 폴리쿼터늄-10, 타우린, 하이드롤라이즈드귀리, 효모/마늘발효여과물, 하이드롤라이즈드마린콜라겐 및 시스테아민에이치씨엘을 포함하며, pH 3.0 내지 pH 7.0인 화장료 조성물에 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글리세린, 에칠파라벤, 폴리쿼터늄-10, 자이리톨, 글라이신, 타우린, 우레아, 세트리모늄클로라이드, 하이드롤라이즈드밀단백질, 하이드롤라이즈드귀리, 효모/마늘발효여과물, 피이지-7글리세릴코코에이트, 메칠클로로이소치아졸리논/메칠이소치아졸리논, 에티드로닉애씨드, 하이드롤라이즈드마린콜라겐, 베타인, 시스테아민에이치씨엘 및 피이지-60 하이드로제네이티드캐스터오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1) 혼합물 A, 혼합물 B 및 혼합물 C를 준비하는 단계;
2) 혼합물 A를 교반기에 넣는 단계;
3) 혼합물 A가 포함된 상기 단계 2)의 교반기에 혼합물 B를 가하면서 교반하는 단계;및
4) 혼합물 A 및 혼합물 B가 포함된 상기 단계 3)의 교반기에 혼합물 C를 가하면서 교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 방법으로,
상기 혼합물 A는 글리세린, 에칠파라벤 및 폴리쿼터늄-10을 포함하고,
상기 혼합물 B는 자이리톨, 글라이신, 타우린 및 우레아를 포함하며,
상기 혼합물 C는 세트리모늄클로라이드, 하이드롤라이즈드밀단백질, 하이드롤라이즈드귀리, 효모/마늘발효여과물, 피이지-7글리세릴코코에이트, 메칠클로로이소치아졸리논/메칠이소치아졸리논, 에티드로닉애씨드, 하이드롤라이즈드마린콜라겐, 베타인, 시스테아민에이치씨엘 및 피이지-60 하이드로제네이티드캐스터오일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 방법에 대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을 설명한다.
화장료 조성물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글리세린, 에칠파라벤, 폴리쿼터늄-10, 자이리톨, 글라이신, 타우린, 우레아, 세트리모늄클로라이드, 하이드롤라이즈드밀단백질, 하이드롤라이즈드귀리, 효모/마늘발효여과물, 피이지-7글리세릴코코에이트, 메칠클로로이소치아졸리논/메칠이소치아졸리논, 에티드로닉애씨드, 하이드롤라이즈드마린콜라겐, 베타인, 시스테아민에이치씨엘 및 피이지-60 하이드로제네이티드캐스터오일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화장료는 pH 3.0 내지 pH 7.0이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정제수(Aqua), 글리세린(Glycerine), 에칠파라벤, 폴리쿼터늄-10, 자이리톨(Xylitol), 글라이신(Glycine), 타우린(Taurine), 우레아(Urea), 세트리모늄클로라이드(Cetrimonium Chloride), 하이드롤라이즈드밀단백질(Hydrolyzed Wheat Protein), 하이드롤라이즈드귀리(Hydrolyzed Oats), 효모/마늘발효여과물(Saccharomyces/Allium Sativum (Garlic) Bulb Ferment Filtrate), 피이지-7글리세릴코코에이트(PEG-7 Glycerylcocoate), 메칠클로로이소치아졸리논/메칠이소치아졸리논, 에티드로닉애씨드(Etidronic Acid), 하이드롤라이즈드마린콜라겐(Hydrolyzed marine Collagen), 베타인(Betaine), 시스테아민에이치씨엘(Cysteamine HCl) 및 피이지-60 하이드로제네이티드캐스터오일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바람직하게는 모발용 화장료 조성물이다. 본 발명의 모발용 화장료 조성물은 모발 보습, 모발 광택 증진, 모발 보윤성 증진, 모발의 부드러움(윤활성) 증진, 모발 스타일링, 모발 셋팅 효능을 가지며, 콜로이드유화 상태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착향제, 방부제 및 착색제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손상모발의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이다. 특히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퍼머, 염색 및 탈색으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미용 공정 전 모발에 발라 상기 미용 공정으로 인한 모발 손상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이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글리세린을 포함한다. 글리세린은 모발에 보습력을 준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글리세린 100 중량부에 대하여 정제수를 800 내지 1200 중량부 포함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900 내지 1100 중량부 포함한다. 정제수가 800 중량부 미만으로 포함될 경우, 화장료 조성물 전체의 느낌이 리치(Rich)하게 되어 사용감이 떨어지고, 1200 중량부를 초과 할 경우 유효성분의 유효함량이 미달되어 본 발명의 역할을 할 수가 없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글리세린 100 중량부에 대하여 폴리쿼터늄-10을 2 내지 10 중량부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2 내지 7 중량부 포함한다. 폴리쿼터늄-10을 2 중량부 미만으로 포함할 경우 점도가 낮아지고, 컨디셔닝 효과가 없어진다. 반면 10 중량부를 초과 할 경우 점도가 너무 높아 사용성이 현격하게 떨어지고, 폴리머의 뭉침현상과 층분리 현상이 발생한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글리세린 100 중량부에 대하여 자일리톨을 5 내지 10 중량부 포함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6 내지 9 중량부 포함한다. 자일리톨이 5 중량부 미만으로 포함되면 두피 보습감과 쿨링감이 감소하고, 10 중량부를 초과하여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되면 모발에 도포시 결정화 현상이 발생한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글리세린 100 중량부에 대하여 글라이신을 10 내지 20 중량부 포함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12 내지 18 중량부 포함한다. 글라이신 10 중량부 미만으로 포함될 경우 모발의 유연성과 정균력이 감소하고 20 중량부를 초과하여 포함될 경우 끈적임 증대로 모발의 산뜻한 느낌이 없어진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글리세린 100 중량부에 대하여 타우린을 20 내지 35 중량부 포함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22 내지 32 중량부 포함한다. 타우린이 20 중량부 미만으로 포함될 경우 환원 완충작용이 미약하게 되고, 35 중량부를 초과할 경우 환원 완충작용은 충분하나 경제성이 떨어진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글리세린 100 중량부에 대하여 우레아를 15 내지 30 중량부 포함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17 내지 28 중량부 포함된다. 우레아가 15 중량부 미만으로 포함되는 경우 보습 연화 효과가 저하되고 30 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 모발의 과연화를 유발한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글리세린 100 중량부에 대하여 세트리모늄클로라이드를 20 내지 35 중량부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22 내지 32 중량부 포함된다. 세트리모늄클로라이드가 20 중량부 미만으로 포함되면 컨디셔닝 효과가 떨어지고, 35 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 내용물의 분리등 내부 안정성이 저하된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글리세린 100 중량부에 대하여 하이드롤라이즈드밀단백질을 5 내지 10 중량부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6 내지 9 중량부 포함된다. 하이드롤라이즈드밀단백질이 5 중량부 미만으로 포함되면 손상큐티클의 복구가 어렵고 10 중량부 초과하여 포함될 경우 큐티클의 폐쇄로 아미노산 영양성분의 흡수가 줄어든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글리세린 100 중량부에 대하여 하이드롤라이즈드귀리를 5 내지 10 중량부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6 내지 9 중량부 포함한다. 하이드롤라이즈드귀리가 5 중량부 미만으로 포함될 경우 모발이 뻣뻣해지고, 하이드롤라이즈드귀리가 10 중량부를 초과하여 포함될 경우 모발의 부드러움은 좋으나 조성물의 경제성이 낮아지게 된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글리세린 100 중량부에 대하여 효모/마늘발효여과물을 5 내지 10 중량부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6 내지 9 중량부 포함한다. 효모/마늘발효여과물이 5 중량부 미만으로 포함될 경우 모발이 뻣뻣해지며, pH 완충능이 떨어지고, 효모/마늘발효여과물이 10 중량부를 초과하여 포함될 경우 모발의 부드러움과 완충능은 좋으나 조성물의 경제성이 낮아지게 된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글리세린 100 중량부에 대하여 피이지-7글리세릴코코에이트를 3 내지 8 중량부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3 내지 7 중량부 포함한다. 피이지-7글리세릴코코에이트 3 중량부 미만으로 포함될 경우 모발의 유연성이 떨어지고, 피이지-7글리세릴코코에이트 8 중량부를 초과하여 포함될 경우 모발의 부드러움은 좋으나 모발에 유분함량이 높아 끈적이며 번들거리게 된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글리세린 100 중량부에 대하여 에티드로닉애씨드를 1 내지 6 중량부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2 내지 4 중량부 포함한다. 에티드로닉애씨드 1 중량부 미만으로 포함될 경우 금속이온 킬레이팅 효과가 떨어지고, 에티드로닉애씨드 6 중량부를 초과하여 포함될 경우 조성물의 pH가 너무 낮아지게 된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글리세린 100 중량부에 대하여 하이드롤라이즈드마린콜라겐을 30 내지 150 중량부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55 내지 85 중량부 포함한다. 하이드롤라이즈드마린콜라겐 30 중량부 미만으로 포함될 경우 모발의 보습.영양이 부족하고, 하이드롤라이즈드마린콜라겐 150 중량부를 초과하여 포함될 경우 모발이 끈적이고 딱닥해지게 된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글리세린 100 중량부에 대하여 베타인을 10 내지 20 중량부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12 내지 18 중량부 포함한다. 베타인 10 중량부 미만으로 포함될 경우 보습 컨디셔닝이 떨어져 모발이 뻣뻣해지며, 베타인 20 중량부를 초과하여 포함될 경우 모발의 부드러움과 완충능은 좋으나 과도한 보습으로 모발이 처지게 된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글리세린 100 중량부에 대하여 시스테아민에이치씨엘을 5 내지 90 중량부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25 내지 75 중량부 포함한다. 시스테아민에이치씨엘 5 중량부 미만으로 포함될 경우 환원력이 너무 약하고, 시스테아민에이치씨엘이 90 중량부를 초과하여 포함될 경우 과도한 환원력으로 인하여 모발의 손상이 커지게 된다.
혼합물 A
본 발명의 혼합물 A는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에 있어서, 점증 보습성분들을 혼합한 것으로, 혼합물 A는 정제수, 폴리쿼터늄-10, 글리세린을 포함한다.
혼합물 B
본 발명의 혼합물 B는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에 있어서, 아미노산영양 보습 성분을 혼합한 것으로, 자일리톨, 글라이신, 타우린, 우레아를 포함한다.
혼합물 C
본 발명의 혼합물 C는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에 있어서, 단백질 영양 보습성분과 컨디셔닝제, pH조정제, 환원성분을 혼합한 것으로, 세트리모늄클로라이드, 하이드롤라이즈드밀단백질, 하이드롤라이즈드귀리, 효모/마늘발효여과물, 피이지-7글리세릴코코에이트, 에티드로닉애씨드, 하이드롤라이즈드마린콜라겐, 베타인, 시스테아민에이치씨엘, 가용화제, 보존제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재료 및 방법>
정제수(Aqua), 글리세린(Glycerine), 에칠파라벤, 폴리쿼터늄-10, 자이리톨(Xylitol), 글라이신(Glycine), 타우린(Taurine), 우레아(Urea), 세트리모늄클로라이드(Cetrimonium Chloride), 하이드롤라이즈드밀단백질(Hydrolyzed Wheat Protein), 하이드롤라이즈드귀리(Hydrolyzed Oats), 효모/마늘발효여과물(Saccharomyces/Allium Sativum (Garlic) Bulb Ferment Filtrate), 피이지-7글리세릴코코에이트(PEG-7 Glycerylcocoate), 메칠클로로이소치아졸리논/메칠이소치아졸리논, 에티드로닉애씨드(Etidronic Acid), 하이드롤라이즈드마린콜라겐(Hydrolyzed marine Collagen), 베타인(Betaine), 시스테아민에이치씨엘(Cysteamine HCl) 및 피이지-60 하이드로제네이티드캐스터오일은 시중에 유통되는 재료들을 구입하여 사용하였다. 상기 효모/마늘 발효여과물은 효모 및 마늘은 각각 발효시킨 후 여과한 제품으로 피부 미용용 화장료 조성물에 기존에 사용되는 원료이다.
<실시예 1 내지 13>
하기 표 1의 조성으로 혼합물 A, 혼합물 B 및 혼합물 C를 각각 준비하였다. 상기 혼합물 A를 메인 교반 탱크에 넣고 80℃로 가온하여 교반(100 rpm) 용해 점증한 후 60℃로 냉각하면서 여기에 혼합물 B를 천천히 투입하면서 200 rpm으로 교반 용해 혼합하였다(Agitator). 그 후 혼합물 B의 투입 및 교반이 완료된 후 여기에 혼합물 C를 45℃ 이하에서 천천히 투입하면서 300 rpm으로 교반 용해하고, 혼합물 C의 투입이 완료되면 10분간 추가 교반한 후 숙성시켜, 모발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Figure 112014108116602-pat00001
Figure 112014108116602-pat00002

<비교예 1 내지 12>
하기 표 2의 조성으로 혼합물 A, 혼합물 B 및 혼합물 C를 각각 준비하였다. 이들을 이용하여, 실시예 1 내지 13과 동일한 방법으로 모발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비교예 1 내지 12).
Figure 112014108116602-pat00003
Figure 112014108116602-pat00004

<실험예 1>
상기 실시예 1 내지 13 및 비교예 1 내지 12를 대상으로 손상모발 복구 효능 및 퍼머 시 모발손상 방지 효능을 평가하였다. 잦은 탈색/염색 및 펌으로 모발이 손상된 상태인 20 대 내지 50대 여성 52 명을 패널로 하였다. 상기 패널들 중 26명에 대하여, 모발을 샴푸를 이용하여 감고, 타올로 건조한 후 실시예 1 내지 13의 조성물을 각각 전체모발에 골고루 도포후 10분간 자연방치하였다. 그 후 일반적인 방법으로 퍼머를 하고, 마무리 관리를 하였다. 한편, 24명의 패널에 대하여는 실시예의 조성물들 대신 비교예 1 내지 12의 조성물을 사용한 것을 제외한 것을 제외하고, 동일한 방법으로 샴푸, 타올 건조 및 퍼머를 실시하였다. 이 때, 실시예 또는 비교예의 조성물 하나 당 패널 2명이 시험되었다. 한편, 2명의 패널에 대하여는 아무런 조성물 처리 없이 샴푸, 타올 건조 및 펌을 실시하였다.
그리고 30분이 경과한 후 본 발명 실시예 조성물과 비교예 조성물의 처리전과 처리후의 모발 광택성, 윤활성, 보습성, 스타일링 탄력성 상태를 육안으로 관능평가하였다.
그 결과, 실시예들의 조성물을 사용한 경우 손상모발이 복구되어 퍼머를 하였음에도 불구하고 광택이 살아나고 윤활성이 증대되고 적절한 보습성도 회복된 것이 관찰되었다(도 1 내지 15). 반면, 비교예들의 조성물을 사용한 경우 광택성, 윤활성, 보습성 및 스타일링 탄력성 중 일부 항목들은 괜찮았으나, 일부 항목들에서 유의한 개선이 이루어지지 않았다(표 3, ◎: 매우 양호, ○: 양호, △: 보통, ×: 불량).
Figure 112014108116602-pat00005
<실험예 2>
상기 실시예 1 내지 13 및 비교예 1 내지 12를 대상으로 손상모발 복구 효능 및 염색 시 모발손상 방지 효능을 평가하였다. 잦은 탈색/염색 및 펌으로 모발이 손상된 상태인 20 대 내지 50대 여성 52 명을 패널로 하였다. 상기 패널들 중 26명에 대하여, 모발을 샴푸를 이용하여 감고, 타올로 건조한 후 실시예 1 내지 13의 조성물을 각각 전체모발에 골고루 도포후 10분간 자연방치하였다. 그 후 일반적인 방법으로 염색을 하고, 마무리 관리를 하였다. 한편, 24명의 패널에 대하여는 실시예의 조성물들 대신 비교예 1 내지 12의 조성물을 사용한 것을 제외한 것을 제외하고, 동일한 방법으로 샴푸, 타올 건조 및 염색를 실시하였다. 이 때, 실시예 또는 비교예의 조성물 하나 당 패널 2명이 시험되었다. 한편, 2명의 패널에 대하여는 아무런 조성물 처리 없이 샴푸, 타올 건조 및 염색을 실시하였다.
그리고 30분이 경과한 후 본 발명 실시예 조성물과 비교예 조성물의 처리전과 처리후의 모발 광택성, 윤활성, 보습성, 스타일링 탄력성 상태를 육안으로 관능평가하였다.
그 결과, 실시예들의 조성물을 사용한 경우 상기 <실험예 1>과 동일한 결과가 관찰되었다. 즉, 실시예들의 조성물을 사용한 후 염색을 한 경우, 손상모발이 복구되어 염색를 하였음에도 불구하고 광택성 및 윤활성이 개선되고 보습성도 회복된 것이 관찰되었다. 특히, 힘없이 축 쳐진 모발이 본래의 탄력성을 회복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반면 비교예들의 조성물의 경우 광택성, 윤활성, 보습성 및 스타일링 탄력성의 모든 항목들에서 보통 이상의 평가를 받은 조성물은 없었다(표 4, ◎: 매우 양호, ○: 양호, △: 보통, ×: 불량).
Figure 112014108116602-pat00006
<실험예 3>
상기 실시예 1 내지 13 및 비교예 1 내지 12를 대상으로 손상모발 복구 효능 및 탈색 시 모발손상 방지 효능을 평가하였다. 잦은 탈색/염색 및 펌으로 모발이 손상된 상태인 20 대 및 30대 여성 52 명을 패널로 하였다. 상기 패널들 중 26명에 대하여, 모발을 샴푸를 이용하여 감고, 타올로 건조한 후 실시예 1 내지 13의 조성물을 각각 전체모발에 골고루 도포후 10분간 자연방치하였다. 그 후 일반적인 방법으로 탈색을 하고, 마무리 관리를 하였다. 한편, 24명의 패널에 대하여는 실시예의 조성물들 대신 비교예 1 내지 12의 조성물을 사용한 것을 제외한 것을 제외하고, 동일한 방법으로 샴푸, 타올 건조 및 탈색를 실시하였다. 이 때, 실시예 또는 비교예의 조성물 하나 당 패널 2명이 시험되었다. 한편, 2명의 패널에 대하여는 아무런 조성물 처리 없이 샴푸, 타올 건조 및 염색을 실시하였다.
그리고 30분이 경과한 후 본 발명 실시예 조성물과 비교예 조성물의 처리전과 처리후의 모발 광택성, 윤활성, 보습성, 스타일링 탄력성 상태를 육안으로 관능평가하였다.
그 결과, 실시예들의 조성물을 사용한 경우 상기 <실험예 1> 및 <실험예 2>와 동일한 결과가 관찰되었다. 즉, 실시예들의 조성물을 사용한 후 탈색을 한 경우, 손상모발이 복구되어 탈색를 하였음에도 불구하고 광택성 및 윤활성이 비교적 개선되고 보습성도 어느 정도 회복된 것이 관찰되었다. 그러나 비교예들의 조성물을 사용한 경우 광택성, 윤활성, 보습성 및 스타일링 탄력성이 모두 보통 이상이 되어 손상 모발이 유의하게 개선되었다고 평가할 만한 조성물들은 없었다(표 5, ◎: 매우 양호, ○: 양호, △: 보통, ×: 불량).
Figure 112014108116602-pat00007

Claims (13)

  1. 글리세린, 정제수, 에칠파라벤, 폴리쿼터늄-10, 자이리톨, 글라이신, 타우린, 우레아, 세트리모늄클로라이드, 하이드롤라이즈드밀단백질, 하이드롤라이즈드귀리, 효모 및 마늘의 발효여과물, 피이지-7글리세릴코코에이트, 메칠클로로이소치아졸리논 및 메칠이소치아졸리논의 혼합물, 에티드로닉애씨드, 하이드롤라이즈드마린콜라겐, 베타인, 시스테아민에이치씨엘 및 피이지-60 하이드로제네이티드캐스터오일을 포함하며,
    이 때, 글리세린 100 중량부에 대하여, 정제수를 800 내지 1200 중량부, 폴리쿼터늄-10을 2 내지 10 중량부, 자이리톨을 5 내지 10 중량부, 글라이신을 10 내지 20 중량부, 타우린을 20 내지 35 중량부, 우레아를 15 내지 30 중량부, 세트리모늄클로라이드를 20 내지 35 중량부, 하이드롤라이즈드밀단백질을 5 내지 10 중량부, 하이드롤라이즈드귀리를 5 내지 10 중량부, 효모 및 마늘의 발효여과물을 5 내지 10 중량부, 피이지-7글리세릴코코에이트를 3 내지 8 중량부, 에티드로닉애씨드를 1 내지 6 중량부, 하이드롤라이즈드마린콜라겐을 30 내지 150 중량부, 베타인을 10 내지 20 중량부, 시스테아민에이치씨엘을 5 내지 90 중량부 포함하고,
    pH 3.0 내지 pH 7.0인, 손상모발의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손상모발의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은 퍼머, 염색 및 탈색으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미용 공정 전 모발에 발라 상기 미용 공정으로 인한 모발 손상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상모발의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제 1항에 있어서,
    모발 보습, 모발 광택 증진, 모발 보윤성 증진, 모발의 부드러움 증진, 모발 스타일링, 모발 셋팅능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상모발의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13. 1) 혼합물 A, 혼합물 B 및 혼합물 C를 준비하는 단계;
    2) 혼합물 A를 교반기에 넣는 단계;
    3) 혼합물 A가 포함된 상기 단계 2)의 교반기에 혼합물 B를 가하면서 교반하는 단계;및
    4) 혼합물 A 및 혼합물 B가 포함된 상기 단계 3)의 교반기에 혼합물 C를 가하면서 교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손상모발의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 방법으로,
    상기 혼합물 A는 글리세린, 정제수, 에칠파라벤 및 폴리쿼터늄-10을 포함하고,
    이 때, 글리세린 100 중량부에 대하여, 정제수를 800 내지 1200 중량부, 폴리쿼터늄-10을 2 내지 10 중량부 포함하고,
    상기 혼합물 B는 자이리톨, 글라이신, 타우린 및 우레아를 포함하며, 이 때, 글리세린 100 중량부에 대하여, 자이리톨을 5 내지 10 중량부, 글라이신을 10 내지 20 중량부, 타우린을 20 내지 35 중량부, 우레아를 15 내지 30 중량부 포함하고,
    상기 혼합물 C는 세트리모늄클로라이드, 하이드롤라이즈드밀단백질, 하이드롤라이즈드귀리, 효모 및 마늘의 발효여과물, 피이지-7글리세릴코코에이트, 메칠클로로이소치아졸리논 및 메칠이소치아졸리논의 혼합물, 에티드로닉애씨드, 하이드롤라이즈드마린콜라겐, 베타인, 시스테아민에이치씨엘 및 피이지-60 하이드로제네이티드캐스터오일를 포함하고, 이 때, 글리세린 100 중량부에 대하여, 세트리모늄클로라이드를 20 내지 35 중량부, 하이드롤라이즈드밀단백질을 5 내지 10 중량부, 하이드롤라이즈드귀리를 5 내지 10 중량부, 효모 및 마늘의 발효여과물을 5 내지 10 중량부, 피이지-7글리세릴코코에이트를 3 내지 8 중량부, 에티드로닉애씨드를 1 내지 6 중량부, 하이드롤라이즈드마린콜라겐을 30 내지 150 중량부, 베타인을 10 내지 20 중량부, 시스테아민에이치씨엘을 5 내지 90 중량부 포함하는,
    손상모발의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 방법.
KR1020140155681A 2014-11-10 2014-11-10 환원성 성분 및 마린콜라겐펩타이드를 이용한 모발 스타일링용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6643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55681A KR101664333B1 (ko) 2014-11-10 2014-11-10 환원성 성분 및 마린콜라겐펩타이드를 이용한 모발 스타일링용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55681A KR101664333B1 (ko) 2014-11-10 2014-11-10 환원성 성분 및 마린콜라겐펩타이드를 이용한 모발 스타일링용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56397A KR20160056397A (ko) 2016-05-20
KR101664333B1 true KR101664333B1 (ko) 2016-10-12

Family

ID=561035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55681A KR101664333B1 (ko) 2014-11-10 2014-11-10 환원성 성분 및 마린콜라겐펩타이드를 이용한 모발 스타일링용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6433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23769A (ko) * 2018-08-27 2020-03-06 알비에치 주식회사 모발 손상을 최소화하는 펌 시술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114291A (ja) 2013-12-13 2014-06-26 Showa Denko Kk 化粧料または皮膚外用剤
JP2014114290A (ja) 2013-12-13 2014-06-26 Showa Denko Kk 化粧料または皮膚外用剤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83750A (ko) * 2008-01-30 2009-08-04 주식회사 제닉 피부 가용성 터치 필름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114291A (ja) 2013-12-13 2014-06-26 Showa Denko Kk 化粧料または皮膚外用剤
JP2014114290A (ja) 2013-12-13 2014-06-26 Showa Denko Kk 化粧料または皮膚外用剤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간행물2008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23769A (ko) * 2018-08-27 2020-03-06 알비에치 주식회사 모발 손상을 최소화하는 펌 시술방법
KR102106852B1 (ko) 2018-08-27 2020-05-07 알비에치 주식회사 모발 손상을 최소화하는 펌 시술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56397A (ko) 2016-05-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E202017001430U1 (de) Haarstärkende Zusammensetzung und ein Kit zur Stärkung von Haaren
KR101952430B1 (ko) 헤어 펌제용 첨가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펌 시술방법
JP5947340B2 (ja) 毛髪処理剤
KR102052262B1 (ko) 헤어 샴푸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JP6184708B2 (ja) パーマ液および頭髪用調整剤
KR20190089306A (ko) 헤어 컨디셔닝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WO2019016977A1 (ja) 毛髪化粧料組成物、ヘアカラー剤組成物、ヘアカラートリートメント方法
KR101527596B1 (ko) 헤어 케어용 조성물
WO2014065274A1 (ja) パーマ液および頭髪用調整剤
KR101664333B1 (ko) 환원성 성분 및 마린콜라겐펩타이드를 이용한 모발 스타일링용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775074B1 (ko) 퍼머넌트 웨이브 조성물
KR101728306B1 (ko) 퍼머넌트용 모발보호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퍼머넌트 조성물
JP5788372B2 (ja) パーマ液および頭髪用調整剤
TWI832834B (zh) 染髮方法
KR101683131B1 (ko) 비듬 개선 및 헤어 스타일링능을 갖는 화장료 조성물
JP2021038145A (ja) 毛髪処理剤、酸・熱トリートメント処理方法、およびシャンプー・トリートメント処理方法
WO2019167111A1 (ja) 毛髪処理剤および毛髪処理方法
JP2003231617A (ja) 毛髪化粧料
KR101510308B1 (ko) 트랜스글루타미나제 및 천초목 추출물을 함유하는 손상 모발 회복 조성물
KR101958993B1 (ko) 일액형의 퍼머넌트 웨이브 조성물
JP5960500B2 (ja) 毛髪用化粧料
JP7489597B2 (ja) 毛髪化粧料
JP7350303B2 (ja) 毛髪化粧料、および毛髪処理方法
JP2010215540A (ja) ストレート形成化粧料
JP7169623B2 (ja) アルギニンエステルを含有する化粧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18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