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41935B1 - 에어펌핑튜브를 갖는 오폐수 탱크 패키지 시스템 - Google Patents

에어펌핑튜브를 갖는 오폐수 탱크 패키지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41935B1
KR102641935B1 KR1020230130309A KR20230130309A KR102641935B1 KR 102641935 B1 KR102641935 B1 KR 102641935B1 KR 1020230130309 A KR1020230130309 A KR 1020230130309A KR 20230130309 A KR20230130309 A KR 20230130309A KR 102641935 B1 KR102641935 B1 KR 1026419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stewater
sewage
pumping tube
air pumping
dischar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1303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명식
Original Assignee
김명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명식 filed Critical 김명식
Priority to KR10202301303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4193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419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419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45/00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having flexible working members and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 F04B45/04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having flexible working members and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having plate-like flexible members, e.g. diaphragms
    • F04B45/053Pumps having fluid drive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11/00Cesspoo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23/00Pumping installations or systems
    • F04B23/02Pumping installations or systems having reservoirs
    • F04B23/021Pumping installations or systems having reservoirs the pump being immersed in the reservo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23/00Pumping installations or systems
    • F04B23/04Combinations of two or more pumps
    • F04B23/06Combinations of two or more pumps the pumps being all of reciprocating positive-displacement typ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Jet Pumps And Other Pum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오수챔버로 유입된 오폐수를 외부로 이송하기 위한 에어펌핑튜브를 갖는 오폐수 탱크 패키지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에어펌핑튜브를 갖는 오폐수 탱크 패키지 시스템은 오폐수가 유입되는 오수유입구, 상기 오수유입구로 유입된 오폐수를 외부로 토출하는 오수토출구가 형성된 오수챔버, 상기 오수챔버의 내부에서 상하로 슬라이딩 이동하며, 상기 오수챔버에 유입된 오폐수를 가압하여 상기 오수유입구로 토출하는 토출피스톤, 및 상기 토출피스톤에서 상기 오폐수를 가압하는 면에 설치되어 공압에 의해 팽창 및 수축하면서, 상기 토출피스톤과 상기 오수챔버의 사이에 위치에 위치하는 오폐수를 상기 오수토출구로 토출하는 에어펌핑튜브를 포함한다. 따라서, 이물질의 걸림에 따른 고장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에어펌핑튜브를 갖는 오폐수 탱크 패키지 시스템{Wastewater tank package system with air pumping tube}
본 발명은 오수챔버로 유입된 오폐수를 외부로 이송하기 위한 에어펌핑튜브를 갖는 오폐수 탱크 패키지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물에는 오폐수를 처리하기 위해 저장하는 오수탱크가 설치되며, 오수탱크에는 오수펌프가 설치되어 오수펌프에 의해 오수탱크에 저장된 오폐수를 흡입하여 토출관을 통해 토출하는 형태로 오폐수를 처리한다.
그러나, 오폐수에는 이물질이 혼합되기 때문에 이물질이 오수펌프에 걸리면서 오수펌프가 잦은 고장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종래에는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2246436호(2021.4.29.공고)에 "자가세정 기능이 구비된 오수펌프 시스템"이 개시된 바가 있다.
상기한 종래의 자가세정 기능이 구비된 오수펌프 시스템은 가동 오수펌프 및 예비 오수펌프로 이루어진 듀얼 건식 오수펌프 시스템에 있어서, 오수가 집수되고 내부에 수위측정센서가 구비된 오수탱크; 상기 오수탱크에 수용된 오수를 외부의 오수처리장으로 펌핑하기 위해 가동되는 A펌프; 상기 A펌프의 가동이 중지될 경우 상기 A펌프를 대체하여 가동되는 예비로 준비되는 B펌프; 일측이 상기 오수탱크 하단에 연결되고, 타측은 2개의 배관으로 분기되고 분기된 부분은 상기 A펌프와 상기 B펌프에 각각 연결되어 상기 오수탱크로부터 토출되는 오수가 상기 A펌프와 상기 B펌프로 이송되는 분기관; 상기 분기관의 A펌프와 연결되는 배관에 설치되어 상기 A펌프로 유입되는 유량을 제어하는 제 1 흡입 게이트밸브; 상기 분기관의 B펌프와 연결되는 배관에 설치되어 상기 B펌프로 유입되는 유량을 제어하는 제 2 흡입 게이트밸브; 상기 A펌프 일측에 연결되고, 상기 A펌프의 펌핑에 의해 토출되는 오수가 이송되는 제 1 토출관; 상기 B펌프 일측에 연결되고, 상기 B펌프의 펌핑에 의해 토출되는 오수가 이송되는 제 2 토출관; 상기 제 1 토출관에 설치되어 상기 A펌프의 펌핑에 의해 토출되는 유량을 제어하는 제 1 토출 게이트밸브; 상기 제 2 토출관에 설치되어 상기 B펌프의 펌핑에 의해 토출되는 유량을 제어하는 제 2 토출 게이트밸브; 상기 제 1 토출관과 상기 B펌프, 상기 제 2 토출관과 상기 A펌프에 각각 연결되고, 상기 A펌프 또는 상기 B펌프 중 어느 하나가 오수의 이물질에 의해 막힘현상이 발생할 경우, 상기 오수탱크 내에 수용된 새롭게 채워지는 수돗물을 상기 A펌프 또는 상기 B펌프를 향해 물을 압송하여 상기 A펌프 또는 상기 B펌프 내부를 세정하기 위한 세정관; 및 시스템 전반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었다.
이러한 구성의 종래의 자가세정 기능이 구비된 오수펌프 시스템은 A펌프 또는 B펌프가 막힌 경우, 수돗물을 A펌프 또는 B펌프로 압송하여 이물질을 처리함으로써, 고장의 발생을 최소하할 수 있었다.
하지만, 종래의 자가세정 기능이 구비된 오수펌프 시스템은 두 개의 펌프를 이용하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제작비용이 비쌀 뿐만 아니라, 이물질을 그대로 토출하는 것이 아니라, 이물질을 청소하는 것이기 때문에 이물질에 의한 걸림이 발생할 경우, 고장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으며, 펌프에 의해 오수를 토출하기 때문에 토출양정이 높지 않은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토출피스톤과 에어펌핑튜브를 통해 오폐수를 가압하여 밀어내는 형태로 오폐수를 토출하기 때문에 이물질이 포함된 오폐수를 이물질의 걸림 없이 토출할 수 있어 이물질에 의한 고장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토출양정을 증대시킬 수 있는 에어펌핑튜브를 갖는 오폐수 탱크 패키지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오수챔버와 토출피스톤의 사이에 에어펌핑튜브가 오폐수를 가압하여 토출하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강성이 강한 이물질이 토출피스톤과 에어펌핑튜브의 사이에 끼이더라도 토출피스톤 또는 오수챔버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에어펌핑튜브가 오수챔버의 상부의 형상대로 탄성변형되면서 오폐수를 토출하기 때문에 최대한 많은 량의 오폐수를 토출할 수 있는 에어펌핑튜브를 갖는 오폐수 탱크 패키지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토출피스톤과 에어펌핑튜브를 이용하여 오폐수를 토출하도록 구성되어 상대적으로 구조가 간단하고 제작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오폐수 탱크 패키지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으로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에어펌핑튜브를 갖는 오폐수 탱크 패키지 시스템은 오폐수가 유입되는 오수유입구와 상기 오수유입구로 유입된 오폐수를 외부로 토출하는 오수토출구가 형성된 오수챔버, 상기 오수챔버의 내부에서 상하로 슬라이딩 이동하며, 상기 오수챔버에 유입된 오폐수를 가압하여 상기 오수토출구로 토출하는 토출피스톤, 및 상기 토출피스톤에서 상기 오폐수를 가압하는 면에 설치되어 공압에 의해 팽창 및 수축하면서, 상기 토출피스톤과 상기 오수챔버의 사이에 위치에 위치하는 오폐수를 상기 오수토출구로 토출하는 에어펌핑튜브를 포함한다.
상기 오수토출구는 상기 오수챔버의 상부 일측에 위치하며, 상기 에어펌핑튜브는 팽창하면서 상기 오수토출구가 위치한 방향으로 오폐수를 밀어 내어 토출하도록 상기 토출피스톤에서 상기 오수토출구와는 반대되는 타측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토출피스톤은 상기 오수챔버에서 상기 토출피스톤을 상하로 구동하는 구동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에어펌핑튜브는 상기 에어펌핑튜브를 공압에 의해 팽창시키기 위해 상기 에어펌핑튜브로 압축공기를 제공하는 공기압축기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토출피스톤과 에어펌핑튜브에 의해 오폐수를 가압하여 토출하기 때문에 이물질의 걸림 없이 오폐수를 토출함으로써, 이물질의 걸림에 따른 고장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토출피스톤과 에어펌핑튜브가 오폐수를 가압하여 토출하기 때문에 토출양정을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오수챔버와 토출피스톤의 사이에 에어펌핑튜브가 오폐수를 가압하여 밀어내는 형태로 토출하기 때문에 토출피스톤과 오수챔버의 사이에 상대적으로 강성이 강한 이물질이 위치하더라도 토출피스톤과 오수챔버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에어펌핑튜브가 오수챔버의 형상대로 변형됨에 따라 최대한 많은 량의 오폐수를 오수챔버에서 토출하여 토출량을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상하 이동하는 토출피스톤과 팽창과 수축하는 에어펌핑튜브의 구조로 구성되어 상대적으로 구조가 간단하여 제작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에어펌핑튜브를 갖는 오폐수 탱크 패키지 시스템을 도시한 개략적인 측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에어펌핑튜브를 갖는 오폐수 탱크 패키지 시스템을 도시한 개략적인 측단면도로서, 에어펌핑튜브가 팽창된 상태를 나타낸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에어펌핑튜브를 갖는 오폐수 탱크 패키지 시스템을 도시한 개략적인 측단면도로서, 토출피스톤이 상승하여 오폐수를 토출하는 상태를 나타낸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에어펌핑튜브를 갖는 오폐수 탱크 패키지 시스템의 토출피스톤의 오목한 곡면에 의해 에어펌핑튜브의 움직임을 나타낸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도록 한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에어펌핑튜브를 갖는 오폐수 탱크 패키지 시스템은 오수챔버(110)를 포함할 수 있다.
이 오수챔버(110)는 오폐수를 받아 저장할 수 있으며, 오수챔버(110)는 내부가 빈 용기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오수챔버(110)에는 오폐수가 유입되는 오수유입구(111)와 오수유입구(111)로 유입된 오폐수를 토출하기 위한 오수토출구(113)가 형성될 수 있다.
오수유입구(111)는 오수챔버(110)의 상부에 관통형성될 수 있으며, 오수토출구(113)는 오수챔버(110)의 상부 측면에 관통형성될 수 있다.
오수토출구(113)는 오수챔버(110)의 상부 일측에 치우쳐 위치할 수 있으며, 오수토출구(113)에는 오수토출구(113)로 오수챔버(110)의 내부 압력에 따라 오수토출구(113)를 개폐하는 토출댐퍼(113a)가 설치될 수 있다.
오수유입구(111)에도 오수챔버(110)로의 오폐수의 유입을 제한하기 위해 오수유입구(111)를 개폐하는 유입댐퍼(111a)가 설치될 수 있다.
오수토출구(113)에는 외부로 오폐수를 토출하기 위한 오수토출관이 연결될 수 있으며, 오수유입구(111)에는 오수가 유입되는 오수유입관이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오수챔버(110)에서 오수유입구(111)가 형성된 부분은 하기에 설명할 토출피스톤(120)이 오폐수를 토출하기 위해 상부로 이동 시에 오수챔버(110)의 오폐수가 오수유입구(111)로 안내될 수 있도록 오수유입구(111)를 향해 상부로 볼록한 형태 또는 오수유입구(111)를 향해 면적이 좁아지는 역 깔때기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오수챔버(110)는 하기에 설명할 구동수단(123)을 오수챔버(110)의 하부에 설치할 수 있도록 챔버받침대(115)에 의해 바닥에서 상부로 이격된 상태로 위치할 수 있다.
오수챔버(110)에는 오수챔버(110)에 채워지는 오폐수의 만수위를 감지하는 수위감지센서(미도시)가 설치될 수도 있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에어펌핑튜브를 갖는 오폐수 탱크 패키지 시스템은 토출피스톤(120)을 포함할 수 있다.
이 토출피스톤(120)은 오수챔버(110)의 내부에 위치하여 오수챔버(110)의 내부에서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으며, 토출피스톤(120)은 오수챔버(110)의 하부에 위치한 상태에서 토출피스톤(120)의 상부에 오폐수가 채워지면 오수챔버(110)의 상부로 슬라이딩 이동하면서, 유입된 오폐수를 오수토출구(113)로 토출할 수 있다.
토출피스톤(120)은 오수챔버(110)의 평면 둘레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오수유입구(111)로 유입되는 오폐수를 오수토출구(113)가 위치하는 기계적인 작동에 의해 상부로 밀어 내는 형태로 오수챔버(110)의 오폐수를 오수토출구(113)를 통해 토출할 수 있다.
토출피스톤(120)의 둘레에는 오수챔버(110)와 토출피스톤(120)의 사이를 기밀하기 위한 피스톤링(121)이 설치될 수 있으며, 피스톤링(121)은 토출피스톤(120)에 복수 개가 설치될 수 있다.
피스톤링(121)은 금속 또는 고무 또는 합성수지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합성수지는 테프론, 우레탄, 실리콘 등일 수 있다.
토출피스톤(120)에서 오폐수를 가압하는 상면은 평편하거나, 오목한 형태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토출피스톤(120)의 상면은 하기에 설명할 에어펌핑튜브(130)가 오수챔버(110)의 일측에 위치하는 오수토출구(113)가 위치한 일측으로 이동 또는 팽창하면서 오폐수를 토출할 수 있도록 토출피스톤(120)의 상면이 오수토출구(113)와 대응되는 위치로 갈수록 깊이가 깊어지는 오목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토출피스톤(120)은 구동수단(123)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구동수단(123)은 오수챔버(110)의 오폐수를 토출하거나, 유입될 수 있도록 오수챔버(110)에서 토출피스톤(120)을 상하로 구동할 수 있다.
구동수단(123)은 공압 또는 유압 실린더로 구현되어 공압 또는 유압 실린더의 실린더축이 토출피스톤(120)에 연결되어 출몰하는 실린더축에 의해 오수챔버(110)에서 토출피스톤(120)이 상하로 이동하며 오수챔버(110)의 오수를 오수토출구(113)로 토출할 수 있다.
이때, 구동수단(123)이 공압 또는 유압실린더로 구현될 경우, 공압 또는 유압 실린더를 작동하기 위한 공압 또는 유압을 제공하는 압력제공기구(125)가 연결될 수 있다.
다른 일례의 구동수단(123)은 크랭크축에 토출피스톤(120)을 연결하여 크랭크축을 회전시키는 형태로 토출피스톤(120)이 오수챔버(110)에서 왕복 이동하면서 이물질을 토출하도록 구성할 수 있으며, 구동수단(123)은 토출피스톤(120)을 상하로 왕복 구동할 수 있는 공지된 다양한 구동수단(123)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에어펌핑튜브를 갖는 오폐수 탱크 패키지 시스템은 에어펌핑튜브(130)를 포함할 수 있다.
이 에어펌핑튜브(130)는 공압에 의해 팽창 또는 수축하면서 토출피스톤(120)과 오수챔버(110)의 사이에 위치한 오폐수를 오수토출구(113)로 토출할 수 있다.
에어펌핑튜브(130)는 고무 또는 합성수지로 형성될 수 있으며, 에어펌핑튜브(130)는 내부에 압축공기가 공급되면서 수축된 상태에서 공압에 의해 팽창하면서, 오수챔버(110)와 토출피스톤(120)의 사이에 위치한 오폐수를 오수토출구(113)로 토출할 수 있다.
에어펌핑튜브(130)는 토출피스톤(120)에서 오수토출구(113)가 위치하는 일측에 대해 반대방향인 타측에 위치하여 토출피스톤(120)이 상승하면서, 오수챔버(110)와 토출피스톤(120)의 사이에 에어펌핑튜브(130)의 가압 시 오수토출구(113)가 위치하는 일측으로 팽창하여 오수토출구(113)로 오수를 밀어내는 형태로 오폐수를 토출할 수 있다.
에어펌핑튜브(130)는 탄성력을 갖는 재료로 형성되어 공압에 의해 팽창하거나, 공압이 제거되면 수축할 수 있으며, 에어펌핑튜브(130)는 공압에 의한 손상 및 가압에 따른 손상이 발생하더라도 에어펌핑튜브(130)의 작동을 보장할 수 있도록 복수 개의 에어펌핑튜브(130)가 겹쳐진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에어펌핑튜브(130)에는 공기를 공급하거나, 공급된 공기를 배출하는 공기유출입구(131)가 형성될 수 있으며, 토출피스톤(120)에는 토출피스톤(120)의 하부에서 공기유출입구(131)로 공기를 공급하는 피스톤공이 관통형성될 수 있다.
이때, 공기유출입구(131)는 토출피스톤(120)에 결합되어 토출피스톤(120)에 에어펌핑튜브(130)가 고정되어 설치될 수 있다.
에어펌핑튜브(130)는 에어펌핑튜브(130)의 내부로 공압을 제공하는 공기압축기(137)가 연결될 수 있으며, 공기압축기(137)는 유연하게 휘어지는 공급호스(135)를 피스톤공에 연결하여 공기압축기(137)의 압축된 공기를 공기유출입구(131)를 통해 에어펌핑튜브(130)로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에어펌핑튜브(130)는 공압에 의해 팽창한 상태에서 토출피스톤(120)이 상승하여 오수챔버(110)의 상면에 가압되면서, 오수토출구(113)가 위치하는 측면으로 팽창하여 토출피스톤(120)과 오수챔버(110)의 사이에 위치하는 오폐수를 오수토출구(113)로 토출하거나, 토출피스톤(120)이 오수챔버(110)에서 상승한 상태에서 에어펌핑튜브(130)에 공압이 제공되면서 팽창하며 토출피스톤(120)과 오수챔버(110)의 사이에 위치하는 오폐수를 오수토출구(113)로 토출할 수 있다.
이때, 에어펌핑튜브(130)는 공압에 의해 오수챔버(110)의 내측 상면의 형태로 팽창하면서, 오수챔버(110)와 토출피스톤(120)의 사이를 채워 토출피스톤(120)과 오수챔버(110)의 사이에 위치하는 오폐수를 오수토출구(113)를 통해 토출할 수 있다.
그리고, 에어펌핑튜브(130)는 토출피스톤(120)이 오수챔버(110)의 내측 상면까지 진입하기 어려운 오수챔버(110)의 내주면에도 채워지면서 오폐수의 토출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오폐수에 강성이 강한 이물질이 혼합되더라도, 토출피스톤(120)이 이물질을 직접적으로 가압하지 않고 이물질의 형상대로 탄성변형되면서, 이물질에 의한 토출피스톤(120) 또는 오수챔버(110)의 내면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오수챔버(110)에 만수위를 감지하는 수위감지센서가 설치되지 않거나, 수위감지센서의 정확도를 높이기 위해 수위감지센서와 함께, 에어펌핑튜브(130)의 공기유출입구(131)에 에어펌핑튜브(130)의 압력을 감지하는 압력감지센서(미도시)가 설치되어 오폐수의 하중에 따라 에어펌핑튜브(130)에 작용하는 압력을 측정하고, 측정되는 압력에 따라 미리 설정된 압력 이상이 측정되면 오수챔버(110)의 만수위가 발생하였다고 판단하여 에어펌핑튜브(130) 또는 토출피스톤(120)을 작동함으로써, 오수챔버(110)의 오수토출구(113)을 통해 오폐수를 토출할 수도 있다.
그리고, 에어펌핑튜브(130)의 공기유출입구(131)에 설치되는 압력감지센서에서 측정되는 압력에 따라 공기압축기(137)의 작동을 제어함으로써, 에어펌핑튜브(130)로 과공압이 공급되어 에어펌핑튜브(130)의 폭발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각 구성 간의 작용과 효과를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에어펌핑튜브를 갖는 오폐수 탱크 패키지 시스템은 오수챔버(110)의 상부에는 오폐수를 토출하는 오수토출구(113)가 형성되며, 오수챔버(110)의 상부 측면에는 오폐수가 유입되는 오수유입구(111)가 형성된다.
오수유입구(111)에는 오수유입관이 연결되며 오수유입구(111)에는 오수유입관을 통해 오수챔버(110)로 오폐수의 유입하거나 유입을 차단하도록 오수유입구(111)를 개폐하는 유입댐퍼(111a)가 설치된다.
오수토출구(113)에는 오수토출관이 연결되며, 오수토출구(113)에는 오수토출관을 통해 오수챔버(110)로 오폐수가 역류하거나, 오수토출관을 통해 토출할 수 있도록 오수토출구(113)를 개폐하는 토출댐퍼(113a)가 설치된다.
오수챔버(110)는 챔버받침대(115)에 의해 바닥에서 상부로 이격되어 위치한다.
오수챔버(110)의 내부에는 상하로 슬라이딩 이동하여 오수챔버(110)의 오폐수를 토출하기 위한 토출피스톤(120)이 설치되며, 토출피스톤(120)은 구동수단(123)에 의해 오수챔버(110)의 내부에서 상하로 이동하며 오수챔버(110)에 채워진 오폐수를 토출한다.
그리고, 토출피스톤(120)에는 공압에 의해 팽창하여 토출피스톤(120)과 오수챔버(110)의 사이에 위치하는 오폐수를 오수토출구(113)로 토출하는 에어펌핑튜브(130)가 설치된다.
에어펌핑튜브(130)는 공압에 의해 팽창하거나, 공압이 제거되면 수축되며 에어펌핑튜브(130)에는 압축공기가 유출입되는 공기유출입구(131)가 형성되고, 토출피스톤(120)에는 피스톤공이 관통형성되어 공기유출입구(131)가 피스톤공에 결합되는 형태로 설치되며, 피스톤공에는 공기압축기(137)와 공급호스(135)를 통해 연결되어 공기압축기(137)로부터 에어펌핑튜브(130)에 공압이 제공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에어펌핑튜브를 갖는 오폐수 탱크 패키지 시스템은 유입댐퍼(111a)가 오수유입구(111)를 개방하면, 오수유입구(111)에 연결된 오수유입관을 통해 오폐수가 오수챔버(110)의 내부로 유입된다.
오수챔버(110)의 오수유입구(111)로 오폐수가 유입되어 오수챔버(110)에 설치된 수위감지센서에 의해 오수챔버(110)에 만수위가 감지되면, 공기압축기(137)가 작동하여 에어펌핑튜브(130)를 팽창시킨다.
여기서, 수위감지센서를 대신하여 에어펌핑튜브(130)의 공기유출입구(131)에서 에어펌핑튜브(130)에 가해지는 압력을 측정하는 압력감지센서가 설치되고, 압력감지센서에서 에어펌핑튜브(130)에 오폐수의 유입에 따라 가해지는 압력이 미리 설정된 압력보다 높이 측정되는 경우, 오수챔버(110)의 오폐수가 만수위임을 감지할 수도 있다.
한편, 에어펌핑튜브(130)가 팽창하면, 오수챔버(110)의 오폐수가 가압되면서 압력이 높아져, 유입댐퍼(111a)가 오수유입구(111)를 밀폐하고 유입배관을 통해 오수챔버(110)의 내부로 오폐수의 유입을 차단하고, 이와 동시에 토출댐퍼(113a)는 오수토출구(113)를 개방하여 오수챔버(110)의 내부에 위치한 오폐수의 일부가 오수토출구(113)를 통해 토출배관으로 토출된다.
그리고, 에어펌핑튜브(130)가 팽창하면, 구동수단(123)이 작동하여 토출피스톤(120)이 상승하며 오수챔버(110)의 내부로 유입된 오폐수를 본격적으로 개방된 오수토출구(113)를 통해 토출배관으로 토출한다.
구동수단(123)에 의해 토출피스톤(120)이 상승하여 에어펌핑튜브(130)가 오수챔버(110)의 내부 상면에 가압되면, 에어펌핑튜브(130)가 오수챔버(110)의 내부 상면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탄성변형되면서, 오수챔버(110)와 토출피스톤(120)의 사이에 위치하는 오폐수를 오수토출구(113)로 토출함으로써, 오수챔버(110)에 유입된 오폐수의 잔류량을 최소화하여 오수토출구(113)로 토출한다.
한편, 토출피스톤(120)이 미리 설정된 높이까지 상승하여 에어펌핑튜브(130)가 탄성변형되면서, 잔류된 오폐수가 모두 토출되면, 구동수단(123)이 역으로 작동하여 오수챔버(110)에서 상승하였던 토출피스톤(120)을 하향시키고, 에어펌핑튜브(130)의 공압을 외부로 배기하면서 팽창되었던 에어펌핑튜브(130)가 수축된다.
이와 같이 토출피스톤(120)이 하향되고 에어펌핑튜브(130)가 수축되면, 오수챔버(110)의 내부 압력이 낮아지면서, 다시 유입댐퍼(111a)가 오수유입구(111)를 개방하면서, 유입배관을 통해 오수챔버(110)의 내부로 오폐수가 유입되고, 토출댐퍼(113a)는 오수토출구(113)를 밀폐하면서, 토출배관을 통해 오수챔버(110)로 토출된 오폐수가 역류하는 것을 차단한다.
이렇게 본원발명은 오수챔버(110)에 채워지는 오폐수량에 따라 자동으로 토출피스톤(120)이 승하강과 함께 에어펌핑튜브(130)가 팽창 및 수축하면서, 최대한 많은 량의 오폐수를 토출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는 오폐수를 토출할 때, 에어펌핑튜브(130)가 팽창한 후 토출피스톤(120)이 상승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토출피스톤(120)이 상승함과 동시에 에어펌핑튜브(130)가 팽창하도록 작동하거나, 토출피스톤(120)이 최대 상승한 뒤에 에어펌핑튜브(130)가 팽창하는 형태로도 작동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에어펌핑튜브를 갖는 오폐수 탱크 패키지 시스템은 토출피스톤(120)에 에어펌핑튜브(130)가 설치되어 이물질이 혼합된 오폐수를 이물질의 끼임 없이 용이하게 토출함으로써, 이물질에 의한 고장의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에어펌핑튜브(130)의 팽창과 수축 및 토출피스톤(120)의 상하작동에 의해 오폐수를 토출하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구조가 간단하여 제작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오수챔버(110)의 상부 형상이 토출피스톤(120)의 상면의 형상과 다르더라도 에어펌핑튜브(130)가 토출피스톤(120)과 오수챔버(110)의 사이 공간을 채워 최대한 많은 량의 오폐수를 토출할 수 있다.
또한, 펌프와는 달리 토출피스톤(120)과 에어펌핑튜브(130)에 의해 오폐수를 가압하여 토출하기 때문에 모터펌프보다 토출양정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오폐수에 상대적으로 강한 이물질이 혼합되더라도, 에어펌핑튜브(130)가 이물질을 밀어 내거나, 에어펌핑튜브(130)가 이물질의 형상대로 탄성변형되면서, 이물질에 의한 오수챔버(110) 또는 토출피스톤(120)의 손상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오수챔버(110)의 오수토출구(113)와 에어펌핑튜브(130)의 위치가 서로 수평방향으로 이격되는 위치에 위치하여 에어펌핑튜브(130)에 의한 오수토출구(113)의 막힘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에어펌핑튜브(130)가 오수토출구(113)를 향해 팽창하면서 오수토출구(113)가 위치한 방향으로 오폐수를 밀어 내어 이물질이 혼합된 오폐수를 이물질과 함께 용이하게 토출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용이하게 변경되어 균등한 것으로 인정되는 범위의 모든 변경 및 수정을 포함한다.
100: 에어펌핑튜브를 갖는 오폐수 탱크 패키지 시스템
110: 오수챔버 111: 오수유입구
111a: 유입댐퍼 113: 오수토출구
113a: 토출댐퍼 115: 챔버받침대
120: 토출피스톤 121: 피스톤링
123: 구동수단 125: 압력제공기구
130: 에어펌핑튜브 131: 공기유출입구
135: 공급호스 137: 공기압축기

Claims (4)

  1. 오폐수가 유입되는 오수유입구와 상기 오수유입구로 유입된 오폐수를 외부로 토출하는 오수토출구가 형성된 오수챔버,
    상기 오수챔버의 내부에서 상하로 슬라이딩 이동하며, 상기 오수챔버에 유입된 오폐수를 가압하여 상기 오수유입구로 토출하는 토출피스톤, 및
    상기 토출피스톤에서 상기 오폐수를 가압하는 면에 설치되어 공압에 의해 팽창 및 수축하면서, 상기 토출피스톤과 상기 오수챔버의 사이에 위치에 위치하는 오폐수를 상기 오수토출구로 토출하는 에어펌핑튜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펌핑튜브를 갖는 오폐수 탱크 패키지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수토출구는
    상기 오수챔버의 상부 일측에 위치하며,
    상기 에어펌핑튜브는 팽창하면서 상기 오수토출구가 위치한 방향으로 오폐수를 밀어 내어 토출하도록 상기 토출피스톤에서 상기 오수토출구와는 반대되는 타측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펌핑튜브를 갖는 오폐수 탱크 패키지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피스톤은
    상기 오수챔버에서 상기 토출피스톤을 상하로 구동하는 구동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펌핑튜브를 갖는 오폐수 탱크 패키지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펌핑튜브는
    상기 에어펌핑튜브를 공압에 의해 팽창시키기 위해 상기 에어펌핑튜브로 압축공기를 제공하는 공기압축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펌핑튜브를 갖는 오폐수 탱크 패키지 시스템.
KR1020230130309A 2023-09-27 2023-09-27 에어펌핑튜브를 갖는 오폐수 탱크 패키지 시스템 KR1026419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30309A KR102641935B1 (ko) 2023-09-27 2023-09-27 에어펌핑튜브를 갖는 오폐수 탱크 패키지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30309A KR102641935B1 (ko) 2023-09-27 2023-09-27 에어펌핑튜브를 갖는 오폐수 탱크 패키지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41935B1 true KR102641935B1 (ko) 2024-02-27

Family

ID=900585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130309A KR102641935B1 (ko) 2023-09-27 2023-09-27 에어펌핑튜브를 갖는 오폐수 탱크 패키지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41935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57544A (ja) * 1999-03-10 2000-09-19 Okinawa Kaihatsuchiyou Okinawa Sogo Jimukiyokuchiyou ダムまたはその周辺施設を利用した空気エネルギー利用システム
JP3120809U (ja) * 2006-01-30 2006-04-20 ▲呉▼清傳 送水ポンプ装置
KR20110108842A (ko) * 2010-03-30 2011-10-06 김종탁 슬러지 제거장치
KR101715186B1 (ko) * 2012-01-19 2017-03-10 알-럽 칼릴 아부 오물 펌프
KR20200037801A (ko) * 2017-07-13 2020-04-09 넬 하이드로겐 에이/에스 고압 압축기의 제어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57544A (ja) * 1999-03-10 2000-09-19 Okinawa Kaihatsuchiyou Okinawa Sogo Jimukiyokuchiyou ダムまたはその周辺施設を利用した空気エネルギー利用システム
JP3120809U (ja) * 2006-01-30 2006-04-20 ▲呉▼清傳 送水ポンプ装置
KR20110108842A (ko) * 2010-03-30 2011-10-06 김종탁 슬러지 제거장치
KR101715186B1 (ko) * 2012-01-19 2017-03-10 알-럽 칼릴 아부 오물 펌프
KR20200037801A (ko) * 2017-07-13 2020-04-09 넬 하이드로겐 에이/에스 고압 압축기의 제어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JP3120809 U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480180B2 (en) Self-priming starting device for centrifugal pump
JP7102872B2 (ja) 復水工法及び復水井戸システム
CN1172905A (zh) 一种膜片泵
KR102641935B1 (ko) 에어펌핑튜브를 갖는 오폐수 탱크 패키지 시스템
US5349819A (en) Apparatus for generating high pressure water in response to water weight changes caused by waves
JPH0353029Y2 (ko)
US7201097B2 (en) Diaphragm pump
JP3610272B2 (ja) ベローズを有する流体機器
CA2736856C (en) Pumping system
KR102608938B1 (ko) 브레드 부착형 오배수 탱크 패키지 시스템
JP3962716B2 (ja) ベローズを有する流体機器及びその流体機器内の残留空気排出方法
AU658569B2 (en) Flap valve arrangement
KR102610657B1 (ko) 과압방지기능이 구비되는 정량펌프
JP7333963B2 (ja) 液体圧送装置の排気弁構造
KR102176403B1 (ko) 펌프용 캐비테이션 방지장치
JP2015218579A (ja) 手押しポンプ
US783990A (en) Pump.
GB2433494A (en) Material handling apparatus
JP4478394B2 (ja) ポンプ等の流体機器
KR102365242B1 (ko) 잔류량 최소화 구조를 가진 카고 펌프 어셈블리
SU1590682A1 (ru) Входное устройство насоса
SU1707271A1 (ru) Насос
ITVC970007A1 (it) Dispositivo per la fermentazione di sostanze vegetali, in particolare per uva.
CN114427520A (zh) 一种高压液氨泵
KR100969453B1 (ko) 펌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