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08842A - 슬러지 제거장치 - Google Patents

슬러지 제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08842A
KR20110108842A KR1020100028270A KR20100028270A KR20110108842A KR 20110108842 A KR20110108842 A KR 20110108842A KR 1020100028270 A KR1020100028270 A KR 1020100028270A KR 20100028270 A KR20100028270 A KR 20100028270A KR 20110108842 A KR20110108842 A KR 201101088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suction
sludge
passage hole
ta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282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32354B1 (ko
Inventor
김종탁
Original Assignee
김종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종탁 filed Critical 김종탁
Priority to KR10201000282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32354B1/ko
Publication of KR201101088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088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323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323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1/00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 C02F11/12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 C02F11/121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by mechanical de-water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002Construction details of the apparatu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10/00Technologies for wastewater treatment
    • Y02W10/20Sludge process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Treatment Of Slud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펌핑방식으로 피스톤의 동작에 따라 하천의 슬러지를 흡인한 후, 외부로 배출시켜 하천의 슬러지를 강제적으로 제거토록 함으로서 하천 오염문제를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슬러지 제거장치를 제공한다.
이를 구현하기 위한 본 발명은 내부에 챔버가 형성된 탱크와, 상기 탱크의 챔버에 위치하며 상기 탱크 상단에 설치되어 있는 메인실린더의 구동으로 상, 하 이동 동작하며 흡입력 및 배출압력을 발생시키는 피스톤과, 상기 탱크의 개방된 하단에 설치되며 전면에는 슬러지를 흡입하는 흡입유로와 연결되는 흡입통과공 및 슬러지를 배출하는 배출유로와 연결되는 배출통과공이 각각 형성된 안내가이드와, 상기 안내가이드 사이에 끼워진 상태에서 실린더의 동작으로 전, 후 왕복 이동하는 개폐슬라이더 및 상기 개폐슬라이더에 관통 형성되며 상기 개폐슬라이더의 동작에 따라 상기 안내가이드의 흡입통과공 및 배출통과공에 각각 선택적으로 위치하며 상기 흡입통과공 및 배출통과공을 개방시키는 하나의 연결구멍을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기술적 요지로 한다.

Description

슬러지 제거장치{A removing device for sludge}
본 발명은 슬러지 제거장치에 관련되는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펌핑방식으로 피스톤의 동작에 따라 하천의 슬러지를 흡인한 후, 외부로 배출시켜 하천의 슬러지를 강제적으로 제거토록 슬러지 제거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생활하수와 공장폐수, 기업형 축산농가로부터 배출되는 축산폐수는 대규모 하수 처리장이나 소규모 단위 처리시설에서 정화시킨 후 하천에 배출시키도록 하고 있으나, 여러 요인에 의해 하천으로 방류되는 방류수의 오염도가 높아 하천수가 오염되고 있다.
이러한 방류수의 오염원인으로서는 하천에 방류되는 방류수에 대한 수질기준, 즉 생화학적 산소 요구량(BOD), 화학적 산소 요구량(COD), 총인, 총질소, 부유물질량에 대해 지역에 따라 차등 적용되고 있어 하수 정화시설을 거쳐 방류되는 방류수의 오염도가 다르다.
또한 소규모 정화시설에는 생활하수에 포함된 질소, 인 등에 대한 정화처리가 생략된 일차 처리 공정만을 수행하기 때문에 정화처리를 거쳐 배출되는 방류수는 상기의 요인들로 인해 하천수의 부영양화가 야기될 수 있다.
그 밖에도 강우시 우수와 생활하수가 섞여 통상의 하수보다는 오염도가 낮은 상태로 다량의 토사와 협잡물을 포함한 하수가 하수처리장의 처리용량 보다 많은 양이 유입되는 경우, 대부분의 하수가 무단 방류되는 실정이다.
이와 같이 불가피하게 배출되고 있는 폐기물이나 슬러지들은 극히 일부만 처리, 재활용되고 있을 뿐 상당한 량이 그대로 방치 혹은 무단 폐기되거나 적절한 처리방법을 찾지 못하고 시간이 지나면서 계속 누적이 되어 심각한 사회적, 환경적 문제로 되고 있다.
예컨대, 하수 슬러지의 경우 최근에 전면 매립이 금지된 상태이고, 국제협약에 의한 해양투기도 멀지 않아 금지될 상황이어서, 슬러지류를 처리하는 문제는 국가적으로 심각할 수밖에 없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펌핑방식으로 피스톤의 동작에 따라 하천의 슬러지를 흡인한 후, 외부로 배출시켜 하천의 슬러지를 강제적으로 제거토록 함으로서 하천 오염문제를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슬러지 제거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술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슬러지 제거장치에 있어서, 내부에 챔버가 형성된 탱크와, 상기 탱크의 챔버에 위치하며 상기 탱크 상단에 설치되어 있는 메인실린더의 구동으로 상, 하 이동 동작하며 흡입력 및 배출압력을 발생시키는 피스톤과, 상기 탱크의 개방된 하단에 설치되며 전면에는 슬러지를 흡입하는 흡입유로와 연결되는 흡입통과공 및 슬러지를 배출하는 배출유로와 연결되는 배출통과공이 각각 형성된 안내가이드와, 상기 안내가이드 사이에 끼워진 상태에서 실린더의 동작으로 전, 후 왕복 이동하는 개폐슬라이더 및 상기 개폐슬라이더에 관통 형성되며 상기 개폐슬라이더의 동작에 따라 상기 안내가이드의 흡입통과공 및 배출통과공에 각각 선택적으로 위치하며 상기 흡입통과공 및 배출통과공을 개방시키는 하나의 연결구멍을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슬러지 제거장치에 있어서, 내부에 챔버가 형성된 탱크와, 상기 탱크의 챔버에 위치하며 상기 탱크 상단에 설치되어 있는 메인실린더의 구동으로 상, 하 이동 동작하며 흡입력 및 배출압력을 발생시키는 피스톤과, 상기 탱크의 개방된 하단에 설치되며 전면에는 슬러지를 흡입하는 흡입유로와 연결되는 하부흡입통과공 및 슬러지를 배출하는 배출유로와 연결되는 하부배출통과공이 각각 형성된 하부안내가이드와, 상기 하부안내가이드 사이에 끼워진 상태에서 실린더의 동작으로 전, 후 왕복 이동하는 하부개폐슬라이더와, 상기 하부개폐슬라이더에 관통 형성되며 상기 하부개폐슬라이더의 동작에 따라 상기 하부안내가이드의 하부흡입통과공 및 하부배출통과공에 각각 선택적으로 위치하며 상기 하부흡입통과공 및 하부배출통과공을 개방시키는 하나의 하부연결구멍과, 상기 탱크의 개방된 상단에 설치되며 전면에는 상기 흡입유로에서 분기 형성된 흡입분기유로와 연결되는 상부흡입통과공 및 상기 배출유로에서 분기 형성된 배출분기유로와 연결되는 상부배출통과공이 각각 형성된 상부안내가이드와, 상기 상부안내가이드 사이에 끼워진 상태에서 실린더의 동작으로 전, 후 왕복 이동하는 상부개폐슬라이더와, 상기 상부개페슬라이더에 관통 형성되며 상기 상부개폐슬라이더의 동작에 따라 상기 상부안내가이드의 상부흡입통과공 및 상부배출통과공에 각각 선택적으로 위치하며 상기 상부흡입통과공 및 상부배출통과공을 개방시키는 하나의 상부연결구멍을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슬러지 제거장치는 펌핑수단인 피스톤의 동작에 따라 하천의 슬러지를 흡인한 후, 외부로 강제 배출시켜 제거토록 함으로서 함으로서 하천 오염문제를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작용효과를 구현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실시 예에 따른 슬러지 제거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도 1에서 도시하고 있는 개폐슬라이더의 구성을 입체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3과 도 4는 본 발명의 제 1실시 예에 따른 슬러지 제거장치의 동작상태를 순차적으로 도시한 도면들.
도 5는 본 발명의 제 2실시 예에 따른 슬러지 제거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제 3실시 예에 따른 슬러지 제거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7은 도 6에서 도시하고 있는 슬러지 제거장치의 평면을 도시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제 4실시 예에 따른 슬러지 제거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9는 도 8에서 도시하고 있는 슬러지 제거장치의 평면을 도시한 도면.
도 10은 도 8에서 도시하고 있는 하부개폐슬라이더의 구성을 입체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11은 도 8에서 도시하고 있는 상부개폐슬라이더의 구성을 입체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12와 도 13은 본 발명의 제 4실시 예에 따른 슬러지 제거장치의 동작상태를 순차적으로 도시한 도면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후술 될 상세한 설명에서는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해 본 발명에 있어 대표적인 실시 예를 제시할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으로 제시될 수 있는 다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구성에서 설명으로 대체한다.
본 발명에서는 생활하수와 공장폐수, 기업형 축산농가로부터 배출되는 축산폐수는 대규모 하수 처리장이나 소규모 단위 처리시설을 통해 하천으로 유입된 슬러지를 펌핑 방식으로 피스톤의 동작에 따라 이를 강제 흡입한 후, 처리시설로 배출시키도록 함으로서 심각한 환경오염을 유발하는 하천 슬러지를 강제적으로 제거할 수 있도록 한 슬러지 제거장치를 구현하고자 한다.
한편, 이러한 슬러지 제거장치의 구성은 후술하는 각 실시 예에 의해 용이하게 이해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겠는 바. 상기 본 발명이 실시 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 예 1}
첨부된 도 1은 본 발명의 제 1실시 예에 따른 슬러지 제거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서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슬러지 제거장치는 기대(50)와, 상기 기대(50)에 설치되는 펌핑수단과, 안내가이드(20) 그리고 개폐슬라이더(30)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상기 펌핑수단은 흡입유로(40)를 통해 하천으로 유입된 슬러지를 강제 펌핑한 후, 배출유로(42)를 통해 외부에 설치되어 있는 슬러치 처리시실(미 도시 함)로 배출시키는 수단으로서, 내부에 챔버(12)가 형성된 탱크(10)와, 상기 탱크(10)의 챔버(12)에 위치하며 상기 탱크(10) 상면에 설치되어 있는 메인실린더(16)의 동력으로 상, 하로 수직 왕복 이동하며 흡입력 및 배출압력을 발생시키는 피스톤(14)을 포함하여 구성한다.
상기한 구성의 펌핑수단은 메인실린더(16)의 동력으로 피스톤(14)이 상승하면 흡입유로(40)를 통해 슬러지가 탱크(10) 내부 챔버(12)로 강제 흡입되고, 또한 메인실린더(16)의 동력으로 피스톤(14)이 하강하면 탱크(10) 내부 챔버(12)로 흡입된 슬러지는 배출유로(42)를 통해 외부로 강제 배출되는 것이다.
상기 안내가이드(20)는 상기 탱크(10)의 개방된 하단에 덮혀지는 것으로서, 전면에는 흡입통과공(22) 및 배출통과공(24)이 각각 관통 형성되며, 상기 흡입 및 배출통과공(22, 24)으로는 상기 흡입유로(22)와 배출유로(24)가 각각 연결 구성되어 흡입유로(40)로 흡입되는 슬러지를 통과시키고, 또한 탱크(10) 내부로 흡입된 슬러지를 배출유로(42)로 통과시키게 된다.
상기 개폐슬라이더(30)는 상기 안내가이드(20) 사이에 끼워진 상태에서 실린더(34)의 동작으로 전, 후 수평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며 상기 안내가이드(20)에 형성되어 있는 흡입통과공(22) 및 배출통과공(24)을 개별적으로 개방시키는 수단이다. 상기 개폐슬라이더(30)에는 하나의 연결구멍(32)이 관통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연결구멍(32)은 상기 개폐슬라이더(30)의 전, 후 이동 동작에 따라 상기 안내가이드(20)의 흡입통과공(22) 및 배출통과공(24)에 각각 선택적으로 연통하며 상기 흡입통과공(22)과 배출통과공(24)을 개별적으로 개방시키게 된다. 즉, 흡입유로(40)를 통해 슬러지를 탱크(10) 내부로 흡입하기 위해서는 흡입유로(40)에 연결되어 있는 흡입통과공(22)을 개방시키고, 배출통과공(24)을 폐쇄시켜야 하는 데, 이때에는 실린더(34)의 동력으로 개폐슬라이더(30)를 전진 이동시키게 되면 상기 개폐슬라이더(30)의 연결구멍(32)이 흡입통과공(22)쪽으로 이동하며 상기 흡입통과공(22)과 연통하게 되고, 배출통과공(24)은 개폐슬라이더(30)에 의해 폐쇄되게 됨으로서 슬러지는 연결구멍(32)을 통해 개방된 흡입통과공(22)을 통과하며 탱크(10) 내부 챔버(12)로 흡입될 수 있게 되는 바,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하기의 동작 설명란에서 상세하게 기술하기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제 1실시 예에 따른 슬러지 제거장치의 동작과정을 첨부된 도 3과 도 4를 참조하여 기술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슬러지 제거장치로 슬러지를 제거하고자 할 때에는 피스톤(14)을 상, 하로 이동시켜 슬러지를 탱크(10) 내부 챔버(12)로 흡입한 후, 외부의 처리시설로 강제 배출시키도록 하는 데, 이때 개폐슬라이더(30)의 동작으로 안내가이드(20)의 흡입통과공(22) 및 배출통과공(24)을 각각 선택적으로 개방시켜 슬러지의 흡입 및 배출 동작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즉, 피스톤(14)의 상승 동작에 따라 슬러지가 탱크(10)의 챔버(12)로 흡입되기 위해서는 탱크(10) 바닥면에 설치된 안내가이드(20)의 흡입통과공(22)은 개방되어야 하는 반면, 배출통과공(24)은 폐쇄되어야 하는 데, 이때에는 도 3에서와 같이 실린더(34)의 동력으로 개폐슬라이더(30)를 전진 이동시키게 되면 상기 개폐슬라이더(30)의 연결구멍(32)이 흡입통과공(22) 쪽으로 이동하며 상기 흡입통과공(22)과 연통하게 되고, 배출통과공(24)은 개폐슬라이더(30)에 의해 폐쇄됨으로서 슬러지는 연결구멍(32)을 통해 개방된 흡입통과공(22)을 통과하며 탱크(10) 내부 챔버(12)로 흡입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어서, 탱크(10) 내부 챔버(12)로 흡입된 슬러지를 배출시킬 때에는 위와는 반대로 흡입통과공(22)은 폐쇄하고, 배출통과공(24)은 개방시켜야 하며, 이때에는 개폐슬라이더(30)를 후진 이동시키게 되면 연결구멍(32)은 배출통과공(24) 쪽으로 이동하며 상기 배출통과공(24)을 개방시키게 되고, 흡입통과공(22)은 개폐슬라이더(30)에 의해 폐쇄됨으로서 슬러지는 연결구멍(32)을 통해 개방된 배출통과공(24)을 통과하며 탱크(10) 내부 챔버(12)로 흡입된 슬러지를 배출유로(24)를 통해 외부 처리시설로 배출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실시 예 2}
첨부된 도 5는 본 발명의 제 2실시 예에 따른 슬러지 제거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에서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2실시 예에 따른 슬러지 제거장치는 전술한 제 1실시 예의 슬러지 제거장치와 동일한 구조, 탱크(110)와, 상기 탱크(110) 내부 챔버(112)에 위치하며 메인실린더(116)의 구동으로 동작하는 피스톤(114)으로 구성한 펌핑수단과, 흡입유로(140) 및 배출유로(142)에 각각 연결 구성되는 흡입통과공(122) 및 배출통과공(124)이 각각 관통 형성된 안내가이드(120), 상기 안내가이드(120)를 타고 이동하며 상기 흡입통과공(122) 및 배출통과공(124)에 연결구멍(132)을 선택적으로 위치시켜 흡입통과공(122) 및 배출통과공(124)을 개별적으로 개방시키는 개폐슬라이더(120)로 구성하되, 상기 펌핑수단은 눕힌 상태로 기대(150)에 설치되도록 구성하고, 상기 안내가이드(120) 및 개폐슬라이더(130)는 수직으로 세운 상태에서 기대(150)에 설치되도록 구성함에 차이를 가지는 바, 이러한 제 2실시 예의 슬러지 제거장치의 동작은 전술한 제 1실시 예의 슬러지 제거장치와 동일하게 이루어지는 바,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실시 예 3}
첨부된 도 6은 본 발명의 제 3실시 예에 따른 슬러지 제거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7은 도 6의 평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과 도 7에서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3실시 예에 따른 슬러지 제거장치는 전술한 제 1, 2실시 예의 슬러지 제거장치와 동일한 구조인 탱크(210)와, 상기 탱크(210) 내부 챔버(212)에 위치하며 메인실린더(216)의 구동으로 동작하는 피스톤(214)으로 구성한 펌핑수단과, 흡입유로(240) 및 배출유로(242)에 각각 연결 구성되는 흡입통과공(222) 및 배출통과공(224)이 각각 관통 형성된 안내가이드(220)로 구성하고, 또한 상기 펌핑수단은 눕힌 상태로 기대(250)에 설치되도록 구성하며, 상기 안내가이드(220)는 수직으로 세운 상태에서 기대에 설치되도록 구성하되, 제 1, 2실시 예에서 기술되었던 개폐슬라이더를 사용하지 않고, 흡입통과공(222) 및 배출통과공(224)의 입구에 캡로드(230)를 각각 위치시킨 다음, 실린더(234)의 동력으로 상기 캡로드(230)를 이동시켜 상기 흡입통과공(222) 및 배출통과공(224)의 입구를 각각 개폐시키도록 구성함에 특징을 가진다. 그리고 이러한 구조의 제 3실시 예에 따른 슬러지 제거장치는 동일한 구조로 하여 양측에 복수개를 배치시킴에 따라 제 1, 2실시 예의 슬러지 제거장치에 비해 슬러지의 제거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 흡입통과공(222) 및 배출통과공(224)의 입구에는 원형 링 형상의 커팅나이프(252, 254)가 설치되며, 상기 커팅나이프(252, 254)는 상기 캡로드(230)가 상기 커팅나이프(252, 254)를 각각 통과하는 과정에서 딱딱한 물체등의 이물질을 잘라 제거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실시 예 4}
첨부된 도 8은 본 발명의 제 4실시 예에 따른 슬러지 제거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9는 도 8의 평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과 도 9에서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슬러지 제거장치는 기대(370)와, 상기 기대(370)에 설치되는 펌핑수단과, 상, 하부 안내가이드(320, 330) 그리고 상, 하부 개폐슬라이더(350, 360)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상기 펌핑수단은 흡입유로(340)와 흡입분기유로(344)를 통해 하천으로 유입된 슬러지를 강제 펌핑하여 배출유로(342)와 배출분기유로(346)를 통해 외부에 설치되어 있는 슬러지 처리시실(미 도시 함)로 배출시키는 수단으로서, 내부에 챔버(312)가 형성된 탱크(310)와, 상기 탱크(310)의 챔버(312)에 위치하며 상기 탱크 (310) 상면에 설치되어 있는 메인실린더(316)의 동력으로 상, 하로 수직 왕복 이동하며 흡입력 및 배출압력을 발생시키는 피스톤(314)을 포함하여 구성한다.
상기 탱크(310)의 하면에는 하부 안내 가이드(320)를 사이에 두고 흡입유로(340)와 배출유로(342)가 각각 연결 구성되고, 또한 상기 탱크(310)의 상면에는 상부 안내 가이드(330)를 사이에 두고 상기 흡입 및 분기유로(340, 342)에서 각각 분기 형성되어 있는 흡입분기유로(344)와 배출분기유로(346)가 각각 연결 구성된다.
상기한 구성의 펌핑수단은 메인실린더(316)의 동력으로 피스톤(314)이 상승하면 흡입유로(340)를 통해 슬러지가 탱크(310) 내부 챔버(312)로 강제 흡입되고, 또한 메인실린더(316)의 동력으로 피스톤(314)이 하강하면 탱크(310) 내부 챔버(312)에 흡입된 슬러지는 배출유로(342)를 통해 외부로 강제 배출되는 것이다. 또한 흡입유로(340)와 배출유로(342)에 분기 형성되어 있는 흡입분기유로(344) 및 배출분기유로(346)를 통해서도 탱크(310) 내부 챔버(312)로 슬러지를 흡입한 후,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상기 하부안내가이드(320)는 상기 탱크(310)의 개방된 하단에 덮혀진 상태에서 하부개폐슬라이더(350)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것으로서, 전면에는 하부흡입통과공(322) 및 하부배출통과공(324)이 각각 관통 형성되며, 상기 하부흡입통과공 및 하부배출통과공(322, 324)으로는 상기 흡입유로(340)와 배출유로(342)가 각각 연결 구성되어 흡입유로(340)로 흡입되는 슬러지는 상기 하부흡입통과공(322)을 통해 탱크(310) 내부로 통과시키고, 또한 탱크(310) 내부로 흡입된 슬러지는 상기 하부배출통과공(324)을 통해 배출유로(326)로 통과시키게 된다.
상기 상부안내가이드(330)는 상기 탱크(310)의 개방된 상단에 덮혀진 상태에서 상부개폐슬라이더(350)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것으로서, 전면에는 상부흡입통과공(332) 및 상부배출통과공(334)이 각각 관통 형성되며, 상기 상부흡입통과공(332) 및 상부배출통과공(334)으로는 상기 흡입분기유로(344)와 배출분기유로(346)가 각각 연결 구성되어 상기 흡입분기유로(344)로 흡입되는 슬러지를 탱크(310) 내부 챔버(312)로 통과시키고, 또한 탱크(310) 내부 챔버(312)로 흡입된 슬러지를 상기 배출분기유로(346)로 통과시키게 된다.
상기 하부개폐슬라이더(350)는 상기 하부안내가이드(330) 사이에 끼워진 상태에서 실린더(354)의 동작으로 전, 후 수평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며 상기 하부안내가이드(320)에 형성되어 있는 하부흡입통과공(322)과 하부배출통과공(324)을 개별적으로 개방시키는 수단이다.
첨부된 도 10에서와 같이 상기 하부개폐슬라이더(350)에는 하나의 하부연결구멍(352)이 관통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하부연결구멍(352)은 상기 하부개폐슬라이더(350)의 전, 후 이동 동작에 따라 상기 하부안내가이드(320)의 하부흡입통과공 (322) 및 하부배출통과공(324)에 각각 선택적으로 연통하며 상기 하부흡입통과공(320) 및 하부배출통과공(322)을 각각 개별적으로 개방시키게 된다. 즉, 흡입유로(340)를 통해 슬러지를 탱크(310) 내부로 흡입하기 위해서는 흡입유로(340)에 연결되어 있는 하부흡입통과공(322)을 개방시키고, 하부배출통과공(324)을 폐쇄시켜야 하는 데, 이때에는 실린더(354)의 동력으로 하부개폐슬라이더(350)를 전진 이동시키게 되면 상기 하부개폐슬라이더(350)의 하부연결구멍(352)이 하부흡입통과공 (322)쪽으로 이동하며 상기 하부흡입통과공(322)과 연통하게 되고, 하부배출통과공(324)은 하부개폐슬라이더(350)에 의해 폐쇄되게 됨으로서 슬러지는 하부연결구멍(352)을 통해 개방된 하부흡입통과공(322)을 통과하며 탱크(310) 내부 챔버(312)로 흡입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 상부개폐슬라이더(360)는 상기 상부안내가이드(330) 사이에 끼워진 상태에서 실린더(364)의 동작으로 전, 후 수평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며 상기 상부안내가이드(330)에 형성되어 있는 상부흡입통과공(332)과, 상부배출통과공(334)을 개별적으로 개방시키는 수단이다.
첨부된 도 11에서와 같이 상기 상부개폐슬라이더(360)에는 두개의 상부연결구멍(362)이 관통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각 상부연결구멍(362)은 상기 상부개폐슬라이더(360)의 전, 후 이동 동작에 따라 상기 상부안내가이드(330)의 상부흡입통과공(332) 및 상부배출통과공(334)에 각각 선택적으로 연통하며 상기 상부흡입통과공 (332) 및 상부배출통과공(334)을 각각 개방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상부개폐슬라이더(360)의 형상은 "⊃"형상으로 성형하여 중앙으로 피스톤(314)을 동작시키는 메인실린더(316)가 관통하도록 함으로서 메인실린더(316)와 상부개폐슬라이더(360) 간의 간섭됨을 방지토록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제 4실시 예에 따른 슬러지 제거장치의 동작과정을 첨부된 도 12와 도 13을 참조하여 기술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슬러지 제거장치로 슬러지를 제거하고자 할 때에는 피스톤(314)을 상, 하로 이동시켜 슬러지를 탱크(310) 내부 챔버(312)로 흡입한 후, 외부의 처리시설로 강제 배출시키도록 한다.
구체적으로 첨부된 도 12에서와 같이 메인실린더(316)의 동작으로 피스톤(314)이 상승 동작하면 이때의 흡입력에 의해 흡입유로(340) 및 흡입분기유로(344)로 슬러지가 흡입되어 진다.
이때 상기 흡입유로(340)로 흡입된 슬러지는 하부안내가이드(320)의 하부흡입통과공(322)과 하부개폐슬라이더(350)의 하부연결구멍(352)이 서로 연통함에 따라 개방된 하부흡입통과공(322)을 통해 탱크(310) 내부 챔버(312)로 흡입되는 반면, 상기 흡입분기유로(344)로 흡입된 슬러지는 상부안내가이드(330)의 상부흡입통과공(332)이 상부개폐슬라이더(360)의 상부연결구멍(362)과 서로 연통하지 않은 상태임으로서 탱크(310) 내부 챔버(312)로 흡입되지 않고, 흡입분기유로(344) 내에 머물러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하부안내가이드(320)의 하부흡입통과공(322)이 개방되면, 그 옆의 하부배츨통과공(324)은 폐쇄된 상태가 되고, 상기 상부안내가이드(330)의 상부흡입통과공(332)이 폐쇄되면 그 옆의 상부배출통과공(334)은 개방된 상태가 된다.
즉, 피스톤(314)의 상승 동작에 따라 슬러지가 탱크(130)의 챔버(312)로 흡입되기 위해서는 탱크(310) 바닥면에 설치된 하부안내가이드(320)의 하부흡입통과공(322)은 개방되어야 하는 반면, 하부배출통과공(324)은 폐쇄되어야 하는 데, 이때에는 도 12에서와 같이 실린더(354)의 동력으로 하부개폐슬라이더(350)를 전진 이동시키게 되면 상기 하부개폐슬라이더(350)의 하부연결구멍(352)이 하부흡입통과공(322) 쪽으로 이동하며 상기 하부흡입통과공(322)과 연통하게 되고, 하부배출통과공(324)은 하부개폐슬라이더(350)에 의해 폐쇄됨으로서 슬러지는 하부연결구멍(352)을 통해 개방된 하부흡입통과공(322)을 통과하며 탱크(310) 내부 챔버(312)로 흡입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첨부된 도 13에서와 같이 메인실린더(316)의 동작으로 피스톤(314)을 하강 동작시키게 되면 탱크(310) 내부 챔버(312)로 흡입된 슬러지는 외부 처리시설로 배출되어 진다.
즉, 탱크(310) 내부 챔버(312)로 흡입된 슬러지는 피스톤(314)의 하강에 따른 누름압력이 작용하면 하부개폐슬라이더(350)의 동작으로 개방된 하부안내가이드(320)의 하부배출통과공(324)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것이다. 이때 피스톤(314)이 하강 동작하는 것과 동시에 상부개폐슬라이더(360)가 동작하며 상부안내가이드(330)의 상부흡입통과공(332)에 상부연결구멍(362)을 위치시켜 상기 상부흡입통과공(332)을 개방시키게 되는 데, 이에 따라 흡입분기유로(344)에 머물러 있는 슬러지는 피스톤(314)의 하강 동작에 따른 흡입력으로 상기 개방된 상부흡입통과공(332)을 통해 탱크(310) 내부 챔버(312)로 흡입되어 진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제 4실시 예에 따른 하천 슬러지 제거장치는 전술한 제 1실시 예와 달리 피스톤의 상승 및 하강 동작에 따라 슬러지의 흡입 및 배출이 동시에 이루어지게 됨으로서 슬러지 제거효율을 높일 수 있게 된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탱크 12: 챔버
14: 피스톤 16: 메인실린더
20: 안내가이드 22: 흡입통과공
24: 배출통과공 30: 개폐슬라이더
32: 연결구멍 34: 실린더
40: 흡입유로 42: 배출유로

Claims (2)

  1. 슬러지 제거장치에 있어서,
    내부에 챔버가 형성된 탱크와;
    상기 탱크의 챔버에 위치하며 상기 탱크 상단에 설치되어 있는 메인실린더의 구동으로 상, 하 이동 동작하며 흡입력 및 배출압력을 발생시키는 피스톤과;
    상기 탱크의 개방된 하단에 설치되며 전면에는 슬러지를 흡입하는 흡입유로와 연결되는 흡입통과공 및 슬러지를 배출하는 배출유로와 연결되는 배출통과공이 각각 형성된 안내가이드와;
    상기 안내가이드 사이에 끼워진 상태에서 실린더의 동작으로 전, 후 왕복 이동하는 개폐슬라이더 및 ;
    상기 개폐슬라이더에 관통 형성되며 상기 개폐슬라이더의 동작에 따라 상기 안내가이드의 흡입통과공 및 배출통과공에 각각 선택적으로 위치하며 상기 흡입통과공 및 배출통과공을 개방시키는 하나의 연결구멍을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슬러지 제거장치.
  2. 슬러지 제거장치에 있어서,
    내부에 챔버가 형성된 탱크와;
    상기 탱크의 챔버에 위치하며 상기 탱크 상단에 설치되어 있는 메인실린더의 구동으로 상, 하 이동 동작하며 흡입력 및 배출압력을 발생시키는 피스톤과;
    상기 탱크의 개방된 하단에 설치되며 전면에는 슬러지를 흡입하는 흡입유로와 연결되는 하부흡입통과공 및 슬러지를 배출하는 배출유로와 연결되는 하부배출통과공이 각각 형성된 하부안내가이드와;
    상기 하부안내가이드 사이에 끼워진 상태에서 실린더의 동작으로 전, 후 왕복 이동하는 하부개폐슬라이더과;
    상기 하부개폐슬라이더에 관통 형성되며 상기 하부개폐슬라이더의 동작에 따라 상기 하부안내가이드의 하부흡입통과공 및 하부배출통과공에 각각 선택적으로 위치하며 상기 하부흡입통과공 및 하부배출통과공을 개방시키는 하나의 하부연결구멍과;
    상기 탱크의 개방된 상단에 설치되며 전면에는 상기 흡입유로에서 분기 형성된 흡입분기유로와 연결되는 상부흡입통과공 및 상기 배출유로에서 분기 형성된 배출분기유로와 연결되는 상부배출통과공이 각각 형성된 상부안내가이드와;
    상기 상부안내가이드 사이에 끼워진 상태에서 실린더의 동작으로 전, 후 왕복 이동하는 상부개폐슬라이더와;
    상기 상부개페슬라이더에 관통 형성되며 상기 상부개폐슬라이더의 동작에 따라 상기 상부안내가이드의 상부흡입통과공 및 상부배출통과공에 각각 선택적으로 위치하며 상기 상부흡입통과공 및 상부배출통과공을 개방시키는 하나의 상부연결구멍을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슬러지 제거장치.
KR1020100028270A 2010-03-30 2010-03-30 슬러지 제거장치 KR1012323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28270A KR101232354B1 (ko) 2010-03-30 2010-03-30 슬러지 제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28270A KR101232354B1 (ko) 2010-03-30 2010-03-30 슬러지 제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08842A true KR20110108842A (ko) 2011-10-06
KR101232354B1 KR101232354B1 (ko) 2013-02-08

Family

ID=450262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28270A KR101232354B1 (ko) 2010-03-30 2010-03-30 슬러지 제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3235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41935B1 (ko) * 2023-09-27 2024-02-27 김명식 에어펌핑튜브를 갖는 오폐수 탱크 패키지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44822Y1 (ko) 2001-05-23 2001-10-15 주식회사 대인기계공업 슬러지 이송장치
JP4277594B2 (ja) 2003-05-26 2009-06-10 調和工業株式会社 泥水の濃縮方法、および泥水濃縮ポンプ装置
KR100733790B1 (ko) * 2006-07-08 2007-07-03 주식회사 대인기계공업 슬러지 이송장치
KR100809611B1 (ko) * 2007-04-06 2008-03-04 주식회사 정명 3방향 밸브를 이용한 슬러지 이송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41935B1 (ko) * 2023-09-27 2024-02-27 김명식 에어펌핑튜브를 갖는 오폐수 탱크 패키지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32354B1 (ko) 2013-0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46525B1 (ko) 폐수 응집 처리장치
KR101189747B1 (ko) 수조식 양식장용 급배수 정화 시스템
KR100939105B1 (ko) 쌍축 스크류 푸셔가 구비되는 고형물 이송장치
CN210966354U (zh) 一种原位抽提井
KR101232354B1 (ko) 슬러지 제거장치
KR101568308B1 (ko) 종합 전처리설비
CN103384772A (zh) 水击发生装置
WO2005123613A1 (en) Fluids fluxion method and plant for wastewater treatment
KR20150088212A (ko) 오염물질분자들과 유체성 물질분자 속에 함유된 미립자성 오염물질들과 부유물질들을 완벽하게 제거하거나 유체성 물질분자에서 추출한 물질분자들을 다른 물질들과 혼합하여 재사용하거나 깨끗하게 정화하는 자연친화적인 유체성 물질분자 가공 친환경 공법
CN205151804U (zh) 取水装置及其构成的水生产系统
CN114085013B (zh) 一种用于餐厨垃圾高浓度废水的多级预处理装置
CN215249823U (zh) 一种给排水用废水曝气装置
KR100622052B1 (ko) 관정 세척공법 및 이 공법에 적용되는 슬러지 분리장치
CN211393943U (zh) 一种陶瓷膜油水分离装置
CN110665949A (zh) 一种原位抽提井
CN113292179A (zh) 一种页岩气采出水过滤消毒处理装置
CN201921151U (zh) 真空式针头消毒系统
CN104607051A (zh) 一种过滤膜清洗方法
CN216837348U (zh) 一种污水处理厂生化曝气装置
CN220223703U (zh) 一种蔬菜废水处理设备
CN114405234B (zh) 大气治理用环保治污设备
CN216808374U (zh) 一种页岩气采出水过滤消毒处理装置
CN217528672U (zh) 一种基于多相抽提和组合通风曝气的污染场地处理系统
CN217028997U (zh) 一种煤矿瓦斯防治用抽气装置
CN218025563U (zh) 一种渗滤液处理用曝气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1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31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