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65242B1 - 잔류량 최소화 구조를 가진 카고 펌프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잔류량 최소화 구조를 가진 카고 펌프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65242B1
KR102365242B1 KR1020160005862A KR20160005862A KR102365242B1 KR 102365242 B1 KR102365242 B1 KR 102365242B1 KR 1020160005862 A KR1020160005862 A KR 1020160005862A KR 20160005862 A KR20160005862 A KR 20160005862A KR 102365242 B1 KR102365242 B1 KR 1023652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go
water collecting
electromagnetic
pump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058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86256A (ko
Inventor
이경록
Original Assignee
현대중공업터보기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중공업터보기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중공업터보기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058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65242B1/ko
Publication of KR201700862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862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652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652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7/00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 B63B27/24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of pipe-l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7/00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 B63B27/30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transfer at sea between ships or between ships and off-shore structures
    • B63B27/34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transfer at sea between ships or between ships and off-shore structures using pipe-l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9/00Apparatus or devices for transferring liquids when loading or unloading ships
    • B67D9/02Apparatus or devices for transferring liquids when loading or unloading ships using articulated pip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0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7/00Special means in or on valves or other cut-off apparatus for indicating or recording operation thereof, or for enabling an alarm to be given
    • F16K37/0025Electrical or magnetic means
    • F16K37/0041Electrical or magnetic means for measuring valve parame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13/00Details of vessels or of the filling or discharging of vessel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23/00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27/00Transfer of fluids, i.e. method or means for transferring the fluid; Heat exchange with the fluid
    • F17C2227/01Propulsion of the fluid
    • F17C2227/0128Propulsion of the fluid with pumps or compressors
    • F17C2227/0135Pu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70/00Applications
    • F17C2270/01Applications for fluid transport or storage
    • F17C2270/0102Applications for fluid transport or storage on or in the water
    • F17C2270/0105Shi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ructures Of Non-Positive Displacement Pumps (AREA)
  • Control Of 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카고 펌프의 흡입구 방향으로 액상화물을 모아둘 수 있는 플렉시블 가압부재를 추가로 설치하여 상기 카고 펌프의 유입구 위치보다 낮은 수위의 액상화물을 펌핑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카고 탱크의 바닥면에 오목하게 함몰된 집수부; 상기 집수부의 바닥면으로부터 높이를 가지고 유입구가 위치하도록 설치되는 카고 펌프; 상기 유입구와 소통 연결되는 상태로 집수부 내에 설치되며 집수공간을 내부에 형성하고 있는 집수부재; 상기 집수공간과 카고 탱크 간 개폐 위하여 집수부재에 설치되는 제1 및 제2 전자개폐밸브; 상기 제1 및 제2 전자개폐밸브로부터 바깥 방향으로 이격된 집수부재의 상면과 집수부재의 바닥면 간에 연결하여 가압공간이 내부에 마련되도록 한 플렉시블 가압부재; 상기 플렉시블 가압부재로부터 벗어나는 집수부재의 상면에 집수공간과 카고 탱크 간 개폐를 위하여 설치되는 제3 전자개폐밸브; 를 포함하는 잔류량 최소화 구조를 가진 선박용 카고 펌프 어셈블리.

Description

잔류량 최소화 구조를 가진 카고 펌프 어셈블리{Cargo Pump Assembly Providing Structure for Mininizing Liquefy Cargo Remainder}
본 발명은 잔류량 최소화 구조를 가진 선박용 카고 펌프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카고 펌프의 흡입구 방향으로 액상화물을 모아둘 수 있는 플렉시블 가압부재를 추가로 설치하여 상기 카고 펌프의 유입구 위치보다 낮은 수위의 액상화물을 펌핑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선박에서 액화 화물을 하역하거나 적하하는 작업을 위한 이재 장치로 카고 펌프를 사용하게 되며, 도 1에는 이러한 종래 카고 펌프의 일반적인 설치 구조가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임펠러(10)를 수용하고 있는 카고 펌프(12)의 흡입구(14)가 카고 탱크(16)의 바닥면으로부터 일정 높이(H1)에 위치하도록 카고 펌프(12)를 설치하고 있다.
따라서, 상기 카고 펌프(12)가 흡입 구동을 하게 되면, 카고 탱크(16)에 저장된 액상화물(18)은 카고 펌프(12)의 흡입구(14)를 통해 임펠러(10)로 유입되며, 상기 임펠러(10)로부터 배출되는 액화화물(18)은 카고 펌프(12)의 배출관(20)을 통해 배출되게 된다.
그런데,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상기 카고 펌프(12)의 흡입구(14)는 카고 탱크(16)의 바닥면으로부터 높이(H1)를 가지고 위치하고 있어, 상기 카고 펌프(12)의 흡입구(14) 위치보다 낮은 액상화물(18)은 항상 잔류하게 된다.
다시 말해, 상기 카고 펌프(12)의 흡입구(14) 아래로 액화화물(18)의 수위가 내려가게 되면, 액화화물(18)이 카고 펌프(12)로 흡입되지 못하여 잔류하게 되며, 그로 인해 적지 않은 액상화물(18)을 낭비하게 되는 문제가 있다.
위와 같은 문제를 해소하기 위하여 카고 펌프(12)의 흡입구(14)를 카고 탱크(16)의 바닥면에 최대한 근접하도록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지나치게 가까울 경우, 캐비테이션의 발생으로 진동이나 소음이 심해지게 된다. 또한, 카고 펌프(16) 내 유로압력 저항이 커져서 내구성이 저하되고, 그 외에도 카고 펌프(16)의 유지 보수가 어렵다는 문제가 있어 흡입구(14)와 카고 탱크(16)의 바닥면 사이에는 최소한의 간격을 두고 있다.
대한민국등록실용신안공보 20-0439895호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카고 펌프의 흡입구 방향으로 액상화물을 모아둘 수 있는 플렉시블 가압부재를 추가로 설치하여 상기 카고 펌프의 유입구 위치보다 낮은 수위의 액상화물을 펌핑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카고 바닥에 액상화물이 잔류하지 않도록 한 잔류량 최소화 구조를 가진 선박용 카고 펌프 어셈블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카고 탱크의 바닥면에 오목하게 함몰된 집수부; 상기 집수부의 바닥면으로부터 높이를 가지고 유입구가 위치하도록 설치되는 카고 펌프; 상기 유입구와 소통 연결되는 상태로 집수부 내에 설치되며 집수공간을 내부에 형성하고 있는 집수부재; 상기 집수공간과 카고 탱크 간 개폐를 위하여 집수부재에 설치되는 제1 및 제2 전자개폐밸브; 상기 집수부재의 상면과 집수부재의 바닥면 간에 연결하여 집수공간 내에 가압공간이 별도로 마련되도록 한 플렉시블 가압부재; 상기 집수공간과 카고 탱크 간 개폐를 위하여 가압부재에 설치되는 제3 전자개폐밸브;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잔류량 최소화 구조를 가진 선박용 카고 펌프 어셈블리가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제1 내지 제3 전자개폐밸브에 각각 설치되어 액상화물을 감지하는 제1 및 제3 수위감지센서; 상기 제1 및 제2 수위감지센서에 각각 전기적으로 신호 연결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와 제 1 내지 제3 전자개폐밸브 간에 전기적 신호로 연결되는 제1 내지 제3 제어신호선;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잔류량 최소화 구조를 가진 선박용 카고 펌프 어셈블리가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플렉시블 가압부재는 집수부재의 내부 상면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은 바깥 방향을 향해 포물선을 그리며 집수부재의 바닥면에 연결되는 잔류량 최소화 구조를 가진 선박용 카고 펌프 어셈블리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잔류량 최소화 구조를 가진 선박용 카고 펌프 어셈블리를 사용하게 되면, 카고 펌프의 유입구 위치보다 낮은 수위의 액상화물을 펌핑할 수 있게 됨으로써, 액상화물의 잔류로 인한 낭비를 방지하게 되어 경제적인 이득을 취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선박용 카고 펌프가 카고 탱크 내에 설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잔류량 최소화 구조를 가진 선박용 카고 펌프 어셈블리의 설치 구조와 펌핑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 도 2a는 카고 펌프의
유입구보다 액화화물의 수위가 높은 경우를 나타낸 것이고, 도 2b는 카고 펌프의 유입구보다 액화화물의 수위가 낮은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잔류량 최소화 구조를 가진 선박용 카고 펌프 어셈블리의 펌핑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 도 2a에서는 카고 펌프의 흡입구보다 액화화물의 수위가 높은 경우를 나타낸 것이고, 도 2b에서는 카고 펌프의 흡입구보다 액화화물의 수위가 낮은 경우를 나타낸 것이다.
도면에서 보듯이, 먼저 카고 펌프(12)가 설치될 때 카고 펌프(12)의 흡입구(14)가 배치되는 카고 탱크(16)의 일부 바닥면에는 오목하게 함몰된 집수부(30)가 면적을 가지고 형성되어 있다.
상기 집수부(30)에는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카고 펌프(12)의 흡입구(14)가 집수부(30)의 바닥면으로부터 높이(H2)를 가지고 높게 설치되는데, 이때 상기 흡입구(14)는 상기 카고 탱크(16)의 바닥면과 동일선상에 위치하도록 배치된다.
또한, 상기 집수부(30)의 내부에는 집수부(30)의 내면 구조와 동일한 집수공간(32)을 형성하고 있는 집수부재(34)가 수용 설치되어 있고, 상기 집수부재(34)의 연결부(36)는 상기 카고 펌프(12)의 흡입구(14) 단부에 연결되어 있다. 아울러 상기 집수부재(34)의 연결부(36) 옆에는 카고 탱크(16)와 개폐되는 제1 및 제2 전자개폐밸브(38, 40)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1 및 제2 전자개폐밸브(38, 40)가 설치되는 집수부재(34)의 내부 상면(34a)에는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은 바깥 방향을 향해 포물선을 그리며 집수부재(34)의 바닥면(34b)에 연결되는 플렉시블 가압부재(42)가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조로 설치되는 상기 플렉시블 가압부재(42)에 의해 상기 플렉시블 가압부재(42)의 내부에는 집수공간(32)과 구획되는 가압공간(44)이 마련 되게 된다.
또한, 상기 플렉시블 가압부재(42)로부터 벗어나는 집수부재(34)의 상면(34a)에는 상기 집수공간(32)을 개폐하는 제3 전자개폐밸브(46)가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상기 제3 전자개폐밸브(46)는 제1 및 제2 전자개폐밸브(38, 40)와 동일선상에 배치되는 것이 좋다.
한편, 상기 제1 내지 제3 전자개폐밸브(38, 40, 46)의 표면에는 액상화물(18)을 감지하는 제1 및 제2 수위감지센서(48, 50)가 각각 설치되어 있고, 상기 제1 및 제2 수위감지센서(48, 50)는 각각 연결되는 제1 및 제2 수위감지신호선(54, 56)을 통해 제어부(60)와 신호 연결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60)는 제1 내지 제3 제어신호선(62, 64, 66)을 통해 상기 제1 내지 제3 전자개폐밸브(38, 40, 46)와 각각 전기적으로 신호 연결되어 있다.
하기에서는 잔류량 최소화 구조를 가진 선박용 카고 펌프 어셈블리의 펌핑 동작을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액화화물(18)의 수위가 카고 펌프(12)의 흡입구(14)보다 높은 경우, 제1 및 제2 수위감지센서(48, 50)는 액상화물(18)에 잠겨진 상태이므로 이에 대한 감지 신호가 제1 및 제2 수위감지신호선(54, 56)을 통해 제어부(60)로 각각 입력되게 된다.
상기 제어부(60)에서는 제1 및 제2 수위감지센서(48, 50)로부터 입력된 신호에 해당하는 입력 프로그램의 실행으로 인하여 해당 제어 신호를 발생하게 되고, 그 제어 신호는 제1 내지 제3 제어신호선(62, 64, 66)을 통해 제1 내지 제3 전자개폐밸브(38, 40, 46)로 각각 입력되게 된다. 그에 따라 상기 제1 및 제2 전자개폐밸브(38, 40)는 개방되고, 제3 전자개폐밸브(46)은 폐쇄되는 상태가 된다.
위와 같은 상태에서 카고 펌프(12)가 구동을 하여 액상화물(18)을 흡입하게 되면, 상기 카고 탱크(16)에 수용된 액상화물(18)은 제1 및 제2 전자개폐밸브(38, 40)를 통해 플렉시블 가압부재(42)의 가압공간(44)으로 유입되게 되고, 상기 가압공간(44)으로 모여지는 액상화물(18)은 카고 펌프(12)의 흡입구(14)를 통해 카고 펌프(12)의 배출관(20)으로 배출되는 과정을 거친다.
위와 같이 액상화물(18)이 배출되면서 액상화물(18)의 수위가 제1 및 제2 수위감지센서(48, 50)의 아래로 낮아지게 되면,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및 제2 수위감지센서(48, 50)가 이에 대한 감지 신호를 제어부(60)로 입력하게 된다.
상기 제어부(60)에서는 제1 및 제2 수위감지센서(48, 50)로부터 입력된 신호에 해당하는 입력 프로그램의 실행으로 인하여 해당 제어 신호를 발생하게 되고, 상기 제어 신호는 제1 내지 제3 제어신호선(62, 64, 66)을 통해 제1 내지 제3 전자개폐밸브(38, 40, 46)로 각각 입력되게 된다. 그에 따라 상기 제1 및 제2 전자개폐밸브(38, 40)는 폐쇄되고, 제3 전자개폐밸브(46) 개방되는 상태가 된다.
그에 따라 상기 카고 펌프(12)는 흡입 구동을 하고 있는 상태이므로 플렉시블 가압부재(42)가 흡입구(14) 방향으로 흡입되려고 하는 상태이고, 상기 카고 탱크(16)에 존재하는 에어는 제3 전자개폐밸브(46)를 통해 집수공간(32)으로 유입되면서 플렉시블 가압부재(42)를 카고 펌프(12)의 흡입구(14) 방향으로 미는 압력으로 작용하게 됨으로써, 상기 플렉시블 가압부재(42)는 흡입구(14) 방향으로 오므려지는 탄성 변형을 일으키게 된다.
다시 말해, 상기 카고 탱크(16)에 존재하는 에어는 제3 전자개폐밸브(46)를 통해 집수부재(34)의 집수공간(32)으로 흡입되게 되며, 상기 집수공간(32)에 채워지는 에어가 플렉시블 가압부재(42)의 외면을 가압하게 된다.
위와 같이 상기 플렉시블 가압부재(42)가 가압공간(44)의 방향으로 오므려지는 탄성 변형을 일으키게 되면, 상기 가압공간(44)에 모여진 액상화물(18)이 카고 펌프(12)의 흡입구(14) 측으로 더 몰리는 상태로 모여지게 되면서 카고 펌프(12)의 흡입구(14)로 빨려들어가게 됨으로써, 상기 카고 탱크(16)에 액상화물(18)에 대한 잔류량이 남지 않는 상태로 펌핑 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잔류량 최소화 구조를 가진 선박용 카고 펌프 어셈블리를 적용하게 되면,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카고 탱크의 바닥에 액상화물에 대한 잔류량이 남지 않게 되어 적지 않은 액상화물의 낭비를 방지하게 되고, 그로 인해 경제적인 이득을 취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아니하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여러 가지 형태로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을 것이며, 그러한 변경 실시는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해당된다고 할 것이다.
10 : 임펠러 12 : 카고 펌프
14 : 흡입구 16 : 카고 탱크
18 : 액상화물 20 : 배출관
30 : 집수부 32 : 집수공간
34 : 집수부재 36 : 연결부
38 : 제1 전자개폐밸브 40 : 제2 전자개폐밸브
42 : 플렉시블 가압부재 44 : 가압공간
46 : 제3 전자개폐밸브 48 : 제1 수위감지센서
50 : 제2 수위감지센서 54 : 제1 수위감지신호선
56 : 제2 수위감지신호선 60 : 제어부
62 제1 제어신호선 64 : 제2 제어신호선
66 : 제3 제어신호선

Claims (4)

  1. 카고 탱크(12)의 바닥면에 오목하게 함몰된 집수부(30);
    상기 집수부(30)의 바닥면으로부터 높이(H2)를 가지고 유입구(14)가 위치하도록 설치되는 카고 펌프(12);
    상기 유입구(14)와 소통 연결되는 상태로 집수부(30) 내에 설치되며 집수공간(32)을 내부에 형성하고 있는 집수부재(34);
    상기 집수공간(32)과 카고 탱크(16) 간 개폐를 위하여 집수부재(34)에 설치되는 제1 및 제2 전자개폐밸브(38, 40);
    상기 집수부재(34)의 상면(34a)과 집수부재(34)의 바닥면(34b) 간에 연결하여 집수공간(32) 내에 가압공간(44)이 별도로 마련되도록 한 플렉시블 가압부재(42);
    상기 집수공간(32)과 카고 탱크(16) 간 개폐를 위하여 가압부재(42)에 설치되는 제3 전자개폐밸브(46);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잔류량 최소화 구조를 가진 선박용 카고 펌프 어셈블리.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내지 제3 전자개폐밸브(38, 40, 46)에 각각 설치되어 액상화물(18)을 감지하는 제1 및 제3 수위감지센서(48, 50);
    상기 제1 및 제2 수위감지센서(48, 50)에 각각 전기적으로 신호 연결되는 제어부(60);
    상기 제어부(60)와 제 1 내지 제3 전자개폐밸브(38, 40,46) 간에 전기적 신호로 연결되는 제1 내지 제3 제어신호선(62, 64, 66);
    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잔류량 최소화 구조를 가진 선박용 카고 펌프 어셈블리.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플렉시블 가압부재(42)는 집수부재(34)의 내부 상면(34a)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은 바깥 방향을 향해 포물선을 그리며 집수부재(34)의 바닥면(34b)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잔류량 최소화 구조를 가진 선박용 카고 펌프 어셈블리.
  4.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1 내지 제3 전자개폐밸브(38, 40, 46)는 동일선상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잔류량 최소화 구조를 가진 선박용 카고 펌프 어셈블리.
KR1020160005862A 2016-01-18 2016-01-18 잔류량 최소화 구조를 가진 카고 펌프 어셈블리 KR1023652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5862A KR102365242B1 (ko) 2016-01-18 2016-01-18 잔류량 최소화 구조를 가진 카고 펌프 어셈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5862A KR102365242B1 (ko) 2016-01-18 2016-01-18 잔류량 최소화 구조를 가진 카고 펌프 어셈블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86256A KR20170086256A (ko) 2017-07-26
KR102365242B1 true KR102365242B1 (ko) 2022-02-22

Family

ID=594269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05862A KR102365242B1 (ko) 2016-01-18 2016-01-18 잔류량 최소화 구조를 가진 카고 펌프 어셈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65242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39896Y1 (ko) 2007-05-29 2008-05-13 에스티엑스엔파코 주식회사 선박용 카고 펌프의 액상화물 잔류량 처리 구조
KR100999540B1 (ko) 2010-04-16 2010-12-08 한국기계연구원 압력기체를 이용한 저장탱크의 액상화물 잔류량 제거장치 및 제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498172B2 (ja) * 1992-04-03 2004-02-16 株式会社三井三池製作所 ばら積船
JPH0796885A (ja) * 1993-09-27 1995-04-11 Mitsubishi Heavy Ind Ltd 荷油タンクの荷役装置
KR200439895Y1 (ko) 2007-05-29 2008-05-13 에스티엑스엔파코 주식회사 선박용 카고 펌프의 액상화물 잔류량 흡입을 통한 액상화물 잔류량 처리 구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39896Y1 (ko) 2007-05-29 2008-05-13 에스티엑스엔파코 주식회사 선박용 카고 펌프의 액상화물 잔류량 처리 구조
KR100999540B1 (ko) 2010-04-16 2010-12-08 한국기계연구원 압력기체를 이용한 저장탱크의 액상화물 잔류량 제거장치 및 제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86256A (ko) 2017-07-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570895B2 (en) Pump system
EP1624190B1 (en) Pumping system
FI73950C (fi) Foerfarande och anordning vid pumpning och volymmaetning av livsmedelsvaetskor.
CN105736388A (zh) 一种自控高效自吸泵
KR20170001587U (ko) 선박의 빌지 배출 시스템
KR102365242B1 (ko) 잔류량 최소화 구조를 가진 카고 펌프 어셈블리
CN202162184U (zh) 储油罐清洗机械装置
US6837174B1 (en) Pneumatic bilge liquid removal system and method therefor
US8491273B2 (en) Ballast system
US2382797A (en) Bilge pump
US9150290B2 (en) Ballast system
KR102397723B1 (ko) 선박의 배수 시스템
KR20110096879A (ko) 안티 힐링 시스템을 포함하는 선박
US20100104452A1 (en) Pump assembly
KR102020394B1 (ko) 진공형 볼류트펌프
KR200439896Y1 (ko) 선박용 카고 펌프의 액상화물 잔류량 처리 구조
WO2015130620A2 (en) Anti-airlock valve assembly
US3251303A (en) Anti-cavitation structure for sink drains and the like
WO2016126164A1 (en) Method and system for emptying a liquid containing tank
CN109869491A (zh) 潜水泵的进水阀
KR102051111B1 (ko) 카고탱크의 원유 언로딩장치
JP7482576B2 (ja) 推進ユニットの排水装置
CN217129827U (zh) 一种离心泵进浆机构
EP2115362B1 (en) Expansion tank provided with a float
KR102580515B1 (ko) 링 블로워에 의하여 취수 펌프의 초기 기동이 가능한 양식장용 해수 취수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