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80515B1 - 링 블로워에 의하여 취수 펌프의 초기 기동이 가능한 양식장용 해수 취수 시스템 - Google Patents

링 블로워에 의하여 취수 펌프의 초기 기동이 가능한 양식장용 해수 취수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80515B1
KR102580515B1 KR1020210113591A KR20210113591A KR102580515B1 KR 102580515 B1 KR102580515 B1 KR 102580515B1 KR 1020210113591 A KR1020210113591 A KR 1020210113591A KR 20210113591 A KR20210113591 A KR 20210113591A KR 102580515 B1 KR102580515 B1 KR 1025805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water
connection pipe
pipe
space
water intak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135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31402A (ko
Inventor
정기
윤미화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로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로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로텍
Priority to KR10202101135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80515B1/ko
Publication of KR202300314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314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805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80515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CARE OF BIRDS, FISHES, INSECTS;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3/00Receptacles for live fish, e.g. aquaria; Terraria
    • A01K63/04Arrangements for treating water specially adapted to receptacles for live fish
    • A01K63/047Liquid pumps for aquaria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1/00Radial-flow pumps, e.g. centrifugal pumps; Helico-centrifugal pu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13/00Pumping installations or systems
    • F04D13/02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 F04D13/06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the pump being electrically driven
    • F04D13/08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the pump being electrically driven for submerged us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5/00Pumping installations or systems
    • F04D25/02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 F04D25/08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the working fluid being air, e.g. for ventila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8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fisheries management
    • Y02A40/81Aquaculture, e.g. of fish

Abstract

본 발명은 매우 저렴한 가격으로 판매되며 양식장에서 매우 흔하게 사용되는 링 블로워를 사용하여 양식장용 취수 펌프의 초기 기동이 가능한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유입측에 해수를 취수하기 위한 해수 취수배관이 연결되며 토출측에 양식장으로 해수를 공급하기 위한 해수 공급배관이 연결되는 취수 펌프와, 상기 해수 공급배관에 마련되는 공급배관용 개폐 밸브와, 내부 상단부는 격판에 의하여 서로 독립되는 제1공간과 제2공간이 형성되며 내부 하단부는 상기 제1공간 및 상기 제2공간과 동시에 연통되는 제3공간이 형성되는 해수/공기 분리용 하우징과, 일단이 상기 공급배관용 개폐 밸브와 상기 취수 펌프 사이의 해수 공급배관에 연결되며 타단이 상기 제1공간에 연결되는 제1연결배관과, 일단이 상기 제2공간에 연결되는 제2연결배관과, 상기 제1연결배관에 마련되어 상기 제1공간으로의 유동만을 허용하는 제1연결배관용 체크밸브와, 상기 제2연결배관에 마련되어 상기 해수/공기 분리용 하우징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링 블로워와, 상기 제3공간의 해수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하여 일단이 상기 제3공간에 연결되는 제3연결배관과, 상기 제3연결배관에 마련되어 외부로의 유동만을 허용하는 제3연결배관용 체크밸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링 블로워에 의하여 취수 펌프의 초기 기동이 가능한 양식장용 해수 취수 시스템{SEAWATER INTAKE SYSTEM FOR AQUAFARM WITH INTAKE PUMP USING RING BLOWER FOR START-UP}
본 발명은 양식장용 해수 취수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해수 취수를 위한 취수 펌프가 링 블로워에 의하여 초기 기동이 가능한 양식장용 해수 취수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육상수조식 양식장은 육상에 어류를 사육할 수 있는 수조를 만들어 연안 해수를 취수하여 수조에 공급한 후, 취수한 유입수 전량을 연안으로 다시 방출하는 육상유수식 양식 형태이다.
이와 같은 육상수조식 양식장에 해수를 공급하기 위하여는, 유입측에 해수를 취수하기 위한 해수 취수배관이 연결되며 토출측에 양식장으로 해수를 공급하기 위한 해수 공급배관이 연결되는 취수 펌프가 필요하다.
한편 양식장용 취수 펌프는 상시 가동되는 것이 일반적이나, 정전 등 특별한 경우에는 취수 펌프가 정지하게 되며, 정지된 취수 펌프는 초기 기동이 필요하게 된다.
취수 펌프의 초기 기동시에는 취수 펌프에 해수가 존재하지 않는 상태이므로, 취수 펌프 내부를 진공으로 형성하여 대기압에 의하여 해수가 취수 펌프까지 유입되도록 한 후 취수 펌프를 기동시켜야 한다.
이와 같이 취수 펌프의 초기 기동을 위한 진공 형성 장치로서 수봉식 진공펌프가 일반적으로 사용되어 왔다.
그러나 수봉식 진공펌프는 매우 가격이 높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양식장용 취수 펌프는 상시 가동되는 것이 일반적이어서 취수 펌프의 초기 기동이 대부분 불필요하고 따라서 수봉식 진공펌프는 매우 드물게 사용된다.
그러나 일단 수봉식 진공펌프를 사용하면 해수가 수봉식 진공펌프를 통과하기 때문에 수봉식 진공펌프 내부에 염분이나 이물질이 누적될 위험이 있으며 이 상태로 수봉식 진공펌프를 장기간 방치할 경우 수봉식 진공펌프 내부의 각종 구성요소가 서로 고착되면서, 막상 사용하려고 하는 시점에는 정상적으로 작동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한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042676호 "무동력으로 초기 기동가능한 펌프 시스템"(2011. 6.13. 등록)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매우 저렴한 가격으로 판매되며 양식장에서 매우 흔하게 사용되는 링 블로워를 사용하여 양식장용 취수 펌프의 초기 기동이 가능한 시스템을 제안하고자 한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유입측에 해수를 취수하기 위한 해수 취수배관이 연결되며 토출측에 양식장으로 해수를 공급하기 위한 해수 공급배관이 연결되는 취수 펌프와, 상기 해수 공급배관에 마련되는 공급배관용 개폐 밸브와, 내부 상단부는 격판에 의하여 서로 독립되는 제1공간과 제2공간이 형성되며 내부 하단부는 상기 제1공간 및 상기 제2공간과 동시에 연통되는 제3공간이 형성되는 해수/공기 분리용 하우징과, 일단이 상기 공급배관용 개폐 밸브와 상기 취수 펌프 사이의 해수 공급배관에 연결되며 타단이 상기 제1공간에 연결되는 제1연결배관과, 일단이 상기 제2공간에 연결되는 제2연결배관과, 상기 제1연결배관에 마련되어 상기 제1공간으로의 유동만을 허용하는 제1연결배관용 체크밸브와, 상기 제2연결배관에 마련되어 상기 해수/공기 분리용 하우징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링 블로워와, 상기 제3공간의 해수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하여 일단이 상기 제3공간에 연결되는 제3연결배관과, 상기 제3연결배관에 마련되어 외부로의 유동만을 허용하는 제3연결배관용 체크밸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 있어서 : 상기 제1연결배관은 상기 해수 공급배관에 연결된 제1-1연결배관과 상기 제1공간에 연결된 제1-2연결배관으로 구분되며 ; 상기 제1-1연결배관과 상기 제1-2연결배관은 서로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며 ; 상기 제1-1연결배관에 제1연결배관용 개폐 밸브가 마련되며 ; 상기 제3연결배관은, 바퀴가 달린 이동용 프레임에 탑재되며 수평방향으로 배치되는 링 형태의 탑재용 배관과, 상기 탑재용 배관에 연결된 상단부로부터 하부로 연장되는 메인 배출관과, 하단부가 상기 탑재용 배관에 연결되며 상단부가 상기 해수/공기 분리용 하우징의 제3공간의 측면에 연결되는 복수의 보조 배출관과, 상기 보조 배출관마다 마련되는 상기 제3연결배관용 체크밸브를 포함하는 것 ; 이 바람직하다.
상기에 있어서, 상기 해수/공기 분리용 하우징 내부의 해수 수위를 감지하기 위한 수위센서가 마련되며, 상기 수위센서에서 감지된 해수의 수위에 따라 상기 링 블로워의 구동이 제어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은, 양식장에서 매우 흔하게 사용되는 링 블로워를 사용하여 양식장용 취수 펌프의 초기 기동이 가능한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취수 펌프의 초기 기동이 매우 드물다는 점에 착안하여, 하나의 취수 펌프 초기 기동 장치를 이동시키면서 복수의 취수 펌프를 초기 기동하기 위하여 사용할 수 있다.
즉 종래의 하나의 취수 펌프에 하나의 고가의 수봉식 진공펌프가 필요한 종래의 기술에서 탈피하여, 비교적 저렴한 취수 펌프 초기 기동 장치로 매우 많은 취수 펌프의 초기 기동을 위하여 사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링 블로워에 의하여 취수 펌프의 초기 기동이 가능한 양식장용 해수 취수 시스템의 개념도,
도 2는 도 1의 주요부를 분리한 상태의 개념도,
도 3은 도 2의 취수 펌프 초기 기동 장치의 주요부의 개념 평면도,
도 4는 도 2의 취수 펌프 초기 기동 장치의 주요부의 개념 단면도,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의한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8은 체크밸브의 예시 단면도,
도 9는 링 블로워의 예시 사시도.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부여하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링 블로워에 의하여 취수 펌프의 초기 기동이 가능한 양식장용 해수 취수 시스템의 개념도이며, 도 2는 도 1의 주요부의 확대 및 분리 개념도이며, 도 3은 도 2의 주요부의 개념 평면도이며, 도 4는 도 2의 취수 펌프 초기 기동 장치의 주요부의 개념 단면도이며,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의한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8은 체크밸브의 예시 단면도이며, 도 9는 링 블로워의 예시 사시도이다.
본 시스템은 양식장용 취수 장치와 취수 펌프 초기 기동 장치(200)로 이루어진다.
양식장용 취수 장치는 해수 취수배관(110)과, 취수 펌프(120)와, 해수 공급배관(130)을 포함한다.
해수 취수배관(110)은 해수를 취수하기 위한 것으로, 일단부가 연안의 해수면 아래에 위치한다.
해수 취수배관(110)의 타단부는 취수 펌프(120)의 유입측에 연결된다.
통상 취수 펌프(120)는 별도의 펌프실 내부에 마련된다.
취수 펌프(120)의 토출측에는 양식장으로 해수를 공급하기 위한 해수 공급배관(130)이 연결된다.
취수 펌프(120)의 토출측에 연결되는 해수 공급배관(130)은 취수 펌프(120)의 상부로 연장된다.
해수 공급배관(130)에는 공급배관용 개폐 밸브(131)가 마련된다.
공급배관용 개폐 밸브(131)는, 버터플라이 밸브가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공급배관용 개폐 밸브(131)는 통상적으로 열린 상태이며, 취수 펌프(120)의 초기 기동시에는 닫힌 상태로 유지된다.
취수 펌프(120)의 초기 기동을 위하여 취수 펌프(120)를 진공으로 형성하기 위한 취수 펌프 초기 기동 장치(200)를 설명한다.
취수 펌프 초기 기동 장치(200)는, 이동용 프레임(210)과, 해수/공기 분리용 하우징(220)과, 링 블로워(241) 등으로 이루어진다.
이동용 프레임(210)은 하부에 바퀴(211)가 달려 자유롭게 이동이 가능하다.
이동용 프레임(210)에 제3연결배관(250)을 매개하여 해수/공기 분리용 하우징(220)이 탑재된다.
해수/공기 분리용 하우징(220)의 내부는 3개의 공간으로 구분된다.
해수/공기 분리용 하우징(220)의 내부 상단부는 격판(224)에 의하여 서로 독립된 제1공간(221)과 제2공간(222)으로 구분되며, 해수/공기 분리용 하우징(220)의 내부 하단부에는 제1공간(221) 및 제2공간(222)과 동시에 연통되는 제3공간(223)이 형성된다.
격판(224)은 해수/공기 분리용 하우징(220)의 내부 상단부에 배치되어 제1공간(221)과 제2공간(222)를 명확히 분리시킨다.
이와 같은 제1공간(221)은 제1연결배관(230)에 의하여 해수 공급배관(130)에 연결된다.
즉 제1연결배관(230)의 일단은, 해수 공급배관(130), 특히 공급배관용 개폐 밸브(131)와 취수 펌프(120) 사이의 해수 공급배관(130)에 연결되며, 제1연결배관(230)의 타단은 제1공간(221)에 연결된다.
한편 제1연결배관(230)은 제1-1연결배관(231)과 제1-2연결배관(232)으로 구분된다.
제1-1연결배관(231)은 해수 공급배관(130)에 연결된 부위이며, 제1-2연결배관(232)은 제1공간(221)에 연결된 부위이다.
또한 제1-1연결배관(231)과 제1-2연결배관(232)은 서로 탈착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를 위하여 제1-1연결배관(231)의 단부에는 제1커플링(231b)가 마련되며, 제1-2연결배관(232)의 단부에는 제2커플링(232b)가 마련된다.
즉 도 1과 같이 제1커플링(231b)과 제2커플링(232b)이 서로 결합되면 제1-1연결배관(231)과 제1-2연결배관(232)이 서로 연결되어 제1연결배관(230)을 완성시키는 반면, 도 2와 같이 제1커플링(231b)과 제2커플링(232b)이 서로 분리되면 취수 펌프 초기 기동 장치(200)는 다른 위치로 이동 가능한 상태가 된다.
제-1연결배관(231)에는 제1연결배관용 개폐 밸브(231a)가 마련된다.
제1연결배관용 개폐 밸브(231a)는 통상적으로 닫힌 상태이며, 취수 펌프(120)의 초기 기동시에는 열린 상태로 유지된다.
제1-2연결배관(232)에는 제1공간(221)으로의 유동만을 허용하는 제1연결배관용 체크밸브(232a)가 마련된다.
상기 및 이하에서 체크밸브(check valve)란 유체를 한쪽 방향으로만 흐르게 하고 반대방향으로는 흐르지 못하도록 하는 밸브를 말하며, 도 8은 스윙형 체크밸브의 단면도로서 체크밸브의 하나의 예시이며, 본 발명에는 다양한 형식의 체크밸브가 이용될 수 있다.
아울러 제1-2연결배관(232)의 일부는 다양한 위치에서 제1-1연결배관(231)과 결합되기 위하여 유연한(플렉서블) 형태의 배관 구조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공간(222)에는 제2연결배관(240)의 일단이 연결된다.
제2연결배관(240)의 타단에는 링 블로워(241, RING BLOWER)가 마련된다.
링 블로워(241)는, 해수/공기 분리용 하우징(220)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링 블로워(Ring Blower)는 모터에 체결되는 정교하게 가공된 링(Ring)식 임펠러(IMPELLER)와 케이싱(CASING)으로 구성된 간단한 구조이면서 높은 토출압과 흡입력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는 송풍기의 일종이다.
이러한 링 블로워는 임펠러가 회전하면 흡입구 공기는 임펠러의 원심력으로 압력이 상승하면서 토출구로 고압의 공기가 흐르고, 이 공기는 케이싱에 눌려 임펠러 날개와 날개 사이에서 와류 운동이 발생하여 토출구까지 반복하므로 강한 흡입과 토출을 병행할 수 있고 터보(TURBO) 블로워보다 7 ~ 8 배의 고압을 얻을 수 있는 효율이 높은 송풍기이다.
또한, 링 블로워는 오일의 사용이 없어 공기가 깨끗하고, 공기 흐름이 맥동없이 연속적이며, 설치에 있어 방향의 제약을 받지 않고, 유지 보수가 적게 드는 이점이 있어 방적기계 등의 섬유기계산업과, 프레스 등의 공작기계산업, 포장기, 의료기계산업, 탈수기 등의 세탁기계 및 각종 공해장소 환기 및 배출장치 설치용 등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특히 양식장의 경우 수조에 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목적으로 링 블로워를 매우 많이 사용하고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양식장에서 매우 흔하게 사용되는 링 블로워를, 본래의 목적인 공기 공급이 아니라, 본 발명에서 공기를 배출하는 목적으로 사용한다.
도 9는 링 블로워의 예시 사진(일부 절개 상태)이다.
제3공간(223)에는 제3공간(223)의 해수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하여 상단이 제3공간(223)에 연결되는 제3연결배관(250)이 마련된다.
아울러 본 실시례의 제3연결배관(250)은, 이동용 프레임(210)의 상부에 탑재되며 수평방향으로 배치되는 링 형태의 탑재용 배관(251)과, 탑재용 배관(251)에 연결된 상단부로부터 하부로 연장되는 메인 배출관(252)과, 하단부가 탑재용 배관(251)에 연결되며 상단부가 해수/공기 분리용 하우징(220)의 제3공간(223)의 측면에 연결되는 3개의 보조 배출관(253)을 포함한다.
또한 각각의 보조 배출관(253)에 외부로의 유동만을 허용하는 제3연결배관용 체크밸브(253a)가 마련된다.
즉 본 실시례는 이동용 프레임(210)에 제3연결배관(250)이 탑재되며, 제3연결배관(250)의 3개의 보조 배출관(253)에 해수/공기 분리용 하우징(220)이 결합된다.
아울러 해수/공기 분리용 하우징(220)의 하부에는 잔여 해수 배출관(260)이 결합되며, 잔여 해수 배출관(260)에는 제4연결배관용 개폐 밸브(261)가 마련된다.
상기와 같은 본 실시례의 작동을 설명한다.
취수 펌프(120)는 정지된 상태이며, 공급배관용 개폐 밸브(131)는 닫힌 상태이며, 제1연결배관용 개폐 밸브(231a)는 열린 상태이다.
취수 펌프 초기 기동 장치(200)를 취수 펌프(120) 근처로 이동시킨다.
다음으로 제1커플링(231b)와 제2커플링(232b)를 서로 결합시켜, 제1-1연결배관(231)과 제1-2연결배관(232)을 서로 연결시킨다.
이 상태에서 링 블로워(241)를 가동시킨다.
이에 의하여 링 블로워(241)에 연결된 구성들, 즉 제2연결배관(240), 해수/공기 분리용 하우징(220), 제1연결배관(230), 해수 공급배관(130), 취수 펌프(120), 해수 취수배관(110) 등의 공기가 링 블로워(241)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면서 진공이 형성되어 해수가 해수 취수배관(110), 취수 펌프(120), 해수 공급배관(130)으로 유입된다.
이때의 상태를 도 5 및 도 6으로 도시하였다.
도 5에서는 제1연결배관(230), 해수 공급배관(130), 취수 펌프(120), 해수 취수배관(110) 등의 공기가 해수/공기 분리용 하우징(220)으로 유입된 후 제2연결배관(240)을 통하여 링 블로워(241)로 배출되는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6에서는 해수 취수배관(110), 취수 펌프(120), 해수 공급배관(130) 등으로 유입된 해수가 제1연결배관(230)을 통하여 해수/공기 분리용 하우징(220)으로 유입되며, 공기는 제2연결배관(240)을 통하여 링 블로워(241)로 배출되는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6의 상태가 지속되면 도 7과 같이 해수/공기 분리용 하우징(220)의 내부에서 해수의 수위가 상승하여 격판(224)에 도달하면 링 블로워(241)가 공회전되면서 제1연결배관(230)으로는 해수가 유입되지 못하고, 제3연결배관(253), 구체적으로는 보조 배출관(253)을 통하여 해수가 외부로 배출된다.
즉 해수가 제3연결배관용 체크밸브(253a)이 마련된 보조 배출관(253), 탑재용 배관(251)을 경유하여 메인 배출관(252)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된다.
이때 보조 배출관(253) 및 제3연결배관용 체크밸브(253a)는 소구경으로 복수로 마련되어 소량의 해수에 제3연결배관용 체크밸브(253a)가 민감하게 반응하도록 하고, 3개의 보조 배출관(253)을 통하여 배출되는 해수가 비교적 대구경의 탑재용 배관(251)에 메인 배출관(252)을 통하여 배출되도록 한다.
도 7의 상태가 지속된 후, 해수/공기 분리용 하우징(220)의 내부에서 해수의 수위가 하강하여 격판(224) 아래로 내려가면, 도 6의 상태가 지속된다.
즉 도 6 및 도 7의 상태가 반복되면서 해수/공기 분리용 하우징(220)을 통하여 해수가 외부로 배출되며, 이 반복 과정에서 해수 공급배관(130), 취수 펌프(120), 해수 취수배관(110)에 해수가 유입되면, 공급배관용 개폐 밸브(131)를 열고 취수 펌프(120)를 기동시키면 된다.
취수 펌프(120)가 기동된 후 제1연결배관용 개폐 밸브(231a)를 닫고, 취수 펌프 초기 기동 장치(200)를 분리시킨다.
이와 같이 분리된 취수 펌프 초기 기동 장치(200)는 다른 취수 펌프의 초기 기동을 위하여 이동 및 사용되거나, 혹은 사용할 필요가 있을 때까지 별도의 장소에 보관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취수 펌프 초기 기동 장치(200)는 어느 하나의 취수 펌프(120)에 고정되어 사용되는 것이 아니라, 초기 기동이 필요한 취수 펌프(120)로 이동하여 해당 취수 펌프(120)를 기동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
한편 실시례에 따라서는 해수/공기 분리용 하우징(220) 내부에 수위센서를 마련하고, 해수/공기 분리용 하우징(220)의 해수 수위에 따라 링 블로워(241)의 구동을 제어하도록 할 수도 있다.
즉 수위센서가 해수/공기 분리용 하우징(220) 내부의 해수 수위가 격판(224)보다 아래인 것으로 감지하면 링 블로워(241)가 구동하도록 하고, 수위센서가 해수/공기 분리용 하우징(220) 내부의 해수 수위가 격판(224)보다 위로 상승하였다는 것을 감지하면 링 블로워(241)의 구동을 중지하도록 링 블로워(241)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다. 이에 의하여 링 블로워(241)의 공회전을 확실히 방지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일 뿐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10 : 해수 취수배관
120 : 취수 펌프
130 : 해수 공급배관
131 : 공급배관용 개폐 밸브
200 : 취수 펌프 초기 기동 장치
210 : 이동용 프레임 211 : 바퀴
220 : 해수/공기 분리용 하우징 221 : 제1공간
222 : 제2공간 223 : 제3공간
224 : 격판
230 : 제1연결배관 231 : 제1-1연결배관
231a : 제1연결배관용 개폐 밸브 231b : 제1커플링
232 : 제1-2연결배관 232a : 제1연결배관용 체크밸브
232b : 제2커플링
240 : 제2연결배관 241 : 링 블로워
250 : 제3연결배관 251 : 탑재용 배관
252 : 메인 배출관 253 : 보조 배출관
253a : 제3연결배관용 체크밸브
260 : 잔여 해수 배출관 261 : 제4연결배관용 개폐 밸브

Claims (3)

  1. 유입측에 해수를 취수하기 위한 해수 취수배관이 연결되며 토출측에 양식장으로 해수를 공급하기 위한 해수 공급배관이 연결되는 취수 펌프와,
    상기 해수 공급배관에 마련되는 공급배관용 개폐 밸브와,
    내부 상단부는 격판에 의하여 서로 독립되는 제1공간과 제2공간이 형성되며 내부 하단부는 상기 제1공간 및 상기 제2공간과 동시에 연통되는 제3공간이 형성되는 해수/공기 분리용 하우징과,
    일단이 상기 공급배관용 개폐 밸브와 상기 취수 펌프 사이의 해수 공급배관에 연결되며 타단이 상기 제1공간에 연결되는 제1연결배관과,
    일단이 상기 제2공간에 연결되는 제2연결배관과,
    상기 제1연결배관에 마련되어 상기 제1공간으로의 유동만을 허용하는 제1연결배관용 체크밸브와,
    상기 제2연결배관에 마련되어 상기 해수/공기 분리용 하우징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링 블로워와,
    상기 제3공간의 해수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하여 일단이 상기 제3공간에 연결되는 제3연결배관과,
    상기 제3연결배관에 마련되어 외부로의 유동만을 허용하는 제3연결배관용 체크밸브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링 블로워에 의하여 취수 펌프의 초기 기동이 가능한 양식장용 해수 취수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
    상기 제1연결배관은 상기 해수 공급배관에 연결된 제1-1연결배관과 상기 제1공간에 연결된 제1-2연결배관으로 구분되며 ;
    상기 제1-1연결배관과 상기 제1-2연결배관은 서로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며 ;
    상기 제1-1연결배관에 제1연결배관용 개폐 밸브가 마련되며 ;
    상기 제3연결배관은, 바퀴가 달린 이동용 프레임에 탑재되며 수평방향으로 배치되는 링 형태의 탑재용 배관과, 상기 탑재용 배관에 연결된 상단부로부터 하부로 연장되는 메인 배출관과, 하단부가 상기 탑재용 배관에 연결되며 상단부가 상기 해수/공기 분리용 하우징의 제3공간의 측면에 연결되는 복수의 보조 배출관과, 상기 보조 배출관마다 마련되는 상기 제3연결배관용 체크밸브를 포함하는 것 ;
    을 특징으로 하는 링 블로워에 의하여 취수 펌프의 초기 기동이 가능한 양식장용 해수 취수 시스템.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해수/공기 분리용 하우징 내부의 해수 수위를 감지하기 위한 수위센서가 마련되며, 상기 수위센서에서 감지된 해수의 수위에 따라 상기 링 블로워의 구동이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링 블로워에 의하여 취수 펌프의 초기 기동이 가능한 양식장용 해수 취수 시스템.
KR1020210113591A 2021-08-27 2021-08-27 링 블로워에 의하여 취수 펌프의 초기 기동이 가능한 양식장용 해수 취수 시스템 KR1025805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3591A KR102580515B1 (ko) 2021-08-27 2021-08-27 링 블로워에 의하여 취수 펌프의 초기 기동이 가능한 양식장용 해수 취수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3591A KR102580515B1 (ko) 2021-08-27 2021-08-27 링 블로워에 의하여 취수 펌프의 초기 기동이 가능한 양식장용 해수 취수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31402A KR20230031402A (ko) 2023-03-07
KR102580515B1 true KR102580515B1 (ko) 2023-09-20

Family

ID=855128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13591A KR102580515B1 (ko) 2021-08-27 2021-08-27 링 블로워에 의하여 취수 펌프의 초기 기동이 가능한 양식장용 해수 취수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80515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70447A (ja) 2003-03-04 2004-09-30 Ebara Corp 海水取水・給水ポンプ装置
JP2008128000A (ja) 2006-11-16 2008-06-05 Ebara Yoshikura Hydro-Tech Co Ltd ポンプ装置
JP2014187985A (ja) 2013-03-28 2014-10-06 Kubota-C. I Co Ltd 地下灌漑システム
JP2018066278A (ja) 2016-10-17 2018-04-26 株式会社荏原製作所 給水装置および給水装置の運転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2676B1 (ko) 2007-12-28 2011-06-20 서울특별시 무동력으로 초기 기동가능한 펌프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70447A (ja) 2003-03-04 2004-09-30 Ebara Corp 海水取水・給水ポンプ装置
JP2008128000A (ja) 2006-11-16 2008-06-05 Ebara Yoshikura Hydro-Tech Co Ltd ポンプ装置
JP2014187985A (ja) 2013-03-28 2014-10-06 Kubota-C. I Co Ltd 地下灌漑システム
JP2018066278A (ja) 2016-10-17 2018-04-26 株式会社荏原製作所 給水装置および給水装置の運転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31402A (ko) 2023-03-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409478B1 (en) Vacuum-assisted pump
CA2514706C (en) Pumping system
CN104989654A (zh) 无油旋片真空式自吸离心泵及其使用方法
KR102580515B1 (ko) 링 블로워에 의하여 취수 펌프의 초기 기동이 가능한 양식장용 해수 취수 시스템
JP3713621B2 (ja) 横軸ポンプ
CN208619365U (zh) 射流引水辅助自吸泵
CN208057402U (zh) 环保污油水回收装置
JP2015031273A (ja) ポンプ装置
CN108626115A (zh) 环保污油水回收装置
CN205627307U (zh) 一种供水泵用的过滤水箱
EP2310685B1 (en) Priming device for electric pumps
US2757616A (en) Priming valve for a centrifugal pump
KR200445591Y1 (ko) 수분 분리구조를 갖는 진공 자흡식 원심펌프
CN214994559U (zh) 一种吸污车防溢装置
CN113207797A (zh) 一种水族箱用过滤泵系统
CN201041161Y (zh) 自控自吸式无堵塞排污泵
CN205669492U (zh) 带助吸机构的真空自吸泵
CN103912505A (zh) 一种改进型强自吸双吸式自吸泵
US20050191185A1 (en) System and method for removing gases from liquid transport systems
CN212508955U (zh) 一种核电站汽动给水泵油箱排烟结构
CN209781226U (zh) 一种高效的立式管道自吸泵
JP4468009B2 (ja) 立軸ポンプシステム及びポンプ機場
JP6042179B2 (ja) 真空ポンプユニット、及び真空ステーション
CN101922454A (zh) 全自动强自吸离心泵
CN217518859U (zh) 一种用于矿山井下排水的无人值守单吸式离心水泵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