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41160B1 - 리프팅 유닛, 이러한 리프팅 유닛을 포함하는 승하강 지브 크레인, 및 이러한 크레인을 조립하기 위한 방법 - Google Patents

리프팅 유닛, 이러한 리프팅 유닛을 포함하는 승하강 지브 크레인, 및 이러한 크레인을 조립하기 위한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41160B1
KR102641160B1 KR1020187017832A KR20187017832A KR102641160B1 KR 102641160 B1 KR102641160 B1 KR 102641160B1 KR 1020187017832 A KR1020187017832 A KR 1020187017832A KR 20187017832 A KR20187017832 A KR 20187017832A KR 102641160 B1 KR102641160 B1 KR 1026411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jib
lifting unit
cylinder
foot
lif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178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97584A (ko
Inventor
미첼 리상드레
실벵 레이몽
가브리엘 프레세
미카엘 몰렌티엘
로베라 타니아 가르시아
플로랑 물랑
Original Assignee
매니토웍 크레인 그룹 프랑스 에스에이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매니토웍 크레인 그룹 프랑스 에스에이에스 filed Critical 매니토웍 크레인 그룹 프랑스 에스에이에스
Publication of KR201800975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975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411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41160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3/00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 B66C23/18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particular purposes
    • B66C23/26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particular purposes for use on building sites; constructed, e.g. with separable parts, to facilitate rapid assembly or dismantling, for operation at successively higher levels, for transport by road or rail
    • B66C23/34Self-erecting cranes, i.e. with hoisting gear adapted for crane erection purposes
    • B66C23/344Self-erecting cranes, i.e. with hoisting gear adapted for crane erection purposes adapted for transport purpo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3/00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 B66C23/18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particular purposes
    • B66C23/36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particular purposes mounted on road or rail vehicles; Manually-movable jib-cranes for use in workshops; Floating cranes
    • B66C23/365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particular purposes mounted on road or rail vehicles; Manually-movable jib-cranes for use in workshops; Floating cranes dismantable into smaller units for transport purpo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3/00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 B66C23/54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with pneumatic or hydraulic motors, e.g. for actuating jib-cranes on trac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3/00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 B66C23/62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3/00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 B66C23/62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C23/82Luffing gea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700/00Cranes
    • B66C2700/03Cranes with arms or jibs; Multiple cranes
    • B66C2700/0392Movement of the crane arm; Coupling of the crane arm with the counterweights; Safety devices for the movement of the ar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Jib Cranes (AREA)

Abstract

리프팅 유닛(1)이 제안되며, 이 리프팅 유닛은, 사용 상태에서 지브(jib)의 근위 부분을 형성하는 지브 발부(2), 균형잡기 밸러스트(5)를 지지하는 카운터 지브(4), 리프팅 유닛(1)을 마스트(104)에 고정시키기 위해 지브 발부(2)와 카운터 지브(4) 사이에 있는 고정부(6), 및 지브 발부(2)가 하강 위치와 상승 위치 사이에서 움직일 수 있도록 지브 발부(2)에 연결되는 실린더(8)를 포함한다. 제 2 실린더 부분(8.2)이 고정부(6)에 연결된다. 이러한 리프팅 유닛(1)을 포함하는 타워 크레인(100)이 또한 제안된다. 이러한 크레인(100)을 조립하기 위한 방법(200)이 추가로 제안된다.

Description

리프팅 유닛, 이러한 리프팅 유닛을 포함하는 승하강 지브 크레인, 및 이러한 크레인을 조립하기 위한 방법
본 발명은 승하강 지브(jib) 크레인을 구성하는 리프팅 유닛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이러한 리프팅 유닛을 포함하는 승하강 지브 크레인에 관한 것이다. 더욱이, 본 발명은 이러한 승하강 지브 크레인을 조립하기 위한 조립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승하강 지브를 포함하는 타워 크레인 분야에 적용된다. 본 발명은 여러 개의 크레인 구조물, 예컨대, 격자와 코드로 구성된 구조물에 적용될 수 있다.
GB1374253A에는, 마스트, 승하강 지브, 리프팅 유닛 및 리프팅 유닛을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 장치를 포함하는 타워 크레인이 기재되어 있다. GB1374253A의 리프팅 유닛은 승하강 지브의 근위 부분, 균형잡기 밸러스트를 지지하는 카운터 지브, 지브와 카운터 지브 사이에 배치되는 고정부, 및 실질적으로 수직인 실린더를 포함하며, 이 실린더는 한편으로 지브에 연결되고 다른 한편으로는 마스트에 연결된다.
그러나, GB1374253A의 리프팅 유닛은 부피가 크고, 그래서, 크레인을 운반하기 전에 지브와 마스터로부터 실린더를 분리시킬 필요가 있다. 그러나, 분해된 상태에서, 지브, 실린더 및 마스트 사이의 연결 부재는 충격과 오염에 노출되며, 이 때문에, 크레인의 다수회 분해로 인해 사용 수명이 줄어들게 된다. 또한, 크레인의 조립 또는 분해 작업은 상당히 오래 걸린다. 더욱이, 개별적으로 관리하고 보관할 부품의 수가 비교적 많다.
본 발명은 특히 위에서 언급된 문제를 전체적으로 또는 부분적으로 해결하고자 한다.
이러한 목적으로, 본 발명은 예컨대 승하강 지브 크레인을 구성하는 리프팅 유닛에 관한 것으로, 이 리프팅 유닛은 적어도,
- 상기 리프팅 유닛이 사용 상태에 있을 때, 상기 승하강 지브 크레인에 속하는 지브의 근위 부분을 형성하도록 되어 있는 지브 발부,
- 상기 지브의 균형을 잡도록 되어 있는 밸러스트를 지지하도록 구성된 카운터 지브,
- 상기 지브 발부와 카운터 지브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리프팅 유닛을 상기 승하강 지브 크레인의 마스트에 고정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는 고정 부분을 포함하는 고정부, 및
- 제 1 실린더 부분 및 제 2 실린더 부분을 포함하는 실린더를 포함하고,
제 1 실린더 부분은, 지브 발부가 적어도 하강 위치와 상승 위치 사이에서 움직일 수 있도록 지브 발브에 기계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리프팅 유닛은 적어도,
- 상기 실린더가 상기 지브 발부를 상기 하강 위치와 상승 위치 사이에서 변위시킬 수 있는 사용 상태, 및
- 상기 지브 발부가 하강 위치에 있는 운반 상태에 있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리프팅 유닛은, 제 2 실린더 부분이 고정부에 기계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시 말해, 실린더는 지브 발부와 카운터 지브 사이에서 연장되어 있다. 지브 발부가 하강 위치에 있을 때, 실린더는 후퇴 위치에 있다. 종래 기술의 크레인과는 달리, 제 2 실린더 부분은 크레인의 마스터에 기계적으로 연결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그러한 리프팅 유닛은 비교적 작은 공간 요건을 갖는데, 왜냐하면, 실린더는 한편으로 지브 발부에 기계적으로 연결되고 또한 다른 한편으로는 고정부에 기계적으로 연결되기 때문이다. 비교적 작은 공간 요건으로, 리프팅 유닛은 운반되어 크레인에 조립될 수 있고, 그런 다음, 단일 블럭으로서, 즉 그의 모든 부품(지브 발부, 카운터 지브, 고정부, 실린더)이 기계적으로 함께 연결된 상태를 유지하여 크레인으로부터 분해될 수 있다.
따라서, 지브 발부, 고정부, 카운터 지브, 및 실린더의 연결 부재는, 특히 리프팅 유닛의 초기 공장 조립, 운반, 보관, 장착, 분리, 교정 또는 예방 유지 보수 동안에 기계적으로 영구적으로 연결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이들 영구적인 연결로 인해, 연결 부재, 특히 지브 발부의 볼 및 실린더의 조인트를 충격 또는 오염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고 그래서 연결 부재의 사용 수명을 최대화할 수 있다. 사실, 지브 발부의 볼 및 실린더의 조인트는 항상 리프팅 유닛의 구조물에 기계적으로 연결된 상태로 유지된다. 그러나, 종래 기술의 크레인에서는, 비교적 부서지기 쉬운 연결 부재는 다수회의 조립 및 분해 중에 손상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리프팅 유닛에 의해, 승하강 지브 크레인의 조립 또는 분해 작업의 시간을 줄일 수 있다. 더욱이, 이러한 리프팅 유닛은 이들 조립 또는 분해 작업을 책임지고 있는 작업자의 안전을 개선한다. 또한, 이러한 리프팅 유닛에서는, 리프팅 유닛의 모든 부품이 서로에 고정되어 유지되기 때문에, 개별적으로 관리되고 보관될 부품의 수가 줄어든다.
지브 발부는 지브의 기부, 즉 지브의 근위 부분에 대응한다. 지브 발부는 일반적으로 피봇 축을 포함하고, 리프팅 유닛이 사용 중일 때 실린더는 그 피봇 축 주위로 지브를 상승 또는 하강시킨다. 리프팅 유닛이 사용 중일 때, 지브 발부는 하강 위치와 상승 위치 사이에서 움직일 수 있다.
본 출원에서, "근위" 및 "원위" 라는 용어는, 어떤 부재를 카운터 지브에 대해 가까운 또는 먼 위치에 따라 특성화한다. 따라서, 근위 부재는 카운터 지브에 상대적으로 가깝고, 반면 원위 부재는 카운터 지브로부터 상대적으로 멀리 있다.
일 변형예에 따르면, 고정부는 펀치를 포함한다.
일 변형예에 따르면, 고정 부분은 승하강 지브 크레인의 마스트의 장상부에 끼워 넣어져 고정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일 변형예에 따르면, 고정부는 수직 축선을 포함하는 수직 면에서 대체로 삼각형인 단면을 가지며, 승하강 지브 크레인이 사용 중일 때 지브는 그 수직 축선 주위로 회전한다. 고정부는 예컨대 삼각형 밑면을 갖는 프리즘 형상 또는 삼각형 밑면을 갖는 사면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일 변형예에 따르면, 리프팅 유닛은 지브에 매달려 있는 하중체를 상승시키기 위한 호이스팅 윈치를 더 포함한다.
일 변형예에 따르면, 고정부는 지브 발부를 카운터 지브에 직접 연결한다. 대안적으로, 고정부는 지브 발부를 카운터 지브에 간접적으로, 즉 지브 발부와 카운터 지브 사이에 있는 적어도 하나의 중간 요소를 통해 연결할 수 있다.
정의에 따라, 카운터 지브는 고정 부분에 대해 지브 발부의 반대편에 배치된다. 리프팅 유닛이 사용 상태에서 승하강 지브 크레인에 조립될 때 카운터 지브는 마스트에 대해 지브 발부의 반대편에 배치된다. 따라서, 카운터 지브는 카운터웨이트의 기능을 수행하여, 지브의 무효 중량과 그 지부에 매달려 있는 하중체의 중량을 보상하게 된다.
일 실시 형태에 따르면, 고정부는 상기 지브 발부를 상기 카운터 지브에 기계적으로 연결하도록 구성된 연결 부분을 더 포함한다.
따라서, 그러한 연결 부분은 리프팅 유닛의 여러 부품의 기계적 결합을 보장해 준다.
일 실시 형태에 따르면, 제 1 실린더 부분 및 제 2 실린더 부분 각각에는 볼 조인트가 구비되어 있고, 제 1 실린더 부분과 제 2 실린더 부분은 사용 상태에서 뿐만 아니라 운반 상태에서도 지브 발부 및 고정부에 각각 기계적으로 연결된다.
다시 말해, 실린더는 승하강 지브 크레인의 각 장착 및 분리시에 지브 발부에 고정된 상태로 유지된다. 그러므로, 지브 발부로부터 실린더를 분리시킬 필요가 없다.
따라서, 리프팅 유닛은, 운반하고 크레인에 조립하고 또한 크레인으로부터 분해하기가 용이한 단일 블럭을 형성한다. 또한, 이 단일 블럭은 실린더를 보호한다.
일 실시 형태에 따르면, 실린더는 일반적으로 상기 지브 발부의 원위 영역과 상기 고정부 사이에 위치된다.
따라서, 이러한 실린더는 지브 발부와 카운터 지브에 의해 한정되는 용적을 초과하지 않거나 거의 초과하지 않는다. 리프팅 유닛은 작은 공간 요건을 가지며, 그래서 이러한 공간 요건은 운반과 취급을 용이하게 해준다.
일 변형예에 따르면, 실린더는 한편으로 지브 발부에 의해 또한 다른 한편으로는 카운터 지브에 의해 한정되는 용적에 완전히 위치된다.
일 실시 형태에 따르면, 실린더는 선형 실린더이고, 이 선형 실린더는, 상기 지브 발브가 하강 위치에 있는 후퇴 위치로부터, 지브 발부가 상승 위치에 있는 전개 위치로 움직이도록 구성되어 있고, 상기 리프팅 유닛이 운반 상태에 있을 때, 후퇴 위치에 있는 실린더는, 수평 방향과 -30도 내지 +30도의 각도를 형성하는 실린더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따라서, 리프팅 유닛은 바닥 벽이 수평인 종래의 컨테이너(40 피트)에 보관되고 운반될 수 있다.
일 변형예에서, 실린더가 후퇴 위치에 있을 때, 실린더 방향은 수평 방향에 실질적으로 평행하다.
일 변형예에서, 제 1 실린더 부분은 실린더의 원위 단부에 위치되고, 제 2 실린더 부분은 실린더의 근위 단부에 위치된다. 예컨대, 제 1 실린더 부분은 실린더의 원위 단부에 위치될 수 있고 제 2 실린더 부분은 실린더의 근위 단부에 위치될 수 있다.
일 실시 형태에 따르면, 리프팅 유닛이 운반 상태에 있을 때, 상기 실린더는 후퇴 위치에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리프팅 유닛은 운반 상태에서 특히 컴팩트하다. 또한, 실린더 로드는 이 운반 상태에서 보호된다.
일 변형예에 따르면, 리프팅 유닛이 취급, 보관, 장착, 분리 및 유지 보수 단계에 있을 때에도 실린더는 후퇴 위치에 있다. 따라서, 실린더, 특히 그의 로드는 실린더의 모든 취급 동안에 공격, 충격, 부식 및 외부 오염으로부터 보호될 수 있다.
일 실시 형태에 따르면, 상기 지브 발부는 상측 부분과 하측 부분을 포함하고, 지브 발부가 하강 위치에 있으면서 리프팅 유닛이 사용 상태에 있을 때 상기 상측 부분은 하측 부분의 위쪽에 위치되며,
상기 리프팅 유닛은 피봇 축을 더 포함하고, 이 피봇 축은, 지브 발부 하강위치에서 있으면서 리프팅 유닛이 사용 상태에 있을 때 상기 피봇 축이 하측 부분 보다 높게 위치되도록 상기 지브 발부와 카운터 지브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상측 부분은 상기 피봇 축에 부착되고, 상기 하측 부분은 상기 제 1 실린더 부분에 부착되며, 따라서, 상기 지브 발부가 하강되어 있으면서 리프팅 유닛이 사용 상태에 있을 때, 상기 실린더는 실질적으로 지브의 하측 코드의 연장으로 연장되어 있는 축선을 따라 지브를 밀 수 있다.
따라서, 피봇 축(실린더가 이 피봇 축 주위로 지브를 상승 또는 하강시킴)의 그러한 위치에 의해, 실린더를 이식하고 강성적인 어셈블리를 형성할 수 있게 해주는 공간이 얻어진다. 추가로, 피봇 축의 그러한 위치에 의해, 실린더를 수용하기에 충분한 공간이 얻어지고, 따라서, 실린더가 후퇴 위치에 있을 때 쉽게 운반 가능한 세계적인 공간 요건을 허가하면서 실린더가 비교적 큰 힘으로 지브를 밀 수 있다.
일 변형예에 따르면, 지브 발부가 하강되어 있으면서 리프팅 유닛이 사용 상태에 있을 때 피봇 축은 실질적으로 상측 부분의 높이에 위치된다. 따라서, 이리하여, 리프팅 유닛이 (컴팩트한) 운반 상애테 있을 때 실린더의 유체 및/또는 전기적 연결부가 후퇴 위치에 유지될 수 있다. 반대로, 종래 기술에서, 실린더는 일반적으로 승하강 지브 크레인의 수직 마스트에 지탱되는데, 이는 승하강 지브 크레인의 부품을 운반하기 전에 실린더를 분리해야 함을 의미한다.
일 실시 형태에 따르면, 피봇 축은 사용 상태에서 뿐만 아니라 운반 상태에서도 상기 고정부에 기계적으로 연결된다.
일 변형예에 따르면, 피봇 축에는 볼 조인트가 제공된다.
일 실시 형태에 따르면, 리프팅 유닛은 지브 발부를 상승시키도록 상기 실린더에 동력을 공급하도록 구성된 공급 장치를 더 포함하고, 이 공급 장치는, 상기 리프팅 유닛이 운반 상태에 있을 때 공급 장치가 상기 카운터 지브와 함께 운반될 수 있도록, 상기 카운터 지브에 부착되어 있다.
따라서, 실린더의 그러한 공급 장치는 리프팅 유닛의 다른 부품과 함께 운반될 수 있으며, 그래서, 공급 장치를 분리할 필요가 없다.
대안적으로, 공급 장치는 카운터 지브에 제거 가능하게 부착된다. 따라서, 공급 장치는 리프팅 유닛 또는 취급 또는 장착 기계의 다른 부품과는 개별적으로 분리되고 운반될 수 있는데, 이는 운반 차량의 용량이 작을 때 유용하다.
일 실시 형태에 따르면, 실린더는 유압 선형 실린더이고, 상기 공급 장치는 유압 동력 유닛이다.
이 실시 형태에 대한 대안으로, 실린더는 전기 선형 실린더이고, 공급 장치는 전기 동력 유닛이다.
일 실시 형태에 따르면, 리프팅 유닛은,
- 상기 공급 장치와 실린더 사이에 액체를 전달하는 도관, 및
- 상기 실린더와 공급 장치 사이에 배치되는 신속 커플러를 더 포함하고,
신속 커플러는 실린더 보다 공급 장치에 더 가깝게 위치된다.
따라서, 이러한 신속 커플러는 실린더 내의 에너지 전달 액체(예컨대, 오일)의 누출 및 오염의 위험을 제한하는데, 왜냐하면, 유압 동력 유닛이 분리될 때에도 도관이 유압 선형 실린더에 연결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분리 가능한 모든 부재(실린더, 신속 커플러)가 동일한 영역에 그룹을 지어 있으며, 그래서 유지 보수 작업이 용이하게 된다.
일 변형예에 따르면, 신속 커플러는 카운터 지브와 고정부 사이의 연결 영역에 배치된다.
일 변형예에 따르면, 유압 동력 유닛은 실린더 근처에 위치된다.
일 실시 형태에 따르면, 리프팅 유닛은 12 m 미만의 최대 길이, 2.25 m 미만의 최대 폭, 및 2.5 m 미만의 최대 높이를 갖는다.
따라서, 리프팅 유닛의 공간 요건은 실질적으로 도로, 철도 또는 해상 운반 템플릿에 대응한다. 예컨대, 리프팅 유닛의 공간 요건은 40 피트의 길이를 갖는 종래의 컨테이너의 용적 보다 작으며, 그래서 리프팅 유닛을 쉽게 운반할 수 있다. 그러므로, 이들 치수로 인해, 지브 발부는 항상 고정부를 통해 카운터 지브에 연결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일 실시 형태에 따르면, 고정부는 비변형성 어셈블리를 형성하도록 조립되는 코드를 포함한다.
따라서, 이러한 비변형성 어셈블리는, 일측에서, 카운터 지브를 지지하기 위해 마스트에 끼워 넣어지는 부분을 형성하고, 다른 측에서는, 지브 발부, 그러므로 애로우(arrow)를 위한 조인트 지지부를 형성한다.
일 변형예에 따르면, 고정부의 코드는 분리 가능한 방식으로 조립된다.
이 변형예에 대한 대안으로, 고정부의 코드는 분리 가능한 방식으로 조립된다. 다시 말해, 고정부는 일체형으로 형성된다.
일 변형예에 따르면, 카운터 지브와 고정부는 일체형으로 형성된다. 이 변형예에서, 고정부는 마스트의 정상부에서 카운터 지브를 연장한다.
일 변형예에 따르면, 리프팅 유닛은 회전 장치를 더 포함하고, 이 리프팅 유닛이 사용 중일 때 그 회전 장치는 실질적으로 수직인 축선 주위로 리프팅 유닛을 회전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이러한 회전 장치는 리프팅 유닛을 형성하는 단일 블럭으로 운반될 수 있으며, 그래서 회전 장치를 장착하고 분리할 필요가 없다.
또한, 본 발명은 승하강 지브 크레인에 관한 것으로,
- 매달려 있는 하중체를 분배하도록 구성된 지브,
- 상기 지브 및 매달려 있는 하중체를 지지하도록 구성된 마스트, 및
- 본 발명에 따른 리프팅 유닛을 포함하고,
리프팅 유닛은 상기 마스트에 기계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지브에 고정된다.
일 변형예에 따르면, 회전 장치는 조종실 유닛을 포함한다. 대안적으로, 이 조종실 유닛과 회전 장치는 개별적으로 조립될 수 있다.
일 변형예에 따르면, 승하강 지브 크레인은, 승하강 지브 크레인이 사용 중일 때 리프팅 유닛과 승하강 지브를 실질적으로 수직인 축선 주위로 회전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는 회전 장치를 포함한다.
일 실시 형태에 따르면, 카운터 지브와 고정부는 끼워 넣기로 기계적으로 연결된다.
더욱이, 본 발명은 본 발명에 따른 승하강 지브 크레인을 조립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으로, 이 방법은,
- 마스트를 세우는 단계,
- 리프트 유닛에 속하는 회전 장치를 마스트에 부착하는 단계,
- 리프팅 유닛을 회전 장치에 조립하는 단계, 및
- 지브를 상기 지브 발부에 기계적으로 연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따라서, 이러한 조립 방법은 승하강 지브 크레인의 분해 시간을 줄여 준다.
일 변형예에 따르면, 조립 방법은 밸러스트를 카운터 지브에 배치하여 승하강 지브 크레인의 균형을 잡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일 변형예에 따르면, 조립 방법은 안전을 셋업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이 셋업 단계 다음에, 실린더는 지브 발부를 밀어 지브를 상승시킬 수 있다.
위에서 언급된 실시 형태 및 변형예는 개별적으로 또는 기술적으로 가능한 조합에 따라 취해질 수 있다.
단지 비제한적인 예로 주어져 있고 첨부 도면을 참조하는 이하의 설명에 비추어 본 발명을 잘 이해할 것이며 또한 본 발명의 이점도 알 수 있을 것이고,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 부호는 구조적으로 그리고/또는 기능적으로 동일하거나 유사한 대상에 대응한다.
도 1은 운반 상테에 있는 본 발명에 따른 리프팅 유닛의 측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리프팅 유닛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리프팅 유닛을 구성하는 카운터 지브의 측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카운터 지브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1의 리프팅 유닛의 여러 부품의 측면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되어 있는 부품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1의 리프팅 유닛을 포함하고 본 발명에 따른 승하강 지브 크레인의 일부분의 측면도이다.
도 8은 도 7의 Ⅷ 부분의 확대 상세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립 방법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1, 2, 3, 4, 5 및 6은 본 발명에 따른 리프팅 유닛(1)을 도시하며, 이 리프팅 유닛은 승하강 지브(jib) 크레인(100)을 구성한다. 승하강 지브 크레인(100)은 도 8 및 9에 도시되어 있다. 승하강 지브 크레인(100)은,
- 매달려 있는 하중체(나타나 있지 않는)를 분배하도록 구성된 지브(102),
- 지브 및 매달려 있는 하중체를 지지하도록 구성된 마스트(104),
- 아래에서 설명하는 바와 같이, 마스트(104)에 기계적으로 연결되고 지브(102에 고정되는 리프팅 유닛(1), 및
- 여기서 마스트(104)에 부착되는 조종실 유닛(107)을 포함한다.
리프팅 유닛(1)은 지브 발부(2), 카운터 지브(4), 고정부(6) 및 실린더(8)를 포함한다. 리프팅 유닛(1)은,
- 실린더(8)가 지브 발부(2)를 하강 위치와 상승 위치 사이에서 변위시킬 수 있는 사용 상태(도 7 및 8), 및
- 지브 발부(2)가 하강 위치에 있고 실린더(8)는 후퇴 위치에 있는 운반 상태(도 2)에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운반 상태(도 2)에서, 리프팅 유닛(1)은 12 m 미만의 최대 길이(L1), 2.25 m 미만의 최대 폭(W1), 및 2.5 m 미만의 최대 높이(H1)를 갖는다.
리프팅 유닛(1)이 사용 상태(도 7 및 8)에 있을 때, 지브 발부(2)는 지브(102)의 근위 부분을 형성하도록 되어 있다.
카운터 지브(4)는 지브(102)의 균형을 잡도록 되어 있는 밸러스트(5)를 지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를 위해, 카운터 지브(4)는 ⅰ) 밸러스트(5)를 수용하기 위한 공간을 갖는 후방부(4.2), 및 ⅱ) 밸러스트(5)를 안내하고 유지하도록 배치되는 유지 로드(4.5)를 포함한다. 카운터 지브(4)의 바닥은 후방부(4.2)로부터 고정부(6)까지 연장되어 있는 플랫폼을 포함한다. 리프팅 유닛(1)이 사용 중일 때, 카운터 지브(4)에 의해 지지되는 밸러스트(5)는 무효 중량 및 상승된 하중체에 대해 지브(102)의 균형을 잡는 역할을 한다.
고정부(6)는,
- 리프팅 유닛(1)을 마스트(104)에 고정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는 고정 부분(6.1), 및
- 지브 발부(2)를 카운터 지브(4)에 기계적으로 연결하도록 구성된 연결 부분(6.2)을 포함한다.
도면의 예에서, 고정 부분(6.1)은 마스트(104)의 정상부(105)에 끼워 넣어져 고정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를 위해, 고정 부분(6.1)은 여기서 축(6.10)에 의해 마스트(104)의 정상부(105)에 고정된다. 여기서 카운터 지브(4) 및 연결 부분(2)은 끼워 넣기로 기계적으로 연결되고, 그래서 서로 간에 움직임 없이 함께 고정된다.
연결 부분(6.2)은 지브 발부(2)와 카운터 지브(4) 사이에 배치된다. 여기서 연결 부분(6.2)은 지브 발부(2)를 카운터 지브(4)에 직접 연결한다. 그러므로 지브 발부(2) 및 카운터 지브(4)는 연결 부분(6.2)을 통해 기계적으로 연결된다.
여기서 고정부(6)는 비변형성 어셈블리를 형성하도록 조립되는 코드(6.0)를 포함한다. 여기서 코드(6.0)는 분리 가능하게 조립된다. 승하강 지브 크레인(100)이 사용 중일 때 고정부(6)가 지브(102)를 지지하기 대문에, 가끔 고정부(6)를 "지브 캐리어"라고 한다.
고정부(6)는 실질적으로 수직인 축선(Z)을 포함하는 수직 면에서 대체로 삼각형인 단면을 가지며, 승하강 지브 크레인(100)이 사용 중일 때 지브(102)는 그 축선 주위로 회전한다. 여기서 고정부(6)는 도 2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삼각형 밑면을 갖는 프리즘 형상을 갖는다.
실린더(8)는 제 1 실린더 부분(8.1) 및 제 2 실린더 부분(8.2)를 포함한다.
제 1 실린더 부분(8.1)은, 지브 발부(2)가 하강 위치와 상승 위치 사이에서 움직일 수 있도록 지브 발브(2)에 기계적으로 연결된다. 승하강 지브 크레인(100)이 사용 중일 때, 실린더(8)는 지브 발브(2)를 통해 지브(102)의 상승 또는 하강을 가능하게 한다. 도면의 예에서, 제 1 실린더 부분(8.1)은 실린더(8)의 원위 단부에 위치한다. 제 1 실린더 부분(8.1)은 피봇 축(Y8.1)(도 5 및 6에서 볼 수 있음) 주위의 피봇 연결에 의해 지브 발부(2)에 기계적으로 연결된다.
제 2 실린더 부분(8.2)은 연결 부분(6.2)에 기계적으로 연결된다. 도면의 예에서, 제 2 실린더 부분(8.2)은 실린더(8)의 근위 단부에 위치한다. 제 2 실린더 부분(8.2)은 피봇 축(Y8.2)(도 5 및 6에서 볼 수 있음) 주위의 피봇 연결에 의해 연결 부분(6.2)에 기계적으로 연결된다.
여기서 실린더(8)는 유압 선형 실린더이고, 이 실린더는 후퇴 위치(이 위치에서 지브 발브(2)는 하강 위치에 있음)로부터 전개 위치(이 위치에서 지브 발부(2)는 상승 위치에 있음)로 움직이도록 구성되어 있다.
제 1 실린더 부분(8.1) 및 제 2 실린더 부분(8.2) 각각에는 볼 조인트가 구비되어 있다. 제 1 실린더 부분(8.1)은 사용 상태에서 뿐만 아니라 운반 상태에서도 볼 조인트에 의해 지브 발부(2)에 기계적으로 연결된다. 유사하게, 제 2 실린더 부분(8.2)은 사용 상태에서 뿐만 아니라 운반 상태에서도 볼 조인트에 의해 연결 부분(6.2)에 기계적으로 연결된다.
리프팅 유닛(1)은 지브 발부(2)를 상승시키도록 실린더(8)에 동력을 공급하도록 구성된 공급 장치(10)를 더 포함한다. 여기서 공급 장치(10)는 실린더(8)에 유압 에너지를 공급하도록 구성된 유압 동력 유닛이다. 실린더(8)는 에너지를 공급받으면 지브 발부(2)를 상승시킬 수 있다. 여기서 공급 장치(10)는 밸러스트(5)를 위해 제공되는 위치의 반대편에서 실린더(8)에 비교적 가깝게 위치한다.
공급 장치(10)는 카운터 지브(4)에 부착된다. 따라서, 리프팅 유닛(1)이 운반 상태에 있을 때 공급 장치(10)는 카운터 지브(4)와 함께 운반될 수 있다. 공급 장치(10)는 카운터 지브(4)에 부착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실린더(8)는 선형 실린더이고, 이 실린더는,
- 지브 발브(2)가 하강 위치에 있는 후퇴 위치(도 2, 5 및 6)(리프팅 유닛(1)이 운반 상태에 있을 때 실린더(8)는 후퇴 위치에 있음)로부터,
- 지브 발부(2)가 상승 위치에 있는 전개 위치로 움직이도록 구성되어 있다.
실린더(8)는 지브 발부(2)와 카운터 지브(4) 사이에 연장되어 있다. 실린더(8)는 일반적으로 지브 발부(2)의 원위 영역과 고정부(6) 사이에 위치한다. 여기서 실린더(8)는, 한편으로 지브 발부(2)에 의해 그리고 다른 한편으로는 카운터 지브(4)에 의해 한정되어 있는 공간에 위치된다.
도 1 및 8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실린더(8)가 후퇴 위치에 있을 때, 여기서 실린더 방향(X8)은 수평 방향(X)과 약 -20도의 각도(A8)를 형성한다. 리프팅 유닛(1)이 운반 상태에 있을 때, 실린더(8)는 후퇴 위치에 있다. 리프팅 유닛(1)이 취급, 보관, 장착, 분리 및 유지 보수 단계에 있을 때에도 실린더(8)는 후퇴 위치에 있다. 지브 발부(2)가 하강 위치에 있으면서 리프팅 유닛(1)이 사용 상태에 있을 때에도 실린더(8)는 후퇴 위치에 있을 수 있다.
리프팅 유닛(1)은 공급 장치(10)와 실린더(8) 사이에 액체를 전달하는 도관(12)을 더 포함한다. 또한, 리프팅 유닛(1)은 실린더(8)와 공급 장치(10) 사이에 배치되는 신속 커플러(14)를 포함한다. 신속 커플러(14)는 실린더(8) 보다 공급 장치(10)에 더 가깝게 위치된다. 신속 커플러(14)는 카운터 지브(4)와 고정부(6) 사이의 연결 영역(4.6)에 배치될 수 있다.
지브 발부(2)는 상측 부분(2.1)과 하측 부분(2.2)을 포함한다. 지브 발부(2)가 하강되어 있으면서 리프팅 유닛(1)이 사용 상태에 있을 때(도 5 및 6) 상측 부분(2.1)은 하측 부분(2.2)의 위쪽에 위치한다.
리프팅 유닛(1)은 피봇 축(Y2.4)을 더 포함한다. 이 피봇 축(Y2.4)은 지브 발부(2)와 카운터 지브 사이에 배치된다. 따라서, 지브 발부(2)가 하강되어 있으면서 리프팅 유닛(1)이 사용 상태에 있을 때(도 5 및 6) 피봇 축(Y2.4)은 하측 부분(2.2) 보다 높게 위치된다. 여기서, 지브 발부(2)가 하강되어 있으면서 리프팅 유닛(1)이 사용 상태에 있을 때, 피봇 축(Y2.4)은 실질적으로 상측 부분(2.1)의 높이에 위치된다.
상측 부분(2.1)은 피봇 축(Y2.4)에 부착되고, 하측 부분(2.2)은 제 1 실린더 부분(8.1)에 부착된다. 따라서, 지브 발부(2)가 하강되어 있으면서 리프팅 유닛(1)이 사용 상태에 있을 때(도 5 및 6), 실린더(8)는 실질적으로 지브(102)의 하측 코드(102.0)의 연장으로 연장되어 있는 연장 축선을 따라 지브(2)를 밀 수 있다. 여기서, 이 연장 축선은 도 1에 나타나 있는 수평 방향(X)에 대응한다.
리프팅 유닛(1)이 사용되고 있으면서, 승하강 지브 크레인(100)이 사용 중일 때, 지브 발부(2)는 지브(102)의 근위 부분을 형성한다. 이를 위해, 지브 발부(102)는 피봇 축(Y2.4)을 포함하고, 실린더(8)는 이 피봇 축 주위로 지브(102)를 상승 또는 하강시킨다. 리프팅 유닛(1)이 사용 중일 때, 지브 발부(2)는 하강 위치(도 5, 6, 8 및 9)와 상승 위치 사이에서 움직일 수 있다.
피봇 축(Y2.4)은 사용 상태에서 뿐만 아니라 운반 상태에서도 고정부(6)에 기계적으로 연결된다. 피봇 축(Y2.4)에는 볼 조인트가 제공되어 있다.
리프팅 유닛(1)은 그의 모든 부품이 기계적으로 함께 연결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단일 블럭으로서 운반될 수 있다. 지브 발부(2), 카운터 지브(4), 고정부(6) 및 실린더(8)의 연결 부재는 영구적으로 연결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기계적으로, 유압식으로 그리고/또는 전기적으로).
또한, 여기서 리프팅 유닛(1)은 회전 장치(16)를 포함하는데, 이 회전 장치는, 승하강 지브 크레인(100)이 사용 중일 때 리프팅 유닛(1)과 승하강 지브(102)를 마스트(104)에 대해 그리고 실질적으로 수직인 축선(Z) 주위로 회전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회전 장치(16)는 일반적으로 슬루잉 크라운(slewing crown)이라고 한다.
도 8 및 9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고정 부분(6.1)이 마스트(104)에 고정될 때, 고정부(6)는 일측에서 카운터 지브(4)를 지지하고 또한 다른 측에서는 지브 발부(2)를 지지하며 그래서 전체 지브(102)를 지지하게 된다. 리프팅 유닛(1)이 사용 상태에 있을 때, 카운터 지브(4)는 마스트(104)에 대해 지브 발부(2)의 반대편에 배치된다.
리프팅 유닛(1)은 지브(102)에 매달려 있는 하중체를 상승시키기 위한 호이스팅 윈치를 더 포함한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립 방법(200)을 도시한다. 이 조립 방법(200)은 특히,
- 마스트(104)를 세우는 단계(202),
- 마스트(104)에 회전 장치(16)를 부착하는 단계(202),
- 리프팅 유닛(1)의 다른 부품을 회전 장치(16)에 조립하는 단계(204), 및
- 지브(102)를 지브 발부(2)에 기계적으로 연결하는 단계(205)를 포함한다.
또한, 여기서 조립 방법(200)은, 밸러스트(5)를 카운터 지브(4)에 배치하여 승하강 지브 크레인(100)의 균형을 잡는 단계(206)를 포함한다.
또한, 조립 방법(200)은 안전을 셋업하는 단계(207)를 포함한다. 이 셋업 단계(207) 다음에, 실린더(8)는 지브 발부(2)를 밀어 지브(102)를 상승시킬 수 있다.
물론, 본 발명은 본 특허 출원에서 설명된 특정한 실시 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또한 당업자가 생각할 수 있는 실시 형태에도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남이 없이, 본 특허 출원에 나타나 있는 부재와 등가적인 부재로부터 다른 실시 형태가 고려될 수 있다.

Claims (16)

  1. 승하강 지브 크레인(100)을 구성하는 리프팅 유닛(1)으로서, 상기 리프팅 유닛(1)은,
    - 상기 리프팅 유닛(1)이 사용 상태에 있을 때, 상기 승하강 지브 크레인(100)에 속하는 지브(102)의 근위 부분을 형성하도록 되어 있는 지브 발부(2),
    - 상기 지브(102)의 균형을 잡도록 되어 있는 밸러스트(5)를 지지하도록 구성된 카운터 지브(4),
    - 상기 지브 발부(2)와 카운터 지브(4)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리프팅 유닛(1)을 상기 승하강 지브 크레인(100)의 마스트(104)에 고정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는 고정 부분(6.1)을 포함하는 고정부(6), 및
    - 제 1 실린더 부분(8.1) 및 제 2 실린더 부분(8.2)을 포함하는 실린더(8)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실린더 부분(8.1)은, 지브 발부(2)가 적어도 하강 위치와 상승 위치 사이에서 움직일 수 있도록 지브 발브(2)에 기계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리프팅 유닛(1)은 적어도,
    - 상기 실린더(8)가 상기 지브 발부(2)를 상기 하강 위치와 상승 위치 사이에서 변위시킬 수 있는 사용 상태, 및
    - 상기 지브 발부(2)가 하강 위치에 있는 운반 상태에 있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리프팅 유닛(1)은, 상기 제 2 실린더 부분(8.2)이 고정부(6)에 기계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프팅 유닛(1).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6)는 상기 지브 발부(2)를 상기 카운터 지브(4)에 기계적으로 연결하도록 구성된 연결 부분(6.2)을 더 포함하는, 리프팅 유닛(1).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실린더 부분(8.1) 및 제 2 실린더 부분(8.2) 각각에는 볼 조인트가 구비되어 있고, 제 1 실린더 부분(8.1)과 제 2 실린더 부분(8.2)은 사용 상태에서 뿐만 아니라 운반 상태에서도 상기 지브 발부(2) 및 고정부(6)에 각각 기계적으로 연결되는, 리프팅 유닛(1).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8)는 일반적으로 상기 지브 발부(2)의 원위 영역과 상기 고정부(6) 사이에 위치되는, 리프팅 유닛(1).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8)는 선형 실린더이고, 이 선형 실린더는, 상기 지브 발브(2)가 하강 위치에 있는 후퇴 위치로부터, 지브 발부(2)가 상승 위치에 있는 전개 위치로 움직이도록 구성되어 있고, 상기 리프팅 유닛(1)이 운반 상태에 있을 때, 후퇴 위치에 있는 상기 실린더(8)는, 수평 방향(X)과 -30도 내지 +30도의 각도(A8)를 형성하는 실린더 방향(X8)으로 연장되어 있는, 리프팅 유닛(1).
  6.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리프팅 유닛(1)이 운반 상태에 있을 때, 상기 실린더(8)는 후퇴 위치에 있도록 구성되어 있는, 리프팅 유닛(1).
  7.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지브 발부(2)는 상측 부분(2.1)과 하측 부분(2.2)을 포함하고, 지브 발부(2)가 하강 위치에 있으면서 리프팅 유닛(1)이 사용 상태에 있을 때 상기 상측 부분(2.1)은 하측 부분(2.2)의 위쪽에 위치되며,
    상기 리프팅 유닛(1)은 피봇 축(Y2.4)을 더 포함하고, 이 피봇 축은, 상기 지브 발부(2)가 하강 위치에 있으면서 리프팅 유닛(1)이 사용 상태에 있을 때 상기 피봇 축(Y2.4)이 하측 부분(2.2) 보다 높게 위치되도록 상기 지브 발부(2)와 카운터 지브(4)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상측 부분(2.1)은 상기 피봇 축(Y2.4)에 부착되고, 상기 하측 부분(2.2)은 상기 제 1 실린더 부분(8.1)에 부착되며, 따라서, 상기 지브 발부(2)가 하강되어 있으면서 리프팅 유닛(1)이 사용 상태에 있을 때, 상기 실린더(8)는 실질적으로 지브(2)의 하측 코드의 연장으로 연장되어 있는 축선을 따라 지브(2)를 밀 수 있는, 리프팅 유닛(1).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피봇 축(Y2.4)은 사용 상태에서 뿐만 아니라 운반 상태에서도 상기 고정부(6)에 기계적으로 연결되는, 리프팅 유닛(1).
  9.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리프팅 유닛은 지브 발부(2)를 상승시키도록 상기 실린더(8)에 동력을 공급하도록 구성된 공급 장치(10)를 더 포함하고, 상기 공급 장치(10)는, 상기 리프팅 유닛(1)이 운반 상태에 있을 때 공급 장치(10)가 상기 카운터 지브(4)와 함께 운반될 수 있도록, 상기 카운터 지브(4)에 부착되어 있는, 리프팅 유닛(1).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8)는 유압 선형 실린더이고, 상기 공급 장치(10)는 유압 동력 유닛인, 리프팅 유닛(1).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리프팅 유닛은,
    - 상기 공급 장치(10)와 실린더(8) 사이에 액체를 전달하는 도관(12), 및
    - 상기 실린더(8)와 공급 장치(10) 사이에 배치되는 신속 커플러(14)를 더 포함하고,
    상기 신속 커플러(14)는 상기 실린더(8) 보다 공급 장치(10)에 더 가깝게 위치되는, 리프팅 유닛(1).
  12.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리프팅 유닛은 12 m 미만의 최대 길이(L1), 2.25 m 미만의 최대 폭(W1), 및 2.5 m 미만의 최대 높이(H1)를 갖는, 리프팅 유닛(1).
  1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6)는 비변형성 어셈블리를 형성하도록 조립되는 코드(6.0)를 포함하는, 리프팅 유닛(1).
  1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카운터 지브(4) 및 고정부(6)는 끼워 넣기로 기계적으로 연결되는, 리프팅 유닛(1).
  15. 승하강 지브 크레인(100)으로서,
    - 매달려 있는 하중체를 분배하도록 구성된 지브(102),
    - 상기 지브 및 매달려 있는 하중체를 지지하도록 구성된 마스트(104), 및
    -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따른 리프팅 유닛(1)을 포함하고,
    상기 리프팅 유닛(1)은 상기 마스트(104)에 기계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지브(102)에 고정되는, 승하강 지브 크레인.
  16. 제 15 항에 따른 승하강 지브 크레인(100)을 조립하기 위한 방법(200)으로서,
    - 마스트(104)를 세우는 단계(202),
    - 상기 리프팅 유닛(1)에 속하는 회전 장치(16)를 상기 마스트(104)에 부착하는 단계(203),
    - 상기 리프팅 유닛(1)을 회전 장치(16)에 조립하는 단계(204), 및
    - 상기 지브(102)를 상기 지브 발부(2)에 기계적으로 연결하는 단계(205)를 포함하는, 승하강 지브 크레인 조립 방법.
KR1020187017832A 2015-12-23 2016-11-17 리프팅 유닛, 이러한 리프팅 유닛을 포함하는 승하강 지브 크레인, 및 이러한 크레인을 조립하기 위한 방법 KR10264116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15/63218 2015-12-23
FR1563218A FR3046152B1 (fr) 2015-12-23 2015-12-23 Unite de relevage, grue a fleche relevable comprenant une telle unite de relevage et procede d’assemblage d’une telle grue
PCT/FR2016/052994 WO2017109309A1 (fr) 2015-12-23 2016-11-17 Unité de relevage, grue à flèche relevable comprenant une telle unité de relevage et procédé d'assemblage d'une telle gru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97584A KR20180097584A (ko) 2018-08-31
KR102641160B1 true KR102641160B1 (ko) 2024-02-26

Family

ID=557524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17832A KR102641160B1 (ko) 2015-12-23 2016-11-17 리프팅 유닛, 이러한 리프팅 유닛을 포함하는 승하강 지브 크레인, 및 이러한 크레인을 조립하기 위한 방법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10752474B2 (ko)
EP (1) EP3393962B1 (ko)
JP (1) JP2018538218A (ko)
KR (1) KR102641160B1 (ko)
CN (1) CN108473289B (ko)
AU (1) AU2016378835B2 (ko)
ES (1) ES2805650T3 (ko)
FR (1) FR3046152B1 (ko)
IL (1) IL259963A (ko)
WO (1) WO201710930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3072084B1 (fr) * 2017-10-09 2019-09-27 Manitowoc Crane Group France Grue a fleche relevable avec dispositif de verrouillage de la fleche en configuration relevee
FR3072085B1 (fr) * 2017-10-09 2019-11-08 Manitowoc Crane Group France Grue a fleche relevable avec dispositif de verrouillage de la fleche en configuration relevee
JP2019156626A (ja) * 2018-03-16 2019-09-19 株式会社三井E&Sマシナリー トロリ
JP6919858B2 (ja) * 2018-03-16 2021-08-18 株式会社三井E&Sマシナリー トロリおよびトロリの運搬方法
FR3114581B1 (fr) 2020-09-25 2022-12-09 Manitowoc Crane Group France Elément de grue formant pivot pour grue à montage par éléments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965738A (en) 1971-05-06 1975-04-08 General Crane Industries Limited Tower cranes
DE3226211A1 (de) 1981-12-21 1983-07-14 Liebherr-Werk Biberach Gmbh, 7950 Biberach Turmspitze mit gegenausleger
FR2719300A1 (fr) 1994-04-28 1995-11-03 Affuso D Anna Grue démontable à assemblage simple.
CN202936122U (zh) 2012-12-10 2013-05-15 上海中联重科桩工机械有限公司 变幅定滑轮机构和起重机械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83616A (en) * 1980-12-24 1983-05-17 Kidde, Inc. Luffing jib for construction crane
JP2543552Y2 (ja) * 1991-12-03 1997-08-06 石川島播磨重工業株式会社 ジブクレーン
FR2788758B1 (fr) * 1999-01-27 2001-02-23 Potain Sa Procede et dispositif pour le montage de la tete de mat des grues a tour
JP4564622B2 (ja) * 2000-03-27 2010-10-20 株式会社タダノ 補助ジブ格納装置
US20090145255A1 (en) * 2005-07-29 2009-06-11 Franz Ehrenleitner Parallel kinematic device
CN202657865U (zh) * 2012-04-06 2013-01-09 武桥重工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用于高速铁路及轨道交通跨线作业的铁路起重机
CN102826447B (zh) * 2012-09-06 2015-02-18 三一重工股份有限公司 一种桁架臂起重机及其下车结构、转点方法
US9206021B2 (en) * 2012-09-26 2015-12-08 Kobelco Cranes Co., Ltd. Crane and crane assembling method
JP6348453B2 (ja) * 2015-05-27 2018-06-27 住友重機械建機クレーン株式会社 クレーン
FR3046149B1 (fr) * 2015-12-23 2017-12-29 Manitowoc Crane Group France Grue a tour a depliage et repliage automatiques et comprenant un mat et une fleche decalee par rapport au mat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965738A (en) 1971-05-06 1975-04-08 General Crane Industries Limited Tower cranes
DE3226211A1 (de) 1981-12-21 1983-07-14 Liebherr-Werk Biberach Gmbh, 7950 Biberach Turmspitze mit gegenausleger
FR2719300A1 (fr) 1994-04-28 1995-11-03 Affuso D Anna Grue démontable à assemblage simple.
CN202936122U (zh) 2012-12-10 2013-05-15 上海中联重科桩工机械有限公司 变幅定滑轮机构和起重机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S2805650T3 (es) 2021-02-15
WO2017109309A1 (fr) 2017-06-29
US20190010028A1 (en) 2019-01-10
KR20180097584A (ko) 2018-08-31
EP3393962A1 (fr) 2018-10-31
IL259963A (en) 2018-07-31
EP3393962B1 (fr) 2020-04-15
JP2018538218A (ja) 2018-12-27
CN108473289A (zh) 2018-08-31
FR3046152B1 (fr) 2017-12-29
US10752474B2 (en) 2020-08-25
AU2016378835A1 (en) 2018-07-12
AU2016378835B2 (en) 2021-08-26
CN108473289B (zh) 2020-03-03
FR3046152A1 (fr) 2017-06-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41160B1 (ko) 리프팅 유닛, 이러한 리프팅 유닛을 포함하는 승하강 지브 크레인, 및 이러한 크레인을 조립하기 위한 방법
CN104003317A (zh) 用于起重机连接的拔销器
US9150390B2 (en) Modular mobile crane
CN104520943A (zh) 桶运输组件
US20180346292A1 (en) Mobile crane and method for angling a main boom extension in relation to a main boom of a mobile crane
KR102061753B1 (ko) 상위구조체에서 효과적으로 일치하는 갠트리력 및 붐력을 갖는 크레인
KR102529595B1 (ko) 무거운 하중을 들어올리기 위한 장치
JP2017538881A (ja) 杭アペンディングシステム
CA2997876A1 (en) Lifting system
ES2671995T3 (es) Sistema de sustitución de transformadores
US10202262B2 (en) Method of operating a crane, and crane
US9238945B2 (en) Base beam and self-propelled derrick rig assembly
CN203463876U (zh) 液压泵站架
ES2735881T3 (es) Método para montar un aerogenerador en una torre
CN109625048B (zh) 一种可调节的电气设备用运输装置
EP2695844B1 (en) Mobile built-up folding crane
US9212524B2 (en) Methods of supporting a self-propelled derrick rig
US9341028B2 (en) Counterweight assembly for a self-propelled derrick rig assembly
CN113795642A (zh) 用于将塔架或塔架段从非竖立位置枢转至竖立位置的工具布置结构
ES2343032T3 (es) Maquina de perforacion.
ES2388151T3 (es) Procedimiento para el montaje de una grúa torre
US20140231609A1 (en) Base beam for supporting a self-propelled derrick rig
JP2007031124A (ja) リフター装置
CA2919767C (en) Luffing cross member
RU200135U1 (ru) Кран грузоподъемны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