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40865B1 - 증배속 이송이 가능한 벨트형 액츄에이터 - Google Patents

증배속 이송이 가능한 벨트형 액츄에이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40865B1
KR102640865B1 KR1020210156248A KR20210156248A KR102640865B1 KR 102640865 B1 KR102640865 B1 KR 102640865B1 KR 1020210156248 A KR1020210156248 A KR 1020210156248A KR 20210156248 A KR20210156248 A KR 20210156248A KR 102640865 B1 KR102640865 B1 KR 1026408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lt
speed
slide
platform
transf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562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70559A (ko
Inventor
이용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드림로봇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드림로봇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드림로봇
Priority to KR10202101562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40865B1/ko
Publication of KR202300705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705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408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408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9/00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variable gear ratio, or for revers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 F16H9/02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variable gear ratio, or for revers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without members having orbital motion
    • F16H9/04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variable gear ratio, or for revers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without members having orbital motion using belts, V-belts, or rop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mission Devices (AREA)
  • Reciprocating Convey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액츄에이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모터에 의해 벨트가 구동됨에 의하여 이송슬라이드가 전후방향으로 이송되는 벨트형 액츄에이터로, 기초가 되는 베이스플랫폼에 더하여 벨트의 작동으로 전후방향으로 이동되는 별도의 증속무빙플랫폼을 구성함으로써 증배속으로 슬라이드를 이송시키는 증배속 이송이 가능한 벨트형 액츄에이터에 관한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특징은 모터 회전력으로 구동되는 벨트에 의하여 전후방향으로 이동되는 이송슬라이드를 포함한 액츄에이터에 있어서, 벨트의 양측으로 위치되는 구동풀리 및 종동풀리; 상기 구동풀리 및 종동풀리가 각각 설치되는 구동풀리설치대 및 종동풀리설치대; 및 상기 구동풀리설치대 및 종동풀리설치대가 상대적으로 위치되어 설치되는 증속무빙플랫폼이 구비되고, 상기 증속무빙플랫폼의 아래에 위치되는 베이스플랫폼; 및 아랫부분이 상기 베이스플랫폼에 고정되고, 상부가 상기 벨트에 고정되는 증배속벨트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증속무빙플랫폼은, 아래에 구비된 베이스플랫폼에 대하여 전후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증배속 이송이 가능한 벨트형 액츄에이터{ACTUATOR OF DOUBLE SPEED TRANSPORTABLE FOR BELT TYPE}
본 발명은 액츄에이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모터에 의해 벨트가 구동됨에 의하여 이송슬라이드가 전후방향으로 이송되는 벨트형 액츄에이터로, 기초가 되는 베이스플랫폼에 더하여 벨트의 작동으로 전후방향으로 이동되는 별도의 증속무빙플랫폼을 구성함으로써 증배속으로 슬라이드를 이송시키는 증배속 이송이 가능한 벨트형 액츄에이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액츄에이터는 모터 작동으로 물체가 놓이는 슬라이드를 전후방향 직선 이동시키는 것이다.
이러한 액츄에이터에는 모터 작동으로 벨트를 구동시킴으로써, 벨트에 결합된 슬라이드(moving table)를 이동시키는 벨트형 액츄에이터가 실시되고 있다.
이러한 벨트형 액츄에이터로써 벨트 구동으로 슬라이드가 작업공간으로 이동되는 것이다. 이러한 벨트형 액츄에이터는 벨트를 구동시켜야 하기 때문에 다소 속도가 느릴 수 있으며 이렇게 벨트에 의해 슬라이드가 느리게 작동하면 다소 작업시간이 늦어지는 단점이 있는 것이다.
또한 작업하는 중에 간섭물이 있을 경우 이를 해소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으므로, 이를 해소하기 위한 기술 제안이 필요한 것이다.
공개특허번호 제10-2007-0053206호(2007년 05월 23일 공개) 등록특허번호 제10-1186270호(2012년 09월 27일 공고)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본 발명은 모터 회전력으로 벨트를 구동시킴으로써 슬라이드를 이동시키는 벨트형 액츄에이터에 있어서, 하나의 벨트를 이용하여 기존보다 증배속으로 슬라이드를 이동시키는 목적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단일의 벨트를 이용함에 의하더라도 기존보다 먼 거리로 이송이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이송 공간 중간에 간섭물이 있더라도 효율적인 공간 이송을 구현하기 때문에 안정적인 이송이 가능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모터(11) 회전력으로 구동되는 벨트(12)에 의하여 전후방향으로 이동되는 이송슬라이드(20)를 포함한 액츄에이터에 있어서, 벨트(12)의 양측으로 위치되는 구동풀리(13) 및 종동풀리(15); 상기 구동풀리(13) 및 종동풀리(15)가 각각 설치되는 구동풀리설치대(14) 및 종동풀리설치대(16); 및 상기 구동풀리설치대(14) 및 종동풀리설치대(16)가 상대적으로 위치되어 설치되는 증속무빙플랫폼(41)이 구비되고, 상기 증속무빙플랫폼(41)의 아래에 위치되는 베이스플랫폼(31); 및 아랫부분이 상기 베이스플랫폼(31)에 고정되고, 상부가 상기 벨트(12)에 고정되는 증배속벨트고정부(50)를 포함하고, 상기 증속무빙플랫폼(41)은, 아래에 구비된 베이스플랫폼(31)에 대하여 전후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배속 이송이 가능한 벨트형 액츄에이터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증배속벨트고정부(50)는, 상기 벨트(12)에 대해서, 이송슬라이드(20)가 결합된 위치와 반대 측에 고정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배속 이송이 가능한 벨트형 액츄에이터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증속무빙플랫폼(41)은, 상기 베이스플랫폼(31) 상에 설치된 베이스엘엠가이드(32)를 따라 전후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배속 이송이 가능한 벨트형 액츄에이터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이송슬라이드(20)는, 대면적을 이루는 슬라이드몸체(21); 상기 슬라이드몸체(21) 중에서 벨트(12)가 위치되는 홈 형상의 슬라이드벨트설치홈(22); 상기 슬라이드벨트설치홈(22)에 위치된 벨트(12)를 고정시키는 슬라이드벨트클립(23); 및 상기 슬라이드몸체(21) 아래에 구비되어 증속무빙플랫폼(41) 상에 구비된 증속엘엠가이드(42)와 결합된 슬라이드엘엠블록(25)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배속 이송이 가능한 벨트형 액츄에이터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증속무빙플랫폼(41)을 포함하고 베이스플랫폼(31) 상에서 이동되는 증속무빙파트부(40)를 포함하며, 상기 증속무빙파트부(40)는, 대면적을 이루는 증속무빙플랫폼(41); 증속무빙플랫폼(41) 상부면에 설치된 증속엘엠가이드(42); 상기 증속무빙플랫폼(41) 아래에 설치되어 베이스플랫폼(31) 상에 구비된 베이스엘엠가이드(32)와 결합되는 증속엘엠블록(43); 및 상기 증배속벨트고정부(50)가 관통되도록 통공을 형성한 증속고정관통공(44)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배속 이송이 가능한 벨트형 액츄에이터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증배속벨트고정부(50)는, 상기 베이스플랫폼(31) 상에서 전후방향으로 긴 설치대 형태로 설치되는 증배속기초설치부(51); 상기 증배속기초설치부(51)에서 상향으로 긴 기둥 형태로 구비되는 증배속상향신장부(52); 상기 증배속상향신장부(52)에서 벨트(12) 방향으로 수평으로 연장되어 벨트(12) 아래와 접하는 증배속수평대(53); 및 상기 증배속수평대(53)와 결합되어 증배속수평대(53) 상에 위치된 벨트(12)를 고정시키는 증배속벨트체결편(54)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배속 이송이 가능한 벨트형 액츄에이터를 제공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은 모터 회전력으로 벨트를 구동시킴으로써 슬라이드를 이동시키는 벨트형 액츄에이터에 있어서, 하나의 벨트를 이용하여 기존보다 증배속으로 슬라이드를 이동시키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효과는, 단일의 벨트를 이용함에 의하더라도 기존보다 먼 거리로 이송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효과는, 이송 공간 중간에 간섭물이 있더라도 효율적인 공간 이송을 구현하기 때문에 안정적인 이송이 가능하다.
나아가 본 발명의 또 다른 효과는, 빠른 속도로 이송하더라도 전체 구조를 간단히 하기 때문에 구조적으로 간단하며 작동 또한 안정적으로 이룰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액츄에이터의 전방향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액츄에이터의 모터가 위치된 전방향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액츄에이터의 후방향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액츄에이터의 2층 구조를 보이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액츄에이터에서 후단 부분에 대한 플랫폼들의 구조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액츄에이터에서 벨트고정부가 베이스플랫폼에 설치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액츄에이터에서 각 구성들을 설명하기 위한 정면에서의 설명 예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액츄에이터에서 각 구성들이 작동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 예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액츄에이터에서의 이송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a)는 이송슬라이드가 전방향에 위치된 상태, (b)는 이송슬라이드가 중간 부분에 위치된 상태, 그리고 (c)는 이송슬라이드가 후방에 위치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10 본 발명에 따른 액츄에이터에서 중간에 간섭물이 위치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이하 첨부되는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증배속 이송이 가능한 벨트형 액츄에이터는 첨부된 도 1 내지 도 10 등에서와 같이, 모터(11) 회전력으로 구동되는 벨트(12)에 의하여 전후방향으로 이동되는 이송슬라이드(20)를 포함한 액츄에이터(10)에 관한 것이다.
이에 벨트(12)의 양측으로 위치되는 구동풀리(13) 및 종동풀리(15)가 마련되고, 상기 구동풀리(13) 및 종동풀리(15)가 각각 설치되는 구동풀리설치대(14) 및 종동풀리설치대(16)를 구비한 것이다.
그리하여 모터(11)가 회전되면 벨트(12)가 구동되는 것으로, 전방의 구동풀리설치대(14)에 결합된 구동풀리(13), 그리고 후방에 위치된 종동풀리설치대(16)에 설치된 종동풀리(15) 등의 풀리들 사이를 벨트(12)가 결합된 것이다. 따라서 벨트(12)는 함께 결합된 이송슬라이드(20)를 구동풀리(13)와 종동풀리(15) 사이로 이송시키는 것으로, 결국 이송슬라이드(20) 상에 놓인 물건을 구동풀리(13)와 종동풀리(15) 사이로 이송시키게 된다.
이와 같이 마련되는 본 발명에 따른 액츄에이터(10)에는, 상기 구동풀리설치대(14) 및 종동풀리설치대(16)가 상대적으로 위치되어 설치되는 증속무빙플랫폼(41)이 구비되는 것이다. 즉 이러한 증속무빙플랫폼(41)에 구동풀리설치대(14), 종동풀리설치대(16)와 함께 각각에 결합된 구동풀리(13), 종동풀리(15)가 위치되는 것이며, 첨부된 도면에서와 같이 구동풀리(13)와 결합된 모터(11)도 함께 이러한 증속무빙플랫폼(41)에 마련되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상기 증속무빙플랫폼(41)의 아래에 위치되는 베이스플랫폼(31)이 마련되는 것이다.
즉 후술에서와 같이 증속무빙플랫폼(41)이 베이스플랫폼(31) 상부로 위치되는 것이며, 하지만 이러한 증속무빙플랫폼(41)과 베이스플랫폼(31)은 서로 이격되어 벨트(12)에 의한 작동으로 인하여 이동되는 관계를 형성하게 된다. 즉 베이스플랫폼(31)에 대해 증속무빙플랫폼(41)이 전후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이다.
이처럼 상기 증속무빙플랫폼(41)은, 아래에 구비된 베이스플랫폼(31)에 대하여 전후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이다.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증속무빙플랫폼(41)은, 상기 베이스플랫폼(31) 상에 설치된 베이스엘엠가이드(32)를 따라 전후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구비되는 것이다.
이에 상기 증속무빙플랫폼(41)을 포함하고 베이스플랫폼(31) 상에서 이동되는 증속무빙파트부(40)를 포함하는 것이다.
즉 이러한 상기 증속무빙파트부(40)의 구성을 보면, 대면적을 이루는 증속무빙플랫폼(41)이 마련되고, 증속무빙플랫폼(41) 상부면에 설치된 증속엘엠가이드(42)를 구비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증속무빙플랫폼(41) 아래에 설치되어 베이스플랫폼(31) 상에 구비된 베이스엘엠가이드(32)와 결합되는 증속엘엠블록(43)이 마련되는 것으로, 베이스플랫폼(31)에 설치된 베이스엘엠가이드(32)를 따라서 증속무빙파트부(40) 전체가 이송되는 것이다. 또한 증속무빙파트부(40)와 결합된 벨트(12), 모터(11) 및 이송슬라이드(20) 등도 함께 이동되는 것이다.
즉 모터(11) 작동으로 인해서, 베이스플랫폼(31)과 이격된 증속무빙카트부(40)의 전체 구성으로서, 증속무빙플랫폼(41), 증속엘엠가이드(42), 증속엘엠블록(43), 증속고정관통공(44)과 더불어, 구동풀리설치대(14), 구동풀리(13), 종동풀리설치대(16), 종동풀리(15), 벨트(12), 모터(11) 및 이송슬라이드(20) 등도 함께 이동되는 것이다.
아울러 상기 증배속벨트고정부(50)가 관통되도록 통공을 형성한 증속고정관통공(44)을 포함하는 것이다.
이러한 증속고정관통공(44)은 후술되는 증배속벨트고정부(50)가 위치되는 것으로, 이에 증배속벨트고정부(50)는 베이스플랫폼(31) 상에 설치되면서, 증속무빙플랫폼(41)과는 증속고정관통공(44)에 의하여 자유로운 관계를 형성하게 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증배속 이송이 가능한 벨트형 액츄에이터(10)에는 아랫부분이 상기 베이스플랫폼(31)에 고정되고, 상부가 상기 벨트(12)에 고정되는 증배속벨트고정부(50)를 포함하는 것이다.
이에 상기 증배속벨트고정부(50)는, 상기 벨트(12)에 대해서, 이송슬라이드(20)가 결합된 위치와 반대 측에 고정설치되는 것이다.
대체로 벨트(12)에 의해 형성되는 궤적에 대하여, 증배속벨트고정부(50)와 이송슬라이드(20)가 서로 반대 위치에 고정 설치됨이 바람직하며, 기타 다양한 설치환경에 맞추어 벨트(12)의 궤적에 대해서 증배속벨트고정부(50)와 이송슬라이드(20)가 설치되는 위치를 알맞게 정하여져 설치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상기 증배속벨트고정부(50)에 대해서 살펴보면, 상기 베이스플랫폼(31) 상에서 전후방향으로 긴 설치대 형태로 설치되는 증배속기초설치부(51)가 마련된다. 대체로 증배속기초설치부(51)는 벨트(12)의 전후진 작동에 의한 힘이 작용하더라도 안정적인 설치상태를 갖도록 전후방향으로 긴 길이로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증배속기초설치부(51)에서 상향으로 긴 기둥 형태로 구비되는 증배속상향신장부(52)가 마련된다. 즉 증배속벨트고정부(50)는 베이스플랫폼(31)에 고정되면서, 상부로는 벨트(12) 일측과 결합되어야 하기 때문에 그만큼 상향으로 연장되는 것이다.
아울러 상기 증배속상향신장부(52)에서 벨트(12) 방향으로 수평으로 연장되어 벨트(12) 아래와 접하는 증배속수평대(53)가 마련된다. 이러한 증배속수평대(53) 상에 벨트(12)가 놓이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증배속수평대(53)와 결합되어 증배속수평대(53) 상에 위치된 벨트(12)를 고정시키는 증배속벨트체결편(54)을 포함하는 것이다. 그리하여 증배속벨트체결편(54)과 증배속수평대(53) 사이의 체결에 의하여 벨트(12)가 고정되는 것이다.
대체로 이러한 증배속벨트고정부(50)는, 정면에서 볼때는 "T" 자 형상을 이루고, 측면에서 볼 때는 "ㄱ"자 형상을 이루는 것이다.
다음으로 물건을 이송하는 상기 이송슬라이드(20)는, 대면적을 이루는 슬라이드몸체(21)가 마련되고, 이러한 상기 슬라이드몸체(21) 중에서 벨트(12)가 위치되는 홈 형상의 슬라이드벨트설치홈(22)이 형성된다.
아울러 상기 슬라이드벨트설치홈(22)에 위치된 벨트(12)를 고정시키는 슬라이드벨트클립(23)이 마련된다. 그리하여 슬라이드벨트설치홈(22)에 위치된 벨트(12)를 슬라이드벨트클립(23)이 고정시키는 것으로, 그리하여 모터(11) 작동으로 벨트가 구동됨에 의하여 벨트(12)와 결합된 이송슬라이드(20)가 전후방향으로 이송되는 것이다.
아울러 이러한 상기 슬라이드몸체(21) 아래에 구비되어 증속무빙플랫폼(41) 상에 구비된 증속엘엠가이드(42)와 결합된 슬라이드엘엠블록(25)을 포함하는 것이다 즉 벨트(12)에 전후방향으로 이송되는 이송슬라이드(20)는 슬라이드엘엠블록(25)과 결합된 증속엘엠가이드(42)를 따라 안정적으로 이송되는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마련되는 본 발명에 따른 증배속 이송이 가능한 벨트형 액츄에이터(10)의 작동을 살펴보면, 도 8에서와 같이 모터(11)가 작동하면, 구동풀리(13)가 회전하게 된다.
또한 이로써 구동풀리(13)에 결합된 벨트(12) 그리고 종동풀리(15) 등이 구동하게 된다.
이로써 벨트(12)에 결합된 이송슬라이드(20)가 전후방향으로 이송되는 것이다.
이러한 이송 작동으로 인하여, 벨트(12)의 타단에는 증배속벨트고정부(50)가 결합되는 것으로, 이러한 증배속벨트고정부(50)는 제일 아래에 위치한 베이스플랫폼(31)에 고정되는 것이다.
따라서 증배속벨트고정부(50)에 결합된 벨트(12)의 체결 부분은, 베이스플랫폼(31)에 그대로 고정된 위치를 형성하게 된다.
이로서 벨트(12)의 증배속벨트고정부(50)가 결합된 위치는 이동하지 않기 때문에, 결국 벨트(12)의 풀리인 구동풀리(13) 및 종동풀리(15) 등이 설치된 구동풀리설치대(14) 및 종동풀리설치대(16) 등에 결합된 증속무빙파트부(40)의 증속무빙플랫폼(41)이 함께 이동되는 것이다.
이에 모터(11) 작동으로 벨트(12)가 구동함에 의하여 이송슬라이드(20)가 이송되는 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증속무빙플랫폼(41)도 동일 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이다.
즉 도 8의 ④번 방향으로 증속무빙플랫폼(41)이 이동하게 된다.
아울러 이러한 증속무빙플랫폼(41)이 이동함에 의하여 증속무빙플랫폼(41)이 속한 증속무빙파트부(40) 전체 구성들, 즉 증속엘엠가이드(42), 증속엘엠블록(43) 등에 더하여, 구동풀리설치대(14)와 종동풀리설치대(16), 아울러 구동풀리(13), 종동풀리(15), 그리고 벨트(12) 및 모터(11) 등도 이러한 증속무빙플랫폼(41)과 함께 이동하게 되는 것이다.
즉 도 9에서와 같이, (a)에서처럼 처음 작동 전에 이송슬라이드(20)가 전방에 위치된 상태에서, 모터(11) 및 벨트(12) 구동으로 인해서 (b)에서처럼 이송슬라이드(20)가 증속무빙플랫폼(41) 중간 부분에 위치되며, 처음 이송슬라이드(20)가 위치된 전방에서 "X" 거리만큼 이송된다.
반면 베이스플랫폼(31)에 대하여 증속무빙플랫폼(41)은 동일 방향으로 이동하되, 베이스플랫폼(31)에 대해서 증속무빙플랫폼(41)은 "Y" 거리만큼 이동되는 것이다.
하지만 실제 증속무빙플랫폼(41) 상에서는 이송슬라이드(20)는 "X/2"만큼만 이송된 것이다.
아울러 도 9의 (c)에서처럼 모터(11) 및 벨트(12) 구동으로 인해서, 베이스플랫폼(31)에 대하여 증속무빙플랫폼(41)이 계속 이동하게 되면 결국 이동 거리는 "Y"만큼 이동하게 된다. 즉 증속무빙플랫폼(41)은 처음 전방에서의 위치보다 "2Y"만큼 이동된 것이다.
이와 함께 이송슬라이드(20)는 (b)에서의 중간에서 후방으로 "X"만큼 이송된 것이다. 즉 이로써 이송슬라이드(20)는 (a)에서의 전방에서 "2X" 만큼 이송된 것이다.
하지만 증속무빙플랫폼(41) 상에서는 이송슬라이드(20)는 "2X / 2"의 거리, 즉 "X"만큼만 이송된 것이다.
즉 벨트(12)의 구동만으로는 이송슬라이드(20)가 증속무빙플랫폼(41) 상에서 "X" 만큼 이송된 것이지만, 전체적으로 볼 때, 도 9의 (a)에서의 전방에서부터, (c)의 후방까지 이송된 거리는 두 배인 "2X" 만큼 이송된 것이다. 이처럼 본 발명에 따른 액츄에이터(10)에 의하면 이송슬라이드(20)는 두배로 증배속 된 거리로 이송되는 것이다.
이에 아울러 도 9의 (c)에서처럼 이송슬라이드(20)는, 베이스플랫폼(31)의 후방 끝에서보다 더 후방으로 이송된 것이므로, 결국 이송슬라이드(20)는 전체적으로 이송거리가 신장되어 기존의 "X" 이송거리보다 신장된 "2X" 이송거리만큼 증가되어 이송된 것이다.
이에 의하여 도 10의 예에서처럼 중간에 간섭물이 있더라도, 신장된 이송거리만큼 이송슬라이드(20)를 신장시켜 이송하기 때문에 원거리의 작업공간들로도 이송슬라이드를 자유롭게 이송이 가능한 장점을 갖는 것이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일실시예를 기재한 것이므로, 상기 실시예의 기재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10 : 액츄에이터 11 : 모터
12 : 벨트 13 : 구동풀리
15 : 종동풀리 20 : 이송슬라이드
31 : 베이스플랫폼 32 : 베이스엘엠가이드
40 : 증속무빙파트부 41 : 증속무빙플랫폼
42 : 증속엘엠가이드 44 : 증속고정관통공
50 : 증배속벨트고정부

Claims (6)

  1. 모터(11) 회전력으로 구동되는 벨트(12)에 의하여 전후방향으로 이동되는 이송슬라이드(20);
    벨트(12)의 양측으로 위치되는 구동풀리(13) 및 종동풀리(15);
    상기 구동풀리(13) 및 종동풀리(15)가 각각 설치되는 구동풀리설치대(14) 및 종동풀리설치대(16);
    상기 구동풀리설치대(14) 및 종동풀리설치대(16)가 상대적으로 위치되어 설치되는 증속무빙플랫폼(41); 및
    상기 증속무빙플랫폼(41)의 아래에 위치되는 베이스플랫폼(31)을 구비하고,
    상기 증속무빙플랫폼(41)은, 아래에 구비된 베이스플랫폼(31)에 대하여 전후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액츄에이터에 있어서,
    아랫부분이 상기 베이스플랫폼(31)에 고정되고, 상부가 상기 벨트(12)에 고정되는 증배속벨트고정부(50)를 포함하고,
    상기 증속무빙플랫폼(41)을 포함하고 베이스플랫폼(31) 상에서 이동되는 증속무빙파트부(40)를 포함하며,
    상기 증속무빙파트부(40)는,
    대면적을 이루는 증속무빙플랫폼(41);
    증속무빙플랫폼(41) 상부면에 설치된 증속엘엠가이드(42); 및
    상기 증속무빙플랫폼(41) 아래에 설치되어 베이스플랫폼(31) 상에 구비된 베이스엘엠가이드(32)와 결합되는 증속엘엠블록(43)을 포함하고,
    상기 증배속벨트고정부(50)는,
    상기 베이스플랫폼(31) 상에서 전후방향으로 긴 설치대 형태로 설치되는 증배속기초설치부(51);
    상기 증배속기초설치부(51)에서 상향으로 긴 기둥 형태로 구비되는 증배속상향신장부(52);
    상기 증배속상향신장부(52)에서 벨트(12) 방향으로 수평으로 연장되어 벨트(12) 아래와 접하는 증배속수평대(53); 및
    상기 증배속수평대(53)와 결합되어 증배속수평대(53) 상에 위치된 벨트(12)를 고정시키는 증배속벨트체결편(54)을 포함하며,
    상기 증속무빙파트부(40)는,
    상기 증배속벨트고정부(50)가 관통되도록 통공을 형성한 증속고정관통공(44)을 포함하되, 상기 증속고정관통공(44)으로 증배속상향신장부(52)가 지나고,
    상기 모터(11) 작동으로 인해서, 베이스플랫폼(31)과 이격된 증속무빙카트부(40)의 전체 구성으로서, 증속무빙플랫폼(41), 증속엘엠가이드(42), 증속엘엠블록(43), 증속고정관통공(44)과 더불어, 구동풀리설치대(14), 구동풀리(13), 종동풀리설치대(16), 종동풀리(15), 벨트(12), 모터(11) 및 이송슬라이드(20)도 함께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배속 이송이 가능한 벨트형 액츄에이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증배속벨트고정부(50)는,
    상기 벨트(12)에 대해서, 이송슬라이드(20)가 결합된 위치와 반대 측에 고정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배속 이송이 가능한 벨트형 액츄에이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증속무빙플랫폼(41)은,
    상기 베이스플랫폼(31) 상에 설치된 베이스엘엠가이드(32)를 따라 전후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배속 이송이 가능한 벨트형 액츄에이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슬라이드(20)는,
    대면적을 이루는 슬라이드몸체(21);
    상기 슬라이드몸체(21) 중에서 벨트(12)가 위치되는 홈 형상의 슬라이드벨트설치홈(22);
    상기 슬라이드벨트설치홈(22)에 위치된 벨트(12)를 고정시키는 슬라이드벨트클립(23); 및
    상기 슬라이드몸체(21) 아래에 구비되어 증속무빙플랫폼(41) 상에 구비된 증속엘엠가이드(42)와 결합된 슬라이드엘엠블록(25)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배속 이송이 가능한 벨트형 액츄에이터.
  5. 삭제
  6. 삭제
KR1020210156248A 2021-11-15 2021-11-15 증배속 이송이 가능한 벨트형 액츄에이터 KR1026408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56248A KR102640865B1 (ko) 2021-11-15 2021-11-15 증배속 이송이 가능한 벨트형 액츄에이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56248A KR102640865B1 (ko) 2021-11-15 2021-11-15 증배속 이송이 가능한 벨트형 액츄에이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70559A KR20230070559A (ko) 2023-05-23
KR102640865B1 true KR102640865B1 (ko) 2024-02-27

Family

ID=865445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56248A KR102640865B1 (ko) 2021-11-15 2021-11-15 증배속 이송이 가능한 벨트형 액츄에이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40865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66957B1 (ko) * 2004-06-04 2005-01-24 주식회사 세라젬의료기 온열치료기용 장력조절 어셈블리
JP2009014141A (ja) * 2007-07-06 2009-01-22 Ihi Corp ベルト固定機構及び搬送装置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31426A (ja) * 1991-03-01 1993-09-07 T H K Kk 直線スライドユニット
GB0416186D0 (en) 2004-07-20 2004-08-18 Jones Tim Improvement in and relating to activators
KR20070119278A (ko) * 2006-06-15 2007-12-20 (주) 청운유앤아이 사출기용 너트자동공급기
KR101186270B1 (ko) 2011-01-14 2012-09-27 엘아이지에이디피 주식회사 리니어 액츄에이터 및 이를 이용한 기판 검사장치
KR101844321B1 (ko) * 2016-07-04 2018-04-03 주식회사 드림로봇 벨트 2개를 이용하여 2배의 속도를 낼 수 있는 증속 구조의 로봇용 액츄에이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66957B1 (ko) * 2004-06-04 2005-01-24 주식회사 세라젬의료기 온열치료기용 장력조절 어셈블리
JP2009014141A (ja) * 2007-07-06 2009-01-22 Ihi Corp ベルト固定機構及び搬送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70559A (ko) 2023-05-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102239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ередачи заготовки от первого станка к второму станку
US8042425B2 (en) Multi-axis robot for high-speed applications
US7310935B2 (en) Energy guiding device with reduced friction forces
CN208761521U (zh) 螺旋提升机
KR102640865B1 (ko) 증배속 이송이 가능한 벨트형 액츄에이터
US6626630B1 (en) Cartesian robot
US4687213A (en) Wheel assembly for traversing obstacles
JP3045296U (ja) 搬送装置
US5539987A (en) X-Y carriage moving system
EP1894860A2 (en) Automated warehouse and method for controlling stacker crane in automated warehouse
CN205731762U (zh) 一种往复机传动装置
US20230257243A1 (en) Warehouse shuttle
KR101844321B1 (ko) 벨트 2개를 이용하여 2배의 속도를 낼 수 있는 증속 구조의 로봇용 액츄에이터
JP2009061496A (ja) 昇降送り機構及びこれを備えたワーク搬送装置、並びに直動装置
SU1435149A3 (ru) Конвейерн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 перегрузки грузов из судов
CN211392790U (zh) 一种自动化服装流水线的变轨装置
KR100678597B1 (ko) 슬라이드 포크
JP7393781B2 (ja) 布類受け渡し装置とその布類受け渡し装置を有する布類投入装置
JP2001267393A (ja) 搬送ロボット
JP3716962B2 (ja) 容器内物品取扱装置
KR100237299B1 (ko) 원통 좌표 로보트
JP2596923Y2 (ja) 仕分装置
JP2002338026A (ja) ローラチェーンコンベヤの中間部の支持構造
JPH11255319A (ja) ワーク搬送装置
KR20100000456A (ko) 직선이동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