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40458B1 - 선형 지방족 폴리아미드를 포함하는 반투명 중합체 복합체 - Google Patents

선형 지방족 폴리아미드를 포함하는 반투명 중합체 복합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40458B1
KR102640458B1 KR1020180144885A KR20180144885A KR102640458B1 KR 102640458 B1 KR102640458 B1 KR 102640458B1 KR 1020180144885 A KR1020180144885 A KR 1020180144885A KR 20180144885 A KR20180144885 A KR 20180144885A KR 102640458 B1 KR102640458 B1 KR 1026404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ymer composite
core
polyamide
shell
l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448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58370A (ko
Inventor
졘민 양
?캣? 양
우르스 벨츠-비어만
클라우스 휠스만
페이 텅
쥐안 궈
천위 예
지성 왕
카트린 잘비첵
Original Assignee
에보닉 오퍼레이션스 게엠베하
에보닉 스페셜티 케미컬즈 (상하이)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보닉 오퍼레이션스 게엠베하, 에보닉 스페셜티 케미컬즈 (상하이)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에보닉 오퍼레이션스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1900583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583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404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40458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77/00Compositions of polyamide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amide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77/02Polyamides derived from omega-amino carboxylic acids or from lactam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69/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amide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69/02Polyamides derived from amino-carboxylic acids or from polyamines and polycarboxylic aci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7/00Use of ingredients characterised by shape
    • C08K7/02Fibres or whiskers
    • C08K7/04Fibres or whiskers inorganic
    • C08K7/14Glas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04Reinforcing macromolecular compounds with loose or coherent fibrous material
    • C08J5/0405Reinforcing macromolecular compounds with loose or coherent fibrous material with inorganic fibres
    • C08J5/043Reinforcing macromolecular compounds with loose or coherent fibrous material with inorganic fibres with glass fibr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04Reinforcing macromolecular compounds with loose or coherent fibrous material
    • C08J5/06Reinforcing macromolecular compounds with loose or coherent fibrous material using pretreated fibrous materials
    • C08J5/08Reinforcing macromolecular compounds with loose or coherent fibrous material using pretreated fibrous materials glass fibr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77/00Compositions of polyamide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amide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77/00Compositions of polyamide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amide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77/06Polyamides derived from polyamines and polycarboxylic aci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77/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polyamide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amide link in the main chai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1/00Properties
    • C08L2201/10Transparent films; Clear coatings; Transparent materi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3/00Applications
    • C08L2203/20Applications use in electrical or conductive gadge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5/00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 C08L2205/03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containing three or more polymers in a blend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5/00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 C08L2205/12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containing additives being liquid crystalline or anisotropic in the melt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7/00Properties characterising the ingredient of the composition
    • C08L2207/53Core-shell polymer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Reinforced Plastic Materials (AREA)
  • Polyamid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단량체 단위에 평균 10 내지 14 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선형 지방족 반-결정질 폴리아미드, 또는 이의 화합물, S 유리 섬유 및 코어-쉘 충격 개질제를 포함하는 중합체 복합체에 관한 것이다. 중합체 복합체는 투명도를 유의하게 손상시키지 않으면서, 보다 높은 강성 및 충격 강도를 달성할 수 있다. 중합체 복합체는 성형 재료로서 사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선형 지방족 폴리아미드를 포함하는 반투명 중합체 복합체 {SEMI-TRANSPARENT POLYMER COMPOSITE COMPRISING A LINEAR ALIPHATIC POLYAMIDE}
본 발명은 중합체 복합체의 분야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선형 지방족 폴리아미드, S 유리 섬유 및 코어-쉘 충격 개질제를 포함하는 반투명 중합체 복합체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어, PA12 를 기반으로 하는 반투명 폴리아미드는 스포츠화의 아웃솔 (outsole) 을 만들기 위해 사용될 수 있으며, 이의 투명도로 인해, 미드솔 (midsole) 의 디자인 패턴 & 색상이 육안으로 중합체 아웃솔을 통해 보여질 수 있다.
이러한 적용을 위해, 때때로 보다 높은 강성 및 보다 높은 충격 강도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이유로 인해, 보통 유리 섬유 및 충격 개질제를 첨가하여 폴리아미드를 개질시킨다. 그러나, 폴리아미드의 투명도는 보통 손상될 것이다. 미적 관점에서, 기계적 특성을 개선하기 위해 폴리아미드가 개질되는 경우, 투명도를 유지하는 것이 때때로 바람직하다.
US2014066561 은 열가소성 합성물, 섬유형 응집물, 미립자 충전재 및 첨가제로 이루어지는 폴리아미드 성형 화합물을 개시하였고, 여기서 열가소성 합성물은 폴리아미드 혼합물 (예를 들어, 지방족 폴리아미드 및 충격 개질제) 일 수 있고, 섬유형 응집물은 고강도 유리 섬유 (예를 들어, AGY 사제 S-1 및 S-2 유리 섬유) 일 수 있다. 성형 화합물의 투명도는 상기 개시물에서 논의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하나의 목적은, 폴리아미드의 투명도를 유의하게 더 낮추지 않으면서, 반투명 폴리아미드의 강성 및 충격 강도 모두를 개선하는 것이다. 추가의 목적은 높은 가요성을 갖는 조성물을 포함하는 성형품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중합체 복합체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하기를 포함하는 중합체 복합체에 의해 달성된다:
a) 60-97 wt% 의, 단량체 단위에 평균 10 내지 14 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선형 지방족 폴리아미드, 또는 이의 화합물로서, 폴리아미드가 반-결정질 폴리아미드로부터 선택되는 선형 지방족 폴리아미드, 또는 이의 화합물,
b) 하기를 포함하는, 2-30 wt%, 보다 바람직하게는 2-20 wt%, 가장 바람직하게는 3.5-10 wt% 의 S 유리 섬유:
유리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60-66% SiO2, 23-25% Al2O3, 6-11% MgO, 0-9% CaO, 0-0.2% Na2O+K2O, 및 0-0.1% Fe2O3,
c) 하기를 포함하는, 1-10 wt% 의 코어-쉘 충격 개질제:
c1) 60 내지 100 wt% 의 부타디엔 단위 및 0 내지 40 wt% 의 스티렌 단위를 포함하는 코어로서, 코어가 코어-쉘 개질제의 60 내지 95 wt% 를 구성하는 코어; 및
c2) 80 내지 100 wt% 의 메틸 메타크릴레이트 단위 및 0 내지 20 wt% 의 개질 단량체 단위를 포함하는 쉘로서, 쉘이 코어-쉘 개질제의 5 내지 40 wt% 를 구성하는 쉘.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본 발명의 중합체 복합체로 이루어지는 성형 재료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추가의 목적은 본 발명의 성형 재료로부터 제조된 성형품을 제공하는 것이다.
a) 에 따른 선형 지방족 반-결정질 폴리아미드는 개별 단량체 단위에 평균 10 내지 14 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다. 상기 폴리아미드는 디아민 및 디카르복실산의 조합, ω-아미노카르복실산 및/또는 상응하는 락탐으로부터 제조가능하다. 따라서, 논의되는 단량체 단위는 락탐, ω-아미노카르복실산, 디아민 또는 디카르복실산 유래의 단위이다.
적합한 폴리아미드는, 적합한 공단량체 선택을 기반으로, 단량체 단위가 평균 10 내지 14 개의 탄소 원자를 포함한다는 조건을 따르는 코폴리아미드, 예를 들어 라우로락탐, 데칸디아민 및 도데칸디오산으로 구성된 코폴리아미드 (코-PA12/1012) 를 추가로 포함한다.
이용된 a) 에 따른 성분이 또한 적절한 폴리아미드의 화합물일 수 있고, 충분한 상호 양립가능성이 유리하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본 발명의 반-결정질 폴리아미드는, 용융 피크의 적분 및 10 K/min 의 가열 속도로의 2 번째 가열 단계에서 ISO 11357 에 따른 DSC 방법에 의해 측정된 융해 엔탈피 (enthalpy of fusion) 가 4 내지 25 J/g 이다. 대조적으로, 무정형 폴리아미드는 용융 피크의 적분 및 2 번째 가열 단계에서 ISO 11357 에 따른 DSC 방법에 의해 측정된 융해 엔탈피가 4 J/g 미만이다.
바람직하게는, a) 에 따른 선형 지방족 폴리아미드는 개별 단량체 단위에 평균 10 내지 12 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다. 하기 폴리아미드가 예로서 적합하다:
- 평균 10 개의 탄소 원자: PA10, PA1010, PA812, PA128, PA614, PA146
- 평균 11 개의 탄소 원자: PA11, PA1012, PA1210, PA913, PA139, PA814, PA148, PA616
- 평균 12 개의 탄소 원자: PA12, PA1212, PA1113, PA1014, PA1410, PA816, PA618.
바람직하게는, S 유리 섬유는 유리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64-66% SiO2, 24-25% Al2O3, 9.5-10% MgO, 0-0.2% CaO, 0-0.2% Na2O+K2O, 및 0-0.1% Fe2O3 를 포함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S 유리 섬유는 B2O3 및/또는 TiO2 를 포함하지 않는다. 특히 바람직하게는, S 유리 섬유는 추가의 옥시드를 포함하지 않는다.
코어-쉘 개질제는 중량-평균 직경이 20 내지 500 nm,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400 nm, 특히 바람직하게는 40 내지 350 nm, 특히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300 nm 인 입자로 이루어진다. 코어는 비가교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가교된다. 쉘은 비가교 또는 가교될 수 있다. 가교는 둘 이상의 비닐 기를 갖는 화합물, 예를 들어 디비닐벤젠, 에틸렌 글리콜 디메틸아크릴레이트, 트리메타크릴레이트, 트리아크릴레이트, 알릴 아크릴레이트, 알릴 메타크릴레이트, 디알릴 프탈레이트 또는 트리알릴 이소시아누레이트의 첨가에 의해, 제조 중 달성될 수 있다. 쉘은 또한 폴리아미드와 반응할 수 있는 관능기를 갖는 추가의 단량체, 예를 들어 아크릴산, 글리시딜 메타크릴레이트, 말레산 무수물 또는 이타콘산 무수물을 중합에 의해 그 안에 혼입할 수 있다. 중합에 의해 쉘로 혼입될 수 있는 추가의 개질 단량체는 예를 들어 스티렌, 아크릴로니트릴, 아크릴아미드 또는 히드록시에틸 메타크릴레이트이다.
코어 및 쉘 이외에, 코어-쉘 개질제는 또한, 특정한 특성을 달성하기 위해 유리한 경우, 하나 이상의 중간체 쉘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코어-쉘 개질제의 제조는 예를 들어 EP0722961A1 또는 US2009/0149600 에 기재되어 있다. 적합한 유형은 시판된다.
바람직하게는, 코어 c1) 은 임의의 스티렌 단위를 포함하지 않는다.
중합체 복합체 / 성형 재료의 투명도를 가능한 최소한의 정도로만 손상시키기 위해, 하기가 바람직하다:
방법 A 에 의해 DIN EN ISO 489:1999 에 따라 측정된,
a) 에 따른 폴리아미드 성분 및 b) 에 따른 S 유리 섬유의 굴절률 차이는 실온에서 0.01 미만임
및/또는
a) 에 따른 폴리아미드 성분 및 c) 에 따른 코어-쉘 개질제의 굴절률 차이는 실온에서 0.01 미만임.
이러한 굴절률은 방법 A 에 의해 DIN EN ISO 489:1999 에 따라 측정된다 (Zeiss Abbe 모델 A 장비, Schott KL 150 B 램프, 백색 저온 광원). 그러나, 보다 낮은 범위의 입자 크기 (예를 들어 200 nm 미만, 특히 160 nm 미만) 에 대해서는, 심지어 굴절률 차이가 비교적 큰 경우에도 높은 투명도가 유지된다.
바람직하게는, 폴리아미드는 두께 3mm 의 사출 성형 시편 상에서 ASTM D1003 에 따라 측정된, 60%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50% 이하의 헤이즈로 투명하다.
본 발명에 따른 중합체 복합체는 a), b) 및 c) 에 따른 성분 이외에, 구성성분으로서 바람직하게는 투명도를 가능한 최소한의 정도로만 손상시키도록 선택된, 추가의 통상 첨가되는 물질, 예를 들어 난연제, 안정화제, 가소제, 충전제, 나노입자, 대전방지제, 염료, 안료, 이형제 또는 유동 보조제를, 중합체 복합체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10 wt% 이하, 바람직하게는 5 wt% 이하의 총량으로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 따른 중합체는 상기 명시된 구성성분으로 이루어진다.
중합체 복합체는 적합한 혼련기 또는 컴파운딩 기계 상에서의 용융 혼합, 배출 및 분쇄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개질제가 미세 분산 형태로 폴리아미드 매트릭스에 존재하는 다중 상 시스템이 본원에서 고려된다. 용융 혼합은 선행 기술에 따라, 혼련 어셈블리에서 실시되고, 배출은 일반적으로 스트랜드/압출물 형태로 실시되고, 분쇄는 일반적으로 펠렛화, 크러싱 (crushing) 또는 그라인딩 (grinding) 에 의해 실시된다.
중합체 복합체는 바람직하게는 성형 조성물이고, 성형 재료로서 사용될 수 있다.
성형 재료는 사출 성형, 압출, 가압 또는 롤링과 같은 당업자에게 공지된 방법으로 용융 및 성형에 의해 성형품으로 가공될 수 있다.
성형품은 하기 분야 중 하나에서 사용될 수 있다: 전기 장치, 스포츠 품목, 광학 장치, 위생 및 청결 품목, 하우스홀드 장치, 정보통신 기술, 자동차 기술, 에너지 및 드라이브 기술, 기계 공학, 의료 장치.
본 발명은 이하의 실시예에 의해 자세히 설명된다.
실시예
하기 재료를 참조예, 실시예 (E1 내지 E3) 및 비교예 (CE1 내지 CE6) 에서 이용하였다:
폴리아미드 1: VESTAMID LX9012, 반-결정질 PA12 성형 조성물, Evonik Resource Efficiency GmbH 에서 시판됨;
폴리아미드 2: TROGAMID CX9704 nc, 비스(4-아미노시클로헥실)메탄 및 도데칸디오산으로부터 제조된 무정형 PA PACM12, Evonik Resource Efficiency GmbH 에서 시판됨;
CS7974: E-유리 섬유, Lanxess 에서 시판됨;
ECS301HP: E-유리 섬유, CPIC 에서 시판됨;
AGY 544: 하기 조성을 갖는 S-2 유리 섬유: 64-66% SiO2, 24-25% Al2O3, 0-0.2% CaO, 9.5-10% MgO, 0-0.2% Na2O + K2O 및 0-0.1% Fe2O3, AGY 에서 시판됨;
Exxelor VA1803: 말레산-무수물-그래프트된 에틸렌/프로필렌 고무의 충격 개질제, Exxon Mobil 에서 시판됨;
Paraloid EXL-2690: 단지 부타디엔 단위만 검출가능하고 스티렌 단위는 검출가능하지 않은 약 80 wt% 정도의 코어 및 본질적으로 메틸 메타크릴레이트 단위로 구성된 약 20 wt% 정도의 쉘로 구성되도록, 분석에 의해 보여진, 코어-쉘 공중합체의 충격 개질제, Dow 에서 시판됨.
용융 혼합물을 Coperion ZSK-26mc 동시-회전 2축 압출기에서 제조하고, 배출하고, 펠렛화하여, 표 1 에 제시된 레시피에 따른 중합체 복합체를 수득하였고, 이때 폴리아미드 및 충격 개질제는 건조 블렌딩하고, 압출기의 메인 포트로 공급한 후, 250℃ 에서 혼합하였고, 유리 섬유는 측면 공급기를 통해 압출기로 공급하였다.
펠렛 형태의 중합체 복합체를 사출 성형기 Engel VC 650/200 (용융 온도 240℃; 성형 온도 60℃) 상에서 가공하여, 기계적 성능 시험을 위한 샘플을 제조하였다.
온도 (23±2)℃, 상대 습도 (50±10)% 에서, ISO 인장 샘플, 유형 1A, 170mm×10mm×4mm 에 대해, ISO 527 에 따라 Zwick Z020 materials 시험 시스템으로 탄성 인장 모듈러스, 항복 인장 응력 및 파단 인장 응력을 측정하였다.
온도 (23±2)℃, 상대 습도 (50±10)% 에서, 두 말단부를 잘라낸 인장 샘플 ISO 527 유형 1A, 80mm×10mm×4mm 에 대해, ISO 179/1eA (Charpy) 에 따라, CEAST Resil Impactor 6967.000 로 노치 충격 강도 (Notched impact strength) 를 측정하였다.
온도 (23±2)℃, 상대 습도 (50±10)% 에서, 인장 샘플 ISO 527 유형 1A 170mm×10mm×4mm 에 대해, ISO 868 에 따라, Time group 쇼어 D 경도 시험기 TH210 로 경도 (쇼어 D) 를 측정하였다.
펠렛 형태의 중합체 복합체를 사출 성형기 Engel VC 650/200 (용융 온도 270℃; 성형 온도 50℃) 상에서 추가 가공하여, 헤이즈 값 시험을 위한 샘플을 제조하였다.
3mm 두께의 크기 55mm×30mm 의 플레이트에 대해, ASTM D1003 (CIE C 일루미넌트 (illuminant)) 에 따라, KONICA MINOLTA 사제 분광광도계 CM-3600d 로 23℃ 에서 헤이즈 값을 측정하고, 헤이즈 값을 퍼센트로 표기하였다.
온도 (23±2)℃, 상대 습도 (50±10)% 에서, Ross 플렉스 (flex) 샘플 150mm×20mm×2mm 에 대해, 굽힘 각도 0°-60°-0°에서 200,000 회전 동안, Lab Tech LAB-F2000 저온 Ross 플렉스 시험기로 Ross 플렉스 시험을 측정하였다.
전체 결과를 표 1 에 나타낸다.
표 1: 레시피 및 성능
굴절률 (RT) 참조예: 1.520
굴절률 (RT) AGY 544: 1.521
굴절률 (RT) Paraloid EXL 2690: 1.514
유리 섬유 및 충격 개질제 (CE1-4) 의 다른 조합에 비해, S 유리 섬유 및 코어-쉘 충격 개질제 (E1) 를 갖는 중합체 복합체는 훨씬 덜 감소된 헤이즈 값을 보인다. 참조예에 비해, E1 은 높은 가요성을 유지하면서, 유의하게 개선된 인장 모듈러스 및 노치 충격 강도를 보인다.

Claims (10)

  1. 하기를 포함하는 중합체 복합체:
    a) 60-97 wt% 의, 단량체 단위에 평균 10 내지 14 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선형 지방족 폴리아미드로서, 폴리아미드가 반-결정질 폴리아미드로부터 선택되는 선형 지방족 폴리아미드,
    b) 하기를 포함하는, 2-20 wt% 의 S 유리 섬유:
    유리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60-66% SiO2, 23-25% Al2O3, 6-11% MgO, 0-9% CaO, 0-0.2% Na2O+K2O, 및 0-0.1% Fe2O3,

    c) 하기를 포함하는, 1-10 wt% 의 코어-쉘 충격 개질제:
    c1) 60 내지 100 wt% 의 부타디엔 단위 및 0 내지 40 wt% 의 스티렌 단위를 포함하는 코어로서, 코어가 코어-쉘 충격 개질제의 60 내지 95 wt% 를 구성하는 코어; 및
    c2) 80 내지 100 wt% 의 메틸 메타크릴레이트 단위 및 0 내지 20 wt% 의 개질 단량체 단위를 포함하는 쉘로서, 쉘이 코어-쉘 충격 개질제의 5 내지 40 wt% 를 구성하는 쉘,
    이때, a), b) 및 c) 의 wt% 는 중합체 복합체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함.
  2. 제 1 항에 있어서, 폴리아미드가 PA10, PA1010, PA812, PA128, PA614, PA146, PA11, PA1012, PA1210, PA913, PA139, PA814, PA148, PA616, PA12, PA1212, PA1113, PA1014, PA1410, PA816 및 PA618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중합체 복합체.
  3. 제 1 항에 있어서, S 유리 섬유가 유리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64-66% SiO2, 24-25% Al2O3, 9.5-10% MgO, 0-0.2% CaO, 0-0.2% Na2O+K2O, 및 0-0.1% Fe2O3 를 포함하는 중합체 복합체.
  4. 제 1 항에 있어서, S 유리 섬유가 B2O3 및/또는 TiO2 를 포함하지 않거나, S 유리 섬유가 추가의 옥시드를 포함하지 않는 중합체 복합체.
  5. 제 1 항에 있어서, DIN EN ISO 489:1999 의 방법 A 에 따라 측정된,
    a) 에 따른 폴리아미드 성분 및 b) 에 따른 S 유리 섬유의 굴절률 차이가 실온에서 0.01 미만이고/이거나,
    a) 에 따른 폴리아미드 성분 및 c) 에 따른 코어-쉘 충격 개질제의 굴절률 차이가 실온에서 0.01 미만인 중합체 복합체.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아미드가 두께 3mm 의 사출 성형 시편 상에서 ASTM D1003 에 따라 측정된, 60% 이하 또는 50% 이하의 헤이즈로 투명한 중합체 복합체.
  7. 제 1 항에 있어서, 난연제, 안정화제, 가소제, 유리 섬유, 충전제, 나노입자, 대전방지제, 염료, 안료, 이형제 또는 유동 보조제를, 중합체 복합체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10 wt% 이하 또는 5 wt% 이하의 총량으로 추가로 포함하는 중합체 복합체.
  8. 제 1 항에 있어서, 명시된 구성성분으로 이루어지는 중합체 복합체.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중합체 복합체로 이루어지는 성형 재료.
  10. 제 9 항에 따른 성형 재료로부터 제조된 성형품으로서, 하기 분야 중 하나에서의 사용을 위한 성형품:
    전기 장치, 스포츠 품목, 광학 장치, 위생 및 청결 품목, 하우스홀드 장치, 정보통신 기술, 자동차 기술, 에너지 및 드라이브 기술, 기계 공학, 의료 장치.
KR1020180144885A 2017-11-21 2018-11-21 선형 지방족 폴리아미드를 포함하는 반투명 중합체 복합체 KR10264045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PCT/CN2017/112078 2017-11-21
PCT/CN2017/112078 WO2019100198A1 (en) 2017-11-21 2017-11-21 Semi-transparent polymer composite comprising a linear aliphatic polyamid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8370A KR20190058370A (ko) 2019-05-29
KR102640458B1 true KR102640458B1 (ko) 2024-02-23

Family

ID=644267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44885A KR102640458B1 (ko) 2017-11-21 2018-11-21 선형 지방족 폴리아미드를 포함하는 반투명 중합체 복합체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10844222B2 (ko)
EP (1) EP3486287B1 (ko)
JP (1) JP7321698B2 (ko)
KR (1) KR102640458B1 (ko)
CN (1) CN109929240B (ko)
TW (1) TWI822710B (ko)
WO (1) WO201910019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2017433464B2 (en) 2017-09-27 2021-04-01 Evonik Specialty Chemicals (Shanghai) Co., Ltd. Tough polyamide moulding material
FR3108615B1 (fr) * 2020-03-24 2022-12-02 Arkema France Compositions a mouler renforcees avec des fibres de verre ayant des proprietes choc ameliorees
CN111748201A (zh) * 2020-07-28 2020-10-09 横店集团得邦工程塑料有限公司 一种高强玻纤增强pa6复合材料及其制备方法
FR3116281B1 (fr) * 2020-11-19 2023-11-03 Arkema France Compositions de moulage transparentes à base de polyamides, de modifiant choc et de fibres de verre courtes et leurs utilisations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42082A (ja) 2003-07-04 2005-02-17 Mitsubishi Rayon Co Ltd 熱可塑性樹脂組成物
CN101684195A (zh) 2008-09-25 2010-03-31 旭玻璃纤维股份有限公司 非晶性聚酰胺树脂组合物及成形品
WO2014042071A1 (ja) 2012-09-14 2014-03-20 三菱エンジニアリングプラスチックス株式会社 熱可塑性樹脂組成物、樹脂成形品、及びメッキ層付樹脂成形品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495324A (en) * 1983-10-24 1985-01-22 Allied Corporation Glass reinforced polyamide composition containing acrylic core/shell polymer
JPS60104157A (ja) * 1983-10-24 1985-06-08 アライド・コーポレーシヨン アクリル質コア/外皮ポリマーを含むガラス強化ポリアミド組成物
US5534594A (en) 1994-12-05 1996-07-09 Rohm And Haas Company Preparation of butadiene-based impact modifiers
DE602005022494D1 (de) 2004-11-22 2010-09-02 Arkema Inc Schlagzäh modifizierte thermoplastische harzzusammensetzung
JP5384801B2 (ja) * 2007-04-19 2014-01-08 三菱エンジニアリングプラスチックス株式会社 黒色のレーザー溶着用ポリアミド樹脂組成物およびこれを用いた成形品
JP5313521B2 (ja) 2008-03-03 2013-10-09 ユニチカ株式会社 樹脂組成物およびそれを成形してなる成形体
US8252707B2 (en) * 2008-12-24 2012-08-28 Ocv Intellectual Capital, Llc Composition for high performance glass fibers and fibers formed therewith
EP2454319A4 (en) * 2009-07-17 2015-08-26 Arkema Inc POLYCARBONATE / POLYAMIDE OR POLYCARBONATE / POLYESTER COMPOSITIONS WITH MODIFIED IMPACT
EP2423263A1 (de) * 2010-08-27 2012-02-29 Ems-Patent Ag Polyamidformmasse und daraus hergestellte Gegenstände
PL2703436T3 (pl) * 2012-08-28 2017-07-31 Ems-Patent Ag Poliamidowa masa formierska i jej stosowanie
EP2886606B1 (de) * 2013-12-20 2017-11-15 Ems-Patent Ag Kunststoffformmasse und deren Verwendung
FR3027908B1 (fr) * 2014-11-04 2018-05-11 Arkema France Composition a base de polyamide transparent et resistance aux impacts
CN105199381A (zh) * 2015-11-10 2015-12-30 聚威工程塑料(上海)有限公司 一种高透光玻纤增强的聚酰胺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42082A (ja) 2003-07-04 2005-02-17 Mitsubishi Rayon Co Ltd 熱可塑性樹脂組成物
CN101684195A (zh) 2008-09-25 2010-03-31 旭玻璃纤维股份有限公司 非晶性聚酰胺树脂组合物及成形品
WO2014042071A1 (ja) 2012-09-14 2014-03-20 三菱エンジニアリングプラスチックス株式会社 熱可塑性樹脂組成物、樹脂成形品、及びメッキ層付樹脂成形品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1930466A (zh) 2019-08-01
EP3486287A1 (en) 2019-05-22
EP3486287B1 (en) 2020-07-29
TWI822710B (zh) 2023-11-21
US10844222B2 (en) 2020-11-24
CN109929240A (zh) 2019-06-25
BR102018073897A2 (pt) 2019-06-18
US20190153221A1 (en) 2019-05-23
CN109929240B (zh) 2023-03-14
JP7321698B2 (ja) 2023-08-07
WO2019100198A1 (en) 2019-05-31
KR20190058370A (ko) 2019-05-29
JP2019094492A (ja) 2019-06-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40458B1 (ko) 선형 지방족 폴리아미드를 포함하는 반투명 중합체 복합체
CN111344355B (zh) 基于线型脂肪族聚酰胺的聚合物组合物
TWI790208B (zh) 強韌的聚醯胺模製材料
CN113795550B (zh) 聚酰胺组合物
TWI816700B (zh) 韌性聚醯胺模塑材料
JP7494214B2 (ja) ポリアミド組成物
BR102018073897B1 (pt) Compósito polimérico, material de moldagem e artigo moldado produzido a partir de material de moldag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