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40276B1 - 욕창 방지용 베드 - Google Patents

욕창 방지용 베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40276B1
KR102640276B1 KR1020210113159A KR20210113159A KR102640276B1 KR 102640276 B1 KR102640276 B1 KR 102640276B1 KR 1020210113159 A KR1020210113159 A KR 1020210113159A KR 20210113159 A KR20210113159 A KR 20210113159A KR 102640276 B1 KR102640276 B1 KR 1026402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fting
bed
patient
preventing bedsores
flu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131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30914A (ko
Inventor
조근열
박진세
김해유
박강민
온철원
Original Assignee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101131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40276B1/ko
Publication of KR202300309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309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402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40276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05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beds
    • A61G7/057Arrangements for preventing bed-sores or for supporting patients with burns, e.g. mattr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1G7/0573Arrangements for preventing bed-sores or for supporting patients with burns, e.g. mattr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with mattress frames having alternately movable par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0/00Head -, foot -, or like rests for beds, sofas or the like
    • A47C20/08Head -, foot -, or like rests for beds, sofas or the like with means for adjusting two or more rests simultaneousl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002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having adjustable mattress frame
    • A61G7/008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having adjustable mattress frame tiltable around longitudinal axis, e.g. for roll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002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having adjustable mattress frame
    • A61G7/015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having adjustable mattress frame divided into different adjustable sections, e.g. for Gatch posi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002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having adjustable mattress frame
    • A61G7/018Control or drive mechanis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2200/00Information related to the kind of patient or his position
    • A61G2200/30Specific positions of the patient
    • A61G2200/32Specific positions of the patient ly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2203/0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 A61G2203/1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characterised by specific control means, e.g. for adjustment or steer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2203/0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 A61G2203/7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with special adaptations, e.g. for safety or comfor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rsing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Invalid Beds And Related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욕창 방지 베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움직임에 제약이 따르거나 장기 와상 환자들에게서 발생되는 욕창을 방지하기 위해 매트리스에 누워있는 환자의 신체 전체 또는 좌측과 우측을 선택적으로 또는 다리 부분에서 머리 부분 또는 머리 부분에서 다리 부분 방향으로 순차 상승시켜, 선택적 자세 변경 또는 마사지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욕창 방지 베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욕창 방지용 베드{Bed to prevent pressure sore}
본 발명은 욕창 방지 베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움직임에 제약이 따르거나 장기 와상 환자들에게서 발생되는 욕창을 방지하기 위해 매트리스에 누워있는 환자의 신체 전체 또는 좌측과 우측을 선택적으로 또는 다리 부분에서 머리 부분 또는 머리 부분에서 다리 부분 방향으로 순차 상승시켜, 선택적 자세 변경 또는 마사지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욕창 방지 베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욕창(褥瘡)은 오래 병상에 누워지내는 환자의 피부 및 피부 밑 조직이 계속 눌려서, 혈액 순환이 제대로 되지 않아 짓무르거나 하는 병을 칭한다.
이러한 욕창은 상기와 같이 병상에 오래 누워 있는 환자의 피부가 괴사하여 염증이 발생하는 질병으로서, 침대에 누워 있는 환자의 신체 일부가 장시간 동안 침대의 면에 접촉하여 계속 압박을 받을 경우 발생한다.
이와 같이 신체의 일부가 장시간 압박을 받을 경우, 그 부위의 피부에 혈액의 순환이 원활하지 않고 또한 공기가 잘 통하지 않아 피부의 괴사가 일어나고 욕창이 된다.
종래에 다양한 욕창 방지 또는 예방용 침대가 소개되어 있는데, 그물망을 구비하여 통풍을 원활하게 하는 것(공개특허 제10-2001-0001177호 ; 이하 문헌 1), 침대의 상판을 이루는 평판과 요철판이 교대로 승강하여 신체와의 접촉부위를 변경시켜 주는 것(공개특허 제10-2003-0020162호 ; 이하 문헌 2), 침대의 바닥으로 공기를 분사하여 공기의 유통을 좋게 하는 것(등록특허 제10-0476513호 ; 이하 문헌 3)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상기 문헌 1은 첨부 도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침대본체(10)와 매트리스(1)로 된 침대에 있어서, 침대본체(10)의 하부에는 승강수단(20)을 구비하고, 매트리스(1)의 상부에는 승강틀(30)이 위치하며, 그 양측에는 각각의 가이드관(40)을 입설하고, 일측 가이드관(40)의 사이에는 컨트롤러(50) 및 송풍팬(60)을 부착 형성하되, 승강수단(20)은 모터(21)와 권취롤러(22)(22')로 되며, 승강틀(30)은 사각의 파이프상 프레임(31)(31')의 내부공간에 망체(32)가 형성되어 있고, 이를 승강수단(20)과 로프(2)에 의해 연결하며, 가이드관(40)의 하부에는 절곡부(41)를 가지며, 그 상부에는 가이드롤러(42)(42')를 내입한 안내부(43)를 결합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욕창방지용 환자침대이다.
상기와 같은 문헌 1은 망체(32)를 매트리스(1)로부터 상승시키고, 매트리스(1)와 망체(32) 사이로 송풍팬(60)을 통해 공기를 불어 넣어 통기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나, 환자가 망체(32) 상에 장시간 누워 있게 되면 눌림에 의해 통증을 느끼게 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통기성을 통해 땀의 배출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은 가능하나, 욕창의 경우 장시간 피부 눌림이나 혈액 순환이 이루어지지 않는 것이 주된 발생 요인이므로, 이를 해결하지 못하여 욕창 발생을 완벽히 방지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문헌 2는 첨부 도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한 형상으로 이루어진 다수개의 관통공이 형성되어 지지부재에 의해 고정 설치되는 상판(床板)인 평판과, 다수 개의 돌기가 상면에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평판과 교대로 승강동작시 평판의 관통공에 끼움 결합되도록 평판의 저면에 설치되는 요철판과, 모터와 동력전달수단에 의해 회전되어 상기 상판 및 요철판을 승강동작시키기 위해 요철판의 저면에 다수개가 설치되는 편심캠과, 상기 평판 및 요철판의 승강동작을 위한 승강조작부가 구비된 욕창방지용 침대에 있어서, 상기 평판과 요철판이 상승위치에서 일정시간동안 상승유지 상태가 동시에 지속될 수 있도록 상기 편심캠은 평판과 요철판의 상승상태를 유지시키는 접선변위가 하강과 상승이 이루어지는 접선변위의 합보다 크게 형성된 비대칭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욕창방지용 침대이다.
상기와 같은 문헌 2는 평판에 형성된 다수의 관통공으로 요철판의 요철이 상승하여, 누워 있는 환자의 신체를 평판으로부터 들어올려 평판과 환자의 신체 사이에 공간을 형성함으로써 통풍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으나, 이 역시 통기성을 통해 땀의 배출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은 가능하나, 욕창의 경우 장시간 피부 눌림이나 혈액 순환이 이루어지지 않는 것이 주된 발생 요인이므로, 이를 해결하지 못하여 욕창 발생을 완벽히 방지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 한편, 문헌 3과 같은 공기 유통식의 경우 환자가 전혀 기동을 못할 경우에는 장시간 침대와 접촉하여 눌린 신체 부위로는 공기가 잘 공급되지 못하여 욕창 예방효과가 반감되는 문제점이 있다.
현재 이러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 해결이 요구되고 있을 뿐 아니라, 환자의 등이나 엉덩이 다리의 뒤쪽 또는 뒷머리 부분 등에서 주로 발생하는 욕창을 고려할 때, 해당 부분에 대해 주기적인 자세 변경과 마사지를 통해 욕창을 방지하는 기술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 해결과 요구사항을 고려하여 창출된 것으로, 움직임에 제약이 따르거나 장기 와상 환자들에게서 발생되는 욕창을 방지하기 위해 매트리스에 누워있는 환자의 신체 전체 또는 좌측과 우측을 선택적으로 또는 다리 부분에서 머리 부분 또는 머리 부분에서 다리 부분 방향으로 순차 상승시켜, 선택적 자세 변경 또는 마사지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욕창 방지 베드를 제공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 달성을 위한 본 발명은 매트리스(1) 상부면 중, 환자가 눕는 길이 방향을 따라 좌우에 각각 배열되는 다열의 좌우승강부(11L)(11R); 상기 다열의 좌우승강부(11L)(11R) 각각에 대해 구동력을 제공하여, 승강을 유도하는 승강구동부(12); 상기 승강구동부(12)의 동작을 제어하여, 상기 다열의 좌우승강부(11L)(11R)가 환자의 신체 전체 또는 좌측과 우측을 선택적으로 또는 다리 부분에서 머리 부분 또는 머리 부분에서 다리 부분 방향으로 순차 승강시키면서 자세 변경 또는 마사지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제어부(13); 를 포함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 중 상기 좌우승강부(11L)(11R)는 환자가 눕는 길이 방향을 따라 선단부가 간격을 두고 교차 위치하도록 지그재그로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좌우승강부(11L)(11R)는 환자가 눕는 길이 방향을 따라 선단부가 인접 또는 접하도록 좌우에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좌우승강부(11L)(11R) 각각은 매트리스(1) 상에서, 상기 승강구동부(12)로부터 각각 독립적으로 제공되는 구동력에 의해 승강하면서, 환자의 신체에 직접 작용하는 승강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좌우승강부(11L)(11R)는 승강구동부(12)에서 구동력으로 유체가 공급되는 것에 의해 상향 팽창하고, 유체 회수에 의해 원상태로 귀환하는 장축과 단축을 갖는 튜브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튜브체는 길이 방향 전체가 동일 높이로 팽창 승강 및 수축 하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튜브체는 매트리스(1) 외향 단부에서 내향 단부로 가면서 하향 경사지게 팽창 승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튜브체는 매트리스(1) 외향 단부에서 내향 단부로 가면서 상향 경사지게 팽창 승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튜브체는 매트리스(1) 외향 단부에서 내향 단부로 가면서 점진적으로 두께가 두꺼워져, 외향 단부 방향이 유체에 상대적으로 쉽게 반응하면서 더 높게 팽창 승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p
본 발명의 상기 좌우승강부(11L)(11R)는 매트리스(1)가 절결된 부위에 동일 높이로 위치하는 장축과 단축을 갖는 승강블록(11a)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좌우승강부(11L)(11R)는 매트리스(1)가 절결된 부위에 동일 높이로 위치하는 장축과 단축을 갖는 승강블록(11a); 상기 승강블록(11a)의 하방에고정되어, 상기 승강구동부(12)의 구동력에 의해 승강블록(11a)을 승강시키는 승강체(11b);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승강블록(11a)은 경질의 베이스플레이트 상에 마련되는 쿠션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승강체(11b)는 승강구동부(12)에서 유체가 공급되는 것에 의해 상향 팽창하고, 유체 회수에 의해 원상태로 귀환하는 장축과 단축을 갖는 튜브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튜브체는 길이 방향 전체가 동일 높이 또는 양단이 높이차를 갖도록 경사지게 팽창 승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승강체(11b)는 승강구동부(12)에서 유체가 공급되는 것에 의해 피스톤 동작하는 실린더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승강체(11b)는 승강블록(11a)의 하부 중간 부분에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승강체(11b)는 승강블록(11a)의 하부 일측 단 부분에 치우쳐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좌승강부(11L)와 우승강부(11R)의 내향 단부는 환자의 머리 방향으로 비스듬히 경사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좌승강부(11L)와 우승강부(11R)의 내향 단부는 환자의 발 방향으로 비스듬히 경사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 중 상기 승강구동부(12)는 좌우승강부(11L)(11R)에 각각 연결된 배관을 통해 제어부(13)의 제어신호에 따라 저장된 유체를 공급하거나 공급된 유체를 회수하는 유체공급수단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유체공급수단은 제어부(13)의 제어신호에 의해 개폐단속되는 밸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승강구동부(12)는 매트리스(1)가 안치되는 하방의 베드프레임에 고정되어, 상기 제어부(13)의 제어신호에 의해 구동하는 모터에 의해 정회전 또는 역회전하는 기어(피니언); 상기 매트리스(1) 하부면에 수직 고정되어, 상기 기어와 치합된 상태에서 수직 상승 또는 하강하는 랙기어;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 중 상기 제어부(13)는 조작수단을 통해 사전에 설정된 동작모드에 따라, 상기 좌우승강부(11L)(11R)가 환자의 신체 전체 또는 좌측과 우측을 선택적으로 또는 다리 부분에서 머리 부분 또는 머리 부분에서 다리 부분 방향으로 순차 승강시키면서 자세 변경 또는 마사지가 이루어지도록 승강구동부(12)로 제어신호를 전달하는 알고리즘 내지 프로그램이 탑재된 마이크로프로세서를 포함한 제어회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과제해결수단에 의한 본 발명은 환자가 눕는 길이 방향을 따라 매트리스(1) 좌우에 각각 배열되는 상기 좌우승강부(11L)(11R)의 내향 선단부가 간격을 두고 교차 위치하도록 지그재그로 배열되어, 상기 좌우승강부(11L)(11R) 전체가 상승되었을 때, 환자의 무게 중심이 집중되는 상체 부분 즉, 머리와 경추에서 흉추와 요추에 이르는 척추 부분을 상기 좌우승강부(11L)(11R)의 교차하는 중간 부분이 견고히 지지한 상태에서 좌승강부(11L) 각각과 우승강부(11R) 각각의 간격진 부분을 통해 통풍이 원활히 이루어지도록 하는 효과를 얻는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좌우승강부(11L)(11R)는 환자가 눕는 길이 방향을 따라 선단부가 인접 또는 접하도록 좌우에 일직선으로 배열됨으로써, 환자의 신체 좌우를 불규칙하지 않고 대칭적으로 균일하게 지지하며, 그러한 상태에서 좌승강부(11L) 각각과 우승강부(11R) 각각의 간격진 부분을 통해 통풍이 원활히 이루어지도록 함은 물론, 환자의 신체 전체 또는 좌측과 우측을 선택적으로 또는 다리 부분에서 머리 부분 또는 머리 부분에서 다리 부분 방향으로 순차적인 자세 변경 또는 마사지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효과를 얻는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좌승강부(11L)와 우승강부(11R)의 내향 단부가 환자의 머리 방향으로 비스듬히 경사 배열되거나, 내향 단부가 환자의 발 방향으로 비스듬히 경사 배열되어, 유체가 공급되는 것에 의해 상기 좌우승강부(11L)(11R)의 팽창하는 방향이 환자의 신체 외곽 측에서 내측 방향으로 쓸어올리거나 쓸어내리는 것과 같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마사지 자극 효과가 증대되도록 하는 효과를 얻는다.
또한, 본 발명은 유체에 의해 팽창 수축하는 튜브체인 상기 승강체(11b)가 승강블록(11a)을 승강시키도록 하여 상기 승강블록(11a)이 승강하면서 환자의 신체에 직접 작용하도록 함으로써, 상기 좌우승강부(11L)(11R) 전체가 튜브체로 이루어진 구조에 비해 환자 신체에 대한 승강 지지력과 자극력을 증대시키는 효과를 얻는다.
도 1은 종래 욕창방지용 침대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종래 욕창방지용 침대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인 베드의 구성을 간략히 도시한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인 베드의 구성을 좀 더 구체적으로 도시한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 중 좌우승강부의 배열 상태(각도)를 도시한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 중 좌우승강부의 배열 상태(각도)를 도시한 평면도.
도 7의 a), b), c)는 본 발명 중 좌우승강부가 동일 높이로 승강하는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
도 8의 a), b), c)는 본 발명 중 좌우승강부가 높이 차이를 보이며 경사지게 승강하는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
도 9의 a), b), c)는 본 발명 중 좌우승강부의 다른 구성예를 도시한 부분 단면도.
도 10의 a), b)는 본 발명 중 좌우승강부의 또 다른 구성예를 도시한 부분 단면도.
이와 같이 제시한 첨부 도면 도 3 내지 도 11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인 욕창 방지용 베드(10)는 첨부 도면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매트리스(1) 상부면 중, 환자가 눕는 길이 방향을 따라 좌우에 각각 배열되는 다열의 좌우승강부(11L)(11R); 상기 다열의 좌우승강부(11L)(11R) 각각에 대해 구동력을 제공하여, 승강을 유도하는 승강구동부(12); 상기 승강구동부(12)의 동작을 제어하여, 상기 다열의 좌우승강부(11L)(11R)가 환자의 신체 전체 또는 좌측과 우측을 선택적으로 또는 다리 부분에서 머리 부분 또는 머리 부분에서 다리 부분 방향으로 순차 승강시키면서 자세 변경 또는 마사지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제어부(13); 를 포함하여서 된 것일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 중 상기 좌우승강부(11L)(11R)는 환자가 눕는 길이 방향을 따라 선단부가 간격을 두고 교차 위치하도록 지그재그로 배열되는 것일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상기 좌우승강부(11L)(11R) 각각은 매트리스(1) 상에서, 상기 승강구동부(12)로부터 각각 독립적으로 제공되는 구동력에 의해 승강하면서, 환자의 신체에 직접 작용하는 승강체인 것일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첨부 도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좌승강부(11L)와 우승강부(11R)의 내향 단부가 환자의 머리 방향으로 비스듬히 경사 배열되는 것일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 도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좌승강부(11L)와 우승강부(11R)의 내향 단부가 환자의 발 방향으로 비스듬히 경사 배열되는 것일 수도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상기 좌우승강부(11L)(11R)는 매트리스(1)가 절결된 부위에 동일 높이로 위치하는 장축과 단축을 갖는 승강블록(11a)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 중 상기 승강구동부(12)는 좌우승강부(11L)(11R)에 각각 연결된 배관을 통해 제어부(13)의 제어신호에 따라 저장된 유체를 공급하거나 공급된 유체를 회수하는 유체공급수단인 것일 수 있다.
또 한편, 본 발명 중 상기 제어부(13)는 조작수단을 통해 사전에 설정된 동작모드에 따라, 상기 좌우승강부(11L)(11R)가 환자의 신체 전체 또는 좌측과 우측을 선택적으로 또는 다리 부분에서 머리 부분 또는 머리 부분에서 다리 부분 방향으로 순차 승강시키면서 자세 변경 또는 마사지가 이루어지도록 승강구동부(12)로 제어신호를 전달하는 알고리즘 내지 프로그램이 탑재된 마이크로프로세서를 포함한 제어회로인 것일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을 실시예의 구성에 따른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기본적으로 첨부 도면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매트리스(1) 상부면 중, 환자가 눕는 길이 방향을 따라 좌우에 각각 배열되는 다열의 좌우승강부(11L)(11R); 상기 다열의 좌우승강부(11L)(11R) 각각에 대해 구동력을 제공하여, 승강을 유도하는 승강구동부(12); 상기 승강구동부(12)의 동작을 제어하여, 상기 다열의 좌우승강부(11L)(11R)가 환자의 신체 전체 또는 좌측과 우측을 선택적으로 또는 다리 부분에서 머리 부분 또는 머리 부분에서 다리 부분 방향으로 순차 승강시키면서 자세 변경 또는 마사지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제어부(13); 를 포함하여서 된 욕창 방지용 베드(10)이다.
여기서, 본 발명 중 상기 좌우승강부(11L)(11R)는 환자가 눕는 길이 방향을 따라 선단부가 간격을 두고 교차 위치하도록 지그재그로 배열되는 것을 배열적 부분에서 바람직한 일 실시예로 제시한다.
이와 같이, 환자가 눕는 길이 방향을 따라 매트리스(1) 좌우에 각각 배열되는 상기 좌우승강부(11L)(11R)의 내향 선단부가 간격을 두고 교차 위치하도록 지그재그로 배열됨으로써, 상기 좌우승강부(11L)(11R) 전체가 상승되었을 때, 환자의 무게 중심이 집중되는 상체 부분 즉, 머리와 경추에서 흉추와 요추에 이르는 척추 부분을 상기 좌우승강부(11L)(11R)의 교차하는 중간 부분이 견고히 지지하며, 그러한 상태에서 좌승강부(11L) 각각과 우승강부(11R) 각각의 간격진 부분을 통해 통풍이 원활히 이루어지도록 함은 물론, 환자의 신체 전체 또는 좌측과 우측을 선택적으로 또는 다리 부분에서 머리 부분 또는 머리 부분에서 다리 부분 방향으로 순차적인 자세 변경 또는 마사지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좌우승강부(11L)(11R)는 환자가 눕는 길이 방향을 따라 선단부가 인접 또는 접하도록 좌우에 일직선으로 배열되는 것도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상기 좌우승강부(11L)(11R)는 환자가 눕는 길이 방향을 따라 선단부가 인접 또는 접하도록 좌우에 일직선으로 배열됨으로써, 환자의 신체 좌우를 불규칙하지 않고 대칭적으로 균일하게 지지하며, 그러한 상태에서 좌승강부(11L) 각각과 우승강부(11R) 각각의 간격진 부분을 통해 통풍이 원활히 이루어지도록 함은 물론, 환자의 신체 전체 또는 좌측과 우측을 선택적으로 또는 다리 부분에서 머리 부분 또는 머리 부분에서 다리 부분 방향으로 순차적인 자세 변경 또는 마사지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본 발명은 첨부 도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좌승강부(11L)와 우승강부(11R)의 내향 단부가 환자의 머리 방향으로 비스듬히 경사 배열되는 것도 바람직하며, 첨부 도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좌승강부(11L)와 우승강부(11R)의 내향 단부가 환자의 발 방향으로 비스듬히 경사 배열되는 것도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되면, 유체가 공급되는 것에 의해 좌우승강부(11L)(11R)의 팽창하는 방향이 환자의 신체 외곽 측에서 내측 방향으로 쓸어올리거나 쓸어내리는 것과 같이 이루어짐으로써, 마사지 자극 효과가 증대되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본 발명의 상기 좌우승강부(11L)(11R) 각각은 매트리스(1) 상에서, 상기 승강구동부(12)로부터 각각 독립적으로 제공되는 구동력에 의해 승강하면서, 환자의 신체에 직접 작용하는 승강체이다.
이때, 본 발명의 상기 좌우승강부(11L)(11R)는 승강구동부(12)에서 구동력으로 유체가 공급되는 것에 의해 상향 팽창하고, 유체 회수에 의해 원상태로 귀환하는 장축과 단축을 갖는 튜브체인 것을 일 실시예로 제시한다.
이때, 상기 튜브체는 길이 방향 전체가 동일 높이로 팽창 승강 및 수축 하강하는 것을 일 실시예로 제시하며, 이에 대해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자면, 첨부 도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다.
즉, 첨부 도면 도 7의 a)에서와 같이 제어부(13)의 제어신호에 따라 우측의 승강구동부(12)가 유체를 매트리스(1) 우측에 배열된 우승강부(11R)로 공급하게 되면, 상기 우승강부(11R)가 동일 높이로 팽창 상승함에 따라, 환자의 신체 우측이 들리도록 하여 자세 변경 또는 통풍이 이루어지도록 유도하거나, 환자의 다리 부분에서 머리 부분 또는 머리 부분에서 다리 부분 방향으로 순차적인 승강을 통해 환자의 신체 우측에 대해 마사지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또한, 첨부 도면 도 7의 b)에서와 같이 제어부(13)의 제어신호에 따라 좌측의 승강구동부(12)가 유체를 매트리스(1) 좌측에 배열된 좌승강부(11L)로 공급하게 되면, 상기 좌승강부(11L)가 동일 높이로 팽창 상승함에 따라, 환자의 신체 좌측이 들리도록 하여 자세 변경 또는 통풍이 이루어지도록 유도하거나, 환자의 다리 부분에서 머리 부분 또는 머리 부분에서 다리 부분 방향으로 순차적인 승강을 통해 환자의 신체 좌측에 대해 마사지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또한, 첨부 도면 도 7의 c)에서와 같이 제어부(13)의 제어신호에 따라 좌측과 우측의 승강구동부(12)가 유체를 매트리스(1) 좌측과 우측에 배열된 좌우승강부(11L)(11R)로 각각 공급하게 되면, 상기 좌우승강부(11L)(11R)가 동일 높이로 팽창 상승함에 따라, 환자의 신체 전체가 들리도록 하여 자세 변경 또는 이루어지도록 유도하거나, 환자의 다리 부분에서 머리 부분 또는 머리 부분에서 다리 부분 방향으로 순차적인 승강을 통해 환자의 신체 전체에 대해 마사지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때 또한, 상기 튜브체는 매트리스(1) 외향 단부에서 내향 단부로 가면서 하향 경사지게 팽창 승강하는 것과, 매트리스(1) 외향 단부에서 내향 단부로 가면서 상향 경사지게 팽창 승강하는 것을 다른 실시예로 제시한다.
이러한 상기 튜브체는 매트리스(1) 외향 단부에서 내향 단부로 가면서 점진적으로 두께가 두꺼워져, 외향 단부 방향이 유체에 상대적으로 쉽게 반응하면서 더 높게 팽창 승강하는 것을 바람직한 실시예로 한다.
이때, 상기 튜브체가 매트리스(1) 외향 단부에서 내향 단부로 가면서 하향 경사지게 팽창 승강하는 것에 대해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자면, 첨부 도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다.
즉, 첨부 도면 도 8의 a)에서와 같이 제어부(13)의 제어신호에 따라 우측의 승강구동부(12)가 유체를 매트리스(1) 우측에 배열된 우승강부(11R)로 공급하게 되면, 상기 매트리스(1) 외향 단부에서 내향 단부로 가면서 점진적으로 두께가 두꺼워지는 우승강부(11R)의 외향 단부 방향이 유체에 상대적으로 쉽게 반응하면서 더 높게 팽창하여 경사지게 팽창하는 것에 의해, 환자의 신체 우측이 우승강부(11R)의 경사면을 따라 안정적으로 들리도록 하여 자세 변경 또는 통풍이 이루어지도록 유도하거나, 환자의 다리 부분에서 머리 부분 또는 머리 부분에서 다리 부분 방향으로 순차적인 승강을 통해 환자의 신체 우측에 대해 마사지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또한, 첨부 도면 도 8의 b)에서와 같이 제어부(13)의 제어신호에 따라 좌측의 승강구동부(12)가 유체를 매트리스(1) 좌측에 배열된 좌승강부(11L)로 공급하게 되면, 상기 매트리스(1) 외향 단부에서 내향 단부로 가면서 점진적으로 두께가 두꺼워지는 좌승강부(11L)의 외향 단부 방향이 유체에 상대적으로 쉽게 반응하면서 더 높게 팽창하여 경사지게 팽창하는 것에 의해, 환자의 신체 좌측이 좌승강부(11L)의 경사면을 따라 안정적으로 들리도록 하여 자세 변경 또는 통풍이 이루어지도록 유도하거나, 환자의 다리 부분에서 머리 부분 또는 머리 부분에서 다리 부분 방향으로 순차적인 승강을 통해 환자의 신체 좌측에 대해 마사지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또한, 첨부 도면 도 8의 c)에서와 같이 제어부(13)의 제어신호에 따라 좌측과 우측의 승강구동부(12)가 유체를 매트리스(1) 좌측과 우측에 배열된 좌우승강부(11L)(11R)로 공급하게 되면, 상기 매트리스(1) 외향 단부에서 내향 단부로 가면서 점진적으로 두께가 두꺼워지는 좌우승강부(11L)(11R)의 외향 단부 방향이 유체에 상대적으로 쉽게 반응하면서 더 높게 팽창하여 경사지게 팽창하는 것에 의해, 환자의 신체 중 팔을 포함한 외측 방향 부분은 들리고 신체 중간 부분은 자중에 의해 하향 위치하게 되고, 이러한 동작이 반복되면 스트레칭 작용이 이루어짐은 물론 통풍이 이루어지도록 유도하고, 환자의 다리 부분에서 머리 부분 또는 머리 부분에서 다리 부분 방향으로 순차적인 승강을 통해 환자의 신체 우측에 대해 마사지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상기 좌우승강부(11L)(11R)는 첨부 도면 도 9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매트리스(1)가 절결된 부위에 동일 높이로 위치하는 장축과 단축을 갖는 승강블록(11a)을 포함하는 것을 다른 실시예로 제시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좌우승강부(11L)(11R)는 매트리스(1)가 절결된 부위에 동일 높이로 위치하는 장축과 단축을 갖는 승강블록(11a); 상기 승강블록(11a)의 하방에 고정되어, 상기 승강구동부(12)의 구동력에 의해 승강블록(11a)을 승강시키는 승강체(11b);를 포함하는 것을 또 다른 실시예로 제시한다.
이때, 상기 승강블록(11a)은 경질의 베이스플레이트 상에 마련되는 쿠션체인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승강체(11b)는 승강구동부(12)에서 유체가 공급되는 것에 의해 상향 팽창하고, 유체 회수에 의해 원상태로 귀환하는 장축과 단축을 갖는 튜브체인 것을 일실시예로 제시한다.
이때, 상기 튜브체는 첨부 도면 도 9의 b)에서와 같이 길이 방향 전체가 동일 높이 또는 첨부 도면 도 9의 c)에서와 같이 양단이 높이차를 갖도록 경사지게 팽창 승강하는 것을 일실시예로 예시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좌우승강부(11L)(11R) 전체가 튜브체로 이루어져, 공급되는 유체에 의해 팽창 수축하면서 승강을 통해 환자의 신체에 직접 작용하지 않고, 상기 좌우승강부(11L)(11R)가 유체에 의해 팽창 수축하는 튜브체인 승강체(11b)가 승강블록(11a)을 승강시키도록 하여 상기 승강블록(11a)이 승강하면서 환자의 신체에 직접 작용하도록 함으로써, 상기 좌우승강부(11L)(11R) 전체가 튜브체로 이루어진 구조에 비해 환자 신체에 대한 승강 지지력과 자극력을 증대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이때 또한, 상기 승강체(11b)는 첨부 도면 도 10의 a),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승강구동부(12)에서 유체가 공급되는 것에 의해 피스톤 동작하는 실린더인 것을 다른 실시예로 제시한다.
이때, 상기 승강체(11b)는 승강블록(11a)의 하부 중간 부분에 연결된 것을 일실시예로 제시하나, 상기 승강체(11b)는 승강블록(11a)의 하부 일측 단 부분에 치우쳐 연결되는 것도 바람직하다.
상기에서, 승강체(11b)가 승강블록(11a)의 하부 중간 부분에 연결되면, 도 10의 a)에서와 같이, 승강블록(11a)이 수직 방향으로 상승 하강되도록 하고, 상기 승강체(11b)가 승강블록(11a)의 하부 일측 단 부분에 치우쳐 연결되면, 도 10의 b)에서와 같이, 승강체(11b)가 위치한 부분을 들어올려서 승강블록(11a)이 경사지게 상승 하강되도록 하며, 이때, 상기 승강체(11b)가 승강블록(11a)의 하부 일측 단 부분에 치우쳐 연결되는 구조에서는 승강블록(11a)의 타측 단은 매트리스(1)와 축 결합되어 회전 중심이 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 중 상기 승강구동부(12)는 좌우승강부(11L)(11R)에 각각 연결된 배관을 통해 제어부(13)의 제어신호에 따라 저장된 유체를 공급하거나 공급된 유체를 회수하는 유체공급수단인 것을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시하며, 이때, 본 발명의 상기 유체공급수단은 제어부(13)의 제어신호에 의해 개폐단속되는 전자밸브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되면, 상기 제어부(13)의 제어신호에 따라 승강구동부(12)가 동작하여 유체를 좌우승강부(11L)(11R) 측으로 공급함에 있어, 상기 제어부(13)가 전자밸브를 개방시켜 유체의 흐름이 진행되도록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본 발명의 상기 승강구동부(12)는 매트리스(1)가 안치되는 하방의 베드프레임에 고정되어, 상기 제어부(13)의 제어신호에 의해 구동하는 모터에 의해 정회전 또는 역회전하는 기어(피니언); 상기 매트리스(1) 하부면에 수직 고정되어, 상기 기어와 치합된 상태에서 수직 상승 또는 하강하는 랙기어; 를 포함하는 것도 바람직하며, 이에 대한 구체적인 도면 설명은 생략한다.
또 한편, 본 발명 중 상기 제어부(13)는 조작수단을 통해 사전에 설정된 동작모드에 따라, 상기 좌우승강부(11L)(11R)가 환자의 신체 전체 또는 좌측과 우측을 선택적으로 또는 다리 부분에서 머리 부분 또는 머리 부분에서 다리 부분 방향으로 순차 승강시키면서 자세 변경 또는 마사지가 이루어지도록 승강구동부(12)로 제어신호를 전달하는 알고리즘 내지 프로그램이 탑재된 마이크로프로세서를 포함한 제어회로인 것을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시한다.
이상, 본 발명을 본 발명의 원리를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하고 도시하였지만, 본 발명은 그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그 밖에도, 첨부된 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과 균등물들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
10 : 욕창 방지용 베드 11L, 11R : 좌우승강부
11a : 승강블록 11b : 승강체
12 : 승강구동부 13 : 제어부
1 : 매트리스

Claims (22)

  1. 매트리스(1) 상부면 중, 환자가 눕는 길이 방향을 따라 좌우에 각각 배열되는 다열의 좌우승강부(11L)(11R);
    상기 다열의 좌우승강부(11L)(11R) 각각에 대해 구동력을 제공하여, 승강을 유도하는 승강구동부(12);
    상기 승강구동부(12)의 동작을 제어하여, 상기 다열의 좌우승강부(11L)(11R)가 환자의 신체 전체 또는 좌측과 우측을 선택적으로 또는 다리 부분에서 머리 부분 또는 머리 부분에서 다리 부분 방향으로 순차 승강시키면서 자세 변경 또는 마사지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제어부(13); 를 포함하고,
    상기 좌우승강부(11L)(11R)는,
    상기 승강구동부(12)에서 구동력으로 유체가 공급되는 것에 의해 상향 팽창하고, 유체 회수에 의해 원상태로 귀환하는 장축과 단축을 갖는 튜브체이고,
    상기 튜브체는,
    상기 매트리스(1) 외향 단부에서 내향 단부로 가면서 하향 경사지게 팽창 승강하며,
    상기 튜브체는,
    상기 매트리스(1) 외향 단부에서 내향 단부로 가면서 점진적으로 두께가 두꺼워져, 외향 단부 방향이 유체에 상대적으로 쉽게 반응하면서 더 높게 팽창 승강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욕창 방지용 베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좌우승강부(11L)(11R)는,
    환자가 눕는 길이 방향을 따라 선단부가 간격을 두고 교차 위치하도록 지그재그로 배열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욕창 방지용 베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좌우승강부(11L)(11R)는,
    환자가 눕는 길이 방향을 따라 선단부가 인접 또는 접하도록 좌우에 배열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욕창 방지용 베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좌우승강부(11L)(11R)는,
    상기 승강구동부(12)로부터 각각 독립적으로 제공되는 구동력에 의해 승강하면서, 환자의 신체에 직접 작용하는 승강체인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욕창 방지용 베드.
  5. 삭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튜브체는,
    길이 방향 전체가 동일 높이로 팽창 승강 및 수축 하강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욕창 방지용 베드.
  7. 삭제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튜브체는,
    상기 매트리스(1) 외향 단부에서 내향 단부로 가면서 상향 경사지게 팽창 승강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욕창 방지용 베드.
  9. 삭제
  10.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튜브체는,
    상기 매트리스(1) 내향 단부에서 외향 단부로 가면서 점진적으로 두께가 두꺼워져, 내향 단부 방향이 유체에 상대적으로 쉽게 반응하면서 더 높게 팽창 승강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욕창 방지용 베드.
  11.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좌우승강부(11L)(11R)는,
    상기 매트리스(1)가 절결된 부위에 동일 높이로 위치하는 장축과 단축을 갖는 승강블록(11a)을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욕창 방지용 베드.
  1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좌우승강부(11L)(11R)는,
    상기 매트리스(1)가 절결된 부위에 동일 높이로 위치하는 장축과 단축을 갖는 승강블록(11a);
    상기 승강블록(11a)의 하방에고정되어, 상기 승강구동부(12)의 구동력에 의해 승강블록(11a)을 승강시키는 승강체(11b);를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욕창 방지용 베드.
  13. 청구항 11 또는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승강블록(11a)은,
    경질의 베이스플레이트 상에 마련되는 쿠션체인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욕창 방지용 베드.
  14.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승강체(11b)는,
    상기 승강구동부(12)에서 유체가 공급되는 것에 의해 상향 팽창하고, 유체 회수에 의해 원상태로 귀환하는 장축과 단축을 갖는 튜브체인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욕창 방지용 베드.
  15.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승강체(11b)는,
    상기 승강구동부(12)에서 유체가 공급되는 것에 의해 피스톤 동작하는 실린더인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욕창 방지용 베드.
  16.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승강체(11b)는,
    상기 승강블록(11a)의 하부 중간 부분에 연결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욕창 방지용 베드.
  17.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승강체(11b)는,
    상기 승강블록(11a)의 하부 일측 단 부분에 치우쳐 연결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욕창 방지용 베드.
  1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좌승강부(11L)와 우승강부(11R)의 내향 단부는,
    환자의 머리 방향으로 비스듬히 경사 배치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욕창 방지용 베드.
  1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좌승강부(11L)와 우승강부(11R)의 내향 단부는,
    환자의 발 방향으로 비스듬히 경사 배치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욕창 방지용 베드.
  2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승강구동부(12)는,
    상기 좌우승강부(11L)(11R)에 각각 연결된 배관을 통해 제어부(13)의 제어신호에 따라 저장된 유체를 공급하거나 공급된 유체를 회수하는 유체공급수단인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욕창 방지용 베드.
  21. 청구항 20에 있어서,
    상기 유체공급수단은,
    상기 제어부(13)의 제어신호에 의해 개폐단속되는 밸브를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욕창 방지용 베드.
  2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13)는,
    조작수단을 통해 사전에 설정된 동작모드에 따라, 상기 좌우승강부(11L)(11R)가 환자의 신체 전체 또는 좌측과 우측을 선택적으로 또는 다리 부분에서 머리 부분 또는 머리 부분에서 다리 부분 방향으로 순차 승강시키면서 자세 변경 또는 마사지가 이루어지도록 승강구동부(12)로 제어신호를 전달하는 알고리즘 내지 프로그램이 탑재된 마이크로프로세서를 포함한 제어회로인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욕창 방지용 베드.
KR1020210113159A 2021-08-26 2021-08-26 욕창 방지용 베드 KR1026402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3159A KR102640276B1 (ko) 2021-08-26 2021-08-26 욕창 방지용 베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3159A KR102640276B1 (ko) 2021-08-26 2021-08-26 욕창 방지용 베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30914A KR20230030914A (ko) 2023-03-07
KR102640276B1 true KR102640276B1 (ko) 2024-02-22

Family

ID=855128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13159A KR102640276B1 (ko) 2021-08-26 2021-08-26 욕창 방지용 베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40276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529651A (ja) * 2005-02-08 2008-08-07 ダイナミック スリーピング システムス インターナショナル ホールディング ベー.フェー. 臥位サポートを備えるベッドおよび寝た状態の位置を動的に支持する方法
KR101099062B1 (ko) 2009-02-10 2011-12-26 주식회사 콤슨테크놀러지 평활한 신체 접촉면을 갖는 욕창예방용 매트리스
KR101810594B1 (ko) 2015-11-26 2018-01-25 울산대학교 산학협력단 욕창방지와 혈전예방을 위한 환자용 매트리스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34656Y2 (ko) * 1988-12-19 1993-09-02
KR20110083167A (ko) * 2010-01-13 2011-07-20 최광훈 기능성 침대
KR101117323B1 (ko) * 2010-04-19 2012-03-20 주식회사 영원메디칼 욕창 방지용 자세 조절 매트리스
KR20180088541A (ko) * 2017-01-26 2018-08-06 경운대학교 산학협력단 욕창방지침대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529651A (ja) * 2005-02-08 2008-08-07 ダイナミック スリーピング システムス インターナショナル ホールディング ベー.フェー. 臥位サポートを備えるベッドおよび寝た状態の位置を動的に支持する方法
KR101099062B1 (ko) 2009-02-10 2011-12-26 주식회사 콤슨테크놀러지 평활한 신체 접촉면을 갖는 욕창예방용 매트리스
KR101810594B1 (ko) 2015-11-26 2018-01-25 울산대학교 산학협력단 욕창방지와 혈전예방을 위한 환자용 매트리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30914A (ko) 2023-03-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699566A (en) Sickbed
ES2692801T3 (es) Somier y cama provista de dicho somier, donde el somier dispone de medios de masaje
JPH02213347A (ja) 少なくとも部分的にキーボード形の休息面を持っているベッド
KR101318724B1 (ko) 지능형 케어를 위한 가변 침상
KR20130039988A (ko) 욕창방지용 전동침대
KR101264030B1 (ko) 환자용 침대
KR200214428Y1 (ko) 병상
EP2666451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eventing pressure ulcers
JPH078523A (ja) 床ずれ防止装置を設けたベッド
KR102640276B1 (ko) 욕창 방지용 베드
KR101223769B1 (ko) 다수의 세그먼트로 이루어진 의료용 침대
TWM578158U (zh) Bed frame structure
RU99967U1 (ru) Медицинская противопролежневая кровать "волна-1"
CN112370268B (zh) 多功能重症护理病床
KR200472053Y1 (ko) 침상판이 3교대로 작동하는 유압식 승하강장치
JP2936385B2 (ja) ベッド面変形自在ベッド
CZ20806U1 (cs) Antidekubitní lužko
CN211214002U (zh) 一种用于icu病人翻身装置
JP3306769B2 (ja) 看護病床
KR100477551B1 (ko) 욕창방지용 침대
CN2367296Y (zh) 按摩床
JP6681955B2 (ja) 姿勢変更器具
KR101632118B1 (ko) 통증완화를 위한 욕창방지용 침상
JP2504890Y2 (ja) 治療用ベッド
KR102437399B1 (ko) 욕창 방지용 베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