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83167A - 기능성 침대 - Google Patents

기능성 침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83167A
KR20110083167A KR1020100003245A KR20100003245A KR20110083167A KR 20110083167 A KR20110083167 A KR 20110083167A KR 1020100003245 A KR1020100003245 A KR 1020100003245A KR 20100003245 A KR20100003245 A KR 20100003245A KR 20110083167 A KR20110083167 A KR 201100831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t
mattress
partial
functional bed
divid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032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광훈
Original Assignee
최광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광훈 filed Critical 최광훈
Priority to KR10201000032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83167A/ko
Priority to PCT/KR2011/000255 priority patent/WO2011087300A2/ko
Publication of KR201100831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8316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05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beds
    • A61G7/057Arrangements for preventing bed-sores or for supporting patients with burns, e.g. mattr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1G7/0573Arrangements for preventing bed-sores or for supporting patients with burns, e.g. mattr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with mattress frames having alternately movable par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rs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Invalid Beds And Related Equipment (AREA)

Abstract

기능성 침대가 개시된다. 본 발명은 침대의 매트리스를 세로로 구분하여 승강 또는 하강하거나, 또는 침대의 매트리스를 가로로 구분하여 높낮이 각도를 조절함으로써 수면장애의 가장 큰 원인인 코골이와 수면무호흡증 환자의 수면자세를 바꾸어 코골이와 수면무호흡증을 개선하고, 침대의 매트리스 중앙에 변기부를 구비함으로써 중증환자의 배변을 돕는다.

Description

기능성 침대{FUNCTIONAL BED}
본 발명은 기능성 침대에 관한 것으로, 특히 수면 장애를 갖고 있는 사람들의 코골이, 수면무호흡증과 이갈이 환자의 이갈이를 방지하여 숙면을 취할 수 있도록 돕고, 중증 와상 상태의 환자나 장애인의 욕창발생을 예방하도록 돕는 기능성 침대에 관한 것이다.
수면 장애의 가장 큰 원인은 코골이와 수면무호흡증이다. 습관적 코골이는 고혈압을 야기하는 주요 요인의 하나로서, 고혈압이 없는 사람이 코만 골아도 고혈압이 생길 가능성이 1.5배 높아진다는 연구 결과도 있었다. 이는 코를 곤다는 증상 자체만으로도 교감신경이 자극돼 숙면을 취하지 못하게 되고, 이 피로감이 주간에도 높은 혈압을 유지시키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습관적 코골이는 고혈압뿐만 아니라 뇌, 신경계, 순환계 등에도 악영향을 끼친다. 코골이와 만성기관지염의 상관관계도 매우 강해서 코골이 증상이 심각한 사람들은 만성기관지염의 위험이 더욱 높아진다. 코를 골게 되면 떨림현상으로 기도가 감염되고, 수면무호흡증으로 이어져 전신감염이 만성기관지염을 유발한다. 즉, 코골이는 만성기관지염 뿐만 아니라 수면무호흡증으로 이어지면 고혈압, 심근경색, 협심증 등의 심혈관계 질환이나 당뇨, 뇌졸증 등의 성인병에 영향을 준다. 또한, 수면무호흡증은 남성의 경우에 발기부전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특히 중증 와상 상태의 환자나 장애인은 양상지 및 양하지의 운동기능이 상실되어 스스로 앉거나 돌아누울 수 없어 본인이 원하는 체위로 변경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중증 와상 상태의 환자나 장애인은 근위축성측삭경화증(루게릭병), 진행성근위축증(근육병), 운동기능실조증에 의한 뇌병변(소뇌위축증), 뇌졸증, 경흉추손상으로 인한 척수장애 등이 있으며, 척수장애, 뇌졸증을 제외한 유형은 감각기능은 살아있어 온냉 및 압통에 민감하게 반응하는 특성이 있다. 이러한 중증 와상 상태의 환자나 장애인은 질병 및 장애 특성상 체위 변경의 불가능으로 특정부위의 계속적인 압력으로 인해 병변, 국소허혈, 즉 조직으로 가는 혈액 공급이 부족해서 기저조직의 손상으로 욕창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장기간의 와상 상태는 장연동기능 부족과 소화기능 저하로 인한 소화흡수율을 떨어뜨려 부적절한 영양 상태로 이어지고, 흉부 및 전신은 중력의 영향으로 흉부가 얇아지는 현상을 초래하여 신체변형으로 이어질 수 있다.
한편, 중증 와상 상태의 환자나 장애인은 침대에서 거의 대부분의 시간을 보내기 때문에, 취침이나 휴식 이외에도 배변에 어려움이 있다. 중증 와상 상태의 환자나 장애인은 배변 시에도 항상 간병인이나 보호자가 옆에서 도와야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수면 장애인이나 환자들의 숙면을 도울 수 있는 기능성 침대를 제공함에 일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침대의 매트리스를 세로로 구분하여 승강 또는 하강시킴으로써 사용자의 수면 체위를 변경하도록 하는 기능성 침대를 제공함에 다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침대의 매트리스를 세로로 구분하여 설치된 구동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자동으로 구동시킴으로써 타인의 도움이 없이 사용자의 자세 및 체위를 변경하도록 하는 기능성 침대를 제공함에 다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침대의 매트리스를 가로로 구분하여 높낮이 각도를 조절함으로써 사용자의 숙면이나 휴식, 배변을 도울 수 있는 기능성 침대를 제공함에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침대는, 복수의 부분매트로 구분된 매트리스와, 상기 부분매트의 하단에 각각 연결되고, 상기 부분매트를 상승 또는 하강하는 복수의 구동부와, 제어신호를 출력하여 상기 구동부를 개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구동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매트리스는, 세로로 구분되어 하나 이상의 상기 부분매트를 형성하거나, 또는 가로로 구분되어 하나 이상의 상기 부분매트를 형성한다.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침대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매트리스의 기준 위치를 설정하고, 상기 기준위치를 근거로 상기 부분매트가 상승 또는 하강하도록 하는 상기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부분매트를 상승시키는 상승신호, 상기 부분매트를 하강시키는 하강신호, 상기 매트리스를 기준 위치에 정렬시키는 정렬신호 중 하나 이상의 상기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침대는, 외부 명령을 입력받아 상기 제어부에 전달하는 입력부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입력부는, 상기 제어부가 제어 신호를 출력하여 상기 구동부를 구동하도록 하는 타이머나, 또는 음성인식 센서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침대에 있어서, 상기 매트리스는, 상부매트와 하부매트로 구분되고, 상기 상부매트와 상기 하부매트 사이에 중부매트가 형성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침대는, 상기 중부매트의 하단에 변기부가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침대에 있어서, 상기 상부매트 또는 상기 하부매트는, 일측 위치가 고정되고, 타측만이 상승 또는 하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침대에 있어서, 상기 매트리스는, 좌부매트와 우부매트로 구분된다. 여기서, 상기 좌부매트와 상기 우부매트는, 상기 매트리스 면의 수직축과 일정 각도를 이루면서 상승 또는 하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라 수면장애의 가장 큰 원인인 코골이와 수면무호흡증 환자의 수면자세를 바꾸어 코골이와 수면무호흡증을 개선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 이갈이 환자의 이갈이의 가장 큰 원인인 수면자세를 자동으로 바꾸어 이갈이를 개선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체위 변경이 가능한 기능성 침대는 24시간 간병부담으로 인한 가족 및 보호자(개호인)의 소진을 예방할 수 있고, 나아가 간병비의 부담을 줄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침대는 사용자의 압통을 느끼기 전에 구동하도록 함으로써 가족이나 보호자의 도움없이 취침 시 숙면을 취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침대는 타이머나, 또는 인식 센서로 구동부를 구동하도록 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시간에 체위변경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타인의 의존으로부터 벗어날 수 있고, 독립적인 생활이 가능하도록 돕는다.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침대는 코골이 또는 이갈이 발생 순간에 체위변경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코골이 또는 이갈이를 예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침대는 타이머나, 또는 음성 인식 센서를 통해 구동부를 구동하여 부분매트들을 동작시킴으로써 욕창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기능성 침대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침대에서 매트리스가 세로로 구분된 형태를 보인 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침대에서 매트리스가 가로로 구분된 형태를 보인 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침대에서 매트리스가 가로 및 세로로 구분된 형태를 보인 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침대의 입력부의 일 예를 도시한 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침대의 구동 장치의 일 예를 도시한 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예에 따른 기능성 침대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침대의 변기부의 일 예를 도시한 도;
도 10 내지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침대의 승강 또는 하강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침대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침대는, 복수의 부분매트로 구분된 매트리스(10)와, 상기 부분매트의 하단에 각각 연결되고, 상기 부분매트를 상승 또는 하강하는 복수의 구동부(20)와, 제어신호를 출력하여 상기 구동부를 개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구동하는 제어부(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매트리스(10)는, 세로로 구분되어 하나 이상의 상기 부분매트(10a, 10b)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매트리스(10)는, 좌부매트(10a)와 우부매트(10b)로 구분된다.
또한, 상기 매트리스(10)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로로 구분되어 하나 이상의 부분매트(11, 12)를 형성한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매트리스(10)는, 상부매트(11)와 하부매트(12)로 구분되고, 상기 상부매트와 상기 하부매트 사이에 중부매트(13)가 형성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매트리스(10)는 세로로 구분되고(10a, 10b), 가로로 더 구분될 수 있다(11a, 11b, 12a, 12b, 13a, 13b).
상기 제어부(30)는, 상기 매트리스의 기준 위치를 설정하고, 상기 기준위치를 근거로 상기 부분매트가 상승 또는 하강하도록 하는 상기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30)는, 상기 부분매트를 상승시키는 상승신호, 상기 부분매트를 하강시키는 하강신호, 상기 매트리스를 기준 위치에 정렬시키는 정렬신호 중 하나 이상의 상기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상기 부분매트들(11a, 11b, 12a, 12b, 13a, 13b)은 상기 제어신호에 따라 상승 또는 하강하는데, 상기 부분매트의 상승 또는 하강은 개별적으로 이루어지거나, 또는 전체가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침대는, 외부 명령을 입력받아 상기 제어부에 전달하는 입력부(4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입력부(40)는 원격 제어 명령을 전달하는 원격 제어기이다. 이때, 상기 입력부(40)와 상기 제어부(30)는 유무선 통신 방식으로 신호를 송수신한다. 유무선 통신 방식으로는, 적외선 통신, 무선 랜 통신, 블루투스, 알에프 통신, 직렬 통신(RS-232c, 422, 485), 인터넷 등의 통신 방식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입력부(40)는 전원버튼(41)과, 상기 제어부(30)가 정렬신호를 발생하도록 하는 RESET버튼(42), 상부매트, 하부매트, 좌부매트, 우부매트를 상승 또는 하강시키는 명령버튼(43U, 43D, 44U, 44D, 45U, 45D, 46U, 46D)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명령버튼은 부분매트의 수에 따라 다시 설정되도록 추가 또는 삭제될 수 있다. 상기 원격 제어기는 외부 음성을 인식할 수 있는 음성 인식 센서(47)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원격 제어기는 상기 제어부(30)에 타임 스케쥴을 설정할 수 있는 타이머 버튼(48)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침대는 상기 입력부(40), 상기 제어부(30), 상기 구동부(20)가 서로 연동하여 구동된다. 사용자 등은 상기 타이머 버트(48)을 통해 상기 제어부(30)에 타임 스케쥴 등을 설정할 수 있고, 상기 제어부(30)는 상기 설정 값을 입력 받거나, 미리 설정된 시각마다 시각 정보를 발생하는 타이머(31)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입력부(40)는 사용자의 음성 또는 소리를 인식하여 인식 신호를 상기 제어부에 입력하는 음성 인식 센서(47)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등은 상기 타이머를 통해 상기 제어부(30)에 타임 스케쥴을 미리 설정할 수 있는데, 상기 제어부(30)는 상기 타임 스케쥴과 이에 따른 제어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저장유닛(미도시)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타이머(31)는 시각 정보를 지속적으로 발생하여 상기 제어부(30)가 상기 타임 스케쥴에 따라 상기 제어 프로그램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입력부(40)는 음성 인식 센서(48)를 더 포함할 수 있는데, 사용자가 중증 와상 상태의 환자나 장애인인 경우에는, 간단한 손동작조차도 수행하지 못한다. 이러한 경우, 상기 사용자는 상기 음성 인식 센서를 통해 상기 제어부(30)에 명령을 입력하고, 상기 구동부(20)를 구동할 수 있다. 즉, 코골이 또는 이갈이 발생 시 음성 인식 센서(48)가 코골이 또는 이갈이 소리에 감응하여 상기 제어부(30)에 명령을 입력하고, 상기 구동부(20)를 구동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30)에 일정한 기준 값을 설정하고, 상기 음성 인식 센서를 통해 입력된 값과 상기 기준 값을 비교하여, 그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제어부(30)는 상기 구동부(20)에 상기 부분매트들의 상승 또는 하강 동작의 속도를 다르게 하는 제어 신호를 출력한다.
도 5에는 상기 음성 인식 센서(47), 상기 타이머 버튼(48)이 원격 제어기에 포함되어 있고, 도 6에는 원격 제어기, 상기 음성 인식 센서(47), 타이머 버튼(48)이 하나의 입력부(40)에 포함되어 있으나, 이들은 각각 독립적으로 존재할 수 있다.
도 10 내지 도 14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침대의 동작을 설명한다.
도 10 내지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기능성 침대에서, 상기 부분매트들은 수직으로 상승 또는 하강한다. 상기 제어부(30)는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매트리스의 기준 위치를 설정한다. 상기 제어부(30)는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좌부매트(10a)의 하단에 설치된 구동부(20a)에 하강 신호를 전달하여 좌부매트(10a)를 하강한다. 그런 다음, 상기 제어부는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우부매트(10b)의 하단에 설치된 구동부(20b)에 하강 신호를 전달하여 우부매트(10b)를 하강시켜 매트리스 전체를 일정하게 한다. 상기 제어부(30)는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체 매트리스를 상기 기준 위치로 정렬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30)는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먼저 우부매트(10b)의 하단에 설치된 구동부(20b)에 하강 신호를 전달하여 우부매트(10b)를 하강시키고, 상기의 동작을 반복하여 수행할 수 있다. 취침 시에 상부 매트는 상기 기준 위치로부터 약 6cm 상승시키고, 중좌부매트와 중우부매트, 하좌부매트와 하우부매트의 높이차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상기 기준 위치의 수평선으로부터 약 30도의 각도를 이루도록 상승 또는 하강 높이를 결정하는 것이 좋다. 상기 제어부(30)에 의한 매트리스 구동은 상기 타이머(31)로부터 지속적으로 발생한 시각 정보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30)에 의한 매트리스 구동은 상기 음성 인식 센서(47)에 의해 인식된 음성이나 소리 등에 의해 수행될 수 있고, 상기 타이머 버튼(48)을 통해 사용자 등이 설정하거나 미리 프로그램된 타임 스케쥴에 의해서도 수행될 수 있다.
도 7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예에 따른 기능성 침대는, 복수의 부분매트로 구분된 매트리스(10)와, 상기 부분매트의 하단에 각각 연결되고, 상기 부분매트를 상승 또는 하강하는 복수의 구동부(20)와, 제어신호를 출력하여 상기 구동부를 개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구동하는 제어부(30)를 포함하고, 상기 매트리스(10)는, 좌부매트(10a)와 우부매트(10b)로 구분되며, 상기 좌부매트(10a)와 상기 우부매트(10b)는 매트리스 면의 수직축과 일정 각도를 이루면서 상승 또는 하강한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매트리스(10)는, 세로로 구분되어 하나 이상의 상기 부분매트(10a, 10b)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매트리스(10)는, 좌부매트(10a)와 우부매트(10b)로 구분된다.
또한, 상기 매트리스(10)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로로 구분되어 하나 이상의 부분매트(11, 12)를 형성한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매트리스(10)는, 상부매트(11)와 하부매트(12)로 구분되고, 상기 상부매트와 상기 하부매트 사이에 중부매트(13)가 형성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매트리스(10)는 세로로 구분되고(10a, 10b), 가로로 더 구분될 수 있다(11a, 11b, 12a, 12b, 13a, 13b).
상기 제어부(30)는, 상기 매트리스의 기준 위치를 설정하고, 상기 기준위치를 근거로 상기 부분매트가 상승 또는 하강하도록 하는 상기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30)는, 상기 부분매트를 상승시키는 상승신호, 상기 부분매트를 하강시키는 하강신호, 상기 매트리스를 기준 위치에 정렬시키는 정렬신호 중 하나 이상의 상기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상기 부분매트들(11a, 11b, 12a, 12b, 13a, 13b)은 상기 제어신호에 따라 상승 또는 하강하는데, 상기 부분매트의 상승 또는 하강은 개별적으로 이루어지거나, 또는 전체가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침대는, 외부 명령을 입력받아 상기 제어부에 전달하는 입력부(4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입력부(40)는 원격 제어 명령을 전달하는 원격 제어기이다. 이때, 상기 입력부(40)와 상기 제어부(30)는 유무선 통신 방식으로 신호를 송수신한다. 유무선 통신 방식으로는, 적외선 통신, 무선 랜 통신, 블루투스, 알에프 통신, 직렬 통신(RS-232c, 422, 485), 인터넷 등의 통신 방식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입력부(40)는 전원버튼(51)과, 상기 제어부(30)가 정렬신호를 발생하도록 하는 RESET버튼(52), 상부매트, 하부매트, 좌부매트, 우부매트를 상승 또는 하강시키는 명령버튼(43U, 43D, 44U, 44D, 45U, 45D, 46U, 46D)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명령버튼은 부분매트의 수에 따라 다시 설정되도록 추가 또는 삭제될 수 있다. 상기 원격 제어기는 외부 음성을 인식할 수 있는 음성 인식 센서(47)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원격제어기는 상기 제어부(30)에 타임 스케쥴을 설정할 수 있는 타이머 버튼(48)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침대는 상기 입력부(40), 상기 제어부(30), 상기 구동부(20)가 서로 연동하여 구동된다. 사용자 등은 상기 타이머 버트(48)을 통해 상기 제어부(30)에 타임 스케쥴 등을 설정할 수 있고, 상기 제어부(30)는 상기 설정 값을 입력 받거나, 미리 설정된 시각마다 시각 정보를 발생하는 타이머(31)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입력부(40)는 사용자의 음성 또는 소리를 인식하여 인식 신호를 상기 제어부에 입력하는 음성 인식 센서(47)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등은 상기 타이머 버튼을 통해 상기 제어부(30)에 타임 스케쥴을 미리 설정할 수 있는데, 상기 제어부(30)는 상기 타임 스케쥴과 이에 따른 제어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저장유닛(미도시)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타이머(31)는 시각 정보를 지속적으로 발생하여 상기 제어부(30)가 상기 타임 스케쥴에 따라 상기 제어 프로그램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입력부(40)는 음성 인식 센서(48)를 더 포함할 수 있는데, 사용자가 중증 와상 상태의 환자나 장애인인 경우에는, 간단한 손동작조차도 수행하지 못한다. 이러한 경우, 상기 사용자는 상기 음성 인식 센서를 통해 상기 제어부(30)에 명령을 입력하고, 상기 구동부(20)를 구동할 수 있다. 즉, 코골이 또는 이갈이 발생 시 음성 인식 센서(48)가 코골이 또는 이갈이 소리에 감응하여 상기 제어부(30)에 명령을 입력하고, 상기 구동부(20)를 구동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30)에 일정한 기준 값을 설정하고, 상기 음성 인식 센서를 통해 입력된 값과 상기 기준 값을 비교하여, 그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제어부(30)는 상기 구동부(20)에 상기 부분매트들의 상승 또는 하강 동작의 속도를 다르게 하는 제어 신호를 출력한다.
도 6에는 원격 제어기, 상기 음성 인식 센서(47), 타이머 버튼(48)이 하나의 입력부(40)에 포함되어 있으나, 이들은 각각 독립적으로 존재할 수 있다.
도 7를 참조하면, 매트리스의 중심선을 기준으로 상기 좌부매트(10a)와 상기 우부매트(10b)는 고정되고, 상기 제어부(30)의 제어 신호에 따라 매트리스의 기준 위치로부터 일정 각만큼 사선으로 상승하거나, 상기 기준 위치로 하강한다. 물론 상기 부분매트들은 상기 기준 위치로부터 또 다른 각도만큼 하강할 수도 있다. 상기 일정 각은 상기 기준 위치로부터 약 30도인 것이 좋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예에 따른 기능성 침대는, 복수의 부분매트로 구분된 매트리스(10)와, 상기 부분매트의 하단에 각각 연결되고, 상기 부분매트를 상승 또는 하강하는 복수의 구동부(20)와, 제어신호를 출력하여 상기 구동부를 개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구동하는 제어부(30)를 포함하고, 상기 매트리스(10)는 상부매트(11)와 하부매트(12)로 구분되며, 상기 상부매트(11) 또는 상기 하부매트(12)의 일측은 고정되고, 타측만이 상승 또는 하강한다. 상기에서 언급한 예들과 중복되는 설명은, 그에 갈음하고, 이하 생략한다.
상기 일 예에 따른 기능성 침대에서는, 상기 부분매트들이 수직으로 상승 또는 하강하였으나, 본 예에서는 상기 상부매트(11)와 상기 하부매트(12)의 일측이 고정되어 있다. 즉, 상기 상부매트(11)는 중부매트(13)와 인접한 면이 고정되고, 상기 하부매트(12)도 상기 중부매트(13)와 인접한 면이 고정된다.
상기 상부매트(11) 또는 상기 하부매트(12)의 고정되지 아니한 단은 상기 제어부(30)의 제어 신호에 따라 매트리스의 기준 위치로부터 일정 각만큼 사선으로 상승하거나, 상기 기준 위치로 하강한다. 물론 상기 부분매트들은 상기 기준 위치로부터 또 다른 각도만큼 하강할 수도 있다. 상기 일정 각은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조절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예에 따른 기능성 침대는, 복수의 부분매트로 구분된 매트리스(10)와, 상기 부분매트의 하단에 각각 연결되고, 상기 부분매트를 상승 또는 하강하는 복수의 구동부(20)와, 제어신호를 출력하여 상기 구동부를 개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구동하는 제어부(30)를 포함하고, 상기 매트리스(10)는 상부매트(11), 중부매트(13), 하부매트(12)로 구분되고, 상기 중부매트(13)의 하단에 변기부(60)가 설치된다. 상기에서 언급한 예들과 중복되는 설명은, 그에 갈음하고, 이하 생략한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매트리스(10)는, 세로로 구분되어 하나 이상의 상기 부분매트(10a, 10b)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매트리스(10)는, 좌부매트(10a)와 우부매트(10b)로 구분된다.
또한, 상기 매트리스(10)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로로 구분되어 하나 이상의 부분매트(11, 12)를 형성한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매트리스(10)는, 상부매트(11)와 하부매트(12)로 구분되고, 상기 상부매트와 상기 하부매트 사이에 중부매트(13)가 형성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매트리스(10)는 세로로 구분되고(10a, 10b), 가로로 더 구분될 수 있다(11a, 11b, 12a, 12b, 13a, 13b).
상기 제어부(30)는, 상기 매트리스의 기준 위치를 설정하고, 상기 기준위치를 근거로 상기 부분매트가 상승 또는 하강하도록 하는 상기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30)는, 상기 부분매트를 상승시키는 상승신호, 상기 부분매트를 하강시키는 하강신호, 상기 매트리스를 기준 위치에 정렬시키는 정렬신호 중 하나 이상의 상기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상기 제어부(30)는 상기 변기부(60)가 상기 매트리스의 위로 돌출되도록 하는 제어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입력부(40)는 전원버튼(51)과, 상기 제어부(30)가 정렬신호를 발생하도록 하는 RESET버튼(52), 상기 부분매트들을 상승 또는 하강시키는 명령버튼과 더불어 상기 변기부(60)를 상승 또는 하강하는 명령버튼(미도시)을 포함한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변기부(60)는 상기 중부매트(13)의 하단에 설치되고, 상기 입력부(40)의 제어 명령에 의하거나, 또는 상기 제어부(30)의 제어 신호에 따라 상승 또는 하강한다. 도 8와 도 9는 상기 변기부(60)의 형태를 예시적으로 보인 도로서, 도 8는 상기 제어부(30)의 제어 신호에 따라 수세식 변기(64)가 일정 각으로 사용자의 상부로 기울어지면서 상승하는 구조이고, 도 9는 덮개(66)을 더 구비하여 상기 제어부(30)의 제어 신호에 따라 상승하면서, 상기 덮개(66)가 열리게 되는 구조이다. 상기 변기부(60)의 형태는 필요에 따라 달리 설계될 수 있으며, 평상시에는 매트 아래에 설치되어 있다가 상기 제어부(30)의 제어 신호에 따라 상승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상부매트(11)는 상기 중부매트(13)와 인접한 부분은 고정되고, 머리 부분이 상승하여 수직으로 세워지는 것이 좋고, 상기 하부매트(12)는 중부매트와 인접한 부분은 고정되고, 다리 부분이 하강하여 거의 수직에 가깝게 하강하는 것이 좋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침대는, 침대의 매트리스를 세로로 구분하여 수직 방향으로, 또는 수평선과 일정 각을 이루며 승강 또는 하강하거나, 또는 침대의 매트리스를 가로로 구분하여 높낮이 각도를 조절함으로써 수면장애의 가장 큰 원인인 코골이, 이갈이와 수면무호흡증 환자의 수면자세를 바꾸어 코골이, 이갈이와 수면무호흡증을 개선하고, 욕창 발생을 방지함으로써 가족이나 개호인을 의존하지 아니하고 독립적인 생활이 가능할 수 있도록 한다.
10: 매트리스 10a: 좌부매트
10b: 우부매트 11a: 상좌부매트
13a: 중좌부매트 12a: 하좌부매트
11b: 상우부매트 13b: 중우부매트
12b: 하우부매트 20a, 20b: 구동부
30: 제어부 31: 타이머
40: 입력부 47: 음성 인식 센서
48: 타이머 버튼 50: 침대 프레임
60: 변기부

Claims (13)

  1. 복수의 부분매트로 구분된 매트리스;
    상기 부분매트의 하단에 각각 연결되고, 상기 부분매트를 상승 또는 하강하는 복수의 구동부; 및
    제어신호를 출력하여 상기 구동부를 개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구동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기능성 침대.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매트리스는,
    세로로 구분되어 하나 이상의 상기 부분매트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침대.
  3. 제1 항 또는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매트리스는,
    가로로 구분되어 하나 이상의 상기 부분매트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침대.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매트리스의 기준 위치를 설정하고, 상기 기준위치를 근거로 상기 부분매트가 상승 또는 하강하도록 하는 상기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침대.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부분매트를 상승시키는 상승신호, 상기 부분매트를 하강시키는 하강신호, 상기 매트리스를 기준 위치에 정렬시키는 정렬신호 중 하나 이상의 상기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침대.
  6.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매트리스는,
    상부매트와 하부매트로 구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침대.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매트 또는 상기 하부매트는, 일측 위치가 고정되고, 타측만이 상승 또는 하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침대.
  8.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매트리스는,
    좌부매트와 우부매트로 구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침대.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좌부매트와 상기 우부매트는, 상기 매트리스 면의 수직축과 일정 각도를 이루면서 상승 또는 하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침대.
  10.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모터 또는 전동 실린더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침대.
  11. 제1 항에 있어서,
    외부 명령을 입력받아 상기 제어부에 전달하는 입력부;를 더 포함하는 기능성 침대.
  12.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는,
    미리 설정된 시각마다 시각 정보를 상기 제어부에 입력하는 타이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침대.
  13.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는,
    사용자의 음성 또는 소리를 인식하여 인식 신호를 상기 제어부에 입력하는 음성 인식 센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침대.
KR1020100003245A 2010-01-13 2010-01-13 기능성 침대 KR20110083167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3245A KR20110083167A (ko) 2010-01-13 2010-01-13 기능성 침대
PCT/KR2011/000255 WO2011087300A2 (ko) 2010-01-13 2011-01-13 기능성 침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3245A KR20110083167A (ko) 2010-01-13 2010-01-13 기능성 침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83167A true KR20110083167A (ko) 2011-07-20

Family

ID=443048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03245A KR20110083167A (ko) 2010-01-13 2010-01-13 기능성 침대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110083167A (ko)
WO (1) WO2011087300A2 (ko)

Cited B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069713A1 (ko) * 2012-10-30 2014-05-08 부산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폐쇄성 수면무호흡 환자의 자세교정을 위한 자동 자세변환 침대 및 그 제어 방법
KR101510239B1 (ko) * 2014-02-25 2015-04-08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 침대에 탈장착 가능한 전동식 욕창방지장치
EP2852361A4 (en) * 2012-05-22 2015-10-07 Hill Rom Services Inc SYSTEMS, METHODS AND DEVICES FOR MITIGATING DAMAGEABLE EVENTS
US10292881B2 (en) 2014-10-31 2019-05-21 Hill-Rom Services, Inc. Dynamic apnea therapy surface
US10391010B2 (en) 2016-02-26 2019-08-27 Hill-Rom Services, Inc. Sleep disorder treatment devices, systems, and methods
US10660807B2 (en) 2012-05-22 2020-05-26 Hill-Rom Services, Inc. Systems, methods, and devices for the treatment of sleep disorders
US10959534B2 (en) 2019-02-28 2021-03-30 Hill-Rom Services, Inc. Oblique hinged panels and bladder apparatus for sleep disorders
US11007098B2 (en) 2017-07-13 2021-05-18 Hill-Rom Services, Inc. Layered graduated lateral rotation apparatus
US11071666B2 (en) 2012-05-22 2021-07-27 Hill-Rom Services, Inc. Systems, methods, and devices for treatment of sleep disorders
US11090208B2 (en) 2017-07-13 2021-08-17 Hill-Rom Services, Inc. Actuated graduated lateral rotation apparatus
US11096500B2 (en) 2017-07-13 2021-08-24 Hill-Rom Services, Inc. Floor-supported graduated lateral rotation apparatus
US11122908B2 (en) 2017-07-13 2021-09-21 Hill-Rom Services, Inc. Apparatus for graduated lateral rotation of a sleep surface
WO2022169094A1 (ko) * 2021-02-02 2022-08-11 삼성전자주식회사 매트리스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환자 이송용 침대
KR20230030914A (ko) * 2021-08-26 2023-03-07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욕창 방지용 베드
KR102647052B1 (ko) * 2023-01-31 2024-03-13 이재홍 디지털 헬스케어 수면무호흡 및 코골이 증상 개선 치료용 침대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169580B (zh) * 2013-03-20 2016-03-16 三峡大学 腰椎颈椎调理床
CN106943259A (zh) * 2017-04-26 2017-07-14 成都万家健康管理股份有限公司 干燥通风透气的护理病床
ES2699199B2 (es) * 2017-08-07 2019-11-04 Maza Jose Fernando Luna Sistema para facilitar el descanso de personas durante el sueno
CN109758317A (zh) * 2019-03-05 2019-05-17 南通市第一人民医院 一种防止压疮的交替式支撑床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25942A (ja) * 1992-09-07 1994-05-10 Kozo Ito 音声認識機能を持つ電動ベッド
JPH08196576A (ja) * 1995-01-27 1996-08-06 Minoru Yokoi ベッド
KR100335661B1 (ko) * 1999-10-08 2002-05-06 남해선 혈액 순환을 도와 주는 침대
KR200252887Y1 (ko) * 2001-07-31 2001-11-23 박규화 건강침대

Cited B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852361A4 (en) * 2012-05-22 2015-10-07 Hill Rom Services Inc SYSTEMS, METHODS AND DEVICES FOR MITIGATING DAMAGEABLE EVENTS
US10660807B2 (en) 2012-05-22 2020-05-26 Hill-Rom Services, Inc. Systems, methods, and devices for the treatment of sleep disorders
US11071666B2 (en) 2012-05-22 2021-07-27 Hill-Rom Services, Inc. Systems, methods, and devices for treatment of sleep disorders
WO2014069713A1 (ko) * 2012-10-30 2014-05-08 부산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폐쇄성 수면무호흡 환자의 자세교정을 위한 자동 자세변환 침대 및 그 제어 방법
KR101510239B1 (ko) * 2014-02-25 2015-04-08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 침대에 탈장착 가능한 전동식 욕창방지장치
US10292881B2 (en) 2014-10-31 2019-05-21 Hill-Rom Services, Inc. Dynamic apnea therapy surface
US11007097B2 (en) 2014-10-31 2021-05-18 Hill-Rom Services, Inc. Dynamic apnea therapy surface
US10391010B2 (en) 2016-02-26 2019-08-27 Hill-Rom Services, Inc. Sleep disorder treatment devices, systems, and methods
US11007098B2 (en) 2017-07-13 2021-05-18 Hill-Rom Services, Inc. Layered graduated lateral rotation apparatus
US11090208B2 (en) 2017-07-13 2021-08-17 Hill-Rom Services, Inc. Actuated graduated lateral rotation apparatus
US11096500B2 (en) 2017-07-13 2021-08-24 Hill-Rom Services, Inc. Floor-supported graduated lateral rotation apparatus
US11122908B2 (en) 2017-07-13 2021-09-21 Hill-Rom Services, Inc. Apparatus for graduated lateral rotation of a sleep surface
US10959534B2 (en) 2019-02-28 2021-03-30 Hill-Rom Services, Inc. Oblique hinged panels and bladder apparatus for sleep disorders
US11470978B2 (en) 2019-02-28 2022-10-18 Hill-Rom Services, Inc. Oblique hinged panels and bladder apparatus for sleep disorders
WO2022169094A1 (ko) * 2021-02-02 2022-08-11 삼성전자주식회사 매트리스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환자 이송용 침대
KR20230030914A (ko) * 2021-08-26 2023-03-07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욕창 방지용 베드
KR102647052B1 (ko) * 2023-01-31 2024-03-13 이재홍 디지털 헬스케어 수면무호흡 및 코골이 증상 개선 치료용 침대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1087300A3 (ko) 2011-11-10
WO2011087300A2 (ko) 2011-07-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10083167A (ko) 기능성 침대
US11077012B2 (en) Health-regain device and system thereof
KR101268793B1 (ko) 폐쇄성 수면무호흡 환자의 자세교정을 위한 자동 자세변환 침대 및 그 제어 방법
US20150136146A1 (en) Adverse event mitigation systems, methods and devices
US20110035057A1 (en) Patient health based support apparatus configuration
EP2047831A1 (en) Bed for preventing bed sores
KR101706587B1 (ko) 순차적 3단계 척추견인 기법을 이용한 척추견인장치 및 그 제어 방법,기록매체
CN103750968A (zh) 二轴自动病床
KR102435665B1 (ko) 모션베드 연동 스마트 베개 시스템 및 스마트 베개 제어방법
CN112057263A (zh) 多功能护理床
JP4637754B2 (ja) ベッド
JP4585935B2 (ja) ベッド
CN202143685U (zh) 护理床
CN102058459A (zh) 头低脚高位康复调理床
WO2018172599A1 (en) Adjustable bed solution
KR20130095365A (ko) 거동불편 와상환자를 위한 다기능 전동침대
KR20170070422A (ko) 다기능 환자용 침대
JP4566090B2 (ja) 動作支援ベッド
CN112155892B (zh) 智能多功能照护管理系统
JP2007061361A (ja) 介護ベッド
KR101015387B1 (ko) 욕창방지를 위한 사용자의 신체조건에 따라 자세변환주기가 제어되는 전동침대 플랫폼
CN209361134U (zh) 一种改进型多功能医疗保健防褥疮康复护理床
CN208659758U (zh) 多功能护理床
KR102163785B1 (ko) 욕창 방지 운동 안전 벨트
CN205215584U (zh) 一种临床智能护理床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20628

Effective date: 201210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