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77551B1 - 욕창방지용 침대 - Google Patents

욕창방지용 침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77551B1
KR100477551B1 KR10-2001-0053856A KR20010053856A KR100477551B1 KR 100477551 B1 KR100477551 B1 KR 100477551B1 KR 20010053856 A KR20010053856 A KR 20010053856A KR 100477551 B1 KR100477551 B1 KR 1004775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bed
flat plate
uneven
eccentric ca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538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20162A (ko
Inventor
주춘호
Original Assignee
주춘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춘호 filed Critical 주춘호
Priority to KR10-2001-00538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77551B1/ko
Publication of KR200300201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201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775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77551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05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beds
    • A61G7/057Arrangements for preventing bed-sores or for supporting patients with burns, e.g. mattr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1G7/0573Arrangements for preventing bed-sores or for supporting patients with burns, e.g. mattr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with mattress frames having alternately movable par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05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beds
    • A61G7/057Arrangements for preventing bed-sores or for supporting patients with burns, e.g. mattr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1G7/05769Arrangements for preventing bed-sores or for supporting patients with burns, e.g. mattr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with inflatable chambers

Abstract

본 발명은 욕창방지용 침대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통기는 물론 환자의 욕창을 방지할 수 있도록 승강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진 상판(床板)과 승강 조작부가 구비된 침대에 있어서, 상기 상판(100)은 일정한 형상으로 이루어진 다수개의 관통공(82)이 형성되어 지지부재(45)에 의해 고정 설치되는 평판(80)과, 상기 평판(80)의 관통공(82)에 끼움 결합되어 평판(80)과 교대로 승강동작이 이루어지며 다수개의 돌기(92)가 상면에 일체로 형성되어 평판(80)의 저면에 설치되는 요철판(90)으로 구성되며, 상기 평판(80)과 요철판(90)은 요철판(90)의 저면에 설치되고 다수개의 편심캠(65)(70)이 일정간격으로 설치되어 모터(10)와 동력전달수단(P)에 의해 회전되는 캠축(60)에 의해 각각 승강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지되, 상기 평판(80)과 요철판(90)이 상승위치에서 일정시간동안 상승유지상태가 동시에 지속될 수 있도록 상기 편심캠(65)(70)은 평판(80)과 요철판(90)의 상승상태를 유지시키는 접선변위가 하강과 하강후 상승 접선변위의 합보다 크게 형성된 비대칭형으로 이루어진 침대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욕창방지용 침대{A BED TO PREVENT BEDSORE}
본 발명은 욕창방지용 침대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장기간 침대를 이용하는 환자나 신체거동불편자들이 침대의 상면과 접촉하는 신체부분의 혈액순환과 통기를 위해 침대 상판(床板)이 일정주기로 승강되도록 구성되며, 특히 침대에 누워있는 이용자가 전혀 감지하지 못하는 사이에 상판이 주기적으로 승강되어 신체의 혈액순환과 통기를 가능하도록 다수개의 관통공이 형성된 평판과, 상기 평판의 저면에서 다수개의 관통공에 삽탈자재로운 돌기가 형성된 요철판이 결합되어 구성되는 욕창방지용 침대에 관한 것이다.
침대는 동서양을 막론하고 인간의 편안한 잠자리를 마련해주는 도구로 장소에 불문하고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특히 신체가 부자연스럽거나 신체를 움직이지 못하는 환자들에게 있어 침대는 여러면에 있어서 더욱 많은 편리함을 제공하는데 있다.
그러나, 비록 인간생활에 편안한 휴식과 잠자리를 제공하는 침대의 경우에도 사용상 계속해서 침대에 누워있게 되면 침대와 접촉하고 있는 신체부분이 체중에 의해 압박되어 혈액순환에 지장을 받게된다.
통상의 건강한 사람들의 경우는 수면이나 휴식을 취하는 시간외는 별도로 침대에 누워있는 경우가 없기 때문에 이러한 지장은 문제가 되지 않지만, 신체가 부자연스러워 많은 시간 침대를 이용하는 신체부자유자나, 건강이 좋지않아 병원 등 기타 시설에 장기간 침대에 누워 있어야 하는 이용자의 경우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체중에 의해 압박되는 신체부위에서 혈관이나 피부에서 혈액순환이 원활히 이루어지지 못해 욕창이 발생되기 쉽다.
욕창이 발생되면 피부조직에 심각한 영향과 합병증 등을 유발해서 환자의 경우 더욱 고통을 가중시키는 원인이 되기 때문에, 거동이 불편하거나 어려운 환자 또는 신체부자유자들의 경우 욕창을 방지하기 위해 수시로 신체의 자세를 바꾸어 줌으로써 체중에 의해 압박되어 혈액순환에 지장을 받은 부위를 변화시켜 주어야 하는 수고로움이 뒤따랐다.
이와같이, 장기간 침대에 누워 있어야 하는 신체거동불편자나 환자들에게 발생되는 욕창을 방지하기 위해 종래에 다수의 발명과 고안이 안출된 바 있다.
특히, 국내공개특허번호 제2001-36483호에 「혈액순환을 도와주는 침대」와 일본 특개평7-8523호에 침대에 누워 있는 환자의 욕창 방지는 물론 혈액순환을 도모하기 위한 발명이 개시된 바 있다.
상술한 국내공개특허 제2002-36383호에 기재된 침대는 침대의 길이방향으로 다수개의 보가 구비되고, 이 보들은 그 저면에 구비된 승강수단 및 연결기구에 의해 모터의 동력으로 승강되는 구조로 이루어지되, 다수개의 보중 일부분은 상승하고 일부분은 하강하는 구조로 이루어짐으로써 신체와 접촉하는 침대의 접촉부를 변경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진 것이며, 이들 보들은 하나 걸러 상승운동 또는 하강운동을 할 수 있도록 구성되었기 때문에 두개의 모터를 이용해서 각 보들의 상승 또는 하강동작이 이루어졌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 침대의 경우 침대에 구비된 다수개의 보들은 상승 또는 하강시키기 위한 승강구조와 여기에 소요되는 다수의 부품조합으로 인해 보의 승강구조가 복잡한 단점이 있었으며, 특히 각 보의 승강동작시 일부 보들이 상승되고 이와 동시에 일부 보들은 하강되는 구조여서 침대에 누워있는 환자가 감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환자가 움직일 수 있기 때문에 침대에 누워있는 환자에게 부담감을 주고 환자가 편안한 휴식을 취하는데 방해받을 수 있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일본 공개특허의 경우 박스형의 승강이동체가 구비되고, 이 승강이동체의 내부에 캠을 설치하고, 승강이동체의 하단에는 칸막이판에 의해 각각 분할된 내부공간에 스프링이 구비되도록 하여 동력에 의해 회전되는 캠축에 구비된 편심캠에 의해 다수개의 승강이동체가 승강동작되도록 구성되었으나, 이 또한 구조가 복잡할 뿐만 아니라 다수개의 승강이동체가 동시에 승강동작되는 구조로 이루어져 침대에 누워있는 환자가 침대 상판의 승강동작을 충분히 감지할 수 있는 것이어서 환자의 부담감을 가중시키고 침대가 아래로 내려앉거나 붕뜨는 느낌을 받을 수 있어 편안한 휴식에 지장을 받을 수 있는 단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의 침대가 갖는 단점을 극복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은 환자들이 사용하는 침대의 상판이 부지부식간에 승강동작이 이루어져 환자의 욕창방지는 물론 편안한 휴식이 가능하도록 하고 침대의 구조를 간단히 하여실용성을 향상시킨 욕창방지용 침대를 제공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특히, 본 발명은 승강동작되는 상판의 평판과 요철판이 승강동작중 동시에 상승위치에서 수평상태가 유지되도록 하고, 평판 또는 요철판중 어느 하나는 항상 수평상태가 유지되도록 하여 침대 이용자가 상판의 승강에 따른 움직임을 전혀 감지하지 못하도록 하여 편안한 잠자리를 제공받을 수 있는 침대를 제공하고자 하는데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욕창방지용 침대는 일정한 형상으로 이루어진 다수개의 관통공이 형성되어 지지부재에 의해 고정 설치되는 상판(床板)인 평판과, 다수개의 돌기가 상면에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평판과 교대로 승강동작시 평판의 관통공에 끼움 결합되도록 평판의 저면에 설치되는 요철판과, 모터와 동력전달수단에 의해 회전되어 상기 상판 및 요철판을 승강동작시키기 위해 요철판의 저면에 다수개가 설치되는 편심캠과, 상기 평판 및 요철판의 승강동작을 위한 승강조작부가 구비된 욕창방지용 침대에 있어서, 상기 평판과 요철판이 상승위치에서 일정시간동안 상승유지 상태가 동시에 지속될 수 있도록 상기 편심캠은 평판과 요철판의 상승상태를 유지시키는 접선변위가 하강과 상승이 이루어지는 접선변위의 합보다 크게 형성된 비대칭형으로 이루어진 특징을 갖는다.
특히, 상기 편심캠의 회전력이 요철판 상면의 평판재에 회전력을 전달하기 위해 평판재용 편심캠이 구비된 위치의 요철판에는 관통부가 형성되고, 이 관통부가 형성된 부위의 평판재 저면에는 편심캠의 상면에 접촉되는 보조받침부재가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편심캠의 회전에 따라 각각 승강동작이 교차되어 이루어지는 평판재와 요철판이 각각 상승 위치에서 일정시간동안 동시에 수평상태가 유지되어 환자가 상판의 유동을 느끼지 못하도록 상기 평판재와 요철판의 상승상태를 지속시키기 위한 편심캠의 동일반경 내각이 180도 이상 230도 전·후로 구성된 특징적인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삭제
이하,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면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침대의 구조를 알아보기 쉽도록 골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로서, 침대의 주요구성부로는 동력을 발생시키는 모터(10)와, 모터(10)의 동력을 적정한 속도로 감속하여 전달하는 감속기(20)와 체인(30) 및 스프로킷(32) 등으로 이루어지는 동력전달수단(P)과, 상판(100) 및 상판(100)의 승강수단(E)으로 이루어진다.
이를 다시 설명하면, 본 발명에 따른 침대는 신체거동불편자나 환자가 사용하는 환자용 침대에 있어서, 종래의 승강구조를 갖는 침대와는 다른 아주 특별한 구조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으로, 침대의 상판을 일정 속도로 승강시킬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지되, 환자 또는 침대 이용자의 신체와 직접 접촉되는 상판의 상면이 이용자가 감지하지 못하는 부지부식간에 승강동작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침대의 이용시 편안감과 쾌적성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특징이 있는 것으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이를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적용된 상판(100)의 구조를 도시하고 있는 것으로, 소정의 형상으로 다수개의 관통공(82)이 배열되어 형성된 평판(80)과, 이 평판(80)의 저면에서 평판(80)에 형성된 관통공(82)에 각각 끼움 결합되는 돌기(92)가 상면에 일체로 형성된 요철판(90)으로 구성되며, 요철판(90)의 좌·우측에는 소정크기의 관통부(94)가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관통공(82)과 돌기(92)는 다양한 형상으로 제작이 가능하다.
그리고, 도 3과 도 4에는 상술한 평판(80)과 요철판(90)으로 이루어진 상판(100)이 설치된 침대에서 평판(80)과 요철판(90)이 끼움 결합된 채 승강되는 구조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요철판(90)은 상면에 형성된 각각의 돌기(92)가 평판(80)의 저면에서 각 관통공(82)에 끼워져 하부에 설치된 승강수단(E)에 의해 승강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상기 승강수단(E)은 요철판(90)의 승강과 동시에 평판(80)도 동일한 주기로 승강되도록 복수개의 캠축(60)과 편심캠(65)(70)으로 이루어지고, 평판(80)의 저면 모서리부에는 지지부재(45)가 설치되어 승강되는 평판(80)을 고정 지지할 뿐만 아니라 승강동작을 원할히 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상기 캠축(60)은 보조지지부재 (46)에 의해 일정높이 유지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으나, 이는 침대의 받침대(40) 상면에 캠축(60)을 설치한 경우 캠축(60)의 편심캠(65)(70) 상단으로 일정 길이의 연결로드(도시안됨)를 설치하여 평판(80)과 요철판(90)의 승강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그리고, 도 5에는 평판(80)이 하강된 상태에서 요철판(90)이 돌출된 도 4의 단면상태를 도시하고 있는 것으로, 최초 평판(80)이 상승되어 있는 위치가 상판(100)의 기준높이(H)가 되고, 이 기준높이(H)를 기준으로 평판(80)이 하강되거나 요철판(90)이 상승 또는 하강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평판(80)과 요철판(90)의 승강구조는 통상의 모터(10)와 감속장치(200), 구동체인(30), 복수개의 캠축(60), 캠축(60)에 교대로 설치된 동일형상의 편심캠(65)(70)에 의해 이루어지게 되는데, 이러한 구성요소 및 동작관계는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5의 단면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일한 캠축(60)에 의해 회전되는 편심캠(65)(70)은 하나 걸러 하나씩 서로 동일한 형상과 회전변위를 갖도록 결합되어 있는 것으로, 일련의 편심캠(65)은 요철판(90)의 저면에 접촉되어 캠축(60)의 회전에 따라 일정한 속도로 회전되면서 요철판(90)의 승강동작이 가능하도록 하며, 또 다른 일련의 편심캠(70)들은 평판(80)의 저면에 접촉되어 캠축(60)의 회전에 따라 평판(80)의 승강동작이 가능하도록 하고, 평판(80)과 요철판(90)이 상·하로 밀착되어 결합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동일한 캠축(60) 상에 설치된 편심캠(70)에 평판(80)의 저면이 접촉되기 위해서는 상기 평판(80)용 편심캠(70)이 설치된 요철판(90)에는 소정크기의 관통부(94)가 편심캠(70)의 위치마다 각각 형성되어 있으며, 이 관통부(94)의 내측으로 평판(80)의 저면에 결합된 보조받침부재 (84)가 결합되어 편심캠(70)에 접촉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도 6의 (가) 내지 (라)에는 평판(80)과 요철판(90)의 승강동작과 이에 따른 편심캠(65)(70)의 회전상태를 일부 정단면도로 도시하고 있다.
(가)에서는 평판(80)과 요철판(90)의 승강용 편심캠(70)(65)이 회전되어 평판(80)과 요철판(90)이 각각 상승된 후에 일정 회전변위동안 동시에 상승유지상태가 지속되는 것을 보여주고 있는 것으로, 이때 평판(80)의 상면과 요철판(90)의 돌기(92) 상면이 수평상태를 유지하면서 환자 또는 침대이용자의 신체와 모두 접촉된상태가 유지된 후에 하강동작이 이루어지므로 침대 이용자가 침대 상판(100)의 승강동작에 따른 움직임을 전혀 느끼지 못하게 된다.
(나)는 평판(80)이 계속해서 상승위치를 유지하고 있는 동안 요철판(90)이 하강과 상승 동작이 이루어지고, 요철판(90)이 하강되면서 요철판(90)의 상면에 형성된 돌기(92)도 함께 하강되면서 관통공(82) 부위가 침대이용자의 신체부위와 이탈되어 통기가 이루어지도록 하고, 체중에 의해 압박받고 있는 신체부위의 변화를 주게되는 동작을 도시하고 있는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침대는 평판(80) 또는 요철판(90)중 어느 하나가 하강되는 경우에도 나머자 하나가 항상 수평을 유지하는 상태가 되는 특징적인 구조와 방법을 제공하여 환자 또는 침대 이용자의 편안한 휴식과 잠자리를 제공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한다.
(다)에서는 하강되었던 요철판(90)이 다시 상승되어 침대 이용자의 신체와 접촉하고 있는 평판(80)과 수평상태를 유지하게 되며, 침대 이용자의 경우 신체부위가 평판(80)과 접촉하고 있는 상태에서 평판(80)의 관통공(82)에 요철판(90)의 돌기(92)가 끼움 결합되므로 요철판(90)의 승강에 따른 느낌을 전혀 받지 않게 된다.
(라)에서는 요철판(90)이 계속 상승상태를 유지하고 있는 동안 평판(80)의 하강과 상승동작이 이루어지는 동작상태도로서, 이때도 요철판(90)의 돌기(92)가 계속 침대 이용자의 신체부위를 받쳐주는 수평상태를 유지하고 있기 때문에 침대 이용자가 평판(80)의 승강동작을 감지하지 못하게 되며, 상술한 (가)에서 (라)의 과정을 계속 거치면서 평판(80)과 요철판(90)이 교대로 승강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평판(80)과 요철판(90)의 승강동작이 반복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편심캠(70)(65)의 형상과, 평판(80)과 요철판(90)의 승강동작을 담당하고 있는 각 편심캠(70)(65)의 회전관계를 더욱 상세히 나타내기 위한 모식도가 도 7에 도시되어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종래의 다른 승강 구조를 갖는 침대와 다른 승강 메카니즘을 갖도록 하는 것이 편심캠(65)(70)의 형상과, 이에 따른 평판(80)과 요철판(90)의 승강동작방법에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편심캠(65)(70)은 캠축(60)에 의해 회전이 이루어지는데, 승강동작이 이루어지는 평판(80)과 요철판(80)이 상승위치에서 일정시간동안 두개의 부재가 동시에 상승상태가 유지되다가 평판(80) 또는 요철판(90)중 어느하나, 즉 요철판(90)이 하강 및 상승동작이 이루어지는 동안 평판(90)은 계속 상승상태를 유지하면서 상판의 역할을 하다가 요철판(90)이 상승된 후 다시 평판(80)과 일정시간동안 상승상태를 유지하다가 평판(80)이 하강 및 상승동작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환자 또는 침대이용자가 침대 상판(100)의 유동을 전혀 느끼지 못하도록 하는 것에 본 발명의 특징이 있다.
이와 같이, 편심캠(65)(70)의 회전에 따라 각각 승강동작이 교대로 이루어진 후에 평판(80)과 요철판(90)이 각각 상승 위치에서 일정시간동안 동시에 수평상태가 유지되도록 편심캠(65)(70)의 형상은 평판(80) 또는 요철판(90)의 상승위치를 유지시키는 변위의 반경(r)이 동일하게 유지되는 내각(θ)이 180도 이상 230도 전·후로 구성되도록 한다.
즉, 도 7을 참조하면서 각 편심캠(65)(70)의 회전상태를 설명하면, 각 편심캠(65)(70)의 빗금침 부분이 동일한 반경(r)을 가진 평판(80) 또는 요철판(90)의 각각 상승위치를 유지시키는 변위(a)이며, 변위 b는 평판(80) 또는 요철판(90)의 하강시 변위이고, 변위 c는 변위 b를 거치면서 하강된 평판(80) 또는 요철판(90)의상승이 이루어지는 변위이며, 상승위치를 유지하는 a의 변위중 이중사선부분에 해당되는 변위 d는 평판(80)용 편심캠(70)과 요철판(90)용 편심캠(65) 모두가 일정 회전변위동안 상호 중복되어 상승위치가 유지되는 회전변위이다.
즉, (가)의 단계에서 평판(80)용 편심캠(70)이 회전되어 평판(80)을 상승위치에 이동시키면, 요철판(90)의 편심캠(65)은 상승유지 마지막단계인 중복변위 d를 통과하면서 양측 편심캠(65)(70)은 변위 d의 거리에 해당한 만큼 동시에 상승위치를 유지하다가 캠축(60)의 회전에 의해 양측 편심캠(65)(70)은 (나)의 단계를 통과하게 된다.
(나)의 단계에서는 평판(80)의 편심캠(70)이 계속 상승위치를 유지하고 있는 동안 요철판(90)의 편심캠(65)은 일정거리만큼 하강동작이 이루어져 평판(80)의 관통공(82)에 통기가 이루어지도록 함과 동시에 평판(80)의 저면에 접촉되어 체중에 의해 가압받고 있는 신체 일부를 가압해제시켜 신체의 혈행이 원할히 이루어지도록 한다.
(다)의 단계에서는 양측 편심캠(65)(70)이 상호 증복된 상승위치를 유지하다가 (나)의 단계에서 상승이 유지되었던 평판(80)의 편심캠(70)이 하강되면서 평판(80)이 전체적으로 하강되고, 요철판(90)은 그대로 상승이 유지되면서 각 돌기(92)의 상면이 신체의 표면에 접촉되고, 각 돌기(92) 사이의 공간부가 평판(80)의 하강에 따라 접촉하고 있는 신체부위에서 떨어져 신체 저면에 통기가 이루어지도록 함과 동시에 체중에 의해 압박받고 있는 신체부위를 해소하게 되어 혈행을 원할히 할 수 있도록 한다.
(라)의 단계는 하강되었던 평판(80)이 요철판(90)이 상승위치를 유지하고 있는 동안 다시 상승동작이 이루어지면서 상술한 과정을 반복적으로 수행하게 된다.
상술한 도 7의 모식도 과정을 표로 나타내보면 아래와 같다. 아래 표에서 편심캠(65)(70)은 8등분으로 구분하여 매 회전변위별로 평판(80)과 요철판(90)의 회전상태를 설명하고 있다.
<표 1> 편심캠의 회전주기와 평판 및 요철판의 회전상태
회 전 주 기 평 판(80) 요 철 판(90) 비 고
1주기 0 상승유지 시작 상승유지(a)
1/8 상승유지(a) 상승유지 지속 ·평판과 요철판의 상면이 수평상태를 유지
2/8∼4/8 상승유지(a) 하강(b) ·요철판의 하강에 따른 평판의 관통공이 개방되면서 통기 및 신체접촉부위의 변화
상승(c)
5/8 상승유지 지속 상승유지 시작 ·평판과 요철판의 상면이 수평상태를 유지
6/8 하강(b) 상승유지(a) ·평판의 하강에 따른 평판의 관통공이 개방되면서 통기 및 신체접촉부위의 변화
7/8∼8/8 상승(c)
상기 <표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침대는 평판 또는 요철판중 어느 하나가 승강 후 하강하더라도 나머지 하나가 계속 상승상태인 수평을 유지하게 되어 교대로 각각 승강동작되는 상판 구조에도 불구하고 환자 또는 침대 이용자는 상판의 유동을 느끼지 못한 체 편안한 잠자리를 제공받을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8에는 본 발명에 따른 침대의 다른 변형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는 것으로, 침대의 일부가 평판(80)일측에 구비된 자동승강수단(E′)에 의해 일정각도 상승되거나 하강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으로, 병원 등에서 환자용 침대로 사용할 수 있으며 이와 같이 구성된 침대의 경우, 평판(80)은 분할구성되고 분할된 평판(80)사이에는 링크가 결합되어 평판(80)의 상승과 하강이 원할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된다. 평판(80)의 자동승강동작은 평판(80)의 일측에 모터의 동력에 의해 회전되는 구동체인(30)에 별도의 전달수단을 설치하여 전달수단에 피니언(24)을 결합시킨 후 평판(80)의 저면으로 랙(25)을 설치하여 모터(10)의 정·역회전에 따라 평판(80)의 일부가 자동으로 승강 또는 하강될 수 있도록 하며, 이와 같은 구성은 종래의 다른 자동승강수단을 채택하여 이용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 상세하게 설명되지 않은 조작부(C)는 도 9의 사용상태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환자 또는 침대이용자가 쉽게 조작할 수 있는 침대의 어느 특정부위에 상판(100), 즉 평판(80)과 요철판(90)의 승강동작을 조작할 수 있도록 설치되며, 상기 조작부(C)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평판(80)과 요철판(90)의 승강동작시간과 속도를 제어할 수 있는 타이머(T)와 속도계(V)가 구비되고, 모터(10)에 공급되는 메인전원의 공급 및 차단을 위한 전원공급 온/오프스위치(S)가 구비되며, 상판(100)에 온열치료를 위한 전기장치가 구비된 경우 온열조작스위치가 구비될 수 있다.
상술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따른 욕창방지용 침대는 캠축(60)과 편심캠(65)(70)의 회전에 의해 상기 평판(80)과 요철판(90)이 각각 상승유지, 하강, 상승의 단계가 교대로 이루어지면서 승강되어지되, 각 평판(80)과 요철판(90)은 매 승강주기마다 상승유지단계가 소정의 시간동안 중복되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고, 평판(80) 또는 요철판(90)중 어느 하나가 상승위치에서 계속 상승유지단계를 지속하고 있는 동안 나머지 다른 하나는 하강과 상승동작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상판(100)의 승강동작에도 불구하고 상판(100)의 유동을 침대 이용자나 환자가 전혀 감지하지 못하는 편안한 침대를 제공한다(표 1참조).
그리고, 도면에서 설명되지 않은 부호 40은 침대의 받침대이며, 부호 46은 캠축(60)을 일정 높이로 고정 유지시키는 보조지지부재(46)로, 보조지지부재는 캠축(60)의 설치에 따라 다양한 구조로 마련될 수 있다.
한편, 이하에서는 상술한 구성 및 동작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욕창방지용 침대의 작용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욕창방지용 침대는 상판(100)을 이루는 평판(80)과 요철판(90)이 각각 승강동작되는 경우 상승상태에서 평판(80)과 요철판(90)이 동시에 수평상태가 유지되는 중복상태가 이루어지고, 또한 어느 하나가 하강과 상승동작이 반복되는 시간동안 다른 하나는 계속 상승상태의 수평을 유지하다가 교대로 하강 및 상승동작이 이루어지므로 침대를 이용하는 이용자는 상판의 승강동작시에도 유동상태를 감지하지 못하게 되어 편안한 잠자리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한다.
즉, 상술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침대는 상판(100)의 상면에 통풍이 용이한 최소한의 매트를 깔고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평판(80)과 요철판(90)이 승강수단(E)에 의해 자동으로 승강될 뿐만 아니라 특이한 편심캠(65)(70)의 형상으로 침대에 누워있는 환자가 전혀 감지하지 못하는 사이에 평판(80)과 요철판(90)이 교대로 승강되어 상판(100)과 접하고 있는 환자의 신체부위에 통기가 이루어지고 체중에 의해 압박받고 있는 신체의 각 부위에 대해서 체중의 분산효과와 접촉부위의 변화를 주어 혈행이 원할히 이루어짐으로써 장기간 침대를 이용하는 환자 또는 다른 이용자의 욕창을 효과적으로 방지하면서 지압효과도 동시에 제공하여 편안한 수면과 휴식이 가능하도록 한다.
특히 상판(100)과 이의 승강구조가 간단하여 제작이 용이하고 내구성이 뛰어나며, 저렴한 비용으로 제작 가능하므로 종래의 승강구조를 갖는 침대에 비해 이용자들의 큰 경제적 부담감을 갖지 않고 이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모터(10) 및 캠축(60)에 의해 일정 속도로 회전하면서 평판(80)과 요철판(90)을 교대로 승강 동작시키는 편심캠(70)(65)이 평판(80)과 요철판(90)의 상승 및 상승유지를 지속시키는 회전변위의 내각이 180도 이상 230도 내외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평판(80)과 요철판(90)이 상승된 후에 하강동작이 이루어지기 전에 평판(80)과 요철판(90)의 상승상태가 일정시간동안 동시에 유지됨으로써 평판(80)과 요철판(90)이 교대로 승강동작되더라도 침대에 누워있는 이용자가 전혀 감지할 수 없도록 하여 침대를 이용하는 이용자가 편안한 휴식과 수면을 취할 수 있도록 하는데 특징이 있다.
종래의 승강구조를 갖는 침대의 경우 상판의 저면에 구비된 승강수단에 의해 상판이 승강되는 경우 승강동작시마다 신체에 감지되므로 침대에 누워있는 이용자가 많은 부담감을 가질 뿐만 아니라 편안한 휴식과 깊은 수면을 취하는데 방해받는 결과를 초래하였으나,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단점을 해소한 것이다.
특히, 종래의 침대의 경우 상판의 승강동작을 이루는 승강수단과 상판의 구조가 복잡하여 내구성이 떨어지고, 제작과 실용화가 어려운 면이 있었으며, 제작시에는 그 가격이 고가로 책정될 수 밖에 없어 이를 이용하는 경우 경제적 부담을 가질 수 밖에 없었으나, 본 발명에 따른 침대의 경우 구조가 간단하고 내구성이 뛰어나며, 제작 또한 간편하여 이용시 큰 경제적 부담을 갖지 않고 이용할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욕창방지용 침대는 침대의 상판을 이루는 평판과 요철판이 교대로 승강동작되면서 상승상태에서 중복적으로 수평상태가 일부 유지됨과 동시에 어느 하나가 하강 및 상승동작이 이루어지는 동안에도 다른 하나는 일정한 수평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환자나 침대 이용자가 감지하지 못하는 사이에 평판과 요철판이 승강되면서 통기를 가능하게 하고 신체의 압박부위에 대한 혈행을 원할히 하여 장기간 침대를 이용하는 경우에도 이용자의 건강을 유지시키고 편안한 수면이 가능하게 하며, 구조가 간단하고 내구성이 뛰어나며 큰 경제적 부담없이 이용할 수 있는 침대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침대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외관사시도,
도 2는 도 1에 적용된 평판과 요철판의 분리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침대에서 요철판의 하강 상태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침대에서 요철판의 상승후 평판의 하강상태도,
도 5는 도 4의 측단면도,
도 6은 평판과 요철판의 승강동작에 따른 편심캠의 구동상태도,
도 7은 평판과 요철판의 저면에 결합된 편심캠의 회전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편심캠의 회전모형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침대의 다른 변형실시예,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침대의 사용상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간단한 설명
10 : 구동모터 20 : 감속기
30 : 구동체인 60 : 캠축
65, 70 : 편심캠 80 : 평판
82 : 관통공 90 : 요철판
92 : 돌기 94 : 관통부

Claims (4)

  1. 일정한 형상으로 이루어진 다수개의 관통공이 형성되어 지지부재에 의해 고정 설치되는 상판(床板)인 평판과, 다수개의 돌기가 상면에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평판과 교대로 승강동작시 평판의 관통공에 끼움 결합되도록 평판의 저면에 설치되는 요철판과, 모터와 동력전달수단에 의해 회전되어 상기 상판 및 요철판을 승강동작시키기 위해 요철판의 저면에 다수개가 설치되는 편심캠과, 상기 평판 및 요철판의 승강동작을 위한 승강조작부가 구비된 욕창방지용 침대에 있어서,
    상기 평판과 요철판이 상승위치에서 일정시간동안 상승유지 상태가 동시에 지속될 수 있도록 상기 편심캠은 평판과 요철판의 상승상태를 유지시키는 접선변위가 하강과 상승이 이루어지는 접선변위의 합보다 크게 형성된 비대칭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욕창방지용 침대.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편심캠의 회전력이 요철판 상면의 평판에 전달되도록 평판용 편심캠이 구비된 위치의 요철판에는 소정 크기의 관통부가 형성되고, 이 관통부가 형성된 부위의 평판재 저면에는 편심캠의 상면에 접촉되는 보조받침부재가 결합되어 동력전달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욕창방지용 침대.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편심캠은 평판과 요철판이 각각 상승위치를 유지하는 접선변위의 동일반경 내각이 180도 이상 230도 전·후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욕창방지용 침대.
  4. 삭제
KR10-2001-0053856A 2001-09-03 2001-09-03 욕창방지용 침대 KR1004775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53856A KR100477551B1 (ko) 2001-09-03 2001-09-03 욕창방지용 침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53856A KR100477551B1 (ko) 2001-09-03 2001-09-03 욕창방지용 침대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26872U Division KR200260718Y1 (ko) 2001-09-03 2001-09-03 욕창방지용 침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20162A KR20030020162A (ko) 2003-03-08
KR100477551B1 true KR100477551B1 (ko) 2005-03-22

Family

ID=277222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53856A KR100477551B1 (ko) 2001-09-03 2001-09-03 욕창방지용 침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7755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9245B1 (ko) * 2006-08-30 2007-08-13 지멘스 오토모티브 주식회사 엘피아이 엔진의 누기 진단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178568B1 (ko) * 2017-08-30 2020-11-13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지압 및 쾌적 수면을 위한 가변형 베개
KR101957280B1 (ko) * 2017-12-29 2019-03-13 손석남 가변 상판이 구비된 침대
KR102334323B1 (ko) * 2020-03-27 2021-12-02 선재광 척추경혈치료기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78714A (ja) * 1992-12-11 1994-06-28 Hideo Nakamura ベッド
JPH078523A (ja) * 1993-06-22 1995-01-13 Katsuyoshi Omoto 床ずれ防止装置を設けたベッド
KR19990034980U (ko) * 1999-05-24 1999-09-06 함경도 지압기능을장치한침대
KR19990084212A (ko) * 1999-09-30 1999-12-06 김윤세 지압용 침대
KR20010036438A (ko) * 1999-10-08 2001-05-07 윤종용 반도체 집적 회로의 테스트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78714A (ja) * 1992-12-11 1994-06-28 Hideo Nakamura ベッド
JPH078523A (ja) * 1993-06-22 1995-01-13 Katsuyoshi Omoto 床ずれ防止装置を設けたベッド
KR19990034980U (ko) * 1999-05-24 1999-09-06 함경도 지압기능을장치한침대
KR19990084212A (ko) * 1999-09-30 1999-12-06 김윤세 지압용 침대
KR20010036438A (ko) * 1999-10-08 2001-05-07 윤종용 반도체 집적 회로의 테스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20162A (ko) 2003-03-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699566A (en) Sickbed
US6360386B1 (en) Sickbed
KR101054014B1 (ko) 욕창 방지용 매트리스
KR101264030B1 (ko) 환자용 침대
KR200214428Y1 (ko) 병상
KR100477551B1 (ko) 욕창방지용 침대
JPH078523A (ja) 床ずれ防止装置を設けたベッド
KR20070007416A (ko) 욕창방지용 침대
KR101680870B1 (ko) 의료용 침대
JP4585935B2 (ja) ベッド
KR200260718Y1 (ko) 욕창방지용 침대
JPS601022B2 (ja) 看護ロボツト
JP2004261435A (ja) 介護ベッド
KR100335661B1 (ko) 혈액 순환을 도와 주는 침대
SU1292768A1 (ru) Кровать медицинска
KR20210102625A (ko) 의료용 전동 침대
JP2007090096A (ja) 寝たきり老人(要介護者)の褥瘡及び介護労力軽減寝台
KR102640276B1 (ko) 욕창 방지용 베드
JPH09285502A (ja) 看護病床
KR200236187Y1 (ko) 다기능 침대
JP4205837B2 (ja) 床ずれ防止用ベッド
KR100328241B1 (ko) 지압용 침대
JP3365850B2 (ja) ベッド装置
KR100427533B1 (ko) 장애인용 침대
CN216455734U (zh) 护理床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