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99062B1 - 평활한 신체 접촉면을 갖는 욕창예방용 매트리스 - Google Patents

평활한 신체 접촉면을 갖는 욕창예방용 매트리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99062B1
KR101099062B1 KR1020090010789A KR20090010789A KR101099062B1 KR 101099062 B1 KR101099062 B1 KR 101099062B1 KR 1020090010789 A KR1020090010789 A KR 1020090010789A KR 20090010789 A KR20090010789 A KR 20090010789A KR 101099062 B1 KR101099062 B1 KR 1010990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tubes
fluid
unit
tubes
mattr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107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91550A (ko
Inventor
정인창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콤슨테크놀러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콤슨테크놀러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콤슨테크놀러지
Priority to KR10200900107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99062B1/ko
Priority to PCT/KR2009/003778 priority patent/WO2010093096A1/ko
Publication of KR201000915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915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990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990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05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beds
    • A61G7/057Arrangements for preventing bed-sores or for supporting patients with burns, e.g. mattr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05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beds
    • A61G7/057Arrangements for preventing bed-sores or for supporting patients with burns, e.g. mattr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1G7/05769Arrangements for preventing bed-sores or for supporting patients with burns, e.g. mattr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with inflatable chambers
    • A61G7/05776Arrangements for preventing bed-sores or for supporting patients with burns, e.g. mattr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with inflatable chambers with at least two groups of alternately inflated chamb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7/00Spring, stuffed or fluid mattresses or cushions specially adapted for chairs, beds or sofas
    • A47C27/08Fluid mattresses or cushi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rs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Invalid Beds And Related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평활한 신체 접촉면을 갖는 욕창예방용 매트리스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단위 튜브에 유체가 주입되어 팽창되는 경우 종래의 욕창 예방 매트리스 경우 신체와 접촉면이 원통형으로 형성 되는 것과 다르게 신체와 접촉면이 평활하게 형성되어 신체에 가해지는 압력을 감소시킬 수 있는 매트리스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다수가 열을 지어 나란하게 배치되며 유체의 주입 또는 배출에 의해 부피가 팽창 또는 수축하는 단위 튜브들과, 단위 튜브들 중 짝수열의 단위튜브들과 홀수열의 단위튜브들에 교번적으로 유체를 공급하는 유체공급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단위튜브들은 신체에 가해지는 압력을 감소시키기 위해 부피팽창시 신체와 접촉되는 상부에 평활한 접촉면이 각각 형성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단위튜브에 공기가 주입되는 경우 환자의 신체와 접촉되는 면이 평활하게 형성되어 체압을 효과적으로 분산시켜 신체에 작용되는 압력을 감소시킬 수 있다.
환자, 욕창예방, 공기부양, 에어 매트리스, 매트리스

Description

평활한 신체 접촉면을 갖는 욕창예방용 매트리스{Decubitus prevention mattress having even contact area}
본 발명은 평활한 신체 접촉면을 갖는 욕창예방용 매트리스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단위 튜브에 유체가 주입되어 팽창되는 경우 신체와 접촉하는 접촉면이 평활하게 형성되어 신체에 가해지는 압력을 감소시킬 수 있는 매트리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욕창은 장기간 입원 중인 환자나 뇌 척수 신경 장애로 체위를 자유롭게 바꿀 수 없는 환자에게 발생된다.
욕창(decubitus)이라 함은 환자의 몸무게에 눌린 피부와 혈액이 원할 치 못함에 따라 환자의 등, 허리, 어께, 팔꿈치, 엉덩이 주변의 항문 등이 바닥면과 접촉되어 발생되는 피부 상해를 일컬는다. 이러한 욕창 증세는 압박 된 부분의 피부의 혈행이 나빠지기 때문에 처음에는 창백해지고 주위가 붉어져 압통이 생긴다. 이 경우 증상이 악화 되면 수포(물집)가 생기고 더 진행 되면서 거무스름 해지고 괴저를 일으킨 부분에 궤양을 형성. 악취와 분비물이 나오게 되는 위험한 병으로 증상이 더욱 악화 된다.
따라서 욕창을 예방 하기 위한 종래의 매트리스 경우 원통형 타입의 다수의 공기 부양부를 형성하고 상기 공기 부양부에 홀짝 교호로 공기를 주입하여 원통형의 공기 쿠션부가 형성되도록 해서 환자의 신체가 바닥에서 이탈되면서 욕창의 발생을 방지 하도록 하였다.
이러한 공기 부양식 매트리스의 일 예로 대한민국 등록 실용신안 제 0168377호에 개시되어 있다. 개시된 욕창방지용 유체매트리스는 원통형 타입의 챔버관에 물이나 공기 등의 유체를 공급하여 환자의 신체를 바닥으로부터 들어올려지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
또한 욕창을 방지 하기 위한 공기 매트가 대한민국 공개 특허 제 2005-0090193호에 개시 되어 있다 상기 특허 자료에 개시 된 욕창 방지용 공기 매트 경우 공기가 누출되는 천류의 공기 주머니를 병렬로 구성 하고 체압이 높게 발생되는 부분에 대한 공기 누출을 유도함으로서 체중에 대한 분산요과를 극대화 시켜 욕창을 방지한다고 되어 있다
하지만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들은 매트리스 물성 자체가 공기 팽창에 따라 매트리스의 단면이 마치 공 모양의 형태로 원통형을 갖게 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팽창시 환자의 신체와 접촉하는 접촉면이 곡형으로 형성되므로 신체와 접촉하는 면적이 상대적으로 작아 신체에 가해지는 압력이 클 수 밖에 없다.
이러한 종래의 기술에 의하면 임상적으로 알려진 욕창발생의 시작 압력인 32mmHg 이하로 체압을 분산시키는 것이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공기 부양부가 상하 또는 좌우로 교대 부양 해서 체압을 분산시킨다고 하지만 1개의 셀 단위가 갖는 분산 효과가 극히 미미해서 그 효과가 제한 될 것임이 자명하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서, 유체의 주입에 의해 단위튜브가 팽창시 신체와 접촉되는 접촉면이 평활하게 형성되어 신체에 가해지는 압력을 감소시킬 수 있는 평활한 신체 접촉면을 갖는 욕창예방용 매트리스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단위튜브의 팽창시 접촉면이 좌우로 경사지도록 하여 환자의 체위를 변화시킬 수 있는 평활한 신체 접촉면을 갖는 욕창예방용 매트리스를 제공하는 데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평활한 신체 접촉면을 갖는 욕창예방용 매트리스는 다수가 열을 지어 나란하게 배치되며 유체의 주입 또는 배출에 의해 부피가 팽창 또는 수축하는 단위 튜브들과; 상기 단위 튜브들 중 짝수열의 단위튜브들과 홀수열의 단위튜브들에 교번적으로 유체를 공급하는 유체공급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단위튜브들은 신체에 가해지는 압력을 감소시키기 위해 부피팽창시 신체와 접촉되는 상부에 평활한 접촉면이 각각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각 단위튜브들은 하판직과, 상기 하판직의 상방에 위치하여 상기 접촉면을 이루며 유체의 주입시 부양되는 상판직과, 상기 상판직과 하판직 사이에 형성되어 벽면을 이루며 상하 방향으로 변형이 가능한 측판직과, 상기 상판직의 부양시 상기 상판직을 평활하게 부양시키는 평활부양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평활부양수단은 상기 상판직 및 하판직을 상호 연결하도록 형성되며 섬유사로 이루어진 다수의 실기둥으로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평활부양수단은 일정한 폭의 천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상판직 및 하판직에 교호적으로 결합되는 밴드로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단위 튜브들 중 짝수열의 단위튜브들에 형성된 실기둥은 일측에서 타측으로 진행할수록 점진적으로 길이가 짧아지며, 상기 단위 튜브들 중 홀수열의 단위튜브들에 형성된 실기둥은 일측에서 타측으로 진행할수록 점진적으로 길이가 길어지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단위튜브에 공기가 주입되는 경우 환자의 신체와 접촉되는 면이 평활하게 형성되어 체압을 효과적으로 분산시켜 신체에 작용되는 압력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단위튜브의 내부에 다수의 실기둥이 상판직과 하판직을 연결하도록 구성되므로 환자의 뒤척임시 각 단위튜브의 출렁거림이 작아 편안한 수면을 취할 수 있다.
또한, 단위튜브에 형성된 실기둥의 길이를 다르게 형성하여 단위튜브의 팽창시 신체와 접촉하는 접촉면을 경사지게 형성함으로써 환자의 신체 중심을 좌우로 이동시켜 체위를 강제로 변화시키므로 욕창 예방에 효과적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평활한 신체 접촉면을 갖는 욕창예방용 매트리스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매트리스를 나타내는 일부 절개 사시도이고, 2 및 도 3은 도 1에 적용된 단위튜브의 내부를 나타내는 일부 절개 사시도이고,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매트리스에 적용된 단위튜브의 내부를 나타내는 일부 절개 사시도이고, 5는 도 1의 매트리스의 작용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매트리스(10)는 내부에 다수의 단위튜브들(20)이 마련되고, 단위튜브들(20)은 통상적인 매트리스의 커버재(15)에 의해 둘러싸인 구조를 가진다. 물론, 커버재(15)가 생략되어 구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단위튜브들(20)은 다수가 열을 지어 나란하게 배치된다. 이 경우 단위튜브들(20)의 배열방향은 환자가 눕는 방향과 동일한 방향, 즉 매트리스(10)의 상하방향으로 배치된다. 그리고 각 단위 튜브(20)는 환자가 누워 있는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 즉 매트리스(10)의 좌우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이러한 단위튜브(20)는 내부에 밀폐된 내부공간(29)이 형성되고, 내부공간(29)에 공기 또는 물 등의 유체가 주입 또는 배출되면서 내부공간(29)의 부피가 팽창 또는 수축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도시된 예에서는 각 단위 튜브(20)의 내부공간(29)에 유체로서 공기가 주입되는 모습을 도시하고 있다.
공기의 주입 및 배출은 홀수열의 단위튜브들(20a)과 짝수열의 단위튜브들(20b)에 교번적으로 이루어진다. 이를 위해 짝수열의 단위튜브들(20a)과 홀수열 의 단위튜브들(20b)에 교번적으로 유체를 공급하는 유체공급수단이 구비된다.
유체공급수단의 일 예로 각 단위튜브들(20)에 형성된 공기주입관(31a)(31b)과, 단위튜브들 중 홀수열의 단위튜브들의 공기주입관들(31a)을 상호 연결하는 제 1덕트(33a)와, 단위튜브들 중 짝수열의 단위튜브들의 공기 주입관들(31b)을 상호 연결하는 제 2덕트(33b)와, 제 1 및 제 2덕트(33a)(33b)와 연결되어 제 1 및 제 2덕트에 일정한 압력의 공기를 공급하는 펌프(35)와, 제 1 및 제 2덕트(33a)(33b)에 각각 설치되어 제 1 및 제 2덕트(33a)(33b)의 유로를 개폐시키는 제 1 및 제 2쓰리웨이밸브(37a)(37b)와, 제 1 및 제 2쓰리웨이밸브(37a)(37b)의 개폐 및 펌프(35)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39)로 구성된다.
펌프(35)에서 일정한 압력의 공기가 토출되면 제어부(39)의 제어에 의해 제 1쓰리웨이밸브(37a)가 제 1덕트(33a)의 유로를 개방하여 공기가 홀수열의 튜브들(20a)로 공급될 수 있도록 한다. 공기의 주입에 따라 홀수열의 단위튜브들(20a)은 팽창이 되면서 단위튜브(20a)의 상부면이 부양된다. 이 경우 제 2쓰리웨이밸브(37b)는 제어부(39)의 제어에 의해 제 2공기토출관(38b)의 유로를 개방시켜 짝수열의 단위튜브들(20b)로부터 공기가 배출되도록 한다.
그리고나서 제 1쓰리웨이밸브(37a)는 제어부(39)에 의해 제 1공기토출관(38a)은 개방시켜 홀수열의 단위튜브들(20a)로부터 공기가 배출되도록 함과 동시에 제 2쓰리웨이밸브(37b)가 제 2덕트(33b)의 유로를 개방하도록 하여 공기가 제 2덕트(33b)를 통해 짝수열의 단위튜브들(20b)로 공기가 공급되도록 한다. 짝수열의 단위튜브들(20b)에 공기가 주입되면 팽창되면서 단위튜브(20b)의 상부면이 부양된 다.
본 발명에 적용되는 유체공급수단은 상술한 구성외에도 각 단위튜브를 교번적으로 팽창 및 수축킬 수 있는 통상적인 공지기술로 구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 발명에서 단위튜브들(20)은 신체에 가해지는 압력을 감소시키기 위해 부피팽창시 신체와 접촉되는 상부에 평활한 접촉면(21)이 각각 형성된다. 이러한 접촉면(21)은 신체와 접촉되는 면적을 넓혀주기 때문에 접촉면(21)에 작용되는 신체의 하중을 넓은 면적에 분산시킬 수 있어 각 단위면적에 작용하는 환자의 체압을 종래기술에 비해 크게 감소시킬 수 있다.
단위튜브(20)는 크게 하판직(23)과, 상판직(21), 측판직(25), 평활부양수단을 구비한다. 상기 하판직(23) 및 상판직(21), 측판직(25)은 직물로 이루어진다. 일 예로 합성 수지의 가느다란 모노 필라멘트사를 경사 및 위사를 사용해서 고밀도로 직조한다. 그리고 밀폐를 위해 하판직 및 상판직, 측판직의 표면에는 PVC 또는 우레탄 등의 열접착성의 수지를 융착시킨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단위튜브(20)는 내부에 공간(29)이 형성되고, 내부공간(29)에 공기의 주입되면 단위튜브(20)가 팽창되어 공기의 압력에 의해 상판직(21)이 부양된다. 이 경우 상판직(21)이 환자의 신체와 접촉하는 접촉면을 이루게 된다. 공기의 주입시 부양되는 상판직(21)이 평활한 면을 형성하면서 부양될 수 있도록 평활부양수단이 구비된다.
평활부양수단의 일 예는 상판직(21) 및 하판직(23)을 상호 연결하도록 형성된 다수의 실기둥(27)으로 구비된다. 하나의 실기둥(27)은 한 가닥의 섬유사 또는 여러가닥의 섬유사를 꼬아 형성될 수 있다. 상판직(21)과 하판직(23)을 연결하는 실기둥(27)은 상판직(21)과 하판직(23)을 구성하는 경사의 공급방향을 따라 루프사를 일정 간격으로 연결하여 상판직과 하판직의 사이를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게 직조함으로써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또는 상판직(21)과 하판직(23)을 구성하는 원사에 실기둥(21)의 상부 및 하부를 교차 결합시키거나 매듭지어 형성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실기둥(27)에 의해 단위튜브(20)의 내부에 공기가 주입되면 상판직(21)과 하판직(23) 사이는 실기둥(27)의 상하 길이만큼 이격된다. 즉, 실기둥(27)의 길이에 의해 상판직(21)의 부양높이가 제한된다. 바람직하게 실기둥(27)의 배치는 단위면적당(cm2) 약 30 내지 50개의 실기둥(27)이 형성되도록 한다. 실기둥(27)이 단위면적당 30개 이하로 배치되면 단위튜브(20)의 팽창시 상판직의 평활도가 저하된다. 도시된 예에서 실기둥(27)의 길이는 모두 동일하게 형성한다. 공기의 주입시 길이가 동일한 다수의 실기둥들(27)이 상판직(21)을 동일한 힘으로 당기게 되므로 상판직(21)은 평활한 접촉면을 형성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공기가 배출되는 경우에는 단위튜브(20)의 내부의 공기압력이 낮아져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위튜브(20)의 부피가 수축하게 된다. 단위튜브가 수축하여 상판직(21)의 높이가 낮아지게 되고, 그에 따라 실기둥(27) 및 측판직(25)의 높이도 낮아져 실기둥(27) 및 측판직(25)이 상하로 곧게 펴진상태에서 좌우로 군데 군데 구겨진 형상으로 변하게 된다.
상술한 구조를 가지는 본 발명은 실기둥(27) 각각이 상판직(21)과 하판 직(23)에 연결되어 있으므로 환자의 체압분산이 효과적일 뿐만 아니라 환자의 뒤척이는 경우 출렁임을 크게 줄일 수 있다. 이에 반해 욕창을 방지하고자 하는 종래의 기술에서는 단위튜브들에 공기가 주입되면 신체와 접촉하는 단위튜브의 상부가 원형으로 부풀어오르게 된다. 따라서 신체와 접촉하는 접촉면이 원형으로 형성되어 접촉면적이 좁아지기 때문에 체압분산의 효과가 낮아 체압이 커지게 된다. 이러한 종래의 방식은 환자가 몸을 뒤척일 경우 신체가 좌우로 심하게 흔들려거 환자의 수면욕을 현저하게 저하시키게 된다.
한편,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위튜브에 형성된 실기둥의 길이를 서로 다르게 형성할 수 있다. 자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평활부양수단의 다른 예를 도 4에 도시하고 있다. 단위튜브(20)의 내부에는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2줄의 밴드(37)가 나란하게 형성된다. 밴드(37)는 변형이 가능하도록 일정한 폭을 가지는 천으로 이루어진다. 천 이외에도 가죽, 수지, 종이 등의 재질을 이용할 수 있다. 밴드(37)는 상판직(21)과 하판직(23)을 번갈아 가면서 교호적으로 결합하여 전체적으로 W형으로 형성된다. 바람직하게 도시된 바와 같이 2줄의 밴드(37)가 나란하게 형성되는 경우 어느 한 밴드가 상판직(21)에 결합되면 다른 밴드는 하판직(23)에 결합되고, 어느 한 밴드가 하판직(23)에 결합되면 다른 밴드는 상판직(21)에 결합되어 상호 대칭되는 형상을 이루도록 하여 단위튜브(20)의 팽창시 상판직(21)이 평활한 면을 갖도록 한다. 그리고 도시된 2줄의 밴드 외에도 1줄이나 3중이상의 밴드로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밴드(37)와 상판직(21) 또는 밴드(37)와 하판직(23)의 결합은 본딩접합, 수 지를 이용한 열융착, 실을 이용한 박음질 등을 이용할 수 있다.
단위튜브(20)의 내부에 공기가 주입되면 밴드(37)가 상판직(21)과 하판직(23)을 상하방향으로 연결시키므로 상판직(21)의 부양을 일정한 높이로 제한하게 되고, 이 경우 상판직(21)은 평활한 면을 형성하게 된다.
상술한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매트리스의 작용은 도 5에 나타나있다. 상기에서 언급한 공기공급수단에 의해 홀수열과 짝수열의 단위튜브(20a)(20b)에 번갈아 가면서 공기가 주입된다. 가령, 도시된 바와 같이 홀수열의 단위튜브들(20a)에 공기가 주입되면 각 단위튜브들(20a)은 팽창되면서 상부가 부양하게 된다. 이 경우 홀수열의 각 단위 튜브들(20a)은 상부가 평활한 면을 이루므로 신체와 접촉하는 접촉면에 환자의 체압이 골고루 분산되어 체압을 낮출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도 6에 나타내고 있다. 그리고 도 7에서는 도 6에 매트리스에 적용된 홀수열 단위튜브 내부를 나타내기 위한 단위튜브의 단면도이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단위 튜브들(50) 중 홀수열 단위튜브들(50a)에 형성된 실기둥(57)은 일측에서 타측으로 진행할수록 점진적으로 길이가 짧아지게 형성되고, 짝수열 단위튜브들(50b)에 형성된 실기둥(미도시)은 일측에서 타측으로 진행할수록 점진적으로 길이가 길어지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홀수열 단위튜브(50a)의 팽창시 상판직(51)이 좌측보다 우측이 점진적으로 더 낮도록 경사지게 형성되고, 짝수열의 단위튜브(50b)의 팽창시 우측보다 좌측이 점진적으로 더 낮도록 경사지게 형성된다. 홀수열 단위튜브(50a)의 경사방 향과 짝수열 단위튜브(50b)의 경사방향은 반대가 되도록 구성된다. 상술한 바와 달리 홀수열과 짝수열 단위튜브(50a)(50b)의 경사방향은 상호 바뀔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술한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하면 홀수열 단위튜브(50a)가 팽창시 환자는 좌에서 우방향으로 신체가 이동하고, 짝수열 단위튜브(50b)가 팽창시 환자는 우에서 좌방향으로 신체가 이동하게된다. 이와 같이 환자의 신체 중심을 좌우로 이동시켜 체위를 강제로 변화시키므로 욕창 예방에 효과적이다.
한편,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서는 단위튜브에 주입되는 유체를 공기인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공기 외에도 물을 이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매트리스를 나타내는 일부 절개 사시도이고,
도 2 및 도 3은 도 1에 적용된 단위튜브의 내부를 나타내는 일부 절개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매트리스에 적용된 단위튜브의 내부를 나타내는 일부 절개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1의 매트리스의 작용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매트리스를 나타내는 일부 절개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6에 적용된 단위튜브의 내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매트리스 15: 커버재
20a: 홀수열 단위튜브 20b: 짝수열 단위튜브
21: 상판직 23: 하판직
25: 측판직 27: 실기등
37: 밴드

Claims (5)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다수가 열을 지어 나란하게 배치되며 유체의 주입 또는 배출에 의해 부피가 팽창 또는 수축하는 단위 튜브들과;
    상기 단위 튜브들 중 짝수열의 단위튜브들과 홀수열의 단위튜브들에 교번적으로 유체를 공급하는 유체공급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단위튜브들은 신체에 가해지는 압력을 감소시키기 위해 부피팽창시 신체와 접촉되는 상부에 평활한 접촉면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각 단위튜브들은 하판직과, 상기 하판직의 상방에 위치하여 상기 접촉면을 이루며 유체의 주입시 부양되는 상판직과, 상기 상판직과 하판직 사이에 형성되어 벽면을 이루며 상하 방향으로 변형이 가능한 측판직과, 상기 상판직의 부양시 상기 상판직을 평활하게 부양시키는 평활부양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평활부양수단은 일정한 폭의 천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상판직 및 하판직에 교호적으로 결합되는 밴드로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욕창예방용 유체 부양식 매트리스.
  5. 다수가 열을 지어 나란하게 배치되며 유체의 주입 또는 배출에 의해 부피가 팽창 또는 수축하는 단위 튜브들과;
    상기 단위 튜브들 중 짝수열의 단위튜브들과 홀수열의 단위튜브들에 교번적으로 유체를 공급하는 유체공급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단위튜브들은 신체에 가해지는 압력을 감소시키기 위해 부피팽창시 신체와 접촉되는 상부에 평활한 접촉면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각 단위튜브들은 하판직과, 상기 하판직의 상방에 위치하여 상기 접촉면을 이루며 유체의 주입시 부양되는 상판직과, 상기 상판직과 하판직 사이에 형성되어 벽면을 이루며 상하 방향으로 변형이 가능한 측판직과, 상기 상판직의 부양시 상기 상판직을 평활하게 부양시키는 평활부양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평활부양수단은 상기 상판직 및 하판직을 상호 연결하도록 형성되며 섬유사로 이루어진 다수의 실기둥으로 구비되며,
    상기 단위 튜브들 중 짝수열의 단위튜브들에 형성된 실기둥은 일측에서 타측으로 진행할수록 점진적으로 길이가 짧아지며, 상기 단위 튜브들 중 홀수열의 단위튜브들에 형성된 실기둥은 일측에서 타측으로 진행할수록 점진적으로 길이가 길어지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욕창예방용 매트리스.
KR1020090010789A 2009-02-10 2009-02-10 평활한 신체 접촉면을 갖는 욕창예방용 매트리스 KR1010990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0789A KR101099062B1 (ko) 2009-02-10 2009-02-10 평활한 신체 접촉면을 갖는 욕창예방용 매트리스
PCT/KR2009/003778 WO2010093096A1 (ko) 2009-02-10 2009-07-10 신체 접촉면을 갖는 욕창예방용 매트리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0789A KR101099062B1 (ko) 2009-02-10 2009-02-10 평활한 신체 접촉면을 갖는 욕창예방용 매트리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91550A KR20100091550A (ko) 2010-08-19
KR101099062B1 true KR101099062B1 (ko) 2011-12-26

Family

ID=425619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10789A KR101099062B1 (ko) 2009-02-10 2009-02-10 평활한 신체 접촉면을 갖는 욕창예방용 매트리스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099062B1 (ko)
WO (1) WO2010093096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30914A (ko) * 2021-08-26 2023-03-07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욕창 방지용 베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028719A (zh) * 2017-05-26 2017-08-11 重庆华博军卫医药股份有限公司 一种气压调节控制装置、充气泵及电动防褥疮床垫
KR102355319B1 (ko) * 2020-05-15 2022-01-25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통풍 패드 시스템 및 통풍 패드의 제조방법
KR102481695B1 (ko) * 2020-07-02 2022-12-27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통풍 패드 시스템 및 통풍 패드의 제조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97196A (ja) * 1998-01-13 1999-07-27 Tomoko Nakayama 褥瘡予防用マット装置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9117825D0 (en) * 1991-08-16 1991-10-09 Teasdale Barry C Mattress
GB2369775B (en) * 2000-12-09 2003-05-28 Huntleigh Technology Plc Inflatable support
KR200317885Y1 (ko) * 2003-03-06 2003-06-28 김대황 저주파 및 온열 발생 기능을 갖는 치료용 탄소층 벨트
KR200438318Y1 (ko) * 2007-11-13 2008-02-05 이선구 의료용 교대부양 매트리스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97196A (ja) * 1998-01-13 1999-07-27 Tomoko Nakayama 褥瘡予防用マット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30914A (ko) * 2021-08-26 2023-03-07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욕창 방지용 베드
KR102640276B1 (ko) 2021-08-26 2024-02-22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욕창 방지용 베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0093096A1 (ko) 2010-08-19
KR20100091550A (ko) 2010-08-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99062B1 (ko) 평활한 신체 접촉면을 갖는 욕창예방용 매트리스
KR20120077420A (ko) 욕창 방지 메트리스 및 그 구동방법
US4999867A (en) Air mattress and method for adjusting it
US11825957B2 (en) Zoned suspension seating structure
JP4763121B2 (ja) ガスバッグ
ES2745201T3 (es) Capa confortable con muelles embolsados
US8893338B2 (en) Inflatable cellular mattress with alternating zones of inflated cells
US5956787A (en) Anti-decubitus pneumatic mattress
US9364386B2 (en) Support surface system providing simultaneous alternating pressure and low air loss therapies
US20120284918A1 (en) Device to regulate humidity and temperature of the surface of a support element
KR20080012868A (ko) 탄성 직물 하중 베어링 표면
US5586348A (en) Air mattress and method for adjusting it
CN107429444A (zh) 用于结构应用的可充气提花织物
US4577356A (en) Waterbed mattress with baffle chambers
KR102150026B1 (ko) 온도 감지 기능에 의해 교대 부양이 가능한 욕창방지방석
ES2385594T3 (es) Procedimiento para fabricar un tejido de al menos dos capas en algunas zonas así como tejido fabricado según este procedimiento
KR200438318Y1 (ko) 의료용 교대부양 매트리스
CN211156878U (zh) 防褥疮水气床垫
KR101198418B1 (ko) 빔매트리스 및 그의 유체공급방법
JP6681955B2 (ja) 姿勢変更器具
US20200040595A1 (en) Modular pool
KR20060028713A (ko) 의료용 교대 부양 매트리스
US20040064895A1 (en) Stabilized shape retentive air-inflated bed
JPH10337387A (ja) クッション
KR102614883B1 (ko) 에어매트리스 및 에어매트리스 제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