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37399B1 - 욕창 방지용 베드 - Google Patents

욕창 방지용 베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37399B1
KR102437399B1 KR1020200076478A KR20200076478A KR102437399B1 KR 102437399 B1 KR102437399 B1 KR 102437399B1 KR 1020200076478 A KR1020200076478 A KR 1020200076478A KR 20200076478 A KR20200076478 A KR 20200076478A KR 102437399 B1 KR102437399 B1 KR 1024373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d
beds
lifting
constituting
cro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764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58112A (ko
Inventor
공규민
박상현
Original Assignee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000764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37399B1/ko
Publication of KR202101581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581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373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373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05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beds
    • A61G7/057Arrangements for preventing bed-sores or for supporting patients with burns, e.g. mattr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1G7/0573Arrangements for preventing bed-sores or for supporting patients with burns, e.g. mattr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with mattress frames having alternately movable par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002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having adjustable mattress frame
    • A61G7/005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having adjustable mattress frame tiltable around transverse horizontal axis, e.g. for Trendelenburg posi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002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having adjustable mattress frame
    • A61G7/008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having adjustable mattress frame tiltable around longitudinal axis, e.g. for roll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002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having adjustable mattress frame
    • A61G7/015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having adjustable mattress frame divided into different adjustable sections, e.g. for Gatch posi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002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having adjustable mattress frame
    • A61G7/018Control or drive mechanis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2200/00Information related to the kind of patient or his position
    • A61G2200/30Specific positions of the patient
    • A61G2200/32Specific positions of the patient ly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2203/0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 A61G2203/1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characterised by specific control means, e.g. for adjustment or steer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2203/0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 A61G2203/7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with special adaptations, e.g. for safety or comfor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rs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Invalid Beds And Related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욕창 방지용 베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움직임에 제약이 따르거나 장기 와상 환자들에게서 발생되는 욕창을 방지하기 위해 환자를 좌측과 우측 및 상측과 하측으로 선택적 자세 변경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면서 이러한 자세 변경 구동이 간소한 구조에 의해 이루어지도록 구조 개선된 욕창 방지용 베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욕창 방지용 베드{Bed to prevent pressure sore}
본 발명은 욕창 방지용 베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움직임에 제약이 따르거나 장기 와상 환자들에게서 발생되는 욕창을 방지하기 위해 환자를 좌측과 우측 및 상측과 하측으로 선택적 자세 변경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면서 이러한 자세 변경 구동이 간소한 구조에 의해 이루어지도록 구조 개선된 욕창 방지용 베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욕창(褥瘡)은 오래 병상에 누워지내는 환자의 피부 및 피부 밑 조직이 계속 눌려서, 혈액 순환이 제대로 되지 않아 짓무르거나 하는 병을 칭한다.
이러한 욕창은 상기와 같이 병상에 오래 누워 있는 환자의 피부가 괴사하여 염증이 발생하는 질병으로서, 침대에 누워 있는 환자의 신체 일부가 장시간 동안 침대의 면에 접촉하여 계속 압박을 받을 경우 발생한다.
이와 같이 신체의 일부가 장시간 압박을 받을 경우, 그 부위의 피부에 혈액의 순환이 원활하지 않고 또한 공기가 잘 통하지 않아 피부의 괴사가 일어나고 욕창이 된다.
종래에 다양한 욕창 방지 또는 예방용 침대가 소개되어 있는데, 그물망을 구비하여 통풍을 원활하게 하는 것(공개특허 제10-2001-0001177호), 침대의 상판을 이루는 평판과 요철판이 교대로 승강하여 신체와의 접촉부위를 변경시켜 주는 것(공개특허 제10-2003-0020162호), 침대의 바닥으로 공기를 분사하여 공기의 유통을 좋게 하는 것(등록특허 제10-0476513호)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종래 요철판 승강식의 경우 요철판의 구동에 소요되는 동력계통을 포함한 구조가 복잡하고, 특히 가동부인 요철판이 승강할 때 고정부와 간섭을 일으켜 작동이 원활하지 않거나 소음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공기 유통식의 경우 환자가 전혀 기동을 못할 경우에는 장시간 침대와 접촉하여 눌린 신체 부위로는 공기가 잘 공급되지 못하여 욕창 예방효과가 반감되는 문제점이 있다.
현재 이러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 해결이 요구되고 있을 뿐 아니라, 환자의 등이나 엉덩이 다리의 뒤쪽 또는 뒷머리 부분 등에서 주로 발생하는 욕창을 고려할 때, 해당 부분에 대해 주기적으로 자세 변경을 통해 욕창을 방지하는 기술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 해결과 요구사항을 고려하여 창출된 것으로, 움직임에 제약이 따르거나 장기 와상 환자들에게서 발생되는 욕창을 방지하기 위해 환자를 좌측과 우측 및 상측과 하측으로 선택적 자세 변경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면서 이러한 자세 변경 구동이 간소한 구조에 의해 이루어지도록 구조 개선된 욕창 방지용 베드를 제공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 달성을 위한 본 발명은 와상 환자의 좌측 중간 부분을 지지하는 베드1(111)과, 환자의 우측 중상방 부분을 지지하는 베드2(112)와, 환자의 우측 중하방 부분을 지지하는 베드3(113)과, 상기 베드1(111)의 우측 상방 부분과 상기 베드2(112)의 중간 하방 좌측 부분이 연결된 상태로 환자의 몸통을 지지하는 교차베드1(114)과, 상기 베드1(111)의 우측 하방 부분과 상기 베드3(113)의 중간 상방 좌측 부분이 연결된 상태로 환자의 하체 상방을 지지하는 교차베드2(115)를 포함하는 베드(110); 상기 교차베드1,2(114)(115)의 우측 단부를 중심으로 상기 베드1(111)과 교차베드1,2(114)(115)를 승강시켜 각도를 조절하는 승강수단1(121)과, 상기 교차베드1(114)의 좌측 단부를 중심으로 상기 베드2(112)를 승강시켜 각도를 조절하는 승강수단2(122)와, 상기 교차베드2(115)의 좌측 단부를 중심으로 상기 베드3(113)을 승강시켜 각도를 조절하는 승강수단3(123)을 포함하는 승강장치(120); 상기 승강장치(120)를 구성하는 승강수단1,2,3(121,122,123)의 승강을 조작하는 조작부(130); 를 포함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 중 상기 베드(110)를 구성하는 베드1(111)은 장축과 단축을 갖는 직사각 형태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 중 상기 베드(110)를 구성하는 베드2(112)는 '┓' 형태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 중 상기 베드(110)를 구성하는 베드3(113)은 '┛' 형태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 중 상기 베드(110)를 구성하는 교차베드1(114)은 일측 단이 베드1(111)의 일측 상단과 연결되고, 타측 단이 베드2(112)의 일측 하단과 연결되는 '■' 형태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 중 상기 베드(110)를 구성하는 교차베드2(115)는 일측 단이 베드1(111)의 일측 하단과 연결되고, 타측 단이 베드3(113)의 일측 상단과 연결되는 '■' 형태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베드(110)를 구성하는 베드1,2,3(111~113) 및 교차베드1,2(114,115) 각각은 하부면에 지지프레임 또는 지지플레이트를 포함하는 지지부재1,2,3,4,5(111a,112a,113a,114a,115a)가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베드(110)를 구성하는 베드1,2,3(111~113) 및 교차베드1,2(114,115)는 '
Figure 112020064536000-pat00001
' 형태로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베드(110)는 하부면의 일부를 제외한 전체가 별도의 신축성 커버시트로 덮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 중 상기 승강장치(120)는 피스톤 동작하는 실린더인 승강수단1,2,3(121,122,123); 상기 베드1(111) 하부에 마련된 지지부재1(111a)의 일측 길이 방향을 따라 면접하여 고정 지지하고 타측은 상기 교차베드1,2(114,115) 하부에 마련된 지지부재(114a,115a)의 일측 길이 방향을 따라 면접하여 지지한 상태에서 상기 승강수단1(121)의 피스톤 단부가 하부면에 고정된 승강플레이트1(121a); 상기 베드2(112) 하부에 마련된 지지부재2(112a)의 일측 길이 방향을 따라 면접하여 고정 지지하고 타측은 상기 교차베드1(114) 하부에 마련된 지지부재(114a)의 일측 길이 방향을 따라 면접하여 지지한 상태에서 상기 승강수단2(122)의 피스톤 단부가 하부면에 고정된 승강플레이트2(122a); 상기 베드3(113) 하부에 마련된 지지부재3(113a)의 일측 길이 방향을 따라 면접하여 고정 지지하고 타측은 상기 교차베드2(115) 하부에 마련된 지지부재(115a)의 일측 길이 방향을 따라 면접하여 지지한 상태에서 상기 승강수단3(123)의 피스톤 단부가 하부면에 고정된 승강플레이트3(123a);을 포함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승강수단1,2,3(121,122,123)은 베드메인지지프레임(101)의 수평 프레임에 수직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승강수단1,2,3(121,122,123)은 승강 시 경사지게 각도 변화하면서 들리는 해당 베드 부분의 위치 변경에 따라 각도 조절되도록 실린더 하단이 힌지 구조를 갖는 브래킷에 축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 중 상기 조작부(130)는 조작버튼이 조작되면 승강수단1,2,3(121,122,123) 각각에 대해 승강유도 제어신호를 출력하여 해당 승강수단의 동작을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한 조작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컨트롤러의 승강유도 제어신호는 승강수단1,2,3(121,122,123) 각각에 연결된 유체공급부(예 : 에어 컨프레서)의 유체 개폐단속 밸브를 제어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과제해결수단에 의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되는 본 발명은 베드(110)가 많은 구획으로 쪼개져 배치되지 않고, 상기 베드(110)를 구성하는 베드1,2,3(111~113) 및 교차베드1,2(114,115)가 '
Figure 112020064536000-pat00002
' 형태로 연결된 단일의 베드로 이루어짐으로써, 환자가 누웠을 때 등이 배겨서 불편함을 느끼지 않도록 쾌적함을 제공하는 효과를 얻는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베드(110)를 구성하는 베드1,2,3(111~113) 및 교차베드1,2(114,115)가 소수의 승강수단1,2,3(121,122,123)에 의해 승강 동작하면서 각도 조절되는 구성 내지 구조로 이루어짐으로써, 제조가 용이하고 제조원가가 저렴하며 조작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효과를 얻는다.
또한, 본 발명은 베드(110)가 많은 구획으로 쪼개져 배치되지 않고, 상기 베드(110)를 구성하는 베드1,2,3(111~113) 및 교차베드1,2(114,115)가 '
Figure 112020064536000-pat00003
' 형태로 연결된 단일의 베드로 이루어진 상태에서도 환자의 신체 좌측을 들어올리거나 우측을 들어올리는 것은 물론, 상체와 하체를 선택적으로 들어올려서 욕창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고, 불편한 자세를 고쳐서 편안하게 하도록 하는 효과를 얻는다.
도 1은 본 발명 중 베드의 구성을 간략히 도시한 평면도.
도 2는 본 발명 중 베드의 구성을 좀 더 구체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중 베드와 승강장치의 구성 및 결합 구조를 도시한 저면 사시도.
도 4의 a), b), c)는 본 발명 중 베드와 승강장치의 구성과 결합 구조 및 동작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베드 중 베드1의 각도 조절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베드 중 베드2,3의 각도 조절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베드 중 베드2의 각도 조절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베드 중 베드3의 각도 조절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이 적용된 베드 프레임을 포함한 전체 구성 및 사용 상태를 도시한 구성도.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이 환자가 누운 상태에서 각도 조절되는 것을 도시한 사용 상태도.
이와 같이 제시한 첨부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인 욕창 방지용 베드(100)는 첨부 도면 도 1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와상 환자의 좌측 중간 부분을 지지하는 베드1(111)과, 환자의 우측 중상방 부분을 지지하는 베드2(112)와, 환자의 우측 중하방 부분을 지지하는 베드3(113)과, 상기 베드1(111)의 우측 상방 부분과 상기 베드2(112)의 중간 하방 좌측 부분이 연결된 상태로 환자의 몸통을 지지하는 교차베드1(114)과, 상기 베드1(111)의 우측 하방 부분과 상기 베드3(113)의 중간 상방 좌측 부분이 연결된 상태로 환자의 하체 상방을 지지하는 교차베드2(115)를 포함하는 베드(110); 상기 교차베드1,2(114)(115)의 우측 단부를 중심으로 상기 베드1(111)과 교차베드1,2(114)(115)를 승강시켜 각도를 조절하는 승강수단1(121)과, 상기 교차베드1(114)의 좌측 단부를 중심으로 상기 베드2(112)를 승강시켜 각도를 조절하는 승강수단2(122)와, 상기 교차베드2(115)의 좌측 단부를 중심으로 상기 베드3(113)을 승강시켜 각도를 조절하는 승강수단3(123)을 포함하는 승강장치(120); 상기 승강장치(120)를 구성하는 승강수단1,2,3(121,122,123)의 승강을 조작하는 조작부(130); 를 포함하여서 된 것일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 중 상기 베드(110)를 구성하는 베드1(111)은 첨부 도면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축과 단축을 갖는 직사각 형태로 이루어진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 중 상기 베드(110)를 구성하는 베드2(112)는 '┓' 형태로 이루어진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 중 상기 베드(110)를 구성하는 베드3(113)은 '┛' 형태로 이루어진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 중 상기 베드(110)를 구성하는 교차베드1(114)은 일측 단이 베드1(111)의 일측 상단과 연결되고, 타측 단이 베드2(112)의 일측 하단과 연결되는 '■' 형태로 이루어진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 중 상기 베드(110)를 구성하는 교차베드2(115)는 일측 단이 베드1(111)의 일측 하단과 연결되고, 타측 단이 베드3(113)의 일측 상단과 연결되는 '■' 형태로 이루어진 것일 수 있다.
이때 또한, 본 발명의 상기 베드(110)를 구성하는 베드1,2,3(111~113) 및 교차베드1,2(114,115) 각각은 첨부 도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면에 지지프레임 또는 지지플레이트를 포함하는 지지부재1,2,3,4,5(111a,112a,113a,114a,115a)가 고정된 것일 수 있다.
이때 또한, 본 발명의 상기 베드(110)는 하부면의 일부를 제외한 전체가 별도의 신축성 커버 시트로 덮인 것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 중 상기 승강장치(120)는 첨부 도면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스톤 동작하는 실린더인 승강수단1,2,3(121,122,123); 상기 베드1(111) 하부에 마련된 지지부재1(111a)의 일측 길이 방향을 따라 면접하여 고정 지지하고 타측은 상기 교차베드1,2(114,115) 하부에 마련된 지지부재(114a,115a)의 일측 길이 방향을 따라 면접하여 지지한 상태에서 상기 승강수단1(121)의 피스톤 단부가 하부면에 고정된 승강플레이트1(121a); 상기 베드2(112) 하부에 마련된 지지부재2(112a)의 일측 길이 방향을 따라 면접하여 고정 지지하고 타측은 상기 교차베드1(114) 하부에 마련된 지지부재(114a)의 일측 길이 방향을 따라 면접하여 지지한 상태에서 상기 승강수단2(122)의 피스톤 단부가 하부면에 고정된 승강플레이트2(122a); 상기 베드3(113) 하부에 마련된 지지부재3(113a)의 일측 길이 방향을 따라 면접하여 고정 지지하고 타측은 상기 교차베드2(115) 하부에 마련된 지지부재(115a)의 일측 길이 방향을 따라 면접하여 지지한 상태에서 상기 승강수단3(123)의 피스톤 단부가 하부면에 고정된 승강플레이트3(123a);을 포함하여서 된 것일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상기 승강수단1,2,3(121,122,123)은 베드메인지지프레임(101)의 수평 프레임에 수직 고정된 것일 수 있다.
이때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승강수단1,2,3(121,122,123)은 승강 시 경사지게 각도 변화하면서 들리는 해당 베드 부분의 위치 변경에 따라 각도 조절되도록 실린더 하단이 힌지 구조를 갖는 브래킷에 축 결합된 것일 수 있다.
또 한편, 본 발명 중 상기 조작부(130)는 조작버튼이 조작되면 승강수단1,2,3(121,122,123) 각각에 대해 승강유도 제어신호를 출력하여 해당 승강수단의 동작을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한 조작장치일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첨부 도면 도 1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와상 환자의 좌측 중간 부분을 지지하는 베드1(111)과, 환자의 우측 중상방 부분을 지지하는 베드2(112)와, 환자의 우측 중하방 부분을 지지하는 베드3(113)과, 상기 베드1(111)의 우측 상방 부분과 상기 베드2(112)의 중간 하방 좌측 부분이 연결된 상태로 환자의 몸통을 지지하는 교차베드1(114)과, 상기 베드1(111)의 우측 하방 부분과 상기 베드3(113)의 중간 상방 좌측 부분이 연결된 상태로 환자의 하체 상방을 지지하는 교차베드2(115)를 포함하는 베드(110); 상기 교차베드1,2(114)(115)의 우측 단부를 중심으로 상기 베드1(111)과 교차베드1,2(114)(115)를 승강시켜 각도를 조절하는 승강수단1(121)과, 상기 교차베드1(114)의 좌측 단부를 중심으로 상기 베드2(112)를 승강시켜 각도를 조절하는 승강수단2(122)와, 상기 교차베드2(115)의 좌측 단부를 중심으로 상기 베드3(113)을 승강시켜 각도를 조절하는 승강수단3(123)을 포함하는 승강장치(120); 상기 승강장치(120)를 구성하는 승강수단1,2,3(121,122,123)의 승강을 조작하는 조작부(130); 를 포함하여서 된 욕창 방지용 베드(100)이다.
여기서, 본 발명 중 상기 베드(110)를 구성하는 베드1(111)은 첨부 도면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축과 단축을 갖는 직사각 형태로 이루어진 것을 실시예로 한다.
또한, 본 발명 중 상기 베드(110)를 구성하는 베드2(112)는 '┓' 형태로 이루어진 것을 실시예로 한다.
또한, 본 발명 중 상기 베드(110)를 구성하는 베드3(113)은 '┛' 형태로 이루어진 것을 실시예로 한다.
또한, 본 발명 중 상기 베드(110)를 구성하는 교차베드1(114)은 일측 단이 베드1(111)의 일측 상단과 연결되고, 타측 단이 베드2(112)의 일측 하단과 연결되는 '■' 형태로 이루어진 것을 실시예로 한다.
또한, 본 발명 중 상기 베드(110)를 구성하는 교차베드2(115)는 일측 단이 베드1(111)의 일측 하단과 연결되고, 타측 단이 베드3(113)의 일측 상단과 연결되는 '■' 형태로 이루어진 것을 실시예로 한다.
이와 같이 되는 본 발명의 상기 베드(110)를 구성하는 베드1,2,3(111~113) 및 교차베드1,2(114,115)는 '
Figure 112020064536000-pat00004
' 형태로 연결된 단일의 베드를 형성한다.
이때 또한, 본 발명의 상기 베드(110)를 구성하는 베드1,2,3(111~113) 및 교차베드1,2(114,115) 각각은 첨부 도면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면에 지지프레임 또는 지지플레이트를 포함하는 지지부재1,2,3,4,5(111a,112a,113a,114a,115a)가 고정된 것을 바람직한 실시예로 한다.
이때 또한, 본 발명의 상기 베드(110)는 하부면의 일부를 제외한 전체가 별도의 신축성 커버시트로 덮임으로써, 베드(110) 전체가 단일의 시트를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 중 상기 승강장치(120)는 피스톤 동작하는 실린더인 승강수단1,2,3(121,122,123); 상기 베드1(111) 하부에 마련된 지지부재1(111a)의 일측 길이 방향을 따라 면접하여 고정 지지하고 타측은 상기 교차베드1,2(114,115) 하부에 마련된 지지부재(114a,115a)의 일측 길이 방향을 따라 면접하여 지지한 상태에서 상기 승강수단1(121)의 피스톤 단부가 하부면에 고정된 승강플레이트1(121a); 상기 베드2(112) 하부에 마련된 지지부재2(112a)의 일측 길이 방향을 따라 면접하여 고정 지지하고 타측은 상기 교차베드1(114) 하부에 마련된 지지부재(114a)의 일측 길이 방향을 따라 면접하여 지지한 상태에서 상기 승강수단2(122)의 피스톤 단부가 하부면에 고정된 승강플레이트2(122a); 상기 베드3(113) 하부에 마련된 지지부재3(113a)의 일측 길이 방향을 따라 면접하여 고정 지지하고 타측은 상기 교차베드2(115) 하부에 마련된 지지부재(115a)의 일측 길이 방향을 따라 면접하여 지지한 상태에서 상기 승강수단3(123)의 피스톤 단부가 하부면에 고정된 승강플레이트3(123a);을 포함하여서 된 것일 수 있다.
이와 같이 되면, 첨부 도면 도 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승강수단1,2,3(121,122,123)이 각각 베드1,2,3(111,112,113) 및 교차베드1,2(114,115)를 승강시켜 각도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예컨대, 첨부 도면 도 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강장치1(121)이 피스톤 동작하여 승강플레이트1(121a)을 밀어올리면, 상기 승강플레이트1(121a)에 고정된 지지부재1(111a)이 베드1(111)를 밀어올림과 동시에, 상기 승강플레이트1(121a)에 고정되지 않은 상태로 지지된 지지부재4,5(114a,115a)의 일측 단부가 밀려 올라가면서 각각 교차베드1,2(114,115)를 밀어올리게 된다.
이와 같이 밀어 올려진 베드1(111) 및 교차베드1,2,(114,115)는 베드2,3(112,113)에 대해 상방으로 경사진 상태가 된다.
또한, 첨부 도면 도 4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강장치2(122) 또는 승강장치3(123)이 피스톤 동작하여 승강플레이트2(122a) 또는 승강플레이트3(123a)을 밀어올리면, 상기 승강플레이트2(122a) 또는 승강플레이트3(123a)에 고정된 지지부재2(112a) 또는 지지부재3(113a)이 베드2(112) 또는 베드3(113)을 밀어올림과 동시에, 상기 승강플레이트2(122a) 또는 승강플레이트3(123a)에 고정되지 않은 상태로 지지된 지지부재4,5(114a,115a)의 타측 단부가 각각 교차베드1,2(114,115)를 밀어올리게 된다.
이와 같이 밀어 올려진 베드2(112) 또는 베드3(113) 및 교차베드1,2,(114,115)는 베드1(111)에 대해 상방으로 경사진 상태가 된다.
이처럼, 상기 승강장치(120)에 의해 승강되면서 각도가 조절되는 베드(110)의 상태를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와 같이, 승강장치1(121)이 피스톤 동작하여 승강플레이트1(121a)을 밀어올리면, 상기 승강플레이트1(121a)에 고정된 지지부재1(111a)이 첨부 도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베드1(111)를 밀어올림과 동시에, 상기 승강플레이트1(121a)에 고정되지 않은 상태로 지지된 지지부재4,5(114a,115a)의 일측 단부가 밀려 올라가면서 각각 교차베드1,2(114,115)도 함께 밀려 올라가게 되어, 상기 베드1(111) 및 교차베드1,2,(114,115)가 베드2,3(112,113)에 대해 상방으로 경사진 상태가 된다.
또한, 상기에서, 승강장치2(122)와 승강장치3(123)이 동시에 피스톤 동작하여 승강플레이트2(122a)와 승강플레이트3(123a)을 밀어올리면, 상기 승강플레이트2(122a) 및 승강플레이트3(123a)에 고정된 지지부재2(112a) 및 지지부재3(113a)이 첨부 도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베드2(112) 및 베드3(113)을 밀어올림과 동시에, 상기 승강플레이트2(122a) 및 승강플레이트3(123a)에 고정되지 않은 상태로 지지된 지지부재4,5(114a,115a)의 타측 단부가 각각 교차베드1,2(114,115)를 밀어올리게 되어, 상기 베드2(112)와 베드3(113) 및 교차베드1,2,(114,115)는 베드1(111)에 대해 상방으로 경사진 상태가 된다.
또한, 상기에서, 승강장치2(122)만 피스톤 동작하여 승강플레이트2(122a)를 밀어올리면, 상기 승강플레이트2(122a)에 고정된 지지부재2(112a)가 첨부 도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베드2(112)를 밀어올림과 동시에, 상기 승강플레이트2(122a)에 고정되지 않은 상태로 지지된 지지부재4(114a)의 타측 단부가 교차베드1(114)를 밀어올리게 되어, 상기 베드2(112) 및 교차베드1(114)은 베드1(111) 및 베드3(113)에 대해 상방으로 경사진 상태가 된다.
또한, 상기에서, 승강장치3(123)만 피스톤 동작하여 승강플레이트3(123a)을 밀어올리면, 상기 승강플레이트3(123a)에 고정된 지지부재3(113a)이 첨부 도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베드3(113)을 밀어올림과 동시에, 상기 승강플레이트3(123a)에 고정되지 않은 상태로 지지된 지지부재5(115a)의 타측 단부가 교차베드2(115)를 밀어올리게 되어, 상기 베드3(113) 및 교차베드2(115)는 베드1(111) 및 베드2(112)에 대해 상방으로 경사진 상태가 된다.
또 한편, 본 발명 중 상기 조작부(130)는 조작버튼이 조작되면 승강수단1,2,3(121,122,123) 각각에 대해 승강유도 제어신호를 출력하여 해당 승강수단의 동작을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한 조작장치이다.
이때, 본 발명의 상기 컨트롤러의 승강유도 제어신호는 승강수단1,2,3(121,122,123) 각각에 연결된 유체공급부(131 (예 : 에어 컨프레서))의 유체 개폐단속 밸브를 제어하는 것에 의해, 상기 승강수단1,2,3(121,122,123) 각각의 승강 동작이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은 조작부(130)는 베드메인지지프레임(101)에 설치되어 의료진 또는 보호자가 조작할 수도 있으나, 유선 리모트컨트롤로 이루어져 환자 본인이 누운 상태에서 스스로 조작하여 자세를 변화시킬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되는 본 발명은 첨부 도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기 치료를 요하는 거동이 불편한 환자가 본 발명인 욕창방지용 베드(100)에 누운 상태에서, 상기 승강장치1(121)이 피스톤 동작하여 승강플레이트1(121a)을 밀어올리면, 상기 승강플레이트1(121a)에 고정된 지지부재1(111a)이 상기 베드1(111)를 밀어올림과 동시에, 상기 승강플레이트1(121a)에 고정되지 않은 상태로 지지된 지지부재4,5(114a,115a)의 일측 단부가 밀려 올라가면서 각각 교차베드1,2(114,115)도 함께 밀려 올라가게 되어, 상기 베드1(111) 및 교차베드1,2,(114,115)가 베드2,3(112,113)에 대해 상방으로 경사진 상태가 되므로, 첨부 도면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베드(110)에 누운 환자의 신체 좌측 부분(발 아래 쪽에서 보았을 때)이 들어 올려져 해당 부분에 대한 하중과 베드에 대한 밀착력을 감소 내지 제거하거나 쉽게 돌아누울 수 있도록 유도한다.
또한, 상기에서, 승강장치2(122)와 승강장치3(123)이 동시에 피스톤 동작하여 승강플레이트2(122a)와 승강플레이트3(123a)을 밀어올리면, 상기 승강플레이트2(122a) 및 승강플레이트3(123a)에 고정된 지지부재2(112a) 및 지지부재3(113a)이 상기 베드2(112) 및 베드3(113)을 밀어올림과 동시에, 상기 승강플레이트2(122a) 및 승강플레이트3(123a)에 고정되지 않은 상태로 지지된 지지부재4,5(114a,115a)의 타측 단부가 각각 교차베드1,2(114,115)를 밀어올리게 되어, 상기 베드2(112)와 베드3(113) 및 교차베드1,2,(114,115)는 베드1(111)에 대해 상방으로 경사진 상태가 되므로, 첨부 도면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베드(110)에 누운 환자의 신체 우측 부분(발 아래 쪽에서 보았을 때)이 들어 올려져 해당 부분에 대한 하중과 베드에 대한 밀착력을 감소 내지 제거하거나 쉽게 돌아누울 수 있도록 유도한다.
이때, 물론,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승강장치2(122)만 피스톤 동작하여 승강플레이트2(122a)를 밀어올리면, 상기 승강플레이트2(122a)에 고정된 지지부재2(112a)가 상기 베드2(112)를 밀어올림과 동시에, 상기 승강플레이트2(122a)에 고정되지 않은 상태로 지지된 지지부재4(114a)의 타측 단부가 교차베드1(114)를 밀어올리게 되어, 상기 베드2(112) 및 교차베드1(114)은 베드1(111) 및 베드3(113)에 대해 상방으로 경사진 상태가 되므로, 상기 베드(110)에 누운 환자의 신체 중 우측 상체 부분(발 아래 쪽에서 보았을 때)이 들어 올려져 해당 부분에 대한 하중과 베드에 대한 밀착력을 감소 내지 제거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에서, 승강장치3(123)만 피스톤 동작하여 승강플레이트3(123a)을 밀어올리면, 상기 승강플레이트3(123a)에 고정된 지지부재3(113a)이 상기 베드3(113)을 밀어올림과 동시에, 상기 승강플레이트3(123a)에 고정되지 않은 상태로 지지된 지지부재5(115a)의 타측 단부가 교차베드2(115)를 밀어올리게 되어, 상기 베드3(113) 및 교차베드2(115)는 베드1(111) 및 베드2(112)에 대해 상방으로 경사진 상태가 되므로, 상기 베드(110)에 누운 환자의 신체 중 우측 하체 부분이 들어 올려져 해당 부분에 대한 하중과 베드에 대한 밀착력을 감소 내지 제거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되는 본 발명은 베드(110)가 많은 구획으로 쪼개져 배치되지 않고, 상기 베드(110)를 구성하는 베드1,2,3(111~113) 및 교차베드1,2(114,115)가 '
Figure 112020064536000-pat00005
' 형태로 연결된 단일의 베드로 이루어짐으로써, 환자가 누웠을 때 등이 배겨서 불편함을 느끼지 않도록 쾌적함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베드(110)를 구성하는 베드1,2,3(111~113) 및 교차베드1,2(114,115)가 소수의 승강수단1,2,3(121,122,123)에 의해 승강 동작하면서 각도 조절되는 구성 내지 구조로 이루어짐으로써, 제조가 용이하고 제조원가가 저렴하며 조작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베드(110)가 많은 구획으로 쪼개져 배치되지 않고, 상기 베드(110)를 구성하는 베드1,2,3(111~113) 및 교차베드1,2(114,115)가 '
Figure 112020064536000-pat00006
' 형태로 연결된 단일의 베드로 이루어진 상태에서도 환자의 신체 좌측을 들어올리거나 우측을 들어올리는 것은 물론, 상체와 하체를 선택적으로 들어올려서 욕창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고, 불편한 자세를 고쳐서 편안하게 하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때, 본 발명의 상기 승강수단1,2,3(121,122,123)은 첨부 도면 도 9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드메인지지프레임(101)의 수평 프레임에 수직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승강수단1,2,3(121,122,123)은 승강 시 경사지게 각도 변화하면서 들리는 해당 베드 부분의 위치 변경에 따라 각도 조절되도록 실린더 하단이 힌지 구조를 갖는 브래킷에 축 결합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 본 발명을 본 발명의 원리를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하고 도시하였지만, 본 발명은 그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그 밖에도, 첨부된 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과 균등물들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
100 : 욕창 방지용 베드 110 : 베드
111 : 베드1 111a : 지지부재1
112 : 베드2 112a : 지지부재2
113 : 베드3 113a : 지지부재3
114 : 교차베드1 114a : 지지부재4
115 : 교차베드2 115a : 지지부재5
120 : 승강장치 121 : 승강수단1
121a : 승강플레이트1 122 : 승강수단2
122a : 승강플레이트2 123 : 승강수단3
123a : 승강플레이트3 130 : 조작부

Claims (12)

  1. 와상 환자의 좌측 중간 부분을 지지하는 베드1(111)과, 환자의 우측 중상방 부분을 지지하는 베드2(112)와, 환자의 우측 중하방 부분을 지지하는 베드3(113)과, 상기 베드1(111)의 우측 상방 부분과 상기 베드2(112)의 중간 하방 좌측 부분이 연결된 상태로 환자의 몸통을 지지하는 교차베드1(114)과, 상기 베드1(111)의 우측 하방 부분과 상기 베드3(113)의 중간 상방 좌측 부분이 연결된 상태로 환자의 하체 상방을 지지하는 교차베드2(115)를 포함하는 베드(110);
    상기 교차베드1,2(114)(115)의 우측 단부를 중심으로 상기 베드1(111)과 교차베드1,2(114)(115)를 승강시켜 각도를 조절하는 승강수단1(121)과, 상기 교차베드1(114)의 좌측 단부를 중심으로 상기 베드2(112)를 승강시켜 각도를 조절하는 승강수단2(122)와, 상기 교차베드2(115)의 좌측 단부를 중심으로 상기 베드3(113)을 승강시켜 각도를 조절하는 승강수단3(123)을 포함하는 승강장치(120);
    상기 승강장치(120)를 구성하는 승강수단1,2,3(121,122,123)의 승강을 조작하는 조작부(130); 를 포함하여서 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욕창 방지용 베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베드(110)를 구성하는 베드1(111)은,
    장축과 단축을 갖는 직사각 형태로 이루어진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욕창 방지용 베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베드(110)를 구성하는 베드2(112)는,
    '┓' 형태로 이루어진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욕창 방지용 베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베드(110)를 구성하는 베드3(113)은 '┛' 형태로 이루어진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욕창 방지용 베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베드(110)를 구성하는 교차베드1(114)은,
    일측 단이 베드1(111)의 일측 상단과 연결되고, 타측 단이 베드2(112)의 일측 하단과 연결되는 '■' 형태로 이루어진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욕창 방지용 베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베드(110)를 구성하는 교차베드2(115)는,
    일측 단이 베드1(111)의 일측 하단과 연결되고, 타측 단이 베드3(113)의 일측 상단과 연결되는 '■' 형태로 이루어진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욕창 방지용 베드.
  7. 청구항 1에 있어서,
    베드(110)를 구성하는 베드1,2,3(111~113) 및 교차베드1,2(114,115) 각각은,
    하부면에 지지프레임 또는 지지플레이트를 포함하는 지지부재1,2,3,4,5(111a,112a,113a,114a,115a)가 고정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욕창 방지용 베드.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베드(110)를 구성하는 베드1,2,3(111~113) 및 교차베드1,2(114,115)는 '
    Figure 112020064536000-pat00007
    ' 형태로 연결된 단일의 베드인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욕창 방지용 베드.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승강장치(120)는,
    피스톤 동작하는 실린더인 승강수단1,2,3(121,122,123);
    일측은 상기 베드1(111) 하부에 마련된 지지부재1(111a)의 일측 길이 방향을 따라 면접하여 고정 지지하고, 타측은 상기 교차베드1,2(114,115) 하부에 마련된 지지부재(114a,115a)의 일측 길이 방향을 따라 면접하여 지지한 상태에서, 상기 승강수단1(121)의 피스톤 단부가 하부면에 고정된 승강플레이트1(121a);
    일측은 상기 베드2(112) 하부에 마련된 지지부재2(112a)의 일측 길이 방향을 따라 면접하여 고정 지지하고, 타측은 상기 교차베드1(114) 하부에 마련된 지지부재(114a)의 일측 길이 방향을 따라 면접하여 지지한 상태에서, 상기 승강수단2(122)의 피스톤 단부가 하부면에 고정된 승강플레이트2(122a);
    일측은 상기 베드3(113) 하부에 마련된 지지부재3(113a)의 일측 길이 방향을 따라 면접하여 고정 지지하고, 타측은 상기 교차베드2(115) 하부에 마련된 지지부재(115a)의 일측 길이 방향을 따라 면접하여 지지한 상태에서, 상기 승강수단3(123)의 피스톤 단부가 하부면에 고정된 승강플레이트3(123a); 을 포함하여서 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욕창 방지용 베드.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승강수단1,2,3(121,122,123)은 베드메인지지프레임(101)의 수평 프레임에 수직 고정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욕창 방지용 베드.
  11.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130)는,
    조작버튼이 조작되면 승강수단1,2,3(121,122,123) 각각에 대해 승강유도 제어신호를 출력하여 해당 승강수단의 동작을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한 조작장치인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욕창 방지용 베드.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의 승강유도 제어신호는 승강수단1,2,3(121,122,123) 각각에 연결된 유체공급부의 유체 개폐단속 밸브를 제어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욕창 방지용 베드.
KR1020200076478A 2020-06-23 2020-06-23 욕창 방지용 베드 KR1024373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6478A KR102437399B1 (ko) 2020-06-23 2020-06-23 욕창 방지용 베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6478A KR102437399B1 (ko) 2020-06-23 2020-06-23 욕창 방지용 베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58112A KR20210158112A (ko) 2021-12-30
KR102437399B1 true KR102437399B1 (ko) 2022-08-29

Family

ID=791786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76478A KR102437399B1 (ko) 2020-06-23 2020-06-23 욕창 방지용 베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37399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76594B1 (ko) 2014-07-02 2015-12-10 조수민 욕창 방지 장치
KR101895054B1 (ko) 2018-03-08 2018-10-04 서보미 욕창 방지용 침대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11743B1 (ko) * 2010-11-24 2012-12-12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다수의 세그먼트로 이루어진 의료용 침대
KR101223769B1 (ko) * 2011-01-17 2013-01-17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다수의 세그먼트로 이루어진 의료용 침대
KR20130061986A (ko) * 2011-12-02 2013-06-12 김진일 전동침대의 욕창방지시스템
KR101318724B1 (ko) * 2012-01-20 2013-10-16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지능형 케어를 위한 가변 침상
KR101471624B1 (ko) * 2013-01-31 2014-12-12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환자 이송용 기능성 베드
KR20180088541A (ko) * 2017-01-26 2018-08-06 경운대학교 산학협력단 욕창방지침대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76594B1 (ko) 2014-07-02 2015-12-10 조수민 욕창 방지 장치
KR101895054B1 (ko) 2018-03-08 2018-10-04 서보미 욕창 방지용 침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58112A (ko) 2021-12-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699566A (en) Sickbed
US8056164B2 (en) Bed with adjustable patient support framework
US7690060B2 (en) Articulated mattress
CN105769480B (zh) 一种电控医用护理床垫
EP3964187B1 (en) Hospital bed with inflatable bladders and cooling channels and related methods
KR101264030B1 (ko) 환자용 침대
KR200214428Y1 (ko) 병상
KR102437399B1 (ko) 욕창 방지용 베드
KR20130095365A (ko) 거동불편 와상환자를 위한 다기능 전동침대
KR101731967B1 (ko) 욕창방지용 침대
KR20130061986A (ko) 전동침대의 욕창방지시스템
KR102361754B1 (ko) 의료용 전동 침대
US20170143568A1 (en) Structural arrangement for a hospital bed provided with a physiological decubitus system
CN204932057U (zh) 一种护理床
KR102586633B1 (ko) 인공지능을 이용한 욕창예방 의료용 로봇 침대의 제어 방법 및 시스템
KR102613992B1 (ko) 욕창 예방을 위한 스마트 케어 침대의 제어 시스템
CN107536681A (zh) 一种医疗床
JPH09285502A (ja) 看護病床
JP3034368U (ja) 看護病床
CN210330960U (zh) 一种手术护理床
CN219614234U (zh) 一种可迅速调整卧位角度的平卧板结构
CN211835082U (zh) 一种适用于颈胸部患者的护理床
KR102606089B1 (ko) 체압 센서를 이용한 욕창예방 의료용 로봇 침대의 제어 방법
GB2439918A (en) Bed with vertically lifting patient support
KR20220153822A (ko) 환자용 전동침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